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109B1 -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 리튬 고체 전지 및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 리튬 고체 전지 및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109B1
KR101506109B1 KR1020137034563A KR20137034563A KR101506109B1 KR 101506109 B1 KR101506109 B1 KR 101506109B1 KR 1020137034563 A KR1020137034563 A KR 1020137034563A KR 20137034563 A KR20137034563 A KR 20137034563A KR 101506109 B1 KR101506109 B1 KR 101506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electrolyte
sulfide
electrolyte material
sulfide solid
electrode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4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5542A (ko
Inventor
다카마사 오토모
고지 가와모토
시게노리 하마
유키 가토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40025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0/00Devitrified glass ceramics, i.e. glass ceramics having a crystalline phase dispersed in a glassy phase and constituting at least 50%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 C03C10/16Halogen containing crystalline ph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4/00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 C03C4/18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for ion-sensitive g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48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Ti2O4 or LiTi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H01M2300/008Hal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Primary Cells (AREA)

Abstract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Li, A , X 및 S를 함유하는 유리 세라믹스를 포함하고, CuKα선을 이용한 X선 회절 측정에 있어서 2θ=20.2°및 23.6°에서 피크를 갖는다. A는, P, Si, Ge, Al 및 B의 적어도 일종이이고, X는 할로겐이다.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제조 방법은, Li2S, A의 황화물 및 LiX를 함유하는 원료 조성물을 비정질화하여 황화물 유리를 합성하는 공정, 및 상기 황화물 유리를 그의 결정화 온도 이상의 열처리 온도로 가열해, CuKα선을 이용한 X선 회절 측정에 있어서 2θ=20.2°및 23.6°에서 피크를 갖는 유리 세라믹스를 합성하는 공정을 가지고, 상기 원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LiX의 비율 및 상기 열처리 온도는, 상기 유리 세라믹스를 얻을 수 있도록 조정된다.

Description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 리튬 고체 전지 및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제조 방법{SULFIDE SOLID ELECTROLYTE MATERIAL, LITHIUM SOLID-STATE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SULFIDE SOLID ELECTROLYTE MATERIAL}
본 발명은 Li 이온 전도성이 높은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에 관한 것이다.
최근, 퍼스널 컴퓨터, 비디오 카메라 및 휴대 전화 등의 정보 관련 기기 및 통신 기기 등의 급속한 보급에 수반해, 그 전원으로서 이용되는 전지의 개발이 중요시되고 있다. 또, 자동차 산업계 등에 있어서도, 전기 자동차용 혹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용의 고출력 및 고용량을 갖는 전지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현재, 다양한 전지 중에서도, 에너지 밀도가 높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리튬 전지가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리튬 전지는, 가연성의 유기용매를 포함한 전해액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단락시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안전 장치가 설치되야 하고 단락 방지를 위한 구조 및 재료 면에서의 개선이 필요하다. 한편, 전해액 대신에 고체 전해질 층이 사용되는 전고체 (all-solid-state) 리튬 전지는, 전지내에 가연성의 유기용매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 장치가 간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전고체 리튬 전지는 제조 비용 및 생산성이 우수하다고 생각되고 있다. 게다가 이러한 고체 전해질층에 이용되는 고체 전해질 재료로서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가 알려져 있다.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Li 이온 전도성이 높기 때문에, 전지의 고출력화를 도모하는데 있어서 유용하고, 따라서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메카니컬 밀링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LiI-Li2S-P2S5계 비정질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또, 비특허문헌 2에 있어서는, Li6PS5X (X=Cl, Br, I) 로 표시되는 결정질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Tomei 등의 "Preparation of Amorphous Materials in the system LiI-Li2S-P2S5 by Mechanical Milling and Their Lithium Ion Conducting Properties",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On Solid State Ionics, Vol. 23, p. 26-27 (2003) F. Stader 등의 "Crystalline halide substituted Li-argyrodites as solid electrolyte for lithium ion batteries", 216th ECS (The Electrochemical Society) Meeting with EuroCVD 17 and SOFC XI-11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Solid Oxide Fuel Cells, 2009, http://www.electrochem.org/meetings/scheduler/abstracts/216/0590.pdf
Li 이온 전도성이 높은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Li 이온 전도성이 높은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이 열심히 연구를 거듭한 결과, LiX를 도핑한 황화물 유리를 열처리하여 유리 세라믹스를 합성할 때, 각각 한정된 LiX의 첨가량 범위 및 열처리 온도 범위에서, Li 이온 전도도가 지극히 높은 유리 세라믹스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게다가, 본 발명자들은 Li 이온 전도도가 높아지는 이유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신규 결정상에 의한 것이라는 것도 알아냈다. 본 발명은 이들의 지견에 근거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에 관한 것이다.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Li, A, X, 및 S를 갖는 유리 세라믹스를 포함한다. A는, P, Si, Ge, Al 및 B의 적어도 일종이다. X는 할로겐이다.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CuKα선을 이용한 X선 회절 측정에 있어서 2θ=20.2°및 23.6°에서 피크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의하면, X선 회절 측정에 있어서의 특정의 피크 때문에,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고 Li 이온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에서, 유리 세라믹스는, Li, A 및 S를 갖는 이온 전도체, 및 LiX를 포함할 수도 있다.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에서, 상기 LiX의 비율이, 14 mol% 이상이며 30 mol% 미만일 수도 있다.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에서, 상기 LiX의 비율이, 14 mol% 초과이며 30 mol% 미만일 수도 있다.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에서, 상기 LiX의 비율이, 25 mol% 이하일 수도 있다.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에서, 상기 이온 전도체는, 오르토 조성을 갖을 수도 있다. 이는,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가 높은 화학적 안정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전체 결정상에 대해 2θ=20.2°및 23.6°에 대응하는 결정상을 50 mol%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리튬 고체 (solid-state) 전지에 관한 것이다. 리튬 고체 전지는, 정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정극 활물질층, 부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부극 활물질층, 및 상기 정극 활물질층과 상기 부극 활물질층의 사이에 형성된 고체 전해질층을 갖는다. 상기 정극 활물질층, 상기 부극 활물질층 및 상기 고체 전해질 층의 적어도 하나가, 상술한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의하면, 상술한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Li 이온 전도성이 높은 리튬 고체 전지가 얻어질 수 있다. 그 때문에, 리튬 고체 전지의 고출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리튬 고체 전지에 관한 것이다. 리튬 고체 전지는 정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정극 활물질층, 부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부극 활물질층, 및 상기 정극 활물질층과 상기 부극 활물질층의 사이에 형성된 고체 전해질층을 갖는다. 상기 정극 활물질층, 상기 부극 활물질층 및 상기 고체 전해질 층의 적어도 하나가, 상술한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를 함유한다. LiX는 LiI이다. 정극 활물질은 Li에 대해 2.8 V 이상의 전위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제조 방법은: Li2S, A의 황화물 및 LiX를 함유하는 원료 조성물을 비정질화하여 황화물 유리를 합성하는 공정; 및 상기 황화물 유리를 상기 황화물 유리의 결정화 온도 이상의 열처리 온도로 가열해, CuKα선을 이용한 X선 회절 측정에 있어서 2θ=20.2°및 23.6°에서 피크를 갖는 유리 세라믹스를 합성하는 공정을 갖는다. A는, P, Si, Ge, Al 및 B의 적어도 일종이다. X는 할로겐이다. 상기 원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LiX의 비율 및 상기 열처리 온도는, 상기 유리 세라믹스를 얻을 수 있도록 조정된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의하면, 원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LiX의 비율 및 가열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열처리 온도를 조정함으로써, Li 이온 전도성이 높은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를 얻을 수 있다.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원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LiX의 비율이, 14 mol% 이상이며 30 mol% 미만인 제 1 범위내 또는 그 제 1 범위의 근방인 제 2 범위내에 있고, 상기 유리 세라믹스를 합성할 수 있으며, 상기 열처리 온도의 상한이, 200℃ 근방에서 상기 유리 세라믹스를 합성할 수 있는 온도이다.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원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LiX의 비율이, 14 mol% 이상이며 30 mol% 미만이고, 상기 열처리 온도가 200℃미만일 수도 있다.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열처리 온도가 170℃ 이상일 수도 있다.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열처리 온도는 190℃ 이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Li 이온 전도성이 높은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를 얻는 효과를 달성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형태들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의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며, 여기서 동일 부호는 동일 엘리먼트를 표시하며, 상기 첨부 도면들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리튬 고체 전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고;
도 3은 실시예 1 ~ 5 에서 얻어진 유리 세라믹스에 대한 X선 회절 측정의 결과를 나타내고;
도 4는 비교예 2 ~ 4 에서 얻어진 유리 세라믹스에 대한 X선 회절 측정의 결과를 나타내고;
도 5는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9 에서 얻어진 샘플에 대한 Li 이온 전도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도 6는 실시예 6 ~ 8 및 비교예 11 에서 얻어진 유리 세라믹스에 대한 X선 회절 측정의 결과를 나타내고;
도 7은 실시예 6 ~ 8 및 비교예 10 ~ 11 에서 얻어진 샘플에 대한 Li 이온 전도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이하,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 리튬 고체 전지 및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A.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
우선,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Li, A (A는 P, Si, Ge, Al 및 B의 적어도 일종이다), X (X는 할로겐이다) 및 S를 갖는 유리 세라믹스이며, CuKα선을 이용한 X선 회절 측정에 있어서 2θ=20.2°및 23.6°에서 피크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X선 회절 측정에 있어서의 특정의 피크 때문에, Li 이온 전도성이 높은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가 얻어질 수 있다. 이들 피크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신규 결정상의 피크이다. 이 신규 결정상의 Li 이온 전도성이 높기 때문에,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Li 이온 전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유리 세라믹스이므로, 황화물 유리에 비해 내열성이 높은 이점을 가진다. 예를 들면, Li2S-P2S5계의 황화물 유리에 LiI를 도프할 때, Li 이온 전도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렇지만, LiI를 도프할 때, 일부의 경우에, 황화물 유리의 결정화 온도가 저하될 수 있다. 결정화 온도가 낮은 황화물 유리를, 예를 들면, 전지에 이용했을 경우, 전지의 온도가 황화물 유리의 결정화 온도 이상에 이르면, 황화물 유리의 결정화에 수반하는 발열이 생긴다. 그 결과, 전지를 구성하는 각 재료가 변질 (열화) 될 수도 있거나 또는 전지 케이스 등이 파손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결정화시킨 유리 세라믹스를 제조함으로써, 결정화에 기인하는 발열의 악영향을 방지한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가 얻어질 수 있다. 게다가, 전지의 냉각 기구 및 안전 기구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비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메카니컬 밀링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LiI-Li2S-P2S5계 비정질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비특허문헌 1에는, LiI-Li2S-P2S5계 황화물 유리의 열처리에 대하여는, 개시도 시사도 되어 있지 않다. 또, LiI-Li2S-P2S5계 황화물 유리가 열처리된다해도, 상기의 신규 결정상을 석출시키기 위해서는, LiI의 비율 및 열처리 온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비특허문헌 1에는, 그 점에 대해 전혀 시사되어 있지 않다. 한편, 비특허 문헌 2에 있어서는, Li6PS5X (X=Cl, Br, I) 로 표시되는 결정질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또한, I를 첨가할 때, 결정질 재료의 Li 이온 전도도가 저하된다고 개시되어 있다. 즉, 할로겐의 첨가에 의해, 결정 (유리 세라믹스) 에서는 단순하게 Li 이온 전도도가 향상될 수 없다는 것이 시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유리 세라믹스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리 세라믹스란, 황화물 유리를 결정화한 재료를 말한다. 유리 세라믹스인지 여부는, 예를 들면, X선 회절법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또, 황화물 유리란, 원료 조성물을 비정질화해 합성한 재료를 말하고, X선 회절 측정에 있어서 결정으로서의 주기성이 관측되지 않는 엄밀한 "유리"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메카니컬 밀링에 의해 비정질화해 합성한 일반적인 재료를 포함한다. 그 때문에, X선 회절 측정 등에 있어서, 예를 들면, 원료 (LiI 등) 에서 유래하는 피크가 관찰되는 경우에도, 비정질화해 합성한 재료이면, 황화물 유리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CuKα선을 이용한 X선 회절 측정에 있어서 2θ=20.2°및 23.6°에서 피크를 갖는다. 이들 피크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고 고 Li 이온 전도성을 갖는 신규 결정상의 피크이다. 이하, 일부의 경우에, 이 결정상을 고 Li 이온 전도성을 갖는 결정상이라고 칭한다. 여기서, 2θ=20.2°의 피크란, 엄밀한 2θ=20.2°의 피크 뿐만 아니라, 2θ=20.2°±0.5°의 범위내에 있는 피크를 말한다. 결정 상태에 의해서, 피크의 위치가 다소 변화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정의한다. 마찬가지로, 2θ=23.6°의 피크란, 엄밀한 2θ=23.6°의 피크 뿐만 아니라, 2θ=23.6°±0.5°의 범위내에 있는 피크를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고 Li 이온 전도성을 갖는 결정상을 주체로서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전체 결정상에 있어서의 고 Li 이온 전도성을 갖는 결정상의 비율이 50 mol%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CuKα선을 이용한 X선 회절 측정에 있어서 2θ=21.0°및 28.0°에서 피크를 갖는 경우가 있다. 이들 피크는, 발명자들의 연구로 밝혀졌고, 상기와 같이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고 고 Li 이온 전도성을 갖는 결정상보다 저 Li 이온 전도성을 갖는 신규 결정상의 피크이다. 이하, 일부의 경우에, 이 결정상을, 저 Li 이온 전도성을 갖는 결정상이라고 칭한다. 여기서, 2θ=21.0°의 피크란, 엄밀한 2θ=21.0°의 피크 뿐만 아니라, 2θ=21.0°±0.5°의 범위내에 있는 피크를 말한다. 결정 상태에 의해서, 피크의 위치가 다소 변화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정의한다. 마찬가지로, 2θ=28.0°의 피크란, 엄밀한 2θ=28.0°의 피크 뿐만 아니라, 2θ=28.0°±0.5°의 범위내에 있는 피크를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저 Li 이온 전도성을 갖는 결정상을 더 적은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가 특정의 피크를 갖는다는 것은 X선 회절 측정의 결과로부터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면, 고 Li 이온 전도성을 갖는 결정상의 비율이 적고, 저 Li 이온 전도성을 갖는 결정상의 비율이 많은 경우, 2θ=20.2°및 23.6°의 피크가 더 작게 나타나고, 2θ=21.0°및 28.0°의 피크가 더 크게 나타난다. 이제, 2θ=21.0°의 피크 강도에 대한 2θ=20.2°의 피크 강도비를 I20.2/I21.0으로 하고, 2θ=21.0°의 피크 강도에 대한 2θ=23.6°의 피크 강도비를 I23.6/I21.0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가 2θ=20.2°및 23.6°의 피크를 갖는 것은, I20.2/I21.0 및 I23.6/I21.0이 각각 0.1이상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인 것으로부터 판단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I20.2/I21.0이 1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 Li 이온 전도성을 갖는 결정상의 비율이 높은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가 얻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Li, A (A는, P, Si, Ge, Al 및 B의 적어도 일종이다), X (X는 할로겐이다), 및 S를 갖는다. 한편,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X선 회절 측정에 있어서 특정의 피크를 갖는다. 여기서, X선 회절 측정은, 결정 격자에 의한 X선의 회절 결과를 해석함으로써, 결정 내부의 원자 배열을 특정하는 수법이다. 그 때문에, 원리상, X선 회절 측정에 있어서의 피크의 패턴은 결정 구조에 의존하지만, 결정 구조를 구성하는 원자의 종류에는 크게 의존하지 않는다. 따라서, A 및 X의 종류에 관계 없이, 동일한 결정 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면, 같은 패턴이 얻어질 수 있다. 즉, A 및 X의 종류에 관계 없이, 고 Li 이온 전도성을 갖는 결정상이 형성되어 있으면, 같은 패턴이 얻어질 수 있다. 패턴의 위치는, 다소 변화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 관점으로부터, 2θ=20.2°및 23.6°의 피크를, 각각 2θ=20.2°±0.5°및 23.6°±0.5°의 범위에서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Li, A (A는, P, Si, Ge, Al 및 B의 적어도 일종이다) 및 S를 갖는 이온 전도체와 LiX (X는 할로겐이다) 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LiX의 적어도 일부는, 통상, LiX 성분으로서 이온 전도체의 구조 중에 취입된 상태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이온 전도체는, Li, A (A는, P, Si, Ge, Al 및 B의 적어도 일종이다) 및 S를 갖는다. 이온 전도체는, Li, A, 및 S를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들 중에서도, 오르토 조성을 갖는 이온 전도체가 바람직하다. 이는, 화학적 안정성이 높은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가 얻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오르토란, 일반적으로, 같은 산화물을 수화하여 얻어지는 옥소 산들 중에서, 가장 수화도의 높은 옥소 산을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무엇보다도 Li2S가 첨가되는 황화물의 결정 조성을 오르토 조성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Li2S-P2S5계에서는 Li3PS4가 오르토 조성에 해당하고, Li2S-Al2S3계에서는 Li3AlS3가 오르토 조성에 해당하고, Li2S-B2S3계에서는 Li3BS3 가 오르토 조성에 해당하고, Li2S-SiS2계에서는 Li4SiS4가 오르토 조성에 해당하고, Li2S-GeS2계에서는 Li4GeS4가 오르토 조성에 해당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오르토 조성을 가진다" 란, 엄밀한 오르토 조성 뿐만 아니라, 그 근방의 조성도 포함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오르토 조성을 가진다" 란, 오르토 조성의 음이온 구조 (PS4 3-구조, SiS4 4-구조, GeS4 4-구조, AlS3 3-구조, BS3 3- 구조) 가 주체로 함유되는 것을 말한다. 오르토 조성의 음이온 구조의 비율은, 이온 전도체에 있어서의 전체 음이온 구조에 대해 60 mol%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mol%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80 mol% 이상인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고, 90 mol%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오르토 조성의 음이온 구조의 비율은, 라만 분광법, NMR, XPS 등의 사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Li2S, A (A는, P, Si, Ge, Al 및 B의 적어도 일종이다) 의 황화물과 LiX (X는 할로겐이다) 를 함유하는 원료 조성물을 비정질화하고, 또한 열처리하는 방식으로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Li2S는, 불순물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부반응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Li2S의 합성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07-330312호 (JP 07-330312 A) 에 기재된 방법등을 들 수 있다. 또한, Li2S는, WO2005/040039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원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A의 황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P2S3, P2S5, SiS2, GeS2, Al2S3, B2S3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Li2S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황화수소 발생량이 적은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가 얻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Li2S는 물과 반응할 때, 황화수소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원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Li2S의 비율이 크면, Li2S가 잔존하기 쉽다. "Li2S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는 것은 X선 회절법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Li2S의 피크 (2θ=27.0°, 31.2°, 44.8°, 및 53.1°) 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Li2S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가교 황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황화수소 발생량이 적은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가 얻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가교 황" 이란, Li2S 와 상기 A의 황화물이 반응하여 이루어진 화합물에 있어서의 가교 황을 말한다. 예를 들면, Li2S 및 P2S5가 반응하여 이루어진 S3P-S-PS3구조의 가교 황이 이것에 해당한다. 이러한 가교 황은, 물과 반응하기 쉽고, 황화수소를 발생시키기 쉽다. 게다가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가 "가교 황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라는 것은 라만 분광 측정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면, Li2S-P2S5계의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경우, S3P-S-PS3구조의 피크가 통상 402 cm-1에서 나타난다. 그 때문에, 이 피크가 검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PS4 3-구조의 피크는 통상 417 cm-1에서 나타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402 cm-1에 있어서의 강도 I402가, 417 cm-1에 있어서의 강도 I417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강도 I417에 대해 강도 I402는, 예를 들면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35% 이하인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또, 가교 황을 함유하는 유닛을 특정해, 그 유닛의 피크를 측정함으로써, Li2S-P2S5계 이외의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가 가교 황을 실질적으로 함유하고 있지 않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Li2S-P2S5계의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경우, 오르토 조성을 얻기 위한 Li2S 및 P2S5의 비율은, 몰 기준으로, Li2S:P2S5=75:25이다. Li2S-Al2S3계의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경우, 및 Li2S-B2S3계의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경우 양자 모두에도 같은 비율이 적용된다. 한편, Li2S-SiS2계의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경우, 오르토 조성을 얻기 위한 Li2S 및 SiS2의 비율은, 몰 기준으로, Li2S:SiS2=66.7:33.3이다. Li2S-GeS2계의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경우에도 같은 비율이 적용된다.
상기 원료 조성물이, Li2S 및 P2S5를 함유하는 경우, Li2S 및 P2S5의 합계에 대한 Li2S의 비율은, 70 mol% ~ 80mol%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72 mol% ~ 78 mol%의 범위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74 mol% ~ 76mol%의 범위내인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상기 원료 조성물이 Li2S 및 Al2S3을 함유하는 경우, 및 상기 원료 조성물이 Li2S 및 B2S3을 함유하는 경우 양자 모두에도 같은 범위로 정해진 비율이 적용된다. 한편, 상기 원료 조성물이 Li2S 및 SiS2를 함유하는 경우, Li2S 및 SiS2의 합계에 대한 Li2S의 비율은, 62.5 mol% ~ 70.9 mol%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63 mol% ~ 70 mol%의 범위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64 mol% ~ 68 mol%의 범위내인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상기 원료 조성물이 Li2S 및 GeS2를 함유하는 경우에도 같은 범위로 정해진 비율이 적용된다.
이제, LiX에 있어서의 X는, 구체적으로는, F, Cl, Br, 및 I인 할로겐이다. 이들 중에서도 Cl, Br, 및 I가 바람직하다. 이는, 이온 전도성이 높은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가 얻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에 있어서의 LiX의 비율은, 원하는 유리 세라믹스를 합성할 수 있는 비율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예를 들면, LiX의 비율은 14 mol% 이상이며 30 mo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mol% 이상이며 25 mol%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예를 들면, 입자 형상이다. 입자형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평균 입경 (D50) 은, 예를 들면, 0.1μm ~ 50μm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고 Li 이온 전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온에 있어서의 Li 이온 전도도는, 예를 들면, 1×10-4S/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1×10-3S/cm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Li 이온 전도성을 필요로 하는 임의의 용도에 이용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전지에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리튬 고체 전지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리튬 고체 전지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리튬 고체 전지는, 정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정극 활물질층, 부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부극 활물질층, 및 상기 정극 활물질층과 상기 부극 활물질층의 사이에 형성된 고체 전해질층을 가지며, 상기 정극 활물질층, 상기 부극 활물질층 및 상기 고체 전해질층의 적어도 하나가, 상술한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고 Li 이온 전도성을 갖는 리튬 고체 전지가 얻어질 수 있다. 그 때문에, 리튬 전지의 고출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리튬 고체 전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리튬 고체 전지 (10) 는, 정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정극 활물질층 (1), 부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부극 활물질층 (2), 정극 활물질층 (1) 과 부극 활물질층 (2) 의 사이에 형성된 고체 전해질층 (3), 정극 활물질층 (1) 의 집전을 실시하는 정극 집전체 (4), 및 부극 활물질층 (2) 의 집전을 실시하는 부극 집전체 (5) 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정극 활물질층 (1), 부극 활물질층 (2) 및 고체 전해질층 (3) 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A.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 에 기재한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를 함유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리튬 고체 전지에 대해 구성마다 설명한다.
1. 정극 활물질층
우선,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극 활물질층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극 활물질층은, 적어도 정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층이며, 필요에 따라, 고체 전해질 재료, 도전화재 및 결착재의 적어도 하나를 더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정극 활물질층에 포함되는 고체 전해질 재료가, 상기 "A.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 에 기재한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정극 활물질층에 있어서의 상기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0.1 체적% ~ 80 체적%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체적% ~ 60 체적%의 범위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특히, 10 체적% ~ 50 체적%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정극 활물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LiCoO2, LiMnO2, LiNiO2, LiVO2 및 LiNi1/3Co1/3Mn1/3O2등의 암염 층상형 활물질, LiMn2O4 및 Li(Ni0.5Mn1.5)O4 등의 스피넬 형태 활물질, 및 LiFePO4, LiMnPO4, LiNiPO4 및 LiCuPO4등의 올리빈 형태 활물질등을 들 수 있다. 또, Li2FeSiO4 및 Li2MnSiO4등의 실리콘 함유 산화물을 정극 활물질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특히, 상술한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가, 오르토 조성을 갖는 이온 전도체를 가지며, LiI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정극 활물질은, 2.8 V (vs. Li) 이상의 전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3.0 V (vs. Li) 이상의 전위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LiI의 산화 분해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LiI는, 2.8 V부근에서 분해된다고 생각되어 왔기 때문에, LiI를 갖는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를 정극 활물질층에 이용해 오지 않았다. 대조적으로, 상술한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오르토 조성을 갖는 이온 전도체를 가지므로, LiI가 이온 전도체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안정화되고, 이에 의해 LiI의 산화 분해를 억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정극 활물질은, 예를 들면, 입자 형상이고, 진구상 또는 타원 구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정극 활물질이 입자 형상인 경우, 그 평균 입경은, 예를 들면 0.1μm ~ 50μm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정극 활물질층에 있어서의 정극 활물질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10 체적% ~ 99 체적%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체적% ~ 99 체적%의 범위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극 활물질층은, 정극 활물질 및 고체 전해질 재료 외에, 도전화재 및 결착재의 적어도 하나를 더 함유할 수도 있다. 도전화재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탄소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결착재로서는, 예를 들면, PTFE, 및 PVDF등의 불소 함유 결착재를 들 수 있다. 정극 활물질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μm ~ 1000μm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2. 부극 활물질층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극 활물질층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극 활물질층은, 적어도 부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층이며, 필요에 따라, 고체 전해질 재료, 도전화재 및 결착재의 적어도 하나를 더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부극 활물질층에 포함되는 고체 전해질 재료가, 상기 "A.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 에 기재한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극 활물질층에 있어서의 상기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0.1 체적% ~ 80 체적%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체적% ~ 60 체적%의 범위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특히, 10 체적% ~ 50 체적%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극 활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 활물질 및 탄소 활물질을 들 수 있다. 금속 활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In, Al, Si 및 Sn을 들 수 있다. 한편, 탄소 활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메소카본 마이크로비즈 (MCMB), 고배향성 그래파이트 (HOPG), 하드 카본, 소프트 카본 등을 들 수 있다. 부극 활물질층에 있어서의 부극 활물질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10 체적% ~ 99 체적%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체적% ~ 99 체적%의 범위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전화재 및 결착재 양자 모두는, 상술한 정극 활물질층에 이용되는 것들과 같다. 부극 활물질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μm ~ 1000μm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3. 고체 전해질 층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고체 전해질층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고체 전해질 층은, 정극 활물질층과 부극 활물질층의 사이에 형성되는 층이며, 고체 전해질 재료로 구성되는 층이다. 고체 전해질층에 포함되는 고체 전해질 재료는, Li 이온 전도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고체 전해질층에 포함되는 고체 전해질 재료가, 상기 "A.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 에 기재한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체 전해질층에 있어서의 상기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함유량은, 원하는 절연성이 얻어지는 비율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10 체적% ~ 100 체적%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체적% ~ 100 체적%의 범위내인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 고체 전해질층이 상기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체 전해질 층은, 결착재를 함유할 수도 있다. 이는, 결착재가 함유될 때, 가요성을 갖는 고체 전해질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결착재로서는, 예를 들면, PTFE, 및 PVDF등의 불소 함유 결착재를 들 수 있다. 고체 전해질 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μm ~ 1000μm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0.1μm ~ 300μm의 범위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4. 그 외의 구성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리튬 고체 전지는, 상술한 정극 활물질층, 부극 활물질층 및 고체 전해질층의 적어도 하나를 갖는다. 또한, 통상은, 리튬 고체 전지는, 정극 활물질층의 집전을 실시하는 정극 집전체 및 부극 활물질층의 집전을 실시하는 부극 집전체를 가진다. 정극 집전체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SUS, 알루미늄, 니켈, 철, 티탄 및 카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SUS가 바람직하다. 한편, 부극 집전체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SUS, 구리, 니켈 및 카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SUS가 바람직하다. 또, 정극 집전체 및 부극집 전체의 두께 및 형상등에 대해서는, 리튬 고체 전지의 용도등에 따라 적의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전지 케이스에는, 일반적인 리튬 고체 전지의 전지 케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전지 케이스로서는, 예를 들면, SUS제 전지 케이스 등을 들 수 있다.
5. 리튬 고체 전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리튬 고체 전지는 1차 전지, 또는 2차 전지일 수도 있다. 하지만, 2차 전지가 바람직하다. 이는, 2차 전지가 반복해 충방전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차재용 전지로서 유용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리튬 고체 전지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코인 형태, 라미네이트 형태, 원통형 및 각형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리튬 고체 전지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리튬 고체 전지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일반적인 리튬 고체 전지의 제조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리튬 고체 전지의 제조 방법의 일례로서는, 정극 활물질층을 구성하는 재료, 고체 전해질층을 구성하는 재료 및 부극 활물질층을 구성하는 재료를 순차 프레스함으로써, 발전 요소를 제작하고, 이 발전 요소를 전지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해, 전지 케이스를 코킹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C.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제조 방법은, Li2S, A (A는, P, Si, Ge, Al 및 B의 적어도 일종이다) 의 황화물 및 LiX (X는 할로겐이다) 를 함유하는 원료 조성물을 비정질화하여 황화물 유리를 합성하는 공정; 및 상기 황화물 유리를 그의 결정화 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해, CuKα선을 이용한 X선 회절 측정에 있어서 2θ=20.2°및 23.6°에서 피크를 갖는 유리 세라믹스를 합성하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원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LiX의 비율 및 상기 가열 공정에 있어서의 열처리 온도가, 상기 유리 세라믹스를 얻을 수 있도록 조정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에 있어서는, 우선, LiI, Li2S 및 P2S5를 함유하는 원료 조성물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원료 조성물에 대해 메카니컬 밀링을 실시함으로써, Li, P 및 S를 갖는 이온 전도체 (예를 들면, Li3PS4) 와 LiI를 갖는 황화물 유리를 합성한다. 다음으로, 황화물 유리를 그의 결정화 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CuKα선을 이용한 X선 회절 측정에 있어서 2θ=20.2°및 23.6°에서 피크를 갖는 유리 세라믹스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 를 얻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LiX의 비율 및 가열 공정에 있어서의 열처리 온도를 조정함으로써, 고 Li 이온 전도성을 갖는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공정마다 설명한다.
1. 비정질화 공정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비정질화 공정은, Li2S, A (A는, P, Si, Ge, Al 및 B의 적어도 일종이다) 의 황화물 및 LiX (X는 할로겐이다) 를 함유하는 원료 조성물을 비정질화하여, 황화물 유리를 합성하는 공정이다.
이제, 원료 조성물에 있어서의 Li2S, A (A는, P, Si, Ge, Al 및 B의 적어도 일종이다) 의 황화물 및 LiX (X는 할로겐이다) 는, 상기 "A.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 에 기재한 것들과 같으므로, 여기서의 기재는 생략한다. 원료 조성물에 있어서의 LiX의 비율은, 원하는 유리 세라믹스를 합성할 수 있는 비율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합성 조건에 따라 약간 변화한다. 원료 조성물에 있어서의 LiX의 비율은, 14 mol% ~ 30 mol%의 범위내 또는 그 근방의 범위내이며, 상기 유리 세라믹스를 합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 하는 실시예의 조건에서는, LiX의 비율이 14 mol% 초과이며 30 mol% 미만인 경우에, 원하는 유리 세라믹스가 얻어질 수 있다.
원료 조성물을 비정질화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메카니컬 밀링법 및 용융 급냉법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메카니컬 밀링법이 바람직하다. 이는, 메카니컬 밀링법이 상온으로의 처리가 가능하여, 제조 공정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용융 급냉법은, 반응 분위기 및 반응 용기에 제한이 있지만, 메카니컬 밀링법은, 목적으로 하는 조성을 갖는 황화물 유리를 간편하게 합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메카니컬 밀링법은, 건식 메카니컬 밀링법, 또는 습식 메카니컬 밀링법일 수도 있다. 하지만, 습식 메카니컬 밀링법이 바람직하다. 이는, 용기의 벽면에 원료 조성물이 고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높은 비정질성을 갖는 황화물 유리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메카니컬 밀링법은, 원료 조성물을 기계적 에너지를 부여하면서 혼합할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방법은, 예를 들면 볼밀, 진동 밀, 터보 밀, 메카노퓨전 밀, 및 디스크 밀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볼밀이 바람직하고, 특히 유성형 볼밀 (satellite ball mill) 이 바람직하다. 이는, 원하는 황화물 유리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메카니컬 밀링의 각종 조건은, 원하는 황화물 유리를 얻을 수 있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면, 유성형 볼밀을 이용하는 경우, 용기에 원료 조성물 및 분쇄용 볼을 가하여 소정의 회전수 및 시간으로 처리를 실시한다. 일반적으로, 회전수가 클수록, 황화물 유리의 생성 속도는 빨라지고, 처리 시간이 길수록, 원료 조성물로부터 황화물 유리로의 전환율은 높아진다. 유성형 볼밀을 실시할 때의 베이스 (base) 의 회전 수는, 예를 들면 200rpm ~ 500 rpm의 범위내이고, 250 rpm ~ 400 rpm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유성형 볼 밀을 실시할 때의 처리 시간은, 예를 들면 1시간 ~ 100시간의 범위내이고, 1시간 ~ 50시간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볼밀에 이용되는 용기 및 분쇄용 볼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ZrO2 및 Al2O3를 들 수 있다. 또, 분쇄용 볼의 지름은, 예를 들면 1 mm ~ 20 mm의 범위내이다.
습식 메카니컬 밀링에 이용되는 액체로서는, 상기 원료 조성물과의 반응 동안 황화수소를 발생하지 않는 성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화수소는, 액체의 분자로부터 해리한 프로톤이, 원료 조성물 또는 황화물 유리와 반응함으로써 발생 한다. 그 때문에, 상기 액체는, 황화수소가 발생하지 않는 정도의 비프로톤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비프로톤성 액체는, 통상, 극성의 비프로톤성 액체와 무극성의 비프로톤성 액체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극성의 비프로톤성 액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아세톤 등의 케톤류,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N,N-디메틸 포름아미드 (DMF) 등의 아미드류, 및 디메틸설폭사이드 (DMSO) 등의 설폭사이드류를 들 수 있다.
무극성의 비프로톤성 액체의 일례로서는, 상온 (25℃) 에서 액체 형태인 알칸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칸은, 사슬형 알칸, 또는 환형 알칸일 수도 있다. 상기 사슬형 알칸의 탄소수는, 5 이상이다. 한편, 상기 사슬형 알칸의 탄소수의 상한은, 상온에서 액체의 형태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사슬형 알칸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펜탄, 헥산, 헵탄, 옥탄, 노난, 데칸, 운데칸, 도데칸, 및 파라핀을 들 수 있다. 상기 사슬형 알칸은, 분기 사슬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환형 알칸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사이클로펜탄,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헵탄, 사이클로옥탄, 및 사이클로파라핀을 들 수 있다.
또한, 무극성의 비프로톤성 액체의 다른 예로서는,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에틸 에테르 및 디메틸 에테르 등의 사슬모양 에테르류, 테트로하이드로푸란 등의 환형 에테르류, 클로로포름, 염화 메틸, 및 염화 메틸렌 등의 할로겐화 알킬류, 초산 에틸등의 에스테르류, 및 불화 벤젠, 불화 헵탄, 2,3-디하이드로퍼플루오로펜탄, 및 1,1,2,2,3,3,4-헵타플루오로사이클로펜탄 등의 불소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액체의 첨가량은, 원하는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를 얻을 수 있는 정도의 양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 가열 공정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열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열 공정은, 상기 황화물 유리를 그의 결정화 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해, CuKα선을 이용한 X선 회절 측정에 있어서 2θ=20.2°및 23.6°에서 피크를 갖는 유리 세라믹스를 합성하는 공정이다.
열처리 온도는, 통상, 황화물 유리의 결정화 온도 이상의 온도이다. 황화물 유리의 결정화 온도는 시차열 분석 (DTA) 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열처리 온도는, 결정화 온도 이상의 온도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예를 들면 16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열처리 온도의 상한은, 원하는 유리 세라믹스를 합성할 수 있는 온도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황화물 유리의 조성에 따라 약간 변화한다. 열처리 온도의 상한은, 통상, 200℃ 근방에서 상기 유리 세라믹스를 합성할 수 있는 온도이다. 후술하는 실시예의 조건에서는, 열처리 온도가 200℃ 미만인 경우에, 원하는 유리 세라믹스를 얻을 수 있었다.
열처리 시간은, 원하는 유리 세라믹스를 얻을 수 있는 열처리 시간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1분간 ~ 24시간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열처리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 (예를 들면 Ar 가스 분위기) 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리 세라믹스의 열화 (예를 들면 산화) 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열처리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소성로 (firing furnace) 를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들은, 오직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내는 것은 어떠한 것이어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분명하게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칭량, 합성 및 건조 등의 각 조작은 Ar 분위기 아래에서 실시하였다.
[실시예 1]
출발 원료로서 황화 리튬 (Li2S, 일본 화학공업사제), 5황화2인 (P2S5, 알드리치사제) 및 요오드화 리튬 (LiI, 알드리치사제) 을 이용하였다. 다음에, Li2S 및 P2S5를, 75 Li2S·25 P2S5의 몰 비 (Li3PS4, 오르토 조성) 가 되도록 칭량하였다. 다음에, LiI의 비율이 14 mol%가 되도록 LiI를 칭량하였다. 칭량한 출발 원료를 마노유발로 5분간 혼합하고, 그 혼합물 2 g를 유성형 볼 밀의 용기 (45 cc, ZrO2제) 에 투입하고, 탈수 헵탄 (수분량 : 30 ppm 이하, 4 g) 을 투입하고, 또한 ZrO2 볼(φ=5 mm, 53 g) 를 투입해, 용기를 완전하게 밀폐하였다. 이 용기를 유성형 볼밀기 (상표명 : P7, Fritsch Gmbh제) 에 설치하고, 500 rpm의 베이스로, 40시간 메카니컬 밀링을 실시하였다. 그 후, 혼합물을 100℃에서 건조함으로써 헵탄을 제거해, 황화물 유리를 얻었다.
다음으로, 얻어진 황화물 유리 0.5 g를 유리 관안에 넣어 그 유리 관을 SUS제 밀폐 용기에 넣었다. 그 밀폐 용기에 대해 190℃에서 10시간 가열해, 유리 세라믹스를 얻었다. 얻어진 유리 세라믹스의 몰 조성은, xLiI·(100-x)(0.75Li2S·0.25P2S5) 에 있어서 x=14에 해당한다.
[실시예 2 ~ 5]
LiI의 비율을 xLiI·(100-x)(0.75Li2S·0.25P2S5) 에 있어서 각각 x=15, 20, 24, 및 25로 변경하고, 열처리 온도를 각각 표 1에 기재한 온도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유리 세라믹스를 얻었다.
[비교예 1 ~ 4]
LiI의 비율을 xLiI·(100-x)(0.75Li2S·0.25P2S5) 에 있어서 각각 x=0, 10, 13, 및 30으로 변경하고, 열처리 온도를 각각 표 1에 기재한 온도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유리 세라믹스를 얻었다.
[비교예 5 ~ 9]
LiI의 비율을 xLiI·(100-x)(0.75Li2S·0.25P2S5) 에 있어서 각각 x=0, 10, 20, 30, 및 40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황화물 유리를 얻었다. 그 후, 열처리는 실시하지 않고, 황화물 유리를 비교용 샘플로 준비하였다.
Figure 112013119049642-pct00001
[평가 1]
(X선 회절 측정)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2 ~ 4에서 얻어진 유리 세라믹스에 대해 CuKα선을 이용한 X선 회절 (XRD) 측정을 실시하였다. XRD 측정에는, RINT Ultima III (상표명, Rigaku Corporation제) 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3 및 도 4에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낸 바처럼, 실시예 1 ~ 5에서 얻어진 각각의 유리 세라믹스는 2θ=20.2°및 23.6°에서 고 Li 이온 전도성을 갖는 결정상의 피크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바처럼, 비교예 2 ~ 4에서 얻어진 유리 세라믹스는, 고 Li 이온 전도성을 갖는 결정상의 피크는 확인되지 않고, 2θ=21.0°및 28.0°에서 저 Li 이온 전도성을 갖는 결정상의 피크만이 확인되었다. 또, 각각의 얻어진 XRD 차트로부터, 2θ=21.0°의 피크 강도에 대한 2θ=20.2°의 피크 강도비 (I20.2/I21.0) 및 2θ=21.0°의 피크 강도에 대한 2θ=23.6°의 피크 강도비 (I23.6/I21.0) 을 얻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에 있어서는, 2θ=21.0°및 28.0°의 피크가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에, 상기의 피크 강도비는 얻어지지 않았다.
Figure 112013119049642-pct00002
(Li 이온 전도도 측정)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9에서 얻어진 각 샘플에 대해 AC 임피던스법에 의한 (상온에서의) Li 이온 전도도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Li 이온 전도도의 측정은 이하와 같다. 우선, 샘플 분말을 4 ton/cm2의 압력으로 콜드 프레스함으로써 직경이 11.29 mm 이고 두께가 약 500μm인 펠릿을 제작하였다. 다음에, 펠릿을 Ar가스로 충전된 불활성 분위기의 용기내에 설치하고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에는, SOLARTRON (상표명 : SI1260, Toyo Corporation 제) 을 이용하였다. 서모스탯을 사용하여 측정 온도를 25℃로 조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3 및 도 5에 나타낸다.
Figure 112014121766383-pct00011
표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처럼, 실시예 1 ~ 5에서 얻어진 유리 세라믹스는, 모두, 고 Li 이온 전도도를 가졌다. 이것은, 실시예 1 ~ 5에서 얻어진 유리 세라믹스가, 2θ=20.2°및 23.6°의 피크를 갖는 고 Li 이온 전도성을 갖는 결정상을 갖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 비교예 1 과 비교예 5, 비교예 2 와 비교예 6, 및 비교예 4 과 비교예 8 사이에, 각각, LiI의 함유량 x가 동일하다. 이와 같이, LiI를 도핑한 황화물 유리를 열처리하면, 통상은, Li 이온 전도도가 저하된다. 한편, 실시예 1 ~ 5에서 얻어진 유리 세라믹스에서는, 황화물 유리가 열처리될 때, Li 이온 전도도가 향상되는 이질적인 거동이 나타나며, 또한 그 Li 이온 전도도는 유리 세라믹스로서 지극히 높은 것이었다.
[실시예 6 ~ 8]
LiI의 비율을 xLiI·(100-x)(0.75Li2S·0.25P2S5)에 있어서 x=15로 변경하고, 열처리 온도를 각각, 170℃, 180℃, 및 190℃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유리 세라믹스를 얻었다.
[비교예 10]
LiI의 비율을 xLiI·(100-x)(0.75Li2S·0.25P2S5) 에 있어서 x=15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황화물 유리를 얻었다. 그 후, 열처리는 실시하지 않고, 비교 샘플용 황화물 유리를 얻었다.
[비교예 11]
LiI의 비율을 xLiI·(100-x)(0.75Li2S·0.25P2S5) 에 있어서 x =15로 변경하고, 열처리 온도를 200℃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유리 세라믹스를 얻었다.
[평가 2]
(X선 회절 측정)
실시예 6 ~ 8 및 비교예 11에서 얻어진 각 유리 세라믹스에 대해 CuKα선을 이용한 X선 회절 (XRD)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 방법은, 상술한 평가 1과 같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바처럼, 실시예 6 ~ 8에서 얻어진 각 유리 세라믹스가, 2θ=20.2°및 23.6°에서 고 Li 이온 전도성을 갖는 결정상의 피크를 갖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비교예 11에서 얻어진 유리 세라믹스는, 고 Li 이온 전도성을 갖는 결정상의 피크는 확인되지 않고, 2θ=21.0°및 28.0°의 저 Li 이온 전도성을 갖는 결정상의 피크만이 확인되었다.
(Li 이온 전도도 측정)
실시예 6 ~ 8 및 비교예 10 및 11에서 얻어진 샘플에 대해 AC 임피던스법에 의한 (상온) Li 이온 전도도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 방법은, 상술한 평가 1과 같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낸 바처럼 실시예 6 ~ 8에서 얻어진 유리 세라믹스는 모두, 가열을 실시하지 않은 비교예 10보다 고 Li 이온 전도도를 나타냈다. 한편, 비교예 11에서 얻어진 샘플에서는, 열처리 온도가 너무 높은 결과, 고 Li 이온 전도성을 갖는 결정상을 얻을 수 없었다고 생각된다.

Claims (18)

  1.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로서,
    Li, A (상기 A는, P, Si, Ge, Al 및 B의 적어도 일종이다), X (상기 X는 할로겐이다) 및 S를 포함하고,
    상기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유리 세라믹스이고,
    상기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CuKα선을 이용한 X선 회절 측정에 있어서 2θ=20.2°및 23.6°에서 피크를 갖는,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
  2. 제 1 항에 있어서,
    2θ=21.0°의 피크 강도에 대한 2θ=20.2°의 피크 강도비는 1 이상인,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가교 황을 함유하지 않는,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Li, A (상기 A는, P, Si, Ge, Al 및 B의 적어도 일종이다) 및 S를 갖는 이온 전도체와 LiX (상기 X는 할로겐이다) 로 구성되는,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LiX의 비율이, 14 mol% 초과이며 30 mol% 미만인,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LiX의 비율이, 25 mol% 이하인,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전도체는 오르토 조성을 갖는,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상기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전체 결정상에 대해 2θ=20.2°및 23.6°에 대응하는 결정상을 50 mol% 이상 포함하는,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
  9. 리튬 고체 전지로서,
    정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정극 활물질층;
    부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부극 활물질층; 및
    상기 정극 활물질층과 상기 부극 활물질층 사이에 형성된 고체 전해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정극 활물질층, 상기 부극 활물질층, 및 상기 고체 전해질층의 적어도 하나는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를 포함하는, 리튬 고체 전지.
  10.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제조 방법으로서,
    Li2S, A (상기 A는, P, Si, Ge, Al 및 B의 적어도 일종이다) 의 황화물 및 LiX (상기 X는 할로겐이다) 를 함유하는 원료 조성물을 비정질화하여 황화물 유리를 합성하는 비정질화 공정; 및
    상기 황화물 유리를 상기 황화물 유리의 결정화 온도 이상의 열처리 온도로 가열해, CuKα선을 이용한 X선 회절 측정에 있어서 2θ=20.2°및 23.6°에서 피크를 갖는 유리 세라믹스를 합성하는 가열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원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LiX의 비율 및 상기 가열 공정에서 상기 열처리 온도는, 상기 유리 세라믹스를 얻을 수 있도록 조정되는,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2θ=21.0°의 피크 강도에 대한 2θ=20.2°의 피크 강도비는 1 이상인,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제조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는 가교 황을 함유하지 않는,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제조 방법.
  13. 삭제
  14.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LiX의 비율이, 14 mol% 초과이며 30 mol%미만이고,
    상기 가열 공정에서 상기 열처리 온도가 200℃ 미만인,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제조 방법.
  15.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온도는 170℃ 이상인,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제조 방법.
  16.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온도는 190℃ 이하인,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제조 방법.

  17. 삭제
  18. 삭제
KR1020137034563A 2011-07-06 2012-06-19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 리튬 고체 전지 및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제조 방법 KR1015061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50002A JP5443445B2 (ja) 2011-07-06 2011-07-06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リチウム固体電池、および、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JPJP-P-2011-150002 2011-07-06
PCT/IB2012/001203 WO2013005085A1 (en) 2011-07-06 2012-06-19 Sulfide solid electrolyte material, lithium solid-state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sulfide solid electrolyte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542A KR20140025542A (ko) 2014-03-04
KR101506109B1 true KR101506109B1 (ko) 2015-03-25

Family

ID=46545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4563A KR101506109B1 (ko) 2011-07-06 2012-06-19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 리튬 고체 전지 및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9172113B2 (ko)
EP (1) EP2712468B1 (ko)
JP (1) JP5443445B2 (ko)
KR (1) KR101506109B1 (ko)
CN (1) CN103650231B (ko)
AU (1) AU2012280008B2 (ko)
BR (1) BR112014000252B1 (ko)
CA (1) CA2840671C (ko)
WO (1) WO20130050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348A (ko) * 2016-03-14 2018-11-12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고체 전해질 및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3445B2 (ja) 2011-07-06 2014-03-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リチウム固体電池、および、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JP6518745B2 (ja) * 2011-11-07 2019-05-22 出光興産株式会社 結晶化固体電解質
JP6234665B2 (ja) 2011-11-07 2017-11-22 出光興産株式会社 固体電解質
JP6077740B2 (ja) * 2011-12-02 2017-02-08 出光興産株式会社 固体電解質
US20150171464A1 (en) * 2012-07-12 2015-06-18 Idemitsu Kosan Co., Ltd. Method for producing ion-conductive substance, ion-conductive substance, crystallized ion-conductive substance, and cell
JP2014029796A (ja) * 2012-07-31 2014-02-13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結晶化固体電解質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結晶化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EP2919313A4 (en) * 2012-11-06 2016-03-30 Idemitsu Kosan Co SOLID ELECTROLYTE
JP5877401B2 (ja) * 2012-12-28 2016-03-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及び当該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を含むリチウム固体電池
JP5692266B2 (ja) 2013-03-15 2015-04-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JP6062308B2 (ja) * 2013-04-09 2017-01-18 古河機械金属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固体電解質材料、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固体電解質、リチウムイオン電池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KR102443148B1 (ko) * 2013-05-15 2022-09-13 퀀텀스케이프 배터리, 인코포레이티드 배터리용 고상 캐소라이트 또는 전해질
JP2015002053A (ja) * 2013-06-14 2015-01-05 出光興産株式会社 固体電解質組成物
JP6077403B2 (ja) * 2013-06-28 2017-02-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JP6003831B2 (ja) * 2013-06-28 2016-10-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硫化物ガラス、リチウム固体電池、および、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WO2015001818A1 (ja) * 2013-07-04 2015-01-08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結晶性固体電解質及びその製造方法
JP6070468B2 (ja) * 2013-08-02 2017-02-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
JP2015050161A (ja) * 2013-09-04 2015-03-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の回復方法
JP5673760B1 (ja) * 2013-09-13 2015-02-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DE102013219606A1 (de) * 2013-09-27 2015-04-02 Robert Bosch Gmbh Elektrodenmaterial mit Lithium-Argyrodit
JP6425426B2 (ja) * 2014-06-10 2018-11-21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硫化物固体電解質、および硫化物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JP5720753B2 (ja) * 2013-10-02 2015-05-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電池および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JP2015088226A (ja) * 2013-10-28 2015-05-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JP2014089971A (ja) * 2013-12-18 2014-05-15 Toyota Motor Corp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リチウム固体電池、および、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JP6044587B2 (ja) * 2014-05-15 2016-12-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電池および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KR102606710B1 (ko) 2014-06-04 2023-11-29 퀀텀스케이프 배터리, 인코포레이티드 혼합 입자 크기를 가진 전극 물질
JP5975071B2 (ja) * 2014-07-22 2016-08-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電池および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US9627709B2 (en) * 2014-10-15 2017-04-18 Sakti3, Inc. Amorphous cathode material for battery device
EP3214054A4 (en) 2014-10-31 2018-07-18 Idemitsu Kosan Co., Ltd Sulfide glass and crystalline solid electrolyte production method, crystalline solid electrolyte, sulfide glass and solid-state battery
JPWO2016075921A1 (ja) * 2014-11-10 2017-08-17 ソニー株式会社 ガラスセラミックス、リチウムイオン導電体、電池、電子機器および電極の製造方法
JP6501272B2 (ja) * 2014-11-18 2019-04-17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リチウム−鉄−リン−硫黄−炭素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10147968B2 (en) 2014-12-02 2018-12-04 Polyplus Battery Company Standalone sulfide based lithium ion-conducting glass solid electrolyte and associated structures, cells and methods
US10601071B2 (en) 2014-12-02 2020-03-24 Polyplus Battery Company Methods of making and inspecting a web of vitreous lithium sulfide separator sheet and lithium electrode assemblies
US11749834B2 (en) 2014-12-02 2023-09-05 Polyplus Battery Company Methods of making lithium ion conducting sulfide glass
US10164289B2 (en) 2014-12-02 2018-12-25 Polyplus Battery Company Vitreous solid electrolyte sheets of Li ion conducting sulfur-based glass and associated structures, cells and methods
JP6761928B2 (ja) * 2014-12-05 2020-09-30 国立大学法人豊橋技術科学大学 固体電解質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固体電解質ガラス用前駆体、サスペンジョン、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電極並びにリチウムイオン電池
CN107112586B (zh) * 2014-12-26 2018-11-02 三井金属矿业株式会社 锂离子电池用硫化物系固体电解质和固体电解质化合物
US9728808B2 (en) 2015-02-25 2017-08-0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ll solid state battery
JP6256451B2 (ja) * 2015-02-25 2018-0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全固体電池
JP6287945B2 (ja) * 2015-05-08 2018-03-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極積層体の製造方法
KR20180021797A (ko) 2015-06-24 2018-03-05 콴텀스케이프 코포레이션 복합 전해질
JP6376068B2 (ja) * 2015-07-27 2018-08-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負極合材および全固体電池
WO2017030390A1 (ko) * 2015-08-18 2017-02-23 울산과학기술원 고체 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전극 활물질 -고체 전해질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상기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그리고 상기 전극 활물질 -고체 전해질 복합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KR101728825B1 (ko) * 2015-08-18 2017-04-20 울산과학기술원 고체 전해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KR101878339B1 (ko) * 2015-08-18 2018-07-13 울산과학기술원 전극 활물질-고체 전해질 복합체,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US10324138B2 (en) 2015-11-16 2019-06-18 Massachusettes Institute Of Technology Computing system for identification of solid-solid interphase products
US10116001B2 (en) 2015-12-04 2018-10-30 Quantumscape Corporation Lithium, phosphorus, sulfur, and iodine including electrolyte and catholyte compositions, electrolyte membranes for electrochemical devices, and annealing methods of making these electrolytes and catholytes
JP6418145B2 (ja) * 2015-12-07 2018-11-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複合固体電解質
US11245131B2 (en) 2015-12-25 2022-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olid electrolyte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CN108780682A (zh) * 2016-03-14 2018-11-09 出光兴产株式会社 固体电解质的制造方法
WO2017197039A1 (en) 2016-05-10 2017-11-16 Polyplus Battery Company Solid-state laminate electrode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JP7020414B2 (ja) 2016-08-17 2022-02-16 Agc株式会社 ガラス
EP3504749A4 (en) 2016-08-29 2020-05-06 QuantumScape Corporation SOLID STATE RECHARGEABLE BATTERY CATHOLYTES, BATTERY ARCHITECTURES SUITABLE FOR USE WITH SUCH CATHOLYT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20180055086A (ko) * 2016-11-16 2018-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습식공정을 통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JP7113513B2 (ja) * 2016-11-28 2022-08-05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無機硫化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10280083B2 (en) * 2016-11-28 2019-05-0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Method for producing complexed particles
EP3483971A4 (en) 2016-12-26 2019-11-13 Showa Denko K.K. LITHIUM-ION BATTERY SOLID STATE
KR101981657B1 (ko) * 2016-12-27 2019-08-28 울산과학기술원 고체 전해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JP6373417B2 (ja) * 2017-01-04 2018-08-15 出光興産株式会社 固体電解質
KR101867555B1 (ko) * 2017-01-04 2018-06-14 울산과학기술원 전극 활물질-고체 전해질 복합체,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JP6763808B2 (ja) * 2017-03-14 2020-09-30 出光興産株式会社 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EP3601159A4 (en) * 2017-03-29 2020-11-25 Solid Power, Inc. SOLID ELECTROLYTE MATERIAL AND SOLID-STATE BATTERY MANUFACTURED WITH IT
KR102398467B1 (ko) * 2017-04-12 2022-05-13 한국전기연구원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분말을 포함하는 복합체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고체전해질층, 전극복합체층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전지
KR20190001798A (ko) * 2017-06-28 2019-01-07 한국전기연구원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재료 및 그 제조방법
CN107394263B (zh) * 2017-06-29 2019-09-27 深圳大学 一种高锂离子含量的硫化物微晶玻璃及其制备方法
JP7303106B2 (ja) 2017-06-29 2023-07-04 出光興産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
US10629950B2 (en) 2017-07-07 2020-04-21 Polyplus Battery Company Encapsulated sulfide glass solid electrolytes and solid-state laminate electrode assemblies
US10868293B2 (en) 2017-07-07 2020-12-15 Polyplus Battery Company Treating sulfide glass surfaces and making solid state laminate electrode assemblies
US10862171B2 (en) 2017-07-19 2020-12-08 Polyplus Battery Company Solid-state laminate electrode assembly fabrication and making thin extruded lithium metal foils
JP7164939B2 (ja) * 2017-08-25 2022-11-02 株式会社サムスン日本研究所 全固体型二次電池
US10854877B2 (en) * 2017-08-25 2020-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JP7236648B2 (ja) * 2017-09-08 2023-03-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電池
WO2019051305A1 (en) * 2017-09-08 2019-03-14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CERAMIC MATERIAL WITH HIGH LITHIUM ION CONDUCTIVITY AND HIGH ELECTROCHEMICAL STABILITY USEFUL AS SOLID ELECTROLYTE AND ELECTRODE ADDITIVE
KR102406179B1 (ko) 2017-10-13 2022-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침상형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
DE102017219170A1 (de) * 2017-10-25 2019-04-25 Robert Bosch Gmbh Lithiumfestkörperbatteri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Lithiumfestkörperbatterie
US10811726B2 (en) 2017-11-14 2020-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olid electrolyte for all-solid lithium secondary battery, all-solid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olid electrolyte
JP7165898B2 (ja) * 2018-01-05 2022-11-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固体電解質材料、および、電池
WO2019185115A1 (en) * 2018-03-26 2019-10-03 Toyota Motor Europe Solid electrolyte material for solid state batteries, solid electrolyte and solid state battery
EP3776709A1 (en) * 2018-03-26 2021-02-17 Toyota Motor Europe Method for producing a solid electrolyte material and a solid electrolyte for solid state batteries
WO2019195644A1 (en) * 2018-04-06 2019-10-10 The Florid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Solid electrolytes and methods
US11127974B2 (en) 2018-05-14 2021-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eparing sulfide-based solid electrolyte, sulfide-based solid electrolyte prepared therefrom, and soli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ulfide electrolyte
JP7077766B2 (ja) 2018-05-18 2022-05-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系固体電解質、当該硫化物系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及び、全固体電池の製造方法
CN110534681A (zh) * 2018-05-25 2019-12-03 浙江锋锂新能源科技有限公司 传导离子的管状陶瓷膜及其制备方法
US11664530B2 (en) 2018-07-17 2023-05-30 Idemitsu Kosan Co., Ltd. Production method for solid electrolyte
US20200087155A1 (en) * 2018-09-19 2020-03-19 Blue Current, Inc. Lithium oxide argyrodites
CN109638360B (zh) * 2018-11-09 2022-03-08 哈尔滨工业大学无锡新材料研究院 一种全固态锂硫电池的制备方法及制备模具
JP6719037B1 (ja) 2018-11-22 2020-07-08 出光興産株式会社 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及び電解質前駆体
EP3886119A4 (en) 2018-11-22 2022-08-10 Idemitsu Kosan Co.,Ltd. SOLID ELECTROLYTE CAPACITOR AND METHOD OF TREATMENT THEREOF
JP7319900B2 (ja) * 2018-12-05 2023-08-02 出光興産株式会社 アルジロダイト型結晶構造を有する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US11799126B2 (en) 2019-05-31 2023-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eparing solid electrolyte and all-solid battery including solid electrolyte prepared by the method
KR20220062009A (ko) * 2019-09-06 2022-05-13 로디아 오퍼레이션스 Li-p-s 생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 및 상응하는 생성물
KR20220065755A (ko) 2019-09-17 2022-05-20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 및 전해질 전구체
TWI737011B (zh) * 2019-10-22 2021-08-21 輝能科技股份有限公司 固態電解質接面調整材及其混合式電解質系統
TWI719683B (zh) * 2019-10-22 2021-02-21 輝能科技股份有限公司 陶瓷隔離層
JP6896202B1 (ja) 2019-11-21 2021-06-30 出光興産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KR20220121243A (ko) 2019-12-20 2022-08-31 블루 커런트, 인크. 결합제가 있는 복합 전해질
WO2021132173A1 (ja) 2019-12-23 2021-07-01 出光興産株式会社 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JP7218433B2 (ja) * 2019-12-27 2023-02-06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及びその製造方法
US11631889B2 (en) 2020-01-15 2023-04-18 Polyplus Battery Company Methods and materials for protection of sulfide glass solid electrolytes
JPWO2021172159A1 (ko) 2020-02-28 2021-09-02
JPWO2021230189A1 (ko) 2020-05-13 2021-11-18
EP4152463A1 (en) 2020-05-13 2023-03-22 Idemitsu Kosan Co., Ltd Solid electrolyte production method
EP4160718A1 (en) 2020-05-27 2023-04-05 Idemitsu Kosan Co., Ltd Electrode mix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21241405A1 (ja) 2020-05-27 2021-12-02 出光興産株式会社 ハロゲン化リチウム化合物の製造方法
WO2022075471A1 (ja) 2020-10-09 2022-04-14 出光興産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ガラスセラミクス及びその製造方法
CN116438611A (zh) 2020-11-13 2023-07-14 出光兴产株式会社 固体电解质的制造方法
WO2022124371A1 (ja) 2020-12-10 2022-06-16 株式会社Gsユアサ 硫化物固体電解質、硫化物固体電解質の元素選択方法、硫化物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蓄電素子、電子機器及び自動車
KR102269019B1 (ko) * 2020-12-14 2021-06-25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고체전해질 및 그를 포함하는 전고체전지
EP4283633A1 (en) 2021-01-19 2023-11-29 Idemitsu Kosan Co., Ltd Modified sulfide solid electroly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WO2022239614A1 (ko) 2021-05-11 2022-11-17
EP4339970A1 (en) 2021-05-14 2024-03-20 Idemitsu Kosan Co., Ltd Sulfide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electrode mixture containing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sulfide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WO2023286842A1 (ja) 2021-07-16 2023-01-19 出光興産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
WO2023013778A1 (ja) 2021-08-06 2023-02-09 出光興産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及び硫化物固体電解質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8348A1 (en) 2007-04-27 2008-10-30 Ohara Inc.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WO2010106412A1 (en) 2009-03-16 2010-09-2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ll-solid secondary battery with graded electrode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77128A1 (fr) 1980-02-29 1981-09-04 Saft Leclanche Composition vitreuse conductrice de cations alcalins et procede de preparation d'une telle composition
EP0079228B1 (en) * 1981-11-10 1986-04-02 United States Borax & Chemical Corporation Ionic conductor materials
JPS5973850A (ja) * 1982-10-19 1984-04-26 Sanyo Electric Co Ltd 固体電解質電池
JPS59151700A (ja) 1983-02-15 1984-08-30 Kajima Corp 液化ガス地下式貯槽
JPH0670906B2 (ja) * 1983-02-16 1994-09-07 三洋電機株式会社 固体電解質電池
US5227148A (en) * 1990-09-18 1993-07-13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Vitreous compositions based on Li3 PO4 and LiPO3 as network formers and network modifiers
JP3528866B2 (ja) 1994-06-03 2004-05-24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硫化リチウムの製造方法
JP3655443B2 (ja) 1997-09-03 2005-06-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リチウム電池
JP4174816B2 (ja) * 2001-02-28 2008-11-0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無機固体電解質およびリチウム電池部材
KR101109821B1 (ko) 2003-10-23 2012-03-13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황화리튬의 정제 방법
JP4813767B2 (ja) 2004-02-12 2011-11-09 出光興産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硫化物系結晶化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4392618B2 (ja) 2006-05-15 2010-01-0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固体電解質の形成方法
JP5096722B2 (ja) * 2006-10-18 2012-12-12 出光興産株式会社 電池材料の製造方法及び全固体電池
JP5395346B2 (ja) 2007-10-11 2014-01-22 出光興産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硫化物系固体電解質
JP2009283344A (ja) * 2008-05-23 2009-12-03 Idemitsu Kosan Co Ltd リチウム電池用負極合材、リチウム電池用負極、リチウム電池、装置およびリチウム電池用負極合材の製造方法
JP5534226B2 (ja) 2009-06-19 2014-06-2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発電要素およびそれを用いた非水電解質電池
JP5349427B2 (ja) 2010-08-26 2013-1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正極体およびリチウム固体電池
JP5521899B2 (ja) * 2010-08-26 2014-06-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およびリチウム固体電池
JP5553004B2 (ja) 2010-11-08 2014-07-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リチウム固体電池、および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JP5443445B2 (ja) 2011-07-06 2014-03-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リチウム固体電池、および、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CN102736310B (zh) * 2012-05-30 2015-04-2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彩色滤光片的制作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8348A1 (en) 2007-04-27 2008-10-30 Ohara Inc.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WO2010106412A1 (en) 2009-03-16 2010-09-2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ll-solid secondary battery with graded electrod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prasada.Rao. Li conductivity and migration pathway studies of LiCl doped 0.6Li2S-0.4P2S5 glassy electrolyte for all-solid-state batteries. 2010.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348A (ko) * 2016-03-14 2018-11-12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고체 전해질 및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
KR102399662B1 (ko) * 2016-03-14 2022-05-18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고체 전해질 및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50231B (zh) 2015-11-25
US9484597B2 (en) 2016-11-01
EP2712468A1 (en) 2014-04-02
CA2840671A1 (en) 2013-01-10
BR112014000252A8 (pt) 2019-02-12
AU2012280008A1 (en) 2014-01-23
KR20140025542A (ko) 2014-03-04
BR112014000252A2 (pt) 2017-02-14
JP5443445B2 (ja) 2014-03-19
CN103650231A (zh) 2014-03-19
AU2012280008B2 (en) 2015-10-29
JP2013016423A (ja) 2013-01-24
EP2712468B1 (en) 2016-07-27
WO2013005085A1 (en) 2013-01-10
CA2840671C (en) 2016-08-02
US9172113B2 (en) 2015-10-27
US20140141341A1 (en) 2014-05-22
US20150357675A1 (en) 2015-12-10
BR112014000252B1 (pt)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6109B1 (ko)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 리튬 고체 전지 및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제조 방법
US10938062B2 (en) Sulfide solid electrolyte material, lithium solid battery and method of preparing sulfide solid electrolyte material
KR101723331B1 (ko)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 황화물 유리, 리튬 고체 전지, 및,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제조 방법
JP5553004B2 (ja)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リチウム固体電池、および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KR101421905B1 (ko) 황화물 고체 전해질 유리, 리튬 고체 전지 및 황화물 고체 전해질 유리의 제조 방법
JP5594253B2 (ja)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リチウム固体電池、および、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JP5877401B2 (ja)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及び当該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を含むリチウム固体電池
JP5857912B2 (ja)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JP6131851B2 (ja)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JP2014089971A (ja)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リチウム固体電池、および、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JP6070468B2 (ja)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
JP2014127387A (ja)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リチウム固体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