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083B1 -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와 그 현상제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와 그 현상제 이송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1083B1 KR101041083B1 KR1020090072270A KR20090072270A KR101041083B1 KR 101041083 B1 KR101041083 B1 KR 101041083B1 KR 1020090072270 A KR1020090072270 A KR 1020090072270A KR 20090072270 A KR20090072270 A KR 20090072270A KR 101041083 B1 KR101041083 B1 KR 1010410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veloper
- rotating member
- transfer
- members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4—Details of parts of process cartridge, e.g. for charging, transfer, cleaning, develop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현상제 이송장치의 구동 구조를 개선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를 개시한다. 현상기는 현상제수용실과, 현상제수용실에 배치되는 회전부재와, 회전부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부재의 주위를 회전하고 회전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를 포함한다.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제1회전부재 사이에는 그들 사이에서 미끄럼이 허용되도록 제1동력전달기구가 마련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현상제수용실에 저장된 현상제를 이송하는 현상제 이송장치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종류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 광주사장치와 현상기를 구비한다. 광주사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현상기는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인쇄매체에 바로 전사되거나 중간전사장치를 거쳐 인쇄매체에 전사되고, 인쇄매체로 전사된 화상은 정착과정을 통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현상기는 현상제수용실, 현상제 이송장치와, 현상부재를 구비한 다. 현상제수용실은 현상제를 저장하고, 현상제 이송장치는 현상제를 현상제수용실로부터 현상부재로 공급한다. 현상부재는 현상제를 감광체로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현상제 이송장치의 구동 구조를 개선하여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와 그 현상제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는 현상제수용실;과 상기 현상제수용실에 배치되는 제1회전부재;와 상기 제1회전부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회전부재의 주위를 회전하고, 상기 제1회전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현상기는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회전부재 사이의 미끄럼(slip)을 허용하도록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의 상기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회전부재를 연결하는 제1동력전달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동력전달기구는,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의 상기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회전부재 중 하나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와 상기 돌기를 수용하도록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의 상기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회전부재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홀;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그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홀과 상기 돌기의 사이의 미끄럼을 안내하는 미끄럼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가이드부는 곡면과 경사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홀은 상기 미끄럼가이드와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현상기는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을 가압하 도록 상기 현상제수용실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상기는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회전부재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의 상기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회전부재를 연결하는 제2동력전달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는, 상기 제1회전부재의 축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제3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3현상제이송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2현상제이송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3현상제이송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에 대해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현상기는 상기 제1회전부재의 맞은 편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회전부재;와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제2회전부재에 전달하는 제3동력전달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동력전달기구는, 상기 제2회전부재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와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따라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에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는 내부에 현상제수용실이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현상제수용실 내부에 배치되는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와 상기 제1회전부재와 상기 제2회전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회전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1 내지 제3현상제이송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현상제이송벨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회전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현상제이송벨트와 상기 제3현상제이송벨트는 상기 제1회전부재의 축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현상제이송벨트는 제1현상제이송벨트와 상기 제3현상제이송벨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회전부재가 상기 제1회전부재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제1회전부재와 상기 제2회전부재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현상제수용실의 내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현상제이송벨트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을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현상제 이송장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의 현상제수용실에 배치되어 현상제를 이송하는 현상제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수용실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의 주위를 회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수용홀;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의 상기 적어도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복수의 수용홀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 나의 돌기는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 상기 수용홀이 상기 돌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돌기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미끄럼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현상제 이송장치에 작용하는 하중으로 인해 부품이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현상제 이송장치에 큰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이송부재가 현상제를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어 현상제 공급 불량으로 인해 화상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 인쇄매체 공급유닛(20), 광주사유닛(30), 현상유닛(40), 전사유닛(50), 정착유닛(60) 및 인쇄매체 배출유닛(7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화상형성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인쇄매체 공급유닛(20)은 인쇄매체(S)가 보관되는 카세트(21)와, 카세트(21)에 보관된 인쇄매체(S)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2)와, 픽업된 인쇄매체를 전사유닛(5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주사유닛(30)은 옐로우(Yellow,Y), 마젠타(Magenta,M), 시안(Cyan,C), 블 랙(Black,K)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인쇄 신호에 따라 후술되는 현상기(40Y, 40M, 40C, 40K)들의 각 감광체(44Y, 44M, 44C, 44K)에 주사하는 4개의 광주사기(30Y, 30M, 30C, 30K)를 포함한다. 4개의 광주사기(30Y, 30M, 30C, 30K)에 의해 주사된 광에 따라 각 감광체(44Y, 44M, 44C, 44K)들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유닛(40)은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 예를 들면, 옐로우(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 블랙(Blac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기(40Y, 40M, 40C, 40K)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 옐로우(Y) 색상의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기(40Y)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내용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는 다른 3개의 현상기(40M, 40C, 40K)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현상기(40Y)는 하우징(41Y), 현상제수용실(100), 현상제 공급부재(42Y), 현상부재(43Y), 감광체(44Y)를 구비한다.
현상제수용실(100)은 하우징(41Y)의 내부에 형성되며, 감광체(44Y)로 공급될 현상제가 저장된다. 현상제 공급부재(42Y)는 하우징(41Y)에 설치되며, 현상제수용실(100)에 저장된 현상제를 현상부재(43Y)에 공급한다. 현상부재(43Y)는 광주사기(30Y)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체(44Y)의 표면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킨다. 감광체(44Y)는 하우징(41Y)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현상부재(43Y)로부터 현상제를 공급받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체(44Y)가 현상기(40Y)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감광체(44Y)는 현상 기(40Y)와 별도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미설명부호 45Y는 광주사유닛(30Y)으로부터 광이 주사되기에 앞서 각 감광체(44Y)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를 나타낸다.
전사유닛(50)은 감광체(44Y)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인쇄매체로 전사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인쇄매체 이송벨트(51), 구동롤러(52), 피동롤러(53), 및 복수 개의 전사롤러(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쇄매체 이송벨트(51)는 인쇄매체 공급유닛(20)에서 공급된 인쇄매체를 복수 개의 감광체(44Y, 44M, 44C, 44K)로 이송한다.
구동롤러(52)와 피동롤러(53)는 인쇄매체 이송벨트(53)의 내측으로 그 양단에 설치되며, 인쇄매체 이송벨트(51)가 무한궤도로 회전하도록 한다.
복수 개의 전사롤러(54)는 인쇄매체 이송벨트(51)를 사이에 두고 감광체(44Y, 44M, 44C, 44K)들과 마주하며, 감광체(44Y, 44M, 44C, 44K)들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인쇄매체 이송벨트(51)에 의해 이송되는 인쇄매체로 전사되도록 한다.
정착유닛(60)은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61)와, 가열롤러(61)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가압롤러(62)를 구비한다. 인쇄매체가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 사이를 통과할 때, 가열롤러(61)로부터 전달되는 열과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전사된 화상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인쇄매체 배출유닛(70)은 배지롤러(71)와 배지백업롤러(72)를 구비하여 정착유닛(60)을 통과한 인쇄매체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1Y)은 베이스프레임(110), 커버(120), 상부프레임(130), 상부커버(140)를 구비한다.
베이스프레임(110)은 그 내부에 수용되는 각종 부품을 지지한다. 커버(120)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를 덮어 베이스프레임(110)과 함께 현상제 저장을 위한 현상제수용실(100)을 형성한다.
상부프레임(130)과 상부커버(140)는 커버(120)의 상부에 배치되고, 감광체(44Y)로부터 회수되는 폐현상제를 저장하기 위한 폐현상제수용실(132)을 형성한다.
상부프레임(130)에는 클리닝부재(134)가 설치된다. 클리닝부재(134)는 감광체(44Y)의 표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긁어낸다. 클리닝부재(134)에 의해 제거된 폐현상제는 폐현상제 이송부재(136)에 의해 이송되어 폐현상제수용실(132)에 저장된다.
폐현상제 이송부재(136)는 클리닝부재(134)의 상측에 설치된다. 폐현상제 이송부재(136)는 플레이트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몰드물이나 탄성복원력이 우수한 필름(film)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폐현상제 이송부재(136)를 플레이트타입으로 마련하면 현상기(40Y)의 높이를 낮춤에 따라 폐현상제수용실(132)의 높이가 낮아지더라도 폐현상제를 효과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현상제수용실(100)은 격벽(112)에 의해 제1현상제수용실(102)과 제2현상제수용실(104)로 구획되며, 제1현상제수용실(102)과 제2현상제수용실(104)은 격벽(112) 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114)를 통해 상, 하로 서로 연통된다.
제1현상제수용실(102)의 내부에는 현상제 이송장치(200)가 배치된다. 현상제 이송장치(200)는 제1현상제수용실(102)에 저장된 현상제 중 일부를 제2현상제수용실(104) 쪽으로 이송한다. 현상제 이송장치(200)는 현상제를 이송하는 역할과 함께 제1현상제수용실(102)의 현상제를 교반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제1현상제수용실(102)에 저장된 현상제는 현상제 이송장치(200)에 의해 제1현상제수용실(102)의 상측으로 이송되어 격벽(112)에 마련된 현상제안착부(116)에 공급된다. 현상제안착부(116)에 공급된 현상제는 공급오거(118)에 의해 격벽(112)의 일측으로 이송된 후, 유입구(114)를 통해 제2현상제수용실(104)로 자유낙하 된다.
제2현상제수용실(104)의 내부에는 제1순환오거(122), 제2순환오거(124), 현상제 공급부재(42Y), 현상부재(43Y)가 배치된다.
격벽(112)의 유입구(114)를 통해 자유낙하 된 현상제는 제1순환오거(122) 및 제2순환오거(124)에 의해 순환벽(126)을 사이에 두고 순환되며, 이러한 순환과정에서 현상제는 현상제 공급부재(42Y)를 거쳐 현상부재(43Y)로 공급된다. 현상부재(43Y)로 공급된 현상제는 규제장치(128)에 의해 그 층이 규제되고, 광주사기(30Y)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체(44Y)의 표면에 부착되어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도 2의 공급오거(118), 제1순환오거(122), 제2순환오거(124), 공급부재(42Y) 및 현상부재(43Y)는 현상제를 감광체(44Y)를 향해 공급하는 수단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반드시 이러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2성분 현상방식에서는 현상제 공급부재(42Y)가 생략될 수 있다. 또 도 2에서 현상제 공급부재(42Y)나 현상부재(43Y)는 실린더 형상의 롤러를 적용하였으나, 롤러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벨트타입이나 브러쉬타입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예시된 오거 형태의 이송부재들은(118, 122, 124) 다른 형태의 이송부재들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제2현상제수용실(104)에 충분한 양의 현상제가 공급되면, 유입구(114)를 통한 현상제의 유입은 중단되고, 유입구(114)로 유입되지 않은 현상제는 유입구(114)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공급오거(118)의 단부에 마련되는 반송날개(118a)에 의해 현상제 이송장치(200) 쪽으로 반송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이송장치(200)는 제1회전부재(210), 제2회전부재(220)와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230, 240, 250)를 포함한다. 제1회전부재(210)와 제2회전부재(220)는 현상제이송부재들(230, 240, 25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현상제이송부재들(230, 240, 250)은 제1회전부재(210)와 제2회전부재(220)의 주위를 회전하고, 제1현상제수용실(102)에 저장된 현상제를 격벽(112)의 상부로 이송한다.
제1회전부재(210)는 격벽(112)의 인접하여 제1현상제수용실(102)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2회전부재(220)는 제1회전부재(210)와 소정 간격을 두고 제1회전부재(210)의 맞은 편에 배치된다.
제1회전부재(21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현상제이송부재들(230, 240, 250)의 일측 내면을 지지하여 회전력을 전달한다. 제2회전부재(220)는 현상제이송부재들(230, 240, 250)의 타측 내면을 지지하고, 현상제이송부재들(230, 240, 250)과 함께 회전한다.
제1회전부재(210)와 제2회전부재(220)는 제1현상제수용실(102)에 저장된 현상제를 교반할 수 있도록 나선형 날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부재(210)의 회전중심(210C)은 제2회전부재(220)의 회전중심(220C)보다 상측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회전부재(210)의 회전중심(210C)이 제2회전부재(220)의 회전중심(220C)보다 베이스프레임(110)의 바닥으로부터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중력에 의해 제1현상제수용실(102)의 현상제가 제2현상제수용실(104)로 이동되는 것은 차단되고, 현상제이송부재들(230, 240, 250)의 이송력에 의해서만 현상제가 공급되게 되므로 현상제 공급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현상제이송부재들(230, 240, 250)은 벨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벨트 타입의 현상제이송부재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기존에는 복수의 교반기(Agitator)를 현상제 이송방향을 따라 배열하여 현상제를 공급부재 쪽으로 공급하였다. 또한 도 1과 같이 복수의 현상기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칼라화상형성장치에 있어, 화상형성장치의 높이를 낮추기 위해 각 현상기의 높이를 낮추어야 하고, 이는 현상기 내측의 교반기 회전반경이 줄어들어야 하는 필수적인 관계가 있다. 그러나, 교반기의 회전반경이 줄어들수록 이송하는 현 상제의 회전반경이 줄어들어 이송하는 영역 또한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현상제의 원할한 이송을 위해서는 충분한 개수의 교반기가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러나 많은 수의 교반기를 거치면서 현상제가 공급되면 현상제가 받는 스트레스가 심해지며, 교반기의 개수가 많아지면서 구성이 복잡해지고 교반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구조 역시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벨트 형태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경우, 현상기의 높이를 낮추더라도 복수개의 교반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구동력 전달구조가 간소해진다. 또한 현상제가 받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현상제이송벨트들(231, 241, 251)은 보통 2mm 이하의 두께를 가진 필름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현상기(40Y)의 유통 과정이나 사용자가 현상기(40Y)를 취급하는 과정에서 제1현상제수용실(102) 내의 현상제가 제1회전부재(210)의 축방향(X) 일측으로 편중되어 뭉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뭉쳐진 현상제가 현상제 이송장치(200)의 움직임을 방해하여 현상제 이송장치(200)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초기 구동 토크를 상승시키고, 이에 따라 제1회전부재(210)에 부하가 크게 걸려 제1회전부재(210)가 손상되거나 제1회전부재(21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들이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4와 같이, 제1회전부재(210)의 축방향(X)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현상제이송벨트(231, 241, 251)를 채택 한다. 그러면 뭉쳐진 현상제로 인해 현상제 이송장치(200)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에 복수의 현상제이송벨트(231, 241, 251) 중 적어도 하나는 동작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제1회전부재(210)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현상제이송벨트는 제1현상제이송벨트 내지 제3현상제이송벨트(231, 241, 251)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현상제이송벨트(231)와 제3현상제이송벨트(251)는 제1회전부재(210)의 축방향(X)으로 제1회전부재(2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제2현상제이송벨트(241)는 제1현상제이송벨트(231)와 제3현상제이송벨트(25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현상제이송벨트(231)는 제1동력전달기구(260)를 통해 제1회전부재(210)에 대해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제1회전부재(210)의 일측에 연결된다. 제1동력전달기구(260)는 제1현상제이송벨트(231)와 제1회전부재(210) 사이에서 미끄럼(slip)을 허용하도록 제1현상제이송벨트(231)를 제1회전부재(210)에 연결한다.
도 5는 도 4에서 제1동력전달기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동력전달기구(260)는 제1회전부재(2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261)와, 복수의 돌기(26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현상제이송벨트(231)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용홀(265)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261)는 제1회전부재(2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복수의 수용홀(265)은 제1현상제이송벨트(231)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제1회전부재(210)의 돌기(261)는 제1회전부재(210)의 회전 중에 수용홀(265)과 결합하여 제1현상제이송벨트(231)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제1현상제이송벨트(231)에 큰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수용홀(265)이 돌기(26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수용홀(265)은 그 내부에 수용된 돌기(261)와 접촉하는 접촉부(266)를 가지고, 돌기(261)는 수용홀(265)의 접촉부(266)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어 수용홀(265)과 돌기(261) 사이의 미끄럼을 안내하는 미끄럼가이드부(262)를 가진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261)의 미끄럼가이드부(262)는 볼록한 곡면(263)을 가질 수 있다. 볼록한 곡면(263)은 수용홀(265)이 돌기(261)로부터 너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볼록한 곡면(263)은 미끄럼가이드부(262)와 접촉부(266) 사이에 큰 하중이 걸리는 경우에 접촉부(266)가 미끄럼가이드부(262)를 따라 원활하게 미끄러지도록 하는데 있어 효과적이다.
도 7은 돌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같이, 돌기(261a)의 미끄럼가이드부(262a)는 제1회전부재(21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면(264a)과, 걸림면(264a)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264b)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261a)의 걸림면(264a)은 제1현상제이송벨트(231)의 수용홀(265)이 돌기(261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면서도 돌기(261a)와 수용홀(265) 사이에 큰 하중이 걸리는 경우에는 수용홀(265)의 이탈이 가능한 높이로 형성된다.
경사면(264b)은 수용홀(265)의 접촉부(26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 게 형성되어 수용홀(265)이 돌기(261a)로부터 원활하게 이탈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도 8은 수용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현상제이송벨트(231)의 수용홀(265a)은 접촉부(266)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슬릿(267)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용홀(265a)에서 돌기(261)의 미끄럼가이드부(262)와 마주하는 변의 길이가 확장되어 접촉부(266)의 변형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수용홀(265a)의 돌기(261)에 대한 이탈 동작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2개의 돌기(261)가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돌기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돌기 또는 3개 이상의 돌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5에서는 제1회전부재(210)에 돌기(261)가 형성되고, 제1현상제이송벨트(231)에 홀(265)이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제1현상제이송벨트에 돌기를 형성하고, 제1회전부재에 홀이나 홈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현상제이송벨트(251)는 제1회전부재(210)에 대해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제1회전부재(210)의 타측에 연결된다. 제3현상제이송벨트(251)는 도 5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제1동력전달기구(260)를 이용해 제1현상제이송벨트(231)와 유사한 형태로 제1회전부재(2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현상제이송벨트(241)는 제1현상제이송벨트(231)와 제3현상제이송벨트(251)의 사이에서 제2동력전달기구(270)를 통해 제1회전부재(210)에 연결된다. 제2동력전달기구(270)는 제2현상제이송벨트(241)가 제1회전부재(210)에 대해 상대 운동하지 않고 제1회전부재(210)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9는 도 4에서 제2동력전달기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서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동력전달기구(270)는 제1회전부재(2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결합돌기(271)와, 복수의 제1결합돌기(27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2현상제이송벨트(241)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결합홀(275)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결합돌기(271)는 제1회전부재(2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복수의 제1결합홀(275)은 제2현상제이송벨트(241)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제1회전부재(210)의 제1결합돌기(271)는 제1회전부재(210)의 회전 중에 제1결합홀(275)과 결합하여 제2현상제이송벨트(241)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제1회전부재(210)의 제1결합돌기(271)는 제1결합홀(275)에 삽입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제1결합홀(275)의 이탈을 허용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제1결합홀(275)은 그 내부에 수용된 제1결합돌기(271)와 접촉하는 접촉부(276)를 가지고, 제1결합돌기(271)는 제1결합홀(275)의 접촉부(276)와 마주하는 걸림면(272)을 가진다. 제1결합돌기(271)의 걸림면(272)은 제1회전부재(210)의 반경 방향으로 충분한 높이로 형성되어 동력 전달 과정에서 제2현상제이송벨트(241)의 제1결합홀(275)이 제1결합돌기(27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1은 도 4에서 제3동력전달기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현상제이송벨트(241)는 제3동력전달기구(280)를 통해 제2회전부재(220)와 연결된다. 제3동력전달기구(280)는 제2현상제이송벨트(241)의 회전력을 제2회전부재(220)에 전달하여 제2회전부재(220)가 제1회전부재(210)와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제3동력전달기구(280)는 제2회전부재(22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제2회전부재(2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2결합돌기(281)와, 복수의 제2결합돌기(28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2현상제이송벨트(241)에 형성되고 제2현상제이송벨트(241)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2결합홀(285)로 구성될 수 있다.
제2결합홀(285)은 제2현상제이송벨트(241)의 회전 시에 제2회전부재(220)의 제2결합돌기(281)와 결합하여 제2회전부재(220)로 동력을 전달한다. 제2회전부재(220)의 제2결합돌기(281)는 제2회전부재(220)의 반경 방향으로 충분한 높이로 형성되어 동력 전달 과정에서 제2현상제이송벨트(241)의 제2결합홀(285)이 제2결합돌기(28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이송벨트들(231, 241, 251)은 복수의 이송돌기(233, 243, 253)와 개구부(235, 245, 255)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이송돌기들(233, 243, 253)은 현상제이송벨트들(231, 241, 251)의 외부로 돌출되어 현상제 공급 및 회수를 돕는다. 개구부들(235, 245, 255)은 현상제 공급 및 회수를 돕고 현상제이송벨트들(231, 241, 251)에 의해 현상제가 과다한 스트레스 받는 것을 개선하며, 현상제이송벨트들(231, 241, 251)의 구동 토크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40Y)는 제1현상제수용실(102)에 배치되어 현상제이송벨트들(231, 241, 251)의 외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들(300)을 구비할 수 있다. 가압부재들(300)은 현상제이송벨트들(231, 241, 251)에 텐션을 부여하여 현상제이송벨트(231, 241, 251)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가압부재들(300)은 제1현상제수용실(102)을 덮는 커버(12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압리브들(310, 320, 330)로 구성될 수 있다. 가압리브들(310, 320, 330)은 현상제이송벨트(231, 241, 251)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배열된다.
제1현상제이송벨트(231)를 가압하는 가압리브(310)의 돌출 높이를 조절하여 제1회전부재(210)와 제1현상제이송벨트(231) 사이에서 미끄럼이 발생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가압리브(310)의 돌출 높이를 높이면, 제1현상제이송벨트(231)에 강한 텐션이 작용하여 제1회전부재(210)와 제1현상제이송벨트(231) 간의 미끄럼이 억제되므로, 뭉쳐진 현상제에 의해 제1현상제이송벨트(231)에 작용하는 하중이 상당히 큰 경우에만 미끄럼이 발생하게 된다. 반면에 가압리브(310)의 돌출 높이를 낮추면, 제1현상제이송벨트(231)에 작용하는 하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도 제1회전부재(210)와 제1현상제이송벨트(231) 간에 미끄럼이 발생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3현상제이송벨트(251)를 가압하는 가압리브(330)의 돌출 높이를 조절하여 제1회전부재(210)와 제3현상제이송벨트(251) 사이에서 미끄럼이 발생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리브 형태의 가압부재를 도시하였으나, 롤러 형태의 가압부재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현상제 이송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한다.
현상기(40Y)의 유통 과정이나 사용자가 현상기(40Y)를 취급하는 과정에서 제1현상제수용실(102) 내의 현상제가 제1현상제이송벨트(231) 쪽으로 편중되어 뭉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상기(40Y)를 본체(10)에 장착하여 동작시키면, 뭉쳐진 현상제로 인해 제1현상제이송벨트(231)에 큰 하중이 작용하여 제1현상제이송벨트(231)의 수용홀(265)이 제1회전부재(210)의 돌기(261)와 맞물려 회전하지 못하고, 수용홀(265)이 돌기(261)의 미끄럼가이드부(262)를 타고 미끄러지게 된다. 그러면 제1회전부재(210)가 회전하더라도 제1현상제이송벨트(231)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큰 하중이 작용하는 상황에서 제1현상제이송벨트(231)를 무리하게 구동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부품의 손상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에, 중간에 배치된 제2현상제이송벨트(241)는 제2동력전달기구(270)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회전부재(210)와 함께 회전하며 현상제를 이송한다. 또한 제1현상제이송벨트(231)의 반대쪽에는 현상제로 인한 하중이 크게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3현상제이송벨트(251)는 제1동력전달기구(260)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회전부재(210)와 함께 회전한다.
이와 같이 제2현상제이송벨트(241)와 제3현상제이송벨트(251)가 회전하며 현상제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제1현상제이송벨트(231) 쪽에 뭉쳐 있던 현상제가 점점 유동성을 확보하여 제2현상제이송벨트(241)와 제3현상제이송벨트(251) 쪽으로 퍼지게 된다.
그러면 제1현상제이송벨트(231)에 작용하는 하중이 줄어들면서 특정 시점에서 제1회전부재(210)의 돌기(261)가 제1현상제이송벨트(231)의 수용홀(265)에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1현상제이송벨트(231)가 회전을 시작하여 현상제를 이송한다.
현상제가 제3현상제이송벨트(251) 쪽으로 편중된 경우에도 위와 유사한 동작을 통해 부품의 파손이 방지된다.
위의 실시예들에서는 3개의 현상제이송부재가 마련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현상제이송부재들의 수는 변경될 수 있다. 즉, 2개의 현상제이송부재를 적용하거나 4개 이상의 현상제이송부재들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제1동력전달기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서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돌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수용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도 4에서 제2동력전달기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서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도 4에서 제3동력전달기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화상형성장치 40Y, 40M, 40C, 40K : 현상기
100 : 현상제수용실 200 : 현상제 이송장치
210 : 제1회전부재 220 : 제2회전부재
230, 240, 250 : 현상제이송부재 231 : 제1현상제이송벨트
241 : 제2현상제이송벨트 251 : 제3현상제이송벨트
260 : 제1동력전달기구 261 : 돌기
262 : 미끄럼가이드부 265 : 수용홀
270 : 제2동력전달기구 280 : 제3동력전달기구
310, 320, 330 : 가압리브
Claims (19)
- 현상제수용실;상기 현상제수용실에 배치되는 제1회전부재;상기 제1회전부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회전부재의 주위를 회전하고, 상기 제1회전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서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를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회전부재 사이의 미끄럼(slip)을 허용하도록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의 상기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회전부재를 연결하는 제1동력전달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력전달기구는,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의 상기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회전부재 중 하나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상기 돌기를 수용하도록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의 상기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회전부재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홀;을 포함하고,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그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홀과 상기 돌기 의 사이의 미끄럼을 안내하는 미끄럼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 제3항에 있어서,상기 미끄럼가이드부는 곡면과 경사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홀은 상기 미끄럼가이드와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현상제수용실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회전부재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의 상기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회전부재를 연결하는 제2동력전달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는,상기 제1회전부재의 축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제3현상제이송부재;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3현상제이송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2현상제이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3현상제이송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에 대해 상대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제1회전부재의 맞은 편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회전부재;와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제2회전부재에 전달하는 제3동력전달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동력전달기구는,상기 제2회전부재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따라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에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 내부에 현상제수용실이 마련된 하우징;상기 현상제수용실 내부에 배치되는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상기 제1회전부재와 상기 제2회전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회전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1 내지 제3현상제이송벨트;를 포함하고,상기 제1 내지 제3현상제이송벨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회전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제1현상제이송벨트와 상기 제3현상제이송벨트는 상기 제1회전부재의 축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제2현상제이송벨트는 제1현상제이송벨트와 상기 제3현상제이송벨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회전부재가 상기 제1회전부재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제1회전부재와 상기 제2회전부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상기 현상제수용실의 내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현상제이송벨트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을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의 현상제수용실에 배치되어 현상제를 이송하는 현상제 이송장치에 있어서,상기 현상제수용실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의 주위를 회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서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수용홀;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의 상기 적어도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복수의 수용홀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하고,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 상기 수용홀이 상기 돌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돌기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미끄럼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이송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는,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의 축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제3현상제이송부재;와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3현상제이송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2현상제이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이송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3현상제이송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이송장치.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3현상제이송부재는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에 대해 상대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이송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2270A KR101041083B1 (ko) | 2009-08-06 | 2009-08-06 |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와 그 현상제 이송장치 |
EP10169554.2A EP2284622B1 (en) | 2009-08-06 | 2010-07-14 | Developing device usable with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delivery device thereof |
US12/838,650 US8577265B2 (en) | 2009-08-06 | 2010-07-19 | Developing device usable with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delivery device thereof including a plurality of rotatable delivery membe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2270A KR101041083B1 (ko) | 2009-08-06 | 2009-08-06 |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와 그 현상제 이송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4760A KR20110014760A (ko) | 2011-02-14 |
KR101041083B1 true KR101041083B1 (ko) | 2011-06-13 |
Family
ID=42937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2270A KR101041083B1 (ko) | 2009-08-06 | 2009-08-06 |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와 그 현상제 이송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8577265B2 (ko) |
EP (1) | EP2284622B1 (ko) |
KR (1) | KR10104108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285603A1 (en) * | 2008-05-15 | 2009-11-19 | Michael Craig Leemhuis | Toner Distribution Devic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
JP6584197B2 (ja) * | 2015-07-31 | 2019-10-02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CN109940423B (zh) * | 2019-04-02 | 2020-08-14 | 新昌县黄达机械有限公司 | 一种有利于避免回弹的轴承生产用固定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98842A (ja) * | 1998-09-22 | 2000-04-07 | Kyocera Corp | 画像形成装置 |
KR20080061532A (ko) * | 2006-12-28 | 2008-07-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BE760079A (fr) * | 1969-12-12 | 1971-06-09 | Xerox Corp | Entrainement par cabestan, ou frottement, de chaine a perles ( |
US3921578A (en) * | 1972-07-03 | 1975-11-25 | Itek Corp | Power cascade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
US4577587A (en) * | 1984-03-30 | 1986-03-25 | Mita Industrial Co., Ltd. | Developing apparatus |
US5835828A (en) * | 1995-06-15 | 1998-11-10 | Mita Industrial Co., Ltd. | Stirrer and toner cartridge equipped with the stirrer |
KR20070028979A (ko) * | 2005-09-08 | 2007-03-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기기의 현상장치 |
JP4622774B2 (ja) * | 2005-09-21 | 2011-02-02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 |
JP4252089B2 (ja) * | 2006-12-28 | 2009-04-08 | シャープ株式会社 |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
JP2008175956A (ja) * | 2007-01-17 | 2008-07-31 | Ricoh Co Ltd | 粉体搬送装置、トナー搬送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JP4518129B2 (ja) * | 2007-10-02 | 2010-08-04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現像剤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2009
- 2009-08-06 KR KR1020090072270A patent/KR10104108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
- 2010-07-14 EP EP10169554.2A patent/EP2284622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0-07-19 US US12/838,650 patent/US857726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98842A (ja) * | 1998-09-22 | 2000-04-07 | Kyocera Corp | 画像形成装置 |
KR20080061532A (ko) * | 2006-12-28 | 2008-07-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8577265B2 (en) | 2013-11-05 |
KR20110014760A (ko) | 2011-02-14 |
EP2284622A2 (en) | 2011-02-16 |
US20110033208A1 (en) | 2011-02-10 |
EP2284622B1 (en) | 2019-05-15 |
EP2284622A3 (en) | 2014-06-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112750B2 (en) | Development cartridge having a switch member to rotate developing unit to a development position | |
US8676093B2 (en) | Developing device, image carrier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CN1926477A (zh) | 显影剂供应容器和成像设备 | |
US8948676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KR101041083B1 (ko) |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와 그 현상제 이송장치 | |
KR101529490B1 (ko) |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 |
KR101502116B1 (ko) | 화상형성장치 | |
KR20130009010A (ko) |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
US9740144B2 (en) | Clea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US20070081839A1 (en) | Toner conveying uni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conveying unit | |
KR20080061240A (ko) |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
US11921456B2 (en) | Driving coupler having locking structure and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 |
US7343129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EP2458446B1 (en) | Photosensitive Body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US7917059B2 (en) |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KR20150019275A (ko) |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
KR20080061532A (ko) |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 |
JPH11249398A (ja) | 現像装置 | |
JP2023020222A (ja) | トナー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KR20100046521A (ko) | 현상기용 현상제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 |
KR20080061425A (ko) | 폐토너 회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