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473B1 -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473B1
KR100561473B1 KR1020030075238A KR20030075238A KR100561473B1 KR 100561473 B1 KR100561473 B1 KR 100561473B1 KR 1020030075238 A KR1020030075238 A KR 1020030075238A KR 20030075238 A KR20030075238 A KR 20030075238A KR 100561473 B1 KR100561473 B1 KR 100561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arm
guide
discharge path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5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0078A (ko
Inventor
이진수
정흥섭
정경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5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473B1/ko
Priority to US10/958,398 priority patent/US7142802B2/en
Publication of KR20050040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0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28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with means for handling the copy material in the fixing nip, e.g. introduction guides, stripp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3Feeding path after the fixing point and up to the discharge tray or the finisher, e.g. special treatment of copy material to compensate for effects from the fix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21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pos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정착롤러의 출측으로부터 상기 배지경로 쪽으로 연장된 제1안내부를 가진 다수의 가이드부재와, 가이드부재 사이에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되어 정착롤러로부터 나오는 용지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용지를 상기 배지경로 쪽으로 안내하는 제1아암과, 제1아암을 용지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가이드부재 중에서 제1아암에 인접된 가이드부재는 제1안내부보다 그 길이가 짧은 제2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정착 및 용지 배출과정에서의 용지 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Fusing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배지경로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도 3의 D부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E부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제1아암의 작용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용지이송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인쇄유닛 110......감광드럼
120......대전기 130......광주사기
140......현상기 150......전사벨트
160......전사롤러 170......정착롤러
180......급지카세트 181......픽업롤러
182......피드롤러 183......배출롤러
190......배출트레이 200, 200a......가이드부재
201......제1안내부 202......제2안내부
210.....제1아암 220......제2아암
240......탄성부재 290......센서
310......배지경로 320......반전경로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사진방식에 의해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일정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현상기를 이용하여 정전잠상을 소정 색상의 토너(toner)로 현상한 후 이를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켜 단색화상 또는 칼라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정착이 완료된 용지는 배지경로를 통하여 배출된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배지경로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1을 보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용지(S)에 부착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S)에 정착시키는 열롤러(71)와 가압롤러(72)가 도시되어 있다. 참조부호 40은 정착이 완료된 용지(S)를 배지경로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이다. 참조부호 50은 용지(S)를 배출시키는 배출롤러이다. 가이드부재(40)는 열롤러(71)와 가압롤러(72)의 출측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부재(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S)의 폭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된다. 열롤러(71)와 가압롤러(72) 사이를 통과한 용지(S)는 제1면(41)에 접촉된다. 가이드부재(40)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용지(S)는 제1면(41)을 따라 휘어지면서 배지경로(20)쪽으로 안내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면(41)이 용지(S)와 반복적으로 접촉되면서, 제1면(41)에는 용지(S)에서 떨어져 나온 지분, 화상찌꺼기, 먼지 등이 부착된다.
특히, 화상찌꺼기인 토너가 제1면(41)에 부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용지(S)는 인쇄되지 않은 새것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미 배면에 화상이 인쇄된 이면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면지가 열롤러(71)와 가압롤러(72)를 통과하면서 가열 가압되면 배면에 이미 고착되어 있던 토너가 다시 녹으면서 부드러워진다. 이 상태에서 용지(S)가 제1면(41)에 인입되면 그 배면이 제1면(41)과 마찰되면서 토너가 제1면(41)으로 부착된다. 토너가 제1면(41)에 부착되는 현상은 양면인쇄를 하는 경우에 더욱 심해진다. 처음 일면에 화상이 인쇄된 용지(S)는 열롤러(71)와 가압롤러(72)에 의해 공급받은 열이 다 식기 전에 반전경로(30)를 통하여 도시되지 않은 인쇄유닛으로 인입되어 토너화상이 부착되고 다시 열롤러(71)와 가압롤러(72)로부터 열을 받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제1면(41)에 토너나 지분 등이 계속 부착되면, 제1면(41)을 통과할 때 용지잼(jam)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왜냐하면, 제1면(41)에 토너가 불규칙하게 부착되면 용지(S)의 선단이 부드럽게 통과되지 못하고 걸릴 수 있기 때문 이다. 또한,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가이드부재(40)는 열롤러(71)와 가압롤러(72)에 인접되게 설치되므로 열롤러(71)와 가압롤러(72)의 열에 의해 화상형성장치의 다른 부분에 비해 높은 온도를 유지한다. 토너는 보통 소정의 색상을 내는 수지(resin)으로서 완전히 식지 않은 경우에는 끈적임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용지(S)와 토너가 부착된 제1면(41)과의 마찰이 심해지면서 잼이 발생될 수 있다.
용지 잼은 배지경로(20) 중에서도 발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면(41)에 부착된 토너는 정착기(70)의 열에 의해 부드러워져 있으므로, 용지(S)의 선단이 제1면(41)과 마찰될 때 제1면(41)으로부터 떨어져서 용지(S)의 선단에 부착될 수 있다. 용지(S)의 선단은 배지경로(20)의 상측과 마찰되면서 다시 한 번 진로가 바뀌는데, 이 때 토너가 배지경로(20)의 상측, 도 1에 B로 표시한 부분에 다시 부착될 수 있다. B부분에 계속하여 토너가 부착되면 용지(S)의 선단이 여기에 걸리면서 잼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용지와 가이드부재와의 마찰을 줄임으로써 토너가 용지로부터 이탈되어 용지의 진행경로 중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정착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는, 토너화상을 용지에 정착시켜 배지경로로 배출시키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로서, 서로 대면되어 회전되면서 전자사진방식에 의해 용지에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정착시키는 한 쌍의 정착롤러; 용지의 폭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로부터 배출되는 용지를 상기 배지경로로 안내하는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의 출측으로부터 상기 배지경로 쪽으로 연장된 제1안내부를 가진 다수의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 사이에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로부터 나오는 용지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용지를 상기 배지경로 쪽으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아암; 상기 제1아암을 상기 용지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 중에서 상기 제1아암에 인접된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안내부보다 그 길이가 짧은 제2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해 용지에 토너화상을 전사시키는 인쇄유닛; 서로 대면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상기 토너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키는 한 쌍의 정착롤러; 정착이 완료된 용지가 배출되는 배지경로; 용지의 폭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로부터 배출되는 용지를 상기 배지경로로 안내하는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의 출측으로부터 상기 배지경로 쪽으로 연장된 제1안내부를 가진 다수의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 사이에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로부터 나오는 용지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용지를 상기 배지경로 쪽으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아암; 상기 제1아암을 상기 용지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 중에서 상기 제1 아암에 인접된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안내부보다 그 길이가 짧은 제2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을 보면, 전자사진방식에 의해 용지(S)에 토너화상을 전사시키는 인쇄유닛(100)과, 제1정착롤러(171)와 제2정착롤러(172), 배지경로(310), 반전경로(320)가 도시되어 있다. 참조부호 180, 181, 182은 각각 급지카세트, 픽업롤러, 피드롤러를 나타낸다.
인쇄유닛(100)은 대전기(120), LSU(130), 감광드럼(110), 현상제가 수용된 현상기(140), 전사벨트(150), 전사롤러(160)를 포함하며, 전자사진방식에 의해 용지(S)에 화상을 인쇄한다. 본 실시예의 인쇄유닛(100)은 칼라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각각 블랙(K:black)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색상의 현상제가 수용된 4개의 현상기(140)를 구비한다.
상술한 인쇄유닛(100)에 의한 화상형성과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먼저 대전기(120)가 감광드럼(110)에 전하를 공급하여 그 표면이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대전시킨다. 그런 다음 노광과정으로서, LSU(130)가 예를 들면 (Y:yellow)색상의 화상정보에 해당되는 광을 감광드럼(110)에 주사하면, 광이 주사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과의 상대적이 전위차에 의해 옐로우색상의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기(140Y)는 이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현상함으로써 옐로우색상의 토너화상을 형성하며, 이 토너화상은 전사벨트(150)로 전사된다.
옐로우색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50)로 완전히 전사되면,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토너화상을 차례로 전사벨트(150)로 중첩 전사시킨다. 그러면, 전사벨트(150)상에 완전한 칼라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용지(S)는 픽업롤러(181)에 의해 급지카세트(180)로부터 인출되어 피드롤러(182)에 의해 이송된다. 용지(S)는 칼라토너화상의 선단이 전사벨트(150)와 전사롤러(160)가 대면된 위치에 도달하는 시점에 맞추어 전사벨트(150)와 전사롤러(160)가 대면된 위치에 도달된다. 이 칼라토너화상은 용지(S)에 전사된다.
칼라토너화상이 전사된 용지(S)가 제1정착롤러(171)와 제2정착롤러(172) 사이로 진입된다. 제1정착롤러(171)와 제2정착롤러(172)는 서로 압접되어 회전된다. 제1정착롤러(171)와 제2정착롤러(172)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가열수단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정착롤러(171)와 제2정착롤러(172)에 모두 가열수단이 구비된다. 이하에서 제1정착롤러(171)와 제2정착롤러(172)를 통칭하여 정착롤러(170)라 한다. 정착롤러(170)는 칼라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용지(S)에 정착시킨다. 이에 의해 화상의 인쇄가 완료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감광드럼과 LSU를 사용하는 멀티패스방식의 인쇄유닛을 예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사진방식에 의해 화상을 인쇄하는 다양한 인쇄유닛이 채용될 수 있다.
배지경로(310)는 정착롤러(170)와 배출롤러(183)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인쇄 가 완료된 용지(S)가 배출트레이(190)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양면인쇄를 위한 반전경로(32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반전경로(320)는 일면에 화상이 인쇄된 용지(S)를 그 배면에 다시 화상을 인쇄할 수 있도록 반전시켜 인쇄유닛(100)으로 공급하는 경로로서, 배지경로(310)로부터 분기되어 인쇄유닛(100)으로 용지(S)를 공급하는 피드롤러(182)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배지경로(310)와 반전경로(320)에는 용지(S)를 피딩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D부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E부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와 도 5를 보면, 정착롤러(170), 가이드부재(200), 제1아암(210)이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부재(200)는 정착롤러(170)로부터 배출되는 용지(S)를 배지경로(310)로 안내한다. 가이드부재(200)는 정착롤러(170)의 출측으로부터 배지경로(310) 쪽으로 연장된 제1안내부(201)를 갖는다. 제1안내부(201)는 직선 또는 부드럽게 휘어진 곡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가이드부재(200)가 용지(S)의 폭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200)의 개수는 도 4와도 5에 도시된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정착롤러(172)의 상방에 용지(S)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280)을 마련하고 가이드부재(200)를 이 프레임(280)과 일체로 형성한다.
제1아암(210)은 프레임(28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일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80)에 회동부재(23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아암(210)은 이 회동부재(23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아암(210)은 그 단부(211)가 정착롤러(170)의 출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정착롤러(170)로부터 용지(S)가 배출되면, 용지(S)는 제1아암(210)을 밀어 회동시키게 된다. 회동부재(230)에는 탄성부재(240)가 마련된다. 탄성부재(240)는 제1아암(210)이 용지(S)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성바이어스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아암(210)의 용지(S)를 밀어 용지(S)가 배지경로(310)로 향하도록 안내한다.
제1아암(210)에 인접된 가이드부재(200a)는 그 형상이 다른 가이드부재(200)들과는 약간 다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부재(200a)는 제1안내부(201)보다 약간 짧은 제2안내부(202)를 구비한다. 다시말하면, 제2안내부(202)의 선단부(204)는 제1안내부(201)의 선단부(203)보다 배지경로(310) 쪽으로 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2안내부(202)의 선단부(204)는 용지(S)와의 접촉저항을 줄이기 위해 둥글게 라운드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230)의 단부(231)에는 제2아암(220)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참조부호 290은 센서로서, 제1아암(210)과 함께 회동되는 제2아암(220)에 의해 정착롤러(170)로부터 용지(S)가 배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ON/OFF된다. 센서(290)로서는 광센서, 마이크로 스위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3 내지 도 6과 제1아암(210)의 작용을 보여주는 단면도인 도 7을 보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픽업롤러(181)에 의해 급지카세트(180)로부터 인출된 용지(S), 또는 양면인 쇄를 위하여 반전경로(320)를 통하여 공급된 용지(S)는 피드롤러(182)에 의해 전사벨트(150)와 전사롤러(160) 사이로 인입된다. 전사벨트(15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전, 노광, 현상, 전사과정을 거치면서 칼라토너화상이 형성되어 있다. 이 칼라토너화상은 용지(S)로 전사된다. 칼라토너화상이 전사된 용지(S)는 정착롤러(170)로 인입되어 열과 압력에 의한 정착과정을 거친 후에 배지경로(310)로 배출된다.
정착롤러(170)로부터 배출되는 용지(S)는 제1안내부(201)와 접촉되면서 휘어져서 배지경로(310)로 안내된다. 가이드부재(200)는 고정된 부재이므로, 용지(S)가 배지경로(310)로 안내되는 동안 제1안내부(201)는 용지(S)의 배면과 지속적으로 마찰된다. 용지(S)로서 이면지를 사용하거나 양면인쇄를 하는 경우에, 용지(S)의 배면에 정착되어 화상을 형성하고 있던 토너가 정착롤러(170)로부터 공급된 열에 의해 다시 녹는다. 따라서, 토너가 제1안내부(201)와 마찰되면서 용지(S)로부터 떨어져서 접촉부(201)에 부착될 수 있음은 앞에서 이미 보았다. 특히, 제1안내부(201)의 선단부(203)에 토너가 부착될 가능성이 높다. 제1안내부(201)의 선단부(203)에 토너가 부착되면, 배출되는 용지(S)의 선단이 여기에 걸리면서 용지 잼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제1안내부(201)에 부착된 토너가 용지(S)에 의해 배지경로(310)로 옮겨져서 부착딜 수도 있다. 그러면, 용지(S)의 선단이 여기에 걸리면서 잼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 내지는 줄이기 위해서는 가이드부재(200)와 용지(S)와의 마찰을 가능한 한 줄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1아암(210)이 구비된다. 도 7을 보면, 제1아암(210)은 최초에는 정착롤러(170)의 출구를 가로막고 있다. 정착롤러(170)로부터 배출되는 용지(S)는 제1아암(210)을 밀어 화살표시(C)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때 탄성부재(240)는 제1아암(210)이 용지(S)의 배면에 계속하여 접촉되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이 탄성력과 용지(S)의 강성에 의해 제1아암(210)에 가해지는 반발력이 균형을 이루면서 용지(S)는 배지경로(310) 쪽으로 휘어진다.
이와 같이, 제1아암(210)이 용지(S)로부터 가해지는 반발력과 균형을 이루어 부드럽게 회동되므로, 제1아암(210) 부근에서는 가이드부재(200)와 용지(S)와의 마찰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아암(210)이 용지(S)를 배지경로(310)로 안내하므로 제1아암(210)과 인접된 가이드부재(200a)는 그 선단부(204)가 제1안내부(201)보다 짧은 제2안내부(202)를 구비하더라도 용지(S)를 배지경로(310)로 안내하는데 지장이 없다. 따라서, 용지(S)와 마찰되는 거리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토너가 제1안내부(201)로 부착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배지경로와 반전경로를 구비함으로써 양면인쇄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반전경로를 구비하지 않은 화상형성장치의 경우에도 이면지를 사용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용지 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1아암(210)과 함께 회동되는 제2아암(220)에 의해 ON/OFF되는 센서(290)는 용지 잼을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급지카세트(180)로부터 용지(S)가 인출된 후에 소정 시간 내에 센서(290)에 의해 용지(S)가 검출되지 않으면, 급지 카세트(180)와 정착롤러(170) 사이의 용지이송경로상에서 용지 잼이 발생된 것 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센서(290)에 의해 용지(S)가 검출된 후에 소정 시간 동안 센서(290)가 예를 들면 계속 ON 상태라면, 정착롤러(170) 또는 배지경로(310) 상에서 용지 잼이 발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제1아암(210)은 토너가 제1안내부(201)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그 주목적이므로 가급적 용지(S)의 화상영역에 접촉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영역은 용지(S)에서 실제로 화상이 형성되는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서, 용지(S)의 선단과 후단 및 앙측 가장자리의 소정 마진을 제외한 영역을 말한다. 화상형성장치에는 기록매체로서 그 폭과 길이가 다른 여러 가지 용지(S1, S2, S3, S4)가 사용될 수 있다. 용지(S1, S2, S3, S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 가장자리를 기준으로하여 이송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아암(210)은 사용가능한 최소폭을 갖는 용지(S4)에 접촉되어 가이드할 수 있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S1, S2, S3, S4)가 그 폭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하여 이송될 때에는 제1아암(210)은 용지(S)의 폭방향의 중앙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에에서는 하나의 제1아암(210)만이 구비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아암(210)은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 때, 제1아암(210)과 인접되는 가이드부재(220a)는 제2안내부(20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정착롤러(170), 가이드부재(200, 200a), 제1, 제2아암(210, 220), 탄성부재(240), 센서(290)는 하나의 유닛으로서 정착유닛을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착유닛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양면인쇄를 하는 경우 또는 용지로서 이면지를 사용할 경우에 그 배면에 형성된 화상이 정착롤러의 열에 의해 녹으면서 가이드부재 또는 용지의 진행경로에 부착됨으로써 발생되는 용지 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10)

  1. 토너화상을 용지에 정착시켜 배지경로로 배출시키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로서,
    서로 대면되어 회전되면서 전자사진방식에 의해 용지에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정착시키는 한 쌍의 정착롤러;
    용지의 폭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로부터 배출되는 용지를 상기 배지경로로 안내하는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의 출측으로부터 상기 배지경로 쪽으로 연장된 제1안내부를 가진 다수의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 사이에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로부터 나오는 용지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용지를 상기 배지경로 쪽으로 안내하는 제1아암;
    상기 제1아암을 상기 용지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 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 중에서 상기 제1아암에 인접된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안내부보다 그 길이가 짧은 제2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로부터 나오는 용지를 검출하는 센서;
    상기 제1아암과 함께 회동되면서 상기 제1아암이 상기 용지에 접촉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센서를 ON/OFF시키는 제2아암;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암이 상기 용지의 화상영역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는 그 폭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이송되며,
    상기 제1아암은 상기 용지의 폭방향의 중앙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는 그 폭방향의 일측 가장자리를 기준으로하여 이송되며,
    상기 제1아암은 사용가능한 최소폭을 갖는 용지를 가이드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6. 전자사진방식에 의해 용지에 토너화상을 전사시키는 인쇄유닛;
    서로 대면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상기 토너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키는 한 쌍의 정착롤러;
    정착이 완료된 용지가 배출되는 배지경로;
    용지의 폭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로부터 배출되는 용지를 상기 배지경로로 안내하는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의 출측으로부터 상기 배지경로 쪽으로 연장된 제1안내부를 가진 다수의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 사이에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로부터 나오는 용지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용지를 상기 배지경로 쪽으로 안내하는 제1아암;
    상기 제1아암을 상기 용지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 중에서 상기 제1아암에 인접된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안내부보다 그 길이가 짧은 제2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로부터 나오는 용지를 검출하는 센서;
    상기 제1아암과 함께 회동되면서 상기 제1아암이 상기 용지에 접촉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센서를 ON/OFF시키는 제2아암;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암이 상기 용지의 화상영역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는 그 폭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이송되며,
    상기 제1아암은 상기 용지의 폭방향의 중앙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는 그 폭방향의 일측 가장자리를 기준으로하여 이송되며,
    상기 제1아암은 사용가능한 최소폭을 갖는 용지를 가이드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30075238A 2003-10-27 2003-10-27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0561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238A KR100561473B1 (ko) 2003-10-27 2003-10-27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10/958,398 US7142802B2 (en) 2003-10-27 2004-10-06 Fixing unit used with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238A KR100561473B1 (ko) 2003-10-27 2003-10-27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078A KR20050040078A (ko) 2005-05-03
KR100561473B1 true KR100561473B1 (ko) 2006-03-16

Family

ID=34511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238A KR100561473B1 (ko) 2003-10-27 2003-10-27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142802B2 (ko)
KR (1) KR1005614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8820B2 (en) * 2006-04-04 2010-09-21 Finisar Corporation Communications module edge connector having multiple communication interface pads
JP5141207B2 (ja) * 2006-11-30 2013-02-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385541B1 (ko) * 2007-03-15 2014-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EP1970768B1 (en) * 2007-03-15 2014-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4770958B2 (ja) * 2009-03-26 2011-09-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1219271A (ja) * 2010-03-25 2011-11-04 Seiko Epson Corp 記録装置
JP6268910B2 (ja) * 2013-10-22 2018-01-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354727B2 (ja) * 2015-10-09 2018-07-1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039273B2 (ja) * 2017-02-10 2022-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509345B1 (en) * 2018-06-15 2019-12-17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orrecting curl of pap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386B1 (ko) 2000-08-26 2002-1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42802B2 (en) 2006-11-28
US20050089352A1 (en) 2005-04-28
KR20050040078A (ko) 2005-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476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527499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968964B2 (ja) 画像形成装置
US7810805B2 (en) Sheet discharg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750155B1 (ko) 정착장치,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인쇄방법
JP4995247B2 (ja) 画像形成装置
US7424257B2 (en) Paper guid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561473B1 (ko)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CN111620167B (zh) 成像设备
JPH09325560A (ja) 画像形成装置
JP4946390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20027425A1 (en) Medium detection device and image formation apparatus
US2008018738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4074025B2 (ja) 画像形成装置
JP5341226B2 (ja) 画像形成装置
JP4975518B2 (ja) 画像形成装置
EP1400872A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JP419372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1147175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039151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717133B2 (ja) 清掃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952024B2 (ja) 画像形成装置
JP5736855B2 (ja) 転写装置、画像形成装置
JP2016057399A (ja) 画像形成装置
JP2023164162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