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431B1 - 적재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복합기 - Google Patents

적재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복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431B1
KR100561431B1 KR1020040042505A KR20040042505A KR100561431B1 KR 100561431 B1 KR100561431 B1 KR 100561431B1 KR 1020040042505 A KR1020040042505 A KR 1020040042505A KR 20040042505 A KR20040042505 A KR 20040042505A KR 100561431 B1 KR100561431 B1 KR 100561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frame
discharge
paper
upper fram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7251A (ko
Inventor
김영민
박상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2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431B1/ko
Priority to US11/124,122 priority patent/US7828288B2/en
Publication of KR20050117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72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with refeeding for double-sided scanning, e.g. using one scanning head for both sides of a sheet
    • H04N1/00575Inverting the sheet prior to refeeding
    • H04N1/0058Inverting the sheet prior to refeeding using at least one dead-end path, e.g. using a sheet ejection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8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 B65H31/10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and applied at the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0Piling apparatus of which the discharge point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to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2Pile receivers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the force produced by an electrostatic transfer field formed between the second base and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transfer through an air gap
    • G03G15/163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the force produced by an electrostatic transfer field formed between the second base and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transfer through an air gap the field being produced by laying down an electrostatic charge behind the base or the recording member, e.g. by a corona device
    • G03G15/165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transporting the second base in the transfer area, e.g. guides
    • G03G15/1655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transporting the second base in the transfer area, e.g. guides comprising a rotatable holding member to which the second base is attached or attracted, e.g. screen transfer holding drum
    • G03G15/166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transporting the second base in the transfer area, e.g. guides comprising a rotatable holding member to which the second base is attached or attracted, e.g. screen transfer holding drum with means for conditioning the holding member, e.g. clea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Feeding path after the transfer point and up to the fixing point, e.g. guides and feeding means for handling copy material carrying an unfused toner im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9Refeeding path for composite cop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5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8Size; Dimensions relative to handling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Abstract

복합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복합기는 하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부프레임을 구비하여, 상부프레임이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움직이면서 적재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재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복합기{Multi-functional peripheral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aper stacker }
도 1은 종래의 복합기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분리하여 정면쪽에서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분리하여 후면쪽에서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이송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적재부에 인쇄용지를 적정하게 적재하는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적재부에 인쇄용지를 많이 적재하는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상부프레임 1101...가이드부
111...홈 1111...제1홈
1112...제2홈 1113...제3홈
112...화상입력부 120...하부프레임
1201...가이드홈 121...화상형성부
127...이송롤러 128...배지롤러
1291...이송가이드부 1292...배지가이드부
140...아이들롤러 141...지지부재
142...벨트
본 발명은 복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프레임을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배지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복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합기는 원고를 독취하여 화상을 입력하는 스캐닝기능과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기능 및 기타 다른 기능들을 하나의 장치 내에 통합함으로써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도 1은 종래의 복합기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합기는 화상형성부(10), 화상입력부(80)와 화상형성부(10) 및 화상입력부(80)의 사이에 설치되어 토너화상이 형성된 용지(S)가 배지되어 적재되는 배지부(70)를 구비한다.
화상형성부(10)는 원하는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의 하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용지카세트(20), 현상장치(30), 전사롤러(32), 정착장치(50) 및 배지장치(60)를 구비한다.
용지카세트(20)는 용지(S)를 적재하고 본체(1)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용지카세트(20)의 상측에는 용지(S)를 낱장 씩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21)가 설치되어 있다.
현상장치(30)는 레이저스캐닝유닛(LSU)과 같은 노광유닛(40)에 의하여 소정전위로 대전된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31)이 일부가 노출되어 용지(S)를 사이에 두고 전사롤러(32)에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전사롤러(32)는 감광드럼(31)에 대면하여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감광드럼(31)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용지(S)에 전사시킨다.
정착장치(50)는 용지(S)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어 전사롤러(32)에 의하여 용지(S)에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용지(S)에 융착시킨다.
배지장치(60)는 정착장치(50)에 의하여 토너화상이 융착된 용지(S)를 배지대(62)로 배출시킨다. 도면부호 61은 배지부(70)에 적재되는 용지(S)의 적재량을 검지하는 센서(out bin full sensor)이다.
화상입력부(80)는 본체(1)의 상측에 마련되어 원고에 광을 조사하여 화상을 입력하는 것으로, 본체(1)의 상측에 설치되는 유리판(82)과 본체(1)에 접히거나 또는 펼쳐지도록 설치되어 유리판(82)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커버(81)와 유리판(82)의 하측에 설치되어 유리판(82)위에 놓이는 원고(미도시)에 광을 조사하여 화상을 입력하는 이미지센서(83)를 구비한다.
용지카세트(20)로부터 픽업된 용지(S)는 용지이송경로를 거치면서 화상이 형성된 후 배지장치(60)를 거쳐 배지부(70)로 배출되어 적재된다. 배지부(70)에 적재되는 용지(S)의 양이 과도해지면 센서(61)가 이를 감지하여 배지부(70)에 적재되는 용지(S)의 적재량이 과도함을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복합기는 하부에 화상형성부(10)가 상부에 화상입력부(80)가 마련되어 있고 그 사이에 배지부(70)가 마련되어 있어, 화상입력부가 지지되는 구조가 취약한 편이다. 그러므로 복합기의 운반 시 화상입력부의 지지구조가 취약한 문제가 있다.
또한, 배지부(70)의 높이가 낮기 때문에 배지부(70)에 적재되는 용지(S)가 적을 뿐만 아니라 인쇄 시 용지(S)에 누적되어 있는 열이 배지부(70)내에 적체될 수 있다. 이렇게 적체된 열은 화상입력부(80)에 전달되어 화상입력부(80)의 성능을 저하 및 프레임의 열화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적재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배지부 의 적재량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상형성부로부터 발생된 열이 화상입력부에 전달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냉각기능을 보완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복합기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부프레임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프레임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움직이면서 적재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인쇄용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한 쌍의 배지롤러와 인쇄용지를 상기 배지롤러쪽으로 안내하는 배지가이드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배지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인쇄용지를 상기 배지가이드부쪽으로 안내하는 이송가이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송가이드부는 상기 배지가이드부의 내측에 겹치도록 설치되어 있어, 상기 상부프레임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움직일 때 인쇄용지의 이송경로의 길이도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배지롤러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이송롤러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배지롤러는 벨트에 의하여 상기 이송롤러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벨트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아이들롤러 및 지지부재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적재부의 높이를 복수의 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분리하여 정면쪽에서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분리하여 후면쪽에서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이송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적재부에 인쇄용지를 적정하게 적재하는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적재부에 인쇄용지를 많이 적재하는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하부프레임(120)과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10)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프레임(110)에는 원고를 독취하여 화상을 입력하는 화상입력부(112, 도 7참조)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프레임(120)에는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형성부(121, 도 7참조)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20)의 사이에는 상기 화상형성부(121)로부터 화상이 형성된 인쇄용지가 배출되어 적재되는 공간인 적재부(13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일측에는 가이드부(110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부(1101)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1201)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프레임(110)은 상기 가이드부(1101)가 상기 가이드홈(12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1101)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홈(1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홈(1201)의 내측면에는 돌출부(120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202)가 상기 복수의 홈(111)중 어느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부프레임(110)이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대하여 소정높이에 위치되도록 고정된다. 상기 복수의 홈(111)은 상기 상부프레임(110)이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전체높이를 복수의 단계로 나누어서 각 단계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각각 마련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202)는 상기 복수의 홈(111)에 삽입되었다가 이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 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1202)가 제1홈(1111)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상부프레임(110)이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대하여 가장 근접하여 있는 상태이며, 상기 적재부(130)의 높이가 가장 낮은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상기 화상형성장치(100)의 최초 완제품을 포장하여 출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보관할 때 상기 화상형성장치(100)의 높이를 최소상태에 있도록 한 것이다. 극단적으로는, 상기 화상입력부(112)의 하단면이 상기 배지부(130)의 배지면에 접촉할 수 있을 정도로 위치하도록 할 수 도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10)을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대하여 근접하도록 위치시켜, 상기 적재부(130)의 높이를 최소로 함으로써 상기 상부프레임(110)이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대하여 취약하게 지지되어 있는 구조를 보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장재 및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1202)가 제3홈(1113)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상부프레임(110)이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대하여 최대로 이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상기 적재부(130)의 높이가 전체 이동높이에 대하여 최대로 높은 높이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상기 화상형성장치(100)의 인쇄동작 시 화상이 형성된 인쇄용지를 상기 적재부(130)에 최대로 적재하고자 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인쇄하고자하는 양이 많은 경우에 상기 화상형성장치(100)의 상기 적재부(130)의 높 이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1202)가 제2홈(1112)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상부프레임(110)이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대하여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상기 적재부(130)의 높이가 도 4 및 도 5 높이에 대하여 중간정도의 높이이다.
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100)의 인쇄동작 시 화상이 형성된 인쇄용지를 상기 적재부(130)에 적정하게 적재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인쇄를 낱장 씩 인쇄하거나 인쇄하고자하는 양이 적당하거나 또는 적은 경우에 상기 화상형성장치(100)의 상기 적재부(130)의 높이를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상기 상부프레임(110)이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높이를 3단계로 구분하여 상기 적재부(130)의 높이를 조절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의 단계로 나누어서 상기 적재부(1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화상형성부(121)는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마련되어 있는 용지카세트(122), 현상장치(123), 전사롤러(124), 정착장치(126)와 상기 상부프레임(110)에 마련되어 있는 배지롤러(128)를 구비한다.
상기 용지카세트(122)는 용지(S)를 적재하고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용지카세트(122)의 상측에는 용지(S)를 낱장 씩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12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현상장치(123)는 레이저스캐닝유닛(LSU)과 같은 노광유닛(125)에 의하여 소정전위로 대전된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1231)이 일부가 노출되어 용지(S)를 사이에 두고 전사롤러(124)에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사롤러(124)는 상기 감광드럼(1231)에 대면하여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감광드럼(1231)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용지(S)에 전사시킨다.
상기 정착장치(126)는 용지(S)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전사롤러(124)에 의하여 용지(S)에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S)에 융착시킨다.
상기 배지롤러(128)는 상기 정착장치(126)에 의하여 토너화상이 융착된 용지(S)를 상기 배지부(130)로 배출시킨다.
도면부호 117은 상기 배지부(130)에 적재되는 용지(S)의 적재량을 검지하는 센서(out bin full sensor)이다. 상기 센서(117)는 상기 적재부(130)에 적재되는 용지(S)의 양을 감지하여 그 양이 많으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사용자는 적재부(130)에 적재된 용지(S)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 별도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상부프레임(110)을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대하여 상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거나 또는 별도의 모터 기타 구동원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상 방향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한편, 미리 인쇄작업 시작 전에 사용자에게 상기 상부프레임(110)을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대하여 상 방향으로 움직이게 할 것인지 물어보거나 또는 이를 기본설정으로 프로그램밍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쇄량에 따라 상기 적재부(1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동작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원은 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안 했지만 종래에 공지된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도면부호 127은 용지(S)의 이송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정착장치(126)를 통과한 용지(S)를 상기 배지롤러(128)쪽으로 이송시키는 한 쌍의 이송롤러를 나타낸다.
용지(S)의 이송경로를 따라 용지(S)가 이송되는 통로로서 상기 하부프레임(120)에는 이송가이드부(129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부프레임(110)에는 상기 이송가이드부(1291)가 겹쳐져 연결되도록 배지가이드부(129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이송가이드부(1291)는 상기 배지가이드부(1292)의 내측에 겹쳐지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배지가이드부(1292)가 상기 상부프레임(110)과 함께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이송가이드부(1291)는 상기 배지가이드부(1292)의 내측에서 슬라이딩된다.
따라서, 용지(S)의 이송경로의 길이도 상기 배지가이드부(1292)가 상기 이송가이드부(1291)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는 길이만큼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되며, 상기 이송가이드부(1291)를 통과한 용지(S)는 상기 배지가이드부(1292)쪽으로 용이하게 이송된다.
한편, 상기 배지롤러(128)는 상기 이송롤러(127)와 벨트(142)에 의하여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된다. 상기 벨트(142)는 중간에 아이들롤러(140) 및 지지부재(141)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어, 상기 상부프레임(110)이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더라도 상기 벨트(142)는 상기 아이들롤러(140) 및 지지부재(141)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이송롤러(127)의 회전력이 상기 배지롤러(128)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프레임(110)이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축간거리가 변화하는 상기 이송롤러(127)와 상기 배지롤러(128)사이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아이들롤러(140) 및 지지부재(141)에 의하여 상기 벨트(142)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이송롤러(127)의 회전력이 상기 배지롤러(128)에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화상입력부(112)는 상기 상부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상면을 덮거나 또는 노출시키는 커버(113)와 상기 커버(113)의 하면에 설치되어 광이 통과할 수 있는 유리판(114)과 상기 유리판(114)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유리판(114)의 상면에 놓이는 원고(미도시)에 광을 조사하고 이를 수광하여 원고(미도시)의 이미지를 독취하는 이미지센서(115)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의 적재부의 높이가 조절되는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프레임(110)을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대하여 최대한 근접하도록 하방으로 슬라이딩시킨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1202)를 상기 제1홈(1111)에 삽입시켜 고정시키면, 상기 적재부(130)의 높이는 제일 낮은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이송롤러(127)와 상기 배지롤러(128)간의 축 간거리는 가장 가까운 상태가 되며, 상기 벨트(142)는 상기 아이들롤러(140) 및 지지부재(141)에 지지되어 최대로 굽어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가이드부(1291)의 선단이 상기 배지가이드부(1292)에 내측에 겹쳐진 상태에 있어 용지이송경로가 최소가 된다.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프레임(110)을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대하여 최대한 멀어지도록 상방으로 슬라이딩시킨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1202)를 상기 제3홈(1113)에 삽입시켜 고정시키면, 상기 적재부(130)의 높이는 제일 높은 상태가 되어 용지를 최대로 적재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이송롤러(127)와 상기 배지롤러(128)간의 축 간거리는 가장 먼 상태가 되며, 상기 벨트(142)는 상기 이송롤러(127)와 배지롤러(128)의 축 간거리가 멀어지는 것에 대응하여 최대한 펴진 상태에서 상기 아이들롤러(140) 및 지지부재(141)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가이드부(1291)의 선단이 상기 배지가이드부(1292)의 끝단에 겹쳐지게 되어 용지이송경로가 최대로 길어지게 된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프레임(110)을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대하여 소정높이로 상방으로 슬라이딩시킨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1202)를 상기 제2홈(1112)에 삽입시켜 고정시키면, 상기 적재부(130)의 높이는 보통 인쇄상태에서 용지(S)가 적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복합기에서 용지에 화상이 형성되는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픽업롤러(1221)가 상기 용지카세트(122)에 적재된 용지(S)를 낱장 씩 픽업하여 용지이송경로를 따라 상기 현상장치(123)쪽으로 이송시킨다. 인쇄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노광유닛(125)이 상기 감광드럼(1231)의 표면에 광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면, 상기 현상장치(123)는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정전잠삼을 토너화상으로 만든다. 토너화상은 상기 전사롤러(124)에 의하여 상기 용지(S)에 전사되고 상기 정착장치(126)를 거치면서 토너화상이 용지(S)에 융착된다.
토너화상이 융착된 용지(S)는 상기 이송롤러(127) 및 상기 배지롤러(128)를 거쳐 배지통로(116)를 거쳐 상기 적재부(130)에 적재됨으로써 화상형성과정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적재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적재할 수 있는 용지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대량인쇄를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둘째, 적재부의 높이를 높여 공기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냉각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셋째, 적재부의 높이를 최소로 함으로써 화상입력부의 지지구조가 취약한 점을 보완하여 이송 중의 제품파손을 개선할 수 있으며, 포장재 및 포장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 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상부프레임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프레임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움직이면서 적재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인쇄용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한 쌍의 배지롤러와 인쇄용지를 상기 배지롤러쪽으로 안내하는 배지가이드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배지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인쇄용지를 상기 배지가이드부쪽으로 안내하는 이송가이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가이드부는 상기 배지가이드부의 내측에 겹치도록 설치되어 있어, 상기 상부프레임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움직일 때 인쇄용지의 이송경로의 길이도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롤러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이송롤러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롤러는 벨트에 의하여 상기 이송롤러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아이들롤러 및 지지부재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적재부의 높이를 복수의 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KR1020040042505A 2004-06-10 2004-06-10 적재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복합기 KR100561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505A KR100561431B1 (ko) 2004-06-10 2004-06-10 적재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복합기
US11/124,122 US7828288B2 (en) 2004-06-10 2005-05-09 Multi-functional peripheral device and adjustable paper output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505A KR100561431B1 (ko) 2004-06-10 2004-06-10 적재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복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251A KR20050117251A (ko) 2005-12-14
KR100561431B1 true KR100561431B1 (ko) 2006-03-17

Family

ID=35459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505A KR100561431B1 (ko) 2004-06-10 2004-06-10 적재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복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28288B2 (ko)
KR (1) KR1005614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689B1 (ko) * 2005-01-19 200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독취장치, 그 화상독취장치의 가이드필름 오염 체크방법 ,및 그 화상독취장치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JP4716894B2 (ja) * 2006-02-21 2011-07-06 株式会社沖データ 媒体収納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322708B2 (en) * 2009-05-22 2012-12-04 Kinpo Electronics, Inc. Paper stopper mechanism for paper-feeding apparatus
JP5566204B2 (ja) * 2009-07-10 2014-08-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5182883A (ja) * 2014-03-26 2015-10-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記録材排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記録材処理装置
JP6354681B2 (ja) * 2015-06-30 2018-07-1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シートガイド
EP3691982A4 (en) * 2017-10-05 2021-07-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UTOMATIC DOCUMENT FEEDERS
JP7031333B2 (ja) * 2018-01-31 2022-03-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7035624B2 (ja) * 2018-02-28 2022-03-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KR20210097417A (ko) * 2020-01-30 2021-08-09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스캐너부와 화상형성부 사이의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1277A (en) * 1914-02-07 1915-06-01 Thomas H Rogers Sheet transporting and stacking apparatus.
US2660432A (en) * 1948-09-04 1953-11-24 Owens Illinois Glass Co Apparatus for conveying and stacking box blanks
US2606669A (en) * 1950-04-14 1952-08-12 Fairfield Paper And Container Sheet conveying, stacking, and delivering apparatus
US4232987A (en) * 1977-12-16 1980-11-11 Giavelli Giordano Machine and service truck assembly for loading, unloading and storing ceramic tiles
US4279555A (en) * 1978-12-29 1981-07-21 Rydell Edmund W F Machine for stacking panels
US4322069A (en) * 1979-11-02 1982-03-30 Konishiroku Photo Industry Co., Ltd. Sheet sorting apparatus
JPS6091377A (ja) * 1983-10-25 1985-05-2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DE3588085T2 (de) * 1984-10-30 1996-10-17 Mita Industrial Co Ltd Elektrostatisches Kopiergerät
KR880002054A (ko) 1986-07-28 1988-04-28 이석형 복사지 분류장치
JPS6366065A (ja) 1986-09-09 1988-03-24 Ikegami Tsushinki Co Ltd 丁合装置
JPH01176775A (ja) 1987-12-28 1989-07-13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2708186B2 (ja) 1988-09-01 1998-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分類装置
US5870647A (en) * 1992-11-09 1999-02-09 Canon Kabushiki Kaisha Pedestal for supporting equipment
DE9304964U1 (de) * 1993-04-01 1994-08-04 Ruenzi Kurt Vorrichtung zum Sammeln von Papierblättern zu einem Stapel
JPH10109814A (ja) 1996-10-04 1998-04-28 Canon Inc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3606722B2 (ja) * 1997-10-15 2005-01-0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1326770A (ja) * 2000-05-17 2001-11-22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2002023437A (ja) * 2000-07-13 2002-01-2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2128374A (ja) 2000-10-24 2002-05-09 Kyocera Mita Corp 転写材搬送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076319B2 (ja) 2000-12-13 2008-04-16 株式会社リコー 用紙スタック装置
JP3684168B2 (ja) 2001-04-12 2005-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015582B2 (ja) * 2003-05-09 2007-11-28 ニスカ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75149A1 (en) 2005-12-15
KR20050117251A (ko) 2005-12-14
US7828288B2 (en) 201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8288B2 (en) Multi-functional peripheral device and adjustable paper output holder
JP6732548B2 (ja) シート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5107840A (ja) 後処理装置
US9335699B2 (en) Sheet convey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13789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0112709A (ja) シート排出装置、画像形成装置
JP2023153217A (ja) 画像形成装置
JP5244737B2 (ja) 画像形成装置
CN103818742A (zh) 供纸装置、原稿输送装置和图像形成装置
US7823871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housing incorporating the s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585342B2 (ja) 原稿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1172475A (ja) シート排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原稿搬送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04279692A (ja) 画像形成装置
JP2017024841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01016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1922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133151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163278A (ja) シート体収容装置
JP514617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063898A (ja) 画像形成装置
JP5246137B2 (ja) 画像形成装置、用紙排出装置
JPH08230260A (ja) 画像形成装置
JP538734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5178999A (ja)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4047004A (ja) シート分離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