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084B1 -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084B1
KR101041084B1 KR1020090081744A KR20090081744A KR101041084B1 KR 101041084 B1 KR101041084 B1 KR 101041084B1 KR 1020090081744 A KR1020090081744 A KR 1020090081744A KR 20090081744 A KR20090081744 A KR 20090081744A KR 101041084 B1 KR101041084 B1 KR 101041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chamber
transfer
partition wall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3944A (ko
Inventor
김승한
전인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1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084B1/ko
Priority to EP10171841.9A priority patent/EP2290462B1/en
Priority to US12/851,715 priority patent/US8437666B2/en
Priority to CN2010205010401U priority patent/CN201796230U/zh
Publication of KR20110023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084B1/ko
Priority to US13/859,043 priority patent/US867069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91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 G03G15/0893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in a closed loop within the sump of the developing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16Agitator type
    • G03G2215/0827Aug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36Way of functioning of agitator means
    • G03G2215/0838Circulation of developer in a closed loop within the sump of the develop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부에 저장된 현상제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개선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를 개시한다. 현상기는 내부에 현상제수용실이 마련된 하우징과, 현상제수용실을 제1현상제수용실과 제2현상제수용실로 구획하는 격벽과, 제2현상제수용실에 배치되어 제1방향으로 현상제를 이송하는 제1현상제이송부재를 포함한다. 격벽은 제1현상제수용실과 제2현상제수용실이 연통되도록 개방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제1방향의 상류측에서 제1현상제수용실과 제2현상제수용실이 서로 격리되도록 두 현상제수용실의 사이를 막는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DEVELOPING DEVICE USABLE WITH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현상기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종류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 광주사장치와 현상기를 구비한다. 광주사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현상기는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인쇄매체에 바로 전사되거나 중간전사장치를 거쳐 인쇄매체에 전사되고, 화상이 인쇄된 인쇄매체는 정착과정을 거친 후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일반적으로 현상기는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수용실과, 현상제수용실의 내 부에 배치되는 현상제이송장치와 현상부재를 구비한다. 현상제이송장치는 현상제수용실의 현상제를 유동시켜 현상부재로 공급하고, 현상부재는 현상제를 감광체로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그 내부에 저장된 현상제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개선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는 그 내부에 현상제수용실이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현상제수용실을 제1현상제수용실과 제2현상제수용실로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제2현상제수용실에 배치되어 제1방향으로 현상제를 이송하는 제1현상제이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현상기의 동작 시에 상기 제1현상제수용실의 현상제가 상기 제2현상제수용실로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현상제공급포트와, 상기 제1현상제수용실과 상기 제2현상제수용실이 연통되도록 개방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상기 제1방향의 상류측에서 상기 제1현상제수용실과 상기 제2현상제수용실이 서로 격리되도록 상기 두 현상제수용실의 사이를 막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현상기는 상기 제2현상제수용실에 배치되고, 제2방향으로 현상제를 이송하여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에 현상제를 전달하는 제2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의 하류측과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의 상류측을 연통시키는 현상제이송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현상제이송포트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에 대해 상기 차폐부의 길이는 상기 현상제이송포트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현상기는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의 상류측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구획부와, 상기 제1구획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현상제수용실을 상하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2구획부와, 상기 제2구획부로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제1방향에 대해 상기 제3구획부에 일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상기 제3구획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는 그 내부에 현상제수용실이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현상제수용실을 제1현상제수용실과 제2현상제수용실로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제2현상제수용실을 현상제이송실과 현상실로 구획하는 구획벽;과 상기 제1현상제수용실의 현상제가 상기 현상제이송실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현상제공급포트;와 상기 현상제이송실의 현상제가 상기 현상실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구획벽에 형성되는 현상제이송포트;와 상기 현상실에 배치되어 상기 현상제이송포트를 통과한 현상제를 이송하는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현상제이송실에 배치되어 현상제를 상기 현상제이송포트 쪽으로 이송하는 제2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1현상제수용실과 상기 현상실이 연통되도록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상기 현상제이송포트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현상제수용실과 상기 현상실을 서로 격리시키도록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가 현상제를 이송하는 방향에 대해 상기 차폐부의 길이는 상기 현상제이송포트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가 현상제를 이송하는 방향에 대해 상기 차폐부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제1현상제수용실과 상기 현상제이송실 사이에 배치되는 제1구획부와, 상기 제1구획부로부터 상기 현상실을 향해 절곡되어 그 상면에 현상제안착부를 형성하는 제2구획부와, 상기 제1현상제수용실과 상기 현상실 사이에 배치되는 제3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가 현상제를 이송하는 방향에 대해 상기 제3구획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는 상기 현상기의 외부로 현상제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단부에 결합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벽은 상기 실링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는 그 내부에 현상제수용실이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현상제수용실을 제1현상제수용실과 제2현상제수용실로 구획하고, 현상제안착부와 상기 현상제안착부에 형성되는 현상제공급포트를 가지는 격벽;과 상기 제1현상제수용실에 배치되어 상기 현상제안착부로 현상제를 이송하는 현상제이송벨트;와 상기 현상제안착부에 배치되어 상기 현상제공급포트로 현상제를 이송하는 현상제공급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제2현상제수용실의 내부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현상제를 이송하는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제2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 사이를 구획하고, 현상제가 통과하도록 일단부에 현상제이송포트가 형성된 구획벽;과 상기 제1현상제수용실과 상기 제2현상제수용실이 연통되도록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상기 현상제이송포트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현상제수용실과 상기 제2현상제수용실을 서로 격리시키도록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폐부는 상기 현상제안착부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상기 현상제안착부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는 그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이송날개와, 그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현상기의 외부로 현상제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벽은 상기 실링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상기는 감광체;와 상기 제2현상제수용실에 배치되어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제2현상제수용실에 배치되어 상기 현상롤러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는 상기 공급롤러와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현상제수용실 내부의 특정 부분에서 현상제가 정체됨에 따라 현상제의 대전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분하게 대전되지 않은 현상제가 감광체로 공급됨에 따라 인쇄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가 적용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 인쇄매체 공급유닛(20), 광주사유닛(30), 현상유닛(40), 전사유닛(50), 정착유닛(60) 및 인쇄매체 배출유닛(7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화상형성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인쇄매체 공급유닛(20)은 인쇄매체(S)가 보관되는 카세트(21)와, 카세트(21)에 보관된 인쇄매체(S)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2)와, 픽업된 인쇄매체를 전사유닛(5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주사유닛(30)은 옐로우(Yellow,Y), 마젠타(Magenta,M), 시안(Cyan,C), 블랙(Black,K)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인쇄 신호에 따라 후술되는 현상기(40Y, 40M, 40C, 40K)들의 각 감광체(44Y, 44M, 44C, 44K)에 주사하는 4개의 광주사기(30Y, 30M, 30C, 30K)를 포함한다. 4개의 광주사기(30Y, 30M, 30C, 30K)에 의해 주사된 광에 따라 각 감광체(44Y, 44M, 44C, 44K)들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유닛(40)은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 예를 들면, 옐로우(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 블랙(Blac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기(40Y, 40M, 40C, 40K)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 옐로우(Y) 색상의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기(40Y)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하에서 설명되는 내용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는 다른 3개의 현상기(40M, 40C, 40K)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현상기(40Y)는 하우징(41Y), 현상제수용실(100), 공급롤러(42Y), 현상롤러(43Y), 감광체(44Y)를 구비한다.
현상제수용실(100)은 하우징(41Y)의 내부에 형성되며, 감광체(44Y)로 공급될 현상제가 저장된다. 공급롤러(42Y)는 하우징(41Y)에 설치되며, 현상제수용실(100)에 저장된 현상제를 현상롤러(43Y)에 공급한다. 현상롤러(43Y)는 광주사기(30Y)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체(44Y)의 표면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킨다. 감광체(44Y)는 하우징(41Y)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현상롤러(43Y)로부터 현상제를 공급받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체(44Y)가 현상기(40Y)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감광체(44Y)는 현상기(40Y)와 별도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미설명부호 45Y는 광주사유닛(30Y)으로부터 광이 주사되기에 앞서 각 감광체(44Y)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를 나타낸다.
전사유닛(50)은 감광체(44Y)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인쇄매체로 전사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인쇄매체 이송벨트(51), 구동롤러(52), 피동롤러(53), 및 복수 개의 전사롤러(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쇄매체 이송벨트(51)는 인쇄매체 공급유닛(20)에서 공급된 인쇄매체를 복수 개의 감광체(44Y, 44M, 44C, 44K)로 이송한다.
구동롤러(52)와 피동롤러(53)는 인쇄매체 이송벨트(53)의 내측으로 그 양단에 설치되며, 인쇄매체 이송벨트(51)가 무한궤도로 회전하도록 한다.
복수 개의 전사롤러(54)는 인쇄매체 이송벨트(51)를 사이에 두고 감광체(44Y, 44M, 44C, 44K)들과 마주하며, 감광체(44Y, 44M, 44C, 44K)들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인쇄매체 이송벨트(51)에 의해 이송되는 인쇄매체로 전사되도록 한다.
정착유닛(60)은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61)와, 가열롤러(61)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가압롤러(62)를 구비한다. 인쇄매체가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 사이를 통과할 때, 가열롤러(61)로부터 전달되는 열과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전사된 화상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인쇄매체 배출유닛(70)은 배지롤러(71)와 배지백업롤러(72)를 구비하여 정착유닛(60)을 통과한 인쇄매체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2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1Y)은 베이스프레임(110), 커버(120), 상부프레임(130)과 상부커버(140)가 배치된다.
베이스프레임(110)은 그 내부에 수용되는 각종 부품을 지지한다. 커버(120) 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를 덮어 베이스프레임(110)과 함께 현상제 저장을 위한 현상제수용실(100)을 형성한다.
상부프레임(130)과 상부커버(140)는 커버(120)의 상부에 배치되고, 감광체(44Y)로부터 회수되는 폐현상제를 저장하기 위한 폐현상제수용실(132)을 형성한다.
상부프레임(130)에는 클리닝부재(134)가 설치된다. 클리닝부재(134)는 감광체(44Y)의 표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긁어낸다. 클리닝부재(134)에 의해 제거된 폐현상제는 폐현상제 이송부재(136)에 의해 이송되어 폐현상제수용실(132)에 저장된다.
폐현상제 이송부재(136)는 클리닝부재(134)의 상측에 설치된다. 폐현상제 이송부재(136)는 플레이트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몰드물이나 탄성복원력이 우수한 필름(film)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폐현상제 이송부재(136)를 플레이트타입으로 마련하면 현상기(40Y)의 높이를 낮춤에 따라 폐현상제수용실(132)의 높이가 낮아지더라도 폐현상제를 효과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현상제수용실(100)은 격벽(200)에 의해 제1현상제수용실(102)과 제2현상제수용실(104)로 구획된다. 제1현상제수용실(102)에는 현상제가 저장되고, 제2현상제수용실(104)에는 공급롤러(42Y), 현상롤러(43Y) 등과 같이 감광체(44Y)에 현상제를 공급하는데 필요한 각종 부품들이 배치된다.
격벽(200)은 제1현상제수용실(102)과 제2현상제수용실(104) 사이에 배치되어 제1현상제수용실(102)의 현상제가 한꺼번에 제2현상제수용실(104)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2현상제수용실(104)에 많은 양의 현상제가 집중될 때 현상제가 받게 되는 스트레스를 저감한다. 또한 격벽(200)은 공급롤러(42Y), 현상롤러(43Y) 주변의 온도 및 압력에 의해 변질된 현상제가 제1현상제수용실(102) 쪽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현상롤러(43Y) 주변의 현상제부터 순차적으로 소비되도록 한다.
격벽(200)은 제1구획부(210), 제2구획부(220) 및 제3구획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구획부(210)는 베이스프레임(110)의 바닥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구획부(220)는 제1구획부(210)의 상단으로부터 제2현상제수용실(104)을 향해 절곡되어 그 상면에 현상제안착부(222)를 형성한다. 제3구획부(230)는 제2구획부(220)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3구획부(230)의 상단부는 제2현상제수용실(104) 쪽으로 절곡되어 커버(120)에 밀착된다.
제1현상제수용실(102)의 내부에는 벨트장치(150)가 배치된다. 벨트장치(150)는 제1현상제수용실(102)에 저장된 현상제 중 일부를 격벽(200)의 현상제안착부(222)로 공급한다. 벨트장치(150)는 현상제를 이송하는 역할과 함께 제1현상제수용실(102)의 현상제를 교반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벨트장치(150)는 제1회전체(152), 제2회전체(154)와 현상제이송벨트(156)를 포함한다. 제1회전체(152)와 제2회전체(154)는 현상제이송벨트(15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현상제이송벨트(156)는 제1회전체(152)와 제2회전체(154)의 주위를 회전하고, 제1현상제수용실(102)에 저장된 현상제를 격벽(200)의 현상제안착부(222)로 이송한다.
제1회전체(152)는 격벽(200)의 인접하여 제1현상제수용실(102)의 내부에 배 치되고, 제2회전체(154)는 제1회전체(152)와 소정 간격을 두고 제1회전체(152)의 맞은 편에 배치된다.
제1회전체(152)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현상제이송벨트(156) 내면의 일측을 지지하여 회전력을 전달한다. 제2회전체(154)는 현상제이송벨트(156) 내면의 타측을 지지하고, 현상제이송벨트(156)와 함께 회전한다.
제1회전체(152)와 제2회전체(154)는 제1현상제수용실(102)에 저장된 현상제를 교반할 수 있도록 나선형 날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현상제이송벨트(156)는 보통 2mm 이하의 두께를 가진 필름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현상제를 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벨트를 사용하면, 화상형성장치를 소형화하기 위해 현상기의 두께를 얇게 하더라도 현상제 이송을 위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현상제 이송 과정에서 현상제가 받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제1현상제수용실(102)과 제2현상제수용실(104)은 격벽(200)의 일측에 형성된 현상제공급포트(224)를 통해 서로 연통된다. 현상기(40Y)의 동작 시에 제1현상제수용실(102)에 저장된 현상제는 현상제공급포트(224)를 통해 제2현상제수용실(104)로 공급된다.
도 4와 같이, 격벽(200)의 현상제공급포트(224)는 현상제안착부(222)의 일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격벽(200)의 상부에는 현상제안착부(222)에 놓인 현상제를 현상제공급포트(224) 쪽으로 이송하는 현상제공급부재(160)가 배치될 수 있다.
현상제공급부재(160)는 오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현상제공급부재(160)는 축방향으로 이송력을 발생시키는 이송날개(162)와, 현상제공급포트(224)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현상제공급부재(160)의 단부에 마련되는 회송날개(1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벨트장치(150)에 의해 현상제안착부(222)로 공급된 현상제는 현상제공급부재(160)에 의해 격벽(200)의 일측으로 이송된 후, 현상제공급포트(224)를 통해 제2현상제수용실(104)로 낙하된다.
현상제공급부재(160)에 의해 제2현상제수용실(104)에 충분한 양의 현상제가 공급되면, 현상제공급포트(224)를 통한 현상제의 유입은 중단되고, 현상제공급포트(224)로 유입되지 않은 현상제는 현상제공급부재(160)의 회송날개(164)에 의해 제1현상제수용실(102)로 반송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현상제수용실(104)은 구획벽(170)에 의해 현상제이송실(106)과 현상실(108)로 구획된다. 현상제이송실(106)은 격벽(200)의 제2구획부(220)의 하부에 위치되고, 현상제공급포트(224)를 통해 제1현상제수용실(102)과 연통된다. 격벽(200)의 제3구획부(230)는 제1현상제수용실(102)과 현상실(108) 사이에 배치된다.
구획벽(170)의 일측 단부에는 현상제이송실(106)의 현상제가 현상실(108)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현상제이송포트(172)가 형성되고, 구획벽(170)의 타측 단부에는 현상실(108)의 현상제가 현상제이송실(106)로 복귀될 수 있도록 현상제순환포트(174)가 형성된다.
현상실(108)에는 현상롤러(43Y), 공급롤러(42Y)와 제1현상제이송부재(180)가 배치되고, 현상제이송실(106)에는 제2현상제이송부재(190)가 배치된다. 제1현상제이송부재(180)와 제2현상제이송부재(190)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양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현상제이송부재(180)는 현상제이송포트(172)를 통해 현상실(108)로 공급된 현상제를 제1방향(X1방향)으로 이송한다. 이러한 이송과정에서 현상제는 공급롤러(42Y)를 거쳐 현상롤러(43Y)로 공급된다. 현상롤러(43Y)로 공급된 현상제는 규제장치(128, 도 2 참조)에 의해 그 층이 규제되고, 광주사기(30Y)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체(44Y)의 표면에 부착되어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이 때 감광체(44Y) 쪽으로 공급되지 못하고 현상제순환포트(174)까지 도달한 현상제는 현상제순환포트(174)를 통해 현상제이송실(106)로 복귀한다.
제1현상제이송부재(180)는 이송축(182)과, 이송축(182)의 축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이송날개(18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현상제이송포트(172)에 인접한 이송축(182)의 단부에는 실링부재(186)가 설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186)는 이송축(182)이 베이스프레임(110)을 관통하는 부분에서 현상제가 현상기(40Y)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현상제이송부재(190)는 현상제공급포트(224)를 통해 현상제이송실(106)로 공급된 현상제와 현상제순환포트(174)를 통해 현상제이송실(106)로 복귀된 현상제를 현상제이송포트(172)를 향해 제2방향(X2)으로 이송한다.
제2현상제이송부재(190)는 이송축(192)과, 이송축(192)의 축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이송날개(19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현상제공급부재(160), 제1현상제이송부재(180), 제2현상제이송부재(190), 공급롤러(42Y) 및 현상롤러(43Y)는 현상제를 감광체(44Y)를 향해 공급하는 수단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반드시 이러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예시된 오거 형태의 이송부재들(160, 180, 190)은 다른 형태의 이송부재들로 대체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200)은 제1현상제수용실(102)과 제2현상제수용실(104)이 연통되도록 개방된 개구(240)들을 포함한다.
개구(240)들은 현상기(40Y)의 제1현상제수용실(102)에 현상제를 채워 넣을 때, 현상제가 격벽(200)을 통과하여 제2현상제수용실(104)에도 일부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개구(240)들은 현상실(108)에서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현상제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인쇄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인쇄매체에 인쇄되는 문자의 양이 많지 않아 현상실(108)의 현상제가 적게 소모되는 경우에는 현상실(108)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며, 이에 따라 현상제의 유동성이 저하된다. 현상제의 유동성이 저하되면, 현상제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마찰 대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현상제의 대전 특성이 저하되고, 현상제가 감광체(44Y)의 노광 영역 이외에 부착되어 인쇄 불량이 야 기될 수 있다. 그러나 격벽(200)에 개구(240)들이 형성되면, 현상실(108)의 압력 상승이 개구(240)들을 통해 해소되므로 현상실(108)의 압력 상승으로 인한 인쇄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개구(240)들은 격벽(200)의 제3구획부(23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현상제이송부재(180)가 현상제를 이송하는 방향인 제1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240)들의 하부에는 역류방지부재(250)가 마련될 수 있다. 역류방지부재(250)는 격벽(200)의 제3구획부(230)로부터 현상실(108)로 돌출되어 현상실(108)의 현상제가 개구(240)들을 통해 제1현상제수용실(102)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 및 도 5에서는 격벽(200)에 복수의 개구가 제1방향을 따라 배열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하나의 개구만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슬릿 형태의 개구들을 상하 방향으로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200)은 제1현상제이송부재(180)가 현상제를 이송하는 방향, 즉 제1방향(X1)의 상류측에서 제1현상제수용실(102)과 제2현상제수용실(104)의 사이를 막아 두 현상제수용실(102, 104)을 서로 격리시키는 차폐부(260)를 포함한다. 차폐부(260)는 격벽(200)의 제3구획부(23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차폐부(260)는 제1현상제수용실(102)의 현상제가 현상제공급부재(160), 제2현상제이송부재(190)를 거치지 않고 제1현상제이송부재(180)의 상류측으로 넘어 오는 것을 방지한다. 제1현상제수용실(102)의 현상제가 순차적인 이송 과정을 거치지 않고 제1현상제이송부재(180)의 상류측으로 넘어오게 되면, 충분하게 마찰 대전되지 않은 현상제가 현상롤러(43Y)로 공급되어 인쇄 불량을 초래할 수 있 수 있다. 그러나 제1방향(X1)의 상류측에 대응하여 격벽(200)에 차폐부(260)를 형성하면, 충분하게 마찰 대전되지 않은 제1현상제수용실(102)의 현상제가 제1현상제이송부재(180)로 바로 넘어 오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쇄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차폐부(260)는 구획벽(170)에 형성된 현상제이송포트(17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차폐부(260)는 제1현상제이송부재(180)가 현상제이송포트(172)를 통해 전달되는 현상제를 이송할 때, 현상제가 제1방향(X1)으로 효율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현상제가 적체되는 현상제이송포트(172) 부근에서 제1현상제수용실(102)과 현상실(108)이 연통되어 있으면, 제1현상제이송부재(180)의 이송 압력이 제1현상제수용실(102) 쪽으로 손실되어 제1방향으로의 이송력이 약화되고, 현상제이송포트(172) 근처에서 현상제가 정체되는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 그러나 현상제이송포트(17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차폐부(260)를 통해 제1현상제수용실(102)과 현상실(108)을 서로 격리시키면, 현상제이송포트(172) 부근의 현상제가 제1방향(X1)으로 효과적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제1방향(X1)에 대해 차폐부(260)의 길이(L1)는 현상제이송포트(172)의 길이(L2)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구획벽(170)은 제1현상제이송부재(180)의 실링부재(186)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방벽(barrier, 17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현상제이송부재(180)에서 실링부재(186)가 설치된 부분은 이송날개(184)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비해 이송력이 떨어진다. 그러므로 실링부재(186) 쪽으로 현상제가 공급되면, 실링부재(186) 부근에서 현상제가 정체되어 인쇄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방벽(176)은 현상제이송실(106)의 현상제가 제1현상제이송부재(180)의 실링부재(186) 쪽으로 직접적으로 공급되어 현상제가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실링부재(186) 주위로 현상제가 들어오더라도 제1방향(X1)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위의 실시예에서는 현상실(108)에 하나의 현상제이송부재(180)가 배치되고, 차폐부(260)가 격벽(200)의 일측에 마련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현상실(108)에 두 개 이상의 현상제이송부재가 배치되고, 차폐부(260)가 격벽(200)의 양측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가 적용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40Y, 40M, 40C, 40K : 현상기 100 : 현상제수용실
102 : 제1현상제수용실 104 : 제2현상제수용실
106 : 현상제이송실 108 : 현상실
170 : 구획벽 172 : 현상제이송포트
176 : 방벽 180 : 제1현상제이송부재
190 : 제2현상제이송부재 200 : 격벽
224 : 현상제공급포트 240 : 개구
260 : 차폐부

Claims (17)

  1. 그 내부에 현상제수용실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현상제수용실을 제1현상제수용실과 제2현상제수용실로 구획하는 격벽;
    상기 제2현상제수용실에 배치되어 제1방향으로 현상제를 이송하는 제1현상제이송부재;
    상기 제2현상제수용실에 배치되고, 제2방향으로 현상제를 이송하여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에 현상제를 전달하는 제2현상제이송부재;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의 하류측과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의 상류측을 연통시키는 현상제이송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현상기의 동작 시에 상기 제1현상제수용실의 현상제가 상기 제2현상제수용실로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현상제공급포트와, 상기 제1현상제수용실과 상기 제2현상제수용실이 연통되도록 개방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상기 현상제이송포트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방향의 상류측에서 상기 제1현상제수용실과 상기 제2현상제수용실이 서로 격리되도록 상기 두 현상제수용실의 사이를 막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에 대해 상기 차폐부의 길이는 상기 현상제이송포트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의 상류측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구획부와, 상기 제1구획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현상제수용실을 상하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2구획부와, 상기 제2구획부로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제1방향에 대해 상기 제3구획부에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상기 제3구획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8. 그 내부에 현상제수용실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현상제수용실을 제1현상제수용실과 제2현상제수용실로 구획하는 격벽;
    상기 제2현상제수용실을 현상제이송실과 현상실로 구획하는 구획벽;
    상기 제1현상제수용실의 현상제가 상기 현상제이송실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현상제공급포트;
    상기 현상제이송실의 현상제가 상기 현상실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구획벽에 형성되는 현상제이송포트;
    상기 현상실에 배치되어 상기 현상제이송포트를 통과한 현상제를 이송하는 제1현상제이송부재;
    상기 현상제이송실에 배치되어 현상제를 상기 현상제이송포트 쪽으로 이송하는 제2현상제이송부재;
    상기 제1현상제수용실과 상기 현상실이 연통되도록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상기 현상제이송포트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현상제수용실과 상기 현상실을 서로 격리시키도록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가 현상제를 이송하는 방향에 대해 상기 차폐부의 길이는 상기 현상제이송포트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가 현상제를 이송하는 방향에 대해 상기 차폐부의 하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제1현상제수용실과 상기 현상제이송실 사이에 배치되는 제1구획부와, 상기 제1구획부로부터 상기 현상실을 향해 절곡되어 그 상면에 현상제안착부를 형성하는 제2구획부와, 상기 제1현상제수용실과 상기 현상실 사이에 배치되는 제3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가 현상제를 이송하는 방향에 대해 상기 제3구획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는 상기 현상기의 외부로 현상제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단부에 결합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벽은 상기 실링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13. 그 내부에 현상제수용실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현상제수용실을 제1현상제수용실과 제2현상제수용실로 구획하고, 현상제안착부와 상기 현상제안착부에 형성되는 현상제공급포트를 가지는 격벽;
    상기 제1현상제수용실에 배치되어 상기 현상제안착부로 현상제를 이송하는 현상제이송벨트;
    상기 현상제안착부에 배치되어 상기 현상제공급포트로 현상제를 이송하는 현상제공급부재;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제2현상제수용실의 내부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현상제를 이송하는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제2현상제이송부재;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 사이를 구획하고, 현상제가 통과하도록 일단부에 현상제이송포트가 형성된 구획벽;
    상기 제1현상제수용실과 상기 제2현상제수용실이 연통되도록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
    상기 현상제이송포트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현상제수용실과 상기 제2현상제수용실을 서로 격리시키도록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현상제안착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상기 현상제안착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는 그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이송날개와, 그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현상기의 외부로 현상제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벽은 상기 실링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17. 제13항에 있어서,
    감광체;
    상기 제2현상제수용실에 배치되어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
    상기 제2현상제수용실에 배치되어 상기 현상롤러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는 상기 공급롤러와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KR1020090081744A 2009-09-01 2009-09-01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KR101041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744A KR101041084B1 (ko) 2009-09-01 2009-09-01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EP10171841.9A EP2290462B1 (en) 2009-09-01 2010-08-04 Developing device usable with image forming apparatus
US12/851,715 US8437666B2 (en) 2009-09-01 2010-08-06 Developing device usable with image forming apparatus
CN2010205010401U CN201796230U (zh) 2009-09-01 2010-08-23 能用于图像形成装置的显影器件
US13/859,043 US8670696B2 (en) 2009-09-01 2013-04-09 Developing device usable with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744A KR101041084B1 (ko) 2009-09-01 2009-09-01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944A KR20110023944A (ko) 2011-03-09
KR101041084B1 true KR101041084B1 (ko) 2011-06-13

Family

ID=43334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744A KR101041084B1 (ko) 2009-09-01 2009-09-01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437666B2 (ko)
EP (1) EP2290462B1 (ko)
KR (1) KR101041084B1 (ko)
CN (1) CN20179623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66844A (ja) 2012-09-26 2014-04-17 Brother Ind Ltd 現像器
JP6390602B2 (ja) * 2015-12-17 2018-09-1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699212B2 (ja) * 2016-02-10 2020-05-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919209B2 (ja) * 2017-01-30 2021-08-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212846362U (zh) * 2019-07-12 2021-03-30 纳思达股份有限公司 一种显影盒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0313A (ja) * 2005-11-22 2007-06-07 Kyocera Mita Corp 現像装置
JP2009186832A (ja) * 2008-02-07 2009-08-20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1625A (ja) * 1998-02-12 1999-08-27 Minolta Co Ltd 現像装置
JP2006251440A (ja) * 2005-03-11 2006-09-21 Ricoh Co Ltd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267722A (ja) * 2005-03-24 2006-10-05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06276490A (ja) * 2005-03-29 2006-10-12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07086392A (ja) * 2005-09-22 2007-04-05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7298908A (ja) * 2006-05-08 2007-11-15 Fuji Xerox Co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
JP2007304281A (ja) * 2006-05-10 2007-11-22 Fuji Xerox Co Ltd 粉体供給器、粉体供給器への粉体充填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4479693B2 (ja) * 2006-06-02 2010-06-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粉体供給器、粉体供給器の製造方法、及び粉体供給器の再生方法
JP4924005B2 (ja) * 2006-12-18 2012-04-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搬送装置、現像装置、可視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8310273A (ja) * 2007-06-18 2008-12-25 Kyocera Mita Corp 現像装置
US7991330B2 (en) * 2007-08-07 2011-08-02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unit including developer conveyance system having supply path, recovery path, and agitation path, process cartridge including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process cartridge
KR101529490B1 (ko) * 2008-10-24 2015-06-30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0313A (ja) * 2005-11-22 2007-06-07 Kyocera Mita Corp 現像装置
JP2009186832A (ja) * 2008-02-07 2009-08-20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1796230U (zh) 2011-04-13
US20130223890A1 (en) 2013-08-29
US20110052265A1 (en) 2011-03-03
EP2290462B1 (en) 2018-10-03
KR20110023944A (ko) 2011-03-09
EP2290462A3 (en) 2014-10-22
US8670696B2 (en) 2014-03-11
EP2290462A2 (en) 2011-03-02
US8437666B2 (en) 201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6093B2 (en) Developing device, image carrier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369770B2 (en) Collection container, clea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collecting waste toner efficiently
EP160780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811452B2 (ja) 画像形成装置
US917645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waste toner conveying device incorporated in same
US8472845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developing device
KR101041084B1 (ko)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US9448509B2 (en) Developing device
US7437105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099499B1 (ko)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기
JP3724568B2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5470144B2 (ja) トナー搬送装置、それを備えた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
CN102193411B (zh) 色粉盒和包括色粉盒的图像形成设备
US8218998B2 (en) Developer storing container having a seal to prevent toner leakage
JP2016090617A (ja) 廃トナー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
KR100693335B1 (ko) 현상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KR100941421B1 (ko) 현상제 저장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3724567B2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6667132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123065A (ja) 粉体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5988335B (zh) 显影剂存储体、图像形成单元和图像形成装置
JP3935760B2 (ja) 画像形成装置
JP5317796B2 (ja) 画像形成装置
JP6409939B2 (ja) 廃トナー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
JP2021081513A (ja) トナー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