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917A - 현상제 용기, 현상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현상제 용기, 현상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917A
KR20190114917A KR1020190037557A KR20190037557A KR20190114917A KR 20190114917 A KR20190114917 A KR 20190114917A KR 1020190037557 A KR1020190037557 A KR 1020190037557A KR 20190037557 A KR20190037557 A KR 20190037557A KR 20190114917 A KR20190114917 A KR 20190114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developer container
developer accommodating
elastic member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헤이 쿠사노
나오야 아사누마
타카토시 하마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4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9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2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a peelable sealing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89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agitation or stir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5Pivotable subunit conn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28Prevention of damage or soiling, e.g. mechanical abrasion
    • G03G21/1832Shielding members, shutter, e.g. light, heat shielding, prevention of toner scatte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7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a peelable sealing fil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 용기는, 현상제 수용부와, 회전 부재와, 가요성을 갖는 시트 부재를 포함한다. 현상제 용기는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 현상제 수용부의 긴 길이방향에 있어서, 회전 부재의 일단부와 현상제 수용부의 내측면 사이에는, 현상제 수용부에 대한 회전 부재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간극이 형성된다. 미사용 상태에 있어서, 시트 부재는, 긴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회전 부재의 현상제 수용부에 대한 상대 이동에 의해, 탄성 부재와 함께 탄성변형 가능하다.

Description

현상제 용기, 현상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DEVELOPER CONTAINER, DEVELOP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되는 현상제 용기, 현상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방식(전자 사진 프로세스)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상 담지체로서의 감광체(이하, 「감광 드럼」이라 함)를 균일하게 대전시킨다. 이어서, 대전된 감광체를 선택적으로 노광함으로써, 감광 드럼의 표면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이어서, 감광 드럼의 표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서의 토너에 의해 토너상으로서 현상화한다. 그리고, 감광 드럼의 표면 상에 형성된 토너상을, 기록 용지, 플라스틱 시트 등의 기록재에 전사하고, 나아가, 기록재 상에 전사된 토너상에 열이나 압력을 가함으로써 토너상을 기록재에 정착시켜 화상 기록을 행한다.
이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각종의 프로세스 수단의 메인터넌스를 필요로 한다. 이 각종의 프로세스 수단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은 감광 드럼, 대전 수단, 현상 수단, 클리닝 수단 등을 프레임 내에 집약하여 조립하여 카트리지화 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로 한 것이 실용화되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방식에 의하면, 유저빌러티(usability; 사용 편의)가 우수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현상 장치는, 일반적으로, 감광 드럼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 수단으로서의 현상제 담지체나, 현상제 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부재가 설치된 현상부와, 이 현상부에 공급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용기를 갖는다. 여기서, 현상제 용기로부터 현상부로의 현상제의 반송에는, 회전 가능한 교반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운반 등을 할 때에 현상제 용기 내에서 현상제가 치우쳐 응집할 경우가 있다. 현상제가 응집한 상태에서는, 교반 부재의 회전 부하가 극단적으로 커질 우려가 있다. 이에, 일본 특허공개 평8-240973호 공보에서는, 교반 부재와는 별도로, 토너 용기의 내벽에 스프링을 개재시켜 요동판을 설치하고, 운반 중의 진동으로 요동판이 요동함으로써 토너 용기 내의 현상제를 흔들어, 현상제의 응집을 억제한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제2000-181207호 공보에서는, 구동 부재로부터의 구동력이 교반 부재로 전달되면, 교반 부재를 회전축선 방향으로 구동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쪽의 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가압 부재에 의해 교반 부재를 회전축선 방향으로 구동 부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회전 부하가 큰 상태에서 교반 부재를 구동하면, 교반 부재는 회전하지 않고 회전축선 방향으로 요동하여 응집한 현상제를 풀고, 현상제가 풀어져 회전 부하가 작아지면 교반 부재가 회전한다.
그렇지만, 일본 특허공개 평8-240973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개 제2000-181207호 공보에서는, 요동 가능한 별도의 부재를 추가하는 일 없이, 간이한 구성으로 운반 중에 발생하는 현상제의 응집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 아직 충분히 검토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운반 중에 발생하는 현상제의 응집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는 현상제 용기, 현상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현상제 용기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현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현상제 용기는, 현상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또한,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회전축을 포함하는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에 고정되는 제1 단부와, 미사용 상태에서는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일부에 장착되고 사용 상태에서는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일부로부터 박리 가능한 제2 단부를 포함하는 가요성을 갖는 시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용기는, 상기 긴 길이방향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의 단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긴 길이방향으로 탄성 변형가능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긴 길이방향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의 단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내측면과의 사이에는,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미사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긴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 부재의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대한 상대 이동에 의하여, 상기 탄성 부재와 함께 탄성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이하의 첨부 도면을 참조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관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진다.
[도 1] 본 발명과 관련되는 현상제 용기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2] 본 발명과 관련되는 현상제 용기를 구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3] 본 발명과 관련되는 현상제 용기를 구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4] 제1 실시형태의 현상제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제1 실시형태의 현상제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6] (a)는, 구동 전달 부재를 하측으로 하여 제1 실시형태의 현상제 용기가 운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b)는, 구동 전달 부재를 하측으로 하여 제1 실시형태의 현상제 용기가 운반되었을 경우의 봉지 시트의 거동을 설명하는 단면 설명도이다. (c)는, 봉지 시트를 (b)의 하측으로부터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7] (a)는, 구동 전달 부재를 상측으로 하여 제1 실시형태의 현상제 용기가 운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b)는, 구동 전달 부재를 상측으로 하여 제1 실시형태의 현상제 용기가 운반되었을 경우의 봉지 시트의 거동을 설명하는 단면 설명도이다. (c)는, 봉지 시트를 (b)의 상측으로부터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8] 제2 실시형태의 현상제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제2 실시형태의 현상제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10] (a)는, 구동 전달 부재를 하측으로 하여 제2 실시형태의 현상제 용기가 운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b)는, 구동 전달 부재를 하측으로 하여 제2 실시형태의 현상제 용기가 운반되었을 경우의 봉지 시트의 거동을 설명하는 단면 설명도이다. (c)는, 봉지 시트를 (b)의 하측으로부터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 (a)는, 구동 전달 부재를 상측으로 하여 제2 실시형태의 현상제 용기가 운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b)는, 구동 전달 부재를 상측으로 하여 제2 실시형태의 현상제 용기가 운반되었을 경우의 봉지 시트의 거동을 설명하는 단면 설명도이다. (c)는, 봉지 시트를 (b)의 상측으로부터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에 의해 본 발명과 관련되는 현상제 용기, 현상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일 실시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도 7을 이용하여 본 발명과 관련되는 현상제 용기(38), 현상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제1 실시형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
도 1~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과 관련되는 현상제 용기(38)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현상제 용기(38)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현상제 용기(38)를 구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현상제 용기(38)를 구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전자 사진 프린터의 일례이다. 도 1에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100)는, 복수의 화상 형성부로서, 옐로우 Y, 마젠타 M, 시안 C, 블랙 K의 각 색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각 화상 형성부(SY, SM, SC, SK)를 갖는다. 각 화상 형성부(SY, SM, SC, SK)의 구성 및 동작은, 형성하는 화상의 색이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같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순히 화상 형성부(S)를 이용하여 설명하는 경우도 있다. 다른 화상 형성 프로세스 수단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에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100)는, 현상제상을 담지하는 4개의 상 담지체로서의 감광 드럼(1Y, 1M, 1C, 1K)을 갖는다. 각 감광 드럼(1)은, 도 1의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한다. 각 감광 드럼(1)의 주위에는, 대전 수단이 되는 대전 롤러(2) 및 노광 수단이 되는 스캐너 유닛(3)이 설치되어 있다. 대전 롤러(2)는, 감광 드럼(1)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 수단이다. 스캐너 유닛(3)은, 균일하게 대전된 각 감광 드럼(1)의 표면에 대해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이에 의해 각 감광 드럼(1)의 표면 상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감광 드럼(1)의 주위에는, 나아가, 현상 수단이 되는 현상 유닛(4Y, 4M, 4C, 4K)(현상 장치)이 설치되어 있다. 각 감광 드럼(1)의 표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대해서, 각 현상 유닛(4)으로부터 각 색의 토너(T)(현상제)가 공급된다. 이에 의해 각 감광 드럼(1)의 표면 상에 토너상이 형성된다. 감광 드럼(1)의 주위에는, 또한, 클리닝 수단으로서의 클리닝 블레이드(6Y, 6M, 6C, 6K)가 설치되어 있다.
각 감광 드럼(1)에 대향하여, 중간 전사체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5)가 설치되어 있다. 중간 전사 벨트(5)는, 복수의 지지 부재가 되는 구동 롤러(26), 2차 전사 대향 롤러(27) 및 종동 롤러(28)에 의해 도 1의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둘러 걸쳐져 있다. 중간 전사 벨트(5)의 외주면은, 모든 감광 드럼(1)의 표면에 접촉하고 있다.
중간 전사 벨트(5)의 내주면측에는, 각 감광 드럼(1)에 대향하여, 1차 전사 수단이 되는 4개의 1차 전사 롤러(8)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는 1차 전사 바이어스 전원으로부터 각 1차 전사 롤러(8)로 1차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됨으로써 각 감광 드럼(1)의 표면 상에 형성된 토너상이 중간 전사 벨트(5)의 외주면 상에 순차적으로, 1차 전사되어 중첩된다. 1차 전사 후에 각 감광 드럼(1)의 표면 위에 잔류한 토너(T)는, 각 클리닝 블레이드(6)에 의해 긁어내어져 각 클리닝 프레임(14)에 설치된 폐토너 수용부(14a) 내로 회수된다. 중간 전사 벨트(5)의 외주면측에서 2차 전사 대향 롤러(27)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2차 전사 수단으로서의 2차 전사 롤러(9)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100)의 하부에 설치된 급송 카세트(17) 내에 수용된 기록재(12)는, 픽업 롤러(19)에 의해 픽업되어, 분리 패드(25)와의 협동에 의해 한 장씩 분리 급송된다. 그 후, 반송 롤러(33)에 의해 협지 반송되어, 정지된 레지스터 롤러(34)의 닙부(nip)에 기록재(12)의 선단부가 부딪혀져 기록재(12)의 사행(斜行)이 보정된다.
중간 전사 벨트(5)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토너상의 화상 끝이 중간 전사 벨트(5)의 외주면과 2차 전사 롤러(9)와의 닙부로 이루어지는 2차 전사부(N)에 도달하는 타이밍에 맞추어, 레지스터 롤러(34)에 의해 기록재(12)가 협지 반송된다. 이 때, 도시하지 않는 2차 전사 바이어스 전원으로부터 2차 전사 롤러(9)에 2차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됨으로써 2차 전사부(N)에 있어서, 중간 전사 벨트(5)의 외주면 상에 중첩하여 1차 전사된 토너상이 기록재(12)에 2차 전사된다. 2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 벨트(5)의 외주면 상에 잔류한 토너(T)는, 클리닝 수단으로서의 클리너(11)에 의해 긁어내어져 회수된다.
2차 전사부(N)에 있어서, 토너상이 2차 전사된 기록재(12)는, 정착 수단이 되는 정착 장치(10)로 반송되고, 정착 장치(10)에 설치된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에 의해 협지 반송되는 동안에 가열 및 가압되어 토너상이 기록재(12)에 열정착된다. 그 후, 배출 트레이(35) 상으로 배출된다.
본 실시형태의 각 현상 유닛(4)은, 현상제로서 비자성 일성분 현상제로 이루어진 토너(TY, TM, TC, TK)를 이용하고 있다. 각 현상 유닛(4)에는, 토너(T)(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2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현상 롤러(22)의 표면 상에는, 각 색의 토너(T)가 담지되어 있다. 각 현상 롤러(22)를 각 감광 드럼(1)의 표면에 대해 접촉시켜, 각 감광 드럼(1)의 표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대해서, 각 현상 롤러(22)의 표면에 담지된 각 색의 토너(T)를 공급하여 접촉 현상을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감광 드럼(1)과, 대전 롤러(2)와, 클리닝 블레이드(6)와, 폐토너 수용부(14a)를 가지는 클리닝 프레임(14)에 의해 감광체 유닛(13)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현상 유닛(4)과, 감광체 유닛(13)을, 일체적으로 카트리지화 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형성하고 있다.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된 장착 가이드(36)를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치 본체(100A)의 내부에 장착되고, 도시하지 않는 위치결정 부재에 의해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화상 형성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도 2의 화살표 G방향으로 가리키는 감광 드럼(1)의 축선방향을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다.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동일 형상을 갖고 구성된다.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7) 내에는, 각각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색의 토너(TY, TM, TC, TK)가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현상제 용기(38)와, 현상 롤러(22)(현상제 담지체)를 구비한 현상 유닛(4)(현상 장치)과, 감광 드럼(1)(상 담지체)을 구비한 감광체 유닛(13)을 일체적으로 유닛화하였다. 이와 같은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화상 형성 장치(100)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였다. 그 밖에, 현상제 용기(38) 또는 현상 유닛(4)(현상 장치)을 카트리지화 하고 화상 형성 장치(100)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화상 형성 동작>
화상 형성 중에는, 먼저, 도 1의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는 각 감광 드럼(1)의 표면이 각 대전 롤러(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다음으로, 스캐너 유닛(3)으로부터 각 색의 화상 정보에 따른 레이저광이 출사된다. 스캐너 유닛(3)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은, 균일하게 대전된 각 감광 드럼(1)의 표면 상에 주사 노광된다. 이에 의해 각 감광 드럼(1)의 표면 상에 화상 정보에 따른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각 감광 드럼(1)의 표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각 현상 유닛(4)에 설치된 현상 롤러(22)에 의해 각 색의 토너(T)가 각각 공급되어 토너상으로서 현상된다. 각 감광 드럼(1)의 표면 상에 형성된 토너상은, 각 1차 전사 롤러(8)의 작용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5)의 외주면 상에 1차 전사된다.
예를 들면, 풀 컬러 화상의 형성 시에는, 상기 화상 형성 프로세스가, 화상 형성부(SY, SM, SC, SK)에 있어서 순차 행해진다. 이에 의해 각 감광 드럼(1)의 표면 상에 형성된 각 색의 토너상이 중간 전사 벨트(5)의 외주면 상에 순차 겹쳐 맞추어져 1차 전사된다.
그 후, 중간 전사 벨트(5)의 도 1의 화살표 B방향의 회전과 동기하여 기록재(12)가 2차 전사부(N)로 반송된다. 그리고, 기록재(12)를 거쳐 중간 전사 벨트(5)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있는 2차 전사 롤러(9)의 작용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5)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4색의 토너상은, 일괄하여 기록재(12) 상에 2차 전사된다.
토너상이 2차 전사된 기록재(12)는, 정착 수단으로서의 정착 장치(10)로 반송된다. 정착 장치(10)에 설치된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에 의해 토너상을 담지한 기록재(12)가 협지 반송되는 동안에 토너상을 담지한 기록재(12)에 열 및 압력이 가해진다. 이에 의해 기록재(12)에 토너상이 열정착된다.
1차 전사 후에 각 감광 드럼(1)의 표면 상에 잔류한 1차 전사 잔류 토너는, 각 클리닝 블레이드(6)에 의해 긁어내어져 제거되고, 각각 폐토너 수용부(14a) 내로 회수된다. 또한, 2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 벨트(5)의 외주면 상에 잔류한 2차 전사 잔류 토너는, 클리너(11)에 의해 제거되어 회수된다.
클리너(11)에 의해 제거된 전사 잔류 토너(폐토너)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폐토너 박스 내로 배출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소망하는 단독 또는 몇개의(모두는 아님) 화상 형성부(S)만을 이용하여, 단색 또는 멀티 컬러의 화상을 형성할 수도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다음으로, 도 3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감광체 유닛(13)은, 감광체 유닛(13) 내의 각종 요소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서의 클리닝 프레임(14)을 갖는다. 클리닝 프레임(14)에는, 도시하지 않는 베어링 부재를 거쳐 감광 드럼(1)이 도 3의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클리닝 프레임(14)에는, 또한, 대전 롤러(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15)이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15)은, 대전 롤러(2)의 회전 중심(2a)과 감광 드럼(1)의 회전 중심(1a)을 통과하는 직선 “37”을 따라 도 3의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베어링(15)은, 가압 수단으로서의 가압 스프링(16)의 가압력에 의해 감광 드럼(1)을 향해 가압되고 있다.
클리닝 블레이드(6)는, 1차 전사 후에 각 감광 드럼(1)의 표면에 남은 전사 잔류 토너(폐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탄성 부재(6a)와, 탄성 부재(6a)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6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클리닝 블레이드(6)에 의해 각 감광 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폐토너는, 클리닝 블레이드(6)와 클리닝 프레임(1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중력 방향(도 3의 아랫방향)으로 낙하하여, 폐토너 수용부(14a) 내에 수용된다.
현상 유닛(4)은, 현상 유닛(4) 내의 각종 요소를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18)을 갖는다. 현상 프레임(18)에 의해 현상제 용기(38)가 형성되어 있다. 현상 유닛(4)에는, 감광 드럼(1)의 표면과 접촉하여 도 3의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22)가 설치되어 있다. 현상 롤러(22)는, 그 긴 길이방향(회전 축선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현상 프레임(18)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현상 유닛(4)은, 토너(T)(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실(18a)(현상제 수용부)와, 현상 롤러(22)가 설치된 현상실(18b)과, 현상제 수용실(18a)과 현상실(18b)을 연통하는 개구(18c)를 갖는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화상 형성 장치(100)의 화상 형성 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현상실(18b)은, 현상제 수용실(18a)의 상방에 위치한다. 개구(18c)는, 현상제 수용실(18a) 내(현상제 수용부 내)와, 그 외부가 되는 현상실(18b)을 연통한다.
현상실(18b)에는, 현상 롤러(22)의 표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현상제 공급 부재로서의 공급 롤러(20)와, 현상 롤러(22)의 표면 상에 담지되는 토너(T)의 층 두께를 규제하기 위한 현상제 규제 부재로서의 현상 블레이드(21)가 설치되어 있다. 현상제 수용실(18a)에는, 당해 현상제 수용실(18a) 내에 수용된 토너(T)를 교반함과 함께, 개구(18c)를 통해서, 현상실(18b) 내의 공급 롤러(20)로 토너(T)를 반송하기 위한 회전 부재가 되는 교반 부재(23)가 설치되어 있다.
교반 부재(23)(회전 부재)는, 현상제 수용실(18a) 내(현상제 수용부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축(23a)이 현상제 수용실(18a)(현상제 수용부)의 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회전축(23a)은, 현상 롤러(22)의 회전축선 방향에 평행으로 배치된다. 나아가, 일단부에 설치된 고정부(23b1)가 회전축(23a)에 고정되고, 타단부에 설치된 자유단부(23b2)를 가지는 교반 시트(23b)가 설치되어 있다.
교반 시트(23b)는, 가요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 부재로 구성된다. 회전축(23a)이 도 3의 화살표 F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교반 시트(23b)가 회전축(23a)과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현상제 수용실(18a) 내에 수용된 토너(T)를 교반 반송한다. 나아가, 교반 부재(23)는, 가요성을 갖고 탄성 변형가능한 시트 부재로 되는 봉지 부재로서의 봉지 시트(24)를 갖는다. 봉지 시트(24)(시트 부재)의 제1 단부가 되는 고정부(24a)는, 교반 부재(23)(회전 부재)의 회전축(23a)에 고정된다.
미사용 상태에서는 현상제 수용실(18a)(현상제 수용부)에 장착되고, 사용 상태에서는 현상제 수용실(18a)(현상제 수용부)로부터 박리 가능한 제2 단부가 되는 봉지부(24b)는, 개구(18c)의 현상제 수용실(18a) 쪽의 주연부(18c1)에 박리 가능하게 접합된다. 개구(18c)는, 현상제 수용실(18a)(현상제 수용부)와 현상실(18b)(외부)을 구획하는 격벽(18h)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봉지부(24b)는, 고정부(24a)(제1의 단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미사용 상태일 때는, 봉지 시트(24)의 봉지부(24b)가 개구(18c)의 현상제 수용실(18a) 쪽의 주연부에 박리 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봉지 시트(24)의 봉지부(24b)가 개구(18c)를 개봉 가능하게 봉지한다. 이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미사용 상태일 때는, 운반 중의 진동 등에 의해 현상제 수용실(18a) 내에 수용된 토너(T)가 현상실(18b) 내로 누출되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현상 롤러(22)의 표면의 일부를 감광 드럼(1)을 향해 노출시키는 현상 프레임(18)의 개구로부터 토너(T)가 외부로 누출되는 일이 없다.
봉지 시트(24)의 고정부(24a)는, 회전축(23a)에 고정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사용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화상 형성 장치(100)의 화상 형성 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는 구동원이 되는 모터의 회전 구동력이 회전축(23a)에 전달되고, 회전축(23a)이 도 3의 화살표 F방향으로 회전한다. 봉지 시트(24)는, 회전축(23a)의 외주에 감겨지고 개구(18c)의 현상제 수용실(18a) 쪽의 주연부에 박리 가능하게 접합된 봉지부(24b)가 개구(18c)의 현상제 수용실(18a) 쪽의 주연부로부터 박리된다. 즉, 회전축(23a)이 봉지 시트(24)(시트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킴으로써 개구(18c)를 개봉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23a)을 향하는 방향의 박리력에 의해 봉지부(24b)가 개구(18c)의 주연부로부터 박리된다. 이 때, 봉지부(24b)가 회전축(23a)으로부터 먼 쪽(도 3의 위의 주연부)으로부터 가까운 쪽(도 3의 아래의 주연부)을 향해 박리된다. 그와 같이 봉지 시트(24)(시트 부재)가 되접어 꺾인 부(24c)에 의해 현상제 수용실(18a) 측으로 되접어 꺾여서, 봉지부(24b)가 개구(18c)의 주연부에 박리 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단 박리를 회피하고, 작은 박리력으로 봉지부(24b)를 박리할 수 있다.
봉지부(24b)가 박리된 봉지 시트(24)는, 회전축(23a)의 외주면을 따라 감겨진 상태에서 도 3의 화살표 F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23a)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교반 시트(23b)와 봉지 시트(24)는, 교반 부재(23)로서 회전축(23a)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교반 시트(23b)는, 회전축(23a)을 중심으로 도 3의 화살표 F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교반 시트(23b)는, 현상제 수용실(18a)의 내벽면(18d)에 접촉하여 슬라이딩하여 휘어진 상태로 회전한다. 현상제 수용실(18a)의 내벽면(18d)에는, 교반 시트(23b)가 휘어진 상태로부터 해방되는 내측으로 돌출한 해방 위치(18e)가 제공되어 있다.
회전축(23a)을 중심으로 도 3의 화살표 F방향으로 회전하는 교반 시트(23b)의 자유단부(23b2)가 해방 위치(18e)를 통과할 때, 교반 시트(23b)가 휘어진 상태로부터 해방된다. 그 때 생기는 힘에 의해 교반 시트(23b) 위에 올라탄 토너(T)를 뛰어오르게 하여, 개구(18c)를 거쳐 현상실(18b) 내의 공급 롤러(20)를 향해 반송한다.
<현상제 용기>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현상제 용기(38)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현상제 용기(38)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현상제 용기(38)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제 용기(38)의 현상제 수용실(18a) 내에는, 토너(T)를 반송하는 교반 부재(23)가 설치되어 있다. 현상제 수용실(18a)을 형성하는 현상 프레임(18)은, 제1 프레임(18f)과 제2 프레임(18g)을 접합하여 일체화된다.
<현상제 용기의 조립>
현상제 용기(38)의 조립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나타내는 회전축(23a)의 외주면에, 토너(T)를 교반 반송하기 위한 교반 시트(23b)의 고정부(23b1)와, 개구(18c)를 봉지하기 위한 봉지 시트(24)의 고정부(24a)를 가열 고정(heat fastening) 등의 방법으로 고정한다. 또한, 개구(18c)의 주연부를 따라, 봉지 시트(24)의 봉지부(24b)를 열용착 등의 방법으로 박리 가능하게 접합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의 일단부(23a21)에는, 슬라이딩축(23a1)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의 타단부(s)에는, 통 형상부(23a2)(덮개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통 형상부(23a2)의 내부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29)의 일단부가 압입되는 돌기부(23a3)가 설치되어 있다.
통 형상부(23a2) 내의 돌기부(23a3)의 외주면에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29)의 일단부를 억지 끼워맞춤(press-fitting)에 의해 장착한다. 이 때, 탄성 부재(29)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23a)의 돌기부(23a3)의 외주면에 대해 압입된다. 이에 의해 회전축(23a)과 탄성 부재(29)는 일체화된다. 이와 같이, 회전축(23a)과, 교반 시트(23b)와, 봉지 시트(24)와, 탄성 부재(29)를 일체화한 것이 교반 부재(23)이다.
다음으로, 교반 부재(23)를 제2 프레임(18g) 내에 장착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프레임(18g)의 구동 전달 부재(30)와 반대측의 내측면(18g1)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U자형상 홈으로 이루어지는 베어링부(18g3) 내에 회전축(23a)의 슬라이딩축(23a1)을 삽입한다. 이와 동시에, 통 형상부(23a2)를 제2 프레임(18g) 내에 삽입한다. 이 때, 통 형상부(23a2)가 제2 프레임(18g)의 긴 길이방향의 타단부의 내측면(18g2)을 관통하여 설치된 관통 구멍(18g4)의 주연에 돌출하여 설치된 통 형상부로 이루어지는 베어링부(18g5)가 대향하는 위치까지 제2 프레임(18g) 내에 삽입한다.
교반 부재(23)(회전 부재)에 구동을 전달하는 구동 전달 부재(30)는, 현상제 수용실(18a)(현상제 수용부)의 일방측의 내측면(18g2)(측벽(18g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탄성 부재(29)는, 현상제 수용실(18a)(현상제 수용부)의 긴 길이방향에 있어서, 일단부(291)가 교반 부재(23)(회전 부재)의 회전축(23a)에 고정되고, 타단부(292)가 구동 전달 부재(30)에 고정된다.
교반 부재(23)에는, 구동 전달 부재(30)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이 되는 모터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이 전달된다. 구동 전달 부재(30)는, 회전축(23a)에 구동을 전달한다. 구동 전달 부재(30)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이 되는 모터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는 기어부(30a)를 갖는다. 나아가, 제2 프레임(18g)에 설치된 통 형상부로 이루어지는 베어링부(18g5) 내에 삽입되어 접촉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30b)를 갖는다.
또한, 구동 전달 부재(30)는, 회전축(23a)에 설치된 통 형상부(23a2) 내로 끼워 넣어지는 감합부(30c)를 갖는다. 또한, 탄성 부재(29)의 타단부가 억지 끼워맞춤되어 장착되는 돌기부(30d)를 가져 구성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제 수용실(18a)의 외부로부터 구동 전달 부재(30)의 돌기부(30d), 감합부(30c), 슬라이딩부(30b)를 제2 프레임(18g)의 관통 구멍(18g4) 내에 삽입한다. 이 때,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30d)를 일단부가 회전축(23a)의 돌기부(23a3)의 외주면에 압입된 탄성 부재(29)의 타단부 내로 압입한다. 또한, 감합부(30c)를 회전축(23a)의 통 형상부(23a2) 내에 감합한다. 또한, 슬라이딩부(30b)를 베어링부(18g5) 내에 결합시킨다.
이에 의해 탄성 부재(29)의 일단부는, 회전축(23a)의 돌기부(23a3)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고정되고, 탄성 부재(29)의 타단부는, 구동 전달 부재(30)의 돌기부(30d)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고정된다. 이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이 되는 모터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이 구동 전달 부재(30)의 기어부(30a)에 전달되면, 구동 전달 부재(30)의 돌기부(30d)로부터 탄성 부재(29)를 거쳐 회전축(23a)의 돌기부(23a3)에 전달된다. 통 형상부(23a2)는, 탄성 부재(29)의 외주를 덮는 덮개 부재로서 구성된다. 통 형상부(23a2)에 의해 탄성 부재(29)의 외주를 덮음으로써, 탄성 부재(29)의 신축 동작이 현상제 수용실(18a) 내의 토너(T)에 의해 저해되는 일이 없다.
탄성 부재(29)는, 현상제 수용실(18a)(현상제 수용부)의 긴 길이방향에 있어서, 교반 부재(23)(회전 부재)의 단부와 현상제 수용실(18a)(현상제 수용부)의 내측면(18g2)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29)는, 현상제 수용실(18a)(현상제 수용부)의 긴 길이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프레임(18g)의 구동 전달 부재(30)와 반대측의 내측면(18g1)에 설치된 U자형상 홈으로 이루어지는 베어링부(18g3)는, 회전축(23a)이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만큼 내측면(18g1)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23a)의 슬라이딩축(23a1)은, 베어링부(18g3)에 대해서,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또한 회전 가능하게 축지된다. 또한, 회전축(23a)의 통 형상부(23a2)는, 구동 전달 부재(30)의 감합부(30c)에 대해서,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회전축(23a)은, 현상제 용기(38)에 대해서,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또한 회전 가능하게 축지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전달 부재(30)의 돌기부(30d)에 탄성 부재(29)의 일단부가 압입되기 때문에 구동 전달 부재(30)와 탄성 부재(29)는 일체화된다. 또한, 회전축(23a)의 돌기부(23a3)에 탄성 부재(29)의 타단부가 압입되기 때문에 회전축(23a)과 탄성 부재(29)는 일체화된다.
도시하지 않는 구동원이 되는 모터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이 구동 전달 부재(30)의 기어부(30a)에 전달된다. 그러면, 그 회전 구동력이 구동 전달 부재(30)의 돌기부(30d)와 탄성 부재(29)와, 회전축(23a)의 돌기부(23a3)를 거쳐 회전축(23a)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교반 부재(23)가 회전축(23a)을 중심으로 도 3의 화살표 F방향으로 회전한다.
교반 부재(23)의 회전축(23a)과 탄성 부재(29)와 구동 전달 부재(30)는 일체화되어, 탄성 부재(29)의 탄성력에 따라 회전축(23a)은, 도 5의 화살표 H방향으로 나타내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 후, 도 4에 나타내는 제1 프레임(18f)과 제2 프레임(18g)을 접합하고, 도시하지 않는 토너 충전구로부터 현상제 수용실(18a) 내로 토너(T)를 충전한다. 그 후, 도시하지 않는 토너 충전구를 폐색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제 용기(38)를 완성하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반 부재(23)의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한, 현상제 용기(38)를 횡 방향으로 놓은 자세에서는, 탄성 부재(29)는 자유길이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 탄성 부재(29)에는, 압축력도 인장력도 작용하지 않았다.
이 때, 현상제 수용실(18a)(현상제 수용부)의 긴 길이방향에 있어서, 교반 부재(23)(회전 부재)의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의 일단부(23a11)에 설치된 통 형상부(23a2)의 단부(23a4)(단면(23a12))와, 현상제 수용실(18a)(현상제 수용부)의 내측면(18g2)을 고려한다. 그들 사이에는, 교반 부재(23)(회전 부재)가 현상제 수용실(18a)(현상제 수용부)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한 간극 L1이 형성된다.
또한, 현상제 수용실(18a)(현상제 수용부)의 긴 길이방향에 있어서, 교반 부재(23)(회전 부재)의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의 타단부(23a21)에 설치된 슬라이딩축(23a1)의 근원부(23a5)(단면(23a21))와, 현상제 수용실(18a)의 내측면(18g1)을 고려한다. 그들 사이에는, 교반 부재(23)(회전 부재)가 현상제 수용실(18a)(현상제 수용부)에 대해서 상대 이동 가능한 간극 L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프레임(18g)에 대한 교반 부재(23)의 조립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조립성이 향상된다.
<운반 중>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운반할 때의 현상제 용기(38) 내의 토너(T)의 거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의 (a)는, 구동 전달 부재(30)를 하측으로 하여 현상제 용기(38)가 운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6의 (b)는, 구동 전달 부재(30)를 하측으로 하여 현상제 용기(38)가 운반되었을 경우의 봉지 시트(24)의 거동을 설명하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6의 (c)는, 봉지 시트(24)를 도 6의 (b)의 아랫 쪽으로부터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의 (a)는, 구동 전달 부재(30)를 상측으로 하여 현상제 용기(38)가 운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7의 (b)는, 구동 전달 부재(30)를 상측으로 하여 현상제 용기(38)가 운반되었을 경우의 봉지 시트(24)의 거동을 설명하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7의 (c)는, 봉지 시트(24)를 도 7의 (b)의 윗쪽으로부터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의 (a) 및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교반 부재(23)의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을 중력 방향(도 6의 (a) 및 도 7의 (a)의 상하 방향)으로 한 현상제 용기(38)를 세로로 둔 상태를 고려한다. 이 상태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운반되었을 경우를 고려한다. 또한, 이 운반 중의 진동에 의한 각 부품의 거동을 알 수 있기 쉽도록, 도 6 및 도 7에서는, 현상제 용기(38)의 현상제 수용실(18a), 회전축(23a), 봉지 시트(24), 탄성 부재(29), 구동 전달 부재(30)를 도시하고, 다른 구성 요소는 생략하고 있다.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전달 부재(30)를 아래로 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운반되었을 경우에는, 회전축(23a)은, 탄성 부재(29)의 압축과 인장에 따라, 도 6의 (a)의 화살표 H방향으로 나타내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요동) 가능하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운반에 의해 현상제 용기(38)에 도 6의 (a)의 화살표 H방향으로 가리키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진동이 전달된다. 그러면, 진동의 가속도와, 회전축(23a)의 중량과, 회전축(23a)에 부착되어 있는 토너(T)의 중량에 의해 탄성 부재(29)는 압축된다.
탄성 부재(29)가 압축됨으로써, 회전축(23a)은, 현상제 수용실(18a)의 내측면(18g2) 쪽(구동 전달 부재(30) 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현상제 수용실(18a)의 내측면(18g2)과,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 단부에 설치된 통 형상부(23a2)의 단부(23a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교반 부재(23)의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의 간극 L1이 도 5에 나타내는 횡 방향으로 둔 상태에서의 간극 L1보다 작아진다.
그 후, 탄성 부재(29)의 압축이 복원됨으로써, 회전축(23a)은 현상제 수용실(18a)의 내측면(18g2) 쪽(구동 전달 부재(30) 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간극 L1은 원래대로 돌아가는 방향으로 넓어진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운반 중의 진동이 계속되는 한, 회전축(23a)은, 도 6의 (a)의 화살표 H방향으로 나타내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왕복하는 요동을 반복한다.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운반했을 때의 진동에 의해 회전축(23a)이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탄성 부재(29)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23a)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축(23a)을 이동시킨다.
회전축(23a)이 도 6의 (a)의 화살표 H방향으로 나타내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의 왕복의 요동을 행한다. 그러면, 회전축(23a)에 접촉하여 있는 토너(T)와 회전축(23a) 주위의 토너(T)는, 회전축(23a)의 움직임에 따라 도 6의 (a)의 화살표 H방향으로 나타내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왕복의 요동을 한다. 이에 의해 현상제 용기(38)가 세로로 둔 상태이더라도 현상제 수용실(18a)의 내측면(18g2) 쪽(구동 전달 부재(30) 측)에 토너(T)가 편중됨에 따른 응집이 억제된다.
이 때의 봉지 시트(24)의 거동에 대해, 도 6의 (a)~(c)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23a)에 고정된 봉지 시트(24)의 고정부(24a) 측은, 회전축(23a)과 일체적으로 도 6의 (a)의 화살표 H방향으로 움직인다. 봉지 시트(24)의 봉지부(24b) 측은, 개구(18c)의 주연부에 고정된 상태이다. 이 때문에 가요성을 갖는 봉지 시트(24)는 휘어지면서 회전축(23a)의 도 6의 (a)의 화살표 H방향의 움직임에 추종한다.
이 때,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지 시트(24)의 회전축(23a)에 고정된 고정부(24a) 측의 일부는, 도 6의 (b)의 화살표 M방향 및 화살표 N방향으로 휨이 생긴다. 이에 의해 봉지 시트(24)에 접촉하여 있는 토너(T)가 풀어져서, 편중된 응집이 억제된다.
미사용 상태에 있어서, 봉지 시트(24)(시트 부재)는, 현상제 수용실(18a)(현상제 수용부)의 긴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교반 부재(23)(회전 부재)의 현상제 수용실(18a)에 대한 상대 이동에 수반하여 탄성 부재(29)와 함께 탄성변형을 행한다.
현상제 수용실(18a)(현상제 수용부)의 긴 길이방향에 있어서, 교반 부재(23)(회전 부재)가 현상제 수용실(18a)에 대해서 상대 이동한다. 그 때, 탄성 부재(29)는, 교반 부재(23)(회전 부재)의 이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교반 부재(23)(회전 부재)에 가압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현상제 수용실(18a)(현상제 수용부)의 긴 길이방향을 고려한다. 탄성 부재(29)는, 교반 부재(23)(회전 부재)의 일방측의 단부와, 당해 일방측의 단부에 대향하는 현상제 수용실(18a)(현상제 수용부)의 일방측의 내측면(18g2)과의 사이에 1개 배치된 일례이다.
본 실시형태의 봉지 시트(24)(시트 부재)의 두께는, 30㎛~60㎛의 범위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운반했을 때의 진동에 의해 회전축(23a)이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봉지 시트(24)가 적절히 휘어, 봉지 시트(24)에 접촉하고 있는 토너(T)가 풀어지기 쉽다.
도 7의 (a)는, 구동 전달 부재(30)를 위로 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운반되었을 경우의 현상제 용기(38) 내의 토너(T)의 거동을 나타낸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운반 중에 현상제 용기(38)에 도 7의 (a)의 화살표 H방향으로 나타내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진동이 전달된다. 그러면, 진동의 가속도와, 회전축(23a)의 중량과, 회전축(23a)에 부착되어 있는 토너(T)의 중량에 의해 탄성 부재(29)는 인장된다.
탄성 부재(29)가 인장됨으로써, 회전축(23a)은, 현상제 수용실(18a)의 내측면(18g1) 쪽(구동 전달 부재(30)와 반대측)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현상제 수용실(18a)의 내측면(18g1)과,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의 타단부에 설치된 슬라이딩축(23a1)의 근원부(23a5)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교반 부재(23)의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의 간극 L2를 고려한다. 이 때의 간극 L2는, 도 5에 나타내는 횡 방향으로 둔 상태에서의 간극 L2보다 작아진다.
그 후, 탄성 부재(29)의 인장이 복원됨으로써, 회전축(23a)은, 현상제 수용실(18a)의 내측면(18g1) 쪽(구동 전달 부재(30)와 반대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간극 L2는 원래대로 돌아가는 방향으로 넓어진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운반 중의 진동이 계속되는 한 회전축(23a)은, 도 7의 (a)의 화살표 H방향으로 나타내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왕복하는 요동을 반복한다.
회전축(23a)이 도 7의 (a)의 화살표 H방향으로 나타내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의 왕복의 요동을 행한다. 그러면, 회전축(23a)에 접촉하고 있는 토너(T)와, 회전축(23a) 주위의 토너(T)는, 회전축(23a)의 움직임에 따라 도 7의 (a)의 화살표 H방향으로 나타내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왕복의 요동을 한다. 이에 의해 현상제 수용실(18a)의 내측면(18g1) 쪽(구동 전달 부재(30)와 반대측)에 치우친 토너(T)의 응집이 억제된다.
이 때의 봉지 시트(24)의 거동에 대해, 도 7의 (a)~(c)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23a)에 고정된 봉지 시트(24)의 고정부(24a) 측은, 회전축(23a)과 일체적으로 움직인다. 봉지 시트(24)의 봉지부(24b) 측은, 개구(18c)의 주연부에 고정된 상태이다. 이 때문에 가요성을 가진 봉지 시트(24)는, 휘어지면서 회전축(23a)의 움직임에 추종한다. 이 때, 봉지 시트(24)의 회전축(23a)에 고정된 고정부(24a) 측의 일부는, 도 7의 (b)의 화살표 M방향 및 화살표 N방향으로 휨이 생긴다. 이에 의해 봉지 시트(24)에 접촉하여 있는 토너(T)가 풀어져 치우쳐친 응집이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현상제 용기(38) 내에 설치되는 교반 부재(23)를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구성했다. 이에 의해 운반 등일 때의 진동에 의해 교반 부재(23)가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에 의해 현상제 용기(38) 내에 수용되는 토너(T)(현상제)를 풀어 응집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교반 부재(23)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전달 부재(30)의 돌기부(30d)와, 교반 부재(23)의 회전축(23a)의 돌기부(23a3)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 부재(29)의 양단부에 압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동 전달 부재(30)의 회전 구동력이 탄성 부재(29)를 거쳐 교반 부재(23)의 회전축(23a)에 전달된다.
또한, 현상제 용기(38)의 자세가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이 중력 방향을 따른 세로로 둔 상태로 운반될 때, 운반 중의 진동에 의해 탄성 부재(29)가 압축, 혹은, 신장하여 회전축(23a)이 회전축선 방향(중력 방향)을 따라 요동한다. 이에 의해 회전축(23a)에 고정부(24a) 측이 고정되고, 개구(18c)의 주연부에 봉지부(24b)가 고정된 가요성을 가지는 봉지 시트(24)가 회전축(23a)의 요동에 수반하여 휘어진다. 현상제 용기(38) 내에 수용된 토너(T)(현상제)는, 회전축(23a)의 요동과, 봉지 시트(24)의 휘어짐의 반복에 의해 풀어져 응집이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축(23a)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 부재(29)가, 구동 전달 부재(30)로부터 회전축(23a)으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전달 경로의 일부를 겸한다. 이 때문에, 교반 부재 외에 토너(T)(현상제)를 풀기 위한 부재를 별도 마련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면서, 별도 마련하는 부재의 체적분만큼 현상제 용기(38) 내의 용량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 전달 부재(30)와 회전축(23a)이 탄성 부재(29)에 의해 접속되고 있기 때문에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의 요동이 구동 전달 부재(30)에의 영향이 적다. 이 때문에 구동 전달 부재(30)는 일정 위치에서 베어링부(18g5)에 축지된다. 이 때문에, 구동 전달부의 축부의 길이를 교반축의 회전축 방향의 이동량을 허용하는 길이를 갖도록 구성할 필요가 없고, 현상제 용기(38)가 대형화하는 일도 없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8~도 11을 이용하여 본 발명과 관련되는 현상제 용기(38), 현상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제2 실시형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한 것은 동일한 부호, 혹은 부호가 달라도 동일한 부재명을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현상제 용기>
도 8 및 도 9를 이용하여, 현상제 용기(38)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현상제 용기(38)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현상제 용기(38)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것처럼, 현상제 용기(38)는, 제1 프레임(18f)과 제2 프레임(18g)을 일체화하여 구성된다. 현상제 용기(38)의 현상제 수용실(18a)(현상제 수용부) 내에는, 토너(T)를 교반 반송하는 교반 부재(23)가 설치되어 있다.
교반 부재(23)의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의 일단부에는, 플랜지부(23a6)와 감합구멍(23a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의 타단부에는, 슬라이딩축(23a1)과, 슬라이딩축(23a1)의 근원부에 플랜지부(23a8)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전달 부재(30)는, 기어부(30a)와 축부(30e)를 가져 구성된다.
<현상제 용기의 조립>
현상제 용기(38)의 조립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23a)의 외주면에, 토너(T)를 교반 반송하기 위한 교반 시트(23b)의 고정부(23b1)와, 개구(18c)를 봉지하기 위한 봉지 시트(24)의 고정부(24a)를 가열 고정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한다. 또한, 개구(18c)의 주연부를 따라, 봉지 시트(24)의 봉지부(24b)를 열 용착 등의 방법으로 박리 가능하게 접합한다.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회전축(23a)의 슬라이딩축(23a1)의 외주에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2 탄성 부재(32)를 끼워 맞춘다. 그 후, 제2 프레임(18g)의 구동 전달 부재(30)와 반대측의 내측면(18g1)에 설치된 U자형상 홈으로 이루어진 베어링부(18g3) 내에 회전축(23a)의 슬라이딩축(23a1)을 삽입한다.
이 때,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슬라이딩축(23a1)의 외주에 끼워 맞춰진 제2 탄성 부재 (32)는, 제2 프레임(18g)의 구동 전달 부재(30)와 반대측의 내측면(18g1)과, 회전축(23a)에 설치된 플랜지부(23a8)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제2 탄성 부재(32)의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배치를 고려한다.
현상제 수용실(18a)(현상제 수용부)의 긴 길이방향을 고려한다. 제2 탄성 부재(32)는, 교반 부재(23)(회전 부재) 타방측의 단부가 되는 플랜지부(23a8)와, 해당 타방측의 단부가 되는 플랜지부(23a8)에 대응하는 현상제 수용실(18a)(현상제 수용부)의 타방측의 내측면(18g1)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플랜지부(23a8)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의 구동 전달 부재(30)와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측면(18g1)은, 현상제 수용실(18a)(현상제 수용부)의 제1 내면(내측면(18g2))과는 반대측의 제2의 내면이 되는 제2 프레임(18g)의 구동 전달 부재(30)와 반대측에 설치된다.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제2 프레임(18g)의 구동 전달 부재(30)와 반대측의 내측면(18g1)에 설치된 U자형상 홈으로 이루어지는 베어링부(18g3)는, 회전축(23a)이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만큼 내측면(18g1)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23a)의 슬라이딩축(23a1)은, 베어링부(18g3)에 대해서,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또한 회전 가능하게 축지된다.
그 후, 구동 전달 부재(30)의 축부(30e)를 통 형상의 베어링부(18g5) 내에 삽입하고, 나아가 관통 구멍(18g4)을 삽통한다. 그 상태에서, 회전축(23a)의 플랜지부(23a6) 쪽을 제2 프레임(18g) 내로 삽입하고 제2 프레임(18g)의 긴 길이방향의 타단부의 내측면(18g2)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18g4)에 회전축(23a)의 감합 구멍(23a7)이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한다.
그리고, 현상제 수용실(18a) 내측에서 축부(30e)의 외주에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1 탄성 부재(31)를 끼워 맞춘 후, 축부(30e)를 회전축(23a)의 감합 구멍(23a7) 내에 압입한다. 구동 전달 부재(30)의 축부(30e)는, 통 형상부로 이루어지는 베어링부(18g5) 내를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회전 가능하게 축지된다. 나아가, 구동 전달 부재(30)의 축부(30e)는, 회전축(23a)의 감합 구멍(23a7) 내에 압입된다. 이에 의해 회전축(23a)은, 현상제 용기(38)에 대해서,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또한 회전 가능하게 축지된다.
이 때, 축부(30e)의 외주에 끼워 맞춰진 제1 탄성 부재(31)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프레임(18g)의 긴 길이방향의 구동 전달 부재(30) 쪽의 내측면(18g2)과 플랜지부(23a6)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제1 탄성 부재(31)의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배치를 고려한다. 제1 탄성 부재(31)는, 회전축(23a)의 일단부에 설치된 플랜지부(23a6)와, 현상제 수용실(18a)(현상제 수용부)의 제1 내면이 되는 제2 프레임(18g)의 구동 전달 부재(30) 쪽의 내측면(18g2)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도 9의 화살표 H방향으로 가리키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의 일단부가 구동 전달 부재(30)에 접합된다. 회전축(23a)은, 현상제 용기(38)의 긴 길이방향(도 9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여 있고, 회전축(23a)의 화살표 H방향으로 가리키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과, 현상제 용기(38)의 긴 길이방향은 대략 일치하고 있다.
제1, 제2 탄성 부재(31, 32)는, 현상제 수용실(18a)(현상제 수용부)의 긴 길이방향에 있어서, 교반 부재(23)(회전 부재)의 양단부와 현상제 수용실(18a)의 내측면(18g2, 18g1)(양 내측면)과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1 탄성 부재(31)와 제2 탄성 부재(32)는, 도 9의 화살표 H방향으로 가리키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탄성 부재(31)는, 제2 프레임(18g)의 구동 전달 부재(30) 쪽의 내측면(18g2)이나 회전축(23a)의 플랜지부(23a6)에는 결합하고 있지 않다. 또한, 제2 탄성 부재(32)는, 제2 프레임(18g)의 구동 전달 부재(30)와 반대측의 내측면(18g1)이나 회전축(23a)의 플랜지부(23a8)에는 결합하고 있지 않다. 도 8에 나타내는 제1 프레임(18f)과 제2 프레임(18g)을 접합하고, 도시하지 않는 토너 충전구로부터 현상제 수용실(18a) 내로 토너(T)를 충전한 후, 도시하지 않는 토너 충전구를 폐색하여 현상제 용기(38)가 형성된다.
제1 탄성 부재(31)와 제2 탄성 부재(32)는, 회전축(23a)에 대해서 도 9의 화살표 H방향으로 가리키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을 따라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다. 회전축(23a)은, 플랜지부(23a6)가 제1 탄성 부재(31)로부터 받는 탄성력과, 플랜지부(23a8)가 제2 탄성 부재(32)로부터 받는 탄성력과의 균형에 의해 도 9의 화살표 H방향으로 가리키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정해진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화상 형성 장치(100)의 화상 형성 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 탄성 부재(31)와 제2 탄성 부재(32)의 탄성력의 균형에 의해 구동 전달 부재(30)의 기어부(30a)의 위치가 도 9에 나타내는 위치로 정해진다.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현상제 용기(38)의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이 수평 방향이 되는 자세를 고려한다. 이 때, 제2 프레임(18g)의 구동 전달 부재(30) 쪽의 내측면(18g2)과, 회전축(23a)의 플랜지부(23a6)와의 사이에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도 9의 좌우 방향)으로 간극 L1이 생기고 있다.
한편, 제2 프레임(18g)의 구동 전달 부재(30)와 반대측의 내측면(18g1)과, 회전축(23a)의 플랜지부(23a8)와의 사이에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도 9의 좌우 방향)으로 간극 L2가 생기고 있다. 따라서, 회전축(23a)은, 플랜지부(23a6)가 제1 탄성 부재(31)로부터 받는 탄성력과, 플랜지부(23a8)가 제2 탄성 부재(32)로부터 받는 탄성력과의 상호 작용에 따라, 도 9의 화살표 H방향으로 가리키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2 프레임(18g)에 대한 교반 부재(23)의 조립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조립성이 향상된다.
<운반 중>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을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운반할 때의 현상제 용기(38) 내의 토너(T)의 거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현상제 용기(38) 내에 설치되는 교반 부재(23)의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을 중력 방향을 따른 세로로 둔 상태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운반되었을 경우의 현상제 용기(38) 내의 토너(T)의 거동을 나타낸다.
도 10의 (a)는, 구동 전달 부재(30)를 아랫쪽으로 하여 본 실시형태의 현상제 용기(38)가 운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10의 (b)는, 구동 전달 부재(30)를 아랫쪽으로 하여 본 실시형태의 현상제 용기(38)가 운반되었을 경우의 봉지 시트(24)의 거동을 설명하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10의 (c)는, 봉지 시트(24)를 도 10의 (b)의 아랫쪽으로부터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의 (a)는, 구동 전달 부재(30)를 윗쪽으로 하여 본 실시형태의 현상제 용기(38)가 운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11의 (b)는, 구동 전달 부재(30)를 윗쪽으로 하여 본 실시형태의 현상제 용기(38)가 운반되었을 경우의 봉지 시트(24)의 거동을 설명하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11의 (c)는, 봉지 시트(24)를 도 11의 (b)의 윗쪽으로부터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의 (a) 및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교반 부재(23)의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을 중력 방향(도 10의 (a) 및 도 11의 (a)의 상하 방향)으로 한 현상제 용기(38)를 세로로 둔 상태를 고려한다. 이 상태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운반되었을 경우를 고려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서는, 현상제 용기(38) 내의 각 부품의 거동을 알기 쉽도록, 현상제 용기(38), 회전축(23a), 봉지 시트(24), 구동 전달 부재(30), 제1 탄성 부재(31), 제2 탄성 부재(32)를 도시하여 설명한다.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전달 부재(30)를 아래로 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운반했을 경우를 고려한다. 이 때, 회전축(23a)은, 제1 탄성 부재(31)와 제2 탄성 부재(32)의 각각의 탄성력에 따라서, 도 10의 (a)의 화살표 H방향으로 가리키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운반에 의해 현상제 용기(38)에 도 10의 (a)의 화살표 H방향으로 가리키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과 같은 방향의 진동이 전달된다. 이 때의 진동의 가속도, 회전축(23a)의 중량, 회전축(23a)에 부착되어 있는 토너(T)의 중량을 고려한다. 이 때 제2 프레임(18g)의 구동 전달 부재(30) 쪽의 내측면(18g2)과, 회전축(23a)의 플랜지부(23a6)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도 10 및 도 11의 상하 방향)의 간극 L1을 고려한다. 이 때의 간극 L1은, 도 9에 나타내는 현상제 용기(38)의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 되는 자세에서의 간극 L1보다 작아진다.
이 때, 제1 탄성 부재(31)가 압축한다. 한편, 제2 탄성 부재(32)는 대략 자연길이이다. 그 후, 제1 탄성 부재(31)의 압축이 복원한다. 이 때, 제1 탄성 부재(31)의 탄성력이 회전축(23a)에 작용한다. 이에 의해 회전축(23a)은, 제2 프레임(18g)의 구동 전달 부재(30) 쪽의 내측면(18g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 10의 (a)의 윗 방향)으로 이동하여, 간극 L1이 원래대로 돌아가는 방향으로 넓어진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운반 중의 진동이 계속되는 동안, 회전축(23a)은, 간극 L1이 작아지는 이동과, 원래대로 돌아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반복한다. 즉, 회전축(23a)은, 도 10의 (a)의 화살표 H방향으로 가리키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요동을 반복한다. 회전축(23a)의 플랜지부(23a6)가 제2 프레임(18g)의 구동 전달 부재(30) 쪽의 내측면(18g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 10의 (a)의 윗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 때, 회전축(23a)에 부착되어 있는 토너(T)와, 회전축(23a) 주위의 토너(T)는, 구동 전달 부재(30) 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 10의 (a)의 윗 방향)으로 움직이는 힘을 받는다.
그 후, 토너(T)는, 자중에 의해 제2 프레임(18g)의 구동 전달 부재(30) 쪽의 내측면(18g2)의 방향(도 10의 (a)의 아랫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회전축(23a)에 부착되어 있는 토너(T)와, 회전축(23a) 주위의 토너(T)를 고려한다. 이러한 토너(T)는, 회전축(23a)의 도 10의 (a)의 화살표 H방향으로 가리키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의 요동에 맞추어, 도 10의 (a)의 화살표 H방향으로 가리키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왕복하는 요동을 반복한다. 이에 의해 현상제 용기(38) 내의 토너(T)가 구동 전달 부재(30) 쪽의 내측면(18g2) 방향으로 밀집하기 어려워져, 토너(T)가 치우쳐 응집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의 봉지 시트(24)의 거동에 대해, 도 10의 (a)~(c)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23a)에 고정된 봉지 시트(24)의 고정부(24a) 측은, 회전축(23a)과 일체적으로 움직인다. 봉지 시트(24)의 봉지부(24b) 측은, 개구(18c)의 주연부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가요성을 가진 봉지 시트(24)는, 휘어지면서 회전축(23a)의 움직임에 추종한다.
이 때, 도 10의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지 시트(24)의 고정부(24a) 측의 일부는, 도 10의 (b)의 화살표 M방향 및 화살표 N방향으로 휘어짐이 생긴다. 이에 의해 봉지 시트(24)에 접촉하여 있는 토너(T)가 풀어져 치우친 응집이 억제된다. 도 11의 (a)는, 구동 전달 부재(30)를 위로 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운반했을 때의 현상제 용기(38) 내의 토너(T)의 거동을 나타낸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운반에 의해 현상제 용기(38)에 도 11의 (a)의 화살표 H방향으로 가리키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과 같은 방향의 진동이 전달된다. 이 때, 진동의 가속도, 회전축(23a)의 중량, 회전축(23a)에 부착되어 있는 토너(T)의 중량을 고려한다. 이들에 의해 제2 프레임(18g)의 구동 전달 부재(30)와 반대측의 내측면(18g1)과, 회전축(23a)의 플랜지부(23a8)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의 간극 L2가 작아진다. 이 때, 제2 탄성 부재(32)가 압축한다. 한편, 제1 탄성 부재(31)는, 대략 자연 길이이다.
그 후, 제2 탄성 부재(32)의 압축이 복원할 때에 제2 탄성 부재(32)의 탄성력이 회전축(23a)에 작용한다. 이에 의해 회전축(23a)의 플랜지부(23a8)는, 제2 프레임(18g)의 구동 전달 부재(30)와 반대측의 내측면(18g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 11의 (a)의 윗 방향)으로 이동하여, 간극 L2가 원래대로 돌아가는 방향으로 넓어진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운반 중의 진동이 계속되는 동안, 회전축(23a)은, 간극 L2가 작아지는 이동과, 원래대로 돌아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반복한다. 즉, 회전축(23a)이 도 11의 (a)의 화살표 H방향으로 가리키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요동을 반복한다. 즉, 회전축(23a)이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제1 탄성 부재(31) 또는 제2 탄성 부재(32)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23a)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축(23a)을 이동시킨다. 회전축(23a)의 플랜지부(23a8)가 제2 프레임(18g)의 구동 전달 부재(30)와 반대측의 내측면(18g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 11의 (a)의 윗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회전축(23a)에 부착되어 있는 토너(T)와, 회전축(23a) 주위의 토너(T)는, 구동 전달 부재(30) 쪽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힘을 받는다. 그 후, 토너(T)는, 자중에 의해 제2 프레임(18g)의 구동 전달 부재(30)와 반대측의 내측면(18g1)의 방향(도 11의 (a)의 아랫 방향)으로 이동한다. 회전축(23a)의 도 11의 (a)의 화살표 H방향으로 가리키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의 요동에 맞추어, 회전축(23a)에 부착되어 있는 토너(T)와, 회전축(23a) 주위의 토너(T)는, 요동을 반복한다. 이 요동은, 도 11의 (a)의 화살표 H방향으로 가리키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요동이다. 이에 의해 토너(T)가 제2 프레임(18g)의 구동 전달 부재(30)와 반대측의 내측면(18g1) 방향으로 밀집하기 어려워져 토너(T)가 치우쳐 응집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의 봉지 시트(24)의 거동에 대해, 도 11의 (a)~(c)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23a)에 고정된 봉지 시트(24)의 고정부(24a) 쪽은, 회전축(23a)과 일체적으로 움직인다. 한편, 봉지 시트(24)의 봉지부(24b) 쪽은, 개구(18c)의 주연부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가요성을 가진 봉지 시트(24)는, 휘어지면서 회전축(23a)의 움직임에 추종한다. 이 때, 도 11의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지 시트(24)의 고정부(24a) 측의 일부는, 도 11의 (b)의 화살표 M방향 및 화살표 N방향으로 휘어짐이 생기고, 이에 의해 봉지 시트(24)에 접촉하여 있는 토너(T)가 풀어져 치우친 응집이 억제된다.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을 중력 방향으로 한 세로로 둔 상태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운반된다. 그 경우에도, 회전축(23a)이 도 10의 (a) 및 도 11의 (a)의 화살표 H방향으로 가리키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왕복하는 요동을 반복한다. 이에 의해 현상제 용기(38) 내의 토너(T)가 치우쳐 응집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1 탄성 부재(31)와 제2 탄성 부재(32)는, 회전축(23a)의 외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을 뿐이다. 제1 탄성 부재(31)와 제2 탄성 부재(32)는, 회전축(23a)이나 제2 프레임(18g)의 구동 전달 부재(30) 쪽의 내측면(18g2)이나 제2 프레임(18g)의 구동 전달 부재(30)와 반대측의 내측면(18g1)에는 결합되어 있지 않다.
다른 예로서, 제1 탄성 부재(31)와 제2 탄성 부재(32)가 회전축(23a)에 결합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결합 방법으로서는, 회전축(23a)의 외주면에 보스를 마련하고,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1 탄성 부재(31)나 제2 탄성 부재(32)를 상기 보스에 압입함으로써 결합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회전축(23a)의 외주면에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1 탄성 부재(31)나 제2 탄성 부재(32)를 접착재 등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탄성 부재(31)의 일단부가 제2 프레임(18g)의 구동 전달 부재(30) 쪽의 내측면(18g2)에 결합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제2 탄성 부재(32)의 일단부가 제2 프레임(18g)의 구동 전달 부재(30)와 반대측의 내측면(18g1)에 결합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결합 방법으로서는, 제2 프레임(18g)의 구동 전달 부재(30) 쪽의 내측면(18g2)에 보스를 마련한다. 또한, 제2 프레임(18g)의 구동 전달 부재(30)와 반대측의 내측면(18g1)에 보스를 마련한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제1 탄성 부재(31)나 제2 탄성 부재(32)를 상기 보스에 압입함으로써 결합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제2 프레임(18g)의 구동 전달 부재(30) 쪽의 내측면(18g2)이나 제2 프레임(18g)의 구동 전달 부재(30)와 반대측의 내측면(18g1)에, 제1 탄성 부재(31)나 제2 탄성 부재(32)의 일단부를 접착재 등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라도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운반 중의 회전축(23a), 제1 탄성 부재(31), 제2 탄성 부재(32)의 움직임은,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전술한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즉, 회전축(23a)이 도 10의 (a) 및 도 11의 (a)의 화살표 H방향으로 나타내는 회전축(23a)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왕복하는 요동을 반복한다. 이에 의해 현상제 용기(38) 내의 토너(T)가 치우쳐 응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며,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제 수용부의 긴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회전 부재의 상대 이동에 수반하는 시트 부재의 탄성변형에 의해, 운반 중 현상제의 응집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그러한 모든 변경과, 균등한 구조 및 기능을 아우르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현상제 용기로서,
    현상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또한,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회전축을 포함하는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에 고정되는 제1 단부와, 미사용 상태에서는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일부에 장착되고 사용 상태에서는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일부로부터 박리 가능한 제2 단부를 포함하는 가요성을 갖는 시트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용기는,
    상기 긴 길이방향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의 단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긴 길이방향으로 탄성 변형가능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긴 길이방향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의 단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내측면과의 사이에는,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미사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긴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 부재의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대한 상대 이동에 의하여, 상기 탄성 부재와 함께 탄성 변형가능한,
    현상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 길이방향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대해 상대 이동했을 때, 상기 회전 부재의 이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상기 회전 부재에 가압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탄성 부재가 구성되어 있는, 현상제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긴 길이방향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의 일방측의 단부와 당해 일방측의 단부에 대향하는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일방측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현상제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구동 전달 부재로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상기 일방측의 상기 내측면이 형성되는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상기 구동 전달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긴 길이방향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회전 부재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구동 전달 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현상제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긴 길이방향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의 타방측의 단부와 당해 타방측의 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타방측의 내측면과의 사이에도 배치되어 있는, 현상제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외주를 덮도록 구성된 덮개 부재를 더 포함하는, 현상제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트 부재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개구의 주연부에 박리가능하게 접합되어 당해 개구를 봉지하도록 구성된 봉지부를 포함하는, 현상제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봉지부가 상기 개구로부터 박리되는, 현상제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봉지부가 상기 개구로부터 박리할 때, 상기 봉지부가 상기 회전 부재에 대해서 먼 쪽으로부터 가까운 쪽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개구로부터 박리되도록, 상기 시트 부재가 되접어 꺾인 상태에서, 상기 봉지부가 상기 개구의 주연부에 접합된, 현상제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는 30㎛~60㎛의 두께를 갖는, 현상제 용기.
  11. 현상 장치로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현상제 용기와,
    상기 현상제 용기에 설치되어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된 현상제 담지체
    를 포함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한,
    현상 장치.
  12.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현상제 용기와,
    상기 현상제 용기에 설치되어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된 현상제 담지체와,
    현상제상을 담지하도록 구성된 상 담지체
    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KR1020190037557A 2018-03-30 2019-03-30 현상제 용기, 현상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KR201901149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66569 2018-03-30
JP2018066569A JP2019179072A (ja) 2018-03-30 2018-03-30 現像剤容器、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917A true KR20190114917A (ko) 2019-10-10

Family

ID=68054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557A KR20190114917A (ko) 2018-03-30 2019-03-30 현상제 용기, 현상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78164B2 (ko)
JP (1) JP2019179072A (ko)
KR (1) KR20190114917A (ko)
CN (1) CN11032077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46927B2 (ja) 2020-06-12 2024-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4481A (en) * 1987-07-09 1990-04-03 Sharp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JP2837973B2 (ja) * 1991-07-04 1998-12-1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トナー残量検知機構
JPH0747334Y2 (ja) * 1991-11-11 1995-11-01 弥栄産業株式会社 飲料用紙パック
JPH08240973A (ja) 1995-03-01 1996-09-17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
JP3697095B2 (ja) 1998-12-11 2005-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3513488B2 (ja) * 2000-12-20 2004-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2004205758A (ja) 2002-12-25 2004-07-22 Canon Inc 現像剤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469888B2 (ja) * 2007-12-28 2010-06-0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420025B2 (ja) * 2011-07-14 2014-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420026B2 (ja) * 2011-07-14 2014-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420024B2 (ja) * 2011-07-14 2014-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553809B2 (ja) 2011-09-29 2014-07-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搬送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911275B2 (ja) * 2011-11-29 2016-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808233B2 (ja) * 2011-11-29 2015-11-1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675888B2 (ja) * 2012-05-17 2015-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5932479B2 (ja) * 2012-05-21 2016-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157078B2 (ja) * 2012-09-04 2017-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056025A (ja) * 2012-09-11 2014-03-27 Canon Inc 現像剤収納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056045A (ja) * 2012-09-11 2014-03-27 Canon Inc 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120730B2 (ja) * 2012-09-13 2017-04-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6053428B2 (ja) * 2012-09-27 2016-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140962B2 (ja) * 2012-09-27 2017-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245932B2 (ja) 2012-11-06 2017-12-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116253B2 (ja) * 2013-01-11 2017-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ら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841956B2 (ja) 2013-02-01 2016-01-1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127918B2 (ja) * 2013-10-31 2017-05-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
JP2015087664A (ja) 2013-10-31 2015-05-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406928B2 (ja) * 2014-08-29 2018-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9785087B2 (en) * 2015-03-27 2017-10-10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container,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529306B2 (ja) * 2015-03-27 2019-06-1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576101B2 (ja) * 2015-05-26 2019-09-1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752596B2 (ja) * 2016-03-14 2020-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753112B2 (ja) * 2016-03-31 2020-09-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剤カートリッジおよび現像剤収容ユニット
JP6805588B2 (ja) * 2016-07-08 2020-12-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
JP2018097200A (ja) * 2016-12-14 2018-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2019074616A (ja) * 2017-10-16 2019-05-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部材、現像剤収容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79072A (ja) 2019-10-17
US10678164B2 (en) 2020-06-09
CN110320770A (zh) 2019-10-11
US20190302651A1 (en) 2019-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987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90080130A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EP2843479B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1047218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6184143A (ja)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137786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6525556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039247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US9042774B2 (en)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6161714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90114917A (ko) 현상제 용기, 현상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JP2011215434A (ja) 現像剤収納容器、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895825B2 (en) Developer accommodating container, develop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JP7406891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6343562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7101345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672235B2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9195166B2 (en) Developer storage container having improved workability with mounted developer agitation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9581838B (zh) 显影装置和成像装置
JP2019179068A (ja) 現像剤容器、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9179069A (ja) 現像剤収容容器、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9179071A (ja) 現像剤収容容器、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9179073A (ja) 現像剤容器、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4071422A (ja)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21051291A (ja)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