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9793A - 자동차 리어바디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리어바디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9793A
KR20040029793A KR1020020060207A KR20020060207A KR20040029793A KR 20040029793 A KR20040029793 A KR 20040029793A KR 1020020060207 A KR1020020060207 A KR 1020020060207A KR 20020060207 A KR20020060207 A KR 20020060207A KR 20040029793 A KR20040029793 A KR 20040029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pillar
quarter
center pillar
transmiss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용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0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9793A/ko
Publication of KR20040029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79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충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동차 리어바디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어도어가 없는 3도어 타입의 차량에서 프론트도어의 측면으로 충격이 가해질 때 그 충격이 센터필라를 통해 쿼터필라 쪽으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측면충돌시 충격에너지 분산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자동차의 리어바디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바디의 센터필라에 설치된 센터필라 보강부재와 쿼터필라에 설치된 쿼터필라 보강부재 사이에 자동차 바디의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는 쿼터사이드멤버가 수평하게 설치된 자동차의 리어바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쿼터사이드멤버의 하부에는 제1충격전달부재의 일측단이 상기 센터필라와 연결되고, 상기 제1충격전달부재의 타측단은 제2충격전달부재의 일측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2충격전달부재의 타측단은 상기 쿼터필라 보강부재와 연결된 자동차 리어바디의 연결구조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리어바디의 연결구조{Automobile rear body 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측면충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동차 리어바디의 연결구조에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어도어가 없는 3도어 타입의 차량에서 프론트도어의 측면으로 충격이 가해질 때 그 충격이 센터필라를 통해 쿼터필라 쪽으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측면충돌시 충격에너지 분산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자동차의 리어바디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바디의 형태는 시트의 배치와 수, 도어의 배치와 수, 루프, 객실, 창유리 등의 구조에 의하여 결정된다.
또한, 자동차 바디의 형태에 따른 명칭은 시대와 국가에 따라 다소차이가 있으나 ISO에 의한 분류를 참조하여 차체박스에 의한 분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엔진룸, 차실, 화물실의 3칸으로 이루어진 3박스형과, 차실과 화물실이 하나로 이루어진 2박스형과 엔진룸, 차실, 화물실을 하나의 박스에 담은 1박스형이 있다.
통상적으로 승용형 자동차는 그 도어의 수에 따라 3도어 타입, 4도어 타입, 5도어 타입으로 구분되는데, 4도어 타입의 자동차는 프론트도어와 리어도어가 각각 2개씩 구분되어 있는 형식이고, 3도어 타입과 5도어 타입의 자동차는 차실내가 테일게이트와 서로 통하도록 되어 있는 형식의 자동차를 말한다.
도1은 3도어 타입의 자동차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3도어 타입의 자동차(1)는 양측에 탑승자가 타고 내릴 수 있는 도어(2)가 각각 1개씩 마련되고, 그 후방에는 1개의 테일게이트(3)가 마련된다.
이러한, 3도어 타입의 자동차도 4~5명이 승차 가능하도록 시트의 배치가 2열로 되어 있는데, 제2열 시트가 위치된 자동차의 리어바디(4)는 보통의 자동차처럼 도어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그 연결 구조가 보통의 자동차와 조금 상이하다.
도2는 종래 3도어 타입 자동차의 리어바디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여기서 보면, 자동차의 프론트도어 내부(2)에는 임팩트빔(5)이 도어의 폭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임팩트빔(5)은 차량에서 측면충돌이 발생하였을 때 그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고 그 충격이 자동차 바디의 각 부위로 분산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임팩트빔(5)은 일측단이 자동차 바디의 프론트필라부(6)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센터필라부(7)에 연결되어 임팩트빔(5)으로 충격이 가해지면 그 충격에너지를 상기 프론트필라부(6)와 센터필라부(7)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센터필라부(7)로 전달된 충격에너지는 센터필라부(7)에 덧대어지는 센터필라 보강부재(7a)를 통해 제2열 시트가 배치되는 리어바디의 쿼터필라(8) 쪽으로 전달되어야 하는데, 이는 충격에너지를 바디의 각 부위로 분산시킴으로써 어느 한 부위에 충격에너지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센터필라(7)와 쿼터필라(8)는 별도의 충격전달부재인 쿼터사이드멤버(9)를 매개로 연결되는데, 상기 쿼터사이드멤버(9)의 일측단은 상기 센터필라(7)에 설치된 센터필라 보강부재(7a)와 연결되고, 상기 쿼터사이드멤버(9)의 타측단은 쿼터필라(8)에 설치된 쿼터필라 보강부재(8a)와 연결되어 충격에너지를 쿼터필라(8) 쪽으로 전달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리어바디에서는 실제로 도어 측면으로 충격이 가해지면 임팩트빔(5)에 의해 그 충격에너지의 일부가 센터필라(7)까지는 전달되는데, 그 센터필라(7)에서 쿼터사이드멤버(9)를 통해 쿼터필라(8)까지 전달되지 못하고 상기 센터필라(7) 하부가 국부적으로 심하게 변형된다. 따라서, 쿼터사이드멤버(9)를 통해 쿼터필라(8) 쪽으로 충격에너지가 제대로 분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도어에 충격이 가해져서 임팩트빔을 통해 센터필라로 충격에너지의 일부가 전달되면 그 충격에너지가 자동차 리어바디의 쿼터필라 쪽으로 용이하게 전달되어 충격에너지가 자동차 바디의 각 부위로 균등하게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의 측면충돌로부터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는데 있다.
도1은 3도어 타입의 자동차를 나타낸 측면도,
도2는 종래 3도어 타입 자동차의 리어바디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3도어 차량의 리어바디 연결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3도어식 자동차2 : 도어
3 : 테일게이트4 : 리어바디
4a : 리어펜더부5 : 임팩트빔
6 : 프론트필라7 : 센터필라
7a : 센터필라 보강부재8 : 쿼터필라
8a : 쿼터필라 보강부재9 : 쿼터사이드멤버
10 : 충격전달부재11 : 제1충격전달부재
11a : 포밍부(forming area)12 : 제2충격전달부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 바디의 센터필라에 설치된 센터필라 보강부재와 쿼터필라에 설치된 쿼터필라 보강부재 사이에 자동차 바디의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는 쿼터사이드멤버가 수평하게 설치된 자동차의 리어바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쿼터사이드멤버의 하부에는 제1충격전달부재의 일측단이 상기 센터필라와 연결되고, 상기 제1충격전달부재의 타측단은 제2충격전달부재의 일측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2충격전달부재의 타측단은 상기 쿼터필라 보강부재와 연결된 자동차 리어바디의 연결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3도어 차량의 리어바디 연결구조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여기서 보면 자동차의 도어 내부(2')에는 측면충돌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임팩트빔(5)이 도어의 폭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임팩트빔(5)은 도어가 승객실 내부로 밀리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상, 하에 각각 1개씩 설치되는데, 그 일측단은 프론트필라(6) 하부에, 그 타측단은 센터필라(7) 하부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센터필라(7)에는 센터필라를 보강하기 위한 센터필라 보강부재(7a)가 설치되고, 쿼터필라(8)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쿼터필라 보강부재(8a)가 설치되는데, 상기 센터필라 보강부재(7a)와 쿼터필라 보강부재(8a) 사이에는 자동차 바디의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는 쿼터사이드멤버(9)가 수평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쿼터사이드멤버(9)의 하부에는 상기 센터필라(7)에 전달된 충격에너지가 상기 쿼터필라 보강부재(8a) 쪽으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충격전달부재(10)가 설치된다.
상기 충격전달부재(10)는 상기 센터필라(7) 하부와 쿼터필라 보강부재(8a)를 서로 연결하도록 하나로 구성되어도 무방하지만, 뒷바퀴가 설치되는 리어펜더부(4a)의 구조상 제1충격전달부재(11)와 제2충격전달부재(12)로 나누어서 그 둘을 서로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충격전달부재(11)는 그 일측단이 상기 센터필라(7)와 연결되고 그 타측단은 상기 제2충격전달부재(12)의 일측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2충격전달부재(12)의 타측단은 상기 쿼터필라 보강부재(8a)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충격전달부재(11)에는 다수개의 포밍부(forming)(11a)이 그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배열되어 있는데, 상기 포밍부(11a)은 충격에너지의 진행방향에 다수개 형성됨으로써 그 충격력에 저항하도록 된 일종의 보강부이다.
또한, 상기 제2충격전달부재(12)는 상기 리어펜더부(4a)를 감싸도록 구부러져 있으며 그 단면은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어 내부(2')에 설치된 임팩트빔(5)으로 충격이 가해지면, 그 충격은 임팩트빔(5)의 양단으로 전달되어 프론트필라(6)와 센터필라(7) 쪽으로 각각 분산되어 전달된다.
이때, 상기 센터필라(7)로 전달된 충격은 센터필라(7)를 따라 수직하게 전달되는데 사실상 상기 임팩트빔(5)이 설치된 부위가 센터필라(7)의 하부이므로 그 충격에너지 역시 센터필라(7)의 하부에 많이 잔존하게 된다.
그래서, 센터필라(7)로 전달된 충격에너지는 그 상부의 쿼터사이드멤버(9) 쪽보다는 하부의 제1충격전달부재(11) 쪽으로 더 많이 전달된다. 상기 제1충격전달부재(11)로 전달된 충격에너지는 제1충격전달부재(11)에 형성된 다수개의 포밍부(11a)에 의해 제1충격전달부재(11)에 흡수되지 않고(즉, 다시 말해 포밍부에 의해 제1충격전달부재가 변형되지 않고), 상기 제2충격전달부재(12)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쿼터필라 보강부재(8a)로 전달되게 된다.
이때, 상기 임팩트빔(5)에 가해진 충격은 상기와 같은 경로를 통해 쿼터필라 보강부재(8a)까지 전달되는 동안에 자동차 바디의 각 부위로 균등하게 분산된다.
따라서, 자동차 바디의 어느 한 부위가 충격에너지를 집중적으로 받지 않으므로 탑승자는 보다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리어바디의 연결구조에 의하면, 도어의 임팩트빔에 가해진 충격이 센터필라 하부와 쿼터필라 사이에 별도로 설치된 충격전달부재를 통해 상기 쿼터필라까지 용이하게 전달되는바, 자동차가 측면 충돌되어도 그 충격에너지가 자동차 바디 전체에 걸쳐 골고루 균등하게 분산되어 탑승자의 측면충돌에 의한 상해치가 감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자동차 바디의 센터필라(7)에 설치된 센터필라 보강부재(7a)와 쿼터필라(8)에 설치된 쿼터필라 보강부재(8a) 사이에 자동차 바디의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는 쿼터사이드멤버(9)가 수평하게 설치된 자동차의 리어바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쿼터사이드멤버(9)의 하부에는 제1충격전달부재(11)와 제2충격전달부재(12)가 마련되어 그 제1충격전달부재(11)의 일측단은 상기 센터필라(7)와 연결되고, 상기 제1충격전달부재(11)의 타측단은 제2충격전달부재(12)의 일측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2충격전달부재(12)의 타측단은 상기 쿼터필라 보강부재(8a)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리어바디의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충격전달부재(11)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포밍부(1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리어바디의 연결구조.
KR1020020060207A 2002-10-02 2002-10-02 자동차 리어바디의 연결구조 KR20040029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207A KR20040029793A (ko) 2002-10-02 2002-10-02 자동차 리어바디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207A KR20040029793A (ko) 2002-10-02 2002-10-02 자동차 리어바디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793A true KR20040029793A (ko) 2004-04-08

Family

ID=37331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207A KR20040029793A (ko) 2002-10-02 2002-10-02 자동차 리어바디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97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55640A1 (de) 2011-08-12 2013-02-14 Hyundai Motor Company Verbindungsstruktur für eine B-Säule und ein Viertel-Bauteil in einem Fahrzeu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56A (ja) * 1981-06-25 1983-01-05 Toyota Motor Corp 車輌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支持構造
KR870000143A (ko) * 1985-06-08 1987-02-16 야마모도 겐이찌 자동차의 후부차체 구조
JPH0495571U (ko) * 1991-01-10 1992-08-19
JPH0577767A (ja) * 1991-09-18 1993-03-30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KR19980031440U (ko)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자동차의 차체 보강구조
JP2001328562A (ja) * 2000-05-19 2001-11-27 Mazda Motor Corp 車両の後部車体構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56A (ja) * 1981-06-25 1983-01-05 Toyota Motor Corp 車輌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支持構造
KR870000143A (ko) * 1985-06-08 1987-02-16 야마모도 겐이찌 자동차의 후부차체 구조
JPH0495571U (ko) * 1991-01-10 1992-08-19
JPH0577767A (ja) * 1991-09-18 1993-03-30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KR19980031440U (ko)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자동차의 차체 보강구조
JP2001328562A (ja) * 2000-05-19 2001-11-27 Mazda Motor Corp 車両の後部車体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55640A1 (de) 2011-08-12 2013-02-14 Hyundai Motor Company Verbindungsstruktur für eine B-Säule und ein Viertel-Bauteil in einem Fahrzeug
US8424945B2 (en) 2011-08-12 2013-04-23 Hyundai Motor Company Connecting structure for center pillar and quarter member in vehicle
DE102011055640B4 (de) * 2011-08-12 2021-03-04 Hyundai Motor Company Verbindungsstruktur für eine B-Säule und ein Viertel-Bauteil in einem Fahrzeu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140860A (zh) 车辆车身结构及包括该车辆车身结构的车辆
KR100412906B1 (ko) 자동차의 프런트필러패널어셈블리 구조
KR20100060286A (ko) 대쉬패널 보강구조
KR20040029793A (ko) 자동차 리어바디의 연결구조
CN213008402U (zh) 车身以及具有其的车辆
US7195308B1 (en) Pillar structure for passenger vehicle
KR100312153B1 (ko) 자동차의 3열 시트 취부구조
KR200146703Y1 (ko) 자동차 도어구조
KR200203093Y1 (ko) 차량용 대시보드 보강구조
KR0126816Y1 (ko) 자동차의 플로어패널 보강구조
KR100208817B1 (ko) 차량 도어 임펙트빔
KR0126061Y1 (ko) 자동차용 리어휀더부의 보강구조
KR200149821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00410930B1 (ko) 차량용 트렁크실의 전방구조
KR200260745Y1 (ko) 자동차의 실사이드부 보강구조
KR100231560B1 (ko) 자동차용도어의보강재취부구조
KR0147738B1 (ko) 자동차용 리어도어의 보강구조
KR0132798Y1 (ko) 자동차의 플로어패널 변형방지용 보강체
KR200187372Y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보강재
KR100188154B1 (ko) 자동차 리어측면도어의 충격흡수용 보강재
KR200189169Y1 (ko) 차량용 센터필러 구조
KR19980057769A (ko) 충격보강구조를 갖춘 차량의 보디 측면 어셈블리
KR19980039541U (ko) 자동차의 플로어판넬
KR20010095408A (ko) 자동차용 파티션보드의 보강구조
KR19980049800U (ko) 자동차의 스톱퍼 멤버 보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