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428B1 -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428B1
KR102474428B1 KR1020210112770A KR20210112770A KR102474428B1 KR 102474428 B1 KR102474428 B1 KR 102474428B1 KR 1020210112770 A KR1020210112770 A KR 1020210112770A KR 20210112770 A KR20210112770 A KR 20210112770A KR 102474428 B1 KR102474428 B1 KR 102474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ib
bumper
vehic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라코
Priority to KR1020210112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6Additional energy absorbing means supported on bumber beams, e.g. cellular structures o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86Bumper fascias and fasten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는, 차체의 후방부에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 백빔과, 서로 결합된 어퍼 커버와 로워 커버로 이루어지며, 범퍼 백빔에 결합되는 범퍼 커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ⅰ)범퍼 백빔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백빔 체결부와, 로워 커버의 하부 내측 면에 선 접촉되는 커버 지지부를 각각 포함하며, 차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마운팅 브라켓들과, ⅱ)로워 커버에 일체로 구비되며, 로워 커버의 하부 내측 면에서 커버 지지부의 차체 전후 방향을 따른 양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브라켓 지지 유닛들과, ⅲ)로워 커버의 내측에서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복수의 브라켓 지지 유닛들과 복수의 마운팅 브라켓들의 커버 지지부에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BUMPER COVER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용 범퍼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범퍼 커버가 브라켓을 통해 범퍼 빔에 결합된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서의 범퍼 유닛은 차량이 다른 차량이나 고정체와의 충돌 시, 차체의 전후방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차체를 보호하거나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며, 동시에 차체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차체 전후 방에 설치되는 완충 유닛이다.
이러한 범퍼 유닛은 차량의 전방 및 후방 각각에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 빔(당 업계에서는'범퍼 백빔'이라고도 한다)이 범퍼 스테이를 통해 차체측 사이드 멤버에 장착되고, 범퍼 빔의 전방에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에너지 업소버가 배치되며, 범퍼 커버가 범퍼 빔과 에너지 업소버를 감싸면서 설치된다.
여기서, 범퍼 빔은 외부 충격 시 차체의 손상을 방지하고, 콤비 램프 및 포그 램프와 같은 기능 부품의 손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범퍼 커버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게 되며, 서로 연결된 어퍼 범퍼 커버와 로워 범퍼 커버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범퍼 커버는 범퍼 빔에 결합되는데, 그 범퍼 빔에 체결된 복수의 브라켓들에 결합된다.
종래 기술의 일 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 커버(1)의 로워 범퍼 커버(2)는 복수의 브라켓들(3)에 결합되는데, 복수의 브라켓들(3)은 범퍼 빔(5)의 하부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된다.
복수의 브라켓들(3)은 로워 범퍼 커버(2)의 하부 내측 면을 지지(면 접촉)한 상태에서, 패스너(화스너), 클립 등과 같은 복수의 하드웨어들(7)을 통해 로워 범퍼 커버(2)의 하부와 결합된다.
여기서, 복수의 하드웨어들(7)은 로워 범퍼 커버(2)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 구멍들에 삽입되고, 복수의 브라켓들(3)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 구멍에 결합되면서 상하 방향을 따라 로워 범퍼 커버(2)와 복수의 브라켓들(3)을 체결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와 같이 로워 범퍼 커버(2)의 하부 외측 면 쪽에서 복수의 하드웨어들(7)을 복수의 브라켓들(3)에 체결하여 로워 범퍼 커버(2)와 복수의 브라켓들(3)을 결합하기 때문에, 복수의 하드웨어들(7)이 외부(차량 하부)로 노출되어 차량의 외관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종래 기술에서는 복수의 브라켓들(3)의 하부와, 로워 범퍼 커버(2) 하부의 브라켓 접촉 점을 복수의 하드웨어들(7)로 체결함에 따라, 복수의 브라켓들(3)에 대한 로워 범퍼 커버(2)의 체결력이 약하여 로워 범퍼 커버(2)의 처짐이 발생하고 되고, 이로 인해 로워 범퍼 커버(2)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 외에 브라켓과 범퍼 커버의 결합 구조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9-0126154호에도 개시되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범퍼 커버를 범퍼 빔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 부품(하드웨어)들이 차량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고, 범퍼 빔에 대한 범퍼 커버의 체결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는, 차체의 후방부에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 백빔과, 서로 결합된 어퍼 커버와 로워 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범퍼 백빔에 결합되는 범퍼 커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ⅰ)상기 범퍼 백빔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백빔 체결부와, 상기 로워 커버의 하부 내측 면에 선 접촉되는 커버 지지부를 각각 포함하며, 차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마운팅 브라켓들과, ⅱ)상기 로워 커버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로워 커버의 하부 내측 면에서 상기 커버 지지부의 차체 전후 방향을 따른 양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브라켓 지지 유닛들과, ⅲ)상기 로워 커버의 내측에서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브라켓 지지 유닛들과 상기 복수의 마운팅 브라켓들의 상기 커버 지지부에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운팅 브라켓들의 각각은 차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브라켓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백빔 체결부는 상기 브라켓 바디의 후방 단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볼트를 통해 상기 범퍼 백빔의 하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버 지지부는 상기 브라켓 바디의 전방 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하단이 상기 로워 커버의 하부 내측 면과 선 접촉하는 선 접촉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버 지지부에는 차체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제1 체결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브라켓 지지 유닛들의 각각은 상기 로워 커버의 하부 내측 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체결 홀과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 체결 홀이 형성된 제1 결합 리브와, 상기 로워 커버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결합 리브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체결 홀과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3 체결 홀이 형성된 제2 결합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리브와 상기 제2 결합 리브는 상기 커버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리브는 상기 커버 지지부의 후방 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2 결합 리브는 상기 커버 지지부의 전방 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리브는 상기 커버 지지부의 후방 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로워 커버의 하부 내측 면에 연결되며,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체결 홀이 형성된 제1 리브부와, 상기 제1 리브부의 차폭 방향 양측에서 차체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로워 커버의 하부 내측 면에 연결된 삼각 리브 형상의 제2 리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 리브는 상기 로워 커버의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상측 방향으로 밴딩되어 상기 커버 지지부의 전방 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 리브는 상기 로워 커버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되, 금형 빼기 방향으로 플랜지 사출 성형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 리브는 상기 로워 커버의 하단에 연결된 힌지 연결부와, 상기 로워 커버의 하부 내측 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힌지 연결부에 연결된 제3 리브부와, 상기 커버 지지부의 전방 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3 리브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며,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제3 체결 홀이 형성된 제4 리브부와, 상기 제3 리브부의 양측과 상기 제4 리브부의 양측을 각각 연결하는 삼각 리브 형상의 제5 리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 리브는 상기 제4 리브부에 연장되는 리브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버 지지부에는 상기 제4 리브부의 양측을 지지하는 양측 플랜지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체결부재들의 각각은 서로 연결된 상기 제1 체결 홀, 상기 제2 체결 홀, 그리고 상기 제3 체결 홀에 차체 전후 방향으로 체결되는 패스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범퍼 커버를 범퍼 백빔에 결합하기 위한 하드웨어로서의 체결부재들이 범퍼 커버의 하부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차량 후방의 외관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동일하거나 또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를 지칭하는 첨부한 도면들과 연계한 이하의 설명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에 적용되는 복수의 마운팅 브라켓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에 적용되는 복수의 브라켓 지지 유닛들 중 하나와 복수의 체결부재들 중 하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에 적용되는 복수의 브라켓 지지 유닛들 중 하나와 복수의 체결부재들 중 하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에 적용되는 복수의 브라켓 지지 유닛들 중 하나와 복수의 체결부재들 중 하나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위에서 참조된 도면들은 반드시 축적에 맞추어 도시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예시하는 다양한 선호되는 특징들의 다소 간략한 표현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치수, 방향, 위치, 및 형상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특정 설계 특징들이 특정 의도된 응용과 사용 환경에 의해 일부 결정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목적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분명하게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또한 복수 형태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명시된 특징들, 정수, 단계들, 작동,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나타내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들, 작동, 컴포넌트들, 및/또는 이들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연관되어 나열된 하나 이상의 항목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모든 조합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결합된"이라는 용어는 컴포넌트들이 용접 등에 의하여 상호 간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매개 컴포넌트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컴포넌트들 간의 물리적 관계를 표시한다.
"차량", "차량의", "자동차" 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다른 유사 용어는 일반적으로, 승용 차량,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 버스, 트럭, 다양한 상용 차량을 포함하는 자동차(passenger automobiles)를 포함하고,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수소 동력 차량 및 다른 대체 연료 차량(예를 들어, 석유가 아닌 다른 리소스로부터 유도된 연료)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100)는 차량의 후방에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리어 범퍼 유닛(101)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리어 범퍼 유닛(101)은 차량의 후방충돌 사고 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탑승객을 보호함과 동시에 차량 각부의 차체를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리어 범퍼 유닛(101)은 차체의 리어 사이드 멤버에 범퍼 스테이(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차폭 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범퍼 백빔(10)과, 그 범퍼 백빔(10)과의 사이에 에너지 업소버(도시하지 않음)를 두고 범퍼 백빔(10)에 실질적으로 장착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범퍼 커버(2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범퍼 커버(20)는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결합된 어퍼 커버(21)와 로워 커버(22)를 포함하고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어퍼 커버(21)의 하부 및 로워 커버(22)의 상부는 범퍼 백빔(10)에 결합될 수 있다.
당 업계에서는 차폭 방향을 L 방향, 차체 길이 방향(차체 전후 방향)을 T 방향, 그리고 차체의 높이 방향을 H 방향이라고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기준 방향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LTH 방향으로 설정하는 대신, 차체 전후 방향, 차폭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설정하여 하기에서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내측'이라 함은 차량의 후방에서 범퍼 커버(20)를 보았을 때, 그 범퍼 커버(20)의 안쪽 면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고, '외측'이라 함은 차량의 후방에서 범퍼 커버(20)를 보았을 때, 그 범퍼 커버(20)의 바깥쪽 면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의 '상단부', '상부', '상단' 또는 '상부 면'은 도면에서 상대적으로 상측에 있는 구성요소의 단부, 부, 단, 또는 면을 나타내고, 구성요소의 '하단부', '하부', '하단' 또는 '하부 면'은 도면에서 상대적으로 하측에 있는 구성요소의 단부, 부, 단, 또는 면을 나타낸다.
더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의 단(예를 들어, 일측 단 또는 다른 일측(타측) 단 등)은 임의의 한 방향으로 구성요소의 끝을 나타내며, 구성요소의 단부(예를 들어, 일측 단부 또는 다른 일측(타측) 단부 등)는 그 끝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의 일정 부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100)는 범퍼 커버(20)를 범퍼 백빔(10)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 부품이 차량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고, 범퍼 백빔(10)에 대한 범퍼 커버(20)의 체결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100)는 기본적으로, 복수의 마운팅 브라켓들(30), 복수의 브라켓 지지 유닛들(50), 그리고 복수의 체결부재들(7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마운팅 브라켓들(30)은 범퍼 커버(20)의 하부 즉, 로워 커버(22)의 하부를 범퍼 백빔(10)에 간접적으로 체결하도록 되어 있는 마운팅 매개체로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마운팅 브라켓들(30)은 범퍼 백빔(10)의 하단부에 체결되며, 차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에 적용되는 복수의 마운팅 브라켓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복수의 마운팅 브라켓들(30)은 브라켓 바디(31), 백빔 체결부(33), 그리고 커버 지지부(3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브라켓 바디(31)는 로워 커버(22)의 내측 면에 대응하여 차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백빔 체결부(33)는 범퍼 백빔(10)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부분으로, 브라켓 바디(31)의 후방 단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볼트(B)를 통해 범퍼 백빔(10)의 하단부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지지부(35)는 로워 커버(22)의 하부 내측 면에 선 접촉되는 부분으로, 브라켓 바디(31)의 전방 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커버 지지부(35)는 그 하단이 로워 커버(22)의 하부 내측 면과 선 접촉하는 선 접촉단(36)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 지지부(35)는 차체 전방을 향하는 전방 면과, 차체 후방을 향하는 후방 면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지지부(35)에는 차체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제1 체결 홀(37)이 형성되어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커버 지지부(35)의 전방 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양측 플랜지 돌기(39)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브라켓 지지 유닛들(50)은 로워 커버(22)의 하부 내측 면에서 복수의 마운팅 브라켓들(30)의 커버 지지부(35)의 차체 전후 방향을 따른 전방 면 및 후방 면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브라켓 지지 유닛들(50)은 로워 커버(22)에 일체로 구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에 적용되는 복수의 브라켓 지지 유닛들 중 하나와 복수의 체결부재들 중 하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복수의 브라켓 지지 유닛들(50)의 각각은 제1 결합 리브(51)와 제2 결합 리브(55)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결합 리브(51)와 제2 결합 리브(55)는 복수의 마운팅 브라켓들(30)의 커버 지지부(35)를 사이에 두고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에 상기 제1 결합 리브(51)는 커버 지지부(35)의 후방 면을 지지하며, 제2 결합 리브(55)는 커버 지지부(35)의 전방 면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결합 리브(51)는 로워 커버(22)의 하부 내측 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결합 리브(51)에는 커버 지지부(35)의 제1 체결 홀(37)과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 체결 홀(5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 결합 리브(51)는 일체로 연결된 제1 리브부(53)와 제2 리브부(5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리브부(53)는 커버 지지부(35)의 후방 면을 지지하도록 로워 커버(22)의 하부 내측 면에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제1 리브부(53)는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한 제2 체결 홀(5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리브부(54)는 제1 리브부(53)의 차폭 방향 양측에서 차체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며, 로워 커버(22)의 하부 내측 면에 일체로 연결된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2 리브부(54)는 삼각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결합 리브(55)는 로워 커버(22)의 하단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제1 결합 리브(51)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2 결합 리브(55)에는 커버 지지부(35)의 제1 체결 홀(37) 및 제1 결합 리브(51)의 제2 체결 홀(52)과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3 체결 홀(5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결합 리브(55)는 로워 커버(22)의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상측 방향으로 밴딩되어 복수의 마운팅 브라켓들(30)의 커버 지지부(35)의 전방 면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2 결합 리브(55)는 금형 빼기 방향으로 플랜지 사출 성형되면서 로워 커버(22)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결합 리브(55)는 일체로 연결된 힌지 연결부(57), 제3 리브부(59), 제4 리브부(61), 제5 리브부(63), 그리고 리브 보강부(6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힌지 연결부(57)는 상하 방향으로 밴딩(꺽임) 가능하게 로워 커버(22)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힌지 연결부(57)는 로워 커버(22)의 두께 및 뒤에서 설명될 제3 리브부(59), 제4 리브부(61), 제5 리브부(63), 그리고 리브 보강부(65)의 두께 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제3 리브부(59)는 로워 커버(22)의 하부 내측 면을 지지하도록 힌지 연결부(57)에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제4 리브부(61)는 커버 지지부(35)의 전방 면을 지지하도록 제3 리브부(59)에 수직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4 리브부(61)에는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한 제3 체결 홀(56)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4 리브부(61)는 커버 지지부(35)의 전방 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된 양측 플랜지 돌기(39) 사이에 배치되며, 커버 지지부(35)의 전방 면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커버 지지부(35)의 양측 플랜지 돌기(39)는 제4 리브부(61)의 양측을 지지한다.
상기 제5 리브부(63)는 제3 리브부(59)의 차폭 방향을 따른 양측과 제4 리브부(61)의 차폭 방향을 따른 양측을 각각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5 리브부(63)는 삼각 리브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브 보강부(65)는 제2 결합 리브(55)의 강성을 보강함과 아울러 커버 지지부(35)의 전방 면에 대한 제4 리브부(61)의 지지 강성을 보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리브 보강부(65)는 제4 리브부(61)보다 작은 폭을 지니며, 제4 리브부(61)에 일체로 연장(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체결부재들(70)은 로워 커버(22)의 내측에서 복수의 마운팅 브라켓들(30)의 커버 지지부(35)과, 복수의 브라켓 지지 유닛들(50)의 제1 결합 리브(51)와 제2 결합 리브(55)를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일체로 체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체결부재들(70)의 각각은 커버 지지부(35), 제1 결합 리브(51) 및 제2 결합 리브(55)에 체결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패스너(71)를 포함한다.
상기 패스너(71)는 커버 지지부(35)의 제1 체결 홀(37), 제1 결합 리브(51)의 제1 리브부(53)의 제2 체결 홀(52) 및 제2 결합 리브(55)의 제3 체결 홀(56)에 차체 전후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복수의 체결부재들(70)은 패스너(71)를 포함하는 것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플라스틱 소재의 클립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100)의 조립 과정 및 작용을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리어 범퍼 유닛(101)의 범퍼 백빔(10)을 제공한다. 상기 범퍼 백빔(10)의 하단부에는 복수의 마운팅 브라켓들(30)이 차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체결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마운팅 브라켓들(30)은 일체로 연결된 브라켓 바디(31), 백빔 체결부(33), 그리고 커버 지지부(35)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백빔 체결부(33)는 브라켓 바디(31)의 한쪽 단부(도면에서의 후방 단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으로, 볼트(B)를 통해 범퍼 백빔(10)의 하단부에 체결되어 있다. 상기 커버 지지부(35)는 브라켓 바디(31)의 다른 한쪽 단부(도면에서의 전방 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으로, 그 하단에는 선 접촉단(3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지지부(35)에는 제1 체결 홀(3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어퍼 커버(21)와 로워 커버(22)를 포함하는 범퍼 커버(10)를 제공한다. 상기 범퍼 커버(10)에서 로워 커버(22)에는 제1 결합 리브(51)와 제2 결합 리브(55)를 포함하는 복수의 브라켓 지지 유닛들(5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제1 결합 리브(51)는 로워 커버(22)의 하부 내측 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제2 체결 홀(52)이 형성된 제1 리브부(53)와, 제1 리브부(53)와 로워 커버(22)의 하부 내측 면에 일체로 연결된 제2 리브부(54)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결합 리브(55)는 로워 커버(22)의 하단에 금형 빼기 방향으로 플랜지 사출 성형된 부분으로, 그 로워 커버(22)의 하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결합 리브(55)는 서로 연결된 힌지 연결부(57), 제3 리브부(59), 제4 리브부(61), 제5 리브부(63), 그리고 리브 보강부(65)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리브부(61)에는 제3 체결 홀(5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마운팅 브라켓들(30)의 커버 지지부(35)를 선 접촉단(36)을 통해 로워 커버(22)의 하부 내측 면에 상하 방향으로 선 접촉시키며, 그 커버 지지부(35)의 후방 면을 제1 결합 리브(51)의 제1 리브부(53)에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커버 지지부(35)의 제1 체결 홀(37)과, 제1 리브부(53)의 제2 체결 홀(52)은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2 결합 리브(55)를 로워 커버(22)의 하단에서 힌지 연결부(57)를 통해 상측 방향 즉, 로워 커버(22)의 내측 방향으로 밴딩하여 제3 리브부(50)를 로워 커버(22)의 하부 내측 면에 접촉시키며, 제4 리브부(41)를 커버 지지부(35)의 전방 면에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제4 리브부(61)의 제3 체결 홀(56)은 커버 지지부(35)의 제1 체결 홀(37)과 제1 리브부(53)의 제2 체결 홀(52)에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연결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체결부재들(70)의 각각의 패스너(71)를 서로 연결된 제1 체결 홀(37), 제2 체결 홀(52) 및 제3 체결 홀(56)에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결합한다.
따라서, 복수의 마운팅 브라켓들(30)의 커버 지지부(35)와, 복수의 브라켓 지지 유닛들(50)의 제1 결합 리브(51)와 제2 결합 리브(55)는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일체로 체결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100)에 의하면, 로워 커버(22)의 하부 내측 면에 일체로 형성된 제1 결합 리브(51), 로워 커버(22)의 하단에서부터 로워 커버(22)의 내측 방향으로 밴딩된 제2 결합 리브(55), 그리고 범퍼 백빔(10)에 체결된 복수의 마운팅 브라켓들(30)의 커버 지지부(35)가 로워 커버(22)의 내측에서 복수의 체결부재들(70)을 통해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체결된 구조를 갖는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범퍼 커버(20)를 범퍼 백빔(10)에 결합하기 위한 하드웨어로서의 체결부재들(70)이 범퍼 커버(20)의 하부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종래 기술과 달리 차량 후방의 외관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브라켓 지지 유닛들(50)의 제1 결합 리브(51)와 제2 결합 리브(55)가 차체 전후 양 방향에서 복수의 마운팅 브라켓들(30)의 커버 지지부(35)에 복수의 체결부재들(70)을 통해 체결되므로, 범퍼 백빔(10) 및 복수의 마운팅 브라켓들(30)에 대한 범퍼 커버(20)의 체결 강성 및 지지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범퍼 커버(20)의 로워 커버(22)가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한 범퍼 커버(20)의 손상 및 파손 유발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 범퍼 백빔 20: 범퍼 커버
21: 어퍼 커버 22: 로워 커버
30: 마운팅 브라켓 31: 브라켓 바디
33: 백빔 체결부 35: 커버 지지부
36: 선 접촉단 37: 제1 체결 홀
39: 양측 플랜지 돌기 50: 브라켓 지지 유닛
51: 제1 결합 리브 52: 제2 체결 홀
53: 제1 리브부 54: 제2 리브부
55: 제2 결합 리브 56: 제3 체결 홀
57: 힌지 연결부 59: 제3 리브부
61: 제4 리브부 63: 제5 리브부
65: 리브 보강부 70: 체결부재
71: 패스너 B: 볼트
100: 범퍼 커버 결합 구조 101: 리어 범퍼 유닛

Claims (12)

  1. 차체의 후방부에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 백빔과, 서로 결합된 어퍼 커버와 로워 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범퍼 백빔에 결합되는 범퍼 커버를 포함하는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범퍼 백빔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백빔 체결부와, 상기 로워 커버의 하부 내측 면에 선 접촉되는 커버 지지부를 각각 포함하며, 차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마운팅 브라켓들;
    상기 로워 커버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로워 커버의 하부 내측 면에서 상기 커버 지지부의 차체 전후 방향을 따른 양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브라켓 지지 유닛들; 및
    상기 로워 커버의 내측에서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브라켓 지지 유닛들과 상기 복수의 마운팅 브라켓들의 상기 커버 지지부에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부재들;
    을 포함하는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운팅 브라켓들의 각각은 차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브라켓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백빔 체결부는 상기 브라켓 바디의 후방 단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볼트를 통해 상기 범퍼 백빔의 하단부에 체결되고,
    상기 커버 지지부는 상기 브라켓 바디의 전방 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하단이 상기 로워 커버의 하부 내측 면과 선 접촉하는 선 접촉단으로 형성되는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지지부에는 차체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제1 체결 홀이 형성되는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브라켓 지지 유닛들의 각각은,
    상기 로워 커버의 하부 내측 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체결 홀과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 체결 홀이 형성된 제1 결합 리브와,
    상기 로워 커버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결합 리브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체결 홀과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3 체결 홀이 형성된 제2 결합 리브
    를 포함하는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리브와 상기 제2 결합 리브는 상기 커버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1 결합 리브는 상기 커버 지지부의 후방 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2 결합 리브는 상기 커버 지지부의 전방 면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리브는,
    상기 커버 지지부의 후방 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로워 커버의 하부 내측 면에 연결되며,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체결 홀이 형성된 제1 리브부와,
    상기 제1 리브부의 차폭 방향 양측에서 차체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로워 커버의 하부 내측 면에 연결된 삼각 리브 형상의 제2 리브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 리브는,
    상기 로워 커버의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상측 방향으로 밴딩되어 상기 커버 지지부의 전방 면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 리브는,
    상기 로워 커버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되, 금형 빼기 방향으로 플랜지 사출 성형된 것인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
  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 리브는,
    상기 로워 커버의 하단에 연결된 힌지 연결부와,
    상기 로워 커버의 하부 내측 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힌지 연결부에 연결된 제3 리브부와,
    상기 커버 지지부의 전방 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3 리브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며,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제3 체결 홀이 형성된 제4 리브부와,
    상기 제3 리브부의 양측과 상기 제4 리브부의 양측을 각각 연결하는 삼각 리브 형상의 제5 리브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 리브는,
    상기 제4 리브부에 연장되는 리브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지지부에는 상기 제4 리브부의 양측을 지지하는 양측 플랜지 돌기가 형성되는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
  12.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체결부재들의 각각은,
    서로 연결된 상기 제1 체결 홀, 상기 제2 체결 홀, 그리고 상기 제3 체결 홀에 차체 전후 방향으로 체결되는 패스너
    를 포함하는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
KR1020210112770A 2021-08-26 2021-08-26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 KR102474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770A KR102474428B1 (ko) 2021-08-26 2021-08-26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770A KR102474428B1 (ko) 2021-08-26 2021-08-26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428B1 true KR102474428B1 (ko) 2022-12-06

Family

ID=84407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770A KR102474428B1 (ko) 2021-08-26 2021-08-26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4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8538A (ja) * 1992-03-31 1993-10-26 Suzuki Motor Corp 自動車用バンパーの取付構造
KR19980019809U (ko) * 1996-10-07 1998-07-15 김영귀 범퍼 체결장치
KR20100119918A (ko) * 2009-05-04 2010-11-12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범퍼용 브래킷 유닛
KR20120029946A (ko) * 2010-09-17 2012-03-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범퍼 위치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8538A (ja) * 1992-03-31 1993-10-26 Suzuki Motor Corp 自動車用バンパーの取付構造
KR19980019809U (ko) * 1996-10-07 1998-07-15 김영귀 범퍼 체결장치
KR20100119918A (ko) * 2009-05-04 2010-11-12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범퍼용 브래킷 유닛
KR20120029946A (ko) * 2010-09-17 2012-03-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범퍼 위치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1769B2 (en) Front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US9731766B2 (en)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US8827353B2 (en) Front body structure of vehicle
JP3704078B2 (ja) フェンダー支持構造
US10899395B2 (en) Unit of combined front bumper beam and front end module including crash box having dual-sectional structure
CN113260531A (zh) 车辆行李箱盖
KR102474428B1 (ko)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
JP3125531B2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及びその組立方法
JP4669743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CN109649499B (zh) 前部车身的增强结构
KR100488783B1 (ko) 상부가 보강된 자동차용 리어 범퍼
KR101244948B1 (ko) 프론트 엔드모듈의 캐리어
KR102643625B1 (ko) 차량의 하이루프 조립체
JP4060923B2 (ja) 車両用バンパー
KR20020094740A (ko) 자동차 리어 범퍼용 백 비임
US11072302B2 (en) Knee airbag for vehicles
KR100483782B1 (ko) 자동차의 리어 범퍼
US20240140533A1 (en) Side Sill Reinforcement Structure of Vehicle
US20240149820A1 (en) Vehicular shock absorber
KR100282920B1 (ko) 자동차 라디에이터 지지부재의 결합구조
KR20230013856A (ko) 차체 구조
KR100428383B1 (ko) 자동차의 리어 범퍼
KR100410930B1 (ko) 차량용 트렁크실의 전방구조
KR19980028535U (ko) 자동차의 리어 플로어패널 보강구조
KR19990026497U (ko) 자동차 범퍼의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