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8951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8951B1
KR100408951B1 KR10-2002-0019868A KR20020019868A KR100408951B1 KR 100408951 B1 KR100408951 B1 KR 100408951B1 KR 20020019868 A KR20020019868 A KR 20020019868A KR 100408951 B1 KR100408951 B1 KR 100408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image forming
image
discharge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9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0271A (ko
Inventor
사또아끼히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0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0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2Means for discharging uncollated sheet copy material, e.g. discharging rollers, exit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85/00Recirculating articles, i.e. feeding each article to, and delivering it from, the same machine work-station more than o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3Oscillating, pivoting around an axis parallel to face of material, e.g. diverting means
    • B65H2404/632Wedge member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반전 패스를 새로 구비하지 않고 페이지 순서를 변경시키지 않으면서 시트를 배출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화상 형성부에 의해 시트에 화상이 형성되어 배출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장치는 본체부와,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본체부의 일 측방에 구비된 제1 배출부로 상기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제1 배출 유닛과, 상기 본체부의 타 측방에 구비된 제2 배출부로 상기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제2 배출 유닛과, 상기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상기 제1 배출 유닛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1 시트 이송로와, 상기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상기 제2 배출 유닛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2 시트 이송로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시트를 상기 제2 배출부로 배출하는 경우, 상기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상기 제1 시트 이송로로 이송시키고, 그 후 상기 제1 배출 유닛을 반전시켜 시트를 제2 시트 이송로로 이송시키는 배지방향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상 형성된 시트(sheet)를 배지(discharging)하기 위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또는 프린터 등과 같은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화상 형성된 시트를 배지부(sheet discharging portion)로 배출한다. 화상 형성된 시트를 시트의 표면과 이면을 바꾸어 배출하는 경우에는, 시트를 시트 반전 패스(sheet reversing path)에 의해 반전시켜 배출한다. 또한, 이 시트 반전 패스는 양면 인쇄를 하는 경우에도 사용된다.
도15는 이러한 시트 반전 패스를 가지는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화상이 형성된 시트는 배출 롤러(161)에 의해 화살표(K) 방향으로 배출된다. 시트를 반전시켜 배출하는 경우에는, 플래퍼(162)를 전환하여 표면(제1 면)에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반전 패스(167)로 이송한다. 그 후, 반전 롤러(165)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플래퍼(162)는 원 위치로 복귀한다.
시트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전면(제1 면)에 화상이 형성된 시트(S1)는 플래퍼(162)를 전환함으로써 이송 롤러대(166)를 거쳐 반전 패스(167)로 이송된다. 그 후, 시트의 후단(trailing edge)이 반전 패스(167)에 구비된 플래퍼(164)를 통과하면, 반전 롤러(165)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플래퍼(164)가 전환됨에 따라, 시트는 중간 트레이(168)로 공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시트 반전 패스(167)는 시트 배출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16은 시트 반전 패스를 가지는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처리된 시트를 장치 본체의 측방이 아닌 장치 본체의 내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타입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급지 카세트(21) 또는 옵션으로 구비된 옵션 급지 카세트(103)에 수납된 시트가 급지부(2)에 의해 화상 형성부(1)로 이송되어 토너 화상(toner image)이 전자사진(electrophotographic) 프로세스수단(150)에 의해 전사된다. 그 후, 정착 장치(151)에 의해 토너 화상이 정착되고, 시트는 배지부(4)로 이송된다.
도17은 배지부(4)의 구성을 나타난다. 도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이 화상 형성 장치는 두 개의 배지 트레이(41, 42)를 구비하고 있다. 토너 화상이 정착된 시트는 제1 배지 롤러(51)에 의해 제1 배지 트레이(41)로, 또는 제2 배지 롤러(52)에 의해 제1 배지 트레이(41) 상에 위치한 제2 배지 트레이(42)로 배출된다.
이 화상 형성 장치는 양면 인쇄가 가능하다. 양면 인쇄를 하는 경우, 정착 장치(151)를 통과한 시트의 일부는 일시적으로 종 패스 롤러(57) 및 제1 배지 롤러(51)에 의해 제1 배지 트레이(41)로 배출된다. 그 후, 시트의 후단이 제1 플래퍼(58)를 통과한 경우, 종 패스 롤러(57) 및 제1 배지 롤러(51)는 시트를 양면 경로(152)로 이송하기 위해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에서, 시트 반전 패스는 시트 이송로로서 동일하다. 또한, 시트 반전 패스는 시트가 배출된 화살표(A)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이다.
본 도면에서 나타난 화상 형성 장치는 복사기 및 팩시밀리 기기 모두에 작용한다는 것을 주의하라. 이것은 판독한 원래의 화상 정보(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화상을 형성하는 이른바 디지털 다기능 프린터(digital multifunction printer)이다.
이러한 다기능 프린터의 경우에서는, 제1 및 제2 배지 트레이(41, 42)로 배출되는 시트는 오히려 시인성(visibility)이 부족하다. 또한, 예를 들어 팩시밀리 기기에 의해 이송된 시트는 분리 적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18에서나타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3 배지 트레이(43)가 장치 본체의 외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시트는 제3 배지 롤러(53)에 의해 상기 제3 배지 트레이(43)로 배출된다.
이리하여, 제3 배지 트레이(43)가 구비되는 경우, 토너 화상이 정착된 시트는 종 패스 롤러(54, 57) 및 제3 배지 롤러(53)에 의해 제3 배지 트레이로 배출되고, 전환면(transfer side)은 상부를 향하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시트를 제3 배지 트레이(43)로 배출하는 경우, 시트는 전환면이 상부를 향한 채 배출되어서, 종 패스 롤러(54)까지 이송된 시트가 제3 배지 롤러를 향하도록 이송된 경우, 페이지 순서가 반전된다.
페이지 순서가 반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전 패스를 새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장치 크기를 증가시킨다. 또한, 반전 롤러 등은 반전 패스 내에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되고 구성이 더욱 복잡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관점에서 만들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 반전 패스를 새로 구비하지 않고 페이지 순서를 변경시키지 않으면서 시트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화상 형성부에 의해 시트에 화상이 형성되어 배출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와,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본체부의 일 측방에 구비된 제1 배출부로 상기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제1 배출 수단과, 상기 본체부의 타 측방에 구비된 제2 배출부로 상기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제2 배출 수단과, 상기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상기 제1 배출 수단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1 시트 이송로와, 상기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상기 제2 배출 수단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2 시트 이송로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시트를 상기 제2 배출부로 배출하는 경우에, 상기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상기 제1 시트 이송로로 이송시키고, 그 후 상기 제1 배출 수단을 반전시켜 시트를 제2 시트 이송로로 이송시키는 배지방향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배지방향 제어수단은 상기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상기 제1 시트 이송로로 이송하기 위한 제1 위치 및 상기 시트를 제1 시트 이송로로 이송한 후 반전되도록 구성된 상기 제1 배출 수단에 의해 이송된 시트를 상기 제2 시트 이송로로 이송하기 위한 제2 위치로 변위될 수 있는 이송로 변환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이송로 변환수단은 바이어싱(biasing) 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 보유되고, 시트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1 위치로 변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제1 배출부는 본체부의 일 측방에 구비된 복수의 배출부 중에서 미리 설정된 배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장치 본체에 측방이 개방된 배지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배지 공간에 상기 복수의 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제2 배출부는 상기 배지 공간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장치 본체의 외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제2 배출부는 시트를 후처리하기 위한 후처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지방향 제어수단은 본체부와, 본체부의 일 측방에 구비된 제1 배출부에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배출하기 위해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이 가능한 제1 배출 수단과, 본체부의 타 측방에 구비된 제2 배출부에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제2 배출 수단과,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제1 배출 수단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1 시트 이송로와,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제2 배출 수단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2 시트 이송로를 포함한다. 또한, 제2 배출부로 시트를 배출하는 경우,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제1 시트 이송로로 이송한 후, 제1 배출 수단을 역전시켜 제2 시트 이송로로 이송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사시도.
도2는 타 방향에서 본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
도3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4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옵션 배지 유닛의 단면도.
도5는 상기 옵션 배지 유닛의 사시도.
도6은 상기 옵션 배지 유닛을 장치 본체에 장착한 경우의 배지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7은 상기 옵션 배지 유닛에 구비된 본체 종 패스 롤러의 구동이 개시된 경우의 상태도.
도8은 상기 옵션 배지 유닛이 시트를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된 제2 배지 트레이로 배출하는 방식을 도시한 제1도.
도9는 상기 옵션 배지 유닛이 시트를 제2 배지 트레이로 배출하는 방식을 도시한 제2도.
도10은 상기 옵션 배지 유닛이 시트를 제3 배지 트레이로 배출하는 방식을 도시한 제1도.
도11은 상기 옵션 배지 유닛이 시트를 제3 배지 트레이로 배출하는 방식을도시한 제2도.
도12는 상기 옵션 배지 유닛이 시트를 제3 배지 트레이로 배출하는 방식을 도시한 제3도.
도13은 상기 옵션 배지 유닛이 시트를 제3 배지 트레이로 배출하는 방식을 도시한 제4도.
도14는 본 발명의 타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도.
도15는 시트 반전 패스를 가지는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의 예시도.
도16은 시트 반전 패스를 가지는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의 타 예시도.
도17은 상기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의 배지부의 구성도.
도18은 상기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의 배지부의 타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상 형성부
2 : 급지부
3 : 스캐너부
4 : 배지 공간
41 : 제1 배지 트레이
42 : 제2 배지 트레이
43 : 제3 배지 트레이
44 : 옵션 배지 유닛
45 : 옵션 배지 패스
46 : 시트 배출 패스
48 : 후처리 장치
51 : 제1 배지 롤러
52 : 제2 배지 롤러
53 : 제3 배지 롤러
54 : 종 패스 롤러
55 : 제1 플래퍼
56 : 제2 플래퍼
100 : 화상 형성 장치
101 : 장치 본체
102 : 자동 원고 급송장치(ADF)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타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3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난 개략도이다.
도1 내지 도3에 있어서, 참조 번호 100은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데, 장치 본체(101)와, 장치 본체(101)의 하부에 옵션으로 장착된 옵션 급지 카세트(103)와, 장치 본체(101)의 상면에 장착된 압판(104) 또는 장치 본체(101)의 상면에 옵션으로 장착된 자동원고 급송장치(이하 ADF라 한다)(102)를 구비하고 있다. 도1 및 도2에서는 장치 본체(101)의 상면에 압판(104)이 구비되고, 도3에서는 장치 본체(101)의 상면에 ADF(10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100)는 복사기 및 팩시밀리 기기 양자로 사용되고 판독된 원고의 화상 정보(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을 형성하도록 하는, 이른바 디지털 다기능 프린터로 구성된다.
장치 본체(101)의 실질적인 중앙부에는 감광 드럼(1a)을 가지는 화상 형성부(1), 전환 롤러(1b) 등이 구비되어 있다. 화상 형성부(1) 하방에는 급지부(2), 최상부에는 화상 판독부인 스캐너부(3)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장치 본체(101)에서는, 디지털 장치라는 점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부(1) 및 스캐너부(3)가 각각 분리되어 있다. 이들 사이 부분은 측방이 개방된 배지공간(4)으로서 사용됨에 따라, 모든 날개를 제거하고 상기 장치 측면에 돌출부가 없는 공간 절약형 화상 형성 장치를 실현시키고 있다.
화상 형성부(1)는 주지의 전자사진 프린트 엔진으로 형성되고, 전자 사진 프로세스 수단(150), 정착 장치(151), (도시되지 않은) 레이저 기록 장치 등을 내장하고 있다.
화상 형성부는 감광 드럼에서 토너 화상이 시트로 전사되는 전자사진 방식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잉크가 시트 상으로 배출되는 잉크 젯 방식일 수도 있다.
급지부(2)는 2단의 급지 카세트(1)를 가지고 있고, 이 급지 카세트(21) 또는옵션 급지 카세트(103)에 수납된 시트를 픽업 롤러(21a)에 의해 화상 형성부(1)로 공급한다. 급지 카세트(21, 103)는 시트 공급을 위해 장치의 전면으로 인출되는 프론트 로딩 타입이고, 각각은 카세트 전면의 중앙부에 인출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스캐너부(3)의 상면에 (도시하지 않은) 콘택트 글래스(contact glass)가 배치되고, 그 하방에 (도시하지 않은) 스캐너 유닛이 배치되어 있다.
배지공간(4)은 정면 및 우측면을 제외한 두 측면에 벽을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 도3에서의 좌측 및 장치 후방에 벽면을 가지고 있고, 스캐너부(3) 및 화상 형성부(1)에 의해 상하가 둘러 쌓여 있다. 또한, 배지 공간(4)은 화상 형성부(1)의 상면에 구비된 제1 배지 트레이(41)와, 배지공간(4)의 중앙부에 구비된 제2 배지 트레이(42)(제1 배출부 또는 제1 위치부)를 구비하고 있다.
ADF(102)는 장치 후방에 구비된 (도시하지 않은) 힌지에 의해 장치 본체(101)의 상부에 장착되고, 스캐너부(3)의 상면의 콘택트 글래스를 노출 및 커버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ADF(102)의 구성 및 작용은 종래 주지된 것과 동일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원고 트레이(71) 상에 (도시되지 않은) 원고 다발이 위치되는 경우, 상기 원고는 1매씩, 최하부의 것부터 콘택트 글래스 상으로 이송된다. 그 후, 스캐너부(3)에 의한 판독 스캐닝이 완료되면, 원고는 원고 배출 트레이(72) 상으로 배출된다.
자동 급지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복사를 하거나 또는 책이나 노트의 페이지를 복사하는 경우에는, ADF(102)를 압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옵션인 ADF(102)가 없는 경우에는, 콘택트 글래스에 대해 원고를 누르는 압판(104)이 도1 및 도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장착된다.
참조 부호 43은 배지 공간(4)에 대향하도록 장치 본체(101)의 좌측 외면에 구비된, 제2 위치부에 있는 제2 배출부, 또는 제3 배지 트레이를 나타내고, 참조 부호 44는 배지 공간(4)의 측벽을 형성하는 옵션 배지 유닛을 나타낸다. 상기 옵션 배지 유닛(44)은, 예를 들어 복사, 인쇄, 팩스 통신을 함에 있어서 분류(sorting out)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유닛이다. 분류가 필요한 경우에는, 장치 본체(101)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하여, 이러한 옵션 배지 유닛(44)을 구비하고, 예를 들어 제3 배지 트레이(43)에 팩시밀리 시트를 적재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적재되는 총 적재 매수를 증가시키고 시트를 분류하여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배지방향 제어수단인 옵션 배지 유닛 내에는, 본체부(44A)와, 제1 배출 수단 또는 이송 회전 부재인 제2 배지 롤러(52), 제2 배출 수단인 제3 배지 롤러(53), 종 패스 롤러(54)의 3 개의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종 패스 롤러(54)와, 제2 배지 롤러(52) 및 제3 배지 롤러(53)은 각기 별도의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이 옵션 배지 유닛(44)은 제1 플래퍼(55) 및 이송로 변환수단 또는 안내 부재인 제2 플래퍼(56)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플래퍼(55)는 도5에 나타난 솔레노이드(57)에 의해 화살표(G)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제2 플래퍼(56)은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화살표(H)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시트에 의해 압상(raised)될 경우,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화살표(F)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이 옵션 배지 유닛 내에는 시트를 본체부(44A)의 일 측방에 구비된 제1 배출부인 제2 배지 트레이(42)로 배출하기 위한 제1 시트 이송로 또는 제1 이송 패스인 시트 배출 패스(46)가 구비된다. 시트를 제2 배지 트레이(42)로 배출하는 경우, 상기 시트 배출 패스(46)을 거쳐 제2 배지 롤러(52)에 의해 제2 배지 트레이(42) 상으로 배출된다.
또한, 본체부(44A)의 타 측방에 구비된 제3 배지 트레이(43)를 장착하는 경우, 상기 옵션 배지 유닛(44)은 시트를 제3 배지 트레이(43)에 배출하기 위한 제2 시트 이송로 또는 제2 이송 패스인 옵션 배출 패스(45)를 구비한다. 화상 형성부(1)에서 기록을 수행한 시트를 제3 배지 트레이(43)로 배출하는 경우, 상기 옵션 배출 패스(45)를 거쳐 제3 배지 트레이(43) 상으로 배출된다.
시트 배출 패스(46) 및 옵션 배출 패스(45)는 시트와 접촉하여 안내하는 가이드(46a, 46b, 46c, 46d, 45a, 45b 등)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3 배지 트레이(43)로 유도하는 반전 패스인 옵션 배출 패스(45)는 시트가 제2 배지 트레이(42)로 배출되는 방향(D)에 대하여 약 180˚ 반대방향이며 수평방향이다.
도6은 옵션 배지 유닛(44)을 장치 본체(101)에 장착한 경우의 배지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화살표(C) 방향으로부터 이송된 시트는, 통상적으로 실선에 의해표시된 위치에 있는 제1 플래퍼(55)에 의해 형성된 제1 이송로(47)을 통과하고 제1 배지 롤러(51)에 의해 화살표(I) 방향으로 배출되어 배지 트레이(41) 상으로 적재된다.
분류하기 위하여 시트를, 예를 들어 제2 배지 트레이(42) 상으로 배출하는 경우에는, 제1 플래퍼(55)를 파선으로 나타난 위치로 회동시킴에 따라, 화살표(C) 방향으로 이송된 시트는 제1 플래퍼(55)를 통과하고 종 패스 롤러(54)를 지나 시트의 강성에 의해 제2 플래퍼(56)를 압상시키면서, 상기 제2 플래퍼(56)를 시트 배출 패스(46)로 시트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파선으로 나타난 제1 위치로 변위시키는 동안 시트 배출 패스(46)로 이송된다. 그 후, 시트는 화살표로 나타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배지 롤러(52)에 의해 화살표(D) 방향으로 배출되고 제2 배지 트레이(42) 상으로 적재된다.
분류하기 위하여 제3 배지 트레이(43) 상으로 시트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시트는 우선 제2 배지 트레이(42) 상으로 시트를 배출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종 패스 롤러(54)를 지나고, 제2 플래퍼(56)를 압상시키면서 시트 배출 패스(46)로 이송된다.
다음으로, 시트 배출 패스(46) 상에 구비된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해 시트 선단부를 감지하여, 시트 사이즈에 따라 산출된 시트 선단 감지로 인한 경과 시간에 의해 시트 후단부가 제2 플래퍼(56)를 지나는 것을 감지하면, 제2 배지 롤러(52)는 역전을 개시함과 동시에 제3 배지 롤러(53)에는 구동이 전달된다. 또한, 시트 후단부가 제2 플래퍼(56)를 지나면, 제2 플래퍼(56)는 스프링에 의해 시트를 옵션 배출 패스(45)로 향하는 실선으로 나타난 제2 위치로 변위(복귀회동)한다. 이에 의해, 시트는 제2 플래퍼(56)을 거쳐 옵션 배출 패스(45)로 이송된 후, 화살표(E) 방향으로 배출되고, 제3 배지 트레이(43) 상에 적재된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의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있어서의 복사 작동 및 배지부에서의 실제적인 시트 이동을, ADF(102)를 압판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3에 있어서, 스캐너부(3)의 상면의 (도시되지 않은) 콘택트 글래스 상에 원고를 위치시켜 ADF(102)를 닫는다. 그 후, 조작부(60; 도2 참조)에 의해 복사 매수 등을 지정하여 스타트 버튼을 누른다. 이에 의해, 스캐너 유닛에 의한 원고의 판독이 개시되고, 판독된 원고의 화상 정보는 광전 변환에 의해 디지털화되고 화상 처리된다.
그 후, 이 처리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화상 형성부(1)의 레이저 기록 장치가 구동되어, 감광 드럼 상으로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형성된다. 그 후, 상기 잠상은 토너 화상으로 현상되어 급지부(2)에 의해 급송된 급지 카세트(21) 또는 급지 테이블(103)의 시트에 전사된다. 또한, 시트 상으로 전사된 토너 화상은 정착 장치(151)에 의해 정착되어 배지부(4)로 이송된다.
배지 트레이(41) 상으로 시트를 적재하는 경우는, 정착 장치(151)로 시트가 이송된 후,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시간 후에 본체 종 패스 롤러(57)의 구동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화살표(C) 방향으로 이송된 시트는 실선으로 나타난 위치에 있는 제1 플래퍼(55)에 의해 형성된 제1 이송로(47)을 통과하고 제1 배지 롤러(51)로 배출되어, 배지 트레이(41) 상으로 적재된다.
분류하기 위해 제2 배지 트레이(42) 상으로 시트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우선 제1 플래퍼(55)를 구동시켜, 도8에 나타난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이송된 시트(S1)는 제1 플래퍼(55)를 통과하고 종 패스 롤러(54)로 향한다.
그 후, 도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 패스 롤러(54)를 지난 후, 시트(S1)의 강성에 의해 제2 플래퍼(56)를 압상시키면서 시트 배출 패스(46)로 이송되어, 그 후 화살표에 나타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배지 롤러(52)에 의해 배출되어, 제2 배지 트레이(42) 상으로 적재된다.
한편, 분류하기 위해 제3 배지 트레이(42) 상으로 시트(S1)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 패스 롤러(54)를 지난 후, 시트(S1)의 강성에 의해 제2 플래퍼(56)를 압상시키면서 시트 배출 패스(46)로 이송함과 동시에, 시트(S1)의 후단부가 정착 장치(151)를 지나면, 소정 시간 후에 시트(S1)의 이송 속도를 2.5 배로 증속하여, 이와 동시에 제2 배지 롤러(52)의 구동을 개시한다.
결국, 도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트(S1)은 화살표로 나타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배지 롤러(52)에 의해 일부가 화살표(D) 방향으로 배출된다. 또한, 이러한 시트(S1)의 이송 속도를 2.5 배로 증속함에 따라, 반전시킨 시트(S1)와, 다음으로 이송되는 시트(S2)가 간섭하는 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그 후, 제2 배지 롤러(52)에 의해 이송된 시트(S1)의 후단부가 제2 플래퍼(56)를 지나면, 제2 플래퍼(56)는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도1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원래의 대기 위치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시트 배출 패스(46) 상에 구비된 (도시되지 않은) 포토 센서에 의해 시트(S1)의 후단 감지로 인하여 경과된 시간을 시트(S1)의 사이즈에 따라 산출하여, 그 산출치로 시트(S1)의 후단이 반전 포인트(59)에 도달한 것을 판단하면, 제2 배지 롤러(52)의 구동이 정지되어, 소정 시간 후에 제2 배지 롤러(52)가 역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한다.
이와 동시에, 도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3 배지 롤러(53)의 구동이 개시되어, 시트(S1)은 옵션 배출 패스(45)로 이송된다. 이 때 제2 배지 롤러(52) 및 제3 배지 롤러(53)의 이송 속도는 2.5 배로 증속된 속도이다.
그 후, 제2 배지 롤러(52) 및 제3 배지 롤러(53)의 회전에 의해 시트(S1)는 화살표(E) 방향으로 이송되어, 도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3 배지 트레이(43) 상으로 페이스다운(facedown) 상태로 적재된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시트는 페이지 순서대로 순차 제3 배지 트레이(43) 상으로 적재된다.
이리하여, 옵션 배지 유닛(44)에 의해, 제3 배지 트레이(43)로 시트를 배출할 때에는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시트 배출 패스(46)로 향하게 하여, 제2 배지 롤러(52)를 역전시켜 옵션 배출 패스(45)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페이지 순서가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시트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요컨대, 이러한 시트를 시트 배출 패스(46)로 향하게 한 후, 제2 배지 롤러(52)를 역전시켜 옵션 배출 패스(45)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다시 말하면 시트 배출 경로(46)를 시트 반전 패스로서도 사용함으로써 새로이 시트 반전 패스를 구비하지 않고, 페이지 순서가 변경되지 않는 상태로 시트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설명에서 분류하기 위한 제3 배지 트레이(43)은 제2 배출부로서 장치 본체(101)에 구비되는지만, 이에 제한되어 구성되지는 않는다. 제3 배지 트레이(43)의 대신에, 예를 들어 도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상 형성된 시트들을 철처리하는 것과 같은 후처리를 행하는 후처리 장치(48)를 제2 배출부로서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트를 배지방향 제어 수단에 의해 제2 배출 수단으로 배출하는 경우, 화상이 형성된 시트는 제1 시트 이송로로 이송되고 그후 제1 배출 수단은 반전되어 시트를 제2 시트 이송로로 이송됨에 따라, 시트 반전 패스를 새로 구비하지 않고 또는 페이지 순서를 변경시키지 않으면서 시트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8)

  1. 화상 형성부에 의해 시트에 화상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가 배출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본체부와,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본체부의 일 측방에 구비된 제1 배출부로 상기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제1 배출 수단과,
    상기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상기 본체부의 타 측방에 구비된 제2 배출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제2 배출 수단과,
    상기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상기 제1 배출 수단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1 시트 이송로와,
    상기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상기 제2 배출 수단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2 시트 이송로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를 상기 제2 배출부로 배출하는 경우에, 상기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상기 제1 시트 이송로로 이송시키고, 그 후 상기 제1 배출 수단을 반전시켜 시트를 상기 제2 시트 이송로로 이송시키는 배지방향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방향 제어 수단은 상기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상기 제1 시트 이송로로 이송하기 위한 제1 위치 및 상기 시트를 제1 시트 이송로로이송한 후 반전되도록 구성된 상기 제1 배출 수단에 의해 이송된 시트를 상기 제2 시트 이송로로 이송하기 위한 제2 위치로 변위될 수 있는 이송로 변환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 변환수단은 바이어싱 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 보유되고 상기 시트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상기 제1 위치로 변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 측방에 구비된 복수의 배출부 중에서 설정된 배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본체부는 측방이 개방된 배지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배출부는 상기 배지 공간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출부는 상기 배지 공간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장치 본체의 외측면 상에 탈착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출부는 시트를 후처리하기 위한 후처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시트가 위치되는 제1 위치부 및 제2 위치부와,
    상기 화상 형성면이 하방으로 향한 상태로,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상기 제1 위치부로 안내하는 제1 이송로와,
    상기 제1 이송로에서 시트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회전 부재와,
    상기 제1 이송로에서, 상기 이송 회전 부재를 반전시킴으로써 상기 이송 회전 부재에 의해 상기 화상 형성면이 하방으로 향한 상태로 상기 제1 위치부의 방향으로 이송되는 시트를 전향시키고, 상기 화상 형성면이 하방으로 향한 상태로 상기 제2 위치부로 전향된 시트를 안내하는 제2 이송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를 상기 이송 회전 부재를 향해 상기 제1 이송로로 안내하고 상기 이송 회전 부재를 반전시킴으로써 전향된 시트를 상기 제2 이송로로 안내하는 안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부는 상기 화상 형성부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 상에 구비되고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도록 구성된 화상 판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부는 상기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판독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부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해 측방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부로 진입하는 시트와 상기 제2 위치부로 진입하는 시트는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시트가 위치되는 제1 위치부 및 제2 위치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상기 제1 위치부로 안내하기 위한 제1 이송로와,
    상기 제1 이송로로부터 분기하고 시트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시트를 다시 상기 화상 형성부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양면 이송로와,
    상기 제1 이송로에서 시트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회전 부재와,
    상기 제1 이송로에서, 상기 이송 회전 부재를 반전시킴으로써 상기 이송 회전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부의 방향으로 이송되는 시트를 전향시키고 상기 제2 위치부로 전향된 시트를 안내하는 제2 이송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회전 부재의 상류측에서 상기 제1 이송로에 배치되고 시트를 이송하도록 구성된 이송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시트는 상기 이송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이송로로 진입하는 시트를 전향시킴으로써 상기 양면 이송로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부는 상기 화상 형성부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부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해 측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위치부로 진입하는 시트와 상기 제2 위치부로 진입하는 시트는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 상에 배치되고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도록 구성된 화상 판독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판독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시트가 위치되는 제1 위치부와,
    장치 본체에 대해 측방에 배치되고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시트가 위치되는 제2 위치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상기 제1 위치부로 안내하기 위한 제1 이송로와,
    상기 제1 이송로에서 시트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회전 부재와,
    상기 제1 이송로에서, 상기 이송 회전 부재를 반전시킴으로써 상기 이송 회전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부의 방향으로 이송되는 시트를 전향시키고 상기 제2 위치부로 전향된 시트를 안내하는 제2 이송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2-0019868A 2001-04-12 2002-04-12 화상 형성 장치 KR1004089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14654 2001-04-12
JP2001114654A JP3684168B2 (ja) 2001-04-12 2001-04-12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271A KR20020080271A (ko) 2002-10-23
KR100408951B1 true KR100408951B1 (ko) 2003-12-06

Family

ID=18965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9868A KR100408951B1 (ko) 2001-04-12 2002-04-12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25011B2 (ko)
EP (1) EP1249738A3 (ko)
JP (1) JP3684168B2 (ko)
KR (1) KR100408951B1 (ko)
CN (1) CN119427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7243B2 (en) * 2000-10-16 2003-11-11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treating apparatus, method of mounting sheet trea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107006B1 (en) 2000-10-16 2006-09-12 Canon Kabushi Kaisha Sheet treating apparatus, method of mounting sheet trea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DE10232922B4 (de) * 2002-07-19 2005-02-03 OCé PRINTING SYSTEM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wählbaren Einstellung eines zwischen einem Eingangskanal und mehreren Ausgangskanälen angeordneten Transportkanals
KR100477681B1 (ko) * 2002-11-20 2005-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US7159862B2 (en) * 2003-01-14 2007-01-09 Sharp Kabushiki Kaisha Sheet delivery mechanism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238119A (ja) * 2003-02-04 2004-08-26 Sharp Corp 排紙機構
US7133640B2 (en) * 2003-07-29 2006-11-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tapler/stacker for front-oriented front-access printers
JP2005107237A (ja) * 2003-09-30 2005-04-2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272969B2 (ja) * 2003-10-16 2009-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システム
US7062197B2 (en) * 2004-02-10 2006-06-13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otatable control panel unit
JP4333446B2 (ja) * 2004-03-31 2009-09-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260059B2 (ja) * 2004-05-11 2009-04-3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KR100622401B1 (ko) * 2004-05-17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역전장치
KR100561431B1 (ko) 2004-06-10 2006-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재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복합기
JP4666987B2 (ja) * 2004-09-30 2011-04-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694067B1 (ko) 2004-11-23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2006256864A (ja) * 2005-02-16 2006-09-2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6264979A (ja) * 2005-02-28 2006-10-05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7292798A (ja) * 2006-04-20 2007-11-08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シート媒体処理装置
JP4513853B2 (ja) 2007-11-09 2010-07-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記録材後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記録材処理装置
US8199375B2 (en) * 2008-06-06 2012-06-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system and image reading apparatus
JP5970895B2 (ja) * 2012-03-22 2016-08-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856895B2 (ja) * 2012-04-12 2016-02-1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75383B2 (ja) * 2014-02-27 2017-08-02 株式会社沖データ 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3023375A1 (en) * 2014-11-21 2016-05-25 OCE-Technologies B.V. Sheet diverting unit
US9551972B2 (en) * 2014-12-19 2017-01-2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7195553A (ja) * 2016-04-21 2017-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844994B1 (ko) * 2016-08-17 2018-04-03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경로 전환 구조와 이를 구비한 매체 보관 장치 및 금융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8920781T2 (de) * 1988-06-17 1995-06-14 Canon Kk Bildaufzeichnungsgerät.
JPH0485262A (ja) * 1990-07-30 1992-03-18 Ricoh Co Ltd 記録装置
EP0602661B1 (en) * 1992-12-18 2000-08-0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H06191706A (ja) * 1992-12-24 1994-07-12 Mita Ind Co Ltd シート排出装置
EP0649067B1 (en) * 1993-10-14 1998-03-04 Canon Kabushiki Kaisha Reading apparatus
JPH0848447A (ja) 1994-05-30 1996-02-2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用紙排出装置
US5852764A (en) * 1996-05-14 1998-12-22 Sharp Kabushiki Kaisha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JP3472431B2 (ja) * 1997-03-25 2003-12-0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10218503A (ja) * 1997-02-03 1998-08-18 Minolta Co Ltd 原稿搬送装置
JPH10260559A (ja) * 1997-03-18 1998-09-2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25011B2 (en) 2004-04-20
CN1380588A (zh) 2002-11-20
EP1249738A3 (en) 2004-11-03
JP3684168B2 (ja) 2005-08-17
EP1249738A2 (en) 2002-10-16
JP2002308500A (ja) 2002-10-23
CN1194272C (zh) 2005-03-23
KR20020080271A (ko) 2002-10-23
US20020159805A1 (en) 200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8951B1 (ko) 화상 형성 장치
US765721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739793B1 (ko) 자동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US7159862B2 (en) Sheet delivery mechanism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3081500B2 (ja) 自動原稿送り装置、原稿自動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097659B2 (ja) 画像形成装置の給紙構造
CN101070128B (zh) 排纸结构和使用排纸结构的图像形成设备
JP3452841B2 (ja) 原稿搬送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4284920B2 (ja) 画像読取装置
JP3445966B2 (ja) 自動両面装置、およびこの自動両面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748382B2 (ja) 画像形成装置の排紙処理装置
JP2006251648A (ja) 画像形成装置
US6290221B1 (en) Sheet stacking/convey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heet stacking/conveying unit
JPH0968910A (ja) 画情報処理装置
JPH0764359A (ja) 原稿供給装置
JP4300474B2 (ja) 手差しトレイ及び画像形成装置
JPH05134503A (ja) 画像形成装置
JPH0513450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015652A (ja) 画像読取装置
KR100208800B1 (ko) 잉크 젯 팩스장치
JP2001063902A (ja) シートトレイ及び該シートトレイを具備する画像形成装置
JPH07304548A (ja) 多機能画像形成装置及び読取り装置
JP2002308503A (ja) 画像形成装置
JP2011090266A (ja) 複合画像形成装置
JPH05134504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