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3856A - 차체 구조 - Google Patents

차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3856A
KR20230013856A KR1020210094860A KR20210094860A KR20230013856A KR 20230013856 A KR20230013856 A KR 20230013856A KR 1020210094860 A KR1020210094860 A KR 1020210094860A KR 20210094860 A KR20210094860 A KR 20210094860A KR 20230013856 A KR20230013856 A KR 20230013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member
unit
coupled
body structure
memb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4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3856A/ko
Priority to DE102021132316.9A priority patent/DE102021132316A1/de
Priority to US17/643,332 priority patent/US20230042809A1/en
Priority to CN202111527152.3A priority patent/CN115636017A/zh
Publication of KR20230013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18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front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6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 B62D27/065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16Arrangement in the rear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38Arrangement under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Abstract

차체 구조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체 구조는, ⅰ)차체의 후방부에서 양측 리어 사이드 멤버의 전방부에 차폭 방향으로 결합되는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과, ⅱ)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의 양측에 차체 전후 방향으로 각각 결합되는 양측 사이드 실 유닛과, ⅲ)양측 사이드 실 유닛의 전방부에 차폭 방향으로 결합되는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과, ⅳ)양측 사이드 실 유닛의 상부에 차폭 방향으로 결합되는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과, ⅴ)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 양측 사이드 실 유닛,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 그리고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에 연결되는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체 구조{VEHICLE BODY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전압 배터리의 보호를 위한 후방 차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친환경 자동차로 불리 우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수소 동력 차량(당업자는 통상 '수소 전기차' 라고도 한다) 등은 구동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고전압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다.
일 예로, 일반적인 수소 동력 차량의 경우, 고전압 배터리는 차체의 후방부의 리어 플로워 구조체에 탑재되고 있다. 그리고, 리어 플로워 구조체에는 전기 워터 펌프, 쿨링유닛(예를 들면, 라디에이터), 그리고 수소 탱크 등과 같은 부속 부품들이 장착된다.
최근에 들어서는 목적 기반 모빌리티(Purpose Built Vehicle)로서, 수소 전기차 기반의 슈퍼 스포츠카가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소 전기차 기반의 슈퍼 스포츠카는 차체의 후방부의 제한된 공간에 고전압 배터리 및 부속 부품들을 장착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차체의 후방부의 골격 강성 저하로 인해 측면 충돌 시, 고전압 배터리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차체의 후방부의 제한된 공간에서 고전압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차체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구조는, ⅰ)차체의 후방부에서 양측 리어 사이드 멤버의 전방부에 차폭 방향으로 결합되는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과, ⅱ)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의 양측에 차체 전후 방향으로 각각 결합되는 양측 사이드 실 유닛과, ⅲ)상기 양측 사이드 실 유닛의 전방부에 차폭 방향으로 결합되는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과, ⅳ)상기 양측 사이드 실 유닛의 상부에 차폭 방향으로 결합되는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과, ⅴ)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 양측 사이드 실 유닛,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 그리고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에 연결되는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에는 돔 형상의 배터리 장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은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은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는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 및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의 어퍼 면, 양측 사이드 실 유닛의 어퍼 면 및 인너 면, 그리고 상기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의 로워 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구조는,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 및 상기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에 구비되는 배터리 로워 고정 유닛과, 상기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의 내측 상부 면에 결합되는 배터리 어퍼 고정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은 상기 양측 리어 사이드 멤버의 전방부에 결합되는 제1 리어 크로스 멤버와, 폐 구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리어 크로스 멤버에 결합되는 제2 리어 크로스 멤버와, 상기 폐 구간에서 상기 제1 및 제2 리어 크로스 멤버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벌크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은 상기 양측 사이드 실 유닛 중 일측 사이드 실 유닛의 전방 하부에 차폭 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제1 프론트 크로스 멤버와, 대응하는 상기 제1 프론트 크로스 멤버와 설정 간격을 두고 상기 양측 사이드 실 유닛 중 타측 사이드 실 유닛의 전방 하부에 차폭 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제2 프론트 크로스 멤버와, 상기 제1 및 제2 프론트 크로스 멤버의 어퍼 면에 각각 결합되는 어퍼 레인포스 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은 상기 제1 프론트 크로스 멤버에 대응하여 상기 일측 사이드 실 유닛의 전방 상부에 차폭 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제1 어퍼 크로스 멤버와, 상기 제2 프론트 크로스 멤버에 대응하여 상기 타측 사이드 실 유닛의 전방 상부에 차폭 방향을 따라 결합되고, 대응하는 상기 제1 어퍼 크로스 멤버와 설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 어퍼 크로스 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어퍼 크로스 멤버의 후방 측에서 양측을 통하여 상기 양측 사이드 실 유닛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3 어퍼 크로스 멤버와, 상기 제3 어퍼 크로스 멤버와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을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결하며, 상기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인포스 연결 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론트 크로스 멤버의 이격 단부는 터널 멤버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터널 멤버는 상기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어퍼 크로스 멤버의 이격 단부는 터널 레인포스 멤버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터널 레인포스 멤버는 상기 터널 멤버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는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 양측 사이드 실 유닛, 제1 어퍼 크로스 멤버, 제2 어퍼 크로스 멤버, 그리고 제3 어퍼 크로스 멤버에 연결되는 리어 플로워 판넬과, 상기 제1 프론트 크로스 멤버 및 제1 어퍼 크로스 멤버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프론트 크로스 멤버 및 제2 어퍼 크로스 멤버에 연결되며, 상기 양측 사이드 실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리어 플로워 판넬에 결합되는 인텀 판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양측 사이드 실 유닛은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 그리고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에 연결되는 사이드 실 판넬과, 상기 사이드 실 판넬의 아웃터 면에 결합되는 아웃터 레인포스 판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로워 고정 유닛은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에 구비되는 복수의 웰드 볼트부들과, 상기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에 구비되는 복수의 웰드 너트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 양측 사이드 실 유닛, 그리고 상기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은 상기 배터리 로워 고정 유닛에 의하여 사각 형상의 배터리 장착 섹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어퍼 고정 유닛은 상기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에 차폭 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제1 장착 브라켓과,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과 상기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을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 장착 브라켓과, 상기 제2 장착 브라켓의 차폭 방향 반대편에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과 상기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을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3 장착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 브라켓, 상기 제2 장착 브라켓, 그리고 상기 제3 장착 브라켓이 삼각 구도(triangular structure)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차체의 후방부의 제한된 공간에서 고전압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리어 플로워 구조체의 골격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차량 충돌 시 고전압 배터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동일하거나 또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를 지칭하는 첨부한 도면들과 연계한 이하의 설명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구조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구조에 적용되는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구조에 적용되는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구조에 적용되는 배터리 로워 고정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구조에 적용되는 배터리 어퍼 고정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위에서 참조된 도면들은 반드시 축적에 맞추어 도시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예시하는 다양한 선호되는 특징들의 다소 간략한 표현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치수, 방향, 위치, 및 형상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특정 설계 특징들이 특정 의도된 응용과 사용 환경에 의해 일부 결정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목적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분명하게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또한 복수 형태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명시된 특징들, 정수, 단계들, 작동,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나타내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들, 작동, 컴포넌트들, 및/또는 이들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연관되어 나열된 하나 이상의 항목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모든 조합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결합된"이라는 용어는 컴포넌트들이 용접 등에 의하여 상호 간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매개 컴포넌트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컴포넌트들 간의 물리적 관계를 표시한다.
"차량", "차량의", "자동차" 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다른 유사 용어는 일반적으로, 스포츠카를 포함하는 승용 차량,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 버스, 트럭, 다양한 상용 차량을 포함하는 자동차(passenger automobiles)를 포함하고,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수소 동력 차량 및 다른 대체 연료 차량(예를 들어, 석유가 아닌 다른 리소스로부터 유도된 연료)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구조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구조(100)는 전기 자동차 더 나아가서는, 수소 전기차 기반의 슈퍼 스포츠카의 차체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슈퍼 스포츠카는 하나의 예에서, 차체의 전방부에 운전석과 보조석의 2열 시트를 구성하고 있으며, 차체의 후방부에는 구동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고전압 배터리(1)(이하 도 6 참조)를 탑재하고 있다. 그리고, 차체의 후방부에는 전기 워터 펌프, 라디에이터, 그리고 수소 탱크 등과 같은 부속 부품들(101)이 장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고전압 배터리(1)를 탑재한 수소 전기차 기반의 슈퍼 스포츠카의 차체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통상적으로 고전압 배터리(1)를 탑재한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수소 동력 차량을 포함하는 친 환경 차량의 차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차체 전후 방향'은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고, '차폭 방향'은 차체의 좌우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은 차체의 높이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의'인너 면'은 서로 이격된 2개의 구성요소에서 대응하는 면을 나타내며, 구성요소의 '아웃터 면'은 인너 면의 반대 면을 나타낸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의 '상단부', '상부', '상단' 또는 '상부 면'은 도면에서 상대적으로 상측에 있는 구성요소의 단부, 부, 단, 또는 면을 나타내고, 구성요소의 '하단부', '하부', '하단' 또는 '하부 면'은 도면에서 상대적으로 하측에 있는 구성요소의 단부, 부, 단, 또는 면을 나타낸다.
더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의 단(예를 들어, 일측 단 또는 다른 일측(타측) 단 등)은 임의의 한 방향으로 구성요소의 끝을 나타내며, 구성요소의 단부(예를 들어, 일측 단부 또는 다른 일측(타측) 단부 등)는 그 끝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의 일정 부분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구조(100)는 특히 고전압 배터리(1)와 각종 부속 부품들(101)이 장착 가능한 차체의 후방부의 리어 플로워 구조체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구조(100)는 차체의 후방부의 제한된 공간에서 고전압 배터리(1)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리어 플로워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구조(100)는 차체의 후방부의 골격 강성을 증대시키며, 차량 충돌 시 고전압 배터리(1)를 보호할 수 있는 리어 플로워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체 구조(100)는 기본적으로,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10), 양측 사이드 실 유닛(20),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30),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50),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70), 배터리 로워 고정 유닛(80), 그리고 배터리 어퍼 고정 유닛(9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10)은 차체의 후방부에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양측 리어 사이드 멤버(3)의 전방부에 차폭 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어 크로스 멤버(11), 제2 리어 크로스 멤버(12),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벌크 헤드(1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리어 크로스 멤버(11)는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양측 리어 사이드 멤버(3)의 전방부에 결합된다. 상기 제1 리어 크로스 멤버(11)는 설정된 형상의 절곡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리어 크로스 멤버(12)는 대응하는 제1 리어 크로스 멤버(11)의 전방에 차폭 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2 리어 크로스 멤버(12)는 설정된 형상의 절곡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리어 크로스 멤버(11, 12) 사이에는 절곡 단면에 대응하는 폐 구간(1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리어 크로스 멤버(11, 12)는 뒤에서 더욱 설명될 양측 사이드 실 유닛(20)에 차폭 방향을 따라 연결된 제1 로드 패스(LP1)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벌크 헤드(13)는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10)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제1 및 제2 리어 크로스 멤버(11, 12) 사이의 폐 구간(15)에서 제1 및 제2 리어 크로스 멤버(11, 12)에 결합된다. 하나의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벌크 헤드(13)는 복수로 구비되며, 복수의 벌크 헤드들(13)은 폐 구간(15)에서 차폭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양측 사이드 실 유닛(20)은 리어 플로워 구조체의 사이드부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양측 사이드 실 유닛(20)은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10)의 양측(양 단부)에 차체 전후 방향으로 각각 결합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양측 사이드 실 유닛(20)은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10)의 일측에 대응하는 일측 사이드 실 유닛(20)과,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10)의 타측에 대응하는 타측 사이드 실 유닛(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양측 사이드 실 유닛(20)의 각각은 차폭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양측 사이드 실 유닛(20)은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실 판넬(21)과, 적어도 하나의 아웃터 레인포스 판넬(23)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사이드 실 판넬(21)은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10)의 양측에 연결된다. 상기 아웃터 레인포스 판넬(23)은 사이드 실 판넬(21)의 아웃터 면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30)은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10)의 전방 측에 배치되고, 양측 사이드 실 유닛(20)의 전방부에 차폭 방향으로 결합된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30)은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10)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30)은 제1 프론트 크로스 멤버(31), 제2 프론트 크로스 멤버(32),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어퍼 레인포스 멤버(3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프론트 크로스 멤버(31)는 일측 사이드 실 유닛(20)의 전방 하부에 차폭 방향을 따라 결합된다. 상기 제1 프론트 크로스 멤버(31)는 일측 사이드 실 유닛(20)에서 사이드 실 판넬(21)의 인너 면에 연결된다.
상기 제2 프론트 크로스 멤버(32)는 대응하는 제1 프론트 크로스 멤버(31)와 설정 간격을 두고 타측 사이드 실 유닛(20)의 전방 하부에 차폭 방향을 따라 결합된다. 상기 제2 프론트 크로스 멤버(32)는 타측 사이드 실 유닛(20)에서 사이드 실 판넬(21)의 인너 면에 연결된다.
여기서, 서로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프론트 크로스 멤버(31, 32)의 이격 단부는 터널 멤버(41)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널 멤버(41)는 제1 및 제2 프론트 크로스 멤버(31, 32)의 이격 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프론트 크로스 멤버(31, 32)의 제2 로드 패스(LP2)를 연결하면서 고전압 배터리(1)에 연결된 전선 등을 통과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어퍼 레인포스 멤버(33)는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30)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어퍼 레인포스 멤버(33)는 제1 및 제2 프론트 크로스 멤버(31, 32)의 어퍼 면에 각각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50)은 양측 사이드 실 유닛(20)의 상부에 차폭 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50)은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10)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50)은 제1 어퍼 크로스 멤버(51), 제2 어퍼 크로스 멤버(52), 제3 어퍼 크로스 멤버(53),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레인포스 연결 멤버(5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어퍼 크로스 멤버(51)는 제1 프론트 크로스 멤버(31)에 대응하여 일측 사이드 실 유닛(20)의 전방 상부에 차폭 방향을 따라 결합된다. 상기 제1 어퍼 크로스 멤버(51)는 일측 사이드 실 유닛(20)에서 사이드 실 판넬(21)의 어퍼 면에 연결된다.
상기 제2 어퍼 크로스 멤버(52)는 제2 프론트 크로스 멤버(32)에 대응하여 타측 사이드 실 유닛(20)의 전방 상부에 차폭 방향을 따라 결합된다. 상기 제2 어퍼 크로스 멤버(52)는 타측 사이드 실 유닛(20)에서 사이드 실 판넬(21)의 어퍼 면에 연결된다. 상기 제2 어퍼 크로스 멤버(52)는 대응하는 제1 어퍼 크로스 멤버(51)와 설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여기서, 서로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어퍼 크로스 멤버(51, 52)의 이격 단부는 터널 레인포스 멤버(61)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널 레인포스 멤버(61)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터널 멤버(41)의 상부 면에 결합된다.
상기 터널 레인포스 멤버(61)는 제1 및 제2 어퍼 크로스 멤버(51, 52)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어퍼 크로스 멤버(51, 52)의 제3 로드 패스(LP3)를 연결하면서 터널 멤버(41)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3 어퍼 크로스 멤버(53)는 제1 및 제2 어퍼 크로스 멤버(51, 52)의 후방 측에서 차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양측을 통하여 양측 사이드 실 유닛(20)의 상부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3 어퍼 크로스 멤버(53)는 일측 사이드 실 유닛(20)의 상부 와 타측 사이드 실 유닛(20)의 상부를 잇는 제4 로드 패스(LP4)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레인포스 연결 멤버(55)는 제3 어퍼 크로스 멤버(53)와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10)을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결하며, 이들 제3 어퍼 크로스 멤버(53)와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10)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레인포스 연결 멤버(55)는 제3 어퍼 크로스 멤버(53)와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10)의 제2 리어 크로스 멤버(12)에 연결된다. 하나의 예에서, 복수의 레인포스 연결 멤버들(55)이 구비되며, 복수의 레인포스 연결 멤버들(55)은 차폭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70)는 차체의 후방부의 리어 플로워 구조체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70)는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10), 양측 사이드 실 유닛(20),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30), 그리고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50)에 연결된다.
더 나아가, 상기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70)는 제2 리어 크로스 멤버(12)의 어퍼 면, 제1,2 프론트 크로스 멤버(31, 32)의 어퍼 면, 사이드 실 판넬(21)의 어퍼 면 및 인너 면, 그리고 제1,2,3 어퍼 크로스 멤버(51, 52, 53)의 로워 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70)에는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10), 양측 사이드 실 유닛(20),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30), 그리고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50)에 의하여 돔 형상의 배터리 장착 공간(7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70)는 적어도 하나의 리어 플로워 판넬(73)과, 적어도 하나의 인텀 판넬(75)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리어 플로워 판넬(73)은 제2 리어 크로스 멤버(12)의 어퍼 면, 사이드 실 판넬(21)의 어퍼 면, 그리고 제1,2,3 어퍼 크로스 멤버(51, 52, 53)의 로워 면에 연결된다.
더 나아가, 상기 리어 플로워 판넬(73)은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레인포스 연결 멤버(55)의 로워 면에 연결되고, 터널 레인포스 멤버(61)의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텀 판넬(75)은 차체의 전방부의 프론트 플로워 구조체(도시하지 않음)와 리어 플로워 판넬(73)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인텀 판넬(75)은 서로 대응하는 제1 프론트 크로스 멤버(31)의 어퍼 면과 제1 어퍼 크로스 멤버(51)의 로워 면에 연결된다. 상기 인텀 판넬(75)은 서로 대응하는 제2 프론트 크로스 멤버(32)의 어퍼 면과 제2 어퍼 크로스 멤버(52)의 로워 면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인텀 판넬(75)은 사이드 실 판넬(21)의 인너 면에 연결되며, 리어 플로워 판넬(73)에 결합된다. 더 나아가, 상기 인텀 판넬(75)은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터널 멤버(41) 및 터널 레인포스 멤버(61)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배터리 로워 고정 유닛(80)은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70)의 배터리 장착 공간(71)에 배치되는 고전압 배터리(1)의 하부를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10) 및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30)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 로워 고정 유닛(80)은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10) 및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30)에 구비된다. 이러한 배터리 로워 고정 유닛(8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웰드 볼트부들(81)과, 복수의 웰드 너트부들(83)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복수의 웰드 볼트부들(81)은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10)의 제1 리어 크로스 멤버(11)의 로워 면에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웰드 볼트부들(81)은 제1 리어 크로스 멤버(11)의 로워 면에 결합(예를 들면, 용접 결합)되며, 로워 면에서 상하로 연장된다.
상기 복수의 웰드 볼트부들(81)은 고전압 배터리(1)에 구비된 복수의 볼트 체결부들(5)(도 6 참조)에 끼워지며, 복수의 너트들(6)과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웰드 너트부들(83)은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30)의 제1 및 제2 프론트 크로스 멤버(31, 32)의 로워 면에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웰드 너트부들(83)은 제1 및 제2 프론트 크로스 멤버(31, 32)의 내측 면에 결합(예를 들면, 용접 결합)되며, 제1 및 제2 프론트 크로스 멤버(31, 32)의 로워 면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 홀들(85)에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웰드 너트부들(83)은 고전압 배터리(1)에 구비된 복수의 너트 체결부들(7)(도 6 참조)에 끼워지며, 복수의 볼트들(8)과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리어 크로스 멤버(11), 양측 사이드 실 유닛(20), 그리고 제1 및 제2 프론트 크로스 멤버(31, 32)는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70)의 저면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복수의 웰드 볼트부들(81) 및 복수의 웰드 너트부들(83)에 의하여 사각 형상의 배터리 장착 섹션(87)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5 참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배터리 어퍼 고정 유닛(90)은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70)의 배터리 장착 공간(71)에 배치되는 고전압 배터리(1)의 상부를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50)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 어퍼 고정 유닛(90)은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70)의 내측 상부 면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내측이라 함은 하부가 개방된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70)의 안쪽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어퍼 고정 유닛(9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장착 브라켓(91), 제2 장착 브라켓(92), 그리고 제3 장착 브라켓(93)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장착 브라켓(91)은 고전압 배터리(1)의 상부의 한쪽을 리어 플로워 판넬(73)을 통해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50)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 장착 브라켓(91)은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50)에 차폭 방향을 따라 연결된다. 상기 제1 장착 브라켓(91)은 리어 플로워 판넬(73)의 하면에 결합되며, 제1 및 제2 어퍼 크로스 멤버(51, 52)의 이격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도 10의 (a) 참조).
상기 제2 장착 브라켓(92)은 고전압 배터리(1)의 상부의 다른 한쪽을 리어 플로워 판넬(73)을 통해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10) 및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50)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 장착 브라켓(92)은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10)과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50)을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결한다. 상기 제2 장착 브라켓(92)은 리어 플로워 판넬(73)의 하면에 결합되며, 제2 리어 크로스 멤버(12) 및 제3 어퍼 크로스 멤버(53)에 양 단부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도 10의 (b) 참조).
그리고, 상기 제3 장착 브라켓(93)은 고전압 배터리(1)의 상부의 또 다른 한쪽을 리어 플로워 판넬(73)을 통해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10) 및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50)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 장착 브라켓(93)은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10)과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50)을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결한다. 상기 제3 장착 브라켓(93)은 리어 플로워 판넬(73)의 하면에 결합되며, 제2 리어 크로스 멤버(12) 및 제3 어퍼 크로스 멤버(53)에 양 단부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도 10의 (c) 참조). 여기서, 상기 제2 장착 브라켓(92)과 제3 장착 브라켓(93)은 차폭 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여,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10)과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50)의 연결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배터리 어퍼 고정 유닛(90)의 1 장착 브라켓(91), 제2 장착 브라켓(92), 그리고 제3 장착 브라켓(93)은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70)의 저면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삼각 구도(95)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구조(100)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70)는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10), 양측 사이드 실 유닛(20),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30), 그리고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50)에 연결되어 돔 형상의 배터리 장착 공간(71)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10)의 제1 및 제2 리어 크로스 멤버(11, 12)는 양측 사이드 실 유닛(20)에 연결되면서 차폭 방향을 따른 제1 로드 패스(LP1)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30)의 제1 및 제2 프론트 크로스 멤버(31, 32)는 양측 사이드 실 유닛(20) 및 터널 멤버(41)에 연결되면서 차폭 방향을 따른 제2 로드 패스(LP2)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프론트 크로스 멤버(31, 32)의 어퍼 면에는 어퍼 레인포스 멤버(33)가 결합되어 제1 및 제2 프론트 크로스 멤버(31, 32)의 강성을 보강한다.
상기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50)의 제1 및 제2 어퍼 크로스 멤버(51, 52)는 양측 사이드 실 유닛(20) 및 터널 레인포스 멤버(61)에 연결되면서 차폭 방향을 따른 제3 로드 패스(LP3)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50)의 제3 어퍼 크로스 멤버(53)는 양측 사이드 실 유닛(20)에 연결되면서 차폭 방향을 따른 제4 로드 패스(LP4)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터널 레인포스 멤버(61)는 제1 및 제2 어퍼 크로스 멤버(51, 52)의 강성, 그리고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70)에 결합된 터널 멤버(41)의 강성을 보강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3 어퍼 크로스 멤버(53)와 제2 리어 크로스 멤버(12)는 레인포스 연결 멤버(55)에 의하여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연결된다. 상기 레인포스 연결 멤버(55)는 제3 어퍼 크로스 멤버(53)와 제2 리어 크로스 멤버(12)의 강성을 보강한다.
한편, 상기 고전압 배터리(1)는 배터리 로워 고정 유닛(80) 및 배터리 어퍼 고정 유닛(90)에 의하여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70)의 배터리 장착 공간(7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전압 배터리(1)의 하부는 배터리 로워 고정 유닛(80)에 의하여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10) 및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전압 배터리(1)의 하부는 제1 리어 크로스 멤버(11)의 로워 면에 구비된 복수의 웰드 볼트부들(81)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전압 배터리(1)의 하부는 제1 및 제2 프론트 크로스 멤버(31, 32)의 로워 면에 구비된 복수의 웰드 너트부들(83)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전압 배터리(1)의 하부는 제1 리어 크로스 멤버(11), 양측 사이드 실 유닛(20), 그리고 제1,2 프론트 크로스 멤버(31, 32)에 의해 구획된 사각 형상의 배터리 장착 섹션(87)에서 복수의 웰드 볼트부들(81) 및 복수의 웰드 너트부들(83)에 체결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고전압 배터리(1)의 상부는 배터리 어퍼 고정 유닛(90)에 의하여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70)의 내측 상부 면을 통해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10) 및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5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전압 배터리(1)의 상부는 제2 리어 크로스 멤버(12) 및 제1,2,3 어퍼 크로스 멤버(51, 52, 53)에 연결된 제1,2,3 장착 브라켓(91, 92, 93)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2,3 장착 브라켓(91, 92, 93)은 삼각 구도(95)로 배치되어 고전압 배터리(1)의 상부를 고정함과 아울러,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10) 및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50)의 강성을 보강한다.
다른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50)의 어퍼 면 및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70)의 어퍼 면에는 전기 워터 펌프, 라디에이터, 그리고 수소 탱크 등과 같은 부속 부품들(101)이 장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구조(100)는 차체의 후방부의 리어 플로워 구조체의 제한된 공간에서 고전압 배터리(1)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구조(100)는 리어 플로워 구조체의 골격 강성을 증대시키며, 멤버들의 연결성을 보강할 수 있고, 리어 플로워 구조체의 비틀림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구조(100)는 차량의 측면 충돌 시, 4 웨이(4 way)의 제1,2,3,4 로드 패스(LP1, LP2, LP3, LP4)를 통해 충돌 하중을 차폭 방향을 따라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양측 사이드 실 유닛(20)의 회전 변형으로 인한 고전압 배터리(1)의 손상 및 탑승객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 고전압 배터리 3: 양측 리어 사이드 멤버
5: 볼트 체결부 6: 너트
7: 너트 체결부 8: 볼트
10: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 11: 제1 리어 크로스 멤버
12: 제2 리어 크로스 멤버 13: 벌크 헤드
15: 폐 구간 20: 양측 사이드 실 유닛
21: 사이드 실 판넬 23: 아웃터 레인포스 판넬
30: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 31: 제1 프론트 크로스 멤버
32: 제2 프론트 크로스 멤버 33: 어퍼 레인포스 멤버
41: 터널 멤버 50: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
51: 제1 어퍼 크로스 멤버 52: 제2 어퍼 크로스 멤버
53: 제3 어퍼 크로스 멤버 55: 레인포스 연결 멤버
61: 터널 레인포스 멤버 70: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
71: 배터리 장착 공간 73: 리어 플로워 판넬
75: 인텀 판넬 80: 배터리 로워 고정 유닛
81: 웰드 볼트부 83: 웰드 너트부
85: 체결 홀 87: 배터리 장착 섹션
90: 배터리 어퍼 고정 유닛 91: 제1 장착 브라켓
92: 제2 장착 브라켓 93: 제3 장착 브라켓
LP1: 제1 로드 패스 LP2: 제2 로드 패스
LP3: 제3 로드 패스 LP4: 제4 로드 패스
100: 차체 구조 101: 부속 부품

Claims (16)

  1. 차체의 후방부에서 양측 리어 사이드 멤버의 전방부에 차폭 방향으로 결합되는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의 양측에 차체 전후 방향으로 각각 결합되는 양측 사이드 실 유닛;
    상기 양측 사이드 실 유닛의 전방부에 차폭 방향으로 결합되는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
    상기 양측 사이드 실 유닛의 상부에 차폭 방향으로 결합되는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 및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 양측 사이드 실 유닛,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 그리고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에 연결되는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
    를 포함하는 차체 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에는 돔 형상의 배터리 장착 공간이 형성되는 차체 구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은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은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보다 위에 위치하는 차체 구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 및 상기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에 구비되는 배터리 로워 고정 유닛; 및
    상기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의 내측 상부 면에 결합되는 배터리 어퍼 고정 유닛;
    을 더 포함하는 차체 구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은,
    상기 양측 리어 사이드 멤버의 전방부에 결합되는 제1 리어 크로스 멤버와,
    폐 구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리어 크로스 멤버에 결합되는 제2 리어 크로스 멤버와,
    상기 폐 구간에서 상기 제1 및 제2 리어 크로스 멤버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벌크 헤드
    를 포함하는 차체 구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은,
    상기 양측 사이드 실 유닛 중 일측 사이드 실 유닛의 전방 하부에 차폭 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제1 프론트 크로스 멤버와,
    대응하는 상기 제1 프론트 크로스 멤버와 설정 간격을 두고 상기 양측 사이드 실 유닛 중 타측 사이드 실 유닛의 전방 하부에 차폭 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제2 프론트 크로스 멤버와,
    상기 제1 및 제2 프론트 크로스 멤버의 어퍼 면에 각각 결합되는 어퍼 레인포스 멤버
    를 포함하는 차체 구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은,
    상기 제1 프론트 크로스 멤버에 대응하여 상기 일측 사이드 실 유닛의 전방 상부에 차폭 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제1 어퍼 크로스 멤버와,
    상기 제2 프론트 크로스 멤버에 대응하여 상기 타측 사이드 실 유닛의 전방 상부에 차폭 방향을 따라 결합되고, 대응하는 상기 제1 어퍼 크로스 멤버와 설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 어퍼 크로스 멤버
    를 포함하는 차체 구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어퍼 크로스 멤버의 후방 측에서 양측을 통하여 상기 양측 사이드 실 유닛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3 어퍼 크로스 멤버와,
    상기 제3 어퍼 크로스 멤버와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을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결하며, 상기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인포스 연결 멤버
    를 더 포함하는 차체 구조.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론트 크로스 멤버의 이격 단부는 터널 멤버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터널 멤버는 상기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에 결합되는 차체 구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어퍼 크로스 멤버의 이격 단부는 터널 레인포스 멤버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터널 레인포스 멤버는 상기 터널 멤버에 결합되는 차체 구조.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워 판넬 조립체는,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 양측 사이드 실 유닛, 제1 어퍼 크로스 멤버, 제2 어퍼 크로스 멤버, 그리고 제3 어퍼 크로스 멤버에 연결되는 리어 플로워 판넬과,
    상기 제1 프론트 크로스 멤버 및 제1 어퍼 크로스 멤버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프론트 크로스 멤버 및 제2 어퍼 크로스 멤버에 연결되며, 상기 양측 사이드 실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리어 플로워 판넬에 결합되는 인텀 판넬
    을 포함하는 차체 구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사이드 실 유닛은,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 그리고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에 연결되는 사이드 실 판넬과,
    상기 사이드 실 판넬의 아웃터 면에 결합되는 아웃터 레인포스 판넬
    을 포함하는 차체 구조.
  13.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로워 고정 유닛은,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에 구비되는 복수의 웰드 볼트부들과,
    상기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에 구비되는 복수의 웰드 너트부들
    을 포함하는 차체 구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 양측 사이드 실 유닛, 그리고 상기 프론트 크로스 멤버 유닛은,
    상기 배터리 로워 고정 유닛에 의하여 사각 형상의 배터리 장착 섹션으로 형성되는 차체 구조.
  1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어퍼 고정 유닛은,
    상기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에 차폭 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제1 장착 브라켓과,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과 상기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을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 장착 브라켓과,
    상기 제2 장착 브라켓의 차폭 방향 반대편에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 유닛과 상기 어퍼 크로스 멤버 유닛을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3 장착 브라켓
    을 포함하는 차체 구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 브라켓, 상기 제2 장착 브라켓, 그리고 상기 제3 장착 브라켓이 삼각 구도(triangular structure)로 배치되는 차체 구조.
KR1020210094860A 2021-07-20 2021-07-20 차체 구조 KR2023001385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860A KR20230013856A (ko) 2021-07-20 2021-07-20 차체 구조
DE102021132316.9A DE102021132316A1 (de) 2021-07-20 2021-12-08 Fahrzeugkarosseriestruktur
US17/643,332 US20230042809A1 (en) 2021-07-20 2021-12-08 Vehicle Body Structure
CN202111527152.3A CN115636017A (zh) 2021-07-20 2021-12-14 车身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860A KR20230013856A (ko) 2021-07-20 2021-07-20 차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856A true KR20230013856A (ko) 2023-01-27

Family

ID=84784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860A KR20230013856A (ko) 2021-07-20 2021-07-20 차체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42809A1 (ko)
KR (1) KR20230013856A (ko)
CN (1) CN115636017A (ko)
DE (1) DE102021132316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9239B2 (ja) * 2008-02-07 2009-08-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
JP5207130B2 (ja) * 2008-09-24 2013-06-12 スズ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KR101224496B1 (ko) * 2010-02-04 2013-0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팩
FR2962964B1 (fr) * 2010-07-23 2014-03-21 Renault Sa Chassis avec plancher arriere rehausse et procede d'assemblage.
DE102010048849A1 (de) * 2010-10-19 2012-04-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Ges.D. Staates Delaware) Hintere Bodenstruktur für ein Kraftfahrzeug
JP5966824B2 (ja) * 2012-09-28 2016-08-1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トラック形電動車両のフレーム構造
DE102015008727A1 (de) * 2015-07-07 2017-01-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Kraftfahrzeug und Bodenmodul dafür
JP6118381B2 (ja) * 2015-09-30 2017-04-19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載用バッテリー
JP6181723B2 (ja) * 2015-09-30 2017-08-16 株式会社Subaru 車体構造及び車載用バッテリー
JP6215905B2 (ja) * 2015-12-22 2017-10-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JP6421766B2 (ja) * 2016-02-02 2018-11-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レーム車の骨格構造
JP6363656B2 (ja) * 2016-06-23 2018-07-25 株式会社Subaru 車載用バッテリー
JP6688275B2 (ja) * 2017-12-20 2020-04-28 株式会社Subaru 車両用電池パック保護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
US10864810B2 (en) * 2019-04-25 2020-12-15 Fca Us Llc Bowstring-truss battery cradl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636017A (zh) 2023-01-24
US20230042809A1 (en) 2023-02-09
DE102021132316A1 (de)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0953B1 (ko) 자동차의 차체전부구조
CN106864596B (zh) 前车身结构
KR102586934B1 (ko) 자동차의 전방 차체 구조
US20190185065A1 (en) Front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US20230101665A1 (en) Vehicle-body structure with a battery cover for improved aerodynamic performance
CN216833939U (zh) 车身前端结构及汽车车身
KR20170068326A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조립 구조
CN112977620A (zh) 前车身加强结构
KR20230013856A (ko) 차체 구조
US11541714B2 (en) Vehicle
KR20230099254A (ko) 전방 차체 구조
KR20230022533A (ko) 후방 차체의 플로워 구조
CN113525091B (zh) 用于车辆的载荷吸收结构
CN215513202U (zh) 一种汽车蓄电池托盘及包含其的车辆
KR102474428B1 (ko)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
CN113246711B (zh) 一种电池包安装结构及后地板总成
US11787474B2 (en) Vehicle suspension tower structure
US20230398859A1 (en) Vehicle Rear Body Structure
US20240051611A1 (en) Floor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
US20230406416A1 (en) Rear Vehicle Body Structure
KR20230013758A (ko) 전방 차체 구조
KR100282920B1 (ko) 자동차 라디에이터 지지부재의 결합구조
CN116572718A (zh) 用于具有电动前轮驱动的机动车辆的前端结构
KR20240022856A (ko) 전기 차량용 플로워 구조체
KR200170963Y1 (ko) 자동차의 리어 휠 하우스 인너패널과 리어 스커트패널의 연결부 보강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