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309B1 - 액체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액체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309B1
KR102001309B1 KR1020170140475A KR20170140475A KR102001309B1 KR 102001309 B1 KR102001309 B1 KR 102001309B1 KR 1020170140475 A KR1020170140475 A KR 1020170140475A KR 20170140475 A KR20170140475 A KR 20170140475A KR 102001309 B1 KR102001309 B1 KR 102001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gas
passage
separation unit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2526A (ko
Inventor
추안-창 펭
팅-유 우
웬-핑 차이
마오-린 리우
웨이-첸 리
Original Assignee
사이언테크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이언테크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사이언테크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052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5Apparatus for applying a liquid, a resin, an ink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8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of the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01L21/67034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dry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with gripping and holding devices using a vacuum; Bernoulli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01L21/6704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01L21/6704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 H01L21/67051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using mainly spraying means, e.g. nozz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01L21/6704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 H01L21/6705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with the semiconductor substrates being dipped in baths or vess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63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 H01L21/67075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for wet 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55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 treating in a plurality of work-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5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a coating or a hardness or a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Drying Semiconductor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 Weting (AREA)

Abstract

액체처리장치는 웨이퍼의 표면에 액체를 공급하여 액체처리를 한다. 액체처리장치는 기좌, 회전축, 고정부재, 액체공급부재, 누수방지부재와 가스공급부재를 포함한다. 회전축은 기좌를 연결하고 축내 통로를 구비한다. 고정부재는 회전축을 연결하고 웨이퍼를 고정하며, 고정부재는 관통된 구멍을 구비하고, 구멍은 축내 통로와 연통된다. 액체공급부재는 액체를 웨이퍼 표면에 제공한다. 누수방지부재는 구멍과 연통된다. 가스공급부재는 누수방지부재를 연통하고 가스 소스를 고정부재에 제공한다. 액체가 고정부재의 구멍에서 회전축에 진입할 때, 액체는 누수방지부재로 흘러 액체가 가스공급부재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액체처리장치{LIQUID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액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액체가 부당하게 액체처리장치 내부에 흘러 장비파손의 조성을 방지할 수 있는 액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웨이퍼를 제조하는 과정에, 웨이퍼를 액체처리기계 위에 놓고, 웨이퍼가 액체처리기계 위에서 회전하게 하고, 액체처리기계가 웨이퍼의 표면에 대하여 산성액을 가하여 에칭하도록 하며; 부식할 처리가 종료된 후, 다시 액체처리기계가 웨이퍼의 표면에 대하여 세척액을 가하여 세척을 진행한다. 보통 액체처리기계는 회전 플랫폼, 공기 블리드 통로와 공기 빼기기가 있다. 공기 블리드 통로의 일단은 공기 빼기기에 연통되고, 타단은 회전 플랫폼을 통과하며, 이로써, 공기 빼기기로 공기를 빼낼 때, 공기 블리드 통로는 회전 플랫폼의 일단에 설치되어 흡인력을 생성하고, 따라서 회전 플랫폼 상의 웨이퍼는 상기 흡인력에 흡인되어 회전시 회전 플랫폼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웨이퍼에 크랙이 있으면 액체처리기계는 회전하는 웨이퍼의 표면에 액체를 가할 때, 액체는 크랙을 통과하여 공기 블리드 통로의 흡인력에 흡인될 수 있고, 이때 공기 블리드 통로에 흡인된 액체는 공기 블리드 통로에 의하여 공기 빼기 또는 액체처리기계 내부의 기타 부재내에 침투되어 액체처리기계의 부재파손을 조성한다.
따라서, 액체가 부당하게 액체처리기계 내부에 흘러 들어 장비파손의 조성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액체처리기계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주요목적은 액체가 부당하게 액체처리기 내부에 흘러 들어 장비파손의 조성을 방지할 수 있는 액체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액체처리장치는 웨이퍼의 표면에 액체를 공급하여 액체처리를 한다. 액체처리장치는 기좌(샘林), 회전축, 고정부재, 액체공급부재, 누수방지부재와 가스공급부재를 포함한다. 회전축은 기좌를 연결하고 축내 통로를 구비한다. 고정부재는 회전축을 연결하고 웨이퍼를 고정하며, 고정부재는 관통된 구멍을 구비하고, 구멍은 축내 통로와 연통된다. 액체공급부재는 액체를 웨이퍼 표면에 제공한다. 누수방지부재는 구멍과 연통된다. 가스공급부재는 누수방지부재를 연통하고 가스 소스를 고정부재에 제공한다. 액체가 고정부재의 구멍에서 회전축에 진입할 때, 액체는 누수방지부재로 흘러 액체가 가스공급부재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가스공급부재는 가스통로 및 스위치부재를 포함하고, 가스공급부재는 가스통로를 통하여 가스액체 분리유닛과 연통되고 스위치부재는 가스통로에 설치되어 가스통로 내의 가스압력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액체가 고정부재의 구멍에서 회전축으로 진입할 때, 제어스위치는 가스공급부재와 가스액체 분리유닛의 연통을 컷오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가스압력이 부압일 때, 웨이퍼는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가스압력이 비부압일 때, 웨이퍼는 고정부재에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누수방지부재는 탐지기를 더 포함하고, 탐지기는 가스액체 분리유닛의 일측에 설치되어 가스액체 분리유닛 내의 액체 용량을 탐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탐지기는 액체레벨 탐지기 또는 액체중량 탐지기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가스액체 분리유닛은 축내 통로에 설치되고, 누수방지부재는 가스액체 통로를 포함하며, 누수방지부재는 가스액체 통로를 통하여 구멍과 연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가스액체 분리유닛은 기좌가 회전축을 멀리하는 일측에 설치되고, 누수방지부재는 가스액체 통로를 포함하며, 누수방지부재는 가스액체 통로를 통하여 축내 통로의 일단과 연통되고, 그 중에서 누수방지부재는 가스액체 통로를 통하여 구멍과 연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가스액체 통로가 구멍을 멀리하는 일단에 제1포트가 있고, 가스통로가 구멍에 가까이 하는 일단에 제2포트가 있으며, 제1포트와 가스액체 분리유닛의 저면은 제1간격으로 떨어져 있고, 제2포트와 가스액체 분리유닛의 저면은 제2간격으로 떨어져 있으며, 제1간격은 제2간격보다 작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그 중의 회전축은 회전모터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액체처리장치는 액체수집부재를 더 포함하고, 액체수집부재는 기좌에 설치되고, 회전축으로 웨이퍼를 회전시킬 때 분출되는 액체를 수집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액체처리장치는 완충공간을 가지는 완충용기를 더 포함하고, 완충용기는 누수방지부재와 가스공급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서로 연통되며, 그 중에서, 액체처리장치는 복수 개이고, 가스공급부재는 가스 소스를 완충공간에 제공하며, 그 중의 적어도 하나의 액체처리장치에 이상이 있을 때, 기타 나머지 액체처리장치는 완충공간의 완충기압을 통하여 정상작동을 유지한다.
본문 내에 포함되어 있음.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처리장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와 가스가 가스액체 분리유닛에서 분리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체처리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른 형태의 가스액체 통로를 가진 액체처리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체와 가스가 가스액체 분리유닛에서 분리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액체와 가스가 가스액체 분리유닛에서 분리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액체처리장치의 설명도이다.
귀 심사위원이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더 이해하게 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아래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액체처리장치에 관한 도 1과 도 2를 함께 참고하기 바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처리장치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와 가스가 가스액체 분리유닛에서 분리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도 1과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액체처리장치(1)는 웨이퍼(W)의 표면에 액체(L)를 공급하여 액체처리를 진행한다. 액체(L)는 예하면 산성액 또는 세척액이고, 웨이퍼(W)의 표면에 가하여 에칭 또는 세척을 할 수 있는 액체처리이다. 액체처리장치(1)는 고정부재(10), 회전축(20), 누수방지부재(30), 가스공급부재(40), 액체공급부재(50), 액체수집부재(60)와 기좌(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고정부재(10)는 웨이퍼(W)의 플랫폼을 고정하고 적재하는데 사용된다. 고정부재(10)는 관통된 구멍(11)을 가지고, 구멍(11)은 회전축(2)의 내부를 연통한다. 고정부재(10)는 회전축(20), 누수방지부재(30) 및 가스공급부재(40)와도 매치될 수 있고, 고정부재(10)의 표면에 흡인력을 발생하여 상기 흡인력은 웨이퍼(W)를 흡인하고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부재(10)가 웨이퍼(W)를 고정하는 방식은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부재(10)는 블로우 에어 기능을 가지게 설계할 수 있고, 종래의 블로우 에어 서스펜션 방식을 통하여 웨이퍼(W)를 고정하거나 클램프를 갖도록 설계하여 웨이퍼(W) 주위를 집어 웨이퍼(W)를 고정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회전축(20)은 고정부재(10)의 저면을 연결하고, 회전축(20)은 고정부재(10)의 회전을 이끈다. 회전축(20)은 축내 통로(22)를 포함한다. 축내 통로(22)는 액체처리장치(1)의 일부분 부재를 용납하고, 축내 통로(22)의 상단에 오픈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오픈구멍은 구멍(11)과 정렬되기에 축내 통로(22)는 고정부재(10)의 구멍(11)을 연통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구멍(11) 및 정렬설정을 예로 들면, 실제수요에 의하여 복수 개의 구멍(11)과 비정렬의 방식을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경사각도에 의하여 구멍(11)을 설정하고 본건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액체처리장치(1)는 구동부재(90)를 더 포함하고, 구동부재(90)는 회전축(20)을 구동하여 회전축(20) 전체를 회전시켜 고정부재(10)의 회전을 진일보로 이끌고, 구동부재(90)는 축내 통로(22)의 저면에 위치하지만, 구동부재(90)의 위치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축(20) 저면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재(90)는 회전모터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회전축(20)은 회전모터일 수 있고, 예를 들면 회전축(20) 자체가 회전모터 또는 회전축(20)이 회전모터의 중심축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누수방지부재(30)는 구멍(11)에서 회전축(20) 내부로 흐르는 액체(L)를 수집하여 액체(L)가 액체처리장치(1)의 기타 부품 내에 흘러 부품파손의 조성을 방지한다. 제1실시예에서, 누수방지부재(30)는 고정부재(10)의 구멍(11)을 연통하고, 일부분의 누수방지부재(30)는 축내 통로(22)내에 위치하고, 다른 부분의 누수방지부재(30)는 회전축(20) 외로 연장되어 기좌(70)의 하방에 위치한다. 누수방지부재(30)는 가스액체 분리유닛(31), 스위치부재(33), 탐지기(34)와 가스액체 통로(35)를 포함한다. 가스액체 분리유닛(31)은 예를 들면, 병모양의 구조이고, 가스액체 분리유닛(31)은 구멍(11)과 연통하며 가스액체 분리유닛(31)은 구멍(11)에서 회전축(20) 내부에 흐른 액체(L)와 가스가 서로 분리되게 하여 통로에 의하여 회전축(20)에 진입한 액체(L)가 가스액체 분리유닛(31) 내부에 저장되게 한다. 가스액체 분리유닛(31)은 축내 통로(22) 내에 위치한다. 스위치부재(33)는 액체배출 통로(331)를 포함하고, 스위치부재(33)는 액체배출 통로(331)와 가스액체 분리유닛(31)을 통하여 연통하여 가스액체 분리유닛(31)에 의하여 배출한 액체 흐름량을 제어하고, 스위치부재(33) 말단에는 밸브가 있다. 액체배출 통로(331)는 축내 통로(22)에 의하여 연장되어 기좌(70)를 관통하고, 스위치부재(33) 말단의 밸브는 기좌(70)의 저면에 노출되고, 스위치부재(33)는 사용자에게 밸브오픈을 제공하여 가스액체 분리유닛(31)이 저장한 액체(L)를 배출하게 한다. 탐지기(34)는 가스액체 분리유닛(31)의 일측에 설치되어 가스액체 분리유닛(31) 내의 액체(L)의 용량을 탐지하고, 탐지기(34)는 예를 들면 액체중량 탐지기이고, 이는 액체중량 탐지기능을 가진 전자신호 발사기이고, 가스액체 분리유닛(31) 내부의 액체(L) 용량이 너무 높은지 여부를 탐지하고, 가스액체 분리유닛(31) 내부의 액체(L) 용량이 일정한 정도의 높이에 도달할 때, 액체중량 탐지기의 탐지기(34)는 가스액체 분리유닛(31) 내부의 액체(L)의 중량이 이미 경보알림 정도에 도달하였음을 대응하게 탐지하고, 이때, 탐지기(34)는 전자신호를 외부의 컴퓨터(미도시)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반드시 스위치부재(33)의 밸브를 오픈하여 가스액체 분리유닛(31)이 축적한 액체(L)를 배출하도록 알려준다. 그러나, 탐지기(34)의 탐지기능은 액체중량을 탐지하는 기능에 한정되지 않고, 탐지기(34)는 액체레벨 탐지기로도 설계할 수 있으며, 액체의 수위높이를 탐지하는 전자신호 발사기를 가지고 있고, 따라서, 가스액체 분리유닛(31) 내부의 액체(L)의 수위가 액체레벨 탐지기의 탐지기(34)를 터치하는 높이에 도달할 때, 탐지기(34)는 액체(L)의 수위를 대응하게 탐색하고, 이때, 탐지기(34)는 전자신호를 외부의 컴퓨터(미도시)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반드시 스위치부재(33)의 밸브를 오픈하여 가스액체 분리유닛(31)이 축적한 액체(L)를 배출하도록 알려준다. 그 외에, 스위치부재(33)의 밸브는 전자식 밸브로 설계할 수 있고, 전자식 밸브는 탐지기(34)가 전송한 전자신호를 수신할 수 있어 밸브가 자동으로 오픈되게 하여 가스액체 분리유닛(31)이 축적한 액체(L)가 흘러나오게 하고, 이와 같이 하면 사용자의 조작인력을 진일보로 절약할 수 있다. 가스액체 통로(35)는 가스와 액체(L)를 흐르게 하여 누수방지부재(30)의 가스액체 분리유닛(31)이 가스액체 통로(35)를 통하여 구멍(11)과 연통되게 한다. 가스액체 통로(35)가 구멍(11)을 멀리하는 일단에 제1포트(351)가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도 1과 도 2와 같이, 가스공급부재(40)는 가스통로(41)와 제어스위치(42)를 포함하고, 가스공급부재(40)는 가스통로(41)와 가스액체 분리유닛(31)을 통하여 연통된다. 가스통로(41)는 구멍(11)의 일단과 가까이 하고 제2포트(411)를 가진다. 제1포트(351)와 가스액체 분리유닛(31)의 저면은 제1간격(D)으로 떨어져 있고, 제2포트(411)와 가스액체 분리유닛(31)의 저면은 제2간격(E)으로 떨어져 있으며 제1간격(D)은 제2간격(E)보다 작고, 다시 말해서 제1포트(351)의 높이가 제2포트(411)보다 낮기에 액체(L)가 제1포트(351)에서 떨어질 때, 액체(L)는 비교적 어렵게 제2포트(411)에 흡입된다. 제어스위치(42)는 예를 들면, 3방향 밸브이고, 가스통로(41)에 설치되고, 제어스위치(42)는 가스통로(41) 내의 가스압력을 제어한다. 액체(L)가 고정부재(10)의 구멍(11)에서 회전축(20)에 진입할 때, 가스통로(41) 내의 가스압력에 영향을 줄 수 있고, 가스공급부재(40)의 가스공급에 연대영향 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웨이퍼(W) 파손 또는 잘못된 위치조준으로 상기 가스압력에 변화가 발생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통로(41) 내의 가스압력에 변화가 발생할 때, 제어스위치(42)는 가스압력의 변화에 따라 가스압력부재(40)와 가스액체 분리유닛(31)의 연통을 컷오프 하여, 가스압력이 지속적으로 영향 받는 것을 피한다. 가스공급부재(40)는 가스통로(41), 가스액체 분리유닛(31), 가스액체 통로(35)와 구멍(11)으로 형성된 연통라인에 의하여, 가스 소스를 고정부재(10)에 제공하고, 부압고정으로 말할 때, 가스공급부재(40)가 제공한 가스 소스는 부압가스이고, 따라서 가스공급부재(40)는 고정부재(10)의 외표면에 흡인력을 생성하여 고정부재(10)상의 웨이퍼(W)에 고정되고, 상기 가스압력이 비부압일 때, 예를 들면, 대기압 또는 대기압보다 높은 기압은 웨이퍼가 상기 고정부재(10)에서 이동되게 한다. 정압고정으로 말할 때, 가스공급부재(40)가 제공한 가스 소스는 정압가스일 수 있고, 고정부재(10)의 외표면에서 블로우 에어 서스펜션의 방식으로 고정부재(10)상의 웨이퍼(W)에 고정된다.
주의할 것은 누수방지부재(30)의 가스액체 분리유닛(31), 스위치부재(33), 탐지기(34)와 가스액체 통로(35) 및 가스공급부재(40)는 비록 축내 통로(22)에 위치하지만, 가스액체 분리유닛(31), 스위치부재(33), 탐지기(34)와 가스액체 통로(35) 및 가스공급부재(40)는 회전축(20)에 달라붙지 않았기에 가스액체 분리유닛(31), 스위치부재(33), 탐지기(34)와 가스액체 통로(35) 및 가스공급부재(40)는 회전축(20)에 의하여 함께 회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액체공급부재(50)는 고정부재(10) 위측에 위치하고, 액체공급부재(50)는 액체(L)를 웨이퍼(W)의 표면에 공급하여 웨이퍼(W)의 표면에 대하여 액체처리를 한다. 기좌(70)는 회전축(20), 액체공급부재(50)와 액체수집부재(60)를 연결한다. 기좌(70)는 링형의 측벽(71)을 포함하고, 측벽(71)은 회전축(20)을 에워싼다. 기좌(70)는 고정부재(10), 회전축(20), 누수방지부재(30), 가스공급부재(40), 액체공급부재(50)와 액체수집부재(60)를 지지한다. 액체수집부재(60)는 회전축(20)으로 웨이퍼(W) 회전할 때, 분출되는 액체(L)를 수집한다. 액체수집부재(60)는 두 개의 환형의 수집환(61, 61a)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 수집환(61, 61a)은 각각 측벽(71)에서 승강할 수 있다. 내측의 수집환(61a)이 상승할 때, 내측의 수집환(61a)은 회전하는 웨이퍼(W)에서 떨어지는 액체(L)를 수집할 수 있고, 내측의 수집환(61a)이 하강할 때, 외측의 수집환(61)은 회전하는 웨이퍼(W)에서 떨어지는 액체(L)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는 두 개의 수집환(61, 61a) 승강을 제어하고, 서로 다른 액체처리에서 사용한 액체(L)를 수집하고,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수집환(61, 61a)만을 예로 들어, 실제요구에 따라 서로 다른 수량의 수집환을 증감할 수 있고 본건의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주의할 것은 본 발명의 회전축(20), 누수방지부재(30), 가스공급부재(40), 액체공급부재(50)와 액체수집부재(60)는 모두 외부 컴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 컴퓨터를 사용하여 회전축(20), 누수방지부재(30), 가스공급부재(40), 액체공급부재(50)와 액체수집부재(6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외부 컴퓨터를 사용하여 부품작동을 제어하는 것은 본 영역에서 공지된 상식이고 본건의 중점이 아니기에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액체처리장치(1)를 사용하여 웨이퍼(W)에 대하여 액체처리를 할 때, 사용자는 외부 컴퓨터를 사용하여 가스공급부재(40)가 제공한 부압 가스의 가스 소스를 제어하고, 이때, 구멍(11)에는 가스를 흡수하는 흡인력이 생겨 외부 가스가 구멍(11)에서 회전축(20)내의 가스액체 통로(35)에 진입하고, 또 가스액체 통로(35)로 가스액체 분리유닛(31)에 진입하고, 또한 가스통로(41)로 가스공급부재(40)(도 2와 같이 가스유동방향 A)에 진입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웨이퍼(W)를 고정부재(10)상에 놓고, 이때, 구멍(11)에서 생성된 흡인력은 웨이퍼(W)를 흡인한다. 이로써, 웨어퍼(W)가 견고하게 고정부재(10)에 위치하게 하고,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 컴퓨터를 사용하여 회전축(20)을 회전하는 것으로 고정부재(10)의 회전을 이끌고, 액체공급부재(50)가 웨이퍼(W)에 대한 액체(L) 스프레이를 제어하는 것으로 액체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웨이퍼(W)에 크랙(Y)이 있을 때, 액체공급부재(50)는 웨이퍼(W)가 스프레이한 액체(L)에 대하여 크랙(Y)에 의하여 구멍(11)에서 생성된 흡인력을 흡인하여 회전축(20)내의 가스액체 통로(35)에 흘러 들어갈 수 있다. 액체(L)가 가스액체 통로(35)에서 가스액체 분리유닛(31)에 진입할 때, 액체(L)는 중력의 영향을 받아 가스액체 분리유닛(31)의 저면으로 흘러 스위치부재(33)로 흘러 들어간다. 따라서, 회전축(20)내에 흘러 들어간 가스액체 통로(35)의 액체(L)와 가스는 서로 나뉘어지고, 액체(L)는 가스액체 분리유닛(31)과 스위치부재(33)의 액체배출 통로(331)내에 저장되고, 액체(L)는 가스통로(41)로 가스공급부재(40) 및 액체처리장치(1)의 기타 부품내에 진입하여 부품파손을 더 이상 하지 않는다. 가스액체 분리유닛(31)과 스위치부재(33)가 저장한 액체(L)가 너무 많아 일정한 중량 또는 수위에 도달하면, 탐지기(34)는 액체(L)가 이미 일정한 중량 또는 수위에 도달하였음을 탐지할 수 있고, 전자신호를 외부 컴퓨터에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반드시 스위치부재(33)의 밸브를 오픈하여 가스액체 분리유닛(31)의 저면에 저장된 액체(L)를 추출할 것을 알려준다. 또한, 액체(L)가 크랙(Y)에서 고정부재(10)의 통로(11)에 진입하고, 회전축(20)에 또 진입할 때, 크랙(Y)가 이미 가스통로(41)를 연통하고 대기와 연통되었음을 표시하여 가스통로(41)내의 가스압력에 영향 줄 수 있고, 가스공급부재(40)의 가스공급에 연대영향을 주며, 가스통로(41)내의 가스압력 개변도 고정부재(10)가 웨이퍼(W)를 고정하는 안정성에 연대영향을 준다. 따라서, 가스통로(41)내의 가스압력에 변화가 발생할 때, 제어스위치(42)는 가스압력의 변화에 따라 가스공급부재(40)와 가스액체 분리유닛(31)의 연통을 컷오프 하여 가스압력이 지속적으로 받는 영향을 피한다.
아래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액체처리장치에 관한 도 3과 도 3a를 참고하기 바란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체처리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른 형태의 가스액체 통로를 가진 액체처리장치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도 3과 같이 제2실시예와 제1실시예의 차별은 가스액체 분리유닛(31a)이 축내 통로(22a)에 설치되지 않고, 기좌(70a)가 회전축(20a)을 멀리하는 일측에 설치된다. 실시예에 따라 기좌(70a)의 하방에 설치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회전축(20a)외에 설치된다. 상술한 가스액체 분리유닛(31a)의 설치위치는 실제수요에 의하여 개변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회전축(20a)에는 가스액체 분리유닛(31a)이 용납되지 않기에, 회전축(20a)의 높이는 비교적 짧은 높이로 설계할 수 있고, 기좌(70a)의 측벽(71a)도 함께 비교적 짧은 높이로 설계될 수 있기에 기좌(70a)의 상부구조의 설계요구는 비교적 탄성적이다. 제2실시예의 액체처리장치(1a)의 누수방지부재(30a)는 가스액체 통로(36)를 가지고, 누수방지부재(30a)의 가스액체 분리유닛(31a)은 가스액체 통로(36)과 축내 통로(22a)의 일단을 통하여 연통된다. 스위치부재(33a)의 액체배출 통로(331a)는 가스액체 분리유닛(31a) 위치의 변경에 매치하여 설계가 비교적 짧은 길이를 대응하게 획득할 수 있다. 가스공급부재(40a)의 위치, 가스통로(41a)와 제어스위치(42)의 위치는 가스액체 분리유닛(31a) 위치의 변경에 매치하여 기좌(70a)의 하방에 위치한 개변된 위치를 대응하게 획득할 수 있다. 액체(L)가 구멍(11)을 통하여 축내 통로(22a)에 흘러 들어갈 때, 액체(L)는 중력에 의하여 가스액체 통로(36)로 흐르고, 가스액체 분리유닛(31a)의 저면에 떨어진다. 가스가 가스공급부재(40a)의 흡인을 받아 구멍(11)에 의하여 축내 통로(22a)에 흐를 때, 가스는 계속적으로 흡인을 받아 가스액체 통로(36)와 가스액체 분리유닛(31a)에 흐르고, 또 가스통로(41a)에 의하여 가스공급부재(40a)에 흡인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의 액체처리장치(1a)도 회전축(20a)내에 흘러 들어간 액체(L)와 가스를 서로 분리하여 액체(L)가 가스액체 분리유닛(31a)와 스위치부재(33a)의 액체배출 통로(331a)내에 저장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3a와 같이 가스액체 통로(36a)도 비교적 긴 길이를 가져 구멍(11)을 연결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액체(L)가 구멍(11)에 의하여 흘러 들어가면, 직접 가스액체 통로(36a)에 의하여 가스액체 분리유닛(31a)에 흘러 들어갈 수 있다.
아래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액체처리장치에 관한 도 4를 참고하기 바란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체와 가스가 가스액체 분리유닛에서 분리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도 4와 같이, 제3실시예와 제1실시예의 차이는 누수방지부재(30b)가 L형의 가림판(37)을 가지고, L형의 가림판(37)은 가스액체 분리유닛(31b)내에 위치하고, L형의 가림판(37)은 가스액체 분리유닛(31b)을 상층구역과 하층구역으로 구분한다. 상층구역은 액체배출 통로(331b)를 연통하고, 상층구역은 가스액체 통로(35)에서 떨어지는 액체(L)를 받고, 탐지기(34b)는 상층구역에 위치한다. 하층구역은 가스공급부재(40b)의 가스통로(41b)와 연통되고, 하층구역은 가스파이프라인을 형성하여 가스액체 통로(35)내의 가스를 공급하여 가스통로(41b)로 흘러 들어가게 하고, 이로써 가스액체 통로(35)내에서 흐르는 가스와 액체(L)를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누수방지부재(30b)는 기좌(70)가 회전축(20)을 멀리하는 일측에 설치할 수 있고, 회전축(20) 외에 설치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미도시).
아래에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액체처리장치에 관한 도 5를 참고하기 바란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액체와 가스가 가스액체 분리유닛에서 분리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도 5와 같이, 제4실시예와 제1실시예의 차이는 누수방지부재(30c)가 긴판형태의 가림판(37a)을 가지고, 긴판형태의 가림판(37a)은 가스액체 분리유닛(31c)내에 위치하고, 긴판형태의 가림판(37a)은 가스액체 분리유닛(31c)을 좌측구역과 우측구역으로 구분한다. 우측구역은 액체배출 통로(331c)를 연통하고, 우측구역은 가스액체 통로(35)에서 떨어지는 액체(L)를 받고, 탐지기(34c)는 우측구역에 위치한다. 좌측구역은 가스공급부재(40c)의 가스통로(41c)와 연통되고, 좌측구역은 가스파이프라인을 형성하여 가스액체 통로(35)내의 가스를 공급하여 가스통로(41c)로 흘러 들어가게 하고, 이로써 가스액체 통로(35)내에서 흐르는 가스와 액체(L)를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누수방지부재(30c)는 기좌(70)가 회전축(20)을 멀리하는 일측에 설치할 수 있고, 회전축(20) 외에 설치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미도시). 본 발명에서, 단지 상술한 가스액체 분리유닛을 예로 들면, 액체중량이 가스중량보다 높고, 구조설계를 통하여 가스액체 분리를 하면 되며, 본건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래에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액체처리장치에 관한 도 6을 참고하기 바란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액체처리장치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도 6과 같이, 제5실시예와 제1실시예의 차이는 액체처리장치(1b)는 복수 개이고, 각각의 액체처리장치(1b)는 하나의 가스공급부재(40d)를 사용하고 상기 가스공급부재(40d)는 기좌(70) 아래에 설치된다. 액체처리장치(1b)는 완충공간을 가지는 완충용기(80)를 더 포함하고, 기좌(70) 아래에 설치된다. 완충용기(80)와 누수방지부재(30) 및 가스공급부재(40d)는 서로 연통된다. 가스공급부재(40d)는 가스 소스를 완충용기(80)의 완충공간에 제공할 수 있고, 완충용기(80)와 가스통로(41d)의 연통으로 가스 소스를 고정부재(10)에 제공한다. 그 중의 임의의 액체처리장치(1b)에 이상이 발생할 때, 예를 들면 웨이퍼(W) 파손 또는 잘못된 위치조준으로 가스압력에 변화가 발생할 때, 완충용기(80)의 큰 체적의 완충공간은 가스공급부재(40d)가 가스 소스를 각각의 액체처리장치(1b)에 제공하는 전체적 기압변화를 완충시켜 기압의 급격한 변화로 고정부재(10)가 웨이퍼(W)를 고정하는데 영향을 피할 수 있고, 따라서 기타 나머지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액체처리장치(1b)는 완충공간의 완충기압을 통하여 정상작동 할 수 있다. 주의할 것은 제5실시예의 완충용기(80)는 비록 기좌(70) 아래에 설치되지만 그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완충용기(80)는 기타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회전축(20)내에 위치한다. 완충용기(80)의 설치는 제어스위치(42)의 설치와 매치하여 제어할 수 있고, 제어스위치(42)는 가스압력의 변화에 따라 가스공급부재(40)와 가스액체 분리유닛(31)의 연통을 컷오프 하여 가스압력이 계속하여 영향을 받는 것을 피한다.
본 발명의 액체처리장치의 구조에 의하여 회전축 내에 흘러 들어간 액체와 가스를 서로 나눌 수 있고, 액체는 가스액체 분리유닛과 스위치부재 내에 저장되고, 액체는 더 이상 액체처리장치의 기타부품 내에 들어가지 않으며 가스공급부재에 흘러 들어가 부품의 파손을 일으키지도 않는다.
주의할 것은, 상술한 내용은 단지 실시예이고,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기본구조를 벗어나지 않는 내용은 본 특허가 주장하는 권리범위에 속하고 특허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1, 1a, 1b: 액체처리장치
10: 고정부재
11: 구멍
20, 20a: 회전축
22, 22a: 축내 통로
30, 30a, 30b, 30c: 누수방지부재
31, 31a, 31b, 31c: 가스액체 분리유닛
33, 33a: 스위치부재
331, 331a, 331b, 331c: 액체배출 통로
34, 34b, 34c: 탐지기
35, 36, 36a: 가스액체 통로
351: 제1포트
37, 37a: 가림판
40, 40a, 40b, 40c, 40d: 가스공급부재
41, 41a, 41b, 41c, 41d: 가스통로
411: 제2포트
42: 제어스위치
50: 액체공급부재
60: 액체수집부재
61, 61a: 수집환
70, 70a: 기좌
71, 71a: 측벽
80: 완충용기
90: 구동부재
A: 가스유동방향
D: 제1간격
E: 제2간격
W: 웨이퍼
Y: 크랙

Claims (13)

  1. 웨이퍼의 표면에 액체를 공급하여 액체처리를 하는 액체처리장치에 있어서,
    기좌;
    상기 기좌를 연결하고 축내 통로를 구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연결하고 상기 웨이퍼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는 관통된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구멍은 상기 축내 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액체를 상기 웨이퍼 표면에 제공하는 액체 공급부재;
    상기 구멍과 연통되는 누수방지부재; 및
    상기 누수방지부재를 연통하고 가스 소스를 상기 고정부재에 제공하는 가스공급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가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구멍에서 상기 회전축에 진입할 때, 상기 액체는 상기 누수방지부재로 흘러 상기 액체가 상기 가스공급부재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누수방지부재는 가스액체 분리유닛 및 스위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액체 분리유닛은 상기 구멍과 연통되어 상기 구멍으로 상기 회전축을 진입하는 상기 액체가 상기 가스액체 분리유닛에 저장되게 하고,
    상기 스위치부재는 액체배출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재는 상기 액체배출 통로를 통하여 상기 가스액체 분리유닛과 연통되어 상기 가스액체 분리유닛으로 배출하는 상기 액체 흐름량을 제어하는
    액체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공급부재는 가스통로 및 제어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공급부재는 상기 가스통로와 상기 가스액체 분리유닛을 통하여 연통되고,
    상기 제어스위치는 상기 가스통로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통로 내의 가스압력을 제어하는
    액체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가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구멍에서 상기 회전축으로 진입할 때, 상기 제어스위치는 상기 가스공급부재와 상기 가스액체 분리유닛의 연통을 컷오프 하는
    액체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압력이 부압일 때, 상기 웨이퍼는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가스압력이 비부압일 때, 상기 웨이퍼는 상기 고정부재에서 이동하는
    액체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부재는 탐지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탐지기는 상기 가스액체 분리유닛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액체 분리유닛 내의 상기 액체 용량을 탐지하는
    액체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탐지기는 액체레벨 탐지기 또는 액체중량 탐지기인
    액체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액체 분리유닛은 상기 축내 통로에 설치되고, 상기 누수방지부재는 가스액체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누수방지부재는 상기 가스액체 통로를 통하여 상기 구멍과 연통되는
    액체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액체 분리유닛은 상기 기좌가 상기 회전축을 멀리하는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누수방지부재는 가스액체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누수방지부재는 상기 가스액체 통로를 통하여 상기 축내 통로의 일단과 연통되고, 그 중에서 상기 누수방지부재는 상기 가스액체 통로를 통하여 상기 구멍과 연통되는
    액체처리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공급부재는 가스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액체 통로가 상기 구멍을 멀리하는 일단에 제1포트가 있고, 상기 가스통로가 상기 구멍에 가까이 하는 일단에 제2포트가 있으며,
    상기 제1포트와 상기 가스액체 분리유닛의 저면은 제1간격으로 떨어져 있고, 상기 제2포트와 상기 가스액체 분리유닛의 저면은 제2간격으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1간격은 상기 제2간격보다 작은
    액체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회전모터인
    액체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처리장치는 액체수집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수집부재는 상기 기좌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으로 상기 웨이퍼 회전시킬 때 분출되는 상기 액체를 수집하는
    액체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완충공간을 가지는 완충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용기와 상기 누수방지부재 및 상기 가스공급부재는 서로 연통되며,
    상기 액체처리장치는 복수 개이고, 상기 가스공급부재는 상기 가스 소스를 상기 완충공간에 제공하며, 그 중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액체처리장치에 이상이 있을 때, 기타 나머지 상기 액체처리장치는 상기 완충공간의 완충기압을 통하여 정상작동을 유지하는 액체처리장치.
KR1020170140475A 2016-11-10 2017-10-26 액체처리장치 KR1020013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20107P 2016-11-10 2016-11-10
US62/420,107 2016-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526A KR20180052526A (ko) 2018-05-18
KR102001309B1 true KR102001309B1 (ko) 2019-07-17

Family

ID=61229113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013A KR20180052511A (ko) 2016-11-10 2017-08-22 기판 습식 처리장치
KR1020170140475A KR102001309B1 (ko) 2016-11-10 2017-10-26 액체처리장치
KR1020170143850A KR20180052528A (ko) 2016-11-10 2017-10-31 기판 습식 처리장치
KR1020170145349A KR102003128B1 (ko) 2016-11-10 2017-11-02 기판습식 처리장치
KR1020170148012A KR102039795B1 (ko) 2016-11-10 2017-11-08 단일기판 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013A KR20180052511A (ko) 2016-11-10 2017-08-22 기판 습식 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850A KR20180052528A (ko) 2016-11-10 2017-10-31 기판 습식 처리장치
KR1020170145349A KR102003128B1 (ko) 2016-11-10 2017-11-02 기판습식 처리장치
KR1020170148012A KR102039795B1 (ko) 2016-11-10 2017-11-08 단일기판 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5) KR20180052511A (ko)
CN (6) CN108074858B (ko)
TW (9) TWI6459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41045A (zh) * 2018-08-20 2018-12-07 上海健康医学院 一种便携式压模牙具清洗装置
CN110854010B (zh) * 2018-08-20 2022-07-22 北京北方华创微电子装备有限公司 冷却晶圆的方法、装置和半导体处理设备
JP6979935B2 (ja) * 2018-10-24 2021-12-15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製造装置および半導体製造方法
CN109225968B (zh) * 2018-11-09 2024-03-19 天津中晟达科技有限公司 擦拭设备
KR102176209B1 (ko) * 2018-12-13 2020-11-09 주식회사 제우스 이물질 제거용 기판처리장치
US20200373190A1 (en) * 2019-05-20 2020-11-26 Applied Materials, Inc. Process kit enclosure system
CN110361139B (zh) * 2019-06-03 2021-08-03 山东天岳先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检测半导体碳化硅衬底中大尺寸微管的方法及装置
CN110299311A (zh) * 2019-06-21 2019-10-01 德淮半导体有限公司 一种晶圆清洗干燥装置和方法
CN110534458A (zh) * 2019-08-08 2019-12-03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清洗设备及其清洗方法
CN110600405A (zh) * 2019-08-28 2019-12-20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清洗装置、方法及存储介质
JP7313244B2 (ja) * 2019-09-20 2023-07-24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方法
KR102378623B1 (ko) * 2019-11-08 2022-03-24 사이언테크 코포레이션 기판들을 위한 습식 처리 장치
TWI739201B (zh) * 2019-11-08 2021-09-11 辛耘企業股份有限公司 基板濕處理裝置及基板清洗方法
CN112275572A (zh) * 2020-09-29 2021-01-29 安徽索立德铸业有限公司 一种水泵铸件生产线用涂料混合装置
TWI755122B (zh) * 2020-10-28 2022-02-11 辛耘企業股份有限公司 晶圓蝕刻機
TWI778786B (zh) * 2021-09-11 2022-09-21 辛耘企業股份有限公司 晶圓加工方法及載台
CN114453321A (zh) * 2022-02-25 2022-05-10 上海普达特半导体设备有限公司 一种单片式晶圆清洗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4463B1 (ko) * 1995-04-19 1999-10-15 히가시 데쓰로 도포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657B2 (ja) * 1977-12-14 1985-05-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スクアライナのウエハ密着・分離機構
US4358955A (en) * 1980-09-29 1982-11-16 Technomadic Corporation Liquid level gauge
TW310452B (ko) * 1995-12-07 1997-07-11 Tokyo Electron Co Ltd
JP3556043B2 (ja) * 1996-03-19 2004-08-18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基板乾燥装置
JP3594037B2 (ja) * 1997-03-28 2004-11-24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処理方法および基板処理装置
TW344309U (en) * 1997-04-11 1998-11-01 Qiu-Fu Ke Improved structure of a pneumatic foam maker
US6328814B1 (en) * 1999-03-26 2001-12-11 Applied Materials, Inc. Apparatus for cleaning and drying substrates
JP3587723B2 (ja) * 1999-04-30 2004-11-10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方法
JP2000331975A (ja) * 1999-05-19 2000-11-30 Ebara Corp ウエハ洗浄装置
EP1220036A1 (en) * 1999-09-01 2002-07-03 Sanei Giken Co., Ltd. Substrate supporting table of exposure system
JP2001074535A (ja) * 1999-09-06 2001-03-23 Sumitomo Heavy Ind Ltd 液体レベルゲージ用のプラグ、該プラグを用いた液体レベルゲージ、及び該プラグの製造方法
JP3850226B2 (ja) * 2001-04-02 2006-11-29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基板処理装置
JP4064132B2 (ja) * 2002-03-18 2008-03-19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基板処理装置及び基板処理方法
JP4131164B2 (ja) * 2002-11-27 2008-08-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基板固定方法および表示装置製造方法
JP4219799B2 (ja) * 2003-02-26 2009-02-04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
JP2004300576A (ja) * 2003-03-20 2004-10-28 Ebara Corp 基板処理方法及び基板処理装置
TW584915B (en) * 2003-04-10 2004-04-21 Grand Plastic Technology Corp Liquid collection apparatus for single wafer spin etcher
JP3560962B1 (ja) * 2003-07-02 2004-09-02 エス・イー・エス株式会社 基板処理法及び基板処理装置
EP1718420A1 (en) * 2004-02-24 2006-11-08 Ebara Corporatio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CN1946486A (zh) * 2004-04-28 2007-04-11 株式会社荏原制作所 基板处理单元及基板处理装置
WO2005105322A1 (ja) * 2004-04-28 2005-11-10 Ebara Corporation 基板処理ユニット及び基板処理装置
JP4410076B2 (ja) * 2004-10-07 2010-02-03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現像処理装置
JP2007273758A (ja) * 2006-03-31 2007-10-18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基板処理装置
JP2007294781A (ja) * 2006-04-27 2007-11-08 Shinkawa Ltd ボンディング装置及びボンディング装置における回路基板の吸着方法
KR100794919B1 (ko) * 2006-07-24 2008-01-15 (주)에스티아이 글라스 식각장치 및 식각방법
KR100909337B1 (ko) * 2007-12-14 2009-07-24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습식 세정 방법 및 이를 제어하는 습식 세정 장치 콘트롤러
KR101036605B1 (ko) * 2008-06-30 2011-05-24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지지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매엽식 기판 연마 장치
JP2012186728A (ja) * 2011-03-07 2012-09-27 Seiko Instruments Inc 圧電振動片の製造方法、圧電振動片の製造装置、圧電振動片、圧電振動子、発振器、電子機器および電波時計
KR101801264B1 (ko) * 2011-06-13 2017-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 방법
US10269615B2 (en) * 2011-09-09 2019-04-23 Lam Research Ag Apparatus for treating surfaces of wafer-shaped articles
US8899246B2 (en) * 2011-11-23 2014-12-02 Lam Research Ag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wafer shaped articles
JP6057624B2 (ja) * 2012-09-03 2017-01-11 株式会社Screenセミコンダクターソリューションズ カップおよび基板処理装置
CN103730331B (zh) * 2012-10-10 2016-06-08 辛耘企业股份有限公司 干燥方法及干燥装置
JP6017262B2 (ja) * 2012-10-25 2016-10-26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方法
WO2014082212A1 (en) * 2012-11-28 2014-06-05 Acm Research (Shanghai)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semiconductor wafer
CN103846245B (zh) * 2012-11-29 2018-01-16 盛美半导体设备(上海)有限公司 基板清洗装置及清洗方法
CN203250724U (zh) * 2013-04-25 2013-10-23 盛美半导体设备(上海)有限公司 晶圆清洗装置
TWI556878B (zh) * 2014-02-26 2016-11-11 辛耘企業股份有限公司 流體加速裝置
TWM505052U (zh) * 2015-01-22 2015-07-11 Scientech Corp 流體製程處理裝置
JP6320945B2 (ja) * 2015-01-30 2018-05-09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方法
CN205527751U (zh) * 2015-12-21 2016-08-31 赵志峰 高纯氮气纯化装置
TWM529937U (zh) * 2016-07-12 2016-10-01 吳振維 吸附裝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4463B1 (ko) * 1995-04-19 1999-10-15 히가시 데쓰로 도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52118B (zh) 2019-03-01
TWI672765B (zh) 2019-09-21
TWI652117B (zh) 2019-03-01
CN108074858B (zh) 2020-04-21
CN108091591B (zh) 2020-01-07
TW201822893A (zh) 2018-07-01
CN108074838A (zh) 2018-05-25
CN108091591A (zh) 2018-05-29
TWI652462B (zh) 2019-03-01
TWI645915B (zh) 2019-01-01
KR102003128B1 (ko) 2019-07-23
CN108074858A (zh) 2018-05-25
TWI645913B (zh) 2019-01-01
TWM553231U (zh) 2017-12-21
KR20180052538A (ko) 2018-05-18
CN108074842A (zh) 2018-05-25
CN207183227U (zh) 2018-04-03
TW201818057A (zh) 2018-05-16
CN108074842B (zh) 2020-06-09
CN108074856A (zh) 2018-05-25
KR20180052531A (ko) 2018-05-18
TW201829077A (zh) 2018-08-16
TWI633615B (zh) 2018-08-21
KR20180052526A (ko) 2018-05-18
TW201832833A (zh) 2018-09-16
TW201818492A (zh) 2018-05-16
KR20180052528A (ko) 2018-05-18
TW201830571A (zh) 2018-08-16
TW201817662A (zh) 2018-05-16
KR20180052511A (ko) 2018-05-18
CN108074856B (zh) 2020-06-09
TWI615336B (zh) 2018-02-21
TW201817501A (zh) 2018-05-16
KR102039795B1 (ko) 201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309B1 (ko) 액체처리장치
GB2546036A (en) Drill cuttings circular separator
CN103567808B (zh) 切屑吸引装置用工具保持件及具备该工具保持件的机床
JP6571344B2 (ja) 基板処理装置
US8865483B2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JP2014024045A (ja) 泡除去装置及び泡除去方法
JP6542133B2 (ja) 自動分析装置
JP4995669B2 (ja)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方法
KR20060129880A (ko) 반도체 소자용 제조설비
JP6831301B2 (ja) 相互作用装置
JP4694400B2 (ja) ウェハ保持装置
JP2017074359A (ja) 吸引装置
FI71975B (fi) Anordning foer pumpning av skummande vaetskor
JP2014047969A (ja) 油分離器
JP2016033443A (ja) 液体除去装置、スクリュ圧縮機、スクリュ膨張機及び延長ケーシング
KR20190110707A (ko) 공작기계의 절삭유 탱크 장치 및 제어 방법
US20150268125A1 (en) Oil detection sensor module for sensing oil leakage in coolant system
CN105751300B (zh) 钻孔机及用于钻孔机的真空度检测方法
KR20200085169A (ko) 배관부 검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단 설비
KR20140001638U (ko) 캐리어 헤드 하우징과 보유 링 간의 결합 상태 점검 기능을 갖는 화학 기계적 연마 장치의 캐리어 헤드
CN217970154U (zh) 导气装置
JP2009287992A (ja) フロート式微差圧表示器
JP2011114144A (ja) ダイボンダ及びダイボンダ用ボンディングアームの製造方法
JP6457717B2 (ja) 縦型吸込ポンプ
KR20150142319A (ko) 부품 실장기용 노즐 유닛 및 노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