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0930B1 - 차량용 트렁크실의 전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트렁크실의 전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0930B1
KR100410930B1 KR10-2001-0057708A KR20010057708A KR100410930B1 KR 100410930 B1 KR100410930 B1 KR 100410930B1 KR 20010057708 A KR20010057708 A KR 20010057708A KR 100410930 B1 KR100410930 B1 KR 100410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trunk
trunk compartment
rear seat
fron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7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4477A (ko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7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0930B1/ko
Publication of KR20030024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0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09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Abstract

본 발명은 급제동시 또는 사고 발생시 트렁크실에 보관된 수화물이 차실 내로 침입하여 승객 및 탑승자에게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의 트렁크실의 전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차량용 트렁크실의 전방구조는 트렁크실과 차실을 구획하도록 리어 시트와 트렁크실 사이에 개재된 파티션 보드; 및 파티션보드와 리어 시트 사이에 설치되며, 그 상단부는 트레이 패널 상에 결합되고, 그 하단부는 플로어 패널 상에 결합되며, 그 중앙부의 폭이 상, 하단부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다수의 보강재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차량용 트렁크실의 전방구조{Front structure of an automotive trunk room}
본 발명은 수화물을 보관하기 위한 차량의 트렁크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급제동시 또는 사고 발생시 트렁크실에 보관된 수화물이 차실 내로 침입하여 승객 및 탑승자에게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의 트렁크실의 전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자동차의 트렁크실은 다양한 종류의 물건을 보관할 수 있도록 차체의 후방에 형성된다. 이러한 트렁크실과 차실을 구획하여 차단하기 위해, 트렁크실과 리어 시트 사이에 폴리프로필렌 시트(polyproplene sheet)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파티션 보드가 장착된다. 이러한 파티션 보드로 인해 트렁크 도어가 열렸을 때, 트렁크 내부 공간의 외관미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자동차가 급정거시 또는 충돌 사고시, 트렁크실에 보관된 각종 수화물들이 파티션 보드 및 리어 시트를 가격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 들에게 큰 손상을 줄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손상의 가능성에 대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트렁크실의 수화물이 차실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트렁크실의 전방 구조가 제시되었다.
먼저, 종래의 트렁크실 전방구조는 리어 시트를 보강하는 구조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시트(1) 내부에 가로 및 세로 보강빔(2, 3)을 개재시킴으로써, 리어 시트(1)를 보강하여 트렁크실(5) 내의 수화물들이 차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다른 종래의 트렁크실 전방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시트(1)에 근접한 트렁크실(5)의 플로어 패널(6)상에 돌출부(4)를 형성시킴으로써, 트렁크실(5) 내의 수화물이 돌출부(4)에 충돌하여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주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리어 시트를 보강하는 트렁크실 전방구조는 리어 시트에 가로 및 세로빔들을 개재시켜 보강함으로써, 이러한 리어 시트를 고정 및 지지하는 다른 부품(플로어 패널, 시트 마운팅 브라켓, 사이드 패널, 각종 트림류 등)들이 보강되어야 하므로, 제조 단가의 상승은 물론이고, 차체의 전체 중량을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다른 종래의 트렁크실 전방구조는 그 돌출부가 트렁크실의 공간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여 트렁크실의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제조 단가의 상승을 막고, 트렁크실의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지 않으면서, 트렁크실 내의 수화물이 리어 시트 전방으로 침입하여 운전자 및 탑승객에게 손상을 방지하는 자동차용 트렁크실의 전방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트렁크실 전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다른 종래의 트렁크실 전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실 전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보강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는 도 4의 Ⅵa-Ⅵ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b는 도 4의 Ⅵb-Ⅵ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파티션 보드 11 : 차실
12 : 플로어 패널 13 : 트레이 패널
20 : 리어 시트 30 : 보강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트렁크실의 전방구조는 트렁크실과 차실을 구획하도록 리어 시트와 트렁크실 사이에 개재된 파티션 보드; 및 파티션보드와 리어 시트 사이에 설치되며, 그 상단부는 트레이 패널 상에 결합되고, 그 하단부는 플로어 패널 상에 결합되며, 그 중앙부의 폭이 상, 하단부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다수의 보강재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트렁크실의 전방구조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트렁크실의 전방구조는 트렁크실(15)과 차실(11)을 구획하도록 리어 시트(20)와 트렁크실(15) 사이에 개재된 파티션 보드(10)와, 그 상단부는 트레이 패널(13)에 결합되고, 그 하단부는 플로어 패널(12) 상에 결합되며, 파티션보드(10)와 리어 시트(20)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재(30)로 이루어진다.
파티션 보드(10)는 차실(11)과 트렁크실(15)을 구획하도록 리어시트(20)와 트렁크실(15)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되며, 차체의 플로어 패널(12)과 트레이 패널(13) 사이를 연장하며 장착된다.
다수의 보강재(30)는 리어 시트(20)와 파티션 보드(10) 사이에 설치되며, 차체의 플로어 패널(12)과 트레이 패널(13) 사이를 연장하며 장착된다.
한편, 보강재(30)의 중앙부(30a)는 도 4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급정거시 또는 충돌사고시 트렁크실(15)의 수화물이 직접적으로 충돌하므로, 폭이 넓은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보강재(30)의 상, 하부(30b, 30c)는 도 4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30a)에서 형성된 충격치가 차체의 다른 패널 상으로 흘러 나가도록 폭이 좁은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중앙부(30a)에 발생한 충격치가 흘러 나가지 않고, 계속 머물러 있으면 파괴되기 때문이다. 또한, 중앙부(30a)와 상, 하단부(30b, 30c) 사이의 연장부(30d)는 응력 집중이 발생하지 않도록 완만한 기울기로 꺽여져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제조 단가의 상승을 막고, 트렁크실의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지 않으면서, 트렁크실 내의 수화물이 리어 시트 전방으로 침입하여 운전자 및 탑승객에게 손상을 방지하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트렁크실 내의 수화물이 유동하여 차실내로 침입하여 승객에게 손해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트렁크실의 전방구조로서,
    트렁크실과 차실을 구획하도록 리어 시트와 트렁크실 사이에 개재된 파티션 보드; 및
    상기 파티션보드와 상기 리어 시트 사이에 설치되며, 그 상단부는 트레이 패널 상에 결합되고, 그 하단부는 플로어 패널 상에 결합되며, 그 중앙부의 폭이 상기 상, 하단부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다수의 보강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렁크실의 전방구조.
KR10-2001-0057708A 2001-09-18 2001-09-18 차량용 트렁크실의 전방구조 KR100410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708A KR100410930B1 (ko) 2001-09-18 2001-09-18 차량용 트렁크실의 전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708A KR100410930B1 (ko) 2001-09-18 2001-09-18 차량용 트렁크실의 전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477A KR20030024477A (ko) 2003-03-26
KR100410930B1 true KR100410930B1 (ko) 2003-12-18

Family

ID=27724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7708A KR100410930B1 (ko) 2001-09-18 2001-09-18 차량용 트렁크실의 전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09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477A (ko) 2003-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7830B1 (ko) 트렁크룸의 수화물침입 방지구조
KR100410930B1 (ko) 차량용 트렁크실의 전방구조
KR100488783B1 (ko) 상부가 보강된 자동차용 리어 범퍼
CN210437089U (zh) 一种副驾行李舱及汽车
KR100325726B1 (ko) 트럭의 범퍼 취부구조
KR100377846B1 (ko) 승합차의 안전네트 설치구조
KR100279574B1 (ko) 자동차필러의내장재구조
KR100435890B1 (ko) 트렁크내 수하물의 실내침입 방지구조
KR200146703Y1 (ko) 자동차 도어구조
KR100365231B1 (ko) 해치백형 자동차의 수화물 차단부재
KR19980043202U (ko) 자동차용 도어의 장착구조
KR100373646B1 (ko) 자동차의 수하물 침입 방지장치
KR100282920B1 (ko) 자동차 라디에이터 지지부재의 결합구조
KR100512444B1 (ko) 충돌 에너지 흡수가 가능한 조수석측 인스트루먼트 패널설치구조
KR100194714B1 (ko)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구조
KR0139027Y1 (ko) 자동차용 도어의 보강구조
KR19980024588U (ko) 자동차 프런트 필라 로어 패널의 보강 구조
KR19990024677U (ko) 자동차 센터 보디의 후방 로크 패널 구조
KR20010095408A (ko) 자동차용 파티션보드의 보강구조
KR19990011559U (ko) 자동차의 대쉬패널 보강구조
KR19980024596U (ko) 자동차의 프런트 필라 보강 구조
JP2001151151A (ja) ピラー構造
KR19990033762A (ko) 차량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KR20040029793A (ko) 자동차 리어바디의 연결구조
KR19980040687U (ko) 자동차의 리어 범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