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9946A - 범퍼 위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범퍼 위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9946A
KR20120029946A KR1020100092090A KR20100092090A KR20120029946A KR 20120029946 A KR20120029946 A KR 20120029946A KR 1020100092090 A KR1020100092090 A KR 1020100092090A KR 20100092090 A KR20100092090 A KR 20100092090A KR 20120029946 A KR20120029946 A KR 20120029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upport bracket
bumper
flow
position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2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2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9946A/ko
Publication of KR20120029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9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86Bumper fascias and fasten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범퍼 위치 조절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범퍼 위치 조절장치는 : 프런트빔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과, 지지브라켓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범퍼커버와 연결되는 유동브라켓 및 유동브라켓을 지지브라켓을 기준으로 상하 유동시켜 범퍼커버를 승하강시키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범퍼 위치 조절장치{BUMPER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범퍼 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범퍼의 처짐 현상 및 차체 치수 불안정에 따른 범퍼와 후드간 갭문제 발생을 해결할 수 있는 범퍼 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프런트 범퍼는 차량의 전면의 차체에 조립되어 전면 외관을 형성하고, 전방 저속충돌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차량의 기능부품과 차체를 보호하며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공기 저항을 감소시킨다.
또한, 차량 전면 디자인을 향상시켜 차량의 상품성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범퍼는 통상적으로, 외관을 이루는 범퍼커버와 범퍼커버의 내부에 구비되고,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스틸 재질의 프런트빔 및 프런트빔과 범퍼커버 사이에 충진되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발포성 재질의 폼(foam)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자동차 외관미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범퍼는 차량 조립 후 차체와는 후드판넬, 펜더판넬과 매칭을 하게 되고 부품으로는 헤드램프와 상호 매칭된다.
이중 후드와의 매칭성은 차량의 전방에서 보는이의 시각적 위치로 인해 중요시 되고 있다.
따라서, 후드판넬과 범퍼 상단부와의 갭은 5mm수준으로 철저히 관리 되어진다.
그러나, 범퍼의 자중에 의한 처짐으로 인해 범퍼는 하방향으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후드판넬은 차체 치수 불안정으로 인해 상방향, 하방향 위치가 불안정한 현상에 의해 후드판넬과 범퍼와의 갭을 기준에 맞게 맞추기에는 큰 어려움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범퍼의 처짐 현상 및 차체 치수 불안정에 따른 범퍼와 후드간 갭문제 발생을 해결하기 위해 치수 경향에 따라 범퍼와 후드간 갭을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범퍼 위치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범퍼 위치 조절장치는: 프런트빔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과, 지지브라켓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범퍼커버와 연결되는 유동브라켓 및 유동브라켓을 지지브라켓을 기준으로 상하 유동시켜 범퍼커버를 승하강시키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브라켓은 프런트빔의 외형을 따라 접하여 고정되도록 굴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절부는 지지브라켓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너트와, 지지브라켓과 유동브라켓을 관통하며, 고정너트에 치합되어 회전에 의해 지지브라켓과 유동브라켓의 유격을 가변시키는 조임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동브라켓은 지지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고, 지지브라켓과 유동브라켓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동브라켓은 조절부의 조작시 가이드부에 의해 지지브라켓을 기준으로 상하 직선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부는 유동브라켓의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핀 및 가이드핀이 삽입되도록 지지브라켓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범퍼 위치 조절장치는 조절부의 조작에 의해 지지브라켓과 유동브라켓의 유격을 가변시킴으로써, 범퍼와 후드간 갭을 상하로 조절하여 범퍼의 처짐 현상 및 차체 치수 불안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이로 인해, 차량의 전면 디자인을 향상시켜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퍼 위치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퍼 위치 조절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퍼 위치 조절장치가 적용된 범퍼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퍼 위치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범퍼 위치 조절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퍼 위치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퍼 위치 조절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퍼 위치 조절장치가 적용된 범퍼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퍼 위치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퍼 위치 조절장치(100)는 크게, 지지브라켓(110), 유동브라켓(120) 및 조절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차체 프레임이 전면에는 프런트빔(10)이 고정된다.
프런트빔(10)은 중공관 형상을 지니고 차체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범퍼커버(20)의 내측에 위치하여 범퍼커버(2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이러한 범퍼커버(20)와 프런트빔(10) 사이에는 충진재(미도시)가 구비된다.
그리고, 프런트빔(10)의 전면에는 지지브라켓(110)이 고정된다.
지지브라켓(110)은 스틸 판으로 이루어지며, 후단부는 프런트빔(10)의 외형을 따라 접하여 고정되도록 굴절부(112)가 형성된다.
굴절부(112)에 의해 지지브라켓(110)은 프런트빔(10)과 넓은 면적이 접하게 됨으로 지지강성이 향상되며, 굴절부(112)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지지브라켓(110)은 프런트빔(10)의 하단부에 접하여 볼팅 결합된다.
그리고, 유동브라켓(120)은 지지브라켓(110)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범퍼커버(20)와 연결된다.
유동브라켓(120)은 지지브라켓(110)과 마찬가지로 스틸 판으로 이루어지고, 범퍼커버(20)에는 유동브라켓(120)의 선단이 끼워지도록 'ㄷ'자 형상의 끼움부(22)가 형성되어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조절부(130)는 유동브라켓(120)을 지지브라켓(110)을 기준으로 상하 유동시켜 범퍼커버(20)를 승하강시키는 것으로서, 지지브라켓(110)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너트(132)와, 지지브라켓(110)과 유동브라켓(120)을 관통하며, 고정너트(132)에 치합되어 회전에 의해 지지브라켓(110)과 유동브라켓(120)의 유격을 가변시키는 조임볼트(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고정너트(132)는 지지브라켓(11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브라켓(110)과 유동브라켓(120)에는 고정너트(132)의 홀과 일치되는 관통홀(110a,120a)이 형성되며, 조임볼트(134)는 하부에서 상부로 고정너트(132)에 치합된다.
이때, 유동브라켓(120)은 지지브라켓(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지지브라켓(110)과 유동브라켓(120) 사이에는 탄성부재(140)가 구비된다.
탄성부재(140)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동브라켓(120)은 조절부(130)의 조작시 가이드부(150)에 의해 지지브라켓(110)을 기준으로 상하 직선으로 안내된다.
가이드부(150)는 유동브라켓(120)의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핀(152) 및 가이드핀(152)이 삽입되도록 지지브라켓(110)에 형성되는 가이드홀(15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이드핀(152)은 조임볼트(134)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탄성부재(140)는 가이드핀(152)에 끼워져 지지브라켓(110)과 유동브라켓(12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퍼 위치 조절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범퍼 위치 조절장치(100)의 조립을 살펴보면, 지지브라켓(110)을 프런트빔(10)의 하단에 볼팅하여 결합시킨다.
지지브라켓(110)은 프런트빔(10)의 외곽을 따라 굴절된 굴절부(112)가 형성되어 보다 많은 면적이 프런트빔(10)에 접하게 되므로 지지강성이 향상된다.
이후, 유동브라켓(120)을 지지브라켓(110)의 하측에 위치시킨 후, 조임볼트(134)에 의해 지지브라켓(110)과 연결시킨다.
조임볼트(134)는 유동브라켓(120)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조립되며, 지지브라켓(110)의 상면에 일체로 이루어진 고정너트(132)에 치합되어 결속된다.
그리고, 지지브라켓(110)과 유동브라켓(120)의 사이에는 탄성부재(140)가 구비되며, 탄성부재(140)는 가이드핀(152)에 끼워져 지지브라켓(110)과 유동브라켓(120)을 지지한다.
이처럼 조립된 유동브라켓(120)의 선단은 범퍼커버(20)의 후면에 형성되는 끼움부(22)에 결합된다.
이후, 도 4를 참조하여 범퍼 위치 조절장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범퍼의 자중에 의한 처짐으로 인해 하방향으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후드판넬과 범퍼커버(20)와의 갭이 발생하게 되어 차체 전면의 미감이 떨어지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조임볼트(134)를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너트(132)를 기준으로한 조임볼트(134)는 상승하고 조임볼트(134)의 상승으로 인해 유동브라켓(120) 또한 상승하게 된다.
유동브라켓(120)의 선단은 범퍼커버(20)와 연결되어 있어 범퍼커버(20) 또한 상승하게 되어 후드판넬과 범퍼커버(20)의 갭을 조절할 수 있다.
유동브라켓(120)은 가이드홀(154)에 끼워진 가이드핀(152)에 의해 직선으로 정확하게 안내된다.
반대로, 후드판넬과 범퍼커버(20)의 갭이 기준보다 긴밀하게 되면, 조임볼트(134)를 반대로 회전시켜 후드판넬과 범퍼커버(20)의 사이 갭을 기준에 맞게 조절하면 된다.
그리고, 탄성부재(140)는 지지브라켓(110)과 유동브라켓(120)의 사이에 개재되어 유동브라켓(120)의 급격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임볼트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후드판넬과 범퍼 사이 갭을 기준에 맞게 조절할 수 있어 차량 개발 기간중 갭 문제 발생을 쉽게 해결할 수 있으며, 차량 전면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범퍼 위치 조절장치 110 : 지지브라켓
112 : 굴절부 110a, 120a : 관통홀
120 : 유동브라켓 130 : 조절부
132 : 고정너트 134 : 조임볼트
140 : 탄성부재 150 : 가이드부
152 : 가이드핀 154 : 가이드홀

Claims (6)

  1. 프런트빔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범퍼커버와 연결되는 유동브라켓; 및
    상기 유동브라켓을 상기 지지브라켓을 기준으로 상하 유동시켜 상기 범퍼커버를 승하강시키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위치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프런트빔의 외형을 따라 접하여 고정되도록 굴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위치 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지지브라켓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너트;
    상기 지지브라켓과 상기 유동브라켓을 관통하며, 상기 고정너트에 치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브라켓과 상기 유동브라켓의 유격을 가변시키는 조임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위치 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브라켓은 상기 지지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브라켓과 상기 유동브라켓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위치 조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브라켓은 상기 조절부의 조작시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지지브라켓을 기준으로 상하 직선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위치 조절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유동브라켓의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핀; 및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브라켓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위치 조절장치.
KR1020100092090A 2010-09-17 2010-09-17 범퍼 위치 조절장치 KR201200299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090A KR20120029946A (ko) 2010-09-17 2010-09-17 범퍼 위치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090A KR20120029946A (ko) 2010-09-17 2010-09-17 범퍼 위치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946A true KR20120029946A (ko) 2012-03-27

Family

ID=46134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090A KR20120029946A (ko) 2010-09-17 2010-09-17 범퍼 위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99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3907B2 (en) 2014-04-15 2016-03-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justable front fascia for vehicles
KR102474428B1 (ko) * 2021-08-26 2022-12-06 주식회사 프라코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3907B2 (en) 2014-04-15 2016-03-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justable front fascia for vehicles
KR102474428B1 (ko) * 2021-08-26 2022-12-06 주식회사 프라코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15582B2 (ja) 車両のグリルシャッタ構造
KR100921102B1 (ko) 자동차의 후드 힌지 구조
ES2295530T3 (es) Pieza extrema para capo de motor de un vehiculo.
KR20140074765A (ko)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CN106005016B (zh) 一种汽车水箱架
KR101020558B1 (ko) 차량의 범퍼커버 결합형 스티프너
KR20120029946A (ko) 범퍼 위치 조절장치
CN102963324B (zh) 车辆前部构造
CN205930928U (zh) 用于车辆的翼子板安装支架
CN204309904U (zh) 一种汽车b柱
CN210027615U (zh) 一种客车前围蒙皮分片式结构
KR101359927B1 (ko) 펜더패널 조립구조
CN205396228U (zh) 车辆前翼子板的支撑安装件和车辆前翼子板安装总成
CN111852224A (zh) 用于车辆的机舱盖铰链以及车辆
KR101666985B1 (ko) 하이브리드 범퍼빔
CN105329319A (zh) 汽车前副车架
CN105539348B (zh) 一种汽车门饰板用吸能器
CN201520263U (zh) 一种新型的车身前部结构
CN207931657U (zh) 一种汽车保险杠下装饰板
CN103826934A (zh) 车辆的前保险杠组件
JPWO2012073682A1 (ja) 車体前部の構造
CN207469982U (zh) 车门防磕碰装置
KR20120023464A (ko) 스티프너장치
KR101345168B1 (ko) 차량용 범퍼 빔 유닛
CN111674349A (zh) 一种有利于行人头部保护的四连杆铰链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