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750B1 - 차체 보강 유닛 - Google Patents

차체 보강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750B1
KR101855750B1 KR1020120090925A KR20120090925A KR101855750B1 KR 101855750 B1 KR101855750 B1 KR 101855750B1 KR 1020120090925 A KR1020120090925 A KR 1020120090925A KR 20120090925 A KR20120090925 A KR 20120090925A KR 101855750 B1 KR101855750 B1 KR 101855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module
fender apron
vehicle
mounting bracket
upp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0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4661A (ko
Inventor
이선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0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750B1/ko
Publication of KR20140024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4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체 보강 유닛이 개시된다.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프론트 엔드 모듈과 펜더 에이프런을 연결하는 연결 멤버와,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과 상기 펜더 에이프런 사이의 연결 부위와 상기 연결 멤버에 연결된 서포트 멤버를 포함하여, 프론트 엔드 모듈에 가해진 충돌 에너지가 차체의 다른 부위로 적절히 분산된다.

Description

차체 보강 유닛{Reinforcing unit for vehicle body}
본 발명은 차량의 차체를 보강하는 차체 보강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론트 엔드 모듈과 펜더 에이프런 멤버 사이의 연결 강성을 증대시키는 차체 보강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프론트 엔드 모듈은 차량의 전방부에 장착되는 범퍼 빔이나 헤드 램프, 후드 래치, 쿨링 모듈 등의 부품들을 캐리어에 일체로 통합 구성하여 차량의 인-라인에서 1공정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모듈 부품을 말한다.
그리고 펜더 에이프런은 차륜과 엔진 룸의 칸막이 역할을 하면서 현가장치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지지하는 부재로서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장착되어 지지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과 상기 펜더 에이프런은 상부에서 일체로 연결되어 차체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즉 프론트 엔드 모듈의 어퍼 멤버의 선단부에 어퍼 사이드 멤버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어퍼 사이드 멤버는 차량의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펜더 에이프런의 어퍼 멤버와 마운팅 브래킷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즉 단순히 오픈 단면 구조를 가진 마운팅 브래킷을 매개로 프론트 엔드 모듈의 어퍼 사이드 멤버와 펜더 에이프런의 어퍼 멤버가 연결되는 구조를 취함에 따라 그 연결 강성이 미흡하였다.
이로 인해 차량의 전방 오프셋 충돌 시에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이 받은 충돌 에너지가 상기 펜더 에이프런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충분히 분산되지 못함으로써, 프론트 엔드 모듈의 어퍼 멤버와 어퍼 사이드 멤버가 과도하게 변형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의 전방 오프셋 충돌 시에 프런트 엔드 모듈이 전달받은 충돌 에너지가 펜더 에이프런에 충분히 전달되어 차체의 다른 부위로 효과적으로 분산되게 함으로써, 차량과 탑승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체 보강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프론트 엔드 모듈과 펜더 에이프런을 연결하는 연결 멤버 및;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과 상기 펜더 에이프런 사이의 연결 부위와 상기 연결 멤버에 각각 연결된 서포트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은 차량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어퍼 멤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펜더 에이프런은 쇽 업소버를 장착하여 지지하는 쇽 업소버 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멤버는 상기 어퍼 멤버와 상기 쇽 업소버 서포터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은 상기 어퍼 멤버에 연결되고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어퍼 사이드 멤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펜더 에이프런은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어퍼 멤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사이드 멤버가 상기 펜더 에이프런의 어퍼 멤버에 제1마운팅 브래킷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서포트 멤버는 상기 어퍼 사이드 멤버와 상기 제1마운팅 브래킷에 덧대어져서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제1마운팅 브래킷과 형상 결합하여 폐단면을 형성하는 제2마운팅 브래킷이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멤버는 타원형의 단면을 가진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서포트 멤버는 사각 단면을 가진 바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프론트 엔드 모듈의 어퍼 사이드 멤버와 펜더 에이프런을 대체로 H자 형상으로 연결하여 프론트 엔드 모듈의 어퍼 사이드 멤버와 펜더 에이프런의 연결 강성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차량의 전방 오프셋 충돌 시에 프론트 엔드 모듈의 어퍼 멤버와 어퍼 사이드 멤버에 충돌 에너지가 집중되어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엔드 모듈에 가해진 충돌 에너지는 펜더 에이프런과의 연결 강성이 충분히 증대되었기 때문에 펜더 에이프런으로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차체의 다른 부위로 적절히 분산된다.
그러므로 차체의 특정 부위에 충돌 에너지의 집중으로 인한 과도한 변형을 방지함과 더불어 충돌 에너지의 적절한 분산 및 흡수로 차량의 탑재 부품들과 탑승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강 유닛으로 프론트 엔드 모듈과 펜더 에이프런이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보강 유닛(10)은 프론트 엔드 모듈(20)과 펜더 에이프런(30)을 강건하게 연결하여 프론트 엔드 모듈(20)과 펜더 에이프런(30) 사이의 연결 강성을 증대시킨다.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20)은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어퍼 멤버(21)와, 이 어퍼 멤버(21)에 연결되고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펜더 에이프런(30)과 결합된 어퍼 사이드 멤버(22)를 포함한다.
상기 펜더 에이프런(30)은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어퍼 멤버(31)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멤버(31)가 상기 어퍼 사이드 멤버(22)와 연결된다.
상기 차체 보강 유닛(10)은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20)의 어퍼 멤버(21)와 상기 펜더 에이프런(30)을 연결하는 연결 멤버(11)와, 이 연결 멤버(11)에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의 어퍼 사이드 멤버(22)와 펜더 에이프런(30)의 어퍼 멤버(31) 사이의 연결 부위까지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 부위에서 일체로 결합해서 연결되는 서포트 멤버(12)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멤버(11)는 봉 형상을 가지는 반면에 상기 서포트 멤버(12)는 사각 바아 형상을 가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펜더 에이프런(30)의 어퍼 멤버(31)는 제1마운팅 브래킷(41)을 매개로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20)의 어퍼 사이드 멤버(22)와 연결된다.
상기 제1마운팅 브래킷(41)은 상기 펜더 에이프런(30)의 어퍼 멤버(31)의 상면과 측면 일부를 감싸서 안착되는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됨과 더불어 다시 상방향으로 돌출되었다가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20)의 어퍼 사이드 멤버(22)와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엔진 룸 쪽으로 트여진 형태의 개구부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1마운팅 브래킷(41)의 개구부를 막아서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마운팅 브래킷(41)에 제2마운팅 브래킷(42)이 형상 결합하는 형태로 장착된다.
즉 상기 제1마운팅 브래킷(41)이 상기 펜더 에이프런의 어퍼 멤버(31)의 측면 일부를 감싸는 부위에 상기 제2마운팅 브래킷(42)이 덧대어져서 부착되고, 상기 제2마운팅 브래킷(42)은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제1마운팅 브래킷(41)의 선단부에 덧대어져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1마운팅 브래킷(41)과 제2마운팅 브래킷(42)에 의해 폐단면이 형성된다.
상기 사각 바아 형상을 가지는 서포트 멤버(12)는 제2마운팅 브래킷(42)의 측면에 밀착해서 부착됨과 더불어 상기 제1마운팅 브래킷(41)과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20)의 어퍼 사이드 멤버(22)와 연결되는 부위에 덧대어져서 함께 부착된다.
즉 상기 제1마운팅 브래킷(41)과 프론트 엔드 모듈의 어퍼 사이드 멤버(22) 및 상기 서포트 멤버(12)가 겹쳐져서 함께 용접 혹은 볼팅과 같은 적절한 방법으로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서포트 멤버(12)에는 대체로 타원형의 단면을 가진 봉 형상의 상기 연결 멤버(11)의 일부가 삽입되어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부착되어 연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펜더 에이프런(30)의 어퍼 멤버(31)의 측면에는 쇽 업소버를 장착하여 지지할 수 있는 쇽 업소버 서포터(32)가 하우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 멤버(11)는 상기 쇽 업소버 서포터(32)에 안착되어 용접 혹은 볼팅과 같은 적절한 방법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20)과 펜더 에이프런(30)이 연결되는 부위에 서포트 멤버(12)가 연결되고, 상기 서포트 멤버(12)는 연결 멤버(11)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 멤버(11)는 다시 프론트 엔드 모듈과 펜더 에이프런을 연결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20)과 펜더 에이프런(30)의 연결 부위가 서포트 멤버(12)와 연결 멤버(11)에 의해 연결 강성이 증대된다.
이에 따라 차량의 전방 오프셋 충돌 시에 프론트 엔드 모듈에 가해진 충돌 에너지가 상기 연결 부위를 통해 펜더 에이프런으로 전달됨과 더불어 상기 연결 멤버(11)와 서포트 멤버(12)를 통해서도 펜더 에이프런과 차체의 다른 부위로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분산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차체 보강 유닛 11: 연결 멤버
12: 서포트 멤버 20: 프론트 엔드 모듈
21: 프론트 엔드 모듈 어퍼 멤버 22: 어퍼 사이드 멤버
30: 펜더 에이프런 31: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
32: 쇽 업소버 서포터 41: 제1마운팅 브래킷
42: 제2마운팅 브래킷

Claims (5)

  1.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프론트 엔드 모듈과 펜더 에이프런을 연결하는 연결 멤버; 및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과 상기 펜더 에이프런 사이의 연결 부위와 상기 연결멤버에 각각 연결된 서포트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은 차량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어퍼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펜더 에이프런은 쇽 업소버를 장착하여 지지하는 쇽 업소버 서포터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멤버는 상기 어퍼 멤버와 상기 쇽 업소버 서포터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은 상기 어퍼 멤버에 연결되고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어퍼 사이드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펜더 에이프런은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어퍼 멤버를 포함하며,
    상기 어퍼 사이드 멤버가 상기 펜더 에이프런의 어퍼 멤버에 제1마운팅 브래킷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서포트 멤버는 상기 어퍼 사이드 멤버와 상기 제1마운팅 브래킷에 덧대어져서 일체로 연결된 특징으로 하는 차체 보강 유닛.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운팅 브래킷과 형상 결합하여 폐단면을 형성하는 제2마운팅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보강 유닛.
  5. 제1항 또는 제4항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멤버는 타원형의 단면을 가진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 멤버는 사각 단면을 가진 바아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보강 유닛.
KR1020120090925A 2012-08-20 2012-08-20 차체 보강 유닛 KR101855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925A KR101855750B1 (ko) 2012-08-20 2012-08-20 차체 보강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925A KR101855750B1 (ko) 2012-08-20 2012-08-20 차체 보강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661A KR20140024661A (ko) 2014-03-03
KR101855750B1 true KR101855750B1 (ko) 2018-05-09

Family

ID=50640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925A KR101855750B1 (ko) 2012-08-20 2012-08-20 차체 보강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7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6132B2 (en) * 2016-11-29 2019-04-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Torque reaction frame for mitigation of rear impact effects
KR102335348B1 (ko) * 2017-07-24 2021-12-0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엔진룸 보강유닛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7636A (ja) * 1998-12-21 2000-06-27 Toyota Motor Corp 車体前部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7636A (ja) * 1998-12-21 2000-06-27 Toyota Motor Corp 車体前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661A (ko) 2014-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253B1 (ko) 자동차용 쇽업소버 하우징 지지장치
KR101448788B1 (ko)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
KR101755461B1 (ko) 전방 차체 구조
US9139229B2 (en) Structure for rear part of vehicle body
US8991907B1 (en) Front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KR101575320B1 (ko) 차체 보강구조
KR102429004B1 (ko) 스몰 오버랩 충돌에 대응하는 차체 보강구조
KR101416387B1 (ko) 차량용 전방 충돌 충격흡수장치
KR101500366B1 (ko) 차량의 전방 충돌에너지 흡수 구조
KR102557313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JP2010000866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JP2010000866A5 (ko)
JP2006528580A (ja) 自動車のシェル構造用のクラッシュ構造
KR101855750B1 (ko) 차체 보강 유닛
KR102371242B1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KR101526398B1 (ko) 차량용 카울 크로스 멤버 마운팅 조립체
KR101689571B1 (ko) 차량용 범퍼 빔의 보강유닛
KR101786657B1 (ko) 전방 차체 연결구조
KR102250297B1 (ko) 차량 전방구조
KR20130136302A (ko) 차량용 범퍼 어셈블리
KR101453830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JP2012224275A (ja) フロント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
KR20120126906A (ko) 차체의 전방 연결구조
KR20190068129A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KR101547278B1 (ko) 차량용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