KR20140104022A - 케이스, 액체 수용 용기, 접속 구조체, 인쇄재 공급 시스템, 및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스, 액체 수용 용기, 접속 구조체, 인쇄재 공급 시스템, 및 인쇄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04022A KR20140104022A KR1020147019389A KR20147019389A KR20140104022A KR 20140104022 A KR20140104022 A KR 20140104022A KR 1020147019389 A KR1020147019389 A KR 1020147019389A KR 20147019389 A KR20147019389 A KR 20147019389A KR 20140104022 A KR20140104022 A KR 201401040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xis direction
- cartridge
- axis
- side terminal
- terminal grou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41J2/17509—Whilst mounted in the prin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6—Electrical contacts to the cartrid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43—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 B41J2/17546—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electronical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Landscapes
- Ink Jet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Abstract
카트리지측 단자군과 장치측 단자군의 접촉을 양호하게 도모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쇄 장치는, 전면, 후면, 제 1 측면, 제 2 측면, 제 3 측면, 제 4 측면, 오목부를 구비한다. 오목부는, 개구와 제 1, 제 2 측벽, 저벽을 갖고, 저벽은, -Y축 방향 성분과 +X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다. 경사면에는 카트리지측 단자군이 마련되어 있다. 제 1 측벽에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제 1 위치 결정부와 +Z축 방향 및 +X축 방향에서 접촉하며 장치측 단자부의 +Z축 방향 및 +X축 방향측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 1 규제부가 마련되며, 제 2 측벽에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제 2 위치 결정부와 +Z축 방향 및 -X축 방향에서 접촉하며 장치측 단자부의 +Z축 방향 및 -X축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 2 규제부가 마련된다.
인쇄 장치는, 전면, 후면, 제 1 측면, 제 2 측면, 제 3 측면, 제 4 측면, 오목부를 구비한다. 오목부는, 개구와 제 1, 제 2 측벽, 저벽을 갖고, 저벽은, -Y축 방향 성분과 +X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다. 경사면에는 카트리지측 단자군이 마련되어 있다. 제 1 측벽에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제 1 위치 결정부와 +Z축 방향 및 +X축 방향에서 접촉하며 장치측 단자부의 +Z축 방향 및 +X축 방향측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 1 규제부가 마련되며, 제 2 측벽에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제 2 위치 결정부와 +Z축 방향 및 -X축 방향에서 접촉하며 장치측 단자부의 +Z축 방향 및 -X축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 2 규제부가 마련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부에 인쇄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 카트리지와 인쇄 장치를 구비하는 인쇄재 공급 시스템 및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쇄 장치의 일예인 프린터는, 내부에 잉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카트리지로부터 잉크를 인쇄 헤드에 공급하여 인쇄를 실행한다. 근래에는, 잉크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잉크의 색)를 격납한 회로 기판을 탑재한 카트리지가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내지 5). 카트리지에 탑재된 회로 기판은, 잉크에 관한 정보를 격납하는 기억 장치와, 프린터의 전기적 접속을 실행하기 위한 단자군["카트리지측 단자군"이라고도 함]을 구비한다. 카트리지가 프린터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됨으로써, 카트리지측 단자군과 카트리지 장착부에 마련된 단자군["장치측 단자군"이라고도 함]이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측 단자군의 각 단자가 장치측 단자군의 대응하는 각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프린터와 카트리지 사이에 신호의 수수가 실행된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이나 2의 기술에서는, 카트리지 장착부나 카트리지의 제조 오차에 의해서, 카트리지측 단자군과 장치측 단자군을 도통 가능하게 접촉시킬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특허문헌 3의 기술에서는, 장치측 단자군이 마련된 커넥터가 이동 가능하게 카트리지 장착부에 마련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커넥터가,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특허문헌 3의 도 7에 있어서의 Z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특허문헌 3의 도 7에 있어서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의 기술에서는, 카트리지의 전면에 오목부가 마련되고, 오목부 내의 삽입 방향을 따른 측면 상에 카트리지측 단자군이 배치되어 있다. 이 기술에서는, 커넥터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할 때, 커넥터가 카트리지의 위치에 맞추어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측 단자군과 장치측 단자군의 접촉을 양호하게 도모하는 것을 시도하고 있다.
상기 기술에서는, 카트리지측 단자군이 배치된 오목부의 4개의 측면에 의해서, 커넥터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위치 결정을 실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카트리지의 설계 오차에 의해서 오목부 형상에 오차가 생겨 카트리지측 단자군과 장치측 단자군의 접촉을 양호하게 도모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기술에서는,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삽입되어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까지의 사이에, 장치측 단자군이 오목부의 측면이나 카트리지측 단자군과 서로 마찰될 가능성이 있다. 장치측 단자군이 오목부의 측면 등으로 서로 마찰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의 구성 부재가 깎여, 절삭 부스러기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장치측 단자군이 오목부의 측면 등과 서로 마찰됨으로써 생기는 정전기에 의해서 먼지가 끌어당겨지는 경우가 있다. 절삭 부스러기나 먼지 등이 장치측 단자군과 카트리지측 단자군의 주변에 존재하면, 장치측 단자군과 카트리지측 단자군의 접촉이 양호하게 도모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4, 5의 기술에서는, 커넥터는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에 수직 방향인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 5의 기술에서는, 카트리지의 전면에는 오목부가 마련되고, 오목부의 삽입 방향과 수직인 저면 상에 카트리지측 단자군이 마련되어 있다. 특허문헌 4, 5의 기술에서는, 오목부 내에 마련한 안내 부재가 카트리지 장착부의 안내 슬롯에 삽입됨으로써, 카트리지측 단자군과 장치측 단자군의 위치 결정을 실행하고 있다.
상기 기술에서는, 카트리지측 단자군이 삽입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의 저면 상에 마련되며, 장치측 단자군과 삽입 방향에 대향하는 관계이다. 따라서,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해서 착탈할 때에, 장치측 단자군이 카트리지와 서로 마찰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그렇지만,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삽입되고 접속될 때까지의 사이를 통하여, 카트리지측 단자군과 장치측 단자군이 점접촉한다. 따라서, 카트리지 장착부나 카트리지의 근소한 제조 오차에 의해서, 카트리지측 단자군과 장치측 단자군의 접촉이 도모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는, 특히, 대형 용지(예를 들면, A2 내지 A0 사이즈)의 인쇄를 실행하는 대형 프린터에서는, 현저히 카트리지의 사이즈가 커지게 된다.
상기에 든 바와 같은 문제는,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를 착탈 가능한 프린터에 한정하지 않고, 잉크 이외의 다른 종류의 인쇄재(예를 들면, 토너)를 외부에 공급하는 인쇄 장치, 및, 인쇄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에 공통되는 문제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트리지측 단자군과 장치측 단자군의 접촉을 양호하게 도모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가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이하의 형태 또는 적용예로서 실현할 수 있다.
[적용예 1] 서로 직교하는 3개의 공간축을 각각 X축, Y축, Z축으로 하고, 상기 X축, Y축, Z축을 따른 방향을 각각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하고, 상기 X축, Y축, Z축을 따른 플러스 방향을 각각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하고, 상기 X축, Y축, Z축을 따른 마이너스 방향을 각각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했을 때, 카트리지가 상기 +Y축 방향측의 삽입구로부터 상기 -Y축 방향측의 장치 측 전벽부를 향하여 상기 -Y축 방향으로 삽입되는 카트리지 장착부와, 상기 장치 측 전벽부에 마련된 인쇄재 공급관과, 상기 장치측 전벽부의 상기 인쇄재 공급관보다 상기 +Z축 방향측에 마련된 장치측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측 단자부는, +Y축 방향 성분 및 상기 -Z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표면 상에 접점이 마련된 장치측 단자군과, 상기 표면의 상기 +X축 방향측의 측방 및 -X축 방향측의 측방에 각각 마련된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를 갖고, 상기 장치측 전벽부에 대해서 상기 X축 방향 및 상기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는 인쇄 장치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된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상기 X축, 상기 Y축 및 상기 Z축을, 각각 상기 카트리지의 X축, Y축, Z축으로 할 때, 상기 Y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2개의 면으로서, 상기 +Y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후면과, 상기 -Y축 방향측에 위치하며, 상기 Z축 방향의 치수가 상기 X축 방향의 치수보다 큰 대략 장방형의 전면과, 상기 전면 및 상기 후면과 만나며, 상기 Z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2개의 면으로서, 상기 +Z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1 측면과, 상기 -Z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2 측면과, 상기 전면, 상기 후면, 상기 제 1 측면, 및 상기 제 2 측면과 만나며, 상기 X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2개의 면으로서, 상기 +X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3 측면과, 상기 -X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4 측면과, 상기 전면에 마련되며, 상기 인쇄재 공급관이 삽입되는 공급관 삽입 구멍과, 상기 전면과 상기 제 1 측면이 교차하는 코너부에 마련되며,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장치측 단자부가 삽입되는 오목부를 갖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장치측 단자부가 오목부 내에 삽입될 때의 입구가 되는 개구와, 상기 오목부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 1 측벽과 제 2 측벽과 저벽을 갖고, 상기 제 1 측벽과 상기 제 2 측벽은, 상기 X축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측벽이 상기 +X축 방향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측벽이 상기 -X축 방향측에 위치하며, 상기 저벽은, 상기 -Y축 방향 성분과 상기 +Z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고,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장치측 단자군과 접촉하는 카트리지측 단자군이 마련된 경사면을 갖고, 상기 제 1 측벽에는,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와 상기 +Z축 방향 및 +X축 방향에서 접촉하고 상기 장치측 단자부의 상기 +Z축 방향 및 상기 +X축 방향측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 1 규제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 2 측벽에는,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와+Z축 방향 및 -X축 방향에서 접촉하며 상기 장치측 단자부의 상기 +Z축 방향 및 상기 -X축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 2 규제부가 마련되는 카트리지.
적용예 1에 기재된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인쇄 장치에 있어서, 장치측 단자부는, X축 방향과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적용예 1에 기재된 카트리지는, 이와 같은 장치측 단자부가 삽입되는 오목부를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 장착부나 카트리지에 제조 오차가 생겼을 경우에서도,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에, 장치측 단자부가 이동함으로써, 그 오차를 흡수하면서 카트리지의 오목부 내에 장치측 단자부가 인도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오목부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규제부에 의해서, 장치측 단자군과 카트리지측 단자군의 위치 결정이 실행된다. 즉, 장착 완료 시 및 장착 상태에서는, 카트리지의 오목부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규제부가, 장치측 단자부의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의 +Z축 방향 및 ±X축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함으로써, 장치측 단자군과 카트리지측 단자군을 위치 결정한다. 따라서, 장치측 단자군과 카트리지측 단자군의 접촉을 양호하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적용예 1에 기재된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인쇄 장치에 있어서, 장치측 단자군은, +Y축 방향 성분 및 -Z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표면 상에 마련되어 있으며, 적용예 1에 기재된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측 단자군은, -Y축 방향 성분과 +Z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에 마련되어 있다. 즉, 장치측 단자군과 카트리지측 단자군은, 모두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인 -Y축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면에 마련되어 있다.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삽입될 때, 카트리지는 -Y축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 때, 카트리지측 단자군도 -Y축 방향으로 진행하며 장치측 단자군에 서서히 가까워지지만, 장착이 완료되기 직전까지 양자가 접촉하는 일은 없다. 장착의 최종 단층에서, 카트리지의 오목부에 장치측 단자부가 삽입된 후, 장착이 완료되기 직전에 약간 장치측 단자군과 카트리지측 단자군이 서로 마찰된다. 그리고, 장착 완료 시 및 장착 상태에서는, 카트리지의 오목부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규제부가, 장치측 단자부의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의 +Z축 방향 및 ±X축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함으로써, 장치측 단자군과 카트리지측 단자군을 위치 결정한다. 이와 같이, 카트리지의 장착 시에 장치측 단자군과 카트리지측 단자군이 거의 마찰되는 일이 없는 한편, 카트리지의 장착이 완료되기 직전에 약간 장치측 단자군과 카트리지측 단자군이 서로 마찰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의 장착 시에, 장치측 단자군이 카트리지에 서로 마찰되어 절삭 부스러기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만일 먼지가 장치측 단자군의 근방에 존재하며, 장치측 단자군과 카트리지측 단자군 사이에 끼인 경우에서도, 장치측 단자군이 카트리지측 단자군의 표면을 직선적으로 마찰하면서 접촉을 실행함으로써, 먼지를 접촉부로부터 배출하는 효과(와이핑 효과)를 발휘하여, 먼지가 장치측 단자군과 카트리지측 단자군 사이에 끼일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적용예 2] 적용예 1에 기재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 1 규제부 및 상기 제 2 규제부는,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 중, 대응하는 상기 위치 결정부의 상기 +Z축 방향측단부와 접촉하는 +Z축 방향측 접촉면과,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 중, 대응하는 상기 위치 결정부의 상기 -Z축 방향측 단부와 접촉하는 -Z축 방향측 접촉면을 각각 구비하는 카트리지.
적용예 2에 기재된 카트리지에 의하면, 장착 상태에 있어서, 제 1 규제부는 제 1 위치 결정부의 +Z축 방향측 단부와 접촉하는 +Z축 방향측 접촉면과-Z축 방향측 단부와 접촉하는 -Z축 방향측 접촉면을 갖고, 제 2 규제부는 제 2 위치 결정부의 +Z축 방향측 단부와 접촉하는 +Z축 방향측 접촉면과 -Z축 방향측 단부와 접촉하는 -Z축 방향측 접촉면을 갖는다. 즉, 제 1 및 제 2 규제부가,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의 ±Z축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이것에 의해, 장치측 단자군의 카트리지측 단자군에 대한 위치 결정을 정밀도 양호하게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측 단자군과 카트리지측 단자군의 접촉을 보다 양호하게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Z축 방향과 -Z축 방향의 양측에 장치측 단자부를 보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인쇄 장치의 사용 시에 진동이나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가해져도, 이와 같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장치측 단자군과 카트리지측 단자군의 접촉 위치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적용예 3] 적용예 2에 기재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 1 규제부 및 상기 제 2 규제부는, 상기 -Y축 방향측의 단면에 마련된 개구로부터 상기 +Y축 방향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Y축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Z축 방향의 치수가 단조 감소하는 입구 부분과, 상기 입구 부분의+Y축 방향의 단부로부터 상기 +Y축 방향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Z축 방향의 치수가 일정하며,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 중 대응하는 상기 위치 결정부와 접촉하는 접촉 부분을 각각 구비하는 카트리지.
적용예 3에 기재된 카트리지에 의하면, -Y축 방향으로부터 +Y축 방향을 따라서 Z축 방향의 치수가 단조 감소하는 입구 부분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나 카트리지 장착부에 Z축 방향의 제조 오차가 생겼을 경우에서도,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장치측 단자부의 위치 결정부를, 카트리지의 오목부에 마련된 규제부에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Z축 방향의 치수가 일정한 접촉 부분을 구비하기 때문에, 입구 부분에 장치측 단자부의 위치 결정부를 안내한 후, 접촉 부분까지 전진함으로써, 장치측 단자군의 카트리지측 단자군에 대한 위치 결정을 정밀도 양호하게 실행할 수 있다.
[적용예 4] 적용예 1 내지 적용예 3 중 어느 한쪽의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규제부는,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 중 대응하는 상기 위치 결정부의 상기 +Y축 방향측 단부와 접촉하는 +Y축 방향측 접촉면을 각각 구비하는, 카트리지.
적용예 4에 기재된 카트리지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규제부가, 각각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의 +Y축 방향측 단부의 위치를 규제한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장착부에 삽입할 때에, 장치측 단자부가 너무 과도하게 +Y축 방향으로 진행함으로써, 카트리지 오목부 내의 저벽에 강하게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장치측 단자부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적용예 5] 적용예 1 내지 적용예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저벽 중, 상기 경사면과 상기 제 1 측벽 사이, 및 상기 경사면과 상기 제 2 측벽 사이에는 한쌍의 저벽측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적용예 5에 기재된 카트리지에 의하면, 카트리지측 단자군의 +X축 방향측 및 -X축 방향측의 측방에, 대략 삼각형의 면이 노출된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측 단자군을 회로 기판에 마련하는 경우는, 회로 기판의 장착이나 분리를 용이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장치측 단자군의 +X축 방향측의 측방 및 -X축 방향측의 측방에, 표면에 대해서 +Y축 방향 성분과 -Z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한쌍의 돌기를 마련하고, 저벽측 오목부에 받게 하도록 하면, 규제부와 위치 결정부에 의한 카트리지측 단자군 및 장치측 단자군의 위치 결정이나 위치 편차의 억제에 부가하여, 카트리지측 단자군 및 장치측 단자군에 의해 가까운 위치에서도, 양자의 위치 결정이나 위치 편차의 억제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장치측 단자군과 카트리지측 단자군의 접촉을 보다 양호하게 도모할 수 있다.
[적용예 6] 적용예 1 내지 적용예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전면의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의 상기 Z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위치에, 상기 장치측 전벽부에 마련된 로드가 삽입되는 로드 삽입 구멍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공급관 삽입 구멍은, 상기 로드 삽입 구멍과 상기 오목부 사이에 마련되는, 카트리지.
적용예 6에 기재된 카트리지에 의하면, 로드 삽입 구멍에 로드가 삽입됨으로써,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한 카트리지의 전체의 위치 결정을 실행하여, 올바른 장착 위치로부터의 위치 편차를 억제한다. 따라서, 로드 삽입 구멍 근방의 위치 편차를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전면의 코너부에 마련된 카트리지측 단자군과 로드 삽입 구멍은, 멀어진 위치에 있어서, 이와 같이 로드 삽입 구멍으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있는 부재의 위치 편차를 억제하는 것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특히, 대형 인쇄용의 인쇄 장치에 이용되는 대용량 타입의 카트리지는, 사이즈가 크고, 카트리지측 단자군과 로드 삽입 구멍이 다소 멀어진 위치에 있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이, X축 방향과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장치측 단자부나, 이와 같은 장치측 단자부가 삽입되는 오목부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서, 카트리지측 단자군과 장치측 단자군의 위치 결정을 정밀도 양호하게 실행할 수 있다. 즉, 대용량 타입의 사이즈가 큰 카트리지라도, 카트리지 전체의 위치 결정을 정밀도 양호하게 실행하면서, 또한, 카트리지의 제조 오차를 흡수하면서, 장치측 단자군과 카트리지측 단자군을 정밀도 양호하게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적용예에 의하면, 인쇄재 공급관이 삽입되는 공급관 삽입 구멍이, 로드 삽입 구멍과 오목부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즉, 인쇄재 공급관은, 로드에 의해 가까운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공급관 삽입 구멍은, 로드 삽입 구멍에 의해 가까운 위치에 마련된다. 따라서, 인쇄재 공급관과 공급관 삽입 구멍 사이의 위치 편차를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적용예 7] 적용예 1 내지 적용예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 1 규제부는, 상기 제 1 측벽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오목한 홈이며, 상기 제 2 규제부는, 상기 제 2 측벽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오목한 홈인 카트리지.
적용예 7에 기재된 카트리지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측벽에 각각 홈을 형성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의 움직임을 규제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규제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적용예 8] 적용예 1 내지 적용예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 1 규제부는, 상기 제 1 측벽으로부터 상기 -X축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에 의해서 구성되고, 상기 제 2 규제부는, 상기 제 2 측벽으로부터 상기 +X축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에 의해서 구성되는 카트리지.
적용예 8에 기재된 카트리지에 의하면, 제 1 측벽과 제 2 측벽에 각각 X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를 마련함으로써 제 1 위치 결정부와 제 2 위치 결정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적용예 9] 인쇄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인쇄 장치와, 적용예 1 내지 적용예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카트리지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 장치는, 서로 직교하는 3개의 공간축을 각각 X축, Y축, Z축으로 하고, 상기 X축, Y축, Z축을 따른 방향을 각각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하며, 상기 X축, Y축, Z축을 따른 플러스 방향을 각각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하고, 상기 X축, Y축, Z축을 따른 마이너스 방향을 각각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했을 때, 카트리지가 상기 +Y축 방향측의 삽입구로부터 상기 -Y축 방향측의 장치 측 전벽부를 향하여 상기 -Y축 방향으로 삽입되는 카트리지 장착부와, 상기 장치 측 전벽부에 마련된 인쇄재 공급관과, 상기 장치측 전벽부의 상기 인쇄재 공급관보다 상기 +Z축 방향측에 마련된 장치측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측 단자부는, +Y축 방향 성분 및 상기 -Z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표면 상에 접점이 마련된 장치측 단자군과, 상기 표면의 상기 +X축 방향측의 측방 및 -X축 방향측의 측방에 각각 마련된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를 갖고, 상기 장치측 전벽부에 대해서 상기 X축 방향 및 상기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는, 인쇄재 공급 시스템.
적용예 9에 기재된 인쇄재 공급 시스템에 의하면, 장치측 단자군이 마련된 홀더가 X축 방향과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 장착부나 카트리지에 제조 오차가 생겼을 경우에서도,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에, 홀더에 마련된 장치측 단자군이 카트리지측 단자군과 접촉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카트리지의 오목부에 마련된 제 1 과 제 2 규제부에 의해서, 장치측 단자군과 카트리지측 단자군의 위치 결정을 실행한다. 즉, 장착 완료시 및 장착 상태에서는, 카트리지의 오목부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규제부에 의해서, 장치측 단자부의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의 +Z축 방향 및 ±X축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됨으로써, 장치측 단자군과 카트리지측 단자군이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장치측 단자군과 카트리지측 단자군의 접촉을 양호하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적용예 1 내지 적용예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카트리지를 구비하므로, 적용예 1 내지 적용예 8에 기재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적용예 10] 카트리지측 단자군을 갖는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 되는 인쇄 장치에 있어서, 서로 직교하는 3개의 공간축을 각각 X축, Y축, Z축으로 하고, 상기 X축, Y축, Z축을 따른 방향을 각각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하며, 상기 X축, Y축, Z축을 따른 플러스 방향을 각각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하고, 상기 X축, Y축, Z축을 따른 마이너스 방향을 각각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했을 때,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Y축 방향측의 삽입구로부터 상기 -Y축 방향측의 장치측 전벽부를 향하여 상기 -Y축 방향으로 삽입되는 카트리지 장착부와, 상기 장치측 전벽부에 마련된 인쇄재 공급관과, 상기 장치측 전벽부의 상기 인쇄재 공급관보다 상기 +Z축 방향측에 마련된 장치측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측 단자부는, +Y축 방향 성분 및 상기 -Z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표면 상에 접점이 마련된 장치측 단자군과, 상기 표면의 상기 +X축 방향측의 측방 및 -X축 방향측의 측방에 각각 마련된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를 갖고, 상기 장치측 전벽부에 대하여 상기 X축 방향 및 상기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는, 인쇄 장치.
적용예 10에 기재된 인쇄 장치에 의하면, 장치측 단자군을 갖는 장치측 단자부가 X축 방향과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 장착부나 카트리지에 제조 오차가 생겼을 경우에서도,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에, 장치측 단자군이 카트리지측 단자군과 접촉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따라서, 장치측 단자군과 카트리지측 단자군의 접촉을 양호하게 도모할 수 있다.
[적용예 11] 적용예 10에 기재된 인쇄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 장착부는, 상기 장치측 전벽부와 만나고 상기 Z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2개의 벽부에서, 상기 +Z축 방향측에 배치되는 제 1 장치측 측벽부와, 상기 -Z축 방향측에 배치되는 제 2 장치측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측 전벽부 중, 상기 제 1 장치측 측벽부와 상기 제 2 장치측 측벽부의 중간 위치에는, 상기 Y축 방향에 평행한 중심축을 갖는 로드가 마련되고, 상기 인쇄재 공급관은, 상기 로드와 상기 장치측 단자부 사이에 마련되는, 인쇄 장치.
적용예 11에 기재된 인쇄 장치에 의하면, 로드에 의해서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한 카트리지의 전체의 위치 결정을 실행하여, 올바른 장착 위치로부터의 위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인쇄재 공급관이, 로드와 장치측 단자부 사이에 마련된다. 즉, 인쇄재 공급관은, 로드에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마련된다. 따라서, 인쇄재 공급관과 인쇄재 공급관이 삽입되는 카트리지의 공급관 삽입 구멍 사이의 위치 편차를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드 근방의 위치 편차는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지만, 장치측 단자군과 로드는 다소 멀어진 위치에 있으며, 그 위치 편차를 억제하는 것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특히, 대형 인쇄 용무의 프린터는, 사이즈가 크며, 장치측 단자군과 로드가 다소 멀어진 위치에 있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이, X축 방향과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장치측 단자부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서,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에, 장치측 단자군이 카트리지측 단자군과 접촉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군과 장치측 단자군의 위치 결정을 정밀도 양호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술한 카트리지 및, 인쇄재 공급 시스템으로서의 구성 이외,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제조 방법,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등의 형태로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인쇄재 공급 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장착된 카트리지 장착부(6)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2-2 단면도,
도 4는 카트리지 장착부(6)측에 유통하는 부분의 확대도,
도 5는 카트리지 장착부(6)의 제 1 외관 사시도,
도 6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제 2 외관 사시도,
도 7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제 3 외관 사시도,
도 8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제 4 외관 사시도,
도 9는 카트리지 장착부(6)의 제 5 외관 사시도,
도 10은 장치측 전벽부(62)와 주변 부재의 제 1 외관 사시도,
도 11은 장치측 전벽부(62)와 주변 부재의 제 2 외관 사시도,
도 12는 장치측 전벽부(62)와 주변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0의 10-10 단면도,
도 14는 장치측 단자부(70)의 제 1 분해 사시도,
도 15는 장치측 단자부(70)의 제 2 분해 사시도,
도 16은 장치측 단자부(70)의 제 1 외관 사시도,
도 17은 장치측 단자부(70)의 제 2 외관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17-17 단면도,
도 19는 카트리지(4)의 제 1 외관 사시도,
도 20은 카트리지(4)의 제 2 외관 사시도,
도 21은 카트리지(4)의 정면도,
도 22는 카트리지(4)의 배면도,
도 23은 카트리지(4)의 상면도,
도 24는 카트리지(4)의 저면도,
도 25는 카트리지(4)의 제 1 측면도,
도 26은 카트리지(4)의 제 2 측면도,
도 27은 오목부(90) 근방의 외관 사시도,
도 28은 오목부(90) 근방의 정면도,
도 29는 도 28의 28a-28a 단면도,
도 30은 도 28의 28b-28b 단면도,
도 31은 장치측 단자부(70)와 회로 기판(50)의 접속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2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28a-28a 단면도,
도 33은 접촉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제 1 도면,
도 34는 접촉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제 2 도면,
도 35는 접촉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제 3 도면,
도 36은 접촉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제 4 도면,
도 37은 카트리지(4)의 분해 사시도,
도 38a는 제 1 변형형태의 정면도,
도 38b는 도 38a의 38-38 단면도,
도 39a는 제 2 변형형태의 정면도,
도 39b는 도 39a의 39-39 단면도,
도 40a는 제 3 변형형태의 정면도,
도 40b는 도 40a의 40-40 단면도,
도 41a는 제 4 변형형태의 정면도,
도 41b는 도 41a의 41-41 단면도,
도 42a는 제 5 변형형태의 정면도,
도 42b는 도 42a의 42-42 단면도,
도 43a는 제 6 변형형태의 정면도,
도 43b는 도 43a의 43-43 단면도,
도 44a 제 7 변형형태의 정면도,
도 44b는 도 44a의 44-44 단면도,
도 45a는 제 8 변형형태의 정면도,
도 45b는 도 45a의 45-45 단면도,
도 46a는 제 9 변형형태의 정면도,
도 46b는 도 46a의 46-46 단면도.
도 2는 장착된 카트리지 장착부(6)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2-2 단면도,
도 4는 카트리지 장착부(6)측에 유통하는 부분의 확대도,
도 5는 카트리지 장착부(6)의 제 1 외관 사시도,
도 6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제 2 외관 사시도,
도 7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제 3 외관 사시도,
도 8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제 4 외관 사시도,
도 9는 카트리지 장착부(6)의 제 5 외관 사시도,
도 10은 장치측 전벽부(62)와 주변 부재의 제 1 외관 사시도,
도 11은 장치측 전벽부(62)와 주변 부재의 제 2 외관 사시도,
도 12는 장치측 전벽부(62)와 주변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0의 10-10 단면도,
도 14는 장치측 단자부(70)의 제 1 분해 사시도,
도 15는 장치측 단자부(70)의 제 2 분해 사시도,
도 16은 장치측 단자부(70)의 제 1 외관 사시도,
도 17은 장치측 단자부(70)의 제 2 외관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17-17 단면도,
도 19는 카트리지(4)의 제 1 외관 사시도,
도 20은 카트리지(4)의 제 2 외관 사시도,
도 21은 카트리지(4)의 정면도,
도 22는 카트리지(4)의 배면도,
도 23은 카트리지(4)의 상면도,
도 24는 카트리지(4)의 저면도,
도 25는 카트리지(4)의 제 1 측면도,
도 26은 카트리지(4)의 제 2 측면도,
도 27은 오목부(90) 근방의 외관 사시도,
도 28은 오목부(90) 근방의 정면도,
도 29는 도 28의 28a-28a 단면도,
도 30은 도 28의 28b-28b 단면도,
도 31은 장치측 단자부(70)와 회로 기판(50)의 접속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2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28a-28a 단면도,
도 33은 접촉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제 1 도면,
도 34는 접촉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제 2 도면,
도 35는 접촉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제 3 도면,
도 36은 접촉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제 4 도면,
도 37은 카트리지(4)의 분해 사시도,
도 38a는 제 1 변형형태의 정면도,
도 38b는 도 38a의 38-38 단면도,
도 39a는 제 2 변형형태의 정면도,
도 39b는 도 39a의 39-39 단면도,
도 40a는 제 3 변형형태의 정면도,
도 40b는 도 40a의 40-40 단면도,
도 41a는 제 4 변형형태의 정면도,
도 41b는 도 41a의 41-41 단면도,
도 42a는 제 5 변형형태의 정면도,
도 42b는 도 42a의 42-42 단면도,
도 43a는 제 6 변형형태의 정면도,
도 43b는 도 43a의 43-43 단면도,
도 44a 제 7 변형형태의 정면도,
도 44b는 도 44a의 44-44 단면도,
도 45a는 제 8 변형형태의 정면도,
도 45b는 도 45a의 45-45 단면도,
도 46a는 제 9 변형형태의 정면도,
도 46b는 도 46a의 46-46 단면도.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이하의 순서로 설명한다.
A. 제 1 실시예 :
B. 제 2 실시예 :
C. 변형예 :
A. 제 1 실시예 :
A-1. 인쇄재 공급 시스템의 전체 구성 :
도 1은 인쇄재 공급 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서로 직교하는 3개의 공간축인 XYZ축이 그려져 있다. X축, Y축, Z축의 화살표가 향하고 있는 방향은, 각각 X축, Y축, Z축으로 따른 플러스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X축, Y축, Z축으로 따른 플러스 방향을, 각각 +X축 방향, +Y축 방향,+Z축 방향으로 한다. X축, Y축, Z축의 화살표가 향하고 있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이, 각각 X축, Y축, Z축을 따른 마이너스 방향이다. X축, Y축, Z축을 따른 마이너스 방향을, 각각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한다. X축, Y축, Z축을 따른 방향으로 플러스 마이너스를 문제 삼지 않는 것을, 각각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이라 부른다. 이 이후에 도시하는 도면 및 설명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다른 도면에 그려진 XYZ축은, 도 1의 XYZ축에 방향이 대응하고 있다. 인쇄재 공급 시스템(1)은, 인쇄 장치로서의 프린터(10)와 카트리지(4)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10)는, 잉크를 헤드(22)로부터 토출하는 잉크젯 프린터이다. 이 프린터(10)는, 포스터 등의 대형 용지(A2 내지 A0 등)에 인쇄를 실행하는 대형 프린터이다. 이 프린터(10)는, 카트리지 장착부(6)와, 제어부(31)와, 캐리지(20)와 헤드(22)와 구동 기구(30)를 구비한다. 또한, 프린터(10)는, 프린터(10)의 동작을 이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 버튼(15)을 구비한다.
카트리지 장착부(6)에는, 복수의 카트리지(4)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색(블랙, 옐로우, 마젠다, 시안) 잉크에 대응하여 4종류의 카트리지(4)가 1개씩, 즉 합계 4개인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의 프린터(10)에서는, 전면(+Y축 방향측의 면)에 교환 용 커버(13)가 마련되어 있다. 교환용 커버(13)의 +Z축 방향측을 바로 앞측(+Y축 방향측)으로 쓰러뜨리면, 카트리지 장착부(6)의 개구가 나타나, 카트리지(4)의 착탈이 가능해진다. 카트리지 장착부(6)에 카트리지(4)가 장착되면, 튜브(24)를 거쳐서 캐리지(20)에 마련된 헤드(22)에 잉크가 공급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린터(10)의 펌프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카트리지(4) 내의 잉크를 흡인함으로써, 잉크가 헤드(22)에 공급된다. 또한, 튜브(24)는, 잉크의 종류마다 마련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된 상태를 "장착 상태"라고도 부른다.
헤드(22)에는, 잉크의 종류마다 노즐이 마련되어 있다. 헤드(22)는, 분사 노즐로부터 인쇄 용지(2)를 향하여 잉크를 분사하고 문자나 화상 등의 데이터를 인쇄한다. 또한,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하는 형태나, 카트리지(4) 및 카트리지 장착부(6)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프린터(10)는, 카트리지 장착부(6)가 캐리지(20)의 움직임과는 연동하지 않는, 소위 "오프 캐리지 타입"이라 불리는 프린터이다. 캐리지(20)에 카트리지 장착부(6)가 마련되며, 캐리지(20)와 함께 카트리지 장착부(6)가 이동하는, 소위 "온 캐리지 타입"이라 불리는 프린터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제어부(31)는, 프린터(10)의 각 부의 제어나, 카트리지(4)와의 신호의 수수를 실행한다. 캐리지(20)는, 헤드(22)를 인쇄 용지(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시킨다.
구동 기구(30)는, 제어부(3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캐리지를 왕복 이동시킨다. 구동 기구(30)는, 타이밍 벨트(32)와 구동 모터(34)를 구비한다. 타이밍 벨트(32)를 거쳐서 구동 모터(34)의 동력을 캐리지(20)에 전달하는 것에 의해서, 캐리지(20)가 주 주사 방향(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또한, 프린터(10)는, 인쇄 용지(2)를 부 주사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반송기구를 구비한다. 인쇄가 실행될 때, 반송 기구에 의해서 인쇄 용지(2)가 부 주사 방향으로 이동하고, 전면 커버(11) 상에 인쇄 완료 후의 인쇄 용지(2)가 출력된다.
또한, 캐리지(20)를 주 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킨 인쇄 영역 외의 위치에는, 홈 포지션이라 불리는 영역이 마련되어 있으며, 홈 포지션에는, 정상적으로 인쇄 가능하도록 유지 보수를 실행하는 유지 보수 기구가 탑재되어 있다. 유지 보수 기구는, 헤드(22)의 저면측[인쇄 용지(2)를 향한 측]에 노즐이 형성되어 있는 면(노즐면)에 가압되고, 분사 노즐을 둘러싸도록 폐쇄 공간을 형성하는 캡 부재(8)나, 헤드(22)의 노즐면에 가압하기 위해서 캡 부재(8)를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도시하지 않음)나, 캡 부재(8)가 헤드(22)의 노즐면에 가압됨으로써 형성되는 폐쇄 공간에 부압을 도입하는 흡인 펌프(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재 공급 시스템(1)[프린터(10), 카트리지(4)]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인쇄 용지(2)를 반송하는 부 주사 방향을 따른 축을 Y축으로 하고, 중력 방향(상하 방향)을 따른 축을 Z축으로 하고, 캐리지(20)의 이동 방향(좌우 방향)을 따른 축을 X축으로 한다. 여기서, "인쇄재 공급 시스템(1)의 사용 상태"란, 수평면에 인쇄재 공급 시스템(1)이 설치된 상태를 말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부 주사 방향(전방향)을 +Y축 방향, 그 역방향(후방향)을 -Y축 방향으로 하고, 중력 방향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는 방향(상부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고, 그 역 방향(하부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한다. 또한, 인쇄재 공급 시스템(1)을 전방측(+Y축 방향측)에서 보았을 때에,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하고, 그 역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될 때의 삽입 방향이 -Y축 방향이 되고,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분리될 때의 방향이 +Y축 방향이 된다. 따라서, 카트리지 장착부(6) 중, -Y축 방향측을 안쪽이라 부르고, +Y축 방향측을 바로 앞측이라고도 부른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카트리지(4)의 배열 방향이 X축 방향이 된다.
도 2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 장착부(6)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에는 4개의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의 각 슬롯에 장착 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4개의 슬롯 중, -X축 방향측 중 하나의 슬롯을 제외하고, 3개의 슬롯에서는, 레버(672)가 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6)에 카트리지(4)가 장착된 후, 레버(672)가 눌려짐으로써, 카트리지(4)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분리할 때는, 레버(672)를 밀어올려서 규제를 해제하고, 카트리지(4)를 분리한다. 레버(672)는, 카트리지(4)가 착탈할 때에 통과하는 삽입구(69)가 형성된 벽부(67)에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장착된 카트리지(4)의 잉크는, 펌프 기구(7)가 구동함으로써 튜브(24)에 유통한다. 또한, 카트리지 장착부(6)의 상세 구성은 후술한다.
도 3은 도 2의 2-2 단면도이다. 도 3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일부와 카트리지(4)를 도시하고 있다.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되면, 펌프 기구(7)의 구동에 의해, 카트리지(4)의 인쇄재 수용부(450)로부터 잉크가 화살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24)에 유통한다.
도 4는 도 3 중, -Y축 방향측의 부분 확대도이다. 장착 상태에서는, 카트리지(4)와 카트리지 장착부(6)의 각 구성 부재가 이하와 같이 배치된다.
즉, 카트리지(4)의 인쇄재 도출관(484)에, 카트리지 장착부(6)의 인쇄재 공급관(642)이 삽입되어 접속된다. 인쇄재 도출관(484)은, 인쇄재 수용부(450)의 잉크를 외부[인쇄재 공급관(642)]로 유통시킨다. 인쇄재 공급관(642)은, 인쇄재 도출관(484)으로부터 배출된 잉크를, 헤드를 향하여 송출할 수 있도록 유통시킨다. 또한, 장착 상태에서는, 카트리지 장착부(6)의 로드(662)가 카트리지(4)의 레버 부재(490)에 접촉한다. 로드(662)와 레버 부재(490)는, 인쇄재 수용부(450)의 잉크가 없어진 상태["잉크 엔드 상태"라고도 부름]를 프린터(10)측에서 검출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상세하게는 로드(662)의 변위를 센서(138)로 검출함으로써 잉크 엔드 상태를 검출한다. 여기서, 잉크 엔드 상태란, 카트리지(4)의 내부의 잉크가 없어진 상태, 혹은, 잉크가 얼마 남지 않게 된 상태를 말한다.
또한, 카트리지(4)의 회로 기판(50) 표면에 마련된 카트리지측 단자군(도시하지 않음)의 각 단자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장치측 단자군(721)의 대응하는 각 단자가 접촉한다. 장치측 단자군(721)은, 커넥터(739)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커넥터(739)에 접속된 배선(도시하지 않음)이 프린터(10)의 제어부(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회로 기판(50)의 기억 장치와 제어부(3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어부(31)와 회로 기판(50) 사이에 신호의 수수가 가능해진다. 여기서, 장치측 단자군(721)이나 커넥터(739)는, 장치측 단자부(70)의 구성 부재이다. 또한, 장치측 단자부(70)의 상세 구성은 후술한다.
A-2. 카트리지 장착부의 상세 구성 :
도 5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카트리지 장착부(6)의 상세 구성에 대해 설명 한다.
도 5는 카트리지 장착부(6)의 제 1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제 2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제 3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제 4 외관 사시도이다. 도 9는 카트리지 장착부(6)의 제 5 외관 사시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8에는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된 튜브(24)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 도 7 및 도 9는 카트리지 장착부(6)의 내부의 구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일부의 구성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 장착부(6)는, 4개의 카트리지(4)를 독립하여 착탈할 수 있지만, 프린터(10)의 사양에 따라 카트리지(4)의 착탈 개수를 증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장 먼 +X축 방향측에는, 증가된 수의 카트리지(4)를 장착할 수 있도록 예비 장착 공간이나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6)는, 이하에 설명하는 6개의 벽부에 의해서 카트리지(4)를 수용하는 카트리지 수용실(61)이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 수용실(61)은, 대략 직방체 형상이다. 카트리지 수용실(61)의 형상은, 카트리지(4)의 외관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카트리지 수용 실(61) 중, 4개의 카트리지(4) 중 하나를 수용하는 부분을 각각, 슬롯이라고도 부른다.
카트리지 장착부(6)는, 장치측 전벽부(62)와, 제 1 장치측 측벽부(63)와 제 2 장치측 측벽부(64)를 구비한다. 또한, 카트리지 장착부(6)는, 제 3 장치측 측벽부(65)와 제 4 장치측 측벽부(66)와, 개구 벽부(67)를 구비한다. 이들 6개의 벽부(62, 63, 64, 65, 66, 67)에 의해서 카트리지 수용실(61)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6개의 벽부(62, 63, 64, 65, 66, 67)의 외형은 각각, 대략 장방형 형상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측 전벽부(62)는, 카트리지 수용실(61)에 대해서 -Y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장치측 전벽부(62)는, 프린터(10)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수직인 벽부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측 전벽부(62)에는, 장치측 단자부(70), 인쇄재 공급 기구(640), 로드(662)가 마련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Z축 방향으로부터 -Z축 방향을 향하는 순차로, 장치측 단자부(70), 인쇄재 공급 기구(640), 로드(662)가 배열되어 있다. 장치측 단자부(70) 및 인쇄재 공급 기구(640)는, 장치측 전벽부(62)의 +Y축 방향측[카트리지 수용실(61)이 위치하는 측]의 면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로드(662)는, 장치측 전벽부(62)를 Y축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장치측 전벽부(62)의 -Y축 방향측[카트리지 수용실(61)과는 반대측]에는, 펌프 기구(7)가 마련되어 있다.
인쇄재 공급 기구(640)는 상술의 인쇄재 공급관(642)을 구비하고, 카트리지(4) 내의 잉크를 프린터(10)측을 유통시키기 위해서 이용된다. 장치측 단자부(70)는, 상술의 장치측 단자군(721)(도 7) 및 커넥터(739)(도 6)를 구비하고, 카트리지(4)와 프린터(1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측 단자부(70)는, 인쇄재 공급관(642)보다 제 1 장치측 측벽부(63)측(+Z축 방향측)에 마련되어 있다. 로드(662)는, 카트리지(4)의 잉크 엔드 상태를 프린터(10)측에서 검출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즉, 로드(662)는, 후술하는 프린터(10)의 검출 기구의 일부를 구성한다. 또한, 로드(662)는,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될 때에, 올바른 장착 위치로부터의 위치 편차를 억제하기 위한 위치 결정 부재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장치측 단자부(70), 인쇄재 공급 기구(640) 및, 로드(662)의 각각의 상세 구성은 후술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장치측 측벽부(63)는, 카트리지 수용 실(61)에 대해서 +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1 장치측 측벽부(63)는, 장치측 전벽부(62)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장치측 측벽부(63)는, 장치측 전벽부(6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제 1 장치측 측벽부(63)는, 프린터(10)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수평인 벽부이다. 제 1 장치측 측벽부(63)는, 카트리지 장착부(6)의 상면을 구성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만남"이나 "교차함"이란, (i) 2개의 요소가 상호 교차하고 실제로 만나는 상태, (ii) 한쪽의 요소를 연장했을 경우에 다른쪽의 요소에 만나는 상태, 및, (iii) 상호의 요소를 각각 연장했을 경우에 서로 요소가 만나는 상태, 중 하나의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장치측 측벽부(63)는 카트리지(4)를 장착 위치까지 안내하기 위한 제 1 레일(682)을 갖는다. 제 1 레일(682)은, 적어도 장착되는 카트리지(4)의 개수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제로 장착되는 카트리지(4)의 개수 4개와, 예비 1개의 합계 5개의 제 1 레일(682)이 마련되어 있다. 제 1 레일(682)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며, 카트리지(4)의 일부분이 삽입된다. 또한, 제 1 레일(682)의 -Y축 방향측 단부에는, 고정 부재로서의 판 스프링(684)이 마련되어 있다. 장착 상태에서는, 판 스프링(684)이 카트리지(4)를 고정함으로써,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카트리지(4)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도 5 및 도 6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장치측 측벽부(64)는, 카트리지 수용실(61)에 대해서 -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2 장치측 측벽부(64)는, 카트리지 수용실(61)을 사이에 두고 제 1 장치측 측벽부(63)와 대향한다. 제 2 장치측 측벽부(64)는, 장치측 전벽부(62)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장치측 측벽부(64)는, 장치측 전벽부(62)와 직교한다. 제 2 장치측 측벽부(64)는, 프린터(10)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수평인 벽부이다. 제 2 장치측 측벽부(64)는, 카트리지 장착부(6)의 저면을 구성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장치측 측벽부(64)는 카트리지(4)를 장착 위치까지 안내하기 위한 제 2 레일(602)을 갖는다. 제 2 레일(602)은, 적어도 장착되는 카트리지의 개수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레일(602)은 제 1 레일(682)과 마찬가지로 5개 마련되어 있다. 제 2 레일(602)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며, 카트리지(4)의 일부분이 삽입된다. 또한, 제 2 레일(602)의 -Y축 방향측 단부에는, 고정 부재로서의 판 스프링(604)이 마련되어 있다. 장착 상태에서는, 판 스프링(604)이 카트리지(4)를 고정함으로써,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카트리지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동일한 카트리지(4)가 장착되는 제 1 레일(682)과 제 2 레일(602)은, 카트리지 수용실(6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제 1 레일(682)과 제 2 레일(602)은 X축 방향의 치수가 다르다. 상세하게는, 제 1 레일(682)은 제 2 레일(602)보다 X축 방향의 치수가 작다. 이것에 의해, 잘못하여 Z축 방향의 방향을 역방향으로 하고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삽입되려고 했을 경우에, 카트리지(4)가 제 1과 제 2 레일(682, 602)에 삽입할 수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Z축 방향의 방향이 역방향의 잘못된 상태로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삽입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장치측 측벽부(64) 중, 장치측 전벽부(62)에 근접한 위치에는, 장치측 식별 부재(610)가 마련되어 있다. 장치측 식별 부재(610)는,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개수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치측 식별 부재(610)는 4개 마련되어 있다. 장치측 식별 부재(610)는, 카트리지 수용실(61)의 각 슬롯에 올바른 종류(본 실시예에서는 잉크의 색)의 카트리지(4)가 장착된 것의 여부를 식별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각 장치측 식별 부재(610)는, 장착되는 카트리지(4) 내의 잉크의 색에 따라, 다른 형상을 형성한다. 상세하게는, 각 장치측 식별 부재(610)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리브에 의해서 형성되고, 리브의 수와 위치에 의해서 정해지는 패턴이 카트리지(4)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다. 카트리지(4)에도, 리브에 의해서 형성된 식별 부재["카트리지측 식별 부재"라고도 함]가 마련되어 있다. 카트리지(4)의 식별 부재도 수용하는 잉크의 색에 따라 다른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올바른 종류의 카트리지(4)가 슬롯에 삽입되는 경우는, 장치측 식별 부재(610)와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를 끼워 맞춘다. 한편, 잘못된 종류의 카트리지(4)가 슬롯에 삽입되는 경우는, 장치측 식별 부재(610)와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를 끼워 맞출 수 없다. 이것에 의해, 잘못된 종류의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의 각 슬롯에 장착되는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장치측 측벽부(64) 중, 장치측 전벽부(62)에 근접한 위치에는, 규제 부재(612)가 마련되어 있다. 규제 부재(612)는, 카트리지(4)가 장착되는 개수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규제 부재(612)는 5개 마련되어 있지만, 실제로 이용되는 개수는 4개이다. 규제 부재(612)는, 카트리지(4)가 +Y축측의 삽입구(69)(도 5)로부터 -Y축 방향측의 장치측 전벽부(62)를 향하여 카트리지 장착부(6)의 카트리지 수용 실(61)에 삽입되어 올바른 장착 위치까지 도달했을 때에 카트리지(4)와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올바른 장착 위치로부터 카트리지(4)가 더욱 압입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 벽부(67)는, 카트리지 수용실(61)에 대해서 +Y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개구 벽부(67)는, 카트리지(4)의 착탈시에 카트리지(4)를 통과시키기 위한 삽입구(69)를 갖는다. 개구 벽부(67)는, 카트리지 수용실(61)을 사이에 두고 장치측 전벽부(62)와 대향한다. 개구 벽부(67)는, 제 1 장치측 측벽부(63) 및 제 2 장치측 측벽부(64)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 벽부(67)는, 제 1 장치측 측벽부(63) 및 제 2 장치측 측벽부(64)에 직교한다. 개구 벽부(67)는, 프린터(10)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수직인 벽부이다.
개구 벽부(67)는,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레버(672)가 마련되어 있다.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된 후에 레버(672)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레버(672)가 카트리지(4)에 걸려, 카트리지(4)가 잘못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레버(672)가 카트리지(4)에 걸린 상태란, 도 2의 +X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3개의 카트리지(4)와 대응하는 3개의 레버(672)가 나타내는 상태이다.
도 5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장치측 측벽부(65)는, 카트리지 수용실(61)에 대해서 +X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3 장치측 측벽부(65)는, 장치측 전벽부(62), 제 1 장치측 측벽부(63), 제 2 장치측 측벽부(64), 및, 개구 벽부(67)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3 장치측 측벽부(65)는, 장치측 전벽부(62), 제 1 장치측 측벽부(63), 제 2 장치측 측벽부(64) 및, 개구 벽부(67)와 직교한다. 제 3 장치측 측벽부(65)는 프린터(10)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수직인 벽부이다. 제 3 장치측 측벽부(65)는 카트리지 장착부(6)의 측면을 구성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4 장치측 측벽부(66)는, 카트리지 수용 실(61)에 대해서 -X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4 장치측 측벽부(66)는, 카트리지 수용실(61)을 사이에 두고 제 3 장치측 측벽부(65)와 대향한다. 제 4 장치측 측벽부(66)는, 장치측 전벽부(62), 제 1 장치측 측벽부(63), 제 2 장치측 측벽부(64), 및, 개구 벽부(67)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4 장치측 측벽부(66)는, 장치측 전벽부(62), 제 1 장치측 측벽부(63), 제 2 장치측 측벽부(64) 및 개구 벽부(67)와 직교한다. 제 4 장치측 측벽부(66)는, 프린터(10)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수직인 벽부이다. 제 4 장치측 측벽부(66)는, 카트리지 장착부(6)의 측면을 구성한다.
각 벽부(62, 63, 64, 65, 66, 67)의 배치로부터 이하의 같은 관계를 규정할 수 있다. 장치측 전벽부(62)와 개구 벽부(67) 혹은 삽입구(69)가 대향하는 방향이 Y축 방향이다. 개구 벽부(67) 혹은 삽입구(69)로부터 장치측 전벽부(62)를 향하는 방향, 즉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에 삽입하는(장착함) 방향이 -Y축 방향이고, 그 반대, 즉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인발하는(분리하는) 방향이 +Y축 방향이다. 제 1 장치측 측벽부(63)와 제 2 장치측 측벽부(64)가 대향하는 방향이 Z축 방향이다. 제 1 장치측 측벽부(63)로부터 제 2 장치측 측벽부(64)로 향하는 방향이 -Z축 방향이며, 그 반대가 +Z축 방향이다. 제 3 장치측 측벽부(65)와 제 4 장치측 측벽부(66)가 대향하는 방향이 X축 방향이다. 제 3 장치측 측벽부(65)로부터 제 4 장치측 측벽부(66)를 향하는 방향이 -X축 방향이며, 그 반대가 +X축 방향이다.
A-3. 카트리지 장착부의 각 구성 부재의 상세 구성 :
다음에 도 10 내지 도 13을 이용하여 장치측 전벽부(62)에 마련된 부재(70, 640, 662)의 상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장치측 전벽부(62)와 주변 부재의 제 1 외관 사시도이다. 도 11은 장치측 전벽부(62)와 주변 부재의 제 2 외관 사시도이다. 도 12는 장치측 전벽부(62)와 주변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10-10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6)의 슬롯마다, 장치측 전벽부(62)에는, 장치측 단자부(70), 인쇄재 공급 기구(640), 로드(662)가 +Z축 방향으로부터 -Z축 방향을 향하여 이 순차로 마련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측 전벽부(62)는 제 1 전벽부(690)와 제 2 전벽부(692)를 구비한다. 제 1 전벽부(690)가 제 2 전벽부(692)에 볼트(BT)에 의해 장착된다.
A-3-1. 인쇄재 공급 기구(640)의 상세 구성 :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쇄재 공급 기구(640)는, 커버 부재(650), 인쇄재 공급관(642), 시일 부재(646), 장착 부재(649)를 구비한다.
인쇄재 공급관(642)은, 제 2 전벽부(692)에 마련된 유통관(659)에 접속된다. 상세하게는, 통 형상의 장착 부재(649)에 삽입되며, 마찬가지로 장착 부재(649)에 삽입되어 있는 유통관(659)에 접속된다. 유통관(659)은, 튜브(24)에 연통하고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쇄재 공급관(642)은, 내부에 유로 단면이 원형인 공급 유로(647)를 갖는다. 인쇄재 공급관(642)의 원주 중, +Y축 방향측에는 외부와 공급 유로(647)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648)이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4)의 잉크는, 연통 구멍(648), 공급 유로(647), 유통관(659)의 내부 유로를 유통하고, 튜브(24)로 흐른다.
유통관(659)의 외주와 인쇄재 공급관(642)의 내주의 사이에는, 시일 부재(646)가 배치되어 있다. 시일 부재(646)는, 탄성 부재(예를 들면, 고무)이며, 외부에 잉크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 부재(649)는, 제 1 전벽부(690)의 일부이다.
인쇄재 공급관(642)는 중심축(C)을 갖는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쇄재 공급관(642)은, 장치측 전벽부(62)에 고정되는 기단부(644)와 카트리지(4)에 접속되는 선단부(643)를 갖는다. 여기서, 중심축(C)과 평행축이 Y축이다. 또한, Y축을 따른 방향(Y축 방향) 중, 기단부(644)로부터 선단부(643)를 향하는 방향이 +Y축 방향이며, +Y축 방향과는 역방향이 -Y축 방향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650)는, 카트리지(4)의 착탈시에 인쇄재 공급관(642)[상세하게는 연통 구멍(648)]으로부터 외부에 잉크가 비산할 가능성을 저감하기 위한 부재이다. 커버 부재(650)는, 부세 부재(652), 접촉 부재(658), 비산 방지부(653), 연통부(655)를 구비한다. 접촉 부재(658)는, 외형이 대략 원형이다. 접촉 부재(658)는, 카트리지(4)와 접촉한다. 접촉 부재(658)는,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접촉 부재(658)의 중심에는, 인쇄재 공급관(642)이 삽입되는 관통 구멍(656)이 형성되어 있다. 비산 방지부(653)는, 인쇄재 공급관(642)으로부터 잉크가 누출된 경우에, 누출 잉크를 받는다. 이것에 의해, 인쇄재 공급관(642)의 주위에 잉크가 비산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비산 방지부(653)는, 오목 형상이다. 부세 부재(652)는, 코일 스프링이다. 부세 부재(652)의 일단은 접촉 부재(658)에 접촉하고, 타단은 제 1 전벽부(690)에 접촉하고 있다. 장착 상태에서는, 부세 부재(652)는, 접촉 부재(658)를 카트리지(4)에 가압하도록 부세한다.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될 때에, 카트리지(4)가 접촉 부재(658)를 -Y축 방향으로 전진함으로써, 비산 방지부(653)도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비산 방지부(653)는, 카트리지(4)가 장착되기 전 상태에서 장착 상태에 도달하는 동안의 변위에 관계없이 인쇄재 공급관(642)의 -Z축 방향측(바로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비산 방지부(653)는, 카트리지(4)가 장착되기 전 상태에서 장착 상태에 도달하는 동안의 변위에 관계없이 접촉 부재(658)의 연통 구멍(648)의 -Z축 방향측(바로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비산 방지부(653)에서 받은 잉크는, 연통부(655) 내를 유통하고 카트리지 장착부(6)에 마련된 흡수재(도시하지 않음)에 도달한다.
A-3-2. 로드(662)의 상세 구성 :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662)는, Y축 방향에 평행한 중심축(Cb)을 구비하고 있다. 로드(662)의 외주에는, 부세 부재(665)와 로드 커버(670)가 마련되어 있다. 로드 커버(670)는 통 형상이며, 로드(662)와 부세 부재(665)가 내부에 삽입된다. 로드 커버(670)는, 제 1 전벽부(690)의 일부이다. 로드(662)는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로드(662)는, +Y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일단부(663)와, -Y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타단부(664)를 구비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단부(663)는, 로드 커버(670)보다 +Y축 방향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장착 상태에 있어서, 일단부(663)는 카트리지(4)의 레버 부재(490)(도 4)에 접촉한다. 타단부(664)는 장치측 전벽부(62)보다 -Y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타단부(664)는, 차광부(666)를 갖는다. 또한, 장치측 전벽부(62)보다 -Y축 방향측에는 센서(138)가 마련되고, 센서(138)에 의해서 차광부(666)의 변위를 검출함으로써 잉크 엔드 상태를 프린터(10)의 제어부(31)로 검출한다. 부세 부재(665)는 코일 스프링이다. 부세 부재(665)는 로드(662)를+Y축 방향측에 부세한다. 또한, 로드(662)를 이용한 잉크 엔드 검출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로드(662)는, 장치측 전벽부(62) 중, 제 1 장치측 측벽부(63)와 제 2 장치측 측벽부(64)의 중간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Z축 방향에 대해서, 제 1 장치측 측벽부(63)의 내표면과 제 2 장치측 측벽부(64)의 내표면을 연결하는 선분의 중간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즉,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662)의 중심축(Cb)은, 제 1 장치측 측벽부(63)와 제 2 장치측 측벽부(64)의 Z축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중간 위치"란, 완전하게 중간일 필요는 없으며, 제 1 과 제 2 장치측 측벽부(63, 64) 중 어느 한쪽으로 편향되어 배치되어 있지 않으면 좋다. 예를 들면, "중간 위치"란, 제 1 장치측 측벽부(63)와 제 2 장치측 측벽부(64)의 Z축 방향에 있어서의 내벽면의 거리에 대해서 중심 위치로부터 10% 이내의 범위 내의 위치를 포함한다.
A-3-3. 장치측 단자부(70)의 상세 구성 :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측 단자부(70)는, 단자 장착부(694)에 마련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측 단자부(70)의 한쌍의 단자측 끼워맞춤부(762)가, 단자 장착부(694)에 서로 끼워짐으로써 단자 장착부(694)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장치측 단자부(70)는, 장치측 전벽부(62)[상세하게는, 단자 장착부(694)]에 대해서 X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장치측 단자부(70)는, 장치측 전벽부(62)에 대해서 X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미소하게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14 내지 도 18을 이용하여 장치측 단자부(70)의 설명을 실행한다. 도 14는 장치측 단자부(70)의 제 1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장치측 단자부(70)의 제 2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장치측 단자부(70)의 제 1 외관 사시도이다. 도 17은 장치측 단자부(70)의 제 2 외관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17-17 단면도이다. 또한, 도 18에는, 이해의 용이를 위해 제 1 전벽부(690)의 일부를 실선으로, 위치 결정부(756)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측 단자부(70)는, 장치측 단자군(721)과 단자대(724)와 홀더(750)를 구비한다. 또한, 장치측 단자부(70)는, 커넥터 기판(730)을 구비한다. 커넥터 기판(730)은, 표면에 마련된 단자군(732)(도 15)와, 이면에 마련된 커넥터(739)를 구비한다. 단자군(732)은 복수의 단자(본 실시예에서는, 9개)로 이루어지며, 커넥터(739)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장치측 단자군(721)은, 복수의 단자(본 실시예에서는, 9개)를 구비한다. 장치측 단자군(721)의 각각의 단자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장치측 단자군(721)의 각 단자는, U자 형상의 판 스프링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각 단자의 선단 중, 한쪽은, 단자대(724)의 표면(724fa)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단자대(724)의 표면(724fa)으로부터 노출된 선단부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카트리지(4)의 회로 기판(50)의 대응하는 카트리지측 단자와 접촉하는 단자 접점(722)이 된다. 즉, 단자 접점(722)은, 단자대(724)의 표면(724fa) 상에 마련된다. 각 단자의 선단 중, 다른쪽은, 단자대(724)의 이면(724fb)으로부터 노출 되어 있다. 단자대(724)의 이면(724fb)으로부터 노출된 선단부는, 단자군(732)의 대응하는 단자와 접촉하는 단자 접점(723)이 된다. 즉, 단자 접점(723)은, 단자대(724)의 이면(724fb) 상에 마련된다.
단자대(724)는, 장치측 단자군(721)을 보지한다. 또한, 단자대(724)는, 그 표면(724fa)으로부터 단자 접점(722)을 구성하는 한쪽의 선단부가 노출되도록, 장치측 단자군(721)을 보지한다. 또한, 단자대(724)는, 그 이면(724fb)으로부터 단자 접점(723)을 구성하는 다른쪽의 선단부가 노출되도록, 장치측 단자군(721)을 보지한다. 또한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대(724)는, 장치측 단자군(721)의 각 단자가, 탄성 변형에 의해 X축 방향으로 평행축(721r)을 중심으로 이동하도록 장치측 단자군(721)을 보지한다. 환언하면, 단자대(724)는, 장치측 단자군(721)의 각 단자가, 소정의 평면을 따라서 탄성 변형함으로써 단자 접점(722)이 이동하도록 장치측 단자군(721)을 보지한다.
도 14 내지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750)는, 단자대(724)와 커넥터 기판(730)을 보지한다. 상세하게는, 홀더(750)는 수용 공간(751)을 갖고, 수용 공간(751)에 단자대(724)와 커넥터 기판(730)이 수용되며 홀더(750)에 보지된다. 또한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750)는, 단자대(724)의 표면(724fa)이 +Y축 방향 성분 및 -Z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면서 X축에는 평행 방향이 되는 상태["제 1 상태"라 부름]로 단자대(724)를 보지한다. 환언하면, 홀더(750)는, 단자대(724)의 표면(724fa)이 Y축과 Z축에 대해 경사지도록 단자대(724)를 보지한다. 단자대(724)가 홀더(750)에 이와 같은 상태로 보지되는 것에 의해서, 장치측 단자군(721)의 접점(722)은, +Y축 방향 성분 및 상기 -Z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표면 상(724fa)에 마련되게 된다. 또한, 홀더(750)는, 축(721r)이 단자 접점(722)보다 +Y축 방향측 또한 +Z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상태["제 2 상태"라 부름]로 단자대(724)를 보지한다. 제 1 상태와 제 2 상태를 만족하고 홀더(750)가 단자대(724)를 보지함으로써,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 접점(722)은 화살표(YR1)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상태가 되어 있다. 다른 관점에서, 장치측 단자군(721)의 탄성 변형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홀더(750)는, 장치측 단자군(721)의 각 단자가 탄성 변형하는 소정의 평면이, Y축과 Z축에 평행 평면["YZ 평면"이라고도 부름]이 되는 상태에서 단자대(724)를 보지한다. 홀더(750)가 이와 같이 단자대(724)를 보지함으로써, 각 접점(722)은 YZ 평면 상에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750)는, 수용 공간(751)에 대해서 X축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벽부(752)와, 벽부(752)에 마련된 한쌍의 위치 결정부(756)를 갖는다. 여기서, 한쌍의 벽부(752) 중 수용 공간(751)에 대해서 +X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한쪽을 제 1 벽부(752t)라고도 부르고, -X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다른쪽을 제 2 벽부(752w)라고도 부른다. 또한, 한쌍의 위치 결정부(756) 중 제 1 벽부(752t)에 마련된 한쪽을 제 1 위치 결정부(756t)라고도 부르고, 제 2 벽부(752w)에 마련된 다른쪽을 제 2 위치 결정부(756w)라고도 부른다. 또한, 제 1 벽부(752t)와 제 2 벽부(752w)를 구별하는 일 없이 이용하는 경우는, 벽부(75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위치 결정부(756t)와 제 2 위치 결정부(756w)를 구별하는 일 없이 이용하는 경우는, 위치 결정부(756)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 1 벽부(752t)와 제 2 벽부(752w)는, 수용 공간(751)을 구획 형성하는 벽이다. 제 1 위치 결정부(756t)와 제 2 위치 결정부(756w)는, 각각 단자대(724)의 표면(724fa)의 +X축 방향측의 측방 및 -X축 방향측의 측방에 위치한다. 제 1 과 제 2 위치 결정부(756t, 756w)는,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될 때에, 장치측 단자군(721)의 각 단자와 대응하는 카트리지측 단자군의 각 단자가 접촉하는 접촉 위치에 카트리지(4)와 장치측 단자부(70)를 안내한다. 상세하게는, 제 1 위치 결정부(756t)와 제 2 위치 결정부(756w)는,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될 때에, 장치측 단자군(721)과 카트리지측 단자군의 접촉이 개시되기 전에, 카트리지(4)에 형성된 홈으로 삽입이 개시되도록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4)와 장치측 단자부(70)가 접촉 위치까지 정밀도 양호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제 1 위치 결정부(756t)는, Y축 방향[카트리지(4)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또한, 제 1 위치 결정부(756t)는, 제 1 벽부(752t)로부터 +X축 방향으로 돌출한다. 제 2 위치 결정부(756w)는, Y축 방향[카트리지(4)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또한, 제 2 위치 결정부(756t)는, 제 2 벽부(752w)로부터 -X축 방향으로 돌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제 1 구성을 실현하기 위해서,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부(756)의 +Y축 방향측의 단부(757)가 단자 접점(722)보다 +Y축 방향측에 위치하도록 위치 결정부(75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단부(757)는, +Y축 방향에서 -Y축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Z축 방향의 치수가 커지는 테이퍼 형상이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4)가 후술하는 규제부에 위치 결정부(756)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위치 결정부(756t, 756w)는, 각각,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된 장착 상태에 있어서, 카트리지(4)에 형성된 홈과 접촉하는 4개의 접촉면을 갖는다. 이들 4개의 접촉면 중, 도 16 및 도 17에는, 위치 결정부(756w)의 접촉면(756wa, 756wb, 756wc, 756wd)과, 위치 결정부(756t)의 접촉면(756tb, 756td)만이 나타나 있다. 4개의 접촉면 중, Z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2개의 면에 있어서, +Z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것을 A면(756ta)(도 33 내지 도 36), (756wa), -Z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것을 B면(756tb, 756wb)라고도 부른다. 또한, X축 방향으로 만나는 면을 C면(756tc)(도 33 내지 도 36), (756wc)라 부른다. 또한, +Y축 방향의 선단면을 D면(756td, 756wd)이라 부른다.
또한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750)는, 한쌍의 벽부(752)로부터 장치측 단자군(721)의 단자 접점(722)이 노출하는 방향(+Y축 방향 성분과 -Z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돌기(759)를 갖는다. 돌기(759) 중, 제 1 벽부(752t)에 마련된 한쪽을 제 1 돌기(759t)라고도 부르고, 제 2 벽부(752w)에 마련된 다른쪽을 제 2 돌기(759w)라고도 부른다. 제 1 돌기(759t)는, 장치측 단자군(721)의 +X축 방향측의 측방으로부터 단자대(724)의 표면(724fa)에 대해서 +Y축 방향 성분과 -Z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 2 돌기(759w)는, 장치측 단자군(721)의 -X축 방향측의 측방으로부터 단자대(724)의 표면(724fa)에 대해서 +Y축 방향 성분과 -Z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 1 돌기(759t)와 제 2 돌기(759w)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카트리지(4)의 일부[후술 하는 저벽측 오목부(910), 도 27 참조]에 받는다. 또한, 제 1 돌기(759t)와 제 2 돌기(759w)를 구별하는 일 없이 이용하는 경우는, 돌기(759)를 이용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750)는, 단자대(724)를 보지한 상태로, 장치측 전벽부(62)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홀더(750)는, 제 1 전벽부(690)의 단자 장착부(694)에 장착된다. 단자 장착부(694)는, X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한쌍의 지지벽(696)과, 이 벽에 마련된 한쌍의 끼워맞춤 구멍(698)을 갖는다. 한편, 장치측 단자부에는, X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한쌍의 단자측 끼워맞춤부(762)가 마련된다. 단자측 끼워맞춤부(762)가 홀더(750)의 한쌍의 끼워맞춤 구멍(698)에 서로 맞춰짐으로써, 장치측 단자부(70)가 장치측 전벽부(62)에 대해서 장착된다. 여기서, 한쌍의 단자측 끼워맞춤부(762)와 한쌍의 지지벽(696) 사이에는, X축 방향에 클리어런스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장치측 단자부(70)는, 장치측 전벽부(62)에 대해서 X축 방향에 미소하게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단자측 끼워맞춤부(762)와 한쌍의 끼워맞춤 구멍(698) 사이에는, Y축 방향으로 클리어런스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장치측 단자부(70)는, 장치측 전벽부(62)에 대해서 Z축 방향으로 미소하게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어 있다.
또한, 단자 장착부(694)의 한쌍의 지지벽(696)에는, 각각, Y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한쌍의 결합부(694a, 694b)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750)의 한쌍의 단자측 끼워맞춤부(762)에도, 각각, Y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한쌍의 결합부(762a, 762b)가 마련되어 있다. 단자측 끼워맞춤부(762)가 단자 장착부(649)의 한쌍의 끼워맞춤 구멍(698)에 끼워 맞추어지면, 결합부(694a)와 결합부(762a)가 -Y축 방향에서 결합하고, 결합부(694b)와 결합부(762b)가 +Y축 방향에서 결합한다. 결합부(694a)와 결합부(762a) 사이에는, 클리어런스가 거의 없다. 또한, 결합부(694b)와 결합부(762b) 사이에도, 실질적으로 클리어런스가 없다. 따라서, 장치측 단자부(70)는, 장치측 전벽부(62)에 대해서 Y축 방향에는 실질적으로 이동할 수 없다.
A-4. 카트리지(4)의 외관 구성 :
다음에, 도 19 내지 도 26을 이용하여 카트리지(4)의 개략 구성을 설명 한다. 또한, 카트리지(4)를 도시한 도면에 교부한 XYZ축은,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4)에 대한 XYZ축에 대응한다. 도 19는 카트리지(4)의 제 1 외관 사시도이다. 도 20은 카트리지(4)의 제 2 외관 사시도이다. 도 21은 카트리지(4)의 정면도이다. 도 22는 카트리지(4)의 배면도이다. 도 23은 카트리지(4)의 상면도이다. 도 24는 카트리지(4)의 저면도이다. 도 25는 카트리지(4)의 제 1 측면도이다. 도 26은 카트리지(4)의 제 2 측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는, 외형이 대략 직방체 형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4)는, Y축 방향, Z축 방향, X축 방향의 순차로 치수가 작아진다. 카트리지(4)는, 내부에 잉크를 수용하는 케이스(9)를 구비한다. 케이스(9)는 합성 수지를 성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이다. 카트리지(4)는, 전면(42), 후면(47), 제 1 측면(43), 제 2 측면(44), 제 3 측면(45), 제 4 측면(46)을 구비한다. 또한, 제 1 측면(43)을 상면(43)이라고도 부르고, 제 2 측면(44)을 저면(44)이라고도 부르며, 제 3 측면(45)을 우측면(45)이라고도 부르고, 제 4 측면(46)을 좌측면(46)이라고도 부른다. 전면(42)과 후면(47)은, Y축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으며, 전면(42)이 -Y축 방향측에, 후면(47)이 +Y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1 측면(43)과 제 2 측면(44)은, 전면(42) 및 후면(47)과 만나고, Z축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다. 제 1 측면(43)이 +Z축 방향측에, 제 2 측면(44)이 -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3 측면(45)과 제 4 측면(46)은, 전면(42), 후면(47), 제 1 측면(43), 및 제 2 측면(44)과 만나고, X축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다. 제 3 측면(45)이 +X축 방향측에, 제 4 측면(46)이 -X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전면(42)의 형상은, Z축 방향의 치수가 X축 방향의 치수보다 큰 대략 장방형이다. 전면(42)은, 장착 상태에 있어서 장치측 전벽부(62)(도 6)와 서로 마주 본다. 전면(42)에는, 로드 삽입 구멍(420)과 공급관 삽입 구멍(424)이 형성되어 있다. 로드 삽입 구멍(420)은 전면(42) 중, 제 1 측면(43)과 제 2 측면(44)의 중간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환언하면, Z축 방향에 대해서, 제 1 측면(43)과 제 2 측면(44)을 연결하는 중간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즉, 로드 삽입 구멍(420)의 중심축(Ce)은, 제 1 측면(43)과 제 2 측면(44)의 Z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중간 위치"란, 완전하게 중간일 필요는 없고, 제 1 과 제 2 측면(43, 44)의 어느 한쪽에 편향되어 배치되어 있지 않으면 좋다. 예를 들면, "중간 위치"란, 제 1 측면(43)과 제 2 측면(44)의 Z축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에 대해서 중심 위치로부터 10% 이내의 범위 내의 위치를 포함한다.
장착 상태에 있어서, 공급관 삽입 구멍(424)에는 인쇄재 공급관(642)(도 12)이 삽입된다. 또한, 공급관 삽입 구멍(424) 내에는, 카트리지(4) 내의 잉크를 외부로 유통시키기 위한 인쇄재 도출관(484)(도 4)이 배치되어 있다. 인쇄재 공급관(642)이 인쇄재 도출관(484)에 접속됨으로써, 카트리지(4) 내의 잉크가 인쇄재 공급관(642)에 유통 가능하게 된다.
장착 상태에 있어서, 로드 삽입 구멍(420)에는, 외주의 일부가 로드 커버(720)에 덮인 로드(662)(도 12)가 삽입된다. 로드 삽입 구멍(420)에 로드(662)가 삽입됨으로써, 카트리지 장착부(6)에 대한 카트리지(4) 전체의 위치 결정을 실행하여, 올바른 장착 위치로부터의 위치 편차를 억제한다. 또한, 장착 상태에 있어서 로드(662)가 레버 부재(490)(도 4)에 접촉한다.
도 19, 도 23,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측면(43)은 제 1 볼록부(432)를 갖는다. 제 1 볼록부(432)는, 제 1 측면(43)에서 +Z축 방향측으로 돌출한다. 제 1 볼록부(432)는, Y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상세하게는,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볼록부(432)는, 제 1 측면(43) 중, 전면(42)에 근접한 위치로부터 후면(47)에 근접한 위치까지 연장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볼록부(432)는, -Y축 방향측의 제 1 부분(432a)과+Y축 방향측의 제 2 부분(432b)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그 사이에 오목 형상의 제 1 고정부(436)가 형성된다.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측면(44)은 제 2 볼록부(442)를 갖는다. 제 2 볼록부(442)는, 제 2 측면(44)에서 -Z축 방향측으로 돌출한다. 제 2 볼록부(442)는, Y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상세하게는,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볼록부(442)는, 제 1 측면(43) 중, 전면(42)에 근접한 위치로부터 후면(47)에 근접한 위치까지 연장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 2 볼록부(442)는, -Y축 방향측의 제 1 부분(442a)과 +Y축 방향측의 제 2 부분(442b)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그 사이에 오목 형상의 제 2 고정부(446)가 형성된다.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될 때는, 제 1 볼록부(432)가 제 1 레일(682)(도 7)에 삽입되고, 제 2 볼록부(442)가 제 2 레일(602)(도 6)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의 대응하는 슬롯으로 전진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볼록부(432)의 X축 방향의 치수(폭; Xa)과, 제 2 볼록부(442)의 X축 방향의 치수(폭; Xb)는 다르다. 본 실시예에서는, 치수 Xa<치수 Xb의 관계를 만족한다. 또한, 제 2 볼록부(442)는, 제 1 레일(682)(도 7)보다 X축 방향의 치수가 크고, 제 2 볼록부(442)는 제 1 레일(682)에 삽입할 수 없다. 이것에 의해, 잘못하여 제 1 측면(43)과 제 2 측면(44)의 방향을 반대로 한 상태로,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 되는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장착 상태에서는, 제 1 고정부(436)에 판 스프링(684)(도 7)이 인입하고, 제 2 고정부(446)에 판 스프링(604)(도 6)이 인입한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부주의하게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측면(45)에는, 라벨(S1)이 부착되어 있다. 이 라벨(S1)에는, 카트리지(4)의 취급에 관한 정보(사용에 대하여 주의 사항 등)가 기재되어 있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42)과 제 2 측면(44)이 교차하는 코너부(88)에는, 오목부(49)와, 한쌍의 규제면(421)이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49)에는,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91)가 마련되어 있다.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91)는, 1개 이상의 리브에 의해서 형성되며, 수용하는 잉크의 색에 따라 다른 형상을 형성한다. 또한,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91)는, 카트리지 장착부(6)의 올바른 슬롯에 장착됨으로써, 장치측 식별 부재(610)(도 6)와 끼워 맞춘다. 한쌍의 규제면(421)은, 오목부(49)의 X축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규제면(421)은, 카트리지(4)가 올바른 장착 위치까지 도달했을 때에, 규제 부재(612)(도 6)와 접촉한다.
도 19 및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는 추가로, 전면(42)과 제 1 측면(43)이 교차하는 코너부(89)에 마련된 오목부(90)를 구비한다. 환언하면, 오목부(90)는, 전면(42)과 제 1 측면(43)에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90)에는, 회로 기판(50)이 배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50)의 표면(50fa)(도 21)에는,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이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은, 복수의 단자(본 실시예에서는, 9개)를 구비한다. 장착 상태에 있어서,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의 각 단자는, 장치측 단자군(721)(도 15)의 대응하는 각 단자와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도 27 내지 도 32를 이용하여 오목부(90)의 상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7은 오목부(90) 근방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8은 오목부(90) 근방의 정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28a-28a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8의 28b-28b 단면도이다. 도 31은 장치측 단자부(70)와 회로 기판(50)의 접속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28a-28a 단면도이다.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90)는, Y축과 직교하는 면을 따라서 마련된 개구(982)와, Z축과 직교하는 면을 따라서 마련된 개구(984)를 갖는다. 또한 오목부(90)의 내벽은, 한쌍의 측벽(902)(902t, 902w)과, 저벽(988)과, 후벽(986)에 의해서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내벽(902, 986, 988)에 의해서, 장치측 단자부(70)가 삽입되는 단자 수용실(900)이, 오목부의 내부에 구획 형성된다. 오목부(90)는, 개구(982), 개구(984), 한쌍의 측벽(902t, 902w), 저벽(988), 후벽(986)이 주요한 면으로 구성되는 대략 육면체이다. 개구(982)와 후벽(986)은, Y축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으며, 개구(982)는 -Y축 방향에, 후벽(986)은 +Y축 방향에 위치한다. 또한, 한쌍의 측벽(902t, 902w)은, X축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으며, 제 1 측벽(902t)은 +X축 방향측에, 제 2 측벽(902w)은 -X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개구(984)와 저벽(988)은, Z축 방향에서 서로 비평행 상태로 대향하고 있으며, 개구(984)가 +Z축 방향측에, 저벽(988)이나 -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개구(982)는,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될 때에, 장치측 단자부(70)가 오목부(90)에 삽입될 때의 입구가 된다. 저벽(988)은, 제 1 측벽(902t) 및 제 2 측벽(902w)과 만난다. 저벽(988)은, 개구(982)와 -Z축 방향측의 변에서 만난다. 그리고, 개구(982)의 -Z축 방향측의 변의 위치에서 +Z축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후벽(986)과 만난다. 후벽(986)은, 저벽(988), 제 1 측벽(902t) 및, 제 2 측벽(902w)과 만난다. 개구(984)는, 후벽(986), 제 1 측벽(902t), 제 2 측벽(902w), 및 개구(982)와 만난다. 또한, 제 1 측벽(902t)과 제 2 측벽(902w)을 구별하는 일 없이 이용하는 경우는, 측벽(902)을 이용한다.
저벽(988)에는, 회로 기판(50)이 장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50)의 표면(50fa)이 -Y축 방향 성분 및 +Z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회로 기판(50)의 표면(50fa)은, Y축과 Z축에 대해 경사져 있다. 여기서, 표면(50fa)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기재된 "경사면"에 상당한다. 상술과 같이, 표면(50fa)은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을 구비한다. 즉,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은,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로의 삽입 방향인 -Y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면에 마련되어 있게 된다. 또한, 회로 기판(50)의 이면(50fb)은 기억 장치(525)를 구비한다. 기억 장치(525)에는, 카트리지(4)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잉크색, 제조 년 월 일 등)가 격납되어 있다. 카트리지측 단자군(521)과 기억 장치(525)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27 내지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90)의 X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902t, 902w)에는, 한쌍의 홈(906t, 906w)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들 홈(906t, 906w)은, X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906t, 906w)은, YZ 평면(28c)에 대하여 대칭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 YZ 평면(28c)은, 카트리지의 X축 방향의 치수(폭)의 중심을 구성하는 면이다. 오목부(90) 내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50) 및 오목부(90)를 구성하는 각 요소는, 이 YZ 평면(28c)에 대해서 대칭으로 마련되어 있다. 즉, YZ 평면(28c)은,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의 X축 방향의 치수(폭)의 중심을 통과한다. 그리고, 카트리지측 단자군(521) 중, 카트리지 단자군(521)의 폭 방향의 중심에 마련된 전극(521c)이, YZ 평면(28c)과 만난다. 또한, YZ 평면(28c)은, 회로 기판(50)의 X축 방향의 치수(폭)의 중심을 통과한다. 또한, 이 YZ 평면(28c)은, 회로 기판(50)을 저벽(98)에 장착하기 위해 저벽(988)에 마련된 장착부(50a, 50b)를 통과한다. 또한, YZ 평면(28c)은, 카트리지측 단자군(521) 중, X축 방향의 중앙부에 마련된 단자(521c)를 통과한다. 이 단자(521c)는, 장치측 단자군(721) 중, X축 방향의 중앙부에 마련된 단자(721c)(도 16 참조)와 접촉하는 단자이다. 또한, 오목부(90)의 홈(906t, 906w)과 한쌍의 벽 측벽(902t, 902w)은, YZ 평면(28c)에 대해서 대칭으로 마련된다. 또한, YZ 평면(28c)은, 앞에서 설명한 제 1 볼록부(432)(432a, 432b) 및 제 2 볼록부(442)(442a, 442b, 도 21 및 도 25 참조)의 X축 방향의 치수(폭)의 중심을 통과한다. 또한, 도 28에는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YZ 평면(28c)은, 제 1 측면(43)에 마련된 제 1 고정부(436)(도 25) 및 제 2 측면(44)에 마련된 제 2 고정부(446)(도 25)의 Z축 방향의 치수(폭)의 중심을 통과한다. 또한, 이 제 1 고정부(436) 및 제 2 고정부(446)를 고정하는 판 스프링(684) 및(605)(도 6 및 도 7),가 YZ 평면(28c)과 교차한다.
도 27 및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측벽(902t)에는, 제 1 규제부로서의 제 1 홈(906t)이 마련되어 있다. 제 1 홈(906t)은, 제 1 측벽(902t)의 일부를 +X축 방향으로 파고든 것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홈(906t)은, 제 1 측벽(902t)에서 +X축 방향으로 패여 있다. 제 1 홈(906t)은, Y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상세하게는, 제 1 홈(906t)은, 개구(982)의 위치로부터 후벽(986)측을 향하여 +Y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제 1 홈(906t)에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제 1 위치 결정부(756t)(도 16)가 삽입된다. 제 1 홈(906t)은, -Y축 방향측의 단면과 -X축 방향측의 면이 개방되어 있다. 도 27 및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측벽(902w)에는, 제 2 규제부로서의 제 2 홈(906w)이 마련되어 있다. 제 2 홈(906w)은, 제 2 측벽(902w)의 일부를 -X축 방향으로 파고든 것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 2 홈(906w)은, 제 2 측벽(902w)에서 -X축 방향으로 움푹 패여 있다. 제 2 홈(906w)은, Y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상세하게는, 제 2 홈(906w)은, 개구(982)의 위치로부터 후벽(906)측을 향하여 +Y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제 2 홈(906w)은, -Y축 방향측의 단면과 +X축 방향측의 면이 개방되어 있다.
도 29 및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906t, 906w)은, 각각 -Y축 방향측의 단면에 개구(941, 961)를 갖는다. 홈(906t, 906w)은, 이들 개구(941, 961)로부터 +Y축 방향측으로 연장되는 입구 부분(916t, 916w)과, 입구 부분(916t)의 +Y축 방향의 단부로부터 +Y축 방향측으로 연장되는 접촉 부분(926t, 926w)을 구비한다. -Y축 방향측의 단면의 개구(941, 961)는 각각,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될 때에, 위치 결정부(756t, 756w)가 삽입되는 입구가 된다. 개구(941, 961)는 카트리지측 단자군(521)보다 -Y축 방향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측 단자군(721)과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의 접촉이 개시되기 전에, 위치 결정부(756t, 756w)의 홈(906t, 906w)으로의 삽입이 개시된다.
입구 부분(916t, 916w)은, 홈(906t, 906w) 중 위치 결정부(756t, 756w)가 최초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도 28 내지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구 부분(916t, 916w)은, +Y축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Z축 방향의 치수가 단조 감소하고 있다. 또한,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구 부분(916t, 916w)은, -Y축 방향으로부터 +Y축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X축 방향의 치수가 감소하고 있다. 즉, 입구 부분(916t, w)에는, Z축 방향 및 X축 방향으로 서서히 치수가 감소하는 테이퍼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환언하면, 입구 부분(916t, 916w)은, 개구(941, 961)의 면적이 가장 큰 테이퍼 형상이다.
또한, 도 28 내지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구 부분(916t, 916w)과 대응하도록, 오목부(90)의 측벽(902w, 902t)의 입구 부분(902wa, 902ta)도,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입구 부분(902wa, 902ta)에 있어서의 측벽(902w, 902t) 사이의 거리(X축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는, -Y축 방향으로부터 +Y축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작아진다.
접촉 부분(926t, 926w)은, 각각, 장착 상태에 있어서, 위치 결정부(756t, 756w)와 접촉한다. 도 29 및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 부분(926t, 926w)은, 각각, 장착 상태에 있어서 위치 결정부(756t, 756w)와 접촉하는 접촉면(940, 960)을 갖는다.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위치 결정부(756t)와의 접촉면(940), 즉, 홈(906t)의 접촉면(940)은, 4개의 면(942, 946, 948, 944)을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위치 결정부(756w)와의 접촉면(960), 즉, 홈(906w)의 접촉면도, 4개의 면(962, 966, 968, 964)을 구비한다. 이들 4개의 접촉면을, 각각, A면(942, 962), B면(946, 966), C면(944, 964), D면(948, 968)이라고도 부른다.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906t)의 A면(942)과 B면(946)은, Z축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으며, A면(942)이 +Z축 방향측에, B면(946)이 -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홈(906t)의 D면(948)은, Y축 방향에서 개구(941)와 대향하고 있으며, 개구(941)가 -Y축 방향측, D면(948)이 +Y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또한 D면(948)은, A면(942) 및 B면(946)과 만난다. 홈(906t)의 C면(944)은,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측벽(902t)의 연장면(902te)과 대향하고 있으며, 제 1 측벽(902t)의 연장면(902te)에 대해서 +X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또한 C면(944)은, A면(942), B면(946), 및, D면(948)과 만난다. 홈(906t)의 A면(942)은, 제 1 위치 결정부(756t)(도 16)의 +Z축 방향측 단부와 접촉한다. B면(946)은, 제 1 위치 결정부(756t)의 -Z축 방향측 단부와 접촉한다. 제 1 D면(948)은, 제 1 위치 결정부(756t)의 +Y축 방향측 단부와 접촉한다. 제 1 C면(944)은, 제 1 위치 결정부(756t)의 +X축 방향측 단부와 접촉한다.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906w)의 A면(962)과 B면(966)은, Z축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으며, A면(962)이 +Z축 방향측에, B면(966)이 -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홈(906w)의 D면(968)은, Y축 방향에서 개구(961)와 대향하고 있으며, 개구(961)가 -Y축 방향측, D면(968)이 +Y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또한 D면(968)은, A면(962), B면(966)과 만난다. 홈(906w)의 C면(964)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측벽(902w)의 연장면(902we)과 대향하고 있으며, 제 1 측벽(902w)의 연장면(902we)에 대해서 -X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또한 C면(964)은, A면(962), B면(966), 및 D면(968)과 만난다. 홈(906w)의 A면(962)은, 제 2 위치 결정부(756w)(도 16)의 +Z축 방향측 단부와 접촉한다. B면(966)은, 제 2 위치 결정부(756w)의 -Z축 방향측 단부와 접촉한다. D면(968)은, 제 2 위치 결정부(756w)의 +Y축 방향측 단부와 접촉한다. C면(964)은, 제 2 위치 결정부(756w)의 -X축 방향측 단부와 접촉한다.
여기서, 제 1 홈(906t)과 제 2 홈(906w)을 구별하는 일 없이 이용하는 경우는, 단순히 "홈(906)"이라 부른다. 또한, 제 1 접촉 부분(926t)과 제 2 접촉 부분(926w)를 구별하는 일 없이 이용하는 경우는, 단순히 "접촉 부분(926)"이라 부른다. 또한, 제 1 입구 부분(916t)과 제 2 입구 부분(916w)을 구별하는 일 없이 이용하는 경우는, 단순히 "입구 부분(916)"이라 부른다.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벽(988)의 경사면(50fa)과 제 1 측벽(902t) 사이, 및, 경사면(50fa)과 제 2 측벽(902w) 사이에는, 각각 한쌍의 저벽측 오목부(910t, 910w)가 형성되어 있다.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저벽측 오목부(910t, 901w)는, 각각, 장착 상태에 있어서 장치측 단자부(70)의 한쌍의 돌기(759t, 759w)(도 16)를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저벽측 오목부(910t, 910w)를 통틀어 제 1 저벽측 오목부(910)라고도 부른다.
A-5. 카트리지측 단자군(521)과 장치측 단자군(721)의 접촉 형태 :
다음에, 도 33 내지 도 36을 이용하여,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 장착될 때의, 카트리지측 단자군(521)과 장치측 단자군(721)의 접촉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3은 접촉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제 1 도면이다. 도 34는 접촉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제 2 도면이다. 도 35는 접촉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제 3 도면이다. 도 36은 접촉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제 4 도면이다. 도 33 부터 도 36의 도면 번호 순차로, 카트리지(4)의 장착 시의 형태가 시계열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3 내지 도 36은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의 하나의 카트리지측 단자(521a)와 장치측 단자군(721) 중 하나의 장치측 단자(721a)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또한, 다른 단자에 대해서도 동일한 장착 형태이다. 제 1과 제 2 위치 결정부(756ta, wa)의 형상은 동일하며, 제 1 과 제 2 홈(906t, w)의 형상은 동일하므로, 도 33 내지 도 36에서는 이해의 용이를 위해서, 부호(756ta, wa)를 병기하는 동시에 부호(906t, w)를 병기하고 있다.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도 19)를 카트리지 장착부(6)(도 5)에 장착할 때, 카트리지(4)는 -Y축 방향에 카트리지 장착부(6)의 슬롯 내로 전진한다. 이 때,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측 단자(521a)가 장치측 단자(721a)의 단자 접점(722a)과 접촉하기 전에, 홈(906)으로의 위치 결정부(756)의 삽입이 개시된다. 이 때, 카트리지 장착부(6)에 약간의 제조 오차가 생긴 경우에서도, 장치측 단자부(70)가 X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카트리지(4)의 오목부(90) 내에, 그 오차를 흡수하면서 인도된다. 위치 결정부(756)가 홈(906)의 입구 부분(916)의 면에 접촉하면서 카트리지(4)가 -Y축 방향으로 전진함으로써, 카트리지측 단자(521a)와 장치측 단자(721a)가 접촉하는 위치에 장치측 단자부(70)가 안내된다. 도 34에서는, 장치측 단자부(70)가 화살표(V1)로 나타낸 방향(-Z축 방향)으로 약간 이동하면서 오목부(90) 내(도 27)로 인도되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가 더욱 -Y축 방향으로 전진해 나가, 홈(906)의 접촉 부분(926t, w)에 위치 결정부(756t, w)가 삽입되면, 위치 결정부(756t, w)의 C면(756tc, wc)이, 각각 홈(906t, w)의 C면(944, 964)에 접촉함으로써, 장치측 단자부(70)(도 10)의 X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이 때, 위치 결정부(756t, w)의 A면(756ta, wa)이, 각각 홈(906t, w)의 A면(942, 962)에 접촉하고, B면(756tb, wb)이, 각각 B면(946, 966)에 접촉함으로써, 장치측 단자부(70)의 Z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측 단자(521a)와 단자 접점(722a)의 X축 방향 및 Z축 방향의 위치가 정해진다. 그리고, 위치 결정부(756)의 접촉 부분(926)으로의 삽입이 시작된 후, 완전히 삽입이 완료되기 직전에, 단자 접점(722a)이 처음으로 카트리지측 단자(521a)에 접촉한다. 이 시점에서는, 위치 결정부(756t, w)의 선단면(756td, 756wd)은 홈(906t), w의 D면(948, 968)에 접촉하고 있지 않아서, 더욱, 카트리지(4)를 전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5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카트리지(4)를 더욱 -Y축 방향으로 전진하면, 장치측 단자(721a)가 탄성 변형하여, 장치측 단자(721a)의 접점(722a)이 카트리지측 단자(521a)와 접촉하면서 화살표(YR1a)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약간 장치측 단자군과 카트리지측 단자군이 서로 마찰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부(756t, w)의 선단면(756td, tw)이 홈(906t, w)의 D면(948, 968)에 접촉하고, 카트리지측 단자(521a)와 단자 접점(722a)의 Y축 방향의 위치가 정해진다. 이 상태로,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로의 장착이 완료된다. 또한, 장착 완료 시 및 장착 상태에서는, 도 35에 도시한 장착의 최종단 층과 마찬가지로, 위치 결정부(756t, w)의 A면(756ta, wa)과 홈(906t), w의 A면(942, 944)이 +Z축 방향에서 접촉하고 있다. 또한, B면(756tb, wb)과 홈(906t, w)의 B면(946, 966)이 -Z축 방향에서 접촉하고 있다. 또한, 제 1 위치 결정부의 C면(756tc)이 +X축 방향에서 제 1 홈(906t)의 C면(944)과 접촉하고, 제 2 위치 결정부의 C면(756wc)이 -X축 방향에서 제 2 홈(906w)의 C면(964)과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위치 결정부(756t, w)의 Z축 방향 및 X축 방향의 움직임이 홈(906t, w)에 의해서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장치측 단자(721a)와 카트리지측 단자(521a)의 접촉을 양호하게 도모할 수 있는 위치에, 양자(721a, 521a)를 보지할 수 있다.
A-6. 카트리지(4)의 그 이외의 구성 :
도 37은 카트리지(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9)는, 인쇄재 수용부(450)와, 카트리지측 유로 부재(480)를 수용한다. 인쇄재 수용부(450)는, 내부에 잉크를 수용한다. 또한, 인쇄재 수용부(450)는, 가요성을 갖는 주머니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재 수용부(450)는 수지 필름층 상에 알루미늄층이 적층 형성된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복층 필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측 유로 부재(480)는, 인쇄재 수용부(450)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로["인쇄재 도출 유로"라고도 부름]를 형성한다. 즉, 카트리지측 유로 부재(480)는, 일단부가 인쇄재 수용부(450) 내에 접속되며, 타단부에 마련된 인쇄재 도출관(484)이 인쇄재 공급관(642)(도 4)에 접속된다. 인쇄재 도출 유로의 도중에는 검출실(482)이 마련되어 있다. 검출실(482) 내에는, 부세 부재로서의 코일 스프링(496), 역지 밸브(495), 수압판(493)이 수용된다. 또한, 검출실(482)의 일측면인 개구는 가요성을 갖는 필름(492)에 의해서 덮여 있다. 수압판(493)은, 코일 스프링(496)과 필름(49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496)은, 검출실(482)의 용적을 증대시키도록 수압판(493)을 부세한다. 케이스(9)는, 추가로 레버 부재(490)를 수용한다. 레버 부재(490)는, 필름(492)에 검출실(482)의 외측으로부터 접한다. 검출실(482)은, 내부의 압력의 변화에 따라 용적이 변화한다. 검출실(482)의 용적의 변화에 의해 레버 부재(490)가 변위한다. 상술과 같이, 레버 부재(490)에는 로드(662)(도 4)가 접촉하고 있다. 인쇄재 수용부(450)에 잉크가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펌프 기구(7)에 의해 인쇄재 수용부(450) 내가 흡인되었을 경우, 흡인에 따라 검출실(482) 내에도 잉크가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검출실(482) 내의 압력은 소정압으로 유지된다. 이 때, 검출실(482)의 용적은 크게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662)(도 4)는, 레버 부재(490)에 의해서, 부세 부재(665)(도 4)에 의해서 부여되는 부세력에 저항하여 -Y축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가 되어 있다. 한편, 인쇄재 수용부(450)의 잉크가 없어진 상태에서, 펌프 기구(7)에 의해 인쇄재 수용부(450) 내가 흡인되었을 경우, 검출실(482) 내는 부압된다. 검출실(482) 내가 부압됨으로써, 소정압 일 때보다 검출실(482) 내의 용적이 감소하고, 레버 부재(490)가 변위한다. 그것에 따라, 로드(662)(도 4)는, 부세 부재(665)(도 4)에 의해서 부여되는 부세력에 의해서, +Y축 방향으로 변위한다. 이 레버 부재(490)의 변위에 따르는 로드(662)(도 4)의 변위를 센서(138)(도 4)가 검출함으로써, 잉크 엔드 상태를 제어부(31)가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검출실(482), 코일 스프링(496), 수압판(493), 필름(492), 레버 부재(490)는, 프린터(10)측에서 잉크 엔드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검출 기구를 구성한다. 또한, 카트리지측 유로 부재(480)는 추가로, 외부로부터 인쇄재 수용부(450)에 잉크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 유로(483)를 갖는다. 인쇄재 수용부(450)에 잉크가 주입된 후는, 주입 유로(483)는 막힌다.
A-7. 효과
먼저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장치측 단자부(70)가 X축 방향과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27 내지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4)가, 이와 같은 장치측 단자부(70)가 삽입되는 오목부(90)를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 장착부(6)나 카트리지(4)에 제조 오차가 생기고 있던 경우에서도,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될 때에, 장치측 단자부(70)가 이동함으로써, 카트리지(4)의 오목부(90) 내에, 그 오차를 흡수하면서 인도된다(도 34).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오목부(90)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규제부(906t, 906w)에 의해서, 장치측 단자군(721)과 카트리지측 단자군(521)과의 위치 결정을 실행한다. 즉, 장착 완료 시 및 장착 상태에서는, 카트리지(4)의 오목부(90)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규제부(906t, 906w)가, 장치측 단자부(70)의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756t, 756w)의 Z축 방향 및 X축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함으로써, 장치측 단자군(721)과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을 위치 결정한다. 따라서, 장치측 단자군(721)과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의 접촉을 양호하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Y축 방향에 평행 중심축(Cb)을 갖는 로드(662)가, 장치측 전벽부(62) 중, 제 1 장치측 측벽부(63)와 제 2 장치측 측벽부(64)의 중간 위치에 마련된다. 그리고,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662)가 삽입되는 로드 삽입 구멍(420)이, 카트리지(4)의 전면(42) 중 제 1 과 제 2 측면(43, 44)의 Z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드 삽입 구멍(420)에 로드(662)가 삽입됨으로써, 카트리지 장착부(6)에 대한 카트리지(4)의 전체의 위치 결정을 실행하여, 올바른 장착 위치로부터의 위치 편차를 억제한다. 따라서, 로드 삽입 구멍(420) 근방의 위치 편차는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전면(42)의 코너부(89)에 마련된 카트리지측 단자군(521)(도 21)과 로드 삽입 구멍(420)은 멀어진 위치에 있어서, 이와 같이 로드 삽입 구멍(420)으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있는 부재의 위치 편차를 억제하는 것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4)는, 대형 인쇄용의 프린터(10)에 이용되는 대용량 타입의 카트리지(4)이기 때문에, 사이즈가 크고, 카트리지측 단자군(521)과 로드 삽입 구멍(420)이 다소 멀어진 위치에 있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이, X축 방향과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장치측 단자부(70)나, 이와 같은 장치측 단자부(70)가 삽입되는 오목부(90)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서, 카트리지측 단자군(521)과 장치측 단자군(721)의 위치 결정을 정밀도 양호하게 실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대용량 타입의 사이즈가 큰 카트리지(4)라도, 카트리지(4) 전체의 위치 결정을 정밀도 양호하게 실행하면서, 또한, 카트리지(4)의 제조 오차를 흡수하면서, 장치측 단자군(721)과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을 정밀도 양호하게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쇄재 공급관(642)이, 로드(662)와 장치측 단자부(70) 사이에 마련된다(도 13). 그리고, 인쇄재 공급관(642)이 삽입되는 공급관 삽입 구멍(424)이, 로드 삽입 구멍(420)과 오목부(90)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도 21). 즉, 인쇄재 공급관(642)은, 로드(662)에 의해 가까운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공급관 삽입 구멍(424)은 로드 삽입 구멍(420)에 의해 가까운 위치에 마련된다. 따라서, 인쇄재 공급관(642)과 공급관 삽입 구멍(424) 사이의 위치 편차를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측 단자군(721)은, +Y축 방향 성분 및 -Z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표면(724fa) 상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은, -Y축 방향 성분과 +Z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50fa)에 마련되어 있다. 즉, 장치측 단자군(721)과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은, 모두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로의 삽입 방향인 -Y축 방향에 대해서 동일한 기울기로 경사지는 면에 마련되어 있다. 먼저, 도 33 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삽입될 때, 카트리지(4)는 -Y축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 때, 카트리지측 단자군(521)도 -Y축 방향으로 진행하여 장치측 단자군(721)에 서서히 근접하지만, 장착이 완료 되기 직전까지 양자가 접촉하는 일은 없다. 장착의 최종단 층에서, 카트리지(4)의 오목부(90)에 장치측 단자부(70)가 삽입된 후, 장착이 완료되기 직전에 약간 장치측 단자군(721)과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이 서로 마찰된다(도 35 및 도 36). 그리고, 장착 완료시 및 장착 상태에서는, 카트리지의 오목부(90)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규제부(906t, 906w)가, 장치측 단자부(7)의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756t, 756w)의 Z축 방향 및 X축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함으로써, 장치측 단자군(721)과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을 위치 결정한다. 이와 같이, 카트리지(4)의 장착 시에 장치측 단자군(721)과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이 거의 서로 마찰되는 일이 없는 한편, 카트리지(4)의 장착이 완료되기 직전에 약간 장치측 단자군(721)과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이 서로 마찰되는 일이 없는 한편, 카트리지(4)의 장착 시에, 장치측 단자군(721)이 카트리지(4)의 케이스(9) 등에 서로 마찰되어 절삭 부스러기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만일 먼지가 장치측 단자군(721)의 근방에 존재하며, 장치측 단자군(721)과 카트리지측 단자군(521) 사이에 끼였을 경우에서도, 장치측 단자군(721)이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의 표면을 직선적으로 마찰하면서 접촉을 실행함으로써, 먼지를 접촉부로부터 배출하는 효과(와이핑 효과)를 발휘하여, 먼지가 장치측 단자군(721)과 카트리지측 단자군(521) 사이에 끼일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도 16, 도 17 및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측 단자부(70)의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756t, w)의 +Z축 방향측의 단부에 A면(756ta, wa)이 마련되어 있으며, -Z축 방향측의 단부에 B면(756tb, wb)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도 28 내지 도 30 및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90)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규제부로서의 홈(906t, w)에, 각각, A면(942, 964)과 B면(946, 966)이 마련되어 있다.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906t), w의 A면(942, 964)은 장착 상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756t, w)의 +Z축 방향측의 단부에 마련된 A면(756ta, wa)과 접촉한다. 홈(906t, w)의 B면(946, 966)은 장착 상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756t, w)의 -Z축 방향측의 단부에 마련된 B면(756tb, wb)과 접촉한다. 즉, 제 1 및 제 2 규제부(906t, w)는,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756t, w)의 위치 결정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이것에 의해, 장치측 단자군(721)에 대한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의 Z축 방향의 위치 결정을 정밀도 양호하게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측 단자군(721)과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의 접촉을 보다 양호하게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Z축 방향과 -Z축 방향의 양측에 장치측 단자부(70)를 보지할 수 있기 때문에, 프린터(10)의 사용 시에 진동이나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가해져도, 이와 같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장치측 단자군(721)과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의 접촉 위치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도 16, 도 17,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규제부로서의 제 1 홈(906t)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제 1 위치 결정부(756t)의 +X축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제 2 규제부로서의 제 2 홈(906w)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제 2 위치 결정부(756w)의 -X축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즉, 제 1 홈(906t)과 제 2 홈(906w)에 의해서, 장치측 단자부(70)의 ±X축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이것에 의해, 장치측 단자군(721)에 대한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의 X축 방향의 위치 결정을 정밀도 양호하게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측 단자군(721)과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의 접촉을 보다 한층 양호하게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X축 방향과 -X축 방향의 양측에 장치측 단자부(70)를 보지할 수 있기 때문에, 프린터(10)의 사용 시에 진동이나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가해져도, 이와 같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장치측 단자군(721)과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의 접촉 위치의 편차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28 내지 도 30 및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규제부로서의 홈(906t, w)이, 각각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의 +Y축 방향측 단부의 D면(756td, wd)과 접촉하는 D면(948, 968)을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에 삽입할 때에, 장치측 단자부(70)가 과도하게 너무 +Y축 방향으로 진행함으로써, 카트리지 오목부(90) 내의 저벽(988)에 강하게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장치측 단자부(70)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27 내지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측벽(902t, 902w)에 각각 홈(906t, 906w)을 형성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756t, 756w)의 움직임을 규제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규제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7 내지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용자에 의해서 착탈되는 카트리지(4)측의 구성 요소를 홈(906)으로 하고, 도 15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동의 카트리지 장착부(6)측의 구성 요소를 돌출하는 부재(756)로 함으로써, 착탈 시에 카트리지(4)의 제 1과 제 2 규제부(906t, 906w)가 프린터(10)의 구성 부재에 충돌하여, 프린터(10)나 카트리지(4)가 파손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29, 도 30, 및 도 33 내지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규제부(906t, w)가, 각각, -Y축 방향측의 단면에 마련된 개구(941, 961)로부터 +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Y축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Z축 방향의 치수가 감소하는 입구 부분(916t, w)을 구비한다. 즉, 입구 부분(916t, w)에는, Z축 방향으로 서서히 치수가 감소하는 테이퍼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4)나 카트리지 장착부(6)에 Z축 방향의 제조 오차가 생겼을 경우에서도, 카트리지(4)의 오목부(90)에 마련된 규제부(906)가,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장치측 단자부(70)의 위치 결정부(756)를 용이하게 안내 할 수 있게 된다(도 34). 또한, 제 1 및 제 2 규제부(906t, w)는, 입구 부분(916t, w)의 +Y축 방향의 단부로부터 +Y축 방향측으로 연장되고, Z축 방향의 치수가 일정하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745t, w)와 각각 접촉하는 접촉 부분(926t, w)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입구 부분(916t, w)에 장치측 단자부(70)의 위치 결정부(745t, w)를 안내한 후, 접촉 부분(926t, w)까지 전진함으로써, 장치측 단자군(721)의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에 대한 위치 결정을 정밀도 양호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는, 입구 부분(916)은, 또한, -Y축 방향에서 +Y축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X축 방향의 치수가 감소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4)나 카트리지 장착부(6)에 X축 방향의 제조 오차가 생겼을 경우에서도, 규제부(906)가 위치 결정부(756)를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단, 카트리지(4)나 카트리지 장착부(6)의 각 슬롯의 X축 방향의 치수(폭)는, Z축 방향의 치수에 비하여 꽤 작기 때문에, 이들 X축 방향의 제조 오차는, Z축 방향의 제조 오차보다 상대적으로 꽤 작아진다고 고려된다. 따라서, 위치 결정부(756t, w)를 안내하기 쉬워진다고 하는 효과는, 입구 부분(916)의 Z축 방향에 테이퍼를 마련하는 것만으로도, X축 방향에는 테이퍼를 마련하지 않아도, 충분히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28 내지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구 부분(916t, w)과 대응하도록, 오목부(90)의 측벽(902w, t)의 입구 부분(902wa, ta)도,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입구 부분(902wa, ta)에 있어서의 측벽(902w, 902t) 사이의 거리(X축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는, -Y축 방향으로부터 +Y축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작아진다. 이와 같이, 오목부(90)의 입구 부분(902wa, ta)이 장치측 단자부(70)를 받는 폭을 넓게 하는 것에 의해서, 카트리지(4)의 오목부(90)에 장치측 단자부(70)를 안내하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는, 오목부(90)의 저벽(988) 중 표면(50fa)의 X축 방향의 양측 부분, 즉,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이 마련된 경사면(50fa)과 오목부(90)의 제 1 및 제 2 측벽(902t, w) 사이에, 홀더의 일부가 삽입되는 한쌍의 저벽측 오목부(910t, w)를 갖는다. 이들 한쌍의 저벽측 오목부(910t, w)에 의해,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의 +X축 방향측 및 -X축 방향측의 측방에 대략 삼각형의 면이 노출된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을 회로 기판(50)에 마련하는 경우는, 회로 기판(50)의 장착이나 분리를 용이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측 단자군(721)의 +X축 방향측의 측방 및 -X축 방향측의 측방에는, 표면(724fa)에 대해서 +Y축 방향 성분과 -Z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한쌍의 돌기(759t, w)가 마련되어있다. 오목부(90)에 마련된 저벽측 오목부(910t, w)는, 각각, 돌기(759t, w)를 받는 공간이 된다. 그리고, 저벽측 오목부(910t, w)에 돌기(759t, w)가 받아지는 것에 의해, 규제부(906)와 위치 결정부(756)에 의한 카트리지측 단자군(521) 및 장치측 단자군(721)의 위치 결정이나 위치 편차의 억제에 부가하여 카트리지측 단자군(521) 및 장치측 단자군(721)에 의해 가까운 위치에서도, 양자의 위치 결정이나 위치 편차의 억제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장치측 단자군(721)과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의 접촉을, 보다 양호하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의 X축 방향의 치수의 중심을 구성하는 YZ 평면(28c)에 대해서, 회로 기판(50) 및 오목부(90)를 구성하는 각 요소가 대칭으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28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YZ 평면(28c)은, 제 1 측면(43)에 마련된 제 1 고정부(436)(도 25) 및 제 2 측면(44)에 마련된 제 2 고정부(446)(도 25)의 Z축 방향의 치수(폭)의 중심을 통과한다. 또한, 이 제 1 고정부(436) 및 제 2 고정부(446)를 고정하는 판 스프링(684) 및 (605)(도 6 및 7)는, 이 YZ 평면(28c)과 교차한다. 따라서,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된 상태로, 장치측 단자부(70)나 판 스프링(604) 및 (684)(도 6, 도 7)등에서 받는 힘이 균형있게 카트리지(4)에 작용하기 때문에, 카트리지(4)가 경사지기 어렵다. 이것에 의해서, 장치측 단자군(721)과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의 접촉을, 보다 양호하게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 장착부(6)는 단자대(724)를 보지하는 홀더(750)를 갖는다(도 14 내지 도 16). 즉, 상기 실시예에서는, 단자대(724)를 직접 장치측 전벽부(62)에 장착하는 것은 아니고, 홀더(750)를 거쳐서 장치측 전벽부(62)에 장착함으로써, 단자대(724) 및 장치측 단자군(721)이 범용성이 뛰어난 부품이 된다. 즉, 장치측 단자군(721)과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의 위치 결정을 실행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756)는, 카트리지(4)나 프린터(10)의 사양에 따라 다른 경우가 있다. 설계 변경이 필요 위치 결정부(756)를 단자대(724)는 아니고 홀더(750)에 마련함으로써, 단자대(724)와 단자대(724)에 보지되는 장치측 단자군(721)의 형상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단자대(724)와 장치측 단자군(721)이 범용성이 뛰어난 부품이 된다.
B. 규제부의 변형형태 :
도 38a내지 도 46b는 오목부(90)에 마련된 규제부의 여러가지 변형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8a는 제 1 변형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38b는 도 38a의 38-38 단면도이다. 도 39a는 제 2 변형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39b는 도 39a의 39-39 단면도이다. 도 40a는 제 3 변형형태의 정면도이고, 도 40b는 도 40a의 40-40 단면도이다. 도 41a는 제 4 변형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41b는 도 41a의 41-41 단면도이다. 도 42a는 제 5 변형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42b는 도 42a의 42-42 단면도이다. 도 43a는 제 6 변형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43b는 43-43 단면도이다. 도 44a는 제 7 변형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44b는 도 44a의 44-44 단면도이다. 도 45a는 제 8 변형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45b는 도 45a의 45-45 단면도이다. 도 46a는 제 9 변형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46b는 도 46a의 46-46 단면도이다. 도 38a 내지 도 46b 중, 정면도는 오목부(90) 및 그 근방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단면도는 오목부(90) 및 그 근방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8a 내지 도 46b의 변형형태 전부에 대하여, 홀더(750)의 위치 결정부(756)가 삽입되는 규제부의 구성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도 38a 내지 도 46b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는 동시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프린터(10)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제 1과 제 2 규제부는 형상이 동일하므로, 도 38a 내지 도 46b 중 단면도에 있어서, 이해의 용이를 위해서 제 2 규제부를 나타내는 부호에 부가하여 제 1 규제부를 나타내는 부호도 병기하고 있다.
도 38a 내지 도 46b의 변형형태는, 모두, 오목부(90)의 제 1 측벽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돌출한 볼록부와, 제 2 측벽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돌출한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볼록부에 의해서 제 1 및 제 2 규제부가 구성 된다. 이들 볼록부는, 오목부(90)의 제 1 및 제 2 측벽과는 별체로 마련되어 도 좋고, 일체로 마련되어도 좋다.
도 38a, 도 38b에 도시한 제 1 변형형태에서는, 볼록부(906ta, wa)와 측벽(902ta, wa)에 의해서,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형상의 홈(906ta1, wa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906ta1, wa1)에 장치측 단자부(70)의 위치 결정부(756t, w)가 삽입된다. 이 홈(906ta1, wa1)의 입구 부분(916a)은, Z축 방향에만, 테이퍼가 마련되어 있다. 장치측 단자부(70)의 위치 결정부(756t, w)의 ±Z 방향의 움직임의 규제는, 홈(906ta1, wa1)의 A면(+Z축 방향측의 면) 및 B면(-X축 방향측의 면)에서 실행되고, +Y축 방향의 움직임의 규제는, 홈(906ta1, wa1)의 D면(+Y축 방향측의 면)에서 실행된다. ±X축 방향의 움직임의 규제는, 측벽(902ta, wa)에 의해서 형성된 C면에 의해서 실행된다. 즉, C면은, 측벽(902ta, wa)의 일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도 39a 및 39b에 도시한 제 2 변형형태는, 오목부(90)의 제 1 측벽(902tb)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돌출한 한쌍의 볼록부(906tb1, tb2)와 제 2 측벽(902wb)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돌출한 한쌍의 볼록부(906wb1, wb2)를 구비하고 있다. 볼록부(906tb1, tb2, wb1, wb2)는 도 38a 및 38b에 도시한 제 1 변형형태의 홈(906ta1, wa1)으로부터 D면(+Y축 방향측의 면)이 생략된 것에 상당한다. 볼록부(906tb1, wb1)에 의해서, 장치측 단자부(70)의 위치 결정부(756t, w)의 +Z 방향의 움직임의 규제를 한다. 볼록부(906tb2, wb2)에 의해서, 장치측 단자부(70)의 위치 결정부(756t, w)의 -Z 방향의 움직임의 규제가 실행된다. ±X축 방향의 움직임의 규제는, 측벽(902tb, wb)에 의해서 실행된다.
도 40a 및 도 40b에 도시한 제 3 변형형태는, 오목부(90)의 제 1 측벽(902tc)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돌출한 한쌍의 볼록부(906tc1, tc2)와, 제 2 측벽(902wc)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돌출한 한쌍의 볼록부(906wc1, wc2)를 구비하고 있다. 제 3 변형형태는, 볼록부(906tc1, tc2, wc1, wc2)의 -Y축 방향의 개구단이 오목부(90)의 개구(982)의 위치와 일치하고 있는 점, 및, +Y축 방향의 단부가 오목부(90)의 후벽(986)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점에서, 도 39a 및 도 39b에 도시한 제 2 변형형태와 다르지만, 그 이외의 점에 있어서는 제 2 변형형태와 공통이다.
도 41a 및 도 41b의 제 4 변형형태는, 오목부(90)의 제 1 측벽(902td)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돌출한 볼록부(906td)와, 제 2 측벽(902wd)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돌출한 볼록부(906wd)를 구비하고 있다. 제 4 변형형태는, 도 40a 및 도 40b에 도시한 제 3 변형형태로부터, 장치측 단자부(70)의 위치 결정부(756t, w) 중 -Z축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볼록부(906tc2, wc2)를 없앤 것이다. 볼록부(906td, wd)에 의해서, 장치측 단자부(70)의 위치 결정부(756t, w)의 +Z 방향의 규제가 가능하다. -Z축 방향의 움직임은, 장치측 단자군(721)과 카트리지측 단자군(521)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규제되기 때문에, -Z축 방향의 직임을 규제하는 기능은,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X축 방향의 규제는, 측벽(902td, wd)에 의해서 실행된다.
도 42a 및 도 42b의 제 5 변형형태는 오목부(90)의 제 1 측벽(902te)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돌출한 볼록부(906te)와, 제 2 측벽(902we)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돌출한 볼록부(906we)를 구비하고 있다. 제 5 변형형태는, 도 41a 및 도 41b에 도시한 제 4 변형형태의 볼록부(906td, wd)에, 장치측 단자부(70)의 위치 결정부(756t, w)의 +Y축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D면을 추가한 것이다. 그 이외의 점에 있어서는 제 4 변형형태와 공통이다.
도 43a 내지 도 46b의 제 6 내지 제 9 변형형태는, 각각, 도 38a 내지 도 42b에 도시한 제 2 내지 제 5 변형형태로부터,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입구 부분(916b 내지 e)을 생략한 것이다. 그 이외의 점에 대해서는, 제 2 내지 제 5 변형형태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변형형태에 의해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단, 장치측 단자부(70)의 위치 결정부(756t, w)의 -Z축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기능이 없는 제 4, 제 5, 제 8, 제 9 변형형태의 규제부에서는, -Z축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것에 의한 효과가 얻어지지 않으며, +Y축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기능이 없는 제 2 내지 제 4 및 제 6 내지 제 8 변형형태의 규제부에서는, +Y축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것에 의한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기 변형예에 의하면, 제 1 측벽과 제 2 측벽에 각각 X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를 마련함으로써 제 1 위치 결정부와 제 2 위치 결정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C. 변형예 :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의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C-1. 제 1 변형예 :
상기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4, 4a)는, 인쇄재 수용부(450)를 갖고 있었지만, 케이스(9)에 직접 잉크가 수용되어 있어도 좋다.
C-2. 제 2 변형예 :
상기 실시예에서는, 홀더(750)에 위치 결정부(756)를 마련하고 있었지만, 홀더(750)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위치 결정부(756)를 단자대(724)에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탄성 변형하는 장치측 단자군(721)을 채용하고 있었지만, 탄성 변형하지 않는 장치측 단자군(721)을 채용하여도 좋다. 장치측 단자군(721)이 탄성 변형하지 않아도, 장치측 단자부(721)가 오목부(90)에 삽입될 때, 카트리지측 단자부(521)에 접촉한 후 +Z축 방향으로 미소 이동함으로써, 상기의 와이핑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C-3. 제 3 변형예 :
또한, 이하의 형태로 카트리지가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형태 :
카트리지를 장착하기 위한 카트리지 장착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의 삽입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는 표면과, 상기 표면으로부터 노출되는 접점이 마련된 장치측 단자를 갖고,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의 내부에 배치된 장치측 단자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하여 상기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장치측 단자부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인쇄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 중 2면이 만나는 부분에 오목부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된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장치측 단자의 상기 접점과 접촉하는 카트리지측 단자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구획 형성하는 면 중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는 경사면에 마련된 카트리지측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장치측 단자부의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장치측 단자부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규제부로서, 상기 카트리지측 단자와 상기 장치측 단자와의 접촉이 개시되기 전에 상기 장치측 단자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규제부를 갖는, 카트리지.
제 1 태양의 카트리지에 대해서도, 적용예 1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제 1 태양은, 적용예 1 내지 적용예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구성을 도입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적용예 2와 마찬가지로, 상기 규제부(제 1 및 제 2 규제부)는 상기 장치측 단자부의 일부(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가 접촉하는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면은, 장치측 단자부의 일부의 +Z축 방향측 단부와 접촉하는 +Z축 방향측 접촉면과 장치측 단자부의 일부의 -Z축 방향측 단부와 접촉하는 -Z축 방향측 접촉면을 구비하여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적용예 3과 마찬가지로, 상기 규제부(제 1 및 제 2 규제부)는, 입구 부분과 접촉 부분을 구비하여도 좋다.
C-4. 제 4 변형예 :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 및 그 잉크 카트리지에 한정하지 않고, 잉크 이외의 다른 액체를 분사하는 임의의 인쇄 장치 및 그 카트리지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의 같은 각종의 인쇄 장치 및 그 카트리지에 적용 가능하다.
(1) 팩시밀리 장치 등의 화상 기록 장치
(2)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화상 표시 장치 용무의 컬러 필터-의 제조에 이용되는 색재를 분사하는 인쇄 장치
(3)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나, 면 발광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Display, FED) 등의 전극 형성에 이용되는 전극재를 분사하는 인쇄 장치
(4) 바이오 칩 제조에 이용되는 생체 유기물을 포함한 액체를 분사하는 인쇄 장치
(5) 정밀 피펫으로서의 시료 인쇄 장치
(6) 윤활유의 인쇄 장치
(7) 수지액의 인쇄 장치
(8) 시계나 카메라 등의 정밀 기계에 핀 포인트로 윤활유를 분사하는 인쇄 장치
(9) 광통신 소자 등에 이용되는 미소 반구 렌즈(광학 렌즈) 등을 형성하기 위해서 자외선 경화 수지액 등의 투명 수지액을 기판 상에 분사하는 인쇄 장치
(10) 기판 등을 에칭하기 위해서 산성 또는 알칼리 성의 에칭액을 분사하는 인쇄 장치
(11) 다른 임의의 미소량의 액적을 토출시키는 액체 분사 헤드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
또한, "액적"이란, 인쇄 장치로부터 토출되는 액체 상태를 말하며, 입자 형상, 눈물 형상, 실 형상으로 꼬리를 갖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액체"란, 인쇄 장치가 분사시킬 수 있는 재료이면 좋다. 예를 들면, "액체"는, 물질이 액상일 때 상태의 재료이면 좋고, 점성이 높은 또는 낮은 액 상태의 재료, 및, 졸, 겔 수, 그 이외의 무기 용제, 유기 용제, 용액, 액상 수지, 액상 금속(금속 융액)과 같은 액 상태의 재료도 "액체"에 포함된다. 또한, 물질의 일 상태로서의 액체뿐만 아니라, 안료나 금속 입자 등의 고형물로 이루어지는 기능 재료의 입자가 용매에 용해, 분산 또는 혼합된 것 등도 "액체"에 포함된다. 또한, 액체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잉크나 액정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잉크란 일반적인 수성 잉크 및 유성 잉크 및 젤 잉크, 핫 멜트 잉크 등의 각종의 액체 상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1 : 인쇄재 공급 시스템 4, 4a : 카트리지
5 : 캡 부재 6 : 카트리지 장착부
7 : 펌프 기구 9 : 케이스
10 : 프린터 11 : 전면 커버
13 : 교환용 커버 15 : 조작 버튼
20 : 캐리지 22 : 헤드
24 : 튜브 30 : 구동 기구
31 : 제어부 32 : 타이밍 벨트
34 : 구동 모터 42 : 전면
43 : 제 1 측면(상면) 44 : 제 2 측면(저면)
45 : 제 3 측면(우측면) 46 : 제 4 측면(좌측면)
47 : 후면 49 : 오목부
50 : 회로 기판 50fa : 표면(경사면)
50fb : 이면 61 : 카트리지 수용실
62 : 장치측 측벽부 63 : 제 1 장치측 측벽부
64 : 제 2 장치측 측벽부 65 : 제 3 장치측 측벽부
66 : 제 4 장치측 측벽부 67 : 개구 벽부
69 : 개구 70 : 장치측 단자부
88, 89 : 코너부 90 : 오목부
138 : 센서 420 : 로드 삽입 구멍
421 : 규제면 424 : 공급관 삽입 구멍
432 : 제 1 볼록부 436 : 제 1 고정부
442 : 제 2 볼록부 446 : 제 2 고정부
450 : 인쇄재 수용부 480 : 카트리지측 유로 부재
482 : 검출실 484 : 인쇄재 도출관
490 : 레버 부재 491 :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
492 : 필름 493 : 수압판
495 : 역지 밸브 496 : 코일 스프링
521 : 카트리지측 단자군 521a : 카트리지측 단자
525 : 기억 장치 602 : 제 2 레일
604 : 판 스프링 610 : 장치측 식별 부재
612 : 규제 부재 640 : 인쇄재 공급 기구
642 : 인쇄재 공급관 643 : 선단부
644 : 기단부 646 : 시일 부재
647 : 공급 유로 648 : 연통 구멍
649 : 장착 부재 650 : 커버 부재
652 : 부세 부재 653 : 비산 방지부
655 : 연통부 656 : 관통 구멍
658 : 접촉 부재 659 : 유통관
662 : 로드 663 : 일단부
664 : 타단부 665 : 부세 부재
666 : 차광부 670 : 로드 커버
672 : 레버 680 : 봉 형상 부재
682 : 제 1 레일 684 : 판 스프링
690 : 제 1 전벽부 692 : 제 2 전벽부
694 : 단자 장착부 694A, 694b : 결합부
696 : 지지부 698 : 끼워맞춤 구멍
721 : 장치측 단자군 721a : 장치측 단자
721r : 축 722 : 단자 접점
722a : 단자 접점 723 : 단자 접점
724 : 단자대 724fa : 표면
724fb : 이면 730 : 커넥터 기판
732 : 단자군 739 : 커넥터
750 : 홀더 751 : 수용 공간
752 : 벽부 752t : 제 1 벽부
752w : 제 2 벽부 756 : 위치 결정부
756t : 제 1 위치 결정부 756w : 제 2 위치 결정부
756ta, 756wa : A면 756tb, 756wb : B면
756tc, 756wc : C면 756td, 756wd : D면
757 : 단부 759 : 돌기
759t : 제 1 돌기 759w : 제 2 돌기
762 : 단자측 끼워맞춤부 762a, 762b : 결합부
900 : 단자 수용실 902 : 측벽
902t, 902ta 내지 ti : 제 1 측벽 902w, 902wa 내지 wi : 제 2 측벽
906 : 홈(규제부) 906a : 규제부
906t : 제 1 홈(제 1 규제부) 906w : 제 2 홈
910 : 저벽측 홈부 910t : 제 1 저벽측 홈부
910w : 제 2 저벽측 홈부 906ta, 906wa : 볼록부
906ta1, 906wa1 : 홈
906tb1, 906tb2, 906wb1, 906wb2 : 볼록부
906tc1, 906tc2, 906wc1, 906wc2 : 볼록부
906td, 906te, 906wd, 906we : 볼록부
906tf1, 906tf2, 906wf1, 906wf2 : 볼록부
906tg1, 906tg2, 906wg1, 906wg2 : 볼록부
906th, 906ti, 906wh, 906wi : 볼록부
916, 916a 내지 e : 입구 부분
916t : 제 1 입구 부분 916w : 제 2 입구 부분
926 : 접촉 부분 926t : 제 1 접촉 부분
926w : 제 2 접촉 부분 926 : 접촉 부분
926t : 제 1 접촉 부분 926w : 제 2 접촉 부분
940 : 제 1 접촉면 941 : 개구
952a, 952b : 제 2 볼록부 960 : 제 2 접촉면
961 : 개구 972a : 제 3 볼록부
972b : 제 4 볼록부 982 : 개구
984 : 개구 986 : 후벽
988 : 저벽 C : 중심축
942 : A면 946 : B면
944 : C면 948 : D면
962 : A면 966 : B면
964 : C면 968 : D면
S1 : 라벨 BT : 볼트
Xa : 치수 Cb : 중심축
Xb : 치수 Ce : 중심축
5 : 캡 부재 6 : 카트리지 장착부
7 : 펌프 기구 9 : 케이스
10 : 프린터 11 : 전면 커버
13 : 교환용 커버 15 : 조작 버튼
20 : 캐리지 22 : 헤드
24 : 튜브 30 : 구동 기구
31 : 제어부 32 : 타이밍 벨트
34 : 구동 모터 42 : 전면
43 : 제 1 측면(상면) 44 : 제 2 측면(저면)
45 : 제 3 측면(우측면) 46 : 제 4 측면(좌측면)
47 : 후면 49 : 오목부
50 : 회로 기판 50fa : 표면(경사면)
50fb : 이면 61 : 카트리지 수용실
62 : 장치측 측벽부 63 : 제 1 장치측 측벽부
64 : 제 2 장치측 측벽부 65 : 제 3 장치측 측벽부
66 : 제 4 장치측 측벽부 67 : 개구 벽부
69 : 개구 70 : 장치측 단자부
88, 89 : 코너부 90 : 오목부
138 : 센서 420 : 로드 삽입 구멍
421 : 규제면 424 : 공급관 삽입 구멍
432 : 제 1 볼록부 436 : 제 1 고정부
442 : 제 2 볼록부 446 : 제 2 고정부
450 : 인쇄재 수용부 480 : 카트리지측 유로 부재
482 : 검출실 484 : 인쇄재 도출관
490 : 레버 부재 491 :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
492 : 필름 493 : 수압판
495 : 역지 밸브 496 : 코일 스프링
521 : 카트리지측 단자군 521a : 카트리지측 단자
525 : 기억 장치 602 : 제 2 레일
604 : 판 스프링 610 : 장치측 식별 부재
612 : 규제 부재 640 : 인쇄재 공급 기구
642 : 인쇄재 공급관 643 : 선단부
644 : 기단부 646 : 시일 부재
647 : 공급 유로 648 : 연통 구멍
649 : 장착 부재 650 : 커버 부재
652 : 부세 부재 653 : 비산 방지부
655 : 연통부 656 : 관통 구멍
658 : 접촉 부재 659 : 유통관
662 : 로드 663 : 일단부
664 : 타단부 665 : 부세 부재
666 : 차광부 670 : 로드 커버
672 : 레버 680 : 봉 형상 부재
682 : 제 1 레일 684 : 판 스프링
690 : 제 1 전벽부 692 : 제 2 전벽부
694 : 단자 장착부 694A, 694b : 결합부
696 : 지지부 698 : 끼워맞춤 구멍
721 : 장치측 단자군 721a : 장치측 단자
721r : 축 722 : 단자 접점
722a : 단자 접점 723 : 단자 접점
724 : 단자대 724fa : 표면
724fb : 이면 730 : 커넥터 기판
732 : 단자군 739 : 커넥터
750 : 홀더 751 : 수용 공간
752 : 벽부 752t : 제 1 벽부
752w : 제 2 벽부 756 : 위치 결정부
756t : 제 1 위치 결정부 756w : 제 2 위치 결정부
756ta, 756wa : A면 756tb, 756wb : B면
756tc, 756wc : C면 756td, 756wd : D면
757 : 단부 759 : 돌기
759t : 제 1 돌기 759w : 제 2 돌기
762 : 단자측 끼워맞춤부 762a, 762b : 결합부
900 : 단자 수용실 902 : 측벽
902t, 902ta 내지 ti : 제 1 측벽 902w, 902wa 내지 wi : 제 2 측벽
906 : 홈(규제부) 906a : 규제부
906t : 제 1 홈(제 1 규제부) 906w : 제 2 홈
910 : 저벽측 홈부 910t : 제 1 저벽측 홈부
910w : 제 2 저벽측 홈부 906ta, 906wa : 볼록부
906ta1, 906wa1 : 홈
906tb1, 906tb2, 906wb1, 906wb2 : 볼록부
906tc1, 906tc2, 906wc1, 906wc2 : 볼록부
906td, 906te, 906wd, 906we : 볼록부
906tf1, 906tf2, 906wf1, 906wf2 : 볼록부
906tg1, 906tg2, 906wg1, 906wg2 : 볼록부
906th, 906ti, 906wh, 906wi : 볼록부
916, 916a 내지 e : 입구 부분
916t : 제 1 입구 부분 916w : 제 2 입구 부분
926 : 접촉 부분 926t : 제 1 접촉 부분
926w : 제 2 접촉 부분 926 : 접촉 부분
926t : 제 1 접촉 부분 926w : 제 2 접촉 부분
940 : 제 1 접촉면 941 : 개구
952a, 952b : 제 2 볼록부 960 : 제 2 접촉면
961 : 개구 972a : 제 3 볼록부
972b : 제 4 볼록부 982 : 개구
984 : 개구 986 : 후벽
988 : 저벽 C : 중심축
942 : A면 946 : B면
944 : C면 948 : D면
962 : A면 966 : B면
964 : C면 968 : D면
S1 : 라벨 BT : 볼트
Xa : 치수 Cb : 중심축
Xb : 치수 Ce : 중심축
Claims (27)
- 서로 직교하는 3개의 공간축을 각각 X축, Y축, Z축으로 하고, 상기 X축, Y축, Z축을 따른 방향을 각각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하며, 상기 X축, Y축, Z축을 따른 플러스 방향을 각각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하고, 상기 X축, Y축, Z축을 따른 마이너스 방향을 각각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했을 때,
카트리지가 상기 +Y축 방향측의 삽입구로부터 상기 -Y축 방향측의 장치측 전벽부를 향하여 상기 -Y축 방향으로 삽입되는 카트리지 장착부와, 상기 장치측 전벽부에 마련된 인쇄재 공급관과, 상기 장치측 전벽부의 상기 인쇄재 공급관보다 상기 +Z축 방향측에 마련된 장치측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측 단자부는, +Y축 방향 성분 및 상기 -Z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표면 상에 접점이 마련된 장치측 단자군과, 상기 표면의 상기 +X축 방향측의 측방 및 -X축 방향측의 측방에 각각 마련된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를 갖고, 상기 장치측 전벽부에 대하여 상기 X축 방향 및 상기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는 인쇄 장치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된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상기 X축, 상기 Y축 및 상기 Z축을 각각 상기 카트리지의 X축, Y축, Z축으로 할 때,
상기 Y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2개의 면으로서, 상기 +Y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후면과, 상기 -Y축 방향측에 위치하고, 상기 Z축 방향의 치수가 상기 X축 방향의 치수보다 큰 장방형의 전면과,
상기 전면 및 상기 후면과 만나며, 상기 Z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2개의 면으로서, 상기 +Z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1 측면과, 상기 -Z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2 측면과,
상기 전면, 상기 후면, 상기 제 1 측면, 및 상기 제 2 측면과 만나며, 상기 X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2개의 면으로서, 상기 +X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3 측면과, 상기 -X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4 측면과,
상기 전면에 마련되며, 상기 인쇄재 공급관이 삽입되는 공급관 삽입 구멍과,
상기 전면과 상기 제 1 측면이 교차하는 코너부에 마련되며,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장치측 단자부가 삽입되는 오목부를 갖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장치측 단자부가 오목부 내에 삽입될 때의 입구가 되는 개구와,
상기 오목부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 1 측벽과 제 2 측벽과 저벽을 갖고,
상기 제 1 측벽과 상기 제 2 측벽은, 상기 X축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측벽이 상기 +X축 방향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측벽이 상기 -X축 방향측에 위치하며,
상기 저벽은, 상기 -Y축 방향 성분과 상기 +Z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고,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장치측 단자군과 접촉하는 카트리지측 단자군이 마련된 경사면을 갖고,
상기 제 1 측벽에는,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와 상기 +Z축 방향 및 +X축 방향에서 접촉하여 상기 장치측 단자부의 상기 +Z축 방향 및 상기 +X축 방향측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 1 규제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 2 측벽에는,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와 +Z축 방향 및 -X축 방향에서 접촉하여 상기 장치측 단자부의 상기 +Z축 방향 및 상기 -X축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 2 규제부가 마련되는
카트리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규제부 및 상기 제 2 규제부는,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 중, 대응하는 상기 위치 결정부의 상기 +Z축 방향측 단부와 접촉하는 +Z축 방향측 접촉면과,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 중, 대응하는 상기 위치 결정부의 상기 -Z축 방향측 단부와 접촉하는 -Z축 방향측 접촉면을 각각 구비하는
카트리지.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규제부 및 상기 제 2 규제부는,
상기 -Y축 방향측의 단면에 마련된 개구로부터 상기 +Y축 방향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Y축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Z축 방향의 치수가 단조 감소하는 입구 부분과,
상기 입구 부분의 +Y축 방향의 단부로부터 상기 +Y축 방향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Z축 방향의 치수가 일정하며,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 중 대응하는 상기 위치 결정부와 접촉하는 접촉 부분을 각각 구비하는
카트리지.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규제부는,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 중 대응하는 상기 위치 결정부의 상기 +Y축 방향측 단부와 접촉하는 +Y축 방향측 접촉면을 각각 구비하는
카트리지.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벽 중, 상기 경사면과 상기 제 1 측벽 사이, 및 상기 경사면과 상기 제 2 측벽 사이에는 한쌍의 저벽측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의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의 상기 Z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위치에, 상기 장치측 전벽부에 마련된 로드가 삽입되는 로드 삽입 구멍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공급관 삽입 구멍은 상기 로드 삽입 구멍과 상기 오목부 사이에 마련되는
카트리지.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규제부는 상기 제 1 측벽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오목한 홈이며,
상기 제 2 규제부는 상기 제 2 측벽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오목한 홈인
카트리지.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규제부는 상기 제 1 측벽으로부터 상기 -X축 방향으로 돌출한 볼록부에 의해서 구성되고,
상기 제 2 규제부는 상기 제 2 측벽으로부터 상기 +X축 방향으로 돌출한 볼록부에 의해서 구성되는
카트리지. - 인쇄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인쇄 장치와,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카트리지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 장치는,
서로 직교하는 3개의 공간축을 각각 X축, Y축, Z축으로 하고, 상기 X축, Y축, Z축을 따른 방향을 각각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하며, 상기 X축, Y축, Z축을 따른 플러스 방향을 각각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하고, 상기 X축, Y축, Z축을 따른 마이너스 방향을 각각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했을 때,
카트리지가 상기 +Y축 방향측의 삽입구으로부터 상기 -Y축 방향측의 장치측 전벽부를 향하여 상기 -Y축 방향으로 삽입되는 카트리지 장착부와, 상기 장치측 전벽부에 마련된 인쇄재 공급관과, 상기 장치측 전벽부의 상기 인쇄재 공급관보다 상기 +Z축 방향측에 마련된 장치측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측 단자부는, +Y축 방향 성분 및 상기 -Z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표면 상에 접점이 마련된 장치측 단자군과, 상기 표면의 상기 +X축 방향측의 측방 및 -X축 방향측의 측방에 각각 마련된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를 갖고, 상기 장치측 전벽부에 대하여 상기 X축 방향 및 상기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는
인쇄재 공급 시스템. - 카트리지측 단자군을 갖는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인쇄 장치에 있어서,
서로 직교하는 3개의 공간축을 각각 X축, Y축, Z축으로 하고, 상기 X축, Y축, Z축으로 따른 방향을 각각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하며, 상기 X축, Y축, Z축을 따른 플러스 방향을 각각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하고, 상기 X축, Y축, Z축을 따른 마이너스 방향을 각각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했을 때,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Y축 방향측의 삽입구로부터 상기 -Y축 방향측의 장치측 전벽부를 향하여 상기 -Y축 방향으로 삽입되는 카트리지 장착부와,
상기 장치측 전벽부에 마련된 인쇄재 공급관과,
상기 장치측 전벽부의 상기 인쇄재 공급관보다 상기 +Z축 방향측에 마련된 장치측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측 단자부는, +Y축 방향 성분 및 상기 -Z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표면 상에 접점이 마련된 장치측 단자군과, 상기 표면의 상기 +X축 방향측의 측방 및 -X축 방향측의 측방에 각각 마련된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를 갖고, 상기 장치측 전벽부에 대해서 상기 X축 방향 및 상기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는
인쇄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 장착부는, 상기 장치측 전벽부와 만나고, 상기 Z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2개의 벽부로서, 상기 +Z축 방향측에 배치되는 제 1 장치측 측벽부와, 상기 -Z축 방향측에 배치되는 제 2 장치측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측 전벽부 중, 상기 제 1 장치측 측벽부와 상기 제 2 장치측 측벽부의 중간 위치에는, 상기 Y축 방향으로 평행한 중심축을 갖는 로드가 마련되며,
상기 인쇄재 공급관은 상기 로드와 상기 장치측 단자부 사이에 마련되는
인쇄 장치. - 액체 수용 용기가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장치측 단자부와, 위치 결정부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에 장착되는 액체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장치측 단자부와 접촉하는 액체 수용 용기측 단자와,
상기 위치 결정부가 상기 교차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갖고,
상기 인쇄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 용기측 단자는 상기 장착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있는
액체 수용 용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액체 수용 용기측 단자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액체 수용 용기. -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가 마련된 면과 상기 액체 수용 용기측 단자가 마련된 면은 서로 다른
액체 수용 용기. -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 용기측 단자는, 상기 장착 방향과, 상기 인쇄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방이 개구한 면에 마련되어 있는
액체 수용 용기. -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복수인
액체 수용 용기. -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인쇄 장치에 장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와 접촉하는 접촉 부분과, 상기 접촉 부분에 대해서 경사져 있는 입구 부분을 갖는
액체 수용 용기. - 제 12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가 마련된 면을 갖는 측벽과,
상기 액체 수용 용기측 단자가 마련된 경사면을 갖는 저벽을 구비하고,
상기 저벽 중, 상기 측벽과 상기 경사면 사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액체 수용 용기. - 제 12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에 액체를 공급하는 공급구와,
상기 인쇄 장치에 마련된 로드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구는 상기 규제부와 상기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는
액체 수용 용기. -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인쇄 장치와,
제 12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를 구비하는
인쇄 시스템. - 액체 수용 용기측 단자를 갖는 액체 수용 용기가 장착되는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 용기가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장치측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측 단자부는,
상기 장착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단자와,
상기 액체 수용 용기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 용기에 마련된 규제부에 접촉하는 위치 결정부를 갖는
인쇄 장치. - 액체 수용 용기가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장치측 단자부와, 위치 결정부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에 장착되는 단자 접속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장치측 단자부와 접촉하는 단자와,
상기 위치 결정부가 상기 교차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갖고,
상기 인쇄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장착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는
단자 접속 구조체.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단자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단자 접속 구조체. -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가 마련된 면과 상기 단자가 마련된 면이 서로 다른
단자 접속 구조체. - 제 22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장착 방향과, 상기 인쇄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방이 개구된 면에 마련되어 있는
단자 접속 구조체. - 제 22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인쇄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와 접촉하는 접촉 부분과, 상기 접촉 부분에 대해서 경사져 있는 입구 부분을 갖는
단자 접속 구조체. - 제 22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가 마련된 면을 갖는 측벽과,
상기 단자가 마련된 경사면을 갖는 저벽을 구비하고,
상기 저벽 중, 상기 측벽과 상기 경사면 사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단자 접속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2-005347 | 2012-01-13 | ||
JP2012005347 | 2012-01-13 | ||
JPJP-P-2012-013238 | 2012-01-25 | ||
JP2012013238 | 2012-01-25 | ||
JPJP-P-2012-022819 | 2012-02-06 | ||
JP2012022819 | 2012-02-06 | ||
PCT/JP2013/000066 WO2013105504A1 (ja) | 2012-01-13 | 2013-01-10 | カートリッジ、印刷材供給システム、印刷装置、液体収容容器、印刷システム、及び端子接続構造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06887A Division KR101551552B1 (ko) | 2012-01-13 | 2013-01-10 | 카트리지, 인쇄재 공급 시스템, 인쇄 장치, 액체 수용 용기, 인쇄 시스템, 및 단자 접속 구조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4022A true KR20140104022A (ko) | 2014-08-27 |
KR101911128B1 KR101911128B1 (ko) | 2018-10-23 |
Family
ID=487796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06887A KR101551552B1 (ko) | 2012-01-13 | 2013-01-10 | 카트리지, 인쇄재 공급 시스템, 인쇄 장치, 액체 수용 용기, 인쇄 시스템, 및 단자 접속 구조체 |
KR1020147019389A KR101911128B1 (ko) | 2012-01-13 | 2013-01-10 | 케이스, 액체 수용 용기, 접속 구조체, 인쇄재 공급 시스템, 및 인쇄 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06887A KR101551552B1 (ko) | 2012-01-13 | 2013-01-10 | 카트리지, 인쇄재 공급 시스템, 인쇄 장치, 액체 수용 용기, 인쇄 시스템, 및 단자 접속 구조체 |
Country Status (19)
Country | Link |
---|---|
US (6) | US9266337B2 (ko) |
EP (6) | EP3326824B1 (ko) |
JP (11) | JP5664772B2 (ko) |
KR (2) | KR101551552B1 (ko) |
CN (3) | CN103313857B (ko) |
AU (1) | AU2013201489B2 (ko) |
BR (3) | BR122016000984B1 (ko) |
CA (3) | CA2806674C (ko) |
DE (3) | DE112013000550T5 (ko) |
ES (2) | ES2659411T3 (ko) |
GB (2) | GB2509789B (ko) |
IL (1) | IL233345B (ko) |
MX (1) | MX344094B (ko) |
MY (2) | MY193698A (ko) |
PL (2) | PL2907665T3 (ko) |
RU (2) | RU2606078C2 (ko) |
SG (2) | SG11201403082WA (ko) |
TW (2) | TWI659860B (ko) |
WO (1) | WO2013105504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14164B2 (en) | 2015-03-30 | 2019-09-17 | Seiko Epson Corporation | Cartridge, cartridge unit, and liquid ejection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MX2013003254A (es) * | 2010-10-22 | 2013-10-28 |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 Cartucho de fluido. |
US8960871B2 (en) | 2012-01-13 | 2015-02-24 | Seiko Epson Corporation | Mounting member, liquid container with mounting member, and liquid supply system |
GB2509789B (en) | 2012-01-13 | 2018-05-30 | Seiko Epson Corp | Cartridge, printing material supply system, printing apparatus, liquid accomodation container, a printing system, and a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
US8646889B2 (en) | 2012-01-13 | 2014-02-11 | Seiko Epson Corporation | Cartridge and printing device |
US9440755B2 (en) * | 2012-01-13 | 2016-09-13 | Seiko Epson Corporation | Liquid container and liquid consumption apparatus |
US8931887B2 (en) | 2012-01-13 | 2015-01-13 | Seiko Epson Corporation | Liquid consumption apparatus, liquid supply member, and liquid supply system |
JP6111748B2 (ja) * | 2013-03-07 | 2017-04-12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液体収容体収容容器、液体供給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
JP6163890B2 (ja) | 2013-06-06 | 2017-07-19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液体供給装置、液体収容体 |
JP6277641B2 (ja) * | 2013-09-17 | 2018-02-14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液体収容体 |
CN105829109B (zh) | 2013-09-18 | 2018-06-29 | 佳能株式会社 | 墨盒和喷墨打印机 |
RU2654423C2 (ru) * | 2013-09-18 | 2018-05-17 |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 Чернильный картридж и струйный принтер |
JP6217276B2 (ja) | 2013-09-20 | 2017-10-25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液体収容体 |
JP6311252B2 (ja) * | 2013-09-20 | 2018-04-1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液体収容容器、液体収容体、基板支持部材およびユニット |
WO2015093008A1 (ja) * | 2013-12-18 | 2015-06-25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液体供給ユニット |
JP6303653B2 (ja) | 2014-03-14 | 2018-04-04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液体収容体、および、液体消費装置 |
EP3670196A1 (en) * | 2014-03-14 | 2020-06-24 | Seiko Epson Corporation | Liquid container and electrical connector |
US9522776B2 (en) | 2014-03-14 | 2016-12-20 | Seiko Epson Corporation | Fluid container |
JP2016055444A (ja) | 2014-09-05 | 2016-04-21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液体収容体、液体消費装置、及び、電気接続体 |
JP2016137588A (ja) * | 2015-01-26 | 2016-08-04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ヘッドユニット及び記録装置 |
JP2016175188A (ja) * | 2015-03-18 | 2016-10-06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液体噴射ヘッド及び液体噴射装置 |
JP2017056706A (ja) * | 2015-09-18 | 2017-03-23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端子接続部及びカートリッジ |
JP2017056705A (ja) * | 2015-09-18 | 2017-03-23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端子接続部及びカートリッジ |
JP6308989B2 (ja) | 2015-09-30 | 2018-04-11 | キヤノン株式会社 | 液体収納容器及び液体吐出装置 |
US11148426B2 (en) | 2016-05-27 | 2021-10-19 | Seiko Epson Corporation | Liquid container and liquid ejection system |
CN107718891B (zh) | 2016-08-12 | 2021-04-27 | 精工爱普生株式会社 | 液体容纳体 |
CA3032643A1 (en) | 2016-08-12 | 2018-02-15 | Seiko Epson Corporation | Liquid container |
WO2018114758A1 (en) | 2016-12-20 | 2018-06-28 | Dsm Ip Assets B.V. | Improved yeast strains for ethanol production |
JP2018161759A (ja) | 2017-03-24 | 2018-10-1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および液体噴射システム |
JPWO2019098287A1 (ja) | 2017-11-20 | 2020-11-19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および、液体噴射装置 |
JP6866844B2 (ja) * | 2017-12-27 | 2021-04-28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システム |
JP6590969B2 (ja) * | 2018-03-14 | 2019-10-16 | キヤノン株式会社 | 液体収納容器 |
JP7215020B2 (ja) * | 2018-08-31 | 2023-01-31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液体カートリッジ及びシステム |
JP7165049B2 (ja) * | 2018-12-26 | 2022-11-02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 |
JP7183823B2 (ja) | 2019-01-29 | 2022-12-06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
JP2020152057A (ja) * | 2019-03-22 | 2020-09-24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液体吐出システム及び液体収容容器 |
JP7363420B2 (ja) * | 2019-11-29 | 2023-10-1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および、印刷装置 |
CN214606596U (zh) * | 2020-09-21 | 2021-11-05 | 珠海纳思达企业管理有限公司 | 一种墨量检测机构、墨盒以及打印机 |
JP7533069B2 (ja) * | 2020-09-25 | 2024-08-14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装置 |
JP2022053794A (ja) | 2020-09-25 | 2022-04-06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装置 |
JP2022144519A (ja) | 2021-03-19 | 2022-10-03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 |
CN115107373B (zh) | 2021-03-19 | 2023-08-22 | 精工爱普生株式会社 | 盒 |
JP7362701B2 (ja) * | 2021-09-08 | 2023-10-17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インクタンク、液体収容体、液体吐出装置 |
CN115871340A (zh) | 2022-07-26 | 2023-03-31 | 珠海纳思达企业管理有限公司 | 墨盒 |
Family Cites Families (1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76635U (ko) | 1987-05-08 | 1988-11-16 | ||
DE68928706T2 (de) * | 1988-12-29 | 1998-12-10 | Canon K.K., Tokio/Tokyo | Tintenstrahlaufzeichnungskopf und Tintenstrahlaufzeichnungsgerät |
JP2782610B2 (ja) | 1990-09-27 | 1998-08-06 | ウシオ電機株式会社 | ショートアーク型水銀蒸気放電灯の点灯方法 |
JPH06203147A (ja) | 1992-12-29 | 1994-07-22 | Kawasaki Steel Corp | 画像のシェーディング補正方法 |
WO1995031335A1 (fr) * | 1994-05-17 | 1995-11-23 | Seiko Epson Corporation | Enregistreur a jet d'encre et procede de nettoyage de la tete d'enregistrement |
US5605150A (en) * | 1994-11-04 | 1997-02-25 | Physio-Control Corporation | Electrical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physiological instrument having separable components |
US5956057A (en) * | 1996-08-30 | 1999-09-21 | Hewlett-Packard Company | Ink container having electronic and mechanical features enabling plug compatibility between multiple supply sizes |
US6203147B1 (en) * | 1994-12-22 | 2001-03-20 | Hewlett-Packard Company | Electrical and fluidic interface for an ink supply |
JP3417434B2 (ja) | 1995-01-05 | 2003-06-16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 |
US5847722A (en) * | 1995-11-21 | 1998-12-08 | Hewlett-Packard Company | Inkjet printhead alignment via measurement and entry |
US6074042A (en) | 1997-06-04 | 2000-06-13 | Hewlett-Packard Company | Ink container having a guide feature for insuring reliable fluid, air and electrical connections to a printing system |
JP3332818B2 (ja) * | 1996-08-29 | 2002-10-07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接続端子の接続方法 |
US6168262B1 (en) * | 1997-01-30 | 2001-01-02 | Hewlett-Packard Company | Electrical interconnect for replaceable ink containers |
JPH10217499A (ja) | 1997-02-10 | 1998-08-18 | Seiko Epson Corp | インク供給容器 |
EP0994779B1 (en) | 1997-06-04 | 2003-04-02 | Hewlett-Packard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 Ink delivery system adapter |
EP1060081B1 (en) * | 1998-03-04 | 2002-09-18 | Hewlett-Packard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 Ink container refurbishment system |
JP2000218813A (ja) | 1999-01-29 | 2000-08-08 | Seiko Epson Corp |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 |
DK1254776T3 (da) | 1998-05-18 | 2004-05-03 | Seiko Epson Corp | Ink-jet printer-apparat og blækpatron dertil |
JP2001187455A (ja) * | 1998-11-02 | 2001-07-10 | Seiko Epson Corp | インク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る印刷装置 |
JP4395943B2 (ja) * | 1998-11-26 | 2010-01-13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印刷装置およびその情報の管理方法 |
JP3667127B2 (ja) | 1998-12-24 | 2005-07-06 | キヤノン株式会社 | 液体供給システムの液体残量検出方法 |
US6220702B1 (en) | 1998-12-24 | 2001-04-24 | Seiko Epson Corporation | Ink bag for ink jet type recording apparatus and package suitable for packing such ink bag |
US6443567B1 (en) * | 1999-04-27 | 2002-09-03 | Canon Kabushiki Kaisha | Liquid ejecting cartridge and recording device using same |
JP2001063759A (ja) | 1999-06-24 | 2001-03-13 | Canon Inc | 液体収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TW541247B (en) * | 2000-01-31 | 2003-07-11 | Hewlett Packard Co | Latch and handle arrangement for a replaceable ink container |
AUPQ605800A0 (en) | 2000-03-06 | 2000-03-30 |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 Printehead assembly |
MXPA02009681A (es) | 2000-04-11 | 2003-04-22 | Coca Cola Co | Bolsa para bebida y proceso para la fabricacion y uso de dicha bolsa. |
US6540342B2 (en) * | 2000-10-05 | 2003-04-01 | Canon Kabushiki Kaisha | Liquid container and method for disconnecting liquid container |
US7132152B2 (en) | 2000-10-30 | 2006-11-07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Flexible barrier film structure |
JP4193435B2 (ja) | 2002-07-23 | 2008-12-10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のインク充填方法 |
US6666542B2 (en) * | 2001-03-30 | 2003-12-23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Ink cartridge for printer or the like and ink cartridge 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 |
JP3667283B2 (ja) | 2002-01-25 | 2005-07-06 | キヤノン株式会社 | 液体収納容器 |
US6609789B1 (en) | 2002-03-11 | 2003-08-26 | Banctec, Inc. | Ink cartridge |
JP4239554B2 (ja) | 2002-03-20 | 2009-03-1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バルブ機構及び記録装置及びプリンタ |
JP2003341100A (ja) | 2002-03-20 | 2003-12-03 | Seiko Epson Corp |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ホルダ |
MXPA03002490A (es) * | 2002-03-20 | 2004-10-15 | Seiko Epson Corp | Cartucho para tinta y soporte de cartucho para tinta. |
JP3624950B2 (ja) * | 2002-11-26 | 2005-03-02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インクカートリッジ |
ATE541706T1 (de) * | 2002-12-10 | 2012-02-15 | Seiko Epson Corp | Flüssigkeitspatrone |
AR049674A1 (es) * | 2003-08-08 | 2006-08-30 | Seiko Epson Corp | Recipiente contenedor de liquido a suministrar a un aparato de consumo de dicho liquido |
US7178908B2 (en) | 2003-09-26 | 2007-02-20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Buffer tank for ink jet printer |
JP4047258B2 (ja) | 2003-09-29 | 2008-02-13 | キヤノン株式会社 | 液体供給システム |
US7137690B2 (en) | 2003-10-31 | 2006-11-21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Interconnect circuit |
JP4058436B2 (ja) | 2003-12-26 | 2008-03-12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インク収納容器 |
MXPA04012681A (es) * | 2003-12-26 | 2005-07-01 | Canon Kk | Recipiente para liquido y sistema de suministro de liquido. |
JP4315442B2 (ja) | 2004-04-23 | 2009-08-19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形成装置 |
JP4706247B2 (ja) * | 2004-06-30 | 2011-06-22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液体容器 |
KR100612325B1 (ko) | 2004-07-16 | 2006-08-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접착성 절연층을 갖는 잉크 카트리지, 그 제조 방법 및이를 장착한 화상 형성 장치 |
JP4221671B2 (ja) | 2004-08-06 | 2009-02-12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感光体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
WO2006019034A1 (ja) | 2004-08-20 | 2006-02-23 |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 |
JP2006082294A (ja) | 2004-09-14 | 2006-03-30 | Seiko Epson Corp | 液体収容体の収納容器及び液体噴射装置 |
JP2006209060A (ja) | 2004-12-28 | 2006-08-10 | Ricoh Co Ltd | 容器収納装置、該容器収納装置を備えた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4600062B2 (ja) | 2005-02-02 | 2010-12-15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液体供給装置 |
EP2995461A3 (en) | 2005-02-02 | 2017-03-22 | Seiko Epson Corporation | Attachment, liquid reception container, and liquid supply device |
JP4659530B2 (ja) * | 2005-06-24 | 2011-03-30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インクタンクホルダ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カートリッジ |
JP2007047397A (ja) | 2005-08-09 | 2007-02-22 | Canon Inc | メモリ手段の交換方法 |
JP2007083677A (ja) | 2005-09-26 | 2007-04-05 | Sony Corp | 液体カートリッジ |
EP1772270B1 (en) * | 2005-09-29 | 2008-01-16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Ink Cartridge |
JP4524676B2 (ja) | 2005-11-28 | 2010-08-18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インクカートリッジ |
JP2007098594A (ja) | 2005-09-30 | 2007-04-19 |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JP4839931B2 (ja) | 2006-03-31 | 2011-12-21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インクカートリッジ保持部材 |
JP2008018671A (ja) * | 2006-07-14 | 2008-01-31 | Brother Ind Ltd | インクカートリッジ保持部材及びこれ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US8011768B2 (en) * | 2006-08-23 | 2011-09-06 | Canon Kabushiki Kaisha | Ink tank |
JP5288743B2 (ja) * | 2006-08-23 | 2013-09-11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JP5094273B2 (ja) * | 2006-08-23 | 2012-12-12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インクタンク |
JP4816378B2 (ja) | 2006-09-29 | 2011-11-16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ステム |
JP4806616B2 (ja) | 2006-09-29 | 2011-11-02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MY147941A (en) * | 2006-11-06 | 2013-02-15 | Seiko Epson Corp | Liquid container, container holder and liquid consuming apparatus |
JP4946751B2 (ja) * | 2006-11-06 | 2012-06-06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容器ホルダ、液体消費装置及び液体収容容器 |
JP4946425B2 (ja) | 2006-12-26 | 2012-06-06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液体収容容器 |
JP2008230214A (ja) | 2007-02-19 | 2008-10-02 | Seiko Epson Corp | 流体導出部のシール構造体及びシール方法並びに流体収容容器、再充填流体収容容器及びその再充填方法 |
US8322835B2 (en) | 2007-02-19 | 2012-12-04 | Seiko Epson Corporation | Sealing structure of fluid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d reusing fluid container |
JP2008213147A (ja) * | 2007-02-28 | 2008-09-18 | Brother Ind Ltd | 液体供給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
JP5018469B2 (ja) | 2007-03-30 | 2012-09-05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液体収容容器 |
JP5119719B2 (ja) | 2007-04-13 | 2013-01-16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液体収容容器 |
US8231192B2 (en) | 2007-04-13 | 2012-07-31 | Seiko Epson Corporation | Liquid detection unit, and liquid container using liquid detection unit |
JP5000380B2 (ja) * | 2007-05-24 | 2012-08-15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ユニット |
JP5056163B2 (ja) * | 2007-05-25 | 2012-10-24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判定装置及び判定方法 |
JP4404110B2 (ja) | 2007-07-05 | 2010-01-27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
US8109619B2 (en) | 2007-09-10 | 2012-02-07 | Seiko Epson Corporation |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ontainer and liquid container manufactured using the same |
JP2009069417A (ja) | 2007-09-12 | 2009-04-02 | Ricoh Co Ltd | 画像形成装置 |
DE102007048819A1 (de) * | 2007-10-10 | 2009-04-16 | Pelikan Hardcopy Production Ag | Tintenpatrone |
JP5024143B2 (ja) * | 2007-10-16 | 2012-09-12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液体収容容器の製造方法 |
JP5344566B2 (ja) * | 2008-02-05 | 2013-11-20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 |
JP4985501B2 (ja) | 2008-03-21 | 2012-07-25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液体供給システム及びそのための製造方法 |
JP5141348B2 (ja) | 2008-04-14 | 2013-02-13 | 株式会社リコー | 記録液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
JP2009269371A (ja) * | 2008-05-12 | 2009-11-19 | S T Sangyo Kk | アーム型ラッチレバー付インクカートリッジ |
US8272704B2 (en) * | 2008-05-22 | 2012-09-25 | Zipher Limited | Ink containment system and ink level sensing system for an inkjet cartridge |
US8091993B2 (en) * | 2008-05-22 | 2012-01-10 | Videojet Technologies Inc. | Ink containment system and ink level sensing system for an inkjet cartridge |
JP2010111116A (ja) * | 2008-10-09 | 2010-05-20 | Seiko Epson Corp | 回路基板および液体供給ユニット |
JP2010208038A (ja) * | 2009-03-06 | 2010-09-24 | Seiko Epson Corp | 液体噴射装置及び液体収容容器 |
JP5691133B2 (ja) | 2009-03-27 | 2015-04-01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インク供給装置 |
CN201703032U (zh) * | 2010-02-11 | 2011-01-12 | 珠海天威技术开发有限公司 | 墨盒 |
CN201693839U (zh) * | 2010-02-11 | 2011-01-05 | 孙荣华 | 新型喷墨打印系统及其配套的墨水盒 |
JP5521605B2 (ja) | 2010-02-12 | 2014-06-1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端子間接続構造、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収容容器の組立方法 |
JP5521604B2 (ja) | 2010-02-12 | 2014-06-1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端子間接続構造、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収容容器の組立方法 |
US8534801B2 (en) * | 2010-02-19 | 2013-09-17 | Seiko Epson Corporation | Liquid ejecting system and liquid accommodating container |
JP2011194712A (ja) * | 2010-03-19 | 2011-10-06 | Seiko Epson Corp | 液体カートリッジの装着構造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ー |
JP5340240B2 (ja) * | 2010-04-02 | 2013-11-13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タンクおよびこれを備えたプリンタ |
JP4843112B1 (ja) * | 2010-06-11 | 2011-12-21 | 株式会社リコー | 着脱可能装置、現像剤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
SG10201504617XA (en) | 2010-06-11 | 2015-07-30 | Ricoh Co Ltd | Information storage device, removable device, develop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JP2012000854A (ja) | 2010-06-17 | 2012-01-05 | Brother Industries Ltd | インク供給装置及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 |
JP2012000858A (ja) | 2010-06-17 | 2012-01-05 | Brother Industries Ltd | インクカートリッジ |
JP5454377B2 (ja) | 2010-06-17 | 2014-03-26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液体供給装置 |
CN201816273U (zh) * | 2010-08-03 | 2011-05-04 | 珠海纳思达企业管理有限公司 | 一种打印机用适配器及与之匹配使用的墨盒 |
JP5569475B2 (ja) * | 2010-09-03 | 2014-08-13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噴射装置 |
TWD151470S (zh) | 2010-09-09 | 2013-01-21 | 精工愛普生股份有限公司 | 墨匣 |
JP5919737B2 (ja) | 2010-12-08 | 2016-05-1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液体検出システム、液体容器 |
CA2809231C (en) | 2010-12-22 | 2015-01-20 | Seiko Epson Corporation | Cartridge |
JP6035724B2 (ja) | 2010-12-22 | 2016-11-30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取付部材、液体供給システム。 |
US8297739B1 (en) * | 2012-03-02 | 2012-10-30 | Seiko Epson Corporation | Cartridge and printing material supply system |
US8646889B2 (en) | 2012-01-13 | 2014-02-11 | Seiko Epson Corporation | Cartridge and printing device |
GB2509789B (en) | 2012-01-13 | 2018-05-30 | Seiko Epson Corp | Cartridge, printing material supply system, printing apparatus, liquid accomodation container, a printing system, and a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
US8931887B2 (en) | 2012-01-13 | 2015-01-13 | Seiko Epson Corporation | Liquid consumption apparatus, liquid supply member, and liquid supply system |
US9440755B2 (en) | 2012-01-13 | 2016-09-13 | Seiko Epson Corporation | Liquid container and liquid consumption apparatus |
US8960871B2 (en) | 2012-01-13 | 2015-02-24 | Seiko Epson Corporation | Mounting member, liquid container with mounting member, and liquid supply system |
TWD151170S (zh) | 2012-01-31 | 2013-01-01 | 精工愛普生股份有限公司 | 墨匣 |
TWD151006S (zh) | 2012-01-31 | 2012-12-21 | 精工愛普生股份有限公司 | 墨匣 |
TWD151169S (zh) | 2012-01-31 | 2013-01-01 | 精工愛普生股份有限公司 | 墨匣 |
JP2013159037A (ja) | 2012-02-06 | 2013-08-19 | Seiko Epson Corp | 液体収容体、液体収容体セット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
JP6051595B2 (ja) | 2012-05-21 | 2016-12-27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 |
USD712466S1 (en) | 2013-08-30 | 2014-09-02 | Seiko Epson Corporation | Ink cartridge |
-
2013
- 2013-01-10 GB GB1304967.1A patent/GB2509789B/en active Active
- 2013-01-10 US US13/738,347 patent/US9266337B2/en active Active
- 2013-01-10 SG SG11201403082WA patent/SG11201403082WA/en unknown
- 2013-01-10 MY MYPI2018000105A patent/MY193698A/en unknown
- 2013-01-10 MY MYPI2014701847A patent/MY185140A/en unknown
- 2013-01-10 JP JP2013512029A patent/JP5664772B2/ja active Active
- 2013-01-10 EP EP18150554.6A patent/EP3326824B1/en active Active
- 2013-01-10 CN CN201380000067.9A patent/CN103313857B/zh active Active
- 2013-01-10 BR BR122016000984-0A patent/BR122016000984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3-01-10 BR BR112013006101-4A patent/BR112013006101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3-01-10 DE DE112013000550.6T patent/DE112013000550T5/de active Pending
- 2013-01-10 CN CN201510024872.6A patent/CN104608496B/zh active Active
- 2013-01-10 ES ES15159593.1T patent/ES2659411T3/es active Active
- 2013-01-10 CN CN201610281734.0A patent/CN105946368B/zh active Active
- 2013-01-10 RU RU2013111839A patent/RU2606078C2/ru active
- 2013-01-10 CA CA2806674A patent/CA2806674C/en active Active
- 2013-01-10 EP EP21212787.2A patent/EP3998167A1/en active Pending
- 2013-01-10 DE DE202013012027.4U patent/DE202013012027U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13-01-10 BR BR122016000981-5A patent/BR122016000981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3-01-10 SG SG10201505447RA patent/SG10201505447RA/en unknown
- 2013-01-10 KR KR1020137006887A patent/KR10155155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01-10 KR KR1020147019389A patent/KR10191112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01-10 EP EP17196796.1A patent/EP3296116B1/en active Active
- 2013-01-10 CA CA2981784A patent/CA2981784C/en active Active
- 2013-01-10 DE DE202013012026.6U patent/DE202013012026U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13-01-10 RU RU2016131474A patent/RU2016131474A/ru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3-01-10 EP EP16177729.7A patent/EP3109048B1/en active Active
- 2013-01-10 CA CA2912560A patent/CA2912560C/en active Active
- 2013-01-10 EP EP15159593.1A patent/EP2907665B1/en active Active
- 2013-01-10 AU AU2013201489A patent/AU2013201489B2/en active Active
- 2013-01-10 MX MX2013003181A patent/MX344094B/es active IP Right Grant
- 2013-01-10 PL PL15159593T patent/PL2907665T3/pl unknown
- 2013-01-10 PL PL13707531T patent/PL2727733T3/pl unknown
- 2013-01-10 ES ES13707531.3T patent/ES2663949T3/es active Active
- 2013-01-10 WO PCT/JP2013/000066 patent/WO2013105504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1-10 EP EP13707531.3A patent/EP2727733B1/en active Active
- 2013-01-10 GB GB1806087.1A patent/GB2562166B/en active Active
- 2013-01-11 TW TW107111636A patent/TWI659860B/zh active
- 2013-01-11 TW TW102101214A patent/TWI625247B/zh active
-
2014
- 2014-06-24 IL IL233345A patent/IL233345B/en active IP Right Grant
- 2014-12-02 JP JP2014243739A patent/JP5700168B2/ja active Active
-
2015
- 2015-02-10 JP JP2015024065A patent/JP6032301B2/ja active Active
- 2015-10-09 US US14/879,593 patent/US9821557B2/en active Active
-
2016
- 2016-10-27 JP JP2016210123A patent/JP6380503B2/ja active Active
-
2017
- 2017-10-26 US US15/794,690 patent/US2018004369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8
- 2018-05-14 JP JP2018092665D patent/JP6547107B2/ja active Active
- 2018-05-14 JP JP2018092665A patent/JP6409994B2/ja active Active
- 2018-09-27 JP JP2018181113A patent/JP6531860B2/ja active Active
-
2019
- 2019-05-23 JP JP2019096448A patent/JP2019135108A/ja not_active Withdrawn
- 2019-10-02 JP JP2019182266A patent/JP6795071B2/ja active Active
-
2020
- 2020-02-24 US US16/798,885 patent/US11285725B2/en active Active
- 2020-11-12 JP JP2020188388A patent/JP7006757B2/ja active Active
-
2021
- 2021-11-01 JP JP2021178634A patent/JP7044194B2/ja active Active
-
2022
- 2022-02-22 US US17/677,054 patent/US11964491B2/en active Active
-
2024
- 2024-03-25 US US18/614,800 patent/US20240262106A1/en active Pend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14164B2 (en) | 2015-03-30 | 2019-09-17 | Seiko Epson Corporation | Cartridge, cartridge unit, and liquid ejection system |
KR20190138713A (ko) * | 2015-03-30 | 2019-12-13 |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 카트리지, 카트리지 유닛 및 액체 분사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11128B1 (ko) | 케이스, 액체 수용 용기, 접속 구조체, 인쇄재 공급 시스템, 및 인쇄 장치 | |
KR101441262B1 (ko) | 카트리지 | |
EP3144154B1 (en) | Terminal connection assembly and cartridge | |
US11673398B2 (en) | Cartridge, printing system, and printing device | |
JP2017056686A (ja) | 端子接続部およびカートリッジ | |
JP2012140012A (ja) | カートリッジ | |
US20230347653A1 (en) | Cartridge, printing system, and printing apparatus | |
JP6161868B2 (ja) | カートリッジ | |
JP2017056705A (ja) | 端子接続部及びカートリッ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