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490B1 -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490B1
KR101529490B1 KR1020080104511A KR20080104511A KR101529490B1 KR 101529490 B1 KR101529490 B1 KR 101529490B1 KR 1020080104511 A KR1020080104511 A KR 1020080104511A KR 20080104511 A KR20080104511 A KR 20080104511A KR 101529490 B1 KR101529490 B1 KR 101529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developing device
inlet
partition wall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5545A (ko
Inventor
문지원
도기재
이승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4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490B1/ko
Priority to US12/555,102 priority patent/US8139988B2/en
Priority to EP09171348.7A priority patent/EP2180377B1/en
Priority to RU2009137357/12A priority patent/RU2429137C2/ru
Priority to CN200910179528.9A priority patent/CN101727048B/zh
Publication of KR20100045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36Way of functioning of agitator means
    • G03G2215/0841Presentation of developer to donor member
    • G03G2215/0844Presentation of developer to donor member by upward movement of agitator member

Abstract

본 발명은 현상제이송구조가 개선된 현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는 현상장치에 마찰대전력을 통해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상기 공급장치에 공급되는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수용실과, 현상기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중력방향의 상, 하로 배치되는 제1이송유닛 및 제2이송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수용실에 수용되는 현상제는 상기 제1이송유닛에 의해 제2이송유닛 측으로 이송된 후에 제2이송유닛에 의해 상기 공급장치 측으로 이송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DEVELOPING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현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상제이송구조가 개선된 현상기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종류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인쇄매체에 바로 전사되거나 중간전사유닛을 거쳐 인쇄매체에 전사되고, 인쇄매체로 전사된 화상은 정착과정을 통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종래의 현상기는 감광체로 공급되는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제수용실과, 현상제수용실의 일측에 마련되는 공급장치 및 현상장치를 구비한다. 이때, 공급장치는 현상제수용실에 저장된 현상제를 현상장치에 공급하고, 현상장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체의 표면에 현상제를 부착시켜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제이송구조가 개선된 현상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는 현상장치에 마찰대전력을 통해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상기 공급장치에 공급되는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수용실과, 현상기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중력방향의 상, 하로 배치되는 제1이송유닛 및 제2이송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수용실에 수용되는 현상제는 상기 제1이송유닛에 의해 제2이송유닛 측으로 이송된 후에 제2이송유닛에 의해 상기 공급장치 측으로 이송된다.
이때, 현상기는 상기 현상제수용실을 제1현상제수용실 및 제2현상제수용실로 구획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이송유닛 및 상기 제2이송유닛은 상기 격벽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은 상기 제1이송유닛과 상기 제2이송유닛 사이에 마련되는 제1격벽부와, 상기 제1격벽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격벽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격벽부에 형성된 유입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된 현상제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2이송유닛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격벽부는 상기 제1이송유닛의 하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구는 상기 격벽부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이송유닛은 상기 유입구 측으로 현상제를 이송시키는 나선형 이송날개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지 아니한 현상제를 반송시키는 방사형 이송날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의 상기 유입구는 중력방향으로 상기 공급장치와 상기 현상장치의 닙부위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의 상기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격벽부에 의해 상기 제1이송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이송유닛으로 이송된 현상제의 반송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현상제수용실의 바닥면은 경사지게 마련되어 상기 제1현상제수용실에 수용된 현상제는 중력에 의해 상기 격벽의 반대측에 집중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현상제수용실의 바닥면의 경사각은 대략 2˚ 내지 15˚ 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현상제수용실에 마련되어 상기 제1현상제수용실에 수용된 현상제 중 일부를 중력방향의 상측으로 이송시켜 상기 제1이송유닛에 공급하는 공급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이송유닛은 제1순환오거 및 제2순환오거를 구비하며, 상기 제1순환오거와 상기 제2순환오거 사이에 마련되며, 양측에 연통구가 형성되는 순환벽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현상장치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상기 공급장치에 공급되는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수용실;을 포함하는 현상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이송방법은 상기 현상제수용실에 수용된 현상제 중 일부를 중력방향의 상측으로 이송하는 단계와, 중력방향의 상측으로 이송된 상기 현상제를 자유낙하 시키는 단계와, 자유낙하된 상기 현상제를 상기 공급장치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기는, 상기 현상기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중력방향의 상, 하로 배치되는 제1이송유닛 및 제2이송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제수용실을 제1현상제수용실 및 제2현상제수용실로 구획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이송유닛 및 상기 제2이송유닛은 상기 격벽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를 더 포함하며, 중력방향의 상측으로 이송된 현상제는 상기 제1이송유닛에 의해 상기 격벽의 유입구 측으로 이송된 후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2이송유닛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에서는 현상제이송구조가 개선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화상형성장치는 본체(10), 인쇄매체 공급유닛(20), 광주사유닛(30), 현상유닛(40), 전사유닛(50), 정착유닛(60) 및 인쇄매체 배출유닛(7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화상형성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인쇄매체 공급유닛(20)은 인쇄매체(S)가 보관되는 카세트(21)와, 카세트(21)에 보관된 인쇄매체(S)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2)와, 픽업된 인쇄매체(S)를 전사유닛(5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주사유닛(30)은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인쇄 신호에 따라 후술되는 현상기(40Y, 40M, 40C, 40K)들의 각 감광체(44Y, 44M, 44C, 44K)에 주사하고, 이에 따라 각 감광체(44Y, 44M, 44C, 44K)들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유닛(40)은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 예를 들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기(40Y, 40M, 40C, 40K)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 옐로우(Y) 색상이 수용되는 현상기(40Y)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내용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는 다른 3개의 현상기(40M, 40C, 40K)에도 적용된다.
현상기(40Y)는 현상제수용실(110), 공급장치(42Y), 현상장치(43Y), 감광체(44Y)를 구비한다.
현상제수용실(110)에는 감광체(44Y)로 공급될 현상제가 저장되고, 공급장치(42Y)는 현상제수용실(110)에 저장된 현상제를 마찰대전력을 통해 현상장치(43Y)에 공급한다. 현상장치(43Y)는 광주사유닛(30)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체(44Y)의 표면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킨다. 본 실시예의 현상기는 인쇄품질향상 및 효과적 현상제사용을 위해 개선된 현상제이송구조를 가지며, 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후반부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미설명부호 45Y는 광주사유닛(30)으로부터 광이 주사되기에 앞서 각 감광체(44Y)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를 나타낸다.
본 도1에서의 전사유닛(50)은 중간전사벨트가 아닌 용지이송벨트(51)를 사용하며, 구동롤러(53 혹은 52) 및 종동롤러(52 혹은 53)로 구동이 되며, 전사벨트 내측에 위치한 복수개의 전사롤러(54)는 각각의 감광체(44)와 대향하면서 감광체(44) 상의 현상제를 용지로 전사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정착유닛(60)은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61)와, 가열롤러(61)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가압롤러(62)를 구비한다. 인쇄매체가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 사이를 통과할 때, 가열롤러(61)로부터 전달되는 열과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화상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인쇄매체 배출유닛(70)은 배지롤러(71)와 배지백업롤러(72)를 구비하여 정착유닛(60)을 통과한 인쇄매체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40Y)의 현상제수용실(110)은 격벽(120)에 의해 제1현상제수용실(111)과 제2현상제수용실(112)로 구획되며, 제1현상제수용실(111)과 제2현상제수용실(112)은 격벽(120)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도 7 참조)(122)를 통해 상, 하로 서로 연통된다. 격벽(120)격벽(120)로 현상기의 상부 플레이트(111b)와 접하고, 하측으로 현상기의 바닥면(111a)과 접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40Y)는 현상제이송부재(130)와, 격벽(120) 유입구(122)의 상측에 마련되는 공급오거(140)와, 격벽(120) 유입구(122)의 하측에 마련되는 교반부재(150)를 더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의 제1현상제수용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격벽에 형성된 유입구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이송부재(130)는 이송벨트(131)와, 이송벨트(131)를 구동하는 한 쌍의 구동축(132, 133)을 구비한다. 현상제이송부재(130)는 제1현상제수용실(111)에 저장된 현상제를 교반시킬 뿐만 아니라 제1현상제수용실(111)에 저장된 현상제 중 일부의 현상제를 제1현상제수용실(111)의 상측으로 이송시킨다. 미설명 부호 134, 135, 136, 137은 현상제이송부재(130)의 각 구동축(132, 133)이 축결합되는 축공을 나타낸다. 여기서 두 구동축 중 공급오거(140)에 더 가깝게 위치한 구동축(132)의 중심은 공급오거(140)의 회전중심의 위치보다 중력방향상 아래쪽에 위치해야 한다. 또한 두 구동축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반경은, 공급오거(140)에 더 가까운 구동축(132)에 위치한 회전체가 공급오거(140)에 더 멀게 위치한 구동축(133)에 위치한 회전체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급오거(140)에 더 가까운 구동축(132)의 위치는 공급오거(140)에 더 멀게 위치한 구동축(133)의 위치보다 중력방향상 더 상측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럴 경우 현상제의 효과적인 공급량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현상제이송부재(130)에 이송벨트(131)을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기존에는 복수개의 교반기(Agitator)를 공급장치 방향으로 거의 수평하게 배열하여 현상제를 공급장치 쪽으로 공급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현상기가 거의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칼라화상형성장치에 있어, 화상형성장치의 높이를 낮추기 위해 각 현상기의 높이를 낮추어야 하고, 이는 현상기 내측의 교반기 회전반경이 줄어들어야 하는 필수적인 관계가 있다. 그러나, 교반기의 회전반경이 줄어들수록 이송하는 현상제의 회전반경이 줄어들어 이송하는 영역 또한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현상기 높이가 낮아질수록 교반기의 회전반경은 줄어들고, 또한 현상제의 원할한 이송을 위해서는 충분한 개수의 교반기가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많은 수의 교반기를 거치면서 현상제가 공급되기 때문에 현상제의 스트레스가 심해지며, 교반기의 개수가 많아지면서 구성이 복잡해지고 교반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부위 역시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이송벨트(131) 형태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경우, 복수개의 교반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현상기의 높이가 낮더라도 최소한 회전가능한 한쌍의 구동축(132,133)만 구비하면 되므로 구조에서 간소하고, 또한 복잡한 구동력 전달부위의 구성이 불필요 하며 현상제의 스트레스 역시 개선이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현상제수용실(111)과 제2현상제수용실(112)을 구획하는 격벽(120)은 공급오거(140)의 하측을 둘러싸는 현상제임시저장부(121)를 구비하고, 유입구(122)는 현상제임시저장부(121)의 일측에 형성된다. 여기서 현상제임시저장부(121)는 상측으로 오목한 면을 가진 U자형의 곡률부를 가지고 있다.
현상제이송부재(130)에 의해 제1현상제수용실(111)의 상측으로 이송된 현상제는 현상제임시저장부(121)에 공급(도 2 참조)되고, 현상제임시저장부(121)에 공급된 현상제는 유입구(122)를 통해 제2현상제수용실(112)로 자유낙하 된다. 이때, 제2현상제수용실(112)로 공급된 현상제가 공급장치(42Y) 및 현상장치(43Y)의 닙부위(x) 이상으로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격벽(120)에 형성되는 유입구(122)는 중력방향(g)으로 공급장치(42Y) 및 현상장치(43Y)의 닙부위(x) 하측에 형성(도 2 참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유입구(122)는 회전하는 공급오거(140)의 길이방향상 거의 끝단에 위치하는 사각형 혹은 타원형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만일 공급오거가 아닌 교반기나 이송부재의 경우, 즉 오거형태가 아닌 섞어주는 교반기나 공급을 위한 공급기능을 가진 이송부재로 공급오거(140)를 대신 사용할 경우는 유입구(122)가 한측에만 형성되거나 혹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릿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혹은 복수개의 슬릿이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된 구조 역시 적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공급장치나 현상장치는 실린더 형상의 롤러타입을 적용하였으며, 중심에는 도전성 샤프트가 있고, 그 주위에는 도전성 고무 재질의 롤러부가 구성된다. 그러나 롤러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유사한 실시예로서 벨트타입이나 혹은 브러쉬 타입도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공급장치와 현상장치는 서로 대향하며 닙을 형성하면서 회전하고, 닙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마찰대전력에 의해 현상제가 마찰대전되고 현상장치로 이송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물론 마찰대전력 뿐만 아니라 공급장치 및 현상장치에는 각각 적절한 전원이 인가되어 현상제가 전기적으로도 이송이 되도록 하고 있다. 만일 직류전원이 인가되는 경우는 현상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의 절대값이 공급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의 절대값보다 적은 값이 되어야 현상제의 전기적인 이송이 용이해진다.
또한, 현상제임시저장부(121)에 과도한 양의 현상제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현상제임시저장부(121)의 현상제이송부재(130) 측 단부(123)는 공급오거(140)의 회전중심 보다 하측에 위치(도 2 참조)함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오거(140)는 축방향으로 이송력을 발생하여 현상제임시저장부(121)에 공급된 현상제를 격벽(120)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122) 측으로 이송시키는 나선형의 축방향 이송날개(141)와, 반경방향으로 이송력을 발생하여 유입구(122) 측으로 이송된 현상제 중 유입구(122)로 유입되지 아니한 현상제를 현상제이송부재(130) 측으로 반송시키는 방사형의 반경방향 이송날개(142)를 구비한다.
도 4의 미설명 부호 160은 현상기(40Y)의 초기상태에서 유입구(122)를 차폐 하는 차폐부재를 나타내며, 사용자는 현상기(40Y)의 일측에서 차폐부재(160)를 잡아 당겨 유입구(122)를 개방시킬 수 있다. 혹은 현상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는 경우나 현상기가 구동되면서 유입구(122)가 개방되도록 차폐부재(160)가 동작할 수도 있다. 혹은 주위에 회전하는 회전장치(예를들면 공급오거나 순환오거 등)에 연동하여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본 차폐부재(160)에는 탄성장치(미도시)가 구비되어 탄성적으로 개방 혹은 폐쇄가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차폐부재(160)의 이동영역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차폐부재(160)의 근처에 현상제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도면 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차폐부재(160)가 설치되는 경우는 그 목적상 유입구(122)보다는 커야하며, 필요에 따라 차폐부재(160)가 설치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사상의 실시가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반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반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부재(150)는 일측으로 현상제를 이송시키는 제1순환오거(151) 및 타측으로 현상제를 이송시키는 제2순환오거(152)를 구비한다. 미설명부호 153은 제1순환오거(151)와 제2순환오거(152)의 사이에 마련되며, 양측에 연통구(153a, 153b)가 형성되는 순환벽을 나타낸다.
유입구(122)를 통해 제2현상제수용실(112)로 유입된 현상제는 순환벽(153)을 사이에 두고 순환함에 따라, 현상제의 고화방지 및 평탄화가 이루어지고, 공급장치(42Y)의 길이방향으로 현상제가 균일하게 공급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공급오거(140), 1차순환오거(151), 2차순환오거(152)등 공급에 필요한 장치로서 오거형태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후반부에 설명되는 변형실시예와 같이, 오거형태 뿐만 아니라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재, 교반하기 위한 교반부재 및 섞어주기 위한 믹싱부재 역시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같이 각 부재의 형태에 따라 주위 구조는 조금씩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당업자의 수준에서 동등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에서 현상제의 이송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입구 주변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제2현상제수용실에 충분한 양의 현상제가 공급된 상태에서 격벽의 현상제임시저장부에 공급된 현상제가 반송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현상제수용실(111)에 저장된 현상제는 현상제이송부재(130)에 의해 제1현상제수용실(111)의 상측으로 이송되어 격벽(120)의 현상제임시저장부(121)에 공급된다. 현상제임시저장부(121)에 공급된 현상제는 공급오거(140)의 축방향 이송날개(141)에 의해 격벽(120)의 일측으로 이송된 후, 그 자중에 의해 현상제임시저장부(121)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122)로 유입된다. 즉, 유입구(122)를 통해 제2현상제수용실(112)로 자유낙하 된다.
자유낙하 된 현상제는 하나 이상의 순환오거를 통해 공급장치 측으로 공급이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순환오거는 2개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순환오거(151) 및 제2순환오거(152)에 의해 순환벽(153)을 사이에 두고 순환되며, 이러한 순환과정에서 공급장치(42Y)를 거쳐 현상장치(43Y)로 공급된다. 실제로 필요에 따라서는 2개 이상의 순환 오거의 사용도 가능하다.
한편, 제2현상제수용실(112)에 충분한 양의 현상제가 공급되면, 유입구(122)를 통한 현상제의 유입은 중단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22)로 유입되지 아니한 현상제는 공급오거(140)의 반경반향 이송날개(142)에 의해 현상제이송부재(130) 측으로 반송된다.
이러한 구조 및 동작에 의해, 본 실시예의 현상기에서는 격벽에 의해 현상제의 순차적 공급 및 소비가 이루어지므로, 균등한 인쇄품질이 보장되고 현상제사용효율이 향상된다. 즉, 본 실시예의 현상기에서는 격벽(120)에 의해 현상장치(43Y) 및 공급장치(42Y) 주변의 압력 및 온도에 의해 변형, 변질된 현상제가 제1현상제수용실(111)로 회송되는 것이 방지되고, 현상장치(43Y) 및 공급장치(42Y) 주변의 현상제부터 순차적으로 소비되므로 항상 일정한 인쇄품질이 보장된다. 그리고, 양질의 현상제가 변형, 변질된 현상제와 혼합되어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방지되므로, 현상제사용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에서는 별도의 센서부재를 구비하지 아니하고도, 제2현상제수용실에 수용된 현상제의 양이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현상기에서는 제1현상제수용실(111)에 저장된 전체 현상제 중 일부의 현상제가 제1현상제수용실(111)의 상측으로 이송되어 그 자중에 의해 유입구(122)로 자유낙하 하고, 제2현상제수용실(112)의 현상제가 유입구(122) 부근까지 쌓일 경우에는 현상제는 더 이상 유입구(122)로 공급되지 아니하고 현상제이송부재(130) 측으로 반송되므로 제2현상제수용실(112)에 수용되는 현상제의 양은 항상 일정수준을 유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공급오거(140)는 유입구(122) 측에 방사형으로 이루어진 반경방향 이송날개(142)를 구비하므로, 본 실시예의 현상기(40Y)에서는 이러한 현상제반송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더욱이, 공급오거(140)의 추력 및 제1현상제수용실(111)에 저장된 현상제의 하중이 유입구에 작용되지 않기 때문에, 제2현상제수용실(112)에 지나치게 많은 양의 현상제가 공급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제2현상제수용실(112)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현상제의 변형, 변질이 최소화 된다.
또한, 현상기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설치된 상태(도 1 참조)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현상제수용실의 바닥면(111a)은 경사지게 마련된다. 이에 따라, 제1현상제수용실(111)에 수용된 현상제는 중력에 의해 상기 격벽(120)의 반대측에 집중되고, 제1현상제수용실(111)에 많은 양의 현상제가 충진 되더라도 유입구(122) 측으로는 현상제의 하중에 의한 압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는다. 이때, 바닥면(111a)의 경사각(α)은 2˚ 내지 15˚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바닥면(111a)의 경사각(α)이 2˚ 미만일 경우에는 유입구(122) 측으로 현상제의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바닥면(111a)의 경사각(α)이 15˚ 를 초과할 경우에는 격벽(120)의 반대측으로 집중된 현상제에 중력방향으로 큰 스트레스를 줄 수 있고, 공급장치 측을 향한 현상제의 효과적 이송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이상에서 설명된 내용 및 도면부호는 이하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의 격벽 및 반송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의 격벽 및 교반부재를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격벽(220)에 마련되는 유입구(222)는 폭방향으로 현상기의 좌측벽(113)으로부터 현상기의 우측벽(114)까지 연장되는 슬릿(slit)형태로 형성되며, 현상제이송부재에 의해 제1현상제수용실(211)의 상측으로 이송된 현상제는 상기 슬릿형태의 유입구(222)를 통해 자유낙하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현상기는 유입구(222)의 상측에 구비되어 유입구(222)로 유입되지 아니한 현상제를 현상제이송부재 측으로 반송시키는 반송부재(240)를 더 포함한다. 반송부재(240)는 회전축(241)과, 회전축(241)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반송날개(242)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현상제이송부재에 의해 제1현상제수용실(211)의 상측으로 이송된 현상제 중 유입구(222)로 유입되지 아니한 현상제는 다시 현상제이송부재 측으로 반송부재(240)에 의해 반송된다.
또한, 도 9b에 도시된 격벽(320)에는 현상기의 횡방향으로 복수 개의 유입구들(322)이 마련되고, 현상제임시저장부(121)로 이송된 현상제는 상기 유입구(322)들을 통해 현상기의 폭방향으로 고르게 제2현상제수용실(122)로 공급된다.
그리고, 현상제임시저장부(121)의 상측에는 나선형의 교반부재(340)가 마련되며, 상기 교반부재(340)는 현상제이송부재(130)에 의해 제1현상제수용실(111)의 상측으로 이송된 현상제가 현상제임사저장부(121)의 폭방향으로 고르게 분포되도록 현상제를 교반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의 수 및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다. 또한, 유입구의 상측에는 제1실시예의 공급오거(140), 제2실시예의 반송부재(240), 및 제3실시예의 교반부재(340)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부재가 유입구의 수 및 형상에 따라 마련되어, 유입구 측으로 현상제를 이송하거나, 현상제를 평탄화시키거나, 현상제이송부재 측으로 현상제를 반송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공급오거(140), 반송부재(240) 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2현상제수용실에 설치되는 교반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부재(350)는 나선형코일(351)을 구비하며, 나선형코일(351)은 제2현상제수용실(312)에 회전가능 하도록 마련되어 제2현상제수용실(312)로 공급된 현상제의 고화를 방지하고, 현상제를 평탄화시킨다.
물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교반부재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교반부재는 오거형태, 나선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의 제1현상제수용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격벽에 형성된 유입구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반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반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에서 현상제의 이송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입구 주변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제2현상제수용실에 충분한 양의 현상제가 공급된 상태에서 격벽의 현상제임시저장부에 공급된 현상제가 반송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의 격벽 및 반송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의 격벽 및 교반부재를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2현상제수용실에 설치되는 교반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본체 20 인쇄매체 공급유닛
40 현상유닛 50 전사유닛
60 정착유닛 70 인쇄매체 배출유닛
110 현상제수용실 111 제1현상제수용실
112 제2현상제수용실 120 격벽
130 현상제이송부재 140 공급오거
150 교반부재 160 차폐부재

Claims (18)

  1.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현상기에 있어서,
    현상장치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장치;
    상기 공급장치에 공급되는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수용실;
    상기 현상제수용실을 제 1 현상제수용실 및 제 2 현상제수용실로 구획하는 격벽;
    상기 격벽에 마련되는 유입구;
    제 1 이송유닛;
    제 2 이송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현상기가 상기 화상현상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현상제를 상기 제 1 현상제수용실로부터 상기 제 2 현상제수용실로 상기 유입구를 통해 중력방향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이송유닛은, 상기 제 1 현상제수용실에서 상기 유입구보다 높게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 2 이송유닛으로 현상제를 공급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 이송유닛은, 상기 제 2 현상제수용실에서 상기 유입구보다 낮게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 1 이송유닛으로부터 상기 제 2 현상제수용실에 마련되는 상기 공급장치로 전달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현상기는 상기 제 1 현상제수용실에 배치되는 공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기가 상기 화상현상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부재는 상기 제 1 이송유닛을 향해 현상제를 상향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제 1 이송유닛과 상기 제 2 이송유닛 사이에 마련되는 제 1 격벽부;
    상기 제 1 격벽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2 격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벽부는 상기 제 1 이송유닛의 하측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격벽의 일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유입구측으로 현상제를 이송시키는 나선형 이송날개;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지 아니한 현상제를 반송시키는 방사형 이송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상기 유입구는,
    상기 공급장치와 상기 현상장치 사이의 닙부위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상기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격벽부에 의해 상기 제 1 이송유닛으로부터 상기 제 2 이송유닛으로 이송된 현상제의 반송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 1 현상제수용실의 바닥면은 대략 2도 내지 15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송유닛은,
    제 1 순환오거와, 제 2 순환오거;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기는,
    상기 제 1 순환오거와 상기 제 2 순환오거 사이에 마련되며, 양측에 연통구가 형성되는 순환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080104511A 2008-10-24 2008-10-24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KR101529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511A KR101529490B1 (ko) 2008-10-24 2008-10-24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US12/555,102 US8139988B2 (en) 2008-10-24 2009-09-08 Developing device of image forming apparatus
EP09171348.7A EP2180377B1 (en) 2008-10-24 2009-09-25 Developing device of image forming apparatus
RU2009137357/12A RU2429137C2 (ru) 2008-10-24 2009-10-08 Проя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устройства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CN200910179528.9A CN101727048B (zh) 2008-10-24 2009-10-12 成像设备的显影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511A KR101529490B1 (ko) 2008-10-24 2008-10-24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545A KR20100045545A (ko) 2010-05-04
KR101529490B1 true KR101529490B1 (ko) 2015-06-30

Family

ID=4152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511A KR101529490B1 (ko) 2008-10-24 2008-10-24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39988B2 (ko)
EP (1) EP2180377B1 (ko)
KR (1) KR101529490B1 (ko)
CN (1) CN101727048B (ko)
RU (1) RU2429137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4263A (ko) * 2008-03-31 2009-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현상기
KR101041084B1 (ko) * 2009-09-01 2011-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JP6485170B2 (ja) * 2015-03-31 2019-03-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047541B2 (ja) * 2018-03-30 2022-04-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7479812B2 (ja) * 2019-09-27 2024-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搬送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2166667A (ja) * 2021-04-21 2022-11-02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 回転可能なトナー容器と固定されたアジテータを備えるトナーカートリッ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7286A (en) * 1993-01-28 1996-05-14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US5842090A (en) * 1996-04-22 1998-11-24 Minolta Co., Ltd. Developing device having a member for restricting transport of developer
US6510300B2 (en) * 2000-05-22 2003-01-21 Sharp Kabushiki Kaisha Toner cartridge with mixed toner delivery apparatus
KR20040016081A (ko) * 2002-08-14 200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 프린터의 토너/현상제 혼합롤러 및 현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7180A (en) * 1984-10-25 1987-03-03 Kabushiki Kaisha Toshiba Developing device and electronic copying apparatus
JPH04340984A (ja) * 1991-05-17 1992-11-27 Konica Corp 現像装置
JPH07253710A (ja) * 1994-03-15 1995-10-03 Mita Ind Co Ltd トナーホッパ及びこれを含む現像装置
JP3386624B2 (ja) * 1995-02-16 2003-03-17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およびそ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10239970A (ja) 1997-02-28 1998-09-11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
JP2001175082A (ja) 1999-12-14 2001-06-29 Kyocera Mita Corp 回収トナーリサイクル式画像形成装置
US6671481B1 (en) * 2002-10-29 2003-12-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ndless belt dry toner agitator
JP4689327B2 (ja) * 2004-06-16 2011-05-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605169B1 (ko) * 2004-07-23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상제 공급방법
JP2006267722A (ja) 2005-03-24 2006-10-05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KR100644693B1 (ko) 2005-04-22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4646728B2 (ja) * 2005-07-28 2011-03-09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7286A (en) * 1993-01-28 1996-05-14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US5842090A (en) * 1996-04-22 1998-11-24 Minolta Co., Ltd. Developing device having a member for restricting transport of developer
US6510300B2 (en) * 2000-05-22 2003-01-21 Sharp Kabushiki Kaisha Toner cartridge with mixed toner delivery apparatus
KR20040016081A (ko) * 2002-08-14 200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 프린터의 토너/현상제 혼합롤러 및 현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27048B (zh) 2014-04-09
EP2180377A1 (en) 2010-04-28
US8139988B2 (en) 2012-03-20
RU2009137357A (ru) 2011-04-20
CN101727048A (zh) 2010-06-09
EP2180377B1 (en) 2013-12-18
RU2429137C2 (ru) 2011-09-20
US20100104325A1 (en) 2010-04-29
KR20100045545A (ko) 2010-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1890B2 (ja) 現像搬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現像装置、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
KR101529490B1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KR101457760B1 (ko) 현상제 수용 용기 및 이것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US9753401B2 (en)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US8583013B2 (en)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7011004A (ja) 画像形成装置
JP5374939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457759B1 (ko) 현상제 수용 용기 및 이것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JP5005792B2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6201474A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101600866B1 (ko) 화상형성장치
KR20130009010A (ko)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JP6128426B2 (ja) 現像剤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638627B2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N108931900B (zh) 显影装置及具备其的图像形成装置
KR101813645B1 (ko) 토너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4862702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21124576A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22097144A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128427B2 (ja) 現像剤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4174530A (ja) 現像剤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1063915A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1033862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200902030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330356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収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