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1040B1 -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와 이러한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를장착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와 이러한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를장착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191040B1 KR100191040B1 KR1019960039622A KR19960039622A KR100191040B1 KR 100191040 B1 KR100191040 B1 KR 100191040B1 KR 1019960039622 A KR1019960039622 A KR 1019960039622A KR 19960039622 A KR19960039622 A KR 19960039622A KR 100191040 B1 KR100191040 B1 KR 1001910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d cartridge
- carriage
- ink
- recording
- upper cas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6—Electrical contacts to the cartrid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4—Bodily-changeable print heads or carri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having dual functions or combined with, or coupled to, apparatus performing other func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38—Modular devices, i.e. allowing combinations of separate components, removal or replacement of components
- H04N1/00541—Modular devices, i.e. allowing combinations of separate components, removal or replacement of components with detachable image reading apparatu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6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part of the apparatus being used in common for reading and reproduc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04N1/126—Arrangements for the main scanning
- H04N1/128—Arrangements for the main scanning using a scanning head arranged for linear reciprocating mo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11—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more than one main scanning line, e.g. scanning in swa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k Jet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Common Mechanisms (AREA)
Abstract
기록 매체상에 기록하기 위해 정보처리 장치의 잉크 헤드 카트리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캐리지 상의 잉크 헤드 카트리지와 교환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는 판독에 필요한 광학 부품을 내장한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개방면을 덮기 위해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상부 케이스와, 상기 캐리지로의 삽입시 위치 결정을 위해 상부 케이스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는 안내 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이렇게 결정된 구조체에 의해 고 정밀 위치 결정과 동시에 단순한 장착 작업에 의해 상기 캐리지 상에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를 시리얼 프린터(serial printer) 등의 기록 수단에 착탈식 및 교체식으로 장착함으로써 시리얼 프린터가 판독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는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판독 수단을 갖는 프린터의 경우에는 캐리지에 유지된 기록 수단을 판독 수단으로 교체하도록 된 구조를 취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구조는 판독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스캐너 헤드에 장착된 조명기구에 의해 원고 면을 조명하고 센서가 렌즈를 통해서 원고의 반사 화상을 판독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그러나, 프린터가 기록 수단과 판독 수단을 갖는 판독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고 판독 장치에 교체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종래 구조를 배열함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에 직면하게 된다.
(1) 광학 시스템이 합체되어 있는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가 기록수단으로 교체되어 캐리지에 장착되었을 때, 기록 매체의 판독 면이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의 소정 초점 거리에 광학적으로 위치하도록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가 캐리지에 장착되는 위치에 위치해야 한다. 따라서,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용으로 제공된 위치 결정 수단이 기록 수단과 기록 매체 사이의 간격(gap)보다 높은 정밀도로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와 기록 매체 사이의 간격을 형성할 수 있어야만 한다. 또한, 이때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는 판독된 정보를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 내부에 전달하는 광을 안내하는 광 통로에 포함된 (투명 창 및 렌즈 등의)부재가 캐리지 부품과의 충돌에 의해 일어날 수도 있는 어떠한 손상으로부터도 보호되는 방식으로 캐리지에 장착되어야 한다.
(2) 잉크를 사용하여 기록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 수단에 잉크 탱크를 포함하는 잉크 제트 프린터의 경우에, 잉크 탱크내에 보유된 잉크의 색상 및 양은 프린터를 사용함으로써 변하게 된다. 따라서, 기록수단을 그 프린터 위에 장착하는 캐리지가 여러 모드를 취한다. 특히, 종래에 기록 기술의 급속한 진전에 따라 새로운 프린터 및 잉크 카트리지가 하나 둘 씩 선보이고 있다. 그 결과, 형상 및 장착 모드가 상이한 각각의 잉크 헤드 카트리지에 대하여 여러 종류의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를 제조해야 하므로 제조 비용을 매우 상승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 측에서 보면, 사용자 자신이 상이한 잉크 헤드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여러 종류의 프린터를 갖고 있는 경우에 각각의 프린터용으로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를 구입해야 하고, 이들 각각을 판독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는 프린터로 사용할 수 있기를 원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서의 기술적인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캐리지에 고 정밀도의 위치 결정 성능을 갖고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와, 이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를 그 위에 장착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의 간편한 장착 작동으로 캐리지에 원활히 장착할 수 있는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와, 이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를 그 위에 장착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이한 잉크 헤드 카트리지를 장착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배열된 캐리지에 의해서도 그 기부 유니트를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록 헤드 카트리지와 교체하여 사용할 때 필요한 광학 시스템의 초점 거리등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와, 이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를 그 위에 장착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록 매체에 기록을 행하기 위해 정보 처리 장치의 잉크 헤드 카트리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캐리지에 잉크 헤드 카트리지와 교체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를 마련하는 것이며, 이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는 판독에 필요한 광학 부품을 내장한 하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개구면을 덮기 위해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상부 케이스와, 캐리지 안에 삽입될 때 위치 결정을 위해 상부 케이스의 상부면에 배열될 가이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를 그 위에 장착할 수 있고 기록 매체에 기록을 행하기 위해 잉크 헤드 카트리지와 교체가능하게 기록 매체를 따라 이 카트리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캐리지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에 기록을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며,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는 판독에 필요한 광학 부품을 내장한 하부 케이스와, 이 하부 케이스의 개구 면을 덮기 위해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상부 케이스와, 캐리지 안에 삽입될 때 위치 결정을 위해 상부 케이스의 상부 면에 배열된 가이드 수단을 포함한다.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자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이후의 설명으로부터 상기에 설명한 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 후의 설명은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배제하지 않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한정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에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부품의 배열을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품의 배열을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실시예에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제5도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품을 고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
제6도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정 유니트를 도시한 개략도.
제7도는 본 실시예에 따라 장착된 본체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제8도는 제7도에 도시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캐리지를 도시한 사시도.
제9도는 제8도에 도시된 캐리지의 헤드 가이드의 주변을 도시한 사시도.
제10도는 헤드 단자 유니트를 잉크 탱크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로 볼 수 있는 방향에서 도시한, 제1도에 도시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 장착되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
제11도는 헤드 단자 유니트를 잉크 탱크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로 볼 수 있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서 도시한, 제1도에 도시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 장착되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
제12도는 제2도에 도시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캐리지에 기록 헤드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공정의 제1 단계를 도시한 사시도.
제1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캐리지에 기록 헤드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공정의 제2 단계를 도시한 사시도.
제14도는 제10도에 도시된 기록 헤드 카트리지를 도시한 평면도.
제15도는 제 14도의 선 15-15를 따라 취한 기록 헤드 카트리지의 단면도.
제16도는 제10도에 도시된 기록 헤드 카트리지에 장착된 잉크 탱크를 도시한 평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선 17-17을 따라 취한 잉크 탱크의 단면도.
제18도는 제17도에 도시된 잉크 탱크의 잉크 공급구와 홀더의 상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19도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에 잉크 탱크를 장착하는 공정의 제1단계를 도시한 사시도.
제20도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에 잉크 탱크를 장착하는 공정의 제2단계를 도시한 사시도.
제21도는 제14도의 선 21-21을 따라 취한 기록 헤드 카트리지에 대응하는, 홀더의 바닥벽에 있는 팝-업 스프링(pop-up-spring)을 갖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22도는 제11도에 도시된 기록 헤드 카트리지가 제8도에 도시된 캐리지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23도는 제8도 내지 제22도에 도시된 기록 헤드 카트리지와 상이한 형태의 기록 헤드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
제24도는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가 기록 헤드 카트리지 대신에 제22도에 도시된 캐리지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25a도 및 제25b도는 제23도에 도시된 기록 헤드 카트리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어댑터의 구조 및 장착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 케이스 2 : 상부 케이스
3 : LED 4 : 냉각판
5 : 렌즈 홀더 10 :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
40 : 캐리지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의 특징을 가장 적절히 도시한 도면들이다. 제1도는 본 실시예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상부 케이스(2)를 제거한 후의 전기 부품들의 배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3도는 광학 부품들의 배열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4도는 상부 케이스(2)와 하부 케이스(1)가 함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1도에서, 광학 부품들, 전기 기판 및 모든 다른 관련 부품들이 장착된 하부 케이스(1)가 도시되어 있다. 이 케이스에는 캐리지에 장착될 때의 위치 결정을 위한 위치 결정 구멍(1B)와 위치 결정 홈(1C)이 제공된다. 기준벽(1A)이 또한 판독 방향에서의 그 자세를 결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캐리지에 장착될 때 케이스는 그 장착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캐리지상의 (도시되지 않은) 기준벽으로 바이어스 된다. 커넥터 유니트(20A)느 주 몸체에 장착될 때의 전기 접촉부를 만드는 내부 I/F 역할을 한다. 이 유니트는 기준벽(1A)과 평행하게 배열된 벽(1D)에 나사(21)에 의해 고정된다. 상부 케이스(2)는 하부 케이스(1)의 개방 면을 덮는 모드에서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었을 때의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10)를 구성한다.
하부 및 상부 케이스(1,2)에는 후크 수단과, 후크 수단의 사용에 의해 맞물림을 더욱 신뢰성 있게 하는 결합 수단이 제공된다. 후크 수단으로서 힌지(2C,2D)들이 상부 케이스(2)에 제공되는 한편, 회전을 위한 구멍(1S,제2도 참조)들이 힌지(2C,2D)들이 삽입되는 하부 케이스(1)에 배열된다. 상부 케이스(2) 및 하부 케이스(1)는 힌지(2C,2D)들이 회전 구멍(1S)들에 삽입될 때 회존되도록 지지된다.
또한 하부 케이스(1)에는, 돌기(3D)가 회전 구멍(1S)의 대향 측벽에 제공되고, 한편 상부 케이스(2)에는 돌기(후크 부재, 2F)가 돌기(3D)와 대응하여 끼워지는 형상을 갖는 리세스(2D)와 함께 배열된다. 돌기 (2F) 및 돌기(2F)에 대면하는 하부 케이스(1)의 측면을 결합 수단을 구성한다.
돌기(2F)의 리세스(2D) 및 돌기(3D)가 피팅 수단(fitting means)을 구성하므로, 이들 돌기가 함께 조립될 때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케이스를 갖는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10)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리세스가 돌기(3D) 대신에 배열되고, 돌기(2F)의 리세스(2D)대신 돌기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부 케이스(1)는 광학 시스템의 조정 또는 그 안의 다른 관련 작업 수행시 개폐된다. 그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힌지(2C,2D)들이 제공되는 쪽과 반대 쪽인 상부 케이스(1)의 돌기(2F)가 배열되는 쪽에 하부 케이스(1)로부터 돌출된 처마부(eaves,2G)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2)의 상부면에는 귀부(ear,2A,2B)들이 형성되어 위치 안내 수단의 역할을 한다.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가 캐리지 본체로 삽입될 때, 귀부(2A,2B)들은 캐리지와 맞물려, 위치 결정 구멍(1B)과 위치 결정 홈(1C)을 캐리지 쪽의 (도시되지 않은)위치 결정 유니트와 양호한 상태로 조립되게 한다.
제2도는 상부 케이스(2)가 제거된 상태르 도시한 사시도이다.
전기 부품들이 장착된 가요성 기판(20)은 공학 부품들을 둘러싸도록 대체로 상자형으로 형성된다. 가요성 기판(20)의 단부 부분에는, 커넥터 유니트(20A)가 배열된다. 다른 단부 부분에는 (제3도의) 화상 센서(13)가 장착된다. 또한 후술되는 광원으로서, LED 및 (도시되지 않은) 화상 처리 회로등이 장착된다.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시스템의 배열이 설명된다.
광원의 역할을 하는 (λ = 570nm)의 복수의 LED(3)들은 판독 폭보다 긴 길이로 판독 폭 방향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광원 즉, LED(3)의 근처에 집광 수단(converging means)의 역할을 하는 원통형 로드 렌즈(6)가 LED(3)의 배열 방향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에 의해, LED(3)들로부터의 조사 중심이 로드 렌즈(6)의 렌즈 작용면 중심을 통과하도록 배열되어 원고 면을 대각선으로 조사하게 한다.
원고 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의 광축은 원고에 대체로 직각 방향으로 배열된 화상 초점 시스템 상의 제 1 렌즈인 필드 렌즈(7, filed lens)를 통과한다. 필드 렌즈(7)를 통과한 반사광의 광축의 진행 방향은 원고와 사실상 평행한 광 비임을 만들기 위해, 판독 폭 방향에 평행하게 배열된 미러(8)에 의해 90도 구부려 진다.
제1 초점 렌즈 시스템 내의 필드 렌즈(7)의 초점 면이 위치되도록 가정된 구멍(11A)이 도시되어 있다. 구멍(11A) 뒤에는 제2 초점 렌즈 시스템인 초점 렌즈(12)가 배열된다.
초점 렌즈(12)의 초점 위치는 광전기 전환 소자(13C)가 배열되는 위치이다. 광전기 전환 소자(13C)는 가요성 기판(20)에 그 커넥터(13D)를 납땜함으로써 가요성 기판(20)과 일체로 형성되고 화상 센서(13)로서 포장된다. 이 점에서 초점 시스템 렌즈의 배열은 0.45158의 축소비로 만들어진다.
내장된 광학 부품들의 상태가 설명된다. LED(3)들이 배열되는 가요성 기판(20)의 뒷면에는 알루미늄 냉각판(4)이 이중 코팅 전도성 접착 테이프에 의해 접착 결합된다. LED(3)들의 조사 각도는 가요성 기판(20)과, 하부 케이스(1)의 삼각형 리브(1F,1H) 상에 장착되는 냉각판(4)에 의해 결정되고, 로드 렌즈(6)와 하부 케이스(1)의 네일부(nail portion,1J)를 지지하는 로드 렌즈 홀더(5)에 의해 냉각판(4)의 양단부가 하향 가압될 때 고정된다.
제3도에서, 로드 렌즈(6)는 광원의 광량을 증가시키는 집광 수단으로서 장착되는 원통형 렌즈부를 갖는다. 비조사부의 양 단부에 제공되는 로드 렌즈 돌기(6C,6D)들은 냉각판(4)의 위치 결정 구멍(4A)에 끼워진다. 그 후 전술한 바와 같이 광원의 역할을 하는 LED(3)들의 조사 중심이 로드 렌즈(6)의 원통형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배열된다.
로드 렌즈(6)의 양 단부의 로드 렌즈 기부(6A)들은 렌즈부의 원통형과 동축으로 배열되고, 로드 렌즈(6)를 하부 케이스(1)의 홈(1K)에 장착함으로써 그 중심이 위치된다.
D자형 절개부가 로드 렌즈 기부(6A)에 형성되고, 로드 렌즈 홀더(5)의 절첩단부들에 의해 고정된다. D자형 절개부는 하부 케이스(1)의 삼각형 리브(1F, 1H)들상에 약간 더 높게 만들어 진다. 로드 렌즈 홀더(5)에 의해 가압될 때, 이는 제3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로드 렌즈(6)와 냉각판(4)을 일체로 로드 렌즈 아암(6B)이 하부 케이스(1)의 삼각형 리브,(1B)에 바이어스 되는 상태로 고정시킨다.
하부 케이스(1)의 고정 돌기(1N)가 로드 렌즈 홀더(5)의 양 단부를 통과할 때 로드 렌즈 홀더(5)의 빠짐이 방지된다.
삼각형 리브(1F, 1G)에 의해 한정되는 대각선 조사 측면상의 광축은 조사가 이루어질 때 초점 렌즈의 광축에 설정된 원고 면의 표면의 중심 위치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1.5도 더 멀리 벗어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원으로부터의 조사 중심은 원고의 높이의 기준 위치보다 깊이 방향으로 더 멀리 위치한다. 그러므로, 시트와의 간격이 기준 위치로부터 변화하게 되어도 출력 변화를 감소시키고, 또한 고해상도를 유지하고 농도 불균일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LED(3)의 구동 방법에 관해, 광원은 판독 전에 소정 기간 동안 흐르는 전류에 의해 예열된다. 그 후, LED는 일정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낮은 전류에 의해 구동된다. 이 방식으로 광원의 온도는 안정되어 그 출력 변동을 감소시키고, 판독 시간의 경과에 따른 화상 농도의 불균일을 감소시킨다. 또한, 광원의 예열에 의해, 제2 시트와 그 후 계속되는 시트를 판독하는데 필요한 대기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5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필드 렌즈(6) 및 미러(8)를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면 부호 7A는 대체로 오목 형상으로 성형된 판 스프링인 미러 홀더를 표시한다. 미러 홀더의 하부 부분에는 필드 렌즈를 위치시키도록 고정 수단이 형성되며, 상부 부분에는 미러를 위치시키도록 고정 수단이 형성된다. 홀더는 렌즈 및 미러 모두를 위치시키는 기능을 또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계속하여, 제4도 및 제6도를 참조하여, 초점 렌즈(12)를 위치시키고 조절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초점 시스템으로 기능하는 초점 렌즈(12)는 구멍(11A)을 형성하는 원통형 렌즈 배럴(11)에 접착 고정된다. 렌즈 배럴(11)은 렌즈 홀더(9)의 내부 원주를 따라 활주가능하다. 지그(도시되지 않음)는 이도응 조절하도록 배럴 홈(11B)내로 삽입된다. 도면 부호 16은 판 스프링 기능을 갖는 렌즈 스토퍼(lens stopper)를 표시한다. 렌즈 스토퍼의 각진 부분은 항상 렌즈 배럴(11)을 하향 편위시키도록 임시로 유지된다. 상기 조절후, 나사(21)에 의해 고정된다.
렌즈 홀더(9)는 하부 케이스(1)의 활주 홈(1S)내에서 활주된다. 홈의 돌기(9A, 9B)는 광학 축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렌즈 홀더(9)의 내주연은 홈 돌기(9A,9B)와 평행하다. 초점 렌즈(12)는 방향 Y에서 위치를 결정하도록 광학 축과 평행하게 활주된다. 플랜지(9A,9B)는 원고 면과 평행하게 광학 축의 높이와 동일한 평면을 갖는 리브(1Q)상에서 활주된다. 렌즈 홀더의 위치 조절 후 나사에 의해 렌즈 홀더(9)를 고정하도록 사용되는 장홈이 플랜지(9A,9B)상에 형성된다.
초점 렌즈(12)뒤에, 광전기 변환 소자(13C)를 갖는 화상 센서가 상술된 바와 같이 배치된다. 화상 센서에는 광전기 변환 소자(13C)의 정렬에 평행한 선 상에 위치 결정 구멍(13A,13B)이 제공된다. 위치 결정 구멍(13A,13B)은 플랜지와 평행한 렌즈 홀더 상의 위치 결정 돌기(도시되지 않음)과 결합되어, Z 방향으로 광학 축을 결정한다.
화상 센서는 센서가 납땜될 가요성 기판(20)상에 고정 구멍(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나사에 의해 렌즈 홀더(9)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 렌즈는 상술된 텔레센트릭 시스템(telecentric system)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배율의 편차는 작게 된다.
이하, 제7도를 참조하여, 상술된 구조의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가 본 실시예에 따라 기록 장치의 본체 상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7도에서, 도면 부호 10은 기록 매체상에 기록하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30)와 착탈 가능하여 교환가능한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를 표시한다.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10)의 형상은 인쇄를 위해 사용되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의 형상과 동일하다. 사용시 기록 헤드 카트리지에 의해 공유될 수 있는 커넥터 유니트(20A)는 주 본체와 전기 접속된 스캐너 헤드의 일부와 배치된다.
도면 부호 40은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10)의 커넥터 유니트(20A)를 통해 본체로 그리고 그로부터 판독 제어 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수신하기 위한 접점 유니트(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된 캐리지를 표시한다.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10)는 헤드 가이드(122)에 의해 접점 유니트로 가압되어, 캐리지(40)와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10)사이의 결합을 신뢰성 있게 유지시킨다.
판독 신호는 가요성 케이블(44) 및 연결 유니트(41)를 통해 장치 본체에 제공된 CPU 에 의해 처리된다.
캐리지(40)는 판독 수행을 위해 프레임(45)의 축판(45A,45B) 사이의 활주 판(47) 및 활주 축을 따라 왕복 이동된다. 도면 부호 48은 벨트를 통해 캐리지(40)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표시한다.
도면 부호 50은 원고를 이송하기 위한 시트 공급 스태커를 표시한다. 프린터용으로 사용될 때, 기록 시트가 삽입된다. 원고(3)는 프린터의 후방 측으로 이송룰러(51)에 의해 시트 공급 스태커(50)로부터 이송되어, 캐리지(40)아래의 판독 위치로 가압 룰러(53) 및 LF 룰러(52)에 의해 운반된다. 각 판독 폭 부분을 위한 반복된 간헐적인 선형 이송에 의해 운반되는 동안, 원고는 정해진 시간에 따라 시트 배출 룰러(54)에 의해 배출된다.
이하, 제8도를 참조하여 캐리지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8도는 제1도에서 도시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캐리지(4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캐리지(40)는 전체적으로 프레임 형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중공부에는,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10) 또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가 장착된다. 캐리지(40)의 후방에, 두 개의 베어링(40a)이 일체로 형성된다. 가이드 축(105)은 각 베어링(40a)을 통해 삽입된다. 또한, 캐리지(40)의 전방에는, 두 개의 니퍼(nipper)와 가이드 레일 니퍼(40b)와 캐리지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40c)가 일체로 성형된다. 가이드 레일 니퍼(40b)는 케이블 가압 홀더(121) 쪽에 배치되며, 캐리지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40c)가 헤드 가이드(122)쪽에 배치된다. 가이드 레일 니퍼(40b) 및 캐리지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40c)는 각각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간격을 갖는 두 개의 돌출 부재에 의해 형성되며, 이 사이에 판형 가이드 레일(112)을 갖는다. 따라서, 캐리지(40)는 두 개의 베어링(40a)와 가이드 레일 니퍼(40b)와 캐리지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40c)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캐리지 (40)는 기부(114, 제1도 참조)에 평행하게 지지되며, 따라서, 캐리지(40)상에 장착된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의 노즐 유니트(150, 제10도 참조) 와 기록 매체(P) 사이의 대체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캐리지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40c)를 형성하는 두 개의 부재 사이의 간격은 레일 니퍼(40b)를 구성하는 두 개의 부재 사이의 간격보다 넓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캐리지(40)는 캐리지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40c)를 제외한 세 개의 지점에 의해 지지된다. 이는 기부(114)에 평행하게 캐리지(40)를 지지하기 위해, 캐리지(40)는 하나의 동일한 직선 상에 정렬되지 않는 세 개의 지점에 의해 충분히 지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캐리지(40)에 가해지는 활주 부하를 고려하여 배치되기 때문이다. 또한, 잉크 헤드 카트리지(101)가 캐리지(40)로부터 착탈될 때 각 베어링(40a) 및 가이드 레일 니퍼(40b)에 주어진 부하에 의한 캐리지(40)의 바람직하지 않는 변형 및 변위를 방지하기 위해 캐리지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40c)가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정 작동을 수행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어떠한 결점도 방지된다. 또한, 캐리지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40c)는 헤드 가이드(122) 쪽에 설치된다. 이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가 캐리지(40)에 착탈될 때 이러한 헤드 가이드(122) 상에 힘이 가해지기 때문이다.
가요성 케이블(103)이 소정 통로 주위로 인출되며, 제8도에서 우측에 도시된 캐리지(40)의 측벽 내부에 케이블 단자(103a)를 위치시키도록 가용성 케이블의 선단부에 고정된 케이블 가압 홀더(121)에 의해 고정된다.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가 캐리지(40)상에 장착될 때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의 헤드 커넥터(153, 제10도 참조)는 케이블 단자(103a)와 접촉한다. 따라서, 기록 헤드 카트리지와 전기 접속이 된다.
케이블 가압 홀더(121)는 스테인리스강 또는 다른 전도성 재질의 판 부재를 절첩함으로써 형성된다. 케이블 가압 홀더의 상단부는 캐리지(40) 내부에 대해 절첩된 덮개부(121a)로 제조된다. 또한, 케이블 가압 홀더(121)의 일부는 가요성 케이블(103)의 접지 패턴과 접한다. 즉, 케이블 가압 홀더(121)는 가요성 케이블(103)을 통해 접지된다. 이는 작업자가 캐리지(40)에 또는 캐리지로부터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를 착탈할 때 접지(GND)로 작업자의 손가락에 대전된 정전기,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에 축적된 정전기 등을 방출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전기 등이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제어 기판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케이블 단자(103a)로 방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케이블 가압 홀더(121)이 덮개부(121a)에 의해, 케이블 단자(103a)는 작업자가 손가락 등으로 케이블 단자(103a)를 무의식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덮개부(121a) 아래에 위치된다. 따라서, 정전기가 용이하게 케이블 가압 홀더(121)로 방출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 단자(103a) 자체가 덮개부(121a)에 의해 보호된다.
케이블 단자(103a)가 위치되는 캐리지(40)의 면에는, 두 개의 헤드 위치 결정 돌기(40c,40d)가 일체로 형성된다. 위치 결정 돌출부(40d)는 정사각형이며, 케이블 단자(103a)보다 깊은 쪽에 위치되며, 위치 결정 돌출부(40e)는 원추형 상부를 가지며 케이블 단자(103a) 보다 전방으로 전방 쪽에 위치된다.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가 캐리지(40)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하나의 헤드 위치 결정 돌출부(40d)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에 대해 헤드 위치 결정을 위해 사용하기 위한 절개 홈(153a, 제10도 참조)내로 장착된다. 이 때 다른 위치 결정 돌기(40e)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의 헤드 위치 결정 구멍(153b, 제10도 참조) 내로 결합된다. 따라서,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는 캐리지(40) 상에 정확히 위치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캐리지용 위치 결정 수단은 각각 헤드 위치 결정돌기(40d, 40e)에 의해 형성되며,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용 위치 결정 수단은 헤드 위치 결정에 사용되는 절개홈(153a) 및 헤드 위치 결정 구멍(153b)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케이블 단자(103a)를 향하는 캐리지(40)의 설치시, 접촉 스프링(123)이 제공되며, 수지 성형 헤드 가이드(122)가 스프링의 선단부에 고정된다. 즉 헤드 가이드(122)는 캐리지(40)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헤드 가이드(122)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캐리지(40)상에 장착된 상태로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의 헤드 가압부(160d,제11도 참조)를 결합한다. 따라서,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는 접촉 스프링(123)의 스프링력에 의해 케이블 단자(103a)로 편위된다. 서로를 향하도록 헤드 가이드(122) 및 케이블 단자(103a)를 배치함으로써, 케이블 단자(103a)와 헤드 단자(153)사이의 접촉이 신뢰성 있게 이루어진다. 또한,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가 캐리지(40) 상에 장착될 때 헤드 가이드(122)는 가이드로서 가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 토션식의 토션 코일 스프링이 제9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스프링(123)으로서 사용된다. 두 개의 코일 부분이 캐리지(40)와 일체로 형성된지지 로드에 의해 지지된다. 동시에, 각 코일로부터 연장된 단부는 캐리지(40)에 의해 지지된 금속 축 부재(124)를 맞물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촉 스프링(123)에 부하가 걸릴 때, 캐리지 상에 가해지는 임의의 부하를 분산시키며 캐리지(4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록 헤드가 캐리지(40) 상에 정착될 때 접촉 스프링(123)에 의해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에 주어진 압력은 헤드 단자(153)와 케이블 단자(103a) 사이가 보다 신뢰성 있게 접촉되도록 약 2 kgf 로 설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가압 홀더(121)를 위한 덮개부(121a)가 형성되고 헤드 가이드(122)는 케이블 단자(103a)에 대면하는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가 캐리지(40)상에 장착될 때, 헤드 단자(153)상의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의 표면은 덮개부(121a)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고, 이에 의해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는 피봇으로써 덮개부(121a)의 선단부에서 회전되도록 장착된다. 이에 의해, 덮개부(121a)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가 장착될 때 가이드로 작용한다. 또한, 이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를 적은 공간 안에 장착시키는데 기여한다.
또한, 잉크 탱크 안에 보유되는 잉크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는 캐리지(40)의 형상과 조화되도록 형성된다. 기록 헤드 카트리지의 형상 자체는 가이드로서 이중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기록 헤드 카트리지의바닥부의 하부 부분은 캐리지(40)의 바닥부의 내벽을 따라 삽입시킴으로써 캐리지(40) 상에 장착시키는 것을 손쉽게 한다.
또한, 덮개부(121a)는 케이블 터미널(103a) 위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헤드 단자(153)상의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의 표면이 덮개부(121a)아래로 내려가도록 하지 않는 한,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의 기판(151)등이 케이블 단자(103a)와 접촉하기 전에 덮개부(121a)에 접촉된다. 이런 방법으로, 케이블 단자(103) 삽입시에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에 의한 손상이 방지된다.
이제,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를 설명한다. 제10도는 헤드 단자(153)가 보이는 방향으로 본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의 사시도이다. 제11도는 헤드 단자(153)의 대향 측면에 보이는 방향에서 본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의 사시도이다.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는,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를 토출 시키는 노즐 유니트와, 그 상부면 상에 구멍을 구비한 박스형 홀더(160)와 일체로 형성된다.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 탱크(130)는 홀더(16)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헤드 단자(153)는 유리 에폭시 등으로 성형된 전기 기판이며, 기부판(151)에 고정된다. 노즐 유니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전기열 변환 소자와 연결된 와이어들은 와이어 본딩 (wire bonding)에 의해 헤드 단자(151)에 연결된다. 또한, 기부판(151)은 기록 매체(P)의 이송 방향에 대하여 1 내지 4도 경사지게 설치된다. 노즐 유니트를 형성하는 다수의 토출구 열은 이에 따라 기록 매체의 이송 방향에 대하여 1 내지 4도 경사지게 설치된다. 노즐 유니트를 형성하는 다수의 토출구 열은 기록 매체의 이송 방향에 대하여 1 내지 4도 경사져 있다.
잉크 탱크(130)로부터 노즐 유니트를 구성하는 공통 액체실로 공급되고, 이 안에 임시로 저장되는 잉크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액체 통로로 유입되고, 토출구에서 메니스커스(meniscus)를 형성하고, 통로 상에 잉크로 충전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에, 전기열 변환 소자가 헤드 단자(153)에 전송된 기록 신호에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도록 여기될 때, 전기열 변환 소자상의 잉크는 막비등(film boiling)을 야기 시키도록 급격히 가열되어, 액체 통로 안에 기포(air bubbles)를 발생시킨다. 각 기포의 팽창에 의해 잉크는 각 토출구로부터 토출된다.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에너지 발생 소자를 전기열 변환 소자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토출 압력을 순간적으로 야기하는 기계적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압전 소자(piezolectric elements)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캐리지(40)의 각 헤드 위치 결정 돌기(40d, 40e)에 대면하는 기판(151)의 위치 상에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가 캐리지(40) 상에 장착될 때 헤드 위치 결정 절개부(153a)가 사각 헤드 위치 결정 돌기(40d)가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헤드 위치 결정 구멍(153b)에는 이와 유사하게 원형 헤드 위치 결정 돌기(40e)가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기부판(151)은 열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에 의해 홀더(160)의 한 단부 상에서 벽에 고정된다. 기부판 측의 홀더(160)의 상부면 상의 단부 부분 상에는 다른 부분보다 낮은 단을 형성하도록 계단부(160a,step)가 형성되어 있다.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가 카트리지(40)상에 장착될 때, 이 계단부(160a)의 상부면이 케이블 가압 홀더(121)의 덮개부(121a,제8도 참조) 아래로 들어가도록 한다. 따라서,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는 일단 손쉽게 위치한다. 또한 캐리지(40)상에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기구로써, 캐리지(40)의 헤드 가이드(122, 제8도 참조)에 의해 지지된 고정부로 작용하는 헤드 가압 유니트(160b)와, 캐리지(40) 상에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를 각각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기부판(151)에 대향한 홀더(160)의 측면상의, 즉 캐리지(40)상에 장착된 홀더의 다른 모서리 상의 벽의 외측면 상의 헤드 착탈 작동 유니트(160)가 형성되어 있다. 헤드 가압 유니트(160a)에는 기부판(151)에 대향한 홀더(160)의 측면 상의 표면의 상단부 부분에 하단부로부터 대각선으로 리세스부가 형성되어 있다. 헤드 가압 유니트(160a)의 상부 부분은 보다 리세스된 헤드 가이드 커플러(164)이고, 캐리지(40)의 헤드 가이드(122)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가 카트리지(40)상에 장착될 때 이 헤드 가이드 커플러(164)와 맞물린다. 따라서, 헤드 가이드(122)가 헤드 가이드 커플러(164)와 맞물릴 때,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는 캐리지(40)에 위치하고 고정된다. 헤드 착탈 작동 유니트(160C)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의 전방측 상의 헤드 가압 유니트(101)로부터 가장 먼 영역의 상단부상에, 즉 헤드 가압 유니트(160b)가 설치되는 면상에 정렬된다. 캐리지(40)로부터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를 제거할 때에는 작업자는 손가락을 이 유니트에 걸어서 위로 당기면 된다. 따라서, 제거는 손쉽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헤드 가압 유니트(160b)와 헤드 착탈 작동 유니트(160c)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래치 레버 가이드(132a)로서 작용하는 래치 안내홈(160h, 제14도 참조)을 마련함으로써 형성된 돌출 영역에 각각 리세스된 영역들 안에 각각 정렬된다. 이런 방법으로,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의 제한된 체적은 최소 공간을 사용한 목적으로 헤드 착탈 작동 유니트와 함께 캐리지(40)의 헤드 가이드(122)에 의한 지지된 고정 유니트를 마련하도록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이제, 캐리지(40)상에 또는 이로부터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를 착탈하는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록 매체(P)의 이송 방향의 상류 측면을 세로 길이 측면으로, 그 면을 후방으로 정의하고, 그 하류 측면을 전방 측면으로, 그 면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제12도는 제8도에 도시된 잉크 제트 기록 장치가 하우징 안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부는 하부 케이스(118)와 상부 케이스(117)에 의해 형성된다. 그 내부에는 제8도에 도시된 잉크 제트 기록 장치가 정렬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17)의 세로 길이 측면 부분 상에는, 자유로이 개폐될 수 있는 상부 커버(119)와 상부 케이스(117)를 덮도록 정렬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17)에는 가압판(108)과 대면하는 위치에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 커버(119)는 상부 커버(119)가 열렸을 때 가압판(108)상에 기록 매체를 세트 시키는 트래이로 작동한다. 또한, 상부 케이스(117)에는 그 중앙부로부터 전방에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이 구멍을 통해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나 잉크 탱크(130)가 착탈 가능하다. 따라서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나 잉크 탱크(130)로 교환할 때, 캐리지(40)는 주어진 작동에 의해 그 주행 범위의 중앙부 안에서 변환된다.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나 잉크 탱크(130)의 교환에 사용하기 위한 이러한 구멍의 전방 측면 상에는 헤드 커버(120)가 이 구멍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덮도록 자유롭게 개폐되도록 설치된다.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나 잉크 탱크(130)를 교환하지 않을 때에는 헤드 커버(120)는 닫혀져서, 사용시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를 보호한다.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가 캐리지(40)상에 장착할 때, 기부판(151, 제10도 참조)을 갖는 기록 헤드 측면을 먼저 제12도에서 두꺼운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대 각선으로 정렬시키고, 이 측면을 캐리지(40)상에 설치된 케이블 가압 홀더(121)의 덮개부(121a) 아래로 위치시킨다.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의 계단부(106a, 제10도 참조)의 직립면을 덮개부(121a)의 단부 면과 접촉시켜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를 일단 위치시킨다.
그 후에,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를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가압한다. 이때에,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의 헤드 가압 유니트(160d, 제11도 참조)의 경사면은 캐리지(40)의 헤드 가이드(122, 제8도 참조)에 의해 안내되어, 각 헤드 위치 결정 돌기(40d, 40e)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의 헤드 위치 결정 절개부(153a)의 헤드 위치 결정 구멍(153b) 각각에 끼워진다. 따라서,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는 캐리지(40)상에 원활히 장착된다.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가 완전히 장착되면,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를 고정시키도록 헤드 가이드(122)를 헤드 가이드 커플러(164, 제11도 참조)와 맞물린다. 또한, 헤드 가이드(122)에 의해 야기된 압축력에 의해,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의 헤드 단자(153)는 캐리지(40)의 케이블 단자(103a)에 가압되어 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확실히 이루어진다.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가 캐리지(40)로부터 제거될 때, 캐리지(40)와 헤드 착탈 작동 유니트(160c)를 당긴다. 그 후에, 헤드 가이드(122)와 헤드 가이드 커플러(164)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한다. 헤드 가압 유니트(160b)를 헤드 가이드(122) 상으로 상승시키고, 이에 의해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의 헤드 착탈 작동 유니트(160c)측을 경사 상태가 되도록 캐리지(40)로부터 돌출시킨다. 그 후에, 캐리지(40)로부터 돌출된 부분을 들어 올려서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는 캐리지(40)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헤드 압력 유니트(160b)가 설치된 면 상에, 헤드 착탈 작동 유니트(160c)가 헤드 가압 유니트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배열된다. 결과적으로, 헤드 가이드 커플러(164)가 헤드 가이드(122)로부터 해제되는 순간에 작용하는 모멘트는 헤드 착탈 작동 유니트(160c)가 잡아 당겨질 때 더 커진다. 따라서, 작은 힘을 가함으로써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가 확실하게 보유되면서,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의 착탈이 보다 용이해진다. 이때, 보다 작은 힘을 가함으로써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를 제거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헤드 가압 유니트(160b)가 카트리지(40)의 이동 방향에 평행한 중심선으로부터 깊이 측 상에 설치된 다음에, 헤드 착탈 유니트(160c)가 전방측의 단부 부분 상에 설치되는 배열이 이루어져야 한다.
제14도는 제10도에 도시된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제15도는 제14도의 선 15-15를 따라 취한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의 횡단면도이다. 제14도 및 제15도에 따르면, 잉크 인입관(160d)이 홀더(160)의 하부 벽 상에 돌출되게 배열된다. 잉크 인입관(160d) 으로 개방되어 있는 잉크 통로(160e)는 노즐 유니트(150)이 공통 액체실(150c, 제8도 참조)과 도관 연결된다. 잉크 인입관(160d)의 외주연 상에는 고무 등으로 형성된 탄성 밀봉 링 부재(161)가 고정된다. 또한, 잉크 외입관(160d)의 개방 단부 상에는 이물질이 노즐 유니트(150) 속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터(162)가 설치된다.
기부판(151)측의 홀더(160)의 상단부에는, 확장부(160f)들이 각각 양쪽 코너들에 형성된다. 또한, 그 확장부들 부근에는, 반원형 요홈에 각각 형성된 탱크 돌기 가이드(160g)들이 배열된다. 한편, 기부판(151)의 반대쪽의 홀더(160)이 내벽 상에는 래치 레버 안내 홈(160h)이 형성된다. 이 홈은 잉크 탱크(130, 제10도 및 제11도 참조)가 장착될 때, 래치레버(132a, 제10도 및 제11도 참조)를 위한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또한, 홀더(160)의 하부 벽과 기부판(151)측의 벽이 교차하는 단부에는, 경사면 (160K)이 형성된다.
이제,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상에 장착되는 잉크 탱크(130)에 대해 설명한다. 제16도는 제10도에 도시된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상에 장착된 잉크 탱크(130)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제17도는 제16도의 17-17을 따라 취한 잉크 탱크(130)의 횡단면도이다. 잉크 탱크(130)에는 잉크를 보유하기 위한 용기(132)와, 용기(132)를 밀봉하기 위해 용기(132)를 덮는 (도시되지 않은) 공기 도관 구멍을 갖고 있는 뚜껑 부재(131)가 마련된다.
용기(132)의 하부에는, 홀더(160)의 잉크 인입관(160b)이 삽입되는 잉크 공급구(132b)가 형성된다. 잉크 공급구의 외주에는, 원통형 지지 부재(132c)가 설치된다. 잉크 공급구(132b)는 잉크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홀더(160)가 잉크 탱크(130) 상에 장착되기 전에, (도시되지 않은)밀봉 재료로 밀봉된다.
용기(132)내에는 스폰지 등으로 형성된 잉크 흡수체(133)가 내장된다. 이 잉크 흡수체로 잉크가 흡수되어 그 안에 보유된다. 지지 유니트(132c)에는 한 다발의 단일 방향 직물로 형성된 잉크 공급 부재(135)가 삽입되어 그 안에 지지된다. 잉크 흡수체(133)가 잉크 공급 부재(135)의 상단면과 밀착하여 접촉되어 있다. 잉크 흡수체(133)로 흡수된 잉크는 이러한 잉크 공급 부재(135)를 통해 잉크 공급구(132b)로 인도된다. 잉크 탱크(130) 홀더(160)에 장착될 때, 홀더(160)의 잉크 인입관(160d)이 잉크 공급구(132b) 속으로 삽입되어 그들을 연통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때, 잉크 공급구(132b)의 외주 상의 밀봉 링(161)은 잉크 누설을 막기 위해 잉크 공급구(132b)의 외부 단부와 밀착하게 접촉되어 있다.
또한, 잉크 공급구(132b)와 공기 도관 구멍을 공기 층을 통해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용기(132)와 뚜껑 부재(131)의 내부의 소정 위치들에 리브[134, 제17도에는 뚜껑 부재(131)의 리브(134)만이 도시되어 있음]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잉크 흡수체(133), 용기(132) 및 뚜껑 부재(131) 사이에는 특정 공간들이 형성된다. 동시에, 지지 유니트(132c)의 내부 면의 일부 상에는, 용기(13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가능하게 연결하도록 (도시되지 않은)슬릿이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잉크 탱크(130)의 내부와 외부가 공기 층을 통해 연통가능하게 연결되어, 잉크 공급구(132b)를 밀봉하는 밀봉 재료가 벗겨질 때 잉크가 잉크 공급구(132b)로부터 분출 또는 누설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잉크 탱크(130)내의 잉크는 기록 작동 중에 잉크 탱크(130)의 주위 온도가 상승할 지라도 가압 누출되지 않는다. 또한 잉크가 용기(132)의 내벽(132) 상에 체류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잉크가 잉크 공급구(132b) 및 공기 도관 구멍으로부터 누설될 염려가 없다. 따라서, 잉크 소비 효율 역시 증진된다.
한편, 잉크 탱크(130)의 외부 구조물로서, 잉크 탱크(130)가 홀더(160)에 장착될 때 기부판(151) 측의 홀더(160)의 내벽과 접촉하는 잉크 탱크(130)의 면 상에, 하강 스토퍼 네일(132d)이 네일형 돌기로서 용기(132)와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하강 스토퍼 네일(132d)은, 홀더(160)상에 장착되는 잉크 탱크(130)용 가이드로서 작용하는 동시에, 잉크 탱크(130)가 홀더(160)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잉크 탱크(130)용 지지부로서 작용하도록 홀더(160)상에 형성되는 탱크 하강 스토퍼 구멍(160i, 제15도 참조)에 끼워 맞춤된다. 또한, 하강 스토퍼 네일(132d)이 배치되는 면과 용기(132)의 하부 벽이 교차하는 단부 상에는 경사면(132f)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132f)의 각도와 형상은 홀더(160)의 경사면(160K, 제15도 참조)의 각도 및 크기와 거의 동일하다.
또한, 하강 스토퍼 네일이 배치된 쪽의 반대쪽의 외벽인 다른 단부 면에는, 하단부가 탄성적으로 지지된 래치 레버(132a)가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래치 레버(132a)는 홀더(160)의 래치 레버 안내홈(0160h, 제14도 및 제15도 참조)에 끼워 맞춰지도록 잉크 탱크(130)의 외측 상부를 향해 경사져 있다. 잉크 탱크(130)가 홀더(160)에 장착된 상태에서, 래치 레버는 제17도의 화살표 C 로 지시된 방향으로 구부려지도록 래치 레버 안내홈(160h)에 의해 가압된다. 그러므로, 래치 레버(132a)상에 형성된 래치 네일(132e)이 래치 레버 안내홈(160h)상에 형성된 래치 네일 결합구멍(160j)과 결합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경우, 래치 레버(132a)는 용기(132)와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뚜껑 부재(131)의 상부면 상에는, 뚜껑 부재(131)의 상부 면보다 한 단 낮은 부분을 만들도록 스토퍼 네일(132d)이 배치된 단부 부분에 계단부(131a)가 형성된다. 잉크 탱크(130)가 홀더(160) 상에 장착될 때, 잉크 탱크(130)는 이러한 계단부(131a)가 홀더(160)의 확장부(160f, 제14도 및 제15도 참조)들의 각각의 아래쪽으로 들어가 잉크 탱크를 대략 위치 시키면서 삽입된다. 여기서, 탱크 돌기(131b) 역시 홀더(160)의 탱크 돌기 가이드(160g)에 끼워 맞춰지도록 형성된다.
이제, 홀더(160)에 대한 잉크 탱크(130)의 착탈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잉크 탱크(130)가 홀더(160)상에 장착될 때, 우선 잉크 공급구(132b)를 밀봉하는 밀봉 재료가 벗겨진다. 그 다음에, 제19도에 도시된 것처럼, 잉크 탱크(130)가 하강 스토퍼 네일이 형성된 쪽으로부터 제19도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대각선으로 삽입된다. 잉크 탱크(130)의 계단부(131a)가 확장부(160f)의 각각의 아래쪽으로 들어가는 것과 동시에, 하강 스토퍼 네일(132d)이 홀더(160)의 탱크 하강 스토퍼 구멍(160i, 제15도 참조)으로 후크 결합되어, 잉크 탱크(130)를 일단 위치 결정한다. 또한, 잉크 탱크(130)상에는 경사면 (132f)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잉크 탱크(130)가 홀더(160)속으로 삽입될 때, 이러한 경사면(132f)이 가이드로서 사용된다. 이 경사면이 홀더(160)의 하부 벽에 사실상 평행하게 위치되기 때문에, 잉크 탱크가 삽입되어, 잉크 탱크(130)의 계단부(131a)가 홀더(160)의 확장부(160f)의 각각의 아래쪽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홀더(160)와 잉크 탱크(130)에는 서로 대면하고 있는 경사면(160K, 132F) 들이 마련된다. 결과적으로, 다른 경사도를 갖는 어떤 다른 잉크 탱크(130)들이 장착될 수 없다. 이러한 방식으로, 잉크 탱크의 어떤 잘못된 장착이 방지된다.
이제, 제20도에 도시된 것 처럼, 잉크 탱크(130)는 래치 레버(132A)가 래치 레버 안내홈(160h, 제14도 및 제15도)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가압된다. 그 다음에, 잉크 탱크(130)는 홀더(160)속으로 삽입된 부분을 중심으로 거의 회전하고, 래치 레버(132a)는 래치 레버 안내홈(160h)에 의해 내측으로 구부려지게 가압된다. 따라서, 래치 레버(132a)의 래치 네일(132e)은 홀더(160)의 래치 네일 결합 구멍(160j, 제15도 참조)과 결합한다. 그 다음에 잉크 탱크(130)는 홀더(160)에 고정된다. 또한, 래치 레일(132e)이 래치 레일 결합 구멍(160j)과 결합할 때, 양호한 장착 감촉이 얻어질 수 있도록 클릭(click) 느낌이 발생된다.
잉크 탱크(130)가 홀더(160)로부터 제거될 때, 래치 레버(132a)는 래치 네일(132e)과 래치 네일 결합 구멍(160j)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내측으로 가압된다. 래치 레버(132a)는, 잉크 탱크(130)의 외측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지면서, 그 하단부가 상방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래치 레버는 래치 네일(132e)과 래치 네일 결합 구멍(160j)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때 제17도에 도시된 상태로 자체적으로 복원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래치 레버(132a)의 기부의 경사면이 래치 레버 안내홈(160h)을 따라 활주한 다음, 잉크 탱크(130)가 대각선으로 위치되게 되는 쪽의 래치 레버(132a)상으로 자동적으로 상승된다. 잉크 탱크(130)는 그러한 상승부가 들어 올려질 때 홀더(16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잉크 탱크는 홀더(160)에 착탈되도록 회전되어서, 작은 공간으로도 잉크 탱크의 착탈이 이루어 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장착시에 계단부(131a)는 잉크 탱크(130)의 경사면을 가이드로 사용하면서 홀더(160)의 확대부(160f) 각각의 아래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잉크 탱크(130)의 방향은 홀더(160)내로 삽입될 때 조절된다. 더욱이, 탱크(130) 상의 탱크 돌기(131b)와 홀더(160) 상의 탱크 돌기 가이드(160g)의 설비에 의해, 잉크 탱크(130)의 위치도 홀더(160)내로 삽입될 때 조절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잉크 탱크(130)는 탱크 돌기(131b)를 중심으로 회전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잉크 탱크(130)는 필터(162)와의 어떠한 간섭도 없이 홀더(160)에 장착된다 (제 14도 및 제 15도 참조). 잉크 탱크(130)가 장착될 때 필터(162)가 손상될 가능성은 없다. 또한, 잉크 탱크(130)는 홀더(160)에 착탈되도록 회전되어, 착탈목적을 위해서 단지 작은 공간 만을 사용할 수 있게 하여서, 잉크 제트 기록 장치를 더욱 작게 만들 수 있다.
전술한 예에 따르면, 잉크 탱크(130)를 홀더(160)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래치 레버(132a)쪽의 잉크 탱크(130)의 단부가 래치 레버(132a)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되는 현상을 이용하도록 배열되어 있지만, 이외에도 다른 단부[래치 레버(132a)가 배열된 쪽]에서 잉크 탱크(130)의 바닥벽을 홀더(160)의 구멍으로 편위시키는 수단으로서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팝-업 스프링(168)이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 힘을 이용함으로써, 래치 레버(132a)쪽의 잉크 탱크(130)의 단부는 상승될 수 있다. 팝-업 스프링(168)은 홀더(160)의 중공 섹션의 바닥 벽에 고정된 평면 스프링이며, 노즐 유니트 쪽으로부터 래치 레버 안내 홈(160h)으로 연장된 자유 단부는 상방으로 절곡되어서, 팝-업 스프링(168)의 스프링력이 래치 레버(132a)쪽이 잉크 탱크(130)의 단부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고, 홀더(160)로부터의 돌출 정도도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것은 잉크 탱크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19도 및 제20도와 관련하여,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의 단일체에 잉크 탱크(130)를 착탈하는 것에 관한 절차가 설명되었지만, 카트리지(40)에 장착되어 있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에 잉크 탱크(130)를 착탈할 수도 있다. (제8도 참조).
제22도는 잉크 탱크(130)가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에 장착되고 나서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가 카트리지(40)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22도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잉크 탱크(130)를 착탈하는 작동 유니트로서 기능하는 래치 레버(132a)와, 기록 헤드 카트리지를 착탈하는 작동 유니트로서 기능하는 헤드 착탈 작동 유니트(160c)는 카트리지(40)의 이동 방향에 대해 동일하게 한 쪽에 배열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각각의 작동 유니트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어서, 조작자가 조작성의 향상을 위해 조작을 단일화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설계의 관점에서, 양호하게 배열된 작동 유니트를 제공할 수 있다. 더구나, 조작자가 래치 레버(132a) 및 헤드 착탈 작동 유니트(160c)가 배열된 쪽에서만 유니트를 취급하도록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에 충분하여야 한다. 따라서, 카트리지가 배치되어 있기만 하면, 잉크 탱크(130) 또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를 정위치에 임의로 착탈할 수 있다.
또한, 래치 레버(132a) 및 헤드 착탈 작동 유니트(160c)는 서로에 인접하여 배열되지만, 잉크 탱크(130)의 제거 조작은 래치 레버(132)가 내측으로 가압되는 것 등인 반면에,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의 제거 조작은 헤드 착탈 작동 유니트(160c)가 상방으로 잡아 당겨지는 것이다. 조작 방법에 있어서의 이러한 차이에 의해, 유니트들의 어떠한 잘못된 취급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래치 레버(132a) 및 헤드 착탈 작동 유니트(160c)의 위치들은 다른 높이에 배열된다. 이 또한, 유니트들의 기능 차이를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경우에, 잉크 탱크(130)의 착탈 빈도와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의 착탈 빈도를 비교하면, 잉크 탱크(130)가 보다 자주 착탈된다. 따라서, 취급이 용이한 배열을 위하여, 래치 레버(132a)의 (조작자가 손가락을 걸게 되는) 헤드의 위치가 헤드 착탈 작동 유니트(160c)의 위치보다 높게 된다.
제23도는 제8도 내지 제22도에 도시된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와 상이한 모드를 갖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20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기록 헤드 카트리지(201)는 대형 기록 장치의 사용을 위하여 대량의 잉크를 보유할 수 있다.
제1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기록 헤드 카트리지는 전술한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102)를 사용하는 다른 모드를 갖는 어떠한 잉크 제트 프린터에도 장착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소형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에 관해서는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를 장착할 수 있는 캐리지(40)상의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와 동일한 모드를 장착 가능하게 될 수 있으며, 대형 기록 헤드 카트리지(201)에 관해서는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록 헤드 카트리지(201)와 조합되는 어댑터에 의해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를 기록 헤드 카트리지(201)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를 장착하는 캐리지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10)의 장착 호환성을 언급하기 이전에, 먼저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의 호환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24도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 대신에 제22도에 나타낸 캐리지(40) 상에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10)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기록 헤드 카트리지에 장착되는 잉크 탱크의 잉크 저장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는 캐리지(40)에 끼워 맞춤되도록 형성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기록 헤드 카트리지가 캐리지 내로 삽입될 때 가이드로서 이중 기능을 발휘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10)의 경우에, 기록 헤드 카트리지(201)와 동일한 형태로 되게 할 필요성이 있다.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의 바닥면(기록 시트와 동일 측면이 되는 면)은 기록 헤드 카트리지(201)의 바닥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만들어 진다.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가 캐리지(40)내로 삽입될 때, 위치 결정 안내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귀부(2A, 2B)는 캐리지(40) 벽의 상부 모서리를 따라 나아가게 되어, 삽입 작동이 더욱 쉽게 된다. 삽입시 정확한 위치 결정은 2개의 헤드 위치 결정 돌기(40d, 40e), 위치 결정 구멍(1B) 및 위치 결정 홈(1C)에 의해 기록 헤드 카트리지(101)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10)가 제2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된 상태에 관해서는,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10)를 캐리지(40)와 단단히 연결하여 카트리지(10)를 캐리지(40) 상에 장착하기 위하여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10)는 헤드 가이드(122)의 접촉점으로 가압된다.
이러한 연결에서, 상부 케이스(2)로부터 돌출된 돌기(2F)상에 형성된 리세스 부분(2E, 제4도 참조)은 헤드 가이드(122)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돌기(2F)를 은못(dowel, 3D)에 대해 가압하는 모드가 이루어져서, 리세스(2D)와 은못(3D) 사이의 끼워 맞춤을 보다 강하게 한다. 이때, 하부 케이스(1) 및 상부 케이스(2)의 결합은 더욱 신뢰성 있게 이루어진다.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10)가 캐리지(40)로부터 제거된 때, 처마부(2G)가 상방으로 잡아당겨진다. 그러나, 돌기(2F)는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10)가 캐리지(40)로부터 제거될 때까지 헤드 가이드(122)에 의해 가압되므로, 하부 케이스(1) 및 상부 케이스(2)가 여전히 결합된 조건에서 제거가 수행된다. 이어서, 이는 작동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이제, 제25A도 및 제25B도를 참조하여, 기록 헤드 카트리지(201)와 동일한 형태를 제공하기 위한 어댑터의 구조 및 그 설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25A도 및 제25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2)는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10)로부터 제거되어 하부 케이스(2)만이 사용된다.
어댑터(225)의 (도시되지 않은)힌지 유니트는 제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의 회전(제2도 참조)을 위하여 구멍(1S)내로 끼워 맞춤되고, 제3도에 도시된 은못(3D)은 힌지 유니트의 반대쪽의 모서리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에서 (도시되지 않은) 리세스 내로 끼워 맞춤되며, 이때, 제23도에 도시된 기록 헤드 카트리지(201)와 동일한 형태가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부 및 하부 케이스는 제2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226)를 나타내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하부 케이스(1) 및 어댑터(225)의 결합 모드가 하부 케이스(1) 및 상부 케이스(2)를 함께 끼워 맞춤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드로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 모드가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를 프린터 상에 장착할 때 어떠한 방해도 일으키지 않는다면, 어떠한 다른 결합 모드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어댑터 방법의 적용에 의해,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는 상이한 형태를 제공하도록 배열될 수 있어서, 전체적으로 신규한 헤드 카트리지를 준비하는 것을 불필요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당한 비용 절감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기본 유니트가 몇 종류의 프린터의 사용을 위해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가 캐리지 상에 장착될 때,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를 간단한 장착 작동으로 원활하게 장착할 수 있고,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되어 장착될 수 있는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를 장착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이한 잉크 헤드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상이한 형태를 갖는 캐리지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는 기본 유니트에 의해서, 이러한 캐리지들에서도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서, 상당한 비용 절감을 효과적으로 성취할 수 있다.
Claims (15)
- 기록 매체상에 기록하기 위한 정보처리 장치의 잉크 헤드 카트리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캐리지 상의 잉크 헤드 카트리지와 교환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는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에 있어서, 판독에 필요한 광학 부품을 내장한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개방면을 덮기 위해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상부 케이스와, 상기 캐리지 내로의 삽입시 위치 결정을 위해 상부 케이스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는 안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
- 제1항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개방 면의 일측면에 근접하여 상부 케이스와 경합되고, 결합 수단은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결합되는 측면에 대향하는 측면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
- 제2항에 있어서, 결합수단은 상기 상부 케이스의 모서리부로부터 돌출하는 제1 결합 부재와 상기 제1 결합 부재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 케이스 상에 설치된 제 2 결합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캐리지 상에 장착될 때 캐리지의 유지 수단이 상기 제 1 결합 부재를 상기 제2 결합 부재 쪽으로 가압시키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 내에 내장된 상기 광학 부품을 구성하는 광원은 조명광이 원고를 대각선 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조사 중심이 상기 원고의 높이의 기준 위치보다 더 깊은 깊이 방향의 위치를 조사할 수 있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다수의 LED에 의해 형성되고, 동시에 그 온도를 안정화 시키기 위해 상기 LED를 장착한 기판의 이면에 냉각판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
- 제5항에 있어서, 판독 전에 예비 가열을 위해 일정 시간 동안 저전류가 흐르고, 소정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판독 후에 저전류가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
-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기 위한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기 위한 잉크 헤드 카트리지와 교환 가능하게 장착된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를 상기 기록 매체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캐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에는, 판독에 필요한 광학 부품을 내장한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개방 면을 덮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상부 케이스와 상기 캐리지 내로의 삽입시 위치 결정을 위한 상기 상부 케이스 내의 상부면 상에 설치된 안내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개방 면의 일측면 에 근접하여 상부 케이스와 결합되고, 결합 수단은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결합되는 측면에 대향하는 측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결합수단은 상기 상부 케이스의 모서리부로부터 돌출하는 제1 결합 부재와 상기 제1 결합 부재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 케이스 상에 설치된 제 2 결합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캐리지 상에 장착될 때 캐리지의 유지 수단이 상기 제 1 결합 부재를 상기 제2 결합 부재 쪽으로 가압시키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 내에 내장된 상기 광학 부품을 구성하는 광원은 조명관이 원고를 대각선 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조사 중심이 상기 원고의 높이의 기준 위치보다 더 깊은 깊이 방향의 위치를 조사할 수 있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다수의 LED에 의해 형성되고, 동시에 그 온도를 안정화 시키기 위해 상기 LED를 장착한 기판의 이면에 냉각판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판독 전에 예비 가열을 위해 일정 시간 동안 저전류가 흐르고, 소정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판독 후에 저전류가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헤드 카트리지에는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기 위해 잉크 토출구로부터 잉크를 토출하는 잉크 제트 헤드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헤드 카트리지에는 전기열 변환 소자를 마련하고, 동시에 상기 전기열 변환 소자에 의해 발생된 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잉크 토출구로부터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상기 기록 매체 위에 기록하기 위한 잉크 제트 헤드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헤드 카트리지에는 압전 소자를 마련하고, 동시에 상기 압전 소자에 의해 발생된 기계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잉크 토출구로부터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상기 기록 매체 위에 기록하기 위한 잉크 제트 헤드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3672695 | 1995-09-14 | ||
JP95-236726 | 1995-09-1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16856A KR970016856A (ko) | 1997-04-28 |
KR100191040B1 true KR100191040B1 (ko) | 1999-06-15 |
Family
ID=17004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39622A KR100191040B1 (ko) | 1995-09-14 | 1996-09-13 |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와 이러한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를장착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5936740A (ko) |
EP (1) | EP0763432B1 (ko) |
KR (1) | KR100191040B1 (ko) |
CN (1) | CN1071472C (ko) |
DE (1) | DE69627594T2 (ko) |
HK (1) | HK101164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69634884T2 (de) * | 1995-04-11 | 2006-04-27 | Canon K.K. | Tintenstrahlaufzeichnungsgerät mit einem Bildlesekopf |
JPH09284471A (ja) * | 1996-04-18 | 1997-10-31 | Canon Inc | スキャナヘッドカートリッジとその使用方法、該スキャナヘッド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情報処理装置 |
US6426803B1 (en) | 1997-03-27 | 2002-07-30 | Canon Kabushiki Kaisha | Reading/printing apparatus and reading apparatus |
FR2761844B1 (fr) * | 1997-04-02 | 1999-06-04 | Sagem | Analyseur d'image amovible d'un appareil de bureau et support de reception de l'analyseur |
JP3483444B2 (ja) | 1997-12-19 | 2004-01-06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リント装置、プリントシステムおよびプリント方法 |
EP0999060B1 (en) * | 1998-10-27 | 2005-04-20 | Canon Kabushiki Kaisha | Head holder, head assembly, head cartridge, ink jet record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ead assembly |
JP2001067304A (ja) * | 1999-08-24 | 2001-03-16 | Canon Inc | 多機能装置および該装置における装着されたデバイスの識別方法 |
DE60031213T2 (de) | 1999-09-03 | 2007-08-23 | Canon K.K. | Flüssigkeitsdruckkopf, Drucker, und Verfahren zum positionieren des Flüssigkeitsdruckkopfs im Drucker |
US6419342B1 (en) * | 1999-11-19 | 2002-07-16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Multi-function monitoring module for a printer |
US6488369B1 (en) | 2000-01-31 | 2002-12-03 | Hewlett-Packard Company | Ink container configured to establish reliable electrical and fluidic connections to a receiving station |
US6431697B1 (en) * | 2000-01-31 | 2002-08-13 | Hewlett-Packard Company | Replaceable ink container having a separately attachable latch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container |
US6742872B2 (en) * | 2000-03-31 | 2004-06-01 | Canon Kabushiki Kaisha |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tank mounted on such ink jet recording apparatus |
JP3697137B2 (ja) | 2000-03-31 | 2005-09-21 | キヤノン株式会社 | 液体噴射記録装置、液体噴射ヘッドユニットおよびその搭載方法 |
JP3667193B2 (ja) * | 2000-04-12 | 2005-07-06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スキャナヘッド及び画像処理装置 |
US6481829B1 (en) | 2001-09-18 | 2002-11-19 | Lexmark International, Inc. | Manually actuated carrier latch mechanism |
CN2592386Y (zh) * | 2001-12-10 | 2003-12-17 | 兄弟工业株式会社 | 喷墨打印机 |
JP4006244B2 (ja) * | 2002-02-28 | 2007-11-14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JP4777189B2 (ja) * | 2006-08-23 | 2011-09-21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KR101110389B1 (ko) * | 2007-08-01 | 2012-02-24 |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 백라이팅을 가지는 이차원 접촉 이미지 센서 |
JP6241355B2 (ja) * | 2014-04-07 | 2017-12-06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液体供給ユニット用の保護部材 |
JP6506415B2 (ja) * | 2015-12-25 | 2019-04-24 | 株式会社Pfu | 画像読取装置 |
JP6758972B2 (ja) | 2016-07-20 | 2020-09-23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25748A (en) * | 1982-07-30 | 1985-06-25 | Carbone Anthony K |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and digitizing optical images |
JPS5999862A (ja) * | 1983-06-29 | 1984-06-08 | Canon Inc | 記録装置 |
JPS6048383A (ja) * | 1983-08-26 | 1985-03-16 | Ricoh Co Ltd | Ledアレイヘツド |
JPS60204342A (ja) * | 1984-03-30 | 1985-10-15 | Canon Inc | インクジエツト記録装置 |
US4896166A (en) * | 1988-03-30 | 1990-01-23 | Dataproducts Corporation | Replaceable thermal print head assembly |
JP2845916B2 (ja) * | 1989-01-13 | 1999-01-13 | キヤノン株式会社 | 液体収納容器,液体噴射記録ヘッドおよび液体吐出記録装置 |
JP3222454B2 (ja) * | 1990-02-02 | 2001-10-29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インクタンクカートリッジ |
EP0715959B1 (en) * | 1991-12-11 | 1999-06-30 | Canon Kabushiki Kaisha | Ink jet cartridge and ink tank |
DE69421486T2 (de) * | 1993-08-27 | 2000-02-10 | Hewlett-Packard Co., Palo Alto | Elektronische Verbindung für Tintenstrahldruckkopf |
US5532825A (en) * | 1993-08-30 | 1996-07-02 | Hewlett-Packard Company | Add-on scanner for existing ink jet printer |
EP0641115B1 (en) * | 1993-08-30 | 1999-03-24 | Hewlett-Packard Company | Image scanning head for a thermal ink-jet printer |
US5638100A (en) * | 1994-07-29 | 1997-06-10 | Canon Kabushiki Kaisha | Ink jet and ink preliminary ejecting method |
EP1203668B1 (en) * | 1994-08-24 | 2008-10-22 | Canon Kabushiki Kaisha | Ink container for ink jet printer, holder for the container carriage for the holder and ink jet printer |
-
1996
- 1996-09-13 DE DE69627594T patent/DE69627594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6-09-13 CN CN96114425A patent/CN1071472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6-09-13 EP EP96306682A patent/EP0763432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6-09-13 KR KR1019960039622A patent/KR10019104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
- 1997-10-27 US US08/958,741 patent/US5936740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
- 1998-12-02 HK HK98112709A patent/HK1011648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16856A (ko) | 1997-04-28 |
EP0763432A3 (en) | 1998-04-01 |
DE69627594T2 (de) | 2004-01-08 |
HK1011648A1 (en) | 1999-07-16 |
DE69627594D1 (de) | 2003-05-28 |
EP0763432A2 (en) | 1997-03-19 |
CN1151580A (zh) | 1997-06-11 |
EP0763432B1 (en) | 2003-04-23 |
CN1071472C (zh) | 2001-09-19 |
US5936740A (en) | 1999-08-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191040B1 (ko) |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와 이러한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를장착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 |
US5861897A (en) | Inkjet recording apparatus with a memory device disposed substantially within boundaries if a recording head unit | |
RU2410770C2 (ru) | Чернильный картридж для подачи чернил в запис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 |
KR100453425B1 (ko) | 교체가능한잉크저장용기와그삽입방법 | |
US6705715B2 (en) | Liquid container, cartridge including liquid container, printing apparatus using cartridge and liquid-discharge printing apparatus | |
EP0822084B1 (en) | An ink jet recording head, an ink jet head cartridge, and a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 |
US6536868B1 (en) | Liquid ejection type print head, printing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liquid ejection type print head | |
US7040737B2 (en) | Ink jet recording device | |
JP2002307711A (ja) | 液体収納容器および記録装置 | |
US6460986B2 (en) | Head unit for an ink jet printer | |
US6531695B2 (en) | Scanner cartri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 |
US20050088504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3441892B2 (ja) | スキャナヘッドカートリッジ、該スキャナヘッドカートリッジを装着可能な情報処理装置 | |
JP2698638B2 (ja) | インクタンク一体型記録ヘッドカートリッジ、該カートリッジを搭載するキャリッジおよびこれらを用いる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
US7156513B2 (en) | Ink cartridge component | |
US7396110B2 (en) | Ink container and mounting method of the ink container | |
US6913351B2 (en) | Liquid jet recording head and recording apparatus | |
JPH0538814A (ja) | 記録ヘツドユニツト、記録ヘツドカートリツジ、これらを搭載することが可能な記録装置、および記録ヘツドの製造方法 | |
JPH06305162A (ja)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インク残量検知装置 | |
US20190084311A1 (en) | Liquid Supply Unit | |
US20090185184A1 (en) | Alignment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liquid jet head, an alignmen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liquid jet head unit | |
JP2002283554A (ja) | 記録装置 | |
JP2001113699A (ja) |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およびプリンタ | |
JP2001277548A (ja) | 画像入出力装置 | |
CN112874167A (zh) | 容器以及印刷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1224 Year of fee payment: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