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735A -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735A
KR20130001735A KR1020127028457A KR20127028457A KR20130001735A KR 20130001735 A KR20130001735 A KR 20130001735A KR 1020127028457 A KR1020127028457 A KR 1020127028457A KR 20127028457 A KR20127028457 A KR 20127028457A KR 20130001735 A KR20130001735 A KR 20130001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detected
gear
main body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4098B1 (ko
Inventor
마사미츠 우카이
야스오 후카마치
모토아키 무시카
Original Assignee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20167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3000173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01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G03G21/189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mechanical or optical identification means, e.g. protrusions, bar cod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1/00Special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G03B31/00 - G03B39/00;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피검지부가 장치 본체 내에 대한 카트리지의 착탈의 방해가 되는 것, 피검지부가 다른 부재의 충돌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현상 카트리지(7)의 제1 측벽(41)에는 입력 기어(45)가 중심 축선(5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입력 기어(45)에는 구동 출력 부재(56)로부터 구동력이 입력된다. 또한, 제1 측벽(41)에는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를 갖는 피검지 회전체(50)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출력 부재(56)로부터 입력 기어(45)로 구동력이 입력되면, 피검지 회전체(50)가 이동하여,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가 외측(좌측)을 향해 진출한다. 피검지 회전체(50)의 이동이 진행되면, 제1 피검지부(70)가 제1 측벽(41) 및 제2 측벽(42)의 대향 방향으로 가장 이격된 최외 위치까지 진출하고, 그 후에는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가 내측을 향해 후퇴한다.

Description

카트리지{CARTRIDGE}
본 발명은 레이저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 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는 장치 본체 내에 현상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타입의 것이 있다. 현상 카트리지 내에는 토너가 수용되어 있다. 현상 카트리지 내의 토너가 없어지면, 그 현상 카트리지는 장치 본체 내로부터 취출된다. 그리고, 신품의 현상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된다. 또한, 장치 본체 내에서 용지의 잼이 발생했을 때에, 장치 본체 내로부터 현상 카트리지가 취출되어, 잼의 해소 후, 그 현상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내에 다시 장착되는 경우가 있다.
이 타입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의 수명 등의 판단을 위해, 장치 본체 내에 현상 카트리지가 장착되었을 때에, 현상 카트리지의 신구(신품인지 구품인지)가 판별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현상 카트리지의 측면에는 검출 기어가 당해 측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검출 기어는 판형상의 검출 기어 본체와, 검출 기어 본체의 외측(검출 기어 본체에 대해 현상 카트리지의 측면과 반대측)에 검출 기어 본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접촉 돌기를 구비하고 있다. 검출 기어 본체의 주위면에는 그 일부를 제외하고, 기어 이(齒)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의 측면에는 전달 기어가 검출 기어의 축선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전달 기어는 현상 카트리지 내의 토너를 교반하기 위한 애지테이터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전달 기어의 주위면에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서 기어 이가 형성되어 있다.
신품의 현상 카트리지에서는 검출 기어의 기어 이에 전달 기어의 기어 이가 맞물려 있다. 현상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되면, 전달 기어에 모터의 구동력이 입력되고, 그 구동력이 전달 기어로부터 검출 기어로 그들의 기어 이를 통해 전달된다.
이에 의해, 검출 기어가 회전하고, 이 검출 기어의 회전에 수반하여, 접촉 돌기가 검출 기어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한다. 검출 기어의 회전이 진행되어, 검출 기어의 절결 이(齒) 부분이 전달 기어의 기어 이와 대향하면, 전달 기어의 기어 이와 검출 기어의 기어 이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검출 기어의 회전이 정지한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가 한번이라도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되면, 전달 기어의 기어 이와 검출 기어의 기어 이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이후로는 그 상태가 유지된다.
장치 본체 내에는 접촉 돌기를 피검지부로 하여, 접촉 돌기의 통과를 검출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센서에 의한 접촉 돌기의 통과의 검출의 유무에 기초하여, 현상 카트리지의 신구가 판별된다. 즉, 현상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된 후, 센서에 의해 접촉 돌기의 통과가 검출되면, 그 현상 카트리지는 신품이라고 판별된다. 한편, 현상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된 후에, 센서에 의해 접촉 돌기의 통과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 현상 카트리지는 구품이라고 판별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267994호 공보
그런데, 접촉 돌기가 현상 카트리지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장치 본체 내에 대한 현상 카트리지의 착탈 시에, 접촉 돌기가 장치 본체 내의 부재에 접촉하거나, 걸릴 우려가 있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밖으로 이탈된 상태에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가 사용자에게 취급될 때에, 접촉 돌기가 다른 부재와의 충돌 등에 의해 잘못하여 파손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검지부가 장치 본체 내에 대한 카트리지의 착탈의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밖으로 이탈되어 있을 때에, 피검지부가 다른 부재와의 충돌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 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이며,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갖고,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의 대향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해지도록 상기 제1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 본체 내에 구비된 구동 출력 부재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수동 부재와, 상기 제1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 본체 내에 구비된 검지 부재에 의해 검지되는 피검지부를 갖는 피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피검지체는 상기 수동 부재가 받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1 측벽에 대해 상기 대향 방향의 외측을 향해 진출하고, 또한 상기 제1 측벽에 대해 상기 대향 방향의 내측을 향해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의 제1 측벽에는 수동 부재가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의 대향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수동 부재에는 장치 본체 내에 구비된 구동 출력 부재가 접속되어, 구동 출력 부재로부터 구동력이 입력된다.
또한, 제1 측벽에는 피검지부를 갖는 피검지체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출력 부재로부터 수동 부재로 구동력이 입력되면, 피검지체가 이동한다. 그 결과, 피검지체는 외측을 향해 진출하고, 당초의 위치(초기 위치)로부터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의 대향 방향으로 가장 이격된 위치(최외 위치)까지 진출하면, 그 후에는 내측을 향해 후퇴한다.
따라서, 피검지체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피검지부는 최외 위치보다도 내측으로 후퇴하고 있다. 그로 인해, 장치 본체 내에 대한 카트리지의 착탈 시에, 피검지부가 장치 본체 내의 부재에 접촉하거나, 걸리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피검지부가 장치 본체 내에 대한 카트리지의 착탈의 방해가 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피검지체의 이동 개시 전 및 이동 종료 후에 있어서, 피검지부가 최외 위치보다도 내측으로 후퇴하고 있으므로,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내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피검지부가 다른 부재와 충돌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밖으로 이탈되어 있을 때에, 피검지부가 다른 부재와의 충돌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현상 카트리지가 장착된 레이저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현상 카트리지의 좌측 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현상 카트리지의 좌측 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로, 기어 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기어 커버가 제거된 상태에 있어서의 현상 카트리지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기어 커버가 제거된 상태에 있어서의 현상 카트리지의 좌측 전방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현상 카트리지로부터 피검지 회전체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는 현상 카트리지의 좌측 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로, 도 2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피검지 회전체가 약간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하는 현상 카트리지의 좌측 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로, 기어 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c는 도 7a에 도시하는 현상 카트리지의 좌측면도이다.
도 7d는 도 7a에 도시하는 현상 카트리지의 좌측 전방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a는 현상 카트리지의 좌측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로, 도 7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피검지 회전체가 더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하는 현상 카트리지의 좌측 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로, 기어 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c은 도 8a에 도시하는 현상 카트리지의 좌측면도이다.
도 9a는 현상 카트리지의 좌측 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로, 도 8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피검지 회전체가 더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하는 현상 카트리지의 좌측 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로, 기어 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c는 도 9a에 도시하는 현상 카트리지의 좌측면도이다.
도 10a는 현상 카트리지의 좌측 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로, 도 9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피검지 회전체가 더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하는 현상 카트리지의 좌측 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로, 기어 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c는 도 10a에 도시하는 현상 카트리지의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현상 카트리지의 신품 검출 시의 광 센서의 출력 신호의 변화를 도시하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2는 절결 이 기어와 피검지체가 따로따로 설치된 구성(변형예 5)을 채용한 현상 카트리지의 주요부의 좌측 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하는 현상 카트리지의 주요부의 좌측 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로, 기어 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a는 가압 부재의 일례로서의 코일 스프링이 구비되는 구성(변형예 6)을 채용한 현상 카트리지의 제1 측벽의 근방의 단면도이다.
도 14b는 도 14a에 도시하는 현상 카트리지의 좌측면도로, 기어 커버가 제거되고, 일부의 부재를 생략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c는 도 14b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현상 카트리지의 제1 측벽의 좌측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5a는 도 14b에 도시하는 현상 카트리지의 좌측면도로, 도 14b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피검지 회전체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b는 도 15a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현상 카트리지의 제1 측벽의 좌측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6a는 도 14a에 도시하는 현상 카트리지의 제1 측벽의 근방의 단면도로, 피검지 회전체가 가장 좌측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b는 도 16a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현상 카트리지의 제1 측벽의 좌측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피검지 회전체의 절결 이 기어부를 대신하는 구성(변형예 7)을 도시하는 도해적인 측면도이다.
도 18은 제1 피검지부, 제2 피검지부, 제1 피압박부, 제2 피압박부 및 연결부가 절결 이 기어부와 별개로 형성된 구성(변형예 1)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입력 기어의 설치 상태의 다른 예(변형예 9)를 설명하기 위한 현상 카트리지의 도해적인 평면도이다.
도 20은 입력 기어의 설치 상태의 또 다른 예(변형예 10)를 설명하기 위한 현상 카트리지의 도해적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레이저 프린터의 전체 구성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레이저 프린터(1)는 장치 본체의 일례로서의 본체 케이싱(2)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 케이싱(2)의 한쪽 측벽에는 카트리지 착탈구(3)가 형성되고, 이 카트리지 착탈구(3)를 개폐하는 프론트 커버(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프론트 커버(4)가 설치되어 있는 측을 레이저 프린터(1)의 전방측으로 한다. 레이저 프린터(1)의 상하 좌우에 관해서는, 레이저 프린터(1)를 전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후술하는 현상 카트리지(7)의 전후에 대해서는 본체 케이싱(2)에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고, 그 상하 좌우에 대해서는 현상 카트리지(7)를 전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한다.
본체 케이싱(2) 내의 중앙보다 약간 전방측의 위치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5)가 장착되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5)는 프론트 커버(4)를 개방한 상태에서, 카트리지 착탈구(3)를 통해, 본체 케이싱(2) 내에 장착되고, 또한 본체 케이싱(2) 내로부터 이탈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5)는 드럼 카트리지(6)와, 그 드럼 카트리지(6)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의 일례로서의 현상 카트리지(7)로 이루어진다.
드럼 카트리지(6)는 드럼 프레임(8)을 구비하고 있다. 드럼 프레임(8)의 후단부에는 감광 드럼(9)이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드럼 프레임(8)에는 대전기(10) 및 전사 롤러(11)가 보유 지지되어 있다. 대전기(10) 및 전사 롤러(11)는 각각 감광 드럼(9)의 전방 및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드럼 프레임(8)에 있어서의 감광 드럼(9)보다도 전방측의 부분은 현상 카트리지 장착부(12)로 되어 있고, 이 현상 카트리지 장착부(12)에 현상 카트리지(7)가 장착된다.
현상 카트리지(7)는 토너를 수용하는 하우징(13)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3)의 내부에는 서로 연통하는 토너 수용실(14) 및 현상실(15)이 전후로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토너 수용실(14)에는 애지테이터(16)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축선의 일례로서의 애지테이터 회전 축선(1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애지테이터(16)의 회전에 의해, 토너 수용실(14) 내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가 교반되면서, 토너 수용실(14)로부터 현상실(15)로 보내진다.
현상실(15)에는 현상 롤러(18) 및 공급 롤러(19)가 각각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축선의 일례로서의 현상 회전 축선(20) 및 공급 회전 축선(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현상 롤러(18)는 그 주위면의 일부가 하우징(13)의 후단부로부터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현상 카트리지(7)는 현상 롤러(18)의 주위면이 감광 드럼(9)의 주위면과 접촉하도록, 드럼 카트리지(6)에 장착된다. 공급 롤러(19)는 그 주위면이 현상 롤러(18)의 주위면에 대해 전방 하측으로부터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현상실(15) 내의 토너는 공급 롤러(19)에 의해 현상 롤러(18)의 주위면으로 공급되어, 현상 롤러(18)의 주위면 상에 박층으로 되어 담지된다.
또한, 본체 케이싱(2) 내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5)의 상방에, 레이저 등을 구비하는 노광기(22)가 배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 시에는 감광 드럼(9)이 도 1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일정 속도로 회전된다. 감광 드럼(9)의 회전에 수반하여, 감광 드럼(9)의 주위면(표면)은 대전기(10)로부터의 방전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한편, 프린터(1)에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수신하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노광기(22)로부터 레이저 빔이 출사된다. 레이저 빔은 대전기(10)와 현상 카트리지(7) 사이를 통과하여, 균일하게 정대전된 감광 드럼(9)의 주위면에 조사되어, 감광 드럼(9)의 주위면을 선택적으로 노광한다. 이에 의해, 감광 드럼(9)의 노광된 부분으로부터 전하가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감광 드럼(9)의 주위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감광 드럼(9)의 회전에 의해, 정전 잠상이 현상 롤러(18)에 대향하면, 현상 롤러(18)로부터 정전 잠상으로 토너가 공급된다. 이에 의해, 감광 드럼(9)의 주위면에 토너상이 형성된다.
본체 케이싱(2)의 저부에는 용지 P를 수용하는 급지 카세트(23)가 배치되어 있다. 급지 카세트(23)의 상방에는 급지 카세트(23)로부터 용지를 송출하기 위한 픽업 롤러(2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싱(2) 내에는 측면에서 볼 때 S자 형상의 반송로(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반송로(25)는 급지 카세트(23)로부터 감광 드럼(9)과 전사 롤러(11) 사이를 경유하여, 본체 케이싱(2)의 상면에 형성된 배지 트레이(26)에 이른다. 급지 카세트(23)로부터 송출된 용지 P는 반송로(25)를 감광 드럼(9)과 전사 롤러(11) 사이를 향해 반송된다.
감광 드럼(9)의 주위면 상의 토너상은 감광 드럼(9)의 회전에 의해, 감광 드럼(9)과 전사 롤러(11)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 P와 대향했을 때에, 전사 롤러(11)에 의해 전기적으로 끌어 당겨져, 용지 P에 전사된다.
반송로(25) 상에는 전사 롤러(11)에 대해 용지 P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정착기(27)가 설치되어 있다. 토너상이 전사된 용지 P는 반송로(25)를 반송되어, 정착기(27)를 통과한다. 정착기(27)에서는 가열 및 가압에 의해, 토너상이 화상으로 되어 용지 P에 정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화상이 형성된 용지 P는 반송로(25)를 더 반송되어, 배지 트레이(26) 상에 배지된다.
2. 현상 카트리지
(1) 하우징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7)의 하우징(13)은 후방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13)은 제1 측벽(41)(도 3 참조) 및 제2 측벽(42)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측벽(41) 및 제2 측벽(42)은 좌우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각각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하우징(13)은 제1 측벽(41) 및 제2 측벽(42)의 각 상단부 사이에 가설되는 상벽(43)과, 제1 측벽(41) 및 제2 측벽(42)의 각 하단부 사이에 가설되는 하벽(44)을 구비하고 있다. 하벽(44)의 전단부는 만곡되면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벽(43)의 전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2) 기어 트레인
좌측의 제1 측벽(41)의 외측(좌측)에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부재의 일례로서의 입력 기어(45), 현상 기어(46), 공급 기어(47), 중간 기어(48), 전달 기어의 일례로서의 전달 회전체인 애지테이터 기어(49) 및 피검지체의 일례로서의 피검지 회전체(50)가 설치되어 있다.
(2-1) 입력 기어
입력 기어(45)는 제1 측벽(41)의 후단부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입력 기어(45)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입력 기어 회전축(51)(도 4 참조)의 제1 축선의 일례로서의 중심 축선(511)(도 3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입력 기어 회전축(51)은 제1 측벽(41)에 회전 불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기어(45)는 대경 기어부(52), 소경 기어부(53) 및 커플링부(54)를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대경 기어부(52), 소경 기어부(53) 및 커플링부(54)는 제1 측벽(41)측으로부터 이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다.
대경 기어부(52)는 입력 기어 회전축(51)과 중심 축선이 일치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경 기어부(52)의 주위면에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서, 기어 이(예를 들어, 경사 이)가 형성되어 있다.
소경 기어부(53)는 입력 기어 회전축(51)과 중심 축선이 일치하는 원판 형상을 이루고, 대경 기어부(52)보다도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소경 기어부(53)의 주위면에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서, 기어 이(예를 들어, 경사 이)가 형성되어 있다.
커플링부(54)는 입력 기어 회전축(51)과 중심 축선이 일치하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소경 기어부(53)의 주위면보다도 소경의 주위면을 갖고 있다. 커플링부(54)의 좌측면에는 결합 오목부(55)가 형성되어 있다. 현상 카트리지(7)가 본체 케이싱(2)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결합 오목부(55)에는 본체 케이싱(2) 내에 구비되는 구동 출력 부재(56)(도 2 참조)의 선단부가 삽입된다.
구동 출력 부재(56)는 좌우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현상 카트리지(7)가 본체 케이싱(2)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구동 출력 부재(56)는 우측으로 진출하고, 그 선단부가 중심 축선(511)을 따라서 결합 오목부(55)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구동 출력 부재(56)와 결합 오목부(55)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구동 출력 부재(56)가 회전되면, 구동 출력 부재(56)의 회전력이 구동력으로서 입력 기어(45)에 수용되어, 구동 출력 부재(56)와 함께 입력 기어(45)가 회전한다.
(2-2) 현상 기어
현상 기어(4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기어(45)의 후방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현상 기어(46)는 현상 롤러(18)가 갖는 현상 롤러축(57)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현상 롤러축(57)은 제1 측벽(4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그 중심 축선이 현상 롤러(18)의 회전 축선인 현상 회전 축선(20)(도 1 참조)으로 된다. 현상 기어(46)의 주위면에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서, 기어 이가 형성되어 있고, 이 기어 이는 입력 기어(45)의 대경 기어부(52)의 기어 이와 맞물려 있다.
(2-3) 공급 기어
공급 기어(4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기어(45)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공급 기어(47)는 공급 롤러(19)(도 1 참조)가 갖는 공급 롤러축(58)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공급 롤러축(58)은 제1 측벽(4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그 중심 축선이 공급 롤러(19)의 회전 축선인 공급 회전 축선(21)(도 1 참조)으로 된다. 공급 기어(47)의 주위면에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서, 기어 이가 형성되어 있고, 이 기어 이는 입력 기어(45)의 대경 기어부(52)의 기어 이와 맞물려 있다.
(2-4) 중간 기어
중간 기어(4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기어(45)의 전방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중간 기어(48)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기어 회전축(59)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중간 기어 회전축(59)은 제1 측벽(41)에 회전 불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 기어(4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소경부(60)와,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대경부(61)를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소경부(60) 및 대경부(61)는 제1 측벽(41)측으로부터 이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다. 소경부(60) 및 대경부(61)의 각 중심 축선은 중간 기어 회전축(59)의 중심 축선과 일치하고 있다.
소경부(60)의 주위면에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서, 기어 이가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61)의 주위면에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서, 기어 이가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61)의 기어 이는 입력 기어(45)의 소경 기어부(53)의 기어 이와 맞물려 있다.
(2-5) 애지테이터 기어
애지테이터 기어(4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기어(48)의 전방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애지테이터 기어(49)는 애지테이터 회전축(62)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애지테이터 회전축(62)은 제1 측벽(41) 및 제2 측벽(42)(도 1 참조)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제1 측벽(41) 및 제2 측벽(42)에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하우징(13) 내에 있어서, 애지테이터 회전축(62)에는 애지테이터(16)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애지테이터(16) 및 애지테이터 기어(49)는 애지테이터 회전축(62)의 중심 축선을 애지테이터 회전 축선(17)(도 1 참조)으로 하여, 애지테이터 회전축(62)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애지테이터 기어(49)는 대경 기어부(64) 및 소경 기어부(65)를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대경 기어부(64)는 애지테이터 회전축(62)과 중심 축선이 일치하는 원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대경 기어부(64)의 주위면에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서, 기어 이가 형성되어 있다. 이 대경 기어부(64)의 기어 이는 중간 기어(48)의 소경부(60)의 기어 이와 맞물려 있다.
소경 기어부(65)는 대경 기어부(64)에 대해 제1 측벽(41)과 반대측에 형성되어, 애지테이터 회전축(62)과 중심 축선이 일치하는 원판 형상을 이루고, 대경 기어부(64)보다도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소경 기어부(65)의 주위면에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서, 기어 이(66)가 형성되어 있다.
(2-6) 피검지 회전체
피검지 회전체(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지테이터 기어(49)의 전방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피검지 회전체(50)는,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68)의 제3 축선의 일례로서의 중심 축선(68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68)은 제1 측벽(41)에 회전 불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피검지 회전체(50)는 절결 이 기어부(69), 제1 피검지부(70), 제2 피검지부(71), 제1 피압박부(72), 피가압면의 일례로서의 제2 피압박부(73), 연결부(74) 및 접촉부의 일례로서의 지지부(75)(도 5 참조)를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절결 이 기어부(69)는 회전축(68)과 중심 축선(681)이 일치하는 원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절결 이 기어부(69)의 좌측 단부면(외측면)에는 회전축(68)이 상대 회전 가능하고 또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는 원통 형상의 삽입 관통 보스(76)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절결 이 기어부(69)의 주위면에는 그 일부에 기어 이(77)(구동부)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절결 이 기어부(69)의 주위면에는 중심각이 약 205°를 이루는 부분을 절결 이 부분(78)(비구동부)으로 하고, 그 절결 이 부분(78) 이외의 중심각이 약 155°를 이루는 부분에, 기어 이(77)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 이(77)는 피검지 회전체(50)의 회전 위치에 의해, 애지테이터 기어(49)의 소경 기어부(65)와 맞물린다. 그리고, 절결 이 기어부(69)의 두께(좌우 방향의 치수)는 애지테이터 기어(49)의 소경 기어부(65)의 좌우 방향의 치수보다도 작고, 그들의 치수는 기어 이(65, 77)가 맞물린 상태에서, 절결 이 기어부(69)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해도, 그 맞물림이 해제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1 피검지부(70), 제2 피검지부(71), 제1 피압박부(72), 제2 피압박부(73) 및 연결부(74)는 절결 이 기어부(69)의 좌측 단부면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제1 피검지부(70)는 기어 이(77)의 치열에 있어서의 피검지 회전체(50)의 제1 방향의 일례로서의 회전 방향(도 4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 R의 최상류측에 배치된 기어 이(77)와 회전축(68)의 중심 축선(681)을 연결하는 선분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피검지부(70)는 좌우 방향 및 절결 이 기어부(69)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2 피검지부(71)는 중심 축선(681)을 중심으로 하여 제1 피검지부(70)를 통과하는 원호 상이며, 제1 피검지부(70)에 대해 피검지 회전체(50)의 회전 방향 R의 상류측에 있어서, 제1 피검지부(70) 및 중심 축선(681)을 연결하는 선분과 제2 검지부(71) 및 중심 축선(681)을 연결하는 선분이 이루는 각도가 약 80°로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피검지부(71)는 좌우 방향 및 절결 이 기어부(69)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루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제1 피검지부(71)와 동일 치수를 갖고 있다.
제1 피압박부(72)는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제1 피검지부(70)로부터 피검지 회전체(50)의 회전 방향 R의 하류측을 향해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선단부가 그 직선 형상 부분에 대해 중심 축선(681)측으로 비스듬히 굴곡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2 피압박부(73)는 중심 축선(681)을 중심으로 하여 제1 피압박부(72)와 180° 회전 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피압박부(73)는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제1 피압박부(72)의 직선 형상 부분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직선 형상 부분을 갖고 있다.
연결부(74)는 중심 축선(681)을 중심으로 하여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를 지나는 원호를 따른 리브 형상을 이루고, 제1 피검지부(70)와 제2 피검지부(71)를 연결하고, 제2 피검지부(71)와 제2 피압박부(73)를 연결하고 있다.
지지부(7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결 이 기어부(69)의 우측 단부면(내측면)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75)는 좌우 방향 및 절결 이 기어부(69)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루고 있다.
(3) 미끄럼 이동부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벽(41)의 외측에는 제1 측벽(41)과 피검지 회전체(50)에 끼워지는 부분에, 미끄럼 이동부(79)가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부(79)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벽(41)에 세워 설치되어, 측면에서 볼 때 회전축(68)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3/4 원호 형상의 리브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제1 측벽(41)으로부터의 미끄럼 이동부(79)의 돌출량은 회전축(68)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가장 작고, 그 부분으로부터 회전축(68)의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걸쳐서 서서히 커지고, 남은 부분이 일정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미끄럼 이동부(79)의 좌측 단부면은 돌출량이 서서히 커지는 부분에 있어서, 피검지 회전체(50)의 회전 방향 R의 하류측일수록 제1 측벽(4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진 경사면(80)을 갖고 있다. 또한, 미끄럼 이동부(79)의 좌측 단부면은 그 경사면(80)으로부터 회전 방향 R의 하류측으로 연속하여, 제1 측벽(41)과 평행한 평행면(81)을 갖고 있다.
또한, 미끄럼 이동부(79)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면(81)에 있어서의 회전 방향 R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제1 측벽(41)을 향해 직사각 형상으로 절결된 절결부(82)가 형성되어 있다.
(4) 선 스프링
또한, 제1 측벽(41)의 외측면에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지 회전체(50)의 전방에 있어서, 원기둥 형상의 보스(83)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보스(83)에는 가압 부재의 일례로서의 선 스프링(84)이 권회되어 있다. 선 스프링(84)의 일단부는 피검지 회전체(50)의 절결 이 기어부(69)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고, 도중부가 크랭크 형상으로 굴곡하고, 그 선단부가 절결 이 기어부(69)의 좌측 단부면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제1 측벽(41)의 외측면에는 보스(83)의 전방 하측에 있어서, 원기둥 형상의 보스(85)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선 스프링(84)의 일단부는 보스(85)에 대해 전방측으로부터 걸려 있다.
(5) 기어 커버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벽(41)의 외측에는 커버의 일례로서의 기어 커버(86)가 설치되어 있다. 기어 커버(86)는 입력 기어(45), 공급 기어(47), 중간 기어(48), 애지테이터 기어(49), 피검지 회전체(50) 및 선 스프링(84)을 일괄하여 덮고 있다. 이 기어 커버(86)에는 입력 기어(45)의 커플링부(54)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8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어 커버(86)에는 피검지 회전체(50)를 내측에 수용하는 측면에서 볼 때 원 형상의 돌출부(8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부(88)의 좌측 단부면에는 피검지 회전체(50)의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를 좌측으로 노출시키는 측면에서 볼 때 C자 형상의 개구(89)가 형성되어 있다.
3. 검출 기구
본체 케이싱(2) 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이 검출 기구는 액추에이터(91) 및 검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광 센서(92)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91)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축(93)과, 요동축(93)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접촉 레버(94)와, 요동축(93)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차광 레버(95)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요동축(93)은, 예를 들어 본체 케이싱(2)의 도시하지 않은 내벽부에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접촉 레버(94)와 차광 레버(95)는 요동축(93)을 중심으로 하여 약 80°의 각도를 이루고 교차하고 있다.
그리고, 액추에이터(91)는, 도 4, 도 7c,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레버(94)가 요동축(93)으로부터 대략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고, 차광 레버(95)가 후방측으로 약간 경사 하방으로 연장되는 비검지 자세와, 도 8c,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레버(94)가 후방측으로 약간 경사 하방으로 연장되고, 차광 레버(95)가 후방으로 연장되는 검지 자세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액추에이터(91)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그 스프링력 이외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비검지 자세로 되도록 가압되어 있다.
광 센서(92)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광 센서(92)는 발광 소자로부터 수광 소자에 이르는 광로가 비검지 자세의 액추에이터(91)의 차광 레버(95)에 의해 차단되고, 액추에이터(91)가 검지 자세로 그 광로 상으로부터 차광 레버(95)가 후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발광 소자로부터 수광 소자에 이르는 광로 상으로부터 차광 레버(95)가 후퇴되었을(벗어났을) 때에, 광 센서(92)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된다.
4. 현상 카트리지의 장착 검출 및 신품 검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품의 현상 카트리지(7)에서는 피검지 회전체(50)의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가, 회전축(68)에 대해 각각 전방 상방 및 전방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의 선단은 기어 커버(86)의 돌출부(88)의 좌측 단부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피검지 회전체(50)의 기어 이(77)의 치열에 있어서의 회전 방향 R의 최하류측의 기어 이(77)가, 애지테이터 기어(49)의 기어 이(66)와 맞물려 있다. 또한, 선 스프링(84)이, 피검지 회전체(50)의 절결 이 기어부(69)의 좌측 단부면에 접촉하여, 절결 이 기어부(69)를 제1 측벽(41)측으로 압박하는 동시에, 제1 피압박부(72)에 전방측으로부터 접촉하여, 제1 피압박부(72)를 후방으로 압박하고 있다. 또한, 피검지 회전체(50)의 지지부(75)가, 미끄럼 이동부(79)의 좌측 단부면에 있어서의 경사면(80)보다도 회전 방향 R의 상류측의 부분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이때의 피검지 회전체(50)의 좌우 방향의 위치가, 초기 위치인 제1 위치의 일례이다. 또한, 이때의 제1 피검지부(70)의 선단과 제1 측벽(41) 사이의 좌우 방향의 거리 D1(도 3 참조)이, 제1 거리의 일례이다.
현상 카트리지(7)가 본체 케이싱(2) 내에 장착되면, 레이저 프린터(1)의 웜 업 동작이 개시된다. 이 웜 업 동작에서는 입력 기어(45)의 결합 오목부(55)에 구동 출력 부재(56)(도 2 참조)가 삽입되고, 구동 출력 부재(56)로부터 입력 기어(45)로 구동력이 입력되어, 입력 기어(45)가 회전한다. 그리고, 입력 기어(45)의 회전에 수반하여, 현상 기어(46), 공급 기어(47) 및 중간 기어(48)가 회전하고, 현상 롤러(18) 및 공급 롤러(19)가 회전한다. 또한, 중간 기어(48)의 회전에 수반하여, 애지테이터 기어(49)가 회전하고, 애지테이터(16)(도 1 참조)가 회전한다. 이 애지테이터(16)의 회전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7) 내의 토너가 교반된다.
신품의 현상 카트리지(7)에서는 애지테이터 기어(49)의 기어 이(66)와 피검지 회전체(50)의 기어 이(77)가 맞물려 있으므로, 애지테이터 기어(49)가 회전하면, 그 회전에 종동하여, 피검지 회전체(50)가 회전 방향 R로 회전한다. 신품의 현상 카트리지(7)가 본체 케이싱(2)에 장착된 직후의 상태에서는,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는 모두 액추에이터(91)의 접촉 레버(94)와 접촉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액추에이터(91)는 피검지 자세를 이루고, 접촉 레버(94)가 기어 커버(86)의 개구(89)와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여, 광 센서(92)의 광로가 차광 레버(95)에 의해 차단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11의 시각 T1 이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센서(92)로부터는 오프 신호가 출력되어 있다.
피검지 회전체(50)의 회전에 의해, 도 7a, 도 7b, 도 7c,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가 접촉 레버(94)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피검지 회전체(50)의 지지부(75)는 미끄럼 이동부(79)의 좌측 단부면 상을 경사면(80)을 향해 미끄럼 이동하고, 또한 경사면(80) 상을 평행면(81)을 향해 미끄럼 이동한다. 이에 의해, 피검지 회전체(50)는 그 회전에 수반하여 좌측으로 서서히 이동한다. 그로 인해,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는 회전 방향 R로 이동하면서 좌측으로 서서히 진출하여, 그 선단부가 기어 커버(86)의 개구(89)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된다.
피검지 회전체(50)의 회전이 진행됨에 따라서,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의 선단의 위치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1 피검지부(70)의 선단이 접촉 레버(94)에 대향한다.
그 후, 피검지 회전체(50)의 지지부(75)가 경사면(80) 상으로부터 평행면(81) 상으로 이동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검지부(70)의 선단과 제1 측벽(41) 사이의 좌우 방향의 거리 D2가 최대로 된다.
또한, 이때의 피검지 회전체(50)의 좌우 방향의 위치가 제2 위치의 일례이다. 또한, 이때의 최대 거리 D2(도 8b 참조)가 제2 거리의 일례이다.
그 후, 피검지 회전체(50)의 회전이 진행되면, 제1 피검지부(70)가 접촉 레버(94)에 접촉한다. 피검지 회전체(50)의 회전이 더 진행되면, 도 8a, 도 8b,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검지부(70)가 접촉 레버(94)를 후방으로 압박하여, 액추에이터(91)가 피검지 자세로부터 검지 자세로 된다. 그 결과, 광 센서(92)의 발광 소자로부터 수광 소자에 이르는 광로 상으로부터 차광 레버(95)가 벗어나, 광 센서(92)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된다(도 11의 T1). 이에 의해, 광 센서(92)에 의한 제1 피검지부(70)의 간접적인 검출이 달성된다.
그 후, 피검지 회전체(50)의 회전이 더 진행되면, 제1 피검지부(70)가 접촉 레버(94)로부터 이격되어, 액추에이터(91)가 검지 자세로부터 피검지 자세로 복귀된다. 그 결과, 광 센서(92)의 발광 소자로부터 수광 소자에 이르는 광로가 차광 레버(95)에 의해 차단되어, 광 센서(92)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온 신호로부터 오프 신호로 전환된다(도 11의 T2). 피검지 회전체(50)의 지지부(75)는 미끄럼 이동부(79)의 평행면(81) 상을 미끄럼 이동한다.
피검지 회전체(50)의 회전이 더 진행되면, 제2 피검지부(71)가 접촉 레버(94)에 접촉하여, 도 9a, 도 9b,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피검지부(71)가 접촉 레버(94)를 후방으로 압박하고, 액추에이터(91)가 피검지 자세로부터 다시 검지 자세로 된다. 그 결과, 광 센서(92)의 발광 소자로부터 수광 소자에 이르는 광로 상으로부터 차광 레버(95)가 벗어나, 광 센서(92)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된다(도 11의 T3). 이에 의해, 광 센서(92)에 의한 제2 피검지부(71)의 간접적인 검출이 달성된다. 피검지 회전체(50)의 지지부(75)는 여전히 미끄럼 이동부(79)의 평행면(81) 상을 미끄럼 이동하고 있다.
그 후, 피검지 회전체(50)의 회전이 더 진행되면, 제2 피검지부(71)가 접촉 레버(94)로부터 이격되어, 액추에이터(91)가 검지 자세로부터 피검지 자세로 복귀된다. 그 결과, 광 센서(92)의 발광 소자로부터 수광 소자에 이르는 광로가 차광 레버(95)에 의해 차단되어, 광 센서(92)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온 신호로부터 오프 신호로 다시 전환된다(도 11의 T4). 피검지 회전체(50)의 지지부(75)는 여전히 미끄럼 이동부(79)의 평행면(81) 상을 미끄럼 이동하고 있다.
그리고, 피검지 회전체(50)의 가일층의 회전에 의해, 평행면(81) 상에 있어서의 지지부(75)의 미끄럼 이동이 진행되어, 지지부(75)가 절결부(82)에 대향하면, 그 절결부(82)에 지지부(75)가 끼워 넣어지고, 그러면 선 스프링(84)의 가압력에 의해 피검지 회전체(50)는 우측으로 한번에 이동한다. 그 결과,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가 우측으로 후퇴하고, 그들의 선단이 기어 커버(86)의 돌출부(88)의 좌측 단부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그것과 동시에, 도 10b,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지 회전체(50)의 기어 이(77)가 애지테이터 기어(49)의 기어 이(67)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피검지 회전체(50)의 회전이 정지한다.
또한, 이때의 피검지 회전체(50)의 좌우 방향의 위치가 제3 위치의 일례이다. 또한, 이때의 제1 피검지부(70)의 선단과 제1 측벽(41) 사이의 좌우 방향의 거리 D3(도 10b 참조)이 제3 거리의 일례이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거리 D1과 동등하다.
그 후에는, 선 스프링(84)이 피검지 회전체(50)의 절결 이 기어부(69)의 좌측 단부면에 접촉하고, 절결 이 기어부(69)를 제1 측벽(41)측으로 압박하는 동시에, 제2 피압박부(73)에 전방측으로부터 접촉하고, 제2 피압박부(73)를 후방으로 압박한다. 이에 의해, 피검지 회전체(50)의 회전 위치가 기어 이(77)와 기어 이(67)의 맞물림이 해제되었을 때의 회전 위치에 보유 지지되고, 피검지 회전체(50)는 애지테이터 기어(49)의 회전과 관계없이 계속해서 정지한다.
이와 같이, 신품의 현상 카트리지(7)가 본체 케이싱(2) 내에 처음으로 장착되면, 광 센서(92)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되는 상태가 2회 발생한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2)가 본체 케이싱(2)에 장착된 후, 광 센서(92)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되는 상태가 2회 발생한 경우에는, 그 현상 카트리지(7)가 신품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구품의 현상 카트리지(7)[본체 케이싱(2) 내에 한번은 장착된 경우가 있는 현상 카트리지(7)]가 본체 케이싱(2) 내에 장착된 경우에는, 피검지 회전체(50)의 회전 위치가 기어 이(77)와 기어 이(67)의 맞물림이 이미 해제되어 있으므로, 레이저 프린터(1)의 웜 업 동작이 개시되어도, 피검지 회전체(50)는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2)가 본체 케이싱(2)에 장착된 후의 소정 기간 내에, 광 센서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 현상 카트리지(7)가 구품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피검지부(71)는 생략되어도 된다. 제2 피검지부(71)가 생략되는 경우, 신품의 현상 카트리지(2)가 본체 케이싱(2)에 장착되면, 도 11에 도시하는 시각 T1-T2의 기간에만 광 센서(92)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광 센서(92)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되는 상태가 1회 발생한 것에 의해, 그 현상 카트리지(2)가 신품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피검지부(71)가 설치되어 있는 현상 카트리지(2)의 하우징(13) 내에는 토너가 상대적으로 다량으로 수용되고, 제2 피검지부(71)가 생략된 현상 카트리지(2)의 하우징(13) 내에는 토너가 상대적으로 소량으로 수용되어도 된다. 이들이 선택적으로 본체 케이싱(2) 내에 장착되는 경우, 신품의 현상 카트리지(2)가 장착된 후에, 광 센서(92)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되는 상태가 발생한 횟수에 의해, 그 현상 카트리지(7)의 종별을 판별할 수 있다.
5. 작용 효과
이상과 같이, 하우징(13)의 제1 측벽(41)에는 입력 기어(45)가 제1 측벽(41) 및 제2 측벽(42)의 대향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축선(5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입력 기어(45)에는 본체 케이싱(2) 내에 구비된 구동 출력 부재(56)가 접속되어, 구동 출력 부재(56)로부터 구동력이 입력된다.
또한, 제1 측벽(41)에는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를 갖는 피검지 회전체(5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현상 카트리지(7)에는 피검지 회전체(50)의 기어 이(77), 미끄럼 이동부(79) 및 선 스프링(84)을 포함하는 이동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이 이동 기구의 작용에 의해, 구동 출력 부재(56)로부터 입력 기어(45)로 구동력이 입력되면, 피검지 회전체(50)가 제1 위치로부터 이동한다. 그 결과, 피검지 회전체(50)가 갖는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는 외측(좌측)을 향해 진출하고, 당초의 위치[피검지 회전체(50)의 위치가 제1 위치일 때의 위치)로부터 제1 측벽(41) 및 제2 측벽(42)의 대향 방향으로 가장 이격된 최외 위치[피검지 회전체(50)의 위치가 제2 위치일 때의 위치]까지 진출하면, 그 이후에는 내측을 향해 후퇴한다.
구체적으로는, 피검지 회전체(50)의 제1 위치는 제1 피검지부(70)와 제1 측벽(41) 사이의 좌우 방향의 거리가 거리 D1로 되는 위치이다. 피검지 회전체(50)는 제1 위치로부터, 제1 피검지부(70)와 제1 측벽(41) 사이의 이동 방향의 거리가 거리 D1보다도 큰 거리 D2로 되는 제2 위치를 거쳐서, 제2 위치로부터 제1 피검지부(70)와 제1 측벽(41) 사이의 이동 방향의 거리가 거리 D2보다도 작은 거리 D3으로 되는 제3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피검지 회전체(50)가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는 최외 위치보다도 내측으로 후퇴하고 있다. 그로 인해, 본체 케이싱(2) 내에 대한 현상 카트리지(7)의 착탈 시에,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가 본체 케이싱(2) 내의 부재에 접촉하거나,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가 본체 케이싱(2) 내에 대한 현상 카트리지(7)의 착탈의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현상 카트리지(7)에서는 피검지 회전체(50)의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가 입력 기어(45)의 회전 축선인 중심 축선(511)과 평행한 중심 축선(681)을 따라서 이동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구성과 같이 피검지 회전체(50)의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가 중심 축선(681) 둘레만으로 이동하는 구성과는 달리,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를 제1 측벽(41)에 대해 내외로 진퇴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가 본체 케이싱(2) 내에 대한 현상 카트리지(7)의 착탈의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검지 회전체(50)의 이동 개시 전 및 이동 종료 후에 있어서,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가 최외 위치보다도 내측으로 후퇴하고 있으므로, 현상 카트리지(7)가 본체 케이싱(2) 내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가 다른 부재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현상 카트리지(7)가 본체 케이싱(2) 밖으로 이탈되어 있을 때에,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가 다른 부재와의 충돌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현상 카트리지(7)에서는 피검지 회전체(50)의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가 입력 기어(45)의 회전 축선인 중심 축선(511)과 평행한 중심 축선(681)을 따라서 이동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구성과 같이 피검지 회전체(50)의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가 중심 축선(681) 둘레만으로 이동하는 구성과는 달리,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를 제1 측벽(41)에 대해 내외로 진퇴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7)가 본체 케이싱(2) 밖으로 이탈되어 있을 때에,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가 다른 부재와의 충돌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피검지 회전체(50)는 피검지 회전체(50)의 이동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축선(68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입력 기어(45)가 받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 방향 R로 회전한다. 한편, 제1 측벽(41)에는 미끄럼 이동부(79)가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부(79)는 회전 방향 R의 하류측일수록 제1 측벽(4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진 경사면(80)을 갖고 있다. 그리고, 피검지 회전체(50)의 회전 방향 R의 회전에 의해, 피검지 회전체(50)가 제1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구체적으로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피검지 회전체(50)의 지지부(75)가 경사면(80)을 미끄럼 이동한다. 그로 인해, 피검지 회전체(50)가 갖는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를 당초의 위치로부터 최외 위치까지 확실하게 진출시킬 수 있다. 즉, 미끄럼 이동부(79)[구체적으로는, 경사면(80)]는 입력 기어(45), 중간 기어(48) 및 애지테이터 기어(49) 등의 축 둘레의 운동을, 검지 회전체(50)의, 중심 축선(511)에 평행한 이동 방향을 따른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캠 기구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경사면(80)에 대해 회전 방향 R의 하류측에는 제1 측벽(41)과 평행한 평행면(81)이 경사면(80)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피검지 회전체(50)의 지지부(75)가 평행면에 접촉하고 있는 동안, 피검지 회전체(50)의 위치를 제2 위치에 보유 지지할 수 있어,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가 최외 위치로 진출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7)에는 애지테이터(16)가 구비되어 있다. 애지테이터(16)는 제1 측벽(41) 및 제2 측벽(4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입력 기어(45)가 받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애지테이터의 회전에 의해, 하우징(13) 내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를 교반할 수 있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7)에는 애지테이터 기어(49)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피검지 회전체(50)는 중심 축선(681)을 중심으로 하는 주위면을 갖고, 그 주위면에는 일부를 절결 이 부분(78)으로 하고, 절결 이 부분(78) 이외의 부분에 기어 이(77)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어 이(77)가 애지테이터 기어(49)의 기어 이(67)와 맞물림으로써, 입력 기어(45)가 받는 구동력이 애지테이터 기어(49)를 통해 피검지 회전체(50)로 전달되고, 피검지 회전체(50)가 회전 방향 R로 회전하여, 피검지 회전체(50)가 제1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피검지 회전체(50)가 제3 위치로 이동하면, 피검지 회전체(50)의 주위면의 절결 이 부분(78)이 애지테이터 기어(49)에 대향하고, 피검지 회전체(50)의 주위면의 기어 이(77)와 애지테이터 기어(49)의 기어 이(67)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따라서, 피검지 회전체(50)가 제3 위치로 이동한 후에는, 애지테이터 기어(49)의 회전에 관계없이, 피검지 회전체(50)가 정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측벽(41)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스(83)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보스(83)에는 선 스프링(84)이 권회되어 있고, 선 스프링(84)의 일단부는 피검지 회전체(50)에 대해 제1 측벽(41)과 반대측으로부터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피검지 회전체(50)는 제1 측벽(41)을 향해 가압되어 있다. 그로 인해, 선 스프링(84)이라고 하는 간소한 구성에 의해, 피검지 회전체(50)를 제1 측벽(41)을 향해 가압할 수 있고, 피검지 회전체(50)를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피검지 회전체(50)에는 피검지 회전체(50)가 제3 위치에 위치할 때에, 선 스프링(84)의 일단부가 회전 방향 R의 상류측으로부터 접촉하는 제2 피압박부(73)가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피검지 회전체(50)가 제3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선 스프링(84)에 의해, 피검지 회전체(50)를 제1 측벽(41)을 향해 가압할 수 있는 동시에, 회전 방향 R로 가압할 수 있다. 그 결과, 피검지 회전체(50)의 위치를 이동 방향 및 회전 방향 R에 있어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피검지 회전체(50)는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를 포함하는 그 전체가, 기어 커버(86)에 의해 덮여 있다. 그리고, 피검지 회전체(50)가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가 기어 커버(86) 외부로 노출된다. 그로 인해,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가 본체 케이싱(2) 내에 대한 현상 카트리지(7)의 착탈의 방해가 되는 것이나,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가 다른 부재와의 충돌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면서, 피검지 회전체(50)가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본체 케이싱(2) 내에 구비된 검지 부재에 의해 피검지 회전체(50)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의 회전 방향 R에 있어서의 각 위치는, 전술한 위치로 한정되지 않고, 피검지 회전체(50) 및 미끄럼 이동부(79)의 회전 방향 R에 있어서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피검지 회전체(50)가 제2 위치에 위치할 때의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의 회전 방향 R에 있어서의 각 위치를, 중심 축선(681)을 중심으로 하는 360°의 전체 각도 범위에서 변경할 수 있으므로, 현상 카트리지(7)가 장착되는 본체 케이싱(2)에서는 액추에이터(91) 및 광 센서(92)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다.
6. 변형예
(1) 변형예 1
전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구성에서는, 피검지 회전체(50)가 제1 위치에 위치할 때의 제1 피검지부(70)의 선단과 제1 측벽(41) 사이의 좌우 방향의 거리 D1(도 3 참조)과, 피검지 회전체(50)가 제3 위치에 위치할 때의 제1 피검지부(70)의 선단과 제1 측벽(41) 사이의 좌우 방향의 거리 D3(도 10b 참조)이 동등하다. 그러나, 거리 D3은 피검지 회전체(50)가 제2 위치에 위치할 때의 제1 피검지부(70)의 선단과 제1 측벽(41) 사이의 좌우 방향의 거리인 거리 D2(도 8b 참조)보다도 작으면, 거리 D1보다 커도 되고, 작아도 된다.
(2) 변형예 2
전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구성에서는, 피검지 회전체(50)가 제1 위치 및 제3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의 선단이, 기어 커버(86)의 돌출부(88)의 좌측 단부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러나, 피검지 회전체(50)가 제1 위치 및 제3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의 선단은 기어 커버(86) 내에 완전히 몰입되어 있어도 되고, 기어 커버(86)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3) 변형예 3
제1 측벽(41)의 외측에 기어 커버(86)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기어 커버(86)는 제1 측벽(41)에 포함되어도 된다. 즉, 제1 측벽은 측벽 본체의 일례로서의 제1 측벽(41)과 기어 커버(86)에 의해 구성되는 개념이어도 된다. 이 경우, 피검지 회전체(50)는 측벽 본체에 설치되어도 되고, 기어 커버(86)에 설치되어도 된다.
(4) 변형예 4
미끄럼 이동부(79)의 좌측 단부면이 제1 측벽(41)과 평행한 평행면만으로 이루어지고, 피검지 회전체(50)의 지지부(75) 대신에, 절결 이 기어부(69)의 우측 단부면에 중심 축선(68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지지부가 형성되고, 그 지지부의 우측 단부면에, 피검지 회전체(50)의 회전 방향 R의 하류측일수록 제1 측벽(4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피검지 회전체(50)의 회전에 수반하여, 피검지 회전체(50)를 제1 위치로부터 제3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5) 변형예 5
전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구성에서는, 피검지 회전체(50)가 절결 이 기어부(69)를 갖고, 제1 측벽(41)과 피검지 회전체(50) 사이에 미끄럼 이동부(7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애지테이터 기어(49)로부터 절결 이 기어부(69)로 구동력이 전달되어, 피검지 회전체(50)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가 회전 방향 R로 이동하면서 진출 및 후퇴한다. 이 구성 대신에, 도 12, 도 13에 도시되는 구성이 채용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되는 구성에서는 제1 측벽(41)의 외측에, 회전체의 일례로서의 절결 이 기어(101) 및 피검지체(102)가 설치되어 있다.
절결 이 기어(101)는 도 4에 도시되는 피검지 회전체(50)와 동일한 위치, 즉 애지테이터 기어(49)(도 4 참조)의 전방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절결 이 기어(101)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103)의 제3 축선의 일례로서의 중심 축선(10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103)은 제1 측벽(41)에 회전 불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절결 이 기어(101)는 대략 반원 판형상을 이루고, 그 주위면에 기어 이(105)를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절결 이 기어(101)는 중심각이 약 205°를 이루는 측면에서 볼 때 부채형의 판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그 주위면에 있어서, 평면 형상의 부분을 절결 이 부분(106)으로 하고, 그 절결 이 부분(106) 이외의 원호 형상 부분에 기어 이(105)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 이(105)는 절결 이 기어(101)의 회전 위치에 의해, 애지테이터 기어(49)의 소경 기어부(65)와 맞물린다.
절결 이 기어(101)의 좌측 단부면(외측면)에는 미끄럼 이동부(107)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부(107)는 절결 이 기어(101)의 제2 방향의 일례로서의 회전 방향 R의 상류측일수록 절결 이 기어(101)의 좌측 단부면[제1 측벽(4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진 경사면(108)과, 그 경사면(108)으로부터 회전 방향 R의 상류측으로 연속하여, 절결 이 기어(101)의 좌측 단부면[제1 측벽(41)]과 평행한 평행면(109)을 갖고 있다.
피검지체(102)는 회전축(103)에 지지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피검지체(102)는 원판 형상의 본체(110)와, 본체(110)의 좌측 단부면(외측면)에 세워 설치된 삽입 관통 보스(111) 및 피검지부(112)와, 본체(110)의 우측 단부면(내측면)에 세워 설치된 지지부(113)를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본체(110)의 좌측 단부면에는 선 스프링(84)(도 4 참조)이 좌측으로부터 접촉되어 있고, 본체(110)는 선 스프링(84)에 의해 제1 측벽(41)측을 향해 가압되어 있다.
삽입 관통 보스(111)는 본체(110)와 중심 축선이 일치하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피검지체(102)는 회전축(103)이 삽입 관통 보스(111)에 헐겁게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 관통됨으로써, 회전축(103)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피검지부(112)는 본체(110)의 좌측 단부면에 있어서, 좌우 방향 및 본체(110)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피검지부(112)는 전방측일수록 좌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면(112A)을 갖는 평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13)는 본체(110)의 우측 단부면에 있어서, 좌우 방향 및 본체(110)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 커버(86)에는 도 2에 도시되는 개구(89) 대신에, 피검지부(112)와 대향하는 위치에 직사각 형상의 개구(114)가 형성되어 있다.
신품의 현상 카트리지(7)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지체(102)의 지지부(113)가 미끄럼 이동부(107)의 경사면(108)보다도 회전 방향 R의 하류측에 있어서, 절결 이 기어(101)의 좌측 단부면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절결 이 기어(101)의 기어 이(105)의 치열에 있어서의 회전 방향 R의 최하류측의 기어 이(105)가, 애지테이터 기어(49)의 기어 이(66)와 맞물려 있다. 또한, 피검지부(112)는 기어 커버(86) 내에 수용되어, 개구(114)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다.
이때의 피검지체(102)의 좌우 방향의 위치가, 초기 위치인 제1 위치의 일례이다. 또한, 이때의 피검지부(112)의 선단과 제1 측벽(41) 사이의 좌우 방향의 거리 D1(도 13 참조)이 제1 거리의 일례이다.
신품의 현상 카트리지(7)에서는 애지테이터 기어(49)의 기어 이(66)와 피검지 회전체(50)의 기어 이(77)가 맞물려 있으므로, 레이저 프린터(1)의 웜 업 동작이 개시되어, 애지테이터 기어(49)가 회전하면, 그 회전에 종동하여 절결 이 기어(101)가 회전 방향 R로 회전한다. 절결 이 기어(101)의 회전에 의해, 피검지체(102)의 지지부(113)는 절결 이 기어(101)의 좌측 단부면 상을 경사면(108)을 향해 미끄럼 이동하고, 또한 경사면(108) 상을 평행면(109)을 향해 미끄럼 이동한다. 이에 의해, 피검지체(102)는 좌측으로 서서히 이동한다. 그로 인해, 피검지부(112)는 회전 방향으로 위치를 바꾸지 않고, 좌측으로 서서히 진출하여, 그 선단부가 기어 커버(86)의 개구(114)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절결 이 기어(101)의 회전이 진행되어, 지지부(113)가 평행면(109) 상으로 이동하면, 피검지부(112)의 선단과 제1 측벽(41) 사이의 좌우 방향의 거리가 최대로 되어, 피검지체(102)의 위치가 제2 위치로 된다.
그 후, 절결 이 기어(101)의 회전이 더 진행되면, 지지부(113)가 평행면(109) 상으로부터 절결 이 기어(101)의 좌측 단부면 상으로 탈락한다. 그러면, 선 스프링(84)의 가압에 의해, 피검지체(102)는 우측으로 한번에 이동한다. 그 결과, 피검지부(112)가 우측으로 후퇴하고, 그들의 선단이 기어 커버(86) 내에 몰입하여, 피검지체(102)의 위치가 제3 위치로 된다.
피검지체(102)는 피검지부(112)의 선단과 제1 측벽(41) 사이의 좌우 방향의 거리가 최대로 되었을 때에, 본체 케이싱(2) 내에 설치된 검지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검지된다. 예를 들어, 본체 케이싱(2) 내에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갖는 광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싱(2) 내에는 피검지부(112)와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액추에이터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피검지체(102)의 위치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변위되는 도중에, 피검지부(112)의 경사면(112A)이 액추에이터에 접촉한다. 그 후, 피검지부(112)의 이동에 수반하여, 액추에이터가 경사면(112A)에 의해 밀려, 액추에이터가 피검지부(112)로부터 릴리프하도록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피검지부(112)의 선단과 제1 측벽(41) 사이의 좌우 방향의 거리가 최대로 되면, 발광 소자로부터 수광 소자에 이르는 광로 상에 액추에이터가 배치되고, 그 광로가 액추에이터에 의해 차단된다. 이에 의해, 광 센서에 의한 피검지체(102)의 검지가 달성된다.
도 12, 도 13에 도시되는 구성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피검지체(102)의 지지부(113)가, 좌우 방향 및 본체(110)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루고, 절결 이 기어(101)의 미끄럼 이동부(107)가, 경사면(108) 및 평행면(109)을 갖고 있는 구성을 취하였다. 그러나, 지지부(113)가, 절결 이 기어(101)의 회전 방향 R의 상류측일수록 피검지체(102)의 본체(110)의 우측 단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진 경사면과, 그 경사면으로부터 회전 방향 R의 상류측으로 연속하여, 본체(110)의 우측 단부면과 평행한 평행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절결 이 기어(101)의 미끄럼 이동부(107)가, 좌우 방향 및 절결 이 기어(101)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6) 변형예 6
전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구성에서는, 현상 카트리지(7)가 신품의 상태에 있어서, 선 스프링(84)이, 피검지 회전체(50)의 절결 이 기어부(69)를 제1 측벽(41)측으로 압박하는 동시에, 피검지 회전체(50)의 제1 피압박부를 후방으로 압박한다. 이 구성 대신에, 도 14a, 도 14b, 도 14c, 도 15a, 도 15b, 도 16a, 도 16b에 도시되는 구성이 채용되어도 된다. 이하, 도 14a 내지 도 16b에 도시되는 구성에 대해, 전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구성과의 차이점만을 취하여 설명한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벽(41)에는, 제1 측벽(41)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애지테이터 회전축 삽입 관통부(141)가 형성되어 있다.
애지테이터 기어(49)는 애지테이터 회전축 삽입 관통부(141)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는 원통부(142)를 갖고 있다. 그리고, 대경 기어부(64)는 원통부(142)의 축선 방향의 도중부로부터 주위로 돌출되는 원판 형상(플랜지 형상)을 이루고, 그 외주면에 기어 이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142)에 있어서의 대경 기어부(64)에 대한 일측이 소경 기어부(65)로 되고, 그 외주면에 기어 이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142)의 내측에는 원통 형상의 애지테이터 회전축 고정부(143)가 형성되어 있다. 애지테이터 회전축 고정부(143)의 중심 축선은 원통부(142)의 중심 축선과 일치하고 있다.
애지테이터 회전축 삽입 관통부(141)에 대응하여, 기어 커버(86)의 내면에는 끼워 맞춤부(144)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 맞춤부(144)는 기어 커버(86)가 제1 측벽(41)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중심 축선이 애지테이터 회전축(141)의 중심 축선과 일치하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원통부(142)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은 외경, 즉 애지테이터 회전축 삽입 관통부(141)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갖고 있다.
애지테이터 기어(49)는 원통부(142)의 대경 기어부(64)측의 단부에 애지테이터 회전축 삽입 관통부(141)가 삽입되고, 기어 커버(86)가 제1 측벽(41)에 설치되었을 때에, 원통부의 반대측의 단부에 끼워 맞춤부(144)가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제1 측벽(41)과 기어 커버(86)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다.
그리고, 애지테이터축(62)(도 6 참조)은 애지테이터 회전축 삽입 관통부(141)에 삽입 관통되고, 그 좌측 단부가 애지테이터축 고정부(143)에 삽입된다. 애지테이터축(62)의 좌측 단부는 주위면의 일부가 평면으로 된 단면 D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애지테이터축 고정부(143)의 내주면에는 그 평면 부분에 면 접촉하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애지테이터축(62)의 좌측 단부가 애지테이터축 고정부(143)에 삽입되면, 애지테이터축(62)과 애지테이터축 고정부(143)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다.
피검지 회전체(50)의 회전축(68)은 제1 측벽(4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제1 측벽(41)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회전축(68)에 대응하여, 기어 커버(86)의 내면에는 보스(145)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145)는 기어 커버(86)가 제1 측벽(41)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중심 축선이 회전축(68)의 중심 축선과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보스(145)의 기단부(145A)는 삽입 관통 보스(76)의 내경보다 약간 작고, 회전축(68)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보스(145)의 선단부(145B)는 회전축(68)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다.
피검지 회전체(50)는 삽입 관통 보스(76)에 회전축(68)의 선단부가 삽입되고, 기어 커버(86)가 제1 측벽(41)에 설치되었을 때에, 회전축(68)에 보스(145)의 선단부(145B)가 삽입됨으로써, 제1 측벽(41)과 기어 커버(86)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다.
그리고, 피검지 회전체(50)의 절결 이 기어부(69)와 기어 커버(86)의 내면 사이에는 가압 부재의 일례로서의 코일 스프링(146)이 삽입 관통 보스(76) 및 보스(145)에 삽입 관통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46)의 가압력(탄성력)에 의해, 피검지 회전체(50)가 제1 측벽(41)을 향해 압박되어 있다.
또한,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지테이터 기어(49)의 대경 기어부(64)의 좌측 단부면에는 대경 기어부(64)의 대략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대략 원호 형상의 압박부(147)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피검지 회전체(50)의 절결 이 기어부(69)의 우측 단부면에는 원기둥 형상의 피압박부(148)가 우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14b,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품의 현상 카트리지(7)에서는 피검지 회전체(50)의 제1 피검지부(70) 및 제2 피검지부(71)는 회전축(68)에 대해 각각 전방 및 전방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피검지 회전체(50)의 기어 이(77)는 그 치열에 있어서의 회전 방향 R의 최하류측의 기어 이(77)가 애지테이터 기어(49)의 상방에 배치되고, 애지테이터 기어(49)의 기어 이(66)와 맞물려 있지 않다. 또한, 피검지 회전체(50)의 지지부(75)는 미끄럼 이동부(79)의 좌측 단부면에 있어서의 경사면(80)보다도 회전 방향 R의 상류측의 부분에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애지테이터 기어(49)의 압박부(147)가, 피검지 회전체(50)의 피압박부(148)에 대해, 애지테이터 기어(49)의 회전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접촉하고 있다.
이때의 피검지 회전체(50)의 좌우 방향의 위치가, 초기 위치인 제1 위치의 일례이다.
레이저 프린터(1)의 웜 업 동작이 개시되어, 애지테이터 기어(49)가 회전하면, 압박부(147)가 피압박부(148)를 압박하고, 이 압박에 의해, 도 15a,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지 회전체(50)가 회전 방향 R로 회전한다. 피검지 회전체(50)의 회전에 수반하여, 피검지 회전체(50)의 지지부(75)는 미끄럼 이동부(79)의 좌측 단부면 상을 경사면(80)을 향해 미끄럼 이동하고, 또한 경사면(80) 상을 평행면(81)을 향해 미끄럼 이동한다. 이에 의해, 피검지 회전체(50)는 그 회전에 수반하여, 좌측으로 서서히 이동한다.
피검지 회전체(50)의 회전이 진행되면,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지 회전체(50)의 기어 이(77)가 애지테이터 기어(49)의 기어 이(66)와 맞물린다. 이 후에는 애지테이터 기어(49)의 회전이 기어 이(66, 77)를 통해 피검지 회전체(50)로 전달되어, 피검지 회전체(50)가 회전 방향 R로 회전한다.
피검지 회전체(50)의 회전이 더 진행되어, 피검지 회전체(50)의 지지부(75)가 경사면(80) 상으로부터 평행면(81) 상으로 이동하면,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지 회전체(50)가 가장 좌측의 위치(제2 위치)에 배치된다. 이후, 지지부(75)는 평행면(81) 상을 미끄럼 이동한다.
피검지 회전체(50)의 회전이 더 진행되면, 지지부(75)가 절결부(82)(도 8b 참조)에 대향하여, 절결부(82)에 지지부(75)가 끼워 넣어지고, 그러면, 코일 스프링(146)의 가압력에 의해, 피검지 회전체(50)는 우측으로 한번에 이동한다. 또한, 그것과 동시에, 피검지 회전체(50)의 기어 이(77)가 애지테이터 기어(49)의 기어 이(67)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피검지 회전체(50)의 회전이 정지한다.
또한, 이때의 피검지 회전체(50)의 좌우 방향의 위치가, 제3 위치의 일례이다.
또한, 이 변형예 6에 관한 구성 및 전술한 변형예 5에 관한 구성이 조합되어, 피검지체(102)가 코일 스프링(146)에 의해 가압되는 구성이 채용되어도 된다.
(7) 변형예 7
전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구성에서는, 피검지 회전체(50)에, 절결 이 기어부(69)가 구비되고, 그 절결 이 기어부(69)의 외주면에 기어 이(77)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절결 이 기어부(69) 대신에,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검지 회전체(50)의 회전축(68)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형 판형상의 본체(171)와, 적어도 외주면이 고무 등의 마찰 계수가 비교적 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본체(171)의 외주에 권회되는 저항 부여 부재(172)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애지테이터 기어(49)의 소경 기어부(65)의 주위면에는 기어 이(67)가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기어 이(67)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본체(171) 및 저항 부여 부재(172)는 저항 부여 부재(172)의 외주면에 있어서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들어간 부분(172B)이 소경 기어부(65)와 접촉하지 않고, 그 외주면에 있어서의 원호면(172A)이 소경 기어부(65)의 주위면과 접촉하는 사이즈로 형성된다.
(8) 변형예 8
전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구성에서는, 피검지 회전체(50)에 있어서, 제1 피검지부(70), 제2 피검지부(71), 제1 피압박부(72), 제2 피압박부(73) 및 연결부(74)가 절결 이 기어부(69)의 좌측 단부면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검지부(70), 제2 피검지부(71), 제1 피압박부(72), 제2 피압박부(73) 및 연결부(74)는 일체를 이루고, 절결 이 기어부(69)와는 별개로 형성되어, 절결 이 기어부(69)에 대해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제2 피검지부(71), 제1 피압박부(72), 제2 피압박부(73) 및 연결부(74)로 이루어지는 일체 부재에 2개의 보스(181)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절결 이 기어부(69)에 2개의 오목부(182)가 형성된다. 그리고, 각 보스(181)가 오목부(182)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그 일체 부재와 절결 이 기어부(69)가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9) 변형예 9
전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구성에서는, 제1 측벽(41) 및 제2 측벽(42)이 각각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벽(41)이 전후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측벽(41)과 제2 측벽(42)의 대향 방향은 좌우 방향, 즉 제2 측벽(42)과 직교하는 방향이어도 되고, 입력 기어(45)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축선(5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측벽(41)과 제2 측벽(42)의 대향 방향은 제1 측벽(42)과 직교하는 방향이어도 되고, 입력 기어(45)는 그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축선(5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10) 변형예 10
또한, 제1 측벽(41) 및 제2 측벽(42)이 각각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에 있어서, 제1 측벽(41)과 제2 측벽(42)의 대향 방향은, 좌우 방향, 즉 제1 측벽(41) 및 제2 측벽(4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고, 제1 측벽(41)의 임의의 일부와 제2 측벽(42)의 임의의 일부가 대향하는 방향을 포함한다. 즉,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벽(41)과 제2 측벽(42)의 대향 방향은 좌우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방향을 포함하고, 입력 기어(45)는 그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축선(5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11) 변형예 11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에 대해, 본 발명이 현상 카트리지(7)에 적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현상 카트리지(7)로 한정되지 않고, 현상 롤러(18)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 즉 하우징 내에 토너만 또는 토너 및 애지테이터를 수용하는 토너 카트리지 등, 현상 카트리지 이외의 카트리지에 적용되어도 된다.
1 : 레이저 프린터
2 : 본체 케이싱
7 : 현상 카트리지
13 : 하우징
16 : 애지테이터
17 : 애지테이터 회전 축선
41 : 제1 측벽
42 : 제2 측벽
45 : 입력 기어
49 : 애지테이터 기어
50 : 피검지 회전체
56 : 구동 출력 부재
73 : 제2 피압박부
77 : 기어 이
78 : 절결 이 부분
79 : 미끄럼 이동부
80 : 경사면
81 : 평행면
83 : 보스
84 : 선 스프링
86 : 기어 커버
101 : 절결 이 기어
102 : 피검지체
104 : 중심 축선
106 : 절결 이 부분
511 : 중심 축선
681 : 중심 축선

Claims (18)

  1.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 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이며,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갖고,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의 대향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해지도록 상기 제1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 본체 내에 구비된 구동 출력 부재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수동 부재와,
    상기 제1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 본체 내에 구비된 검지 부재에 의해 검지되는 피검지부를 갖는 피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피검지체는 상기 수동 부재가 받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1 측벽에 대해 상기 대향 방향의 외측을 향해 진출하고, 또한 상기 제1 측벽에 대해 상기 대향 방향의 내측을 향해 후퇴하는,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에 상기 제1 축선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수동 부재가 받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있는 현상제를 교반하는 애지테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피검지체는 상기 제1 축선과 평행한 이동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검지체는 상기 피검지부와 상기 제1 측벽 사이의 상기 이동 방향의 거리가 제1 거리로 되는 제1 위치로부터, 상기 피검지부와 상기 제1 측벽 사이의 상기 이동 방향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도 큰 제2 거리로 되는 제2 위치를 거쳐서,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피검지부와 상기 제1 측벽 사이의 상기 이동 방향의 거리가 상기 제2 거리보다도 작은 제3 거리로 되는 제3 위치로 이동하는,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와 상기 제3 거리가 동등한, 카트리지.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지체는 상기 제1 축선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3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를 거쳐서 상기 제3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1 측벽에는 상기 피검지체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3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피검지체의 접촉부가 미끄럼 이동하는 미끄럼 이동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촉부 및 상기 미끄럼 이동부의 한쪽은 상기 제1 방향의 하류측일수록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있는,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을 갖는 상기 접촉부 또는 상기 미끄럼 이동부는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하류측으로 연속하여, 상기 제1 측벽과 평행한 평행면을 갖고 있는, 카트리지.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부재가 받는 구동력을 상기 피검지체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 기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피검지체는 상기 제3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주위면을 갖고,
    상기 피검지체는 상기 주위면의 일부를 절결 이 부분으로 하고, 상기 주위면에 있어서의 상기 절결 이 부분 이외의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피검지체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3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전달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 이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지체를 상기 제1 측벽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더 구비하는, 카트리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에 돌출 설치되어, 상기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스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보스에 권회되어, 일단부가 상기 피검지체에 대해 상기 제1 측벽과 반대측으로부터 접촉하는 선 스프링인, 카트리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지체에는 당해 피검지체가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선 스프링의 상기 일단부가 상기 제1 방향에 접촉하는 피가압면이 형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은 측벽 본체와, 상기 측벽 본체에 대해 상기 대향 방향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검지체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피검지체와 상기 커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피검지체에 접촉하는 코일 스프링인, 카트리지.
  11.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선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3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수동 기구가 받는 구동력에 의해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피검지체는 상기 제3 축선을 따라서 이동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제3 축선 둘레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피검지체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3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피검지체의 접촉부가 미끄럼 이동하고, 상기 제2 방향의 상류측일수록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의 상류측으로 연속하여, 상기 제1 측벽과 평행한 평행면이 형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부재가 받는 구동력을 상기 회전체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제3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주위면의 일부를 절결 이 부분으로 하여, 당해 주위면에 있어서의 상기 절결 이 부분 이외의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피검지체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3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전달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 이를 갖고 있는, 카트리지.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지체를 상기 제1 측벽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더 구비하는, 카트리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에 돌출 설치되어, 상기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스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보스에 권회되어, 일단부가 상기 피검지체에 대해 상기 제1 측벽과 반대측으로부터 접촉하는 선 스프링인, 카트리지.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은 측벽 본체와, 상기 측벽 본체에 대해 상기 대향 방향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검지체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피검지체와 상기 커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피검지체에 접촉하는 코일 스프링인, 카트리지.
  17. 제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은 측벽 본체와, 상기 측벽 본체에 대해 상기 대향 방향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검지체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피검지체가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피검지부가 상기 커버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피검지체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피검지부가 상기 커버 외부로 노출되는, 카트리지.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에, 상기 제1 축선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4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동 부재가 받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현상 롤러를 더 구비하는, 카트리지.
KR1020127028457A 2010-03-31 2011-03-30 카트리지 KR1014540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83408 2010-03-31
JP2010083408A JP4919124B2 (ja) 2010-03-31 2010-03-31 カートリッジ
PCT/JP2011/057946 WO2011125695A1 (ja) 2010-03-31 2011-03-30 カートリッ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4290A Division KR101524422B1 (ko) 2010-03-31 2011-03-30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735A true KR20130001735A (ko) 2013-01-04
KR101454098B1 KR101454098B1 (ko) 2014-10-22

Family

ID=442016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457A KR101454098B1 (ko) 2010-03-31 2011-03-30 카트리지
KR1020147014290A KR101524422B1 (ko) 2010-03-31 2011-03-30 카트리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4290A KR101524422B1 (ko) 2010-03-31 2011-03-30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4) US8463145B2 (ko)
EP (2) EP2378378B1 (ko)
JP (1) JP4919124B2 (ko)
KR (2) KR101454098B1 (ko)
CN (4) CN103279020B (ko)
AU (1) AU2011237208B2 (ko)
BR (1) BR112012024609B1 (ko)
CA (2) CA2795185C (ko)
DE (4) DE202011110664U1 (ko)
MX (1) MX2012011316A (ko)
MY (1) MY166828A (ko)
RU (3) RU2523748C2 (ko)
SG (1) SG184356A1 (ko)
WO (1) WO20111256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9124B2 (ja) 2010-03-31 2012-04-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5115607B2 (ja) 2010-08-31 2013-01-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キャップ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5206776B2 (ja) * 2010-11-30 2013-06-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5716498B2 (ja) 2011-03-31 2015-05-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5273194B2 (ja) * 2011-04-28 2013-08-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5413427B2 (ja) 2011-08-31 2014-02-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48209B2 (ja) * 2011-08-31 2013-11-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5413428B2 (ja) 2011-08-31 2014-02-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5182402B2 (ja) 2011-08-31 2013-04-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5348211B2 (ja) 2011-08-31 2013-11-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CN102331699B (zh) * 2011-09-23 2013-08-28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显影盒
JP5919705B2 (ja) * 2011-09-29 2016-05-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07491B2 (ja) 2011-09-29 2015-11-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5807490B2 (ja) 2011-09-29 2015-11-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5884436B2 (ja) 2011-11-24 2016-03-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5982819B2 (ja) * 2011-12-27 2016-08-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942735B2 (ja) * 2012-09-21 2016-06-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CN103713497B (zh) * 2012-12-23 2017-09-12 江西镭博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碳粉盒
JP2014130183A (ja) * 2012-12-28 2014-07-10 Brother Ind Ltd 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4191347A (ja) 2013-03-28 2014-10-06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6102573B2 (ja) * 2013-06-28 2017-03-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127779B2 (ja) * 2013-06-28 2017-05-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060866B2 (ja) 2013-09-20 2017-01-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3713499B (zh) * 2013-10-10 2016-08-17 江西镭博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显影盒
JP6064867B2 (ja) 2013-10-31 2017-01-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111992B2 (ja) * 2013-11-18 2017-04-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CN103713501B (zh) * 2013-12-16 2017-02-15 江西镭博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显影盒
CN104765257B (zh) 2014-01-06 2019-11-26 兄弟工业株式会社 具有驱动力接收构件的显影盒
JP6136938B2 (ja) 2014-01-06 2017-05-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6079687B2 (ja) * 2014-03-31 2017-02-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137029B2 (ja) * 2014-03-31 2017-05-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221905B2 (ja) * 2014-03-31 2017-11-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137028B2 (ja) 2014-03-31 2017-05-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137027B2 (ja) 2014-03-31 2017-05-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079688B2 (ja) * 2014-03-31 2017-02-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135583B2 (ja) * 2014-03-31 2017-05-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2016071053A (ja) * 2014-09-29 2016-05-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37792B2 (ja) 2015-02-06 2018-06-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1536825S (ko) * 2015-05-27 2015-11-02
JP1536824S (ko) * 2015-05-27 2015-11-02
CN106383432B (zh) * 2015-08-04 2023-10-24 江西镭博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显影盒
DE112015003349T5 (de) 2015-09-29 2017-09-0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Entwicklerkartusche
CN107077084B (zh) 2015-09-29 2021-05-11 兄弟工业株式会社 显影盒
JP6604126B2 (ja) 2015-10-02 2019-11-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剤カートリッジ
JP6139715B2 (ja) * 2016-01-11 2017-05-3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7151361A (ja) * 2016-02-26 2017-08-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剤カートリッジ
JP2017161722A (ja) 2016-03-09 2017-09-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2017173619A (ja) * 2016-03-24 2017-09-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CN105676607B (zh) * 2016-03-31 2023-08-11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显影盒
TWI655520B (zh) * 2016-06-14 2019-04-01 日商佳能股份有限公司 處理卡匣及電子照片畫像形成裝置
US20210187848A1 (en) * 2016-09-22 2021-06-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wder container
JP6794749B2 (ja) 2016-09-30 2020-12-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
CN106647200B (zh) * 2016-10-28 2023-10-10 珠海联合天润打印耗材有限公司 显影盒
CN106383433B (zh) * 2016-11-18 2023-11-14 珠海联合天润打印耗材有限公司 用于电子照相成像设备的显影盒
JP6711268B2 (ja) * 2016-12-28 2020-06-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2018169533A (ja) * 2017-03-30 2018-11-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2018169535A (ja) * 2017-03-30 2018-11-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2018169510A (ja) * 2017-03-30 2018-11-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2018169536A (ja) 2017-03-30 2018-11-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CN107193196B (zh) * 2017-04-06 2020-06-30 上福全球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成像装置及其墨粉盒
JP7025911B2 (ja) * 2017-12-12 2022-02-25 シャープ株式会社 交換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087447B2 (ja) * 2018-02-28 2022-06-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7483541B2 (ja) 2019-09-17 2024-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11188021B2 (en) 2019-09-17 2021-11-30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including an image bearing member and developer bearing member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JP7375472B2 (ja) * 2019-10-31 2023-11-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3696B2 (ko) 1974-10-18 1978-07-17
JPS6183570A (ja) 1984-10-01 1986-04-28 Ricoh Co Ltd 作像装置
US4974020A (en) 1986-09-30 1990-11-27 Mita Industrial Co. Removable developing units for a copying machine and display for indicating the useful life of the machine
JPS63118042U (ko) 1987-01-23 1988-07-30
JPH01205175A (ja) 1988-02-12 1989-08-17 Nec Corp 消耗品カートリッジ
JP2503295Y2 (ja) 1988-12-05 1996-06-26 カシオ電子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ユニットの検知機構
JPH02262168A (ja) 1989-03-31 1990-10-24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3212656A (ja) 1990-01-18 1991-09-1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107311B2 (ja) * 1990-05-28 2000-11-06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車両用スリップ制御装置
JP2551714Y2 (ja) 1990-07-10 1997-10-2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H04191773A (ja) * 1990-11-27 1992-07-10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4112263U (ja) 1991-03-20 1992-09-30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の判別機構
JP2593315Y2 (ja) 1991-03-26 1999-04-05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JP3150187B2 (ja) 1991-04-15 2001-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6208301A (ja) 1993-01-08 1994-07-26 Konica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3110231B2 (ja) 1993-11-18 2000-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5495323A (en) 1994-02-28 1996-02-27 Xerox Corporation Clean spiral toner cartridge
JP3904246B2 (ja) 1994-04-08 2007-04-11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現像装置
JP3069015B2 (ja) 1994-12-20 2000-07-2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現像装置
EP0715226B1 (en) 1994-11-30 2004-02-11 Sharp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JPH08248838A (ja) 1995-03-11 1996-09-2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266779B2 (ja) 1995-12-08 2002-03-1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プロセスユニット
JP3391969B2 (ja) 1996-02-16 2003-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277115B2 (ja) 1996-03-18 2002-04-22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
JP3545919B2 (ja) 1996-10-22 2004-07-21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容器、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補給容器を構成する部品のリサイクル使用方法
JPH1137169A (ja) 1997-07-24 1999-02-09 Osada Res Inst Ltd 軸連結機構
JP3814378B2 (ja) 1997-07-29 2006-08-3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
US5970293A (en) 1999-01-29 1999-10-19 General Plastic Industrial Co., Ltd. Developer container for use with a developer replenishing device
JP2000338760A (ja) 1999-05-28 2000-12-0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用のカートリッジ
JP2001042585A (ja) 1999-07-27 2001-02-16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6154619A (en) 1999-10-27 2000-11-28 Hewlett-Packard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state of a consumable product such as a replaceable toner cartridge
JP3710375B2 (ja) 2000-12-04 2005-10-2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使用する交換ユニット
JP2002207338A (ja) 2001-01-10 2002-07-26 Ricoh Co Ltd カラー画像形成の色ずれ検出方法,装置およ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4042127B2 (ja) 2001-01-10 2008-02-06 株式会社リコー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3271039A (ja) 2002-03-15 2003-09-25 Sharp Corp イニシャル検知機構及び作像ユニット
JP3997817B2 (ja) 2002-04-02 2007-10-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3337504A (ja) 2002-05-17 2003-11-28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2004012549A (ja) 2002-06-03 2004-01-15 Ricoh Co Ltd カラー画像形成の色ずれ検出方法、その装置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4045603A (ja) 2002-07-10 2004-02-1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画像形成装置
JP4559124B2 (ja) 2003-07-31 2010-10-06 株式会社リコー 色ずれ検出補正方法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4320571B2 (ja) 2003-08-07 2009-08-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419604B2 (ja) 2004-02-26 2010-02-2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353025B2 (ja) 2004-08-10 2009-10-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684624B2 (ja) 2004-11-12 2011-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731918B2 (ja) 2005-01-18 2011-07-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486905B2 (en) 2005-01-28 2009-02-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er cartridge including developer filling port cap and recycling method thereof
JP4372703B2 (ja) * 2005-02-24 2009-11-25 シャープ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4310703B2 (ja) 2005-02-28 2009-08-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4348632B2 (ja) 2005-02-28 2009-10-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CN200962188Y (zh) * 2005-02-28 2007-10-17 兄弟工业株式会社 显影剂盒
JP4310702B2 (ja) 2005-02-28 2009-08-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190068B2 (en) 2005-03-04 2012-05-29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with mounting attitude regulation and drive receiving member rotation suppression features
CN101151162B (zh) * 2005-03-28 2011-03-02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液体盒、液体盒装载/卸载设备、记录装置和液体喷射装置
EP1717647B1 (en) 2005-04-27 2013-01-1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for image-forming device
JP4720352B2 (ja) 2005-08-08 2011-07-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ユニット
KR100765757B1 (ko) 2005-08-22 2007-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진동저감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JP4765501B2 (ja) 2005-09-14 2011-09-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4345731B2 (ja) * 2005-09-15 2009-10-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093753A (ja) 2005-09-27 2007-04-12 Brother Ind Ltd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7101712A (ja) 2005-09-30 2007-04-19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4857739B2 (ja) * 2005-11-30 2012-01-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CN2869939Y (zh) 2005-12-01 2007-02-14 珠海天威技术开发有限公司 激光打印机用显影盒
JP4376861B2 (ja) 2005-12-16 2009-12-02 シャープ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386034B2 (ja) 2005-12-27 2009-12-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349373B2 (ja) 2006-01-27 2009-10-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7298543A (ja) * 2006-04-27 2007-11-15 Fuji Xerox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CA2657483C (en) 2006-07-28 2012-10-09 Intervet International B.V. Macrolide synthesis process
JP4823836B2 (ja) 2006-09-29 2011-11-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内蓋及びそれを用いた現像剤収容体、並びにその現像剤収容体の閉塞方法及び内蓋の取り外し方法
JP5101921B2 (ja) 2006-10-04 2012-12-1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および色ずれ検出方法
EP1950625B1 (en) 2007-02-28 2014-10-2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cartridge
JP5029066B2 (ja) 2007-02-28 2012-09-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893369B2 (ja) 2007-02-28 2012-03-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458104B2 (ja) 2007-02-28 2010-04-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636037B2 (ja) 2007-02-28 2011-02-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剤収容体
JP2008216919A (ja) 2007-03-07 2008-09-18 Murata Mach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と、トナー充填口の密閉封止用のキャップ
JP5110963B2 (ja) 2007-05-22 2012-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着脱可能なユニットの個別情報読取方法及びその装置、該個別情報読取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2008299125A (ja) 2007-05-31 2008-12-11 Murata Mach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08299123A (ja) 2007-05-31 2008-12-11 Murata Mach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08299124A (ja) 2007-05-31 2008-12-11 Murata Mach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4552972B2 (ja) 2007-06-07 2010-09-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9003375A (ja) 2007-06-25 2009-01-08 Brother Ind Ltd 現像装置
JP4458122B2 (ja) 2007-06-29 2010-04-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US7593653B2 (en) 2007-08-22 2009-09-22 Lexmark International, Inc. Optical sensor system with a dynamic threshold for monitoring toner transfer in an image forming device
JP4859139B2 (ja) 2007-09-10 2012-01-25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998729B2 (ja) 2007-09-28 2012-08-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ツインクラッチ式変速装置
JP5018472B2 (ja) 2007-12-28 2012-09-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9181017A (ja) 2008-01-31 2009-08-13 Brother Ind Ltd 現像カートリッジ
JP2009181031A (ja) 2008-01-31 2009-08-13 Brother Ind Ltd 現像カートリッジ
JP2009180983A (ja) 2008-01-31 2009-08-13 Brother Ind Ltd 現像カートリッジ
KR100892110B1 (ko) 2008-02-22 2009-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 카트리지,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화상형성장치의 인쇄방법
JP2009223017A (ja) 2008-03-17 2009-10-01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2009244562A (ja) 2008-03-31 2009-10-22 Brother Ind Ltd 現像カートリッジ
JP2009244560A (ja) 2008-03-31 2009-10-22 Brother Ind Ltd 現像カートリッジ
JP2009244563A (ja) 2008-03-31 2009-10-22 Brother Ind Ltd 現像カートリッジ
JP5347332B2 (ja) 2008-04-15 2013-11-2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840399B2 (ja) 2008-04-25 2011-12-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577401B2 (ja) 2008-04-25 2010-11-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9276626A (ja) * 2008-05-15 2009-11-26 Murata Mach Ltd トナー容器
JP5235498B2 (ja) 2008-05-20 201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9288549A (ja) 2008-05-29 2009-12-10 Brother Ind Ltd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328230B2 (ja) 2008-06-10 2013-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8131164B2 (en) 2008-08-28 2012-03-06 Sharp Kabushiki Kaisha Process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793432B2 (ja) 2008-12-08 2011-10-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4803267B2 (ja) 2009-02-17 2011-10-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L2908180T3 (pl) 2009-03-30 2018-07-31 Canon Kabushiki Kaisha Zbiornik do uzupełniania wywoływacza i układ uzupełniania wywoływacza
JP5045712B2 (ja) 2009-06-30 2012-10-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201464807U (zh) 2009-07-10 2010-05-12 珠海赛纳科技有限公司 一种图像形成设备用的显影装置及与之匹配使用的复位配件
JP5227914B2 (ja) 2009-07-30 2013-07-03 アスモ株式会社 パワーウインド装置
CN101625537B (zh) 2009-08-05 2013-03-13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计数机构的显影盒
CN102799090B (zh) 2009-08-05 2014-03-19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计数机构的显影盒
KR101749283B1 (ko) 2009-10-06 2017-06-20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5440119B2 (ja) 2009-11-20 2014-03-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071492B2 (ja) 2010-02-26 2012-11-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556291B2 (ja) 2010-03-24 2014-07-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5440310B2 (ja) 2010-03-24 2014-03-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5556290B2 (ja) 2010-03-24 2014-07-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4919124B2 (ja) 2010-03-31 2012-04-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5115607B2 (ja) 2010-08-31 2013-01-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キャップ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5182342B2 (ja) 2010-09-07 2013-04-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
JP5206776B2 (ja) 2010-11-30 2013-06-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2012145692A (ja) 2011-01-11 2012-08-02 Ricoh Co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3167011U (ja) 2011-01-20 2011-03-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5370399B2 (ja) 2011-03-16 2013-12-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剤収容体およびリサイクル製品の製造方法
US8494380B2 (en) 2011-03-25 2013-07-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er storage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cycling product
JP5803218B2 (ja) 2011-03-31 2015-11-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5716498B2 (ja) 2011-03-31 2015-05-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5273194B2 (ja) 2011-04-28 2013-08-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CN202102251U (zh) 2011-06-22 2012-01-04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计数机构的显影盒
JP5182402B2 (ja) 2011-08-31 2013-04-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5348211B2 (ja) 2011-08-31 2013-11-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5348209B2 (ja) 2011-08-31 2013-11-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5413428B2 (ja) 2011-08-31 2014-02-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5413427B2 (ja) 2011-08-31 2014-02-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2331699B (zh) 2011-09-23 2013-08-28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显影盒
JP5807491B2 (ja) 2011-09-29 2015-11-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5919705B2 (ja) 2011-09-29 2016-05-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07490B2 (ja) 2011-09-29 2015-11-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WO2013073134A1 (en) 2011-11-17 2013-05-23 Canon Kabushiki Kaisha Driving force transmission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5884436B2 (ja) 2011-11-24 2016-03-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5887930B2 (ja) 2011-12-28 2016-03-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887931B2 (ja) 2011-12-28 2016-03-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045855B2 (ja) 2012-02-03 2012-10-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CN202472249U (zh) 2012-03-15 2012-10-03 珠海市汇威打印机耗材有限公司 一种碳粉盒
JP6065399B2 (ja) 2012-03-28 2017-01-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202649679U (zh) 2012-07-03 2013-01-02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计数机构的显影盒
JP5900200B2 (ja) 2012-07-09 2016-04-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998687B2 (ja) 2012-07-09 2016-09-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966716B2 (ja) 2012-07-20 2016-08-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歯車伝達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066844A (ja) 2012-09-26 2014-04-17 Brother Ind Ltd 現像器
JP5327374B2 (ja) 2012-10-17 2013-10-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キャップ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5744830B2 (ja) 2012-12-19 2015-07-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65705B2 (ja) 2013-03-27 2017-01-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136603B2 (ja) 2013-06-07 2017-05-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US9244382B2 (en) 2013-06-25 2016-01-2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6102573B2 (ja) 2013-06-28 2017-03-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127779B2 (ja) 2013-06-28 2017-05-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192389B2 (ja) 2013-07-04 2017-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07284B2 (ja) 2013-07-31 2017-10-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50661B2 (ja) 2013-08-12 2017-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
EP3033053A4 (en) 2013-08-16 2017-04-05 Amaranth Medical PTE Bioresorbable scaffold for treatment of bifurcation lesion
CN203673223U (zh) 2013-12-31 2014-06-25 珠海市鑫诚科技有限公司 显影盒计数齿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11110664U1 (de) 2015-06-17
DE202011110660U1 (de) 2015-06-30
WO2011125695A1 (ja) 2011-10-13
EP2378378A3 (en) 2013-03-13
EP2378378A2 (en) 2011-10-19
RU2012146381A (ru) 2014-05-10
CN102207724B (zh) 2013-06-12
US20130272724A1 (en) 2013-10-17
US20160202634A1 (en) 2016-07-14
MY166828A (en) 2018-07-23
DE202011110662U1 (de) 2015-06-30
CN103279020B (zh) 2016-02-10
US9599929B2 (en) 2017-03-21
KR20140073593A (ko) 2014-06-16
SG184356A1 (en) 2012-11-29
CN103365194B (zh) 2016-04-13
BR112012024609B1 (pt) 2021-01-12
RU2015142109A (ru) 2017-04-06
CN103365194A (zh) 2013-10-23
CN103365193A (zh) 2013-10-23
CA2903522C (en) 2017-05-02
AU2011237208B2 (en) 2014-10-02
CN102207724A (zh) 2011-10-05
CN103279020A (zh) 2013-09-04
MX2012011316A (es) 2013-05-06
EP2378378B1 (en) 2020-10-21
US9612552B2 (en) 2017-04-04
CN103365193B (zh) 2016-04-13
RU2567439C2 (ru) 2015-11-10
KR101454098B1 (ko) 2014-10-22
US20150003844A1 (en) 2015-01-01
RU2014118930A (ru) 2015-08-20
KR101524422B1 (ko) 2015-05-29
DE202011110663U1 (de) 2015-06-17
EP3779605A1 (en) 2021-02-17
RU2627931C2 (ru) 2017-08-14
RU2523748C2 (ru) 2014-07-20
BR112012024609A2 (pt) 2016-05-31
US8463145B2 (en) 2013-06-11
JP4919124B2 (ja) 2012-04-18
CA2903522A1 (en) 2011-10-13
AU2011237208A1 (en) 2012-10-25
US20110243578A1 (en) 2011-10-06
CA2795185A1 (en) 2011-10-13
JP2011215374A (ja) 2011-10-27
US8867932B2 (en) 2014-10-21
CA2795185C (en) 201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1735A (ko) 카트리지
KR101911122B1 (ko) 카트리지
US10317816B2 (en) Developing cartridge including rotary member having detectable extending portions for determining presence of the developing cartridge
JP5045855B2 (ja) カートリッジ
US9651895B2 (en) Developing cartridge
JP5803218B2 (ja) カートリッジ
US9104172B2 (en) Detecting a developing cartridge
JP5273194B2 (ja) カートリッジ
JP5900200B2 (ja) 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716498B2 (ja) カートリッジ
JP6079687B2 (ja) カートリッジ
JP606086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6006537A (ja) カートリッジ
JP5751363B2 (ja) カートリッジ
JP5494863B2 (ja) 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