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5397A - 현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디바이스 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디바이스 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5397A
KR20050065397A KR1020040111320A KR20040111320A KR20050065397A KR 20050065397 A KR20050065397 A KR 20050065397A KR 1020040111320 A KR1020040111320 A KR 1020040111320A KR 20040111320 A KR20040111320 A KR 20040111320A KR 20050065397 A KR20050065397 A KR 20050065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developer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1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5011B1 (ko
Inventor
호소카와히로시
삼페아츠시
키무라요시유키
나가시마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50065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0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68Toner cartridges fulfilling a continuous function within the electrographic apparatus during the use of the supplied developer material, e.g. toner discharge on demand, storing residual toner, acting as an active closure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2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a peelable sealing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2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a slidable sealing member, e.g. shut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현상제가 프리세트된 현상기가 출하시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포함되는 경우에도 현상제가 상기 현상기의 외부로 뿌려지지 않고 높은 신뢰성을 가진 현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디바이스 유닛, 및 화상 형성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현상기는 현상제를 담기 위한 현상제 용기와,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된 토너 이송부와 연결되고 개구부를 통해 상기 현상제 용기와 연결되는 토너 보급부를 포함한다. 그러한 현상기는 상기 화상 형성장치 본체 상에서 상기 현상기의 사용이 개시될 때까지 상기 개구부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현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디바이스 유닛 및 화상 형성장치{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device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현상기(developing device), 상기 현상기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디바이스 유닛, 및 화상 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출하시 포함되고 그 안에 현상제(developer)가 담겨진 현상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 시스템(electrophotographic system)을 이용하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그 복합기와 같은 화상 형성장치에 있어서, 공개된 일본특허출원 제 H10-123837호(2페이지, 도 6)는 포장 시스템을 단순하게 하고 사용자가 상기 장치를 수령한 후에 행하는 언패킹(unpacking) 작업을 단순화시키기 위해 그 안에 미리 담겨진 현상제를 구비하는 현상기가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로 출하되도록 한 종래의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특히, 수송자나 사용자 자신이 예를들면 설치장소에서 화상 형성장치를 언패킹 할 때, 현상기(developing device)나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현상제를 주입시키는 작업은 그것을 언패킹하는 사람에게 있어서 부담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출하는 상기 현상제가 현상기에 미리 담겨진 상태로 이루어진다. 출하시 상기 현상기나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현상제를 미리 주입시키는 행위는 본 발명에서 "프리세팅(presetting)"이라고 적당하게 불려진다.
또한, 상기 화상 형성장치 본체의 포장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현상기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포장할 때, 언패킹 작업자에 의한 언패킹 작업효율이 저하되고, 포장 비용이나 수송비용이 증가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현상기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출하하기 위해 화상 형성장치 본체와 함께 포장된다.
한편, 상술한 공개된 일본특허출원 제 H10-123837호는 현상기에 현상제를 프리세팅할 때 현상기에 담겨진 현상제가 감광드럼(photosensitive drum)을 향하고 현상롤러의 일부가 그로부터 노출되는 개구 밖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현상롤러의 표면이 셔터 등으로 덮여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화상 형성장치에서, 때때로 상기 현상기에서의 현상제 프리세팅은 상기 화상 형성장치가 출하되었을 때와 사용자에게 수송되었을 때 사이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가해지는 충격 등 때문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 본체 내부로 뿌려진다. 만일 상기 현상기에 담겨진 현상제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장치의 외부에 뿌려지면, 화상 형성장치 본체 내부는 얼룩져 그 안의 여러 구성요소들의 기능이 손상되며, 현상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현상제의 필요양이 확보될 수 없게 되므로, 출력화상의 화상품질은 저하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들은 높은 신뢰성을 가진 화상 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간과될 수 없다.
상술한 공개된 일본특허출원 제 H10-12383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문제점들은 심지어 현상기에서 현상롤러의 표면이 셔터 등으로 밀봉된 화상 형성장치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현상제 장치에 담겨진 현상제는 상기 현상기의 토너 보급부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장치 본체의 토너 이송부를 통해 상기 화상 형성장치 본체 내부에 뿌려질 수 있다. 그 상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특히, 수명이 긴 현상기를 얻을 목적과 기타 다른 목적을 위해, 많은 화상 형성장치들은 상기 현상기 속으로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 이송부를 포함한다. 그러한 화상 형성장치에서, 토너는 상기 장치 본체의 토너 이송부로부터 상기 현상기의 토너 보급부로 이송된다. 상기 현상기의 토너 보급부는 개구부를 통해 현상제를 담고 있는 현상제 용기와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토너 보급부로 이송된 토너는 상기 현상제 용기속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현상기의 토너 보급부와 상기 장치 본체의 토너 이송부는 서로 자유롭게 접촉하고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토너 보급부와 상기 토너 이송부는 각각 그 안에 설치되고 상기 장치의 본체로 또는 그로부터 상기 현상제 장치를 부착 또는 분리시키는 작동과 함께 개폐되는 셔터들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현상제 장치가 상기 장치 본체에 부착될 때, 상기 토너 보급부와 토너 이송부는 연결되고, 토너 보급부와 토너 이송부의 셔터들은 상기 토너가 상기 토너 이송부로부터 상기 토너 보급부로 보급될 수 있도록 개방된다. 한편, 상기 현상기가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토너 보급부와 토너 이송부는 분리되며, 상기 두 셔터들은 상기 토너 이송부로부터 뿌려지는 토너와 상기 토너 보급부로부터 뿌려지는 현상제가 차단되도록 폐쇄된다.
그러한 구성을 가진 화상 형성장치에서, 화상 형성장치에 설치된 현상기가 구비된 화상 형성장치를 포장하고 이러한 포장을 출하할 때, 상기 현상기의 토너 보급부와 상기 장치 본체의 토너 이송부는 연결되고, 상기 셔터들은 모두 개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출하시 현상제를 프리세팅할 때, 상기 현상기 내부의 현상제 용기에 담겨진 현상제는 수송되는 동안 상기 현상기에 가해지는 충격 때문에 상기 토너 보급부를 통해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토너 이송부로 흘러들어가 뿌려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 내부에 프리세팅된 현상제를 구비한 현상기가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본체에 출하물로 포함되는 경우에도 현상제가 현상기의 외부로 뿌려지지 않는 높은 신뢰성을 가진 현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디바이스 유닛 및 화상 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기는 현상제를 담기 위한 현상제 용기,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된 토너 이송부와 연결되고 개구부를 통해 상기 현상제 용기와 연결되는 토너 보급부, 및 상기 현상기가 상기 화상 형성장치 본체 상에서 사용될 때까지 상기 개구부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형성장치 본체는 현상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현상기는 현상제를 담기 위한 현상제 용기,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된 토너 이송부와 연결되고 개구부를 통해 상기 현상제 용기와 연결되는 토너 보급부, 및 상기 현상기가 상기 화상 형성장치 본체 상에서 사용될 때까지 상기 개구부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기와 화상 지지체가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현상기는 현상제를 담기 위한 현상제 용기,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된 토너 이송부와 연결되고 개구부를 통해 상기 현상제 용기와 연결되는 토너 보급부, 및 상기 현상기가 상기 화상 형성장치 본체 상에서 사용될 때까지 상기 개구부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형성장치 본체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바이스 유닛은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현상기가 제공된다. 상기 현상기는 현상제를 담기 위한 현상제 용기,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된 토너 이송부와 연결되고 개구부를 통해 상기 현상제 용기와 연결되는 토너 보급부, 및 상기 현상기가 상기 화상 형성장치 본체 상에서 사용될 때까지 상기 개구부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화상 지지체, 상기 화상 지지체의 상부를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부, 상기 화상 지지체 상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전사수용물질(transfer receiving material)에 전사하기 위한 전사부, 및 상기 화상 지지체 상에서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부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현상기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는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디바이스 유닛이 제공되고, 현상기가 제공된다. 상기 현상기는 현상제를 담기 위한 현상제 용기,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된 토너 이송부와 연결되고, 개구부를 통해 상기 현상제 용기와 연결되는 토너 보급부, 및 상기 현상기가 상기 화상 형성장치 본체 상에서 사용될 때까지 상기 개구부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화상 지지체, 상기 화상 지지체의 상부를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부, 상기 화상 지지체 상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전사수용물질(transfer receiving material)에 전사하기 위한 전사부, 및 상기 화상 지지체 상에서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부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현상기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다른 목적들, 구성들 및 잇점들은 첨부도면을 통해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각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들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들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므로 이에 따라 중복되는 설명은 단순화되거나 생략된다.
우선, 전체 화상 형성장치의 구성과 작동이 도 1과 도 2를 이용하여 설명된다.
도 1은 화상 형성장치로서의 프린터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상기 프린터의 화상 발생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색상(옐로우, 마젠타, 청록 및 블랙)을 수용하는 화상 발생부(6Y,6M,6C,6K)들이 중간 전사유닛(intermediate transfer unit)(15)의 중간 전사벨트(8)를 향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옐로우 색상을 수용하고 있는 상기 화상 발생부(6Y)는 화상 지지체로서의 감광드럼(photosensitive drum)(1Y), 상기 감광드럼의 둘레에 배치된 대전부(charge portion)(4Y), 현상기(5Y), 클리닝부(2Y), 중화부(neutralizing portion)(미도시)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화상 발생 프로세스(예컨대, 대전 프로세스, 노광 프로세스, 현상 프로세스, 전사 프로세스, 클리닝 프로세스 등)는 상기 감광드럼(1Y) 상에서 이루어져 상기 감광드럼(1Y) 상에 옐로우 화상을 형성한다.
다른 세개의 화상 발생부(6M,6C,6K)도 또한 옐로우 색상을 수용하고 있는 상기 화상 발생부(6Y)와 사용되는 토너의 색상들이 다르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각각의 토너 색상을 수용하는 화상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세개의 화상 발생부(6M,6C,6K)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옐로우 색상을 수용하고 있는 화상 발생부(6Y)만이 설명된다.
상기 화상 발생부(6Y)를 구성하는 감광드럼(1Y), 대전부(4Y), 현상기(5Y) 및 클리닝부(2Y)들은 각각 화상 형성장치 본체(100)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들은 그 유용성이 다하게 되면 새로운 것들로 교체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화상 발생부(6Y)를 구성하는 감광드럼(1Y), 대전부(4Y), 현상기(5Y) 및 클리닝부(2Y)가 각각 독립적인 유닛들인 것으로 되어 있지만, 상기 장치 본체(10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구현하기 위해 이러한 부분들을 일체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광드럼(1Y)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부에 의해 도 2의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상기 감광드럼(1Y)의 표면은 상기 대전부(4Y)의 위치에서 균일하게 대전된다(대전 프로세스). 이후에 상기 감광드럼(1Y)의 표면은 노광기(exposure device)(7)로부터 방사되는 레이저빔(L)의 조사위치에 도달하고, 이 위치에서 노광 스캐닝을 수행함으로써 옐로우 색상을 수용하는 정전형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형성된다(노광 프로세스). 그리고 나서, 상기 감광드럼(1Y)의 표면이 현상기(5Y)를 향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정전형 잠상은 이 위치에서 현상되어, 옐로우 색상을 수용하는 토너화상이 형성된다(현상 프로세스).
그리고 나서, 상기 감광드럼(1Y)의 표면이 상기 중간 전사벨트(8)와 제 1전사 바이어스 롤러(9Y)를 향하는 위치에 도달하고, 상기 감광드럼(1Y)상의 토너화상이 이 위치에서 상기 중간 전사벨트(8) 상으로 전사된다(제 1전사 프로세스). 이때, 미전사된 토너는 상기 감광드럼(1Y) 상에 약간 남아있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감광드럼(1Y)의 표면이 상기 클리닝부(2Y)를 향하는 위치에 도달하고, 상기 감광드럼(1Y) 상에 남아 있는 미전사된 토너는 이 위치에서 회복된다(클리닝 프로세스).
결국, 상기 감광드럼(1Y)의 표면이 도시되지 않은 중화부를 향하는 위치에 도달하고, 상기 감광드럼(1Y)상의 잔류 가능성은 이 위치에서 제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감광드럼(1Y)상에서 수행되는 화상 발생 프로세스의 라인은 완료된다.
상술한 화상 발생 프로세스는 다른 화상 발생부(6M,6C,6K)에서 뿐만 아니라 열로우 화상 형성부(6Y)와 유사한 방식으로 실행된다. 특히, 상기 화상 발생부의 하부에 배치된 노광부(7)로부터, 화상정보에 근거한 레이저빔(L)은 각각의 화상 발생부(6M,6C,6K)의 감광드럼들 상으로 방사된다. 특히, 상기 노광부(7)에서, 다각형 거울의 회전구동에 의해 스캔되는 동안 상기 광원은 복수개의 광학요소들을 통해 상기 감광드럼 상으로 방사되는 레이저빔(L)을 방사한다. 그 이후에, 현상 프로세스를 통과함으로써 각각의 광학드럼상에 형성되는 다른 색상을 가진 토너화상들은 다른 화상의 상부에 겹쳐져 상기 중간 전사벨트(8) 상으로 전사된다. 그 결과 컬러 화상이 상기 중간 전사벨트(8)상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중간 전사유닛(15)은 상기 중간 전사벨트(8), 네개의 제 1전사 바이어스 롤러(9Y,9M,9C,9K), 제 2전사 백업 롤러(12), 클리닝 백업 롤러(13), 텐션롤러(14), 중간 전사클리닝부(10) 등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중간 전사벨트(8)는 세개의 롤러(12-14)에 의해 신장되고 지지되며, 상기 롤러들 중 하나의 롤러, 예컨대 롤러(12)의 회전구동에 의해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계속해서 이동된다. 상기 네개의 제 1전사 바이어스 롤러(9Y,9M,9C,9K)들 각각은 상기 제 1전사 바이어스 롤러들과 상기 감광드럼(1Y,1M,1C,1K)들 사이에 개재된 상기 중간 전사벨트(8)를 구비함으로써 제 1전사닙을 형성한다. 상기 제 1전사 바이어스 롤러(9Y,9M,9C,9K)들은 상기 토너의 극성과 반대극성을 가진 전사 바이어스에 영향을 받는다. 그 후에 상기 전사벨트(8)는 상기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고, 순차적으로 각 제 1전사 바이어스 롤러(9Y,9M,9C,9K)의 제 1전사닙들을 통과한다. 그 결과, 각 감광드럼(1Y,1M,1C,1K)들 상의 다른 색상들을 가진 토너 화상들은 다른 화상들의 상부에 겹쳐져 상기 중간 전사벨트(8) 상으로 1차 전사된다.
다른 색상들을 가진 토너 화상들이 다른 화상의 상부에 겹쳐져 전사되는 상기 중간 전사벨트(8)는 그 이후에 제 2전사롤러(19)와 마주하는 위치에 도달한다. 이 위치에서 상기 제 2전사 백업 롤러(12)는 상기 제 2전사 백업롤러(12)와 제 2전사 롤러(19) 사이에 개재된 중간 전사벨트(8)을 구비함으로써 제 2전사닙을 형성한다. 상기 중간 전사벨트(8)상에 형성된 네개의 토너화상들 각각은 상기 제 2전사닙의 위치로 이송되는 전사지와 같은 전사수용부재(P) 상으로 전사된다. 이때, 상기 전사수용부재(P) 상으로 전사되지 않은 토너는 상기 중간 전사벨트(8) 상에 남아있다. 상기 중간 전사벨트(8)는 상기 중간 전사 클리닝부(10)의 위치에 도달한다. 상기 중간 전사벨트(8)상으로 전사되지 않은 토너는 그리고 나서 이 위치에서 회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중간 전사벨트(8) 상에서 실행되는 전사 프로세스의 라인은 완료된다.
상기 제 2전사닙의 위치로 이송된 전사수용부재(P)는 용지 공급롤러(27), 한 쌍의 저항롤러(resist roller)(28) 등을 통해 상기 장치의 본체(100)의 하부에 배치된 용지 공급부(26)로부터 이송됨으로써 얻어진다. 특히, 전사지 등과 같은 다수개의 전사수용부재(P)들은 다른 화상의 상부에 겹쳐지고, 용지 공급부(26)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용지 공급 롤러(27)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될 때, 상부의 전사수용부재(P)는 이송되어 상기 한 쌍의 저항롤러(28)의 롤러들 사이로 공급된다. 상기 한 쌍의 저항롤러(28)로 이송된 전사수용부재(P)는 회전구동을 정지시키는 상기 한 쌍의 저항롤러(28)들 사이의 롤러닙 위치에서 일단 정지된다. 상기 한 쌍의 저항롤러(28)들은 상기 중간 전사벨트(8) 상의 컬러화상과 타이밍을 맞추어 회전구동되고, 상기 전사수용부재(P)는 상기 제 2전사닙 쪽으로 이송된다. 그 결과 바람직한 컬러화상이 상기 전사수용부재(P)상으로 전사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컬러화상이 상기 제 2전사닙의 위치에서 전사된 전사수용부재(P)는 고정부(20)의 위치로 이송된다. 이 위치에서 상기 전사수용부재(P)의 표면에 전사된 상기 컬러화상은 고정롤러와 가압롤러로부터의 열과 압력에 의해 상기 전사사수용부재(P) 상에 고정된다. 상기 전사수용부재(P)는 그리고 나서 한 쌍의 용지배출롤러(29)의 롤러들 사이를 통해 상기 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한 쌍의 용지배출롤러(29)에 의해 상기 장치의 외부로 배출된 전사수용부재(P)는 적재부(30)상에 출력화상들로 순차적으로 적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화상 형성 프로세스의 라인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화상 발생부에 있는 현상기의 구성과 작동이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상기 현상기(5Y)는 상기 감광드럼(1Y)과 마주보는 현상제 지지체로서의 현상롤러(51Y), 상기 현상롤러(51Y)와 마주하는 닥터블레이드(doctor blade), 현상제 용기(53Y,54Y)의 내부에 배치된 두 개의 이송 스크류(55Y), 개구부를 통해 상기 현상제 용기(54Y)에 연결된 토너 보급부(58Y), 및 상기 현상제 등에서 토너의 밀도를 감지하는 밀도감지센서(56Y)로 구성된다. 현상롤러(51Y)는 그 안에 고정설치된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 둘레를 회전하는 슬리브등으로 구성된다. 담체(carrier)와 토너로 구성된 두가지 성분의 현상제는 상기 현상제 용기(53Y,54Y)들에 담겨있다.
현상기(5Y)에 있는 토너 보급부(58Y)의 구성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현상기(5Y)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특히, 상기 현상롤러(51Y)의 슬리브는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마그네트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상기 현상롤러(51Y)상에 지지되는 현상제는 상기 슬리브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현상롤러(51Y)상에서 움직인다. 상기 현상기(5Y)에서의 현상제는 현상제에서의 토너의 비(토너밀도)가 미리결정된 범위이내가 되도록 조절된다. 특히, 상기 토너는 토너 이송부(40Y)의 토너 이송파이프(43Y)로부터 상기 토너 보급부(58Y)를 통해 현상기(5Y)에서의 토너의 소비량에 따라 상기 현상제 용기(54Y)내로 보급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현상제 용기(54Y)속으로 보급된 토너는 두개의 이송 스크류(55Y)에 의해 현상제와 혼합되고 휘저어지며, 상기 두개의 현상제 용기(53Y,54Y)를 통해 순환된다.(이것이 도 2에서 용지공간의 수직방향으로의 움직임이다.) 현상제 내에 있는 토너는 그리고 나서 담체와 마찰전하에 의해 담체에 흡수되고, 현상롤러(51Y) 상에 형성된 자기력에 의해 상기 현상롤러(51Y) 상에서 담체와 함께 지지된다.
상기 현상롤러(51Y) 상에 지지된 현상제는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 닥터블레이드(52Y)의 위치에 도달한다. 상기 현상롤러(51Y) 상의 현상제는 그리고 나서 현상제의 양이 이 위치에서 조절된 후에 상기 감광드럼(1Y)을 향하는 위치(현상영역)로 이송된다. 상기 토너는 현상영역에서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감광드럼(1Y) 상에 형성된 잠상에 흡수된다. 이후에, 현상롤러(51Y) 상에 남아 있는 현상제는 상기 슬리브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현상제 용기(53Y)의 상부에 도달하고, 이 위치에서 상기 현상롤러(51Y)로부터 분리된다.
다음으로, 토너를 상기 현상기에 공급하는 토너 이송부의 구성과 작동이 이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상기 토너 이송부의 용기보관소(31)는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화상 형성장치 본체(100) 상부에 배치된다. 각각의 색상(옐로우, 마젠타, 청록 및 블랙)을 교환가능하게 수용하는 네개의 토너용기(toner bottle)(32Y,32M,32C,32K)가 상기 용기보관소(31)에 담겨있다.
상기 토너용기(32Y,32M,32C,32K)에 담겨진 다른 색상들을 구비한 토너들은 후술할 토너 이송부에 의해 그에 알맞게 각각 화상 발생부(6Y,6M,6C,6K)속으로 보급된다.
도 3은 상기 토너용기(32Y)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토너용기(32K)가 상기 토너 보관소(31)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너용기(32Y)는 용기본체(33Y)와 상기 용기본체(33Y)의 끝단부에 제공된 수지케이스(34Y)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지케이스(34Y)는 그 둘레면에 핸들(35Y)과 셔터(36Y)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33Y)는 상기 수지케이스(34) 쪽에 상기 용기본체(33Y)와 일체로 회전하는 기어(37Y)가 제공된다.
상기 토너용기(32Y)를 상기 장치의 본체(100)에 장착할 대, 우선 도 1에 도시된 적재부(30)는 상기 용기보관소(31)를 노출시키도록 상방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용기보관소(31)에 토너용기(32Y)를 장착시킨 후, 상기 핸들(35Y)은 도 4에 도시된 대로 회전된다. 그 결과, 상기 핸들(35Y)과 일체로 형성된 수지케이스(34Y)는 회전되고, 상기 셔터(36Y)는 상기 수지케이스(34Y)의 둘레방향으로 이동되며, 토너 배출구(미도시)가 개방된다. 동시에, 상기 수지케이스(34Y)와 상기 용기보관소(31)는 상기 용기보관소(31) 상의 토너용기(32Y)의 위치가 결정되어 서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장치의 본체(100)로부터 토너용기(32Y)를 제거할 때, 우선 상기 토너용기(32Y)의 핸들(35Y)은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상기 수지케이스(34Y)와 상기 용기보관소(31)는 풀리며, 상기 셔터(36Y)는 동시에 움직여 상기 토너의 배출구를 폐쇄시킨다. 그리고 나서, 상기 토너용기(32Y)는 상기 장치의 본체(100)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토너 이송부의 주요부분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 5는 상기 토너용기(32Y,32M,32C,32K)들이 상기 토너 이송부(40Y,40M,40C,40K)들과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정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토너용기(32Y,32M,32C,32K)들이 상기 토너 이송부(40Y,40M,40C,40K)들과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토너 이송부(40Y,40M,40C,40K)들은 상기 장치의 본체(100)의 내부에 있는 상기 중간 전사유닛(15)의 측면에 고정설치된다. 이 사실과 함께, 상기 토너용기(32Y,32M,32C,32K)의 상기 토너 배출구 쪽은 상기 토너 이송부(40Y,40M,40C,40K)들과 연결되고, 상기 현상기(5Y)의 토너 보급부(58Y)는 또한 상기 중간 전사유닛(15)의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네개의 토너 이송부(40Y,40M,40C,40K)들의 구조는 이송될 각 토너의 색상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옐로우 토너 이송용 상기 토너 이송부(40Y)가 이제 설명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너 이송부(40Y)는 구동모터(41Y), 구동기어(42Y) 및 토너 이송파이프(43Y)로 주로 구성된다. 상기 토너 이송파이프(43Y)는 이송코일(미도시)이 그 안에 제공된다. 상기 구동기어(42Y)는 상기 토너용기(32Y)의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토너용기(32Y)의 용기본체(33Y)는 상기 구동모터(41Y)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된다.
상기 토너는 상기 현상기(5Y)에서의 토너 소비량에 따라 상기 토너용기(32Y)가 회전됨으로써 배출된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현상기(5Y)의 밀도 감지센서(56Y)가 상기 토너 용기(54Y)내의 토너의 밀도가 불충분하다는 것을 감지할 때, 상기 구동모터(41Y)는 제어부(57)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의해 회전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토너용기(32Y)의 용기본체(33Y)에서의 내측표면은 거기에 형성된 나선홈(38Y)을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토너는 상기 용기본체(33Y)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33Y)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수지케이스(34Y)의 끝단부쪽으로 이송된다. 상기 토너는 그리고 나서 상기 토너용기(32Y)의 토너 배출구로부터 상기 용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용기본체(33Y)와 접촉하는 롤러(60)는 상술한 토너용기(32Y)의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용기보관소(31)에 설치된다.
그 이후에, 상기 토너용기(32Y)로부터 배출된 토너는 상기 토너 이송부(40Y)의 토너 수용부(미도시) 상으로 떨어진다. 상기 토너 수용부는 상기 토너 이송파이프(43Y)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동모터(41Y)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용기본체(33Y)는 회전되고 동시에 상기 토너 이송파이프(43Y)내의 이송코일이 회전된다. 그 결과, 상기 토너수용부상으로 떨어진 토너는 상기 토너 이송파이프(43Y)내로 이송되고, 상기 현상기(5Y)의 토너 보급부(58Y)에 보급된다.
다음으로, 상기 현상기와 토너 이송부 사이의 연결구조가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7은 상기 현상기(5Y)가 상기 토너 이송부(40Y)의 토너 이송파이프(43Y)와 연결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현상기(5Y)가 상기 토너 이송부(40Y)의 토너 이송파이프(43Y)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도 7의 선 Z-Z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장치의 본체(100)로의 상기 현상기(5Y)의 부착 및 그로부터의 분리와 함께, 상기 현상기(5Y)의 토너 보급부(58Y)는 상기 장치 본체(100)의 토너 이송파이프(43)와 접촉 및 그로부터 분리된다. 즉, 상기 현상기(5Y)가 도 7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장치 본체(100)에 부착될 때, 상기 토너 이송파이프(43Y)는 상기 토너 보급부(58Y)와 결합한다. 한편, 상기 현상기(5Y)가 도 7의 화살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장치 본체(100)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토너 보급부(58Y)와 토너 이송파이프(43Y) 사이의 결합은 해제된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상기(5Y)의 토너 보급부(58Y)는 상기 현상제 용기(54Y), 상기 셔터(71Y)를 움직이게 하기 위한 스프링(72Y)등으로 나있는 개구부(78Y)를 개폐시키기 위한 셔터(71Y)가 제공된다. 또한, 토너 보급부(58Y)와 현상제 용기(54Y)의 기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실부재(seal member)(73Y)는 이들 모두의 기밀도를 증가시키 위해 토너 보급부(58Y)와 현상제 용기(54Y) 사이의 연결부에서 상기 현상제 용기(54Y)에 적용된다. 한편, 상기 토너 이송파이프(43Y)의 개구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파이프 셔터(44Y)와, 상기 파이프 셔터(44Y)를 움직이게 하기 위한 스프링(72Y)은 상기 장치 본체(100)에 고정설치된 토너 이송부(40Y)의 토너 이송파이프(43Y)의 끝단부에 설치된다.
그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토너는 상기 토너 이송부(43Y)가 상기 현상기(5Y)의 토너 보급부(58Y)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토너 이송부(40Y)로부터 토너 용기(54Y)로 보급될 수 있다. 특히,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토너 이송파이프(43Y)가 상기 토너 보급부(58Y)에 삽입될 때, 상기 토너 이송파이프(43Y)의 끝단부는 상기 셔터(71Y)와 접촉하고, 상기 셔터(71Y)는 도 8의 좌측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상기 토너 보급부(58Y)와 상기 현상제 용기(54Y)는 상기 개구부(78Y)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동시에, 상기 토너 보급부(43Y)의 파이프 셔터(44Y)는 상기 토너 보급부(58Y)의 내측벽상에 제공되는 돌출부와 결합하여 상기 파이프 셔터(44Y)가 상기 돌출부의 위치에서 고정되고, 상기 토너 이송파이프(43Y)의 개구부(78Y)는 개방된다. 그 결과, 상기 토너 이송파이프(43Y)와 상기 토너 보급부(58Y)는 상기 개구부(78Y)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토너는 상기 토너 이송부(40Y)로부터 상기 토너 용기(54Y)로 보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너 이송파이프(43Y)가 상기 토너 보급부(58Y)로부터 당겨질 때, 상기 토너 이송파이프(43Y)의 끝단부로부터 발생된 셔터(71Y)의 압력은 해제되고, 상기 셔터(71Y)는 상기 스프링(72Y)의 힘이 작용함으로써 도 8의 오른쪽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상기 토너 보급부(58Y)와 상기 현상제 용기(54Y) 사이의 개구부(78Y)는 상기 셔터(71Y)에 의해 폐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현상제 용기(54Y)내의 현상제는 상기 개구부(78Y)를 통해 상기 현상기(5Y)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동시에, 상기 토너 이송파이프(43Y)의 파이프 셔터(44Y)와 상기 토너 보급부(58Y) 사이의 결합은 해제되고, 상기 파이프 셔터(44Y)는 상기 스프링(45Y)의 결합력에 의해 상기 토너 이송파이프(43Y)의 끝단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상기 토너 이송파이프(43Y)의 개구부(78Y)는 상기 파이프 셔터(44Y)에 이해 폐쇄된다. 이로한 방식으로, 상기 토너 보급부(40Y)내의 토너는 상기 토너 이송파이프(43Y)의 개구부(78Y)를 통해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특징중의 하나인 시트부재(74Y)가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9는 출하시 상기 현상기(5Y)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현상기(5Y)가 상기 장치의 본체(100)에 포함된 상태와, 상기 토너 보급부(58Y)와 토너 이송부(40Y)가 서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술한 도 8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출하시 상기 현상기(5Y)에서 상술한 현상제는 상기 현상제 용기(53Y,54Y)에 미리 담겨져(프리세트), 출하목적지에서 언패킹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출하시 상기 현상기(5Y)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0)에 부착되어 패킹된다. 결국, 출하시 포장 시스템이 단순화될 뿐만 아니라, 출하목적지에서 언패킹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상기 장치의 본체(100)에 부착되어 있는 현상기(5Y)를 패킹함으로써, 상술한 토너 보급부(58Y)와 토너 이송파이프(43Y)는 서로 접촉한다는 것을 유념해야한다. 즉, 상기 셔터(71Y)와 상기 파이프 셔터(44Y)는 개방되고, 상기 개구부(78Y)는 폐쇄되어 있다.
도 9와 도 10뿐만 아니라 도 2의 파선의 위치들을 참조하면, 상술한 개구부(78Y)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로서의 시트부재(74Y)는 출하시 상기 현상기(5Y)에 설치된다. 특히, 상기 시트부재(74Y)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너 보급부(58Y)와 상기 현상제 용기(54Y)의 실부재(73Y)의 사이에 개재된다. 더욱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부재(74Y)의 끝단부는 상기 현상기(5Y)의 외부로 돌출되고 언패킹 작업자가 상기 시트부재(74Y)를 당길 수 있는 위치로 신장된다. 상기 시트부재(74Y)의 재질로는 우레탄 재질, 마일라(Mylar) 재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재(74Y)에서, 잘 떨어질 수 있는 접착제는 상기 개구부(78Y)에 대응하는 위치 주변에 발라진다. 이 때문에, 상기 시트부재(74Y)가 현상기(5Y)에 부착될 때 얻어지는 밀봉성과 상기 시트부재(74Y)가 현상기(5Y)로부터 당겨질 때 얻어지는 조작성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현상제가 상기 현상제 용기(53Y,54Y)내에 프리세트된 현상기(5Y)가 상기 장치 본체(100)내에 설치되는 때와 상기 셔터(71)와 상기 파이프 셔터(44Y)가 개방되는 때에도 상기 시트부재(74Y)는 상기 개구부(78Y)를 실링한다. 따라서, 출하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동안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충격이 전달되는 때에도, 상기 현상제가 상기 개구부(78Y)로부터 및 상기 토너 이송부(40Y)의 토너 수용위치로부터 거꾸로 상기 토너 이송파이프(43Y)를 흐르지 못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화상 형성장치가 공장으로부터 사용자에게 출하되고 상기 장치의 본체(100) 상에서 상기 현상기(5Y)의 사용이 개시되기까지 상기 토너 보급부(58Y)의 개구부(78Y)를 실링하기 위한 시트부재(74Y)가 상기 현상기(5Y)에 이미 설치된 상태라는 것을 유념해야한다. 상기 장치의 본체(100)상에서 현상기(5Y)를 사용하기 시작할 때, 상기 시트부재(74Y)는 언패킹 작업자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당겨진다. 그 결과, 상기 현상기(5Y)와 상기 토너 이송부(40Y)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현상기(5Y)에 의해 수행되는 현상 프로세스가 가능해진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하시 상기 현상기(5Y)는 상기 시트부재(74Y)로부터 독립적으로 현상롤러(51Y)의 일부가 노출되지 않게 하고 현상제가 감광드럼(1Y)과 마주하는 개구로부터 누출되지 않게 하기 위한 제 2실링부재로서의 시트물질(80Y)이 제공된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시트부재(80Y)는 현상제가 담기는 공간이 현상롤러(51Y)나 닥터 블레이드(52Y)가 설치되는 공간으로부터 격리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부재(80Y)의 끝단부는 상기 현상기(5Y)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포장 작업자가 상기 시트부재(80Y)를 당길 수 있는 위치로 신장한다. 상기 시트부재(80Y)의 재질로서, 우레탄 재질, 마일라(Mylar) 재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재(80Y)에서, 잘 떨어질 수 있는 접착제는 상기 현상기(5Y)의 케이스에 대응하는 위치에 발라진다. 이 때문에, 상기 시트부재(80Y)가 현상기(5Y)에 부착될 때 얻어지는 밀봉성과 상기 시트부재(80Y)가 현상기(5Y)로부터 당겨질 때 얻어지는 조작성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2시트부재(80Y)가 현상제가 상기 현상제 용기(53Y,54Y)에 프리세트된, 상기 현상기(5Y) 상에서 현상롤러(51Y)의 위치의 개구를 확실하게 밀봉한다. 그 결과, 화상 형성장치가 공장으로부터 출하되어 상점이나 사용자에게 운반되는 동안 충격이 가해지는 때에도, 현상제는 상기 현상롤러(51Y)의 위치의 개구로부터 뿌려지는 것이 방지되거나 상기 감광드럼(1Y)이 뿌려지는 현상제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한 시트부재(74Y)와 같이, 상기 제 2시트부재(80Y)도 또한 현상기(5Y)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가 공장으로부터 사용자에게 출하되고 상기 장치의 본체(100)상의 현상기(5Y)의 사용이 개시될 때까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장치의 본체(100) 상의 현상기(5Y)를 사용하기 시작할 때, 상기 시트부재(80Y)는 언패킹 작업자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진다. 그 결과, 상기 현상제는 상기 현상제 용기(53Y)에 있는 현상롤러(51Y)로 공급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현상기(5Y)에 의해 실행되는 현상 프로세스가 가능해진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서, 출하시 상기 현상기(5Y)에 설치될 두개의 시트부재(74Y,80Y)가 독립적인 부재이더라도, 이러한 시트부재(74Y,80Y)들은 하나의 시트부재를 얻기 위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치를 언패킹하기 위한 인시(man-hours)는 감소되며, 언패킹 작업자의 작업효율은 향상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장치에서, 그 안에 프리세트된 현상제를 구비한 상태로 상기 화상 형성장치 본체(100)에 부착된 상기 현상기(5Y)가 출하되는 경우에도, 상기 시트부재(74Y)는 상기 현상제 용기(54Y) 및 토너 보급부(58Y)와 연결된 개구부(78Y)에 설치된다. 따라서, 높은 신뢰성을 가진 현상기와 현상제가 상기 현상기(5Y)의 외부로 뿌려지지 않는 화상 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현상기(5Y)는 상기 감광드럼(1Y) 등과 같은 화상 발생부재와 다른 구성을 갖도록 설계된다. 한편, 현상기(5Y)는 현상기(5Y)가 상기 감광드럼(1Y) 등과 같은 화상 형성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로 취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기(5Y)는 디바이스 유닛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 현상기(5Y)를 감광드럼(1Y), 대전부(4Y), 이송부(15) 및 클리닝부(2Y) 중의 적어도 하나와 일체화시킴으로써 상기 장치의 본체(10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현상제가 프리세트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나 디바이스 유닛이 상기 화상 형성장치 본체(100)에 부착되어 출하되는 경우, 상기 현상제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나 디바이스 유닛의 외부로 뿌려지는 것이 상기 현상기(5Y)의 개구부(78Y)에 상기 시트부재(74Y)를 설치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현상제가 프리세트된 현상기가 공장출하시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포장되는 때에도, 상기 실링부재는 현상제 용기와 토너 보급부와 연결된 개구부에 설치되어, 현상제가 상기 현상기의 외부로 뿌려지지 않고 높은 신뢰성을 가진 현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디바이스 유닛 및 화상 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양한 변형구조는 당업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개시내용을 습득하고 가르친 후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의 전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화상 형성장치의 화상 발생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화상 형성장치에 설치되는 토너용기(toner bottle)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토너용기가 용기보관소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토너용기가 토너 이송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토너용기가 토너 이송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다른 사시도이다.
도 7은 현상기가 화상 형성장치에서 토너 이송부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현상기가 토너 이송부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화상 형성장치에 설치된 현상기의 출하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현상기가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포함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Y,1M,1C,1K..... 감광드럼 2Y.....클리닝부
4Y..... 대전부 5Y..... 현상기
6Y,6M,6C,6K..... 화상발생부 8..... 중간 전사벨트
9Y,9M,9C,9K..... 제 1전사 바이어스 롤러 15..... 중간 전사유닛
100..... 화상 형성장치 본체

Claims (13)

  1. 현상기에 있어서,
    현상제를 담기 위한 현상제 용기;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된 토너 이송부와 연결되고, 개구부를 통해 상기 현상제 용기와 연결되는 토너 보급부; 및
    상기 현상기가 상기 화상 형성장치 본체 상에서 사용될 때까지 상기 개구부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현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보급부는 상기 토너 이송부와 접촉하거나 그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를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3. 제 1항에 있어서, 현상제 지지체의 일부가 노출되고 화상 지지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개구; 및
    상기 화상 형성장치 본체 상에서 현상기가 사용되기 전에는 상기 현상제 용기에 있는 현상제가 상기 개구로부터 누출되지 않도록 상기 개구를 실링하기 위한 제 2실링부재;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실링부재는 상기 실링부재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5. 현상기가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제공된 화상 형성장치에 있어서,
    현상제를 담기 위한 현상제 용기;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된 토너 이송부와 연결되고 개구부를 통해 상기 현상제 용기와 연결되는 토너 보급부; 및
    상기 현상기가 상기 화상 형성장치 본체 상에서 사용될 때까지 상기 개구부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현상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보급부는 출하시 상기 토너 이송부와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7. 현상기가 화상 지지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는
    현상제를 담기 위한 현상제 용기;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된 토너 이송부와 연결되고 개구부를 통해 상기 현상제 용기와 연결되는 토너 보급부; 및
    상기 현상기가 상기 화상 형성장치 본체 상에서 사용될 때까지 상기 개구부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지지체의 상부를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부 및 상기 화상 지지체 상에서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부 중의 적어도 하나가 추가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9. 프로세스 커트리지가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화상형성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토너 보급부는 출하시 상기 토너 이송부와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11.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현상기가 제공되는 디바이스 유닛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가
    현상제를 담기 위한 현상제 용기;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된 토너 이송부와 연결되고, 개구부를 통해 상기 현상제 용기와 연결되는 토너 보급부; 및
    상기 현상기가 상기 화상 형성장치 본체 상에서 사용될 때까지 상기 개구부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화상 지지체, 상기 화상 지지체의 상부를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부, 상기 화상 지지체 상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전사수용물질(transfer receiving material)에 전사하기 위한 전사부, 및 상기 화상 지지체 상에서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부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현상기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유닛.
  12.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디바이스 유닛을 구비하고, 현상기가 제공된 화상 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는
    현상제를 담기 위한 현상제 용기;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된 토너 이송부와 연결되고, 개구부를 통해 상기 현상제 용기와 연결되는 토너 보급부; 및
    상기 현상기가 상기 화상 형성장치 본체 상에서 사용될 때까지 상기 개구부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화상 지지체, 상기 화상 지지체의 상부를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부, 상기 화상 지지체 상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전사수용물질(transfer receiving material)에 전사하기 위한 전사부, 및 상기 화상 지지체 상에서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부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현상기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보급부는 출하시 상기 토너 이송부와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KR1020040111320A 2003-12-25 2004-12-23 현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디바이스 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KR1006850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29284A JP4341957B2 (ja) 2003-12-25 2003-12-25 画像形成装置
JPJP-P-2003-00429284 2003-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397A true KR20050065397A (ko) 2005-06-29
KR100685011B1 KR100685011B1 (ko) 2007-02-20

Family

ID=34545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1320A KR100685011B1 (ko) 2003-12-25 2004-12-23 현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디바이스 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28393B2 (ko)
EP (1) EP1548518B1 (ko)
JP (1) JP4341957B2 (ko)
KR (1) KR100685011B1 (ko)
CN (1) CN100407066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834B1 (ko) * 2005-08-20 200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토너 카트리지
KR100864713B1 (ko) * 2006-07-20 2008-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토너교반필름, 토너교반부재 및 이를 구비한 토너공급장치
KR100873449B1 (ko) * 2006-07-20 2008-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토너탱크, 슬라이드 셔터, 실링부재, 탄성부재, 및 이를 구비한 토너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9031A (ja) 2002-09-24 2004-05-1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補給用トナー収容器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383898B2 (ja) 2003-02-28 2009-12-1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容器、現像剤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41957B2 (ja) 2003-12-25 2009-10-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5221825A (ja) * 2004-02-06 2005-08-18 Ricoh Co Ltd トナー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トナー容器、トナー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4656561B2 (ja) * 2004-03-05 2011-03-2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トナー補給装置、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7720416B2 (en) 2004-08-16 2010-05-18 Ricoh Company, Ltd. Method and toner bottl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supplying toner to image forming apparatus
US7315715B2 (en) * 2004-09-08 2008-01-01 Ricoh Co. Ltd.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image forming
JP4755867B2 (ja) 2004-11-26 2011-08-24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4900552B2 (ja) * 2005-03-17 2012-03-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525596B2 (ja) * 2006-01-06 2010-08-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インク受容性粒子、マーキング材料、インク受容方法、記録方法
US7879416B2 (en) 2005-06-17 2011-02-01 Fuji Xerox Co., Ltd. Ink receptive particles, marking materials system, ink receiving method, recording method, recording apparatus, and ink receptive particle storage cartridge
JP4824980B2 (ja) * 2005-09-12 2011-11-30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250932B2 (ja) * 2006-01-10 2013-07-31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トナー容器、画像形成装置
JP4827240B2 (ja) * 2006-01-20 2011-11-30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279532A (ja) * 2006-04-11 2007-10-25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4764766B2 (ja) * 2006-05-01 2011-09-07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162021B2 (ja) * 2006-08-02 2008-10-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インク受容性粒子、記録用の材料
US7638562B2 (en) 2006-08-02 2009-12-29 Fuji Xerox Co., Ltd. Ink receptive particles, material for recording, recording apparatus and ink receptive particle storage cartridge
US7865091B2 (en) * 2007-01-10 2011-01-04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transfer surface with elasticity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09190218A (ja) * 2008-02-13 2009-08-27 Fuji Xerox Co Ltd インク受容性粒子、記録装置、記録用の材料、及びインク受容性粒子収納カートリッジ
JP4442696B2 (ja) * 2008-03-24 2010-03-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インク受容性粉体粒子、記録用の材料、記録装置、及びインク受容性粉体粒子収納部材
JP5029659B2 (ja) 2009-06-30 2012-09-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現像剤カートリッジ
JP4868033B2 (ja) 2009-06-30 2012-02-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剤カートリッジおよび現像装置
EP2273318A3 (en) * 2009-07-08 2016-08-31 Ricoh Company, Ltd. Developmen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725742B2 (ja) * 2010-06-28 2015-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5915926B2 (ja) * 2011-11-11 2016-05-11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並びにこれを用い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675888B2 (ja) 2012-05-17 2015-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CN103869661B (zh) 2012-12-17 2018-09-11 株式会社理光 显影装置以及图像形成装置
US9244382B2 (en) 2013-06-25 2016-01-2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6365930B2 (ja) 2014-06-12 2018-08-01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663587B2 (ja) * 2015-10-16 2020-03-13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2080152A (ja) * 2020-11-17 2022-05-27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納容器、画像形成装置、及び、シャッタ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0584A (ja) 1988-10-20 1990-04-2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927828B2 (ja) 1989-08-18 1999-07-28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器
JPH04477A (ja) 1990-04-17 1992-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ナー容器
JPH0484156A (ja) 1990-07-26 1992-03-17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2531931B2 (ja) 1991-07-29 1996-09-04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芳香族有機カ―ボネ―トの製法
JP3168058B2 (ja) 1992-04-10 2001-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2761158B2 (ja) 1992-08-12 1998-06-04 株式会社リコー クリーニング装置
US5264901A (en) * 1992-12-28 1993-11-23 Future Communications Corporation Toner cartridge seal
IT1268121B1 (it) 1993-10-15 1997-02-20 Seiko Epson Corp Apparecchiatura per la formazione di immagini
DE4446997B4 (de) * 1993-12-28 2005-11-24 Ricoh Co., Ltd. Entwicklungsvorrichtung für eine Bilderzeugungseinrichtung
JP3387596B2 (ja) 1993-12-28 2003-03-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剤受け入れ装置
JPH0815990A (ja) * 1994-04-28 1996-01-19 Ricoh Co Ltd 現像装置
US5625438A (en) * 1994-05-12 1997-04-29 Ricoh Company, Ltd. Toner, and devices for electrostatically depositing a uniform application thereof
JPH0830041A (ja) * 1994-05-13 1996-02-02 Ricoh Co Ltd 現像装置
US5689782A (en) * 1994-06-08 1997-11-18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apparatus for electronic photographic recording equipment, having two developer transfer rollers
JPH0882999A (ja) * 1994-09-09 1996-03-26 Ricoh Co Ltd 現像装置
JPH0882998A (ja) * 1994-09-09 1996-03-26 Ricoh Co Ltd 現像装置
JP2987083B2 (ja) 1994-10-21 1999-12-06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8146747A (ja) * 1994-11-23 1996-06-07 Ricoh Co Ltd 現像装置
JP3501428B2 (ja) * 1994-12-16 2004-03-02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搬送ローラ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8179618A (ja) * 1994-12-21 1996-07-1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356249B2 (ja) 1995-10-25 2002-12-1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H0915976A (ja) * 1995-04-28 1997-01-17 Ricoh Co Ltd 現像装置
US5819145A (en) * 1995-07-31 1998-10-06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device for forming a uniform toner layer on a developing roller
JP3434116B2 (ja) 1996-03-28 2003-08-0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H10123837A (ja) 1996-10-22 1998-05-1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0293451A (ja) 1997-04-21 1998-11-04 Ricoh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KR100310126B1 (ko) * 1997-06-06 2002-02-19 이토가 미찌야 감광체드럼이통합된회전형현상유니트
JPH1130905A (ja) 1997-07-10 1999-02-02 Ricoh Co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0181210A (ja) 1998-12-16 2000-06-30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装置及びトナ―補給容器
JP2000187382A (ja) 1998-12-22 2000-07-04 Canon Inc トナー補給装置
CN1138185C (zh) * 1999-01-14 2004-02-11 株式会社理光 检测密封部件是否除去的方法及图像形成装置
JP3498005B2 (ja) 1999-04-30 2004-02-16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
JP3889184B2 (ja) 1999-06-07 2007-03-07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式画像形成装置
JP3981504B2 (ja) 1999-09-06 2007-09-2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222157A (ja) 2000-02-09 2001-08-17 Canon Inc シャッター部材及び現像剤補給容器と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と現像剤補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99506B2 (ja) * 2000-05-22 2004-02-23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
EP1184741B1 (en) * 2000-09-01 2010-07-28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having developer supply opening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able therewith
JP4342742B2 (ja) * 2001-04-16 2009-10-14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該トナー補給装置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2341638A (ja) 2001-05-14 2002-11-29 Ricoh Co Ltd 現像装置
JP4132728B2 (ja) * 2001-06-08 2008-08-13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435153B2 (ja) 2001-09-03 2003-08-11 パナソニック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器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現像装置
TW543553U (en) * 2002-02-08 2003-07-21 Gen Plastic Ind Co Ltd Powder supply mechanism for carbon toner cartridge
JP3914755B2 (ja) * 2001-11-27 2007-05-1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223044A (ja) 2002-01-31 2003-08-08 Ricoh Co Ltd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3255806A (ja) 2002-02-28 2003-09-10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028299A (ja) * 2002-06-28 2004-01-29 Ricoh Co Ltd 回転体支持構造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212767B2 (en) * 2002-08-09 2007-05-01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removably mounted thereto
EP1429209A3 (en) * 2002-09-19 2004-08-25 Ricoh Company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for use in the same
JP2004139031A (ja) 2002-09-24 2004-05-1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補給用トナー収容器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EP1431837B1 (en) * 2002-12-20 2014-12-03 Ricoh Company, Ltd. A colour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nstallable process cartridges
US7076192B2 (en) * 2002-12-27 2006-07-11 Ricoh Company, Ltd. Powder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4383898B2 (ja) * 2003-02-28 2009-12-1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容器、現像剤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695335B2 (ja) * 2003-02-28 2011-06-08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1452931A1 (en) * 2003-02-28 2004-09-01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installable process cartridge
JP4341957B2 (ja) 2003-12-25 2009-10-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465226B2 (ja) * 2004-06-03 2010-05-19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並びにこれを用い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834B1 (ko) * 2005-08-20 200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토너 카트리지
KR100864713B1 (ko) * 2006-07-20 2008-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토너교반필름, 토너교반부재 및 이를 구비한 토너공급장치
KR100873449B1 (ko) * 2006-07-20 2008-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토너탱크, 슬라이드 셔터, 실링부재, 탄성부재, 및 이를 구비한 토너공급장치
US7650097B2 (en) 2006-07-20 2010-0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e shutter and toner supply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809312B2 (en) 2006-07-20 2010-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ner agitator, toner supply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supplying t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5011B1 (ko) 2007-02-20
CN100407066C (zh) 2008-07-30
EP1548518B1 (en) 2012-02-08
CN1637650A (zh) 2005-07-13
US20050158071A1 (en) 2005-07-21
JP2005189423A (ja) 2005-07-14
US7428393B2 (en) 2008-09-23
EP1548518A1 (en) 2005-06-29
JP4341957B2 (ja) 200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5011B1 (ko) 현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디바이스 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JP4368331B2 (ja) トナーボトル及び画像形成装置
US5903806A (en) Developing agent replenishing apparatus and cartridge
JP5327577B2 (ja)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076050A (ja) 粉体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76871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572500B2 (ja) 現像剤補給装置及び現像剤カートリッジ
JP5304124B2 (ja)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4764766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031109A (ja) 剤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1544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93239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332472B2 (ja) 現像装置
JP4392751B2 (ja) トナー容器、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6053446A (ja) トナーボトル及び画像形成装置
JP4433471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208821A (ja) 現像装置、これを備え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663562B2 (ja) 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CN103576505B (zh) 显影剂储存容器及其制造方法
JP2006030488A (ja) トナーボトル及び画像形成装置
EP3647879B1 (en) Remanufacturing method for developing apparatus and cartridge
JP3170500B2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
JP547767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188457A (ja)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7075035B2 (ja) トナー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