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760B1 - 현상제 수용 용기 및 이것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제 수용 용기 및 이것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760B1
KR101457760B1 KR1020120036667A KR20120036667A KR101457760B1 KR 101457760 B1 KR101457760 B1 KR 101457760B1 KR 1020120036667 A KR1020120036667 A KR 1020120036667A KR 20120036667 A KR20120036667 A KR 20120036667A KR 101457760 B1 KR101457760 B1 KR 101457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toner
container
sidewall
devel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7650A (ko
Inventor
다카시 모리타
Original Assignee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7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91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 G03G15/0893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in a closed loop within the sump of the developing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68Toner cartridges fulfilling a continuous function within the electrographic apparatus during the use of the supplied developer material, e.g. toner discharge on demand, storing residual toner, acting as an active closure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2215/0665Generally horizontally mounting of said toner cartridge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03G2215/0668Toner discharging opening at one axial e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현상제를 수용하고, 소정의 보급 자세로 다른 기기에 상기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는, 용기 본체와, 회전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용기 본체는, 저벽과, 천정벽과, 제1 측벽과, 제2 측벽을 갖는다. 상기 회전 부재는, 회전축과, 반송 부재와, 구동 입력부를 갖는다. 상기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은, 제1 직선형상 내면 및 제2 직선형상 내면을 갖는다.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가 상기 보급 자세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축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에 대한 수선을 기준선으로 할 때, 상기 기준선과 상기 제1 직선형상 내면이 이루는 제1각(θ1)이 상기 기준선과 상기 제2 직선형상 내면이 이루는 제2각(θ2)보다도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현상제 수용 용기 및 이것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DEVELOP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본 개시는, 현상제를 저류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 및 그 현상제 수용 용기가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토너 컨테이너(현상제 수용 용기)는, 현상 장치에 보급하는 토너(현상제)를 저류하는 컨테이너이며,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토너 컨테이너는, 토너의 저류 공간이 되는 컨테이너 본체와, 컨테이너 본체의 저벽의 적당한 곳에 형성되는 토너 배출구와, 이 토너 배출구를 향해 토너를 반송하는 반송 스크류와, 컨테이너 본체 내부의 토너를 교반하는 교반 패들을 구비하고 있다.
토너 컨테이너에 있어서 중요한 점의 하나는, 컨테이너 본체 내의 용량을 크게 하는 한편, 컨테이너 본체 내에 토너를 잔존시키지 않고, 토너를 토너 배출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토너 컨테이너에서는, 컨테이너 본체의 저벽이나 모퉁이부 등에 토너가 잔존해버려, 컨테이너 본체 내의 토너가 완전하게 배출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용기 본체 내의 용량을 확보하면서, 용기 본체 내에 가능한한 잔존시키지 않고 토너를 배출할 수 있는 현상제 수용 용기, 및 이것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된 일국면에 관련된 현상제 수용 용기는, 현상제를 수용하고, 소정의 보급 자세로 다른 기기에 상기 현상제를 공급하고, 저벽 및 천정벽과 상기 저벽 및 천정벽의 단부들을 연결하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있어서 상기 저벽 상에 배치되어 상기 현상제를 반송하는 회전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저벽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과 일체 회전하는 반송 부재와, 상기 회전축을 축 둘레의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이 입력되는 구동 입력부를 갖는 회전 부재를 갖는다. 상기 회전축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저벽은, 상기 반송 부재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돌출 부분의 회전 궤적에 대응한 반원 형상의 내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은, 직선형상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직선형상 내면 및 제2 직선형상 내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직선형상 내면 및 제2 직선형상 내면은, 상기 저벽의 상기 반원 형상의 내면의 접선 상에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측벽은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직선형상 내면과 상기 제2 직선형상 내면의 간격이 상기 저벽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함에 따라 넓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가 상기 보급 자세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축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에 대한 수선을 기준선으로 할 경우, 상기 기준선과 상기 제1 직선형상 내면이 이루는 제1각(θ1)이 상기 기준선과 상기 제2 직선형상 내면이 이루는 제2각(θ2)보다도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된 다른 국면에 관련된 화상 형성 장치는, 둘레면에 현상제 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와, 상기 상 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현상 장치에 현상제를 보급하는, 상술의 본 개시의 일국면에 관련된 현상제 수용 용기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용기 본체 내의 용량을 확보하면서, 용기 본체 내에 가능한한 잔존시키지 않고 현상제를 배출할 수 있는 현상제 수용 용기, 및 이것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부재의 회전 부하를 증가시키지 않는다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된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넣어진 현상 장치 및 토너 컨테이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현상 장치 및 토너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현상 장치 단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현상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토너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과 시선 방향을 180도 바꾼, 토너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토너 컨테이너의 측면도이다.
도 9는 토너 컨테이너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토너 컨테이너 내에 배치되는 회전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뚜껑 부재를 떼어낸 상태의, 토너 컨테이너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회전 부재의 회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개시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된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화상 형성 장치(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화상 형성 장치(1)로서 흑백 프린터를 예시하는데, 화상 형성 장치는,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혹은, 이들 기능을 구비하는 복합기여도 되고, 또한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여도 된다.
화상 형성 장치(1)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하우징 구조를 갖는 본체 하우징(10)과, 이 본체 하우징(10) 내에 수용되는 급지부(20), 화상 형성부(30), 정착부(40) 및 토너 컨테이너(50)(현상제 수용 용기)를 포함한다.
본체 하우징(10)의 전면측(도 1의 우측)에는 전부 커버(11)가, 후면측에는 후부 커버(12)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유저는, 전부 커버(11)를 개방함으로써, 토너 컨테이너(50)를 본체 하우징(10)의 전면측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후부 커버(12)는, 잼 처리나 관리 시에 개방되는 커버이다. 화상 형성부(30) 및 정착부(40)의 각 유닛은, 후부 커버(12)가 개방됨으로써, 본체 하우징(10)의 후면측으로부터 인출 가능해진다. 또한, 본체 하우징(10)의 상면에는, 화상 형성 후의 시트가 배출되는 배지부(13)가 구비되어 있다.
급지부(20)는, 화상 형성 처리가 실시되는 시트를 수용하는 급지 카셋(21)을 포함한다. 이 급지 카셋(21)은, 그 일부가 본체 하우징(10)의 전면으로부터 더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급지 카셋(21)에는, 상기 시트의 다발이 수용되는 시트 수용 공간, 상기 시트의 다발을 급지를 위해서 리프트 업하는 리프트판 등이 구비되어 있다. 급지 카셋(21)의 후단측의 상부에는 시트 배출부(21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시트 배출부(21A)에는, 급지 카셋(21) 내의 시트 다발의 최상층의 시트를 1매씩 계속 내보내기 위한 픽업 롤러(도시 생략)가 배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부(30)는, 급지부(20)로부터 송출되는 시트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처리를 행한다. 화상 형성부(30)는, 감광체 드럼(31)(상 담지체)과, 이 감광체 드럼(31)의 주위에 배치된, 대전 장치(32), 노광 장치(도 1에는 나타나 있지 않다), 현상 장치(33), 전사 롤러(34) 및 클리닝 장치(35)를 포함한다.
감광체 드럼(31)은, 그 축 둘레로 회전하고, 그 둘레면에 정전 잠상 및 토너 상(현상제 상)이 형성된다. 감광체 드럼(31)으로는, 비정질 실리콘(a-Si)계 재료를 이용한 감광체 드럼 등이 이용된다. 대전 장치(32)는, 감광체 드럼(31)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하는 것이며, 감광체 드럼(31)에 맞닿는 대전 롤러를 포함한다. 노광 장치는, 레이저 광원과 미러나 렌즈 등의 광학계 기기를 가지고, 감광체 드럼(31)의 둘레면에,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주어지는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변조된 광을 조사하여,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현상 장치(33)는, 감광체 드럼(31) 상의 상기 정전 잠상을 현상하여 토너상을 형성하기 위해, 감광체 드럼(31)의 둘레면에 토너(현상제)를 공급한다. 현상 장치(33)는, 감광체 드럼(31)에 공급하는 토너를 담지하는 현상 롤러(331)와, 현상 하우징(60)(도 2∼도 5 참조)의 내부에서 토너를 교반하면서 순환 반송하는 제1 반송 스크류(332) 및 제2 반송 스크류(333)를 포함한다. 이 현상 장치(33)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기술한다.
전사 롤러(34)는, 감광체 드럼(31)의 둘레면에 형성된 토너 상을 시트 상에 전사시키기 위한 롤러이며, 감광체 드럼(31)과 전사 닙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전사 롤러(34)에는, 토너와 역극성의 전사 바이어스가 주어진다. 클리닝 장치(35)는, 클리닝 롤러 등을 가지고, 토너상 전사 후의 감광체 드럼(31)의 둘레면을 청소한다.
정착부(40)는, 전사된 토너 상을 시트 상에 정착하는 정착 처리를 행한다. 정착부(40)는, 가열원을 내부에 구비한 정착 롤러(41)와, 이 정착 롤러(41)에 대하여 압접되고, 정착 롤러(41)와의 사이에 정착 닙부를 형성하는 가압 롤러(42)를 포함한다. 토너 상이 전사된 시트가 상기 정착 닙부를 통과하면, 토너 상은, 정착 롤러(41)에 의한 가열 및 가압 롤러(42)에 의한 가압에 의해, 시트상에 정착된다.
토너 컨테이너(50)는, 현상 장치(33)에 보급하는 토너를 저류한다. 토너 컨테이너(50)는, 토너의 주요 저류 부분이 되는 컨테이너 본체(51)(용기 본체)와, 컨테이너 본체(51)의 일측면(도 1에서는 후면)의 하부로부터 돌출 설치된 통형상부(52)와, 컨테이너 본체(51)의 다른 측면을 덮는 뚜껑 부재(53)와, 컨테이너 내부에 수용되어 토너를 반송하는 회전 부재(54)를 포함한다. 토너 컨테이너(50) 내에 저류된 토너는, 회전 부재(54)가 회전 구동됨에 따라, 통형상부(52)의 선단 하면에 형성된 토너 배출구(521)로부터 현상 장치(33) 내로 공급된다. 이 토너 컨테이너(50)에 대해서는, 도 6∼도 12를 참조하여 후에 상세히 기술한다.
본체 하우징(10) 내에는, 시트를 반송하기 위해서, 주 반송로(22F) 및 반전 반송로(22B)가 구비되어 있다. 주 반송로(22F)는, 급지부(20)의 시트 배출부(21A)로부터 화상 형성부(30) 및 정착부(40)를 경유하여, 본체 하우징(10) 상면의 배지부(13)에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배지구(14)까지 연장되어 있다. 반전 반송로(22B)는, 한쪽면 인쇄된 시트를 주 반송로(22F)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부(30)의 상류측으로 되돌리기 위한 반송로이며, 시트에 대해 양면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주 반송로(22F)의, 감광체 드럼(31)과 전사 롤러(34)의 전사 닙부보다도 상류측에는, 레지스트 롤러 쌍(23)이 배치되어 있다. 시트는, 레지스트 롤러 쌍(23)에서 일단 정지되고, 스큐 교정이 행해진 후, 화상 전사를 위한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전사 닙부로 송출된다. 주 반송로(22F) 및 반전 반송로(22B)의 적절한 곳에는, 시트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롤러가 복수 배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배지구(14)의 근방에는 배지 롤러 쌍(24)이 배치되어 있다.
반전 반송로(22B)는, 반전 유닛(25)의 외측면과, 본체 하우징(10)의 후부 커버(12)의 내면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전 유닛(25)의 내측면에는 전사 롤러(34) 및 레지스트 롤러 쌍(23)의 한쪽의 롤러가 탑재되어 있다. 후부 커버(12) 및 반전 유닛(25)은, 이들 하단에 설치된 지점부(121)의 축 둘레로 각각 회동 가능하다. 반전 반송로(22B)에 있어서 시트 잼이 발생한 경우, 후부 커버(12)가 개방된다. 주 반송로(22F)에서 시트 잼이 발생한 경우, 혹은 감광체 드럼(31)의 유닛이나 현상 장치(33)가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에는, 후부 커버(12)에 추가하여 반전 유닛(25)도 개방된다.
계속하여, 도 2∼도 7을 참조하여, 현상 장치(33) 및 토너 컨테이너(50)의 구조, 및 이들 배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현상 장치(33)와 토너 컨테이너(50)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그 사시도, 도 4는, 현상 장치(33) 단체(單體)의 사시도, 도 5는, 현상 장치(33)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토너 컨테이너 단체의 사시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현상 장치(33)는, 일방향(현상 롤러(331)의 축 방향)으로 긴 상자형 형상을 갖는 현상 하우징(60)을 구비한다. 현상 하우징(60)은,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개구부로부터 현상 롤러(331)의 둘레면의 일부가 드러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현상 하우징(60)은, 그 길이 방향이 본체 하우징(10)의 좌우 방향(제1 방향)과 일치하도록, 본체 하우징(10)에 부착된다.
현상 하우징(60)의 좌단 부근의 천판(60T)에는, 토너 컨테이너(50)로부터 공급되는 토너를 당해 하우징 내에 받아들이기 위한 토너 보급구(60H)가 천공되어 있다. 이 토너 보급구(60H)와, 토너 컨테이너(50)의 토너 배출구(521)가 상하 방향으로 겹치도록, 현상 장치(33)와 토너 컨테이너(50)가 부착된다. 토너 컨테이너(50)는, 도 2에 화살표 A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현상 하우징(6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전후 방향/제2 방향)에 있어서, 현상 장치(33)에 대하여 착탈된다. 토너 컨테이너(50)는 상면에서 볼 때 일방향으로 긴 하우징 형상을 구비하므로, 현상 장치(33)에 토너 컨테이너(50)가 장착된 상태는, 상면에서 볼 때 대략 L자형의 구조체를 형성한다(도 2 참조).
천판(60T)의 상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현상 셔터판(61)이 배치되어 있다. 현상 셔터판(61)은, 탄성 가압 스프링(62)으로 상시 좌측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다. 탄성 가압 스프링(62)은 코일 스프링이며, 현상 셔터판(61)의 우단 가장자리와, 그 현상 셔터판(61)에 인접하는 리브에 각각 설치된 스프링좌(621, 622)에 각 단부가 장착되어 있다. 도 4에서는 토너 보급구(60H)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토너 컨테이너(50)가 미장착인 상태에서는, 현상 셔터판(61)은 탄성 가압 스프링(62)에 탄성 가압되어 좌측방에 위치하여, 토너 보급구(60H)를 막는다.
토너 컨테이너(50)의 통형상부(52)의 선단 가장자리(타단부(524)) 하부에는, 가압판(522)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통형상부(52)의 선단면에는, 회전 부재(54)에 회전 구동력을 입력하기 위한 컨테이너 기어(54G)가 노출하여 배치되어 있다. 현상 하우징(60)의 토너 보급구(60H)의 좌측 안쪽부에는, 입력 기어(631)와 커플링(632)을 구비하는 기어 홀더(63)가 배치되어 있다. 커플링(632)은, 본체 하우징(10)에 구비된 도시 생략의 모터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이 주어진다. 입력 기어(631)는, 토너 컨테이너(50)가 현상 장치(33)에 장착된 상태에서 컨테이너 기어(54G)와 맞물려, 상기 회전 구동력을 컨테이너 기어(54G)에 전달한다.
토너 컨테이너(50)가 현상 장치(33)에 장착될 때, 토너 보급구(60H)에 대하여 토너 컨테이너(50)의 통형상부(52)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진입한다. 이 때, 토너 컨테이너(50)의 가압판(522)이, 토너 보급구(60H)를 막고 있는 상태의 현상 셔터판(61)과 간섭하여, 당해 현상 셔터판(61)을 우측방으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현상 셔터판(61)의 상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는 사행 볼록조(623)와 가압판(522)이 간섭하고, 탄성 가압 스프링(62)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현상 셔터판(61)이 우측으로 눌린다. 토너 컨테이너(50)의 통형상부(52)가 소정 위치까지 진입하면, 토너 보급구(60H)는 완전히 개방됨과 더불어, 입력 기어(631)에 컨테이너 기어(54G)가 맞물리게 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현상 하우징(60)은 내부 공간(600)을 구비한다. 2성분 현상 방식의 경우, 이 내부 공간(600)에는, 토너와 캐리어로 이루어지는 현상제가 충전된다. 캐리어는, 내부 공간(600)에 있어서 토너와 교반 혼합되어 토너를 대전시킴과 더불어, 토너를 현상 롤러(331)까지 반송한다. 토너는, 순차 현상 롤러(331)에 공급되어 소비되고, 그 소비분은 토너 컨테이너(50)로부터 적절히 공급된다.
현상 하우징(60)의 내부 공간(600)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칸막이판(601)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긴 제1 통로(602)와 제2 통로(603)로 구획되어 있다. 칸막이판(601)은, 현상 하우징(60)의 좌우 방향폭보다도 짧고, 칸막이판(601)의 우단 및 좌단에는, 제1 통로(602)와 제2 통로(603)를 각각 연통시키는 제1 연통부(604) 및 제2 연통부(605)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현상 하우징(60)의 내부에는, 제1 통로(602), 제1 연통부(604), 제2 통로(603) 및 제2 연통부(605)에 의해 구성되는 순환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재의 토너 보급구(60H)는, 제1 통로(602)의 좌단 부근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통로(602)에는 제1 반송 스크류(332)가 수용되고, 제2 통로(603)에는 제2 반송 스크류(333)가 수용되어 있다. 제1, 제2 반송 스크류(332, 333)는, 각각 샤프트와, 이 샤프트의 둘레 상에 스파이럴상으로 돌출 설치된 날개 부재를 포함한다. 제1 반송 스크류(332)는, 샤프트 둘레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도 5의 화살표 a방향으로 현상제를 반송한다. 한편, 제2 반송 스크류(333)는, 샤프트 둘레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화살표 b방향으로 현상제를 반송한다.
제1, 제2 반송 스크류(332, 333)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상기 기재의 순환 경로를 따라 현상제가 순환 반송된다. 토너 보급구(60H)로부터 새롭게 보급된 토너에 대해서 설명하면, 당해 토너는 제1 통로(602)에 낙하하여 기존의 현상제와 혼합되어, 제1 반송 스크류(332)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반송된다. 이 때, 토너는 캐리어와 교반되어, 대전된다. 다음에, 토너는, 제1 통로(602)의 하류단으로부터 제1 연통부(604)를 거쳐 제2 통로(603)로 들어가, 제2 반송 스크류(333)에 의해 화살표 b방향으로 반송된다. 이 반송 시, 토너는 동일하게 대전되는 한편, 일부가 현상 롤러(331)의 둘레면에 공급된다. 그리고, 잔부의 토너와 캐리어는, 제2 연통부(605)를 거쳐, 제1 통로(602)의 상류단으로 되돌려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2성분 현상 방식의 현상 장치를 설명하고 있는데, 1성분 현상 방식 등의 다른 현상 방식이어도 된다.
계속하여, 도 6∼도 11을 참조하여, 토너 컨테이너(50)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토너 컨테이너(50)를 통형상부(52)측(도 1에서는 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7은 시선 방향을 180도 바꾸어 뚜껑 부재(53)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8은, 토너 컨테이너(50)의 측면도, 도 9는 그 측단면도, 도 10은, 토너 컨테이너(50) 내에 배치되는 회전 부재(54)의 사시도, 도 11은, 뚜껑 부재(53)를 떼어낸 상태의 토너 컨테이너(50)의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이미 기술한 대로, 토너 컨테이너(50)는, 컨테이너 본체(51), 통형상부(52), 뚜껑 부재(53)(제4 측벽) 및 회전 부재(54)를 포함한다. 컨테이너 본체(51)는, 토너를 저류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단면 반원 형상의 저벽(511)과, 그 저벽(511)의 일단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측벽(512)과, 상기 저벽(511)의 타단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벽(512)과 대향하는 제2 측벽(513)과, 통형상부(52)측의 단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제1 측벽(512) 및 제2 측벽(513)을 연결하는 제3 측벽(514)과, 제1 측벽(512) 및 제2 측벽(513)의 상단 가장자리들을 연결하는 천정벽(515)과, 뚜껑 부재(53)와 대향하는 측의 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1 플랜지부(51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컨테이너 본체(51)의 제1 플랜지부(516)측은, 측부 개구면으로 되어 있다.
컨테이너 본체(51)는, 저벽(511)으로부터 상방을 향함에 따라, 제1 측벽(512)과 제2 측벽(513)의 간격이 넓어지는 세로로 긴 외관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측벽(512) 및 제2 측벽(513)은 평판형상 부재이며,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이들 제1 측벽(512) 및 제2 측벽(513)은 단면에서 볼 때 직선형상의 내면을 구비하고 있다.
제3 측벽(514)의 상부에는, 토너를 컨테이너 본체(51) 내로 충전하기 위한 개구를 막는 캡(517)이 장착되어 있다. 제2 측벽(513)에는, 당해 토너 컨테이너(50)의 관리 정보가 기록된 무선 태그(518)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1 측벽(512) 및 제2 측벽(513)의 상단부 부근에는, 저벽(511)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평행한 한쌍의 홈부(519)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519)는, 토너 컨테이너(50)가 본체 하우징(10)에 장착될 때, 본체 하우징(10)측의 도시 생략의 가이드 부재로 가이드되는 부분이다.
통형상부(52)는, 제3 측벽(514)으로부터, 저벽(511)에 연속하여 돌출 설치된 원통형상의 부분이다. 통형상부(52)의 일단부(523)는, 제3 측벽(514)의 하단부에 연속하여 접하고, 컨테이너 본체(51)의 내부 공간과 통형상부(52)의 내부 공간은 연통하고 있다. 통형상부(52)의 타단부(524)는 통형상부(52)의 돌출단이며, 컨테이너 기어(54G)(구동 입력부)는 타단부(524)로부터 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통형상부(52)의 저부(525)는, 컨테이너 본체(51)의 저벽(511)에 면일하게 되어 있고, 이에 따라 단면 반원 형상의 부분이, 제1 플랜지부(516)로부터 타단부(524)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통형상부(52)는, 일단부(523)로부터 타단부(524)를 향해, 약간 끝이 가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기재와 같이, 통형상부(52)에는 토너 배출구(521)가 형성되고, 당해 통형상부(52)가 현상 장치(33)에 장착된다. 이 장착 시에 현상 하우징(60)의 일부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526)가, 저부(525)에 배치되어 있다. 컨테이너 본체(51)내에 저류되어 있는 토너는, 후에 기재하는 회전 부재(54)의 회전 구동에 의해 통형상부(52)로 송출되어, 토너 배출구(521)로부터 배출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토너 배출구(521)는, 저부(525)의, 타단부(524)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토너 배출구(521)의 하면에는, 통형상부(52)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셔터판(527)이 부착되어 있다. 셔터판(527)은, 도시 생략의 탄성 가압 부재에 의해 상시 토너 배출구(521)를 막도록, 타단부(524)의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다. 한편, 통형상부(52)가 현상 장치(33)에 장착될 때, 셔터판(527)은 현상 하우징(60)의 일부와 간섭하고, 일단부(523)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도 9는, 셔터판(527)이 후퇴하여 토너 배출구(521)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셔터판(527)과 상기 기재의 걸어맞춤부(526)는 일체의 부재이다.
뚜껑 부재(53)는, 컨테이너 본체(51)의 측부 개구면을 덮는 것으로, 오목형상을 갖춘 뚜껑 본체부(531)와, 뚜껑 본체부(531)의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제1 플랜지부(516)와 맞대어지는 제2 플랜지부(532)를 구비한다. 뚜껑 본체부(531)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부풀어 오르듯이 경사진 경사면과, 그 경사면의 상단에 연속하는 수직면을 구비한다. 뚜껑 본체부(531)의 상기 수직면은, 제2 플랜지부(532)로부터 상당히 돌출된 부분으로 되어 있고, 유저는 당해 부분을 잡고, 토너 컨테이너(50)의 본체 하우징(10)에 대한 착탈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뚜껑 본체부(531)의 내면 하단에는, 후술하는 회전 부재(54)의 회전축의 제1 단부(54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533)(제2 축지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축지지부(533)에 제1 단부(542)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2 플랜지부(532)는 제1 플랜지부(516)에 용착된다.
회전 부재(54)는, 컨테이너 본체(51)의 저벽(511)으로부터 통형상부(52) 상에 걸쳐 배치되고, 축 둘레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토너를 반송하는 부재이다.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회전 부재(54)는, 회전축(541), 제1 반송 부재(55), 제2 반송 부재(56)(반송 부재) 및 한쌍의 분산 부재(57)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축(541)은, 저벽(511)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그 양단에 제1 단부(542) 및 제2 단부(54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단부(542)는, 뚜껑 부재(53)의 축지지부(533)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단부(543)에는, 통형상 유지편(544)이 부착되어 있다. 이 통형상 유지편(544)에, 컨테이너 기어(54G)의 몸체부(545)가 끼워넣어짐으로써, 컨테이너 기어(54G)와 회전축(541)이 일체화되어 있다. 몸체부(545)는, 통형상부(52)의 타단부(524)(제1 축지지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토너 배출구(521)에 토너를 송출하는 가요성 필름 부재(546)가, 회전축(541)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통형상 유지편(544)의 둘레면에 장착되어 있다. 필름 부재(546)는, 회전축(541)의 회전 시에 주회한다.
제1 반송 부재(55)는, 회전축(541)과 일체로, 회전축(541)의 둘레면에 스파이럴상으로 돌출 설치된 반송 부재이다. 제2 반송 부재(56)는, 회전축(541)의 외주에, 회전축(541) 및 제1 반송 부재(55)와의 사이에 갭을 두고 배치된 중공 스파이럴상 반송 부재이다. 한쌍의 분산 부재(57)는, 회전축(541)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막대형상 부재이며, 제2 반송 부재(56)의 측부를 각각 연결하는 부재이다.
환언하면, 제2 반송 부재(56)는 복수의 아치상 반송편으로 이루어지고, 한쌍의 분산 부재(57)에 의해 이들 아치상 반송편이 일체화되어, 그 결과로, 중공 스파이럴상의 제2 반송 부재(5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반송 부재(56)의 중공 스파이럴 내에, 제1 반송 부재(55)를 둘레면에 구비한 회전축(541)이 동심상으로 삽입 통과된 모양이, 본 실시 형태의 회전 부재(54)의 구성이다. 또한, 제1 반송 부재(55)의 스파이럴 방향과, 제2 반송 부재(56)의 스파이럴 방향은 역방향이다.
한쌍의 분산 부재(57)는, 그 단부(571)에 있어서 연결 피스(57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 피스(572)는, 그 중앙부에 있어서, 회전축(541)의 제1 단부(542) 부근에 고정되어 있다. 도 10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제2 단부(543)의 측에도 동일한 연결 피스가 배치되어 있다. 즉, 회전축(541)과, 제2 반송 부재(56) 및 분산 부재(57)는 연결 피스(572)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고, 회전축(541)이 회전하면, 제2 반송 부재(56) 및 분산 부재(57)도 일체 회전한다.
회전 부재(54)는, 컨테이너 본체(51)로부터 통형상부(52)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컨테이너 본체(51) 내에 위치하는 제1 부분(54A)과, 통형상부(52) 내에 위치하는 제2 부분(54B)을 포함한다. 제1 반송 부재(55)는, 회전축(541)의 축방향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부분(54A) 및 제2 부분(54B)의 쌍방에, 제1 반송 부재(55)는 존재하고 있다. 한편, 제2 반송 부재(56)는, 제1 부분(54A)에 상당하는 영역에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분산 부재(57)는, 제1 부분(54A) 및 제2 부분(54B)의 쌍방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컨테이너 기어(54G)에, 회전축(541)을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력이 주어지면, 제1 반송 부재(55) 및 제2 반송 부재(56)는, 각각의 스파이럴 방향에 따라 토너의 반송력을 발생한다. 제2 반송 부재(56)는, 컨테이너 본체(51)로부터 통형상부(52)(토너 배출구(521))를 향해 보내도록, 토너를 반송한다. 즉, 회전축(541)의 제1 단부(542)측으로부터 제2 단부(543)측을 향해 토너를 반송한다. 이에 대하여, 제1 반송 부재(55)는, 토너를 통형상부(52)로부터 컨테이너 본체(51)로 되돌리도록, 토너를 반송한다. 즉, 회전축(541)의 제2 단부(543)측으로부터 제1 단부(542)측을 향해 토너를 반송한다. 분산 부재(57)는, 제1 반송 부재(55) 및 제2 반송 부재(56)에 의해 반송되는 토너를, 회전축(541)의 반경 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반송 부재(56)에 의해 통형상부(52)로 송출된 토너는, 한결같이 통형상부(52)의 내주벽에 가까운 부분에서, 타단부(524)를 향하도록 이동한다. 타단부(524)에 도달한 토너의 일부는, 필름 부재(546)로 가압되는 형태로, 토너 배출구(521)로부터 배출된다. 한편, 토너 배출구(521)로부터 배출되지 않은 토너는, 제1 반송 부재(55)의 구동에 의해, 한결같이 통형상부(52)의 중심축에 가까운 부분에서, 일단부(523)를 향하도록 이동한다. 그리고, 분산 부재(57)에 의한 반경 방향(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분산 효과와 함께, 토너는 컨테이너 본체(51)로 되돌려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토너 컨테이너(50)에 있어서는, 제2 반송 부재(56)에 의해 일단 통형상부(52)로 송출된 토너가, 제1 반송 부재(55)에 의해 컨테이너 본체(51)로 되돌려지는 순환 반송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토너 배출구(521)에 있어서 토너가 응집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제2 반송 부재(56)에 의한 토너의 순방향 이송의 반송 기능만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토너의 이송량에 대하여 배출량이 적으면, 통형상부(52)라는 한정된 공간 내에 있어서 토너는 이윽고 갈 곳을 잃어 통형상부(52) 내에서 가압 단단해져, 마침내 응집화한다. 그러면, 토너 배출구(521)가 토너의 응집체로 막혀져, 토너를 배출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토너 컨테이너(50)에서는, 제1 반송 부재(55)가 통형상부(52) 내에 있어서 역방향 이송하는 반송 기능을 구비하므로, 토너가 눌려 굳어지는 일이 없다.
계속하여, 주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컨테이너 본체(51)의 형상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컨테이너 본체(51)의 저벽(511)은, 회전축(541)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 반원형상의 내면(511A)을 가지고 있다. 이 내면(511A)은, 회전 부재(54)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돌출 부분인 제2 반송 부재(56)의 회전 궤적에 대응한 곡면이다. 즉, 제2 반송 부재(56)의 스파이럴 반경보다도 약간 큰 반경을 갖는 내면(511A)을, 저벽(511)은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1에서는, 도시의 간략화를 위해 제2 반송 부재(56)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제1 측벽(512)은, 회전축(541)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 직선형상의 내면( 제1 직선형상 내면(512A))을 구비하고 있다. 제2 측벽(513)도 마찬가지로 직선형상의 내면(제2 직선형상 내면(513A))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회전 부재(54)(회전축(541))의 회전 방향은, 도 11에 화살표로 표시한대로, 반시계 방향이다. 따라서, 제1 측벽(512)은 회전축(541)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제2 측벽(513)은 회전축(541)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각각 위치하는 측벽이다. 여기서, 상류측이란, 회전축(54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저벽(511)측으로부터 천정벽(515)측을 향하여 토너를 반송하는 측(도 11에서는 우측)이며, 하류측이란, 회전축(54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천정벽(515)측으로부터 저벽(511)측을 향하여 토너를 반송하는 측(도 11에서는 좌측)이다.
제1 직선형상 내면(512A)은, 회전축(541)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 반원 형상의 내면(511A)의 일단(도 11에서는 우측)으로부터, 그 접선 상에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2 직선형상 내면(513A)은, 회전축(541)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 반원 형상의 내면(511A)의 타단(도 11에서는 좌측)으로부터, 접선 상에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직선형상 내면(512A)과 제2 직선형상 내면(512B)의 간격은, 저벽(511)으로부터 상방을 향함에 따라 넓어진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 토너 컨테이너(50)에 의하면, 반원 형상의 내면(511A)이 제2 반송 부재(56)의 스파이럴 반경보다도 조금 큰 반경의 곡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저벽(511) 상의 모든 영역이 회전 부재(54)에 의한 토너의 반송 영역이 된다. 따라서, 저벽(511) 상의 토너는 회전 부재(54)에 의해 효율적으로 반송되어, 저벽(511)에 토너가 잔존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부재(54)를 향해 토너를 이송하는 교반 패들 등을 컨테이너 본체(51) 내에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어, 구성을 심플화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한편, 제1 직선형상 내면(512A)과 제2 직선형상 내면(513A)의 간격이 상방을 향해 확장하므로, 그 확장분만큼 컨테이너 용량을 크게 할 수 있음과 더불어, 회전 부재(54)의 위에 확실하게 토너를 집약시킬 수 있다.
제1 직선형상 내면(512A)은, 회전축(541)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 회전축(541)의 축심(P)을 통과하는 수평선에 대한 수선(기준선(V))에 대하여 약간 내측(기준선(V)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기울어 있는데, 기준선(V)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내면이다. 한편, 제2 직선형상 내면(513A)은, 회전축(541)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 기준선(V)에 대하여 외측(기준선 V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비교적 크게 기울어진 경사면이다. 즉, 기준선 V와 제1 직선형상 내면(512A)이 이루는 제1각(θ1)이, 기준선(V)과 제2 직선형상 내면(513A)이 이루는 제2각(θ2)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각 θ1=-3°, 제2각 θ2=15°이다.
여기서, 상기의 기준선 V는, 토너 컨테이너(50)가 토너를 현상 장치(33)(다른 기기)에 보급하는 보급 자세로 설정된 상태에 있어서 정해지는 선이다. 즉, 현상 장치(33)에 토너 컨테이너(50)가 정규로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회전축(541)의 축심(P)을 통과하는 수평선에 대한 수선이 기준선(V)이다. 따라서, 기준선(V)은, 토너 컨테이너(50)가 단체로 취급되는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면 수평면에 토너 컨테이너(50)가 정치되었을 때에 자립하는 자세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현재 보급 대상에 장착되어 보급 자세로 되어 있는 상태, 혹은 상기 보급 자세를 모의한 상태로 정해지는 선이다. 도 11은, 보급 자세 상태의 토너 컨테이너(50)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준선(V)이, 회전축(541)의 축심(P)과, 토너 배출구(521)의 회전축(541)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폭(W)의 중심점(Ow)을 연결하는 선의 연장선 상에 연장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물론, 이 배치는 일예이며, 토너 배출구(521)가 편심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회전축(541)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1 직선형상 내면(512A)은, 수평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면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각(θ1)은 -5도 이상, 5도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하여, 회전축(541)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2 직선형상 내면(513A)은, 컨테이너 용량을 크게 한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기준선(V)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경사진 면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2각(θ2)은 5도 이상, 45도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컨테이너 본체(51)에 토너(T)가 저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회전 부재(54) 상에 토너(T)가 덮어씌워지는 상태로 된다. 회전축(54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직선형상 내면(512A)의 측에 존재하는 토너는, 화살표 Y1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상방으로 들어올려진다. 이에 대하여, 제2 직선형상 내면(513A)의 측에 존재하는 토너는, 회전축(541)의 회전에 따라, 화살표 Y2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이송된다.
이 때문에, 제1 직선형상 내면(512A)의 측에 다량으로 토너가 존재하면, 회전 부재(54)가 자연스럽게 회전하는 것이 방해된다. 따라서, 회전 부재(54)를 회전시키기 위한 부하가 커져, 회전 부재(54)를 구동하는 모터 등의 구동 장치에 큰 부하를 주게 된다. 따라서, 제1각(θ1)을 -5도 이상, 5도 이하의 범위로 하고, 회전 부재(54)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토너 하중을 부여하기 어렵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각(θ1)이 5도를 초과하면, 제1 직선형상 내면(512A)의 측에 많은 토너가 존재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제1각(θ1)이 -5도를 초과하면, 컨테이너 용량이 적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제2 직선형상 내면(513A)의 측에 위치하는 토너는, 회전 부재(54)의 회전에 따라 하방으로 이송되므로, 회전 부재(54)의 회전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제2각(θ2)을 제1각(θ1)보다도 큰 각도로 하여, 컨테이너 용량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제2 직선형상 내면(513A)의 경사가, 토너 컨테이너(50) 내에 수용되는 토너의 안식각을 밑도는 경사로 되면, 저벽(511)에 도달하지 않고, 제2 직선형상 내면(513A)에 부착된 상태로 잔존하는 토너가 생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토너의 안식각은, 수평면에 대하여 35도부터 40도이다. 따라서, 제2 직선형상 내면(513A)이 수평면에 대하여 안식각보다도 큰 기울기를 갖는 면이 되도록 제2각(θ2)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각(θ2)은 45도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각(θ2)이 5도보다도 작아지면, 컨테이너 용량이 적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토너 컨테이너(50)에 의하면, 컨테이너 본체(51) 내의 용량을 확보하면서, 컨테이너 본체(51) 내에 가급적 잔존시키지 않고 토너를 토너 배출구(521)로부터 현상 장치(33)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부재(54)의 원활한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기준선(V)이, 회전축(541)의 축심(P)과, 토너 배출구(521)의 회전축(541)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폭(W)의 중심점(Ow)을 연결하는 선의 연장선 상에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토너의 배출 위치를 기준으로 제1 직선형상 내면(512A) 및 상기 제2 직선형상 내면(513A)의 기울기가 정해지므로, 회전 부재(54)를, 한층 더 토너의 영향을 받지 않고 회전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개시된 실시 형태에 관련된 토너 컨테이너(50) 및 화상 형성 장치(1)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변형 실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컨테이너 본체(51)와, 이 컨테이너 본체(51)로부터 돌출 설치된 통형상부(52)를 구비하는 토너 컨테이너(50)를 예시했다. 토너 컨테이너(50)는, 통형상부(52)를 설치하지 않고, 컨테이너 본체(51)의 저벽(511)의 일단측에 토너 배출구(521)를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부재(54)로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토너를 반송하는 제1 반송 부재(55) 및 제2 반송 부재(56)와, 한쌍의 분산 부재(57)를 구비하는 것을 예시했다. 이를 대신하여, 토너 배출구(521)를 향하는 일방향으로 토너를 반송하는 회전 부재를 채용해도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측벽(512) 및 제2 측벽(513)의 쌍방이, 그 상하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직선형상 내면(제1 직선형상 내면(512A) 및 제2 직선형상 내면(513A))을 구비하는 예를 나타냈다. 제1 측벽(512) 및 제2 측벽(513)의 상부 부근은, 상술의 제1각(θ1) 및 제2각(θ2)을 구비하지 않는 내면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2 측벽(513)의 상부가,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면이어도 된다. 또한, 제1 측벽(512) 및 제2 측벽(513)의 내면을, 완만한 곡면을 갖는 내면으로 해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현상제 수용 용기의 구체적인 예로서 토너 컨테이너(50)를 예시했다. 현상제 수용 용기는, 예를 들면 토너 저류부와 현상 롤러 등이 일체화된 현상 유닛이나, 토너 컨테이너와 현상 장치의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호퍼 등이어도 된다.

Claims (10)

  1. 현상제를 수용하고, 소정의 보급 자세로 다른 기기에 상기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로서,
    저벽 및 천정벽과, 상기 저벽 및 천정벽의 단부들을 연결하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서 상기 저벽 상에 배치되어 상기 현상제를 반송하는 회전 부재이며, 상기 저벽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과 일체 회전하는 반송 부재와, 상기 회전축을 축 둘레의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이 입력되는 구동 입력부를 갖는 회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저벽은, 상기 반송 부재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돌출된 부분의 회전 궤적에 대응한 반원형상의 내면을 하나 가지고, 상기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은, 직선형상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저벽 및 천정벽을 연결하는 제1 직선형상 내면 및 제2 직선형상 내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직선형상 내면 및 제2 직선형상 내면은, 상기 저벽의 상기 반원 형상의 내면의 접선 상에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측벽은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직선형상 내면과 상기 제2 직선형상 내면의 간격이 상기 저벽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함에 따라 넓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가 상기 보급 자세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축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에 대한 수선을 기준선으로 할 때, 상기 기준선과 상기 제1 직선형상 내면이 이루는 제1각(θ1)이 상기 기준선과 상기 제2 직선형상 내면이 이루는 제2각(θ2)보다도 작아지도록 구성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벽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현상제를 배출하는 현상제 배출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준선은, 상기 회전축의 축심과, 상기 현상제 배출구의 상기 회전축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의 연장선 상으로 연장되는 선인, 현상제 수용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직선형상 내면이 수평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면이 되도록 상기 제1각(θ1)이 선택되고,
    상기 제2 직선형상 내면이 수평면에 대하여 상기 현상제의 안식각보다도 큰 기울기를 갖는 면이 되도록 상기 제2각(θ2)이 선택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각(θ1)이 -5도 이상, 5도 이하의 범위이며,
    상기 제2각(θ2)이 5도 이상, 45도 이하의 범위인, 현상제 수용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의 일단측들을 연결하는 제3 측벽과, 타단측들을 연결하는 제4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3 측벽에는, 상기 저벽에 연속된 통형상부가 돌출 설치되고, 상기 통형상부의 하면에는 현상제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통형상부에 그 일부가 진입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통형상부에 구비된 제1 축지지부와 상기 제4 측벽에 설치된 제2 축지지부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반송 부재에 맞닿는 적어도 1개의 분산 부재를 갖는, 현상제 수용 용기.
  7. 화상 형성 장치로서,
    둘레면에 현상제 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와,
    상기 상 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현상 장치에 현상제를 보급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현상제 수용 용기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는, 상기 상 담지체의 둘레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 롤러를 가지고, 상기 현상 롤러의 축방향을 따르는 제1 방향으로 긴 형상의 현상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는, 상기 회전축이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상기 현상 장치에 장착되는, 화상 형성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현상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직선형상 내면과 상기 기준선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저벽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함에 따라 좁아지고, 상기 제2 직선형상 내면과 상기 기준선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저벽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함에 따라 넓어지도록 구성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
KR1020120036667A 2011-04-15 2012-04-09 현상제 수용 용기 및 이것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KR101457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91258 2011-04-15
JP2011091258 2011-04-15
JPJP-P-2012-026991 2012-02-10
JP2012026991A JP5740324B2 (ja) 2011-04-15 2012-02-10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が適用された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650A KR20120117650A (ko) 2012-10-24
KR101457760B1 true KR101457760B1 (ko) 2014-11-03

Family

ID=45976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667A KR101457760B1 (ko) 2011-04-15 2012-04-09 현상제 수용 용기 및 이것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93927B2 (ko)
EP (1) EP2511773B1 (ko)
JP (1) JP5740324B2 (ko)
KR (1) KR101457760B1 (ko)
CN (1) CN1027364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6460B2 (ja) * 2011-04-15 2012-11-2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526103B2 (ja) * 2011-10-24 2014-06-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が適用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5449298B2 (ja) * 2011-11-25 2014-03-1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60129B2 (ja) * 2012-10-31 2018-01-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740385B2 (ja) * 2012-11-28 2015-06-2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が適用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5975966B2 (ja) * 2013-10-30 2016-08-2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5206822A (ja) * 2014-04-17 2015-11-19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6308173B2 (ja) 2015-06-11 2018-04-1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311682B2 (ja) * 2015-09-10 2018-04-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658401B2 (ja) * 2016-08-26 2020-03-0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5631A (en) * 1989-07-18 1993-02-09 Mita Industrial Co., Ltd. Apparatus for uniformly supplying powder with reduced remnant powder
US20010046395A1 (en) * 2000-05-26 2001-11-29 Tsutomu Ashikari Toner cartridge
US20090092419A1 (en) * 2007-10-03 2009-04-09 Fuji Xerox Co., Ltd. Member for agitating and conveying developer,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02762A (ja) * 1987-11-03 1990-08-30 イーストマン・コダック・カンパニー 低価格な複写機又はプリンタのための使い捨て現像ユニット
US5083166A (en) * 1987-11-03 1992-01-21 Eastman Kodak Company Disposable development station using two component developer and method of making same
JPH0350578A (ja) * 1989-07-18 1991-03-05 Mita Ind Co Ltd 粉体供給装置
US5166732A (en) 1990-09-14 1992-11-24 Mita Industrial Co., Ltd. Developer agitating method and developer agitating apparatus
JP3673236B2 (ja) 2002-03-28 2005-07-20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トナーコンテナ
JP2004272283A (ja) * 2004-04-30 2004-09-30 Ricoh Co Ltd 現像剤貯蔵装置
JP2006091331A (ja) * 2004-09-22 2006-04-06 Sharp Corp 粉体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126570A (ja) * 2004-10-29 2006-05-18 Kyocera Mita Corp トナー供給装置
JP2006251067A (ja) * 2005-03-08 2006-09-2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切れ検出処理プログラム
JP2008242296A (ja) 2007-03-28 2008-10-09 Kyocera Mita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トナーの再充填方法
JP5577670B2 (ja) 2009-10-23 2014-08-27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電子回路素子の製造方法
JP5622471B2 (ja) 2010-07-28 2014-11-12 住友理工株式会社 抵抗増加型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89529B2 (ja) 2010-04-23 2014-09-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着脱部材の取付構造、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5631A (en) * 1989-07-18 1993-02-09 Mita Industrial Co., Ltd. Apparatus for uniformly supplying powder with reduced remnant powder
US20010046395A1 (en) * 2000-05-26 2001-11-29 Tsutomu Ashikari Toner cartridge
US20090092419A1 (en) * 2007-10-03 2009-04-09 Fuji Xerox Co., Ltd. Member for agitating and conveying developer,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36479B (zh) 2014-06-18
EP2511773B1 (en) 2019-04-10
JP5740324B2 (ja) 2015-06-24
KR20120117650A (ko) 2012-10-24
EP2511773A1 (en) 2012-10-17
CN102736479A (zh) 2012-10-17
US8693927B2 (en) 2014-04-08
JP2012230350A (ja) 2012-11-22
US20120263496A1 (en) 201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760B1 (ko) 현상제 수용 용기 및 이것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KR101453795B1 (ko) 현상제 수용 용기 및 이것이 적용된 화상 형성 장치
KR101381668B1 (ko) 화상 형성 장치
JP6665431B2 (ja) 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457759B1 (ko) 현상제 수용 용기 및 이것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EP2626750B1 (en) Developer cas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developer case is applied
JP5540142B2 (ja)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が適用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5037253B2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JP5975966B2 (ja) 画像形成装置
JP5005792B2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1008144A (ja) トナー補給装置及びトナー補給機構
JP5619246B2 (ja)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が適用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5663452B2 (ja)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が適用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5377564B2 (ja)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が適用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5589028B2 (ja) 現像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5675553B2 (ja) 現像剤搬送装置及びこれが適用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5703411B2 (ja) 現像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10032778A (ja) トナー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210780A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