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2711A - 하이브리드 차량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2711A
KR20100102711A KR1020107017912A KR20107017912A KR20100102711A KR 20100102711 A KR20100102711 A KR 20100102711A KR 1020107017912 A KR1020107017912 A KR 1020107017912A KR 20107017912 A KR20107017912 A KR 20107017912A KR 20100102711 A KR20100102711 A KR 20100102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isposed
canister
hybrid vehicle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7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2053B1 (ko
Inventor
신야 구보타
하루미 다케도미
가즈유키 구마쿠라
미츠시게 고토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2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04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adapted to avoid loss of fuel or fuel vapour, e.g. with vapour recover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4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assembly or relative disposition o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07Measures or means for preventing or attenuating colli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9Layout of the fuel vapour insta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the electric stor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16Arrangement in the rear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42Mounting of the venting means
    • B60K2015/03557Mounting of the venting means comprising elements of the venting device integrated in the fuel tank, e.g. vapor recover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2015/0638Arrangement of tanks the fuel tank is arranged in the rear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Polymers With Sulfur, Phosphorus Or Metals In The Main Chain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Abstract

하이브리드 차량의 바닥 패널(41) 밑에 배치된 연료 탱크(42)의 바로 후방이며, 좌우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12) 사이에 있는 화물실의 바닥 밑에, 적어도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장 부품을 수납하는 케이스(14)를 배치하고, 케이스(14)의 좌우 일측에 캐니스터(48)를 배치한다. 캐니스터(48)를 리어 사이드 프레임(12)의 좌우 방향 외단보다도 내측이며, 케이스(14)의 후단보다도 전방에 배치했기 때문에, 차체 후방부의 화물실의 용량을 확보하면서, 차량에 측방 충돌이 발생했을 때에는 리어 사이드 프레임(12)으로 케이스(14) 및 캐니스터(48)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차량에 후방 충돌이 발생했을 때에는 케이스(14)로 연료 탱크(42) 및 캐니스터(48)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차량{HYBRID VEHICLE}
본 발명은, 바닥 패널의 하방에 배치된 연료 탱크의 바로 후방이며, 좌우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있는 화물실의 바닥 밑에, 적어도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장 부품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배치하고, 상기 케이스의 좌우 일측에 캐니스터를 배치한 하이브리드 차량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를 구동하는 배터리를, 차체 후방부의 화물실의 바닥 위에 배치한 것이, 하기 특허 문헌 1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또한 리어 시트의 후방의 화물실에 배터리를 배치하고, 그 후방에 스페어 타이어를 배치한 하이브리드 차량에 있어서, 후방으로부터 충돌을 받았을 때에 스페어 타이어가 전진하여 배터리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전진하는 스페어 타이어를 비스듬히 상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마련한 것이, 하기 특허 문헌 2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0595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62412호 공보
그런데, 하이브리드 차량의 리어 시트의 하방에 연료 탱크를 배치하고, 또한 차체 후방부의 화물실의 용적을 확보하기 위해서 그 화물실의 바닥 밑에 스페어 타이어 및 배터리를 배치한 경우, 차량의 충돌에 의해 배터리, 연료 탱크 및 그 연료 탱크의 부속품인 캐니스터 등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들 부품을 충돌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다. 또한 차량에 후방 충돌이 발생한 경우에 충돌의 충격으로 스페어 타이어가 전진해도, 스페어 타이어를 안내하는 특별한 가이드 부재를 마련하지 않고서, 전방의 연료 탱크를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차체 후방부의 화물실의 용량을 확보하면서, 전장 부품을 수납하는 케이스, 연료 탱크 및 캐니스터를 충돌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 패널의 하방에 배치된 연료 탱크의 바로 후방이며, 좌우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있는 화물실의 바닥 밑에, 적어도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장 부품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배치하고, 상기 케이스의 좌우 일측에 캐니스터를 배치한 하이브리드 차량으로서, 상기 캐니스터는, 상기 리어 사이드 프레임의 좌우 방향 외단보다도 내측이며, 상기 케이스의 후단보다도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제1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제안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특징에 더하여, 상기 캐니스터의 후방에 그 캐니스터에 도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에어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 필터는 상기 캐니스터의 후방으로의 투영 범위 밖에 배치되는 것을 제2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제안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특징에 더하여, 상기 에어 필터의 후단은, 상기 케이스의 후단보다도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제3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제안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제3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더하여, 상기 케이스의 좌우 방향 타측에 소음 장치(silencer)를 구비하고, 상기 소음 장치의 후단은, 상기 케이스의 후단보다도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제4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제안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제3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더하여, 상기 케이스의 후방에 소음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소음 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후방으로의 투영 범위 내에 배치되는 것을 제5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제안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제5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더하여, 상기 전장 부품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모듈과,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인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후방부에 상기 배터리 모듈로부터 상기 인버터에 냉각풍을 안내하는 중간 덕트가 배치되는 것을 제6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제안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6 구성에 더하여, 상기 캐니스터의 후단은, 상기 중간 덕트의 전단보다도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제7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제안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제7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더하여, 상기 케이스는 상기 좌우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에 현수 프레임을 통해 현수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전장 부품 및 상기 캐니스터는 상기 현수 프레임의 후단보다도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제8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제안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제8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더하여, 상기 연료 탱크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좌우 양단이 상기 좌우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에 접속된 보강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제9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제안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제9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더하여, 상기 케이스의 후방에 물품 수납 용기가 마련되는 것을 제10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제안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제10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더하여, 상기 케이스의 상방에 스페어 타이어가 배치되고, 상기 스페어 타이어의 하면은 상기 연료 탱크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스페어 타이어의 후단은 상기 케이스의 후단보다도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제11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제안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1 특징에 더하여,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충격에 의해 분리되는 브래킷을 마련하고, 상기 브래킷에 상기 스페어 타이어를 지지한 것을 제12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제안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1 또는 제12 특징에 더하여, 상기 연료 탱크의 상방에 상기 바닥 패널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리어 시트와, 상기 케이스에 냉각풍을 도입하는 흡기 덕트와, 상기 케이스로부터 냉각풍을 배출하는 배기 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스페어 타이어의 전방부와 상기 리어 시트의 시트 쿠션 사이에, 상기 흡기 덕트 및 상기 배기 덕트의 상기 케이스에 대한 접속부가 배치되는 것을 제13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제안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3 특징에 더하여, 상기 흡기 덕트 및 상기 배기 덕트의 상기 케이스에 대한 접속부와 상기 리어 시트의 시트 쿠션 사이에, 상기 좌우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을 접속하는 크로스 멤버가 배치되는 것을 제14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제안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 패널의 하방에 배치된 연료 탱크의 바로 후방이며, 좌우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있는 화물실의 바닥 밑에, 적어도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장 부품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배치하고, 상기 케이스의 좌우 일측에 캐니스터를 배치한 하이브리드 차량으로서, 상기 캐니스터는, 상기 리어 사이드 프레임의 좌우 방향 외단보다도 내측이며, 상기 케이스의 후단보다도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캐니스터에 도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에어 필터는, 상기 캐니스터의 후방으로의 투영 범위 밖에 배치되며, 상기 전장 부품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모듈과,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인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후방부에 상기 배터리 모듈로부터 상기 인버터에 냉각풍을 안내하는 중간 덕트가 배치되며, 상기 캐니스터의 후단은, 상기 중간 덕트의 전단보다도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제15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제안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 패널의 하방에 배치된 연료 탱크의 바로 후방이며, 좌우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있는 화물실의 바닥 밑에, 적어도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장 부품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배치하고, 상기 케이스의 좌우 일측에 캐니스터를 배치한 하이브리드 차량으로서, 상기 캐니스터는, 상기 리어 사이드 프레임의 좌우 방향 외단보다도 내측이며, 상기 케이스의 후단보다도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방에 스페어 타이어가 배치되며, 상기 스페어 타이어의 하면은 상기 연료 탱크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스페어 타이어의 후단은 상기 케이스의 후단보다도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연료 탱크의 상방에 상기 바닥 패널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리어 시트와, 상기 케이스에 냉각풍을 도입하는 흡기 덕트와, 상기 케이스로부터 냉각풍을 배출하는 배기 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스페어 타이어의 전방부와 상기 리어 시트의 시트 쿠션 사이에, 상기 흡기 덕트 및 상기 배기 덕트의 상기 케이스에 대한 접속부가 배치되고, 상기 접속부와 상기 리어 시트의 시트 쿠션 사이에, 상기 좌우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을 접속하는 크로스 멤버가 배치되는 것을 제16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제안된다.
또한, 실시형태의 방수 케이스(14)는 본 발명의 케이스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차량의 바닥 패널의 하방에 배치된 연료 탱크의 바로 후방이며, 좌우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있는 화물실의 바닥 밑에, 적어도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장 부품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배치하고, 케이스의 좌우 일측에 캐니스터를 배치할 때에, 그 캐니스터를 리어 사이드 프레임의 좌우 방향 외단보다도 내측이며, 케이스의 후단보다도 전방에 배치했기 때문에, 차량에 측방 충돌이 발생했을 때에는 리어 사이드 프레임으로 케이스 및 캐니스터를 보호하고, 차량에 후방 충돌이 발생했을 때에는 케이스로 캐니스터 및 연료 탱크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캐니스터에 도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에어 필터를, 캐니스터의 후방으로의 투영 범위 밖에 배치했기 때문에, 차량에 후방 충돌이 발생하여 에어 필터가 전방으로 이동해도, 그 에어 필터가 캐니스터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르면, 에어 필터의 후단을 케이스의 후단보다도 후방에 배치했기 때문에, 충돌의 충격을 에어 필터에 의해 흡수하여 케이스의 손상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따르면, 케이스의 좌우 방향 타측에 마련한 소음 장치의 후단을 케이스의 후단보다도 후방에 배치했기 때문에, 충돌의 충격을 소음 장치에 의해 흡수하여 케이스의 손상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따르면, 케이스의 후방에 마련한 소음 장치를 그 케이스의 후방으로의 투영 범위 내에 배치했기 때문에, 차량에 후방 충돌이 발생했을 때의 충격을 소음 장치의 찌그러짐에 의해 흡수하여 케이스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따르면, 전장 부품이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모듈과,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인버터를 포함하고, 케이스의 후방부에 배터리 모듈로부터 인버터에 냉각풍을 안내하는 중간 덕트를 배치했기 때문에, 차량에 후방 충돌이 발생했을 때의 충격을 중간 덕트의 찌그러짐에 의해 흡수하여 전장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7 특징에 따르면, 캐니스터의 후단을 중간 덕트의 전단보다도 전방에 배치했기 때문에, 차량에 후방 충돌이 발생했을 때의 충격을 중간 덕트의 찌그러짐에 의해 흡수하여 캐니스터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8 특징에 따르면, 케이스를 좌우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에 현수 프레임을 통해 현수 지지하고, 전장 부품 및 캐니스터를 현수 프레임의 후단보다도 전방에 배치했기 때문에, 차량에 후방 충돌이 발생했을 때에 현수 프레임으로 전장 부품 및 캐니스터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9 특징에 따르면, 연료 탱크와 케이스 사이에 좌우 양단이 좌우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에 접속된 보강 프레임을 마련했기 때문에, 차량에 후방 충돌이 발생했을 때에 보강 프레임으로 연료 탱크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0 특징에 따르면, 케이스의 후방에 물품 수납 용기를 마련했기 때문에, 차량에 후방 충돌이 발생했을 때에 물품 수납 용기를 크러셔블 존(crushable zone)으로 하여 케이스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1 특징에 따르면, 케이스의 상방에 스페어 타이어를 배치하고, 그 하면을 연료 탱크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은 위치로 하며, 그 후단을 케이스의 후단보다도 후방으로 했기 때문에, 차량에 후방 충돌이 발생했을 때에 스페어 타이어로 케이스를 보호하고, 충돌의 충격으로 전진하는 스페어 타이어가 연료 탱크에 상처를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2 특징에 따르면, 케이스의 상면에 충격에 의해 분리되는 브래킷을 마련하고, 그 브래킷에 스페어 타이어를 지지했기 때문에, 차량에 후방 충돌이 발생하여 스페어 타이어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브래킷이 케이스로부터 분리되어 그 케이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3 특징에 따르면, 연료 탱크의 상방에 바닥 패널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리어 시트와, 케이스에 냉각풍을 도입하는 흡기 덕트와, 케이스로부터 냉각풍을 배출하는 배기 덕트를 마련하고, 스페어 타이어의 전방부와 리어 시트의 시트 쿠션 사이에, 흡기 덕트 및 배기 덕트의 케이스에 대한 접속부를 배치했기 때문에, 차량에 후방 충돌이 발생하여 스페어 타이어가 전방으로 이동했을 때, 흡기 덕트 및 배기 덕트에 의해 충돌의 충격을 흡수하여 시트 쿠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4 특징에 따르면, 흡기 덕트 및 배기 덕트의 케이스에 대한 접속부와 리어 시트의 시트 쿠션 사이에, 좌우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을 접속하는 크로스 멤버를 배치했기 때문에, 충돌의 충격이 시트 쿠션에 전달되는 것을 크로스 멤버에 의해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5 특징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차량의 바닥 패널의 하방에 배치된 연료 탱크의 바로 후방이며, 좌우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있는 화물실의 바닥 밑에, 적어도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장 부품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배치하고, 케이스의 좌우 일측에 캐니스터를 배치할 때에, 그 캐니스터를 리어 사이드 프레임의 좌우 방향 외단보다도 내측이며, 케이스의 후단보다도 전방에 배치했기 때문에, 차량에 측방 충돌이 발생했을 때에는 리어 사이드 프레임으로 케이스 및 캐니스터를 보호하고, 차량에 후방 충돌이 발생했을 때에는 케이스로 캐니스터 및 연료 탱크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캐니스터에 도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에어 필터를, 캐니스터의 후방으로의 투영 범위 밖에 배치했기 때문에, 차량에 후방 충돌이 발생하여 에어 필터가 전방으로 이동해도, 그 에어 필터가 캐니스터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장 부품이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모듈과,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인버터를 포함하고, 케이스의 후방부에 배터리 모듈로부터 인버터에 냉각풍을 안내하는 중간 덕트를 배치했기 때문에, 차량에 후방 충돌이 발생했을 때의 충격을 중간 덕트의 찌그러짐에 의해 흡수하여 전장 부품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캐니스터의 후단을 중간 덕트의 전단보다도 전방에 배치했기 때문에, 차량에 후방 충돌이 발생했을 때의 충격을 중간 덕트의 찌그러짐에 의해 흡수하여 캐니스터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6 특징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차량의 바닥 패널의 하방에 배치된 연료 탱크의 바로 후방이며, 좌우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있는 화물실의 바닥 밑에, 적어도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장 부품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배치하고, 케이스의 좌우 일측에 캐니스터를 배치할 때에, 그 캐니스터를 리어 사이드 프레임의 좌우 방향 외단보다도 내측이며, 케이스의 후단보다도 전방에 배치했기 때문에, 차량에 측방 충돌이 발생했을 때에는 리어 사이드 프레임으로 케이스 및 캐니스터를 보호하고, 차량에 후방 충돌이 발생했을 때에는 케이스로 캐니스터 및 연료 탱크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상방에 스페어 타이어를 배치하고, 그 하면을 연료 탱크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은 위치로 하며, 그 후단을 케이스의 후단보다도 후방으로 했기 때문에, 차량에 후방 충돌이 발생했을 때에 스페어 타이어로 케이스를 보호하고, 충돌의 충격으로 전진하는 스페어 타이어가 연료 탱크에 상처를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료 탱크의 상방에 바닥 패널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리어 시트와, 케이스에 냉각풍을 도입하는 흡기 덕트와, 케이스로부터 냉각풍을 배출하는 배기 덕트를 마련하고, 스페어 타이어의 전방부와 리어 시트의 시트 쿠션 사이에, 흡기 덕트 및 배기 덕트의 케이스에 대한 접속부를 배치했기 때문에, 차량에 후방 충돌이 발생하여 스페어 타이어가 전방으로 이동했을 때, 흡기 덕트 및 배기 덕트에 의해 충돌의 충격을 흡수하여 시트 쿠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흡기 덕트 및 배기 덕트의 케이스에 대한 접속부와 리어 시트의 시트 쿠션 사이에, 좌우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을 접속하는 크로스 멤버를 배치했기 때문에, 충돌의 충격이 시트 쿠션에 전달되는 것을 크로스 멤버에 의해 저지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전원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제1 실시형태).
도 2는 도 1의 화살표 2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제1 실시형태).
도 3은 도 2의 화실표 3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제1 실시형태).
도 4는 도 2의 4-4선 단면도이다(제1 실시형태).
도 5는 도 3의 5-5선 단면도이다(제1 실시형태).
도 6은 도 5의 6-6선 단면도이다(제1 실시형태).
도 7은 도 5의 화살표 7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제1 실시형태).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이다(제2 실시형태).
도 9는 도 8의 화살표 9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제2 실시형태).
도 10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이다(제3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제너레이터를 작동시키는 전원 장치는, 차체 후방부의 트렁크 룸의 하방에 스페어 타이어(51)를 수납하는 타이어 팬(11; tire pan)을 이용하여 수납된다.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용기형의 타이어 팬(11)은, 그 좌우 측부 가장자리가 좌우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12, 12)에 접속된다. 전원 장치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형의 방수 케이스(14)와, 그 상면 개구부를 폐색하는 평판형의 덮개 부재(15)를 구비하고 있고, 방수 케이스(14)와 덮개 부재(15) 사이에 끼워져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한 쌍의 현수 프레임(16, 16)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좌우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12, 12)의 상면에 볼트(17…)로 고정된다. 따라서, 전원 장치는 전후 한 쌍의 현수 프레임(16, 16)을 통해 좌우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12, 12)에 현수 지지되게 된다.
덮개 부재(15)의 앞 가장자리는 전방측의 현수 프레임(16)의 위치에서 끝나고, 그 전방의 방수 케이스(14) 내에 덕트 부재(18)가 수납된다. 덕트 부재(18)의 상면에는, 차 실내의 공기를 방수 케이스(14) 내에 냉각풍으로서 흡입하는 흡기 덕트(19)의 하류단과, 냉각을 끝낸 냉각풍을 방수 케이스(14) 내로부터 배출하는 배기 덕트(20)의 상류단이 접속되어 있고, 흡기 덕트(19)는 방수 케이스(14)의 좌측 전방부로부터 차체 좌측 전방 상방으로 연장되며, 배기 덕트(20)는 방수 케이스(14)의 우측 전방부로부터 차체의 우측면을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배기 덕트(20)의 하류단에는 전동식의 냉각팬(21; cooling fan)이 마련되어 있고, 이 냉각팬(21)이 발생하는 부압으로 흡기 덕트(19) 내에 냉각풍이 흡입된다. 또한, 흡기 덕트(19)로부터 배출된 냉각풍은, 트렁크 룸의 내장재와 리어 펜더 사이에 배출되어, 일부는 차 실내로 복귀되고 일부는 차 밖으로 배출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수 케이스(14)의 바닥부에는 제1 냉각풍 통로(39)를 구성하는 하부 배터리 케이스(22) 및 상부 배터리 케이스(23)가, 이들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복수의 배터리 셀을 차폭 방향으로 직렬로 접속한 막대형의 배터리 모듈(24…)이, 전후 방향으로 7열, 상하 방향으로 2단으로 배열되고, 좌우 한 쌍의 U자형의 하부 배터리 지지 프레임(25, 25)과, 이들의 상단에 결합된 좌우 한 쌍의 I자형의 상부 배터리 지지 프레임(26, 26)으로 묶여진 상태로, 상기 하부 배터리 케이스(22) 및 상부 배터리 케이스(23)의 내부에 수납된다.
각각의 상부 배터리 지지 프레임(26)의 상면에 마련한 좌우 한 쌍의 브래킷(27, 27)과 현수 프레임(16)이, 외주에 칼라(28, 28)를 끼워 맞춘 장척(長尺)의 볼트(29, 29)와, 그 하단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30, 30)로 접속된다. 따라서, 합계 14개의 배터리 모듈(24…)은 4개의 볼트(29…)에 의해 전후의 현수 프레임(16)에 현수 지지되게 된다.
상부 배터리 케이스(23)의 상면에, 하부 전장 부품 케이스(31) 및 상부 전장 부품 케이스(32)가 고정되어 있고, 그 내부에 전장 부품인 인버터(33)나 DC-DC 컨버터(34)가 차폭 방향 좌우에 병치된다. 이에 따라, 인버터(33) 및 DC-DC 컨버터(34)를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상부 배터리 케이스(23)의 상면과 하부 전장 부품 케이스(31)의 하면 사이에는 제2 냉각풍 통로(40)가 형성되어 있고, 배터리 모듈(24…)을 냉각한 냉각풍을 제2 냉각풍 통로(40)로 유도하기 위해서, 방수 케이스(14)의 후방부에 U자형으로 만곡되는 중간 덕트(36)가 마련된다. 중간 덕트(36)의 입구 개구(36a)는 제1 냉각풍 통로(39)의 하류단에 연통되고, 중간 덕트(36)의 출구 개구(36b)는 제2 냉각풍 통로(40)의 상류단에 연통된다. 이와 같이 중간 덕트(36)를 제1 냉각풍 통로(39)의 하류단으로부터 제2 냉각풍 통로(40)의 상류단으로 매끄럽게 만곡되는 U자형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냉각풍을 제1 냉각풍 통로(39)로부터 제2 냉각풍 통로(40)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인버터(33)나 DC-DC 컨버터(34)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는 히트 싱크(37, 38)가 제2 냉각풍 통로(40)에 면해 있다. 이와 같이 인버터(33) 및 DC-DC 컨버터(34)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히트 싱크(37, 38)를 제2 냉각풍 통로(40)에 면하게 했기 때문에, 냉각풍의 유통 저항을 증가시키지 않고서 인버터(33) 및 DC-DC 컨버터(34)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이어 팬(11)의 전방에 바닥 패널(41)이 연속해 있고, 그 하면에 연료 탱크(42)가 배치되며, 그 상면에 시트 쿠션(43) 및 시트 백(44)을 구비하는 리어 시트(45)가 배치된다. 흡기 덕트(19)의 전단의 흡기구(19a)는, 시트 백(44)의 좌단에 있어서 차 실내에 개구된다. 방수 케이스(14)의 상면, 즉 덮개 부재(15)의 높이와, 연료 탱크(42)의 상단의 높이는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고, 방수 케이스(14)의 전면과 연료 탱크(42)의 후면 사이에, 좌우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12, 12) 사이를 접속하는 보강 프레임(46)이 차폭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흡기 덕트(19) 및 배기 덕트(20)가 덕트 부재(18)에 접속되는 부분과, 리어 시트(45)의 시트 쿠션(43)의 후단 사이에, 좌우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12, 12) 사이를 접속하는 크로스 멤버(47)가 차폭 방향으로 배치된다.
연료 탱크(42)가 발생한 증발 연료를 일시적으로 차지(charge)하는 캐니스터(48)가 방수 케이스(14)의 좌측부에 지지되고, 캐니스터(48)에 차지된 증발 연료를 엔진의 흡기 통로에 퍼지하기 위해서, 캐니스터(48)에 흡입하는 외기를 여과하는 에어 필터(49)가, 캐니스터(48)의 후방에 있어서 좌측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12)의 하면에 지지된다. 차체 전후 방향으로 보아, 캐니스터(48)의 좌단은 좌측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12)의 좌단보다도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에어 필터(49)는 캐니스터(48)의 차체 후방으로의 투영 범위보다도 차폭 방향 외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다(도 4 참조). 또한 차폭 방향으로 보아, 캐니스터(48)의 후단은 방수 케이스(14)의 후단보다도 전방에 배치된다(도 2 참조). 또한, 방수 케이스(14)의 우측부에는 배기 소음을 저감하는 소음 장치(50)가 지지되어 있고, 그 소음 장치(50)의 후단은 방수 케이스(14)의 후단보다도 후방에 배치된다(도 3 참조).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수 케이스(14)의 덮개 부재(15)의 상면에 스페어 타이어(51)가 지지된다. 후측의 현수 프레임(16)의 후방에 있어서, 좌우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12, 12) 사이를 스페어 타이어 지지 프레임(52)이 가교하고 있고, 전단이 덮개 부재(15)의 전방부 상면에 용접된(W1) 브래킷(53)의 후단이, 스페어 타이어 지지 프레임(52)에 용접된다(W2). 덮개 부재(15)의 상면으로부터 부상(浮上)한 브래킷(53)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 용접 너트(54)를 구비하는 부착부(55)가 마련되어 있고, 그 용접 너트(54)에 나사 결합하는 나비 나사(56)로 스페어 타이어(51)가 브래킷(53) 상에 고정된다. 이때, 스페어 타이어(51)의 후방부의 좌우 2부위가, 스페어 타이어 지지 프레임(52)에 마련한 2개의 수납 부재(57, 57)에 지지된다. 스페어 타이어(51)의 상방에는 화물실(58)의 하면을 구획하는 착탈 가능한 바닥판(59)이 배치되고, 그 후방부 하면에는 소품을 수납하는 물품 수납 용기(60)가 배치된다. 즉, 스페어 타이어(51) 및 방수 케이스(14)는, 화물실(58)이 아니라, 화물실(58)의 바닥판(59)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스페어 타이어(51)를 수납한 상태에서, 그 후단은 방수 케이스(14)의 후단보다도 후방으로 돌출한다. 또한 스페어 타이어(51)의 전단은, 흡기 덕트(19) 및 배기 덕트(20)가 덕트 부재(18)에 접속되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크로스 멤버(47)의 후방에 면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제너레이터를 구동하면, 배터리 모듈(24…), 인버터(33) 및 DC-DC 컨버터(34)로 이루어지는 전장 부품이 발열한다. 냉각팬(21)을 구동하면, 그 상류측에 발생한 부압에 의해 흡기 덕트(19)로부터 차 실내의 공기가 냉각풍으로서 덕트 부재(18) 내에 흡입된다. 냉각풍은 덕트 부재(18)로부터 방수 케이스(14)의 제1 냉각풍 통로(39)에 유입되고, 그곳을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흐르는 동안에 배터리 모듈(24…)을 냉각한 후, 중간 덕트(36)에 의해 상향으로 U턴하여 제2 냉각풍 통로(40)를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흐르고, 그 동안에 히트 싱크(37, 38)에 접촉하여 인버터(33) 및 DC-DC 컨버터(34)를 냉각한다. 이렇게 해서 냉각을 끝낸 냉각풍은 덕트 부재(18)로부터 배기 덕트(20)에 유입되고, 냉각팬(21)을 통과한 후에 차 실내 및 차 실외로 나뉘어 배출된다.
그런데, 차량이 측방 충돌 또는 후방 충돌을 받았을 때, 캐니스터(48), 배터리 모듈(24…), 인버터(33) 및 DC-DC 컨버터(34)는 다음과 같이 보호된다. 즉, 도 4로부터 명백하듯이, 차체 후면에서 보아 캐니스터(48)는 좌측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12)보다도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측방 충돌의 충격을 상기 리어 사이드 프레임으로 받아내어 캐니스터(48)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좌우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12, 12)은, 이들 사이에 배치된 방수 케이스(14)의 내부의 배터리 모듈(24…), 인버터(33) 및 DC-DC 컨버터(34)를 보호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차체 측면에서 보아 캐니스터(48)의 후단[도 2 및 도 3의 라인(L1) 참조]은, 방수 케이스(14)의 후단[도 2 및 도 3의 라인(L2) 참조]보다도 전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 충돌의 충격을 방수 케이스(14)의 후방부에 의해 흡수하여 캐니스터(48)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방수 케이스(14)의 내부의 중간 덕트(36)(도 5 참조)는 캐니스터(48)의 후단보다도 후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중간 덕트(36)가 찌그러져 충돌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그 전방의 캐니스터(48), 배터리 모듈(24…), 인버터(33), DC-DC 컨버터(34)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방수 케이스(14)를 현수 지지하는 전후의 현수 프레임(16, 16) 중, 후측의 현수 프레임(16)의 전방에 캐니스터(48), 배터리 모듈(24…), 인버터(33), DC-DC 컨버터(34)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의 보호가 한층 확실한 것이 된다.
또한 방수 케이스(14)의 좌측에 배치된 에어 필터(49) 및 우측에 배치된 소음 장치(50)의 후단은, 방수 케이스(14)의 후단보다도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 충돌의 충격을 에어 필터(49) 및 소음 장치(50)의 찌그러짐에 의해 흡수하여, 방수 케이스(14)의 손상을 경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수 케이스(14)의 후방에 배치된 물품 수납 용기(60)도 크러셔블 존으로서 기능함으로써 후방 충돌의 충격을 흡수한다. 또한 에어 필터(49)는 캐니스터(48)의 후방 투영 범위로부터 벗어나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도 4 참조), 후방 충돌에 의해 에어 필터(49)가 전진해도 캐니스터(48)에 충돌하는 일이 없어, 캐니스터(48)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수 케이스(14)의 상면에 스페어 타이어(51)가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 충돌을 받았을 때에 스페어 타이어(51)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으나, 스페어 타이어(51)의 하면의 높이는 연료 탱크(42)의 상면의 높이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이기 때문에, 전진하는 스페어 타이어(51)에 의해 연료 탱크(42)가 손상되는 일은 없다. 또한 연료 탱크(42)의 후방부에는 보강 프레임(46)이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 충돌의 충격을 보강 프레임(46)으로 받아내어 연료 탱크(42)를 한층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방수 케이스(14)의 전단의 덕트 부재(18)에의 흡기 덕트(19) 및 배기 덕트(20)의 접속부가, 리어 시트(45)의 시트 쿠션(43)과 스페어 타이어(51)의 전단 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 충돌의 충격으로 스페어 타이어(51)가 전진해도, 흡기 덕트(19) 및 배기 덕트(20)의 접속부가 찌그러져 전진하는 스페어 타이어(51)의 충격을 흡수하여, 리어 시트(45)를 보호할 수 있다. 이때, 리어 시트(45)의 시트 쿠션(43)의 후방에는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로스 멤버(47)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크로스 멤버(47)로 리어 시트(45)를 한층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스페어 타이어(51)는 방수 케이스(14)의 덮개 부재(15)의 상면에 파단 가능하게 용접한(W1, W2) 브래킷(53)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 충돌의 충격이 스페어 타이어(51)에 가해졌을 때, 브래킷(53)이 용접(W1, W2)에 있어서 덮개 부재(15)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됨으로써, 덮개 부재(15)에 연속해 있는 방수 케이스(14)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소음 장치(50)가 방수 케이스(14)의 우측방에 배치되어 있었으나, 제2 실시형태에서는, 소음 장치(50')가 방수 케이스(14)의 후방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수 케이스(14)의 후방으로의 투영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이 후방 충돌을 받았을 때에 소음 장치(50')가 보다 확실하게 찌그러져, 충돌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방수 케이스(14)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0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방수 케이스(14)의 상방에 스페어 타이어(51)를 배치하고 있으나, 제3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스페어 타이어(51)의 수납 스페이스를 물품 수납부(61)로서 이용하고 있다.
즉,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물실(58)의 하면을 구획하는 바닥판(59)을 바닥판(62)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화물실(58)의 공간을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바닥판(59)을 접음으로써, 물품 수납 용기(60)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 제3 실시형태의 그 외의 구성은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하며, 동일한 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고서 여러 가지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실시형태에서는 하이브리드 차량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12: 리어 사이드 프레임 14: 방수 케이스(케이스)
16: 현수 프레임 18: 덕트 부재
19: 흡기 덕트 20: 배기 덕트
24: 배터리 모듈 33: 인버터
36: 중간 덕트 41: 바닥 패널
42: 연료 탱크 43: 시트 쿠션
45: 리어 시트 46: 보강 프레임
47: 크로스 멤버 48: 캐니스터
49: 에어 필터 50: 소음 장치
50': 소음 장치 51: 스페어 타이어
53: 브래킷 58: 화물실
60: 물품 수납 용기

Claims (16)

  1. 바닥 패널(41)의 하방에 배치된 연료 탱크(42)의 바로 후방이며, 좌우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12) 사이에 있는 화물실(58)의 바닥 밑에, 적어도 배터리 모듈(24)을 포함하는 전장 부품을 수납하는 케이스(14)를 배치하고, 상기 케이스(14)의 좌우 일측에 캐니스터(48)를 배치한 하이브리드 차량으로서,
    상기 캐니스터(48)는, 상기 리어 사이드 프레임(12)의 좌우 방향 외단보다도 내측이며, 상기 케이스(14)의 후단보다도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48)의 후방에 그 캐니스터(48)에 도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에어 필터(49)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 필터(49)는 상기 캐니스터(48)의 후방으로의 투영 범위 밖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필터(49)의 후단은, 상기 케이스(14)의 후단보다도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4)의 좌우 방향 타측에 소음 장치(50)를 구비하고, 상기 소음 장치(50)의 후단은, 상기 케이스(14)의 후단보다도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4)의 후방에 소음 장치(50')를 구비하고, 상기 소음 장치(50')는 상기 케이스(14)의 후방으로의 투영 범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 부품은, 상기 케이스(14)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모듈(24)과, 상기 케이스(14)의 상부에 배치되는 인버터(33)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4)의 후방부에 상기 배터리 모듈(24)로부터 상기 인버터(33)에 냉각풍을 안내하는 중간 덕트(36)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48)의 후단은, 상기 중간 덕트(36)의 전단보다도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4)는 상기 좌우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12)에 현수 프레임(16)을 통해 현수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전장 부품 및 상기 캐니스터(48)는 상기 현수 프레임(16)의 후단보다도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42)와 상기 케이스(14) 사이에, 좌우 양단이 상기 좌우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12)에 접속된 보강 프레임(4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4)의 후방에 물품 수납 용기(6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4)의 상방에 스페어 타이어(51)가 배치되고, 상기 스페어 타이어(51)의 하면은 상기 연료 탱크(42)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스페어 타이어(51)의 후단은 상기 케이스(14)의 후단보다도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4)의 상면에 충격에 의해 분리되는 브래킷(53)을 마련하고, 상기 브래킷(53)에 상기 스페어 타이어(51)를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42)의 상방에 상기 바닥 패널(41)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리어 시트(45)와, 상기 케이스(14)에 냉각풍을 도입하는 흡기 덕트(19)와, 상기 케이스(14)로부터 냉각풍을 배출하는 배기 덕트(20)를 구비하고, 상기 스페어 타이어(51)의 전방부와 상기 리어 시트(45)의 시트 쿠션(43) 사이에, 상기 흡기 덕트(19) 및 상기 배기 덕트(20)의 상기 케이스(14)에 대한 접속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덕트(19) 및 상기 배기 덕트(20)의 상기 케이스(14)에 대한 접속부와 상기 리어 시트(45)의 시트 쿠션(43) 사이에, 상기 좌우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12)을 접속하는 크로스 멤버(47)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15. 바닥 패널(41)의 하방에 배치된 연료 탱크(42)의 바로 후방이며, 좌우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12) 사이에 있는 화물실(58)의 바닥 밑에, 적어도 배터리 모듈(24)을 포함하는 전장 부품을 수납하는 케이스(14)를 배치하고, 상기 케이스(14)의 좌우 일측에 캐니스터(48)를 배치한 하이브리드 차량으로서,
    상기 캐니스터(48)는, 상기 리어 사이드 프레임(12)의 좌우 방향 외단보다도 내측이며, 상기 케이스(14)의 후단보다도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캐니스터(48)에 도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에어 필터(49)는, 상기 캐니스터(48)의 후방으로의 투영 범위 밖에 배치되며,
    상기 전장 부품은, 상기 케이스(14)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모듈(24)과, 상기 케이스(14)의 상부에 배치되는 인버터(33)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4)의 후방부에 상기 배터리 모듈(24)로부터 상기 인버터(33)에 냉각풍을 안내하는 중간 덕트(36)가 배치되며, 상기 캐니스터(48)의 후단은, 상기 중간 덕트(36)의 전단보다도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16. 바닥 패널(41)의 하방에 배치된 연료 탱크(42)의 바로 후방이며, 좌우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12) 사이에 있는 화물실(58)의 바닥 밑에, 적어도 배터리 모듈(24)을 포함하는 전장 부품을 수납하는 케이스(14)를 배치하고, 상기 케이스(14)의 좌우 일측에 캐니스터(48)를 배치한 하이브리드 차량으로서,
    상기 캐니스터(48)는, 상기 리어 사이드 프레임(12)의 좌우 방향 외단보다도 내측이며, 상기 케이스(14)의 후단보다도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14)의 상방에 스페어 타이어(51)가 배치되며, 상기 스페어 타이어(51)의 하면은 상기 연료 탱크(42)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스페어 타이어(51)의 후단은 상기 케이스(14)의 후단보다도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연료 탱크(42)의 상방에 상기 바닥 패널(41)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리어 시트(45)와, 상기 케이스(14)에 냉각풍을 도입하는 흡기 덕트(19)와, 상기 케이스(14)로부터 냉각풍을 배출하는 배기 덕트(20)를 구비하고, 상기 스페어 타이어(51)의 전방부와 상기 리어 시트(45)의 시트 쿠션(43) 사이에, 상기 흡기 덕트(19) 및 상기 배기 덕트(20)의 상기 케이스(14)에 대한 접속부가 배치되며, 상기 접속부와 상기 리어 시트(45)의 시트 쿠션(43) 사이에, 상기 좌우의 리어 사이드 프레임(12)을 접속하는 크로스 멤버(47)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KR1020107017912A 2008-02-07 2009-01-23 하이브리드 차량 KR1011520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28097 2008-02-07
JP2008028097A JP4319239B2 (ja) 2008-02-07 2008-02-07 ハイブリッド車両
PCT/JP2009/051098 WO2009098952A1 (ja) 2008-02-07 2009-01-23 ハイブリッド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711A true KR20100102711A (ko) 2010-09-24
KR101152053B1 KR101152053B1 (ko) 2012-06-11

Family

ID=40952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7912A KR101152053B1 (ko) 2008-02-07 2009-01-23 하이브리드 차량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8567543B2 (ko)
EP (1) EP2241467B1 (ko)
JP (1) JP4319239B2 (ko)
KR (1) KR101152053B1 (ko)
CN (1) CN101909914B (ko)
AT (1) ATE523373T1 (ko)
AU (1) AU2009212605B2 (ko)
BR (1) BRPI0907932A2 (ko)
CA (1) CA2711393C (ko)
ES (1) ES2369058T3 (ko)
MX (1) MX2010008156A (ko)
MY (1) MY155809A (ko)
PL (1) PL2241467T3 (ko)
RU (1) RU2459714C2 (ko)
TW (1) TWI383899B (ko)
WO (1) WO2009098952A1 (ko)
ZA (1) ZA20100473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972A (ko) * 2017-11-29 2019-06-07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Lpg 차량용 연료탱크의 마운팅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27028B2 (en) 2006-07-28 2014-09-09 Polaris Industries Inc. Side-by-side ATV
US7819220B2 (en) 2006-07-28 2010-10-26 Polaris Industries Inc. Side-by-side ATV
JP5272852B2 (ja) * 2009-03-30 2013-08-28 マツダ株式会社 電動車両のバッテリ構造
JP2010284984A (ja) * 2009-06-09 2010-12-24 Fuji Heavy Ind Ltd 車両用バッテリ搭載構造
DE102009031779A1 (de) * 2009-07-06 2011-01-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Bodenstruktur für ein Kraftfahrzeug
FR2949718B1 (fr) * 2009-09-09 2011-10-2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Bac de rangement et de protection de composants electriques d'un vehicule hybride
JP5360689B2 (ja) * 2009-09-24 2013-12-04 スズキ株式会社 車両の高電圧ケーブルの配策構造
JP4886832B2 (ja) 2009-10-16 2012-02-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ダクトの配設構造
DE112011101677B4 (de) * 2010-05-19 2019-06-27 Suzuki Motor Corporation Installationsstruktur für elektrische Ausrüstung in hinterer Fahrzeugkarosserie
FR2962968B1 (fr) * 2010-07-23 2013-02-22 Renault Sa Chassis avec caisson de rehausse pour ancrage de sieges passagers
JP2012096715A (ja) * 2010-11-04 2012-05-24 Suzuki Motor Corp バッテリユニットの冷却用ダクト構造
JP5405519B2 (ja) * 2011-04-01 2014-02-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フロア構造
JP5652719B2 (ja) * 2011-05-02 2015-01-14 スズキ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
CN103493244B (zh) * 2011-05-19 2016-04-27 株式会社Lg化学 具有高的结构稳定性的电池组
JP5674151B2 (ja) * 2011-06-15 2015-02-25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燃料ボンベの配管装置
US8763871B2 (en) * 2011-06-29 2014-07-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orage system for passenger vehicle
WO2013030881A1 (ja) * 2011-08-30 2013-03-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5857592B2 (ja) * 2011-09-29 2016-02-10 スズ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US9997753B2 (en) 2011-10-11 2018-06-1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ic storage apparatus
CN103906644B (zh) * 2011-11-04 2016-09-21 三菱自动车工业株式会社 混合动力车的排气管构造
DE102011118181A1 (de) * 2011-11-10 2013-05-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Querträger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WO2013073465A1 (ja) * 2011-11-14 2013-05-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用バッテリパックおよびバッテリパックの搭載構造
EP2781388A1 (en) * 2011-11-14 2014-09-24 Honda Motor Co., Ltd. Battery pack for electric vehicle
JP5525505B2 (ja) * 2011-11-14 2014-06-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の電源装置
JP5692019B2 (ja) * 2011-11-22 2015-04-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ービスホールカバー取付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電池搭載構造
JP5499055B2 (ja) * 2012-01-06 2014-05-21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電気ハイブリッド車両のバッテリ及び燃料タンク搭載構造
US8813888B2 (en) * 2012-02-06 2014-08-26 Honda Motor Co., Ltd. Vehicle body rear structure
KR101896704B1 (ko) * 2012-03-20 2018-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팩 마운팅 장치
CN104114402B (zh) * 2012-03-21 2016-09-07 铃木株式会社 燃料电池车辆的进气装置
JP5997468B2 (ja) * 2012-03-21 2016-09-2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
FR2989322B1 (fr) * 2012-04-17 2018-01-26 Renault S.A.S Elements de renforcement contre des efforts exterieurs pour une batterie d'alimentation de puissance
JP5595442B2 (ja) * 2012-04-18 2014-09-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電源装置搭載構造
JP5910327B2 (ja) * 2012-06-05 2016-04-27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バッテリパックの排気装置
JP5983063B2 (ja) * 2012-06-08 2016-08-31 スズキ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の車載構造
JP6035916B2 (ja) * 2012-07-05 2016-11-30 スズ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JP2014024518A (ja) * 2012-07-30 2014-02-06 Toyota Motor Corp 電源装置の取付構造および車両
JP5929609B2 (ja) 2012-08-07 2016-06-08 スズキ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の車載構造
JP5810058B2 (ja) * 2012-09-18 2015-11-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
JP5827615B2 (ja) * 2012-12-27 2015-12-0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排気構造
CN105050864B (zh) * 2013-04-05 2018-05-18 日产自动车株式会社 汽车的发热电气零件的配设构造
JP6070991B2 (ja) * 2013-05-14 2017-02-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蓄電装置
JP6070992B2 (ja) * 2013-05-14 2017-02-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蓄電装置
JP6070995B2 (ja) * 2013-05-14 2017-02-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蓄電装置
US9302573B2 (en) * 2013-08-30 2016-04-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uct for high voltage battery air cooling exhaust and recirculation
US9440509B2 (en) * 2013-10-04 2016-09-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cooling apparatus
JP5899182B2 (ja) * 2013-10-23 2016-04-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気車両
CN105764730B (zh) * 2013-10-28 2018-02-06 日产自动车株式会社 电池保护构造
WO2015114606A1 (en) 2014-01-31 2015-08-06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Off-road wheeled side-by-side vehicle
WO2015114604A1 (en) 2014-01-31 2015-08-06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Off-road wheeled side-by-side vehicle
US10549729B2 (en) 2014-03-10 2020-02-04 Max Moskowitz Vehicular accessory
US9566954B2 (en) 2014-03-10 2017-02-14 Max Moskowitz Vehicular accessory
JP6492527B2 (ja) * 2014-10-23 2019-04-0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におけるキャニスターおよび補機用バッテリの配置構造
US20160137046A1 (en) * 2014-11-13 2016-05-19 Hyundai Motor Company Trunk room mounting structure of hybrid vehicle
US9561713B2 (en) * 2014-12-28 2017-02-07 Skylar Netherland Systems and methods for a mounting device for vehicles
JP6510243B2 (ja) * 2015-01-16 2019-05-08 株式会社Subaru 車載用バッテリー
US10399455B2 (en) * 2015-03-06 2019-09-03 Honda Motor Co., Ltd. Vehicle high-voltage system equipment unit, vehicle battery unit and vehicle
JP6344270B2 (ja) 2015-03-06 2018-06-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ユニット搭載構造
JP6471050B2 (ja) * 2015-06-17 2019-02-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
JP6292205B2 (ja) 2015-10-20 2018-03-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床下構造
JP6174659B2 (ja) * 2015-10-22 2017-08-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バルブ保護構造
JP6610876B2 (ja) * 2015-11-11 2019-11-27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蒸散燃料処理装置を搭載した車両
KR101762276B1 (ko) * 2016-01-26 2017-07-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및 스페어타이어 탑재구조
JP2017165222A (ja) * 2016-03-15 2017-09-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バッテリユニット、及び車両のバッテリ搭載方法
JP6255438B2 (ja) * 2016-03-17 2017-12-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ユニット及び車両
US10569642B2 (en) 2016-06-20 2020-02-25 Polaris Industries Inc. Cooling system for an all terrain vehicle
JP6702061B2 (ja) 2016-07-28 2020-05-2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体構造
US10632857B2 (en) 2016-08-17 2020-04-28 Shape Corp. Battery support and protection structure for a vehicle
JP6504141B2 (ja) * 2016-10-17 2019-04-24 スズキ株式会社 車両の排気装置
EP3566253B1 (en) 2017-01-04 2022-12-28 Shape Corp. Battery support structure for a vehicle
JP6631565B2 (ja) * 2017-03-08 2020-0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ダクト構造
US11046176B2 (en) * 2017-03-21 2021-06-29 Arctic Cat Inc. Off-road utility vehicle
CN107009863A (zh) * 2017-04-25 2017-08-04 中国第汽车股份有限公司 插电式混合动力汽车动力电池系统
WO2018213306A1 (en) 2017-05-16 2018-11-22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component
US11211656B2 (en) 2017-05-16 2021-12-28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with integrated battery retention and support feature
US10483510B2 (en) 2017-05-16 2019-11-19 Shape Corp. Polarized battery tray for a vehicle
US11444352B2 (en) * 2017-05-24 2022-09-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ction battery securing assembly and method
DE102017215113B4 (de) * 2017-08-30 2019-06-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raftfahrzeug
CN111108015A (zh) 2017-09-13 2020-05-05 形状集团 具有管状外围壁的车辆电池托盘
JP6933939B2 (ja) * 2017-09-19 2021-09-08 河西工業株式会社 車両用内装部品及び車両
US10661646B2 (en) 2017-10-04 2020-05-26 Shape Corp. Battery tray floor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s
JP7047458B2 (ja) * 2018-02-28 2022-04-05 スズキ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WO2019169080A1 (en) 2018-03-01 2019-09-06 Shape Corp. Cooling system integrated with vehicle battery tray
US11688910B2 (en) 2018-03-15 2023-06-27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component
JP7067334B2 (ja) * 2018-07-18 2022-05-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後部構造
WO2020057307A1 (zh) * 2018-09-18 2020-03-26 爱驰汽车有限公司 电动车以及电动车的供电方法
CN109305022B (zh) * 2018-09-28 2021-11-16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保护装置
FR3088031B1 (fr) * 2018-11-07 2021-01-15 Renault Sas Dispositif de protection d'une batterie d'alimentation de puissance d'un vehicule
JP7056547B2 (ja) * 2018-12-28 2022-04-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
KR102540938B1 (ko) 2019-01-23 2023-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방 샤시모듈
US11052955B2 (en) * 2019-03-15 2021-07-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pare wheel catcher in a vehicle
JP2020203559A (ja) * 2019-06-17 2020-12-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ペアタイヤ取付構造
JP7172888B2 (ja) * 2019-07-09 2022-11-16 スズキ株式会社 車両のバッテリ保護構造
JP7306118B2 (ja) * 2019-07-09 2023-07-11 スズキ株式会社 車両のバッテリ保護構造
US10926627B2 (en) * 2019-07-10 2021-02-23 Honda Motor Co., Ltd. Fuel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same
KR20210017355A (ko) * 2019-08-08 2021-0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배터리 및 연료탱크 배치구조
JP7264070B2 (ja) * 2020-01-20 2023-04-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の搭載構造
JP2021140931A (ja) * 2020-03-04 2021-09-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US20230166666A1 (en) * 2020-04-27 2023-06-01 Nissan Motor Co., Ltd. Protector structure for electrical component
FR3111319B1 (fr) 2020-06-15 2023-07-14 Psa Automobiles Sa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e cale résistante de protection d’une batterie de traction
JP7443185B2 (ja) * 2020-07-29 2024-03-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源装置
JP2022106316A (ja) * 2021-01-07 2022-07-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JP2022143365A (ja) * 2021-03-17 2022-10-03 株式会社Subaru 車載用電池の保護構造
KR20230013856A (ko) * 2021-07-20 2023-01-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구조
CN116834532A (zh) * 2022-03-25 2023-10-03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罐体设置构造、及具有罐体设置构造的车辆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823B2 (ja) * 1985-09-20 1994-03-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フユ−エルベントチユ−ブの配管構造
JPS63145125A (ja) * 1986-12-05 1988-06-17 Nissan Motor Co Ltd キヤニスタの配置構造
DE3805711A1 (de) * 1988-02-24 1989-09-07 Audi Ag Kraftfahrzeug
US5392873A (en) * 1992-01-22 1995-02-2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Structure for securing batteries used in an electric vehicle
JP3057474B2 (ja) * 1994-08-17 2000-06-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におけるキャニスタの配置構造
JPH09118252A (ja) * 1995-10-24 1997-05-06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JPH111184A (ja) * 1997-06-11 1999-01-06 Mazda Motor Corp 車両の車体下部構造
RU2203190C2 (ru) * 1997-12-19 2003-04-27 Эргом Материе Пластике СПА Узел заливочной трубки для топливного бака моторизован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3997380B2 (ja) * 2000-03-14 2007-10-24 スズキ株式会社 キャニスタの取付構造
JP3777981B2 (ja) * 2000-04-13 2006-05-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源装置
JP3571704B2 (ja) * 2002-03-29 2004-09-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蓄電装置の配置構造
JP4346928B2 (ja) 2003-03-04 2009-10-21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の取付構造
US7198124B2 (en) * 2003-03-05 2007-04-03 Ford Motor Company Vehicle and energy producing and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JP4093929B2 (ja) * 2003-07-11 2008-06-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
JP4385678B2 (ja) * 2003-08-05 2009-12-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バッテリ冷却システム
US7025159B2 (en) * 2003-09-12 2006-04-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oling system for a vehicle battery
JP2005093299A (ja) * 2003-09-18 2005-04-07 Fuji Heavy Ind Ltd バッテリの取付構造
JP4023450B2 (ja) 2004-01-20 2007-12-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気機器の冷却装置
JP4359835B2 (ja) * 2004-03-31 2009-11-11 スズキ株式会社 キャニスタの取付構造
RU45477U1 (ru) * 2004-11-11 2005-05-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Ульяновский автомобильный завод" Система улавливания топливных испарений
JP4385020B2 (ja) * 2005-06-02 2009-12-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電源装置
JP4825583B2 (ja) * 2005-06-28 2011-11-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構造
JP4673692B2 (ja) * 2005-07-19 2011-04-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における電気機器の冷却構造
JP2009532277A (ja) * 2006-04-03 2009-09-10 ブルーウェイヴ システムズ エルエルシー 電気推進システム
US7568755B2 (en) * 2007-03-23 2009-08-04 Honda Motor Co., Ltd. Rear frame structure for vehicle
JP4780050B2 (ja) * 2007-07-04 2011-09-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の冷却構造
DE102007058197B4 (de) * 2007-12-04 2017-12-2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Hybridfahrzeug
JP4283326B1 (ja) * 2007-12-25 2009-06-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の冷却風取入構造
JP4577413B2 (ja) * 2008-06-20 2010-1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972A (ko) * 2017-11-29 2019-06-07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Lpg 차량용 연료탱크의 마운팅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11393A1 (en) 2009-08-13
AU2009212605B2 (en) 2011-08-11
US8567543B2 (en) 2013-10-29
BRPI0907932A2 (pt) 2015-07-28
TWI383899B (zh) 2013-02-01
ZA201004734B (en) 2011-03-30
ATE523373T1 (de) 2011-09-15
EP2241467A1 (en) 2010-10-20
CA2711393C (en) 2013-01-15
CN101909914A (zh) 2010-12-08
AU2009212605A1 (en) 2009-08-13
RU2010136834A (ru) 2012-03-20
ES2369058T3 (es) 2011-11-24
JP4319239B2 (ja) 2009-08-26
EP2241467A4 (en) 2011-03-16
TW200946375A (en) 2009-11-16
KR101152053B1 (ko) 2012-06-11
RU2459714C2 (ru) 2012-08-27
WO2009098952A1 (ja) 2009-08-13
CN101909914B (zh) 2013-01-16
JP2009184577A (ja) 2009-08-20
PL2241467T3 (pl) 2012-01-31
MX2010008156A (es) 2010-09-10
US20110011654A1 (en) 2011-01-20
MY155809A (en) 2015-11-30
EP2241467B1 (en) 201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053B1 (ko) 하이브리드 차량
US7258395B2 (en) Composite body for a golf car and utility vehicle
US7967093B2 (en) High-voltage battery unit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JP4374935B2 (ja) バッテリユニット
US20030089540A1 (en) Structure for mounting box for containing high-voltage electrical equipment on vehicle
US8919466B2 (en) Electric component arrangement structure of vehicle
JP5729207B2 (ja) 車両の電源装置支持構造
JP4637504B2 (ja) 高圧電装ケースの配設構造
CN110861479A (zh) 车辆下部结构
CN103384610A (zh) 燃料电池车辆
JP5239563B2 (ja) 燃料電池車両の下部構造
JP2011111124A (ja) 車両の後部構造
JP6106576B2 (ja) 車両の部品搭載構造
CN216993866U (zh) 车身结构
JP2005029057A (ja) 車両エンジンルーム内の補機配設構造
JP4529469B2 (ja) 車両の燃料タンク取付け構造
JP4314914B2 (ja) 車両用補機の配設構造
CN115179743B (zh) 车辆用冷却装置
CN114559802A (zh) 车辆的下部结构
JP2019172009A (ja) 燃料タンク保護構造
JP2009132260A (ja) 車両の前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