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9061A - 교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현상기 - Google Patents

교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현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9061A
KR20050099061A KR1020040024009A KR20040024009A KR20050099061A KR 20050099061 A KR20050099061 A KR 20050099061A KR 1020040024009 A KR1020040024009 A KR 1020040024009A KR 20040024009 A KR20040024009 A KR 20040024009A KR 20050099061 A KR20050099061 A KR 20050099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stirring
stirring member
developer housing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주
김용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4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9061A/ko
Publication of KR20050099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906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4Preparing, mixing, transporting or dispensing develo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상제등을 교반할 수 있는 교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현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교반장치는, 현상제가 담겨 있는 현상제 하우징과, 현상제 하우징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부재, 및 현상제 하우징의 내부에 양단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은 회전부재가 일회전하는 동안에 일정 구간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현상제 하우징의 바닥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 교반부재를 포함하며, 회전부재가 일회전하면, 교반부재는 회전부재에 의해 현상제 하우징 내부에서 적어도 한번 일정 각도 회전하였다가 복귀한다.

Description

교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현상기{Agitating Apparatus and Development Uni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현상제등을 교반하는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을 현상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서 현상기에 담긴 현상제등을 교반할 수 있는 교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현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매체 표면에 레이저 주사유닛을 통해 레이저 빔을 주사하여 소정의 정전잠상(latent electrostatic image)을 형성한 후, 현상제로 감광매체 표면의 정전잠상을 현상하고 이를 인쇄용지에 전사하여 소정의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이다. 특히, 칼라화상을 인쇄하기 위해 사용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제로서 액체 현상제를 주로 사용하며, 칼라를 형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색체로 화상을 현상할 수 있도록 복수의 현상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액체 현상제(이하, 현상액이라 함)는 분말상의 토너가 소정량 함유된 농축잉크와 액상의 캐리어가 소정비로 혼합된 잉크이다. 칼라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한 토너는 서로 다른 칼라 즉,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의 칼라를 나타내는 안료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분말상의 토너를 함유하는 현상액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분말상의 토너가 현상액이 담긴 현상기의 바닥에 침전되어 슬러지를 만드는 성질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토너가 침전되어 슬러지화되면 현상액의 농도가 변화하기 때문에 현상액에 의한 정전잠상의 현상이 불량하게 되고, 현상기에 대한 현상액의 공급/배출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슬러지가 현상기 내부에 누적됨으로 해서 현상기의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현상기에 사용되는 현상제, 특히 현상액이 침전되지 않도록 현상액을 교반하는 교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상제의 슬러지가 누적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명이 저하되지 않는 현상액의 교반장치를 구비하는 현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제가 담겨 있는 현상제 하우징; 상기 현상제 하우징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부재; 및 상기 현상제 하우징의 내부에 양단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은 상기 회전부재가 일회전하는 동안에 일정 구간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현상제 하우징의 바닥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 교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가 일회전하면, 상기 교반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상기 현상제 하우징 내부에서 적어도 한번 일정 각도 회전하였다가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현상제 하우징과 상기 교반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교반부재에 가하는 힘과 반대 방향의 힘을 상기 교반부재에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교반부재의 상단과 접촉하는 부위에 설치되는 접촉편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감광드럼;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감광드럼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유닛; 상기 감광드럼과 상기 현상롤러유닛을 보호하며, 현상제를 담고 있는 현상제 하우징; 및 상기 현상제 하우징의 내부에 양단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은 상기 현상롤러유닛의 복수개의 롤러중 어느 하나의 롤러가 일회전하는 동안에 일정 구간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현상제 하우징의 바닥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접촉되는 상기 롤러가 일회전하면 적어도 한번 일정 각도 회전하였다가 복귀하는 교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를 구비한 현상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현상기는 상기 현상제 하우징과 상기 교반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가 상기 교반부재에 가하는 힘과 반대 방향의 힘을 상기 교반부재에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현상기의 현상롤러유닛은 상기 감광드럼으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재는 상기 클리닝롤러의 회전에 의해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교반장치 및 이를 구비한 현상기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교반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정단면도와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교반장치는 현상제가 담기는 현상제 하우징(10)과, 회전부재(20) 및 회전부재(20)에 의해 일정각도 회전하는 교반부재(30)를 포함한다.
현상제 하우징(10)은 현상제로서 액체 현상제인 현상액을 담고 있으며, 하부에는 현상액을 공급/회수할 수 있는 공급/회수부(13)가 마련되어 있다.
회전부재(20)는 현상제 하우징(1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때, 회전부재(20)는 현상제 하우징(10)에 의해 회전지지될 수도 있고, 현상제 하우징(10)이 수납되는 별도의 프레임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프레임에 의해 회전부재(20)가 지지된다. 회전부재(20)로는 롤러가 많이 사용되며, 현상기의 경우에는 현상제를 감광매체로 공급하는 현상롤러나, 현상롤러 위로 이동된 현상제를 일정하게 규제하는 규제롤러나, 현상제가 감광매체로 이송된 후 현상롤러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롤러들 중의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교반부재(30)는 현상제 하우징(10)의 양측벽에 의해 양단(32,32')이 회전지지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그 상부(31,31')는 회전부재(20)와 간섭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교반부재(30)의 상부의 한쪽(31)만이 회전부재(20)와 간섭되도록 형성하거나 양쪽(31,31')이 다 회전부재(20)와 간섭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교반부재(30)의 하부(33)는 현상제 하우징(10)의 내측 바닥(11)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현상제 하우징(10)의 양측벽에 의해 지지되는 교반부재(30)의 양단 회전축(32,32')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교반부재(30)는 현상제 하우징(10)의 형상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나 그 상부(31,31')는 회전부재(20)와 간섭되도록 형성되고, 하부(33)는 하우징 내측 바닥(11)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교반부재(30)의 하부(33)는 하우징 바닥(11)의 거의 전체면에 대해 일정 거리 이격되어 회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교반부재(30)는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과 유사하게 성형되며 "ㄷ"자의 양팔은 회전축(32,32')에 의해 현상제 하우징(10)의 양측벽에 회전지지되며, 양팔의 단부(31,31')는 회전부재(20)의 축(21)과 간섭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교반부재(30)의 하부(33)는 현상제 하우징(10)의 바닥(11) 형상과 대응되도록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교반부재(30)의 상부(31,31')가 회전부재(20)와 간섭되는 구간에서는 회전부재(20)에 의해 교반부재(30)가 일정 각도 상측으로 회전하고, 회전부재(20)와 간섭되는 구간을 벗어나면 자중에 의해 교반부재(3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회전부재(20)의 축(21)에는 교반부재(30)를 원할하게 동작시킬 수 있도록 접촉편(22)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편(22)은 교반부재(30)의 상부(31,31')가 회전부재(20)와 간섭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교반부재(30)의 상부 양쪽(31,31')이 회전부재(20)와 간섭되는 경우에는 회전부재(20)의 양단에 각각 접촉편(22,22')을 설치한다. 이때, 접촉편(22,22')은 회전부재(20)의 회전에 의해 교반부재(30)를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교반부재(30)의 형상에 따라 적절한 형상으로 성형한다. 또 다른 예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회전부재(20) 일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접촉편(22)을 복수개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러면, 설치된 접촉편(22)의 갯수에 따라 회전부재(20)의 일회전에 따른 교반부재(30)의 요동횟수가 변화하게 된다. 즉, 접촉편(22)이 180도 간격으로 회전부재 축(21)에 2개 설치되면, 회전부재(20)의 일회전에 교반부재(30)는 2회 요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교반부재(30)의 원위치 복귀를 원할하게 하기 위해 교반부재(30)를 탄성부재(40)로 지지하는 교반장치(1')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현상제 하우징(10)과, 회전부재(20), 및 교반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나 교반부재(30)의 상부(31) 일측에 탄성부재(4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상기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40)는 인장 코일스프링이 사용되며, 일단은 현상제 하우징(10)에 고정되고 타단은 교반부재(30)의 상부(31)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20)의 접촉편(22)과 교반부재(30)가 간섭되지 않는 구간에서는 교반부재(30)의 하부(33)는 상측으로 들린 상태로 있게 되고, 회전부재(20)와 교반부재(30)가 간섭되는 구간에서는 회전부재(20)의 접촉편(22)에 의해 교반부재(30)의 상부(31)가 밀리면서 교반부재(30)의 하부(33)가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부재(20)에 의해 교반부재(30)가 회전하는 모습이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갖는 본 발명에 의한 교반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교반부재(30)의 상부(31)가 회전부재(20)의 접촉편(22)과 간섭되지 않는 구간에서는 교반부재(30)의 상부(31)가 탄성부재(40)에 의해 당기는 힘을 받고 있으므로 교반부재(30)는 하부(33)가 상측으로 들린 경사진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회전부재(20)가 회전을 계속하면 회전부재(20)의 접촉편(22)이 교반부재(30)의 상부와 접촉하기 시작한다. 그러면, 회전부재(20)의 접촉편(22)에 의해 교반부재(30)의 상부(31)가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교반부재(30)의 하부(33)는 아래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40)는 회전부재(20)의 회전력에 의해 늘어난 상태가 된다. 회전부재(20)가 계속 회전하여 접촉편(22)과 교반부재(30)의 상부(31)와의 접촉이 떨어지면, 교반부재(30)의 상부(31)는 탄성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당겨져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교반부재(30)의 하부(33)는 상측으로 들린 경사진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그후, 회전부재(20)가 회전을 계속하여 다시 회전부재(20)의 접촉편(22)이 교반부재(30)의 상부(31)와 간섭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이 다시 일어 나게 된다. 즉, 회전부재(20)가 일회전하면, 교반부재(30)는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한번 요동하는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부재(20)가 계속적으로 회전하면 교반부재(30)도 회전부재(20)의 일회전에 한번씩 계속적으로 요동하므로 교반부재(30)의 하부(33)가 담겨 있는 현상액을 교반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교반부재(30)의 상부에 탄성부재(4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탄성부재(40) 없이 교반부재(30)의 자중만으로 원상복귀하는 경우에는 간섭구간에서 교반부재(30)의 하측(33)이 상승하였다가 간섭되지 않는 구간에서는 원위치로 하강한다는 점외에는 상술한 설명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교반장치를 구비하는 현상기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교반장치를 구비하는 현상기(100)는 소정의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101)과,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롤러유닛(120)과, 현상제를 담고 있는 현상제 하우징(110)과, 현상제를 교반하는 교반부재(130)를 포함한다.
감광드럼(101)의 표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레이저 주사유닛으로부터 주사된 레이저광에 의해 인쇄내용에 해당하는 소정의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롤러유닛(120)은 복수개의 롤러로 구성되며, 현상제 하우징(110)에 담긴 현상제를 감광드럼(101)으로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현상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롤러유닛(120)은 감광매체(101)와 마주보도록 설치된 현상롤러(121)와, 현상롤러(121)와 접하며 회전하여 현상제 하우징(110)에 담긴 현상제를 현상롤러(121)로 이송하는 현상제 공급롤러(122)와, 현상제 공급롤러(122)에 의해 현상롤러(121)의 표면에 쌓인 현상제를 일정하게 규제하는 규제롤러(123), 및 정전잠상을 현상한 후 현상롤러(121)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현상롤러(121)의 표면에서 제거하는 클리닝롤러(124)를 포함한다.
현상제 하우징(110)은 현상롤러유닛(120)의 하측에 설치되며, 현상롤러유닛(120)에 의해 감광매체(101)로 이송되는 현상제를 담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액체 현상제, 즉 현상액이 담겨 있으며, 그 하부에는 필요에 따라 현상액을 공급/회수하기 위한 공급/회수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 현상제 하우징(110)은 필요에 따라 현상롤러유닛(120)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하거나, 현상롤러유닛(120)의 회전운동을 지지하는 프레임과는 별도로 형성할 수도 있다.
교반부재(130)는 현상제 하우징(110) 내부에 그 양측벽에 의해 양단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ㄷ"자와 유사한 형상으로 와이어로 형성된다. 교반부재(130)의 상부는 현상롤러유닛(120)의 복수개의 롤러중 어느 하나의 롤러와 일정 구간에서만 간섭되도록 형성된다. 현상롤러유닛(120)이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롤러(121), 현상제 공급롤러(122), 규제롤러(123), 클리닝롤러(124)로 구성된 경우에는 교반부재(130)의 상부가 이 4개의 롤러중 어느 하나의 롤러와 간섭되어 동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롤러의 배치, 현상제 하우징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클리닝롤러(124)와 교반부재(130)의 상부가 간섭되도록 형성하였다. 또한, 교반부재(130)의 하부는 현상제 하우징(110)의 내측 바닥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와이어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때, 교반부재(130)의 하부는 현상제 하우징(110) 바닥의 거의 전면에 대해 일정 거리 이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교반부재(130)와 간섭되는 클리닝롤러(124)의 축에는 교반부재(130)를 원할하게 동작시킬 수 있도록 접촉편(126)이 설치된다. 이 접촉편(126)은 교반부재(130)의 상부가 클리닝롤러(124)의 축과 간섭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교반부재(130)의 상부 양쪽이 모두 클리닝롤러(124)와 간섭되도록 클리닝롤러(124) 축 양단에 각각 접촉편(126)을 설치한다. 이때, 접촉편(126)은 클리닝롤러(124)의 회전에 의해 교반부재(130)를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원할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교반부재(130) 상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적절한 형상으로 성형한다.
또한, 교반부재(130)의 상부 일측과 현상제 하우징(110) 사이에는 탄성부재(14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140)는 인장 코일스프링이 사용되며, 일단은 현상제 하우징(110)에 고정되고 타단은 교반부재(130)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클리닝롤러(124)와 교반부재(130)가 간섭되지 않는 구간에서는 교반부재(130)의 하부는 상측으로 들린 상태로 있고, 클리닝롤러(124)와 교반부재(130)가 간섭되는 구간에서는 접촉편(126)에 의해 교반부재(130)의 상부가 밀리면서 교반부재(130)의 하부가 하강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갖는 교반부재를 구비한 현상기의 작용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현상기(100)가 장착된 화상형성장치(미도시)의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감광매체(101)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면, 현상롤러유닛(120)이 동작하여 현상제 하우징(110)에 담긴 현상액을 감광매체(101)로 이동시켜 정전잠상을 현상한다.
즉, 현상제 공급롤러(122)가 회전하여 현상액을 현상롤러(121)로 이동시키면, 현상롤러(121)가 회전하여 규제롤러(123)와 마주하는 영역을 통과하면서 현상롤러(121)의 표면으로 이동된 현상액을 일정한 높이로 규제한다. 현상롤러(121)의 회전이 계속되면, 현상롤러(121) 상의 현상액이 감광매체(101)와 마주 보는 위치로 이동하여 감광매체(101)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하여 정전잠상을 현상하게 된다. 그 후 현상롤러(121)가 더 회전하면, 현상롤러(121)의 표면에 잔류하는 현상액은 현상롤러(121)와 접하며 회전하고 있는 클리닝롤러(124)에 의해 제거되어 다시 현상제 하우징(110)으로 되돌아 가게 된다.
이때, 클리닝롤러(124)의 축에 설치된 접촉편(126)은 교반부재(130)의 상부와 일정 구간에서 서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클리닝롤러(124)가 회전하면 교반부재(130)도 현상제 하우징(110)의 양측벽에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클리닝롤러(124)의 회전에 의해 교반부재(130)가 일정 각도 범위에서 요동하는 동작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현상제로서 액체 현상제 즉, 현상액을 사용하는 경우의 교반장치 및 이를 구비한 현상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분말상의 현상제에 대해서도 적용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교반장치는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일정한 빈도로 요동하기 때문에 현상제 하우징에 담긴 현상액등의 현상제가 침전되어 슬러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교반장치를 구비한 현상기는 현상제가 현상기 내부에 쌓이지 않기 때문에 현상기의 수명이 저하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교반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교반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교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교반장치에서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른 이동체의 동작모습을 나타내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교반장치를 구비한 현상기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교반장치 10; 현상제 하우징
20; 회전부재 22,22'; 접촉편
30; 교반부재 31,31'; 교반부재 상부
32,32'; 회전축 33; 교반부재 하부
40; 탄성부재 100; 현상기
101; 감광매체 110; 현상제 하우징
120; 현상롤러유닛 121; 현상롤러
122; 현상제 공급롤러 123; 규제롤러
124; 클리닝롤러 130; 교반부재

Claims (7)

  1. 현상제가 담겨 있는 현상제 하우징;
    상기 현상제 하우징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부재; 및
    상기 현상제 하우징의 내부에 양단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은 상기 회전부재가 일회전하는 동안에 일정 구간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현상제 하우징의 내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 교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가 일회전하면, 상기 교반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상기 현상제 하우징 내부에서 적어도 한번 일정 각도 회전하였다가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하우징과 상기 교반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교반부재에 가하는 힘과 반대 방향의 힘을 상기 교반부재에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교반부재의 상단과 접촉하는 부위에 설치되는 접촉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재는 와이어 형상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5. 감광드럼;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감광드럼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유닛;
    상기 감광드럼과 상기 현상롤러유닛을 보호하며, 현상제를 담고 있는 현상제 하우징; 및
    상기 현상제 하우징의 내부에 양단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은 상기 현상롤러유닛의 복수개의 롤러중 어느 하나의 롤러가 일회전하는 동안에 일정 구간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현상제 하우징의 내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접촉되는 상기 롤러가 일회전하면 적어도 한번 일정 각도 회전하였다가 복귀하는 교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를 구비한 현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하우징과 상기 교반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가 상기 교반부재에 가하는 힘과 반대 방향의 힘을 상기 교반부재에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를 구비한 현상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롤러유닛은 상기 감광드럼으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재는 상기 클리닝롤러의 회전에 의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를 구비한 현상기.
KR1020040024009A 2004-04-08 2004-04-08 교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현상기 KR20050099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009A KR20050099061A (ko) 2004-04-08 2004-04-08 교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현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009A KR20050099061A (ko) 2004-04-08 2004-04-08 교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현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061A true KR20050099061A (ko) 2005-10-13

Family

ID=37278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009A KR20050099061A (ko) 2004-04-08 2004-04-08 교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현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90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8836B2 (en) Developer holding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0461021C (zh) 显影剂供应容器和成像设备
CN101430523B (zh) 调色剂补给装置、图像形成装置及彩色图像形成装置
EP3367176B1 (en) Cartridge body, ton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oner cartridge
JP4621063B2 (ja) 画像形成装置
EP2088475B1 (en) Toner supplying apparatus
JP2006031006A (ja) 廃トナー収集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電子写真方式の画像形成装置
CN104656392B (zh) 成像装置
JP2007212766A (ja) トナー補給装置、トナー補給ボックス、及び中継ボックス
KR101546848B1 (ko) 현상제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327959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서의 특정한 프로세스카트리지만의 수납방법
KR100547149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카트리지
KR20050099061A (ko) 교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현상기
JP2011191437A (ja) トナーの搬送機構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130009010A (ko)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CN105116703A (zh) 显影器件
KR200172922Y1 (ko) 습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KR100338752B1 (ko) 용지 가이드 장치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JP2017173425A (ja) 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219688B1 (ko)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
JP6485409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40018866A (ko) 현상제 저장 카트리지의 교반장치
KR200160899Y1 (ko)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
KR100565087B1 (ko) 기어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200339960Y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잉크저장탱크와캐리어저장탱크의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