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2083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2083A
KR20030022083A KR1020020053992A KR20020053992A KR20030022083A KR 20030022083 A KR20030022083 A KR 20030022083A KR 1020020053992 A KR1020020053992 A KR 1020020053992A KR 20020053992 A KR20020053992 A KR 20020053992A KR 20030022083 A KR20030022083 A KR 20030022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image forming
document
imag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8825B1 (ko
Inventor
스즈끼도시마사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2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2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8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2Means for discharging uncollated sheet copy material, e.g. discharging rollers, exit t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25Providing a more compact apparatus, e.g. sheet discharge tray in c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25Providing a more compact apparatus, e.g. sheet discharge tray in cover
    • H04N1/00535Providing a more compact apparatus, e.g. sheet discharge tray in cover using rotatably mounted or foldabl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88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to the scann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1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from the scann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02Feed 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62Removing sheets from a stack or inputting media
    • H04N1/00623Selectively inputting media from one of a plurality of input sources, e.g. input t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631Ejecting or stacking
    • H04N1/00633Ejecting or stacking selectively to one of a plurality of output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3Forming a pile of a limited number of articles, e.g. buffering, forming bu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4Forming a pile of articles on edge
    • B65H2301/42146Forming a pile of articles on edge by introducing articles from abov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17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 G03G2215/00206Original medium
    • G03G2215/00316Electronic image supplied to th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22Media holders, covers, supports, backgrounds; Arrangements to facilitate placing of the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부와, 시트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판독부의 상에 제공된 시트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판독부는 원고를 반송하는 원고 반송부와, 원고 반송부에 대해 상향으로 개폐 가능하고 원고를 가압하는 원고 가압부로서의 원고 트레이부와, 배출 트레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설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고, 원고 장착 조작성이 좋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시인성 및 배출 시트의 추출 조작성을 손상하는 일없이 장치의 공간 절약화를 실현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복사기나 팩시밀리 장치와 같은 원고 화상 판독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장치의 상부에 화상 판독부가 배치되고, 그 하방에 화상 형성부가 구비되며, 화상 형성부에 의해 화상 형성된 기록 시트는 장치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배출되어 적층되는 형태의 장치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근년에는, 공간 절약을 목적으로 하여, 첨부된 도면의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판독부(101)와 화상 형성부(102) 사이에 공간(103)을 설치하여 이 공간(103)에 기록 시트를 배출 적재하는 장치가 있다.
화상 판독부(101)에서는, 그 상부에 배치된 자동 원고 이송 장치(이하 "ADF", 109)에서 공급된 원고를 노광 및 주사함으로써 화상 정보가 광전 변환 소자에 취해지고 데이터 처리가 수행된다.
그 데이터에 기초하여, 레이저 스캐너(104)는 감광 드럼(105) 상을 스캔하여 잠상 형성을 수행한다. 잠상에 따라서 감광 드럼(105) 상에 현상된 토너상은 공급 카세트(106)에서 공급된 시트 상에 전사되어, 정착기(107)를 통과하여 시트 상에 정착된 후, 배출 롤러(108)에 의해 상기 배출 공간(103)에 배출 및 적재된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화상이 기록되는 시트에 펀칭 처리나 스테이플 처리 등의 후처리를 하는 경우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의 측부에 시트 처리 장치(110)를 연결하여, 이 시트 처리 장치(110)에 시트를 공급하여 스테이플 처리 등을 수행한다.
그러나, 장치의 측부에 시트 처리 장치(110)를 연결하면, 넓은 설치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이 공간을 작게 하고자 하면,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거나 시트의 추출 조작성이 나쁘게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전술된 관점에 비추어 행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배출 시트의 시인성이나 추출 조작성을 손상하는 일없이 장치의 공간 절약화를 실현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2는 시트 후처리를 수행하지 않은 경우의 시트 후처리부의 단면도이다.
도3은 시트 후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의 시트 후처리부의 단면도이다.
도4는 정렬 수단의 도면이다.
도5는 중간 처리 트레이를 상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6은 중간 처리 트레이를 상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7a 및 7b는 ADF의 원고 가압부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8a 및 8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본체를 좌측면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9a 및 9b는 두꺼운 원고를 판독하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10은 배출 트레이가 사용된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판독부의 다른 이동 형태의 구성도이다.
도1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도면이다.
도13은 장치 본체 측부에 연결된 시트 처리 장치의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 화상 판독부
2 : 화상 형성부
3 : 배출 비임부
4a : 주사 광학계
4c : 원고 반송부
6 : 광원
7 : 미러
8 : 렌즈
9 : 광전 변환 소자
11 : 시트 카세트
12 : 공급 롤러
13 : 반송 롤러
14 : 감광 드럼
21 : 배출 롤러
22 : 배출부
23 : 배출 트레이
28 : 선회식 가동 가이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표적인 구성은,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부와, 상기 화상 판독부의 하방에 배치되어 시트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판독부의 상측에 설치된 시트 배출부를 갖고, 상기 화상 판독부는 원고를 반송하는 원고 반송부와, 상기 원고 반송부에 대하여 상향으로 개폐 가능하고 원고를 가압하는 원고 가압부를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화상 판독부의 상측에 시트 배출부와 원고 반송부를 고정한 채로 원고 가압부를 개폐 가능하게 되어, 경량인 원고 가압부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단면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
이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판독 수단인 화상 판독부(1)와 화상 형성 수단인 화상 형성부(2)를 갖고, 화상 형성부(2)의 상측에 화상 판독부(1)가 배치된다. 양자간의 장치 하우징에는 화상 형성부(2)에 의해 화상이 기록된 시트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공간부(3)가 형성되어, 소위 기내 배출형(in-body delivery type)의 화상 형성 장치로 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부(2)의 상측에는 화상이 형성된 시트에 대하여 펀칭 또는 스테이플 등의 처리를 행하는 시트 처리 장치가 설치된다.
(화상 판독부)
본 실시예의 화상 판독부(1)는 원고를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주사 광학계(4a)의 위에 장착되는 ADF(4b)를 갖고, ADF(4b)에서 플래튼 유리판(5) 상에 보내어진 원고 또는 ADF(4b)를 선회식으로 회전 이동하여 플래튼 유리판(5) 상에 놓여진 원고를 주사 광학계(4a)에 의해서 노광 및 주사함으로써 원고를 판독한다. 즉, 화상 판독부(1)는 플래튼 유리판(5) 상의 원고에 대하여 광원(6)을 주사하면서 광 조사하여, 그 반사광을 미러(7) 및 렌즈(8)를 통해 광전 변환 소자(9)에 집광하여, 전기적인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디지털 신호가 장치의 화상 형성부(2)에 전송되면 복사기로서 기능을 하며, 디지털 신호가 다른 기계의 화상 형성부에 전송되면 팩시밀리 장치 등으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화상 판독부(1)가 반드시 ADF(4b)를 장착할 필요는 없다. 즉, 주사광학계(4a)의 플래튼 유리판(5) 상에 놓여진 원고를 가압하는 원고 가압 부재를 구비한 것일 수 있다.
(화상 형성부)
화상 형성부(2)는 공급 롤러(12) 및 반송 롤러(13)에 의해서 전자사진 방식으로 화상 형성부(13)의 아래에 배치된 시트 공급부(10) 내에 저장된 시트 카세트(11)에서 반송된 시트 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도록 작동한다. 즉, 도1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 드럼(14)의 표면은 대전 롤러(15)에 의해서 균일하게 대전되고, 이 감광 드럼(14)은 전술한 화상 판독부(1) 혹은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부터 전송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스캐너(16)에 의해 선택적으로 노광됨으로써 잠상을 형성한다. 이 잠상은 현상기(17)로 토너 현상되어 가시 화상으로 현상되고, 그 토너상은 전사 롤러(18)에의 바이어스 전압 인가에 의해서 반송된 시트에 전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토너상이 전사된 시트는, 그대로 상측에 위치하는 정착기(19)로 반송되어, 여기서 열 및 압력이 인가되어 상부에 토너가 정착된 후 시트는 소정의 배출부로 배출된다.
즉, 정착기(19)를 통과한 시트는, 제1 전환 플래퍼(20)가 지점(20a)을 중심으로 선회식으로 이동함으로써 화살표(a) 또는 화살표(b) 방향으로 선택되어 반송된다(도1은 화살표(b) 방향이 선택된 상태를 도시함).
또, 화살표(a) 또는 화살표(b) 로 표시된 반송 방향의 선택은, 조작자에 의해 미리 배출부가 선택됨으로써 결정되는 것이며, 배출부의 선택은 각 작업마다 장치의 조작부 또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수행될 수도 있지만, 작업의 종류나 내용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 빈도가 적은 팩시밀리 출력의 경우에 시트는 항상 배출 롤러(21)로부터 배출 공간부(3)로 배출되고, 반송 방향은 화살표(a) 방향으로 설정된다. 한편, 분류가 필요한 복사나 프린터 작업의 경우에는 화상 판독부(1)의 상측에 위치하는 배출부(22)에 제공된 복수개의 배출 트레이(23)가 선택되어 화살표(b) 방향으로 설정된다.
또한, 복사 작업의 경우라도 분류가 불필요한 1부 복사의 경우에는 출력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배출 공간부(3)를 배출 종점으로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시트 처리 장치}
도2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 펀칭 처리나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기 위한 시트 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시트 처리 장치는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대략 수직인 적재면을 갖는 중간 처리 트레이(31)에 반송하여, 여기서 정렬하여 시트 적층물로 하고, 스테이플 처리한 후에 트레이(31) 상측의 배출부로 배출한다. 도2는 시트 후처리를 행하지 않은 경우의 시트 후처리부의 단면도이며, 도3은 중간 처리를 행하는 경우의 시트 후처리부의 단면도이다.
(반송 수단)
제1 전환 플래퍼(20)에 의해 도1의 화살표(b)의 방향으로 반송된 시트는 후처리의 유무에 의해 제2 전환 플래퍼(24)로 반송 방향이 전환된다.
즉, 철하기 또는 펀칭과 같은 시트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은 작업의 경우에는, 제2 전환 플래퍼(24)는 지점(25)을 중심으로 도2에서 도시된 위치로 선회식으로 이동된다. 이때, 시트 적층물 배출 롤러(26a)는 지점(27)에 대해 선회식으로 운동 가능한 선회식 가동 가이드(28)에 지지되고, 도2에 도시된 위치로 선회식으로 이동된다.
시트는 제1 반송 롤러 쌍(29) 및 제2 반송 롤러 쌍(30)에 의해 대략 수직 상측에 위치한 시트 적층물 배출 롤러 쌍(26a, 26b)에 반송되어, 화상 형성부(2)의 대략 수직 상측에 위치하는 배출 트레이(23) 상에 배출 적재된다.
다음에, 시트 처리를 필요로 하는 작업의 경우에, 제2 전환 플래퍼(24)는 지점(25)을 중심으로 도3의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선회식으로 이동되고, 시트(P)는 중간 처리 트레이(31) 방향으로 반송된다. 이때, 시트 적층물 배출 롤러(26a)를 지지하는 선회식 가동 가이드(28)는 지점(27)을 중심으로 선회식으로 이동하여 시트 적층물 배출 롤러(26b)로부터 분리 이격되고, 중간 처리 트레이(31)로의 시트 반송시 그리고 후처리시 도3에 도시된 위치로 후퇴된다.
이와 같이 시트 적층물 배출 롤러(26a)가 후퇴됨으로써, 후처리시에 시트 선단이 시트 적층물 배출 롤러(26b)를 넘는 것과 같은 큰 사이즈의 시트라도 중간 처리 트레이(31)에서의 후처리 동작이 가능해진다.
그 후, 시트(P)의 후단이 제1 반송 롤러 쌍(29) 사이를 지나갈 때, 제2 전환 플래퍼(24)가 도3의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전환됨으로써, 시트(P)의 후단이 중간 처리 트레이(31) 방향으로 지향된다. 이때, 제1 반송 롤러 쌍(29)은 시트(P)의 후단을 타격하기에 충분한 회전 속도로 설정된다.
(시트 후처리부)
중간 처리 트레이(31)에 반송된 시트(P)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수직 상태로 유지되고 정렬되며, 화살표(e, f)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해 제공된 스테이플 유닛(60)에 의해 스테이플 처리(시트 제본 처리)가 수행되는 하단부를 갖는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중간 처리 트레이(31)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가 적재될 때마다, 장치의 내부/전방 방향으로 시트 폭을 정렬하는 정렬 수단이 제공된다. 도4는 시트의 단면 방향(시트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수직 방향에서 도시한 정렬 수단의 도면이다.
정렬 수단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단면 방향으로 전방(도1의 전방)을 정렬하는 전방 정렬판(32a) 및 내부측(도1의 내부측)을 정렬하는 후방 정렬판(32b)으로 구성된다. 전방 정렬판(32a) 및 후방 정렬판(32b)은, 각각 폭 정렬 래크(33a, 33b)와 도4의 수직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전방 정렬판(32a)과 후방 정렬판(32b) 각각에 일체로 제공된 시트 적층물 배출 래크(34a, 34b)에 의해 도4의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설계되고, 시트 적층물 배출 모터(35a, 35b)가 폭 정렬 래크(33a, 33b) 상에 각각 제공된다.
폭 정렬 래크(33a, 33b)는 중간 처리 트레이(31)의 시트 단면 방향으로의 왕복 이동을 위해 장착되고, 폭 정렬 모터(36a, 36b)에 의해 시트 단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전방 정렬판(32a)과 후방 정렬판(32b)의 하단부(도4에 도시된 우측 단부) 상에는 후처리시의 기준이 되는 맞댐 기준벽(37)이 제공된다. 다르게는, 맞댐 기준벽(37)은 그 일부를 중간 처리 트레이(31)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중간 처리 트레이(31)에 반송되어 정렬 수단에 의해서 시트 절단 방향으로 정렬된 시트 적층물에 대하여, 스테이플 처리하는 스테이플 유닛(60)이 설치되고, 이 스테이플 유닛(60)은 스테이플시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수단에 의해 도4의 화살표(f, e) 방향으로 이동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며, 시트 적층물의 반송 경로를 차단하지 않도록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중간 처리 트레이(31)에 반송된 시트(P)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신의 중량에 의해서 중간 처리 트레이의 하단에 위치하는 맞댐 기준벽(37)에 접합되고 그 위에 적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맞댐 기준벽(37)이 전방 정렬판(32a)과 후방 정렬판(32b)의 하단부 상에 제공되며, 시트가 중간 처리 트레이(31)로 반송될 때 전방 정렬판(32a)과 후방 정렬판(32b) 사이의 간격은 반송되는 시트 폭보다도 넓게 그리고 자신의 중량에 의해서 중간 처리 트레이(31)에 낙하한 시트의 하단부를 맞댐 기준벽(37)으로 지지할 수 있는 대기 위치에 대기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맞댐 기준벽(37)의 단부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대어진 시트(P)가 어긋나서 떨어지지 않도록 상향으로 굴곡되며, 특히 단면은 U자형이 되도록 형성된다.
시트의 하단부가 중간 처리 트레이(31)로 낙하되어 맞댐 기준벽(37)에 맞대어질 때, 폭 정렬 모터(36a, 36b)가 구동되고, 이러한 구동은 폭 정렬 래크(33a, 33b)에 전달되고, 전방 정렬판(32a)과 후방 정렬판(32b)은 시트 단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시트 단면 방향으로의 정렬을 수행한다. 정렬이 종료되면, 전방정렬판(32a)과 후방 정렬판(32b)은 대기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배출되는 시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1매씩 정렬되어, 중간 처리 트레이(31)에 소정의 매수가 적재되어 다발로 된다.
예컨대 조작부는 스테이플 유닛(60)이 스테이플 처리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면, 정렬된 시트 적층물은 스테이플 유닛(60)에 의해 시트 적층물로 구동된 스테이플에 의해 스테이플된다. 이러한 스테이플 등의 후처리가 종료하면,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정렬판(32a)과 후방 정렬판(32b)은 시트 적층물 배출 래크(34a, 34b)의 구동에 의해 끌어 올려지고, 후처리 이후의 시트 묶음(P')은 정렬판(32a, 32b)과 일체로 형성된 기준벽(37)에 의해 적어도 선단이 시트 적층물 배출 롤러 쌍(26a, 26b)에 도달할 때까지 반송된다.
시트 적층물(P')의 선단이 시트 적층물 배출 롤러(26b)를 지날 때, 선회식 가동 가이드(28)는 도5의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위치에 가압되어, 시트 적층물 배출 롤러 쌍(26a, 26b)에 의해 시트 적층물(P')이 배출 트레이(23)에 배출된다.
그 후, 전방 정렬판(32a)과 후방 정렬판(32b)은 다발 배출 모터(35a, 35b)가 역회전함으로써 하향으로 이동하여 (도시되지 않은) 위치 센서에 의해서 소정 위치까지 하강한 것이 검출되면, 다발 배출 모터(35a, 35b)가 구동을 정지하여 다음 작업의 후처리를 위해 준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 후처리로서 스테이플 유닛에 의해 스테이플 처리가 수행되는 예가 도시되지만, 시트 후처리는 스테이플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펀칭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펀칭 처리(시트에 구멍을 내는 처리)를수행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시트 배출부)
또한, 본 실시예에서 화상 판독부(1) 상에 제공된 복수개의 배출 트레이(23)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스듬히 기립한 상태로 측방향(시트 배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 방향)에 배열되어, 구동원(61)에 의해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하는 나선홈을 갖는 리드캠(38)과 배출 트레이(23)의 후방 측을 지지하는 후방 측판(39)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39a)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각각의 배출 트레이(23)의 전단부 및 후단부의 하부에는 리드캠(38)의 홈과 결합하는 롤러(40)가 설치되고, 리드캠(38)의 회전에 의해 배출 트레이(23)는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시되지 않는) 위치 검출 센서에 의해 트레이 위치를 검출하여, 트레이는 소정 위치에서 정지되어, 한 쌍의 시트 적층물 배출 롤러(26a, 26b)에 의해서 시트 혹은 시트 묶음이 소정의 배출 트레이(23)로 배출된다.
분류 모드의 경우에 시트 배출과 함께 각 배출 트레이(23)가 순차적으로 이동함으로써 복수의 배출 트레이(23)로 분류된 시트로 상기 배출이 달성된다. 한편, 비분류 모드의 경우는 도1에 도시한 최우측의 배출 트레이(23)가 배출되는 시트를 수용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트레이로 시트가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배출 트레이가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배출된 시트는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된 시트는, 배출 트레이(23)에 의해지지되어 비스듬히 기립 상태로 되며, 시트 사이즈가 큰 경우에도 횡방향의 배출 공간을 필요로 한다.
{화상 판독부의 개폐}
본 실시예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화상 판독부(1)의 상측에 배출 트레이(23)를 배치하여, 전체 화상 판독부를 상향으로 개방하려 하면, 이는 배출 트레이(23)에 대해 타격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판독부의 개폐 구성을 이하와 같이 설계된다.
(원고 가압부의 개폐)
본 실시예에서 주사 광학계(4a) 상에 배치된 원고 가압부로서 기능을 하는 ADF(4b)는 시트 통과 유형에 의해 원고를 읽을 수도 있다. 즉, 도1에서, 원고 트레이부(62) 상에 설치된 시트 원고는 픽업 롤러(63a), 반송 롤러(63b), 원고 가압 롤러(63c) 등의 롤러 및 원고 가이드로 구성된 원고 반송부(63)로 하나씩 U 턴으로 반송되어 배출 트레이부(64)로 배출된다. U 턴 반송에 앞서서, 주사 광학계(4a)의 광원(6) 및 주사 미러(7)는 원고 가압 롤러(63c)의 대향 위치로 이동되고, 광은 반송된 원고에 인가되어 원고를 판독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원고 반송부(63)는 장치 본체에 고정되고, 그 상부에는 상부 배출부(22)가 위치된다. 한편, 원고 트레이부(62) 및 배출 트레이부(64)는 원고 반송부(63)와 분할되어 있고, 그 상부에 시트 배출부(22)가 위치되지는 않는다. 원고 트레이부(62)와 배출 트레이부(64)는, 도7a 및 도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힌지부(42)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에 대해 일체로 회전 이동하여, 주사 광학계(4a)에 대하여 상측으로 개방 가능하다.
따라서, 책의 원고 등이 판독되는 경우에, 주사 광학계(4a)를 고정한 채로 원고 트레이부(62) 및 배출 트레이부(64)를 개방할 수 있고, 책의 원고는 플래튼 유리판(5) 상에 설치되어 판독될 수 있다. 이때, 원고 트레이부(62) 및 배출 트레이부(64)는 원고 가압 접촉부로서 작용한다.
개폐 가능한 원고 가압부는 트레이(원고 트레이부(62), 배출 트레이부(64))만으로 형성되어 경량이며, 힌지 등의 구성이 단순하고 조작성도 우수한 이점을 갖는다.
(주사 광학계의 개폐)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8a 및 도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 광학계(4a)를 배출 공간부(3)로 이동(도1의 화살표(d)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8a 및 도8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본체를 좌측면에서 본 측면 도면이다.
도8a 및 도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하우징(41)에 고정된 ADF(4b)를 갖고 주사 광학계(4a)를 구비한 화상 판독부(1)는 주사 광학계(4a)가 회전 힌지부(42)를 지점으로 하여 ADF(4b)에 대해 선회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정상 상태에서, 인장 스프링(43)에 의해 도8a에 도시된 위치로 당겨지고 그에 고정된다.
조작자가 화상 판독부(1)의 플래튼 유리판(5) 원고를 위치시켜 화상 판독을 행할 때, 조작자가 장치의 전방 상의 주사 광학계(4a) 상에 마련된 손잡이(44)를하향 가압하면, 회전 힌지부(42)를 중심으로 하여 주사 광학계(4a)의 부분은 배출 공간(3)의 영역으로 회전 이동되고 플래튼 유리판(5)은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원고는 장치 전방 상의 플래튼 유리(5) 상에 형성된 맞댐 기준부(5a)와의 정렬이 설정된다.
조작자가 손잡이(44)를 잡은 채로 주사 광학계(4a)를 복귀시킬 때, 주사 광학계(4a)는 인장 스프링(43)의 인장력에 의해, 도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ADF(4b)에 대해 가압되고, 이 상태로 주사 및 판독이 행해진다.
인장 스프링(43)은 장치 본체에 고정된 원고 반송부(63)와 주사 광학계(4a) 사이에서 구속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원고 트레이부(62) 및 배출 트레이부(64)가 상측으로 개방될 때 인장 스프링(43)의 인장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또한, 회전 힌지부(42)는 장치 하우징(41)에 형성된 종방향으로 긴 슬릿(45)의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고 압축 스프링(46)에 의해 종방향으로 긴 슬릿(45)의 상부 모서리측으로 편의된다. 따라서, 도9a 및 도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책의 원고(G)는 플래튼 유리판(5) 상에 설치되고, 화상 판독부(1)의 회전 힌지부(42)에 마련된 압축 스프링(46)이 수축하여 두꺼운 원고는 평행하게 플래튼 유리판에 대해 가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화상 판독부(1)는 배출 공간부(3)의 영역에 이동 가능하게 되어 화상 판독부(1)의 상부에 배치된 배출 트레이(23)를 이동시키는 일없이 원고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배출 트레이(23)로 배출된 시트의 시인성이나 추출 조작성을 손상하는 일없이 장치의 공간 절약이 가능하다.
전체 플래튼 유리판(5)에 걸쳐 연장하는 원고가 설치될 때, 도8a 및 도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ADF(4b)가 고정되고 주사 광학계(4a)가 배출 공간부(3)측으로 개방된 채로 원고를 설치하고, 원고 반송부(63)로 연장하지 않는 정도의 크기의 원고가 설치될 때, 도7a 및 도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 광학계(43)를 고정하고 원고 가압부인 원고 트레이부(62) 및 원고 반송부(63)를 상향으로 개방하여 원고를 설치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시트 후처리부 상에 배치된 배출부(22)에 복수의 배출 트레이(23)가 마련된 예를 도시하고 있는 한편,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22)에는 1개의 배출 트레이(23)가 마련된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도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형적인 도면이며, 제1 실시예와 동일 기능을 가지는 부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부(22)에 배출되는 시트의 양에 따라서 배출 트레이(23)가 이동되고 배출된 시트는 기립한 상태로 유지된다.
제3 실시예
도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형적인 도면이며, 시트 처리 장치가 배출 공간부(3)에 배치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다른 점에서, 본 실시예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제1 실시예에서와 기능적으로 유사한 부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정착기(19)를 통하여 본체 배출 롤러(21) 사이를 통과한 시트는 시트 후처리부(56)의 스테이플러에 의한 제본과 같이 후처리된 후, 배출 롤러(57)에 의해 화상 판독부(1)의 위에 배치된 배출 트레이(23)에 배출 및 적재된다.
시트 후처리부(56)는, 전술된 제1 실시예와 같이, 배출 롤러(21)에 의해 시트 후처리부(56)로 연속하여 반송되는 시트를 정렬 수단에 의해 그의 교차 방향으로 정렬하여 시트 묶음으로 만들고, 이것을 스테이플 유닛에 의해서 제본 처리하고, 그 후 시트 묶음은 (도시되지 않은) 그리퍼에 의해 잡혀서 반송되고, 배출 롤러(57)에 의해서 상측으로 반송되고 배출 트레이(23)로 배출된다.
더욱이, 화상 판독부(1)는 장치 본체에 대하여 이러한 측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 ADF(4b)를 개방하여 화상 판독부(1)에 의해 판독을 행하는 경우에 화상 판독부(1)가 이러한 측으로 당겨진 채 작동이 수행된다.
본 실시예로서는, 시트 후처리부(56)는 배출 공간부(3)에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고 시트가 대략 수평으로 처리될 수 있어서, 큰 용량의 스테이플, 2개소의 제본, 천공 등을 위한 다양한 시트 처리 장치의 설치가 가능해진다.
상기 구성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화상 판독부의 상측에 시트 배출부와 원고 반송부를 고정한 채로 원고 가압부를 개폐 가능하게 되어, 경량인 원고 가압부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Claims (7)

  1.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부와,
    상기 화상 판독부의 하방에 배치되어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판독부의 상측에 제공된 시트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판독부는 상향으로 개폐 가능한 원고 가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가압부는 자동 원고 이송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가압부는 자동 원고 이송 장치를 구비하며, 상향으로 개폐 가능한 원고 가압 접촉부와, 장치 본체에 고정된 원고 반송부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가압부는 원고 반송시의 원고 트레이로서도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반송부의 상측에 상기 시트 배출부가 위치하며,상기 원고 가압부 상측 부분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배출부는 측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배출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판독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 사이의 장치 하우징 내에 제공된 시트 배출 공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2-0053992A 2001-09-07 2002-09-07 화상 형성 장치 KR1004888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72177A JP3679741B2 (ja) 2001-09-07 2001-09-07 画像形成装置
JPJP-P-2001-00272177 2001-09-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083A true KR20030022083A (ko) 2003-03-15
KR100488825B1 KR100488825B1 (ko) 2005-05-12

Family

ID=19097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992A KR100488825B1 (ko) 2001-09-07 2002-09-07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31903B2 (ko)
EP (1) EP1296196B1 (ko)
JP (1) JP3679741B2 (ko)
KR (1) KR100488825B1 (ko)
CN (1) CN1203444C (ko)
DE (1) DE6022147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9899B2 (ja) 2002-05-14 2008-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
JP2004126103A (ja) * 2002-10-01 2004-04-22 Canon Inc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298542B2 (ja) * 2004-02-20 2009-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
JP2005309014A (ja) * 2004-04-20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311627A (ja) * 2004-04-20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KR100635269B1 (ko) * 2004-10-01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4684731B2 (ja) * 2005-04-26 2011-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618309B2 (ja) * 2008-03-14 2011-01-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061044B2 (ja) * 2008-06-25 2012-10-3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855141B2 (ja) 2013-01-31 2016-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65280B2 (ja) * 2015-03-31 2019-08-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7057019A (ja) 2015-09-14 2017-03-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194610A (ja) * 2016-04-21 2017-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7195553A (ja) * 2016-04-21 2017-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2085562A (ja) 2020-11-27 2022-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6757A (ja) 1983-03-08 1984-10-06 Kyocera Corp 複写機
JPS59176759A (ja) 1983-03-08 1984-10-06 Kyocera Corp 複写機
JPS62275933A (ja) * 1986-05-20 1987-11-30 Pfu Ltd 画像入力装置
KR950008423Y1 (ko) * 1990-02-17 1995-10-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사기의 원고 고정장치
US5648808A (en) 1991-06-10 1997-07-15 Canon Kabushiki Kaisha Automatic sheet feeding apparatus
JP2925368B2 (ja) 1991-07-25 1999-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872452B2 (ja) 1991-07-30 1999-03-17 キヤノン株式会社 自動給紙装置及び記録装置
JPH05134503A (ja) * 1991-11-14 1993-05-2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5338904A (ja) * 1992-06-12 1993-12-21 Tokyo Electric Co Ltd 画像形成装置
ATE208279T1 (de) 1992-07-31 2001-11-15 Canon Kk Blattfördervorrichtung
JP3197960B2 (ja) 1992-09-30 2001-08-13 キヤノン株式会社 自動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256010B2 (ja) 1992-12-22 2002-02-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119754B2 (ja) 1992-12-24 2000-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3231451B2 (ja) * 1993-02-24 2001-11-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ファクシミリ装置
JP3273338B2 (ja) 1993-03-23 2002-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039744B2 (ja) 1993-11-19 2000-05-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098369B2 (ja) 1993-12-15 2000-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記録装置
JP3065886B2 (ja) 1994-04-28 2000-07-17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JP3501503B2 (ja) 1994-07-25 2004-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シート後処理装置
JPH09114261A (ja) 1995-10-13 1997-05-02 Canon Inc カラー画像形成装置
KR0173894B1 (ko) * 1995-12-26 1999-04-01 우석형 자동원고반송장치 및 제어방법
JPH09230653A (ja) * 1996-02-20 1997-09-05 Canon Inc 記録装置
JPH09288393A (ja) * 1996-04-22 1997-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読取り等複合装置
JPH09304986A (ja) 1996-05-13 1997-1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読取り等複合装置
JP4181653B2 (ja) 1997-02-28 2008-11-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11109767A (ja) 1997-08-04 1999-04-2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890141B2 (ja) 1998-04-28 2007-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497639B2 (ja) 1999-04-06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US6304742B1 (en) * 2000-02-24 2001-10-16 Xerox Corporation Printer with superposed trays for print output and document handling
JP3548494B2 (ja) * 2000-04-18 2004-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21477T2 (de) 2008-04-17
DE60221477D1 (de) 2007-09-13
KR100488825B1 (ko) 2005-05-12
JP3679741B2 (ja) 2005-08-03
CN1203444C (zh) 2005-05-25
CN1404008A (zh) 2003-03-19
EP1296196A3 (en) 2003-04-02
US6731903B2 (en) 2004-05-04
EP1296196A2 (en) 2003-03-26
US20030049060A1 (en) 2003-03-13
EP1296196B1 (en) 2007-08-01
JP2003087495A (ja) 200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0078B1 (ko) 시트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488825B1 (ko) 화상 형성 장치
JP3202568B2 (ja) シート集積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548494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491287B1 (ko) 시트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408951B1 (ko) 화상 형성 장치
JP3061552B2 (ja) シ−ト後処理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7197273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9022535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409537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3081513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404698B2 (ja) シート後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US6290221B1 (en) Sheet stacking/convey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heet stacking/conveying unit
JP3644536B2 (ja) 整合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673575B2 (ja) シート集積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559780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189882B1 (en) Imaging forming apparatus
JP3247826B2 (ja) シ−ト後処理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10310316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3332710B2 (ja) シート集積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47243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3081512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610126B2 (ja)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3087462A (ja) 画像形成装置
JP4809303B2 (ja) 用紙中折り装置および用紙後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