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4713B1 - 토너교반필름, 토너교반부재 및 이를 구비한 토너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토너교반필름, 토너교반부재 및 이를 구비한 토너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4713B1
KR100864713B1 KR1020060068153A KR20060068153A KR100864713B1 KR 100864713 B1 KR100864713 B1 KR 100864713B1 KR 1020060068153 A KR1020060068153 A KR 1020060068153A KR 20060068153 A KR20060068153 A KR 20060068153A KR 100864713 B1 KR100864713 B1 KR 100864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stirring
tank
toner tank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8654A (ko
Inventor
윤형원
최삼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8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4713B1/ko
Priority to US11/633,562 priority patent/US7809312B2/en
Priority to CN2007101032584A priority patent/CN101109920B/zh
Priority to ES07108994T priority patent/ES2326047T3/es
Priority to DE602007001420T priority patent/DE602007001420D1/de
Priority to DK07108994T priority patent/DK1881376T3/da
Priority to EP07108994A priority patent/EP1881376B9/en
Priority to PL07108994T priority patent/PL1881376T3/pl
Priority to AT07108994T priority patent/ATE435442T1/de
Priority to PT07108994T priority patent/PT1881376E/pt
Priority to EP09158861.6A priority patent/EP2088475B1/en
Publication of KR20080008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토너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토너공급장치는, 토너가 저장되는 토너탱크와, 토너탱크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저장된 토너를 외부로 공급하는 공급부, 및 토너탱크의 내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공급부의 상부를 포함하는 토너탱크의 내부 전 공간에 있는 토너를 교반할 수 있도록 형성된 토너교반부재;를 포함한다.
토너교반부재, 토너교반필름, 돌출부, 잔류토너, 교반 및 공급

Description

토너교반필름, 토너교반부재 및 이를 구비한 토너공급장치{Toner agitating film, toner agitating member, and toner supply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토너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너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토너공급장치의 토너교반필름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2의 토너공급장치의 토너교반필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2의 토너공급장치의 토너교반필름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토너공급장치 101; 토너탱크
103; 공급부 105; 토너이송부재
110; 토너교반부재 112; 회전축
114; 날개판 120,130; 토너교반필름
121,131; 제1교반부 122,132; 제2교반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에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별도의 토너공급장치를 사용하여 현상에 필요한 토너를 공급받는 화상형성장치는 일정량의 토너를 저장하고 있는 토너공급장치가 화상형성장치의 일정한 장소에 장착되면 토너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종래기술에 의한 토너공급장치의 일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토너공급장치(1)는 토너탱크(10)와 토너탱크(1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공급부(11)를 포함한다. 공급부(11)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토너탱크(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공급부(11)의 외주에는 토너가 배출되는 토너배출구(13)가 마련되고, 공급부(11)의 안쪽으로는 토너탱크(10)의 토너를 공급부(11)로 공급하는 토너이송기구(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토너탱크(10)의 중심에는 회전축(15)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회전축(15)에는 토너를 교반하기 위한 토너교반필름(17)이 고정되어 있다. 이때, 토너교반필름(17)은 공급부(11)를 제외한 토너탱크(10)의 내부 길이(L1)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된다. 또한, 회전축(15)의 일단에는 구동기어(19)가 설치되어 토너공급장치(1)가 화상형성장치(미도시)에 장착되면,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토너공급장치(1)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면, 구동기어(19)에 의해 회전축(15)이 회전하고 회전축(15)에 설치된 토너교반필름(17)이 회전하게 된다. 토너교반필름(17)이 회전하면 토너탱크(10) 내의 토너는 토너이송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토너는 토너이송기구에 의해 공급부(11) 로 이송되어 토너배출구(13)를 통해 토너탱크(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토너배출구(13)의 하부에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23)에 연통된 토너입구(21)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토너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된 토너는 토너입구(21)로 자유 낙하한 후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23)으로 이송되어 화상을 현상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토너공급장치(1)는 토너교반필름(17)을 회전시켜 토너를 교반하여도 잔류토너가 많이 남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토너공급장치(1)의 구조상 토너탱크(10)의 내측으로 돌출된 공급부(11)가 존재하기 때문에, 토너교반필름(17)이 토너탱크(10) 내부의 전 공간을 휘저을 수 없게 되어 발생한다. 즉, 토너교반필름(17)이 토너탱크(1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이 없는 공간에 있는 토너만을 교반하므로 돌출된 공급부(11)의 주위에 있는 토너가 외부로 공급되지 못하고 잔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잔류토너가 많으면 토너사용효율이 작아지므로 인쇄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잔류토너를 폐기할 때 환경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교체시에 토너탱크에 잔류하는 잔류토너를 최소화할 수 있는 토너공급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토너교반필름 및 토너교반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토너가 저장되는 토너탱크; 상기 토너탱크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저장된 토너를 외부로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토너탱크의 내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공급부의 상부를 포함하는 상기 토너탱크의 내부 전 공간에 있는 토너를 교반할 수 있는 토너교반부재;를 포함하는 토너공급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토너교반부재는, 상기 토너탱크의 내측 중앙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며, 서로 회전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는 제1교반부와 제2교반부를 포함하는 토너교반필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교반부는 상기 공급부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교반부는 상기 공급부를 제외한 상기 토너탱크의 길이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교반부 및 제2교반부는 적어도 한 개의 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의한 토너교반필름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교반부 및 제2교반부는 별도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토너를 저장하며,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갖는 토너탱크; 및 상기 토너탱크의 토너를 교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토너탱크의 돌출된 부분의 표면에 접촉하는 제1교반부와 상기 토너탱크의 내면에 접촉하는 제2교반부를 포함하는 토너교반부재;를 포함하는 토너공급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토너교반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교반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된 부분은 상기 회전축의 아래의 상기 토너탱크의 저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너탱크는 원통 형상이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토너탱크의 중앙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교반부는 별개로 형성하거나, 하나의 몸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교반부의 폭은 상기 돌출된 부분의 폭에 대응하고, 상기 제2교반부의 폭은 상기 돌출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토너탱크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된 부분은 상기 토너탱크의 내측에서 외부로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토너공급장치의 토너를 교반할 수 있는 토너탱크용 토너교반부재이며, 상기 토너탱크의 내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토너탱크의 돌출된 부분의 표면에 접촉하는 제1교반부와 상기 토너탱크의 내면에 접촉하는 제2교반부를 포함하는 토너교반부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교반부는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토너공급장치의 토너를 교반할 수 있는 토너탱크용 토너교반부재이며, 상기 토너탱크의 내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며, 서로 회전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는 제1교반부와 제2교반부를 포함하는 토너교반필름;을 포함하는 토너교반부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토너탱크에 저장된 토너를 교반할 수 있는 토너교반부재용 토너교반필름이며, 상기 토너탱크의 내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토너탱크의 돌출된 부분의 표면에 접촉하는 제1교반부와 상기 토너탱크의 내면에 접촉하는 제2교반부를 포함하는 토너교반필름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제1교반부는 상기 토너탱크의 돌출된 부분을 지날 때, 그 끝단이 상기 제2교반부와 회전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토너탱크에 저장된 토너를 교반할 수 있는 토너교반부재용 토너필름이며, 상기 토너탱크의 내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축에 설치되며, 서로 회전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는 제1교반부와 제2교반부를 포함하는 토너교반필름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토너공급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토너공급장치(100)는 토너탱크(101), 공급부(103), 토너이송부재(105), 토너교반부재(110)를 포함한다.
토너탱크(101)는 일정량의 토너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대략 중공의 원통형으 로 형성된다. 도 2는 토너탱크(101)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해 그 후단부가 도시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그러나, 실제로는 본 발명에 의한 토너공급장치(100)의 토너탱크(101)의 후단부는 막혀 있다.
공급부(103)는 토너탱크(101)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며, 토너탱크(101)에 저장된 토너를 외부로 배출한다. 즉, 공급부(103)는 토너탱크(101)의 저면에서 내측으로 반원 단면을 갖는 기둥형상으로 돌출된다. 공급부(103)의 외주면에는 토너가 배출되는 토너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토너이송부재(105)는 토너탱크(101)의 내측 하부에, 공급부(103)의 일측에 설치된다. 토너이송부재(105)는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성형되며, 그 일단이 공급부(103)의 내측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토너이송부재(105)가 회전하면 토너탱크(101)의 토너가 공급부(103)의 내측으로 이송된다. 토너이송부재(105)에 의해 이송된 토너는 토너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토너교반부재(110)는 토너탱크(101)의 내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토너탱크(101)에 저장된 토너가 아래쪽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즉, 토너교반부재(110)가 토너탱크(101)의 중앙에서 회전하면 토너탱크(101)에 저장된 토너가 교반되어 토너가 굳지 않게 된다. 그러면, 토너는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토너교반부재(110)는 회전축(112)과 토너교반필름(120)을 포함한다. 회전축(112)은 토너탱크(101)의 중앙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토너탱크(101)의 일측으로 돌출된 일단에는 구동기어(미도시)가 동축 상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기어가 회전하면 회전축(112)이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회 전축(112)에는 토너교반필름(12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날개판(114)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날개판(114)은 회전축(112)을 중심으로 대략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너교반필름(120)은 토너탱크(101)의 내부 길이에 대응되는 폭(W)을 가지며, 토너탱크(101)의 내측의 돌출물, 즉 공급부(103)를 따라 변형될 수 있는 탄성을 갖는다. 또한, 회전축(112)의 중심(C)으로부터 토너교반필름(120)의 끝단(121a, 122a)까지의 길이(L)는 토너탱크(101)의 반지름과 대응된다. 즉, 토너교반필름(120)의 끝단(121a,122a)이 토너탱크(101)의 내면과 아주 작은 간극만을 갖도록 형성하거나, 토너탱크(101)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토너교반필름(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교반필름(120)의 끝단(121a,122a)에서 회전축(112) 쪽으로 일정 길이 절단하여 제1교반부(121)와 제2교반부(122)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교반부(121)와 제2교반부(122)가 회전방향으로 서로 벌어질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제1교반부(121)는 공급부(103)의 폭에 대응되는 폭(W1)을 갖도록 형성하고, 제2교반부(122)는 공급부(103)를 제외한 토너탱크(101)의 길이에 대응되는 폭(W2)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회전축(112)의 회전에 따라 제1교반부(121)가 공급부(103)의 외면을 타고 올라갈 때, 제2교반부(122)는 제1교반부(121)와 관계없이 토너탱크(101)의 내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토너교반필름(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교반부(121)의 끝단(121a)과 제2교반부(122)의 끝단(122a)이 서로 벌어진 상태로 회전축(112)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토너교반필름(120)은 적어도 한 개의 개구부(121b,122b)를 포함한다. 이때, 제1교반부(121)와 제2교반부(122)가 각각 적어도 한 개의 개구부(121b,122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개구부(121b,122b)는 토너교반필름(120)이 토너를 효과적으로 교반하고, 회전시 필요한 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교반부(121)는 한 개의 개구부(121b)를 갖으며, 제2교반부(122)는 2개의 개구부(122b)를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토너공급장치에 사용되는 토너교반필름(13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토너교반필름(120)은 제1교반부(121)와 제2교반부(122)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에 의한 토너교반필름(130)은 제1교반부(131)와 제2교반부(132)가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 회전축(112, 도 2 참조)에 설치되었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외의 토너교반필름(130)의 형상 및 기능은 상술한 예의 토너교반필름(120)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토너탱크(101)의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한 곳뿐인 토너탱크(101)의 경우에 이에 대응되는 토너교반필름(120)의 형상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만일 토너탱크(101)의 내면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2곳 이상인 경우에는 그 돌출되는 부분의 개수에 따라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토너교반필름(120)을 폭방향으로 분할하면 토너탱크(101)의 내부 대부분 공간의 토너를 교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토너공급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토너공급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미도시)에 장착되면 구동기어(미도시)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구동기어가 회전하면, 회전축(112)이 회전하여 회전축(112)의 날개판(114)에 설치된 토너교반필름(120)이 회전축(112)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토너교반필름(120)이 토너탱크(101)의 내측에서 회전하면, 토너교반필름(120)의 제1교반부(121)는 일정 시점에 공급부(103)의 외면과 접촉하게 된다. 제1교반부(121)가 공급부(103)의 외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축(112)이 회전을 계속하면, 제1교반부(1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방향(화살표 B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굽혀진 상태로 공급부(103)의 외면을 미끄러지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2교반부(122)는 펴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회전축(112)과 일체로 회전한다. 즉, 제1교반부(121)의 끝단(121a)과 제2교반부(122)의 끝단(122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방향으로 서로 벌어진 상태로 회전한다. 따라서, 공급부(103)의 외면 주위, 주로 공급부(103)의 외면 상측으로 쌓여 있는 토너는 제1교반부(121)에 의해 교반되면서 토너이송부재(105)가 설치된 토너탱크(101)의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회전축(112)이 회전을 계속하여 제1교반부(121)가 공급부(103)를 벗어나면 제1교반부(121)의 끝단(121a)은 제2교반부(122)의 끝단(122a)과 거의 일직선을 이룬 상태로 회전을 계속한다.
이와 같이 토너교반부재(110)가 회전을 하면, 토너탱크(101)의 내부 전 공간에 있는 토너가 제1교반부(121)와 제2교반부(122)에 의해 교반되어 토너탱크(101)의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토너이송부재(105)도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있으므로 토너탱크(101)의 아래쪽에 있는 토너는 토너이송부재(105)에 의해 공급부(103)의 내측으로 이송된다. 공급부(103)의 내측으로 이송된 토너는 토너배출구(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외부로 배출된 토너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으로 공급되어 화상을 현상하게 된다.
이와 같이 2개의 교반부(121,122)를 갖는 토너교반부재(110)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한 토너공급장치(100)의 토너사용률을 4가지 색상별로 측정한 결과가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구분 종래 기술(%) 본 발명(%)
옐로우(yellow) 84.75 94.25
마젠타(magenta) 83.75 94.25
시안(cyan) 84.25 94.75
블랙(black) 88.15 96.78
여기서, 토너사용률은 토너탱크(101)에 저장된 토너 양에 대한 사용된 토너양의 백분율을 말한다.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토너공급장치(100)의 토너사용률이 종래 기술에 의한 토너공급장치(1)의 토너사용율 보다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잔류토너의 양이 종래 기술에 의한 토너공급장치보다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토너공급장치에 의하면, 토너탱크의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 위에 있는 토너도 교반되기 때문에 토너탱크의 내측 대부분의 공간에 있는 토너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토너를 교체할 때, 토너탱크에 잔류된 토너의 양이 최소화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행할 수 있는 단순한 구성요소의 치환, 부가, 삭제,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Claims (25)

  1. 토너가 저장되는 토너탱크;
    상기 토너탱크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저장된 토너를 외부로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토너탱크의 내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토너탱크에 형성된 상기 공급부의 표면에 접촉하는 제1교반부와 상기 토너탱크의 내면에 접촉하는 제2교반부를 포함하는 토너교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교반부재는,
    상기 토너탱크의 내측 중앙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교반부와 상기 제2교반부는 각각 상기 회전축에서 상기 토너탱크의 내면 쪽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며, 서로 회전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반부는 상기 공급부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교반부는 상기 토너탱크의 후단부의 내면에서부터 상기 공급부까지의 상기 토너탱크의 길이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반부 및 제2교반부는 적어도 한 개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반부 및 제2교반부는 각각 별개의 몸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6. 토너를 저장하는 토너탱크;
    상기 토너탱크의 내면에서 상기 토너탱크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된 부분; 및
    상기 토너탱크의 토너를 교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토너탱크의 돌출된 부분의 표면에 접촉하는 제1교반부와 상기 토너탱크의 내면에 접촉하는 제2교반부를 포함하는 토너교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교반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교반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부분은 상기 회전축의 아래의 상기 토너탱크의 저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탱크는 원통 형상이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토너탱크의 중앙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교반부는 각각 별개의 몸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교반부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반부의 폭은 상기 돌출된 부분의 폭에 대응하고, 상기 제2교반부의 폭은 상기 토너탱크의 후단부의 내면에서부터 상기 돌출된 부분까지의 상기 토너탱크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반부 및 제2교반부는 적어도 한 개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부분은 상기 토너탱크의 내측에서 외부로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15. 토너공급장치의 토너탱크에 저장된 토너를 교반할 수 있는 토너탱크용 토너교반부재이며,
    상기 토너교반부재는, 상기 토너탱크의 내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토너탱크의 내면에서 상기 토너탱크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된 부분의 표면에 접촉하는 제1교반부와 상기 토너탱크의 내면에 접촉하는 제2교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교반부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교반부는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교반부재.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반부의 폭은 상기 토너탱크의 돌출된 부분의 폭에 대응하고, 상기 제2교반부의 폭은 상기 토너탱크의 후단부의 내면에서부터 상기 돌출된 부분까지의 상기 토너탱크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교반부재.
  18. 토너공급장치의 토너탱크에 저장된 토너를 교반할 수 있는 토너탱크용 토너교반부재이며,
    상기 토너교반부재는, 상기 토너탱크의 내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며, 서로 회전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는 제1교반부와 제2교반부를 포함하는 토너교반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제1교반부는 상기 토너탱크의 내측으로 돌출된 공급부의 외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교반부는 상기 제1교반부가 상기 공급부의 외면에 접촉할 때 상기 제1교반부와 벌어지며 상기 토너탱크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교반부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반부는 상기 토너탱크의 상기 공급부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교반부는 상기 토너탱크의 후단부의 내면에서부터 상기 공급부까지의 상기 토너탱크의 길이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교반부재.
  20. 토너탱크에 저장된 토너를 교반할 수 있는 토너교반부재용 토너교반필름이며,
    상기 토너교반필름은, 상기 토너탱크의 내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토너탱크의 내면에서 상기 토너탱크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된 부분의 표면에 접촉하는 제1교반부와 상기 토너탱크의 내면에 접촉하는 제2교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교반필름.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교반부는 상기 토너탱크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교반필름.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반부의 폭은 상기 토너탱크의 돌출된 부분의 폭에 대응하고, 상기 제2교반부의 폭은 상기 토너탱크의 후단부의 내면에서 상기 돌출된 부분까지의 상기 토너탱크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교반필름.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반부는 상기 토너탱크의 돌출된 부분을 지날 때, 그 끝단이 상기 제2교반부와 회전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교반필름.
  24. 토너탱크에 저장된 토너를 교반할 수 있는 토너교반부재용 토너교반필름이며,
    상기 토너교반필름은, 상기 토너탱크의 내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축에 설치되며, 서로 회전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는 제1교반부와 제2교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교반부는 상기 토너탱크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공급부의 외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교반부는 상기 제1교반부가 상기 공급부의 외면에 접촉할 때 상기 제1교반부와 벌어지며 상기 토너탱크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교반필름.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반부는 상기 토너탱크의 공급부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교반부는 상기 토너탱크의 후단부의 내면에서 상기 공급부까지의 상기 토너탱크의 길이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교반필름.
KR1020060068153A 2006-07-20 2006-07-20 토너교반필름, 토너교반부재 및 이를 구비한 토너공급장치 KR100864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153A KR100864713B1 (ko) 2006-07-20 2006-07-20 토너교반필름, 토너교반부재 및 이를 구비한 토너공급장치
US11/633,562 US7809312B2 (en) 2006-07-20 2006-12-05 Toner agitator, toner supply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supplying toner
CN2007101032584A CN101109920B (zh) 2006-07-20 2007-05-10 调色剂供应装置和供应调色剂的方法
DE602007001420T DE602007001420D1 (de) 2006-07-20 2007-05-25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Zuführen von Toner
ES07108994T ES2326047T3 (es) 2006-07-20 2007-05-25 Aparato alimentador de toner y procedimiento para la alimentacion de toner.
DK07108994T DK1881376T3 (da) 2006-07-20 2007-05-25 Tonertilförselsapparat og fremgangsmåde til tilförsel af toner
EP07108994A EP1881376B9 (en) 2006-07-20 2007-05-25 Toner Supplying Apparatus and Method of Supplying Toner
PL07108994T PL1881376T3 (pl) 2006-07-20 2007-05-25 Urządzenie doprowadzające toner i sposób doprowadzania tonera
AT07108994T ATE435442T1 (de) 2006-07-20 2007-05-25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zuführen von toner
PT07108994T PT1881376E (pt) 2006-07-20 2007-05-25 Equipamento para fornecimento de toner e método para fornecimento de toner
EP09158861.6A EP2088475B1 (en) 2006-07-20 2007-05-25 Toner supply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153A KR100864713B1 (ko) 2006-07-20 2006-07-20 토너교반필름, 토너교반부재 및 이를 구비한 토너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654A KR20080008654A (ko) 2008-01-24
KR100864713B1 true KR100864713B1 (ko) 2008-10-23

Family

ID=38626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153A KR100864713B1 (ko) 2006-07-20 2006-07-20 토너교반필름, 토너교반부재 및 이를 구비한 토너공급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809312B2 (ko)
EP (2) EP2088475B1 (ko)
KR (1) KR100864713B1 (ko)
CN (1) CN101109920B (ko)
AT (1) ATE435442T1 (ko)
DE (1) DE602007001420D1 (ko)
DK (1) DK1881376T3 (ko)
ES (1) ES2326047T3 (ko)
PL (1) PL1881376T3 (ko)
PT (1) PT1881376E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7636A (ja) * 2007-01-15 2008-08-28 Kyocera Mita Corp トナーコンテナ
KR20110030891A (ko) * 2009-09-18 2011-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CN102402159B (zh) * 2011-12-19 2014-07-02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显影剂运送构件及显影盒
US8958725B2 (en) 2012-02-21 2015-02-17 Fuji Xerox Co., Ltd. Powder container having shield for shutt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mounted with the same
JP6672235B2 (ja) * 2017-09-29 2020-03-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10203628B1 (en) 2017-10-02 2019-02-12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agitator assembly
JP2020008738A (ja) * 2018-07-09 2020-01-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トナー攪拌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155810B2 (ja) * 2018-09-26 2022-10-1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220268616A1 (en) * 2019-09-20 2022-08-25 Hitachi Zosen Corporation Powder supply apparatus
JP2022065715A (ja) * 2020-10-16 2022-04-28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粉体崩し装置、粉体収容装置、粉体搬送装置および粉体利用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5397A (ko) * 2003-12-25 2005-06-29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현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디바이스 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JP2006119314A (ja) * 2004-10-20 2006-05-1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7746B2 (ja) * 1990-11-30 2000-05-08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KR0135906B1 (ko) * 1993-12-28 1998-05-15 미따라이 하지메 현상제 카트리지 및 그 재생 방법(Developer Cartridge and Remanufactruring Method Therefor)
US5506665A (en) * 1994-05-12 1996-04-0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having detachable toner box for use in image recording apparatus
JPH11338240A (ja) 1998-05-22 1999-12-10 Minolta Co Ltd 現像剤収納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3403132B2 (ja) 1999-10-29 2003-05-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撹拌翼及びトナー補給容器
DE60141310D1 (de) 2000-05-26 2010-04-01 Kyocera Mita Corp Tonerkassette mit Tonerrührer
JP4371695B2 (ja) 2003-05-02 2009-1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搬送装置
JP3985753B2 (ja) * 2003-08-19 2007-10-0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6017892A (ja) 2004-06-30 2006-01-19 Kyocera Mita Corp トナー収容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5397A (ko) * 2003-12-25 2005-06-29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현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디바이스 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JP2006119314A (ja) * 2004-10-20 2006-05-1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654A (ko) 2008-01-24
EP2088475A1 (en) 2009-08-12
DE602007001420D1 (de) 2009-08-13
EP1881376A1 (en) 2008-01-23
EP1881376B1 (en) 2009-07-01
DK1881376T3 (da) 2009-08-03
EP1881376B9 (en) 2009-11-25
PT1881376E (pt) 2009-07-09
CN101109920A (zh) 2008-01-23
PL1881376T3 (pl) 2009-12-31
CN101109920B (zh) 2011-09-21
EP2088475B1 (en) 2014-04-23
US7809312B2 (en) 2010-10-05
US20080019738A1 (en) 2008-01-24
ES2326047T3 (es) 2009-09-29
ATE435442T1 (de) 200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4713B1 (ko) 토너교반필름, 토너교반부재 및 이를 구비한 토너공급장치
TWI412903B (zh) 顯影劑容器、顯像裝置、處理單元、及影像形成裝置
US7415237B2 (en) Cleaning unit, process cartridge using clea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cleaning unit
US8897678B2 (en) Toner replenishing device having a coil spring and spherical member at end of coil spring for loosening to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US9753401B2 (en)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KR101689868B1 (ko) 토너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CN1926477A (zh) 显影剂供应容器和成像设备
US20120093542A1 (en) Ton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oner cartridge
KR20070027778A (ko) 현상제통과 현상제 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KR100757819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것을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
KR20080102624A (ko)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2006276810A (ja) 粉体搬送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粉体処理装置
US8139988B2 (en) Developing device of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50004506A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KR20080056486A (ko) 현상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JP4853023B2 (ja) 画像形成装置
CN112083637B (zh) 图像形成装置
JP2013044939A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6276535A (ja) 粉体搬送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粉体処理装置
JP4757511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813645B1 (ko) 토너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22158925A (ja) トナー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50019275A (ko)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CN113946107A (zh) 图像形成装置
KR20050099061A (ko) 교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현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