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1718A - 에어백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백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21718A KR20010021718A KR1020007000277A KR20007000277A KR20010021718A KR 20010021718 A KR20010021718 A KR 20010021718A KR 1020007000277 A KR1020007000277 A KR 1020007000277A KR 20007000277 A KR20007000277 A KR 20007000277A KR 20010021718 A KR20010021718 A KR 200100217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body
- thin wall
- wall portion
- main body
- airba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35—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using displaceable mould parts, e.g. retractable partition between adjacent mould cavities
- B29C45/1639—Removable partitions between adjacent mould cavity por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29L2031/3038—Air bag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021/2172—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cover being connected to the surrounding part and to the module, e.g. floating mou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34—Nonself-supporting tubular film or bag [e.g., pouch, envelope, packet, et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5—Sheet, web, or layer weakened to permit separation through thicknes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9—Sheets or webs edge spliced or join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83—Hard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동차의 에어백용 패널은 어떠한 하나의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커버 몸체와 다른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주 몸체를 일체적으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패널은,
주 몸체에 형성된 개방부를 둘러싸도록 제공되는 커버 몸체와 결합되는 조인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부는 주 몸체의 개방부의 내부쪽에 정렬될 때에 상기 커버 몸체의 외주 모서리가 중첩되는 중첩부분을 구성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앞쪽 승객 시트의 전방에 정렬된 에어백은 기계 패널과 도어 트림과 같은 주 몸체의 후방쪽에 저장된다. 상기 에어백이 작동될 때, 상기 기계 패널에 장착된 에어백 커버(커버 몸체)는 개방되고, 상기 에어백은 기계 패널의 전방에서 팽창된다.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커버(92)와 기계 패널의 주 몸체(91)는 분리되는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 커버(92)는 도시되지 않은 고정부에 의하여 상기 기계 패널 주 몸체(91)에 고정된다. 상기 에어백은 에어백 커버(92)의 앞에 형성된 얇은 벽부분과 같은 약한 부분을 파열시킴으로써 상기 기계 패털의 전방에서 팽창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체를 가지는 에어백용 패널에서, 상기 기계 패널의 주 몸체(91)와 에어백 커버(92)의 각각은 분리된 방법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상기 기계 패널의 주 몸체(91)와 에어백 커버(92)의 각각에 대하여 어떠한 소정의 수의 제조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부재(91 및 92) 둘 다를 서로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조립 작업을 수행하고 고정부를 정렬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에어백의 전체적인 제조 가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기계 패널 대신에 도어 트림이 주 몸체에 세트되고 에어백 커버가 그 곳에 형성될 때 유사하게 발생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할 때에, 본 발명은 쉽고 또한 낮은 가격으로 제조되는 차량의 에어백용 패널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계 패널(instrument panel)과 도어 트림(door trim)과 같은 하나의 합성수지로 제조된 주 몸체에서 다른 합성수지로 제조된 에어백 커버(커버 몸체)를 형성하는 차량의 에어백용 패널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에어백용 패널을 단면도(도 2의 Ⅹ1-Ⅹ1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에어백용 패널의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실시예 1에 따른 에어백용 패널을 성형하는 방법에서 몰드의 정렬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얇은 벽부분의 원주를 도시하는 확대도.
도 5는 도 1의 얇지 않은 벽 부분의 원주를 도시하는 확대도.
도 6은 실시예 2에 따른 에어백용 패널의 단면도(도 2의 Ⅹ1-Ⅹ1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a 내지 7c는 실시예 2에 따른 에어백용 패널을 성형하기 위한 방법에서 몰드의 배치 평면도.
도 8은 실시예 3에 따른 얇지 않은 벽부분의 원주를 도시하는 확대도.
도 9는 실시예 4에 따른 에어백용 패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실시예 5에 따른 에어백용 패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Ⅹ2-Ⅹ2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2는 실시예 6에 따른 에어백용 패널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Ⅹ3-Ⅹ3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4는 실시예 8에 따른 에어백용 패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는 실시예 9에 따른 에어백용 패널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Y1-Y1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7은 실시예 12에 따른 에어백용 패널의 얇은 벽부분의 원주를 도시하는 확대도.
도 18은 실시예 13에 따른 에어백용 패널의 얇은 벽부분의 원주를 도시하는 확대도.
도 19는 실시예 14에 따른 에어백용 패널의 얇은 벽부분의 원주를 도시하는 확대도.
도 20은 실시예 15에 따른 에어백용 패널의 사시도.
도 21은 실시예 16에 따른 에어백용 패널의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X4-X4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3은 실시예 16에 따른 에어백용 패널을 성형하는 몰드의 단면도.
도 24는 실시예 16에 따른 커버 몸체를 성형하는 몰드의 단면도.
도 25는 실시예 17에 따른 커버 몸체 원주의 단면도.
도 26은 실시예 18에 따른 에어백용 패널 원주의 단면도.
도 27은 실시예 20에 따른 에어백용 패널의 사시도.
도 28은 도 27의 X5-X5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9는 실시예 20에 따른 커버 몸체를 성형하는 몰드의 단면도.
도 30은 실시예 20에 따른 에어백용 패널을 성형하는 몰드의 단면도.
도 31은 실시예 20에 따른 에어백용 패널을 성형하는 몰드의 기본적인 부분의 단면도.
도 32는 실시예 20에 따른 에어백용 패널을 성형하는 몰드의 기본적인 부분의 단면도.
도 33은 실시예 22에 따른 에어백용 패널의 사시도.
도 34는 도 33의 X6-X6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5는 실시예 22에 따른 에어백용 패널을 성형하는 몰드의 단면도.
도 36은 실시예 22에 따른 커버 몸체를 성형하는 몰드의 단면도.
도 37은 실시예 22에 따른 에어백용 패널을 성형하는 몰드의 기본적인 부분의 단면도.
도 38은 실시예 23에 따른 에어백용 패널을 성형하는 몰드의 기본적인 부분의 단면도.
도 39는 실시예 25에 따른 에어백용 패널의 사시도.
도 40은 도 39는 X7-X7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1은 실시예 25에 따른 에어백용 패널을 성형하는 몰드의 단면도.
도 42는 실시에 26에 따른 에어백용 패널의 사시도.
도 43은 도 42의 X8-X8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4는 실시예 26에 따른 브라켓과 리브의 조인트 부를 전개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45는 실시예 26에 따른 브라켓의 평면도.
도 46은 도 45의 V-V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7은 실시예 26에 따른 돌출부 형성부의 확대 평면도.
도 48은 도 47의 Ⅶ-Ⅶ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9는 실시예 27에 따른 브라켓의 부분적인 확대 평면도.
도 50은 실시예 27에 따른 다른 브라켓의 부분적인 확대 평면도.
도 51은 종래 기술에서 에어백용 패널을 도시하는 사시도.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은 하나의 합성수지로 제조된 주 몸체와 다른 합성수지로 제조된 커버 몸체를 일체적으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 차량의 에어백용 패널이며, 상기 패널은,
상기 주 몸체에 형성된 개방부주위에 공급되는 커버 몸체와 조인트되는 조인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부는 커버 몸체의 외주 모서리가 주 몸체의 개방 모서리의 내부쪽에 정렬될 때 중첩되는 중첩부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중첩부는 기계 패널과 같은 주 몸체의 개방부(에어백의 부풀어 있는 부분)주위에 정렬되고, 여기에서 상기 커버 몸체(에어백 커버)의 외주 모서리는 주 몸체의 개방 모서리의 내부쪽에 정렬되도록 중첩된다. 그럼으로써, 상기 2개의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고정부 또는 연결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 작업의 수와 가격은 커버 몸체와 기계 패널과 같은 주몸체가 분리되게 형성되는 종래의 제품과 비교하여서 매우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청구항 2항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주 몸체의 합성수지는 경질의 합성수지이고, 커버 몸체의 합성수지는 연질의 합성수지가 양호하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에어백의 부풀러 있는 커버 몸체의 파열 작동은 연질의 합성수지에 의하여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고, 기계 패널과 같은 주 몸체는 경질의 합성수지에 의하여 우수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중첩 부분에서 2개의 부재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특정 수단으로서, 깔죽깔죽한 모양 또는 하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오목 볼록한 부분이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중첩된 부분에서 상기 주 몸체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커버 몸체의 성형때에 주 몸체의 볼록 오목한 부분의 오목한 부분내로 상기 커버 몸체의 합성 수지 부분을 맞물리는 것으로 부터 발생되는 소위 앵커 효과를 이용한다. 상기 2개의 부재의 조인트 강도는 상기 앵커 효과에 의하여 향상된다.
또한, 변형은 주 몸체의 개방부의 원주 모서리의 성형 때에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몸체가 주 몸체를 성형한 이후에 성형될 때에, 상기 중첩부의 볼록오목한 부분이 커버 몸체의 성형을 위하여 재료의 사출력에 대한 저항이 된다. 따라서, 상기 주 몸체의 개방부의 어떠한 원주 모서리도 주 몸체의 중첩부를 미는 사출력으로 인하여 변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와 같이 다른 특별한 수단으로서, 상기 주 몸체와 커버 몸체는 고주파 유도 가열 및 진동 용융결합에 의하여 상기 중첩부에서 조인트된다. 이러한 구성은 고주파 유도 가열 또는 진동을 적용시킴으로써 상기 주 몸체의 조인트부에 커버 몸체의 조인트 강도를 향상시킨다.
상술된 2개의 수단의 각각에서, 상기 주 몸체와 커버 몸체의 조인트 강도는 쉬운 방법과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와 같이, 폐쇄된 곡선 형상을 가지는 홈부가 커버 몸체에서 주 몸체 개방부의 단부의 경계부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의 작동때에 파열되는 얇은 벽부분과, 파열되지 않는 두꺼운 벽부분은 다중의 연속적인 선의 형상 또는 단일선 형상으로 상기 커버 몸체에 상기 홈부를 따라서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홈부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 벽부의 두께보다 더 얇은 벽부로 부터 쉽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압력이 상기 얇은 벽부에 적용될 때, 상기 얇은 벽부는 원주부보다 더 일찍 파열되고, 그래서 상기 얇은 벽부분은 에어백이 작동될 때 상기 커버 몸체의 파열부분이 된다.
상기 커버 몸체와 주 몸체의 경계부는 홈부로 인하여 쉽게 관찰될 수 있고, 또한 디자인면에서 우수한 외형이 홈형상에 따라서 주어질 수 있다.
상기 얇은 벽부분이 파열되고 커버 몸체가 개방될 때, 상기 얇은 벽부분을 형성하는 선의 형상과, 얇지 않은 벽부분을 형성하는 선의 형상은 커버 몸체에 세트됨으로써, 상기 얇지 않은 벽부분은 커버 몸체의 개방부의 개방 운동의 회전 중심축이 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에어백이 작동되고 상기 얇은 벽부분이 파열될 때, 회전 중심으로서 얇지 않은 벽 부분과의 회전 운동은 파열된 커버 몸체부에 적용되고, 상기 커버 몸체는 쉽게 개방된다. 따라서, 에어백의 부풀러 오르는 것에 대한 저항은 감소되고, 상기 에어백은 쉽게 부풀러오르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몸체의 개방부의 개방운동 회전 중심축으로 상기 얇지 않은 벽부분을 세트할 수 있도록 상기 얇지 않은 벽부분을 형성하는 선의 형상과, 얇은 벽부분을 형성하는 선의 형상의 조합은 아래에 언급되는 청구항 6 내지 1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예를 들면, 청구항 6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얇지 않은 벽부분은 커버 몸체의 상부쪽 또는 하부쪽위의 하나의 횡방향 선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얇은 벽부분은 얇지 않은 벽부분을 형성하는 선을 제외한 3개의 방향에서 홈부를 따라 U자형(개방된 한쪽과 사변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개방된 한쪽과 사변형으로 되는 커버 부분은 회전 중심에서와 같은 선 형상의 얇지 않은 벽 부분으로 쉽게 개방된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얇지 않은 벽부분은 커버 몸체의 상부쪽 또는 하부쪽의 하나의 횡방향 선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얇은 벽부분은 홈부의 전체 원주를 따라서 형성됨으로써, 상기 얇지 않은 벽부분을 형성하는 선은 내부쪽에 포함된다(도 9 참조).
이러한 경우에,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 몸체는 리브를 통하여 에어백 케이스에 연결된다. 상기 얇은 벽부분이 폐쇄된 곡선의 형상으로 형성될지라도, 폐쇄된 곡선 형상을 가지는 얇은 벽부분이 이것의 원주를 통하여 전체적으로 파열하여 상기 에어백이 작동될 때 제한으로 부터 해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커브는 흩어지지 않게 되는데, 왜냐 하면 상기 커버 몸체는 리브를 통하여 상기 에어백 케이스에 연결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성의 장점에 대하여, 상기 폐쇄된 곡선 형상의 얇은 벽부분은 이것의 원주를 통하여 전체적으로 파열되고, 상기 커버 몸체가 리브를 통하여 에어백 케이스에 연결될 때 주 몸체로 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작동에서 에어백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주 몸체에는 어떠한 응력도 적용되지 않는다. 또한, 주 몸체가 파열되고 파열된 부분이 흩어지는 현상은 없게 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얇지 않은 벽부분은 커버 몸체의 상부 및 하부쪽 각각에서 하나의 횡방향 선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얇은 벽부분은 커버 몸체의 왼쪽 측부와 오른쪽 측부 각각의 하나의 횡방향 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홈부를 따라서 형성되지 않는 제 2의 얇은 벽부분은 커버 몸체의 중심부에서 하나의 횡방향 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의 얇은 벽부분의 전체는 H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 참고).
이러한 경우에, 상기 커버의 중심에 제공된 제 2의 얇은 벽 부분은 파열되고, 상기 커버는 에어백의 부풀어 오르는 것에 대한 커버의 저항이 부가로 감소될 수 있도록 2방향에서 개방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서, 상기 얇지 않은 벽 부분이 커버 몸체의 상부쪽과 하부쪽위의 하나의 횡방향 선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얇은 벽 부분은 얇지 않은 벽 부분을 형성하는 선이 내부쪽에 포함될 수 있도록 홈부의 전체 원주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부를 따라서 형성되지 않는 제 2의 얇은 벽부분은 커버 몸체의 중심부에서 하나의 횡방향 선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의 얇은 벽부분의 전체는 2개의 사변형이 정렬된 형상으로 형성된다(도 14 참고).
결과적으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서의 것과 유사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의 중심에 형성된 제 2의 얇은 벽부분이 파열되기 때문에, 에어백의 부풀러오르는 것에 대한 저항이 부가로 감소된다. 이러한 경우에,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 몸체는 리브를 통하여 에어백 케이스에 연결된다. 그래서, 상기 커버는 에어백이 작동될 때 흩어지는 것으로 부터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얇지 않는 벽 부분은 커버 몸체의 왼쪽과 오른쪽 측부 각각에서 하나의 종방향 선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얇은 벽부분은 커버 몸체의 상부쪽과 하부쪽 각각에서 하나의 횡방향 선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홈부를 따라 형성되지 않는 제 2의 얇은 벽부분은 커버의 중심부에서 하나의 종방향 선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의 얇은 벽부분의 전체는 2개의 사변형이 정렬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17참고).
결과적으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의 것과 유사한 작동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에어백 케이스와 연결하기 위한 리브가 커버 몸체에 정렬되는 것이 양호하다.
즉, 청구항 1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리브는 얇지 않는 벽부분에 돌출되고, 연결 부재를 통하여 에어백 케이스에 연결된다.
상기 리브가 정렬되기 때문에, 상기 리브 근처의 부분은 강화되고, 상기 리브를 가지는 얇은 벽부분은 커버 몸체가 개방될 때 개방 운동의 회전 중심으로 신뢰성있게 세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가 연결 부재를 통하여 에어백 케이스에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에어백이 작동될 때 커버 몸체가 에어백 케이스로 부터 분리되는 것으로 부터 분리되는 것과 흩어지는 것으로 부터 신뢰성이 있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청구항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주 몸체의 개방부의 개방 모서리는 커버 몸체의 외주 모서리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양호하다. 이러한 기계적인 연결은 예를 들면, 코우킹(caulking)과 핏팅부(fitting portion)에 의하여 성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주 몸체와 커버 몸체는 예를 들면 코우킹에 의하여 서로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용융-접합과 같은 것을 사용하는 종래의 연결과 비교할 때 주 몸체와 커버 몸체에 사용되는 합성수지 재료에 요구되는 적합성에 제한이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주 몸체와 커버 몸체에 대하여 요구되는 것과 물리적인 성질을 만족시키는 재료를 넓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은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하는 에어백용 패널이다. 즉,
제 1의 합성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커버 몸체와;
제 1 합성수지 재료과 상용성(compatible)이 있으며 상기 커버 몸체를 형성한 이후에 2색 성형되는 제 2 합성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주 몸체와;
상기 커버 몸체의 외주 모서리에 제공되고 몰드 면과 결합되는 변형 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 몸체는 커버 몸체에 의하여 페쇄되는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 제한부는 주 몸체의 성형 시간에서 작용하는 성형 압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커버 몸체의 변형을 제한한다.
상기 주 몸체가 몰드내에서 반고체 상태로 커버 몸체와 2색 성형될 때, 큰 성형압력은 커버 몸체의 외주 모서리에 작용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커버 몸체는 변형 제한부에 의하여 몰드면과 결합되기 때문에, 성형 압력이 커버 몸체에 작용할 때라도 어떠한 커버 몸체도 변형되지 않는다. 이러한 점은 연질 재료가 커버 몸체의 재료로 사용될 때 특히 효과적이다.
또한,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변형 제한부는 각이진 단면을 가지는 볼록한 스트립 또는 오목한 홈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커버 몸체와 상기 몰드는 커버 몸체의 볼록한 스트립 또는 오목한 홈과, 상기 몰드면위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 몸체의 볼록한 스트립 또는 오목한 홈에 의하여 서로 쉽게 결합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커버 몸체의 외주 모서리가 후퇴되는 것과, 변형되는 것 등을 신뢰성있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청구항 16항은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하는 에어백용 패널이다. 즉,
제 1 합성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개방부를 구비하는 주 몸체와;
상기 제 1 합성수지 재료과 상용성 있는 제 2 합성수지 재료를 포함하고, 주 몸체를 성형한 이후에 2색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커버 몸체 및;
상기 개방부의 원주에 제공되고 몰드면과 결합되는 변형 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 몸체의 개방부는 커버 몸체에 의하여 폐쇄되고;
상기 변형 제한부는 주 몸체의 성형때에 작용하는 성형압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커버 몸체의 변형을 제한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에어백의 부풀러 있는 부분을 폐쇄하기 위한 커버 몸체는 몰드의 내부에서 반고체 상태로 있는 주 몸체에 대하여 상기 부풀러 있는 포트내에서 2색으로 성형될 때, 큰 성형압력이 에어백의 부풀러 있는 포트의 원주 모서리에서 주 몸체부에 작용한다. 여기에서, 상기 주 몸체는 변형 제한부에 의하여 몰드면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성형 압력이 작용할 때라도 주 몸체는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에어백의 부풀러 있는 포트의 원주 모서리의 형상은 이것의 소정 형상으로 부터 시프트되어서 파동형상으로 된다.
또한,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변형 제한부는 각이진 단면 또는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볼록한 스트립이 양호하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상기 주 몸체와 몰드는 주 몸체의 오목한 홈 또는 볼록한 스트립과, 몰드 면에 형성되고 상기 주 몸체의 볼록한 스트립 또는 오목한 홈에 대응되는 오목한 홈 또는 볼록한 스트립에 의하여 서로 쉽게 결합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파동형의 변형과 같은 주 몸체의 변형은 신뢰성이 있게 방지될 수 있다.
다음,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은 하나의 합성수지로 제조된 주 몸체와 다른 합성수지로 제조된 커버 몸체를 일체적으로 성형하고 에어백이 작동될 때 파열되는 얇은 벽부분을 제공함으로써 형성된 자동차의 에어백용 패널이다.
여기에서 상기 주 몸체와 커버 몸체는 단일 색으로 일체적으로 성형되고;
크랙 방지층은 커버 몸체의 얇은 벽부분을 제외한 부분인 일반적인 부분의 후방면에 제공되며;
상기 크랙 방지층은 일반적인 부분의 크랙을 방지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크랙 방지층은 폴리아미드(PA)로 제조되고 삽입 성형에서 커버 몸체의 후방면으로 제조되는 네트를 결합시킴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주 몸체의 개방부를 폐쇄하기 위한 주 몸체와 커버 몸체는 단일색으로 일체적으로 성형되고 합성수지 재료에 의하여 제조되며, 주 몸체와 커버 몸체의 경계부에서 재료사이의 차이에 의하여 발생되는 불연속성이 없으므로, 패널의 외부형상은 향상된다. 또한, 상기 주 몸체와 커버 몸체가 단일색으로 일체적으로 성형되기 때문에, 제조와 조립 작업이 감소된다.
또한, 상기 크랙 방지층은 커버 몸체의 일반적인 부분의 후방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합성수지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는 커버 몸체의 일반적인 부분은 에어백이 팽창될 때 부서진 부분과 같이 크랙되지 않는다.
또한, 청구항 19에 기재된 발명에서와 같이, 리브는 얇은 벽부분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의 후방면에 커버 몸체에 돌출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금속으로 제조되고 주 몸체의 측부로 부터 돌출하는 연결 부재는 리브에 연결되는 것이 양호하고, 돌출부는 상기 연결 부재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가 리브에 연결될 때 리브의 표면으로 물려 들어간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얇은 벽부분은 에어 백이 팽창될 때 파열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 몸체는 회전하고 힌지 중심으로서 리브의 루트(root) 근처의 부분으로 캐빈내로 개방된다. 이 때에, 상향으로 당기는 힘은 상기 커버 몸체에 적용된다. 그러나, 상기 커버 몸체의 연결 부재와 리브의 돌출부가 서로에 대하여 연결됨으로써, 상기 돌출부는 리브로 물려 들어가고, 커버 몸체는 연결부재로 부터 분리되지 않음으로써, 커버 몸체의 흩어짐은 신뢰성이 있게 방지된다.
다음으로, 예를 들면 에어백용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다음의 본 발명의 발명이 있게된다.
즉, 청구항 20에 기재된 발명에서와 같이, 하나의 합성수지로 제조된 주 몸체와 다른 합성수지로 제조된 커버 몸체를 일체적으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 차량의 에어백용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며, 이러한 방법은,
주 몸체와 커버 몸체의 각각을 형성하는 합성수지로 상용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재료를 제조하는 단계와;
몰드로서 수 또는 암 다이에서 이동가능한 코어를 정렬하는 단계와;
코어가 돌출하여서 대향되는 다이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제 2 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제 2 캐비티 부분과, 제 1 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제 1 캐비티를 부분사이의 부분을 저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캐비티 부분내로 제 1 부재의 재료를 사출하는 단계와;
상기 코어를 후퇴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 캐비티 부분사이의 소통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부재의 재료를 제 2 캐비티 부분과 소통 수분으로 사출시킴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부재의 중첩부분은 형성되어 부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부재는 일체적으로 제조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조 방법의 중요한 특징은 상기 주 몸체와 커버 몸체가 다음의 구성 및 방법에 의한 사출 성형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점이다.
즉, 상기 부재들을 성형하는 합성수지는 서로에 대하여 순응할 수 있도록 세트된다. 그래서, 상기 이동가능한 코어는 사출 성형을 위한 수 또는 암 다이에 정렬된다. 먼저, 상기 코어는 돌출하여서 대향된 몰드와 접촉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티 부분사이의 부분은 저지되고, 상기 주 몸체 또는 커버 몸체중의 하나의 재료으로서 제 1 부재의 재료는 제 1 캐비티 부분으로 사출됨으로써, 어떠한 제 1 재료도 제 2 캐비티내로 흐르지 않는다.
연속적인 제 2 공정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티가 서로에 대하여 소통될 수 있도록 후퇴하며, 상기 제 2 부재의 재료는 제 2 캐비티 부분내로 사출된다. 상기 2개의 부재가 2개의 캐비티 부분의 소통 부분에서 2개 부재의 중첩 부분을 성형하고, 또한 2개의 재료의 상용성을 사용하는 중첩 부분을 부착함으로써 일체적으로 제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제조 방법에서, 상기 주 몸체와 커버 몸체는 2색 성형에 의한 하나의 사출 성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므로, 상기 2개의 부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어떠한 고정부도 요구되지 않고, 어떠한 연결 작업 또한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조 작업의 수와 가격은 주 몸체와 커버 몸체가 분리되게 형성되는 종래의 제조와 비교하여서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소정 폭의 돌출 부분은 코어와 대향 몰드의 접촉부에서 대향된 몰드의 2개의 캐비티 경계부를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소정폭의 폐쇄된 곡선형상을 가지는 홈부는 제 1 및 제 2 부재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얇은 벽 부분은 에어백의 작동시간 때에 파열되고, 상기 에어백의 작동시간 때에 파열되지 않는 얇지 않는 벽 부분은 단일의 연속적인 선 형상 또는 다중의 연속적인 선 형상으로 상기 커버 몸체의 홈부를 따라서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원주 부분보다는 더 크게 돌출되고 매우 좁은 폭을 가지는 돌출부는 폐쇄된 곡선 형상을 가지는 홈부가 쉽게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코어에 대향된 몰드에 형성된다. 상기 홈부에 연속적으로 연결된 위치에서, 다른 위치에서 벽 부분의 두께보다 더 얇은 벽부분은 홈부를 형성함으로써 쉽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얇은 벽부분에 압력이 적용될 때에 상기 얇은 벽부분은 이것의 원주 부분보다 더 일찍이 파열되기 때문에, 상기 에어백이 작동될 때 상기 얇은 벽 부분은 커버 몸체의 파열된 부분이 된다.
상기 커버 몸체와 주 몸체(제 1 및 제 2 부재)의 경계부는 홈부에 의하여 쉽게 관찰될 수 있다. 또한, 디자인에서 우수한 외형은 홈부에 의존하면서 주어질 수 있다.
상기 얇은 벽부분이 파열되고 커버 몸체가 개방될 때, 상기 얇은 벽부분을 형성하는 선의 형상과, 상기 얇지 않은 벽부분을 형성하는 선의 형상은 커버 몸체로 세트됨으로써, 상기 얇지 않은 벽부분은 커버 몸체 개방부의 개방운동의 회전 중심축이 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에어백은 작동하고 얇은 벽부분이 파열될 때, 회전중심으로서 얇지 않은 벽 부분을 가진 회전운동은 깨진 커버부에 적용되고 커버 몸체가 쉽게 개방된다. 따라서, 에어백의 부풀러 오르는 것에 대한 저항은 감소되고, 상기 에어백은 쉽게 부풀러 오를 수 있다.
순응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재료의 결합은 주 몸체를 형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커버 몸체등을 형성하는 올레핀 엘라스토머(TPO)의 결합으로써 구성된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에어백용 패널(1)은 올레핀 엘라스토머(TPO)로 제조된 에어백 커버(커버 몸체)(20)가 경질의 합성수지로 폴리프로필렌 수지(PP)로 제조된 기계 패널에 의하여 구성된 주 몸체(10)로 일체적으로 성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버 몸체(20)과 결합되는 조인트부는 주 몸체(10)에 형성된 개방부(12)주위에 형성된다. 이러한 조인트부는 커버 몸체(20)의 외주 모서리(205)가 주 몸체(10)의 개방 모서리(105)의 내부쪽에 정렬되고 개방 모서리(105)와 중첩되는 중첩부(15)를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해서는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 에어백용 패널(1)은 패널에 에어백(81)을 저장하고, 차량의 전방 승객 시트쪽에 정렬된다. 상기 패널(1)은 기계 패널과 커버 몸체(에어백 커버)(20)에 의하여 형성된 주 몸체(10)로 구성된다. 얇은 벽부분(23)은 홈부(21)를 따라서 커버 몸체(20)에 형성되고, 에어백(81)의 작동때에 파열된다. 도 2의 S1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얇은 벽부분(23)의 연결 형상은 한쪽이 개방된 4변형 형상이다.
상기 주 몸체(10)와 커버 몸체(20)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올레핀 엘라스토머를 사용하는 2색 성형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2종류의 합성수지는 열가소성이고 순응성(공용성)을 가진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32)는 돌출하고 대향 몰드(35)의 돌출부(351)와 접촉하게 된다. 제 1 캐비티 부분(41)과 제 2 캐비티 부분(45)사이의 간극은 주 몸체(10)를 형성하는 제 1 부재의 재료로서 어떠한 폴리프로필렌 수지도 제 2 캐비티 부분(45)으로 흐르지 않도록 제지된다. 다음, 상기 주 몸체(10)를 형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제 1 캐비티 부분(41)내로 사출된다.
그 다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32)는 연속적인 제 2 공정에서 후퇴됨으로써, 상기 제 1 캐비티 부분(41)과 제 2 캐비티 부분(45)는 서로 소통된다. 그 다음, 커버 몸체(20)를 형성하는 제 2 부재의 재료로서의 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제 2 캐비티 부분(45)내로 사출됨으로써, 상기 부재(10)와 부재(20)의 중첩부(15)는 상기 캐비티 부분(41와 45)의 소통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2개의 부재(10와 20)는 이 2개의 재료의 순응성을 사용함으로써 이들 부재를 서로 부착시켜서 일체적으로 제조된다.
마지막으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가능한 몰드(35와 36)는 서로로 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성형된 제품(에어백용 패널(1))는 취출된다. 그 다음, 페인팅과 같은 공정은 필요에 따라서 수행된다.
그 다음, 상기 실시예에서, 기계 패널과 커버 몸체(20)에 의하여 형성된 주 몸체(10)는 연속적인 한번의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래서, 종래의 경우에 상기 2개의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어떠한 고정도 필요하지 않거나 또는 2개의 부재를 연결하는 어떠한 작업도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조 작업의 수와 가격은 종래의 제품과 비교하여서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W)의 돌출부(351)는 2개의 캐비티 부분(41 및 45)의 경계부를 따라서 대향 몰드(35)에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연속적인 돌출부(311)는 고정 몰드(31)의 소정의 단부에서 선(S1)을 따라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된 곡선의 형상으로 형성된 폭(W)의 홈부(21)는 커버 몸체(20)와 주 몸체(10)의 경계부에 형성된다. 상기 에어백(81)이 작동할 때에는 얇은 벽부분(23)은 파열되고, 에어백(81)이 홈부(21)를 따라서 연속적인 선(S1 및 R1)(도 2)의 형상으로 형성될 때 상기 얇지 않는 벽부분(24)는 파열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폐쇄된 곡선형상을 가지는 홈부(21)(도 2)는 대향된 몰드(35)의 원주에 위치되고 상기 원주로 부터 돌출되고 매우 좁은 폭(W)을 가지는 돌출부(351)를 형성함으로써 쉽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311)는 고정 몰드(31)에 형성되고 홈부(21)에 대향된다. 따라서, 홈부(21)에 인접된 위치에서, 다른 위치에서 벽부분 보다 더 얇은 벽부분(23)이 성형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얇은 벽부분(23)은 에어백(81)의 부풀러 오름에 의하여 발생되는 압력이 얇은 벽 부분(23)에 적용될 때 쉽게 파열된다. 그럼으로써, 상기 얇은 벽부분(23)은 에어백(81)이 작동할 때 파열된 부분으로 된다.
상기 얇지 않은 벽 부분(24)은 커버 몸체(20)의 상부쪽의 하나의 횡방향 선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얇은 벽부분(23)(두께 T)은 S1선으로 지시되는 얇지 않은 벽부분(24)을 형성하는 R1선을 제외하고는 3방향에서 상기 홈부(21)을 따라서 개방되는 한쪽에서 4변형 형상으로 형성된다(도 2참조). 그럼으로써, 4변형의 한쪽에서 개방 형상으로 파열되는 커버부는 회전중심으로서 선형의 얇지 않은 벽부분(24)으로 쉽게 개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몸체(20)와 주 몸체(10)의 경계부는 홈부(21)를 형성함으로써 쉽게 관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자인에서 우수한 외형은 홈부(21)의 형상에 의존하면서 얻어질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25)는 실시예 1에서 얇지 않은 벽부분(24)으로 돌출되고, 연결부재로 에어백 케이스(82)에 연결된다.
즉, 커버 몸체(20)의 후방쪽으로 돌출되는 리브(25)는 표면위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드를 가지는 금속 리테이너(251)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리브(25)는 볼트(252)와 너트(253)로 에어백 케이스(82)의 브라켓(811)에 고정된다.
상기 도면에서, 도면 부호 255는 에어백 케이스(82)의 브라켓(812)을 주 몸체(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물을 도시한다.
패널의 사출성형 방법에서, 오목한 부분(331)은 리브(25)가 형성될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몰드(33)에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에어백용 패널(1)은 리브(25)에 의하여 강화된다. 상기 리브(25)를 가지는 얇지 않은 벽부분(24)의 루트 부분은 개방시간 때에 커버 몸체(20)의 개방운동의 회전중심이 된다. 즉, 상기 얇은 벽부분(23)이 파열될 때, 커버 몸체(20)의 개방된 한쪽으로 4변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파열된 부분은 회전하고, 회전중심으로 리브(25)의 루트(C)(도 6)로 개방된다.
상기 리브(25)는 에어백 케이스(82)의 브라켓(811)에 연결 부재에 의해 견고하게 고청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 몸체(20)는 에어백(81)의 작동 때에 주 몸체(10)로 부터 분리될 때, 상기 커버 몸체(20)는 에어백 케이스(82)로 부터 이동되거나 또는 흩어지지 않는다.
다른 요소는 실시예 1의 요소와 유사하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3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얇지 않은 벽부분(24)의 최소 두께(T1)는 실시예 2에서 커버 몸체(20)의 두께(T2)보다 1.5배 이상으로 세트된다.
상기 최소 두께(T1)는 두껍지 않은 벽부분을 강화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리테이너(251)가 에어백(81)의 작동에 의하여 브라켓(811)로 부터 분리된다면, 상기 커버 몸체(20)의 개방 운동의 회전중심으로서 상기 얇지 않은 벽부분(24)는 거의 파열되지 않는다. 그럼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상기 에어백용 패널(1)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요소는 실시예 2의 요소와 유사하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서, 상기 얇지 않은 벽부분(24)은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서 커버 몸체(20)의 상부쪽위의 하나의 횡방향 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얇은 벽부분(23)은 폐쇄된 곡선(S2)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홈부(21)의 전체 외주를 따라서 형성됨으로써, 상기 얇지 않은 벽부분(24)을 형성하는 선 R1은 내부쪽에 포함된다.
상기 얇은 벽부분(23)은 폐쇄된 곡선(S2)의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어떠한 커버 몸체(20)도 리브(25)를 통하여 에어백 케이스(82)에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폐쇄된 곡선(S2)에 형성된 얇은 벽 부분(23)은 전체 원주를 통하여 완전하게 파열되고, 주 몸체(10)로 부터 분리될 때, 상기 커버 몸체(20)는 에어백이 작동될 때 분리되거나 흩어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 커버 몸체(20)가 전체 원주를 따라서 폐쇄되게 형성되는 얇은 벽부분(23)을 완전하게 파열시킴으로써 주 몸체(10)로 부터 분리되고, 이것은 다음과 같은 장점으로 된다. 즉, 상기 에어백이 작동할 때 어떠한 인장응력도 커버 몸체(20)에 의하여 주 몸체(10)에 적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주 몸체(10)가 에어백을 작동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응력에 의하여 손상되고, 어떠한 경우에서도 부분적으로 손상되며 흩어지지는 경우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럼으로써, 에어백의 안전은 크게 향상된다.
다른 요소는 실시예 2 및 3의 요소와 유사하다.
실시예 5
실시예 5에서, 도 10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서 리브(25)를 가진 얇지 않은 벽 부분(24)은 커버 몸체(20)의 상부쪽 및 하부쪽 각각에서 횡방향 선(R1 및 R2)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얇은 벽부분(23)은 커버 몸체(20)의 왼쪽 및 오른쪽 각각에서 종방향의 하나의 선(S31 및 S32)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홈부(21)를 따라서 형성되지 않는 제 2 얇은 벽부분(26)(도 11)은 커버 몸체(20)의 중앙부에서 종방향의 하나의 선(S33)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의 얇은 벽부분(23 및 26)은 H형상으로 완전히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중앙의 제 2 얇은 벽부분(26)은 에어백이 작동될 때 파열된다. 상기 커버 몸체(20)의 개방부는 회전 중심으로서 횡방향의 하나의 선(R1 및 R2)의 얇지 않은 벽부분(24)을 가지고, 도 11에서 왼쪽과 오른쪽에서 쉽게 개방된다.
다른 요소는 실시예 2의 요소와 유사하다.
실시예 6
실시예 6에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떠한 리브(25)도 실시예 5에 형성되지 않는다.
아무런 리브(25)도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에어백은 실시예 5와 비교하여서 보다 낮은 가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아무런 리브(25)도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에어백의 강도 또는 다른 성질은 실시예 5의 것에 비하여 매우 약하게 된다.
다른 요소는 실시예 5의 것과 유사하다.
실시예 7
실시예 7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지 않은 벽부분(24)의 최소 두께(T1)은 실시예 5에서 커버 몸체(20) 두께(T2)의 1.5배 이상으로 세트된다.
상기 최소 두께(T1)는 얇지 않은 벽부분을 강화하기 위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리테이너(251)가 에어백(81)의 작동에 의하여 브라켓(811)으로 부터 분리된다면, 커버 몸체(20)의 개방 운동의 회전중심으로서 얇지 않은 벽부분(24)은 거의 파열되지 않는다. 그럼으로써, 우수한 안정성으로 상기 에어백용 패널(1)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요소는 실시예 5의 것과 유사하다.
실시예 8
실시예 8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얇은 벽부분(23)은 실시예 5에서 커버 몸체(20)의 상부쪽 및 하부쪽에서 횡방향의 하나의 선(S34 및 S35)위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의 얇은 벽부분(23 및 26)은 2개의 사변형이 정렬되는 형상으로 완전하게 형성된다.
실시예 8에서, 폐쇄된 곡선에 형성된 상기 얇은 벽부분(23)은 전체 원주를 통하여 완전하게 파열됨으로써, 상기 커버 몸체(20)는 에어백의 작동때에 주 몸체(10)로 부터 분리된다.
결과적으로, 커버 몸체(20)로 부터의 어떠한 인장응력도 에어백의 작동때에 상기 주 몸체(10)에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 주 몸체(10)가 에어백을 작동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응력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과 어떤 경우에도 부분적으로 손상되고 흩어지는 상태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다른 요소는 실시예 5의 요소와 유사하다.
실시예 9
실시예 9에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서의 얇지 않은 벽부분(24)은 커버 몸체(20)의 왼쪽과 오른쪽 각각에서 종방향의 하나의 선(R3 및 R4)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얇은 벽부분(23)은 커버 몸체(20)의 상부쪽 및 하부쪽 각각의 횡방향 하나의 선(S34 및 S35)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홈부분(21)을 따라서 형성되지 않는 제 2의 얇은 벽부분(26)은 커버 몸체(20)의 중심부에서 종방향의 하나의 선(S36)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의 얇은 벽부분(23 및 26)은 H형상으로 완전하게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중앙의 제 2 얇은 벽부분(26)은 에어백이 작동할 때에 파열된다. 상기 커버 몸체(20)의 개방부는 회전중심으로서 상기 얇지 않은 벽부분(24)과 함께 도 11의 왼쪽 및 오른쪽에서 쉽게 개방된다.
다른 요소는 실시예 2의 요소와 유사하다.
실시예 10
실시예 10에서, 어떠한 리브(25)도 실시예에 형성되지 않는다.
어떠한 리브(25)도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에어백은 실시예 9와 비교하여서 보다 낮은 가격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리브(25)도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에어백의 강도 또는 다른 성질은 리브를 가진 에어백에서의 것보다 더 약하게 된다.
다른 요소들은 실시예 9의 것과 유사하다.
실시예 11
실시예 11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지 않은 벽부분(24)의 최소 두께(T1)는 실시예 9에서 커버 몸체(20)의 두께(T2)의 1.5배 이상으로 세트된다.
상기 최소 두께(T1)는 얇지 않은 벽부분을 강화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리테이너(251)가 에어백(81)의 작동에 의하여 브라켓(811)으로 부터 분리되고, 커버 몸체(20)의 개방 운동의 회전중심으로서 얇지 않은 벽부분(24)은 거의 파열되지 않는다. 따라서, 우수한 안정성을 가진 에어백용 패널(1)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요소들은 실시예 9의 것과 동일하다.
실시예 12
실시예 12에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얇은 벽부분(23)은 실시예 9에서 커버 몸체(20)의 오른쪽 및 왼쪽에서 종방향의 하나의 선(S31 및 S32)위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의 얇은 벽부분(23 및 26)은 2개의 사변형이 정렬되는 형상으로 완전하게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폐쇄된 곡선으로 형성된 상기 얇은 벽부분(23)은 전체 원주를 통하여 완전히 파열됨으로써, 상기 커버 몸체(20)는 에어백의 작동때에 주 몸체(10)로 부터 분리된다.
결과적으로, 커버 몸체(20)로 부터의 인장응력은 에어백의 작동때에 주 몸체(10)에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주 몸체(10)가 에어백을 작동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응력에 의하여 손상되고 그리고 어떠한 경우에서도 부분적으로 손상되어 흩어지는 위험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럼으로써, 에어백의 안정성은 향상된다.
다른 요소들은 실시예 9의 것과 유사하다.
실시예 13
실시예 13에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이 오목하고 볼록한 부분(159)이 중첩부분(15)에서 주 몸체(10)의 저면에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양면이 오목하고 볼록한 부분(159)은 상기 얇은 벽부분(23)은 물론이고 얇지 않은 부분에 형성된다.
이러한 양면이 오목하고 볼록한 부분(159)은 성형에 사용되는 양면이 오목하고 볼록한 형상이 부여되는 코어(32)를 사용하고, 그 다음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상기 코어(32)를 사용함으로써 2색 성형에 의하여 주 몸체(10)와 커버 몸체(20)를 성형함으로써 성형된다.
상기 얇은 벽부분(t)은 0.8 mm의 두께를 가진다.
다른 요소들은 실시예 1의 것과 유사하다.
실시예 13에서, 톱니 형상을 가지는 양면이 볼록하고 오목한 부분(159)은 주 몸체(10)의 중첩 부분(15)에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2개의 부재는 상기 양면이 오목하고 볼록한 부분(159)에서 상기 커버 몸체(20)의 앵커 효과로 인하여 견고하게 조인트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 몸체(20)는 에어백이 작동할 때 주 몸체(10)로 부터 분리되거나 흩어지지 않는다.
실시예 13에서는 실시예 1과 것과 유사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실시예 14
실시예 14에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이 오목하고 볼록한 부분(158)은 중첩 부분(15)에서 주 몸체(10)의 저면에 하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른 요소들은 실시예 13의 것과 유사하다.
실시예 14에서, 실시예 13과 유사하게, 앵커 효과는 중첩부분(15)에서 양면이 오목하고 볼록한 부분(158)에 의하여 향상됨으로써, 상기 주몸체(10)에 대한 커버 몸체(20)의 조인트 강도는 향상된다.
실시예 14에서, 실시예 1의 것과 유사한 효과가 또한 얻어진다.
실시예 15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5에서 에어백용 패널은 중첩 부분(15)에 형성된 금속 접합부(157)를 가짐으로써, 상기 주 몸체(10)와 커버 몸체(20)는 고주파 유도 가열 또는 진동 용융 접합에 의하여 결합된다.
다른 요소는 실시예 13의 것과 유사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용융 접합된 부분(157)은 고주파 유도 가열 또는 진동 용융 접합에 의하여 상기 부재(10 및 20)를 결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상기 2개 부재의 결합 강도는 향상된다.
이 실시예에서, 실시예 13의 효과와 유사한 효과가 또한 얻어질 수 있다.
실시예 16
도 21은 에어백용의 패널(1)의 예로서 기계 패널의 전방 승객쪽 부분을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상기 기계 패널은 고무와 충전제로 혼합된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경질의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된다. 거의 직사각형을 가지는 에어백의 부풀러 오른 부분으로서의 개방부(12)는 상기 주 몸체(10)의 후방 및 전방 방향(도 21의 경사진 수직 방향)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기계 패널의 주 몸체(10)의 상부면위에 형성된다. 상기 개방부(12)는 이후에 설명되는 2색 성형에 의하여 성형되는 커버 몸체(20)에 의하여 폐쇄되고, PP와 양립할 수 없는 PC(폴리카본네이트)/ABS(아크리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합금으로 구성된다. 도 22는 상기 개방부(12)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22에서, 커버 몸체(20)의 외주 모서리(205)는 주 몸체(10)의 개방부(12)의 개방 모서리(105)의 하부면을 따라서 굽혀지고, 상기 하부면에서 돌출되는 보스(14)에 의하여 코우크되어 고정된다. 즉,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많은 보스(14)는 주 몸체(10)의 개방 모서리(105)의 하부면위에서 서로 이격되며,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보스(14)는 커버 몸체(20)의 외주 모서리(205)를 통하여 하향으로 연장되고, 이들의 단부 선단은 가열에 의하여 압착됨으로써, 코우킹 상태가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커버 몸체(20)는 주 몸체(10)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커버 몸체(20)의 외주면은 전체 원주에서 계단식으로 하향됨으로써, 홈부(21)는 외주면과, 개방부(12)의 개방 원주면사이의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리브(25)는 이것의 전방쪽(도 22에서 커버 몸체(20)의 왼쪽)에서 커버 몸체의 후방면위에 형성된다. 상기 리브(25)는 커버 몸체(20)의 후방면을 따라서 직선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된다. 상기 리브(25)는 금속성 리테이너(251)로 피복된다. 상기 리브(25)는 볼트(252)와 너트(253)에 의하여 커버 몸체(20)뒤에 위치된 브라켓(811)에 연결된다. 에어백(81)을 저장하는 에어백 케이스(82)는 볼트(252)와 너트(253)에 의하여 브라켓(812)으로 주 몸체(10)의 삽입 재료(13)에 고정된다.
상기 커버 몸체(20)의 후방면은 전방쪽을 제외한 3개의 측부를 따라서 상기 면을 따라서 깊게 리세스되고, 상기 에어백이 팽창될 때 파열되는 얇은 벽부분(23)은 후방면과,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홈부(21)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백이 팽창될 때, 상기 커버 몸체(20)의 3개 측부에서의 얇은 벽부(23)(도 21)는 파열됨으로써, 상기 커버 몸체(20)는 힌지 중심으로서 상기 리브(25)의 루트 근처의 부분으로 캐빈(도 2의 상부쪽)으로 개방되고, 상기 에어백(81)은 개방부(12)를 부풀러 오르게 한다.
상기 에어백용의 패널(1)은 아래에 설명되는 2색 성형에 의하여 제조된다. 즉, 도 23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홈부(21)와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는 오목한 스트립(52)은 성형면의 외주에서 상부 몰드(5)내에서 미끄럼 형태의 대향 몰드(51)에 형성된다. 하부 몰드(6)내에서 미끄럼 코어(61)의 단부면은 상기 볼록한 스트립(52)의 단부면과 가압 접촉하게 되고, 상기 캐비티(C1)의 외부쪽에 있는 주 몸체의 성형 캐비티(C2)와 커버 몸체 캐비티(C1)는 서로 분리된다. 또한, 많은 칼럼의 오목한 부분(62)는 미끄럼 코어(61)의 단부면에 원주형상으로 서로로 부터 분리되고, 일정한 깊이에서 미끄럼 코어(61)의 내부로 연장된다. 이러한 오목한 부분(62)은 주 몸체의 성형 캐비티(C2)와 소통된다. PP 재료는 주 몸체의 성형 캐비티(C2)내로 사출됨으로써, 상기 주 몸체(10)가 성형된다. 이 때에, 상기 PP 재료는 오목한 부분(62)의 각각내로 동시에 공급됨으로써, 상술된 보스(14)가 성형된다.
상기 주 몸체의 성형 캐비티(C2)내에 경질의 합성수지가 반고형 상태로 여전히 있는 반면에, 상기 미끄럼 코어(61)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양으로 연속적으로 반복되고, 상기 주 몸체의 성형 캐비티(C2)와 커버 몸체의 성형 캐비티(C1)는 서로 소통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PP 재료과 양립할 수 없는 PC/ABS 합금 재료는 커버 몸체의 성형 캐비티(C1)내로 사출된다. 상기 커버 몸체의 성형 캐비티(C1)는 PC/ABS 합금 재료로 충전된다. 이러한 PC/ABS 합금 재료는 미끄럼 코어(61)를 반복함으로써 발생되는 간극 캐비티(C3)로 들어가고, 상기 커버 몸체(20)의 외주 모서리(205)가 됨으로써, 이것은 보스(14)의 외주 부분을 충전시킨다. 상기 PC/ABS 합금 재료는 이러한 상태에서 몰드로 부터 취출되고, 상기 주 몸체(10)의 개방부(12)(도 22)의 개방 모서리(105)의 저부면으로 부터 돌출되는 보스(14)의 단부 선단은 압착되어 열에 의해 코우크된다.
실시예 17
도 25는 커버 몸체(20)의 외주 모서리(205)와 주 몸체(10)의 연결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각이진 단면을 구비하는 볼록한 스트립(115)은 이것의 전체 원주에서 주 몸체(10)의 개방부(12)의 개방 모서리(105)의 저부면에 형성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오목한 홈(226)은 상기 주 몸체(10)와 2색 성형됨으로써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커버 몸체(20)의 외주 모서리(205)의 상부면위에 형성된다. 상기 볼록한 스트립(115)은 오목한 홈(226)으로 결합된다. 상기 오목한 스트립(115)와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볼록한 스트립(225)은 2색 성형 때에 상기 미끄럼 코어의 형성에 따라서 커버 몸체(20)의 외주 모서리(205)의 저부면에 형성된다. 상기 볼록한 스트립(225)은 에어백 케이스(82)의 브라켓(812)에서 굽힘 형성되는 오목한 홈(813)으로 결합된다(도 2). 그래서, 상기 커버 몸체(20)는 상기 오목한 홈(226)과 커버 몸체(20)의 볼록한 스트립(225)이 브라켓(812)의 오목한 홈(813)과 주 몸체(10)의 볼록한 스트립(115)에 각각 결합되는 상태에서 상기 주 몸체(10)와 브라켓(812)사이에서 지지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상기 커버 몸체(20)는 주 몸체(10)에 연결된다.
실시예 18
도 26은 커버 몸체(20)의 외주 모서리(205)와 주 몸체(10)의 연결 구조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면에서, 각이진 단면을 가지는 오목한 홈(116)은 전체 원주에서 주 몸체(10)의 개방부(12)의 개방 모서리(105)의 저부면에 형성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볼록한 스트립(228)은 상기 주 몸체(10)와 2색 성형으로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커버 몸체(20)의 외주 모서리(205)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오목한 홈(116)에 결합된다. 또한, 오목한 홈(116)과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오목한 홈(227)은 2색 성형을 위하여 미끄럼 코너의 형상에 따라서 커버 몸체(20)의 외주 모서리(205)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오목한 홈(227)은 에어백 케이스(82)의 브라켓(812)에 굽힘 형성되는 볼록한 스트립(814)에 결합된다(도 2). 그래서, 상기 커버 몸체(20)는 볼록한 스트립(228)과 커버 몸체(20)의 오목한 홈(227) 각각이 브라켓(812)의 볼록한 스트립(814)과 주 몸체(10)의 오목한 홈(116)에 결합되는 상태에서 상기 주 몸체(10)와 브라켓(812)사이에 지지된다. 따라서, 커버 몸체(20)는 주 몸체(10)에 연결된다.
실시예 19
상기 주 몸체(10)와 커버 몸체(20)는 2색 성형에 의하여 성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삽입체로서 전진 성형되는 주 몸체(10)로서 상기 주 몸체(20)를 성형하기 위한 방법 또는, 상기 주 몸체(10)와 커버 몸체(20)가 각각 성형되고 조립되는 방법을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실시예 17의 도 25에서 볼록한 스트립(115)과 오목한 홈(226 및813)의 결합 또는, 실시예 18의 도 26에서 볼록한 스트립(228, 814)과 오목한 홈(116 및 227)의 조합은 돌출 스트립의 어느 하나와 오목한 몸의 어느 하나의 결합에 의해서만 세트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볼록한 스트립과 오목한 홈의 각각의 단면 형상은 상기 실시예 각각의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 16에서의 보스(14)는 칼럼 형상으로 형성될 필요가 없지만, 사각형 기둥형상, 벽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스는 커버 몸체(20)의 측부에 정렬될 수 있다.
실시예 20
도 27은 에어백용 패널(1)의 예로서 기계 패널의 전방 승객 시트쪽 부분의 확대된 사시도이다. 상기 기계 패널은 고무와 충전제로 혼합된 열가소성 경질의 합성수지재료로 폴리프로필렌(PP)에 의하여 구성된다. 개방부(12)는 후방 및 전방 방향(도 27에서 경사진 수직방향)의 중심위치에서 상기 기계 패널의 주 몸체(10)의 상부면에서 거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개방부(12)는 이후에 설명되는 2색 성형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올레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O)로 구성된 커버 몸체(20)에 의하여 폐쇄된다. 이러한 개방부(12)의 단면은 도 28에 도시된다.
도 28에서, 주 몸체(10)의 개방부의 원주 모서리(113)는 커버 몸체(20)의 외주 모서리의 저부면을 따라서 굽혀지고, 상기 외주 모서리와 원주 모서리(113)은 서로에 대하여 용융 접합된다. 상기 주 몸체(10)의 개방부의 원주 모서리(113)의 표면은 전체 원주에서 계단식으로 하강됨으로써,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홈부(22)는 커버 몸체(20)의 외주면과 상기 면사이에 형성된다. 리브(25)는 커버 몸체(20)의 전방쪽(도 28에서 왼쪽)근처의 내부쪽에 커버 몸체(20)의 후방면에 형성된다. 상기 리브(25)는 커버 몸체(20)의 전방쪽을 따라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고, 전방으로(도 28의 왼쪽방향) 경사지게 돌출된다. 상기 리브(25)는 금속성 리테이너(251)로 피복되고, 볼트(252)와 너트(253)에 의하여 커버 몸체(20) 뒤쪽에 위치된 에어백 케이스(82)의 브라켓(811)에 연결된다. 상기 에어백(81)을 저정하는 에어백 케이스(82)는 브라켓(812)으로서 볼트(252)와 너트(253)에 의하여 주 몸체(10)의 삽입 재료(13)에 연결된다.
오목한 홈(222)은 3개의 측부를 따라서 커버 몸체(20)의 후방면에 형성되고, 상기 면을 향하여 각이진 단면에서 깊게 홈이 파인다. 상기 에어백의 팽창때에 파열되는 얇은 벽 부분(23)은 오목한 홈(222)과 커버면사이에 형성된다. 각이진 단면을 가지며 상기 오목한 홈(222)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볼록한 스트립(225)은 상기 리브(25)의 2개의 단부로 부터 커버 몸체(20)의 남아 있는 한쪽 측부(전방쪽)를 따라서 형성된다. 이러한 볼록한 스트립(225)은 이후에 설명되는 2색 성형에서 변형 제한부를 구성한다. 상기 에어백이 팽창될 때, 상기 얇은 벽부분(23)(도 27)은 커버 몸체(20)의 3개의 측부를 따라서 파열되고, 상기 커버 몸체(20)는 힌지 중심으로서 상기 리브(25)의 루트근처의 부분으로 캐빈(도 28의 상방으로)내로 개방됨으로써, 상기 에어백은 개방부(12)가 부풀어 오르게된다.
상기 에어백용 패널(1)은 이후에 설명되는 2색 성형에 의하여 제조된다. 즉, 도 29에서, 오목한 홈부(22)와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는 볼록한 스트립(52)은 이것의 성형면의 외주에서 상부 몰드(5)내에서 미끄럼형 대향몰드(51)에서 형성된다. 하부 몰드(6)내의 미끄럼 코어(61)의 단부면은 상기 볼록한 스트립(52)의 단부면과 가압 접촉하게 되고, 커버 몸체의 성형 캐비티(C1)와, 상기 커버 몸체 성형 캐비티(C1)의 외부쪽에 있는 주 몸체의 성형 캐비티(C2)는 서로 분리된다. 각이진 단면을 가지는 볼록한 스트립(62)과, 각이진 단면을 가지고 상기 볼록한 스트립(62)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오목한 홈(63)은 미끄럼 코어(61)의 내부쪽을 따라서 하부 몰드(6)의 성형면위에 형성된다. TPO 재료는 커버 몸체의 성형 캐비티(C1)내로 사출됨으로써, 상기 커버 몸체(20)가 성형된다. 상기 오목한 홈(222)(도 28)은 커버 몸체(20)의 후방면에서 볼록한 스트립(62)에 의하여 성형된다. 또한, 볼록한 스트립(225)(도 28)은 오목한 홈(63)에 의하여 성형된다.
상기 커버 몸체의 성형 캐비티(C1)내의 TPO 재료는 여전히 반고형 상태로 있는 반면에, 상기 미끄럼 코어(61)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양으로 연속적으로 후퇴되고, 상기 커버 몸체의 성형 캐비티(C1)와 주 몸체의 성형 캐비티(C2)는 서로 소통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TPO 재료과 양립할 수 있는 PP재료는 상기 주 몸체 성형 캐비티(C2)내로 사출된다. 상기 주 몸체 성형 캐비티(C2)는 PP재료로 충전되고, 또한 상기 PP 재료는 미끄럼 코어(61)를 후퇴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간극 캐비티(C3)로 들어가고, 주 몸체(10)의 에어백의 부풀어 오른 포트의 원주 모서리(113)이 된다. 그 다음, 상기 PP 재료는 반고형 상태에서 커버 몸체(20)의 외주 하부면에 용융 접합된다.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사출 압력은 PP 재료가 간극 캐비티(C3)(이러한 도면 각각에서의 화살표)내로 들어갈 때에 반고형 상태로 상기 커버 몸체(20)에 적용된다. 특히, 연질의 TPO가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커버 몸체(20)의 재료로 사용될 때, 상기 커버 몸체(20)의 외주 모서리의 각 부분은 후퇴되고, 도 31 및 도 32 각각에서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적용된 압력에 따라서 변형됨으로써, 상기 커버 몸체(20)의 외주 모서리는 소정 형상으로 부터 시프트되고, 이것은 파형 형상의 장점을 발생시킨다. 상기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볼록한 스트립(62)과 오목한 홈(63)은 하부 몰드(6)의 성형면에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상기 오목한 홈(222)과 변형 제한부로서의 볼록한 스트립(225)은 반고형 상태에서 커버 몸체(20)의 후방면(도 31 및 도 32의 하부면)에서 볼록한 스트립(62)과 오목한 홈(63)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오목한 홈(222)과 볼록한 스트립(225)은 각각 볼록한 스트립(62)과 오목한 홈(63)과 결합되고, 상기 커버 몸체(20)의 외주 모서리의 후퇴하는 변형을 상기 사출 압력에 대하여 방지한다. 그래서, 상기 커버 몸체(20)의 외주 모서리의 파형 변형 현상은 효과적으로 해결된다. 상기 오목한 홈(222)은 커버 몸체(20)의 외주 모서리의 변형을 제한하기 위한 변형 제한부분이고, 또한 커버 몸체(20)의 외주 모서리에서 에어백의 팽창때에 파열되는 상기 얇은 벽부분(23)을 형성하기 위한 작용을 가진다.
실시예 21
PPE(폴리페닐렌 에테르)/PA(폴리아미드) 합금 및 PS(폴리스틸렌) 엘라스토머 와 같은 경질의 재료가 상기 커버 몸체(20)의 재료로서 TPO와 같은 연질 재료 대신에 사용될 때, 변형 제한부로서의 볼록한 스트립(225)과, 상기 볼록한 스트립(225)을 형성하기 위한 하부 몰드(61)의 오목한 홈(63)을 형성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예를 들면, 변성된 PPE는 커버 몸체(20)의 PPE/PA 합금과 결합되는 주 몸체(10)의 재료로서 상기 PP에 부가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PC(폴리카보네이트)/ABS(아크릴나이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합금 등은 상기 PS 엘라스토머와 결합되는 주 몸체(10)의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오목한 홈(222)과 볼록한 스트립(225)과, 상기 볼록한 스트립(62)과 오목한 홈(63)의 단면 형상은 실시예 20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각이진 형상에 제한될 필요가 없지만, 몰드면과 결합되는 면을 가지고 상기 에어백 커버의 외주 모서리의 후퇴 변형을 방지하는 단면 형상으로 세트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상기 오목한 홈(222)(즉, 볼록한 스트립(62))의 단면 형상은 상기 얇은 벽부분(23)이 형성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상기 오목한 홈(222)과 볼록한 스트립(225)은 이것의 외주 모서리에서 커버 몸체(20)의 후방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은 필요가 없다. 상기 오목한 홈(222)과 볼록한 스트립(225)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형 제한의 효과는 상기 볼록한 스트립과 결합되는 오목한 홈이 몰드면에 형성되고 볼록한 스트립(225) 대신에 형성되는 오목한 홈(222)과 같은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질 때에 또한 얻어질 수 있다.
실시예 22
도 33은 에어백용 패널(1)의 예와 같은 기계 패널의 전방쪽 승객시트 측방향 부분의 확대된 사시도이다. 상기 기계 패널은 고무와 충전제로 혼합되는 폴리프로필렌(PP)와 같은 열가소성의 경질의 합성수지에 의하여 형성된다. 거의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개방부(12)는 주 몸체(10)의 후방 및 전방 방향(도 33의 경사진 수직 방향)에서 중심위치의 기계 패널의 주 몸체(10)의 상부면위에 형성된다. 이러한 개방부(12)는 이후에 설명되는 일체적인 2색 성형에 의하여 성형되는 커버 몸체(20)에 의하여 폐쇄되고, 올레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O) 등에 의하여 구성된다. 도 34는 상기 개방부(12)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34에서, 상기 커버 몸체(20)의 외주 모서리(205)는 주 몸체(10)의 개방부의 원주 모서리의 저부면을 따라서 굽혀지고, 상기 원주 모서리와 외주 모서리(205)는 서로에 대하여 용융 접합된다. 상기 커버 몸체(20)의 외주면은 이것의 전체 원주에서 계단식으로 하강됨으로써, 홈부(21)는 이것의 외주 면과 상기 개방부(12)의 개방 원주면사이에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리브(25)는 이것의 전방쪽(도 34에서 커버 몸체(20)의 왼쪽)에서 커버 몸체(20)의 후방면위에 형성된다. 상기 리브(25)는 이것의 후방면을 따라서 연장되고, 직선 형상으로 경사지게 전방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리브(25)는 금속 리테이너(251)로 피복된다. 상기 리브(25)는 볼트(252)와 너트(253)에 의하여 커버 몸체(20) 뒤쪽에 위치된 에어백 케이스(82)의 브라켓(811)에 연결된다. 에어백(81)을 저장하는 에어백 케이스(82)는 볼트(252)와 너트(253)에 의하여 브라켓(812)으로써 상기 주 몸체(10)의 삽입 재료(13)에 고정된다.
전방쪽을 제외하고는 3개 측부를 따른 상기 커버 몸체(20)의 후방면은 표면방향에서 깊게 홈이 파이고, 에어백의 팽창때에 파열되는 얇은 벽부분(23)은 상기 후방면과,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홈부(21)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백이 팽창될 때, 상기 커버 몸체(20)의 3개측부에서의 얇은 벽부(23)(도 33)가 파열됨으로써, 상기 커버 몸체(20)는 힌지 중심으로서 리브(25)의 루트 근처의 부분으로 캐빈(도 34의 상방)내로 개방되고, 상기 에어백은 개방부(12)를 부풀러 오르게 한다. 여기에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오목한 홈(114)은 외주 모서리(205)를 둘러싸기 위하여 커버 몸체(20)의 외주 모서리(205)의 용융 접합된 부분 근처의 외부 위치에서 상기 주 몸체(10)의 저부면위에서 루프 형상(도 33)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오목한 홈(114)은 변형 제한부를 구성한다.
상기 에어백용 패널(1)은 아래에 설명되는 2색 성형에 의하여 제조된다. 즉, 도 35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홈부(2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볼록한 스트립(52)은 이것의 성형의 외주에서 상부 몰드(5)내에 미끄럼형 대향 몰드(51)에 형성된다. 하부 몰드(6)내의 미끄럼 코어(61)의 단부면은 볼록한 스트립(52)의 단부면과 가압 접촉하게 되고, 커버 몸체 성형 캐비티(C1)와, 이 캐비티(C1)의 외부쪽의 주 몸체 성형 캐비티(C2)는 서로 분리된다. 직사각형 단면과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볼록한 스트립(62)은 미끄럼 코어(61)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하부 몰드(6)의 성형면위에 형성된다. 이러한 볼록한 스트립(62)은 주 몸체 성형 캐비티(C2)내로 돌출된다. 경질의 합성수지 재료는 상기 주 몸체 성형 캐비티(C2)내로 사출됨으로써, 상기 주 몸체(10)가 성형된다.
상기 주 몸체 성형 캐비티(C2)내의 경질의 합성수지 재료가 반고체 상태로 있는 반면에, 상기 미끄럼 코어(61)는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양으로 연속적으로 후퇴되고, 상기 주 몸체의 성형 캐비티(C2)와 커버 몸체 성형 캐비티(C1)는 서로 소통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강성의 합성수지 재료와 호환되는 열가성의 엘라스토머 재료는 커버 몸체 성형 캐비티(C1)내로 사출된다. 상기 주 몸체 성형 캐비티(C1)는 엘라스토머 재료로 충전된다. 상기 엘라스토머 재료는 또한 상기 미끄럼 코어(61)를 후퇴시킴으로써 발생되는 간극 캐비티(C3)로 들어가고, 상기 커버 몸체(20)의 외주 모서리(205)가 되고, 반고체 상태에서 주 몸체(10)의 하부면에 용융 접합된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엘라스토머 재료가 간극 캐비티(C3)(도 37에서 화살표)내로 들어갈 때에, 큰 사출 압력이 반고체 상태에서 주 몸체(10)에 적용되고, 상기 주 몸체(10)의 개방부(12)의 원주 모서리 각각의 부분은 후퇴하고, 도 37에서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적용된 압력에 따라서 변형된다. 그래서, 종래의 문제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개방부(12)의 원주 모서리는 소정의 형상으로 부터 시프트되고, 파형 형상으로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볼록한 스트립(62)은 하부 몰드(6)의 성형면위에 형성된다. 따라서, 변형 제한부로서의 상술된 오목한 홈(114)은 반고체 상태에서 주 몸체(10)의 후방면(도 37에서의 하부면)위에 상기 볼록한 스트립(62)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오목한 홈(114)의 미끄럼면(114a)은 볼록한 스트립(62)의 미끄럼 면(62a)과 결합되고, 상기 사출 압력에 대하여 개방부(12)의 원주 모서리에서 상기 주 몸체(10)의 후퇴 변형을 방지시킨다. 결과적으로, 원주 모서리에서 상기 개방부(12)의 파형 변형 현상은 효과적으로 해결된다.
실시예 23
또한, 실시예 22와 유사한 효과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오목한 홈(63)이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몰드(6)의 성형면에서 변형 제한부로 형성되고, 볼록한 스트립(115)이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오목한 홈(63)의 미끄럼 면(63a)과 결합되는 미끄럼 면(115a)이 주 몸체(10)의 후방면에 형성될 때 얻어진다. 이러한 경우에, 주 몸체(10)의 두께가 감소되지 않기 대문에 강도에서 장점이 된다.
실시예 24
상기 변형 제한부의 단면 형상은 실시예 22 및 23의 각각에서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세트될 필요는 없지만, 상기 단면 형상이 몰드면과 결합되는 면을 가지며, 개방부의 원주 모서리에서 주 몸체의 후퇴 변형을 방지한다면 곡선면으로 세트될 수 있다. 또한, 주 몸체의 원주 모서리부를 둘러싸기 위하여 상기 변형 제한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지만, 서로로 부터 분리되게 이격될 수 있다.
실시예 25
도 39는 에어백용 패널(1)의 예로서 기계 패널의 전방 승객 시트쪽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상기 기계 패널은 고무, 충전제 등으로 혼합된 경질의 합성수지 재료로서 폴리프로필렌(PP)에 의하여 형성된다. 거의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개방부(12)는 주 몸체(10)의 전방 및 후방 방향(도 39에서 경사진 수직방향)에서 중심위치에서 상기 기계 패널의 주 몸체(10)의 상부면위에 형성된다. 이러한 개방부(12)는 이후에 설명되는 단색 성형에 의하여 주 몸체(10)와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커버 몸체(20)에 의하여 폐쇄되고, PP 재료에 의하여 구성된다. 도 40은 개방부(12)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40에서, 상기 커버 몸체(20)의 외주 모서리(221)는 직사각형 단면과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홈부(22)에 의하여 주 몸체(10)로 부터 이격되게 분리되며, 상기 외주 모서리(221)의 전체 원주를 따라서 형성된다. 상기 외주 모서리(221)는 주 몸체(1)에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리브(25)는 이것의 전방쪽(도 40에서 커버 몸체(20)의 왼쪽)위에서 커버 몸체(20)의 후방면위에 형성된다. 상기 리브(25)는 후방면을 따라서 연장되고, 직선의 형상으로 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된다. 상기 리브(25)는 볼트(252)와 너트(253)에 의하여 커버 몸체(20)뒤쪽에 위치되는 에어백 케이스(82)의 브라켓(81)에 연결된다. 에어백(20)의 에어백 케이스(82)는 브라켓(812)을 가진 주 몸체(10)의 삽입 재료(13)에 볼트(252)와 너트(253)에 의하여 고정된다.
전방쪽을 제외하고 3개의 측부를 따라 있는 커버 몸체(20)의 후방면은 상기 면을 향하여 깊게 홈이 파이고, 상기 에어백의 팽창때에 파열되는 얇은 벽부분(23)은 후방면과,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홈부(22)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크랙 방지층(7)은 상기 리브(25)로 부터 얇은 벽 부분(23)근처의 부분까지 상기 커버 몸체(20)의 일반적인 부분의 후방면위에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많은 작은 구멍을 가지고 폴리아미드(PA)로 제조되는 네트는 크랙 방지층(7)으로 사용된다. 상기 PA로 제조된 네트(7)는 충분한 가요성과 인장강도를 구비한다. 상기 에어백이 팽창될 때, 상기 커버 몸체(20)의 3개 측부에서의 얇은 벽부분(23)(도 9)은 파열됨으로써, 상기 커버 몸체(20)는 힌지 중심으로서 상기 리브(25)의 루트 근처의 부분으로 캐빈(도 40의 상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에어백은 개방부(12)를 부풀러 오르게 한다. 상기 커버 몸체(20)가 회전되고 힌지 중심으로서 리브(25)의 루트 근처의 부분으로 개방될 때, 크랙 방지층으로서 PA로 제조되는 네트(7)는 커버 몸체(20)의 일반적인 부분의 후방면에 결합됨으로써, 어떠한 커버 몸체(20)도 깨어진 파편으로 크랙되지 않는다.
상기 에어백용 패널(1)은 아래에 설명되는 단색 삽입 성형에 의하여 제조된다. 즉, 도 41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홈부(22)를 형성하기 위한 볼록한 스트립(52)은 이것의 성형면의 외주에서 상부 몰드(5)내에 미끄럼형 대향 몰드(51)로 형성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상기 얇은 벽 부분(23)을 형성하기 위한 볼록한 스트립(61)과, 상기 리브(25)를 형성하기 위한 오목한 부분(62)은 하부 몰드(6)의 성형면위에 형성된다. 상기 주 몸체(10)와 커버 몸체(20)를 일체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연속적인 성형 캐비티(C1)는 상부 몰드(5)와 하부 몰드(6)사이에 형성된다.
PA로 제조된 네트(7)는 오목한 부분(62)의 한쪽 측면으로 부터 볼록한 스트립(61)의 한쪽 측면까지 상기 하부 몰드(6)의 성형면위에 정렬된다. PA로 제조된 상기 네트(7)에서, 상기 네트의 외주 모서리의 요구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 부분(71)은 하부 몰드(6)의 성형면위에 형성된 결합부를 위하여 오목한 부분(63,64)내로 삽입되고 위치된다. PP 재료는 상기 성형 캐비티(C1)내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주 몸체(10)와 커버 몸체(20)는 일체적으로 성형되고, PA로 제조된 네트(7)는 커버 몸체(20)의 후방면에 결합된다. 동시에, 상기 PP 재료는 PA로 제조된 네트(7)의 작은 구멍 각각내로 들어가고, 커버 몸체(20)와 견고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결합 부분(71)은 결합을 위하여 오목한 부분(63 및 64)내로 삽입되고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PP 재료의 사출 압력이 상기 네트에 적용될지라도 PA로 제조된 네트(7) 위치의 어떠한 시프트도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크랙 방지층은 PA로 제조된 네트에 부가하여서 올레핀 함유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O) 또는 부직포 섬유와 같은 연질의 엘라스토머 재료의 막과, 연질 수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 26
도 42는 에어백용 패널(1)의 예로서 기계 패널의 전방쪽 승객 시트쪽 부분의 확대된 사시도이다. 상기 기계 패널은 고무, 충전제등으로 혼합된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열가소성의 경질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된다. 거의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개방부(12)는 주 몸체(10)의 후방 및 전방 방향(도 42에서의 경사진 수직 방향)에서 중심위치에서 기계 패널의 주 몸체(10)의 상부면위에 형성된다. 이러한 개방부(12)는 2색 성형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커버 몸체(20)에 의하여 폐쇄되고, 올레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O) 등에 의하여 구성된다. 도 43은 상기 개방부(12)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43에서, 상기 커버 몸체(20)의 외주 모서리(205)는 주 몸체(10)의 개방부(12)의 원주 모서리의 하부면을 따라서 굽혀지고, 상기 원주 모서리와 외주 모서리(205)는 서로에 대하여 용융 접합된다. 상기 커버 몸체(20)의 외주면은 이것의 전체 원주에서 계단형으로 하강됨으로써, 홈부분(21)은 상기 외주면과 개방부(12)의 개방 원주면사이에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판형상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리브(25)는 이것의 전방쪽(도 43에서 커버 몸체(20)의 왼쪽)에서 커버 몸체(20)의 후방면위에 형성된다. 상기 리브(25)는 이것의 후방면을 따라서 연장되고, 직선의 형상으로 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된다. 이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연결부재로서의 브라켓(85)은 상기 리브(25)에 연결된다. 상기 브라켓(85)은 에어백(81)을 저장하는 에어백 케이스(82)에 도달한다. 상기 에어백 케이스(82)는 볼트(252)와 너트(253)에 의하여 브라켓(812)으로써 주 몸체(10)의 삽입 재료(13)에 고정된다.
전방쪽을 제외한 3개측부를 따라서 있는 커버 몸체(20)의 후방면은 상기 면을 향하여 깊게 홈이 파이고, 상기 에어백의 팽창때에 파열되는 얇은 벽부분(23)은 상기 후방면과,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홈부(21)사이에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백이 팽창될 때, 상기 커버 몸체(20)의 3개 측부위의 얇은 벽부분(23)(도 42)은 이 커버 몸체(20)가 힌지 중심으로 리브(25)의 루트 근처의 부분으로 캐빈(도 43의 상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에어백이 개방부(12)를 부풀러 오르게 할 수 있도록 파열된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85)은 리브(25)에 연결되고, 이것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에 설명된다.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노치(831)는 판표면에서 리브(25)의 단부 선단부분에서 U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노치(831)는 리브(25)의 폭방향에서 서로로 부터 이격되고, 다중의 위치(상기 실시예에서 4개의 위치)에서 상기 리브(25)의 단부 선단으로 부터 판 내부까지 연장된다. 상기 브라켓(85)은 거의 U자형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는 금속 판 몸체를 굽힘으로써 형성된다. 브라켓(85)은 베이스 단부(853)는 에어백 케이스(82)(도 43)의 측면과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85)의 단부 선단의 판표면은 리브(25)의 저면을 따라서 위치된다.
고정 구멍(851)은 브라켓(85)의 단부 선단(854)의 판표면의 폭방향에서 서로로 부터 이격되고, 노치(831)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된다. 도 45에서, 다중(상기 실시예에서는 왼쪽 및 오른쪽 각각의 3개) 돌출부(852)는 이 3개의 돌출부(852)가 역 V자형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각각의 고정된 구멍(851)의 왼쪽과 오른쪽 위치에 형성된다.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돌출부(852)는 브라켓(85)의 단부 선단(854)의 판표면을 펀칭하고 상기 판표면을 잘라서 상승시킴으로써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도 47 및 도 48).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으로 제조된 리테이너 판(86)은 리브(25)의 상부면위에 위치되고, 상기 리브(25)의 폭과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긴 판(도 44)으로 구성된다. 고정 구멍(861)은 리브(25)의 노치(831)와 동일한 위치에서 리테이너 판(86)의 면위에 형성된다.
상기 리브(25)와 브라켓(85)은 리브(25)의 노치(831)의 위치와 순응되는 리테이터 판(86)과 브라켓(85)의 각각의 고정 구멍(861 및 851)을 위치시키고, 이들 각각의 고정 구멍(861 및 851)내로 볼트(252)를 삽입하고, 볼트(253)에 의하여 상기 볼트(252)를 고정시킴으로써 서로에 연결된다. 이러한 체결에서, 상기 브라켓(85)의 단부 선단(854)의 판 표면위에 형성된 돌출부(852)는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리브(25)의 판표면내로 물려 들어간다. 상기 에어백이 작동될 때, 상기 얇은 벽부분(23)(도 42)은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이 팽창될 때 파열된다. 상기 커버 몸체(20)는 회전되고, 힌지 중심으로써 리브(25)의 루트 근처의 부분으로 캐빈내로 개방된다. 동시에, 상기 에어백 케이스(82)내의 팽창기의 열은 커버 몸체(20)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커버 몸체(20)의 합성수지 재료는 연화되고, 당기는 힘은 커버 몸체(20)에 상방으로 적용된다. 여기에서, 상기 브라켓(85)의 돌출부(852)가 커버 몸체(20)의 리브(25)내로 물려 들어감으로써, 상기 리브(25)와 브라켓(85)은 서로에 대하여 연결되고, 상기 합성수지 재료가 상기 물려 들어가는 부분에서 연화될 때라도 상기 브라켓(85)으로 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그래서, 커버 몸체(20)의 분산은 신뢰성이 있게 방지된다.
실시예 27
상기 돌출부(852)의 정렬은 실시예 26에서의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852)는 고정 구멍(851)의 왼쪽 및 오른쪽 위치에서 직선으로 정렬될 수 있거나,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구멍(851)의 각각을 둘러싸는 말굽형상으로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852)의 형상은 상기 돌출부(852)가 리브(25)의 합성수지 재료내로 쉽게 물려 들어갈지라도 실시예 26의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돌출부(852)는 웨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정렬부의 수는 사용되는 상태에 따른 디자인에서 결정되기 때문에, 상기 정렬부의 수는 실시예 26의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26에서, 예와 같은 기계 패널은 합성수지로 제조된 내부 장착 재료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도어 트림등은 내부 장착 재료과 같이 정렬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85)의 베이스 단부는 기계 패널기계 패널상기 베이스 단부가 에어백 케이스에 고정되는 구조대신에 도어 트림쪽위에서 구조 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Claims (20)
- 하나의 합성수지로 제조된 커버 몸체와, 다른 합성수지로 제조된 주 몸체를 일체적으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 자동차 에어백용 패널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상기 주 몸체에 형성된 개방부 주위에 제공되는 커버 몸체와 조인트되는 조인트부를 포함하고,상기 조인트부는 커버 몸체의 외주 모서리가 주 몸체의 개방 모서리의 내부쪽에 정렬될 때 중첩되는 중첩부를 구성하는 자동차 에어백용 패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몸체의 합성수지는 경질의 합성수지이고, 상기 커버 몸체의 합성수지는 연질의 합성수지인 자동차 에어백용 패널.
- 제 1 항에 있어서, 깔죽깔죽한 형상 또는 하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오목-볼록한 부분은 상기 중첩부에서 주 몸체의 저면위에 형성되는 자동차 에어백용 패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몸체와 커버 몸체는 고주파 유도 가열과 진동 용융-접합에 의하여 상기 중첩부에서 결합되는 자동차 에어백용 패널.
- 제 1 항에 있어서, 폐쇄된 곡선 형상을 가지는 홈부는 커버 몸체에서 주 몸체의 개방부 단부의 경계부에 형성되고, 에어백의 작동때에 파열되는 얇은 벽부분과, 파열되지 않은 얇지 않은 벽부분은 단일의 선형상 또는 다중 연속선 형상에서 상기 커버 몸체의 홈부를 따라서 형성되는 자동차 에어백용 패널.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얇지 않은 벽부분은 커버 몸체의 상부 또는 하부쪽에서 하나의 횡방향 선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얇은 벽부분은 얇지 않은 벽부분을 형성하는 선을 제외한 3개의 방향에서 홈부를 따라서 개방되는 한쪽 측부로서 4변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자동차 에어백용 패널.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얇지 않은 벽부분은 커버 몸체의 상부쪽 또는 하부쪽위에서 하나의 횡방향 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얇은 벽부분은 홈부의 전체 원주를 따라서 형성됨으로써, 상기 얇지 않은 벽부분을 형성하는 선은 내부쪽에 포함되는 자동차 에어백용 패널.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얇지 않은 벽부분은 커버 몸체의 상부 및 하부쪽 각각위에서 하나의 횡방향 선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얇은 벽부분은 커버 몸체의 왼쪽 및 오른쪽 각각위에서 하나의 종방향 선의 형상으로 형성되고,홈부를 따라서 형성되지 않은 제 2의 얇은 벽부분은 커버 몸체의 중심부에서 하나의 횡방향 선의 형상으로 형성되며,상기 제 1 및 제 2의 얇은 벽부분의 전체는 H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자동차 에어백용 패널.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얇지 않은 벽부분은 커버 몸체의 상부 및 하부쪽의 각각위에서 하나의 횡방향 선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얇은 벽부분은 홈부의 전체 원주를 따라서 형성됨으로써, 상기 얇지 않은 벽부분을 형성하는 선은 내부쪽에 포함되며,상기 홈부를 따라서 형성되지 않는 제 2의 얇은 벽부분은 커버 몸체의 중심부에서 하나의 횡방향 선 형상으로 형성되고,상기 제 1 및 제 2의 얇은 벽부분의 전체는 2개의 사변형이 정렬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자동차 에어백용 패널.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얇지 않은 벽부분은 커버 몸체의 왼쪽 및 오른쪽 측부 각각위에서 하나의 횡방향 선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얇은 벽부분은 커버 몸체의 상부쪽 및 하부쪽 각각의 위에서 하나의 횡방향 선의 형상으로 형성되며,홈부를 따라서 형성되지 않는 제 2의 얇은 벽부분은 커버의 중심부에서 하나의 종방향 선의 형상으로 형성되고,상기 제 1 및 제 2의 얇은 벽부분 전체는 H형상으로 형성되는 자동차 에어백용 패널.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얇지 않은 벽부분은 커버 몸체의 오른쪽 및 왼쪽의 각각위에서 하나의 종방향 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얇은 벽부분은 얇지 않은 벽부분을 형성하는 선이 내부쪽으로 포함될 수 있도록 홈부의 전체 원주를 따라서 형성되며,상기 제 2의 얇은 벽부분은 홈부를 따라서 형성되지 않지만, 상기 커버 몸체의 중심부에서 하나의 종방향 선의 형상으로 형성되고,상기 제 1 및 제 2의 얇은 벽 부분의 전체는 2개의 사변형이 나란히 정렬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자동차의 에어백용 패널.
- 제 5 항에 있어서, 리브는 상기 얇지 않은 벽부분에서 돌출되고, 연결 부재를 통하여 에어백 케이스에 연결되는 자동차의 에어백용 패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몸체의 개방부의 개방 모서리는 커버 몸체의 외주 모서리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자동차의 에어백용 패널.
- 자동차의 에어백용 패널에 있어서,제 1의 합성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커버 몸체와;상기 제 1 합성수지 재료과 호환되는 제 2 합성수지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몸체를 성형한 이후에 2색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주 몸체와;상기 커버 몸체의 외주 모서리에 제공되고 성형면과 결합되는 변형 제한부를 포함하고,상기 주 몸체는 커버 몸체에 의하여 폐쇄되는 개방부를 포함하고,상기 변형 제한부는 주 몸체의 성형때에 작용하는 성형 압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커버 몸체의 변형을 제한하는 자동차의 에어백용 패널.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제한부는 각이진 단면 또는 오목한 홈을 구비하는 볼록한 스트립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에어백용 패널.
- 자동차의 에어백용 패널에 있어서,제 1의 합성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개방부를 가지는 주 몸체와,상기 제 1 합성수지 재료과 호환되는 제 2 합성수지를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주 몸체를 성형한 이후에 2색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커버 몸체와,상기 개방부의 원주에 제공되고 몰드면과 결합되는 변형 제한부를 포함하고,상기 주 몸체의 개방부는 커버 몸체에 의하여 폐쇄되며,상기 변형 제한부는 주 몸체의 성형때에 작용하는 성형압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커버 몸체의 변형을 제한하는 자동차의 에어백용 패널.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제한부는 각이진 단면 또는 오목한 홈을 구비하는 볼록한 스트립인 자동차의 에어백용 패널.
- 어떠한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커버 몸체와 다른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주 몸체를 일체적으로 성형하고, 상기 에어백이 작동될 때 파열되는 얇은 벽 부분을 제공함으로써 형성되는 자동차의 에어백용 패널에 있어서,상기 주 몸체와 커버 몸체는 단색 성형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성형되며,크랙 방지층은 커버 몸체의 얇은 벽부분을 제외한 부분인 일반적인 부분의 후방면에 제공되고,상기 크랙 방지층은 상기 일반적인 부분의 크랙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에어백용 패널.
- 제 5 항에 있어서, 리브는 얇은 벽부분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의 후방면위에서 상기 커버 몸체에서 돌출되고,금속으로 제조되고 주 몸체의 측부로 부터 연장되는 연결부재는 상기 리브에 연결되고, 돌출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표면위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리브에 연결될 때 리브의 표면으로 물려 들어가는 자동차의 에어백용 패널.
- 하나의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커버 몸체와 다른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주 몸체를 일체적으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 자동차의 에어백용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주 몸체와 커버 몸체 각각을 형성하는 합성수지로서 호환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와,몰드로서 암 다이 또는 수 다이에서 이동가능한 코어를 정렬시키는 단계와,상기 코어가 돌출하게 하고 대향된 다이에 접촉하게 함으로써, 제 1 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제 1 캐비티 부분과, 제 2 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제 2 캐비티 부분사이의 부분을 차단하는 단계와,제 1 부재의 재료를 제 1 캐비티 부분내로 사출시키는 단계와,상기 코어를 후퇴시킴으로써 제 1 캐비티 부분과 제 2 캐비티 부분사이의 소통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제 1 캐비티 부분과 소통 부분내로 상기 제 2 부재의 재료를 사출시킴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부재의 중첩 부분은 형성되어서 부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부재는 일체적으로 제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에어백용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1413897 | 1997-07-23 | ||
JP97-214138 | 1997-07-23 | ||
JP98-32081 | 1998-01-28 | ||
JP10032082A JPH11208409A (ja) | 1998-01-28 | 1998-01-28 | エアバッグ用内装部材 |
JP98-32082 | 1998-01-28 | ||
JP98-32079 | 1998-01-28 | ||
JP03208098A JP3240986B2 (ja) | 1998-01-28 | 1998-01-28 | エアバッグ用内装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03207998A JP3240985B2 (ja) | 1998-01-28 | 1998-01-28 | エアバッグ用内装部材 |
JP98-32080 | 1998-01-28 | ||
JP03208198A JP3267230B2 (ja) | 1998-01-28 | 1998-01-28 | エアバッグ用内装部材 |
JP03394298A JP3239832B2 (ja) | 1997-07-23 | 1998-01-29 | エアバッグ用パネル |
JP98-33942 | 1998-01-29 | ||
JP98-54342 | 1998-02-18 | ||
JP05434298A JP3239834B2 (ja) | 1998-02-18 | 1998-02-18 | エアバッグ用内装部材 |
PCT/JP1998/003222 WO1999005007A1 (fr) | 1997-07-23 | 1998-07-16 | Panneau pour air bag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21718A true KR20010021718A (ko) | 2001-03-15 |
KR100360578B1 KR100360578B1 (ko) | 2002-11-13 |
Family
ID=27564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7000277A KR100360578B1 (ko) | 1997-07-23 | 1998-07-16 | 에어백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6835439B1 (ko) |
EP (1) | EP1002703B1 (ko) |
KR (1) | KR100360578B1 (ko) |
CN (1) | CN1098180C (ko) |
DE (1) | DE69818682T2 (ko) |
HK (1) | HK1029087A1 (ko) |
WO (1) | WO199900500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14179B2 (ja) | 1999-08-24 | 2004-03-31 | 豊田合成株式会社 | 樹脂成形品 |
ES2255776B1 (es) * | 2003-01-15 | 2007-06-16 | M. Teresa Pla Estrada | Procedimiento de rotura facil en material termoplastico. |
JP4457822B2 (ja) * | 2004-02-02 | 2010-04-28 | 豊田合成株式会社 |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
DE102004053132A1 (de) * | 2004-10-29 | 2006-05-18 |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 Airbagklappensystem |
DE102005020200A1 (de) * | 2005-04-28 | 2006-11-02 | Johnson Controls Interiors Gmbh & Co. Kg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hrkomponenten-Bauteilen aus Kunststoff, Bauteile und Spritzgießwerkzeug |
US20070264474A1 (en) * | 2006-05-11 | 2007-11-15 |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 Component for a vehicle interior and a mold assembly and a method for assembling the component |
JP4766564B2 (ja) * | 2006-09-29 | 2011-09-07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自動二輪車のエアバッグ装置 |
KR100812835B1 (ko) * | 2006-12-06 | 2008-03-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및 그 제조방법 |
DE102008033923A1 (de) * | 2008-07-18 | 2010-01-21 | Webasto Ag | Fahrzeug-Bauteil aus Kunststoff |
EP2284048B1 (de) | 2009-07-28 | 2014-03-12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Verkleidungsteil mit Airbagklappenanordnung im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es |
US8944460B2 (en) * | 2011-06-30 | 2015-02-03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Air bag chute topper system |
DE102012107234B3 (de) * | 2012-08-07 | 2014-01-16 |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 Innenverkleidungsteil mit einer Airbagklappe für ein Kraftfahrzeug |
JP6482280B2 (ja) * | 2015-01-09 | 2019-03-13 |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 エアバッグ取付構造およびエアバッグ取付方法 |
JP6365335B2 (ja) | 2015-02-10 | 2018-08-01 | 株式会社デンソー | 暖房装置 |
US9387821B1 (en) | 2015-06-16 | 2016-07-12 | Honda Motor Co., Ltd. | Vehicle restraint system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
CN107963049B (zh) * | 2017-11-30 | 2020-09-18 | 上汽大众汽车有限公司 | 气囊门总成和仪表板总成 |
CN110667507A (zh) * | 2019-10-31 | 2020-01-10 | 北京汽车集团越野车有限公司 | 一种汽车 |
CN113681842A (zh) * | 2021-07-27 | 2021-11-23 | 宁波方正汽车部件有限公司 | 安全气囊的自动化生产集成装置及生产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4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81158U (ko) | 1987-11-17 | 1989-05-31 | ||
JPH0364156U (ko) * | 1989-10-30 | 1991-06-21 | ||
JP3168646B2 (ja) | 1991-12-13 | 2001-05-21 | 豊田合成株式会社 | エアバツグ装置 |
US5342085A (en) * | 1990-12-19 | 1994-08-30 | Mazda Motor Corporation | Air ba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
JPH04328049A (ja) | 1991-04-30 | 1992-11-17 | Toyoda Gosei Co Ltd |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パツド |
US5520971A (en) * | 1991-06-03 | 1996-05-28 | Izumi Motor Co., Ltd. | Air bag cov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JP3206938B2 (ja) | 1991-10-03 | 2001-09-10 | 京セラミタ株式会社 | ドラム移送装置 |
DE4206530A1 (de) | 1992-03-02 | 1993-09-09 | Bayer Ag | Verfahren zur verminderung des halogengehaltes von polyhalogenierten aromaten |
JPH05319197A (ja) | 1992-05-21 | 1993-12-03 | Takata Kk |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
JP3364502B2 (ja) | 1992-08-17 | 2003-01-08 | 大同特殊鋼株式会社 | 異方性希土類−鉄系永久磁石およびその製造方法 |
WO1994004387A1 (en) * | 1992-08-26 | 1994-03-03 |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 Instrument panel |
US5330223A (en) * | 1992-10-29 | 1994-07-19 | Toyoda Gosei Co., Ltd. | Air bag cover having reinforcing ribs |
JP3051788B2 (ja) | 1993-01-12 | 2000-06-12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
JP3640408B2 (ja) | 1993-03-30 | 2005-04-20 | タカタ株式会社 | エアバッグ装置のモジュールカバー及びエアバッグ装置 |
JPH06286551A (ja) | 1993-04-02 | 1994-10-11 | Takata Kk |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
JP3339099B2 (ja) | 1993-04-12 | 2002-10-28 | タカタ株式会社 |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
JPH0761310A (ja) | 1993-08-30 | 1995-03-07 | Toyoda Gosei Co Ltd | エアバッグ装置の蓋材 |
JPH0769158A (ja) | 1993-09-03 | 1995-03-14 | Takata Kk |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のリッド取付構造 |
JP3312976B2 (ja) | 1993-11-19 | 2002-08-12 |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 エアバッグドアを一体に有す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およびその製法 |
JP3178197B2 (ja) | 1993-11-26 | 2001-06-1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インパネ一体発泡エアバッグドア |
JPH07329677A (ja) | 1994-06-13 | 1995-12-19 | Takata Kk | エアバッグ装置のリッド |
DE4437773C1 (de) | 1994-10-24 | 1995-10-26 | Daimler Benz Ag | Instrumententafel mit einem integrierten, aufklappbaren Gassackdeckel |
JPH08169291A (ja) | 1994-12-16 | 1996-07-02 | Nippon Plast Co Ltd | エアバッグ装置 |
DE4447045A1 (de) * | 1994-12-29 | 1996-07-04 | Ks Automobil Sicherheitstech | Befestigungs eines Airbag-Moduls |
JPH08192666A (ja) | 1995-01-20 | 1996-07-30 | Toyo Tire & Rubber Co Ltd |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
JP2950774B2 (ja) | 1995-06-05 | 1999-09-20 |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 車室側部材のエアバッグドア構造 |
JP3111855B2 (ja) | 1995-06-16 | 2000-11-27 | 豊田合成株式会社 | エアバッグ装置用内装部材 |
EP0748722B1 (en) * | 1995-06-16 | 2001-09-12 | Toyoda Gosei Co., Ltd. | Interior finish member for an automobile with an air ba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JPH09142242A (ja) | 1995-11-27 | 1997-06-03 | Toyoda Gosei Co Ltd |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
JPH09164861A (ja) | 1995-12-19 | 1997-06-24 | Toyoda Gosei Co Ltd |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
JPH09226413A (ja) | 1996-02-21 | 1997-09-02 | Toyota Motor Corp |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及び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成形方法 |
JPH09301013A (ja) * | 1996-03-15 | 1997-11-25 | Inoac Corp | エアバッグドアを一体に有する車室側部材の構造 |
JPH09267708A (ja) | 1996-03-29 | 1997-10-14 | Inoac Corp | エアバッグドア部を一体に有する車室側部材の構造 |
JPH09277897A (ja) | 1996-04-15 | 1997-10-28 | Toyo Tire & Rubber Co Ltd | エアバッグ装置 |
JP3326481B2 (ja) | 1996-04-30 | 2002-09-24 |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 エアーバッグカバー一体成形車両内装部品 |
JPH09315250A (ja) | 1996-05-28 | 1997-12-09 | Inoac Corp | 車両のエアバッグドア構造 |
JPH101012A (ja) | 1996-06-12 | 1998-01-06 | Inoac Corp | 車室側部材と一体成形するためのエアバッグドア部材の構造 |
JP3708638B2 (ja) | 1996-07-31 | 2005-10-19 |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 エアバッグ一体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
JPH1076544A (ja) | 1996-09-03 | 1998-03-24 | Kansei Corp | 車両用内装パネル及びその成形方法 |
JPH1095029A (ja) | 1996-09-24 | 1998-04-14 | Toyota Motor Corp | エアバッグドア部を一体に有す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
JPH10250519A (ja) | 1997-03-17 | 1998-09-22 | Toyota Motor Corp | エアバッグドア部を一体に有す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及びその成形方法 |
JP3428402B2 (ja) | 1997-03-26 | 2003-07-22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エアバッグドア部を有する車両用内装部材及びその成形方法 |
JPH10291232A (ja) | 1997-04-21 | 1998-11-04 | Toyota Motor Corp | エアバッグドア部を一体に有す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成形方法 |
DE19835612C2 (de) * | 1997-08-07 | 2003-07-03 | Toyoda Gosei Kk | Einstückig geformte Gegenstände |
JP3309178B2 (ja) * | 1998-01-19 | 2002-07-29 | 三光合成株式会社 | 助手席用エアーバッグ装置 |
DE29805295U1 (de) * | 1998-03-16 | 1998-05-20 | Sommer-Allibert-Lignotock GmbH, 76744 Wörth | Instrumententafel für ein Kraftfahrzeug |
JP2000118343A (ja) * | 1998-10-13 | 2000-04-25 | Toyota Motor Corp | エアバッグドア部を一体に有す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
US6158763A (en) * | 1998-12-09 | 2000-12-12 | Chrysler Corporation | Airbag assembly concealed within an instrument panel |
-
1998
- 1998-07-16 WO PCT/JP1998/003222 patent/WO1999005007A1/ja active IP Right Grant
- 1998-07-16 CN CN98807439A patent/CN1098180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7-16 US US09/462,502 patent/US683543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7-16 KR KR1020007000277A patent/KR10036057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07-16 DE DE69818682T patent/DE69818682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7-16 EP EP98932570A patent/EP1002703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
- 2000-12-28 HK HK00108462A patent/HK1029087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360578B1 (ko) | 2002-11-13 |
US6835439B1 (en) | 2004-12-28 |
DE69818682D1 (de) | 2003-11-06 |
EP1002703A1 (en) | 2000-05-24 |
HK1029087A1 (en) | 2001-03-23 |
EP1002703A4 (en) | 2002-02-06 |
WO1999005007A1 (fr) | 1999-02-04 |
CN1098180C (zh) | 2003-01-08 |
EP1002703B1 (en) | 2003-10-01 |
DE69818682T2 (de) | 2004-08-05 |
CN1265070A (zh) | 2000-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10021718A (ko) | 에어백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
US7063349B2 (en) | Interior member having an airbag door section for use in vehicles, and its molding method | |
US6109645A (en) | Interior finish member for an automobile with an air ba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4784285A (en) | Dual durometer self locking and sealing plugs and method for making same | |
US4885121A (en) | Method of making a dual durometer self-locking and sealing plug | |
EP0805070B1 (en) | Integrally molded air-bag cover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CN106004765A (zh) | 制造用于遮盖安全气囊的汽车内饰件的方法 | |
JPH10250519A (ja) | エアバッグドア部を一体に有す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及びその成形方法 | |
EP1393990B1 (en) | Air-bag-door-equipped vehicle interior trim articl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JP4131319B2 (ja) |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およびインサート部材の溶着構造 | |
US6001295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an air bag cover | |
JPH1095029A (ja) | エアバッグドア部を一体に有す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 |
JP3922122B2 (ja) | 自動車内装品本体 | |
JP3239832B2 (ja) | エアバッグ用パネル | |
US7669885B2 (en) | Easily-breakable inflatable airbag case | |
JP3267230B2 (ja) | エアバッグ用内装部材 | |
JP4067355B2 (ja) | 自動車内装品本体 | |
JP3440706B2 (ja) | エアバッグ装置用カバー体の製造方法 | |
JP3240985B2 (ja) | エアバッグ用内装部材 | |
JPH10324213A (ja) | エアバッグドア部を有する車両用内装部材及びその成形方法 | |
JP7415599B2 (ja) | 成形構造体 | |
JPH11208407A (ja) | エアバッグ用内装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100710454B1 (ko) | 인비저블 에어백 도어구조 및 그 제조방법 | |
JP2000280848A (ja) | エアバッグ用蓋部を備えた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 |
JP2000071914A (ja) |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のリッド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1026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