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6612A -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6612A
KR20050076612A KR1020050002837A KR20050002837A KR20050076612A KR 20050076612 A KR20050076612 A KR 20050076612A KR 1020050002837 A KR1020050002837 A KR 1020050002837A KR 20050002837 A KR20050002837 A KR 20050002837A KR 20050076612 A KR20050076612 A KR 20050076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foil
substrate
metal
layer
wiring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3594B1 (ko
Inventor
나카무라준이치
Original Assignee
신꼬오덴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꼬오덴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꼬오덴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6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5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58Laminating printed circuit boards onto other substrates, e.g. metallic substr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97Processing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simultaneously, e.g. made from a common substrate, or temporarily stack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57Solder materials or compositions; Methods of application thereof
    • H05K3/3473Plating of sold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44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building the multilayer layer by layer, i.e. build-up multilayer circuits
    • H05K3/4682Manufacture of core-less build-up multilayer circuits on a temporary carrier or on a metal foi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 H05K1/112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directly combined with via connections
    • H05K1/113Via provided in pad; Pad over filled via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5Conductive through-holes or vias
    • H05K2201/09563Metal filled via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818Shape or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5K2201/09009 - H05K2201/09809
    • H05K2201/09909Special local insulating pattern, e.g. as dam around compon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1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 H05K2203/0147Carriers and holders
    • H05K2203/0152Temporary metallic carrier, e.g. for transferr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1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 H05K2203/0147Carriers and holders
    • H05K2203/0156Temporary polymeric carrier or foil, e.g. for processing or transfer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3Metal processing
    • H05K2203/0338Transferring metal or conductive material other than a circuit pattern, e.g. bump, solder, printed compon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3Metal processing
    • H05K2203/0376Etching temporary metallic carrier substr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7Treatments involving liquids, e.g. plating, rinsing
    • H05K2203/0703Plating
    • H05K2203/0726Electroforming, i.e. electroplating on a metallic carrier thereby forming a self-support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7Treatments involving liquids, e.g. plating, rinsing
    • H05K2203/0703Plating
    • H05K2203/0733Method for plating stud vias, i.e. massive vias formed by plating the bottom of a hole without plating on the wal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5Position of the PCB during processing
    • H05K2203/1536Temporarily stacked PC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 H05K3/022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ecursors of printed circuits, i.e. copper-clad substrates
    • H05K3/025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ecursors of printed circuits, i.e. copper-clad substrates by transfer of thin metal foil formed on a temporary carrier, e.g. peel-apart copp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 H05K3/0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the conductive material being removed chemically or electrolytically, e.g. by photo-etch proces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2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by affixing prefabricated conductor patter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8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 H05K3/386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by the use of an organic polymeric bonding layer, e.g. adhesiv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3/4007Surface contacts, e.g. b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26Assembling b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28Assembling formed circuit to 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5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5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 Y10T29/49156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with selective destruction of conductive pa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공정에서 불량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회로 기판을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금속(구리)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포일(16)이 박리 가능한 상태로 형성된 기판을 준비하고, 금속 포일(16) 위에 제 2 금속(솔더)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층(24)을 포함하는 빌드업 배선을 형성하며, 금속 포일(16)을 기판으로부터 박리함으로써, 금속 포일(16) 위에 빌드업 배선이 형성된 구조의 회로 부재(30)를 얻은 후에, 회로 부재(30)의 금속 포일(16)을 금속층(24)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금속층(24)을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CIRCUIT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부품의 실장 기판에 적용할 수 있는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일본특허공개공보 2000-323613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는 구리판의 한쪽 면에 소정의 빌드업(build-up) 다층 배선을 형성한 후에, 구리판을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회로 기판을 얻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공보 2003-142617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함)에는 2개의 구리판을 그 주변부에 접착제를 붙여 점착하고, 그 양면에 소정의 빌드업 다층 배선을 각각 형성하며, 이어서 구리판의 주변부를 구리판 본체로부터 떼어내어 2개의 구리판을 분리한 후에, 구리판을 각각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회로 기판을 얻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공보 2003-83893호(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함)에는 금속 베이스의 양면에 소요의 빌드업 다층 배선을 각각 형성한 후에, 금속 베이스를 그 표면에 평행한 면을 따라 절단하여 금속 베이스를 2개로 분리한 후에, 각 금속 베이스를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반도체 소자가 접속되는 배선이 노출되는 회로 기판을 얻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내지 3에 관련되는 제조 방법에서는, 기판으로서 비교적 무거운 구리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에서 각종 트러블이 발생하기 쉽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관련되는 제조 방법에서는, 면적이 50×50㎠, 두께가 0.4㎜인 2개의 구리판이 사용되고, 이 2개의 구리판을 점착하면 무게가 1.8㎏ 정도로 무거워진다. 이 때문에, 구리판을 취급할 때에 작업성이 나쁜 동시에, 제조 공정에서 무거운 구리판을 반송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반송 장치에 트러블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구리판은 최종적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그 두께는 얇은 것이 좋지만, 지나치게 얇으면 탄성(彈性) 및 강성(剛性)이 약해져, 반송 시에 분열되는 등의 트러블이 발생한다. 반대로, 구리판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구리판을 제거할 때의 에칭량이 많아져, 비용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관련되는 제조 방법에서는, 2개의 구리판의 접착제가 마련된 주변부(예를 들어, 3㎝ 정도)는 소위 점착 마진(margin for pasting)으로 되어 파기(破棄)되기 때문에, 구리판 전체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없어, 생산성이 불리해지는 경우가 상정(想定)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과제를 감안하여 창작된 것이며, 제조 공정에서 불량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회로 기판을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한쪽 면에 제 1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포일이 박리(剝離) 가능한 상태로 형성된 기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금속 포일 위에 제 2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빌드업 배선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금속 포일을 상기 기판으로부터 박리함으로써, 상기 금속 포일 위에 상기 빌드업 배선이 형성된 구조의 회로 부재를 얻는 공정과, 상기 회로 부재의 상기 금속 포일을 상기 금속층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상기 금속층을 노출시키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회로 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베이스 기판으로서, 기판(수지 등) 위에 금속 포일(구리 포일 등)이 박리 가능한 상태로 형성된 것이 사용된다. 이 때문에, 종래 기술과 같은 무거운 구리판을 사용하는 경우보다도 특별히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베이스 기판을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할 때의 트러블 발생이 방지된다.
그리고, 이 베이스 기판의 금속 포일 위에 제 2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층(솔더층 등)을 포함하는 빌드업 배선이 형성된 후에, 금속 포일이 기판으로부터 박리되어, 금속 포일 위에 금속층을 포함하는 빌드업 배선이 형성된 구조의 회로 부재가 얻어진다. 이어서, 회로 부재의 금속 포일이 금속층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금속층이 노출되어 회로 기판이 얻어진다. 회로 기판의 금속층은, 예를 들어, 범프로서 기능하고, 회로 기판에 탑재되는 전자부품(반도체 칩 등)에 접속된다.
제 2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빌드업 배선의 형성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우선, 소요부(所要部)에 개구부가 설치된 절연막이 베이스 기판의 금속 포일 위에 형성된 후에, 그 개구부의 금속 포일 부분에 오목부가 형성된다. 이어서, 금속 포일을 도금 급전층으로서 이용한 전해 도금에 의해, 오목부 및 개구부에 금속층(솔더층 등)이 형성된다. 또한, 금속층에 접속되는 배선 패턴이 절연막 위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박막의 금속 포일(두께가, 예를 들어, 30∼40㎛) 위에 범프로 되는 금속층이나 그것에 접속되는 배선 패턴을 형성한 후에 금속 포일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회로 기판을 얻도록 했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같은 구리판(두께가 0.4㎜ 정도)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에칭량을 특별히 적게 할 수 있어, 대폭적인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기판의 양면 측에 금속층이나 그것에 접속되는 배선 패턴을 형성할 경우에도, 종래 기술과 같은 2개의 구리판 주변부를 점착하는 방법과 달리, 폐기(廢棄)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베이스 기판 위의 전체 영역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한쪽 면에 금속 포일이 박리 가능한 상태로 형성된 기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개구부가 설치된 절연막을 상기 금속 포일 위에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금속 포일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배선 패턴을 상기 절연막 위에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금속 포일을 박리함으로써, 상기 금속 포일, 절연막 및 상기 제 1 배선 패턴에 의해 구성되는 회로 부재를 얻는 공정과, 상기 회로 부재의 금속 포일을 패터닝함으로써, 상기 제 1 배선 패턴에 상기 절연막의 개구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배선 패턴을 상기 절연막의 제 1 배선 패턴이 형성된 면과 반대면에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판(수지 등) 위에 박리할 수 있는 상태로 설치된 금속 포일 위에 소정의 빌드업 배선이 형성된다. 이어서, 기판으로부터 금속 포일이 박리되어, 한쪽 면에 빌드업 배선이 형성되고, 다른쪽 면에 금속 포일이 설치된 회로 부재를 얻는다. 그 후에, 회로 부재의 금속 포일이 패터닝되어 빌드업 배선에 접속되는 배선 패턴으로 된다.
이렇게 하여도, 상기한 발명과 동일하게, 기판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베이스 기판을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할 때의 트러블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금속 포일이 최종적으로 제거되는 것이 아니라, 배선 패턴으로서 효과적으로 이용하도록 했기 때문에, 비용 저감화를 더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을 차례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유리 에폭시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기판(10)을 준비한다. 그 후에,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가 3∼5㎛인 박막 구리 포일(12) 위에 두께가 30∼40㎛인 캐리어 구리 포일(16)이 박리층(접착층)(14)을 통하여 점착된 구조의 캐리어 부착 구리 포일(18)을 준비한다. 캐리어 구리 포일(16)은 박막 구리 포일(12)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지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마찬가지로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캐리어 부착 구리 포일(18)의 박막 구리 포일(12)의 노출면을 수지 기판(10)의 양면에 각각 점착한다. 이 때, 캐리어 부착 구리 포일(18)의 박막 구리 포일(12)의 노출면에는 혹 형상의 요철(凹凸)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구리 포일(18)의 요철이 수지 기판(10)에 맞물려 소위 앵커(anchor) 효과에 의해, 캐리어 부착 구리 포일(18)은 수지 기판(10)에 밀착성이 양호한 상태로 점착된다. 한편, 박막 구리 포일(12)과 캐리어 구리 포일(16)은 박리층(14)을 통하여 점착되어 있고, 캐리어 구리 포일(16)은 박리층(14)과의 계면(界面)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의 (b)의 구조체를 베이스 기판(20)으로서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기판(20)은 수지 기판(10) 위에 캐리어 부착 구리 포일(18)이 점착된 것이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구리판보다도 특별히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베이스 기판(20)의 취급이 용이해져 작업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베이스 기판(20)을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할 때의 트러블 발생이 방지된다.
이어서, 이러한 베이스 기판(20)의 양면에 빌드업 다층 배선을 형성한다. 즉, 도 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소요부에 개구부(22x)가 설치된 제 1 절연막(22)을 베이스 기판(20) 양면 측의 캐리어 구리 포일(16) 위에 각각 형성한다. 제 1 절연막(22)의 재료로서는, 에폭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노볼락계 수지 또는 아크릴계 수지 등이 사용된다. 제 1 절연막(22)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감광성 수지막을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해 패터닝하는 방법이 있다. 또는, 필름 형상 수지를 적층(laminating)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수지막을 스핀 코팅 또는 인쇄에 의해 형성하고, 그 후에, 이 수지막을 레이저나 RIE에 의해 에칭함으로써 개구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는, 필름 형상 수지의 소요부를 금형(金型)에 의해 펀칭(punching)하여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수지막을 점착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스크린 인쇄에 의해 개구부가 설치된 수지막을 패터닝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절연막(22)의 개구부(22x)에 노출되는 캐리어 구리 포일(16) 부분을 에칭함으로써 오목부(16x)를 형성한다.
이어서,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어 구리 포일(16)을 도금 급전층으로서 이용한 전해 도금에 의해, 베이스 기판(20) 양면 측의 캐리어 구리 포일(16)의 오목부(16x) 및 제 1 절연막(22)의 개구부(22x) 일부에 솔더층(24)을 각각 형성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캐리어 구리 포일(16)은 최종적으로 에칭되어 제거되기 때문에, 캐리어 구리 포일(16) 위에 형성되는 금속층의 재료로서는, 캐리어 구리 포일(16)의 에칭에 대하여 내성(耐性)을 갖는 금속이 선택된다. 그러한 금속 재료로서는, 솔더 이외에 금(Au) 등이 있다.
이어서, 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솔더층(24)에 접속되는 제 1 배선 패턴(26)을 수지 기판(10) 양면 측의 제 1 절연막(22) 위에 각각 형성한다. 제 1 배선 패턴(26)은, 예를 들어, 세미애디티브법(semi-additive process)에 의해 형성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무전해 도금 또는 스퍼터링법에 의해, Cu 시드층(seed layer)(도시 생략)을 형성한 후에, 제 1 배선 패턴(26)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구비한 레지스트막(도시 생략)을 형성한다. 이어서, Cu 시드층을 도금 급전층으로서 이용한 전해 도금에 의해, 레지스트막의 개구부에 Cu막 패턴(도시 생략)을 형성한다. 이어서, 레지스트막을 제거한 후에, Cu막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Cu 시드층을 에칭함으로써, 제 1 배선 패턴(26)을 얻는다.
이어서,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배선 패턴(26) 위에 비어 홀(22y)이 설치된 제 2 절연막(22a)을 베이스 기판(20)의 양면 측에 각각 형성한다. 제 2 절연막(22a)은 상술한 제 1 절연막(22)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이어서,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 배선 패턴(26)의 형성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비어 홀(22y)을 통하여 제 1 배선 패턴(26)에 접속되는 제 2 배선 패턴(26a)을 베이스 기판(20) 양면 측의 제 2 절연막(22a) 위에 각각 형성한다.
이상에 의해, 캐리어 구리 포일(16) 위에 솔더층(24)을 포함하는 빌드업 배선이 형성된다. 도 3의 (b)에서는, 솔더층(24)에 접속되는 2층의 제 1 및 제 2 배선 패턴(26, 26a)이 형성된 형태가 예시되어 있지만, n층(n은 1이상의 정수)의 배선 패턴을 형성한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기판(20) 양면 측의 제 2 배선 패턴(26a)의 접속부(26x)를 각각 노출시키는 개구부(28x)가 설치된 솔더 레지스트막(28)을 도 3의 (b)의 구조체 양면에 각각 형성한다.
이어서,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 기판(10) 양면 측의 캐리어 구리 포일(16)을 박리층(14)과의 계면으로부터 각각 박리함으로써, 수지 기판(10)으로부터 캐리어 구리 포일(16)을 분리한다. 이것에 의해,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캐리어 구리 포일(16) 위에 솔더층(24)을 포함하는 빌드업 배선이 형성된 구조의 회로 부재(30)가 얻어진다.
그 후에,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회로 부재(30)의 캐리어 구리 포일(16)을 솔더층(24) 및 제 1 절연막(22)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예를 들면, 염화제이철 수용액, 염화제이구리 수용액 또는 과황산암모늄 수용액 등을 사용한 습식 에칭에 의해, 솔더층(24) 및 제 1 절연막(22)에 대하여 캐리어 구리 포일(16)을 선택적으로 에칭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배선 패턴(26)의 하면(下面)에 접속된 솔더층(24)이 노출되어 범프(25)로 되고, 제 1 실시예의 회로 기판(1)이 얻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회로 기판을 전자부품 패키지에 사용한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회로 기판(1)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부품 패키지에 사용될 경우는, 회로 기판(1)의 범프(25)에 반도체 칩 등의 전자부품(40)이 접속되고, 제 2 배선 패턴(26a)의 접속부(26x)에 외부 접속 단자(27)가 설치된다. 도 6에는 회로 기판(1)을 BGA(Ball Grid Array)형으로서 사용하는 형태가 예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외부 접속 단자(27)는 솔더 볼로 구성된다. 또한, 회로 기판(1)을 PGA(Pin Grid Array)형으로서 사용할 경우는, 제 2 배선 패턴(26a)의 접속부(26x)에 리드 핀(lead pin)이 접속된다. 또한, 회로 기판(1)을 LGA(랜드 Grid Array)형으로서 사용할 경우는, 접속부(26x)가 랜드(land)로서 사용된다.
그리고, 회로 기판(1)의 외부 접속 단자(27)(솔더 볼이나 리드 핀), 또는 제 2 배선 패턴(26a)의 접속부(26x)(랜드)가 배선 기판(마더보드(mother board))에 접속된다.
캐리어 구리 포일(16) 위에 형성되는 범프(25)는 위치 정밀도가 높으며 고밀도로 형성되고, 또한 범프(25)에 접속되는 배선 패턴도 캐리어 구리 포일(16) 측이 보다 높은 정밀도로 형성된다. 이것은 배선 패턴을 적층함에 따라 절연막의 평탄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어, 상측의 배선 패턴이 하측의 배선 패턴보다도 더 정밀도가 저하되기 쉽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회로 기판(1)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범프(25)를 고밀도의 접속부를 구비한 전자부품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로서 이용하는 것이 좋다.
또는, 도 6의 형태와는 반대로, 제 2 배선 패턴(26a)의 접속부(26x)에 반도체 칩 등의 전자부품의 범프가 접속되고, 회로 기판(1)의 범프(25)가 배선 기판(마더보드)에 접속되도록 하여도 지장이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포일로서 캐리어 구리 포일(16)을 예시하고, 제 2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층으로서 솔더층(24)을 예시했지만, 이 조합에 한정되지 않아, 제 1 금속이 제 2 금속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금속 재료의 조합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수지 기판(10)의 양면에 캐리어 부착 구리 포일(18)이 점착된 베이스 기판(20)을 사용하고, 그 양면 측에 빌드업 배선을 각각 형성하는 형태를 예시했지만, 수지 기판(10)의 한쪽 면에 캐리어 부착 구리 포일(18)이 점착된 베이스 기판을 사용하고, 그 한쪽 면에 빌드업 배선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베이스 기판(20)의 한쪽 면으로부터 복수의 회로 기판이 얻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로 기판(1)을 제조하기 위한 베이스 기판(20)으로서, 수지 기판(10) 위에 캐리어 부착 구리 포일(18)이 점착된 것을 사용하기 때문에,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어, 제조 공정에서의 반송 시에 트러블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캐리어 구리 포일(16)은 그 두께가, 예를 들어, 30∼40㎛로서,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구리판(두께가 0.4㎜)보다도 두께가 특별히 얇기 때문에 에칭량을 대폭으로 삭감할 수 있어,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구리판 주변부를 점착하여 베이스 기판으로서 사용하는 종래 기술과 달리, 폐기되는 영역이 없고 베이스 기판(20) 위의 전체 영역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을 차례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2 실시예가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베이스 기판으로서, 수지 기판 위에 박리할 수 있는 상태로 1층의 구리 포일이 형성된 것을 사용하고, 구리 포일을 최종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구리 포일을 배선 패턴으로서 이용하는 것에 있다.
제 2 실시예의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은,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수지 기판(10)을 준비하고, 두께가, 예를 들어, 10∼40㎛인 구리 포일(12)을 수지 기판(10)의 양면에 접착층(13)에 의해 각각 점착한다. 도 7의 (b)의 평면도를 더 참조하면, 접착층(13)은 수지 기판(10)의 전체에 걸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수지 기판(10) 중 가장자리 측의 링 형상 영역(도 7의 (b)의 사선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즉, 수지 기판(10)과 구리 포일(12)은 접착층(13)이 설치된 부분 이외의 영역에서는 단순히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제 2 실시예에서는, 도 7의 (a)의 구조체를 베이스 기판(20a)으로서 사용한다. 베이스 기판(20a)은 수지 기판(10) 위에 구리 포일(12)이 설치된 것이기 때문에,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종래 기술보다도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베이스 기판(20a)의 취급이 용이해져 반송 트러블의 발생이 방지된다.
이어서,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32x)가 설치된 절연막(32)을 베이스 기판(20a) 양면 측의 구리 포일(12) 위에 각각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절연막(32)의 개구부(32x) 저부(底部)에 구리 포일(12)이 노출된 상태로 된다. 그러한 절연막(32)은 제 1 실시예의 제 1 절연막(22)과 동일한 재료 및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이어서,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세미애디티브법 등에 의해, 절연막(32)의 개구부(32x)를 통하여 구리 포일(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배선 패턴(36)을 베이스 기판(20a) 양면 측의 절연막(32) 위에 각각 형성한다. 또한, 베이스 기판(20a) 양면 측의 절연막(32) 위에 n층(n은 1이상의 정수)의 배선 패턴이 각각 적층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 후에, 도 8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배선 패턴(36) 위에 개구부(28x)가 설치된 솔더 레지스트막(28)을 베이스 기판(20a)의 양면 측에 각각 형성한다. 또한, 솔더 레지스트막(28)의 개구부(28x) 내의 제 1 배선 패턴(36) 위에 Ni/Au 도금을 실시함으로써 접속부(29)를 형성한다.
이어서, 도 8의 (c)의 A로 도시되는 부분(도 7의 (b)의 접착층(13)으로부터 내측의 링 형상 부분에 상당)을 절단한다. 이것에 의해,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8의 (c)의 구조체로부터 베이스 기판(20a)의 접착층(13)을 포함하는 가장자리 부분이 제거된다.
이 단계에서는, 도 9의 (a)의 구조체에서는 접착층(13)이 형성된 영역이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 기판(10)과 구리 포일(12)은 전체에 걸쳐 단순히 접촉하고 있을 뿐이며, 수지 기판(10)과 구리 포일(12)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어서,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 기판(10)과 구리 포일(12)의 계면으로부터 박리하여, 수지 기판(10)과 구리 포일(12)을 분리함으로써, 2개의 회로 부재(50)가 얻어진다. 회로 부재(50)는 구리 포일(12), 절연막(32), 그 개구부(32x)를 통하여 구리 포일(12)에 접속된 제 1 배선 패턴(36) 및 솔더 레지스트막(28)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수지 기판(10)은 폐기된다.
이어서,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로 부재(50)의 한쪽 면의 구리 포일(12)을 포토리소그래피 및 에칭에 의해 패터닝하여 제 2 배선 패턴(36a)을 형성한다. 제 2 배선 패턴(36a)은 절연막(32)의 개구부(32x)를 통하여 제 1 배선 패턴(3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후에,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배선 패턴(36a) 위에 개구부(28x)가 설치된 솔더 레지스트막(28)을 도 10의 (a)의 회로 부재(50) 하면 측에 형성한다. 또한, 솔더 레지스트막(28)의 개구부(28x)의 제 2 배선 패턴(36a) 위에 Ni/Au 도금을 실시하여 접속부(29)를 형성한다.
이상에 의해, 제 2 실시예의 회로 기판(1a)이 얻어진다.
또한, 수지 기판(10)의 한쪽 면에 구리 포일(12)이 설치된 베이스 기판을 사용하고, 그 한쪽 면에 빌드업 배선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베이스 기판(20a)의 한쪽 면 측으로부터 복수의 회로 기판이 얻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1a)에서는, 바람직하게는, 회로 기판(1a)의 제 1 배선 패턴(36)의 접속부(29)가 배선 기판(마더보드)에 접속되는 외부 접속부로 되고, 제 2 배선 패턴(36a)의 접속부(29)에 반도체 칩 등의 전자부품(도시 생략)이 접속된다. 또는, 반대로, 회로 기판(1a)의 제 1 배선 패턴(36)의 접속부(29)에 반도체 칩 등의 전자부품이 접속되고, 제 2 배선 패턴(36a)의 접속부(29)가 외부 접속부로 되도록 하여도 지장이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서는, 우선, 수지 기판(10)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접착층(13)에 의해 수지 기판(10) 위에 점착된 구리 포일(12) 위에 소정의 빌드업 배선이 형성된다. 그 후에, 수지 기판(10)의 접착층(13)을 포함하는 가장자리 부분이 절단되어 제거된다. 이어서, 수지 기판(10)과 구리 포일(12)의 계면으로부터 박리하여, 한쪽 면에 빌드업 배선을 구비하고, 다른쪽 면에 구리 포일(12)을 구비한 회로 부재(50)를 얻는다. 그 후에, 회로 부재(50)의 구리 포일(12)을 패터닝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기술 사상에 의거하여, 베이스 기판(20a)으로서 수지 기판(10) 위에 구리 포일(12)이 설치된 것을 사용하기 때문에,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베이스 기판(20a)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어, 제조 공정에서의 반송 트러블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구리 포일(12)은 최종적으로 제거되는 것이 아니라, 제 2 배선 패턴(36a)으로서 이용되도록 했기 때문에, 제 1 실시예보다도 구리 포일(12)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비용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수지 기판(지지판)(10)은 구리 포일(12)로부터 분리된 후에 폐기되어, 종래 기술과 같은 지지 금속판을 에칭에 의해 제거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간단해져,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에서는 1층의 구리 포일(12)이 점착된 수지 기판(10)을 베이스 기판(20a)으로서 사용하기 때문에, 제 1 실시예보다도 베이스 기판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을 차례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3 실시예가 제 2 실시예와 다른 점은, 베이스 기판으로서, 수지 기판 위에 박리층을 통하여 구리 포일이 점착된 것을 사용하는 것에 있다.
제 3 실시예의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은,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수지 기판(10)의 양면 측에 박리층(14)을 통하여 구리 포일(12)이 점착된 구조의 베이스 기판(20b)을 준비한다. 박리층(14)은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며, 나중의 공정에서 박리층(14)과 구리 포일(12)의 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어서,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베이스 기판(20b) 양면 측의 구리 포일(12) 위에 개구부(32x)가 설치된 절연막(32)을 각각 형성한 후에, 개구부(32x)를 통하여 구리 포일(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배선 패턴(36)을 각각 형성한다.
이어서, 도 1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게, 베이스 기판(20b) 양면 측의 제 1 배선 패턴(36) 위에 개구부(28x)가 설치된 솔더 레지스트막(28)을 각각 형성한 후에, 그 개구부(28x) 내의 제 1 배선 패턴(36) 위에 Ni/Au 도금을 실시함으로써 접속부(29)를 각각 형성한다.
이어서,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리층(14)과 구리 포일(12)의 계면으로부터 박리하여, 2개의 회로 부재(50)를 얻는다. 그리고, 박리층(14)이 남겨진 수지 기판(10)은 폐기된다.
또한,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로 부재(50)의 구리 포일(12)을 패터닝함으로써, 절연막(32)의 개구부(32x)를 통하여 제 1 배선 패턴(36)에 접속되는 제 2 배선 패턴(36a)을 형성한다.
또한, 도 1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배선 패턴(36a) 위에 개구부(28x)가 설치된 솔더 레지스트막(28)을 도 12의 (b)의 회로 부재(50) 하면 측에 형성한 후에, 그 개구부(28x)의 제 2 배선 패턴(36a) 위에 접속부(29)를 형성한다.
이상에 의해,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의 회로 기판(1b)이 얻어진다.
제 3 실시예는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제 3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기판(20b)으로서 수지 기판(10) 위에 박리층(14)을 통하여 구리 포일(12)이 점착된 것을 사용하고, 박리층(14)과 구리 포일(12)의 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2 실시예와 달리, 수지 기판(10)과 구리 포일(12)을 박리하기 위해 베이스 기판(20b)의 가장자리 부분을 절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 2 실시예보다도 제조 공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더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구리 포일(12)을 배선 패턴으로서 이용하는 대신에, 제 1 실시예의 캐리어 구리 포일(16)과 동일하게, 구리 포일(12)에 오목부를 설치하여, 범프 형성에 이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조 공정에서 불량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회로 기판을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의 (a)∼(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제 1 단면도.
도 2의 (a)∼(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제 2 단면도.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제 3 단면도.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제 4 단면도.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제 5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회로 기판을 전자부품의 패키지에 사용한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제 1 단면도.
도 8의 (a)∼(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제 2 단면도.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제 3 단면도.
도 10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제 4 단면도.
도 11의 (a)∼(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제 1 단면도.
도 12의 (a)∼(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제 2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로 기판
10 : 수지 기판
12 : 박막 구리 포일(또는 구리 포일)
13 : 접착층
14 : 박리층
16 : 캐리어 구리 포일(금속 포일)(carrier copper foil)
16x : 오목부
18 : 캐리어 부착 구리 포일(carrier-backed copper foil)
20, 20a, 20b : 베이스 기판
22 : 제 1 절연막
22x, 28x, 32x : 개구부
22a : 제 2 절연막
22y : 비어 홀(via hall)
24 : 솔더층(금속층)
25 : 범프
26, 36 : 제 1 배선 패턴
26a, 36a : 제 2 배선 패턴
26x, 29 : 접속부
27 : 외부 접속 단자
28 : 솔더 레지스트막
30, 50 : 회로 부재
32 : 절연막
40 : 전자부품

Claims (13)

  1. 적어도 한쪽 면에 제 1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포일(foil)이 박리(剝離) 가능한 상태로 형성된 기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금속 포일 위에 제 2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빌드업(build-up) 배선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금속 포일을 상기 기판으로부터 박리함으로써, 상기 금속 포일 위에 상기 빌드업 배선이 형성된 구조의 회로 부재를 얻는 공정과,
    상기 회로 부재의 상기 금속 포일을 상기 금속층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상기 금속층을 노출시키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포일 위에 빌드업 배선을 형성하는 공정은,
    소요부(所要部)에 개구부가 설치된 절연막을 상기 금속 포일 위에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절연막의 개구부의 상기 금속 포일 부분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금속 포일을 도금 급전층으로 이용한 전해 도금에 의해, 상기 오목부 및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금속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금속층에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접속되는 배선 패턴을 상기 절연막 위에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3. 적어도 한쪽 면에 금속 포일이 박리 가능한 상태로 형성된 기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개구부가 설치된 절연막을 상기 금속 포일 위에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금속 포일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배선 패턴을 상기 절연막 위에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금속 포일을 박리함으로써, 상기 금속 포일, 절연막 및 상기 제 1 배선 패턴에 의해 구성되는 회로 부재를 얻는 공정과,
    상기 회로 부재의 금속 포일을 패터닝함으로써, 상기 제 1 배선 패턴에 상기 절연막의 개구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배선 패턴을 상기 절연막의 제 1 배선 패턴이 형성된 면과 반대면에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포일이 박리 가능한 상태로 형성된 기판은,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된 접착층에 의해 상기 기판 위에 상기 금속 포일이 점착된 것이며,
    상기 회로 부재를 얻는 공정은, 상기 기판의 상기 접착층을 포함하는 가장자리 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한 후에,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금속 포일을 분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포일이 박리 가능한 상태로 형성된 기판은, 상기 기판과 상기 금속 포일 사이에 박리층이 개재된 것이며,
    상기 회로 부재를 얻는 공정은 상기 박리층과 상기 금속 포일의 계면(界面)으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포일은 구리 포일이고, 상기 제 2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금속층은 솔더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포일이 박리 가능한 상태로 형성된 기판은, 구리 포일, 박리층 및 캐리어 구리 포일(carrier copper foil)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의 캐리어 부착 구리 포일(carrier-backed copper foil)이 점착된 기판으로서, 상기 금속 포일은 상기 캐리어 구리 포일이고,
    상기 회로 부재를 얻는 공정에서, 상기 캐리어 구리 포일을 상기 박리층과의 계면으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양면에 상기 캐리어 부착 구리 포일이 점착되어 있고, 상기 기판의 양면 측으로부터 상기 회로 부재가 각각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포일이 박리 가능한 상태로 형성된 기판을 준비하는 공정에서, 상기 금속 포일은 상기 기판의 양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로 부재를 얻는 공정에서, 상기 기판의 양면 측으로부터 상기 회로 부재가 각각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을 노출시키는 공정에서, 상기 금속층은 상기 배선 패턴에 접속되는 범프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패턴을 상기 절연막 위에 형성하는 공정에서, 상기 배선 패턴은 n층(n은 1이상의 정수)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KR1020050002837A 2004-01-19 2005-01-12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KR1010935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10467 2004-01-19
JP2004010467 2004-01-19
JPJP-P-2004-00162913 2004-06-01
JP2004162913A JP4541763B2 (ja) 2004-01-19 2004-06-01 回路基板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612A true KR20050076612A (ko) 2005-07-26
KR101093594B1 KR101093594B1 (ko) 2011-12-15

Family

ID=34889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837A KR101093594B1 (ko) 2004-01-19 2005-01-12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222421B2 (ko)
JP (1) JP4541763B2 (ko)
KR (1) KR101093594B1 (ko)
CN (1) CN100569051C (ko)
TW (1) TWI343774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669B1 (ko) * 2007-12-27 2009-11-10 대덕전자 주식회사 코어리스 패키지 기판 제조 공법에 의한 솔더 온 패드 제조방법
KR101877307B1 (ko) * 2012-07-09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기판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 제조 방법
WO2018117604A3 (ko) * 2016-12-20 2018-08-16 주식회사 두산 인쇄회로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5685B1 (ko) * 2018-07-20 2019-03-08 주식회사 에스아이 플렉스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및 연성 인쇄 회로 기판
CN111556650A (zh) * 2019-02-11 2020-08-18 三星电机株式会社 印刷电路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7559B2 (ja) * 2005-07-26 2011-10-05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52222B2 (ja) * 2005-09-07 2010-04-21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多層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04919B1 (ko) 2005-10-14 2007-04-09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어층이 없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JP4955259B2 (ja) * 2005-11-24 2012-06-20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配線基板、半導体装置、及び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4897281B2 (ja) 2005-12-07 2012-03-14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配線基板の製造方法及び電子部品実装構造体の製造方法
JP4334005B2 (ja) * 2005-12-07 2009-09-16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配線基板の製造方法及び電子部品実装構造体の製造方法
TWI285424B (en) * 2005-12-22 2007-08-11 Princo Corp Substrate including a multi-layer interconnection structure,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recycling the same, method of packaging electronic devices by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erconnection device
JP4912716B2 (ja) * 2006-03-29 2012-04-11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配線基板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8051557B2 (en) 2006-03-31 2011-11-08 Princo Corp. Substrate with multi-layer inter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353591B2 (en) * 2006-04-18 2008-04-08 Kinsus Interconnect Technology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coreless substrate
US7911038B2 (en) 2006-06-30 2011-03-22 Renesas Electronics Corporation Wiring board, semiconductor device using wiring board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JPWO2008029813A1 (ja) * 2006-09-04 2010-01-21 日本電気株式会社 配線基板複合体、半導体装置、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4866268B2 (ja) 2007-02-28 2012-02-01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配線基板の製造方法及び電子部品装置の製造方法
JP4881211B2 (ja) * 2007-04-13 2012-02-22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配線基板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配線基板
JP2009021435A (ja) * 2007-07-12 2009-01-29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 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5043563B2 (ja) * 2007-08-29 2012-10-10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97668B1 (ko) 2007-09-18 2009-05-14 삼성전기주식회사 캐리어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US8238114B2 (en) * 2007-09-20 2012-08-07 Ibiden Co., Ltd. Printed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1528009B (zh) * 2008-03-06 2012-05-23 欣兴电子股份有限公司 线路结构的制造方法
FI121909B (fi) * 2008-04-18 2011-05-31 Imbera Electronics Oy Piirilevy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US9049807B2 (en) 2008-06-24 2015-06-02 Intel Corporation Processes of making pad-less interconnect for electrical coreless substrate
JP5281346B2 (ja) * 2008-09-18 2013-09-04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533449B2 (ja) * 2008-10-16 2010-09-01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配線基板の製造方法
KR20100065691A (ko) * 2008-12-08 2010-06-17 삼성전기주식회사 금속범프를 갖는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095211B1 (ko) * 2008-12-17 2011-12-16 삼성전기주식회사 기판 제조용 캐리어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제조방법
KR101055495B1 (ko) * 2009-04-14 2011-08-08 삼성전기주식회사 기판 제조용 캐리어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제조방법
TWI404481B (zh) * 2009-05-06 2013-08-01 Nan Ya Printed Circuit Board 電路板結構及其製造方法
CN101924037B (zh) * 2009-06-16 2012-08-22 日月光半导体制造股份有限公司 无核心封装基板的制造方法
KR101055586B1 (ko) 2009-07-03 2011-08-08 삼성전기주식회사 금속범프를 갖는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KR101067031B1 (ko) 2009-07-31 2011-09-22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077380B1 (ko) 2009-07-31 2011-10-26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022873B1 (ko) * 2009-09-14 2011-03-16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JP2011108969A (ja) * 2009-11-20 2011-06-02 Hitachi Cable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用配線基板
KR101089649B1 (ko) * 2009-12-01 2011-12-06 삼성전기주식회사 금속적층판 및 이를 이용한 코어기판 제조방법
JP2011138869A (ja) * 2009-12-28 2011-07-14 Ngk Spark Plug Co Ltd 多層配線基板の製造方法及び多層配線基板
KR101055462B1 (ko) * 2010-01-07 2011-08-08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제조용 캐리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TWI455216B (zh) * 2010-05-20 2014-10-01 Adl Engineering Inc 四邊扁平無接腳封裝方法及其製成之結構
JP5395745B2 (ja) * 2010-05-28 2014-01-22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仮基板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TWI393494B (zh) * 2010-06-11 2013-04-11 Unimicron Technology Corp 具有線路的基板條及其製造方法
CN102315202B (zh) * 2010-07-02 2016-03-09 欣兴电子股份有限公司 具有线路的基板条及其制造方法
TWI411073B (zh) * 2010-08-13 2013-10-01 Unimicron Technology Corp 嵌埋被動元件之封裝基板及其製法
KR101119306B1 (ko) * 2010-11-04 2012-03-16 삼성전기주식회사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US20120174394A1 (en) * 2011-01-11 2012-07-12 Samsung Electro Mechanics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 board
TWI413475B (zh) * 2011-03-09 2013-10-21 Subtron Technology Co Ltd 電氣結構製程及電氣結構
TWI445626B (zh) * 2011-03-18 2014-07-21 Eternal Chemical Co Ltd 製造軟性元件的方法
TWI533380B (zh) * 2011-05-03 2016-05-11 旭德科技股份有限公司 封裝結構及其製作方法
KR101216926B1 (ko) * 2011-07-12 2012-12-28 삼성전기주식회사 캐리어 부재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TWI417002B (zh) * 2011-09-19 2013-11-21 Unimicron Technology Corp 線路板及其製作方法
US9230899B2 (en) 2011-09-30 2016-01-05 Unimicron Technology Corporation Packaging substrate having a holder, method of fabricating the packaging substrate, package structure having a holde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package structure
JP2013093538A (ja) * 2011-10-04 2013-05-16 Ngk Spark Plug Co Ltd 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TWI419627B (zh) * 2011-10-12 2013-12-11 Subtron Technology Co Ltd 線路板結構及其製作方法
CN103066048B (zh) * 2011-10-21 2015-11-25 欣兴电子股份有限公司 具有支撑体的封装基板、封装结构及其制法
CN103066049B (zh) * 2011-10-24 2015-09-02 联致科技股份有限公司 封装基板及其制法
JP2012146990A (ja) * 2012-02-22 2012-08-02 Sumitomo Bakelite Co Ltd 多層回路基板、多層回路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
JP6054080B2 (ja) * 2012-07-20 2016-12-27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支持体及びその製造方法、配線基板の製造方法、電子部品装置の製造方法、配線構造体
KR101420499B1 (ko) * 2012-07-26 2014-07-16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코어리스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
TWI463620B (zh) * 2012-08-22 2014-12-01 矽品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封裝基板之製法
JP6063183B2 (ja) * 2012-08-31 2017-01-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剥離可能銅箔付き基板及び回路基板の製造方法
CN103681518A (zh) * 2012-09-12 2014-03-26 景硕科技股份有限公司 芯片及载板的封装结构
CN103681373A (zh) * 2012-09-12 2014-03-26 景硕科技股份有限公司 芯片及载板的封装方法
WO2014050662A1 (ja) * 2012-09-28 2014-04-03 日東電工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接着シート
KR101978371B1 (ko) * 2012-10-29 2019-05-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02970827B (zh) * 2012-11-19 2015-04-22 胜宏科技(惠州)股份有限公司 一种混合材料印刷线路板制作方法
US20150366077A1 (en) * 2013-01-30 2015-12-17 Kyocera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mounted structure
TWI482548B (zh) * 2013-02-04 2015-04-21 Unidisplay Inc 線路結構的製造方法
CN104219876A (zh) * 2013-05-31 2014-12-17 宏启胜精密电子(秦皇岛)有限公司 电路板及其制作方法
JP6161437B2 (ja) 2013-07-03 2017-07-12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半導体パッケージ
JP5543647B2 (ja) * 2013-07-23 2014-07-09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コアレスビルドアップ用支持基板
TWI525769B (zh) * 2013-11-27 2016-03-11 矽品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封裝基板及其製法
CN104703399A (zh) * 2013-12-06 2015-06-10 富葵精密组件(深圳)有限公司 电路板及其制作方法
US9210816B1 (en) * 2013-12-18 2015-12-08 Stats Chippac Ltd. Method of manufacture of support system with fine pitch
US9554468B2 (en) * 2013-12-19 2017-01-24 Intel Corporation Panel with releasable core
US9434135B2 (en) 2013-12-19 2016-09-06 Intel Corporation Panel with releasable core
US9554472B2 (en) * 2013-12-19 2017-01-24 Intel Corporation Panel with releasable core
US9522514B2 (en) 2013-12-19 2016-12-20 Intel Corporation Substrate or panel with releasable core
US9171739B1 (en) * 2014-06-24 2015-10-27 Stats Chippac Ltd. Integrated circuit packaging system with coreless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TWI545997B (zh) * 2014-07-31 2016-08-11 恆勁科技股份有限公司 中介基板及其製法
CN104183567B (zh) * 2014-08-19 2017-03-01 华进半导体封装先导技术研发中心有限公司 薄型封装基板及其制作工艺
US20160073505A1 (en) * 2014-09-05 2016-03-10 Unimicron Technology Corp. Manufacturing method of multilayer flexible circuit structure
US9408301B2 (en) * 2014-11-06 2016-08-02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Substrate structur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CN105632938B (zh) * 2014-11-28 2019-02-05 深南电路有限公司 一种金属载体的加工方法及封装基板
WO2016132424A1 (ja) * 2015-02-16 2016-08-25 日本メクトロン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KR20170023310A (ko) * 2015-08-20 2017-03-03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임베디드 회로 패턴을 가지는 패키지 기판,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CN105228360A (zh) * 2015-08-28 2016-01-06 上海美维科技有限公司 一种带载超薄印制电路板的制造方法
TWI801346B (zh) * 2016-08-05 2023-05-11 日商三菱瓦斯化學股份有限公司 支持基板、附設支持基板之疊層體及搭載半導體元件用之封裝基板的製造方法
CN106531642A (zh) * 2016-12-07 2017-03-22 华进半导体封装先导技术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芯片封装结构及其制备方法
CN109788665B (zh) * 2017-11-14 2020-07-31 何崇文 含电子元件的线路基板及其制作方法
JP7154913B2 (ja) * 2018-09-25 2022-10-18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0227896A1 (en) * 2019-05-13 2020-11-19 Boe Technology Group Co., Ltd. Array substrat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array substrate
US11637060B2 (en) 2019-07-18 2023-04-25 Unimicron Technology Corp. Wiring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2566391B (zh) * 2020-11-24 2021-09-21 深圳和美精艺半导体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三层板msap工艺制造方法及三层板
TWI759095B (zh) * 2021-02-04 2022-03-21 欣興電子股份有限公司 封裝結構及其製作方法
US11178774B1 (en) * 2021-03-23 2021-11-16 Chung W. Ho Method for manufacturing circuit board
CN113257688A (zh) * 2021-05-12 2021-08-13 华宇华源电子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芯片封装方法和芯片封装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6925A (en) * 1977-01-11 1981-12-22 Pactel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high density printed circuit
US5376226A (en) * 1993-01-28 1994-12-27 Trw Inc. Method of making connector for integrated circuit chips
US5505321A (en) * 1994-12-05 1996-04-09 Teledyne Industries, Inc. Fabrication multilayer combined rigid/flex printed circuit board
US5495665A (en) * 1994-11-04 1996-03-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cess for providing a landless via connection
KR100302652B1 (ko) * 1998-09-11 2001-11-30 구자홍 플렉시블인쇄회로기판의제조방법및그방법으로생산한플렉시블인쇄회로기판
JP3635219B2 (ja) 1999-03-11 2005-04-06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用多層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33627B1 (ko) * 2000-04-11 2002-04-22 구자홍 다층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3498732B2 (ja) 2000-06-30 2004-02-16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パッケージ基板及び半導体装置
US6841862B2 (en) 2000-06-30 2005-01-11 Nec Corporation Semiconductor package board using a metal base
JP4520606B2 (ja) * 2000-09-11 2010-08-11 イビデン株式会社 多層回路基板の製造方法
US6772515B2 (en) * 2000-09-27 2004-08-10 Hitachi, Ltd. Method of producing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JP3546961B2 (ja) * 2000-10-18 2004-07-28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搭載用配線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半導体パッケージ
JP4141135B2 (ja) * 2001-03-28 2008-08-27 テセラ・インターコネクト・マテリア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多層配線基板の製造方法
US6582036B2 (en) * 2001-07-23 2003-06-24 The Vendo Company Door retaining device
JP3615727B2 (ja) 2001-10-31 2005-02-02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用パッケージ
US6724834B2 (en) * 2002-02-22 2004-04-20 Albert L. Garrett Threshold detector for detecting synchronization signals at correlator output during packet acquisition
JP2004186265A (ja) * 2002-11-29 2004-07-02 Ngk Spark Plug Co Ltd 多層配線基板の製造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669B1 (ko) * 2007-12-27 2009-11-10 대덕전자 주식회사 코어리스 패키지 기판 제조 공법에 의한 솔더 온 패드 제조방법
KR101877307B1 (ko) * 2012-07-09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기판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 제조 방법
WO2018117604A3 (ko) * 2016-12-20 2018-08-16 주식회사 두산 인쇄회로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5685B1 (ko) * 2018-07-20 2019-03-08 주식회사 에스아이 플렉스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및 연성 인쇄 회로 기판
CN111556650A (zh) * 2019-02-11 2020-08-18 三星电机株式会社 印刷电路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36244A (ja) 2005-09-02
CN1645990A (zh) 2005-07-27
US20050155222A1 (en) 2005-07-21
CN100569051C (zh) 2009-12-09
US20070130762A1 (en) 2007-06-14
KR101093594B1 (ko) 2011-12-15
TW200528003A (en) 2005-08-16
US7716826B2 (en) 2010-05-18
US7222421B2 (en) 2007-05-29
JP4541763B2 (ja) 2010-09-08
TWI343774B (en) 201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3594B1 (ko)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KR101709629B1 (ko) 기둥 형상의 돌출부를 가지는 배선 기판 제조 방법
JP3908157B2 (ja) フリップチップ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1344800B1 (ko) 배선 기판 및 반도체 장치
US8119930B2 (en)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281328B2 (en) Method of fabricating rigid-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6297553B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7377030B2 (en) Wiring board manufacturing method
US20140202740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layer Wiring Substrate, and Multilayer Wiring Substrate
US20090135574A1 (en) Wiring boar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wiring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wiring board
KR101077380B1 (ko)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US20060220242A1 (en) Method for producing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and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KR20070036007A (ko) 반도체 ic 내장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65786A (ko) 플렉시블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 및 전자 부품 실장구조체의 제조 방법
KR20050077270A (ko) 상하도전층의 도통부를 갖는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76803A (ko) 다층 배선기판
KR20120047826A (ko) 다층 배선기판
US2007014399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iring board
KR20060048212A (ko) 전해 도금을 이용한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
US20090236727A1 (en) Wiring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70001110A (ko) 패턴화된 회로 및 그 제조 방법
US11553601B2 (en)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24458B1 (ko) 전자 칩이 내장된 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JP2004273516A (ja) 配線板の製造方法
KR100447495B1 (ko) 테이프캐리어형 반도체패키지의 배선패턴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