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7681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7681B1
KR100477681B1 KR10-2002-0072404A KR20020072404A KR100477681B1 KR 100477681 B1 KR100477681 B1 KR 100477681B1 KR 20020072404 A KR20020072404 A KR 20020072404A KR 100477681 B1 KR100477681 B1 KR 100477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guide
guide member
printing unit
discharge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3938A (ko
Inventor
정경식
한철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2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7681B1/ko
Priority to US10/602,636 priority patent/US7564573B2/en
Priority to CNB200310114814XA priority patent/CN1317606C/zh
Publication of KR20040043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3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681B1/ko
Priority to US12/379,435 priority patent/US8164763B2/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6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output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45Guides for printing material
    • B41J11/0055Lateral guides, e.g. guides for preventing skewed conveyance of print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3Feeding path after the fixing point and up to the discharge tray or the finisher, e.g. special treatment of copy material to compensate for effects from the f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50Surface of the elements in contact with the forwarded or guided material
    • B65H2404/52Surface of the elements in contact with the forwarded or guided material other geometrical properties
    • B65H2404/521Reliefs
    • B65H2404/5214Reliefs extending in parallel to transport dir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닛의 출측과 인쇄된 용지를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연결하는 배지경로와, 인쇄유닛으로부터 나오는 용지를 배지경로로 안내하는 제1안내부를 구비하고 용지의 폭방향을 배열되는 다수의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가이드부재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인쇄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지와 접촉되면서 용지의 이송을 따라 회동되었다가 용지가 통과된 후에는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용지와 제1안내부와의 마찰을 줄여 용지 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부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과 도2를 보면, 인쇄유닛(10)과, 배지경로(20), 반전경로(30)가 도시되어 있으며, 배지경로(20)와 반전경로(30)의 분기점에는 가이드부재(40)가 설치된다. 가이드부재(40)는 제1면(41)과 제2면(42)을 가진다. 급지카세트(80)에 적재된 용지는 픽업롤러(90)와 피드롤러(60)에 의해 인쇄유닛(10)으로 인입된다. 인쇄유닛(10)은 용지에 화상을 인쇄한다. 인쇄유닛(10)에서 화상이 인쇄된 용지는 가이드부재(40)의 제1면(41)에 의해 배지경로(20)쪽으로 안내되어 회전하는 배출롤러(50)에 의해 배출트레이(55)로 배출된다. 반전경로(30)는 일면에 화상이 인쇄된 용지를 그 배면에 화상을 인쇄할 수 있도록 반전시켜 인쇄유닛(10)으로 다시 공급하는 경로로서, 배지경로(20)로부터 분기되어 피드롤러(60)의 입구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전자사진방식에 의해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유닛(10)의 경우에 화상형성의 최종단계는 정착단계로서,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토너가 부착된 용지를 열롤러(71)와 가압롤러(72) 사이로 통과시켜 열과 압력에 의해 토너를 용지에 고착시킨다.
도 2를 보면, 정착기(70)로서 열롤러(71)와 가압롤러(72)가 도시되어 있다. 열롤러(71)와 가압롤러(72) 사이를 통과한 용지는 제1면(41)에 접촉된다. 가이드부재(40)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용지는 제1면(41)을 따라 휘어지면서 배지경로(20)쪽으로 안내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면(41)이 용지와 반복적으로 접촉되면서, 제1면(41)에는 용지에서 떨어져 나온 지분, 화상찌꺼기, 먼지 등이 부착된다.
특히, 화상찌꺼기인 토너가 제1면(41)에 부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용지는 인쇄되지 않은 새것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미 배면에 화상이 인쇄된 이면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면지가 정착기(70)를 통과하면서 가열 가압되면 배면에 이미 고착되어 있던 토너가 다시 녹으면서 부드러워진다. 이 상태에서 용지가 제1면(41)에 인입되면 그 배면이 제1면(41)과 마찰되면서 토너가 제1면(41)으로 부착된다. 토너가 제1면(41)에 부착되는 현상은 양면인쇄를 하는 경우에 더욱 심해진다. 처음 일면에 화상이 인쇄된 용지는 정착기(70)에 의해 공급받은 열이 다 식기 전에 반전경로(30)를 통하여 인쇄유닛(10)으로 인입되어 다시 정착기(70)로부터 열을 받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제1면(41)에 토너나 지분 등이 계속 부착되면, 제1면(41)을 통과할 때 용지잼(jam)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왜냐하면, 제1면(41)에 토너가 불규칙하게 부착되면 용지의 선단이 부드럽게 통과되지 못하고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가이드부재(40)는 정착기(70)에 인접되게 설치되므로 정착기(70)의 열에 의해 인쇄기기의 다른 부분에 비해 높은 온도를 유지한다. 토너는 보통 소정의 색상을 내는 수지(resin)으로서 완전히 식지 않은 경우에는 끈적임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용지와 토너가 부착된 제1면(41)과의 마찰이 심해지면서 잼이 발생될 수 있다.
용지 잼은 배지경로(20) 중에서도 발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면(41)에 부착된 토너는 정착기(70)의 열에 의해 부드러워져 있으므로, 용지의 선단이 제1면(41)과 마찰될 때 제1면(41)으로부터 떨어져서 용지의 선단에 부착될 수 있다. 용지의 선단은 배지경로(20)의 상측과 마찰되면서 다시 한 번 진로가 바뀌는데, 이 때 토너가 배지경로(20)의 상측, 도 2에 B로 표시한 부분에 다시 부착될 수 있다. B부분에 계속하여 토너가 부착되면 용지의 선단이 여기에 걸리면서 잼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부재(40)의 제1면(41)쪽에 용지와 접촉되면서 회전되는 다수의 아이들 롤러(미도시)를 설치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부품이 추가됨으로써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용지와 가이드부재와의 마찰을 줄임으로써 토너가 용지로부터 이탈되어 용지의 진행경로 중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닛; 상기 인쇄유닛의 출측과 인쇄된 용지를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연결하는 배지경로; 상기 인쇄유닛으로부터 나오는 용지를 상기 배지경로로 안내하는 제1안내부를 구비하고 용지의 폭방향을 배열되는 다수의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안내부가 상기 인쇄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지와 접촉되면서 상기 용지의 이송에 따라 회동되었다가 상기 용지가 통과된 후에는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배출수단이 역회전됨에 따라 상기 배지경로를 역주행하는 용지가 반전되어 상기 인쇄유닛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인쇄유닛의 출측과 상기 배출수단과의 사이에서 분기되어 형성되는 반전경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배지경로를 역주행하는 용지를 상기 반전경로로 안내하는 제2안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C부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 도 5는 도 4의 Ⅰ-Ⅰ'단면도이다.
도 3을 보면,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닛(100)과, 배지경로(310), 반전경로(320)가 도시되어 있다. 참조부호 200, 201, 210은 각각 급지카세트, 픽업롤러, 피드롤러를 나타낸다.
인쇄유닛(100)은 대전기(120), LSU(130), 감광드럼(110), 현상제가 수용된 현상기(140), 전사벨트(150), 전사롤러(160), 및 정착기(170)를 포함하며, 전자사진방식에 의해 용지에 화상을 인쇄한다. 본 실시예의 인쇄유닛(100)은 칼라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각각 블랙(K:black)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색상의 현상제가 수용된 4개의 현상기(102)를 구비한다.
상술한 인쇄유닛(100)에 의한 화상형성과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먼저 대전기(120)가 감광드럼(110)에 전하를 공급하여 그 표면이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대전시킨다. 그런 다음 노광과정으로서, LSU(130)가 예를 들면 (Y:yellow)색상의 화상정보에 해당되는 광을 감광드럼(110)에 주사하면, 광이 주사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과의 상대적이 전위차에 의해 옐로우색상의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기(102Y)는 이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현상함으로써 옐로우색상의 토너화상을 형성하며, 이 토너화상은 전사벨트(150)로 전사된다.
옐로우색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50)로 완전히 전사되면,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토너화상을 차례로 전사벨트(150)로 중첩 전사시킨다. 그러면, 전사벨트(150)상에 완전한 칼라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이 칼라토너화상을 전사벨트(150)와 전사롤러(160)사이를 통과하는 용지에 전사한 후, 정착기(170)에서 열과 압력을 가하여 고착시키면 완전한 칼라화상이 얻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감광드럼과 LSU를 사용하는 멀티패스방식의 인쇄유닛을 예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사진방식에 의해 화상을 인쇄하는 다양한 인쇄유닛이 채용될 수 있다.
배지경로(310)는 인쇄유닛(100)의 출구(102)와 배출수단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인쇄가 완료된 용지가 배출트레이(230)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인쇄유닛(100)의 출구는 정착기(170)의 출측이 된다. 배출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맞물려 회전되는 한 쌍의 배출롤러(220)를 사용한다.
반전경로(320)는 일면에 화상이 인쇄된 용지를 그 배면에 다시 화상을 인쇄할 수 있도록 반전시켜 인쇄유닛(100)으로 공급하는 경로로서, 배지경로(310)로부터 분기되어 인쇄유닛(100)으로 용지를 공급하는 피드롤러(210)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배지경로(310)와 반전경로(320)에는 용지를 피딩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와 도 5를 보면, 정착기(170)로서 열롤러(171)와 가압롤러(172)가 도시되어 있고 가압롤러(172)의 상방에 용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프레임(240)이 도시되어 있다. 제1프레임(240)은 이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있는 제2프레임(250)과 함께 반전경로(320)를 형성한다. 반전경로(320)는 피드롤러(210)의 입구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프레임(240)에는 다수의 가이드부재(26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부재(260)는 인쇄유닛(100)으로부터 나오는 용지를 배지경로(310)쪽으로 유도하는 제1안내부(261)와 배지경로(310)를 역주행하는 용지를 반전경로(320)로 안내하는 제2안내부(263)를 구비한다.
제1안내부(261)는 정착기(170)의 출측으로부터 배지경로(310)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직선 또는 부드럽게 휘어진 곡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안내부(262)는 제1안내부(261)의 배지경로(310)쪽 단부(262)로부터 반전경로(320)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때 제2안내부(263)는 제1프레임(240)의 상면(241)보다 약간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재(260)의 양쪽 측면에는 제1프레임(240)에 마련된 결합부(244)에 회동될 수 있게 결합됨으로써 가이드부재(260)의 회동중심이 되는 축(264)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재(260)는 적어도 2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5개를 구비한다.
제2안내부(263)는 제1프레임(240)의 단부(242)를 지나 반전경로(320)쪽으로 좀 더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프레임(240)의 단부(242)에는 제2안내부(263)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방으로 약간 몰입된 몰입부(243)가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260)가 축(264)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시 D방향으로 어느 정도 회동되면 몰입부(243)와 접촉된다. 몰입부(243)는 제1스토퍼로서, 가이드부재(260)가 배지경로(310)쪽으로 용지를 안내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 D방향으로 과도하게 회동되지 않도록 한다.
가이드부재(260)가 D방향으로 회동되었다가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되기 위해서, 가이드부재(260)는 제1프레임(240)에 설치되었을 때 화살표시 E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재(260)가 몰입부(243)와 접촉되어 D방향으로 더 이상 회동될 수 없는 위치에 있을 때 가이드부재(260)의 무게중심(266)은 적어도 축(262)을 기준으로 하여 도면의 좌측에 위치되어야 한다.
가이드부재(260)가 D방향으로 회동되었다가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되기 위한 다른 방안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260)와 제1프레임(240)을 연결하는 탄성부재로서 인장코일 스프링(28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제1프레임(240)에는 또한 가이드부재(260)가 배지경로(310)쪽으로 용지를 안내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 E방향으로 과도하게 회동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제2스토퍼(24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보면, 제2스토퍼(245)는 가이드부재(260)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기 위해 E방향으로 회동될 때 가이드부재(260)의 우변(265)에 접촉됨으로써 가이드부재(260)가 정확히 복귀 위치에서 멈출 수 있도록 한다.
각 가이드부재(260)의 사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보조가이드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보조가이드부재는 제1프레임(240)에 리브(270) 형태로서 형성될 수 있다. 리브(270)는 제1안내부(261)보다 안쪽에 위치되는 제1변(271)과 제2안내부(263)보다 낮게 위치되는 제2변(272)을 구비한다. 제1변(271)과 제2변(272)은 각각 용지가 배지경로(310) 또는 반전경로(320)로 부드럽게 인입될 수 있도록 제1안내부(261)와 제2안내부(263)의 역할을 보조한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가이드부재(260)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도 9를 보면, 제1안내부(261) 및 제2안내부(263)를 가진 다수의 리브(280)들과 제1변(271)과 제2변(272)을 가진 다수의 리브(290)들이 형성된 회동부재(330)가 도시되어 있다. 회동부재(330)의 횡측 양단부에는 축(311)이 마련된다. 제1프레임(240A)의 양단부에는 축(331)이 회동될 수 있게 결합되도록 결합부(246)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회동부재(330)가 제1프레임(240A)에 설치되면, 회동부재(330)가 용지와의 접촉에 의해 화살표시 D, E와 같이 회동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도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도 3 내지 도 8과 배지과정과 반전과정을 각각 보여주는 도 10과 도 11를 보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픽업롤러(201)에 의해 급지카세트(200)로부터 인출된 용지는 피드롤러(210)에 의해 입구(101)를 통하여 인쇄유닛(100)으로 인입된다. 인쇄유닛(10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전, 노광, 현상, 전사, 및 정착과정을 거친 후 출구(102)로 용지를 배출한다.
도 10을 보면, 배출되는 용지는 제1안내부(261)와 접촉되면서 휘어져서 배지경로(310)로 안내된다. 이 때, 가이드부재(260)는 용지에 의해 밀리면서 축(264)을 중심으로 D방향으로 약간 회동된다. 가이드부재(260)가 D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가이드부재(260)가 그 무게에 의해 E방향으로 복귀되려는 힘과 배지경로(310)쪽으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용지가 휘어지면서 제1안내부(261)에 가하는 힘이 균형을 이룬다. 가이드부재(260)가 D방향으로 과도하게 회전되면 용지가 배지경로(310)쪽으로 인입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몰입부(243)가 가이드부재(260)에 접촉됨으로써 가이드부재(260)의 회동량을 규제한다. 용지의 선단이 배출롤러(220)에 인입되면 배출롤러(220)는 용지를 배출트레이(230)로 배출한다. 이 때에는 용지의 선단이 배출롤러(220)에 인입된 후부터는 용지가 배지경로(310)의 하면(311)쪽으로 당겨지므로 가이드부재(260)는 E방향으로 약간 회동된다. 용지의 말단이 제1안내부(261)를 완전히 통과하면 가이드부재(260)는 자중에 의해 또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E방향으로 회동되며, 우변(265)이 제2스토퍼(245)에 접촉됨으로써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만일, 가이드부재(260)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지 않으면 후술할 양면인쇄과정에서 배지경로(310)를 역주행하는 용지의 선단이 제1안내부(261)의 단부(262)에 걸려 반전경로(320)로 인입되지 못하고 잼이 발생될 수 있다.
다음으로 양면인쇄를 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용지의 일면에 인쇄가 완료되면, 용지의 말단이 배출롤러(220)를 벗어나 용지가 배출트레이(230)로 완전히 배출되기 전에 배출롤러(220)가 역회전된다. 그러면, 용지는 배지경로(310)를 역주행하기 시작한다. 이 때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260)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어 있으므로 용지의 선단은 제2안내부(263)에 자연스럽게 접촉되면서 반전경로(320)로 인입되어 다시 인쇄유닛(100)을 통과함으로써 배면에 화상이 인쇄된다. 인쇄된 용지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로를 거쳐 배출트레이(230)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260)가 용지로부터 가해지는 힘과 균형을 이루어 회동됨으로써 용지의 선단이 제1안내부(261)를 따라 부드럽게 진행방향이 변하면서 배지경로(310)쪽으로 인입되므로 용지의 배면과 제1안내부(261)와의 마찰이 감소된다. 용지로서 이면지를 사용하거나 양면인쇄를 하는 경우에, 용지의 배면에 정착되어 화상을 형성하고 있던 토너가 정착기(170)로부터 공급된 열에 의해 다시 녹는다. 이 토너가 접촉부(261)와 마찰되면서 용지로부터 떨어져서 접촉부(261)에 부착될 수 있음은 앞에서 이미 보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가이드부재(260)가 용지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상쇄시키는 방향으로 회동되므로 제1안내부(261)와 용지와의 마찰이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된다. 따라서, 토너가 제1안내부(261)로 부착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만일 가이드부재(260) 부근에서 잼이 발생된 경우에도 가이드부재(260)가 회동되므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 비해 잼이 발생된 용지를 제거하기가 편리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배지경로와 반전경로를 구비함으로써 양면인쇄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반전경로를 구비하지 않은 화상형성장치의 경우에도 회동될 수 있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면 용지와 제1안내부와의 마찰을 감소시켜 이면지를 사용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용지 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양면인쇄를 하는 경우 또는 용지로서 이면지를 사용할 경우에 그 배면에 형성된 화상이 정착기의 열에 의해 녹으면서 용지의 진행경로에 부착됨으로써 발생되는 용지 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둘째, 용지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아이들 롤러와 같은 추가적인 부품이 필요 없으므로 원가측면에서 유리하다.
셋째, 가이드부재가 회동될 수 있으므로 만일의 경우 용지 잼이 발생되더라도 이를 제거하기 편리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C부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Ⅰ-Ⅰ'단면도.
도 6은 도 4의 Ⅰ-Ⅰ'단면도로서 가이드부재가 회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가이드부재를 복귀시키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10과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지과정과 반전과정을 각각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인쇄유닛 110......감광드럼
120......감광드럼 130......광주사기
140......현상기 150......전사벨트
160......전사롤러 170......정착기
200......급지카세트 201......픽업롤러
210......피드롤러 220......배출롤러
230......배출트레이 240,240A......제1프레임
243......몰입부 244,246......결합부
245......제2스토퍼 250......제2프레임
260......가이드부재 261......제1안내부
263......제2안내부 310......배지경로
320......반전경로 330......회동부재

Claims (10)

  1.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닛;
    상기 인쇄유닛의 출측과 인쇄된 용지를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연결하는 배지경로;
    상기 인쇄유닛으로부터 나오는 용지를 상기 배지경로로 안내하는 제1안내부를 구비하고 회동가능하게 용지의 폭방향을 배열되며, 상기 제1안내부가 상기 인쇄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지와 접촉되면서 상기 용지에 따라 회동되었다가 상기 용지가 통과된 후에는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되는 다수의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회동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부재와 접촉되는 제1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이 역회전됨에 따라 상기 배지경로를 역주행하는 용지가 반전되어 상기 인쇄유닛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인쇄유닛의 출측과 상기 배출수단과의 사이에서 분기되어 형성되는 반전경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배지경로를 역주행하는 용지를 상기 반전경로로 안내하는 제2안내부;를 더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들은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가 복귀될 때 원래 위치를 벗어나 과도하게 회동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의 회동량을 규제하는 제2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용지가 통과된 후에는 자중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가 복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들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1안내부보다 안쪽에 위치되는 제1변이 형성된 다수의 보조가이드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들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1안내부보다 안쪽에 위치되는 제1변과 상기 제2안내부보다 낮게 위치되는 제2변이 형성된 다수의 보조가이드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2-0072404A 2002-11-20 2002-11-20 화상형성장치 KR100477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404A KR100477681B1 (ko) 2002-11-20 2002-11-20 화상형성장치
US10/602,636 US7564573B2 (en) 2002-11-20 2003-06-25 Image forming apparatus
CNB200310114814XA CN1317606C (zh) 2002-11-20 2003-11-07 成像装置
US12/379,435 US8164763B2 (en) 2002-11-20 2009-02-20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404A KR100477681B1 (ko) 2002-11-20 2002-11-20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938A KR20040043938A (ko) 2004-05-27
KR100477681B1 true KR100477681B1 (ko) 2005-03-21

Family

ID=32291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404A KR100477681B1 (ko) 2002-11-20 2002-11-20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7564573B2 (ko)
KR (1) KR100477681B1 (ko)
CN (1) CN131760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681B1 (ko) * 2002-11-20 2005-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2006026931A (ja) * 2004-07-12 2006-02-02 Brother Ind Ltd 印刷装置
JP4735077B2 (ja) * 2005-06-27 2011-07-27 船井電機株式会社 熱転写プリンタ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693332B1 (ko) * 2005-07-26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4086869B2 (ja) * 2005-09-14 2008-05-14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プリンタ、排出機構、及び用紙ジャム防止方法
KR100831358B1 (ko) * 2005-09-22 2008-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KR100788672B1 (ko) * 2005-11-04 200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
JP5171465B2 (ja) * 2008-08-05 2013-03-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TW201022118A (en) * 2008-12-02 2010-06-16 Avision Inc Guiding mechanism and printer using the same
JP5664121B2 (ja) * 2010-10-25 2015-02-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644550B2 (ja) * 2011-01-28 2014-12-24 村田機械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2180176A (ja) * 2011-03-01 2012-09-20 Seiko Epson Corp 媒体搬送装置、スキャナ装置、記録装置
JP6237552B2 (ja) * 2014-09-24 2017-11-2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54727B2 (ja) * 2015-10-09 2018-07-1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8756A (ja) * 1992-01-31 1993-08-20 Murata Mach Ltd 用紙給送装置
KR940009785A (ko) * 1992-10-08 1994-05-24 김주용 사무자동화기기의 인쇄용지정착 장치
JPH06191686A (ja) * 1992-12-24 1994-07-12 Ricoh Co Ltd 給紙装置
JPH07257801A (ja) * 1994-03-18 1995-10-09 Nisca Corp シート送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原稿自動給送装置
JPH09114153A (ja) * 1995-10-16 1997-05-0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069170A (ja) * 1996-08-27 1998-03-10 Ricoh Co Ltd 現像装置
JPH11322136A (ja) * 1998-05-20 1999-11-2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7920A (ja) * 1993-11-12 1995-05-30 Riso Kagaku Corp 薄葉体積載受容装置
AUPM906594A0 (en) * 1994-10-26 1994-11-17 Peptide Technology Limited Synthetic polyunsaturated fatty acid analogues
JPH10181978A (ja) * 1996-10-30 1998-07-07 Ricoh Co Ltd 排紙ユニット
KR100207734B1 (ko) * 1997-08-14 1999-07-15 윤종용 양면 인쇄용 인쇄기기의 용지 반전장치
JP3757776B2 (ja) * 2000-09-29 2006-03-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684168B2 (ja) * 2001-04-12 2005-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477681B1 (ko) 2002-11-20 2005-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8756A (ja) * 1992-01-31 1993-08-20 Murata Mach Ltd 用紙給送装置
KR940009785A (ko) * 1992-10-08 1994-05-24 김주용 사무자동화기기의 인쇄용지정착 장치
JPH06191686A (ja) * 1992-12-24 1994-07-12 Ricoh Co Ltd 給紙装置
JPH07257801A (ja) * 1994-03-18 1995-10-09 Nisca Corp シート送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原稿自動給送装置
JPH09114153A (ja) * 1995-10-16 1997-05-0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069170A (ja) * 1996-08-27 1998-03-10 Ricoh Co Ltd 現像装置
JPH11322136A (ja) * 1998-05-20 1999-11-2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17606C (zh) 2007-05-23
US8164763B2 (en) 2012-04-24
CN1503069A (zh) 2004-06-09
US20040095593A1 (en) 2004-05-20
KR20040043938A (ko) 2004-05-27
US7564573B2 (en) 2009-07-21
US20090161135A1 (en)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476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160487B2 (en) Image-forming device having first and second sheet guide pairs for guiding sheets of different sizes
JP3031250B2 (ja) 画像形成装置
US7424257B2 (en) Paper guid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11620167B (zh) 成像设备
KR100561473B1 (ko)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2769727B2 (ja) 電子写真装置の定着器
JP2005008391A (ja) 画像形成装置
JPH10240053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定着装置
JP5908434B2 (ja) 画像形成装置
JP4074025B2 (ja) 画像形成装置
JP4910659B2 (ja) 画像形成装置
EP140087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belt fixing device for simultaneous fixing of both sides of a duplex print
US976004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intermediate transfer unit and fixing unit
JP3352270B2 (ja) 画像形成装置
US11609525B2 (en) Post-proces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315890B2 (ja) 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574005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1130917A (ja) 電子写真装置
JPH0986742A (ja) 連続紙搬送機構
US8792814B2 (en) Releasing device,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157361A (ja) 定着装置
JPH0713439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転写材剥離装置
JP2004157363A (ja) 定着装置
JP2005047652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