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793B1 - 자동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 Google Patents

자동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793B1
KR100739793B1 KR1020060011242A KR20060011242A KR100739793B1 KR 100739793 B1 KR100739793 B1 KR 100739793B1 KR 1020060011242 A KR1020060011242 A KR 1020060011242A KR 20060011242 A KR20060011242 A KR 20060011242A KR 100739793 B1 KR100739793 B1 KR 100739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scanning module
document
scanning
orig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1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793B1/ko
Priority to US11/643,987 priority patent/US8730539B2/en
Priority to CN2007100061467A priority patent/CN101018273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72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with refeeding for double-sided scanning, e.g. using one scanning head for both sides of a shee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06B9/50Bear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72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with refeeding for double-sided scanning, e.g. using one scanning head for both sides of a sheet
    • H04N1/00575Inverting the sheet prior to refeeding
    • H04N1/00578Inverting the sheet prior to refeeding using at least part of a loop, e.g. using a return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72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with refeeding for double-sided scanning, e.g. using one scanning head for both sides of a sheet
    • H04N1/00575Inverting the sheet prior to refeeding
    • H04N1/0058Inverting the sheet prior to refeeding using at least one dead-end path, e.g. using a sheet eject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02Feed 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12Path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15Guiding elements, e.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78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 E06B2009/785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by belts, straps, bands, tapes, cords, tassels

Abstract

자동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화상독취장치에 따르면, 편면 독취 경로인 심플렉스 경로, 심플렉스 경로와 구분되며 양면 독취 모드시 복수의 원고를 서로 다른 위치에서 이송하는 듀플렉스 경로, 경로 선택 수단, 원고의 제2 면이 먼저 독취되게 하는 전환 수단을 포함하며, 양면 독취 모드시 원고 사이의 이격 거리를 줄이며 회송 경로의 길이를 짧게 하고 제2 면을 먼저 독취함으로써 양면 독취된 원고가 페이지 정렬된 상태로 배출되며 양면 독취 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Description

자동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Image reading apparatus including a automatic document feeder}
도 1은 종래의 자동급지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지장치에 있어서, 심플렉스 경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지장치에 있어서, 듀플렉스 경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듀플렉스 경로에서 제1 원고 및 제2 원고가 서로 독립적으로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듀플렉스 경로에서 제1 원고의 후단부 및 제2 원고의 선단부 위치가 동기화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자동급지장치 20...급지대
30...배지대 40...표시패널
50...제1 평판유리 51...제2 평판유리
70...원고안내부재 90...스캐닝 모듈(scanning module)
99...스캐닝 유니트 100...인쇄 유니트
101...화상독취장치 본체 110...급지 카세트(cassette)
300...배지 트레이(tray) 501...자동급지장치 본체
401...픽업부(pick up portion) 402...제1 픽업 롤러(pick up roller)
403...픽업 벨트(pick up belt) 404...제2 픽업 롤러
406...정렬기 407...분기점
408...제1 피드 롤러 410...제2 피드 롤러(feed roller)
412...배출 롤러 414...회송 롤러
416...스택 롤러(stack roller) 450...원고 가이드
451...원고 가이드 선단부 455...힌지부(hinge portion)
459...원고 가이드 후단부 460...밀착 부재
469...탄성 부재 510...바이패스 경로(bypass path)
520...저장부(stack portion) 530...접속 경로
540...회송 경로
S1...제1 원고 S2...제2 원고
P1...제1 면 P2...제2 면
본 발명은 자동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고가 이동되면서 화상이 독취되는 자동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독취장치는, 광을 주사하여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읽어들이는 장치이다. 화상독취장치의 예를 들면, 스캐너(scanner), 팩시밀리(facsimile), 복합기 등이 있다.
화상독취장치에는 원고에 인쇄된 화상을 독취하는 스캐닝 모듈이 마련된다. 스캐닝 모듈은 원고에 광을 주사하여 원고에 인쇄된 가시 화상을 광 신호의 형태로 독취하고, 광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독취장치에 마련된 신호 처리 모듈로 보낸다.
원고를 독취하기 위하여는 스캐닝 모듈이 이동되거나, 원고가 이동될 필요가 있다. 스캐닝 모듈이 이동되는 화상독취장치를 보통 플랫-베드형(flat-bed type) 화상독취장치라고 한다. 이와 구별되는 개념으로써 원고가 이동되는 방식의 쉬트-피드형(sheet-feed type) 화상독취장치가 있다. 이하에서는 플랫-베드형 화상독취장치에 자동급지장치(ADF : auto document feeder)를 구비하여 쉬트-피드형을 겸하는 하이브리드형(hybrid type) 화상독취장치에 관하여 기술된다.
화상독취장치는 원고를 올려놓는 평판유리를 구비하고, 평판유리의 배면에 스캐닝 모듈을 구비한다. 스캐닝 모듈은 원고에 광을 주사하는 광 주사부, 원고를 독취하여 획득한 광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부를 구비한다. 하이브리드형(hybrid type) 화상독취장치에 구비되는 자동급지장치는 평판 유리의 상면에 마련되며 원고를 스캐닝 모듈로 이송한다. 평판 유리의 배면에 정지 상태로 위치한 스캐닝 모듈은 이송되는 원고로부터 화상을 독취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급지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양면 독취 가능한 자동급지장치가 도시된다. 도시된 자동급지장치는 급지대(81), 픽업 롤러(82), 회송 롤러(83), 제1 및 제2 피드 롤러(84,87), 밀착 부재(85), 스캐닝 모듈(86), 배출 롤러(88), 배지대(89)를 구비한다.
급지대(81)에는 독취될 원고(S1,S2)가 적재된다. 픽업 롤러(82)는 급지대(81)에 적재된 원고(S1,S2)를 픽업한다. 제1 피드 롤러(84)는 스캐닝 모듈(86)의 상류측에 마련되며 픽업 롤러(82)로부터 이송되는 원고(S1,S2)를 스캐닝 모듈(86)로 이송한다. 스캐닝 모듈(86)은 밀착 부재(85)와 대면되고, 그 대향면에 원고(S1,S2)가 통과되며 화상이 독취된다. 스캐닝 모듈(86)의 하류측에는 제2 피드 롤러(87)가 마련되며 스캐닝 모듈(86)을 통과한 원고(S1,S2)를 배출 롤러(88)로 이송한다. 배출 롤러(88)는 제2 피드 롤러(87)에서 이송된 원고(S1,S2)를 배지대(89)로 배출한다. 배지대(89)는 자동급지장치 외부로 배출되는 원고(S1,S2)를 적재한다. 양면 독취 모드시 편면이 독취된 원고(S1,S2)는 배지대(89)로 완전히 배출되지 않고 배출 롤러(88)에 일부가 물려 있다. 반대면의 독취를 위하여 배출 롤러(88)가 역회전되면서 원고(S1,S2)를 회송 롤러(83) 쪽으로 이송한다. 회송 롤러(83)는 편면 독취된 원고(S1,S2)를 스캐닝 모듈(86)의 상류측으로 회송한다.
원고(S1,S2)는 제1 면(P1)과 제2 면(P2)을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S1,S2)는 제1 면(P1)을 상면으로 하여 급지대(81)에 적재된다. 따라서, 2장의 원고(S1,S2)가 급지대(81)에 적재되는 경우, 상측부터 제1 원고(S1)의 제1 면(S1- P1), 제1 원고(S1)의 제2 면(S1-P2), 제2 원고(S2)의 제1 면(S2-P1), 제2 원고(S2)의 제2 면(S2-P2)의 순서로 적재된다. 또한, 독취 완료된 후 자동급지장치 외부로 배출되는 원고(S1,S2)는 페이지 정렬된(collated) 상태로 배지대(89)에 적재되어야 한다. 즉, 상측부터 제2 원고(S2)의 제2 면(S2-P2), 제2 원고(S2)의 제1 면(S2-P1), 제1 원고(S1)의 제2 면(S1-P2), 제1 원고(S1)의 제1 면(S1-P1)의 순서로 배지대(89)에 적재되어야 한다. 만약, 배지대(89)에 적재되는 페이지의 순서가 상술한 바와 다른 경우, 사용자가 페이지를 다시 정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므로 품질 만족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한편, 원고(S1,S2)의 제1 면(P1)을 독취하는 편면 독취 모드 및 원고(S1,S2)의 제1 면(P1)과 제2 면(P2)을 모두 독취하는 양면 독취 모드 중 선택되는 모드의 종류에 따라 원고(S1,S2)의 이송 경로가 달라진다. 편면 독취 모드가 선택되면, 원고(S1,S2)는 급지대(81), 픽업 롤러(82), 제1 피드 롤러(84), 스캐닝 모듈(86), 제2 피드 롤러(87), 배출 롤러(88), 배지대(89)의 순서로 이송된다. 배지대(89)에 적재되는 원고(S1,S2)의 페이지 순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양면 독취 모드가 선택되면, 원고(S1,S2)는 급지대(81), 픽업 롤러(82), 제1 피드 롤러(84), 스캐닝 모듈(86), 제2 피드 롤러(87), 배출 롤러(88)의 순서로 이송되며 원고(S1,S2)의 제1 면(P1)이 독취된다. 다음으로 원고(S1,S2)의 제2 면(P2)을 독취하기 위하여 배출 롤러(88)가 역회전하면서 원고(S1,S2)를 회송 롤러(83) 쪽으로 이송한다. 즉, 배출 롤러(88), 회송 롤러(83), 제1 피드 롤러(84), 스캐닝 모듈(86), 제2 피드 롤러(87), 배출 롤러(88)의 순서로 원고(S1,S2)가 이송되며 제 2 면(P2)이 독취된다. 이때, 페이지 순서는 제1 면(P1)을 상측으로 하므로 역순으로 배열된 상태이다. 페이지 순서를 정렬하기 위하여, 배출 롤러(88), 회송 롤러(83), 제1 피드 롤러(84), 스캐닝 모듈(86), 제2 피드 롤러(87), 배출 롤러(88)의 순서로 원고(S1,S2)가 다시 이송된다. 이때 스캐닝 모듈(86)은 동작되지 않으며 단지 페이지 정렬을 위하여 원고(S1,S2)가 이송될 뿐이다. 페이지 정렬만을 위하여 원고(S1,S2)가 재이송되므로, 편면 독취에 비하여 독취 효율이 대폭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독취 효율이란, 편면 독취 모드에서 단위 시간당 배출되는 원고(S1,S2) 매수에 대하여 양면 독취 모드에서 단위 시간당 배출되는 원고(S1,S2) 매수의 비율로 정의된다.
도시된 이송 경로에서는, 원고(S1,S2)의 잼(jam) 방지를 위하여 제1 원고(S1)가 완전히 배출된 다음에 제2 원고(S2)가 픽업되며 이송 개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서 원고(S1,S2) 1장에 대한 이송 길이를 비교해 보면, 양면 독취시의 이송 길이는 편면 독취시의 이송 길이의 약 3 배에 해당한다. 따라서, 편면 독취 속도가 60 PPM(papers per minute)으로서 1분에 60장이 배출된다고 가정하면, 양면 독취 속도는 약 20 PPM 정도로서 1분에 20장이 배출되며 양면 독취 효율은 약 30% 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양면 독취가 가능하고 배출되는 원고의 페이지 정렬이 가능하며 독취 효율이 대폭 향상된 자동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는,
원고를 이송하는 자동급지장치 및 상기 자동급지장치에서 이송되는 원고를 독취하는 스캐닝 모듈을 구비한 화상독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급지장치는,
편면 독취 모드시 상기 원고의 이송 경로가 되는 심플렉스 경로;
상기 심플렉스 경로와 구분되며 양면 독취 모드시 복수의 원고를 서로 다른 위치에서 이송하는 듀플렉스 경로;
편면 독취 모드시 상기 심플렉스 경로를 개방하고 양면 독취 모드시 상기 듀플렉스 경로를 개방하는 경로 선택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경로 선택 수단은, 상기 심플렉스 경로를 개방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듀플렉스 경로를 개방하는 제2 위치로 선택적으로 회동되는 원고 가이드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심플렉스 경로는, 상기 원고를 픽업하는 픽업부 및 상기 스캐닝 모듈이 배치되는 스캐닝 경로를 구비하며, 상기 듀플렉스 경로는, 상기 스캐닝 경로와, 상기 스캐닝 모듈의 상류측에서 상기 스캐닝 경로로부터 분기되는 것으로 상기 픽업된 원고를 일시 저장하는 저장부가 마련되는 바이패스 경로와, 상기 저장부의 원고를 상기 스캐닝 모듈의 상류측으로 복귀시키는 접속 경로와, 상기 접속 경로로부터 상기 스캐닝 모듈을 통과하면서 편면 독취된 원고를 상기 스캐닝 모듈의 상류측으로 다시 이송하는 회송 경로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바이패스 경로 및 상기 접속 경로는, 상기 스캐닝 경로 및 상기 회송 경로와 독립적으로 상기 원고를 이송한다.
일 실시예로서, 양면 독취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회송 경로를 통과한 제1 원고의 후단부가 상기 스캐닝 모듈에 도달되는 시점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2 원고의 선단부가 상기 제1 원고의 후단부에 이어 상기 스캐닝 모듈에 도달되는 시점이 동기화된다.
일 실시예로서, 제1 및 제2 면을 갖는 상기 원고는, 편면 독취 모드시 상기 제1 면이 독취되며, 양면 독취 모드시 상기 접속 경로로부터 상기 스캐닝 모듈을 통과하면서 상기 제2 면이 먼저 독취되고 상기 회송 경로로부터 상기 스캐닝 모듈을 다시 통과하면서 상기 제1 면이 독취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자동급지장치는, 상기 픽업된 원고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기 위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원고를 상기 접속 경로 쪽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스택 롤러; 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자동급지장치는,
상기 자동급지장치 외부로 배출되는 원고를 적재하는 배지대;
상기 스캐닝 모듈을 통과한 원고를 상기 배지대로 배출하기 위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배지대로 배출된 원고를 상기 회송 경로 쪽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배출 롤러; 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배출 롤러로부터 상기 회송 경로를 거쳐 상기 스캐닝 모듈에 이르는 이송 경로의 길이는, 상기 픽업부로부터 상기 스캐닝 모듈에 이르는 이송 경로의 길이보다 짧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픽업부는, 상기 원고를 픽업하기 위하여 무한 주행되는 픽업 벨트와, 상기 픽업 벨트를 주행시키며 그 양단부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픽업 롤러와, 상기 픽업된 원고의 선단부를 정렬하는 정렬기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자동급지장치는, 상기 스캐닝 모듈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원고를 이송하는 제1 및 제2 피드 롤러; 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자동급지장치는, 상기 회송 경로로부터 상기 스캐닝 경로 쪽으로 상기 원고를 이송하는 회송 롤러; 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화상독취장치는,
원고를 이송하는 자동급지장치 및 상기 자동급지장치에서 이송되는 원고를 독취하는 스캐닝 모듈을 구비한 화상독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급지장치는,
상기 원고를 픽업하는 픽업부 및 상기 스캐닝 모듈이 배치되는 스캐닝 경로;
상기 스캐닝 경로 중 상기 스캐닝 모듈의 상류측에서 분기되는 것으로 상기 픽업된 원고를 일시 저장하는 저장부가 마련되는 바이패스 경로;
양면 독취 모드시 상기 바이패스 경로를 개방하는 경로 선택 수단;
상기 바이패스 경로 및 상기 스캐닝 모듈의 하류측에 각각 마련되어 양면 독취 모드시 상기 원고를 뒤집는 제1 및 제2 반전 수단; 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면을 갖는 상기 원고는, 편면 독취 모드시 상기 제1 면이 독취되고, 양면 독취 모드시 상기 제1 반전 수단에 의하여 뒤집혀져 상기 제2 면이 먼저 독취된 다음 상기 제2 반전 수단에 의하여 다시 뒤집혀져 상기 제1 면이 독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경로 선택 수단은, 회동되면서 상기 바이패스 경로를 개폐하는 원고 가이드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반전 수단은, 상기 픽업된 원고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기 위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원고를 상기 접속 경로 쪽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스택 롤러와, 상기 저장부의 원고를 상기 스캐닝 모듈의 상류측으로 복귀시키는 접속 경로를 구비하며, 상기 스택 롤러에 진입된 원고의 후단부를 상기 접속 경로 쪽으로 진입되는 원고의 선단부로 전환시킨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 반전 수단은, 상기 자동급지장치 외부로 배출되는 원고를 적재하는 배지대와, 상기 스캐닝 모듈을 통과하면서 편면 독취된 원고를 상기 스캐닝 모듈의 상류측으로 다시 이송하는 회송 경로와, 상기 스캐닝 모듈을 통과한 원고를 상기 배지대로 배출하기 위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배지대로 배출된 원고를 상기 회송 경로 쪽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배출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 롤러에 진입된 원고의 후단부를 상기 회송 경로 쪽으로 진입되는 원고의 선단부로 전환시킨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바이패스 경로 및 상기 접속 경로는, 상기 스캐닝 경로 및 상기 회송 경로와 독립적으로 상기 원고를 이송한다.
일 실시예로서, 양면 독취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회송 경로를 통과한 제1 원고의 후단부가 상기 스캐닝 모듈에 도달되는 시점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2 원고의 선단부가 상기 제1 원고의 후단부에 이어 상기 스캐닝 모듈에 도달되는 시점이 동기화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배출 롤러로부터 상기 회송 경로를 거쳐 상기 스캐닝 모듈에 이르는 이송 경로의 길이는, 상기 픽업부로부터 상기 스캐닝 모듈에 이르는 이송 경로의 길이보다 짧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에 국한되지 않으며, 동일한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를 참조하면, 화상독취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스캐닝과 인쇄를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복합기가 도시된다. 화상독취장치는 인쇄 유니트(100) 및 스캐닝 유니트(99)를 구비한다. 도시된 인쇄 유니트(100)는 전자사진방식으로 화상을 인쇄한다. 도시된 스캐닝 유니트(99)는 자동급지장치(10)를 구비하여 플랫-베드 방식 및 쉬트-피드 방식으로 화상을 독취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방식이다.
인쇄 유니트(100)는 광주사 유니트(180), 현상 카트리지(140), 정착기(160), 급지 카세트(110)를 포함한다. x축 방향은 기록 매체(P) 및 원고(S)가 배출되는 부주사 방향이다. y축 방향은 부주사 방향에 직교하는 주주사 방향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잉크젯 방식이나 염료 승화 방식으로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유니트(100) 도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가능하다.
광주사 유니트(180)는 화상 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감광체(142)에 주사하여 감광체(142)의 외주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현상 카트리지(140)는 화상독취장치 본체(101)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일 실시예로서, 현상 카트리지(140)는 대전롤러(141), 감광체(142), 현상롤러(143), 공급롤러(144), 교반기(145), 토너 저장부(146)를 구비한다. 토너 저장부(146)는 토너를 저장한다. 현상 카트리지(140)는 토너 저장부(146)에 저장된 토너가 모두 소모되면 새 것으로 교체된다. 현상 카트리지(140)는 x축 음의 방향으로 핸들(147)을 밀면 화상독취장치 본체(101)에 장착되고, x축 양의 방향으로 핸들(147)을 당기면 화상독취장치 본체(101)에서 분리된다.
감광체(142)는 그 외주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며, 원통 드럼의 외주 면에 증착 등의 방법으로 광도전성 물질층이 코팅된다. 감광체(142)는 대전롤러(141)에 의하여 소정의 전위로 대전되고, 광주사 유니트(180)에서 조사된 광에 의해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 잠상이 그 외주면에 형성된다.
현상롤러(143)는 그 표면에 고체 분말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으며, 이들 토너를 감광체(142)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부착하여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현상롤러(143)에는 토너를 감광체(142)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현상롤러(143) 및 감광체(142)의 외주면이 서로 접촉되며 현상닙(Nip)을 형성하거나, 상기 외주면이 서로 이격되며 현상갭(Gap)을 형성한다. 현상닙(Nip) 또는 현상갭(Gap)은 현상롤러(143) 및 감광체(142)의 축방향을 따라 소정의 크기로 균일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현상갭이나 현상닙을 통하여 토너가 이동되며 현상이 이루어진다.
공급롤러(144)는 현상롤러(143)에 토너가 부착되도록 토너를 공급해준다. 교반기(145)는 토너 저장부(146) 내의 토너가 굳지 않도록 토너를 교반시키며 이를 공급롤러(144) 쪽으로 이송한다.
전사롤러(150)는 감광체(142)의 외주면에 대면되며, 감광체(142)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기록 매체(P)로 전사되도록 토너화상과 반대 극성의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감광체(142)와 전사롤러(150)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 및 기구적인 접촉압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기록 매체(P)로 옮겨진다.
정착기(160)는 서로 마주보는 가열롤러(미도시)와 가압롤러(미도시)를 구비하며, 기록 매체(P)에 전사된 토너 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P)에 정착시킨다.
배지롤러(170)는 정착이 완료된 기록 매체(P)를 인쇄 유니트(100) 외부로 배출한다. 인쇄 유니트(100) 외부로 배출된 기록 매체(P)는 배지 트레이(300)에 적재된다.
기록 매체(P)의 이동 경로는 다음과 같다. 인쇄 유니트(100)는 기록 매체(P)가 저장되는 급지 카세트(110)를 구비한다. 픽업롤러(120)는 급지 카세트(110)에 저장된 기록 매체(P)를 한 장씩 픽업(pick-up)하여 인출한다. 피드롤러(130)는 픽업된 기록 매체(P)를 현상 카트리지(140) 방향으로 이송한다. 감광체(142)와 전사 롤러(150) 사이에 기록 매체(P)가 통과되며 토너화상이 전사된다. 토너화상이 전사된 기록 매체(P)는 정착기(160)의 열과 압력에 의하여 정착된다. 정착이 완료된 기록 매체(P)는 배지롤러(170)에 의하여 배지 트레이(300)로 배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스캐닝 유니트(99)는 광을 주사하여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는 스캐닝 모듈(90), 원고를 올려놓는 평판 유리(50,51), 자동으로 원고를 급지하는 자동급지장치(10)(ADF : auto document feeder)를 구비한다. x축 방향은 부주사 방향으로서 스캐닝 모듈(90)이 화상을 독취하며 이동되는 방향이고, y축 방향은 주주사 방향으로서 스캐닝 모듈(90)이 원고의 화상을 일시에 독취하는 방향이다.
평판유리(50,51)는 자동급지장치(10)에 의하여 이송되는 원고가 접촉되는 제1평판유리(50)와 정지된 원고가 접촉되는 제2평판유리(51)를 구비한다. 제1평판유리(50)와 제2평판유리(51)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제1 및 제2평판유리(51)의 단부 사이에는 경사면을 가진 원고안내부재(70)가 마련된다. 원고안내부재(70)는 제1평판유리(50)를 통과하는 원고의 선단부를 배지대(30)로 안내한다. 표시패널(40)에는 인쇄 유니트(100) 및 스캐닝 유니트(99)의 동작 상태가 표시되고, 각종 조작키가 구비된다.
급지대(20)에 적재된 원고는 자동급지장치(10)에 의하여 제1평판유리(50)로 이송된다. 제1평판유리(50)의 배면에 정지되어 있는 스캐닝 모듈(90)은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독취한다. 독취된 원고는 배지대(30)로 배출된다.
자동급지장치(10)에 의하지 않고 낱장으로 공급되는 원고는 제2평판유리(51)의 상면에 놓여진다. 스캐닝 모듈(90)이 제2평판유리(51)의 배면에서 부주사 방향 으로 이송되며 정지된 원고의 화상을 독취한다. 스캐닝 모듈(90)은, 제1평판유리(50)의 배면에 위치할 때는 자동급지장치(10)로 공급되는 원고를 독취하고, 제2평판유리(51)의 배면에 위치할 때는 정지된 원고를 독취한다.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스캐닝 유니트(99)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지장치(10)에 있어서, 심플렉스 경로(simplex path)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지장치(10)에 있어서, 듀플렉스 경로(duplex path)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를 함께 참조하면, 화상독취장치 본체(101), 자동급지장치(10), 스캐닝 모듈(90), 제1 및 제2평판유리(50,51)가 도시된다. 자동급지장치(10)에는 서로 구분되는 심플렉스 경로와 듀플렉스 경로가 마련된다.
심플렉스 경로는 편면 독취 모드시 원고(S1,S2)의 이송 경로가 된다. 심플렉스 경로는 스캐닝 경로를 포함한다. 스캐닝 경로에는 픽업부(401) 및 스캐닝 모듈(90)이 마련된다. 픽업부(401)는 급지대(20)에 적재된 원고(S1,S2)를 낱장으로 픽업하여 스캐닝 모듈(90) 쪽으로 이송한다. 일 실시예로서, 픽업부(401)는 픽업 벨트(403)와, 제1 및 제2 픽업 롤러(402,404)와, 정렬기(406)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픽업 롤러(402,404)는 픽업 벨트(403)의 양단부를 지지하며 픽업 벨트(403)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무한 궤도를 주행하는 픽업 벨트(403)의 외주에 접촉되어 낱장으로 픽업된 원고(S1,S2)는 정렬기(406)에 의하여 그 선단부가 가지런하게 정렬된다.
스캐닝 모듈(90)은 밀착 부재(460)와 대면되며 제1평판유리(50)의 배면에 위치된다. 단색 화상독취장치에서, 스캐닝 모듈(90)은 원고(S1,S2)에서 반사된 광량 의 차이에 따라 원고(S1,S2)의 화상을 독취한다. 원고(S1,S2)에서 반사된 광량이 많을수록 스캐닝 모듈(90)에서 독취되는 화상은 백색에 가깝다. 주주사 방향으로 원고(S1,S2)의 폭이 스캐닝 모듈(90)의 길이보다 작은 경우 원고(S1,S2)의 주변부(주주사 방향을 따라 원고(S1,S2)의 폭을 벗어난 영역을 말한다.)는 흑색으로 독취된다. 원고(S1,S2)의 주변부에 주사된 광이 스캐닝 모듈(90) 쪽으로 반사되지 못하고 주위로 발산되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밀착 부재(460)가 마련된다. 밀착 부재(460)는 별도로 마련된 탄성 부재(469)에 의하여 탄성 바이어스되며 그 표면이 백색으로 되어 광을 잘 반사할 수 있고 원고(S1,S2)를 눌러서 제1평판유리(50)에 밀착시킨다.
일 실시예로서, 스캐닝 모듈(90)의 상류측에는 제1 피드 롤러(408)가 마련되어 원고(S1,S2)를 스캐닝 모듈(90) 쪽으로 이송하며, 스캐닝 모듈(90)의 하류측에는 제2 피드 롤러(410)가 마련되어 스캐닝 모듈(90)을 통과한 원고(S1,S2)를 배출 롤러(412) 쪽으로 이송한다. 제1 및 제2 피드 롤러(410)에 의하여 원고(S1,S2)의 안정적인 이송이 가능하다. 스캐닝 경로는 픽업부(401), 정렬기(406), 원고 가이드(450), 제1 피드 롤러(408), 밀착 부재(460), 제2 피드 롤러(410), 배출 롤러(412)에 이르는 원고(S1,S2)의 이송 경로로 정의된다.
경로 선택 수단(미도시)은 편면 독취 모드시 심플렉스 경로를 개방하고 양면 독취 모드시 듀플렉스 경로를 개방한다. 경로 선택 수단은 원고 가이드(450)를 구비한다. 원고 가이드(450)는 힌지부(455)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제1 및 제2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된다. 원고 가이드(450)는 편면 독취 모드시 심플렉스 경로를 개방 하는 제1 위치(도 4 참조)로 회동되고, 양면 독취 모드시 듀플렉스 경로를 개방하는 제2 위치(도 5 참조)로 회동된다. 양면 독취 모드시 원고 가이드(450)는 바이패스 경로(510)를 개방한다.
도 5에 도시된 듀플렉스 경로는 도 4에 도시된 심플렉스 경로와 구분되며 양면 독취 모드시 원고(S1,S2)의 이송 경로가 된다. 듀플렉스 경로는 상기 스캐닝 경로와, 바이패스 경로(510)와, 접속 경로(530)와, 회송 경로(540)를 구비한다. 스캐닝 경로는 상술한 바와 같다.
바이패스 경로(510)는 스캐닝 모듈(90)의 상류측에 위치한 분기점(407)에서 스캐닝 경로로부터 분기된다. 바이패스 경로(510)는 픽업부(401)에서 픽업된 원고(S1,S2)를 일시 저장하는 저장부(520) 및 스택 롤러(416)를 구비한다. 스택 롤러(416)는 픽업부(401)에서 픽업된 원고(S1,S2)를 저장부(520)에 저장하기 위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되며, 저장부(520)에 저장된 원고(S1,S2)를 접속 경로(530) 쪽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타 방향으로 회전된다. 바이패스 경로(510)는 원고 가이드(450)의 선단부(451), 원고 가이드(450)의 측면부, 스택 롤러(416), 저장부(520)에 이르는 원고(S1,S2)의 이송 경로로 정의된다.
접속 경로(530)는 스캐닝 경로와 바이패스 경로(510)를 연결하며 저장부(520)에 저장된 원고(S1,S2)를 스캐닝 모듈(90)의 상류측으로 복귀시키는 경로가 된다. 따라서, 접속 경로(530)는 스택 롤러(416)의 출측, 원고 가이드(450)의 배면(459), 제1 피드 롤러(408)의 입측에 이르는 원고(S1,S2)의 이송 경로로 정의된다.
회송 경로(540)는 스캐닝 모듈(90)을 통과하며 제1 면(P1)이 독취된 원고 (S1,S2)를 다시 스캐닝 모듈(90)의 상류측으로 회송하여 제2 면(P2)의 독취를 준비하는 경로이다. 회송 경로(540)에는 회송 롤러(414)가 마련된다. 회송 롤러(414)는 배출 롤러(412)로부터 이송되는 원고(S1,S2)를 스캐닝 모듈(90)의 상류측으로 이송한다. 따라서, 회송 경로(540)는 역회전되는 배출 롤러(412), 회송 롤러(414), 회송 경로(540)와 스캐닝 경로의 연결부에 이르는 원고(S1,S2)의 이송 경로로 정의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듀플렉스 경로와 달리,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듀플렉스 경로는 복수의 원고(S1,S2)를 서로 다른 위치에서 이송할 수 있으므로 양면 독취 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양면 독취 모드시 제1 원고(S1)는 급지대(20), 픽업부(401), 정렬기(406), 원고 가이드(450)의 선단부(451), 원고 가이드(450)의 측면부, 정회전되는 스택 롤러(416), 저장부(520), 역회전되는 스택 롤러(416), 접속 경로(530), 제1 피드 롤러(408), 스캐닝 모듈(90), 제2 피드 롤러(410), 정회전되는 배출 롤러(412)를 거치며 제2 면(P2)의 독취가 완료된다. 이때, 제1 원고(S1)의 선단부(LE1, 도 6 이하 참조)는 배지대(30)에 위치하며 제1 원고(S1)의 후단부(TE1, 도 6 이하 참조)는 배출 롤러(412)에 물려져 있는 상태이다. 이후, 배출 롤러(412)가 역회전하면서 배출 롤러(412)에 물려져 있는 제1 원고(S1)의 후단부(TE1)가 회송 경로(540)로 진입되는 제1 원고(S1)의 선단부(LE1)로 전환된다. 제1 원고(S1)는 역회전되는 배출 롤러(412), 및 회송 롤러(414)에 의하여 스캐닝 경로로 다시 진입된다. 스캐닝 경로에 재진입된 제1 원고(S1)는 제1 피드 롤러(408), 스캐닝 모듈(90), 제2 피드 롤러(410), 정회전되는 배출 롤러(412)를 거치며 제1 면(P1)의 독취를 완료한다. 제1 면(P1) 및 제2 면(P2)의 독취가 모두 완료된 제1 원고(S1)는 자동급지장치(10) 외부로 완전히 배출되며 배지대(30)에 적재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듀플렉스 경로에서 제1 원고(S1) 및 제2 원고(S2)가 서로 독립적으로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바이패스 경로(510) 및 접속 경로(530)는 스캐닝 경로 및 회송 경로(540)와 독립적으로 원고(S1,S2)를 이송한다. 제1 원고(S1)가 스캐닝 경로와 회송 경로(540)를 거치며 제1 면(P1) 및 제2 면(P2)의 독취가 진행되는 도중에, 제2 원고(S2)는 픽업부(401) 및 정회전되는 스택 롤러(416)에 의하여 바이패스 경로(510)로 진입되며 저장부(520)에 일시 저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원고(S1,S2)가 서로 다른 위치에서 한꺼번에 이송되면 양면 독취 효율이 향상된다. 그러나, 제1 및 제2 원고(S1,S2)의 중첩으로 인한 잼(jam)이 방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2 원고(S2)는 저장부(520)에 일시 저장되었다가 제1 원고(S1)와 중첩되지 않는 시점에 맞추어 스캐닝 모듈(90) 쪽으로 이송된다. 이때, 스택 롤러(416)는 역회전되면서 저장부(520)에 일시 저장된 제2 원고(S2)를 접속 경로(530)로 이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듀플렉스 경로에서 제1 원고(S1)의 후단부(TE1) 및 제2 원고(S2)의 선단부(LE2) 위치가 동기화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회송 경로(540)를 통과한 제1 원고(S1)의 후단부(TE1)가 스캐닝 모듈(90)에 도달되는 시점 및 저장부(520)에 저장된 제2 원고(S2)의 선단부(LE2)가 제1 원고(S1)의 후단부(TE1)에 이어 스캐닝 모듈(90)에 도달되는 시점이 동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2 원고(S1,S2)의 이격 거리를 최소로 하기 위하여, 회송 경로(540)를 통과한 제1 원고(S1)의 후단부(TE1)가 제1 피드 롤러(408)를 통과하는 제1 시점은, 접속 경로(530)를 통과한 제2 원고(S2)의 선단부(LE2)가 제1 피드 롤러(408)에 진입되는 제2 시점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시점 및 제2 시점은 제1 및 제2 원고(S1,S2)의 잼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시간 간격을 두고 서로 동기화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원고(S1,S2)의 잼이 방지되면서 제1 및 제2 원고(S1,S2) 사이의 이격 거리가 최소로 되므로 양면 독취 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자동급지장치(10)는, 양면 독취가 완료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오로지 페이지 정렬만을 위하여, 배출 롤러(88), 회송 롤러(83), 제1 피드 롤러(84), 스캐닝 모듈(86), 제2 피드 롤러(87), 배출 롤러(88)의 순서로 원고(S1,S2)를 다시 이송한다. 이때, 스캐닝 모듈(86)은 동작되지 않았다. 이러한 이송 경로는 양면 독취 효율을 크게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도 5 이하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반전 수단이 구비되어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한다. 편면 독취 모드시 원고(S1,S2)는 제1 면(P1)이 독취되며 제2 면(P2)은 독취되지 않는다. 편면 독취 모드시 원고(S1,S2)는 바이패스 경로(510) 및 회송 경로(540)를 통과하지 않는다. 바이패스 경로(510)에 마련된 스택 롤러(416)는 동작되지 않으며, 배출 롤러(412)는 일 방향으로 정회전되면서 원고(S1,S2)를 배지대(30)에 배출하는 기능만 수행한다.
제1 및 제2 반전 수단은 양면 독취 모드시 동작되며 원고(S1,S2)의 제2 면 (P2)이 먼저 독취되게 하고 이어서 제1 면(P1)이 독취되게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페이지 정렬만을 위하여 원고(S1,S2)를 다시 이송하는 경로를 생략시킨다. z축 양의 방향을 상측으로 정의할 때, 상측부터 제1 원고(S1)의 제1 면(S1-P1), 제1 원고(S1)의 제2 면(S1-P2), 제2 원고(S2)의 제1 면(S2-P1), 제2 원고(S2)의 제2 면(S2-P2)의 순서로 급지대(20)에 적재된 원고(S1,S2)는, 상측부터 제2 원고(S2)의 제2 면(S2-P2), 제2 원고(S2)의 제1 면(S2-P1), 제1 원고(S1)의 제2 면(S1-P2), 제1 원고(S1)의 제1 면(S1-P1)의 순서로 배지대(30)에 적재된다.
양면 독취 모드에서 제2 면(P2)의 독취가 먼저 수행되려면 스캐닝 모듈(90)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각각 1개씩의 반전 수단이 필요하다. 제1 반전 수단은 스캐닝 모듈(90)의 상류측인 바이패스 경로(510)에 마련되며, 스캐닝 모듈(90)에 진입되기 전의 원고(S1,S2)를 뒤집어 제2 면(P2)이 먼저 독취되게 한다. 제2 반전 수단은 스캐닝 모듈(90)의 하류측에 마련되며, 스캐닝 모듈(90)을 통과한 원고(S1,S2)를 다시 뒤집어 제1 면(P1)이 독취되게 한다.
제1 반전 수단은, 양방향 회전되는 스택 롤러(416), 접속 경로(530), 저장부(520)를 구비한다. 원고(S1,S2)를 저장부(520)에 일시 저장하기 위하여 스택 롤러(416)가 일 방향으로 정회전되면, 스택 롤러(416)에 진입된 원고(S1,S2)의 선단부(LE)는 저장부(520)에 위치하며 그 후단부(TE)는 스택 롤러(416)에 물려져 있다. 원고(S1,S2)를 스캐닝 모듈(90)의 상류측으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스택 롤러(416)가 타 방향으로 역회전되면, 스택 롤러(416)에 진입된 원고(S1,S2)의 후단부(TE)는 접속 경로(530) 쪽으로 진입되는 원고(S1,S2)의 선단부(LE)로 전환된다.
제2 반전 수단은, 양방향 회전되는 배출 롤러(412), 회송 경로(540), 배지대(30)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면(P2)이 먼저 독취된 원고(S1,S2)를 배출하기 위하여 배출 롤러(412)가 일 방향으로 정회전되면, 배출 롤러(412)에 진입된 원고(S1,S2)의 선단부(LE)는 배지대(30)에 위치하며 그 후단부(TE)는 배출 롤러(412)에 물려져 있다. 원고(S1,S2)를 회송 경로(540) 쪽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배출 롤러(412)가 타 방향으로 역회전되면, 배출 롤러(412)에 진입된 원고(S1,S2)의 후단부(TE)는 회송 경로(540) 쪽으로 진입되는 원고(S1,S2)의 선단부(LE)로 전환된다. 회송 경로(540)에 진입된 원고(S1,S2)는 회송 롤러(414)에 의하여 스캐닝 모듈(90)의 상류측에 복귀되며, 제1 피드 롤러(408)에 의하여 이송되고, 나머지 제1 면(P1)이 독취되며, 정회전되는 배출 롤러(412)에 의하여 자동급지장치(10)의 외부로 완전히 배출된다.
도 4 내지 도 7에는 각 롤러의 입측 및 출측에서 원고(S1,S2)의 이송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을 삼각형으로 둘러싼 알파벳으로 표시하였다. 이를 참조하면, 심플렉스 경로는 a-b-c-d-e-f-g 경로를 따른다. 듀플렉스 경로는 a-b-k-L-m-d-e-f-i-j-c-d-e-f-g 경로를 따른다.
최초 및 최후에 급지되는 원고(S1,S2)를 제외하고 양면 독취 효율을 대략적으로 계산해 본다. 제1 원고(S1)의 후단부(TE1)가 d 위치를 통과한 것이 감지되면 제2 원고(S2)의 선단부(LE2)는 m 위치를 통과하도록 동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원고(S1)의 후단부(TE1)가 d-e-f-g-f-i-j-c-d 경로를 거치며 제1 및 제2 면(P1,P2)의 독취를 완료하면 저장부(520)에 대기하던 제2 원고(S2)의 선단부(LE2)가 d 위치로 이송되며 동일한 이송 경로를 따른다. 설명의 편의상 심플렉스 경로인 a-b-c-d-e-f-g 경로와 듀플렉스 경로 중 d-e-f-g-f-i-j-c-d 경로의 길이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편면 독취 모드시 원고(S1,S2) 1장이 배출되는 시간과 양면 독취 모드시 원고(S1,S2) 1장이 배출되는 시간은 거의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최초 및 최후 원고(S1,S2)의 이송 거리, 원고(S1,S2) 사이의 이격 거리 등을 고려하면 양면 독취 효율은 80% 정도가 된다.
여기서, d-e-f-g-f-i-j-c-d 경로의 길이가 a-b-c-d-e-f-g 경로에 비하여 짧아질수록 양면 독취 효율은 향상될 것이다. 따라서, 배출 롤러(412)로부터 회송 경로(540)를 거쳐 스캐닝 모듈(90)에 이르는 이송 경로의 길이는, 픽업부(401)로부터 스캐닝 모듈(90)에 이르는 이송 경로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독취장치에 따르면, 심플렉스 경로와 구분되며 서로 다른 위치에서 복수의 원고를 이송할 수 있는 듀플렉스 경로가 마련되어 독취 효율이 향상되며, 간단한 구조를 갖는 경로 선택 수단에 의하여 심프렉스 경로 및 듀플렉스 경로의 선택이 신속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양면 독취 모드시 원고 사이의 이격 거리를 줄여 복수의 원고를 인접된 상태로 이송하면서 회송 경로의 길이를 짧게 하고 전환 수단에 의하여 제2 면을 먼저 독취함으로써 양면 독취된 원고가 페이지 정렬된 상태로 배출되며 양면 독취 효율이 종래에 비하여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 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원고를 이송하는 자동급지장치 및 상기 자동급지장치에서 이송되는 원고를 독취하는 스캐닝 모듈을 구비한 화상독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급지장치는,
    편면 독취 모드시 상기 원고의 이송 경로가 되는 심플렉스 경로;
    상기 심플렉스 경로와 구분되며 양면 독취 모드시 복수의 원고를 서로 다른 위치에서 이송하는 듀플렉스 경로;
    편면 독취 모드시 상기 심플렉스 경로를 개방하고 양면 독취 모드시 상기 듀플렉스 경로를 개방하는 경로 선택 수단;
    상기 스캐닝 모듈의 상류측에 마련되는 제1 반전 수단 및 상기 스캐닝 모듈의 하류측에 마련되는 제2 반전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선택 수단은,
    상기 심플렉스 경로를 개방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듀플렉스 경로를 개방하는 제2 위치로 선택적으로 회동되는 원고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심플렉스 경로는, 상기 원고를 픽업하는 픽업부 및 상기 스캐닝 모듈이 배치되는 스캐닝 경로를 구비하며,
    상기 듀플렉스 경로는, 상기 스캐닝 경로와,
    상기 스캐닝 모듈의 상류측에서 상기 스캐닝 경로로부터 분기되는 것으로 상기 픽업된 원고를 일시 저장하는 저장부가 마련되는 바이패스 경로와,
    상기 저장부의 원고를 상기 스캐닝 모듈의 상류측으로 복귀시키는 접속 경로와,
    상기 접속 경로로부터 상기 스캐닝 모듈을 통과하면서 편면 독취된 원고를 상기 스캐닝 모듈의 상류측으로 다시 이송하는 회송 경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경로 및 상기 접속 경로는,
    상기 스캐닝 경로 및 상기 회송 경로와 독립적으로 상기 원고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양면 독취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회송 경로를 통과한 제1 원고의 후단부가 상기 스캐닝 모듈에 도달되는 시점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2 원고의 선단부가 상기 제1 원고의 후단부에 이어 상기 스캐닝 모듈에 도달되는 시점이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면을 갖는 상기 원고는,
    편면 독취 모드시 상기 제1 면이 독취되며,
    양면 독취 모드시 상기 접속 경로로부터 상기 스캐닝 모듈을 통과하면서 상기 제2 면이 먼저 독취되고 상기 회송 경로로부터 상기 스캐닝 모듈을 다시 통과하면서 상기 제1 면이 독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7.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급지장치는,
    상기 픽업된 원고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기 위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원고를 상기 접속 경로 쪽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스택 롤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8.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급지장치는,
    상기 자동급지장치 외부로 배출되는 원고를 적재하는 배지대;
    상기 스캐닝 모듈을 통과한 원고를 상기 배지대로 배출하기 위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배지대로 배출된 원고를 상기 회송 경로 쪽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배출 롤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 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롤러로부터 상기 회송 경로를 거쳐 상기 스캐닝 모듈에 이르는 이송 경로의 길이는, 상기 픽업부로부터 상기 스캐닝 모듈에 이르는 이송 경로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10.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는,
    상기 원고를 픽업하기 위하여 무한 주행되는 픽업 벨트와,
    상기 픽업 벨트를 주행시키며 그 양단부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픽업 롤러와,
    상기 픽업된 원고의 선단부를 정렬하는 정렬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11.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급지장치는,
    상기 스캐닝 모듈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원고를 이송하는 제1 및 제2 피드 롤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12.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급지장치는,
    상기 회송 경로로부터 상기 스캐닝 경로 쪽으로 상기 원고를 이송하는 회송 롤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13. 원고를 이송하는 자동급지장치 및 상기 자동급지장치에서 이송되는 원고를 독취하는 스캐닝 모듈을 구비한 화상독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급지장치는,
    상기 원고를 픽업하는 픽업부 및 상기 스캐닝 모듈이 배치되는 스캐닝 경로;
    상기 스캐닝 경로 중 상기 스캐닝 모듈의 상류측에서 분기되는 것으로 상기 픽업된 원고를 일시 저장하는 저장부가 마련되는 바이패스 경로;
    양면 독취 모드시 상기 바이패스 경로를 개방하는 경로 선택 수단;
    상기 바이패스 경로 및 상기 스캐닝 모듈의 하류측에 각각 마련되어 양면 독취 모드시 상기 원고를 뒤집는 제1 및 제2 반전 수단; 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면을 갖는 상기 원고는, 편면 독취 모드시 상기 제1 면이 독취되고, 양면 독취 모드시 상기 제1 반전 수단에 의하여 뒤집혀져 상기 제2 면이 먼저 독취된 다음 상기 제2 반전 수단에 의하여 다시 뒤집혀져 상기 제1 면이 독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선택 수단은,
    회동되면서 상기 바이패스 경로를 개폐하는 원고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전 수단은,
    상기 픽업된 원고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기 위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원고를 상기 접속 경로 쪽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스택 롤러와,
    상기 저장부의 원고를 상기 스캐닝 모듈의 상류측으로 복귀시키는 접속 경로를 구비하며,
    상기 스택 롤러에 진입된 원고의 후단부를 상기 접속 경로 쪽으로 진입되는 원고의 선단부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전 수단은,
    상기 자동급지장치 외부로 배출되는 원고를 적재하는 배지대와,
    상기 스캐닝 모듈을 통과하면서 편면 독취된 원고를 상기 스캐닝 모듈의 상류측으로 다시 이송하는 회송 경로와,
    상기 스캐닝 모듈을 통과한 원고를 상기 배지대로 배출하기 위하여 일방향으 로 회전되고 상기 배지대로 배출된 원고를 상기 회송 경로 쪽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배출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 롤러에 진입된 원고의 후단부를 상기 회송 경로 쪽으로 진입되는 원고의 선단부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경로 및 상기 접속 경로는,
    상기 스캐닝 경로 및 상기 회송 경로와 독립적으로 상기 원고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양면 독취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회송 경로를 통과한 제1 원고의 후단부가 상기 스캐닝 모듈에 도달되는 시점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2 원고의 선단부가 상기 제1 원고의 후단부에 이어 상기 스캐닝 모듈에 도달되는 시점이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롤러로부터 상기 회송 경로를 거쳐 상기 스캐닝 모듈에 이르는 이송 경로의 길이는, 상기 픽업부로부터 상기 스캐닝 모듈에 이르는 이송 경로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20. 원고를 이송하는 자동급지장치 및 상기 자동급지장치에서 이송되는 원고를 독취하는 스캐닝 모듈을 구비한 화상독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급지장치는,
    상기 스캐닝 모듈이 배치되는 스캐닝 경로;
    상기 스캐닝 경로로부터 분기되는 것으로 상기 원고를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저장부가 배치되는 경로; 를 구비하며,
    상기 원고가 상기 스캐닝 모듈에 의하여 독취되기 전에는 상기 원고를 상기 저장부가 배치되는 경로에 일시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가 배치되는 경로에 저장된 원고는 다시 꺼내어져 그 일면이 상기 스캐닝 모듈에 의하여 독취되며, 상기 원고의 일면이 독취되고 상기 원고의 타면이 독취되기 전에는 상기 저장부가 배치되는 경로에 상기 원고를 일시 저장하지 않고, 양면 독취 모드시 상기 원고는 페이지 정렬된 상태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KR1020060011242A 2006-02-06 2006-02-06 자동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KR100739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242A KR100739793B1 (ko) 2006-02-06 2006-02-06 자동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US11/643,987 US8730539B2 (en) 2006-02-06 2006-12-22 Image reading apparatus having auto document feeder
CN2007100061467A CN101018273B (zh) 2006-02-06 2007-01-31 具有自动送纸装置的图像读取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242A KR100739793B1 (ko) 2006-02-06 2006-02-06 자동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9793B1 true KR100739793B1 (ko) 2007-07-13

Family

ID=38333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242A KR100739793B1 (ko) 2006-02-06 2006-02-06 자동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30539B2 (ko)
KR (1) KR100739793B1 (ko)
CN (1) CN1010182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9314B2 (en) * 2006-09-20 2011-11-1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apparatus
JP4818038B2 (ja) * 2006-09-25 2011-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み取り装置
JP4893255B2 (ja) * 2006-11-15 2012-03-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
KR101116614B1 (ko) * 2007-03-19 201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독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독취방법
US20080265501A1 (en) * 2007-04-26 2008-10-30 Foote Wayne E Preflipping sheets for a duplex operation
JP2008306295A (ja) * 2007-06-05 2008-12-18 Canon Inc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DE602008002867D1 (de) * 2007-08-09 2010-11-18 Oki Data Kk Bildlesevorrichtung, Bildgebungsvorrichtung, Bildgebungssystem mit Bildlesevorrichtung und Bildgebungsvorrichtung
JP5020018B2 (ja) * 2007-10-02 2012-09-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原稿搬送装置
JP5510636B2 (ja) * 2009-10-20 2014-06-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被搬送材搬送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2011105468A (ja) * 2009-11-18 2011-06-02 Seiko Epson Corp 被搬送材搬送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5480114B2 (ja) * 2010-11-29 2014-04-23 株式会社ミヤコシ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5881642B2 (ja) * 2013-05-24 2016-03-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WO2017127975A1 (en) * 2016-01-25 2017-08-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ing devices
JP7428038B2 (ja) * 2020-03-25 2024-02-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読み取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4241A (en) * 1986-08-04 1987-12-22 Eastman Kodak Company Recirculating document feeder
US5298937A (en) * 1993-01-04 1994-03-29 Eastman Kodak Company High productivity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simplex or duplex originals
JPH09166896A (ja) * 1995-10-11 1997-06-24 Ricoh Co Ltd 自動原稿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695B2 (ja) * 1986-05-30 1996-03-13 日立工機株式会社 両面印刷装置
US5504568A (en) * 1995-04-21 1996-04-02 Xerox Corporation Print sequence scheduling system for duplex printing apparatus
US5784680A (en) * 1995-10-11 1998-07-21 Ricoh Company, Ltd. Compact auto-document feeder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CN1110006C (zh) 1997-11-11 2003-05-28 全友电脑股份有限公司 影像扫描装置
US6209861B1 (en) * 1998-03-11 2001-04-03 Kyocera Mita Corporation Sheet transport device and automatic document feeder
JP2000235285A (ja) 1999-02-15 2000-08-29 Ricoh Co Ltd 両面画像形成装置
US6644652B1 (en) * 2002-04-26 2003-11-11 Xerox Corporation Motion control for sheets in a duplex loop of a printing apparatus
US20060280534A1 (en) * 2005-06-14 2006-12-14 Lexmark International, Inc.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reating a duplex scan using a single pass AD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4241A (en) * 1986-08-04 1987-12-22 Eastman Kodak Company Recirculating document feeder
US5298937A (en) * 1993-01-04 1994-03-29 Eastman Kodak Company High productivity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simplex or duplex originals
JPH09166896A (ja) * 1995-10-11 1997-06-24 Ricoh Co Ltd 自動原稿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30539B2 (en) 2014-05-20
CN101018273A (zh) 2007-08-15
US20070183004A1 (en) 2007-08-09
CN101018273B (zh) 201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793B1 (ko) 자동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KR100408951B1 (ko) 화상 형성 장치
JP5560657B2 (ja) 画像形成装置
JP5378438B2 (ja) 画像形成装置
JP4806058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自動原稿送り装置、画像形成装置
JP3452841B2 (ja) 原稿搬送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516693B2 (ja) 原稿供給装置
JP3748382B2 (ja) 画像形成装置の排紙処理装置
JP2012123123A (ja) 自動原稿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240109743A1 (en) Sheet conveyance apparatus,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860152B2 (ja) 複合型給紙ユニット及びその複合型給紙ユニット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686016B2 (ja) デジタル画像形成装置
JP2000085982A (ja) シ―ト収納/搬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4035132A (ja) 画像形成装置
JP3766082B2 (ja) 複合型給紙ユニット及びその複合型給紙ユニット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0107798A (ja) 画像形成装置
JP3446333B2 (ja) 画像形成装置
JPH09311514A (ja) 画像読取り複合装置
JP2001139207A (ja) 両面画像形成装置
JPH07325437A (ja)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JPH05238579A (ja) 除電装置
JPH09329922A (ja) 原稿送り装置
JPH1152634A (ja) 画像形成装置と画像形成処理システム
JP200415555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3076083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