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794B1 - 잉크 제트 프린터용 잉크 용기, 용기 홀더, 홀더용 캐리지 및 잉크 제트 프린터 - Google Patents

잉크 제트 프린터용 잉크 용기, 용기 홀더, 홀더용 캐리지 및 잉크 제트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794B1
KR0156794B1 KR1019950026303A KR19950026303A KR0156794B1 KR 0156794 B1 KR0156794 B1 KR 0156794B1 KR 1019950026303 A KR1019950026303 A KR 1019950026303A KR 19950026303 A KR19950026303 A KR 19950026303A KR 0156794 B1 KR0156794 B1 KR 0156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ink container
holder
container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6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180A (ko
Inventor
히로유끼 이노우에
사다유끼 스가마
소이찌 히라마쯔
히데끼 야마구찌
도시히꼬 우지따
아끼히로 야마나까
다까시 노지마
야스오 고따끼
게이이찌로 쯔꾸다
히또시 나까무라
아끼라 기다
히데아끼 가와까미
다께시 이와사끼
Original Assignee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45959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5679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6199809A external-priority patent/JP280114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2347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04282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0814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11578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1107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062030B2/ja
Application filed by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따라이 하지메
Publication of KR960007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7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43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 B41J2/1755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mechanically

Landscapes

  • Ink Je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잉크 용기가 착탈 가능하게 창작되는 잉크 제트 헤드에 공급될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용기는, 잉크 제트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분배 포트와, 주위와 유체 연통하는 공기 벤트와, 잉크 용기의 제1측면 상에 제공된 클로형 돌기와, 상기 잉크 용기로부터 반대쪽인 제2 측면에 제공된 레칭 레버를 구비하며, 상기 래칭 레버는 잉크 용기 사에 탄성 지지되며 래칭 클로를 갖는다.

Description

잉크 제트 프린터용 잉크 용기, 용기 홀더, 홀더용 캐리지 및 잉크 제트 프린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케이스 내에 있는, 제1도에 도시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캐리지의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캐리지의 헤드 안내부 및 그 외주의 사시도.
제5도는 잉크 용기에 연결되고 헤드 단자를 나타내도록 각도 위치된, 제1도에 도시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 장착 가능한 단색 기록 헤드의 사시도.
제6도는 잉크 용기에 연결되고 헤드 단자가 위치된 측면에 대향한 측면을 나타내도록 각도 위치된, 제1도에 도시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 장착 가능한 단색 기록 헤드 카트리지의 사시도.
제7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 장착 가능한 단색 기록 헤드 카트리지의 바닥의 평면도.
제8도는 제7도에 도시된 기록 헤드 카트리지의 노즐 부분의 확대 사시도.
제9도는 제2도에 도시된 잉크 제트 기록 장치 내로 기록 헤드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제1 단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0도 제2도에 도시된 잉크 제트 기록 장치 내로 기록 헤드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제2 단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1도 제5도에 도시된 기록 레드 카트리지의 평면도.
제12도는 A-A선을 따라 절취한 제11도에 도시된 기록 헤드 카트리지의 단면도.
제13도는 제5도에 도시된 기록 헤드 카트리지에 장착 가능한 잉크 용기의 평면도.
제14도는 B-B선을 따라 절취한 제13도에 도시된 잉크 용기의 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에 도시된 잉크 용기의 분배 포트가 단색 홀더에 연결되는 방법을 도피하는 단면도.
제16도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 내로 잉크 용기를 장착하는 제1 단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7도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 내로 잉크 용기를 장착하는 제2 단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8도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의 단색 홀더가 바닥벽에 팝업(pop-up) 스프링을 가지는, 제11도의 기록 헤드 카트리지를 가로질러 그려진 절취선 ,4'-A'와 동등탄 절취선에서의 기록 헤드 카트리지의 일례의 단면도.
제19도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가 캐리지 상에 있는, 제3도에 도시된 캐리지 및 제6도에 도시된 기록 헤드 카트리지의 사시도.
제20도는 칼라 기록 헤드 카트리지에 용접될 2개의 잉크 용기와 더불어, 제1도에 도시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 장착 가능한 칼라 기록 헤드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1도는 제20도에 도시된 칼라 기록 헤드 카트리지의 바닥의 평면도.
제22도는 2개의 잉크 용기가 칼라 기록 헤드 카트리지에 있는, 제20도에 도시된 칼라 기록 헤드 카트리지의 평면도.
제23도는 D-D선을 따라 절취한 제22도의 단면도.
제24도는 I-I선을 따라 절취한 제22도의 단면도.
제25도는 제20도에 도시된 칼라 잉크 용기의 바닥의 평면도.
제26도는 제20도에 도시된 칼라 잉크 용기의 측면도.
제27도는 칼라 기록 헤드 카트리지가 캐리지 상에 있는, 제3도에 도시된 캐리지 및 제22도에 도시된 칼라 기록 헤드 카트리지의 사시도.
제28도(a) 및 제28도(b) 각각은 흑색 전용 기록 헤드(BHP)와 일체로 되어 흑색 잉크 용기(30) 만을 파지하는 용기 홀더(60)의 사시도 및 흑색 기록 헤드(BCHD)와 일체로 되어 흑색 잉크 용기(130) 및 칼라 잉크 용기(140)를 파지하는 용기 홀더(160)의 사시도.
제29도(a) 및 제29도(b)는 각각 용기 홀더(60, 160)의 평면도 및 저면도.
제30도(a), 제30도(b) 및 제30도(c) 각각은 흑색 잉크 용기(30)의 바닥을 주로 도시하는 흑색 잉크 용기(30)의 사시도, 흑색 잉크 용기(130)의 바닥을 주로 도시하는 흑색 잉크 용기(130)의 사시도 및 칼라 잉크 용기(140)의 바닥을 주로 도시하는 칼라 잉크 용기(140)의 사시도.
제31도(a), 제31도(b) 및 제31도(c) 각각은 흑색 잉크 용기(130) 및 보호 부재(200) 제거 동작을 도시하는 사시도, 칼라 잉크 용기(140) 및 보호 부재(201) 제거동작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보호 부재부 구조의 단면도.
제32도(a), 제32도(b), 제32도(c), 제32도.(d), 제32도(e) 및 제32도(f)는 용기치수가 정확하게 (비례적으로) 축소된 흑색 잉크 용기(30)의 일 실시예의 도면들로서 제32도(a), 제32도(c) 및 제32도(d)는 제32도(b) 둘레에 삼각형으로 배열되며, 상기 도면 각각은, 좌측면도, 평면도, 정면도, 우측면도, 흡수 부재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평면도[제32도(b)]의 보다 축소된 투영도 및 단일 방향 잉크 반송 부재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절결 평면에서의 보다 축소된 단면도.
제33도(a), 제33도(b), 제33도(c), 제33도(d), f133도(e), 제33도(f) 및 제33도(g)는 용기 치수가 정확하게 (비례적으로) 축소된 흑색 잉크 용기(130)의 일 실시예의 도면들로서 제33도(a), 제33도(d), 제33_E.(c) 및 제33도(e)는 제33도(b) 둘레에 삼각형으로 배열되며, 상기 도면 각각은, 좌측면도, 평면도, 정면도, 우측면도, 저면도, 제33도(c)에 도시된 단일 방향 잉크 반송 부재의 증심선을 포함하는 절결 평면에서의 단면도 및 흡수 부재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평면도[제33도(b)]의 투영도.
제34도(a), 제34도(b), 제34도(c), 제34도(d), l134도(e) 및 제34도(f)는 용기치수가 정확하게 (비례적으로) 축소된 칼라 잉크 용기(160)의 일 실시예의 도면들로서 제34도(a), 제34도(d), 제34도(c) 및 제34도(e)는 제34도(b) 둘레에 삼각형으로 배열되며, 상기 도면 각각은, 좌측면도, 평면도, 정면도, 우측면도, 저면도, 제34도(c)에 도시된 단일 방향 잉크 반송 부재의 중심선을 포팜하는 절결 평면에서의 정면도[제34도(c)]의 단면도.
제35도는 평면도인 제34도(c)의, 흡수 부재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확대 투영도.
제36도는 잉크 반송 효율을 증가시키는 데 기여하는, 잉크 용기의 여러 치수들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개념도.
제37도는 제28도에 도시된 용기 홀더(60, 160)가 장착된 잉크 제트 기록 장치 캐리지의 구조의 사시도.
제38도는 흑색 잉크 용기(130)의 보호 부재(200)의 평면도.
제39도(a) 및 제39도(b)는 흑색 잉크 용기(130)를 담은 패키지 보호 부재(200)의 도면들로서, 도면 각각은 제38도의 화살표 A의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도면 및 제39도(a)의 화살표 B의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도면.
제40도는 칼라 잉크 용기(140)의 보호 부재(201)의 평면도.
제41도(a) 및 제41도(b) 각각은 칼라 잉크 용기(140)를 담는 패키지 보호 부재(201)의 평면도 및 측면도.
제42도(a) 및 제42도(b) 각각은 흑색 잉크 용기(140)를 담은 보호 부재(400)의 평면도 및 측면도.
제43도(a) 및 제43도(b) 각각은 흑색 잉크 용기(140)를 담는 패키지 보호 부재(201)의 평면도 및 측면도.
제44도(a), 제44도(b) 및 제44도(c)는 제42도 및 제43도에 도시된 보호 부재(400)의 상세도들로서, 도면 각각은 부분 단면도, 확대 부분도 보호 부재(400)가 잉크 용기와 결합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제45도는 h≤H≤4h 인 본발명의 제1태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46도는 이동이 0.1mm이상 0.5mm이하인 본 발명의 제5태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47도는 0.3mm≤α≤0.8mm인 본 발명의 제3태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48도는 접촉 압력(N)이 40 gf/㎟ ≤ N ≤80 gf/㎟ 인 본 발명의 제4태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49도는 거리가 10mm이하인 본 발명의 제2태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50도는 잉크 용기 홀더 및 잉크 용기의 변경예의 단면도.
제51도는 잉크 용기 홀더 및 잉크 용기의 다른 변경예의 단면도.
제52도는 잉크 용기 홀더 및 잉크 용기의 또 다른 변경예의 단면도.
제53도는 잉크 용기 홀더 및 잉크 용기의 또 다른 변경예의 단면도.
제54도는 잉크 용기 홀더 및 잉크 용기의 또 다른 변경예의 단면도.
제55도는 잉크 용기 홀더 및 잉크 용기의 또 다른 변경예의 단면도.
제56도는 잉크 용기의 변경예의 사시도.
제57도는 잉크 용기의 다른 변경예의 사시도.
제58도는 잉크 용기의 또 다른 변경예의 사시도.
제59도는 잉크 용기의 또 다른 변경예의 사시도.
제60도는 잉크 용기의 또 다른 변경예의 평면도.
제61도는 B-B선을 따라 절취한 제60도에 도시된 잉크 용기의 단면도.
제62도는 용기가 홀더 내에 있는, 잉크 용기 및 단색 홀더의 단면도.
제63도는 잉크 용기의 래치 클로가 홀더로부터 분리된, 잉크 용기 및 단색 홀더의 단면도.
제6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용기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65도는 제64도에 도시된 잉크 용기의 단면도.
제6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용기의 제3 실시예에서의 래치 레버 노브의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 : 기록 헤드 카트리지 2 : 캐리지
3 : 케이블 4 : 프레임
5 : 가이드 축 6 : 분배 롤러
8 : 가압판 9 : 픽업 롤러
12 : 가이드 레일 17 : 상부 케이스
18 : 바닥 케이스 19 : 상부 커버
20 : 헤드 커버 21 : 케이블 리테이너
22 : 헤드 가이드 24 : 금속 축
30 : 잉크 용기 31 : 덮개 부재
32 : 용기 32b : 잉크 분배 포트
326 : 클로 33 : 잉크 흡수 부재
34 : 리브 35 : 잉크 분배 부재
50 : 노즐부 51 : 기부판
53 : 헤드 단자 60 : 단색 홀더
61 : 밀봉 링 62 : 필터
600 : 잉크 태핑 튜브 130 : 흑색 잉크 용기
131 : 덮개 부재 132 : 흑색 잉크 저장 용기
132b : 잉크 분배부 140 : 칼라 잉크 용기
160 : 칼라 홀더
본 발명은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기록하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기록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 용기와, 잉크 용기를 제거 가능하게 파지하는 잉크 용기 홀더와, 캐리지와 기록 매체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의해 기록 매체를 주사하는 방식으로 이동되고 기록 헤드를 제거 가능하게 파지하는 캐리지를 포함하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종이, 직물, 플라스틱 시트, OHP 시트 등과 같은 기록 매체(이하, 기록 종이라 한다) 상에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 장치는, 예컨대 와이어-도트 시스템, 열 시스템, 열전달 시스템 및 잉크 제트 시스템 등의 여러 시스템의 기록 헤드를 수용할 수 있는 장치의 형태로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기록 시스템 중에서, 잉크 제트 시스템은 기록 소자 상에 정렬된 토출 오리피스(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기록하는 비충격식 시스템이다. 따라서, 이러한 잉크 제트 시스템을 채용한 기록 장치(이하, 잉크 제트 기록 장치라 한다)는 고속 및 고밀도로 기록할 수 있다.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형태는 기록 장치가 채용되는 시스템의 특정 기능을 수용하도록 그리고 상기 시스템이 사용되는 방법과 부합하도록 선택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잉크 제트 기록 장치는 기록 잉크 용기를 장착하는 캐리지와, 기록 매체를 이송하는 이송 수단과, 상기 부분들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기록시, 복수 개의 토출 오리피스로부터 잉크 액적을 토출하는 기록 헤드는 기록 종이가 이송되는 방향(부 주사 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주 주사 방향)으로 기록 매체를 연속적으로 주차하는 방식으로 이동된다. 기록하지 않는 경우에는, 즉 주 주사의 하나의 라인과 다음 라인 사이의 간격 동안에, 기록 매체는 기록 폭과 동일한 피치만큼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된다. 기록 헤드가 단일의 주사 라인이 기록 매체를 가로질러 연장되게 할 때마다, 부 주사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기록 헤드에 정렬된 노즐의 개수에 대응하는 폭을 가로질러 기록 매체 상에 기록이 이루어진다.
더욱이, 잉크 제트 기록 장치는 운전 비용이 저렴하고 크기가 용이하게 감소될 수 있다. 게다가, 칼라 화상을 기록하기 위해 복수 개의 칼라 잉크와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고속으로 기록할수 있다. 특히, 많은 개수의 토출 오리피스가 기록 매체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정렬된 라인식 기록 헤드를 채용한 라인식 기록 장치가 사용될 때, 기록 속도는 더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제트 기록 장치는 정보 처리 시스템용 출력 수단으로서 상품화되어 사용한다. 예컨대, 잉크 제트 기록 장치는 복사기, 전기 타이프라이터, 워드 프로세서, 워크 스테이션등의 주변 출력장치로서의 프린터로서, 또는 개인용 컴퓨터, 주 컴퓨터, 광디스크 장치, 비디오 장치등의 프린터(또는 휴대용 프린터)로서 사용된다.
기록 헤드의 토출 오리피스로부터 잉크를 토출시키기 위해 사용될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에너지 발생 소자의 관점에서 압전 소자와 같은 전기 기계 변환기를 채용한 잉크 제트 기록 헤드와, 잉크 액적을 토출시키기 위해 사용될 열을 발생시키도록 전자기파를 발하는 레이저와 같은 전자기 장치를 채용한 잉크 제트 기록 헤드와, 액체를 가열하기 위해 사용될 발열 저항기를 포함하는 전기 열 변환체를 채용한 잉크 제트 기록 헤드가 있다.
전술한 잉크 제트 기록 헤드들 중에서, 잉크 액적을 토출하기 위해 열 에너지를 사용하는 잉크 제트 기록 시스템을 채용한 잉크 제트 기록 헤드는 고 해상도로 기록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토출 오리피스가 고밀도로 정렬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에너지 발생 소자로서 전기 열 소자를 채용한 잉크 제트 기록 헤드는 크기가 용이하게 감소될 수 있으므로 몇가지 이점을 가지며, 상기 기록 헤드는 반도체 분야에서 개발되어 고도로 진보되고 신뢰성 있는 IC 및 마이크로 프로세싱 기술을 최대한 이용하므로 고도로 집적될 수 있고 생상 비용이 절감된다.
기록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용기는 통상적으로 잉크 흡수 부재, 상기 잉크 흡수 부재를 저장하는 용기 및 상기 저장 용기를 밀봉하는 덮개 부재를 포함한다.
전술한 기록 헤드는 2개의 그룹, 즉 잉크 용기와 일체코 된 칩형 헤드와, 잉크용기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분리형 헤드로 분류될 수 있다. 두 종류에서, 기록 헤드와 잉크 용기 사이의 위치 관계, 또는 기록 헤드 및 이와 일체로 된 잉크 용기를 구비한 기록 헤드 카트리지와 캐리지 사이의 위치 관계는 인쇄 품위측면에서 중요한 사항이다. 이들의 위치 관계를 고정하는 추단들 중 하나는 구멍과, 구멍 내로 결합하는 핀을 포함하고, 구멍 및 핀이 결합됨에 따라 위치 관계가 정확하게 고정될 수 있다.
소형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 있어서, 잉크 용기 또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를 여러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되는 레버 등을 구비한 기구는 기록 헤드와 잉크 용기 사이에서, 또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와 캐리지 사이에서 전술한 위치 관계를 고정하는 기구로서 채용되어 와서, 그 장착 또는 제거가 다른 것보다 더 작은 공간을 필요로 하게 한다.
장착 또는 제거 중에, 잉크 용기 또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를 여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기구는 장착 또는 제거를 위해 작은 공간만을 괼요로 하며, 따라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크기 감소에 기여한다. 그러나, 잉크 용기 또는 기록 헤드를 장착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작업은 비교적 복잡하다. 따라서, 소형이고, 작동이 간단하며, 장착 또는 제거 작업 중에 문제가 없고, 위치 관계에서의 정확도를 감소시키지 않는 구조체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븐 발명의 주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위치 설정 정확도를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잉크 용기의 장착 또는 제거를 위한 작업을 간단히 할 수 있으며, 크기가 용이하게 감소될 수 있는 잉크 용기, 잉크 용기 홀더 및 카트리지와 ; 이러한 캐리지를 구비한 잉크 제트 기록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잉크를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 가능한 개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간단한 작업을 통해 장착 또는 제거될 수 있고, 보다 신뢰성 있고 내구적이며, 크기가 더욱 감소될 수 있는 잉크 용기와 ; 이러한 잉크 용기 및 이러한 용기를 위한 홀더를 구비한 잉크 제트 기록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잉크 용기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게 하면서 잉크 공급 능력을 향상시킨 잉크 용기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목적은 동작 성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판매 또는 보관 중에 본 발명에 따라 생산된 잉크 용기를 보다 신뢰성 있게 보호할 수 있게 하는 보호 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잉크 용기의 내부 구조가 소형 잉크 용기의 잉크 공급 성능 측면에서 잉크 용기의 장기간의 사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에 근거를 두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잉크 공급 성능을 안정시킬 수 있는 잉크 용기를 위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형 잉크 용기의 외부 형태를 간단히 함으로써 저렴한 잉크 용기와, 이러한 잉크 용기를 홀더 내로 신뢰성 있게 장착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잉크 분배 포트에 단일 방향 잉크 공급 부재가 설비된 잉크 용기가 장착쥘 때, 특히 이러한 잉크 용기가 회전 이동을 통해 장착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잉크 용기가 작용점에 의존하여 신뢰성 있게 장착되지 않는다는 것을 고려하여 이루어겼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히 잉크 용기의 폭 또는 길이가 잉크 용기의 두께 (높이) 이상일 때 잉크 용기를 장착하는 데 효과적인 구조 및/또는 방법을 페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성취할 수 있는 발명이고, 현재까지 인식되지 않은 잉크 용기의 여러 단점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잉크 용기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쥘 수 있는 잉크 제트 헤드에 긍급될 잉크를 담는 잉크 용기가 마련되며, 상기 잉크 용기는 잉크 제트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분배 포트와, 대기와 유체 연통하기 위한 공기 통기구와, 잉크 용기의 제1 측면에 마련된 클로형 돌기(claw-like projection)와, 잉크 용기로부터 대향한 제2 측면에 마련되고 잉크 용기 상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래칭 클로를 갖는 래칭 레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잉크 제트 헤드에 공급될 잉크를 담는 잉크 용기를 파지하는 잉크 용기 홀더가 마련되며, 잉크 용기 홀더는 잉크 용기를 수납하는 개구와, 잉크 용기로부터 잉크를 수납하는 잉크 수납 튜브와, 잉크 용기의 클로형 돌기와 결합하는 제1 결합 구멍을 갖는 제1 내벽과, 잉크 용기의 래칭 레버의 래칭 클로와 결합하는 제2 결합 구멍을 갖는 제2 내벽와, 개구의 일부를 덮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잉크 용기와 일체로 된 잉크 제트 헤드에 공급될 잉크를 담는 잉크 용기를 파지하며, 왕복으로 이동 가능한 캐리지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잉크 용기 홀더가 마련되며, 잉크 용기 홀더는 잉크 용기의 착탈을 위한 작동부와 캐리지에 대한 잉크 용기의 착탈을 위한 작동부는 캐리지의 이동 방향에 대해 동일 측면에 마련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잉크 용기 홀더를 장착하는 장착부와, 잉크 용기를 위치시키는 제1 측면 상의 위치 설정부와, 잉크 용기에 장착된 잉크 제트 헤드의 접촉부와의 전기 접속을 위한 전기 접촉부와, 잉크 용기 홀더의 결합부와 결합하도록 제2 측면 상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안내 부재를 포함하는 잉크 제트 장치용 왕복 가능 캐리지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부재는 잉크 용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이며, 보호부재의 바닥면에는 잉크 용기 내에 저장된 기록 잉크를 반송하기 위한 분배 포트가 마련되고, 보호 부재의 표면들 중 하나에는 잉크 용기가 장착되는 홀더의 요부 내로 삽입되는 돌기가 마련되며, 잉크 용기는 돌기가 배치된 표면에 대향한 표면 상에서 용기에 배치된 탄성 작동 래치 레버의 래칭 클로를 홀더의 결합부와 결합시키거나 이들을 분리시킴으로써 홀더 내로 장착되거나 홀더로부터 해제된다. 보호 부재는 상기 래칭 클로가 배치된 탄성 작동 래치 레버를 접촉하지 않고 덮는 보호부와, 상기 분배 포트의 외주를 밀봉하는 흡수 부재 또는 캡이 배치된 바닥부와, 돌기를 수납하는 요부와, 상기 탄성 작동 래치 레버 측에서 잉크 용기의 상부 모퉁이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잉크 용기의 돌기 부재를 보호 및/또는 사용함으로써 잉크 용기를 위한 신뢰성 있고 효과적이며 포괄적인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성취되는 작업 개선의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은 잉크를 기록 매체 상에 토출함으로써 화상을 기록하는 칼라 기록 헤드와 일체로 되어 있고, 기록 매체를 기록 헤드에 의해 주사하기 위해 상기 기록 매체의 표면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캐리지 상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기록 헤드의 개수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잉크 용기를 파지할 수 있는 잉크 용기 홀더 내에서 파지될 수 있는 제1잉크 용기 및 제2잉크 용기의 설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잉크 용기 및 제2잉크 용기가 각각 제1색상 및 제2색상으료 표시되며, 잉크 용기 홀더의 대응하는 잉크 용기 보유가 각각 제1색상 및 제2색상으로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조 및/또는 표시의 설비로 인해, 잉크 용기 장착 에러뿐만 아니라 작업 에러를 제거할 수 있다.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작업 개선 관점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잉크를 기록 매체 상에 토출함으로써 화상을 기록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제트 기록 장치는, 왕복 이동식으로 지지된 캐리지와, 잉크 제트 기록 헤드와 일체로 되어 있고 캐리지 상에 장착 가능한 홀더와, 잉크 용기 내에 저장된 기록 잉크를 반송하는 분배 포트가 바닥면에 마련되고 잉크 용기가 장착되는 홀더의 결합부와 래칭 클로를 결합시킴으로써 홀더 내로 장착되거나 홀더로부터 제거되는 잉크 용기를 포함하며, 잉크 용기의 색상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색상이 장치와 일체로 된 캐리지의 색상과 유사하고,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잉크 용기의 색상이 케리지 보다 더 밝을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색상 구성은 제19도 및 제27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여러 이점을 제공하며, 특히 장착 또는 제거 작업이 캐리지 또는 홀더의 제한부와 관련될 때 잉크 용기의 장착 또는 제거에 관련된 구조는 색상에 의해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어 잉크 용기의 장착 또는 제거를 보다 용이하게 하므로 여러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한 이하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이후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기록 헤드 카트리지(1)는 가이드축(5) 및 가이드 레일(12) 상에 지지된 캐리지(2) 상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축(5) 및 가이드 레일(12)은 서로 평행하게 프레임(4)의 양 단부에 고정되고, 캐리지(2)는 기록 매체(P)가 분배되는 방향에 수직하고 기록 매체(P)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축 및 레일(5, 12) 상에서 활주가능하다. 캐리지(2)는 구동 풀리(13) 및 회전식으로 지지된 종동풀리(도시 생략) 주위로 신장되는 캐리지 구동 벨트(11)의 일부분에 연결된다. 구동 풀리(13)는 캐리지 구동 모터(10)의 출력축에 고정된다. 캐리지 구동 모터(10)가 구동되면 캐리지 구동 벨트(11)가 회전되어 캐리지를 상술한 방향으로 왕복시키게 된다.
기록 헤드 카트리지(1)는 잉크 용기 홀더를 포함하는데, 이 홀더는 기록 신호, 즉 잉크를 방출하기 위한 전기 신호에 응답하여 잉크를 방출하는 기록 헤드로서의 노즐부(50, 제5도)와,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 용기(30)를 제거가능하게 고정 유지하는 단색 홀더(60, 제5도)를 포함한다. 노즐부(50)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1)의 바닥부(도면에서 바닥 단부 부분)에 위치하고 이로부터 잉크가 도면의 하방으로 방출된다. 기록 신호는 제어기 회로로부터 캐리지(2)상에 마련된 가요성 케이블(3)을 통해서 노즐부로 송신된다. 제어기 회로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작동을 제어한다. 가요성 케이블(3)은 캐리지(2)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캐리지가 이동하게 되는 루프를 형성한다. 기록 헤드 카트리지(1)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록 매체(P)는 프레임(4)의 양 단부에 회전식으로 장착된 가압판(8) 상에 장착된다. 가압판(8)은 압력 하에서 가압 수단(도시생략)에 의해 픽업 롤러(9)쪽으로 향한다. 가압판(8)상에 위치한 기록 매체(P)는 픽업 롤러(9)상에 가압된다. 픽업 롤러(9)가 급지 명령에 응답하여 회전되면 기록 매체(P)가 픽업 롤러(9)와 기록 매체(P)사이에서 일어나는 마찰에 의해 공급된다. 가압판(8)은 종래의 자동 급지 장치에 사용된 분리 클로우와 같은 분리 수단(도시생략)을 가지며, 이로써 분리 수단의 기능에 의해서 최상부에 있는 한 장의 기록 매체(P)만 공급된다.
픽업 롤러(9)에 의해 공급된 기록 매체(P)는 프레임(4)에 의해 양 단부에서 지지된 분배 롤러(6)와 핀치 롤러(7)사이에 고정된 캐리지(2)의 하방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위치한 기록 매체(P)상에 기록이 수행된다. 기록 매체(P)가 분배되는 방향에 대한 캐리지(2)의 더 하방에는 용지 배출 롤러(15) 및 스퍼(16)가 서로 대향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캐리지(2) 아래를 지나가는 기록 매체(P)는 용지 배출 롤러(15)와 스퍼(16)사이에 고정되고 그후에 배출된다. 픽업 롤러(9)와 분배 롤러(6) 및 용지 배출 롤러(15)는 급지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구동된다.
이후에는 기록 매체(P) 분배 방향에 대한 상류측을 후방측이라 하고 후방측 상의 표면을 후방 표면이라 하며, 하류측을 전방측이라 하고 그 표면을 전방면이라 한다.
제2도는 제1도의 잉크 제트 기록 장치가 케이스 내에 위치하여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도에서, 외측 쉘은 바닥 케이스(18)와 상부 케이스(17)로 이루어지고, 제1도에 도시된 잉크 제트 기록 장치는 쉘 내에 위치한다.
상부 케이스의 후방측 부에는 상부 케이스를 덮는 상부 커버(19)가 부착되어 있다. 이 상부 커버(19)는 개방 및 폐쇄가 자유롭다. 상부 케이스(17)는 가압판(8)에 인접하게 위치한 개구를 가지며, 개방된 상부 커버(19)는 가압판(8) 상에 기록 매체(P)를 고정하기 위한 트레이로서 사용된다. 상부 케이스(17)는 그 중심부로부터 전방면으로 연장되는 다른 개구를 가지며, 이 개구로부터 기록 헤드 카트리지(1) 또는 잉크 용기(30)가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해 진다. 따라서, 기록 헤드 카트리지(1) 또는 잉크 용기(30)가 교체되면 캐리지(2)가 소정의 작동을 통해서 그 이동 범위의 중간 지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기록 헤드 카트리지(1) 또는 잉크 용기(30)를 교체하기 위한 개구의 전방측 상에는 상기 개구의 상부를 덮고 전방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헤드 커버(20)가 부착되어 있다. 이 헤드 커버(20)는 항상 자유롭게 개방 및 폐쇄되지만, 기록 헤드 카트리지(1) 또는 잉크 용기(30)가 교체되지 않을 때에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를 보호하도록 폐쇄된 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제3도를 참조하여 캐리지(2)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캐리지(2)의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캐리지(2)는 프레임과 같은 형상을 취하며, 비어있는 상태에서 기록 헤드 카트리지(1, 제1도)가 그 안에 장착된다. 캐리지(2)의 후방 표면 상에는 가이드축(5)이 위치하게 되는 두개의 베어링(2a)이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캐리지(2)의 전방면 상에는 고정 수단으로서의 두 개의 가이드 레일 홀더(2b)와 캐리지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정지구(2c)가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 홀더(2b)는 케이블 리테이너(21)의 측면 상에 위치하며, 캐리지 변형 방지 정지구(2c)는 헤드 가이드(22)의 측면 상에 위치한다. 가이드 레일 홀더(2b)와 캐리지 변형 방지 정지구(2c)는 소정의 거리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하며, 판의 형태인 가이드 레일(12)을 고정하고 수직하게 돌출하는 두개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명확한 것처럼 캐리지(2)는 두개의 베어링(2a)과 가이드 레일 홀더(2b) 및 캐리지 변형 방지 정지구(2c)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캐리지(2)는 기부(14)에 평행하게 지지되어서 캐리지(2) 상에 장착된 기록 헤드 카트리지(1)의 노즐부(50, 제5도)와 기록 매체(P) 사이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안정되게 유지된다.
그러나, 캐리지 변형 방지 정지구(2c)를 구성하는 두개의 부재들 사이의 거리는 가이드 레일 홀더(2b)를 구성하는 두개의 부재들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남게 되며, 이로써 실제적인 의미에서 캐리지(2)는 캐리지 변형 방지 정지구(2c)를 제외한 3개 지점에서 지지된다. 이는 다음의 이유에 기인한다. 활주 캐리지(2)에 의해 인가된 하중을 고려하면 이들 3개의 지지 지점은 직선은 아니지만 기부(4)에 평행하게 캐리지(2)를 지지하기에 충분하다. 또한, 캐리지 변형 방지 정지구(2c)를 마련하면 기록 헤드 카트리지(1)가 캐리지(2)에 장착되거나 이로부터 제거쥘 때 가이드 레일 홀더(2b) 및 베어링(2a)에 부가된 하중에 의해 캐리지(2)가 불필요하게 변위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작동 장애를 피할 수 있다. 헤드 가이드(22) 상에 캐리지 변형 방지 정지구(2c)를 위치시키는 이유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1)가 캐리지(2) 상에 장착 또는 이로부터 제거되었을 때 일정량의 힘이 헤드 가이드(22)에 인가되기 때문이다.
가요성 케이블(3)은 소정의 통로를 통해서 배열되고, 그 단부에 부착된 케이블 단자(3a)는 도면에서 우측 벽의 내측면 상의 캐리지(2)에 고정된다. 케이블 단자(3a)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1)의 헤드 단자(53)에 접촉하게 되어 기록 헤드 카트리지(1)가 캐리지(2) 상에 장착되었을 때 기록 헤드 카트리지(1)를 위한 전기 접속부를 형성 한다.
케이블 리테이너(21)는 스텐레스 강과 같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된 만곡판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단부는 케이블 단자(3a)보다 캐리지(2)의 내측으로 더 연장되는 커버부(21a)를 구성한다. 또한, 케이블 리테이너(21)의 일부는 가요성 케이블(3)의 GND 패턴에 접속된다. 즉, 케이블 리테이너(21)는 가요성 테이블(3)을 통해서 접지된다. 이러한 배열로 인해서, 작업자의 손가락 등에 의해 기록 헤드 카트리지(1) 등에 축적된 정전기는 작업자가 캐리지(2) 상에 기록 헤드 카트리지(1)를 장착하거나 이로부터 제거할 때 케이블 리테이너(21)를 통해서 GND로 방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로, 상기 정전기 등은 케이블 단자(3a)로 방출되지 않으므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제어 회로에 손상을 주지 않게 된다.
케이블 리테이너(21)의 일부가 커버부(21c)를 구성하기 때문에 케이블 단자(3a)는 커버부(21a) 아래에 위치하게 되고, 이로써 작업자의 손가락 등이 케이블 단자(3a)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상술한 정전기 등을 케이블 리테이너(21)에 방출하는 것이 용이해지며, 케이블 단자(3a) 자체도 커버부(21a)에 의해 보호할 수 있다.
케이블 단자(3a)가 위치하게 되는 캐리지(2) 표면 상에는 두개의 돌기(2d, 2e)가 헤드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헤드 위치 설정 돌기(26)는 정방형 기등의 형태이고 케이블 단자(3a)의 후방측 상에 위치한다. 다른 헤드 위치 설정 돌기(2e)는 원추형 팁을 갖는 원통형이고 케이블 단자(3a)의 전방측 상에 위치한다. 기록 헤드 카트리지(1)이 캐리지(2) 상에 위치하면, 헤드 위치 설정 돌기(2d)가 기록 헤트 카트리지(1)의 헤드 위치 설정 노치(53a, 제5도)에 있게 되고 다른 헤드 위치 설정 돌기(2e)가 기록 헤드 카트리지(1)의 헤드 위치 설정 구멍(53b, 제5도)에 있게 되며, 이에 의해서 캐리지(2) 상의 기록 헤드 카트리지(1)의 위치가 정확하게 고정된다.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명확한 것처럼 헤드 위치 설정 돌기(2d, 2e)는 캐리지(2)의 헤드 위치 설정 수단을 구성하고, 헤드 위치 설정 노치(53a)와 헤드 위치 설정 구멍(53b)은 기록 헤드 카트리지(1)의 헤드 위치 설정 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캐리지(2) 상에는 접촉 스프링(23)이 케이블 단자(3a)에 면하게 위치하고 수지 재료로 된 헤드 가이드(22)는 접촉 스프링(23)의 일단에 고정된다. 즉, 헤드 가이드(22)는 캐리지(2)상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기록 헤드 카트리지(1)가 캐리지(2)상에 위치하면 헤드 가이드(22)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1)의 헤드 가압부(60b, 제6도)에 있게 되어 기록 헤드 카트리지(1)를 이후에 설명하는 것처럼 접촉 스프링(23)으로부터의 힘에 기인하여 케이블 단자(3a)쪽으로 가압한다. 케이블 단자(3a)와 헤드 가이드(22)는 서로 직접 대면하게 위치하여 케이블 단자(3a)와 헤드 단자(35)사이의 접속이 보장된다. 또한, 헤드 가이드(22)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1)가 캐리지(2)상에 장착되었을 때 가이드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4도의 실시예에서는 이중 토션형 토션 코일 스프링이 접촉 스프링(23)으로서 사용되고, 코일의 두 부분이 캐리지(2) 상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 로드에 의해 지지된다. 양 단부에서 캐리지(2) 상에 지지된 금속축(24)은 각 코일부로부터 연장되는 두개의 단부들 사이에서 유지된다. 이러한 배열로, 캐리지(2) 상에 부과된 하중은 접촉 스프링(23)에 부과될 때 캐리지(2)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배열된다. 기록 헤드 카트리지(1)에 인가된 압력은 약 2kgf로 설정되어서 기록 헤드 카트리지(1)가 캐리지(2) 상에 장착되었을 때 케이블 단자(3a) 및 헤드 단자(53)가 서로 접촉 상태로 확실하게 위치된다.
상술한 것처럼 케이블 리테이너(21)의 일부분이 커버부(21a)를 구성하고 헤드 가이드(22)가 케이블 단자(3a)에 직접 면하는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기록 헤드 카트리지(1)가 캐리지(2) 상에 장착되었을 때 헤드 단자(53) 상의 캐리지(2) 표면은 커버부(21a) 아래에 위치하고 기록 헤드 카트리지(1)는 커버부(21a)의 에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가이드로서 작용하는 커버부(21a)를 갖고 기록 헤드 카트리지(1)를 캐리지(2) 상에 장착하는 데에는 작은 공간만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커버부(21a)는 케이블 단자(3a) 위로 연장되며, 이로써 기록 헤드 카트리지(1)의 헤드 단자(53) 측면을 위치시키지 않고 기록 헤드 카트리지(1)를 커버부(21a) 아래에 장착하려고 하면 기록 헤드 카트리지(1)의 기부판(51) 등은 케이블 단자(3a)에 접속되기 전에 커버부(21a)에 접촉하여 기록 헤드 카트리지(1)가 케이블 단자(3a)를 손상시키지 않게 해준다.
다음으로, 기록 헤드 카트리지(1)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사시도로서 헤드 단자(53)를 도시하고 있다. 제6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기록 헤드 카트리지(1)의 사시도로서 헤드 단자(53)의 반대쪽에 있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1)를 도시하고 있다. 제7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기록 헤드 카트리지(1)의 저면도이고, 제8도는 제7도에 도시된 기록 헤드 카트리지(1)의 노즐부(50)의 주요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이 기록 헤드 카트리지(1)는 흑백 인쇄용 카트리지이다. 제5도 내지 제7도에서 기록 헤드 카트리지는 잉크를 방출하는 노즐부(50)와 단색 홀더(60, 60)을 포함한다. 단색 홀더(60)는 박스형 홀더이고 그 상부는 개구를 갖는다. 단색 홀더(60)의 내부 공간에는 단색 잉크를 내장하는 잉크 용기(30)가 제거 가능하게 장착 된다.
확대도인 제8도에서, 노즐부(50)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료로 된 기부판(51)과 홈 부재(52)를 포함한다. 이 홈 부재는 복수개의 액체 통로(50d)를 형성하기 위한 여러 개의 흠과, 기부판에 고정된 공통 액체 챔버(50c)를 갖는다. 기록 매체(P)에 면하는 노즐부(50)의 방출 오리피스 표면(50a) 상에는 복수개의 방출 오리피스(50b)가 형성되어 복수개의 잉크 통로(500)의 개방 단부를 구성한다. 기부판(51) 상에서 잉크를 방출하는 데 사용되는 에너지를 발생하는 전기 열 변환체(열발생 저항체 등)는 소정의 피치로 배열된 복수개의 잉크 통로(504)에 대웅되게 배열된다. 공통 액체 챔버(50c)는 잉크 용기(제5도)에 연결되고, 잉크는 잉크 용기(30)로부터 공통 액체 챔버(50c)에 공급된다. 각 전기 열 변환체(50e)는 와이어(도시 생략)를 통해서 헤드 단자(5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헤드 단자(53)는 기부판에 고정된 유리 에폭시 수지와 같은 일편의 전기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전기 열 변환체(50e)에 접속된 와이어는 와이어 결합 수단을 사용하여 헤드 단자(53)에도 접속된다. 제7도에서, 기부판(3)은 기록 매체(P) 분배 방향에 대하여 1 내지 4°로 경사지며, 이로써 방출 오리피스(50b)에 의해 형성된 선도 기록 매체(P) 분배 방향에 대하여 1 내지 4°로 경사지게 된다.
잉크 용기로부터 공통 액체 챔버(50c)에 공급되어 이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잉크는 모세관 형상에 의해 액체 통로(500)에 도입되어 방출 오리피스(50b)에서 메니스커스를 형성한다. 이 메니스커스는 액체 통로를 잉크로 충전된 상태로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전력이 헤드 단자(53)에 전송된 기록 신호에 응답하여 전기 열 변환체(50e)에 공급-되어 전기 열 변환체(50e)가 열을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잉크 전기 열 변환체(50e) 상의 잉크가 갑자기 가열되어 막 비등을 일으키고 액체 통로(50d)에 기포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들 기포가 팽창되면 잉크가 방출 오리피스(50b)로부터 방출된다. 상기의 설명에서 전기 열 변환체(50e)가 에너지 발생 요소로서의 의미를 갖지만 에너지 발생 요소는 상기 전기 열 변환체(50e)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잉크에 방출 압력을 순간적으로 인가할 수 있는 기계적 에너지를 발생하는 압전 소자를 상기 전기 열 변환체 대신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기부판(51) 상에서는 헤드 위치 설정 노치(53a)가 정방형 기등의 형태인 헤드 위치 설정 돌기(26)에 맞물리고 헤드 위치 설정 구멍(53b)이 원통형 헤드 위치 설정 돌기(2e)에 맞물리며, 캐리지(2, 제3도)의 헤드 위치 설정 돌기(26, 2e) 의 위치에 각각 대응하게 형성되어 있다.
기부판(51)은 열 용접, 초음파 응접 등의 응접 방법을 사용하여 단색 홀더(60)의 측방 벽중 하나에 고정된다. 단색 홀더(60)의 상부 표면 상에는 계단식 부분(60a)이 기부판(51)의 측면 상의 단부에 형성되는데, 즉 이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낮은 하나의 계단을 이룬다. 기록 헤드 카트리지(1)가 캐리지(2) 상에 장착되면 기록 헤드 카트리지(1)는 계단식 부분(60a)의 상부 표면을 케이블 리테이너(21)의 커버부(21a, 제3도) 아래에 위치시킴으로써 정착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용이 해진다.
캐리지(2) 상에 기록 헤드 카트리지(1)를 장착하거나 이를 제거하기 위한 기구로서 헤드 가압부(60b)와 헤드 착탈 탭(60c)이 기부판(51)의 대향측면 상에 위치한 측벽의 외향 대면 표면 상에서 단색 홀더(60) 상에 형성된다. 헤드 가압부(60b)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1)가 캐리지(2) 상에 장착되었을 때 캐리지(2)의 헤드 가이드(22, 제3도)에 의해 유지되는 헤드 고정부이다. 헤드 착탈 탭(60c)은 기록 헤드 카트리지(1)를 캐리지(2) 상에 장착하거나 이로부터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 헤드 가압부(60b)는 표면의 바닥부 에지로부터 상부 에지로 연장되는 기부판(51)에 대향하는 벽 상의 단색 홀더(60) 상에 형성된 리세스부이다. 헤드 가압부(60b)의 상단부는 더 리세스된 헤드 가이드 결합부(64)를 구성하고, 기록 헤드 카트리지(1)가 캐리지(2) 상에 장착되었을 때 캐리지(2)의 헤드 가이드(22)가 헤드 가이드 결합부(64)에 맞물리게 된다. 헤드 가이드(22)가 헤드 가이드 결합부(64)에 맞물림으로써 기록 헤드 카트리지(1)가 캐리지(2) 상에 정확하게 위치하여 고정된다. 헤드 착탈 탭(60c)은 도면에서 기록 헤드 카트리지(1)의 전방측 상에, 즉 헤드 가압부(60b)가 형성되어 있는 표면 상에서 헤드 가압부(60b)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상부에 위치한다. 이로써, 작업자가 캐리지(2)로부터 기록 헤드 카트리지(1)를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기록 헤드 카트리지(1)를 당기기 위해 손가락을 탭 상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헤드 가압부(60b)는 리세스된 구역중 하나에 형성되고, 헤드 착탈 탭(60c)은 다른 하나에 형성된다. 이들 리세스된 구역들은 래치 레버 가이드 홈(60h, 제12도)의 형성에 기인하여 돌출하는 인접 (돌출) 구역에 대하여 리세스된다. 이후에 설명하게 될 래치 레버 가이드 흠(60h)은 래치 레버(32a)의 가이드를 구성한다. 따라서, 기록 헤드 카트리지(1)를 위한 제한된 가용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헤드 가이드(22)에 의해 유지된 헤드 고정부를 마련하는 데 최소 공간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기록 헤드 카트리지(1)가 캐리지(2)로부터 제거되었을 때 헤드착탈 탭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에, 기록 헤드 카트리지(1)를 캐리지(2) 상에 장착하거나 이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한다.
기록 헤드 카트리지(1)가 캐리지(2) 상에 장착되었을 때 기록 헤드 카트리지(1)는 기부판(51, 제5도) 측면이 제9도에 도시된 것처럼 캐리지(2) 상에 배열된 케이블 리테이너(21)의 커버부(21a) 아래에 위치한 상태로 화살표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삽입된다. 이 순서에서, 기록 헤드 카트리지(1)의 계단식 부분(60a, 제5도)의 수직 표면은 커버부(21a)의 에지 쪽으로 진행하여 기록 헤드 카트리지(1)의 위치를 정확하게 고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기록 헤드 카트리지(1)는 제10도에 도시된 것처럼 밀려난다. 이때에, 기록 헤드 카트리지(1)의 헤드 가압부(60b, 제6도)의 경사 표면은 캐리지(2)의 헤드 가이드(22, 페3도)에 의해 안내되고, 이로써 기록 헤드 카트리지(1)는 캐리지(2)의 헤드 위치 설정 돌기(20, 2e)가 기록 헤드 카트리지(1)의 헤드 위치 설정 노치(53a) 및 헤드 위치 설정 구멍(53b)에 맞물린 상태로 캐리지(2) 상에 매끄럽게 장착된다. 기록 헤드 카트리지(1)가 완전하게 장착되면 헤드 가이드(22)가 헤드 가이드 결합부(64, 제6도)에 맞물리게 되고, 따라서 기록 헤드 카트리지(1)의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헤드 가이드(22)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기록 헤드 카트리지(1)의 헤드 단자(53)가 캐리지(2)의 케이블 단자(3a) 상에 가압되어 그들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보장하게 된다.
기록헤드 카트리지(1)가 캐리지(2)로부터 제거되면 기록 헤드 카트리지(1)의 헤드 착탈 랩(60c)은 상방으로 당겨진다. 이 작동에 의해 헤드 가이드(22)와 헤드 가이드 결합부(64) 사이의 결합에 해제되고, 그 결과로 헤드 가압부(60c)가 헤드 가이드(22) 위로 올라가게 된다.
헤드 가압부(60b)가 헤드 가이드(22) 위로 올라감으로써 기록 헤드 카트리지(1)는 헤드 착탈 탭(60c) 측면이 캐리지(2)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경사지게 된다. 그러면, 캐리지(2)로부터 돌출한 부분을 파지함으로써 기록 헤드 카트리지(1)를 캐리지(2) 외부로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또한, 헤드 착탈 탭(60c)은 헤드 가압부(60b)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지점에서 헤드 가압부(60b)에서와 동일한 표면상에 위치하며, 이로써 헤드 착탈 탭(60c)이 당겨져서 헤드 가이드 결합부(64)를 헤드 가이드(22)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큰 모멘트가 생성된다. 따라서 기록 헤드 카트리지(1)는 더 작은 힘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견고하게 고정되는 반면에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요약하면, 작은 힘으로 기록 헤드 카트리지(1)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헤드 가압부(60b)가 캐리지(2)의 이동 방향에 평행한 기록 헤드 카트리지(1)의 중심선에 대하여 기록 헤드 카트리지(1)의 후방측 상에 위치해야 하고, 헤드 착탈 탭(60c)은 상기 중심선에 대하여 전방측의 에지에 위치해야 한다.
제11도는 제5도에 도시된 기록 헤드 카트리지(1)의 평면도이고, 제12도는 제11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기록 헤드 카트리지(1)의 단면도이다. 제11도 및 제12도에서, 단색 홀더(60)의 바닥 벽은 바닥 표면으로꾸터 돌출하는 잉크 태핑 튜브(60d)와 잉크 통로(60)를 갖는데, 상기 통로의 일 단부는 잉크 태핑 튜브(60d)에서 개방되고 노즐부(50)의 공통 액체 챔버(50c)에 연결된다. 잉크 태핑 튜브(60d) 주위에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로 된 밀봉 링(61)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잉크 태핑 튜브(60d)의 돌출 단부에는 이물질이 노즐부(50) 안으로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필터(62)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단색 홀더(60) 상에는 연장부(60f)가 기부판(51) 측면 상의 상부 양 단부에 형성되고, 반원형 리세스부인 용기 돌출 가이드부(60g)는 연장부(60f)에 인접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용기(32a, 제5도 및 제6도)가 장착될 때 래치 레버(32a, 제5도 및 제6도) 가이드로서 작용하는 래치 레버 가이드 흠(60h)은 기부판(51)에 대향하게 위치한 단색 홀더(60) 벽의 내측 표면 상에 형성된다. 또한, 경사 표면(60k)은 바닥부 단색 홀더(60) 벽과 기부판(51) 측벽이 결합되는 에지에 형성 된다.
기록 헤드 카트리지(1)에 장착되는 잉크 용기(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3도는 제5도에 도시된 기록 헤드 카트리지(1)에 장착되는 잉크 용기(30)의 평면도이고, 제14도는 제13도의 B-B선을 따라 취한 잉크 용기(30)의 단면도이다.
잉크 용기(30)는 잉크를 내장하는 용기(30)와, 이 용기(30)를 덮고 밀봉하는 덮개 부재(31)를 포함한다. 덮게 부재(31)는 공기 벤트(도시 생략)를 갖는다.
용기(30)의 바닥부에는 잉크 분배 포트(32b)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포트 안으로 단색 홀더(60)의 잉크 태핑 튜브(60d, 제12도)가 삽임된다. 잉크 분배 포트(32b) 주위에는 원통형 지지부(32c)가 직립하여 형성되어 있다. 잉크 용기가 단색 홀더(60)에 장착되기 전에 잉크 분배 포트(32b)는 잉크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봉 부재(도시 생략)로 밀봉된 채로 유지된다.
용기(30)내에는 스폰지 등의 재료로 형성된 잉크 흡수 부재(33)가 저장되어 있고, 이 잉크 흡수 부재(33)에 의해 잉크가 흡수 및 저장되어 있다. 지지부(32c)에서 일 방향 섬유 다발로 이루어진 잉크 분배 부재(35)가 삽입되어 지지되고, 잉크 흡수 부재(33)는 잉크 분재 부재(35)의 상단부 표면에 접촉 상태로 공시 기밀식으로 위치한다. 잉크 흡수 부재(33)내에 흡수되어 보유된 잉크는 잉크 분배 부재(35)를 통해서 잉크 분배 포트(32b)로 안내된다. 잉크 용기(30)가 단색 홀더(60)에 장착되기 때문에, 단색 홀더(60)의 잉크 탭핑 튜브(60d)는 잉크 분배 포트(32b)내로 삽입되어 잉크 통로를 형성하며, 따라서 잉크는 잉크 통로(60d)를 통해 노즐부(50)에 공급된다. 이때, 잉크 분배 포트(32b) 주위에 장착된 실 링(61)은 잉크 분배 포트(32b)의 주연부 상에 기밀(airtightly)압박되어, 잉크 누설을 방지한다.
잉크 분배 포트(32b) 및 공기 층과 연결된 상술된 공기 통풍구를 유지하기 위해, 잉크 흡수 부재(33)와 용기 벽 사이에, 잉크 흡수 부재(33)와 덮개 부재(31)사이에 소정 양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또한 지지 부재(32c)의 내면 상에 외부로 용기(30)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기 위한 슬릿(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도록, 소정 위치에 용기(30) 및 덮개 부재(31)의 내부면 상에 리브(34)가 형성된다(제14도에서는, 덮개 부재(31)의 리브(34) 만이 도시됨). 공기 층을 갖는 외부로 잉크 용기(30)의 내부 공간을 연결함으로써, 잉크 분배부(32d)를 밀봉하는 실링 부재가 박리될 때 잉크 분배 포트(32b)로부터 잉크가 누설되거나 유출(blowing)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기록 중 잉크 용기의 주변 온도가 상승될 경우에도, 잉크 용기(30)내의 잉크가 힘을 받아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또한, 잉크는 용기(30)의 내벽에 부착되지 않으며, 따라거, 잉크 분배부(32d) 및 공기 통풍구로부터 잉크가 누설되는 것 및 사용되지 않는 잉크 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염려할 필요가 없게 된다.
반면, 잉크 용기(30)의 외부 구조에 관해서, 용기(30)는 클로(claw)형 돌출부인 분리 방지 클로(32d)를 일체로 포함한다. 이러한 분리 방지 클로(32d)가 잉크 용기(30)가 단색 홀더(60)내에 장착될 때 기부 판(51)쪽의 단색 홀더(60)의 내부면과 접하게 되는 용기 표면상에 위치된다. 분리 방지 클로는 단색 홀더(60)상에 제공된 용기 분리 방지 구멍(60i)(제12도)와 결합된다. 분리 방지 클로는 단색 홀더(60)내에 잉크 용기(30)가 장착될 때 안내로서 기능하며, 또한, 단색 홀더(60)내에 있을 때 잉크 용기(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분리 방지 클로(320)가 형성된 벽과 하부 벽이 연결되는 용기(30) 엣지에서, 경사면(32f)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32f)의 각도 및 형상은 단색 홀더(60)의 경사면(60k) (제12도)과 대체로 동일하다.
분리 방지 클로(320)를 갖는 상술된 용기 벽의 대향 용기(30) 벽 상에, 래치 레버(32)가 일체로 성형되며, 래치 레버의 하부는 탄성 지지된다. 래치 레버(32a)는 용기(30) 벽으로부터 이격되게 이동되는 방식으로 상향 연장되며, 단색 홀더(60)의 래치 레버 안내 흠(60h)(제11도 및 제12도)과 결합된다. 잉크 용기(30)가 단색 홀더더(60) 내에 있을 때, 래치 레버(32a)는 래치 레버 안내 홈(60h)으로부터 압력을 받도록 사용되며, 제14도에서 도시된 화살표(C)의 방향으로 굽혀지며, 래치 레버(32a) 상에 형.성된 래치 클로(32e)는 래치 레버 안내 흠(60h) 내에 형펑된 래치 클로 결합 구멍(60j) 내에 있다. 본 실시예에서, 래치 레버(32a)는 용기(30)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덮개 부재(31)의 구조에서, 덮개 부재(31)의 상부면보다 한 단계 낮은 계단부(31a)가 분리 방지 클로(320) 측 단부의 덮개 부재(31) 상부면 상에 형성된다. 잉크 용기(30)가 단색 홀더(60) 내에 장착될 때, 잉크 용기(30)는 단색 홀더(60)의 연장부(60f)(제11도 및 제12도) 아래에 계단부(31a)가 위치되도록 삽입되어, 잉크 용기(30)가 대체로 정확히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덮개 부재(31) 상에, 단색 홀더(60)의 용기 돌출부 안내(60g)와 결합하는 용기 돌출부(31b)가 형성된다.
다음, 단색 홀더(60)내의 잉크 용기를 장착 또는 제거하기 위한 조작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잉크 용기(30)를 단색 홀더(60)내에 장착할 때, 인크 분배 포트(32b)를 밀봉하는 실링 부재를 우선 벗겨낸다. 그 후, 잉크 용기(30)를 제16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방지 클로(32d)쪽으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대각선으로 삽입하여, 잉크 용기(30)의 계단부(31a)를 단색 홀더(60)의 연장부(60f)아래에 위치시키며, 잉크 용기(30)의 분리 방지 클로(32d)를 단색 홀더(60)의 분리 방지 구멍(60i)(제12도)와 결합시켜, 잉크 용기를 대체로 정확히 위치시킨다. 경사면(32f)이 잉크 용기(30)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단색 홀더(60)의 연장부(60f) 아래에 잉크 용기(30)의 계단부(31a)를 위치시키기 용이하여(잉크 용기(30)를 삽입하기만 하면 되어) 경사면(32f)을 단색 홀더(60)의 하부 벽에 대체로 평행하게 위지시킨다. 또한, 단색 홀더(60) 및 잉크 용기(30)에는 서로 결합되는 경사면(60k, 32f)이 각각 제공되어, 다른 종류의 잉크 용기가 이러한 단색 홀더(60) 내에 장착 될 수 없어, 다른 잉크 용기를 장착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 제17도에서, 래치 레버(32a)가 래치 레버 안내 홈(60h)(제11도 및 제12도)를 따라 이동하도록, 잉크 용기(30)를 하방으로 압박한다. 그 후, 단색 홀더(60)내에 이미 삽입된 잉크 용기(30)부분에 대해 대체로 잉크 용기(30)를 회전 이동시킨다. 따라서, 래치 레버(32a)는 단색 홀더(60) 내로 힘을 받아, 래치 레버 안내 부재(60h)에 의해 내향 굽혀지며 래치 레버(32a)의 래치 클로(32e)(제14도)는 단색 홀더(60)의 래치 클로 결합 구멍(60J)을 결합하여, 단색 홀더(60)에 잉크 용기(30)를 고정시킨다. 또한, 래치(32e)가 래치 클로 결합 구멍(60j)과 결합되는 순간에 클릭 소리를 내면서 이송되어, 작업자가 잉크 용기(30)가 성공적으로 장착된 것을 착인할 수 있게 한다.
단색 홀더(60)로부터 잉크 용기(30)를 분리할 때, 래치 레버(32a)는 하방 압박되어, 래치 레버가 래치 클로 결합 구멍(60j)으로부터 분리된다. 래치 레버 (32a)가 하부 단부에 탄성 지지되며 대각선 상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래치 클로(32e)와 래치 클로 구멍(60j) 사이의 결합이 분리되자 마자 래치 레버는 제14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복귀되려고 한다. 따라서, 래치 레버(32a)의 하부 쪽 표면은 래치 레버 안내(60h)를 따라 상향 활주하여, 자동적으로 잉크 용기(30)를 기울게 한다, 즉, 자동적으로 단색 홀더(60)로부터 잉크 용기(30)의 래치 레버(32a) 쪽을 상승시킨다. 따라서, 단지 상승된 부분을 파지함으로써 단색 홀더(60)로부터 잉크 용기(30)가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다.
잉크 홀더(30)가 단색 홀더(60) 상에 장착되거나 또는 대체로 회전 이동되어 탈착되기 때문에, 착탈하기 위해 작은 공간만이 필요하다. 또한, 장착시, 계단부(31a)는 단색 홀더(60)의 연장부(60f) 아래에 위치되며, 잉크 용기(60)의 경사면(32f)은 안내로서 기능하며, 따라서, 잉크 용기(30)가 단색 홀더(60) 내로 삽입되는 방향이 조절된다. 또한, 잉크 용기 돌출부(31b)가 잉크 용기(30) 상에 제공되며, 또한, 용기 돌출부 안내부(60g)가 단색 홀더(60) 상에 제공되며, 따라서, 단색 홀더(60)에서 잉크 용기(30)가 삽입되는 곳이 조절되며, 잉크 용기(30)는 용기 돌출부(31b)에 대해 대체로 회전된다.
따라서, 단색 홀더(60)의 필터(62)(제11도 및 제12도)에 방해받지 않고 잉크 용기(30)가 장착될 수 있어, 잉크 용기(30) 장착시 발생할 수도 있는 필터(62) 손상에 대한 염려가 없다. 또한, 잉크 용기(30)가 회전 이동에 의해 단색 홀더(60)내로 장착되거나 또는 그로부터 탈착되기 때문에, 착탈에는 작은 공간만이 필요하며, 따라서, 잉크 제트 기록 장치 크기가 보다 감소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 잉크 용기(30)의 래치 레버(32a) 쪽이 래치 레버(32a)의 탄성에 의해 상승되는 현상을 사용하여, 잉크 용기(30)는 단색 홀더(60)로부터 탈착된다. 또한, 래치 레버(32a) 탄성의 그러한 사용을 위해, 제18도에서 도시된 팝업(pop-up) 스프링(68)이 잉크 용기(30) 하부 벽의 다른 쪽(래치 레버(32a) 쪽)을 압박하기 위한 압박 수단으로 제공되어, 잉크 용기(30)의 래치 레버(32a)가 팝업 스프링(68)의 힘에 의해 상승쥘 수 있다. 팝업 스프링(68)은 단색 홀더(60)의 내부 공간의 하부 벽 상에 고정된 판 스프링이다. 단색 홀더(60)로부터 래치 레버 안내 홈(60h)을 향해 연장된 팝업 스프링의 자유단은 약간 상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러한 팝업 스프링이 있기 때문에, 래치 클로(32e)가 래치 클로 결합 구멍(60j)으로부터 분리되자 마자 잉크 용기(30)의 래치 레버(32a) 쪽이 팝업 스프링(68)의 힘에 의해 상향으로 상숭된다. 이 경우, 잉크 용기(30)는 래치 레버(32a)만의 탄성에 의해 돌출되는 것 보다 높이 돌출되며, 따라서, 잉크 용기(30)를 제거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다.
제16도 및 제17도에서, 캐리지(2)(제2도)가 도시된 기록 헤드 카트리지(1) 상의 잉크 용기(30)를 장착하기 위한 단계가 도시되어 있으며, 말할 필요도 없이, 기록 헤드 카트리지(1)가 캐리지(2) 상에 있을 때에도 잉크 용기(30) 탈착을 위한 조작이 수행될 수 있다.
제19도는 잉크 용기(30)가 기록 헤드 카트리지(1) 내에 있으며 기록 헤드 카트리지(1)는 캐리지(2) 위에 있는, 잉크 용기(30), 기록 헤드 카트리지(1), 및 캐리지(2)의 사시도이다. 제19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잉크 용기(30)가 탈착될 때 조정되는 래치 레버(32a) 및 기록 헤드 카트리지(1)가 탈착될 때 조정되는 헤드 탈착 탭(60c)이 캐리지(2)의 이동 방향에 대해 동일한 측면 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조작될 다른 부분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즉, 조작의 일관성이 실현되어 조작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매우 컴팩트하며 국지적으코 조작 가능한부분이 설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잉크용기(30)또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1)를 탈착할 때, 래치 레버(32a) 및 헤드 탈착 탭(60c)이 위치된 쪽 상에만 조작자를 위한 잉크 용기(30) 또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1) 조작 공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술된 공간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 한 잉크 용기(30) 및/또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1)는 다른 캐리지(2)위치에서 탈착될 수 있다.
래치 레버(32a) 및 헤드 탈착 탭(60c)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잉크 용기(30)를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은 내향으로 래치 레버(32a)를 압박하기 위한 작동이며, 기록 헤드 카트리지(1)를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은 헤드 탈착 탭(60c)을 상향으로 당기기 위한 작동이다. 따라서, 작동의 차이 때문에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래치 레버(32a) 및 헤드 탈착 탭(60c)이 다른 높이로 위치되며, 따라서 그 기능의 차이는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다. 이 경우, 잉크 용기(30)의 탈착 빈도를 기록 헤드 카트리지(1)의 탈착 빈도와 비교할 때, 잉크 용기(30)의 탈착 빈도가 높으며, 따라서 래치 레버(32a)의 (조작자가 손가락을 위치시키는)헤드부는 조작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헤드 탈착 탭(60c)위에 위치된다.
상술된 실시예에서, 단색 기록 헤드 카트리지가 사용되나. 칼라 기록 헤드 카트리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칼라 기록 헤드 카트리지가 사용된다.
제20도는 제1도에서 도시된 잉크 제트 기록 장치 내에 장착될 칼라 기록 헤드 카트리지 및 그러한 기록 헤드 내에 장착될 두 개의 잉크 용기의 사시도이다. 이러한 칼라 기록 헤드 카트리지(10)는 흑색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칼라 잉크 용기(140)를 제거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네 가지 다른색의 잉크를 방출한다. 따라서, 노즐부(50)의 개구는 또한 네 개의 다른 색의 잉크에 대웅하는 네 그룹(흑색 잉크 방출 개구 그룹(150B), 황색 잉크 방출 개구 그룹(150Y), 자흥색 잉크 방출 개구 그릅(150M), 시안색 잉크 방출 개구 그룹(150C))으로 또한 분할된다. 또한, 잉크 용기(140) 공간으로부터 잉크 용기(130) 공간을 분리하기 위해, 격벽관(165)이 칼라 홀더(160)의 하부 벽 상에 일체로 성형된다.
기부 판(151) 및 헤드 단자(153)에 대해서, 단색 기록 헤드 카트리지(1)(제5도) 및 칼라 기륵 헤드 카트리지(101)에 동일한 부품이 사용된다. 칼라 홀더(160)의 외부 형상은 상세에서 차이가 있지만 단색 홀더(60)(제5도)과 대체로 동일하다. 특히, 캐리지(2) 벽의 내면을 향한 칼라 기록 헤드 카트리지(10) 부분의 형상 및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가 캐리지(2)로부터 탈착될 때 손가락이 위치되는 헤드 탈착 탭(160c)의 위치는 단색 기록 헤드 카트리지(1)에서와 동일하며, 따라서,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는 단색 기록 헤드 카트리지(1)가 장착된 동일한 캐리지(2)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단색 기록 헤드 카트리지(1) 또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를 임의로 선택하여 동일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 및 두 잉크 용기(130, 140)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그러나, 카트리지(2) 벽의 내부면을 향한 부분은 단색 기록 헤드 카트리지(10)의 부분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22도는 두 개의 잉크 용기(130, 140)가 카트리지(101) 내에 있는 제20도에서 도시된 기록 헤드 카트리지의 평면도이다. 제23도는 D-D선에서의 제22도의 단면도이며, 제24도는 E-E선에서의 제22도의 단면도이다.
제22도에서, 흑색 잉크 용기(130) 및 칼라 잉크 용기(140)가 칼라 홀더(160)상에 나란히 장착된다. 흑색 잉크 용기(130) 및 칼라 잉크 용기(140)에 의해 형성된 구조는 단색 잉크 용기(30)(제30도) 만의 구조와 대체로 동일하다.
제23도에서, 흑색 잉크 용기(130)는 흑색 잉크 저장 용기(132)와, 용기(132)를 덮고 밀봉하기 위한 덮개 부재(131)를 포함한다. 덮개 부재(131)는 공기 통풍구를 갖는다.
용기(132)의 하부에, 칼라 홀더(60)의 흑색 잉크 탭핑 튜브(1606)(제12도)가 삽입되는 잉크 분배부(132b)가 성형된다. 잉크 분배부(132b)주위로, 원통형 지지부(132c)가 직립된다. 용기(132)가 칼라 홀더(160) 내에 장착되기 전, 잉크 분배부(132b)는 잉크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 부재(도시되지 않음)로 밀봉되어 유지 된다.
용기(132) 내에, 잉크 흡수 부재(133)가 저장되며, 이 잉크 흡수 부재(133)에 의해 잉크가 흡수되어 유지된다. 지지부(132c)에서, 단일 방향의 성유 다발로 구성된 잉크 전달 부재(135)가 삽입되어 유지되며, 잉크 흡수 부재(133)는 잉크 전달 부재(135)의 상단부면과 기밀 접촉 위치된다. 잉크 부재(135)에 의해 흡수되어 유지되는 잉크는 잉크 분배부(132b)에 의해 잉크 분배부(132b)로 안내된다. 흑색 잉크 용기(130)가 칼라 홀더(160) 내에 장착되면서, 칼라 홀더(160)의 잉크 탭핑 튜브(1600)는 잉크 분배부(132b) 내로 삽입되어, 잉크 통로를 형성하며, 따라서, 잉크가 칼라 홀더(160) 및 액체 통로 덮개(166)로 구성된 잉크 통로를 통해 노즐부(150)의 흑색 잉크 방출 개구 그룹(150B)(제21도)에 공급된다 (제23도는 단면도의 위치 때문에 노즐부(150)로의 통로를 도시하지 않는다). 이 때, 잉크 분배부(132b) 주위에 장착된 실 링(161)은 잉크 분배부(132b)의 주연부 상에 기밀 압박되어, 잉크 누설을 방지한다.
잉크 분배부(132b) 및 공기 층과 연결된 상술된 공기 통풍구(131b)를 유지하기 위해, 잉크 흡수 부재(133)와 용기 벽(130) 사이에, 잉크 홉수 부재(133)와 덮개 부재(131) 사이에 소정 양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또한 지지 수재(132c)의 내면상에 외부로 용기(132)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기 위한 슬릿(도시되지 않음)이 형성 되도록, 소정 위치에 용기(130) 및 덮개 부재(131)의 내부면 상에 리브(134)가 형성된다(제23도는 덮개 부재(131)의 리브(134) 만을 도시한다).
반면, 칼라 홀더(160) 내로 흑색 잉크 용기(130)를 장착하기 위한 잉크 용기(130)의 외부 구조에 관해서, 용기(132)는 용기 표면 상에 위치되며 흑색 잉크 용기(130)가 칼라 홀더(160) 내에 장착될 때 기부 판(51) 쪽 상의 칼라 홀더(160)의 내부면과 접하게 되는 분리 방지 클로(132d)를 일체로 포함한다. 분리 방지 클로(132d)는 칼라 홀더(160) 상에 제공된 용기 분리 방지 구멍(160i)(제12도)와 결합된다. 분리 방지 클로는 칼라 홀더(160) 내에 흑색 잉크 용기(130)가 장착될 때 안내로서 기능하며, 또한, 칼라 홀더(160) 내에 흑색 잉크 용기(130)가 있을 때 잉크 용기(1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용기(132) 상에, 래치 레버(132a)가 형성된다. 래치 레버는 분리 방지 클로(132d)를 갖는 면과 대향 면 상에 위치되며, 래치 레버의 하단부가 탄성 지지된다.
칼라 홀더(160) 상에, 흑색 잉크 용기(130)를 위한 래치 레버 안내 흠(167)이 래치 레버(132a)의 위치에 대응하여 일체로 성형된다. 흑색 잉크 용기(130)가 칼라 홀더(160) 내에 장착될 때, 래치 레버(132a)는 래치 레버 안내 홈(167)을 따라 삽입된다. 흑색 잉크 용기(130)가 칼라 홀더(160) 내에 있을 때, 래치 레버(132a)는 내향 굽혀진 래치 레버 안내 홈(167)으로부터 압력을 받으며, 래치 레버(132a) 상에 형성된 래치 클로(132e)는 래치 레버 안내 흠(160h) 내에 형성된 래치 클로 결합 구멍(167a) 내에 있다.
또한, 단색 홀더(제12도) 상에 형성된 경사면과 유사한 경사면(160k)이 흑색 잉크 용기(130)가 장착된 구역에 칼라 홀더(160) 상에 형성되며, 경사면(132f)이 경사면(160k)에 대응하는 면 상에 흑색 잉크 용기(130) 상에 또한 형성된다.
덮개 부재(131)의 구조에서, 덮개 부재(131)의 상부면보다 한 단계 낮은 계단부(131a)가 분리 방지 클로(1320) 측 단부의 덮개 부재(131) 상부면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계단부(131a)에 대응하여, 단색 홀더(60)의 연장부(60f)(제11도)와 유사한 연장부(160()가 칼라 홀더(160) 상에 형성된다.
단색 잉크 용기(30)가 탈착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흑색 잉크 용기(130)가 칼라 홀더(160) 내로 장착되며 그로부터 탈착된다 즉, 흑색 잉크 용기(130)가 칼라 홀더(160) 내에 장착될 때, 흑색 잉크 용기(130)는 대각선 상으로 삽입되어, 칼라 홀더(160)의 흑색 잉크 용기(130) 쪽 연장된 부분(160f)(제22도) 아래로 흑색 잉크 용기(130)가 장착될 위치로 계단부(131a)를 위치시키며, 분리 방지 클로 (132d)는 칼라 홀더(160)의 용기 분리 방지 구멍(160i)내로 후크 결합된다. 따라서, 흑색 잉크 용기(130)는 하방 압박되어, 분리 방지 클로(1320) 면에 대해 회전되어, 래치 레버(132a)의 래치 클로(132e)가 래치 레버 안내 홈(167)의 래치 클로 결합 구멍(167a)과 결합된다. 흑색 잉크 용기(130)가 탈착시킬 때, 래치 클로(132e)가 래치 클로 결합 구멍(167a)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래치 레버(132a)를 압박하는 것만을 필요로 할뿐이다.
칼라 잉크 용기(140)는 흑색 잉크 용기(130)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제24도에서, 칼라 잉크 용기는 세 개의 다른 색의 잉크를 저장하는 용기(142) 및 용기(142)를 덮는 덮개 부재(141)를 포함한다. 칼라 잉크 용기(140)가 칼라 홀더(160) 내로 장착될 때, 흑색 잉크 용기(130)의 계단부가 흑색 잉크 용기(130)의 덮개 부재(131) 상에 형성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덮개 부재(141) 상에 형성된 계단부(141a)가 칼라 잉크 용기(140) 쪽 상의 연장된 부분(160f)(제22도)아래에 위치되도록, 칼라 잉크 용기는 대각선 상으로 삽입된다.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두 개의 격벽 판(142f)에 의해 용기(142)의 내부 공간은 대체로 동일한 부피의 세 개의 공간으로 분리된다 이들 세 개의 공간은 칼라 잉크 용기가 칼라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 내에 장착될 때 칼라 잉크 용기(14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정렬된다. 이들 세 개의 공간은 황색 잉크를 흡수 및 유지하기 위한 잉크 흡수 부재(143Y)와, 자홍색 잉크를 흡수 및 유지하기 위한 잉크 흡수 부재(143M)와, 시안색 잉크를 흡수 및 유지하기 위한 잉크 흡수 부재(143c)를 각각 포함한다. 제25도에서 도시된 저면도에서, 잉크 분배 포트(142bY, 142bM, 142bC)가 대응 공간 내에 위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칼라 잉크 용기(140)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체로 평행하게 정렬된다.
각 공간의 구조는 흑색 잉크 용기(130)의 구조와 동일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덮개 부재(141)의 구조는 공키 통풍구(도시되지 않음)가 각 공간에 대해 형성된 점을 제외하고는 흑색 잉크 용기(130)의 덮개 부재의 구조와 동일하며, 덮개 부재(141)는 다른 공간으로부터 각 공간을 밀봉하도록 구성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칼라 홀더(160) 상에, 세 개의 잉크 탭핑 튜브(160d')(제24도는 단면 평면의 위치 때문에 자홍색 잉크 탭핑 튜브를 도시되지 않는다)가 잉크 분배 포트(142bY, l42bM, 142bC)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공된다. 잉크 탭핑 튜브(1600')는 칼라 홀더(160) 및 잉크 통로 덮개(166)로 구성된 잉크 통로를 통해 대응 방출 개구 그룹(150Y, 150M, 150C)에 연결된다. 제24도에서, 단면의 위치 때문에 황색 잉크 공간으로부터 노즐부(150)로의 잉크 통로만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실 링(161')이 각 잉크 탭핑 튜브(160d')에 대해 제공되나, 제24도는 자홍색 잉크 공간에 대한 잉크 탭핑 튜브(160d')를 도시하지 않고 있다.
반면, 칼라 홀더(160) 내로 칼라 잉크 용기의 설치에 대한 칼라 잉크 용기(140)의 구조에 관해서, 칼라 홀더(160)는 래치 레버(142a)와, 흑색 잉크 용기(130)와 같이, 제26도의 측면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상술된 계단부(141a) 뿐만 아니라 분리 방지 클로(142d)를 갖는다. 제24도에서, 래치 레버(142a)는 칼라 홀더(160) 상에 형성된 래치 레버 안내 홈(167')과 결합되며, 칼라 잉크 용기(140)가 칼라 홀더(160) 내에 있을 때, 래치 레버(142a) 상에 형성된 래치 클로(142e)가 래치 레버 안내 홈(167') 상에 형성된 래치 클로 결합 구멍(167a')와 결합된다. 제26도에서, 분리 방지 클로(1426)가 래치 레버(142a)의 면의 대향 면의 하단부 상에 위치되며, 래치 레버의 이러한 위치에 대응하여, 이러한 분리 방지 클로(1420)가 결합되는 잉크 용기 분리 방지 구멍(도시되지 않음)이 칼라 홀더(160) 상에 형성된다.
또한 제24도에서, 단색 홀더(60)(제12도) 상에 형성된 경사면과 유사한 경사면(160k')가 칼라 잉크 용기(140)가 장착되는 구역에 칼라 홀더(160) 상에 형성되며, 경사면(160k')에 대응하는 경사면(142g)이 갈라 잉크 용기(140) 상에 형성된다.
칼라 홀더(160) 내로 칼라 잉크 용기(140)의 장작 또는 탈착을 위한 조작은 흑색 잉크 용기(130)에 대한 탈착 조작에 유사하다. 즉, 장착시, 칼라 잉크 용기(140)의 분리 방지 클로(1424) 쪽이 칼라 홀더(160) 내로 삽입되며, 칼라 잉크 용기(140)가 삽입된 부분에 대해 회전되며, 탈착시, 래치 레버(142a)가 압입된다. 칼라 잉크 용기(140)의 경우, 잉크 분배 포트(142bY, 142bM, 142bC)는 칼라 잉크 용기(140) 삽입 방향에 평행하게 정렬되며, 따라서, 칼라 잉크 용기(140)가 칼라 홀더(160) 내에 장착될 때, 잉크 분배 포트는 분리 방지 클로(142d)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된 튜브로부터 시작되는 대응 잉크 탭핑 튜브(160')와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칼라 잉크 용기(140)는 칼라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 내에 매끄럽고 신뢰성 있게 장착된다.
또한, 제18도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팝업 스프링이 잉크 용기(130, 140)를 제거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칼라 홀더(160)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제27도는 흑색 잉크 용기(130), 칼라 잉크 용기(140), 칼라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 및 캐리지(2)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잉크 용기(130, 140)는 칼라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 내에 있고 카트리지(101)는 캐리지(2) 상에 있다. 제27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잉크 용기(130, 140)는 캐리지(2)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열되므로, 흑색 잉크 용기(130) 착탈 동작 중에 조정되는 래치 레버(132a)와 칼라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 착탈 동작 중에 조정되는 헤드 착탈 탭(160c)은 모두 캐리지(2)의 이동 방향에 대해 같은 쪽에 있게 된다. 이런 배치는 잉크 용기(130, 140) 및 칼라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를 착탈하는 동작의 효율을 높여 줄 뿐 아니라 단색 기록 헤드 카트리지(1)에서와 같이 구조 자체를 극히 소형화해주고 설계 면에서 합리적으로 해준다(제9도). 또, 래치 레버(132a, 142a)의 헤드부는 직선상에 배열되므로 유효 공간은 효율적으로 사용되어 칼라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의 크기를 감축한다. 또, 래치 레버(132a, 142a)와 헤드 착탈 탭 (160c) 사이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 레버(132a, 142a)는 탭(160c)과는 다른 높이에 배치되므로 그 기능 차이는 쉽게 인지할 수 있다.
흑색 잉크 용기(130)의 경사면(132g, 142g)의 각도 및 형상을 차이가 있게 하고 칼라 홀더(160)의 대응 경사면(160k, 160k')의 각도 및 형상을 각각 흑색 잉크 용기(130)와 칼라 잉크 용기(140)의 경사면(132g, 142g)의 것과 일치하게 하면 흑색 잉크 용기(130)와 칼라 잉크 용기(140)는 잘못된 쪽에 오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제28도 내지 제44도를 참조하여, 제27도 또는 그 선행 도면에 관해서 기술하지 않았던 각종 구조 및 그들의 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서, 상술한 잉크 흡수 부재(35, 165)는 잉크를 방향성 없이 분배하도록 묶여진 섬유 재료로 구성된다. 이들은 잉크를 방향성 없이 분배하기 위한 잉크 분배 부재로서 사용된다. 제30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들은 잉크 용기(30, 130, 140)의 저면에 형성된 요부 내에 배치되며 그 단면적은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제29도 및 제30도를 참조하면, 착탈 동작 중에 대응 잉크 용기 상에 작용하는 판 스프링(68, 68C, 68B)은 잉크 용기 홀더(60, 160)의 열 크림핑 부재(202, 203, 204)에 고정된다. 이들 열 크림핑 부재(202, 203, 204)는 잉크 용기 설치 공간 내로 돌출되므로 요부(202a, 202a, 203a, 203a, 204a)는 대응 잉크 용기(30, 130, 140)의 저면 상에 형성되어 잉크 용기의 흡수 부재가 대응 잉크 용기 홀더의 필터 BK, BK, Y, ,M, C와 기밀 접촉 배치되게 한다.
판스프링(68, 68B, 68C)는 잉크 용기가 홀더 내에 배치될 때 변형되며, 그 탄성은 잉크 용기를 밀어 붙이게 된다. 이 상향 가압력은 상술한 래치 클로와 분해 클로를 홀더에 결합시킨다. 이 상향력으로부터의 반력은 잉크 분배 포트와 홀더 저부로부터 약간 돌출하는 필터 사이의 결합을 더욱 안정시킨다. 여기서, 제28도 및 제37도를 참조하면 각 잉크 용기의 시각 문자를 설명한다. 상술한 구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잉크 용기 홀더 및 하나 또는 두 개의 잉크 용기가 작은 공간에 패킹되는데, 소망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어떤 레버를 조정해야 할 지 알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레버의 형상 뿐만 아니라, 레버의 칼라가 서로 구분되며 레버의 칼라는 대응 잉크 용기의 색상과 일치되므로 조작 효율이 개선된다. 특히, 흑색 계통 칼라(적합하게는 캐리지는 제거될 수 없는 것이므로 기록 장치의 주 조립체와 동일 색상)에는 공통 캐리지가 제공되고 잉크 용기(30, 130, 140)는 회색 투명 또는 자흥색 및 흰색 칼라를 부여한다. 홀더(BHD 및 BCHD)를 헤드와 일체로 하면 색상을 달리 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녹색 칼라로 하였다. 이런 칼라 배치로 하면 착탈할 부품은 색상 차이로서 구분할 수 있고, 다시 말해서 작동시킬 레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 제30도를 참조하면, 돌기(X1 내지 X5)는 대응 잉크 용기 상에 제공되며, 제29도를 참조하면 요부(Yl 내지 Y5)는 잉크 용기 홀더의 상기 돌기(Xl 내지 X5)에 대응하는 지점에 제공된다. 잉크 용기 내에는 돌기가 제공되는데, 그 이유는 잉크 분배 포트를 하향 개방한 상태로 잉크 용기를 잉크 홀더에 장착할 때 돌기의 존재는 잉크 분배 포트 개구가 잉크 용기 홀더에 직접 접촉하지 않게 하기 때문이다. 상술한 구조에서, 잉크 용기 저부가 동일 분배 포트 주위에서 용기 장착 표면에 직접 접촉하지 않게 함은 물론 잉크가 그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8도 및 제37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캐리지(2)는 칼라를 의미하는 흑색 삼각형 표지(206), 황색 삼각형 표지(207)가 잉크 용기 홀더 장착측에 주어져 있다. 잉크 용기에는 이들 삼각형 표지(206, 207) 각각에 대응하는 지점에 동일 표지가 제공되어 있다. 용기(30)에는 용기 홀더(60)의 전체 장착 공간을 차지하므로, 흑색 삼각형 표지(206)와 황색 상각형 표지(207a)가 모두 주어지는 반면, 칼라 홀더(160) 내에 장착될 잉크 용기(130, 140)에는 흑색 삼각형 표지(206a)와 황색 삼각형 표지(207a)가 각각 칼라 및 장착 위치에 대응하여 제공되어 있다. 잉크 용기의 존재는 이들 표지로부터 확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잉크 용기의 존재, 형태 등을 카트리지에서 보기만 하여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제29도(b)를 참조하면, 모든 필터는 회전 중심의 반대 방향에 배치된 칼라 잉크 용기 홀더의 잉크 분배 포트 부분에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잉크 용기가 잉크 용기 홀더 내에 장착될 때 발생하는 필터 변형량은 회전 중심의 반대 방향으로 필터를 변위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어서 용기를 보다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31도는 잉크 용기를 위한 보호 부재와 그 보호 부재에 관련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 도면에서, 잉크 용기(30)용 보호 부재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그 기능, 구조 등에 있어서는 만족스럽다. 보호 부재(200, 201)는 잉크 흡수 시트나 캡이 잉크 용기(130, 140)의 저면과 접촉할 때 잉크 용기(130, 140) 및 잉크 븐배 포트 덮개 부재(200e, 201e)에 직접 부착된다. 잉크 분배 포트 덮개부는 잉크의 불필요한 번짐을 방지하고 특히 칼라 잉크 용기를 위한 덮개 부는 잉크의 혼합을 방지한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이런 잉크 용기(130, 140)와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보호 부재(200, 201)는, 저벽 상에 배치되어 자체 내장된 기록 잉크를 분배하는 분배부, 측벽 중 하나에 배치되어 잉크 용기가 장착되는 홀더의 요부에 삽입되는 돌기, 래치 클로를 가지고 대향 측벽 중 하나에는 돌기가 배치되어 홀더의 결합부에 래치 클로를 결합하거나 그로부터 분해함으로써 홀더에 장착되거나 그로부터 분리되는 된 탄성 래치 레버를 포함한다. 이는 또 상술한 클로가 배치되는 래치 레버(132a, 142a)의 주변을 비접촉식으로 덮는 보호부(200c, 201c)와, 상술한 잉크 분배 포트의 주변을 밀봉하기 위한 흡수 부재나 캡(200e, 201e)를 가진 저면부와,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요부(200f, 201f)와, 조정가능한 탄성 래치 레버측 상의 상부 코너(Ta, Tb)상에서 잉크 용기가 결합하는 결합부(200a, 200b, 201a, 201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8도는 흑색 잉크 용기(130)를 위한 보호 부재의 평면도, 제39도는 흑색 잉크 용기(130)를 포함하는 패킹된 보호 부재(200)를 도시한다. 제39도(a)는 화살표 A의 방향으로 본 제38도의 측면도, 제39도(b)는 화살표 B방향으로 본 제39도(a)의 측면도이다. 제40도는 잉크 용기(140)를 위한 보호 부재(201)의 평면도, 제41도는 칼라 잉크 용기(140)를 포함하는 패킹된 보호 부재(201)를 도시한다. 제41도(a) 및 제41도(b)는 각각 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제39도 및 제41도를 참조하면, 선적중 등에 잉크 용기(130, 140)가 각각 보호 부재(200, 201)에 의해 각각 보호되고 또 이들은 외피(390, 410)내에 패킹되고 밀봉된다.
이 때, 보호 부재(200, 201) 상에 형성된 보호부(200c, 201c)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은 테이퍼져서 보호 부재(200, 201)에 의해 보호되는 래치 레버의 상부는 약간 돌출될 수 있다.
이런 배치 구조를 하는 이유는 보호 부재를 잉크 용기로부터 분리할 때 레버가 보호부 내에 완전히 억지 끼움되거나 헐겁게 끼워지거나에 관계 없이 보호부(200d, 201c)를 잡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래치 전체가 보호부에 기밀 끼워 맞춤될 때 보호부를 파지하게 되면 보호부 자체가 파손되는 일도 있고 래치 레버 전체가 헐겁게 끼워져 있을 보호부를 차지하면 래치 레버는 손가락에 의해 부주의하게 걸려서 래치 레버 자체가 파손되는 경우도 있다. 어떤 경우든, 보호 부재가 잉크 용기로부터 제거하기 어려워지는 경우에는 이런 바람직하지 못한 사고가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호부는 약간 테이퍼져서 래치 레버의 상부가 약간 돌출하게 되어 보호부 만을 잡을 수가 없게 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런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에는 방지될 수 있다.
제42도는 흑생 잉크 용기(30)의 보호 부재를 도시한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제43도는 흑색 잉크 용기(30)를 수용하는 패키지된 보호 부재(400)를 도시한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제44도는 제42도 및 제43도에 도시한 보호 부재(400)의 잉크 분배 포트의 상세도로서, (a)는 부분 단면도, (b)는 확대도, (c)는 보호 부재와 잉크 용기의 두 부품의 연결 방법을 도시하는 부분도이다.
보호 부재(400) 상에는 보호 부재(200, 20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결합부(400a, 400b), 보호부(400c) 및 요부(400f)가 형성되어 있다. 보호부(400c)는 또 보호 부재(200, 201)와 마찬가지로 래치 레버가 보호부(400c)에 끼워질 때 래치 레버(32a)가 약간 돌출하도록 형성하고 또 취급할 때 외피 내에 밀봉되도록 형성된다. 보호 부재(400)는 제31도에 도시한 보호 부재(201, 201)와는 유사하며, 보호 부재(400)가 결합되는 잉크 용기가 잉크 용량이 큰 흑색 잉크 용기(30)이기 때문에 잉크 분배 포트 덮개부 상이 0-링이 제공된 것 만이 다르게 되어 있다.
캡의 잉크 흡수 시트와 마찬가지로, 잉크 분배 포트 덮개 부재(200e, 201e)는 결합할 잉크 용기의 잉크 용량을 기초로 하여 보호 부재(200, 201)의 잉크 용기 저부와 접촉하는 부분 상에 형성되어 있음은 이미 설명하였다(이 경우에 물론 잉크 용기 자체에 잉크 흡수 시트를 깔 수도 있고 보호 부재 상에 잉크 분배 포트 덮개 부재를 배치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다량의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 용기(30)의 경우에, 0링은 더욱 견고하게 밀봉하는 데 사용된다.
다음에, 제44도를 참조하여 보호 부재(400)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44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는 보호 부재(400) 상의 잉크 용기(30)의 잉크 분배 포트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0링(401)은 이 돌기 주위에 끼워져 있다. 0링(401)의 상면에는 0링의 밀봉 성능을 개선하도록 홈(441)이 제공된다.
엣지부(442)의 확대도인 제44도(b)는 0링(401)을 돌기 주위에 끼운 후에 돌기의 상면을 열변형시켜 0링을 크림핑 식으로 유지하게 하는, (400)에 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44도(c)를 참조하면, 제44도(a)에 도시된 돌기의 직경 Ф는 보호 부재에 의해 보호된 잉크 용기(444)의 잉크 분배 포트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돌기의 높이 h는 보호 부재가 잉크 용기(444)에 결합할 때 돌기가 압축된 부재(443)에 가능한 한 가까이 접근하고 접촉은 하지 않는 상태로 배치되어 잉크를 흡수 및 유지하도록 잉크 용기내에 배치되도록 설정한다. 특히, 이는 0.2mm이하로 설정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돌기의 선단과 압축된 부재(442) 사이의 간극이 너무 크면 잉크 용기가 낙하하거나 하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이 간극에서 잉크가 축적되어 축적된 잉크가 사고를 일으키게 되고, 예를 들어 축적된 잉크는 보호 부재 제거시에 잉크 분배 포트로부터 넘치기 쉬어진다. 이는 잉크 용기(30) 같은 대용량 잉크 용기의 경우에 잉크 분배 포트가 크기 때문에 더욱 심해진다.
본 실시예에서, 돌기의 높이는 돌기 선단과 압축 부재(443) 사이에 형성된 간극 내에 잉크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0.2mm이하로 설정되므로, 상술한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다음에, 제32도, 제33도, 제34도를 참조하면, 잉크 용기 구성에 관한 특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잉크 용기는 측벽 중 하나에 배치된 조정 가능한 탄성 래치 레버와 래치 클로를 포함한다. 래치 클로가 클릭하게 되는 거리 C(이하, 클릭량 C라 함)는 잉크 용기(130)의 경우에 0.9mm이다(제32도(c)에 도시. 제34도(c)의 잉크 용기(140)의 경우에는 0.7mm임). 어떤 경우에도, 1mm이하이며, 잉크 용기(130, 제33도)의 거리 C는 도시하지 않았다. 제32도에는 래치 클로가 잉크 용기 홀더와 결합하는 방법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33도(f) 및 제34도(f)에는 이를 도시하였다. 어느 경우에도, 이격 거리 TR, 즉 래치 레버의 대향 내면과 래치 레버가 배치되는 용기 표면 사이의 거리는 모든 용기에 대해 2mm이다.
이 클릭량 C가 증가되면 용기 전체 크기는 물론, 용기가 장착되는 캐리지의 크기도 증가되어야 하므로 클릭량 C의 값은 1mm이하여야 한다. 이격 거리 TR의 값에 대해서는 이 거리를 클릭량 C에 비례하게 하고 적정화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클릭량 C는 명확해지지 않거나 클릭 자체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런 상황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는 이하의 조건, 즉 3C ≥ TR (C=0.7), 2C ≥ TR (C=0.9)을 만족하는 클릭량 C이 되게 설계된다. 이런 배치 구조에서, 래치 레버는 클릭 소리나 느낌으로 확실히 결합하게 되고 또 분리도 간단하고 확실해진다. 게다가, 분리 동작은 TR의 값이 클릭량 C의 1.5배 이상인 경우에 신뢰성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요약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용기는 내부에 저장된 기록 잉크를 분배하기 위해 저벽에 형성되고 래치 클로를 잉크 용기가 장착되는 홀더의 결합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잉크 용기 홀더에 장착되거나 그로부터 분리되는 잉크 분배 포트를 구비하며, 결합부와 결합하기 위개 래치 클로가 이동하는 클릭량 C는 1mm이하이고 돌기 선단의 대향 내측면과 용기 표면 사이의 이격 거리 TR은 1.5C ≤ TR ≤13C 를 만족하도록 되어 있다. 이런 구조를 사용하면, 잉크 용기의 잉크 용량은 홀더 및 캐리지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지 않고 유효 공간 내에서 최대화될 수 있고 또 래치나 래치 레버 조정에 필요한 공간도 최소화될 수 있는 반면, 착탈 동작은 보다 신뢰성 있게 된다.
이격 거리 TR에 있어서 보다 양호한 조건은 2C ≤ TR ≤ 3C를 만족하는 것이다.
또, 제32도(b)에 도시한 단일 챙버 잉크 용기의 경우에, 조정 가능한 탄성 래치 레버와 이 래치 레버가 걸리는 잉크 측벽 사이의 거리(211)가 10.0mm이하가 되도록 (예를 들어 제32도(b)에서 9.0mm, 제34도(b)에서 8.8mm) 설정하면 래치 레버는 클릭의 확실한 소리 및 느낌으로 결합되게 되어 착탈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 제32호(C)를 참조하면, 용기 크기를 최소화하고 조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탄성 래치 레버의 조정가능한 탭(208)이 테이퍼져 있다. 즉, 용기 측벽에 대향하는 조정 탭(208) 표면(테이퍼면(210))은 조정 탭(208) 표면의 상부가 테이퍼면이 용기 측벽과 접촉하도록 편평하게 배치될 수 있는 각도로 측벽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조정 래치 레버가 잉크 용기의 측벽 상에 배치되게 되면, 레버는 반복되는 조정에 견딜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이런 내구성은 제32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즉, 용기 측벽을 향해 래치 클로에 인접하게 래치 레버부(209)를 굽혀서 구성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물론, 이 구조는 제33도(c) 또는 제34도(c)에 도시한 각 용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굽힘부와 측벽 사이의 각도가 20도 이하이면, 이 구조는 보다 실제적이고 내구성도 좋아진다.
조정 탄성 래치 레버를 저렴한 재료로 제조하게 되면 래치 레버 강도가 저하된다. 이런 래치 레버의 구조를 강화하는 수단으로서는 종방향 중앙선 부분에서의 래치 레버의 두께를 굽힘 방향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적합하다.
잉크 용기 자체의 크기 감축 및 잉크 분배 성능 사이의 상호 관계에 주목하면, 제3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 분배 포트를 둘러싸는 잉크 수용 영역의 치수는 중력 방향의 잉크 분배 성능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사실은 저벽 상에 배치된 잉크 분배 포트와 단일 방향 섬유 묶음으로 구성되어 잉크 분배 포트 내에 배치되는 잉크 분배 부재를 포함하는 편평 잉크 용기에만 한정되었다.
잉크 분배 부재와 잉크 흡수 부재 사이의 계면인 표면 F로부터의 용기의 높이(두께) H가 20mm 이하이면 다음 특성이 생긴다. 제36도를 참조하면, 11 내지 14는 계면 F의 주변으로부터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용기의 코너 까지의 최대 거리를 표시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1 내지 14는 균일하지 않으므로, 잉크는 균일하게 분배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계면으로부터 코너까지의 거리 1과 SH 사이의 관계가 다음 식을 만족하는 한, 적어도 두 방향으로 용기의 크기는 축소되면서 잉크 분배 성능은 만족스럽게 유지할 수 있다.
SH ≤ 1 ≤ 2.5 × SH
제45도를 참조하면, 참고 부호 1000은 잉크 흡수 부재(스폰지 등)를 표시한다. 이는 편평 잉크 용기의 전체 내부 공간을 실제로 채우며 잉크 분배 포트 영역의 단일 방향 잉크 분배 부재(1002)의 포위 영역과 그 상방의 영역을 포함한다. 참고 부호 1001 및 1003은 잉크 분배 부재(1002)가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안내 부재를 표시한다. 편평 잉크 용기의 잉크 분배 성능은 잉크 분배 부재(1002) 상방의 공간을 차지하는 잉크 흡수 부재부의 높이 H와 잉크 분배 부재(1002)의 높이 h의 비율이 소정 범위 내에 드는 것이 적합하다. 특히, 높이 H의 최대 최소치가 다음 식을 만족할 때, 용기는 적합한 잉크 분배 특성을 제공하게 된다:
h ≤ H ≤ 4h
H가 h 이하이면 잉크는 잉크 분배 포트를 향해 충분히 수집될 수 없고, H가 4h를 넘으면 잉크 분배 성능은 악화되지 않지만 이런 구조는 소형 및 편평 잉크 용기를 위한 요구에는 만족될 수 없다.
부수적으로, 제32도, 제33도 또는 제34도에 도시한 각 잉크 용기에서 그 크기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h ≤ H ≤ 2h
1.45h = H
3.5h = H
이들 모든 잉크 용기는 h ≤ H ≤ 4h를 만족하므로 안정되게 잉크를 분배할 수 있고 또 종래의 잉크 용기에 비해 잉크 용기 내의 잉크의 사용 불능량이 감소될 수 있다.
제46도는 단일 방향 잉크 분배 부재 이동량, 즉 잉크 용기가 홀더 내에 장착될 때 잉크 분배 부재(1002)의 저면이 잉크 탭핑 튜브에 의해 밀려서 잉크 용기 장착 전의 위치로부터 상향 이동하는 거리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잉크 흡수 부재(1000)는 이 이동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아서 +β만큼 압축된다. 압축량이 너무 작으면 잉크 흡수 부재와 단일 방향 섬유 묶음은 만족스럽게 접촉할 수 없지만 너무 많아도 잉크 흡수 부재의 모세관 성능이 단일 방향 섬유 묶음 보다 커져서 충분한 양의 잉크를 분배할 수 없게 된다. 어느 경우에도, 잉크 용기는 만족스런 잉크 분배 성능을 제공할 수가 없다.
잉크 용기는 β가 다음 식을 만족할 때 좋은 잉크 분배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0.1mm ≤ β ≤ 0.5mm
예를 들어, 제33도, 제34도 또는 제35도의 경우에, 잉크 용기가 제2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에 장착될 때 잉크 분배 부재(1002)의 저면이 이동하는 거리 β는 세 용기 모두 0.3mm이며, 이는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므로 제4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 부재(1000)와 잉크 분배 부재(1002) 사이의 국부적 미접촉이 확실히 방지되게 되고, 잉크 흡수 부재는 과도하게 압축되지 않는다. 결국, 잉크 흡수 부재 내의 잉크 분배는 불필요하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제4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참고 부호 1004는 밀폐 링(61)이 배치되는 잉크 용기 표면을 표시하고, 그리스 문자 α는 표면(1004)으로부터 잉크 용기 장착 전에 잉크 분배 부재의 저면의 위치 까지의 거리를 표시한다. 거리 0는 다음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좋다.
0.3mm ≤ α ≤ 0.8mm
이 조건이 만족되면, 잉크 용기 보관 중에 뜻하지 않은 상황으로 잉크가 잉크 분배 포트로루터 누설되는 경우에도 누설된 잉크는 캡(보호 부재, 200) 내에 배치된 흡수 부재로 만족스럽게 제거할 수 있다. 거리 α가 너무 작으면, 잉크 분배 부재(1002)는 외부로 과도하게 노출되어서 이물질의 부착을 초래하기 쉽게 된다. 제33도, 제34도 또는 제35도에 도시한 잉크 용기의 경우에, 거리 α는 각각 0.5mm, 0.4mm, 0.6mm이다. 홀더 측면위의 잉크 태핑 튜브 604(160d)가 전술된 단향성 잉크 분배 부재(1002)의 단부에 배치된 필터(62) 위로 압박하는 접촉압(N)이 다음의 소정 상태 즉 40gf/㎟ ≤ N ≤ 80gf/㎟ 를 만족할 때, 잉크 용기는 만족할 만한 잉크 분배 능력을 제공하며, 또한 잉크 소비는 향상된다.
접촉압(N)이 매우 작을 때, 잉크 용기로부터 기록 헤드로의 잉크의 흐름은 방해받기 쉬우며, 한편 그 접촉압이 매우 클때 단향성 잉크 분배 부재는 잉크 흡입 부재는 잉크 흡입 부재를 과도하게 압축하며, 잉크 흡입 부재의 모세관 구조를 잉크 흐름을 방해하는 구조로 변경시킨다. 제32도, 제33도 및 제34도에 도시된 잉크 용기가 제28도에 도시된 홀더내의 장착될 때, 전술된 래칭 구조에 의해 유지되는 접촉압(N)은 양쪽 용기에 대해 56gf/㎟, 69gf/㎟ 및 66gf/㎟이며, 또한 위와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사실을 말하면, 접촉압(N)은 실시예에서와 같이 50gf/㎟ 나 56gf/㎟ 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제49도는 바람직한 잉크 분배 능력을 유지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참조 문자 LX와 LO는 잉크 용기의 잉크 분배부의 중심(04) 및 그 구역의 중심(03)으로부터 그어진 수직선을 도시하고, 헤드의 잉크 태핑 튜브에 배치되는 필터는 잉크 용기의 대향벽의 작용부의 중심(01, 02)과 연결되는 가상선에 접하며, NX는 잉크 분배부로부터 가상선으로의 최대 거리를 표시한다(제32(e)고, 제33(g)도 및 제34도(c)에 도시된 전술된 잉크 용기의 경우에, 가상선은 래치부의 중심 및 클로의 중심과 연결되는 선과 동등하다).
가장 적은 거리는 각각의 수직선 LX 및 LO에 의해 표시되고 최대 거리 MX는 단지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가 만족할 때, 잉크 용기의 설치증에 표면 AF 및 BF 위에 작용하는 힘으로부터의 반작용은 잉크 분배부와 헤드 슬라이드의 잉크 태핑 튜브에 효율적으로 압박을 가하며, 이에 의해 서로에 대해 두개의 부품 사이의 만족스런 접속을 이룬다. 이 상태가 만족될 때, 반작용력으로 인해 잉크 용기의 잉크 분배부와 헤드의 잉크 태핑 튜브를 만족스럽게 결합시키기 못하게 되는 일이 있다. 이러한 치수 조건에 부가하여, 잉크 분배부는 제32도 및 제33도에 도시된 대로 전술된 가상선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래칭부는 기록 동작을 위해 배치되고, 제32도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는 1mm이고 최대 거리는 6mm이며 그리고 잉크 분배부는 가성선 홀더. 또한 제33도에서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는 1mm이고 최대 거리는 6mm이며 그리고 잉크 분배부는 가상선 위에 있다. 또한 제34도에서 잉크 분배부 Y, M, 및 C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는 각각 2.5mm, 7.0mm 및 7.0mm이며 최대 거리는 각각 4.5mm, 9.0mm 및 9.0mm이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경우에, 잉크 분배부의 내부 구조는 선택 가능하며, 흡입 부재만으로 동일 효과를 얻게 된다. 이러한 수식 상태가 상승적으로 만족될 때, 잉크는 좀더 바람직하게 이송된다.
제50도 및 나머지 도면들은 이 수정된 잉크 용기를 수정된 잉크 용기 홀더에 장착하기 위한 방법 뿐만 아니라 잉크 용기 홀더 및 잉크 용기의 수정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50도에 도시한 수정예의 경우에, 홀더내의 잉크 용기는 래칭 부재 또는 래칭 클로를 갖지 않으며, 잉크 용기는 잉크 덮개 부재(1005)의 사용으로 홀더내에 유지되며, 그 상부벽은 잉크 용기를 압박하는 방향으로 휘어진다. 덮개 부재는 돌출부(60f)와 결합 구명에 각각 결합하는 결합부(1005, 1005a)를 갖는다. 잉크 용기가 장착될 때, 이 부분은 서로 결합되며, 휘어진 부분은 잉크 용기를 압박한다.
위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잉크 용기는 클로부의 성형이나 잉크 용기 상에 돌기를 형성하지 않고도 신뢰성 있고 간단하게 장착된다.
제51도에 도시된 수정예의 경우에, 덮개 부재는 잉크 용기를 압박하지 않는다. 대신에 잉크 용기는 덮개 부재(1006)와 잉크 용기 사이에 놓인 스프링(1007)에 의해 압박된다. 또한 이러한 예에서, 결합부(1006a, 1006b)는 잉크 용기 홀더와 결합하고 그리고 잉크 용기는 스프링(1007)에 의해 신뢰성 있게 하향 유지된다.
제52도에 도시된 수정예의 경우에, 클로부만은 잉크 용기위에 형성되고, 래칭 부재는 잉크 용기 홀더와 결합하는 압박 부재(1008)에 의해 대치된다. 잉크 용기가 도면에 도시된 대로 홀더내에 있을 때, 압박 부재(1008)는 잉크 용기의 한 단부를 지탱하고 이에 의해 잉크 용기는 홀더내에서 안정화된다.
제53도에 도시된 예의 경우에, 잉크 용기는 클로 측의 반대편 상부 모서리부에서 작은 조각으로 절단되며, 탄성 재로로 구성된 스토퍼(1009)는 잉크 용기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절단부 안으로 삽입된다.
제54도에 도시된 예의 경우에, 잉크 용기는 제42도에 도시된 보호 부재(400)와 같은 리테이너(1010)에 의해 유지된다.
제55도에 도시된 예의 경우에, 래칭부나 클로부 모두 잉크 용기위에 형성되지 않으며, 대신에 오목부(1013)가 횡 표면위에 형성된다. 잉크 용기가 홀더내에 있을 때, 잉크 용기는 잉크 홀더의 면과 오목부 사이에 끼인 탄성 부재(1011)에 의해 안정화된다.
제56도 내지 제59도에서, 잉크 용기의 또다른 수정예가 도시된다. 그 설명은 아래에 기술된다.
제56도에 도시된 잉크 용기는 오목부(1014)를 갖추고 있으며, 그 오목부는 래칭부가 휘어겨 있는 쪽의 구역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로 인해 잉크 용기를 장착할 때 작동 효율이 향상된다.
제57도에 도시된 잉크 용기는 삽입 방향에 대한 전면위에 절단부(1016, 1017)를 가지므로 잉크 용기를 삽입하는 것이 더 쉬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잉크 용량이 줄어들지만, 잉크 용기를 장착할 때 작동 효율은 향상된다.
제58도에 도시된 잉크 용기의 경우에, 제공되는 돌출부(1018, 1019)는 잉크 용기가 돌출부와 함께 잉크 용기 홀더 내에 장착될 때 돌출부와 결합한다. 돌출부(1018, 1019)는 삽입 방향으로 돌출하는 부분의 상부면에 의해 돌출부의 기부면과 접하게 된다. 상부면은 잉크 용기의 위치 조정을 위한 스토퍼로서 제공되는 두 개의 상향 돌출부를 갖는다.
제59도는 제54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단지 클로부만을 갖는 잉크 용기(1020)를 도시한다.
아래에, 잉크 용기를 장착하기 위한 더 많은 구조가 기술된다.
제60도는 다른 구조의 래치 레버가 사용되는 잉크 용기를 도시한다.
제61도는 제60도에 도시된 잉크 용기의 단면도이다.
이 잉크 용기(30)는 제14도에 도시된 잉크 용기의 수정예이다. 그것을 일체식으로 래치 레버(32a)를 포함하며, 그 상부 단부는 분리식 보호 클로(32d)의 반대편 상부 단부에서 덮개 부재(31)위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이러한 래치 레버(32a)는 하방 외향으로 경사져 있고 단색 홀더(60)의 (안내) 홈(60k)을 수용하는 래치 레버와 결합한다. 잉크 용기(30)가 단색 홀더(60)내에 있을 때, 래치 레버(32a)는 래치 레버 안내부(60m)로부터의 압력하에 있으며, 즉 홈(60k)을 수용하는 래치 레버의 상부 단부는 제14도의 화살표 C방향으로 휘어지며, 래치 레버(32a)의 기부 단부에 형성된 래치 클로(32e)는 홈(60k)을 수용하는 래치 레버에 형성된 래치 클로 결합 구멍(60j)과 결합한다. 또한 래치 레버(32a)는 래치 레버(32)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돌출부인 래치 레버 노브(32g)를 일체적으로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래치 레버(32a)는 덮개 부재(31) 위에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덮개 부재(31)의 상부면 위에, 덮개 부재(31)의 상부면보다 낮은 한개의 계단을 갖는 계단부(31a)는 분리식 보호 클로(320) 측면위의 단부에 형성된다. 잉크 용기(30)를 단색 홀더(60) 내에 장착할 때, 잉크 용기(30)는 이 계단부(31a)가 (제11도 및 제12도) 단색 홀더(60)의 돌출부(60f) 아래에 놓이도록 삽입되어, 그리하여 잉크 용기 위치는 정확하게 고정된다 .또한, 단색 홀더(60)의 잉크 용기 돌출부의 안내부(60g)와 결합하는 잉크 용기 돌출부(32b)는 잉크 용기(30) 위에 형성된다.
제62도는 단색 홀더(60)와 홀더(60) 내의 잉크 용기(30)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잉크 용기(30)의 내부 구조는 생략된다.
잉크 용기(30)가 홀더(60) 내에 있을 때, 분리식 보호 클로(32d)와 잉크 용기 분리식 보호 구멍(60i)은 결합되고, 또한 래치 클로(32e)와 래치 클로 결합 구멍(60j)로 결합된다. 그러므로 잉크 용기(30)는 기부면에 의해 밀봉링(61)을 압축시키며(화살표 방향으로) 하향 압박된다. 그 결과, 필터(62)는 잉크 흡입 부재(35)에 대해 압축되며, 잉크 용기(30)는 조인트를 통한 공기 유입의 영향을 제거하며 단색 홀더(60)에 기밀식으로 접속된다. 그러므로, 신뢰성 있는 기록 수행이 이루어진다. 또한, 잉트 누설과 조인트로부터의 잉크 증발이 또한 방지되어, 신뢰성 높은 기록 헤드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제62도 및 제63도를 창조하여 잉크 용기(30)가 단색 홀더(60)로부터 분리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잉크 용기(30)를 단색 홀더(60)르부터 제거할 때, 래치 레버(32a)는 래치 레버 노브(32g)를 내리누룸으로써 밀게되며, 그리하여 홀더 클로(32e)와 래치 클로 결합 구멍(60j) 사이의 결합은 파괴된다. 래치 레버(32a)는 상부 단부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또한 잉크 용기(30)의 하방 외향으로 경사지며, 래치 클로(32e)가 래치 클로 결합 구멍(60j)으로부터 해제되면서 래치 클로(32e)는 제61도에 도시된 상태로 복구된다. 결과적으로, 래치 클로(32e)는 래치 레버 안내부(60m)를 따라 미끄러지며 자동적으로 잉크 용기(30)의 래치 레버(32a) 측면을 들어올리며 이에 의해 잉크 용기(30)를 기울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잉크 용기(30)는 융기부를 파지함으로써 단색 홀더(60)로부터 쉽게 탈착된다.
이 경우에, 단색 홀더로부터의 잉크 용기(30) 돌출부의 양은 래치 레버(33e)의 형태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래치 클로(32e)가 래치 클로 결합 구멍(60j)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래치 레버(32a)의 팁과 래치 레버 안내부(60)는 제63도에 도시된 대로 서로 접하며, 돌출부의 양은 래치 클로(32e)와 래치 레버(32a)의 팁 사이의 거리(L)와 실제로 동등하다 이 거리(L)는 이 실시예에서 4mm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발명자의 실험에 따라, 거리(L)가 3mm보다 작지 않게 되면 융기부를 파지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돌출량이 많을 때, 잉크 용기(30)를 잉크 용기(30)가 단색 홀더(60) 내에 장착될 때 래치 클로(32e)와 래치 클로 결합 구멍(60j)사이의 결합이 불완전하게 되면 제63도에 도시된 상태로 되돌아가게 되며, 그리하여 장착 실수를 차단하며 잉크 용기(30)가 적절히 장착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64도 및 제65도는 제3도에 도시된 카트리지 위에 장착 가능한 기록 헤드 카트리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64도는 그 사시도이뎌, 제65도는 그 단면도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래치 레버(532a) 및 래치 레버 안내부(560m)의 형태는 제1실시예의 것과는 다르다. 즉, 래치 레버(532a)의 래치 클로(532e)는 내향을 향해 형성되는 내향으로 래치 클로 결합 구멍(560j)과 결합한다. 또한 래치 레버 노브(532g)는 상향으로 연장된다. 한편, 래치 레버 안내부(560m)의 테이퍼부는 외향의 대향 표면위에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잉크 용기(530)를 단색 홀더(560)안으로 장착하기 위한 단계는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여, 따라서 잉크 용기(530)를 단색 홀더(560)로부터 탈착하기 위한 단계만이 기술된다.
잉크 용기(530)를 단색 홀더(560)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우선 래치 레버 노브(532g)의 상부 단부는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밀린다. 이러한 작용으로, 래치 클로(532e)는 지레 작용의 원리로 인해 외향으로 휘어지며 래치 클로 결합 구멍 (560j)으로부터 분리된다. 그후에, 래치 클로(532e)의 단부는 래치 레버 안내부(560m)의 테이퍼면을 따라 미끄러지며 잉크 용기(530)를 단색 홀더 (60)로부터 돌출시킨다. 이 지점에서, 잉크 용기(530)는 제1 실시예에 기술된 대로 이러한 돌출부를 파지함으로써 단색 홀더(560)로부터 쉽게 탈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래치 클로(32e)가 래치 클로 결합 구멍(560j)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래치 레버(532a)의 팁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래치 레버 안내부(560m)와 접하게 된다. 따라서, 잉크 용기(530) 돌출부의 양은 래치 클로(532e)와 래치 레버(532a)의 팁 사이의 거리(L)에 의해 결정된다.
제66도는 잉크 용기 래치 레버의 수정 형태를 도시한다. 제66도(a)에 도시된 래치 레버(632a)의 래치 레버 노브(632g)는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사각 필러(pitier)와 같은 두개의 노브로 구성된다. 제66도(b)에 도시된 래치 레버(752a)의 래치 레버 노브(732g)의 경우에, 관통 홈은 중앙의 기부에서 절단된다. 래치 레버 노브(632g, 732g)가 기부에서 그 필러와 같은 부분 사이의 틈새를 갖는 형태로 주어질 때, 래치 레버(632a, 732a)와 일체형인 덮개 부재를 성형하기 위해 사용되는 몰드 구조를 단순화 하는 것은 쉬운 일이다.
본 발명은 위에 기술된 것과 같이 제작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용기가 장착될 때, 경사면은 단부에 형성되며, 기부 벽과 한개의 횡 벽은 전술된 횡벽위에 형성된 클로 형태의 돌출부와 결합 하는데 사용되어 잉크 용기 홀더의 보호 구멍과 분리되며, 또한 클로형 돌출부와 잉크 용기 홀더의 결합 구멍과 함께 벽에 대향하는 또다른 횡벽위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래치 레버와 결합하는데 사용되며, 다시 말해, 잉크 용기는 정착히 위치 조정되어 단순한 구조의 사용 및 단순한 작동을 통해 잉크 용기 홀더내에서 유지된다. 또한 잉크 용기를 잉크 용기 홀더안으로 장착시키거나 탈착시킬 때, 잉크 용기는 돌출부와 함께 측면 주위로 회전되며, 따라서 더 작은 공간을 사용하여 장착 및 탈착된다.
잉크 용기 홀더의 돌출부 아래에 놓인 계단부는 잉크 용기의 상부면위에 형성되어, 클로형 돌출부는 결합 방지 구멍과 쉽게 정렬된다.
잉크 용기 홀더의 오목부 안으로 결합되는 돌출부는 상부 단부에서 잉크 용기의 양쪽 횡벽위에 형성되고, 따라서 클로형 돌출부와 분리 방지 구멍은 쉽게 정렬되고 또한 래치 클로는 결합 구멍과 쉽게 결합한다.
래치 레버는 잉크 용기의 기부에서 지지되고 상방 외향으로 경사지며, 잉크 용기가 잉크 용기 홀더로부터 탈착될 때 잉크 용기의 래치 레버 측면은 잉크 용기 홀더로부터 돌출되는 래치 레버의 경사면을 상승시키며, 잉크 용기 홀더로부터 잉크 용기의 제거를 더 용이하게 한다.
잉크 용기내에 저장된 잉크의 색이 서로 상이할 때, 이 잉크에 대응하는 잉크 분배부는 한개의 잉크 용기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의 방향으로 정렬되며, 따라서 잉크 용기가 잉크 용기 홀더내에 장착될 때 잉크 분배부와 잉크 용기 홀더의 대응하는 잉크 태핑 수단은 잉크 용기가 회전되면서 두개의 부품을 신뢰성 있게 접속하면서 단계적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용기가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용기 홀더내에 장착될 때, 그 용기는 잉크 용기 홀더의 개구를 부분적으로 가리는 돌출부 아래에 용기를 배치하도록 삽입되며, 그리하여 잉크 용기의 클로형 돌출부는 잉크 용기 홀더의 한개의 횡벽내에 형성된 분리 방지 구멍과 결합되며, 잉크 용기의 래치 레버는 대향 횡벽 내에 형성된 결합 구멍과 결합하며, 따라서 잉크 용기는 정확히 위치 조정되어 단순한 구조의 사용 및 단순 작동을 통해 유지된다. 또한 잉크 용기가 장착 및 탈착될 때, 잉크 용기는 클로형 돌출부와 함께 잉크 용기 횡벽 주위로 회전되며 따라서 잉크 용기는 더 작은 공간을 사용하여 장착 및 탈착된다.
잉크 용기 위에 형성된 돌출부와 결합하는 오목부는 상부 단부에서 잉크 용기 홀더의 양쪽 횡벽 위에 형성되고, 따라서 잉크 용기가 장착될 때, 잉크 용기 홀더내에서 잉크 용기가 장착되는 곳에서 조절되며 클로형 돌출부를 분리 방지 구멍에 정렬시키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한다.
래치 레버와 결합하는 래치 레버 안내홈이 형성되며, 결합 홈은 래치 레버 안내 홈내에서 형성되며, 따라서 잉크 용기가 장착될 때 래치 레버는 래치 레버 안내홈을 따라 밀리며 래치 클로를 결합 구멍에 용이하게 결합시킨다. 또한 래치 레버는 잉크 용기의 기부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상방 외향으로 경사지며 따라서 잉크 용기가 제거될 때, 잉크 용기의 래치 레버 측면은 래치 레버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시키어 용기를 잉크 용기 홀더로부터 돌출시키며 이에 의해 잉크 용기의 제거를 더 용이하게 한다.
잉크 용기 기부의 래치 레버 측면을 잉크 용기 홀더의 개구 쪽으로 압축하기위한 압축 수단은 개구의 기부벽 위에 제공되며, 따라서 래치 클로가 결합 구멍으로부터 분리될 때 잉크 용기는 더 돌출되며 잉크 용기를 더 용이하게 제거시킨다.
잉크 용기가 상이한 색깔의 다수의 잉크를 포함할 때, 잉크 용기 및 잉크 용기 홀더는 링크 분배부와 잉크 태핑 수단을 각각 포함하고, 잉크 태핑 수단은 잉크 용기 홀더의 한개의 횡벽으로부터 다른 홀더 방향으로 배치되며, 따라서 잉크 분배부와 잉크 태핑 수단 사이의 조인트는 안정화된다.
격벽판은 잉크 용기 홀더의 내부 공간을 다수의 보조 공간으로 분리시키기 위해 잉크 용기 홀더내에 배치되며, 따라서 다수의 잉크 용기는 장착되어 잉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 대응 경사면은 각각 잉크 용기 및 대응 잉크 용기 홀더 위에 형성되고, 따라서 잉크 용기는 잘못된 공간으로 장착되는 것이 차단된다.
잉크 용기 홀더는 잉크 용기가 분리식으로 장착 가능한 기록 헤드 카트리지를 실행하면서 기록 헤드와 일체식으로 성형된다. 이 기록 헤드 카트리지가 캐리지 위에 분리식으로 장착될 때, 그것은 일련의 형태의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 적용된다.
잉크 용기 홀더와 캐리지 사이의 위치 관계를 결정하는 위치 조정 수단이 한 개의 잉크 용기 횡벽의 외향 대향면 위에 제공되고, 또한 캐리지 위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안내 부재와 결합하는 오목 결합부는 대향 횡벽의 외향 대향면 위에 형성되고, 따라서 잉크 용기 홀더는 잉크 용기를 잉크 용기 홀더 내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된 것과 같은 동일한 단계를 통해 캐리지 위에 장착된다. 즉, 잉크 용기 홀더는 잉크 용기 홀더를 위치 조정 수단 측면 주위로 회전시켜서 대향 칭벽 측면을 캐리지 상에 압박하여 캐리지에 장착되며, 따라서 잉크 용기 홀더는 정착히 위치 조정되며 더 작은 공간을 사용하여 캐리지 위에 유지된다.
이 경우에, 헤드 단자와 결합부를 잉크 용기 홀더의 횡벽에 나란한 직선 상에 배치함으로써 헤드 단자 및 캐리지 단자 사이에 확실한 접촉이 이루어진다.
홀더 조작 탭은 홀더의 노출된 횡벽의 외향 대향면 위에 제공되고, 따라서 잉크 용기 홀더는 쉽게 제거된다. 또한, 래치 클로 결합 구떵 및 탭은 흔들리며, 따라서 잉크 용기를 잉크 용기 홀더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작용과 잉크 용기 홀더를 캐리지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작용사이의 혼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잉크 용기 홀더를 캐리지 위에 장착하거나 또는 제거하기 위한 조작 탭은 오목부내의 잉크 용기 홀더위에 형성되고, 즉 그 부분에 대한 오목부는 래치 레버 수용부를 형성하기 위해 외향으로 돌출되고, 따라서 특별히 공간을 만들 필요는 없으며, 작업자는 잉크 용기 홀더를 캐리지 위에 장착하거나 또는 제거할 때 손가락을 사용한다. 결국, 홀더가 캐리지 상에 착탈될 때 조정할 부분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잉크 용기 홀더 크기도 감축할 수 있다. 특히, 이 조정 부분이 요부의 상부에 형성될 때 착탈 동작은 수행하기 쉬워진다.
또, 이 조정 부분에 잉크 용기 홀더가 캐리지 상에 고정 부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있을 때 캐리지에 의해 유지되는 고정 부분이 제공되므로, 잉크 용기 홀더를 더 작은 힘으로도 캐리지 상에 착탈할 수 있게 하면서 잉크 용기 홀더는 캐리지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어서 착탈 동작이 더욱 용이해진다.
잉크 용기를 착탈하기 위한 조정 손잡이부와 잉크 용기 홀더를 캐리지 상에 착탈하기 위한 조정 탭은 캐리지의 이동 방향에 대해 동일 측면에 배치되어 조정 부분이 집중되게 되므로, 잉크 용기가 잉크 용기 홀더에 관련되어 있는지를 불문하고 착탈 동작이 용이해진다. 또, 조작자가 잉크 용기나 잉크 용기 홀더를 조작할 수 있는 공간이 조정 부분 쪽에 얻어지는 한, 착탈 동작은 캐리지 배치에 관계 없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잉크 용기의 착탈 조작을 위한 조정부가 캐리지 상에 잉크 용기를 착탈하기 위한 조정부 상방에 배치쥘 때 보다 자주 착탈되는 잉크 용기는 보다 쉽게 착탈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용기를 잉크 용기 홀더 상에 장착할 수 있고, 잉크 용기의 조정부는 동일 직선 상에 배열되므로 소형화 및 국부적 설계가 실현 가능하고 크기도 축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캐리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용기 홀더 사이에서 기록 헤드와 일체인 잉크 용기 홀더를 제거 가능하게 유지하므로 잉크 용기 홀더는 착탈이 용이해지고 작은 공간만을 차지한다.
이런 캐리지 상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잉크 용기 홀더에 있어서는 위치 결정 수단, 전기 단자부, 및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그 위치 관계가 본 발명에 따른 것인 한 어떤 잉크 용기 홀더도 채택 가능하다. 예를 들어, 칼라 기록 헤드와 단색 기록 헤더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조정 탭부를 가진 잉크 용기 홀더가 캐리지 상에 장착될 때, 잉크 용기의 조정부, 즉 래치 레버와 잉크 용기 홀더의 조정 탭부는 캐리지 이동 방향에 대해 동일 측면에 배치되므로 착탈 동작 사이의 관계가 원활해져서 작동 효율이 향상되고 또 이런 배치 구조는 설계 면에서도 유리하다.
잉크 용기 홀더가 캐리지 상에 있을 때 잉크 용기 홀더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덮는 오버행 분분은 캐리지 상에서 조정부에 대향하는 잉크 용기 홀더의 측벽 중 하나의 대향 회면에 대향한 면 상에 형성되므로, 잉크 용기 홀더 및 캐리지는 보다 용이하게 정렬될 수 있다. 또, 오버행 부분을 둠으로써 조작자의 손가락 등이 단자부 등에 접촉하기 어려워지며, 즉 캐리지 단자가 보호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제트 기록 장치는 기록 장치 내에서 캐리지를 왕복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수단으로서 두 개의 베어링부 및 두 개의 파지부를 포함하며, 가이드 부재에 근접한 파지부를 구성하는 이들 두 부품 사이의 간극은 다른 파지부 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캐리지는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고, 잉크 용기 홀더가 착탈될 때 조작 문제 중 하나가 제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제트 기록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지를 포함하기 때문에, 잉크 용기 홀더를 캐리지 상에 착탈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은 축소할 수 있다. 결국, 소형 잉크 제트 기록 장치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 잉크 용기는 잉크 용기 홀더 내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고, 잉크 용기 홀더도 캐리지 상에 정확히 위치될 수 있어서 고화질 화상을 작성할 수 있는 신뢰성 높은 잉크 제트 기록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이제까지 본 명세서에 기술된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제까지 설명한 세부 사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개선을 목적으로 이하 청구 범위의 범주 내에서 행해지는 변경이나 변형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42)

  1. 잉크 용기를 착탈 가능한 잉크 제트 헤드에 공급할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용기에 있어서, 상기 잉크 제트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분배 포트와, 주위와 유체 연통하는 공기 벤트와, 상기 잉크 용기의 제1 측면에 제공된 클로형 돌기와, 상기 잉크 용기와 대향하는 제2 측면에 제공된 래칭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래칭 레버는 상기 잉크 동기 상에 탄성 지지되고 래칭 클로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에 인접한 상기 잉크 용기 상면에는 스텝부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돌기는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에 인접한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측의 상단부 상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레버는 상기 제2 측면에 인접한 상기 잉크 용기의 저부측에 지지되고 외향 경사 또는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형 돌기를 가진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잉크 용기의 저부에 인접하여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단색 잉크만을 수용하는 겄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다색 잉크를 수용하고, 상기 용기는 복수개의 챔버로 구획되어 있으며, 이들 구획은 각각 칼라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분배 포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복수의 분배 포트는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측면을 향한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9. 잉크 제트 헤드에 공급될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웅기를 유지하기 위한 잉크 용기 홀더에 있어서,잉크 용기를 수용하는 개구와, 상기 잉크 용기로부터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수용 튜브와, 잉크 응기의 클로형 돌기와 결합하기 위한 제1 결합 구멍을 갖는 제1 내벽과, 잉크 용기의 래칭 레버의 래칭 클로와 결합하씨 위한 제2 결합 구멍을 갖는 제2 내벽과, 상기 개구의 일부를 덮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홀더.
  10. 제9항에 있어서, 결합 요부는 상기 제1 내벽에 인접한 단부에서 상기 제1 내벽과 상기 제2 내벽을 연결하는 벽의 상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홀더.
  11. 제9항에 있어서, 잉크 용기의 래칭 레버를 안내하는 래칭 레버 가이드 홈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홈은 결합 구멍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홀더.
  12. 제9항에 있어서, 개구를 향해 잉크 용기의 저면을 편의시키는 편의 수단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홀더.
  13. 제9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잉크 수용 수단은 제1 내벽으로부터 제2 내벽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홀더.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구멍과 제2 결합 구멍이 제공되는 복수개의 부분으로 개구를 구획하는 복수개의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홀더.
  15. 제14항에 있어서, 복수개는 두 개를 의미하며 한 부분은 단색 잉크 용기를 수용하고 다른 부분은 복수의 칼라 용기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홀더.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 및 상기 내벽 사이의 교차 부분에는 경사부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홀더.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헤드와 유체 연통하는 상기 잉크 용기를 6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홀더.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캐리지 상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홀더는 제1 측면에 잉크 용기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와, 상기 잉크 용기에 설치된 잉크 제트 헤드의 헤드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 접점과, 상기 잉크 용기 홀더의 결합부와 결합하기 위해 제2 측면에 탄성 지지된 안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홀더.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접점 및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벽에 평행인 선상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홀더.
  20. 제19항에 있어서, 조작부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홀더.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 및 상기 결합 구멍은 다른 위치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홀더.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헤드는 상기 잉크를 토출하는 열 에너지를 발생하는 전기 열 변환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홀더.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열 에너지는 잉크의 막 비등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홀더.
  24. 잉크 용기가 일체로 된 잉크 제트 헤드에 공급될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잉크 용기를 유지하기 위해 왕복 가능한 캐리지 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잉크 용기 홀더에 있어서, 상기 잉크 용기의 착탈을 위한 제1 조작부와 캐리지에 대한 착탈을 위한 제2 조작부는 상기 캐리지의 이동 방향에 대해 동일 측면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홀더.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부는 상기 제2 조작부 상방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홀더.
  26. 제24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제1 조작부가 일렬로 배열된 상태로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홀더.
  27. 잉크 제트 장치를 위한 왕복 가능한 캐리지에 있어서, 잉크 용기 홀더를 장착하는 장착부와, 잉크 용기를 위치 결정하는 제1 측면상의 위치 결정부와, 상기 잉크 용기에 장착된 잉크 제트 헤드의 헤드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 접점과, 상기 잉크 용기 홀더의 결합부와 결합하기 위해 제2 측면 상에 탄성 지지된 안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
  28. 제27항에 있어서, 잉크 용기의 일부를 덮는 카버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및 상기 안내 부재는 서로 대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
  30. 제27항에 있어서, 안내 축 상의 두 개의 베어링과 안내 축을 협지하기 위한 두 개의 협지부도 구비하고, 상기 협지부 중 하나를 구성하는 부재 사이의 거리는 상기 협지부 중 다른 것을 구성하는 부재 사이의 거리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
  31. 제27항에 기재된 상기 캐리지를 구비한 잉크 제트 장치에 있어서, 잉크를 토출하기 위해 잉크 용기 홀더의 상기 기록 헤드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제트 장치.
  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레버의 상부는 측면으로부터 멀리 경사지고, 테이퍼부는 측면에 접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레버는 측면에 가까와지도록 굽어진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레버는 두께가 두꺼운 중앙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35. 제1항에 있어서, 저면측은 홀더의 스프링을 도피시키는 요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3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분배 포트는 상기 잉크 용기의 설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측면을 가진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37. 제1항에 있어서, 안내부는 상기 잉크 분배 포트를 둘러싸서 제공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잉크 용기의 설치 방향으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3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용기는 황색, 자흥색, 시안색 잉크 수용부를 순서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3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레버는 측면으로부터 만곡되어 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40. 결합 돌기와, 래칭 클로를 가진 탄성 래칭 레버 및 잉크 공급부를 갖는 잉크 용기를 위한 보호 부재에 있어서, 래칭 레버를 그에 접촉하지 않고 덮기 위한 보호부와, 상기 잉크 분배 포트를 덮으며 잉크 흡수 재료 또는 캡을 가진 저부와, 상기 돌기와 결합하는 요부와, 상기 레버에 인접한 잉크 용기의 코너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부재.
  41. 복수개의 잉크 용기를 유지하기위한 잉크 용기 홀더에 설치되며 왕복 가능한 캐리지에 착탈 가능한 제1 및 제2 잉크 용기의 조합에 있어서, 상기 잉크 홀더 상의 제1 표지에 대응하는 잉크의 제1색을 표시하는 제1 표지와, 상기 잉크 홀더 상의 제2 표지에 대응하는 잉크의 제2 색을 표시하는 제2 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조합.
  42. 왕복 가능한 캐리지와, 일체의 잉크 제트 헤드를 가지며 상기 캐리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와, 색이 다른 잉크 용기의 각각의 래칭 클로와 결합부 사이의 결합 및 해제에 의해 상기 홀더에 착탈 가능한 잉크 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
KR1019950026303A 1994-08-24 1995-08-24 잉크 제트 프린터용 잉크 용기, 용기 홀더, 홀더용 캐리지 및 잉크 제트 프린터 KR01567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99809A JP2801149B2 (ja) 1994-08-24 1994-08-24 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タンクホルダ
JP94-199809 1994-08-24
JP95-032347 1995-02-21
JP3234795A JP3042826B2 (ja) 1995-02-21 1995-02-21 インクタンク、および該インクタンクを着脱自在に保持するホルダ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081495A JP3115783B2 (ja) 1995-02-06 1995-02-28 インクタンク、該インクタンクに着脱自在な保護部材及び該インクタンクを保持するためのホルダを着脱自在に保持するキャリッジ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110795A JP3062030B2 (ja) 1995-02-28 1995-02-28 インクタンク
JP95-040814 1995-02-28
JP95-041107 1995-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180A KR960007180A (ko) 1996-03-22
KR0156794B1 true KR0156794B1 (ko) 1999-03-30

Family

ID=27459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6303A KR0156794B1 (ko) 1994-08-24 1995-08-24 잉크 제트 프린터용 잉크 용기, 용기 홀더, 홀더용 캐리지 및 잉크 제트 프린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8) US5619237A (ko)
EP (8) EP1645420B1 (ko)
KR (1) KR0156794B1 (ko)
CN (7) CN1083772C (ko)
AU (1) AU688545B2 (ko)
CA (4) CA2402573C (ko)
DE (9) DE69535881D1 (ko)
ES (6) ES2421296T3 (ko)
HK (4) HK10119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2592B2 (ja) * 2001-04-03 2004-10-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6332675B1 (en) 1992-07-24 2001-12-25 Canon Kabushiki Kaisha Ink container, ink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ing ink container
US5509140A (en) * 1992-07-24 1996-04-16 Canon Kabushiki Kaisha Replaceable ink cartridge
US5619239A (en) * 1993-11-29 1997-04-08 Canon Kabushiki Kaisha Replaceable ink tank
DE69535881D1 (de) 1994-08-24 2008-12-11 Canon Kk Tintenbehälter für Tintenstrahldrucker
GB2299786B (en) * 1995-04-05 1999-05-26 Seiko Epson Corp Ink jet recording apparatus
KR100191040B1 (ko) * 1995-09-14 1999-06-15 미따라이 하지메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와 이러한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를장착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JPH10235890A (ja) * 1996-06-25 1998-09-08 Seiko Epson Corp インクカートリッジ
AU2003200319B2 (en) * 1996-07-31 2005-11-24 Canon Kabushiki Kaisha An Ink Jet Recording Head, an Ink Jet Head Cartridge, and a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6464338B1 (en) * 1996-07-31 2002-10-15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head with separable tank holding member and recording unit
JP3295339B2 (ja) * 1996-08-30 2002-06-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ホルダー、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およびキャップ
KR100209516B1 (ko) * 1997-02-05 1999-07-15 윤종용 잉크젯 프린트 헤드의 잉크 저장 장치 및 방법
JPH10250101A (ja) * 1997-03-18 1998-09-22 Brother Ind Ltd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インク供給連結部材
USD413920S (en) * 1997-03-31 1999-09-14 Canon Kabushiki Kaisha Combined ink tank holder and printing head for printer
USD412526S (en) * 1997-03-31 1999-08-03 Canon Kabushiki Kaisha Combined ink cartridge and printer head for printer
USD410948S (en) * 1997-08-27 1999-06-15 Tektronix, Inc. Cassette tray
SG102625A1 (en) * 1998-05-13 2004-03-26 Seiko Epson Corp Ink cartridge for ink-jet printing apparatus
ES2271718T3 (es) * 1998-05-18 2007-04-16 Seiko Epson Corporation Aparato de impresion de inyeccion de tinta y cartucho de tinta correspondiente.
US6158850A (en) * 1998-06-19 2000-12-12 Lexmark International, Inc. On carrier secondary ink tank with memory and flow control means
JP3706776B2 (ja) * 1998-09-03 2005-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タンクホルダ、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カートリッジ、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D425111S (en) * 1998-10-27 2000-05-16 Canon Kabushiki Kaisha Ink tank holder for printer
USD425933S (en) * 1998-10-27 2000-05-30 Canon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for printer
AU139201S (en) * 1998-10-27 1999-12-15 Canon Kk Ink tank holder for a printer
US6149256A (en) * 1998-11-24 2000-11-21 Eastman Kodak Company Insertable cartridge for digital camera with ink jet printer
US6631986B2 (en) * 1998-12-16 2003-10-14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er transport roller with internal drive motor
SG116487A1 (en) * 1998-12-16 2005-11-28 Silverbrook Res Pty Ltd Duplex inkjet printing system.
US6443567B1 (en) * 1999-04-27 2002-09-03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ejecting cartridge and recording device using same
JP2001063090A (ja) 1999-04-27 2001-03-13 Canon Inc インクタンク、該インクタンクに用いられる弁ユニット、前記インクタンクの製造方法、前記インクタンク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カートリッジ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1010078A (ja) * 1999-04-27 2001-01-16 Canon Inc インクタンク、該インクタンクが取り付けられるホルダー、該ホルダー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インクタンクのホルダーへの装着方法
JP2001063084A (ja) 1999-08-26 2001-03-13 Canon Inc インクタンク保持部材および該保持部材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
JP2001063089A (ja) * 1999-08-30 2001-03-13 Canon Inc インクタンク、記録ヘッドカートリッジ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733266B2 (ja) * 1999-10-04 2006-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
US6155678A (en) * 1999-10-06 2000-12-05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ink cartridge for ink jet pen
US6460985B1 (en) 1999-10-29 2002-10-08 Hewlett-Packard Company Ink reservoir for an inkjet printer
US6227663B1 (en) * 2000-01-05 2001-05-08 Hewlett-Packard Company Ink-jet print cartridge having a low profile
US6375315B1 (en) 2000-04-11 2002-04-23 Hewlett-Packard Company Replaceable ink container for an inkjet printing system
TW541247B (en) * 2000-01-31 2003-07-11 Hewlett Packard Co Latch and handle arrangement for a replaceable ink container
US6827432B2 (en) * 2000-01-31 2004-12-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placeable ink container for an inkjet printing system
US6302535B1 (en) 2000-04-19 2001-10-16 Hewlett-Packard Company Ink container configured to establish reliable electrical connection with a receiving station
TW505573B (en) * 2000-01-31 2002-10-11 Hewlett Packard Co Replaceable ink container for an inkjet printing system
US6431697B1 (en) 2000-01-31 2002-08-13 Hewlett-Packard Company Replaceable ink container having a separately attachable latch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container
US6488369B1 (en) 2000-01-31 2002-12-03 Hewlett-Packard Company Ink container configured to establish reliable electrical and fluidic connections to a receiving station
US6428225B1 (en) * 2000-02-18 2002-08-06 Premark Feg L.L.C. Printer cassette with label stock tensioner arm and associated printer
CN1257058C (zh) * 2000-03-21 2006-05-2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喷墨记录装置
ES2275603T5 (es) 2000-10-20 2010-07-07 Seiko Epson Corporation Dispositivo de registro de inyeccion de tinta y cartucho de tinta.
CN100528576C (zh) * 2001-04-03 2009-08-19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喷墨记录设备和墨盒
CA2379725C (en) * 2001-04-03 2007-06-12 Seiko Epson Corporation Ink cartridge
US6916088B2 (en) 2001-04-20 2005-07-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k container configured to establish reliable fluidic connection to a receiving station
JP3774675B2 (ja) 2001-05-10 2006-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パッケージ
US6969148B2 (en) 2001-07-31 2005-11-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ivoting on-axis ink reservoir for inkjet printer
JP2003048325A (ja) * 2001-08-06 2003-02-18 Canon Inc 記録装置
US6481829B1 (en) 2001-09-18 2002-11-19 Lexmark International, Inc. Manually actuated carrier latch mechanism
US6749292B2 (en) 2001-10-18 2004-06-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placeable ink container for an inkjet printing system
JP3666491B2 (ja) * 2002-03-29 2005-06-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記録装置
ES2305500T5 (es) * 2002-06-11 2012-10-26 Seiko Epson Corporation Cartucho de tinta
KR20040016072A (ko) * 2002-08-14 2004-02-21 주식회사 경신화이바 면상 발열체용 수지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하여제조된 면상 발열체
JP3991853B2 (ja) * 2002-09-12 2007-10-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US7198351B2 (en) * 2002-09-24 2007-04-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apparatus
JP2004122487A (ja) * 2002-09-30 2004-04-22 Canon Inc 液体タンクおよびタンクホルダ、ヘッドカートリッジ、記録装置、タンク着脱方法
US7134747B2 (en) * 2002-09-30 2006-11-14 Canon Kabushiki Kaisha Ink container, recording head and recording device using same
TWI259149B (en) * 2002-09-30 2006-08-01 Canon Kk Ink container and recording apparatus
US7140712B2 (en) * 2002-10-22 2006-11-28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artridge
GB2402368B (en) * 2002-11-26 2005-06-08 Seiko Epson Corp Ink cartridge and recording apparatus
JP3624950B2 (ja) 2002-11-26 2005-03-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04230623A (ja) * 2003-01-29 2004-08-19 Canon Inc 記録装置
JP2004230803A (ja) * 2003-01-31 2004-08-19 Canon Inc 記録装置
JP4047216B2 (ja) * 2003-04-25 2008-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供給システムおよ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
DE10324059B4 (de) * 2003-05-27 2007-03-08 Pelikan Hardcopy Production Ag Tintenpatrone
JP2005028779A (ja) * 2003-07-07 2005-02-03 Canon Inc 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タンクホルダー
JP4389522B2 (ja) * 2003-08-26 2009-12-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05104000A (ja) 2003-09-30 2005-04-21 Brother Ind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集合体、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4484664B2 (ja) * 2003-11-27 2010-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ヘッドカートリッジ
JP4058436B2 (ja) 2003-12-26 2008-03-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収納容器
JP4058434B2 (ja) 2003-12-26 2008-03-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収納容器、該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プリンタシステム
US20050157112A1 (en) 2004-01-21 2005-07-21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kjet printer cradle with shaped recess for receiving a printer cartridge
US7198352B2 (en) * 2004-01-21 2007-04-03 Kia Silverbrook Inkjet printer cradle with cartridge stabilizing mechanism
US7448734B2 (en) 2004-01-21 2008-11-11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kjet printer cartridge with pagewidth printhead
US7469992B2 (en) * 2004-04-14 2008-12-30 Canon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US7159973B2 (en) * 2004-06-10 2007-01-09 Lexmark International, Inc. Latch release mechanism for printing apparatus components
US7168799B2 (en) * 2004-06-28 2007-01-30 Lexmark International, Inc. Release mechanism for facilitating supply cartridge installation and removal
US7396118B2 (en) * 2004-07-09 2008-07-08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for ink jet record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6088650A (ja) * 2004-09-27 2006-04-06 Canon Inc インクタ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タンクの装着方法
US20060164465A1 (en) * 2005-01-21 2006-07-27 Steinmetz Charles R Receptacle for colored marking material container
JP4696613B2 (ja) * 2005-03-16 2011-06-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CN2897648Y (zh) * 2005-06-04 2007-05-09 曾阳云 一种喷墨打印机使用的墨盒
CN100382970C (zh) * 2005-07-06 2008-04-23 研能科技股份有限公司 墨水匣承载架
US7618132B2 (en) * 2006-02-28 2009-11-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damage to printing systems
US20080018720A1 (en) * 2006-07-19 2008-01-24 Canon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US20080021170A1 (en) * 2006-07-19 2008-01-24 Canon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JP4321565B2 (ja) * 2006-08-12 2009-08-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
JP5288743B2 (ja) * 2006-08-23 201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8011768B2 (en) * 2006-08-23 2011-09-06 Canon Kabushiki Kaisha Ink tank
JP4777189B2 (ja) * 2006-08-23 2011-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7967426B2 (en) * 2007-02-28 2011-06-28 Eastman Kodak Company Sealing device for fluid reservoir
US7780280B2 (en) * 2007-02-28 2010-08-24 Eastman Kodak Company Fluid port seal with surface having channels
US7735983B2 (en) * 2007-02-28 2010-06-15 Eastman Kodak Company Ink jet ink cartridge with vented wick
JP5167669B2 (ja) * 2007-03-30 2013-03-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及び液体吐出装置
DE102007036807A1 (de) 2007-08-03 2009-02-05 Pelikan Hardcopy Production Ag Tintenpatrone für einen Tintenstrahldrucker
US20090071564A1 (en) * 2007-09-19 2009-03-19 William Jon Rittgers Filling An Ink Pen
DE102007048820A1 (de) 2007-10-10 2009-04-16 Pelikan Hardcopy Production Ag Tintenpatrone für einen Tintenstrahldrucker
US8403383B2 (en) * 2008-10-10 2013-03-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unit latch
US20110025773A1 (en) 2009-07-31 2011-02-0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Wide format printer with spittoon and aerosol collection
US20110032312A1 (en) * 2009-08-10 2011-02-10 Anderson Jr James Daniel Multi-color ink tank with features spaced by distances ensuring interface with printhead
US20110032313A1 (en) * 2009-08-10 2011-02-10 Anderson Jr James Daniel Individual ink tank with features spaced by distances ensuring interface with printhead
JP5728959B2 (ja) * 2010-03-25 2015-06-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
DE102010016959A1 (de) 2010-05-04 2011-12-01 Pelikan Hardcopy Production Ag Tintenpatrone
KR101808358B1 (ko) 2010-05-17 2017-12-12 멤젯 테크놀로지 엘티디 프린터 내에서 유체 및 가스를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
US20110279571A1 (en) * 2010-05-17 2011-11-1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Fluid distribution system having multi-path valve for bypassed printhead
WO2012002317A1 (ja) * 2010-07-01 2012-01-05 日本化薬株式会社 インク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着色体
US8651643B2 (en) 2010-10-22 2014-02-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uid cartridge
JP2012187792A (ja) * 2011-03-10 2012-10-04 Seiko Epson Corp 記録装置
US8596771B2 (en) 2011-03-30 2013-12-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inting-liquid cartridge and recor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30145716A1 (en) * 2011-04-13 2013-06-13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Building with panels of dissimilar materials
US8465136B2 (en) * 2011-07-31 2013-06-18 Dongguan Master Ink Co., Ltd. Ink cartridge refill apparatus
US20130106962A1 (en) * 2011-10-26 2013-05-02 Christopher Rueby Ink distribution configuration for carriage inkjet printer
US8469490B2 (en) * 2011-10-26 2013-06-25 Eastman Kodak Company Ink tank configuration for inkjet printer
EP2607080B1 (en) * 2011-12-22 2014-08-1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inting-liquid cartridge and recor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5842616B2 (ja) * 2012-01-05 2016-01-13 株式会社リコー 液体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CN103192606B (zh) * 2012-01-05 2016-03-30 深圳市壹办公科技股份有限公司 分体式喷墨打印机墨盒
CN103204005B (zh) 2012-01-12 2016-12-28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盒以及印刷材料供应系统
GB2499105B (en) * 2012-01-12 2014-09-17 Seiko Epson Corp Cartridge and printing material supply system
US9039153B2 (en) 2012-01-12 2015-05-26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aterial supply system
CN103640338B (zh) * 2012-01-12 2016-11-23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盒和印刷材料供应系统
US8708469B2 (en) 2012-01-12 2014-04-29 Seiko Epson Corporation Cartridge and printing material supply system
CN103375587B (zh) * 2012-04-24 2016-06-29 安徽华菱汽车有限公司 一种套装件的密封定位结构
JP2013226658A (ja) * 2012-04-24 2013-11-07 Seiko Epson Corp 記録装置
JP6024877B2 (ja) * 2012-08-06 2016-11-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KR101953429B1 (ko) * 2012-08-10 2019-02-28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액체 수용체, 액체 소비 장치, 액체 공급 시스템 및 액체 수용체 유닛
JP6241355B2 (ja) * 2014-04-07 2017-12-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ユニット用の保護部材
JP6287510B2 (ja) * 2014-04-08 2018-03-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消費装置
JP2015199261A (ja) 2014-04-08 2015-11-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US9487011B2 (en) 2014-06-11 2016-11-08 Inkcycle, Inc. Latch improvement for a printer supply
US9375938B2 (en) 2014-06-27 2016-06-28 Canon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and ink jet printing apparatus
JP6395471B2 (ja) 2014-06-27 2018-09-26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及び液体吐出装置
JP6512774B2 (ja) 2014-08-25 2019-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の保持部材、プリントヘッドおよびプリンタ
JP6610068B2 (ja) * 2015-08-06 2019-11-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ユニット
JP6308989B2 (ja) 2015-09-30 2018-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及び液体吐出装置
USD794708S1 (en) 2015-10-29 2017-08-15 Canon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for printer
JP6498098B2 (ja) 2015-10-30 2019-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液体収容部材
JP6602160B2 (ja) 2015-10-30 2019-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及びヘッド
JP6700719B2 (ja) 2015-10-30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及びヘッド
JP6611564B2 (ja) 2015-10-30 2019-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ボトルおよび液体収納ボトルのパッケージ
JP2017081083A (ja) 2015-10-30 2017-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ヘッド及び液体充填方法
US10252536B2 (en) * 2016-02-26 2019-04-09 Seiko Epson Corporation Recording apparatus
US10780704B2 (en) * 2016-07-01 2020-09-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k-jet print head assemblies with a spacer surrounding an ink fill por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N109476161B (zh) * 2016-07-29 2021-01-08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打印设备、计算机可读介质和打印方法
US10414183B2 (en) * 2016-08-29 2019-09-17 Joseph L. Zeleny Free axis or free-rolling printer
JP1575719S (ko) * 2016-10-31 2017-05-08
CN107198376A (zh) * 2017-06-30 2017-09-26 湖州美奇诺金属工艺品有限公司 一种叠加挂篮
EP3592565A4 (en) * 2017-07-06 2020-04-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K SUPPLY
WO2019074132A1 (en) 2017-10-13 2019-04-18 Canon Kabushiki Kaisha ITEM COMPRISING PASTILLE ELECTRODE, INK CARTRIDGE, RECORDING APPARATUS
JP7267708B2 (ja) 2017-10-13 2023-05-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パッド電極を有する部材、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装置
JP6959832B2 (ja) * 2017-10-31 2021-11-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140595B2 (ja) 2018-08-10 2022-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7242231B2 (ja) 2018-09-28 2023-03-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パッド電極を有する部材、記録装置
JP7224830B2 (ja) 2018-09-28 2023-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パッド電極を有する部材、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装置
JP7154919B2 (ja) 2018-09-28 2022-10-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7246978B2 (ja) 2019-03-15 2023-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及び液体充填方法
US11214086B2 (en) * 2019-04-05 2022-01-04 Canon Kabushiki Kaisha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7392369B2 (ja) * 2019-10-03 2023-12-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WO2021080616A1 (en) * 2019-10-25 2021-04-29 Xela Innovations, Llc Dispenser for use with refill cartridge
JP7391637B2 (ja) 2019-12-03 2023-12-05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貯蔵装置および液体充填方法
CN111572209A (zh) * 2020-04-26 2020-08-25 江苏经贸职业技术学院 一种物流用打码设备
USD919001S1 (en) * 2020-05-16 2021-05-11 Guangzhou Meng Sheng Electronic Technology Company Device for enabling the refilling of multiple fluid storage containers
CN111806094B (zh) * 2020-06-05 2022-03-08 珠海益捷科技有限公司 墨水容器
CN115570890A (zh) * 2021-07-06 2023-01-06 上海傲睿科技有限公司 一种分离式喷墨打印机墨盒装置及其装卸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680A (en) * 1888-04-24 Leopold c
JPS5318762A (en) 1976-07-29 1978-02-21 Giichi Takahashi Plum jam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408914A (en) 1982-09-29 1983-10-11 Teletype Corporation Printer ribbon cartridge mounting assembly
JPS59198311A (ja) * 1983-04-27 1984-11-10 Alps Electric Co Ltd ペン式記録装置
DE3484840D1 (de) * 1983-10-13 1991-08-29 Seiko Epson Corp Punktdruckkopf mit nadelmatrix.
JPS60245560A (ja) 1984-05-22 1985-12-05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のインクタンク
US5156473A (en) * 1983-10-13 1992-10-20 Seiko Epson Corporation Multi-color cartridge ink-supply system for a dot matrix printer
US5156470A (en) * 1983-10-13 1992-10-20 Seiko Epson Corporation Two cartridge ink-supply system for a multi-color dot matrix printer
US5156471A (en) * 1984-05-22 1992-10-20 Seiko Epson Corporation Ink-supplied wire dot matrix printer head
US5328279A (en) * 1984-05-22 1994-07-12 Seiko Epson Corporation Dot matrix printer head
JPS6096481A (ja) 1983-10-31 1985-05-30 Seiko Epson Corp インクドツトプリンタの印字ヘツド清掃機構
JPS60120064A (ja) 1983-11-30 1985-06-27 Ricoh Co Ltd 印字ヘツドカ−トリツジ
JPS60192642A (ja) 1984-03-14 1985-10-01 Canon Inc インクジエツト記録装置
JPS60192643A (ja) 1984-03-14 1985-10-01 Canon Inc インクジエツト記録装置
JPS60204342A (ja) 1984-03-30 1985-10-15 Canon Inc インクジエツト記録装置
US5174665A (en) * 1984-05-22 1992-12-29 Seiko Epson Corporation Ink-supply system for a dot matrix printer
US5221148A (en) * 1984-05-22 1993-06-22 Takashi Suzuki Dot matrix printer ink supply system having ink absorbing member substantially filling an ink tank
JPS6128751A (ja) 1984-07-20 1986-02-08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用吸入管
JPS62141718A (ja) 1985-12-17 1987-06-25 Canon Inc シラン系ガス分解反応による半導体製造における副生粉体除去装置
US4771295B1 (en) * 1986-07-01 1995-08-01 Hewlett Packard Co Thermal ink jet pen body construction having improved ink storage and feed capability
US4687276A (en) 1986-09-05 1987-08-18 The Babcock & Wilcox Company Connector clip for ribbon cable connector
US4872026A (en) * 1987-03-11 1989-10-03 Hewlett-Packard Company Ink-jet printer with printhead carriage alignment mechanism
US4907018A (en) 1988-11-21 1990-03-06 Hewlett-Packard Company Printhead-carriage alignment and electrical interconnect lock-in mechanism
JP2596006B2 (ja) * 1987-10-23 1997-04-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
US4853708A (en) * 1988-03-03 1989-08-01 Eastman Kodak Company Ink cartridge and housing construction for multicolor ink jet printing apparatus
JPH0269127A (ja) 1988-09-02 1990-03-08 Heiwa Kogyosho:Kk リール
JP2698638B2 (ja) 1989-01-17 1998-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一体型記録ヘッドカートリッジ、該カートリッジを搭載するキャリッジおよびこれらを用いる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5245361A (en) * 1988-12-29 1993-09-14 Canon Kabushiki Kaisha Mountain arrangement for positioning an ink jet recording head with integral ink tank when the head is mounted to a carriage
JP2575205B2 (ja) * 1989-01-13 1997-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
JPH02187366A (ja) 1989-01-13 1990-07-23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2217257A (ja) 1989-02-17 1990-08-30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4907019A (en) * 1989-03-27 1990-03-06 Tektronix, Inc. Ink jet cartridges and ink cartridge mounting system
IT1232551B (it) 1989-07-13 1992-02-19 Olivetti & Co Spa Testina di stampa per una stampante termica a getto d'inchiostro
CA2025561C (en) * 1989-09-18 1995-07-11 Seiichiro Karita Recording head with cover
JPH03108557A (ja) 1989-09-22 1991-05-08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GB8928839D0 (en) 1989-12-21 1990-02-28 Beecham Group Plc Novel compounds
JP3171214B2 (ja) 1992-01-28 2001-05-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用インクカ−トリッジ
JP3161478B2 (ja) 1992-03-16 2001-04-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用インクタンク
JP3246516B2 (ja) 1992-02-19 2002-01-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これに使用するインクタンク
JP3222454B2 (ja) * 1990-02-02 2001-10-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カートリッジ
JPH0432577A (ja) 1990-05-25 1992-02-04 Kobe Steel Ltd 塗膜密着性及び耐食性に優れた塗装AlまたはAl合金材
JPH0429042A (ja) 1990-05-25 1992-01-31 Sumitomo Metal Ind Ltd 球体表面傷検査装置
JPH04186930A (ja) 1990-11-20 1992-07-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機器の装着機器保持装置
JP3281006B2 (ja) 1990-11-30 2002-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供給容器およびインク供給装置
EP0496642B1 (en) * 1991-01-25 1997-08-06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nd detachably mountable ink jet cartridge
JP2967613B2 (ja) 1991-07-17 1999-10-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搬送装置
JP3078880B2 (ja) * 1991-07-29 2000-08-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インク残量検出方法
JP3102083B2 (ja) 1991-09-02 2000-10-23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保管ケース
JP2929804B2 (ja) 1991-10-05 1999-08-0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インク供給機構
JP2788685B2 (ja) 1991-10-21 1998-08-20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ンクカ−トリッジ、インク受給部、及びインク供給装置
EP0860285B1 (en) * 1991-12-11 2002-03-06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cartridge
CA2084708C (en) * 1991-12-11 1997-11-25 Hiromitsu Hirabayashi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carriage mechanism therefor
JP3103177B2 (ja) 1991-12-11 2000-10-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ヘッド交換型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165204B2 (ja) 1991-12-11 2001-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記録ヘッド分離交換型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5163301A (ja) 1991-12-18 1993-06-29 Fuji Photo Film Co Ltd セルロースアセテートの溶解方法
JP3021149B2 (ja) 1991-12-19 2000-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手段
CA2085550C (en) * 1991-12-19 1999-07-06 Kentaro Yano Method of controlling an ink-jet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recording head information,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in which the method is implemented
US5477963A (en) * 1992-01-28 1995-12-26 Seiko Epson Corporation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tank cartridge therefor
JP2925394B2 (ja) * 1992-03-09 1999-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保管容器
DE59302549D1 (de) * 1992-03-10 1996-06-20 Pelikan Produktions Ag Tintenpatrone für einen Druckkopf eines Ink-Jet-Printers
DE9203206U1 (ko) * 1992-03-10 1992-05-21 Franz Buettner Ag, Egg, Ch
DE9300132U1 (ko) * 1993-01-07 1993-04-22 Franz Buettner Ag, Egg, Ch
JPH05318762A (ja) * 1992-03-19 1993-12-03 Fuji Xerox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で使用されるヘッドカートリッジ、および、インクタンク
US5359357A (en) 1992-03-19 1994-10-25 Fuji Xerox Co., Ltd. Ink-jet recording apparatus
IT1259361B (it) * 1992-03-26 1996-03-12 Olivetti & Co Spa Contenitore per l'inchiostro per una testina di stampa a getto d'inchiostro
JPH05301350A (ja) 1992-04-27 1993-11-16 Fuji Xerox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インク供給機構
JPH05318758A (ja) * 1992-05-19 1993-12-03 Fuji Xerox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962044B2 (ja) * 1992-05-29 1999-10-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5345411A (ja) 1992-06-15 1993-12-27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631933A (ja) 1992-07-21 1994-02-08 Citizen Watch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A2272155C (en) * 1992-07-31 2004-05-25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storing container for recording apparatus
US5561450A (en) 1992-09-30 1996-10-01 Pitney Bowes Inc. Apparatus for mounting an ink jet cartridge on a support therefor
EP0604940B1 (en) * 1992-12-28 1997-05-14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head cartridge and ink tank therefor
TW297332U (en) * 1993-01-19 1997-02-01 Canon Kk Ink jet cartridge, ink jet apparatus and ink container
US5646665A (en) 1993-04-30 1997-07-08 Hewlett-Packard Company Side biased datum scheme for inkjet cartridge and carriage
US5519422A (en) * 1993-05-03 1996-05-21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unintended use of print cartridges
JP3188056B2 (ja) * 1993-07-21 2001-07-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
US5619239A (en) 1993-11-29 1997-04-08 Canon Kabushiki Kaisha Replaceable ink tank
DE9405723U1 (de) * 1994-04-06 1994-06-01 Pelikan Produktions Ag Egg Tintenpatrone für einen Druckkopf eines Ink-Jet-Printers
DE69535881D1 (de) 1994-08-24 2008-12-11 Canon Kk Tintenbehälter für Tintenstrahldrucker
USD381680S (en) * 1995-02-06 1997-07-29 Canon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for pri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84186B1 (en) 2002-12-18
CN1081552C (zh) 2002-03-27
HK1050161B (zh) 2005-05-20
EP1645420B1 (en) 2008-10-29
ES2186956T5 (es) 2009-07-24
DE69528778T3 (de) 2009-12-24
CN1186198C (zh) 2005-01-26
EP0884186A2 (en) 1998-12-16
CA2402558A1 (en) 1996-02-25
EP0885729A2 (en) 1998-12-23
DE69528778D1 (de) 2002-12-12
CN1212207A (zh) 1999-03-31
DE69532150D1 (de) 2003-12-24
HK1094958A1 (en) 2007-04-20
EP0879703B2 (en) 2009-05-13
US7407274B2 (en) 2008-08-05
US7407275B2 (en) 2008-08-05
DE69529236T2 (de) 2003-06-05
EP0879703B1 (en) 2002-11-06
EP1203668A2 (en) 2002-05-08
DE69529236D1 (de) 2003-01-30
DE69535879D1 (de) 2008-12-11
EP1203668A3 (en) 2002-07-24
DE29522398U1 (de) 2002-11-21
CA2434525C (en) 2006-01-03
ES2315445T3 (es) 2009-04-01
CA2402558C (en) 2004-06-08
EP0698497B1 (en) 2003-11-19
EP0885729A3 (en) 1999-03-24
US20100265306A1 (en) 2010-10-21
EP1621351A2 (en) 2006-02-01
CN1861407A (zh) 2006-11-15
ES2421296T3 (es) 2013-08-30
CN100581827C (zh) 2010-01-20
EP0879703A2 (en) 1998-11-25
EP1621351A3 (en) 2006-05-31
HK1049646A1 (en) 2003-05-23
ES2314004T3 (es) 2009-03-16
EP0879703A3 (en) 1999-03-17
US8425022B2 (en) 2013-04-23
HK1049646B (zh) 2006-11-03
DE69528778T2 (de) 2003-11-20
CA2402573C (en) 2004-06-08
HK1011950A1 (en) 1999-07-23
CN1132145A (zh) 1996-10-02
CN1310093A (zh) 2001-08-29
CN1376584A (zh) 2002-10-30
ES2175577T3 (es) 2002-11-16
DE69535881D1 (de) 2008-12-11
EP0884186A3 (en) 1999-03-24
EP0885729B1 (en) 2002-04-17
CA2434525A1 (en) 1996-02-25
EP0698497A3 (en) 1999-03-24
EP1645420A2 (en) 2006-04-12
US5619237A (en) 1997-04-08
CA2156809C (en) 2003-11-11
EP1354711B1 (en) 2008-10-29
CN1265967C (zh) 2006-07-26
ES2317134T3 (es) 2009-04-16
EP1203668B1 (en) 2008-10-22
US20020118248A1 (en) 2002-08-29
EP1645420A3 (en) 2006-05-31
US6336709B1 (en) 2002-01-08
KR960007180A (ko) 1996-03-22
US20060044371A1 (en) 2006-03-02
CN1157293C (zh) 2004-07-14
HK1050161A1 (en) 2003-06-13
AU3020695A (en) 1996-03-14
DE69532150T2 (de) 2004-08-26
CN1083772C (zh) 2002-05-01
US20080259144A1 (en) 2008-10-23
US20030117468A1 (en) 2003-06-26
AU688545B2 (en) 1998-03-12
CN1388003A (zh) 2003-01-01
ES2186956T3 (es) 2003-05-16
DE29522166U1 (de) 2000-05-04
US7401909B2 (en) 2008-07-22
DE69535871D1 (de) 2008-12-04
EP1354711A2 (en) 2003-10-22
CN1081551C (zh) 2002-03-27
US6361158B1 (en) 2002-03-26
US7914137B2 (en) 2011-03-29
CN1210788A (zh) 1999-03-17
CA2402573A1 (en) 1996-02-25
CA2156809A1 (en) 1996-02-25
EP1621351B1 (en) 2013-05-22
EP0698497A2 (en) 1996-02-28
EP1354711A3 (en) 2003-12-03
DE69526459T2 (de) 2002-08-29
DE69526459D1 (de) 200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6794B1 (ko) 잉크 제트 프린터용 잉크 용기, 용기 홀더, 홀더용 캐리지 및 잉크 제트 프린터
AU749646B2 (en) Ink container for ink jet printer, holder for the container carriage for the holder and ink jet printer
JP3062030B2 (ja) インクタンク
AU724462B2 (en) Ink container for ink jet printer, holder for the container carriage for the holder and ink jet printer
AU741502B2 (en) Ink container for ink jet printer, holder for the container carriage for the holder and ink jet printer
AU751398B2 (en) Ink container for ink jet printer, holder for the container carriage for the holder and ink jet printer
AU773523B2 (en) Ink container for ink jet printer, holder for the container carriage for the holder and ink jet pri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