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3464A - 스티프너장치 - Google Patents

스티프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3464A
KR20120023464A KR1020100086701A KR20100086701A KR20120023464A KR 20120023464 A KR20120023464 A KR 20120023464A KR 1020100086701 A KR1020100086701 A KR 1020100086701A KR 20100086701 A KR20100086701 A KR 20100086701A KR 20120023464 A KR20120023464 A KR 20120023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shock absorbing
support
stiffener device
stiff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성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6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3464A/ko
Publication of KR20120023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4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formed from more than one section in a side-by-side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스티프너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스티프너장치는: 백빔에서 연장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내측에 완충공간을 형성하는 완충부 및 완충부에 고정되는 완충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티프너장치{STIFFENER APPARATUS}
본 발명은 스티프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 흡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스티프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전방 차체인 프론트엔드(Front End)에는 헤드램프와 후드래치, 범퍼, 라디에이터 및 전동팬 등이 설치되므로, 강성적 측면과 더불어 각종 부품 등을 설치하기 위한 기능성 측면을 모두 만족해야 한다.
이러한 프론트엔드는 각 부품들을 프론트엔드에 구비된 캐리어(Carrier)에 설치하여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화시킨 프론트엔드 모듈(Front End Module)로 제조되므로, 설치되는 부품들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공정수를 단축시킨다.
캐리어에는 범퍼가 장착되기 위한 백빔이 결합되고, 보행자의 무릎 아래 부위가 자동차 밑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인 스티프너가 캐리어의 로우멤버에 장착된다.
이러한 스티프너는 유럽 법규에 의하여 보행자 보호에 관한 충돌 시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스티프너는 충격 흡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강체로 형성되므로, 보행자와 충돌사고 시, 보행자의 상해가 증가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충돌 사고시 충격흡수가 가능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티프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프너장치는: 백빔에서 연장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내측에 완충공간을 형성하는 완충부 및 완충부에 고정되는 완충바를 포함한다.
또한 완충부는, 일측이 개구된 각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완충부는, 지지부에 일측이 지지되며 타측은 완충바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면부재 및 측면부재의 상측을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완충부는, 측면부재에서 절곡되어 완충바의 후방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커버부재에서 연장되어 완충바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완충부에 충격흡수구멍을 형성하여 충격 흡수량을 조절하는 완충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격흡수구멍은 완충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프너장치는, 완충공간을 구비하는 완충부에서 충격 흡수가 이루어지므로, 보행자의 상해가 감소되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격흡수구멍을 구비하는 완충조절부의 형상 변경만으로 충격 흡수량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설계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프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프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프너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티프너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캐리어에 설치되는 스티프너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프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프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프너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프너장치(1)는, 백빔(10)에서 연장되는 지지부(20)와, 지지부(20)의 전방(이하 도 1기준 좌측)으로 돌출되며 내측에 완충공간(32)을 형성하는 완충부(30) 및 완충부(30)에 고정되는 완충바(60)를 포함한다.
스티프너장치(1)는, 프론트엔드모듈의 전방에 설치되는 백빔(10)에 설치된다. 백빔(10)은 범퍼(도시생략)의 후측(이하 도 1기준 좌측)에 설치되며, 범퍼를 통하여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킨다.
백빔(10)은 범퍼와 마주하며 설치되는 빔부재(12)를 포함하며, 백빔(10)의 전체적인 형상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빔부재(12)의 하측으로 지지부(20)가 연장 형성된다. 지지부(20)는 완충부(30)를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는, 중량 감소를 위하여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0)는 빔부재(12)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지지부(20)의 전방으로 완충부(30)가 돌출 형성된다.
완충부(30)는 완충바(60)와 지지부(20) 사이에 설치되며, 완충바(60)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킨다.
완충부(30)는 일측이 개구된 각관 형상으로 형성되되며,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30)는 하측이 개구된 "ㄷ"자 단면 형상의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30)는, 지지부(20)에 일측이 지지되며 타측은 완충바(6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면부재(34) 및 측면부재(34)의 상측을 커버하는 커버부재(40)를 포함한다.
측면부재(34)는 서로 마주한 상태로 이격 설치되며, 측면부재(34)의 상측은 커버부재(40)로 연결된다.
커버부재(40)는 지지부(2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편(44)을 구비하며, 측면부재(34)는 지지부(20)와 마주하며 절곡 형성되는 절곡편(38)을 구비한다. 절곡편(38)은 지지부(20)와 마주한 상태에서 볼트나 리벳 또는 용접 등을 이용하여 고정이 이루어진다.
측면부재(34)와 커버부재(40)로 둘러싸인 완충부(30)의 내측에는 충격이 흡수되기 위한 완충공간(32)이 형성된다.
이러한 완충부(30)는, 측면부재(34)에서 절곡되어 완충바(60)의 후방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36) 및 커버부재(40)에서 연장되어 완충바(60)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42)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36)는 완충바(60)의 후방을 감싸는 곡면을 구비하며, 완충부(30)의 좌우 양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제2지부는 완충바(60)의 상부를 감싸는 곡면을 구비하며, 완충부(30)의 상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막대 형상의 완충바(60)는 제1지지부(36)와 제2지지부(42)에 용접이나 기타 다른 고정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프너장치(1)는, 완충부(30)에 충격흡수구멍(52)을 형성하여 충격 흡수량을 조절하는 완충조절부(50)를 포함한다.
충격흡수구멍(52)은 측면부재(34)와 커버부재(40)에 형성되며, 충격흡수구멍(52)의 형상은 원형구멍 또는 슬롯 형상의 구멍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완충부(30)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구비되는 충격흡수구멍(52)의 크기와 형상 및 위치에 따라 완충부(30)의 충격 흡수량이 변화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프너장치(1)의 설치 및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빔백의 하부로 지지부(20)를 설치한 후, 지지부(20)의 하측 전방에 완충부(30)를 설치한다.
완충부(30)의 전방에 완충바(60)를 설치하여 스티프너장치(1)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티프너장치(1)를 설치한 자동차가 보행자와 충돌하는 경우, 범퍼 하측에 설치된 완충바(60)로 충격이 전달된다.
완충바(60)는 후측으로 이동되면서, 완충공간(32)을 구비하는 완충부(30)가 접혀지면서 완충바(60)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완충부(30)의 충격 흡수로 보행자의 상해를 최소로 할 수 있으며, 백빔(10)의 손상을 최소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프너장치(1)는, 완충공간(32)을 구비하는 완충부(30)에서 충격 흡수가 이루어지므로, 보행자의 상해가 감소되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구멍(52)을 구비하는 완충조절부(50)의 형상 변경만으로 충격 흡수량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설계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캐리어에 설치되는 스티프너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차체를 포함한 다른 장소에도 본 발명에 의한 스티프너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스티프너장치 10: 백빔
12: 빔부재 20: 지지부
30: 완충부 32: 완충공간
34: 측면부재 36: 제1지지부
38: 절곡편 40: 커버부재
42: 제2지지부 44: 삽입편
50: 완충조절부 52: 충격흡수구멍
60: 완충바

Claims (6)

  1. 백빔에서 연장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내측에 완충공간을 형성하는 완충부; 및
    상기 완충부에 고정되는 완충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프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일측이 개구된 각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프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지지부에 일측이 지지되며, 타측은 상기 완충바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면부재; 및
    상기 측면부재의 상측을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프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측면부재에서 절곡되어 상기 완충바의 후방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커버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완충바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프너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에 충격흡수구멍을 형성하여 충격 흡수량을 조절하는 완충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프너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구멍은 상기 완충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프너장치.
KR1020100086701A 2010-09-03 2010-09-03 스티프너장치 KR201200234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701A KR20120023464A (ko) 2010-09-03 2010-09-03 스티프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701A KR20120023464A (ko) 2010-09-03 2010-09-03 스티프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464A true KR20120023464A (ko) 2012-03-13

Family

ID=46130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701A KR20120023464A (ko) 2010-09-03 2010-09-03 스티프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34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9831A (ko) * 2011-04-22 2012-10-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보행자 보호장치
KR20180095236A (ko) * 2017-02-17 2018-08-2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스티프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9831A (ko) * 2011-04-22 2012-10-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보행자 보호장치
KR20180095236A (ko) * 2017-02-17 2018-08-2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스티프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1837B2 (ja) 車両の前部構造
US9120444B2 (en) Impact absorbing device for vehicle
JP2002274298A (ja) 車両用バンパ構造
KR101416387B1 (ko) 차량용 전방 충돌 충격흡수장치
JP6304505B2 (ja) 車両の側部車体構造
JP2007069651A (ja) 車体前部構造
CN104044550A (zh) 用于机动车辆前端的对行人有益的结构
KR20090119645A (ko) 자동차의 범퍼 백빔 구조
JP2012011827A (ja) 車両用シート
JP6056738B2 (ja) 車両の前部構造
KR20120023464A (ko) 스티프너장치
CN109664948B (zh) 车辆前部构造
KR101666985B1 (ko) 하이브리드 범퍼빔
US6962380B2 (en) Rear bumper assembly structure for vehicle
KR101855750B1 (ko) 차체 보강 유닛
CN103253294B (zh) 转向管柱总成连接结构
KR20100010167A (ko) 차량의 스티프너 마운팅 구조
JP2008149772A (ja) 車両前部の車体構造
KR101345168B1 (ko) 차량용 범퍼 빔 유닛
JP5118012B2 (ja) 大型車両
KR101547278B1 (ko) 차량용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보강구조
KR100489002B1 (ko)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의 범퍼빔 마운팅부 충격흡수구조
KR20170071174A (ko) 자동차의 리어 범퍼 조립구조
KR20190068129A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CN210027340U (zh) 一种行人前端保护总成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