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9275A -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9275A
KR20150019275A KR20130095928A KR20130095928A KR20150019275A KR 20150019275 A KR20150019275 A KR 20150019275A KR 20130095928 A KR20130095928 A KR 20130095928A KR 20130095928 A KR20130095928 A KR 20130095928A KR 20150019275 A KR20150019275 A KR 20150019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developer
rotating member
rotary member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5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진
김대호
배현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95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9275A/ko
Priority to US14/457,481 priority patent/US20150050053A1/en
Publication of KR20150019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2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89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agitation or stir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현상제가 현상기 내에 고르게 배치되도록 하여 현상제 공급 불량에 의한 화상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현상기 내에 불균등하게 위치된 현상제에 의해 교반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Developing device and developer transferring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현상제 수용실에 저장된 현상제를 교반시키는 구조를 가진 현상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종류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 광주사장치와 현상기를 구비한다. 광주사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현상기는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인쇄매체에 바로 전사되거나 중간전사장치를 거쳐 인쇄매체에 전사되고, 인쇄매체로 전사된 화상은 정착과정을 통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현상기는 현상제수용실, 현상제 이송장치와, 현상부재를 구비한다. 현상제수용실은 현상제를 저장하고, 현상제 이송장치는 현상제를 현상제수용실로부터 현상부재로 공급한다. 현상부재는 현상제를 감광체로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현상제가 현상기 내에 고르게 배치될 수 있도록 현상기 내에 현상제 교반장치를 구비하고, 불균등하게 위치된 현상제에 의해 회전부재에 과부하가 걸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현상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는, 내부에 현상제수용실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현상제수용실 내부에 배치되고, 일측에 제1커플링이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회전부재; 상기 제1회전부재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회전부재에 구비된 제1커플링과 치합되는 제2커플링이 구비되며, 구동부와 연결되는 교반기어; 및 상기 제1회전부재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부재를 상기 교반기어 측으로 미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현상제수용실 내에 불균등하게 위치된 현상제에 의해 상기 제1회전부재가 회전할 수 없는 상태일 경우, 상기 제2커플링은 상기 제1회전부재의 제1커플링의 측면을 슬라이딩하여 통과한다.
상기 제1회전부재는, 상기 제1회전부재의 타측으로 이동했다가 상기 제2커플링이 상기 제1회전부재의 제1커플링을 통과하고나면 상기 교반기어 측으로 이동하는 왕복 운동을 반복한다.
상기 제1회전부재의 왕복 운동에 의해 상기 현상제이송부재가 함께 움직이며 상기 현상제수용실 내의 현상제를 교반시킨다.
상기 제1회전부재의 왕복운동은 상기 현상제수용실 내의 현상제가 고루 분포하여 상기 제1회전부재가 상기 교반기어와 함께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될 때까지 반복된다.
상기 제2커플링이 상기 제1회전부재의 제1커플링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면 상기 제1회전부재가 상기 제1회전부재의 타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수축된다.
상기 제2커플링이 상기 제1회전부재의 제1커플링을 통과하고 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회전부재는 상기 교반기어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커플링와 상기 제1회전부재의 제1커플링이 치합된다.
상기 하우징은 베이스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부재, 상기 제2회전부재 및 상기 현상제이송부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부재의 타측이 상기 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회전부재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홀의 깊이는 상기 홀에 삽입되는 상기 제1회전부재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된다.
상기 홀의 깊이는 적어도 상기 홀에 삽입되는 상기 제1회전부재의 길이보다 상기 제1회전부재의 커플링의 높이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더 길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재의 타측 외측면에는 탄성부재 지지부가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를 상기 교반기어 측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현상제가 상기 현상제 수용실 내에 고루 분포되어 상기 제1회전부재가 회전가능한 상태일 경우, 상기 제1회전부재의 커플링은 상기 교반기어 커플링과 치합되어 회전한다.
상기 교반기어 커플링의 일측면 또는 상기 교반기어 커플링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상기 제1회전부재의 커플링의 일측면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교반기어의 타측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기 제1회전부재는 상기 교반기어 커플링과 상기 커플링이 치합된 상태로 회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 및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기;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기는, 내부에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수용실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현상제수용실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회전부재; 상기 제1회전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회전부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교반기어; 및 상기 제1회전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제1회전부재를 상기 교반기어 측으로 미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기어의 일측에는 제2커플링이 구비되고, 상기 제1회전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제2커플링와 치합되는 제1커플링이 구비되어, 상기 제2커플링와 상기 제1커플링이 치합되어 회전한다.
상기 현상제수용실 내부의 불균등하게 분포된 현상제에 의해 상기 제1회전부재가 회전하지 못한 상태일 경우, 상기 제2커플링은 회전하여 상기 제1커플링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통과한다.
상기 제2커플링이 상기 제1커플링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면 상기 제1회전부재는 상기 제1회전부재의 타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커플링이 상기 제1커플링을 통과하고나면 상기 제1회전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교반기어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커플링와 상기 제1커플링이 치합된다.
상기 제1회전부재는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될 때까지 상기 제1회전부재의 타측으로 이동했다가 상기 교반기어 측으로 이동하는 왕복 운동을 반복하여 상기 현상제수용실 내부의 현상제를 교반시킨다.
상기 제2커플링의 일측면 또는 상기 제2커플링의 일측면과 접하는 상기 제1커플링의 일측면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상제가 현상기 내에 고르게 배치되도록 하여 현상제 공급 불량에 의한 화상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현상기 내에 불균등하게 위치된 현상제에 의해 교반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가 장착된 제1회전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가 연결된 제1회전부재의 일부 모습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회전부재의 일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어의 회전에 따른 교반기어와 제1회전부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가 정상상태일 때 제1회전부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가 이상상태일 때 제1회전부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상부와 현상제 수용부가 분리된 현상유닛의 일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 인쇄매체 공급유닛(20), 광주사유닛(30), 현상유닛(40), 전사유닛(50), 정착유닛(60) 및 인쇄매체 배출유닛(7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화상형성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인쇄매체 공급유닛(20)은 인쇄매체(S)가 보관되는 카세트(21)와, 카세트(21)에 보관된 인쇄매체(S)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2)와, 픽업된 인쇄매체를 전사유닛(5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주사유닛(30)은 옐로우(Yellow,Y), 마젠타(Magenta,M), 시안(Cyan,C), 블랙(Black,K)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인쇄 신호에 따라 후술되는 현상기(40Y, 40M, 40C, 40K)들의 각 감광체(44Y, 44M, 44C, 44K)에 주사하는 4개의 광주사기(30Y, 30M, 30C, 30K)를 포함한다. 4개의 광주사기(30Y, 30M, 30C, 30K)에 의해 주사된 광에 따라 각 감광체(44Y, 44M, 44C, 44K)들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유닛(40)은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 예를 들면, 옐로우(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 블랙(Blac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기(40Y, 40M, 40C, 40K)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 옐로우(Y) 색상의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기(40Y)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내용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는 다른 3개의 현상기(40M, 40C, 40K)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전사유닛(50)은 감광체(44Y)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인쇄매체로 전사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인쇄매체 이송벨트(51), 구동롤러(52), 피동롤러(53), 및 복수 개의 전사롤러(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쇄매체 이송벨트(51)는 인쇄매체 공급유닛(20)에서 공급된 인쇄매체를 복수 개의 감광체(44Y, 44M, 44C, 44K)로 이송한다.
구동롤러(52)와 피동롤러(53)는 인쇄매체 이송벨트(53)의 내측으로 그 양단에 설치되며, 인쇄매체 이송벨트(51)가 무한궤도로 회전하도록 한다.
복수 개의 전사롤러(54)는 인쇄매체 이송벨트(51)를 사이에 두고 감광체(44Y, 44M, 44C, 44K)들과 마주하며, 감광체(44Y, 44M, 44C, 44K)들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인쇄매체 이송벨트(51)에 의해 이송되는 인쇄매체로 전사되도록 한다.
정착유닛(60)은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61)와, 가열롤러(61)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가압롤러(62)를 구비한다. 인쇄매체가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 사이를 통과할 때, 가열롤러(61)로부터 전달되는 열과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전사된 화상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인쇄매체 배출유닛(70)은 배지롤러(71)와 배지백업롤러(72)를 구비하여 정착유닛(60)을 통과한 인쇄매체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현상기(40Y)는 하우징(41Y), 현상제수용실(100), 현상제 공급부재(42Y), 현상부재(43Y), 감광체(44Y)를 구비한다.
하우징(41Y)은 베이스프레임(110), 커버(120), 상부프레임(130), 상부커버(140)를 구비한다.
베이스프레임(110)은 그 내부에 수용되는 각종 부품을 지지한다. 커버(120)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를 덮어 베이스프레임(110)과 함께 현상제 저장을 위한 현상제수용실(100)을 형성한다.
상부프레임(130)과 상부커버(140)는 커버(120)의 상부에 배치되고, 감광체(44Y)로부터 회수되는 폐현상제를 저장하기 위한 폐현상제수용실(132)을 형성한다.
상부프레임(130)에는 클리닝부재(134)가 설치된다. 클리닝부재(134)는 감광체(44Y)의 표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긁어낸다. 클리닝부재(134)에 의해 제거된 폐현상제는 폐현상제 이송부재(136)에 의해 이송되어 폐현상제수용실(132)에 저장된다.
폐현상제 이송부재(136)는 클리닝부재(134)의 상측에 설치된다. 폐현상제 이송부재(136)는 플레이트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몰드물이나 탄성복원력이 우수한 필름(film)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폐현상제 이송부재(136)를 플레이트타입으로 마련하면 현상기(40Y)의 높이를 낮춤에 따라 폐현상제수용실(132)의 높이가 낮아지더라도 폐현상제를 효과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현상제수용실(100)은 격벽(112)에 의해 제1현상제수용실(102)과 제2현상제수용실(104)로 구획되며, 제1현상제수용실(102)과 제2현상제수용실(104)은 격벽(112)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114)를 통해 상, 하로 서로 연통된다.
제1현상제수용실(102)의 내부에는 현상제 이송장치(200, 200a, 200b)가 배치된다. 현상제 이송장치(200, 200a, 200b)는 제1현상제수용실(102)에 저장된 현상제 중 일부를 제2현상제수용실(104) 쪽으로 이송한다. 현상제 이송장치(200, 200a, 200b)는 현상제를 이송하는 역할과 함께 제1현상제수용실(102)의 현상제를 교반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제1현상제수용실(102)에 저장된 현상제는 현상제 이송장치(200, 200a, 200b)에 의해 제1현상제수용실(102)의 상측으로 이송되어 격벽(112)에 마련된 현상제안착부(116)에 공급된다. 현상제안착부(116)에 공급된 현상제는 공급오거(118)에 의해 격벽(112)의 일측으로 이송된 후, 유입구(114)를 통해 제2현상제수용실(104)로 자유낙하 된다.
제2현상제수용실(104)의 내부에는 제1순환오거(122), 제2순환오거(124), 현상제 공급부재(42Y), 현상부재(43Y)가 배치된다.
격벽(112)의 유입구(114)를 통해 자유낙하 된 현상제는 제1순환오거(122) 및 제2순환오거(124)에 의해 순환벽(126)을 사이에 두고 순환되며, 이러한 순환과정에서 현상제는 현상제 공급부재(42Y)를 거쳐 현상부재(43Y)로 공급된다. 현상부재(43Y)로 공급된 현상제는 규제장치(128)에 의해 그 층이 규제되고, 광주사기(30Y)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체(44Y)의 표면에 부착되어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도 2의 공급오거(118), 제1순환오거(122), 제2순환오거(124), 공급부재(42Y) 및 현상부재(43Y)는 현상제를 감광체(44Y)를 향해 공급하는 수단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반드시 이러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2성분 현상방식에서는 현상제 공급부재(42Y)가 생략될 수 있다. 또 도 2에서 현상제 공급부재(42Y)나 현상부재(43Y)는 실린더 형상의 롤러를 적용하였으나, 롤러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벨트타입이나 브러쉬타입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예시된 오거 형태의 이송부재들은(118, 122, 124) 다른 형태의 이송부재들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제2현상제수용실(104)에 충분한 양의 현상제가 공급되면, 유입구(114)를 통한 현상제의 유입은 중단되고, 유입구(114)로 유입되지 않은 현상제는 유입구(114)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공급오거(118)의 단부에 마련되는 반송날개(118a)에 의해 현상제 이송장치(200, 200a, 200b) 쪽으로 반송된다.
현상제수용실(100)은 하우징(41Y)의 내부에 형성되며, 감광체(44Y)로 공급될 현상제가 저장된다. 현상제 공급부재(42Y)는 하우징(41Y)에 설치되며, 현상제수용실(100)에 저장된 현상제를 현상부재(43Y)에 공급한다. 현상부재(43Y)는 광주사기(30Y)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체(44Y)의 표면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킨다. 감광체(44Y)는 하우징(41Y)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현상부재(43Y)로부터 현상제를 공급받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체(44Y)가 현상기(40Y)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감광체(44Y)는 현상기(40Y)와 별도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미설명부호 45Y는 광주사유닛(30Y)으로부터 광이 주사되기에 앞서 각 감광체(44Y)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를 나타낸다.
현상제 이송장치(200, 200a, 200b)는 제1현상제수용실(102)에 저장된 현상제 중 일부를 제2현상제수용실(104) 쪽으로 이송한다. 현상제 이송장치(200, 200a, 200b)는 현상제를 이송하는 역할과 함께 제1현상제수용실(102)의 현상제를 교반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제1현상제수용실(102)에 저장된 현상제는 현상제 이송장치(200, 200a, 200b)에 의해 제1현상제수용실(102)의 상측으로 이송되어 격벽(112)에 마련된 현상제안착부(116)에 공급된다. 현상제안착부(116)에 공급된 현상제는 공급오거(118)에 의해 격벽(112)의 일측으로 이송된 후, 유입구(114)를 통해 제2현상제수용실(104)로 자유낙하 된다.
제2현상제수용실(104)의 내부에는 제1순환오거(122), 제2순환오거(124), 현상제 공급부재(42Y), 현상부재(43Y)가 배치된다.
격벽(112)의 유입구(114)를 통해 자유낙하 된 현상제는 제1순환오거(122) 및 제2순환오거(124)에 의해 순환벽(126)을 사이에 두고 순환되며, 이러한 순환과정에서 현상제는 현상제 공급부재(42Y)를 거쳐 현상부재(43Y)로 공급된다. 현상부재(43Y)로 공급된 현상제는 규제장치(128)에 의해 그 층이 규제되고, 광주사기(30Y)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체(44Y)의 표면에 부착되어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도 2의 공급오거(118), 제1순환오거(122), 제2순환오거(124), 공급부재(42Y) 및 현상부재(43Y)는 현상제를 감광체(44Y)를 향해 공급하는 수단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반드시 이러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2성분 현상방식에서는 현상제 공급부재(42Y)가 생략될 수 있다. 또 도 2에서 현상제 공급부재(42Y)나 현상부재(43Y)는 실린더 형상의 롤러를 적용하였으나, 롤러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벨트타입이나 브러쉬타입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예시된 오거 형태의 이송부재들은(118, 122, 124) 다른 형태의 이송부재들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제2현상제수용실(104)에 충분한 양의 현상제가 공급되면, 유입구(114)를 통한 현상제의 유입은 중단되고, 유입구(114)로 유입되지 않은 현상제는 유입구(114)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공급오거(118)의 단부에 마련되는 반송날개(118a)에 의해 현상제 이송장치(200) 쪽으로 반송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이송장치(200)는 회전부재(210, 220)와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230, 240, 25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재(210, 220)는 제1회전부재(210) 및 제2회전부재(220)를 포함한다. 제1회전부재(210), 제2회전부재(220)는 현상제이송부재들(230, 240, 25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현상제이송부재들(230, 240, 250)은 제1회전부재(210)와 제2회전부재(220)의 주위를 회전하고, 제1현상제수용실(102)에 저장된 현상제를 격벽(112)의 상부로 이송한다.
제1회전부재(210)는 격벽(112)의 인접하여 제1현상제수용실(102)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2회전부재(220)는 제1회전부재(210)와 소정 간격을 두고 제1회전부재(210)의 맞은 편에 배치된다.
제1회전부재(21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제2현상제이송부재(240)의 일측 내면을 지지하여 회전력을 전달한다. 제2회전부재(220)는 현상제이송부재들(230, 240, 250)의 타측 내면을 지지하고, 현상제이송부재들(230, 240, 250)과 함께 회전한다.
제1회전부재(210)와 제2회전부재(220)는 제1현상제수용실(102)에 저장된 현상제를 교반할 수 있도록 나선형 날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부재(210)의 회전중심(210C)은 제2회전부재(220)의 회전중심(220C)보다 상측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회전부재(210)의 회전중심(210C)이 제2회전부재(220)의 회전중심(220C)보다 베이스프레임(110)의 바닥으로부터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중력에 의해 제1현상제수용실(102)의 현상제가 제2현상제수용실(104)로 이동되는 것은 차단되고, 현상제이송부재들(230, 240, 250)의 이송력에 의해서만 현상제가 공급되게 되므로 현상제 공급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현상제이송부재들(230, 240, 250)은 벨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현상제이송벨트들(231, 241, 251)은 보통 2mm 이하의 두께를 가진 필름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현상제이송벨트들(231, 241, 251)은 제1회전부재(210)의 축방향(X)으로 제1회전부재(2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현상제이송벨트(231) 및 제3현상제이송벨트(251)와, 제1현상제이송벨트(231)와 제3현상제이송벨트(251) 사이에 배치되는 제2현상제이송벨트(241)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이송장치(200a)는 회전부재(210a)의 외측면에 교반부(211a)가 형성될 수 있다. 교반부(211a)는 회전부재(210a)의 외측에 돌출된 리브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교반부(211a)는 회전부재(210a)와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회전부재(210a)가 회전하면 교반부(211a)에 의해 제1현상제수용실 내의 현상제가 교반될 수 있고, 제1현상제수용실 내의 현상제를 제2현상제수용실로 이송시킬 수 있다. 교반부(211a)가 형성된 회전부재(210a)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이송장치(200b)는 회전부재(210b)의 외측면에 교반 필름(211b)이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재(210b)가 회전하면 교반 필름(211b)에 제1현상제 수용실 내의 현상제가 교반될 수 있고, 제1현상제 수용실 내의 현상제를 제2현상제 수용실로 이송시킬 수 있다. 교반 필름(211b)이 구비된 회전부재(210b)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회전부재(21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210a) 및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210b)에는 현상제 수용실 내의 불균등하게 분포된 현상제를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 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회전부재(210)에 교반 장치가 장착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교반장치에 관한 내용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210b) 및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210b)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가 장착된 제1회전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가 연결된 제1회전부재의 일부 모습을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회전부재의 일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회전부재(210)의 일측에는 교반기어(29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회전부재(210)는 교반기어(290)를 통해 본체(10) 내부에 설치된 모터(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제1회전부재(210)의 일측에는 기어 연결부(212)가 구비될 수 있다. 기어 연결부(212)의 일측에는 제1커플링(213)이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커플링(213)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기어 연결부(212)에 형성된 복수의 제1커플링(213)는 교반기어(290)에 형성된 제2커플링(29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커플링(291)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제1회전부재(210)에 형성된 제1커플링(213)의 적어도 일측면은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교반기어(290)가 제1회전부재(210)에 장착되었을 때, 교반기어(290)에 형성된 제2커플링(291) 또는 상기 제2커플링(291)과 접촉하게 되는 제1커플링(213)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현상제수용실 내에 불균등하게 분포하여 굳어진 현상제로 인해 제1회전부재(210)가 회전할 수 없는 상태일 때, 제2커플링(291)이 제1커플링(213)의 일측면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하여 통과할 수 있다. 제2커플링(291)이 제1커플링(213)의 일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면 제1회전부재(210)는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커플링(213)의 대향되는 양 측면을 제1측면(213a) 및 제2측면(213b)이라 하면, 제1측면(213a)이 제1회전부재(210)의 연장선과 이루는 각은 0°보다 크고, 제2측면(213b)이 제1회전부재(210)의 연장선과 이루는 각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제1측면(213a)과 제2측면(213b)이 모두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하에서는 제1측면(213a)이 완만한 경사를 갖고 제2측면(213b)이 제1측면(213a)에 비해 가파른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보고 설명한다.
교반 기어(290)의 일측에는 제2커플링(291)이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2커플링(291)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교반 기어(290)에 형성된 제2커플링(291)은 제1회전부재(210)의 기어 연결부(212)에 형성된 복수의 제1커플링(21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교반 기어(290)에 형성된 제2커플링(291)은 기어 연결부(212)에 형성된 제1커플링(213)과 맞물려 서로 치합될 수 있다.
교반 기어(290)에 형성된 제2커플링(291)의 적어도 일측면은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커플링(291)의 대향되는 양측면을 제3측면(291a) 및 제4측면(291b)라 하면, 제3측면(291a)은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4측면(291b)은 제3측면(291a)에 비해 가파른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완만한 경사를 갖는 제3측면(291a)은 가파른 경사를 갖는 제2측면(213b)과 접촉될 수 있고, 가파른 경사를 갖는 제4측면(291b)은 완만한 경사를 갖는 제1측면(213a)과 접촉될 수 있다. 즉, 교반기어(290)가 제1회전부재(210)에 장착되면, 교반기어(290)에 형성된 제2커플링(291)과 제1회전부재(210)에 형성된 제1커플링(213)은 서로 치합되고, 서로 접촉되는 제2커플링(291)의 일측면과 제1커플링(213)의 일측면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회전부재(210)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면 제2커플링(291)이 제1회전부재(210)에 형성된 제1커플링(213)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통과할 수 있다.
제2커플링(291)이 제1커플링(213)의 일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면, 제1회전부재(210)는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커플링(291)이 제1커플링(213)의 일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하면, 제1회전부재(210)의 축방향의 왕복 이동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현상제 수용실(102) 내부의 현상제가 교반되어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교반 기어(290)의 타측에는 구동장치 연결부(293)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장치 연결부(293)는 모터와 직접 연결되거나, 모터와 연결된 다른 기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교반 기어(290)와 연결된 제1회전부재(210)에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제1회전부재(210)의 타측은 제1현상제수용실(102)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현상제수용실(102)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내측에는 홀(106)이 형성되고, 상기 홀(106)에 제1회전부재(210)의 타측이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다. 홀(106)의 깊이는 홀(106)에 삽입되는 제1회전부재(210)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홀(106)의 깊이는 적어도 홀(106)에 삽입되는 제1회전부재(210)의 길이보다 제1커플링(213)의 높이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회전부재(210)의 타측에는 탄성부재(295)가 장착될 수 있다. 탄성부재(295)는 제1회전부재(210)를 교반기어(290) 측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한다. 즉, 탄성부재(295)는 제2커플링(291)에 의해 제1회전부재(210)가 밀리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제1회전부재(210)가 움직일 수 있도록 제1회전부재(201)에 탄성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회전부재(210)의 타측에는 탄성부재 장착부(215)가 구비되고, 탄성부재 장착부(215)에 인접한 위치에 탄성부재 지지부(214)가 제1회전부재(21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295)에는 탄성부재 장착부(214)에 장착될 수 있다. 탄성부재 장착부(214)에 장착된 탄성부재(295)는 탄성부재 지지부(214)에 의해 지지되어 탄성부재 지지부(214)를 밀어냄으로써 탄성부재(295)가 제1회전부재(210)를 교반기어(290) 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탄성부재 장착부(215)의 일부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형성된 홀에 삽입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내측면과 탄성부재 지지부(214) 사이에 게재되어 제1회전부재(210)를 교반기어(290) 측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어의 회전에 따른 교반기어와 제1회전부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어(290)가 정상상태에서 회전하면, 교반기어(290)와 연결된 제1회전부재(210)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정상상태는, 제1현상제수용실(102) 내에 구비된 현상제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제1현상제수용실(102) 내에 골고루 위치되는 상태 또는 현상제가 제1현상제수용실(102) 내에서 한쪽으로 치우쳐서 위치되더라도 제1회전부재(210)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지 않고 회전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회전부재(210)가 회전하면 현상제이송부재들(230,240,250)가 함께 회전하여 제1현상제수용실(102) 내에 구비된 현상제를 교반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상상태에서 교반기어(290)가 모터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으면, 교반기어(290)와 연결된 제1회전부재(210)는 불균등하게 편중되어 위치된 현상제에 의해 과도한 부하를 받게 되어 회전하지 못하는 상태에 놓인다. 제1현상제수용실(102) 내에 구비된 현상제가 한쪽으로 치우쳐서 위치되어 굳어져 제1회전부재(210)의 회전시 제1회전부재(210)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는 상태를 이상상태라 할 수 있다.
이때 교반기어(290)는 계속해서 모터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고, 교반기어(290)의 제2커플링(291)은 제1회전부재(210)의 커플링(213)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서로 접촉되는 교반기어 제2커플링(291)의 측면과 제1커플링(213)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은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교반기어(290)의 제2커플링(291)은 제1회전부재(210)의 제1커플링(213)의 측면을 따라 부드럽게 슬라이딩하여 제1커플링(213)을 통과할 수 있다. 제2커플링(291)이 제1회전부재(210)의 제1커플링(213)을 슬라이딩하여 통과할 때 제1회전부재(210)의 타측에 구비된 탄성부재(295)는 탄성력과 반대 방향의 힘을 받아 수축할 수 있다. 이로써 교반기어(290)의 회전에 따라 제1회전부재(210)가 타측으로 밀릴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제2커플링(291)이 제1회전부재(210)의 제1커플링(213)을 통과할 수 있다.
이하, 현상기 내의 상태에 따른 제1회전부재의 동작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가 정상상태일 때 제1회전부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가 이상상태일 때 제1회전부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가 제1현상제수용실(102)에 고루 분포되거나, 현상제가 제1현상제수용실(102) 내에 불균등하게 위치되더라도 제1회전부재(210)이 회전하는 데에 과도한 로드를 가하지 않는 정상상태일 경우, 제1회전부재(210)는, 제1회전부재(210)에 구비된 제1커플링(213)과 교반기어(290)에 형성된 제2커플링(291)이 서로 치합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회전부재(210)의 타측에 구비된 탄성부재(295)는 제1회전부재(210)를 교반기어(290) 측으로 미는 힘을 작용하여, 제1회전부재(210)의 제1커플링(213)이 제2커플링(291)과 치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정상상태인 경우, 제1회전부재(210)는 교반기어(290)에 의해 회전하여 현상제이송부재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현상제수용실(102) 내의 현상제가 제1현상제수용실(102) 내에 고루 분포되도록 교반시킬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현상제가 제1현상제수용실(102) 내에 불균등하게 위치되어 다져져서 제1회전부재(210)가 회전하는 데에 과도한 로드를 주게 되는 이상상태일 경우, 모터에 의해 전달받은 구동력에 의해 교반기어(290)는 회전하고 제1회전부재(210)는 편중되어 위치된 현상제에 의해 회전할 수 없는 상태에 놓인다. 이때 교반기어(290)는 회전하여 제2커플링(291)의 측면이 제1회전부재(201)의 제1커플링(213)의 측면을 슬라이딩할 수 있다. 제2커플링(291)은, 제1커플링(213)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제1커플링(213)을 통과할 수 있다. 제2커플링(291)이 제1커플링(213)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면, 제1회전부재(210)는 제1회전부재(210)의 타측으로 밀리게 된다. 제1회전부재(210)의 타측에 구비된 탄성부재(295)는 수축한다.
제2커플링(291)이 제1커플링(213)을 통과하고 나면, 제1회전부재(210)는 탄성부재(295)의 탄성력에 의해 교반기어(290) 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탄성부재(295)에 의해 제1회전부재(210)는 튕기듯이 교반기어(29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교반기어(290)는 모터에 의해 계속 회전할 수 있다. 제2커플링(291)은 어느 하나의 제1커플링(213)을 통과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제1커플링(213)에 인접한 다른 제1커플링(213')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통과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295)에 의해 제1회전부재(210)는 제1회전부재(210)의 타측으로 밀렸다가, 제2커플링(291)이 다른 하나의 제1커플링(213)을 통과하면 교반기어(290) 측으로 튕기듯이 이동할 수 있다.
이상 상태일 때 교반기어(290)는 모터에 의해 계속해서 회전하고 제2커플링(291)은 제1회전부재(210)에 구비된 제1커플링(213)을 차례로 통과한다. 제1커플링(213)이 복수개가 구비된 경우, 제2커플링(291)은 제1회전부재(210)에 구비된 제1커플링(213)를 차례로 통과할 수 있다.
제2커플링(291)이 제1회전부재(210)에 구비된 복수의 제1커플링(213)을 차례로 통과하면, 제1회전부재(210)는 제1회전부재(210)의 타측으로 밀렸다가 교반기어(290) 측으로 되돌아오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현상제이송부재들(230,240,250)는 제1회전부재(210)와 함께 제1회전부재(210)가 제1회전부재(210)의 타측으로 밀렸다가 교반기어(290) 측으로 되돌아오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현상제이송부재(230,240,250)가 제1회전부재(210)와 함께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제1현상제수용실(102) 내의 현상제는 고루 분포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상부와 현상제 수용부가 분리된 현상닛의 일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닛은 현상부(40')와 현상제 수용부(100')가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현상부(40')와 현상제 수용부(100')는 공급관로(4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현상제 수용부(100')에는 현상제가 수용된다. 현상제 수용부(100')는, 현상부(40')와 별개로 현상제수용부(100')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현상제 수용부(100')에는 공급관로(42')와 연통되는 현상제 공급홀(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현상제 수용부(100') 내에는 현상제 이송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현상제 이송장치(200')는 현상제 수용부(100')에 수용된 현상제를 현상제 공급홀(미도시) 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현상제 이송장치(200')는 현상제를 이송하는 역할과 함께 현상제 수용부(100')의 현상제를 교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닛과 같이 현상제 수용부(100')와 현상부(40')가 분리된 경우에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이송장치(200')에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현상제 이송장치(200,200a,200b)에 관한 내용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현상제 이송장치(200')는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회전부재에는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현상제 이송부재가 장착되거나, 회전부재의 외측에 교반리브 또는 교반필름이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재가 회전함으로써 현상제 이송부재, 교반리브 또는 교반필름에 의해 현상제 수용부(100') 내에 수용된 현상제가 교반될 수 있다.
회전부재의 일측에는 축 방향으로 돌출된 제1커플링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재의 일측에는 제1커플링과 치합되는 제2커플링이 형성된 교반기어가 구비될 수 있다. 교반기어는 모터와 연결될 수 있다. 교반기어가 모터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상상태에서 회전하면, 교반기어와 연결된 회전부재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상상태에서 교반기어가 모터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으면, 교반기어와 연결된 회전부재는 현상제 수용부(100') 내에 불균등하게 편중되어 위치된 현상제에 의해 과도한 부하를 받게 되어 회전을 하지 못하는 상태에 놓인다. 교반기어가 계속해서 모터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으면, 제2커플링이 제1커플링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제1커플링을 통과할 수 있다. 이때 회전부재는 회전부재의 타측으로 밀렸다가 제2커플링이 제1커플링을 통과하고 나면 탄성부재에 의해 교반기어 측으로 튕기듯 이동할 수 있다. 즉, 회전부재는 교반기어의 회전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되어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커플링 및 제2커플링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제2커플링이 어느 하나의 제1커플링을 통과하고, 인접한 다른 제1커플링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통과할 수 있다. 이때 회전부재는 교반기어의 회전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되어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이로써 현상제 수용부(100') 내의 현상제가 교반되어 고르게 분포되면 교반기어와 회전부재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편중되어 위치된 현상제가 현상제수용실 내에 고루 분포되도록 함으로써 현상기의 화상 빠짐 등의 불량을 방지하고 현상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현상제수용실 내에 현상제가 편중되어 위치되어 단단하게 다져진 경우, 상기와 같이 제1회전부재(210)가 튕기듯 왕복운동을 함으로서 단단하게 다져진 현상제가 부서져 교반될 수 있다. 현상제가 교반되어 제1회전부재가 회전할 수 있는 상태에 이르면, 제2커플링과 제1회전부재의 제1커플링이 치합된 상태로 제1회전부재가 회전할 수 있다. 이로써 현상제수용실 내에 불균등하게 분포된 현상제가 고루 분포되고 화상기가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현상제가 현상제수용실 내에 편중되게 위치되어 다져진 경우, 단단하게 굳어진 현상제에 의해 제1회전부재에 강한 로드가 작용되어 제1회전부재에 회전력이 전달되면 제1회전부재가 회전하지 못하고 파손될 수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상상태에서 사용자는 현상기를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분리하여 흔들거나 다른 조치를 하여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현상제가 현상제수용실 내에 편중되어 위치되어 단단하게 굳어진 상태에 있더라도, 교반기어에 구비된 제2커플링과 제1회전부재에 구비된 제1커플링의 형상 및 탄성부재의 구조에 의해 제1회전부재 및 현상제이송부재가 튕기듯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굳어있는 현상제가 부서져 현상제수용실 내에 고루 분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제1회전부재에 강한 로드가 가해져 파손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는 현상기를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양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1 : 화상형성장치 40Y, 40M, 40C, 40K : 현상기
100 : 현상제수용실 200 : 현상제 이송장치
210 : 제1회전부재 213 : 제1커플링
220 : 제1회전부재 290 : 교반기어
291 : 제2커플링 295 : 탄성부재

Claims (23)

  1. 내부에 현상제수용실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현상제수용실 내부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제1커플링이 마련되는 회전부재;
    구동원과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교반기어로서, 상기 교반기어는 상기 회전부재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구비된 제1커플링과 치합되는 제2커플링을 구비하는 교반기어; 및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교반기어 측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타측에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현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수용실 내에 불균등하게 위치된 현상제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할 수 없는 상태일 경우, 상기 제2커플링은 상기 회전부재의 제1커플링의 측면을 슬라이딩하여 통과하며 상기 회전부재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현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타측으로 이동했다가 상기 제2커플링이 상기 회전부재의 제1커플링을 통과하고나면 상기 교반기어 측으로 이동하는 왕복 운동을 반복하여 상기 회전부재가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반복하도록 하는 현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왕복 운동에 의해 상기 현상제이송부재가 함께 움직이며 상기 현상제수용실 내의 현상제를 교반시키는 현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왕복운동은 상기 현상제수용실 내의 현상제가 고루 분포하여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교반기어와 함께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될 때까지 반복되는 현상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플링이 상기 회전부재의 제1커플링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면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회전부재의 타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수축되는 현상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플링이 상기 회전부재의 제1커플링을 통과하고 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교반기어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커플링과 상기 회전부재의 제1커플링이 치합되는 현상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와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현상제수용실 내부에 배치되는 다른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다른 회전부재의 주위를 회전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를 더 포함하는 현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베이스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 상기 다른 회전부재 및 상기 현상제이송부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는 현상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타측이 상기 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상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깊이는 적어도 상기 홀에 삽입되는 상기 회전부재의 길이보다 상기 회전부재의 제1커플링의 높이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더 길게 형성되는 현상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타측 외측면에는 탄성부재 지지부가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를 상기 교반기어 측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현상기.
  13. 제12항에 있어서,
    현상제가 상기 현상제 수용제1실 내에 고루 분포되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가능한 상태일 경우, 상기 회전부재의 커플링은 상기 제2커플링과 치합되어 회전하는 현상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플링의 일측면 또는 상기 제2커플링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상기 회전부재의 제1커플링의 일측면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현상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어의 타측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2커플링과 상기 제1커플링이 치합된 상태로 회전하는 현상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면에는 상기 현상제수용실 내에 수용된 현상제를 교반시키는 교반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현상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회전부재와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현상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교반필름인 현상기.
  19.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 및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기;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기는, 내부에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수용실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현상제수용실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교반기어; 및
    상기 회전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교반기어 측으로 미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기어의 일측에는 제2커플링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제2커플링과 치합되는 제1커플링이 구비되어, 상기 제2커플링과 상기 제1커플링이 치합되어 회전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수용실 내부의 불균등하게 분포된 현상제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지 못한 상태일 경우, 상기 제2커플링은 회전하여 상기 제1커플링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통과함으로써 상기 회전부재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화상형성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플링이 상기 제1커플링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면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타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커플링이 상기 제1커플링을 통과하고나면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교반기어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커플링와 상기 제1커플링이 치합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될 때까지 상기 회전부재의 타측으로 이동했다가 상기 교반기어 측으로 이동하는 왕복 운동을 반복하여 상기 현상제수용실 내부의 현상제를 교반시키는 화상형성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플링의 일측면 또는 상기 제2커플링의 일측면과 접하는 상기 제1커플링의 일측면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구비되는 화상형성장치.
KR20130095928A 2013-08-13 2013-08-13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20150019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5928A KR20150019275A (ko) 2013-08-13 2013-08-13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14/457,481 US20150050053A1 (en) 2013-08-13 2014-08-12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5928A KR20150019275A (ko) 2013-08-13 2013-08-13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275A true KR20150019275A (ko) 2015-02-25

Family

ID=52466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5928A KR20150019275A (ko) 2013-08-13 2013-08-13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050053A1 (ko)
KR (1) KR2015001927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5857B2 (ja) * 2016-10-06 2019-08-2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7095B2 (ja) * 1998-12-11 2005-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4360331B2 (ja) * 2005-03-10 2009-11-11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現像装置
JP4622774B2 (ja) * 2005-09-21 2011-02-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08268506A (ja) * 2007-04-19 2008-11-06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像保持体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492667B2 (ja) * 2007-10-17 2010-06-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8064815B2 (en) * 2010-03-11 2011-11-22 Lexmark International, Inc. Wrap spring clutch auger
JP5675510B2 (ja) * 2011-06-21 2015-02-25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50053A1 (en) 2015-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857B1 (ko) 현상제 용기, 현상 장치, 처리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US724288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processing unit that can be removed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without removing exposing devices
US9244379B2 (en)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US9354548B2 (en)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EP3282321B1 (en) Development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US9983507B1 (en) Developer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CN105278285B (zh) 调色剂盒和使用其的电子照相成像装置
KR101529490B1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KR101579738B1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9042774B2 (en)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50019275A (ko)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818206B1 (ko)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041083B1 (ko)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와 그 현상제 이송장치
KR100708175B1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3774582B2 (ja) 画像形成装置
US10048639B2 (en) Unidirectional clutch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101600866B1 (ko) 화상형성장치
JP2008197470A (ja) トナー搬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AU2007201405B2 (en) Developing device, image form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90114917A (ko) 현상제 용기, 현상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JP2014123065A (ja) 粉体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1921456B2 (en) Driving coupler having locking structure and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JP2012032617A (ja) 混合攪拌構造、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