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759B1 - 현상제 수용 용기 및 이것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제 수용 용기 및 이것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759B1
KR101457759B1 KR1020120036666A KR20120036666A KR101457759B1 KR 101457759 B1 KR101457759 B1 KR 101457759B1 KR 1020120036666 A KR1020120036666 A KR 1020120036666A KR 20120036666 A KR20120036666 A KR 20120036666A KR 101457759 B1 KR101457759 B1 KR 101457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developer
conveying
container
convey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7649A (ko
Inventor
다모츠 시미즈
다카히사 나카우에
데루히코 나가시마
다카시 모리타
에이지 니무라
요시히로 야마기시
고지 구라마시
마사키 하야시
이쿠오 마키에
겐이치 다마키
Original Assignee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91260A external-priority patent/JP537756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32939A external-priority patent/JP5377612B2/ja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7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89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agitation or stir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현상제 수용 용기는, 용기 본체와, 통형상부와, 회전 부재를 구비한다. 용기 본체는 저벽을 갖는다. 통형상부는, 회전 부재는 현상제 배출구를 갖는다. 회전 부재는 용기 본체로부터 통형상부에 걸쳐 가설되며, 용기 본체 내의 현상제를 반송하고, 회전축과, 제1 반송 부재와, 제2 반송 부재와, 분산 부재를 갖는다. 회전축은, 용기 본체 내에 위치하는 제1 부분과, 통형상부 내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을 구비한다. 제1 반송 부재는, 통형상부측으로부터 용기 본체측으로 향하는 제1 반송 방향으로 현상제를 반송한다. 제2 반송 부재는, 용기 본체측으로부터 통형상부측으로 향하는 제2 반송 방향으로 현상제를 반송한다. 분산 부재는, 현상제를 반경 방향으로 분산시킨다.

Description

현상제 수용 용기 및 이것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DEVELOP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본 개시는, 현상제를 저류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 및 그 현상제 수용 용기가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토너(현상제)를 이용하여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토너 컨테이너 등의 현상제 수용 용기가 불가결하다. 토너 컨테이너는, 현상 장치에 보급하는 토너를 저류하는 컨테이너이며,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토너 컨테이너는, 토너의 저류 공간이 되는 컨테이너 본체와, 컨테이너 본체의 저벽의 적소에 설치되는 토너 배출구와, 이 토너 배출구를 향해 토너를 반송하는 반송 스크류와, 컨테이너 본체 내부의 토너를 교반하는 교반 패들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반송 스크류의 스파이럴이, 반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과 외측의 이중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도 알려져 있다.
토너 컨테이너에 있어서 중요한 점의 하나는, 컨테이너 본체 내에 토너를 잔존시키지 않고, 토너를 토너 배출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토너 컨테이너의 형상은, 토너의 배출성만이 고려되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설계에 의거하여 결정된다. 이 때문에, 컨테이너의 형상에 따라서는, 토너가 토너 배출구의 근방에서 눌려 굳어져 버려, 토너의 배출이 저해된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본 개시는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용기 본체 내에 저류된 토너를 가능한 한 잔존시키지 않고 배출시킬 수 있는 현상제 수용 용기, 및 이것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한 국면에 따른 현상제 수용 용기는, 용기 본체와, 통형상부와, 회전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용기 본체는 저벽을 가지며, 현상제를 수용한다. 상기 통형상부는, 상기 저벽에 연속하여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돌출 설치되며, 현상제 배출구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상기 통형상부에 걸쳐 가설되며, 상기 용기 본체 내의 상기 현상제를 반송하고, 회전축과, 제1 반송 부재와, 제2 반송 부재와, 분산 부재를 갖는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저벽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위치하는 제1 부분과, 상기 통형상부 내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반송 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상기 제2 부분의 둘레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함과 더불어, 상기 통형상부측으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측으로 향하는 제1 반송 방향으로 상기 현상제를 반송한다. 상기 제2 반송 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상기 제1 부분의 둘레면 상에서 상기 제1 반송 부재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함과 더불어, 상기 용기 본체측으로부터 상기 통형상부측으로 향하는 제2 반송 방향으로 상기 현상제를 반송한다. 상기 분산 부재는,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에 걸쳐 연장되며, 상기 현상제를 반경 방향으로 분산시킨다.
본 개시의 한 국면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둘레면에 현상제 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와, 상기 상 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현상 장치에 현상제를 보급하는, 상술한 본 개시의 한 국면에 따른 현상제 수용 용기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다른 국면에 따른 현상제 수용 용기는, 용기 본체와, 통형상부와, 회전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용기 본체는 저벽을 가지며, 현상제를 수용한다. 상기 통형상부는, 상기 저벽에 연속하여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돌출 설치되며, 현상제 배출구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상기 통형상부에 걸쳐 가설되며, 상기 용기 본체 내의 상기 현상제를 반송하고, 회전축과, 제1 반송 부재와, 제2 반송 부재를 갖는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저벽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반송 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둘레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함과 더불어, 상기 통형상부측으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측으로 향하는 제1 반송 방향으로 상기 현상제를 반송한다. 상기 제2 반송 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둘레면 상에서 상기 제1 반송 부재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함과 더불어, 상기 용기 본체측으로부터 상기 통형상부측으로 향하는 제2 반송 방향으로 상기 현상제를 반송한다. 상기 통형상부는, 상기 제2 반송 부재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돌출된 부분의 회전 궤적에 대응한 단면 원형상의 내벽면을 갖고 있다.
본 개시의 다른 국면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둘레면에 현상제 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와, 상기 상 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현상 장치에 현상제를 보급하는, 상술한 본 개시의 다른 국면에 따른 현상제 수용 용기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로부터 돌출 설치되며 현상제 배출구를 갖는 통형상부를 구비한 현상제 수용 용기에 있어서, 통형상부에서 현상제가 응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 내에 저류된 현상제를 가능한 한 잔존시키지 않고 배출시킬 수 있는 현상제 수용 용기, 및 이것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현상 장치 및 토너 컨테이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현상 장치 및 토너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현상 장치 단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현상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토너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과 시선 방향을 180도 바꾼, 토너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토너 컨테이너의 측면도이다.
도 9는, 토너 컨테이너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토너 컨테이너 내에 배치되는 회전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회전 부재의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변형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회전 부재에 의한 토너의 반송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토너 컨테이너의 모식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상태로부터 회전 부재가 90도 회전한 상태의, 토너 컨테이너의 모식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회전 부재에 의한 토너의 반송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토너 컨테이너의 모식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스파이럴의 바람직한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토너 컨테이너의 모식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7은, 통형상부로부터 컨테이너 본체로의 토너의 복귀 상태를 평가한 그래프이다.
도 18은, 다른 변형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 부재를 구비한 토너 컨테이너의 모식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9는, 필름 부재의 변형 실시 형태를 도시한, 토너 컨테이너의 모식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0은, 토너 센서를 구비한 변형 실시 형태를 도시한, 토너 컨테이너의 모식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1은, 토너 센서를 구비한 다른 변형 실시 형태를 도시한, 토너 컨테이너의 모식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8 및 도 19의 토너 센서의 감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3은, 토너 컨테이너가 경사져 현상 장치에 부착되는 변형 실시 형태를 도시한, 토너 컨테이너의 모식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4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토너 컨테이너의 측단면도이다.
도 25는, 토너 컨테이너 내에 배치되는 회전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회전 부재의 측면도로서, 일부 단면도를 수반한 도면이다.
도 27은, 회전 부재에 의한 토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토너 컨테이너의 모식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8은, 회전 부재에 의한 토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토너 컨테이너 및 현상 장치의 모식적인 수평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9는, 회전 부재의 바람직한 예를 도시한, 회전 부재의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로서 흑백 프린터를 예시하지만, 화상 형성 장치는,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혹은, 이들의 기능을 구비하는 복합기여도 되며, 또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여도 된다.
화상 형성 장치(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 구조를 갖는 본체 하우징(10)과, 이 본체 하우징(10) 내에 수용되는 급지부(20), 화상 형성부(30), 정착부(40) 및 토너 컨테이너(50)(현상제 수용 용기)를 포함한다.
본체 하우징(10)의 전면측(도 1의 우측)에는 전부 커버(11)가, 후면측에는 후부 커버(12)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유저는, 전부 커버(11)를 개방함으로써, 토너(현상제)가 중단되었을 때에 토너 컨테이너(50)를 본체 하우징(10)의 전면측으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후부 커버(12)는, 잼 처리나 유지 보수 시에 개방되는 커버이다. 화상 형성부(30) 및 정착부(40)의 각 유닛은, 후부 커버(12)가 개방됨으로써, 본체 하우징(10)의 후면측으로부터 취출 가능해진다. 또, 본체 하우징(10)의 상면에는, 화상 형성 후의 시트가 배출되는 배지부(13)가 구비되어 있다.
급지부(20)는, 화상 형성 처리가 실시되는 시트를 수용하는 급지 카세트(21)를 포함한다. 이 급지 카세트(21)는, 그 일부가 본체 하우징(10)의 전면으로부터 더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급지 카세트(21)에는, 상기 시트의 뭉치가 수용되는 시트 수용 공간, 상기 시트의 뭉치를 급지하기 위해 리프트 업하는 리프트 판 등이 구비되어 있다. 급지 카세트(21)의 후단측의 상부에는 시트 인출부(21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시트 인출부(21A)에는, 급지 카세트(21) 내의 시트 뭉치의 최상층의 시트를 1장씩 내보내기 위한 픽업 롤러(도시 생략)가 배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부(30)는, 급지부(20)로부터 송출되는 시트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처리를 행한다. 화상 형성부(30)는, 감광체 드럼(31)(상 담지체)과, 이 감광체 드럼(31)의 주위에 배치된, 대전 장치(32), 노광 장치(도 1에는 나타나 있지 않다), 현상 장치(33), 전사 롤러(34) 및 클리닝 장치(35)를 포함한다.
감광체 드럼(31)은, 그 축 둘레로 회전하고, 그 둘레면에 정전 잠상 및 토너상(현상제 상)이 형성된다. 감광체 드럼(31)으로서는, 비정질 실리콘(a-Si)계 재료를 이용한 감광체 드럼 등이 이용된다. 대전 장치(32)는, 감광체 드럼(31)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것이며, 감광체 드럼(31)에 접촉하는 대전 롤러를 포함한다. 노광 장치는, 레이저 광원과 미러나 렌즈 등의 광학계 기기를 가지며, 감광체 드럼(31)의 둘레면에,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부여되는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변조된 광을 조사하여,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현상 장치(33)는, 감광체 드럼(31) 상의 상기 정전 잠상을 현상하여 토너상을 형성하기 위해, 감광체 드럼(31)의 둘레면에 토너를 공급한다. 현상 장치(33)는, 감광체 드럼(31)에 공급하는 토너를 담지하는 현상 롤러(331)와, 현상 하우징(60)(도 2~도 5 참조)의 내부에서 현상제를 교반하면서 순환 반송하는 제1 반송 스크류(332) 및 제2 반송 스크류(333)를 포함한다. 이 현상 장치(33)에 대해서는, 뒤에 상술한다.
전사 롤러(34)는, 감광체 드럼(31)의 둘레면에 형성된 토너상을 시트 상에 전사시키기 위한 롤러이며, 감광체 드럼(31)과 전사 닙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전사 롤러(34)에는, 토너와 역극성의 전사 바이어스가 부여된다. 클리닝 장치(35)는, 클리닝 롤러 등을 가지며, 토너상 전사 후의 감광체 드럼(31)의 둘레면을 청소한다.
정착부(40)는, 전사된 토너상을 시트 상에 정착하는 정착 처리를 행한다. 정착부(40)는, 가열원을 내부에 구비한 정착 롤러(41)와, 이 정착 롤러(41)에 대해 압접되고, 정착 롤러(41)와의 사이에 정착 닙부를 형성하는 가압 롤러(42)를 포함한다. 토너상이 전사된 시트가 상기 정착 닙부에 통지(通紙)되면, 토너상은, 정착 롤러(41)에 의한 가열 및 가압 롤러(42)에 의한 가압에 의해, 시트 상에 정착된다.
토너 컨테이너(50)는, 현상 장치(33)에 보급하는 토너를 저류한다. 토너 컨테이너(50)는, 토너의 주된 저류 개소가 되는 컨테이너 본체(51)(용기 본체)와, 컨테이너 본체(51)의 일측면(도 1에서는 후면)의 하부로부터 돌출 설치된 통형상부(52)와, 컨테이너 본체(51)의 다른 측면을 덮는 덮개 부재(53)와, 컨테이너 내부에 수용되어 토너를 반송하는 회전 부재(54)를 포함한다. 토너 컨테이너(50) 내에 저류된 토너는, 회전 부재(54)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통형상부(52)의 선단 하면에 설치된 토너 배출구(521)로부터 현상 장치(33) 내에 공급된다. 이 토너 컨테이너(50)에 대해서는, 도 6 이후를 참조하여 뒤에 상술한다.
본체 하우징(10) 내에는, 시트를 반송하기 위해, 주반송로(22F) 및 반전 반송로(22B)가 구비되어 있다. 주반송로(22F)는, 급지부(20)의 시트 인출부(21A)로부터 화상 형성부(30) 및 정착부(40)를 경유하여, 본체 하우징(10) 상면의 배지부(13)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는 배지구(14)까지 연장되어 있다. 반전 반송로(22B)는, 편면 인쇄된 시트를 주반송로(22F)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부(30)의 상류측으로 되돌려 보내기 위한 반송로이며, 시트에 대해 양면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주반송로(22F)의, 감광체 드럼(31)과 전사 롤러(34)의 전사 닙부보다 상류측에는, 레지스트 롤러쌍(23)이 배치되어 있다. 시트는, 레지스트 롤러쌍(23)으로 일단 정지되고, 스큐 교정이 행해진 후, 화상 전사를 위한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전사 닙부에 송출된다. 주반송로(22F) 및 반전 반송로(22B)의 적소에는, 시트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롤러가 복수 배치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배지구(14)의 근방에는 배지 롤러쌍(24)이 배치되어 있다.
반전 반송로(22B)는, 반전 유닛(25)의 외측면과, 본체 하우징(10)의 후부 커버(12)의 내면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전 유닛(25)의 내측면에는 전사 롤러(34) 및 레지스트 롤러쌍(23)의 한쪽의 롤러가 탑재되어 있다. 후부 커버(12) 및 반전 유닛(25)은, 그들의 하단에 설치된 지점부(121)의 축 둘레로 각각 회동 가능하다. 반전 반송로(22B)에서 시트 잼이 발생한 경우, 후부 커버(12)가 개방된다. 주반송로(22F)에서 시트 잼이 발생한 경우, 혹은 감광체 드럼(31)의 유닛이나 현상 장치(33)가 외부로 취출되는 경우에는, 후부 커버(12)에 더하여 반전 유닛(25)도 개방된다.
이어서, 도 2~도 7을 참조하여, 현상 장치(33) 및 토너 컨테이너(50)의 구조, 및 이들의 배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현상 장치(33)와 토너 컨테이너(50)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그 사시도, 도 4는, 현상 장치(33) 단체의 사시도, 도 5는, 현상 장치(33)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토너 컨테이너 단체의 사시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현상 장치(33)는, 일 방향(현상 롤러(331)의 축 방향)으로 장척의 박스형 형상을 갖는 현상 하우징(60)을 구비한다. 현상 하우징(60)은,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개구부로부터 현상 롤러(331)의 둘레면의 일부가 드러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현상 하우징(60)은, 그 길이 방향이 본체 하우징(10)의 좌우 방향(제1 방향)과 일치하도록, 본체 하우징(10)에 장착되어 있다.
현상 하우징(60)의 좌단 부근의 천판(60T)에는, 토너 컨테이너(50)로부터 공급되는 토너를 당해 하우징 내에 수용하기 위한 토너 보급구(60H)가 천공되어 있다. 이 토너 보급구(60H)와, 토너 컨테이너(50)의 토너 배출구(521)가 상하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현상 장치(33)와 토너 컨테이너(50)가 장착된다. 토너 컨테이너(50)는, 도 2에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하우징(6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전후 방향/제2 방향)에 있어서, 현상 장치(33)에 대해 착탈된다. 토너 컨테이너(50)는 상면에서 볼 때 일 방향으로 긴 하우징 형상을 구비하므로, 현상 장치(33)에 토너 컨테이너(50)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는, 상면에서 볼 때 대략 L자형의 구조체를 형성한다(도 2 참조).
천판(60T)의 상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현상 셔터판(61)이 배치되어 있다. 현상 셔터판(61)은, 탄성 가압 스프링(62)으로 상시 좌측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다. 탄성 가압 스프링(62)은 코일 스프링으로서, 현상 셔터판(61)의 우단 가장자리와, 그 현상 셔터판(61)에 인접하는 리브에 각각 설치된 스프링 시트(621, 622)에 각 단부가 부착되어 있다. 도 4에서는 토너 보급구(60H)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토너 컨테이너(50)가 미장착인 상태에서는, 현상 셔터판(61)은 탄성 가압 스프링(62)에 탄성 가압되어 좌측에 위치하여, 토너 보급구(60H)를 막는다.
토너 컨테이너(50)의 통형상부(52)의 선단 가장자리(타단부(524)) 하부에는, 가압판(522)이 부착되어 있다. 또, 통형상부(52)의 선단면에는, 회전 부재(54)에 회전 구동력을 입력하기 위한 컨테이너 기어(54G)가 노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현상 하우징(60)의 토너 보급구(60H)의 좌측 안쪽에는, 입력 기어(631)와 커플링(632)을 구비하는 기어 홀더(63)가 배치되어 있다. 커플링(632)은, 본체 하우징(10)에 구비된 도시 생략의 모터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이 부여된다. 입력 기어(631)는, 토너 컨테이너(50)가 현상 장치(33)에 장착된 상태로 컨테이너 기어(54G)와 맞물려, 상기 회전 구동력을 컨테이너 기어(54G)에 전달한다.
토너 컨테이너(50)가 현상 장치(33)에 장착될 때, 토너 보급구(60H)에 대해 토너 컨테이너(50)의 통형상부(52)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진입한다. 이 때, 토너 컨테이너(50)의 가압판(522)이, 토너 보급구(60H)를 막고 있는 상태의 현상 셔터판(61)과 간섭하여, 당해 현상 셔터판(61)을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현상 셔터판(61)의 상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는 사행 라인형 돌기(623)와 가압판(522)이 간섭하여, 탄성 가압 스프링(62)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현상 셔터판(61)이 우측으로 눌려 찌부러진다. 토너 컨테이너(50)의 통형상부(52)가 소정 위치까지 진입하면, 토너 보급구(60H)는 완전히 개방됨과 더불어, 입력 기어(631)에 컨테이너 기어(54G)가 맞물리게 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하우징(60)은 내부 공간(600)을 구비한다. 이성분 현상 방식의 경우, 이 내부 공간(600)에는, 토너와 캐리어로 이루어지는 현상제가 충전된다. 캐리어는, 내부 공간(600)에서 토너와 교반 혼합되어 토너를 대전시킴과 더불어, 토너를 현상 롤러(331)까지 반송한다. 토너는, 순차적으로 현상 롤러(331)에 공급되어 소비되고, 그 소비분은 토너 컨테이너(50)로부터 적절히 공급된다.
현상 하우징(60)의 내부 공간(600)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칸막이판(601)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장척의 제1 통로(602)와 제2 통로(603)로 구획되어 있다. 칸막이판(601)은, 현상 하우징(60)의 좌우 방향 폭보다 짧고, 칸막이판(601)의 우단 및 좌단에는, 제1 통로(602)와 제2 통로(603)를 각각 연통시키는 제1 연통부(604) 및 제2 연통부(605)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현상 하우징(60)의 내부에는, 제1 통로(602), 제1 연통부(604), 제2 통로(603) 및 제2 연통부(605)에 의해 구성되는 순환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토너 보급구(60H)는, 제1 통로(602)의 좌단 부근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통로(602)에는 제1 반송 스크류(332)가 수용되고, 제2 통로(603)에는 제2 반송 스크류(333)가 수용되어 있다. 제1, 제2 반송 스크류(332, 333)는, 각각 샤프트와, 이 샤프트의 둘레 상에 스파이럴형상으로 돌출 설치된 날개 부재를 포함한다. 제1 반송 스크류(332)는, 샤프트 둘레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도 5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현상제를 반송한다. 한편, 제2 반송 스크류(333)는, 샤프트 둘레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화살표 b 방향으로 현상제를 반송한다.
제1, 제2 반송 스크류(332, 333)가 회전 구동됨으로서, 상술한 순환 경로를 따라 현상제가 순환 반송된다. 토너 보급구(60H)로부터 새롭게 보급된 토너에 대해 설명하면, 당해 토너는 제1 통로(602)에 낙하되어 기존의 현상제와 혼합되고, 제1 반송 스크류(332)에 의해 화살표 a 방향으로 반송된다. 이 때, 토너는 캐리어와 교반되어, 대전된다. 다음에 토너는, 제1 통로(602)의 하류단으로부터 제1 연통부(604)를 거쳐 제2 통로(603)에 들어가고, 제2 반송 스크류(333)에 의해 화살표 b 방향으로 반송된다. 이 반송 시에, 토너는 동일하게 대전되는 한편, 일부가 현상 롤러(331)의 둘레면에 공급된다. 그리고, 잔부의 토너와 캐리어는, 제2 연통부(605)를 거쳐, 제1 통로(602)의 상류단으로 되돌려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성분 현상 방식의 현상 장치를 설명하고 있지만, 일성분 현상 방식 등의 다른 현상 방식이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
이어서, 도 6~도 11을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토너 컨테이너(50)의 상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토너 컨테이너(50)를 통형상부(52)측(도 1에서는 후방측)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시선 방향을 180도 바꾸어 덮개 부재(53)측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토너 컨테이너(50)의 측면도, 도 9는 그 측단면도, 도 10은, 토너 컨테이너(50) 내에 배치되는 회전 부재(54)의 사시도, 도 11은, 회전 부재의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토너 컨테이너(50)는, 컨테이너 본체(51), 통형상부(52), 덮개 부재(53)(제4 측벽) 및 회전 부재(54)를 포함한다. 컨테이너 본체(51)는, 토너를 저류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단면 반원형상의 저벽(511)과, 그 저벽(511)의 일단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측벽(512)과, 상기 저벽(511)의 타단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벽(512)과 대향하는 제2 측벽(513)과, 통형상부(52)측의 끝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제1 측벽(512) 및 제2 측벽(513)을 연결하는 제3 측벽(514)과, 제1 측벽(512) 및 제2 측벽(513)의 상단 가장자리들을 연결하는 천정 벽(515)과, 덮개 부재(53)와 대향하는 측의 끝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1 플랜지부(51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컨테이너 본체(51)의 제1 플랜지부(516)측은, 측부 개구면으로 되어 있다.
컨테이너 본체(51)는, 저벽(511)으로부터 상측으로 향함에 따라, 제1 측벽(512)과 제2 측벽(513)의 간격이 넓어지는 세로로 긴 외관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측벽(512) 및 제2 측벽(513)은 평판형상의 부재이며, 이들 제1 측벽(512) 및 제2 측벽(513)은 단면에서 볼 때 직선형상의 내면을 구비하고 있다.
제3 측벽(514)의 상부에는, 토너를 컨테이너 본체(51) 내에 충전하기 위한 개구를 막는 캡(517)이 부착되어 있다. 제2 측벽(513)에는, 당해 토너 컨테이너(50)의 관리 정보가 기록된 무선 태그(518)가 부착되어 있다. 또, 제1 측벽(512) 및 제2 측벽(513)의 상단부 부근에는, 저벽(511)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평행한 한 쌍의 홈부(519)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519)는, 토너 컨테이너(50)가 본체 하우징(10)에 장착될 때에, 본체 하우징(10)측의 도시 생략의 가이드 부재로 가이드되는 부분이다.
통형상부(52)는, 제3 측벽(514)으로부터, 저벽(511)에 연속하여 돌출 설치된 원통형상의 부분이다. 통형상부(52)의 일단부(523)는, 제3 측벽(514)의 하단부에 연접되고, 컨테이너 본체(51)의 내부 공간과 통형상부(52)의 내부 공간은 연통되어 있다. 통형상부(52)의 타단부(524)는 통형상부(52)의 돌출단으로서, 컨테이너 기어(54G)는 타단부(524)로부터 더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통형상부(52)의 저부(525)는, 컨테이너 본체(51)의 저벽(511)에 단차가 없는 상태로 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단면 반원형상의 부분이, 제1 플랜지부(516)로부터 타단부(524)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통형상부(52)는, 회전축(541)의 반경 방향의 단면 형상이 원형인 내벽면을 구비하고, 그 일단부(523)로부터 타단부(524)를 향해, 약간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형상부(52)에는 토너 배출구(521)가 설치되고, 당해 통형상부(52)가 현상 장치(33)에 장착된다. 또한, 토너 배출구(521)는, 통형상부(52)의 저부(525)(하면)에 배치된 낙하구이다. 상기 장착 시에 현상 하우징(60)의 일부와 걸어 맞춰지는 걸어 맞춤부(526)가 저부(525)에 배치되어 있다. 컨테이너 본체(51) 내에 저류되어 있는 토너는, 후술하는 회전 부재(54)의 회전 구동에 의해 통형상부(52)에 송출되어, 토너 배출구(521)로부터 배출된다. 또, 통형상부(52)는, 회전 부재(54)(제2 반송 부재(56))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돌출된 부분의 회전 궤적에 대응한 단면 원형상의 내벽면을 구비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배출구(521)는, 저부(525)의, 타단부(524)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토너 배출구(521)의 하면에는, 통형상부(52)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셔터판(527)이 부착되어 있다. 셔터판(527)은, 도시 생략의 탄성 가압 부재에 의해 상시 토너 배출구(521)를 막도록, 타단부(524)의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다. 한편, 통형상부(52)가 현상 장치(33)에 장착될 때, 셔터판(527)은 현상 하우징(60)의 일부와 간섭하여, 일단부(523)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도 9는, 셔터판(527)이 후퇴하여 토너 배출구(521)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셔터판(527)과 상술한 걸어 맞춤부(526)는 일체의 부재이다.
덮개 부재(53)는, 컨테이너 본체(51)의 측부 개구면을 덮는 것이며, 오목형상을 구비한 덮개 본체부(531)와, 덮개 본체부(531)의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제1 플랜지부(516)와 맞대어지는 제2 플랜지부(532)를 구비한다. 덮개 본체부(531)는,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볼록해지도록 경사진 경사면과, 그 경사면의 상단에 연속되는 수직면을 구비한다. 덮개 본체부(531)의 상기 수직면은, 제2 플랜지부(532)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있으며, 유저는 당해 부분을 뜯어내어, 토너 컨테이너(50)의 본체 하우징(10)에 대한 착탈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덮개 본체부(531)의 내면 하단에는, 후술하는 회전 부재(54)의 회전축의 제1 단부(54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지지부(533)가 설치되어 있다. 축 지지부(533)에 제1 단부(542)가 삽입된 상태로, 제2 플랜지부(532)는 제1 플랜지부(516)에 용착(溶着)된다.
회전 부재(54)는, 컨테이너 본체(51)의 저벽(511)으로부터 통형상부(52) 상에 걸쳐 배치되며, 축 둘레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토너를 반송하는 부재이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부재(54)는, 회전축(541)과, 이 회전축(541)과 일체 회전하는 제1 반송 부재(55), 제2 반송 부재(56) 및 한 쌍의 분산 부재(57)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축(541)은, 저벽(511)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그 양단에 제1 단부(542) 및 제2 단부(54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단부(542)는, 덮개 부재(53)의 축 지지부(533)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단부(543)에는, 통형상 유지편(544)(유지편)이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 통형상 유지편(544)에, 컨테이너 기어(54G)의 몸체부(545)가 끼워 넣어짐으로써, 컨테이너 기어(54G)와 회전축(541)이 일체화되어 있다. 몸체부(545)는, 통형상부(52)의 타단부(524)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통형상 유지편(544)에는, 토너 배출구(521)(낙하구)에 토너를 송출하는 가요성의 필름 부재(546)(가요성 가압 부재)가 부착되어 있다. 필름 부재(546)는, 직사각형 형상의 얇은 PET 필름이며, 회전축(541)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통형상 유지편(544)의 둘레면에 부착되어 있다. 필름 부재(546)는, 회전축(541)의 회전 시에 주회하여, 통형상부(52)의 타단부(524) 부근에 존재하는 토너를 유동화시켜, 토너 배출구(521)에 송출한다.
제1 반송 부재(55)는, 회전축(541)과 일체로, 회전축(541)의 둘레면에 스파이럴형상으로 돌출 설치된 반송 부재이다. 제2 반송 부재(56)는, 회전축(541)의 외주에, 회전축(541) 및 제1 반송 부재(55)와의 사이에 갭을 두고 배치된 중공의 스파이럴형상 반송 부재이다. 요컨대, 제2 반송 부재(56)는, 회전축(541)의 둘레면 상에서, 제1 반송 부재(55)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분산 부재(57)는, 회전축(541)과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갖고 또한 회전축(541)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봉형상의 부재로서, 제2 반송 부재(56)의 측부를 각각 연결하는 부재이다. 하나의 분산 부재(57)와 다른 분산 부재(57)는, 회전축(541)의 둘레 방향으로 180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제2 반송 부재(56)는 복수의 반원형의 아치형상 반송편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분산 부재(57)에 의해 이들 아치형상 반송편이 일체화되고, 그 결과로서, 축심 부근에 중공부를 구비한 스파이럴형상의 제2 반송 부재(5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반송 부재(56)의 중공부의 내경은, 제1 반송 부재(55)의 스파이럴의 외경보다 크다. 그리고, 상기 중공부 중에, 제1 반송 부재(55)를 둘레면에 구비한 회전축(541)이 동심형상으로 삽입 통과된 양태가, 본 실시 형태의 회전 부재(54)의 구성이다. 또한, 제1 반송 부재(55)의 스파이럴 방향과, 제2 반송 부재(56)의 스파이럴 방향은 역방향이다.
제2 반송 부재(56)의 제2 단부(543)측(통형상부(52)측의 단부)에는, 반원형의 아치형상 반송편으로 이루어지는 스파이럴편(56R)이 부착되어 있다. 이 스파이럴편(56R)은, 제2 반송 부재(56)의 아치형상 반송편과 대략 동일한 사이즈이다. 그러나, 제2 반송 부재(56)의 아치형상 반송편과는 스파이럴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스파이럴편(56R)은, 한 쌍의 분산 부재(57) 사이에 부착되어 있다.
한 쌍의 분산 부재(57)는, 그 단부(571)에 있어서 연결 피스(57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 피스(572)는, 그 중앙부에 있어서, 회전축(541)의 제1 단부(542) 부근에 고착되어 있다. 도 10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제2 단부(543)측에도 동일한 연결 피스가 배치되어 있다. 즉, 회전축(541)과, 제2 반송 부재(56) 및 분산 부재(57)는 연결 피스(572)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으며, 회전축(541)이 회전하면, 제2 반송 부재(56) 및 분산 부재(57)도 일체 회전한다.
회전 부재(54)(회전축(541))는, 컨테이너 본체(51)로부터 통형상부(52)에 걸쳐 가설되어 있으며, 도 10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 본체(51) 내에 위치하는 제1 부분(54A)과, 통형상부(52) 내에 위치하는 제2 부분(54B)을 포함한다. 제1 반송 부재(55)는, 회전축(541)의 축 방향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회전축(541)의 제1 부분(54A) 및 제2 부분(54B)의 양쪽에 상당하는 부분의 둘레면 상에, 제1 반송 부재(55)는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 반송 부재(56)는, 제1 부분(54A)에 상당하는 영역에만 배치되어 있다. 스파이럴편(56R)은, 제1 부분(54A)에 있어서의 제2 부분(54B)과의 경계부 근방에, 제2 반송 부재(56)의 단부에 연접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분산 부재(57)는, 제1 부분(54A) 및 제2 부분(54B)의 양쪽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회전 부재(54)의 바람직한 예에 대해, 도 1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회전 부재(54)의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는, 분산 부재(57)의 두께와, 제1 반송 부재의 스파이럴의 최외주와 분산 부재(57)의 반경 방향 내면의 거리의 관계에 관해,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분산 부재(57)가, 회전축(541)의 반경 방향으로 두께 D1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한편, 제1 반송 부재(55)의 스파이럴의 최외주부(55A)와 분산 부재(57)의 반경 방향 내면(57A) 사이를 거리 D2로 한다.
이 경우, 거리 D2를, 두께 D1보다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D1<D2). 거리 D2를 두께 D1보다 크게 함으로써, 제1 반송 부재(55)의 스파이럴의 최외주부(55A)와 분산 부재의 반경 방향 내면(57A)의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1 반송 부재(55)에 의한 토너의 반송 영역이, 제2 반송 부재(56)의 스파이럴의 중공부 내에 충분히 확보된다. 따라서, 제1 반송 부재(55)는, 상기 중공부 내의 토너를 반송하기 쉬워진다.
컨테이너 기어(54G)에, 회전축(541)을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력이 부여되면, 제1 반송 부재(55) 및 제2 반송 부재(56)에는, 각각의 스파이럴 방향을 따른 토너의 반송력이 발생한다. 제2 반송 부재(56)는, 컨테이너 본체(51)측으로부터 통형상부(52)(토너 배출구(521))측으로 향하는 방향(이하, 제2 반송 방향)으로, 토너를 반송한다. 요컨대, 회전축(541)의 제1 단부(542)측으로부터 제2 단부(543)측을 향해 토너를 반송한다. 이에 반해, 제1 반송 부재(55)는, 토너를 통형상부(52)측으로부터 컨테이너 본체(51)측으로 되돌려 보내는 방향(이하, 제1 반송 방향)으로, 토너를 반송한다. 요컨대, 회전축(541)의 제2 단부(543)측으로부터 제1 단부(542)측을 향해 토너를 반송한다.
한편, 분산 부재(57)는, 제1 반송 부재(55) 및 제2 반송 부재(56)에 의해 반송되는 토너를, 회전축(541)의 반경 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분산 부재(57)는, 제1 반송 부재(55) 또는 제2 반송 부재(56)의 스파이럴에 의해 추진력이 부여된 토너의 주위에 존재하는 토너를, 반경 방향으로 분산시킨다. 이에 의해, 토너의 상기 제1 반송 방향 또는 제2 반송 방향으로의 이동이 촉진된다.
스파이럴편(56R)은, 제2 반송 부재(56)의 스파이럴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토너를 제1 반송 방향으로 반송한다. 스파이럴편(56R)은, 컨테이너 본체(51)와 통형상부(52)의 경계부 부근에 있어서, 토너를 통형상부(52)로부터 컨테이너 본체로 적극적으로 되돌려 보내는 반송력을 발생시키는 것에 있다.
또한, 스파이럴편(56R)이 존재하지 않는 회전 부재를 이용해도 된다. 도 12는, 변형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 부재(54M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회전 부재(54M1)에서는, 도 10에 있어서 스파이럴편(56R)이 존재하는 위치까지, 제2 반송 부재(56)의 스파이럴을 형성하는 아치형상 반송편(560)이 배치되어 있다. 요컨대 회전 부재(54M1)는, 제1 부분(54A)의 전역에 걸쳐, 제2 반송 부재(56)의 스파이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제1 반송 부재(55) 및 제2 반송 부재(56)에 의한 토너의 반송 작용은, 도 10의 회전 부재(54)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회전 부재(54)(54M1)는, 반경 방향 내측(제1 반송 부재(55))과 외측(제2 반송 부재(56))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토너를 반송하는 능력을 갖는다. 우선, 도 12에 나타낸 회전 부재(54M1)에 의한 토너 반송 동작을, 도 13, 도 1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회전 부재(54M1)에 의한 토너의 반송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토너 컨테이너(50A)의 모식적인 측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상태로부터 회전 부재(54M1)가 90도 회전한 상태의, 토너 컨테이너(50A)의 모식적인 측단면도이다.
제2 반송 부재(56)는, 회전 구동됨으로써, 토너에 제2 반송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을 부여한다. 제2 반송 부재(56)에 의해 통형상부(52)로 향해지는 토너는, 도면 중에 화살표 C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오로지 회전 부재의 외주부 부근을 이동한다. 통형상부(52) 내에는 제2 반송 부재(56)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회전축(541)의 반경 방향에서 볼 때 제2 반송 부재(56)와 거의 동일한 주회 궤도 상에 존재하는 분산 부재(57)가 통형상부(52)의 내주벽에 가까운 부분의 토너를 유동시키므로, 토너의 제2 반송 방향으로의 추진력은 유지된다. 따라서 토너는, 통형상부(52) 내에서도, 그 내주벽에 가까운 부분에 있어서, 화살표 C1로 나타낸 바와 같이 타단부(524)를 향해 이동한다.
제2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는 토너는, 이윽고 통형상부(52)의 타단부(524)에 도달한다. 도달한 토너의 일부는, 필름 부재(546)로 가압되는 형태로, 토너 배출구(521)로부터 현상 하우징(60) 내에 낙하된다.
한편, 토너 배출구(521)로부터 배출되지 않은 토너는, 제1 반송 부재(55)의 구동에 의해, 도면 중에 화살표 C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오로지 통형상부(52)의 중심축에 가까운 부분에 있어서, 제1 반송 방향으로 역반송된다. 역반송되는 토너는, 이윽고 통형상부(52)와 컨테이너 본체(51)의 경계를 통과하여, 분산 부재(57)에 의한 반경 방향(중심축으로 향하는 방향)으로의 분산 효과도 더해져서, 컨테이너 본체(51)로 되돌려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토너 컨테이너(50)(50A)에 있어서는, 제2 반송 부재(56)에 의해 통형상부(52)에 송출된 토너가, 제1 반송 부재(55)에 의해 컨테이너 본체(51)로 되돌려지는 순환 반송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통형상부(52)에 선단에 토너 배출구(521)가 설치된 구조의 토너 컨테이너(50)여도, 토너 배출구(521)의 근방에서 토너가 응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통형상부(52)는, 제2 반송 부재(56)의 스파이럴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는 정도의 통형상 내부 공간을 구비한다. 이러한 통형상부(52)를 갖는 토너 컨테이너(50)에 있어서, 회전 부재(54)에, 제2 반송 방향으로 토너를 반송하는 기능만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토너의 이송량에 대해 배출량이 적으면, 이윽고 토너는 갈 곳을 잃어 통형상부(52) 내에서 눌려 굳어져, 결국에는 응집화된다. 그렇게 되면, 토너 배출구(521)가 토너의 응집체로 막혀, 토너를 배출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의 토너 컨테이너(50)에서는, 제1 반송 부재(55)가 통형상부(52) 내에 배치되며, 토너를 제1 반송 방향으로 역방향 이송하는 반송 기능을 구비하므로, 토너가 눌려 굳어지는 일은 없다. 즉, 통형상부(52)에 있어서는, 반경 방향 외측에는 토너가 빠져나갈 곳이 없으므로, 토너는 통형상부(52)의 축심 방향으로 향하려고 한다. 그 축심 부분에는 제1 반송 부재(55)가 배치되어, 토너를 제1 반송 방향으로 반송한다. 따라서, 토너가 응집화되기 전에, 토너를 통형상부(52)로부터 컨테이너 본체(51)로 효율적으로 되돌려 보낼 수 있다.
상기의 순환 반송 기능은, 도 10에 나타낸 스파이럴편(56R)을 구비한 회전 부재(54)를 이용한 경우, 보다 촉진된다. 도 15는, 도 10의 회전 부재(54)에 의한 토너의 반송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토너 컨테이너(50)의 모식적인 측단면도이다. 제1 반송 부재(55) 및 제2 반송 부재(56)에 의한 토너의 반송 동작은, 도 13 및 도 14에 의거하여 설명한 동작과 동일하다.
통형상부(52) 내의 토너는, 회전축(541)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빠져나갈 곳이 제한되어 있다. 통형상부(52)와 컨테이너 본체(51)의 경계부 부근의 토너에 대해서도, 컨테이너 본체(51) 내의 토너에 비하면 토너가 빠져나갈 곳이 적다. 이러한 경계부 부근에 있어서, 스파이럴편(56R)은, 토너를 통형상부(52)로부터 컨테이너 본체(51)로 송출하는, 화살표 C3 방향으로의 가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화살표 C3 방향으로 되돌려진 토너는, 분산 부재(57)의 구동에 의해, 화살표 C4 방향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부재(54)의 반경 방향으로 분산된다. 따라서, 경계부 부근에 있어서, 제2 반송 부재(56)에 의해 제2 반송 방향으로 순방향 반송되는 토너와, 제1 반송 부재(55)에 의해 제1 반송 방향으로 역방향 반송되는 토너의 충돌이 완화되어, 토너의 통형상부(52)로부터 컨테이너 본체(51)로의 복귀를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파이럴편(56R)의 바람직한 배치에 대해 설명한다. 토너를 통형상부(52)로부터 컨테이너 본체(51)로 되돌려 보내는 반송력을 스파이럴편(56R)에 의해 최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스파이럴편(56R)의 경사 각도의 적정화가 긴요해진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부재(54)를 측면에서 볼 때, 제2 반송 부재(56)의 스파이럴(스파이럴편(56R)에 인접하여, 가장 통형상부(52)에 가까운 스파이럴 부분(56F))과, 회전축(541)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분산 부재(57)가 이루는 예각측의 각도를 α, 스파이럴편(56R)과 분산 부재(57)가 이루는 예각측의 각도를 β로 할 때, 다음의 (1)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α>β>0.7α …(1)
상기 (1)식에 있어서, α>β의 관계로 함으로써, 회전 부재(54)의 1회전당 반송할 수 있는 토너량이, 제2 반송 부재(56)의 스파이럴(스파이럴 부분(56F))보다 스파이럴편(56R)이 많아진다. 이것은, 스파이럴편(56R)의 회전축(541)의 축 방향의 피치가, 스파이럴 부분(56F)보다 길어지는 결과에 의한다. 이에 의해, 상기 경계부 부근에 있어서, 제2 반송 방향보다 제1 반송 방향으로의 반송력(현상제의 복귀력)이 커진다. 또한, 상기 (1)식에 있어서, β>0.7α의 관계로 함으로써, 스파이럴편(56R)의 각도가 너무 작아 제1 반송 방향으로의 반송력이 부족해지거나 하는 문제점이 회피된다.
제2 반송 부재(56)의 스파이럴의 경사각 α는, 경사가 너무 완만해도, 너무 급준해도, 적당한 제2 반송 방향으로의 반송을 실현할 수 없다. 바람직한 경사각 α의 범위는, 45도 이상 80도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5도 이상 70도 이하이다. 스파이럴편(56R)의 경사각 β는, 이러한 바람직한 경사각 α에 대해, 상기 (1)식을 만족하도록 설정된다.
이하, 스파이럴편(56R)의 경사각 β의 적정화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다음의 부품을 이용하여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토너 컨테이너(50)를 제작하였다.
통형상부(52) ; 내경=φ17mm, 길이=45mm
컨테이너 본체(51) ; 통형상부(52)와 연통하는 부분의 폭=17mm, 길이=100mm
제1 반송 부재(55) ; 외경=φ9nm, 피치=10mm, 회전축(541)의 외경=5mm
제2 반송 부재(56) ; 최대 외경=φ21mm, 최소 외경=φ16mm, 내경=φ14mm, 피치=20mm이고, 통형상부(52)측으로 향할수록 외경이 작다. 스파이럴의 경사각 α는 62.2도로 설정.
분산 부재 ; 원주 방향의 폭=1mm
스파이럴편(56R) ; 외경=φ18mm, 내경=φ14mm. 경사각 β는, 68.5도, 62.2도, 56.7도, 51.7도, 47.4도, 43.5도 및 40.2도의 7종류를 준비.(또한, 경사각 β는, 피치의 길이에 따라 정해진다.)
상기 토너 컨테이너(50)의 통형상부(52)에 옐로 토너를 4.3그램 충전하는 한편, 컨테이너 본체(51)에 블랙 토너를 100그램 충전하였다. 토너 배출구(521)를 닫은 상태로, 회전 부재(54)를 15분간 회전시켰다. 그 후, 컨테이너 본체(51)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의 상층 개소로부터 일부의 토너를 채취하여, 그 농도(L값)를 맥베스 반사 농도계 RD-19I(맥베스사제)로 측정하였다. 동일한 측정을, 스파이럴편(56R)의 경사각 β를 상기와 같이 다르게 한 7개의 토너 컨테이너(50)에 대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및 도 17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12028081826-pat00001
표 1 및 도 17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스파이럴편(56R)의 경사각 β가 56.7도, 51.7도 및 47.4도, 요컨대 β/α가 0.7~1.0의 범위인 토너 컨테이너에서는 L값이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통형상부(52)에 충전된 옐로 토너가 컨테이너 본체(51)로 되돌려져, 블랙 토너와 혼합된 결과, 밝기가 증가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그 외의 토너 컨테이너에서는 L값이 낮고, 옐로 토너가 컨테이너 본체(51)의 블랙 토너와 그다지 혼합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부터, 상기 (1)식의 범위에서 경사각 β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컨테이너 본체(51)와, 이 컨테이너 본체(51)로부터 돌출 설치되며 토너 배출구(521)를 갖는 통형상부(52)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형상을 갖는 토너 컨테이너(50)에 있어서, 통형상부(52) 내에서 토너가 응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 본체(51) 내에 저류된 토너를 잔존시키지 않고 현상 장치(33)에 공급할 수 있는 토너 컨테이너(5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토너 컨테이너(50) 및 화상 형성 장치(1)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변형 실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1)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현상제 수용 용기의 구체예로서 토너 컨테이너(50)를 예시하였다. 현상제 수용 용기는, 예를 들면 토너 저류부와 현상 롤러 등이 일체화된 현상 유닛이어도, 토너 컨테이너와 현상 장치의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호퍼 등이어도 된다.
(2)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반송 부재(55)가 회전축(541)의 축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었다. 제1 반송 부재(55)는, 적어도 회전축(541)의 제2 부분(54B)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도 18은, 변형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 부재(54M2)를 구비한 토너 컨테이너(50B)의 모식적인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반송 부재(550)는, 토너 컨테이너(50B)의 통형상부(52)에 상당하는 제2 부분(54B)에만, 회전축(541)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2 반송 부재(56)는,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컨테이너 본체(51)에 상당하는 제1 부분(54A)에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회전 부재(54M2)여도, 제1 반송 부재(550)는 토너를 통형상부(52)로부터 컨테이너 본체(51)로 되돌려 보내므로, 통형상부(52) 내에서 토너가 응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3)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부재(54)의 회전축(541)의 단부에, 직사각형 형상의 필름 부재(546)를 부착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이를 대신하여,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사다리꼴 형상의 필름 부재(546A)를 부착한 회전 부재(54M3)를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필름 부재(546A)는, 통형상 유지편(544)에 부착되는 기단부(基端部)(546B)와, 그 기단부(546B)와 반대측의 자유단부(546T)를 구비한다. 자유단부(546T)의 회전축(541)의 축 방향의 길이는, 기단부(546B)보다 길고, 자유단부(546T)의 일부(연장부(546E))가, 회전축(541)의 제2 단부(543) 상에 위치하고 있다.
회전축(541)의 제2 단부(543)의 바로 근처까지, 제1 반송 부재(55) 및 제2 반송 부재(56)의 스파이럴을 형성하는 것은, 실제상으로는 곤란하다. 따라서, 제2 단부(543)의 근방에서는, 토너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부재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토너가 그다지 유동하지 않는 상태로 되기 쉽다. 이 경우, 도 9,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직사각형 형상의 필름 부재(546)를 대신하여, 연장부(546E)를 구비하는 필름 부재(546A)를 채용함으로써, 제2 단부(543)의 근방에서 토너를 보다 유동화시킬 수 있다. 즉, 회전축(541)의 회전에 수반해, 연장부(546E)가 제2 단부(543) 근방의 토너를 교반하여, 토너의 유동을 촉진시킨다. 이것은, 토너 배출구(521)로부터의 토너의 배출, 및 제1 반송 부재(55)에 의한 제1 반송 방향으로의 토너 반송을 원활화시킨다.
(4) 통상, 토너 컨테이너에는, 컨테이너 내의 토너 잔량을 검지하는 토너 센서가 장비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토너 센서의 배치와 회전 부재의 구조의 관계에 있어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도 20A, 도 21은, 토너 센서를 구비한 변형 실시 형태를 도시한, 토너 컨테이너(50D, 50E)의 모식적인 측단면도이다. 토너 컨테이너(50D)에는, 도 12에서 예시한 회전 부재(54M1)가 구비되어 있다. 즉, 컨테이너 본체(51)의 축 방향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제2 반송 부재(56)의 스파이럴이 형성된 회전 부재(54M1)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도 21에 나타낸 토너 컨테이너(50E)는, 제2 반송 부재(56)의 스파이럴 길이가 비교적 짧은 회전 부재(54M4)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컨테이너 본체(51)의 통형상부(52)측의 부분에는, 제2 반송 부재(56)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20B는, 토너 컨테이너(50D)의, 회전축(541)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테이너 본체(51)의 제2 측벽(513)의 외면에서 통형상부(52)와의 경계부 부근에, 토너 잔량을 검지하는 토너 센서(7)가 부착되어 있다. 토너 센서(7)는, 평판형상의 자기 센서로서, 토너 컨테이너 내의 토너 잔량에 따른 전압 신호를 출력한다. 즉, 토너 센서(7)와 대향하는 위치(도 20A 및 도 21에 있어서 점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토너가 존재하고 있으면, 토너 센서(7)는 높은 전압을 출력하고, 토너가 존재하고 있지 않으면 낮은 전압을 출력한다.
토너 컨테이너(50D)에 있어서, 컨테이너 내의 토너 잔량이 적어지면, 토너 흘수면은, 도 2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테이너 본체(51)의 통형상부(52)측의 끝 가장자리를 최고부로 하여 하측으로 경사지는 흘수면이 된다. 한편, 토너 컨테이너(50E)에 있어서, 컨테이너 내의 토너 잔량이 적어지면, 토너 흘수면은,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테이너 본체(51)의 통형상부(52)측의 부분이 평탄해지는 흘수면이 된다. 이것은, 상기 통형상부(52)측의 부분에 있어서, 제2 반송 부재(56)에 의한 토너 가압력이 비교적 약한 것에 기인한다. 한편, 토너 컨테이너(50D)에서는, 제2 반송 부재(56)에 의한 토너 가압력이 통형상부(52) 부근까지 미치므로, 토너가 엠티에 가까워진 경우에, 토너 센서(7) 부근에 있어서 토너를, 고저차를 가진 상태로 유동시킬 수 있다.
도 22는, 상술한 토너 컨테이너(50D, 50E)의 토너 센서(7)의 감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토너 컨테이너(50D)의 토너 센서(7)의 제1 출력 곡선(71)은, 토너 잔량이 상당히 적어질 때까지는 일정하고, 그 후, 급준하게 저하한다. 한편, 토너 컨테이너(50E)의 토너 센서(7)의 제2 출력 곡선(72)은, 토너 잔량이 비교적 많은 단계로부터 저하하기 시작한다. 이 그래프로부터, 토너 컨테이너(50D)가, 토너 잔량이 부족해진 단계에 있어서의 토너 센서(7)의 감도가 양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양자의 엠프티 레벨(71E, 72E)을 비교하면 분명한 바와 같이, 토너 컨테이너(50D)가, 「엠프티」에 상당하는 출력을 발하는 토너 잔량이 적다.
이상으로부터, 회전 부재로서 컨테이너 본체(51)의 축 방향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제2 반송 부재(56)의 스파이럴이 형성된 회전 부재(54M1)를 이용함과 더불어, 토너 센서(7)는, 제2 반송 부재(56)의 통형상부(52)측의 단부가 존재하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토너가 엠프티에 가까워진 경우에, 토너 센서(7) 부근에 있어서 토너를, 고저차를 가진 상태로 유동시킬 수 있어, 토너 센서(7)의 감도(분해능)를 향상시킬 수 있다.
(5)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토너 컨테이너(50)가 현상 장치(33)에 대해 수평으로 장착되는 예를 나타내었다. 이를 대신하여,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컨테이너(50F)에 경사 각도를 갖게 하여, 현상 장치(33)에 장착시키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토너 배출구(521)를 갖는 통형상부(52)를 하측 위치로 하고, 용기 본체(51)측이 상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현상 장치(33)에 부착하도록 해도 된다. 이 구성이면, 토너를 중력에 의해서도 토너 배출구(521)로 안내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수평 방향 H에 대한 토너 컨테이너(50F)의 저벽(511)의 경사 각도는, 토너 컨테이너(50F)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의 안식각보다 작은 각도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토너의 안식각이 38도이면, 상기 경사 각도는 35도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토너의 상기 제1 반송 방향으로의 반송성이 악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안식각을 초과하는 경사 각도로 한 경우, 제1 반송 부재(55)에 의한 토너의 역반송이 곤란해진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도 24~도 26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토너 컨테이너(500)의 상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4는 토너 컨테이너(50)의 측단면도, 도 25는, 토너 컨테이너(500) 내에 배치되는 회전 부재(540)의 사시도, 도 26은, 일부 단면도를 수반한 회전 부재(540)의 측면도이다. 또한, 토너 컨테이너의 회전 부재에 관한 일부의 구성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도면 상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번호를 각 부에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부재(540)는, 컨테이너 본체(51)로부터 통형상부(52)에 걸쳐 가설되어 있으며, 컨테이너 본체(51) 내에 위치하는 제1 부분(54A)과, 통형상부(52) 내에 위치하는 제2 부분(54B)을 포함한다. 제1 반송 부재(55) 및 제2 반송 부재(56)는, 회전축(541)의 축 방향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제1 부분(54A) 및 제2 부분(54B)의 양쪽에, 제1 반송 부재(55) 및 제2 반송 부재(56)는 존재하고 있다. 동일하게, 분산 부재(57)도, 제1 부분(54A) 및 제2 부분(54B)의 양쪽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제1 반송 부재(55)의 스파이럴의 외경은, 회전축(541)의 축 방향 전체에 걸쳐 일정하다. 이에 반해, 제2 반송 부재(56)의 스파이럴의 외경은,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541)의 제1 단부(542)로부터 제2 단부(543)로 향함에 따라 직경이 축소되어 있다. 이러한 스파이럴의 외경의 직경 축소는, 제2 반송 부재(56)의 아치형상 반송편의 반경 방향의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달성되어 있다. 한편, 제2 반송 부재(56)의 스파이럴의 내경은, 회전축(541)의 축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하다.
회전축(541)의 제1 단부(542)에 가까운 부분 P1에 있어서, 제2 반송 부재(56)의 아치형상 반송편의 반경 방향 두께(분산 부재(57)로부터의 돌출 높이)는, 테두리 원 내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가장 두꺼운 T1이다. 이에 반해, 회전축(541)의 축 방향 중앙 부근의 부분 P2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상 반송편의 반경 방향 두께는, T1보다 얇은 T2이다. 또한, 제2 단부(543)에 가까운 부분 P3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상 반송편의 반경 방향 두께는, T2보다 더욱 얇은 T3이다. 요컨대, T1>T2>T3의 관계로 되며, 이에 의해 각 아치형상 반송편의 포락선 L은, 수평 방향 H로 연장되는 분산 부재(57)에 대해 각도 θ만큼 경사져 있다. 바꿔 말하면, 제2 반송 부재(56)의 스파이럴은, 각도 θ로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고 있다. 통형상부(52)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각도 θ의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고 있다.
컨테이너 기어(54G)에, 회전축(541)을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력이 부여되면, 제1 반송 부재(55) 및 제2 반송 부재(56)에는, 각각의 스파이럴 방향에 따른 토너의 반송력이 발생한다. 제2 반송 부재(56)는, 컨테이너 본체(51)측으로부터 통형상부(52)(토너 배출구(521))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토너를 반송한다. 요컨대, 회전축(541)의 제1 단부(542)측으로부터 제2 단부(543)측을 향해 토너를 반송한다. 이에 반해, 제1 반송 부재(55)는, 토너를 통형상부(52)측으로부터 컨테이너 본체(51)측으로 되돌려 보내는 방향으로, 토너를 반송한다. 요컨대, 회전축(541)의 제2 단부(543)측으로부터 제1 단부(542)측을 향해 토너를 반송한다.
한편, 분산 부재(57)는, 제1 반송 부재(55) 및 제2 반송 부재(56)에 의해 반송되는 토너를, 회전축(541)의 반경 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분산 부재(57)는, 제1 반송 부재(55) 또는 제2 반송 부재(56)의 아치형상 반송편에 의해 추진력이 부여된 토너의 주위에 존재하는 토너를, 반경 방향으로 분산시킨다. 이에 의해, 토너의 상기 제1 반송 방향 또는 제2 반송 방향으로의 이동이 촉진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회전 부재(540)는, 반경 방향 내측(제1 반송 부재(55))과 외측(제2 반송 부재(56))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토너를 반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당해 회전 부재(540)에 의한 토너 반송 동작을, 도 27, 도 2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회전 부재에 의한 토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토너 컨테이너의 모식적인 측단면도, 도 28은, 토너 컨테이너 및 현상 장치의 모식적인 수평 방향의 단면도이다.
제2 반송 부재(56)는, 회전 구동됨으로써, 토너에 제2 반송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을 부여한다. 제2 반송 부재(56)에 의해 통형상부(52)로 향해지는 토너는, 화살표 C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오로지 회전 부재의 외주부 부근을 이동한다. 이것은 통형상부(52) 내에서도 동일하며, 토너는, 통형상부(52)의 내주벽에 가까운 부분에 있어서, 타단부(524)로 향하도록 이동한다. 이 때, 분산 부재(57)가, 동시에 제2 반송 부재(56) 근방의 토너를 반경 방향으로 확산시키므로, 토너가 매끄럽게 제2 반송 방향으로 진행된다.
제2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는 토너는, 이윽고 통형상부(52)의 타단부(524)에 도달한다. 도달한 토너의 일부는, 필름 부재(546)로 가압되는 형태로, 토너 배출구(521)로부터 현상 하우징(60) 내에 낙하된다. 그리고, 제1, 제2 반송 스크류(332, 333)에 의해, 현상 하우징(60) 내를 순환 반송되게 된다.
한편, 토너 배출구(521)로부터 배출되지 않은 토너는, 제1 반송 부재(55)의 구동에 의해, 도면 중에 화살표 C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오로지 통형상부(52)의 중심축에 가까운 부분에 있어서, 제1 반송 방향으로 역반송된다. 역반송되는 토너는, 이윽고 통형상부(52)와 컨테이너 본체(51)의 경계를 통과하여, 분산 부재(57)에 의한 반경 방향(중심축으로 향하는 방향)으로의 분산 효과도 더해져서, 컨테이너 본체(51)로 되돌려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토너 컨테이너(500)에 있어서는, 제2 반송 부재(56)에 의해 통형상부(52)에 송출된 토너가, 제1 반송 부재(55)에 의해 컨테이너 본체(51)로 되돌려지는 순환 반송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통형상부(52)에 선단에 토너 배출구(521)가 설치된 구조의 토너 컨테이너(500)여도, 토너 배출구(521)의 근방에서 토너가 응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통형상부(52)는, 회전 부재(540)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돌출된 부분인 제2 반송 부재(56)의 회전 궤적에 대응한 단면 원형의 내부 공간, 요컨대 제2 반송 부재(56)의 스파이럴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는 통형상 내부 공간을 구비한다. 이러한 통형상부(52)를 갖는 토너 컨테이너(500)에 있어서, 회전 부재(540)에, 제2 반송 방향으로 토너를 반송하는 기능만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토너의 이송량에 대해 배출량이 적으면, 이윽고 토너는 갈 곳을 잃어 통형상부(52) 내에서 눌려 굳어져, 결국에는 응집화된다. 그렇게 되면, 토너 배출구(521)가 토너의 응집체로 막혀, 토너를 배출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의 토너 컨테이너(500)에서는, 제1 반송 부재(55)가 통형상부(52) 내에 있어서 제1 반송 방향으로 역방향 이송하는 반송 기능을 구비하므로, 토너가 눌려 굳어지는 일은 없다. 즉, 통형상부(52)에 있어서는, 반경 방향 외측에는 토너가 빠져나갈 곳이 없으므로, 토너는 통형상부(52)의 축심 방향으로 향하려고 한다. 그 축심 부분에는 제1 반송 부재(55)가 배치되어, 토너를 제1 반송 방향으로 반송한다. 따라서, 토너가 응집화되기 전에, 토너를 통형상부(52)로부터 컨테이너 본체(51)로 효율적으로 되돌려 보낼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회전 부재(540)에 있어서는, 제2 반송 부재(56)의 스파이럴의 외경이 제2 반송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직경이 축소되어 있으며, 또 통형상부(52)의 내경도 선단(타단부(524))으로 향함에 따라 직경이 축소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토너는, 이들 테이퍼 형상을 따라 통형상부(52)의 배출구(521)(선단 방향)를 향해 매끄럽게 반송된다. 한편, 제2 반송 부재(56)의 스파이럴의 내경은, 회전축(541)의 축 방향 전체에 걸쳐 대략 일정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반송 부재(55)에 의한 제1 반송 방향으로의 토너 반송을 저해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제1 반송 부재(55)에 의해, 안정적으로 토너를 통형상부(52)측으로부터 컨테이너 본체(51)측으로 되돌려 보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컨테이너 본체(51)와, 이 컨테이너 본체(51)로부터 돌출 설치되며 토너 배출구(521)를 갖는 통형상부(52)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형상을 갖는 토너 컨테이너(500)에 있어서, 통형상부(52) 내에서 토너가 응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 본체(51) 내에 저류된 토너를 잔존시키지 않고 현상 장치(33)에 공급할 수 있는 토너 컨테이너(5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토너 컨테이너(500)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변형 실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1)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현상제 수용 용기의 구체예로서 토너 컨테이너(500)를 예시하였다. 현상제 수용 용기는, 예를 들면 토너 저류부와 현상 롤러 등이 일체화된 현상 유닛이어도, 토너 컨테이너와 현상 장치의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호퍼 등이어도 된다.
(2)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부재(540)의 회전축(541)의 단부에, 직사각형 형상의 필름 부재(546)를 부착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이를 대신하여,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사다리꼴 형상의 필름 부재(546A)를 부착해도 된다.
(3) 회전 부재(540)의 바람직한 예에 대해, 도 2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회전 부재(540)의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는, 분산 부재(57)의 두께와, 제1 반송 부재의 스파이럴의 최외주와 분산 부재(57)의 반경 방향 내면의 거리의 관계에 관해,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분산 부재(57)가, 회전축(541)의 반경 방향으로 두께 D1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한편, 제1 반송 부재(55)의 스파이럴의 최외주부(55A)와 분산 부재(57)의 반경 방향 내면(57A) 사이를 거리 D2로 한다.
이 경우, 거리 D2는, 두께 D1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거리 D2를 두께 D1보다 크게 함으로써, 제1 반송 부재(55)의 스파이럴의 최외주부(55A)와 분산 부재의 반경 방향 내면(57A)의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1 반송 부재(55)에 의한 토너의 반송 영역이, 제2 반송 부재(56)의 스파이럴의 내부에 확보된다. 따라서, 제1 반송 부재(55)에 의한 토너의 제1 반송 방향으로의 반송을 확실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Claims (21)

  1. 현상제 수용 용기로서,
    저벽을 가지며, 현상제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저벽에 연속하여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돌출 설치되며, 현상제 배출구가 구비된 통형상부와,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상기 통형상부에 걸쳐 가설되며, 상기 용기 본체 내의 상기 현상제를 반송하는 회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저벽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위치하는 제1 부분과, 상기 통형상부 내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을 구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기 제2 부분의 둘레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함과 더불어, 상기 통형상부측으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측으로 향하는 제1 반송 방향으로 상기 현상제를 반송하는 구조를 갖는 제1 반송 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상기 제1 부분의 둘레면 상에서 상기 제1 반송 부재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함과 더불어, 적어도 상기 용기 본체측으로부터 상기 통형상부측으로 향하는 제2 반송 방향으로 상기 현상제를 반송하는 구조를 갖는 제2 반송 부재와,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에 걸쳐 연장되며, 상기 현상제를 반경 방향으로 분산시키는 분산 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1 반송 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상기 제1 부분의 둘레면 상에도 배치되어 있도록 구성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 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둘레면 상에 스파이럴형상으로 돌출 설치된 반송 부재이며,
    상기 제2 반송 부재는, 상기 제1 반송 부재를 구비한 상기 회전축을 삽입 통과 가능한 중공부를 구비한 스파이럴형상의 반송 부재로 구성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송 부재는, 상기 제1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통형상부측의 단부에, 상기 제1 반송 방향으로 상기 현상제를 반송하는 스파이럴편을 갖는, 현상제 수용 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송 부재의 스파이럴과 상기 분산 부재가 이루는 예각측의 각도를 α, 상기 스파이럴편과 상기 분산 부재가 이루는 예각측의 각도를 β로 할 때, 다음 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
    α>β>0.7α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산 부재는, 상기 제2 반송 부재에 부착되며, 상기 회전축의 반경 방향으로 두께 D1을 갖고,
    상기 제1 반송 부재의 스파이럴의 최외주와 상기 분산 부재의 반경 방향 내면의 거리 D2는, 상기 두께 D1보다 커지도록 구성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배출구는, 상기 통형상부의 하면에 배치된 낙하구이며,
    상기 회전축의 상기 낙하구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요성 가압 부재가 부착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통형상부측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부착되는 유지편을 가지며,
    상기 가요성 가압 부재가 필름 부재이며, 상기 필름 부재는 상기 유지편에 부착되는 기단부(基端部)와, 그 기단부와 반대측의 자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자유단부의 상기 축 방향의 길이가 상기 기단부보다 길고, 상기 자유단부의 일부가 상기 회전축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를 검지하는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용기 본체의 측면이며, 상기 제2 반송 부재의 상기 통형상부측의 단부가 배치되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도록 구성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는, 단면 원형상의 내벽면을 가지며,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저벽은, 상기 제2 반송 부재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돌출된 부분의 회전 궤적에 대응한 반원형상의 내벽면을 가지며, 상기 반원형상의 내벽면은 상기 통형상부의 원형상의 내벽면에 연접되어 있고,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저벽의 일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측벽과, 상기 저벽의 타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벽과 대면하는 제2 측벽과,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의 일단 가장자리들을 연결하는 제3 측벽과, 상기 제3 측벽과 대면하여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의 타단 가장자리들을 연결하는 제4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통형상부는, 상기 제3 측벽으로부터 돌출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은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와 반대측의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제4 측벽에서 축 지지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통형상부의 돌출 선단면에서 축 지지되어 있도록 구성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
  10. 화상 형성 장치로서,
    둘레면에 현상제 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와,
    상기 상 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현상 장치에 상기 현상제를 보급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현상제 수용 용기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는, 상기 상 담지체의 둘레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의 축 방향을 따른 제1 방향으로 긴 형상의 현상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는, 상기 회전축이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상기 현상 장치에 장착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는, 상기 현상제 배출구를 하측 위치로 하고 상기 용기 본체측이 상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상기 현상 장치에 장착되고,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의 상기 경사가,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현상제의 안식각보다 작은 각도가 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3. 현상제 수용 용기로서,
    저벽을 가지며, 현상제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저벽에 연속하여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돌출 설치되며, 현상제 배출구가 구비된 통형상부와,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상기 통형상부에 걸쳐 가설되며, 상기 용기 본체 내의 상기 현상제를 반송하는 회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저벽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함과 더불어, 상기 통형상부측으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측으로 향하는 제1 반송 방향으로 상기 현상제를 반송하는 구조를 갖는 제1 반송 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둘레면 상에서 상기 제1 반송 부재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함과 더불어, 적어도 상기 용기 본체측으로부터 상기 통형상부측으로 향하는 제2 반송 방향으로 상기 현상제를 반송하는 구조를 갖는 제2 반송 부재를 가지며,
    상기 통형상부는, 상기 제2 반송 부재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돌출된 부분의 회전 궤적에 대응한 단면 원형상의 내벽면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1 반송 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둘레면 상에 스파이럴형상으로 돌출 설치된 반송 부재이고,
    상기 제2 반송 부재는, 상기 제1 반송 부재를 구비한 상기 회전축을 삽입 통과 가능한 중공부를 구비한 스파이럴형상의 반송 부재이며,
    상기 제2 반송 부재의 스파이럴의 외경은, 상기 제2 반송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직경이 축소되도록 구성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송 부재의 스파이럴의 내경은,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일정해지도록 구성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반송 부재에 부착되며, 상기 현상제를 반경 방향으로 분산시키는 분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분산 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반경 방향으로 두께 D1을 가지며,
    상기 제1 반송 부재의 스파이럴의 최외주와 상기 분산 부재의 반경 방향 내면의 거리 D2는, 상기 두께 D1보다 커지도록 구성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배출구는, 상기 통형상부의 하면에 배치된 낙하구이며,
    상기 회전축의 상기 낙하구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요성 가압 부재가 부착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통형상부측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부착되는 유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가압 부재가 필름 부재이며, 상기 필름 부재는 상기 유지편에 부착되는 기단부와, 그 기단부와 반대측의 자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자유단부의 상기 축 방향의 길이가 상기 기단부보다 길고, 상기 자유단부의 일부가 상기 회전축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저벽은, 상기 제2 반송 부재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돌출된 부분의 회전 궤적에 대응한 반원형상의 내벽면을 가지며, 상기 반원형상의 내벽면은 상기 통형상부의 원형상의 내벽면에 연접되어 있고,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저벽의 일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측벽과, 상기 저벽의 타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벽과 대면하는 제2 측벽과,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의 일단 가장자리들을 연결하는 제3 측벽과, 상기 제3 측벽과 대면하여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의 타단 가장자리들을 연결하는 제4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통형상부는, 상기 제3 측벽으로부터 돌출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은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와 반대측의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제4 측벽에서 축 지지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통형상부의 돌출 선단면에서 축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
  19. 화상 형성 장치로서,
    둘레면에 현상제 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와,
    상기 상 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현상 장치에 상기 현상제를 보급하는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현상제 수용 용기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20. 삭제
  21. 삭제
KR1020120036666A 2011-04-15 2012-04-09 현상제 수용 용기 및 이것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KR1014577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91260 2011-04-15
JP2011091259 2011-04-15
JPJP-P-2011-091259 2011-04-15
JP2011091260A JP5377564B2 (ja) 2011-04-15 2011-04-15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が適用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2011232939A JP5377612B2 (ja) 2011-04-15 2011-10-24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が適用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JP-P-2011-232939 2011-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649A KR20120117649A (ko) 2012-10-24
KR101457759B1 true KR101457759B1 (ko) 2014-11-03

Family

ID=45976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666A KR101457759B1 (ko) 2011-04-15 2012-04-09 현상제 수용 용기 및 이것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527925B1 (ko)
KR (1) KR101457759B1 (ko)
CN (1) CN1027364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61815B2 (en) 2012-03-13 2016-02-16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975966B2 (ja) * 2013-10-30 2016-08-2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5206822A (ja) * 2014-04-17 2015-11-19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CN108369395B (zh) * 2015-12-11 2021-05-28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墨粉瓶
JP6583225B2 (ja) * 2016-11-24 2019-10-0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剤容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N106773569A (zh) * 2016-12-16 2017-05-31 中山市宇之来打印科技有限公司 一种显影剂的传送方法和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46395A1 (en) * 2000-05-26 2001-11-29 Tsutomu Ashikari Toner cartridge
KR20080021474A (ko) * 2006-08-29 2008-03-07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현상제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US20090092419A1 (en) * 2007-10-03 2009-04-09 Fuji Xerox Co., Ltd. Member for agitating and conveying developer,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7129A (en) * 1990-10-01 1994-04-26 Fuji Xerox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4363035B2 (ja) * 2002-12-16 2009-11-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325425B2 (ja) * 2004-02-06 2009-09-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537258B2 (ja) * 2005-05-18 2010-09-01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装置
JP4844222B2 (ja) * 2006-04-28 2011-12-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08268445A (ja) * 2007-04-18 2008-11-06 Fuji Xerox Co Ltd 粉体搬送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粉体搬送装置、枠体、画像形成装置、並びに粉体搬送部材の製造装置
JP5150414B2 (ja) * 2007-09-06 2013-02-2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
JP5539678B2 (ja) * 2009-07-30 2014-07-0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5126201B2 (ja) 2009-10-23 2013-01-23 株式会社デンソー 半導体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52766B2 (ja) 2009-10-23 2012-06-13 Tdk株式会社 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5139468B2 (ja) 2010-04-27 2013-02-06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Idキーの点検支援装置および点検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46395A1 (en) * 2000-05-26 2001-11-29 Tsutomu Ashikari Toner cartridge
KR20080021474A (ko) * 2006-08-29 2008-03-07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현상제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US20090092419A1 (en) * 2007-10-03 2009-04-09 Fuji Xerox Co., Ltd. Member for agitating and conveying developer,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27925B1 (en) 2014-04-30
KR20120117649A (ko) 2012-10-24
EP2527925A1 (en) 2012-11-28
CN102736478B (zh) 2014-07-16
CN102736478A (zh)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795B1 (ko) 현상제 수용 용기 및 이것이 적용된 화상 형성 장치
KR101457760B1 (ko) 현상제 수용 용기 및 이것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JP5171890B2 (ja) 現像搬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現像装置、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
KR101457759B1 (ko) 현상제 수용 용기 및 이것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KR101381668B1 (ko) 화상 형성 장치
JP4423140B2 (ja) トナー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EP2626749B1 (en) Developer cas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developer case is applied
JP5540142B2 (ja)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が適用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597596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56441A (ja) 現像装置
JP5005792B2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740385B2 (ja)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が適用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5619246B2 (ja)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が適用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5663452B2 (ja)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が適用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6079187B2 (ja) 粉体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377564B2 (ja)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が適用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2013148723A (ja) トナー収容容器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5675553B2 (ja) 現像剤搬送装置及びこれが適用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2006163207A (ja) トナー移送機構、現像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