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297B1 - 차량 전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전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0297B1
KR102250297B1 KR1020190113640A KR20190113640A KR102250297B1 KR 102250297 B1 KR102250297 B1 KR 102250297B1 KR 1020190113640 A KR1020190113640 A KR 1020190113640A KR 20190113640 A KR20190113640 A KR 20190113640A KR 102250297 B1 KR102250297 B1 KR 102250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ubframe
bracket
control arm
low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2183A (ko
Inventor
최성은
박건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3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297B1/ko
Publication of KR20210032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전방구조는, 차량의 전방 하부에 배치된 프론트 서브프레임; 상기 프론트 서브프레임의 전방단으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된 전방구조멤버; 상기 프론트 서브프레임의 전방단에 전방부시를 통해 장착되는 전방마운트 및 상기 프론트 서브프레임의 후방단에 후방부시를 통해 장착되는 후방마운트를 가진 로어 컨트롤암; 및 상기 전방구조멤버의 후방단에 마련되고, 상기 프론트 서브프레임의 전방단에 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전방구조{VEHICLE FRONT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 전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면충돌 시에 충격에너지를 차량의 후방으로 원활하게 전달함과 더불어 프론트 서브프레임을 이탈시킴으로써 에너지흡수를 위한 충돌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차량 전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차체(body) 및 샤시(chassis)로 구성된다. 샤시는 엔진, 동력전달장치(power train), 조향장치(steering system), 제동장치(brake system), 현가장치(suspension system) 등이 프레임(frame)에 장착된 것을 의미한다. 차체는 메인 차체, 차체 외장, 차체 내장 등으로 이루어진다.
샤시는 메인프레임과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서브 프레임은 차체의 전방 하단에 연결되는 프론트 서브프레임과 차체의 후방 하단에 연결되는 리어 서브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프론트 서브프레임는 엔진, 변속기, 현가장치 등을 지지하고, 차량의 구조 강성을 확보하면서 하중 전달을 용이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프론트 서브프레임은 차량의 기본적인 성능인 충동성능, NVH, R&H 등을 충분하게 확보하도록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충돌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방 구조멤버가 프론트 서브프레임의 전방단에 연결된다.
하지만, 전방 구조멤버 및 프론트 서브프레임 사이의 연결부는 그 결합강성이 상대적으로 취약하고, 이로 인해 전방충돌 시에 전방 구조멤버 및 프론트 서브프레임의 연결부가 쉽게 변형되거나 파단될 수 있으므로 그 충돌에너지를 차량의 후방으로 충분히 전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정면충돌 시에 충격에너지를 차량의 후방으로 원활하게 전달함과 더불어 프론트 서브프레임을 이탈시킴으로써 에너지흡수를 위한 충돌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차량 전방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전방구조는,
차량의 전방 하부에 배치된 프론트 서브프레임;
상기 프론트 서브프레임의 전방단으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된 전방구조멤버;
상기 프론트 서브프레임의 전방단에 전방부시를 통해 장착되는 전방마운트 및 상기 프론트 서브프레임의 후방단에 후방부시를 통해 장착되는 후방마운트를 가진 로어 컨트롤암; 및
상기 전방구조멤버의 후방단에 마련되고, 상기 프론트 서브프레임의 전방단에 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서브프레임의 후방단은 상기 로어 컨트롤암의 후방마운트가 수용되는 수용 캐비티를 가지고, 상기 수용 캐비티에 수용된 상기 로어 컨트롤암의 후방마운트는 볼트에 의해 상기 프론트 서브프레임의 후방단과 함께 차량 샤시의 메인프레임에 공통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로어 컨트롤암의 상하 거동범위를 한정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전방구조멤버의 후방단에 부착된 지지벽과, 상기 지지벽의 상단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 상단플랜지와, 상기 지지벽의 하단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 하단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의 상단플랜지는 상기 프론트 서브프레임의 전방단 일부에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로어 컨트롤암의 전방마운트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차량의 정면 충돌 시에, 상기 브라켓이 상기 로어 컨트롤암의 전방마운트를 직접적으로 타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강재가 상기 브라켓의 내부에 부착되고, 상기 보강재는 상기 로어 컨트롤암의 전방마운트를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로어 컨트롤암의 전방마운트는 상기 브라켓과 함께 상기 프론트 서브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전면 충돌 시에 프론트 서브프레임의 전방단이 브라켓으로부터 1차적으로 이탈되고, 프론트 서브프레임의 후방단이 차량 샤시의 메인프레임(프론트사이드멤버)로부터 이탈됨으로써 프론트 서브프레임은 엔진과 함께 차량의 진행방향에 대해 하향 경사진 방향을 따라 차량의 아래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프론트사이드멤버가 변형할 수 있는 충돌에너지의 흡수공간이 증가함으로써 차체의 구조물이 흡수할 수 있는 충돌에너지의 양이 증가하므로 차량의 승객실 내로 전달되는 충돌에너지가 상대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더불어 엔진 및 프론트 서브프레임과 같은 중량물이 차체를 직접적으로 타격하지 않으므로 차량의 승객실의 변형량이 감소함으로써 승객의 상해 가능성을 대폭 감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방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방구조에서 브라켓이 프론트 서브프레임에 연결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방구조에서 브라켓 및 로어 컨트롤암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화살표 B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방구조에서 로어 컨트롤암의 후방마운트가 프론트 서브프레임의 수용 캐비티에 삽입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방구조에서 브라켓이 프론트 서브프레임의 전방단에 연결된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C-C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대한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차량의 정면충돌 시에 시간 경과에 따른 본 발명 및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가속도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방구조(10)는 차량의 전방 하부에 배치된 프론트 서브프레임(11)과,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전방단으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된 전방구조멤버(12)와, 프론트 서브프레임(11)에 연결되는 로어 컨트롤암(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은 프론트사이드멤버(5)의 아래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은 레그(15)를 통해 메인프레임의 프론트사이드멤버(5)에 결합될 수 있다. 레그(15)는 프론트 서브프레임(11)으로부터 프론트사이드멤버(5)를 향해 상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레그(15)의 하단은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전방단과 인접한 부분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레그(15)의 상단은 프론트사이드멤버(5)에 체결구 또는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사이드멤버(5)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도 1 및 도 2는 차량의 좌측에 위치한 프론트 사이드멤버만을 도시하지만,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가 엔진룸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도록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전방구조멤버(12)는 브라켓(20)을 통해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전방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전방구조멤버(12)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도 1 및 도 2는 차량의 좌측에 위치한 전방구조멤버(12)만을 도시하지만, 한 쌍의 전방 구조멤버가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전방단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도록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폭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각 전방구조멤버(12)의 전방단은 프론트 범퍼 등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20)이 전방구조멤버(12)의 후방단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브라켓(20)은 전방구조멤버(12)의 후방단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브라켓(20)은 주조공정, 단조공정 등을 통해 전방구조멤버(12)의 후방단에 단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브라켓(20)은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전방단에 체결구 또는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브라켓(20)은 로어 컨트롤암(13)의 상하 거동범위(h)를 한정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20)은 전방구조멤버(12)의 후방단에 부착된 지지벽(21)과, 지지벽(21)의 상단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 상단플랜지(22)와, 지지벽(21)의 하단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 하단플랜지(2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벽(21)은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단플랜지(22) 및 하단플랜지(23)는 로어 컨트롤암(13)의 상하 거동범위(h)를 한정하도록 이격될 수 있다. 즉, 브라켓(20)은 차량의 후방을 향해 개방된 "ㄷ"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브라켓(20)의 상단플랜지(22)는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전방단 일부(11a)와 직접적으로 결합 내지 접촉할 수 있고, 이에 차량의 정면 충돌 시에 브라켓(20)의 상단플랜지(22)가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전방단 일부(11a)를 직접적으로 타격함으로써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전방단 일부(11a)가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정면 충돌 시에 브라켓(20)은 로어 컨트롤암(13)의 전방단을 직접적으로 타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재(25)가 브라켓(20)의 내부에 용접 등을 통해 부착될 수 있고, 보강재(25)는 로어 컨트롤암(13)의 전방단과 마주보도록 이겨 내지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보강재(25)는 로어 컨트롤암(13)의 전방단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차량의 정면 충돌 시에 보강재(25)가 로어 컨트롤암(13)의 전방단을 직접적으로 타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전방단의 상면은 브라켓(20)의 상단플랜지(22)에 용접 등을 통해 부착될 수 있고,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전방단의 하면은 브라켓(20)의 하단플랜지(23)에 용접 등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전방단은 브라켓(2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로어 컨트롤암(13)이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좌우 양측에 연결될 수 있다. 각 로어 컨트롤암(13)은 차량 휠의 수직 중심선이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차량 휠의 상하 움직임을 조절하는 서스펜션의 한 구성요소이다. 로어 컨트롤암(13)은 전방마운트(31) 및 후방마운트(32)를 가질 수 있다.
전방마운트(31)는 로어 컨트롤암(13)의 전방단에 형성된 중공형 원통구조일 수 있고, 러버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전방부시(41)가 전방마운트(31) 내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로어 컨트롤암(13)의 전방마운트(31)는 전방부시(41)를 통해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전방단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전방마운트(31)의 축선 및 전방부시(41)의 축선은 일치할 수 있고, 전방마운트(31)의 축선 및 전방부시(41)의 축선은 차량의 길이방향 축선과 평행한 수평축선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후방마운트(32)는 로어 컨트롤암(13)의 후방단에 형성된 중공형 원통구조일 수 있고, 러버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후방부시(42)가 후방마운트(32) 내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로어 컨트롤암(13)의 후방마운트(32)는 후방부시(42)를 통해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후방단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후방마운트(32)의 축선 및 후방부시(52)의 축선은 일치할 수 있고, 후방마운트(32)의 축선 및 후방부시(42)의 축선은 차량의 높이방향 축선과 평행한 수직축선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로어 컨트롤암(13)의 전방마운트(31)는 볼트(33) 및 전방부시(41)를 통해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전방단에 장착될 수 있고, 볼트(33)는 브라켓(20)을 관통하여 로어 컨트롤암(13)의 전방부시(41)를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전방단에 체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24)이 브라켓(20)의 지지벽(21)에 형성될 수 있고, 관통공(24)의 직경은 볼트(33)의 헤드부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볼트(33)가 관통공(24)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으므로 볼트(33)의 체결작업이 간편하게 진행될 수 있다. 특히, 볼트(33)의 헤드부가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전방단에 지지됨으로써 볼트(33)는 로어 컨트롤암(13)의 전방부시(41)만을 프론트 서브프레임(11)에 체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0)의 지지벽(21)에는 볼트(33)의 나사부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진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볼트(33)의 헤드부가 브라켓(20)의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는다. 특히, 볼트(33)의 헤드부가 지지벽(21)의 외면에 지지됨으로써 볼트(33)는 로어 컨트롤암(13)의 전방마운트(31)의 전방부시(41) 및 브라켓(20)의 지지벽(21)을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전방에 공통으로 체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로어 컨트롤암(13)의 전방마운트(31)는 하나의 볼트(33)를 통해 브라켓(20)과 함께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전방단에 연결될 수 있고, 이에 차량의 정면충돌 시에 하중이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전방단 일부(11a)에 집중됨으로서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전방단이 브라켓(20)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은 상부셀(11a) 및 하부셀(11b)을 가질 수 있고, 상부셀(11a)의 가장자리 및 하부셀(11b)의 가장자리가 서로 간에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은 그 내부에 상부셀(11a) 및 하부셀(11b)에 의해 한정된 캐비티를 가질 수 있다.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측면이 차량의 외측을 향해 개방될 수 있고, 이에 캐비티가 차량의 외측에 대해 노출될 수 있다. 특히,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후방단은 로어 컨트롤암(13)의 후방마운트(32)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캐비티(11c)를 가질 수 있고, 후방마운트(32)가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수용 캐비티(11c)에 수용된 상태에서 볼트(35)가 프론트 서프프레임(11)의 하부셀(11b) 및 상부셀(11a), 후방마운트(32)를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어 컨트롤암(13)의 후방마운트(32)가 수용 캐비티(11c)에 수용됨에 따라 로어 컨트롤암(13)의 후방마운트(32)는 후방부시(42)에 체결되는 볼트(35)의 체결에 의해 프론트 서브프레임(11)과 함께(공통으로) 차량 샤시의 메인프레임(예컨대, 프론트사이드멤버(5))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어 컨트롤암(13)의 후방마운트(32)의 후방부시(42) 및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후방단은 프론트사이드멤버(5)의 후방단(5a)에 하나의 볼트(35)를 통해 함께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그 조립작업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견고한 결합구조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전방구조(10)는 프론트사이드멤버(5)를 따라 한정된 제1로드패스(L1)와, 전방구조멤버(12) 및 서브프레임(11)에 의해 한정된 제2로드패스(L2)를 가질 수 있다. 차량의 전면 충돌이 발생하여 충돌에너지가 차량 전방구조(10)에 전달되면, 그 충돌에너지가 제1로드패스(L1) 및 제2로드패스(L2)로 분산됨으로써 적절히 전달 내지 흡수될 수 있다.
충돌에너지가 제2로드패스(L2)로 전달될 때, 브라켓(20) 및/또는 보강재(25)가 로어 컨트롤암(13)의 전방단을 직접적으로 타격하고, 이를 통해 충돌에너지가 전방구조멤버(12) 및 브라켓(20) 등을 통해 로어 컨트롤암(13)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하중이 브라켓(20) 및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전방단이 연결된 부분에 집중될 수 있으므로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전방단 일부(11a)가 파단될 수 있고, 이에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전방단이 브라켓(20)으로부터 이탈되는 1차 충돌스텝(도 10의 S1구간 참조)이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로어 컨트롤암(13)으로 전달된 충돌에너지는 로어 컨트롤암(13)의 후방마운트(32) 및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후방단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로어 컨트롤암(13)의 후방마운트(32) 및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후방단은 하나의 볼트(35)에 의해 프론트사이드멤버(5)의 후방단(5a)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러한 공통 연결부에 하중이 집중될 수 있으므로 프론트사이드멤버(5)의 후방단(5a)이 파단되면서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후방단이 프론트사이드멤버(5)로부터 이탈되는 2차 충돌스텝(도 10의 S2구간 참조)이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의 전면 충돌 시에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전방단이 브라켓(20)으로부터 1차적으로 이탈되고,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의 후방단이 프론트사이드멤버(5)로부터 이탈됨으로써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은 엔진과 함께 차량의 진행방향에 대해 하향 경사진 방향(도 1의 화살표 K방향 참조)을 따라 차량의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정면충돌 시에, 프론트 서브프레임(11)이 엔진과 함께 차량의 아래로 이탈함에 따라 프론트사이드멤버(5)가 변형할 수 있는 충돌에너지의 흡수공간이 증가함으로써 차체의 구조물이 흡수할 수 있는 충돌에너지의 양이 증가하므로 차량의 승객실 내로 전달되는 충돌에너지가 상대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더불어 엔진 및 프론트 서브프레임(11)과 같은 중량물이 차체를 직접적으로 타격하지 않으므로 차량의 승객실의 변형량이 감소함으로써 승객의 상해 가능성을 대폭 감소할 수 있다.
도 10은 차량의 전방 충돌 시에 시간에 따른 차량의 가속도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1차 충돌스텝(S1)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구조가 적용된 차량에서 측정된 가속도값(P)의 초기피크가 종래기술(V)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대함을 알 수 있고, 2차 충돌스텝(S2)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구조가 적용된 차량에서 측정된 가속도값(P)의 후반 피크가 종래기술(V)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소함을 알 수있다. 즉, 본 발명은 1차 충돌스텝(S1)에서 가속도값의 초기 피크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부터 정면충돌의 초기에 차체 구조물이 충돌에너지를 안정적으로 흡수함을 알 수 있고, 2차 충돌스텝(S2)에서 가속도값의 후반 피크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부터 차량의 승객실로 전달되는 충돌에너지의 양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차량 전방구조
11: 프론트 서브프레임
12: 전방 구조멤버
13: 로어 컨트롤암
15: 레그
20: 브라켓
21: 지지벽
22: 상단 플랜지
23: 하단 플랜지
31: 전방 마운트
32: 후방 마운트
41: 전방부시
42: 후방부시

Claims (9)

  1. 차량의 전방 하부에 배치된 프론트 서브프레임;
    상기 프론트 서브프레임의 전방단으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된 전방구조멤버;
    상기 프론트 서브프레임의 전방단에 전방부시를 통해 장착되는 전방마운트 및 상기 프론트 서브프레임의 후방단에 후방부시를 통해 장착되는 후방마운트를 가진 로어 컨트롤암; 및
    상기 전방구조멤버의 후방단에 부착된 지지벽과, 상기 지지벽의 상단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 상단플랜지와, 상기 지지벽의 하단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 하단플랜지를 포함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상단플랜지는 상기 프론트 서브프레임의 전방단 일부에 직접적으로 결합되고, 차량 충돌 시에 상기 브라켓의 상단플랜지가 상기 프론트 서브프레임의 전방단 일부를 직접적으로 타격하도록 구성된 차량 전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서브프레임의 후방단은 상기 로어 컨트롤암의 후방마운트가 수용되는 수용 캐비티를 가지고, 상기 수용 캐비티에 수용된 상기 로어 컨트롤암의 후방마운트는 볼트에 의해 상기 프론트 서브프레임의 후방단과 함께 차량 샤시의 메인프레임에 공통으로 결합되는 차량 전방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로어 컨트롤암의 상하 거동범위를 한정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차량 전방구조.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로어 컨트롤암의 전방마운트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차량 전방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차량의 정면 충돌 시에, 상기 브라켓이 상기 로어 컨트롤암의 전방마운트를 직접적으로 타격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전방구조.
  8. 청구항 6에 있어서,
    보강재가 상기 브라켓의 내부에 부착되고, 상기 로어 컨트롤암의 전방마운트를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차량 전방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어 컨트롤암의 전방마운트는 상기 브라켓과 함께 상기 프론트 서브프레임에 연결되는 차량 전방구조.
KR1020190113640A 2019-09-16 2019-09-16 차량 전방구조 KR102250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640A KR102250297B1 (ko) 2019-09-16 2019-09-16 차량 전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640A KR102250297B1 (ko) 2019-09-16 2019-09-16 차량 전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183A KR20210032183A (ko) 2021-03-24
KR102250297B1 true KR102250297B1 (ko) 2021-05-10

Family

ID=7525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640A KR102250297B1 (ko) 2019-09-16 2019-09-16 차량 전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2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79981A1 (en) * 2021-03-22 2022-12-01 Robby Gordon Front structural bulkhead for vehicle chassi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4046A (ja) * 2012-10-26 2014-05-12 Mazda Motor Corp フロントサブフレーム構造およびフロントサブフレームの組付け方法
KR101836294B1 (ko) * 2016-11-30 2018-03-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방 하부 충격 흡수 장치
JP2018083512A (ja) * 2016-11-22 2018-05-31 マツダ株式会社 フロントサブフレーム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4046A (ja) * 2012-10-26 2014-05-12 Mazda Motor Corp フロントサブフレーム構造およびフロントサブフレームの組付け方法
JP2018083512A (ja) * 2016-11-22 2018-05-31 マツダ株式会社 フロントサブフレーム構造
KR101836294B1 (ko) * 2016-11-30 2018-03-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방 하부 충격 흡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183A (ko) 202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1549B2 (en) Vehicle body rear structure
JP5440421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取り付け構造
US9272678B2 (en)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for coping with small overlap collision
US8141904B2 (en) Energy absorbing structure for a vehicle
US11097679B2 (en) Vehicle body rear structure
US20050212334A1 (en) Vehicle front-part structure
JP5870680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サブフレーム構造
US10953922B2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US10953921B2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US20220032758A1 (en) Vehicle body structure
JP4797704B2 (ja) 車体前部構造
JP2010000866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JP2010000866A5 (ko)
US10843518B2 (en) Vehicle and suspension arm
KR102250297B1 (ko) 차량 전방구조
JP2007230489A (ja) 車体前部構造
JP3182973B2 (ja) フロントボデーの構造
JP4539320B2 (ja) 車両用牽引フックの取付構造
JP2019025945A (ja) キャブオーバー型車両の車体前部構造
KR101338429B1 (ko)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KR19990019567A (ko) 자동차 프론트 프레임의 충격흡수구조
KR101807144B1 (ko)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서브 프레임의 마운팅 구조
CN216994514U (zh) 副车架防撞梁组件及车辆
JP2005170269A (ja) 車両の車体構造
US11312195B2 (en) Front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