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788B1 -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 - Google Patents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788B1
KR101448788B1 KR1020130120740A KR20130120740A KR101448788B1 KR 101448788 B1 KR101448788 B1 KR 101448788B1 KR 1020130120740 A KR1020130120740 A KR 1020130120740A KR 20130120740 A KR20130120740 A KR 20130120740A KR 101448788 B1 KR101448788 B1 KR 101448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members
pair
engine room
cross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0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
이준호
남종우
정한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0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788B1/ko
Priority to US14/108,089 priority patent/US9126633B2/en
Priority to DE102013114910.3A priority patent/DE102013114910B4/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정면 충돌 시에 충격에 대한 차체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은, 엔진룸의 상방, 하방, 측방, 및 후방을 감싸도록 상면, 하면, 측면, 및 후면을 포함하는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구조 및 차체의 강성을 증대시키도록 구비되는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으로서, 상기 차체를 측방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상기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구조의 후면에 결합되는 크로스멤버; 상기 크로스멤버의 일단 및 타단로부터 각각 상기 차체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구조의 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멤버; 및 상기 크로스멤버로부터 연장된 상기 한 쌍의 연결멤버로부터 각각 상기 차체의 전방을 향하여 더 연장되고, 상기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구조의 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멤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REINFORCEMENT UNIT FOR ENGINE??ROOM ENCAPSULATION}
본 발명은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정면 충돌 시에 충격에 대한 차체 및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구조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룸은 엔진이 장착되어 있는 공간을 말한다. 이러한 엔진룸의 온도가 보존되지 못하면, 엔진의 초기 시동 시에 연료의 소모가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엔진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엔진룸의 온도를 보존하고, 엔진의 초기 시동 시에 연료의 소모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엔진룸 보온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엔진룸 보온 장치가 엔진룸에 추가적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엔진룸 보온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에 의해 차체의 중량이 증가되고, 생산비용이 상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룸 보온 장치가 차체와 견고하게 연결되지 않으면, 상기 엔진룸 보온 장치 자체의 강성이 취약해질 뿐만 아니라 차체의 강성이 저하되고, 차량의 안정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구조가 차체와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차량의 정면 충돌 시에 차체와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구조의 강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나아가, 차량의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성능이 개선되도록 하는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은, 차체의 강성이 확보되도록 구비되는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으로서, 상기 차체를 측방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상기 차체의 카울에 결합되는 크로스멤버; 각각의 일단이 상기 크로스멤버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이 상기 차체의 양측에 배치된 2개의 쇽업쇼버 하우징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멤버; 및 각각의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연결멤버의 각 타단에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이 상기 차체의 프런트 엔드 모듈에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멤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은, 상기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구조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은, 상기 각각의 지지멤버로부터 상기 차체의 측방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차체의 양측에 배치된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와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한 쌍의 수평 연장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은, 상기 각각의 지지멤버로부터 상기 차체의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차체의 양측에 배치된 프런트 사이드 멤버와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한 쌍의 수직 연장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로스멤버, 상기 연결멤버, 상기 지지멤버, 및 상기 차체의 프런트 엔드 모듈로 둘러싸인 닫힌 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크로스멤버, 상기 연결멤버, 및 상기 지지멤버는 볼팅에 의해 상기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구조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멤버 중 어느 하나, 상기 한 쌍의 수평 연장멤버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프런트 엔드 모듈 모듈로 둘러싸인 닫힌 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은, 상기 각각의 지지멤버로부터 상기 차체의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차체의 양측에 배치된 프런트 사이드 멤버와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한 쌍의 수직 연장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평 연장멤버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수직 연장멤버 중 어느 하나는 한 점에서 만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은, 엔진룸의 상방, 하방, 측방, 및 후방을 감싸도록 상면, 하면, 측면, 및 후면을 포함하는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구조 및 차체의 강성을 증대시키도록 구비되는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으로서, 상기 차체를 측방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상기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구조의 후면에 결합되는 크로스멤버; 상기 크로스멤버의 일단 및 타단로부터 각각 상기 차체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구조의 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멤버; 및 상기 크로스멤버로부터 연장된 상기 한 쌍의 연결멤버로부터 각각 상기 차체의 전방을 향하여 더 연장되고, 상기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구조의 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멤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은, 상기 차체의 전방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지지멤버, 상기 연결멤버, 및 상기 크로스멤버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차체의 후방을 향하여 전달되도록 상기 지지멤버, 상기 연결멤버, 및 상기 크로스멤버는 각각 상기 차체의 어느 하나의 멤버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은, 상기 한 쌍의 지지멤버로부터 각각 상기 차체의 측방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차체의 양측에서 상기 차체의 어느 하나의 멤버에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한 쌍의 수평 연장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은, 상기 한 쌍의 지지멤버로부터 각각 상기 차체의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차체의 양측에서 상기 차체의 어느 하나의 멤버에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한 쌍의 수직 연장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로스멤버, 상기 연결멤버, 상기 지지멤버, 및 상기 차체의 어느 하나의 멤버로 둘러싸인 닫힌 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멤버 중 어느 하나, 상기 한 쌍의 수평 연장멤버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차체의 어느 하나의 멤버로 둘러싸인 닫힌 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은, 상기 한 쌍의 지지멤버로부터 각각 상기 차체의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차체의 양측에서 상기 차체의 어느 하나의 멤버에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한 쌍의 수직 연장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차체의 양측 중 같은 측에 배치된 상기 수평 연장멤버 및 상기 수직 연장멤버는 같은 측에 배치된 상기 지지멤버의 한 점에서 만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구조가 차량의 정면 충돌에 의한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도록 차체와 연결됨으로써,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구조 및 차체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차량의 NVH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구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과 차체를 통하여 하중이 전달되도록 연결된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구조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구조(20)는 엔진룸을 감싸도록 차체(10)에 장착된다.
먼저, 상기 차체(10)는 카울(cowl, 12),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fender apron upper member, 15), 펜더 에이프런 라인포스 멤버(fender apron reinforce member, 16), 프런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 18), 프런트 사이드 멤버(front side member, 17), 및 쇽업쇼버 하우징(shock absorber housing, 14)을 포함한다.
상기 카울(12)은 자동차의 프런트 글라스(front glass)의 전방에 연결되는 패널(panel)이다. 또한, 상기 카울(12)은 대시보드(dashboard)로부터 연장되거나, 상기 대시보드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5)는 펜더 에이프런(fender apron, 19)의 상부 멤버이다(도 4 참조). 즉,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5)는 흙받기인 펜더(fender)의 안쪽에서 휠(wheel)과 엔진룸의 칸막이 역할을 하는 펜더 에이프런(19)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펜더 에이프런 라인포스 멤버(16)는 상기 펜더 에이프런(19)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상기 펜더 에이프런(19)과 차체(10)의 다른 멤버를 연결한다. 한편, 도 1에는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5)와 상기 프런트 엔드 모듈(18)을 연결하는 상기 펜더 에이프런 라인포스 멤버(16)가 도시되었다.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17)는 프런트 플로어(도시하지 않음) 및 상기 대시보드의 하부에서 차체(10)의 종방향을 그 길이방향으로 하여 구비되며, 프런트 보디(front body)의 골격을 형성하는 빔(beam)이다.
상기 쇽업쇼버 하우징(14)은 쇽업쇼버(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5)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17)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프런트 엔드 모듈(18)은 상기 차체(10) 전면의 여러 부품을 하나의 모듈(module)로 구성한 멤버이다. 즉, 상기 프런트 엔드 모듈(18)은 상기 프런트 보디의 최전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프런트 보디를 구성하는 상기 차체(10)의 멤버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구조(20)는 측부 차폐유닛(23), 상부 차폐유닛(21), 및 하부 차폐유닛(25)를 포함한다.
상기 측부 차폐유닛(23)은 엔진룸의 측방 및 후방을 차폐시키고, 상기 차체(1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측부 차폐유닛(23)의 전방, 상방 및 하방은 개구된다. 여기서, 상, 하, 전, 후로 나타내는 방향은 차체의 상, 하, 전, 후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상기 상부 차폐유닛(21)은 상기 측부 차폐유닛(23)의 개구된 상방에서 상기 측부 차폐유닛(23)을 덮어씌우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상부 차폐유닛(21)은 엔진룸의 상방을 차폐시킨다.
또한, 상부 차폐유닛(21)의 일단은 프런트 엔드 모듈(18)에 장착되고, 상기 측부 차폐유닛(23)의 일단은 프런트 사이드 멤버(17)에 장착된다.
상기 하부 차폐유닛(25)은 엔진룸의 하방을 차폐시키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부 차폐유닛(25)은 언더 가드(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된다. 여기서, 언더 가드(under guard)는 엔진 하부 및 바닥의 주행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판이다. 상기 언더 가드는 전방의 일단이 상기 프런트 엔드 모듈(18)과 연결되고 차량의 앞 바퀴(도시하지 않음)를 지나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나아가, 상기 하부 차폐유닛(25)은 상기 언더 가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널찍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차폐유닛(25)은 엔진의 하부뿐만 아니라 차량 하부의 다양한 장치들을 커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30)은 크로스멤버(32), 연결멤버(34), 지지멤버(35), 수평 연장멤버(36), 및 수직 연장멤버(38)를 포함한다.
상기 크로스멤버(32), 연결멤버(34), 지지멤버(35), 수평 연장멤버(36), 및 수직 연장멤버(38)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크로스멤버(32)는 상기 차체(10)를 측방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크로스멤버(32)는 상기 카울(12)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나아가, 상기 크로스멤버(32)는 상기 차체(10)를 측방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상기 카울(12)과 동일한 길이방향을 가지며, 상기 카울(12)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멤버(34)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연결멤버(34) 중 하나는 상기 크로스멤버(32)의 일단과 상기 차체(10)의 양측에 배치된 쇽업쇼버 하우징(14) 중 하나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하나의 연결멤버(34)의 일단은 상기 차체(10)의 카울(12)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나의 쇽업쇼버 하우징(14)에 연결된다. 즉, 상기 크로스멤버(32)의 일단과 상기 하나의 연결멤버(34)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크로스멤버(32)의 일단과 상기 하나의 연결멤버(34)의 일단이 만나는 부분이 상기 카울(12)에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연결멤버(34)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크로스멤버(32)의 타단과 상기 쇽업쇼버 하우징(14) 중 다른 하나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다른 하나의 연결멤버(34)의 일단은 상기 차체(10)의 카울(12)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다른 하나의 쇽업쇼버 하우징(14)과 연결된다. 즉, 상기 크로스멤버(32)의 타단과 상기 다른 하나의 연결멤버(34)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크로스멤버(32)의 타단과 상기 다른 하나의 연결멤버(34)의 일단이 만나는 부분이 상기 카울(12)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연결멤버(34)와 상기 카울(12) 및 쇽업쇼버 하우징(14)과의 결합에는 용접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멤버(35)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멤버(35)는 각각 상기 한 쌍의 연결멤버(34)의 각 타단과 상기 차체(10)의 프런트 엔드 모듈(18)의 상부를 연결한다. 즉, 상기 지지멤버(35)의 일단은 상기 연결멤버(34)의 타단과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쇽업쇼버 하우징(14)과 연결되고, 상기 지지멤버(35)의 타단은 상기 프런트 엔드 모듈(18)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지지멤버(35)와 상기 쇽업쇼버 하우징(14) 및 프런트 엔드 모듈(18)과의 결합에는 용접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장멤버(36)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수평 연장멤버(36)는 상기 하나의 지지멤버(35)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지지멤버(35)로부터 각각 상기 차체(10)의 측방을 향하여 돌출된다. 또한, 상기 수평 연장멤버(36)는 지면과 수평으로 배치되거나 거의 수평으로 배치된다. 나아가, 상기 돌출된 수평 연장멤버(36)는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5)까지 연장된다. 즉, 상기 수평 연장멤버(36)는 상기 지지멤버(35)와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5)를 연결한다.
한편, 상기 수평 연장멤버(36)와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5)와의 결합에는 용접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연장멤버(38)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수직 연장멤버(38)는 상기 하나의 지지멤버(35)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지지멤버(35)로부터 각각 상기 차체(10)의 하방을 향하여 돌출된다. 또한, 상기 수직 연장멤버(38)는 지면과 수직으로 배치되거나 거의 수직으로 배치된다. 나아가, 상기 돌출된 수직 연장멤버(38)는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17)까지 연장된다. 즉, 상기 수직 연장멤버(38)는 상기 지지멤버(35)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17)를 연결한다.
한편, 상기 수직 연장멤버(38)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17)와의 결합에는 용접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30)은 상기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구조(20)의 측부 차폐유닛(23)과 결합된다.
상기 측부 차폐유닛(23)의 측면 및 후면의 하단이 상기 차체(10)와 연결되는 구조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측부 차폐유닛(23)의 상단은 상기 보강유닛(30)에 의해 상기 차체(10)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 하, 전, 후로 나타내는 방향은 상기 차체(10)의 상, 하, 전, 후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상기 측부 차폐유닛(23)의 상단은 상기 보강유닛(30)과 결합되도록 상기 보강유닛(3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측부 차폐유닛(23)의 상단은 상기 크로스멤버(32), 상기 연결멤버(34), 및 상기 지지멤버(35)가 연결됨으로써 형성된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부 차폐유닛(23)의 상단은 상기 크로스멤버(32), 상기 연결멤버(34), 및 상기 지지멤버(35)와 접촉된다. 나아가, 상기 측부 차폐유닛(23)의 상단은 상기 크로스멤버(32), 상기 연결멤버(34), 및 상기 지지멤버(35)에 접촉된 상태에서 볼팅(bolting)에 의해 상기 보강유닛(30)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크로스멤버(32), 연결멤버(34), 지지멤버(35), 수평 연장멤버(36), 및 수직 연장멤버(38)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체로 성형된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30)은 상기 차체(10)와 함께 제1, 2, 3 닫힌 꼴(C1, C2, C3)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닫힌 꼴(C1)은 상기 크로스멤버(32), 연결멤버(34), 지지멤버(35), 및 상기 프런트 엔드 모듈(18)의 상부로 둘러싸여 형성된다.
상기 제2 닫힌 꼴(C2)은 하나의 지지멤버(35), 하나의 수평 연장멤버(36), 및 상기 프런트 엔드 모듈(18)의 상부 또는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5)로 둘러싸여 형성된다.
상기 제3 닫힌 꼴(C3)은 다른 하나의 지지멤버(35), 다른 하나의 수평 연장멤버(36), 및 상기 프런트 엔드 모듈(18)의 상부 또는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5)로 둘러싸여 형성된다.
이러한 닫힌 꼴(C1, C2, C3)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차체(10)에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보강유닛(30) 및 상기 차체(10)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체(10)의 비틀림이 억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3에는 상기 차체(10)의 전방을 통하여 전달된 하중의 전달경로가 화살표로 도시되었다. 즉, 도 3에 도시된 하중의 전달경로는 차량의 정면 충돌 시에 하중이 전달되는 경로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10)의 전방을 통하여 전달된 하중 중 일부는 상기 프런트 엔드 모듈(18) 및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5)를 경유하여 상기 차체(10)의 후방을 향하여 전달된다. 또한, 상기 차체(10)의 전방을 통하여 전달된 하중 중 다른 일부는 상기 프런트 엔드 모듈(18), 상기 지지멤버(35), 및 상기 연결멤버(34)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차체(10)의 후방을 향하여 전달된다.
이 때, 상기 수평 연장멤버(36)가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5)와 상기 지지멤버(35)의 사이에서 하중의 전달경로가 됨으로써, 상기 차체(10)의 전방을 통하여 전달된 하중이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5) 및 상기 지지멤버(35)에 균형 있게 분배되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로스멤버(32)가 상기 한 쌍의 연결멤버(34)의 사이에서 하중의 전달경로가 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연결멤버(34) 중 어느 한쪽으로 하중이 과도하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나아가, 상기 카울(12)이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5)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하중과 상기 연결멤버(34)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하중을 전달받아 상기 차체(10)의 중앙 및 측면으로 하중을 분산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4에는 상기 차체(10)의 전방을 통하여 전달된 하중의 전달경로가 화살표로 도시되었다. 즉, 도 4에 도시된 하중의 전달경로는 차량의 정면 충돌 시에 하중이 전달되는 경로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런트 엔드 모듈(18)을 통하여 전달된 하중 중 일부는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5)를 경유하여 상기 차체(10)의 후방을 향하여 전달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프런트 엔드 모듈(18)을 통하여 전달된 하중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지지멤버(35)를 경유하여 상기 차체(10)의 후방을 향하여 전달된다.
이 때, 상기 수직 연장멤버(38)가 상기 지지멤버(35)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17)의 사이에서 하중의 전달경로가 됨으로써, 상기 지지멤버(35)에 전달된 하중이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17)에 분산되어 상기 차체(10)의 후방을 향하여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5)에 전달된 하중이 상기 수평 연장멤버(36) 및 상기 수직 연장멤버(38)를 경유하여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17)에 분산되고, 상기 차체(10)의 후방을 향하여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 연장멤버(36) 및 상기 수직 연장멤버(38)를 경유하는 하중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 연장멤버(36) 및 상기 수직 연장멤버(38)는 상기 지지멤버(35)의 한 점에서 만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5)에 전달된 하중은 상기 펜더 에이프런(19)를 통하여 상기 차체(10)의 하측으로 분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과 차체를 통하여 하중이 전달되도록 연결된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는 상기 차체(10)의 하나의 멤버와 다른 멤버가 연결되거나, 상기 차체(10)의 멤버와 상기 보강유닛(30)의 멤버가 연결된 제1, 2, 3연결부(M1, M2, M3)가 도시되었다.
상기 제1 연결부(M1)는 상기 프런트 엔드 모듈(18)의 하부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17)가 연결된 부분이고, 상기 제2 연결부(M2)는 상기 프런트 엔드 모듈(18)의 상부와 상기 지지멤버(35)가 연결된 부분이며, 상기 제3 연결부(M3)는 상기 연결멤버(34) 및 크로스멤버(32)와 상기 카울(12)이 연결된 부분이다.
이러한 제1, 2, 3연결부(M1, M2, M3)에 의해 상기 차체(10)의 전방을 통하여 전달된 하중의 분산이 용이해짐과 동시에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에 의한 소음이 감소되고, 승차감이 개선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구조(20)가 차량의 정면 충돌에 의한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도록 차체(10)와 연결됨으로써,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구조(20) 및 차체(10)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차량의 NVH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 차체
12: 카울 14: 쇽업쇼버 하우징
15: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 16: 펜더 에이프런 라인포스 멤버
17: 프런트 사이드 멤버 18: 프런트 엔드 모듈
19: 펜더 에이프런
20: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구조
21: 상부 차폐유닛 23: 측부 차폐유닛
25: 하부 차폐유닛
30: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
32: 크로스멤버 34: 연결멤버
35: 지지멤버 36: 수평 연장멤버
38: 수직 연장멤버
C1: 제1 닫힌 꼴 C2: 제2 닫힌 꼴
C3: 제3 닫힌 꼴
M1: 제1 연결부 M2: 제2 연결부
M3: 제3 연결부

Claims (13)

  1. 차체의 강성이 확보되도록 구비되는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에 있어서,
    상기 차체를 측방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상기 차체의 카울에 결합되는 크로스멤버;
    각각의 일단이 상기 크로스멤버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이 상기 차체의 양측에 배치된 2개의 쇽업쇼버 하우징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멤버; 및
    각각의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연결멤버의 각 타단에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이 상기 차체의 프런트 엔드 모듈에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구조와 결합되는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지지멤버로부터 상기 차체의 측방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차체의 양측에 배치된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와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한 쌍의 수평 연장멤버를 더 포함하는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지지멤버로부터 상기 차체의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차체의 양측에 배치된 프런트 사이드 멤버와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한 쌍의 수직 연장멤버를 더 포함하는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멤버, 상기 연결멤버, 상기 지지멤버, 및 상기 차체의 프런트 엔드 모듈로 둘러싸인 닫힌 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멤버, 상기 연결멤버, 및 상기 지지멤버는 볼팅에 의해 상기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구조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멤버 중 어느 하나, 상기 한 쌍의 수평 연장멤버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프런트 엔드 모듈 모듈로 둘러싸인 닫힌 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지지멤버로부터 상기 차체의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차체의 양측에 배치된 프런트 사이드 멤버와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한 쌍의 수직 연장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평 연장멤버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수직 연장멤버 중 어느 하나는 한 점에서 만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
  8. 엔진룸의 상방, 하방, 측방, 및 후방을 감싸도록 상면, 하면, 측면, 및 후면을 포함하는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구조 및 차체의 강성을 증대시키도록 구비되는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에 있어서,
    상기 차체를 측방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상기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구조의 후면에 결합되는 크로스멤버;
    상기 크로스멤버의 일단 및 타단로부터 각각 상기 차체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구조의 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멤버; 및
    상기 크로스멤버로부터 연장된 상기 한 쌍의 연결멤버로부터 각각 상기 차체의 전방을 향하여 더 연장되고, 상기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구조의 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차체의 전방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지지멤버, 상기 연결멤버, 및 상기 크로스멤버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차체의 후방을 향하여 전달되도록 상기 지지멤버, 상기 연결멤버, 및 상기 크로스멤버는 각각 상기 차체의 어느 하나의 멤버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멤버로부터 각각 상기 차체의 측방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차체의 양측에서 상기 차체의 어느 하나의 멤버에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한 쌍의 수평 연장멤버를 더 포함하는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멤버로부터 각각 상기 차체의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차체의 양측에서 상기 차체의 어느 하나의 멤버에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한 쌍의 수직 연장멤버를 더 포함하는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멤버, 상기 연결멤버, 상기 지지멤버, 및 상기 차체의 어느 하나의 멤버로 둘러싸인 닫힌 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멤버 중 어느 하나, 상기 한 쌍의 수평 연장멤버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차체의 어느 하나의 멤버로 둘러싸인 닫힌 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멤버로부터 각각 상기 차체의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차체의 양측에서 상기 차체의 어느 하나의 멤버에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한 쌍의 수직 연장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차체의 양측 중 같은 측에 배치된 상기 수평 연장멤버 및 상기 수직 연장멤버는 같은 측에 배치된 상기 지지멤버의 한 점에서 만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
KR1020130120740A 2013-10-10 2013-10-10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 KR101448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740A KR101448788B1 (ko) 2013-10-10 2013-10-10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
US14/108,089 US9126633B2 (en) 2013-10-10 2013-12-16 Reinforcement unit for engine-room encapsulation
DE102013114910.3A DE102013114910B4 (de) 2013-10-10 2013-12-27 Verstärkungseinheit für eine Motorraumkapsel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740A KR101448788B1 (ko) 2013-10-10 2013-10-10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788B1 true KR101448788B1 (ko) 2014-10-08

Family

ID=51997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740A KR101448788B1 (ko) 2013-10-10 2013-10-10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26633B2 (ko)
KR (1) KR101448788B1 (ko)
DE (1) DE102013114910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14910B4 (de) * 2013-10-10 2020-08-06 Hyundai Motor Co. Verstärkungseinheit für eine Motorraumkapsel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22561A1 (de) * 2012-12-07 2014-06-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rontendkarosserie
DE102012222559A1 (de) * 2012-12-07 2014-06-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stärkungsstrebe
JP5918391B2 (ja) * 2012-12-21 2016-05-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5836418B2 (ja) * 2014-03-31 2015-12-24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CA2962155C (en) * 2014-09-22 2022-07-19 Arcelormittal Vehicle front body structure
DE102015207696B4 (de) * 2015-04-27 2020-04-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bweisstruktur für eine Vorbaustruktur eines Kraftwagens
US9440527B1 (en) * 2015-06-26 2016-09-13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Utility vehicle
KR20180129084A (ko) * 2017-05-25 2018-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돌흡수 구조를 갖는 일체형 사이드 멤버
JP6557290B2 (ja) * 2017-06-27 2019-08-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JP7037742B2 (ja) 2017-12-06 2022-03-17 スズキ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DE102018203133A1 (de) * 2018-03-02 2019-09-0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toßfang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JP7187995B2 (ja) * 2018-11-08 2022-12-13 スズキ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US11414135B2 (en) * 2020-08-13 2022-08-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veable reinforcement assembly for motor vehicle
US11851108B2 (en) 2022-05-11 2023-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trut brace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7466A (ja) * 1992-09-08 1994-03-29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エンジンルーム構造
JPH10324267A (ja) * 1997-05-26 1998-12-08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エンジンルーム構造
JP2007069732A (ja) * 2005-09-07 2007-03-22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車両前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7895A (en) * 1979-05-10 1981-05-19 The Budd Company Automotive body frame for a combined engine and battery operated vehicle
JPS58152673A (ja) * 1982-03-08 1983-09-10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US4501129A (en) * 1983-01-25 1985-02-26 Canadian Fram Limited Integral engine air conditioning system
JPS59190060A (ja) * 1983-04-13 1984-10-27 Honda Motor Co Ltd 自動車の車体
US4909565A (en) * 1987-04-17 1990-03-20 Mazda Motor Corporation Front body construction
JPH01275278A (ja) * 1988-04-27 1989-11-02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2010083393A (ja) 2008-10-01 2010-04-15 Toyota Motor Corp 車両前部構造
US8419116B2 (en) * 2010-07-08 2013-04-16 Honda Motor Co., Ltd. Vehicle frame assembly
KR101567099B1 (ko) 2010-10-26 201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좌우 방향 차체 결합 지지 구조
JP5638119B2 (ja) 2011-02-23 2014-12-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5758233B2 (ja) 2011-08-31 2015-08-05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前部構造
KR101315713B1 (ko) * 2011-12-07 2013-10-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엔진 인캡슐레이션 구조물
DE102011056737B4 (de) * 2011-12-21 2023-03-1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orderwagenstruktur eines Kraftfahrzeugs
US8708401B2 (en) * 2012-03-22 2014-04-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rash brace for energy management
KR101349445B1 (ko) 2012-04-26 2014-02-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
KR101484236B1 (ko) * 2013-08-06 2015-01-1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
KR101448788B1 (ko) * 2013-10-10 2014-10-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
KR102008679B1 (ko) * 2013-12-16 2019-08-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엔진룸 부품 장착 유닛
CN106275086B (zh) * 2015-05-29 2019-08-23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机舱总成
JP6451805B1 (ja) * 2017-08-22 2019-01-16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保温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7466A (ja) * 1992-09-08 1994-03-29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エンジンルーム構造
JPH10324267A (ja) * 1997-05-26 1998-12-08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エンジンルーム構造
JP2007069732A (ja) * 2005-09-07 2007-03-22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車両前部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14910B4 (de) * 2013-10-10 2020-08-06 Hyundai Motor Co. Verstärkungseinheit für eine Motorraumkapse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26633B2 (en) 2015-09-08
DE102013114910A1 (de) 2015-04-16
DE102013114910B4 (de) 2020-08-06
US20150102636A1 (en)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788B1 (ko)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
KR101339253B1 (ko) 자동차용 쇽업소버 하우징 지지장치
KR101755461B1 (ko) 전방 차체 구조
JPWO2018163815A1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KR101705146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구조
JP2019188899A (ja) 電動車両の車体前部構造
KR20170019756A (ko) 전방 차체 구조
CN110920752B (zh) 悬架副车架结构
KR102429004B1 (ko) 스몰 오버랩 충돌에 대응하는 차체 보강구조
KR101526411B1 (ko) 후방 차체 보강구조
US9855974B2 (en) Vehicle body structure
JP2015034001A (ja) 車体前部構造
JP2015137001A (ja) 電動車両
KR102371242B1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KR101526398B1 (ko) 차량용 카울 크로스 멤버 마운팅 조립체
KR101704039B1 (ko) 차량용 프런트 서스펜션 보강구조
KR101786657B1 (ko) 전방 차체 연결구조
KR102394581B1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KR101855750B1 (ko) 차체 보강 유닛
KR20120126906A (ko) 차체의 전방 연결구조
KR101637260B1 (ko)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KR102383254B1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KR101189416B1 (ko) Fr차량의 엔진룸부 보강구조
KR101484236B1 (ko)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
KR20110136124A (ko) 차량용 프런트 필라부 보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