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4765A -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765A
KR20140074765A KR1020120143081A KR20120143081A KR20140074765A KR 20140074765 A KR20140074765 A KR 20140074765A KR 1020120143081 A KR1020120143081 A KR 1020120143081A KR 20120143081 A KR20120143081 A KR 20120143081A KR 20140074765 A KR20140074765 A KR 20140074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losed end
back beam
face
bumper 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8745B1 (ko
Inventor
정의정
정희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3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745B1/ko
Priority to DE102013223733.2A priority patent/DE102013223733B4/de
Priority to US14/092,468 priority patent/US9120444B2/en
Priority to CN201310629506.4A priority patent/CN103863229B/zh
Publication of KR20140074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19/20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ntaining mainly gas or liquid, e.g. 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19/20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ntaining mainly gas or liquid, e.g. inflatable
    • B60R19/205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ntaining mainly gas or liquid, e.g. inflatable inflatable in the direction of an obstacle upon impending impact, e.g. usin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퍼 백빔의 제작이 용이하고,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충격흡수가 효과적인 차량용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격흡수장치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배치된 범퍼 백빔; 상기 범퍼 백빔의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범퍼 백빔의 전면에 장착된 인플레이터 프로텍터; 상기 인플레이터 프로텍터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팽창되어 전개되는 에어백 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충격흡수장치{IMPACT ABSORB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범퍼 백빔과 외장 에어백을 사용한 차량용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충격흡수장치는 차량이 보행자나 물체 혹은 다른 차량과 같은 피충돌체와 충돌할 경우에 그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피충돌체가 받는 반발 충격력을 저감시키며, 이와 동시에 충돌 차량의 차체와 그 탑재 부품들의 손상이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 및 후방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충격흡수장치는 빔 형상으로 제작되어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서 차량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 백빔(bumper back beam)과, 이 범퍼 백빔의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양측 부위에 각각 장착되는 크래시 박스(crash box)를 포함한다.
상기 크래시 박스의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 선단부는 상기 범퍼 백빔에 스테이 브래킷 혹은 플레이트를 매개로 장착되고, 상기 크래시 박스의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방 선단부는 사이드 멤버에 스테이 브래킷 혹은 플레이트를 매개로 장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사이드 멤버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차체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범퍼 백빔과 크래시 박스를 장착한 차량이 예를 들면 전방 충돌할 경우에, 상기 크래시 박스보다 차량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범퍼 백빔이 우선적으로 충돌 에너지를 받아 변형되면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고 저감시킨다.
그리고 상기 범퍼 백빔에서 흡수되지 못한 일부 충돌 에너지는 상기 범퍼 백빔과 연결된 상기 크래시 박스로 전달되고, 상기 크래시 박스도 충돌 에너지를 전달받아 변형되면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고 저감시킨다.
상기 범퍼 백빔과 크래시 박스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장치에서 미처 흡수되지 못한 충돌 에너지는 상기 크래시 박스와 연결된 사이드 멤버로 전달되고, 상기 사이드 멤버도 충돌 에너지를 전달받아 변형되면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고 저감시킨다.
상기 사이드 멤버는 차체를 구성하는 다른 부품들과도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사이드 멤버로 전달된 충돌 에너지는 사이드 멤버를 통해 차체의 다른 부위로도 전달되어 분산된다.
특히, 차량이 보행자와 충돌할 경우에 보행자의 충돌 상해를 저감하기 위해 상기 범퍼 백빔의 전방에 또 다른 충격흡수장치로서 외장형 에어백이 설치된다.
상기 외장형 에어백은 차량과 보행자가 충돌할 경우에 우선적으로 팽창되어 충격흡수 에어백 쿠션을 형성하고, 상기 충격흡수 에어백 쿠션의 완충 효과를 통해 보행자의 충돌 상해를 경감시킨다.
상기와 같이 충격흡수 에어백과 범퍼 백빔 및 크래시 박스를 포함하는 종래의 차량용 충격흡수장치에서, 상기 충격흡수 에어백을 범퍼 백빔에 효율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충격흡수 에어백이 차량의 전방을 향해 원만하게 전개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이 보행자와 같은 피충돌체와 충돌할 경우에 피충돌체의 충돌 상해나 손상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키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범퍼 백빔의 제작이 용이하고,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제작 단가가 줄어들 수 있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격흡수장치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배치된 범퍼 백빔; 상기 범퍼 백빔의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범퍼 백빔의 전면에 장착된 인플레이터 프로텍터; 상기 인플레이터 프로텍터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팽창되어 전개되는 에어백 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퍼 백빔의 차량의 폭방향을 따른 양측 부위는 크래시 박스를 통해 사이드 멤버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백 모듈은 기체가 주입되면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게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 및 상기 에어백 쿠션에 상기 기체를 주입하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는 하나 이상의 조립 볼트를 매개로 상기 범퍼 백빔에 체결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범퍼 백빔은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부 폐단면과, 하부 폐단면 및, 상기 상부 폐단면과 하부 폐단면을 일체로 연결하는 중간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폐단면과 하부 폐단면은 각각 사각 형상을 하고서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기 중간 플랜지를 중심으로 상하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폐단면과 하부 폐단면은 상기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범퍼 백빔은 하나의 플레이트가 다단으로 굴곡 성형된 형상을 가지도록 롤 포밍 공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범퍼 백빔은 상기 하부 폐단면의 밑면으로부터 상부 폐단면의 윗면까지의 높이가 136.8mm 이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 프로텍터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다단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 프로텍터는, 상기 범퍼 백빔의 중간 플랜지에 밀착되는 중간 플랜지; 상기 중간 플랜지로부터 차량의 높이 방향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범퍼 백빔의 상부 폐단면을 전방에서 커버하는 상부 플랜지; 및 상기 중간 플랜지로부터 차량의 높이 방향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범퍼 백빔의 하부 폐단면을 전방에서 커버하는 하부 플랜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는 상기 중간 플랜지를 중심으로 상하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랜지는, 상기 상부 폐단면의 하면 전부와 밀착하면서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하면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하도록 형성된 하면; 상기 상부 폐단면의 전면을 전방에서 커버하도록 상기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해서 배치된 전면; 및 상기 상부 폐단면의 상면의 일부를 덮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상면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랜지는, 상기 하부 폐단면의 상면 전부와 밀착하면서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상면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하도록 형성된 상면; 상기 하부 폐단면의 전면을 전방에서 커버하도록 상기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해서 배치된 전면; 및 상기 하부 폐단면의 하면의 일부를 덮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하면; 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랜지의 상면과 상기 하부 플랜지의 하면에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비드가 돌출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 프로텍터의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사이의 공간에 상기 에어백 모듈이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폭 방향을 연장되게 형성된 범퍼 백빔의 전방에 충격흡수 에어백과 그 인플레이터로 이루어진 에어백 모듈이 인플레이터 프로텍터를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에어백 모듈의 설치 구조가 단순해지고,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범퍼 백빔의 형상이 단순해져 롤 포밍 공법으로 제작할 수 있어서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차량이 보행자와 충돌할 경우에 보행자의 오버라이드(Override)를 방지하기 위해 범퍼 백빔에 장착되고 있던 범퍼 어퍼 레일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차량의 부품수와 중량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옵션 여부에 따라 상기 인플레이터 프로텍터만을 범퍼 백빔에 장착하여 에어백 모듈을 설치하거나 혹은 탈거하면 되므로, 모든 차량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격흡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격흡수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격흡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격흡수장치의 범퍼 백빔이 사이드 멤버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격흡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격흡수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격흡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격흡수장치는, 에어백 모듈(10)과, 범퍼 백빔(20) 및 크래시 박스(30)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백 모듈(10)은 에어 혹은 가스와 같은 기체가 주입되면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게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12)과, 상기 에어백 쿠션(12)에 에어 혹은 가스를 주입하는 인플레이터(inflator; 14)를 포함한다.
상기 인플레이터(14)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14)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기가 충돌을 감지해서 인가하는 트리거 신호를 통해 작동되어 기체를 발생시키고, 이와 같이 발생된 기체를 상기 에어백 쿠션(12)에 강제적으로 주입하여 에어백 쿠션(12)을 팽창시키게 된다.
상기 인플레이터(14)의 길이 방향을 따른 소정 부위에는 하나 이상의 조립 볼트(14a)가 설치되어, 상기 조립 볼트(14a)를 매개로 상기 범퍼 백빔(20)에 체결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범퍼 백빔(20)은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빔 형상으로 제작된다.
상기 범퍼 백빔(20)은 도 3에서 단면으로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부 폐단면(22)과 하부 폐단면(24) 및 이들을 연결하는 중간 플랜지(26)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폐단면(22)과 하부 폐단면(24)은 각각 대체로 사각 형상을 하고서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 폐단면(22)과 하부 폐단면(24)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범퍼 백빔(20)은 하나의 플레이트가 다단으로 굴곡 성형된 형상을 가지므로, 형상의 단순화로 롤 포밍 공법으로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범퍼 백빔(20)의 하부 폐단면(24)의 밑면으로부터 상부 폐단면(22)의 윗면까지의 높이(H)는 북미 사양을 고려하여 적절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H)는 136.8mm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바, 이러한 경우 차량이 보행자와 충돌할 경우에 오버라이드(Override)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범퍼 어퍼 레일을 장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의 단순화 및 차량의 중량과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플랜지(26)는 상기 상부 폐단면(22)의 후면(22a)과 하부 폐단면(24)의 후면(24a)을 일체로 연결한다.
상기 에어백 모듈(10)은 상기 범퍼 백빔(20)에 인플레이터 프로텍터(40)를 매개로 장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인플레이터 프로텍터(40)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다단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인플레이터 프로텍터(40)는 상기 범퍼 백빔(20)의 중간 플랜지(26)에 밀착되는 중간 플랜지(42)와, 이 중간 플랜지(42)로부터 차량의 높이 방향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범퍼 백빔(20)의 상부 폐단면(22)을 전방에서 커버하는 상부 플랜지(44) 및, 상기 중간 플랜지(42)로부터 차량의 높이 방향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범퍼 백빔(20)의 하부 폐단면(24)을 전방에서 커버하는 하부 플랜지(46)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플랜지(44)와 하부 플랜지(46)는 상기 중간 플랜지(44)를 중심으로 상하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랜지(44)는 상기 상부 폐단면(22)의 하면(22b) 전부와 밀착하면서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하면(22b)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하도록 형성된 하면(44a)과, 상기 상부 폐단면(22)의 전면(22c)을 전방에서 커버하도록 상기 전면(22c)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해서 배치된 전면(44b) 및, 상부 폐단면(22)의 상면(22d)의 일부를 덮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상면(44c)을 각각 포함한다.
상기 하부 플랜지(46)는 상기 하부 폐단면(24)의 상면(24b) 전부와 밀착하면서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상면(24b)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하도록 형성된 상면(46a)과, 상기 하부 폐단면(24)의 전면(24c)을 전방에서 커버하도록 상기 전면(24c)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해서 배치된 전면(46b) 및, 하부 폐단면(24)의 하면(24d)의 일부를 덮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하면(46c)을 각각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플랜지(44)의 상면(44c)과 상기 하부 플랜지(46)의 하면(46c)에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비드(48)가 돌출해서 형성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비드(48)는 인플레이터 프로텍터(40)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크래시 박스(30)는 상기 범퍼 백빔(20)의 폭 방향을 따른 좌우 양측 부위에 마운팅 플레이트(50)를 매개로 장착된다.
상기 크래시 박스(30)는 대체로 중공의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인플레이터 프로텍터(40)가 상기 범퍼 백빔(20)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범퍼 백빔(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인플레이터 프로텍터(40)의 상부 플랜지(44)와 하부 플랜지(46) 사이의 공간에 상기 에어백 모듈(10)이 삽입되어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에어백 모듈(10)이 인플레이터 프로텍터(4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인플레이터(14)가 도시되지 않은 제어기를 통해 트리거 신호를 인가받아 트리거 되어 에어 혹은 가스를 발생시켜 상기 에어백 쿠션(12)에 주입하게 되면, 상기 에어백 쿠션(12)은 상기 인플레이터 프로텍터(40)의 상부 플랜지(44)와 하부 플랜지(46) 사이의 공간에서 상부 플랜지(44)의 하면(44a)과 하부 플랜지(46)의 상면(46a)을 따라 차량의 전방으로 팽창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게 된다.
상기 에어백 쿠션(12)이 팽창하면서 전개될 때에 상기 상부 플랜지(44)와 하부 플랜지(46)는 에어백 쿠션(12)이 차량의 전방으로 원활하게 팽창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고, 에어백 쿠션(12)의 팽창 과정에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격흡수장치의 범퍼 백빔이 사이드 멤버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퍼 백빔(20)의 폭 방향을 따른 양측 부위가 상기 크래시 박스(30)를 매개로 차체의 사이드 멤버(60)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멤버(60)는 전방 차체를 구성하는 부재로서,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양측 부위에 배치됨과 더불어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범퍼 백빔(20)을 사이드 멤버(60)에 장착한 상태에서 차량 구매자의 옵션 사양에 따라 상기 에어백 모듈(10)과 그 인플레이터 프로텍터(40)를 선택적으로 상기 범퍼 백빔(20)에 설치하면 되므로, 모든 차종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에어백 모듈 12: 에어백 쿠션
14: 인플레이터 20: 범퍼 백빔
30: 크래시 박스 40: 인플레이터 프로텍터
50: 마운팅 브래킷 60: 사이드 멤버

Claims (15)

  1.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배치된 범퍼 백빔;
    상기 범퍼 백빔의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범퍼 백빔의 전면에 장착된 인플레이터 프로텍터;
    상기 인플레이터 프로텍터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팽창되어 전개되는 에어백 모듈;
    을 포함하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 백빔의 차량의 폭방향을 따른 양측 부위는 크래시 박스를 통해 사이드 멤버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모듈은
    기체가 주입되면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게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 및
    상기 에어백 쿠션에 상기 기체를 주입하는 인플레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하나 이상의 조립 볼트를 매개로 상기 범퍼 백빔에 체결되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 백빔은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부 폐단면과, 하부 폐단면 및, 상기 상부 폐단면과 하부 폐단면을 일체로 연결하는 중간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폐단면과 하부 폐단면은 각각 사각 형상을 하고서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기 중간 플랜지를 중심으로 상하로 대칭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폐단면과 하부 폐단면은 상기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 백빔은 하나의 플레이트가 다단으로 굴곡 성형된 형상을 가지도록 롤 포밍 공법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 백빔은 상기 하부 폐단면의 밑면으로부터 상부 폐단면의 윗면까지의 높이가 136.8mm 이상이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 프로텍터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다단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 프로텍터는,
    상기 범퍼 백빔의 중간 플랜지에 밀착되는 중간 플랜지;
    상기 중간 플랜지로부터 차량의 높이 방향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범퍼 백빔의 상부 폐단면을 전방에서 커버하는 상부 플랜지; 및
    상기 중간 플랜지로부터 차량의 높이 방향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범퍼 백빔의 하부 폐단면을 전방에서 커버하는 하부 플랜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는 상기 중간 플랜지를 중심으로 상하로 대칭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는,
    상기 상부 폐단면의 하면 전부와 밀착하면서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하면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하도록 형성된 하면;
    상기 상부 폐단면의 전면을 전방에서 커버하도록 상기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해서 배치된 전면; 및
    상기 상부 폐단면의 상면의 일부를 덮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상면;
    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랜지는,
    상기 하부 폐단면의 상면 전부와 밀착하면서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상면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하도록 형성된 상면;
    상기 하부 폐단면의 전면을 전방에서 커버하도록 상기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해서 배치된 전면; 및
    상기 하부 폐단면의 하면의 일부를 덮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하면;
    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의 상면과 상기 하부 플랜지의 하면에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비드가 돌출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 프로텍터의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사이의 공간에 상기 에어백 모듈이 삽입되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KR1020120143081A 2012-12-10 2012-12-10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KR101448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081A KR101448745B1 (ko) 2012-12-10 2012-12-10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DE102013223733.2A DE102013223733B4 (de) 2012-12-10 2013-11-20 Stossabsorbierende 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S14/092,468 US9120444B2 (en) 2012-12-10 2013-11-27 Impact absorbing device for vehicle
CN201310629506.4A CN103863229B (zh) 2012-12-10 2013-11-29 用于车辆的冲击吸收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081A KR101448745B1 (ko) 2012-12-10 2012-12-10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765A true KR20140074765A (ko) 2014-06-18
KR101448745B1 KR101448745B1 (ko) 2014-10-08

Family

ID=50778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081A KR101448745B1 (ko) 2012-12-10 2012-12-10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20444B2 (ko)
KR (1) KR101448745B1 (ko)
CN (1) CN103863229B (ko)
DE (1) DE102013223733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2264A (ko) * 2020-05-18 2021-11-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백빔 어셈블리 조립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7661A1 (en) * 2014-07-09 2016-01-14 Magna International Inc. Cast bumpe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104175987A (zh) * 2014-09-16 2014-12-03 丹阳市国美汽配有限公司 一种新型汽车安全保险杠
CN104859573A (zh) * 2015-05-20 2015-08-26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汽车追尾保护的方法和装置
JP2017047719A (ja) * 2015-08-31 2017-03-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エネルギ吸収構造
SE541147C2 (en) * 2015-12-08 2019-04-16 Gestamp Hardtech Ab Bumper beam
US10434970B2 (en) * 2016-12-08 2019-10-0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side section structure
KR102663542B1 (ko) * 2019-05-07 2024-05-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프런트엔드모듈 프레임
DE102019119644A1 (de) * 2019-07-19 2021-01-2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toßfänger eines Fahrzeuges
KR20210029433A (ko) 2019-09-06 2021-03-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형 백빔 및 충돌 시 가변형 백빔이 인플레이터에 의해 가변되는 방법
US20210254522A1 (en) * 2020-02-18 2021-08-19 Divergent Technologies, Inc. Impact energy absorber with integrated engine exhaust noise muffler
CN115626133B (zh) * 2022-11-01 2023-05-23 宁波吉威盛机械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用前梁缓冲连接件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6137A (en) * 1991-06-28 1992-04-21 Davidson Textron Inc. Vehicle bumper with combination foam and air bag energy absorber
US5646613A (en) * 1996-05-20 1997-07-08 Cho; Myungeun System for minimizing automobile collision damage
US5725265A (en) * 1997-01-16 1998-03-10 Baber; Jeff Air bag system for vehicle bumpers
JP3963055B2 (ja) 1999-01-29 2007-08-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歩行者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US8123263B2 (en) * 2001-09-27 2012-02-28 Shape Corp. Energy management beam
JP2003237507A (ja) * 2002-02-19 2003-08-27 Om Kogyo Kk バンパ補強材
KR20040094192A (ko) * 2003-05-02 2004-11-09 김경환 보행자 친화형 이중 범퍼
US7258191B1 (en) * 2005-03-21 2007-08-21 David R Rammer Air bag system incorporated into motor vehicle bumper
US20080093867A1 (en) * 2006-10-24 2008-04-24 Shape Corporation B-shaped beam with integrally-formed rib in face
JP2009023407A (ja) * 2007-07-17 2009-02-05 Denso Corp 衝突検出装置
US20090218157A1 (en) * 2008-02-28 2009-09-03 David Rammer Radar Deployed Fender Air Bag
DE102008051565B4 (de) 2008-10-15 2019-10-02 Volkswagen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ein Kraftfahrzeug
KR101020551B1 (ko) * 2008-11-10 2011-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외장에어백 쿠션 및 그 장치
JP5329188B2 (ja) * 2008-11-21 2013-10-30 株式会社アステア バンパ補強材
KR101033790B1 (ko) * 2008-12-04 2011-05-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외장 에어백 시스템
JP2010163015A (ja) 2009-01-15 2010-07-29 Kanto Auto Works Ltd 歩行者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KR101575057B1 (ko) * 2009-05-27 2015-12-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범퍼 에어백
KR101063394B1 (ko) * 2009-07-27 2011-09-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다중 쿠션을 갖는 에어백장치
JP5564237B2 (ja) * 2009-11-27 2014-07-30 株式会社アステア バンパ補強材
KR101757693B1 (ko) * 2011-04-20 2017-07-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범퍼 에어백 장치
KR101198842B1 (ko) * 2011-05-23 2012-11-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외장에어백 모듈 및 외장에어백 모듈 장착용 백빔
KR101327050B1 (ko) * 2011-12-06 2013-11-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외장 에어백 구조
KR101382294B1 (ko) * 2012-10-10 2014-04-10 현대자동차(주) 차량의 외장에어백 쿠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2264A (ko) * 2020-05-18 2021-11-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백빔 어셈블리 조립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3223733A1 (de) 2014-06-12
US20140158449A1 (en) 2014-06-12
DE102013223733B4 (de) 2024-06-06
KR101448745B1 (ko) 2014-10-08
CN103863229B (zh) 2018-04-27
US9120444B2 (en) 2015-09-01
CN103863229A (zh)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745B1 (ko)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KR101428243B1 (ko) 외장 에어백장치
KR101416387B1 (ko) 차량용 전방 충돌 충격흡수장치
JP2002274298A (ja) 車両用バンパ構造
KR101063397B1 (ko) 차량용 에너지 업서버
KR101020558B1 (ko) 차량의 범퍼커버 결합형 스티프너
KR100588849B1 (ko) 하이브리드 타입 프론트 범퍼 빔의 구조
JP4162958B2 (ja) 衝撃緩衝部材
KR101235140B1 (ko) 자동차 범퍼용 임팩트 빔
KR20130126355A (ko) 차량용 범퍼 조립체
KR20120029947A (ko) 차량용 완충장치
KR20110023347A (ko) 자동차용 범퍼 페시아
JP2017019439A (ja) バンパアブソーバ
CN102923050A (zh) 汽车后雾灯防护吸能结构
KR101071736B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0535552B1 (ko) 자동차의 충격흡수 구조
JP5820663B2 (ja) 車両用バンパ構造
KR20120023464A (ko) 스티프너장치
KR20080104704A (ko) 범퍼스티프너
KR101588801B1 (ko) 전방 충돌대응 차체보강구조
KR100717448B1 (ko) 충격흡수 기능이 있는 범퍼 스테이
KR100482965B1 (ko) 차량용 범퍼
KR101294527B1 (ko) 보행자를 위한 충격흡수구조
CN106143386B (zh) 车内顶棚吸能结构、车辆顶棚以及车辆
JP6051085B2 (ja) 衝撃吸収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