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499B1 -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기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499B1
KR101099499B1 KR1020080031765A KR20080031765A KR101099499B1 KR 101099499 B1 KR101099499 B1 KR 101099499B1 KR 1020080031765 A KR1020080031765 A KR 1020080031765A KR 20080031765 A KR20080031765 A KR 20080031765A KR 101099499 B1 KR101099499 B1 KR 101099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developing
image
counsel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0971A (ko
Inventor
김종인
백명수
권오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205,047 priority Critical patent/US7885580B2/en
Priority to CN2013100262832A priority patent/CN103076731A/zh
Priority to RU2008138094/28A priority patent/RU2414733C2/ru
Priority to CN2008101615224A priority patent/CN101515130B/zh
Priority to BRPI0803603-9A priority patent/BRPI0803603B1/pt
Priority to BR122019016107-0A priority patent/BR122019016107B1/pt
Priority to EP09150918.2A priority patent/EP2093622B2/en
Priority to ES09150918.2T priority patent/ES2368819T5/es
Priority to EP10189953.2A priority patent/EP2275875B1/en
Priority to AT09150918T priority patent/ATE515721T1/de
Priority to PL09150918.2T priority patent/PL2093622T5/pl
Publication of KR20090090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971A/ko
Priority to US12/981,848 priority patent/US827087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499B1/ko
Priority to US13/585,145 priority patent/US8396396B2/en
Priority to US13/761,560 priority patent/US2013015647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26Details of unit using a sol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47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15/015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onto which the monocolour toner images are superposed before common transfer from the recording member
    • G03G15/0168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onto which the monocolour toner images are superposed before common transfer from the recording member single rotation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21Details of unit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handling means after the developing zone and before the supply, e.g. developer recovering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78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 G03G15/0189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현상제 소비량을 고려하여 현상기들의 현상제 저장용량을 적절히 설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상담지체와, 상담지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담지체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복수의 현상기를 구비한다. 복수의 현상기는 현상제 저장용량이 가장 큰 제1현상기와, 상담지체의 회전 방향에 대해 가장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2현상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제2현상기는 제1현상기 다음으로 큰 현상제 저장용량을 가진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기{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ING DEVICE AND DEVELOPER THEREOF}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담지체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복수의 현상기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기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종류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적인 현상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은 인쇄매체에 바로 전사되거나 중간전사체를 거쳐 인쇄매체에 전사되고, 인쇄매체로 전사된 화상은 정착과정을 통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이러한 인쇄과정에서 감광체 또는 중간전사체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이 중간전사체나 인쇄매체로 완전하게 전사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일부는 감광체나 중간전사 체에 잔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잔류하는 폐현상제는 클리닝장치에 의해 제거되어 폐현상제 저장용기에 저장된다.
일반적으로 클리닝장치는 감광체나 중간전사체와 같은 상담지체의 표면에 소정 압력으로 접촉하는 클리닝 블레이드로 구성된다. 클리닝 블레이드의 일단부는 상담지체의 표면과 마찰하여 상담지체의 표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긁어낸다.
상담지체의 표면에 적당한 양의 현상제가 잔류하는 경우에는 특별한 문제가 없으나, 화상형성장치가 워밍업 될 때처럼 상담지체의 표면에 현상제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경우나 전사 효율이 좋은 인쇄매체를 사용함에 따라 상담지체의 표면에 적은 양의 현상제만이 잔류하는 경우에는 클리닝 블레이드와 상담지체 간에 마찰력이 크게 작용하여 클리닝 블레이드가 뒤집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클리닝 블레이드가 뒤집히지는 않더라도 상담지체와 클리닝 블레이드 간의 마찰력이 과도하게 커짐에 상담지체나 클리닝 블레이드가 손상되거나 마찰 소음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정시점,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를 워밍업할 때 또는 연속적인 인쇄 과정에서 한 페이지의 인쇄를 마치고 다음 페이지를 인쇄하기 전에 윤활용 화상을 상담지체에 형성하여 상담지체와 클리닝 블레이드 간의 마찰을 저감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이 방법이 복수의 현상기를 구비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칼라화상형성장치에는 각 색상 별로 4개의 현상기가 구비되는데, 4개의 현상기 중 어느 하나의 현상기는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 동작 뿐만 아니라 상담지체 상에 윤활용 화상을 형성하는 동작에서 상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한다. 이와 같이 윤활 동작에서 사용되는 현상기는 다른 현상기들보다 상대적으로 현상제 소비량이 많기 때문에 당연히 다른 현상기들보다 교체 주기가 짧아질 수 밖에 없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특정 현상기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며, 더 나아가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에 대해 깊이 있게 알지 못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제품의 품질을 불신할 수 있다.
또한 칼라화상형성장치에서는 상담지체에 형성된 윤활용 화상이 그 하류측에 배치된 현상기들을 모두 지나쳐 갈 때까지는 다음 인쇄 동작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연속적인 인쇄 동작에서 인쇄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담지체에 형성된 윤활용 화상은 그 하류측에 배치된 현상기들을 지나치는 과정에서 현상기 쪽으로 이동하여 현상기를 오염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음 인쇄 동작에서 화상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담지체에 공급된 현상제 일부는 상담지체에 부착되지 못하고 낙하하거나 비산되어 현상기 내부를 오염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 은 잔류현상체가 광창부에 유입되는 경우에는 인쇄 동작에서 화상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제 소비량을 고려하여 현상기들의 현상제 저장용량을 적절히 설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담지체에 형성된 윤활용 화상으로 인해 인쇄 속도가 저하되거나 현상기들이 오염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담지체에 부착되지 못하고 비산된 잔류현상제가 현상기 내부 및 광창부를 오염시켜 인쇄 동작에서 화상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기는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상담지체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복수의 현상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현상기는 현상제 저장용량이 가장 큰 제1현상기;와 상기 상담지체의 회전 방향에 대해 가장 하류측에 배치되고, 현상제 저장용량이 상기 제1현상기의 현상제 저장용량보다는 작고 나머지 현상기들의 현상제 저장용량보다는 큰 제2현상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담지체와 마찰하여 상기 상담지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현상기는 상기 상담지체로 현상제를 공급하여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클리닝유닛 간의 마찰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담지체에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광주사장치는 상담지체의 표면에 윤활용 정전잠상을 형성하며, 상기 제2현상기는 상기 윤활용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상기들은 서로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담지체는 그 표면에 정전잠상과 현상제화상이 형성되는 감광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현상기는 그 표면에 정전잠상과 현상제화상이 형성되는 감광체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상담지체는 상기 각각의 감광체로부터 전사되는 현상제화상을 담지하는 중간전사체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현상기에는 블랙 색상의 현상제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현상기에는 옐로우 색상의 현상제가 저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현상기는 현상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현상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현상제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현상부재에서 상기 상담지체 측으로 돌출마련된 담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담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상기 담지부가 상기 상담지체 측으로 돌출된 정도와 상이하게 마련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담지체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가장 상류측에 위치한 상기 현상기에 마련된 상기 담지부가 상기 상담지체 측으로 가장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담지체와 가장 근접하는 상기 담지부의 전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담지체의 외주면 형상을 따라 상측으로 절곡되어 마련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현상기에는 상기 현상부재에 상기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부재가 더 마련되며, 상기 담지부는, 상기 현상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되, 일측이 상기 담지부에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현상부재와 공급부재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하도록 마련된 현상제차단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상제차단막은, 상기 상기 현상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기울어져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현상제는, 수평면에 대하여 예각인 공급각을 이루며 상기 상담지체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상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현상제가 상기 공극각을 이루며 공급되도록 상기 공급각 만큼 기울어져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공급각은 상기 현상제의 안식각의 절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각은, 실질적으로 10도인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기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장치;와 상기 감광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현상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현상기는 제1체적을 가지는 현상제저장부를 포함하는 제1현상기와, 상기 제1체적보다 작은 제2체적을 가지는 현상제저장부를 포함하는 제2현상기와, 상기 제2체적보다 작은 제3체 적을 가지는 현상제저장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현상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현상기는 상기 감광체의 회전 방향에 대해 가장 하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하여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현상기, 제2현상기 및 적어도 하나의 제3현상기는 서로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광체와 마찰하여 상기 감광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광주사장치는 상기 감광체에 윤활용 정전잠상을 형성하며, 상기 제2현상기는 윤활용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윤활용 현상제화상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감광체와 상기 클리닝유닛 간의 마찰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감광체로부터 전사되는 화상을 담지하는 중간전사벨트와, 상기 중간전사벨트와 마찰하여 상기 감광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3 현상기 중 적어도 하나의 현상기에는, 상기 상담지체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감광체에 부착되지 못한 잔류현상제가 수용되는 담지부가 마련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담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상기 담지부가 상기 감광체 측으로 돌출된 정도와 상이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광체의 회전 방향에 대해 가장 상류측에 위치한 상기 현상기에 마련된 상기 담지부가 상기 감광체 측으로 가장 돌출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현상기에는 상기 현상제를 상기 감광체에 부착하는 현상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담지부에는, 상기 현상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되, 일측이 상기 담지부에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현상부재와 인접하도록 현상제차단막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3현상기중 적어도 하나의 현상기에는, 수평면에 대하여 예각인 공급각을 이루며 현상제가 상기 감광체로 공급되도록 마련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공급각은, 상기 현상제 안식각의 절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각은, 실질적으로 10도인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기는 감광체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복수의 현상기;와 상기 각각의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장치;와 상기 감광체로부터 전사되는 화상을 담지하는 중간전사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현상기는 제1체적을 가지는 현상제저장부를 포함하는 제1현상기와, 상기 제1체적보다 작은 제2체적을 가지는 현상제저장부를 포함하는 제2현상기와, 상기 제2체적보다 작은 제3체적을 가지는 현상제저장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현상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현상기는 상기 중간전사체의 회전 방향에 대해 가장 하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하여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현상기, 제2현상기 및 적어도 하나의 제3현상기는 상기 중간전사체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전사체와 마찰하여 상기 중간전사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광주사장치는 상기 제2현상기의 감광체에 윤활용 정전잠상을 형성하며, 상기 제2현상기는 윤활용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윤활용 현상제화상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중간전사체와 상기 클리닝유닛 간의 마찰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기는 회전하는 상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담지체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현상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현상기는 현상제 저장용량이 가장 큰 제1현상기;와, 상담지체의 회전 방향에 대해 가장 하류측에 배치되고, 현상제 저장용량이 상기 제1현상기의 현상제 저장용량보다는 작고 나머지 현상기들의 현상제 저장용량보다는 큰 제2현상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에 의하여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기는 상담지체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되되 적어도 어느 하나는 현상제 저장용량이 상이한 복수개의 현상기; 상기 현상기에 마련되어 상기 상담지체에 부착되지 못한 잔류현상제가 수용되는 담지부; 및 상기 현상기 중 상기 상담지체의 회전 방향으로 최상류측에 배치된 최상류현상기에 마련된 최상류담지부가 다른 현상기에 마련된 상기 담지부 보다 상기 상담지체 측으로 가장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하여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기는 상담지체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되되 적어도 어느 하나는 현상제 저장용 량이 상이하며, 상기 현상제를 상기 상담지체에 부착하는 현상부재가 마련된 복수개의 현상기와, 상기 현상부재 하측에 상기 현상기와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상담지체에 부착되지 못한 잔류현상제를 수용하는 담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하여서도 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현상기에 마련된 상기 담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상기 담지부가 상기 상담지체 측으로 돌출된 정도와 상이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담지체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가장 상류측에 위치한 상기 현상기에 마련된 상기 담지부가 상기 상담지체 측으로 가장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상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일측이 상기 담지부에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현상부재와 인접하되, 상기 회전롤러의 회전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현상제차단막이 마련된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기는 상담지체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현상기들 중 최하류측에 배치되어 상담지체에 제1색상의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기로서, 상담지체에 블랙 색상의 현상제를 공급하는 제1현상기보다는 작은 현상제 저장용량을 가지며, 상담지체에 제2색상의 현상제를 공급하는 제2현상기보다는 큰 현상제 저장용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에 의하여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기는 블랙 색상의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기로서, 상담지체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현상기들 중 상담지체에 제1색상의 현상제를 공급하는 제1현상기보다 상 류측에 배치되며, 제1현상기보다 큰 현상제 저장용량을 가지고, 상담지체의 회전 방향으로 최하류측에 배치된 제2현상기보다 큰 현상제 저장용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에 의하여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기는 상담지체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현상기들 중 상담지체에 블랙 색상의 현상제를 공급하는 제1현상기보다 작은 현상제 저장용량을 가지고, 상담지체의 회전 방향으로 최하류측에 배치되는 제2현상기보다도 작은 현상제 저장용량을 가지며, 상담지체의 회전 방향으로 제1현상기와 제2현상기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에 의하여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현상기는, 상기 현상제가 수평면에 대하여 상기 현상제 안식각의 절반보다 작은 예각의 공급각을 이루며 상기 상담지체로 공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급각은, 실질적으로 10도인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기는 현상기하우징; 상기 현상기하우징에 마련된 현상제저장부; 상기 현상제저장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상담지체에 부착시키는 현상부재; 및 상기 현상부재의 하측에 마련되되 상기 현상기하우징의 전방으로 상기 상담지체와 간섭되지 않을 정도로 연장되어, 상기 현상부재에 의하여 상기 상담지체에 부착되지 못한 잔류현상제가 수용되는 담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에 의하여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기는 현상기하우 징; 상기 현상기하우징에 마련된 현상제저장부; 상기 현상제저장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상담지체에 부착시키는 현상부재; 상기 현상부재의 하측에 마련되되 상기 현상기하우징의 전방으로 상기 상담지체와 간섭되지 않을 정도로 연장되어, 상기 현상부재에 의하여 상기 상담지체에 부착되지 못한 잔류현상제가 수용되는 담지부; 및 상기 현상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되, 상기 담지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현상부재와 인접하도록 마련된 현상제차단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에 의하여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기는 상담지체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되되 적어도 어느 하나는 현상제 저장용량이 상이한 복수개의 현상기; 각각의 상기 현상기는, 상기 현상제가 상담지체로 수평면에 대하여 상기 현상제 안식각의 절반보다 작은 예각의 공급각을 이루며 공급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하여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각은, 실질적으로 10도인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회전 방향을 가지는 상담지체;와 현상제 저장용량과, 잔류 현상제를 수용하는 담지부를 가지는 복수의 현상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현상기 중 상기 상담지체의 회전 방향에 대해 가장 상류측에 배치되는 현상기는 나머지 현상기들 중 적어도 하나보다 큰 현상제 저장용량과, 나머지 현상기들의 다른 담지부보다 상기 상담지체 쪽으로 더 돌출되는 담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윤활용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기의 현상제 저장용량을 다른 현상기들보다 크게 하여 그 수명을 다른 현상기들과 균형있게 맞춤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윤활 동작에 사용되는 현상기를 상담지체의 회전 방향에 대해 가장 하류측에 배치함으로써 인쇄 속도와 저하 및 주변 부품의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잔류현상체가 낙하되거나 비산되어 현상기 내부 및 광창부 내부를 오염시켜 발생하는 화상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 인쇄매체 공급장치(20), 광주사장치(30), 감광체(40), 현상장치(50), 전사장치(60), 정착장치(70) 및 인쇄매체 배출장치(80)를 구비한다.
본체(10)는 화상형성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본체(10)의 일측에는 본체커버(11)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체커버(11)는 본체(10)의 일부분을 개폐한다. 사용자는 본체커버(11)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접근하여 현상장치(50)를 비롯한 각종 부품들을 착탈할 수 있다.
인쇄매체 공급장치(20)는 인쇄매체(S)가 보관되는 카세트(21)와, 카세트(21)에 보관된 인쇄매체(S)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2)와, 픽업된 인쇄매체를 전사장치(6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주사장치(30)는 감광체(40)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광주사장치(30)는 화상형성장치(1)가 인쇄 동작을 수행할 때에는 화상 정보에 상응하는 광을 감광체(40)에 주사한다. 또 광주사장치(30)는 화상형성장치(1)가 감광체(40) 와 전사장치(60)를 윤활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때에는 감광체(40)에 윤활용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윤활용 정전잠상은 감광체(40)의 축 방향을 따라 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주사장치(30)는 광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도록 투광부재(31)를 가지는 케이스(32)와, 케이스(32)의 내부에 장착되는 주사광학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사광학계는 광을 출사하는 광원(33)과, 광원(33)에서 출사된 광을 편향시키는 광편향기(34)와, 광편향기(34)에서 편향된 광에 포함된 수차를 보정하는 에프세타(fθ) 렌즈(35)와, 에프세타 렌즈(35)를 통과한 광을 감광체(40)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거울(36)을 구비한다.
광편향기(34)는 구동모터(34a)와, 이 구동모터(34a)에 의해 회전하는 폴리곤미러(34b)를 포함한다. 폴리곤미러(34b)는 그 측면에 복수의 반사면을 구비하여 광원(33)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편향 주사한다.
광원(33)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회전하는 폴리곤미러(34b)에 의해 편향되고, 에프세타 렌즈(35)를 거쳐 반사거울(36)에 의해 투광부재(31) 쪽으로 반사된다. 반사거울(36)에서 반사된 광은 투광부재(31)를 통과해 케이스(32)의 외부로 출사되어 감광체(40)에 조사되고, 감광체(40)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투광부재(31)는 투명한 재질의 유리나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투광부재(31) 없이 광이 투과되는 슬릿 형태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감광체(40)는 광주사장치(30)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잠상 및 현상장치(50)에 의해 형성되는 현상제화상을 담지하는 상담지체(像擔持體, image carrier)로서 본 실시예서는 원통형의 드럼타입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나, 무한궤도를 회전하는 벨트타입도 가능하다.
감광체(40)는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감광체하우징(4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나, 감광체가 본체에 고정되어 착탈되지 않는 경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감광체하우징(41)의 내부에는 대전부재(42)가 설치된다. 대전부재(42)는 광주사장치(30)로부터 광이 주사되기에 앞서 감광체(40)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킨다. 대전부재(42)는 그 실시방법에 따라 원통형 롤러타입, 도전성재질의 선형으로 구성된 코로나방식, 도전성재질의 판형을 구성된 판형 대전방식이 가능하다.
현상장치(50)는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40)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적인 현상제화상을 형성한다. 현상장치(50)는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 예를 들면, 블랙(Black),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기(50K, 50C, 50M, 50Y)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4개의 현상기(50K, 50C, 50M, 50Y)를 구분하여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각각 블랙 현상기(50K), 시안 현상기(50C), 마젠타 현상기(50M), 옐로우 현상기(50Y)로 칭하도록 한다.
현상기들(50K, 50C, 50M, 50Y)은 감광체(40)의 회전 방향(C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됨이 가능하다. 도 2에서는 감광체(40)의 회전 방향을 따라 블랙 현상기(50K), 시안 현상기(50C), 마젠타 현상기(50M), 옐로우 현상기(50Y) 순으로 배치된 예를 보였으나, 반드시 이와 같이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현 상기들(50K, 50C, 50M, 50Y)의 배치 순서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각각의 현상기(50K, 50C, 50M, 50Y)는 현상제저장부(51K, 51C, 51M, 51Y), 공급부재(52)와 현상부재(53)를 가진다. 도 2에서는 편의상 현상기(50Y)에 설치되는 공급부재와 현상부재에만 참조 부호 '52', '53'을 표시하였다.
현상제저장부(51K, 51C, 51M, 51Y)에는 감광체(40)로 공급될 현상제가 저장되고, 공급부재(52)는 현상제저장부(51K, 51C, 51M, 51Y)에 저장된 현상제를 현상부재(53)에 공급한다. 공급부재(52)는 현상기(50K, 50C, 50M, 50Y)의 구성에 따라 롤러타입이나, 판형의 공급부재인 경우가 가능함은 물론, 공급부재(52)가 생략된 경우도 가능하다. 현상부재(53)는 정전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체(40)의 표면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상부재(53)는 실린더 형상의 고무 혹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었으나, 벨트나 튜브 등의 형태인 경우도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현상기들(50K, 50C, 50M, 50Y)은 화상형성장치(1)가 인쇄매체에 화상을 인쇄할 때 감광체(40)로 현상제를 공급하여 현상제화상을 형성하지만, 현상기들(50K, 50C, 50M, 50Y) 중 감광체(40)의 회전 방향에 대해 가장 하류측에 배치되는 현상기는 화상형성장치(1)가 윤활 동작을 수행할 때 감광체(40)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윤활용 현상제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윤활용 현상제화상을 형성할 때, 위와 같이 감광체(40)의 회전 방향에 대해 가장 하류측에 배치되는 현상기를 이용하면, 감광체(40)에 윤활용 현상제화상을 형성한 후 바로 현상기들(50K, 50C, 50M, 50Y)을 동작시켜 인쇄 동작을 시작할 수 있 으므로 연속 인쇄에서 인쇄 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감광체(40)에 형성된 윤활용 현상제화상이 현상기들(50K, 50C, 50M, 50Y)을 지나치면서 현상부재(53)들을 오염시키는 일이 없게 된다.
블랙 현상기(50K)는 현상기들(50K, 50C, 50M, 50Y) 중에서 현상제 저장용량이 가장 크도록 마련되고, 감광체(40)의 회전 방향에 대해 가장 하류측에 배치되는 현상기, 즉 옐로우 현상기(50Y)는 현상제 저장용량이 블랙 현상기(50K)의 다음으로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블랙 현상기(50K)의 현상제저장부(51K)는 제1체적(V1)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감광체(40)의 회전 방향에 대해 가장 하류측에 배치되는 옐로우 현상기(50Y)의 현상제저장부(51Y)는 상기 제1체적(V1)보다 작은 제2체적(V2)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나머지 현상기들(50C, 50M)의 현상제저장부(51C, 51M)는 상기 제2체적(V2)보다 작은 제3체적(V3)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블랙 현상기(50K)가 가장 큰 현상제 저장용량을 가지도록 한 것은 흑백 인쇄 시에는 블랙 색상의 현상제만이 사용되어 블랙 색상의 현상제의 사용량이 가장 많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또 감광체(40)의 회전 방향에 대해 가장 하류측에 설치되는 옐로우 현상기(50Y)가 두 번째로 큰 현상제 저장용량을 가지도록 한 것은 화상형성장치가 윤활 동작을 수행할 때 소모되는 현상제의 양을 고려하여 옐로우 현상기(50Y)에 다른 현상기들(50C, 50M)보다 많은 양의 현상제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감광체(40)의 회전 방향에 대해 가장 하류측에 배치되는 현상 기는 옐로우 현상기(50Y)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마젠타 현상기(50M)나 시안 현상기(50C)가 될 수도 있다.
전사장치(60)는 중간전사벨트(61), 제1전사롤러(62) 및 제2전사롤러(6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중간전사벨트(61)는 지지롤러들(64)(65)에 의해 지지되어 감광체(40)의 선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주행한다. 제1전사롤러(62)는 중간전사벨트(61)를 사이에 두고 감광체(40)와 마주하여 감광체(40)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이 중간전사벨트(61)로 전사되도록 한다.
제2전사롤러(63)는 중간전사벨트(61)를 사이에 두고 지지롤러(65)와 마주한다. 제2전사롤러(63)는 감광체(40)에서 중간전사벨트(61)로 화상이 전사되는 동안에는 중간전사벨트(61)로부터 이격되고, 감광체(40)의 화상이 중간전사벨트(61)로 완전히 전사되면 중간전사벨트(61)에 소정 압력으로 접촉된다. 제2전사롤러(63)가 중간전사벨트(61)와 접촉하면 중간전사벨트(61)의 화상이 인쇄매체로 전사된다.
또 제2전사롤러(63)는 화상형성장치(1)가 윤활 동작을 수행할 때에는 중간전사벨트(61)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감광체(40)에서 중간전사벨트(61)로 전사된 윤활용 현상제화상은 제2전사롤러(63)를 그대로 지나치고, 후술할 클리닝장치에 의해 제거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감광체(40)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클리닝하는 제1클리닝장치(90)와, 중간전사벨트(61)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클리닝하는 제2클리닝장치(100)와, 감광체(40)로부터 회수되는 폐현상제를 보 관하는 폐현상제 저장장치(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클리닝장치(90)는 감광체(40)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클리닝유닛(91)을 포함한다. 클리닝유닛(91)은 감광체(40)와 마찰하여 감광체(40)의 표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긁어낸다. 클리닝유닛(91)은 감광체하우징(41)의 내부에 설치되어 그 일단부가 감광체(40)에 접촉하는 클리닝 블레이드(91a)로 구성될 수 있다.
제2클리닝장치(100)는 중간전사벨트(61)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클리닝유닛(101)과, 클리닝유닛(101)에 의해 중간전사벨트(61)로부터 회수되는 폐현상제를 임시 저장하는 폐현상제 수집함(102)과, 폐현상제 수집함(102)에 수집된 폐현상제를 이송하는 이송유닛(103)을 포함한다.
클리닝유닛(101)은 그 일단부가 중간전사벨트(61)와 마찰하여 중간전사벨트(61)의 표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긁어내는 클리닝 블레이드(101a)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이송유닛(103)은 나선형 날개를 구비하여 회전하며 폐현상제를 이송하는 오거(auger)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클리닝유닛(91)(101)으로서 클리닝 블레이드(91a)(101a)가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브러쉬 타입이나 롤러 타입 등의 클리닝유닛을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폐현상제 저장장치(110)는 제1폐현상제저장부(111), 제2폐현상제저장부(112), 폐현상제 이송부재(1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폐현상제저장부(111)와 제1폐현상제저장부(111)는 감광체하우징(41)의 내부에 마련된다. 제1폐현상제저장부(111)의 일측에는 지지부재(114)가 설치되고, 이 지지부재(114)의 단부에는 클리닝 블레이드(91a)가 고정된다. 클리닝 블레이드(91a)에 의해 감광체(40)로부터 제거되는 폐현상제는 제1폐현상제저장부(111)에 저장되고, 폐현상제 이송부재(113)에 의해 제2폐현상제저장부(112)로 이송된다.
제1폐현상제저장부(111)와 제2폐현상제저장부(112) 사이에는 광창부(115)가 마련된다. 광창부(115)는 감광체하우징(41)을 관통하는 광투과구(115a)를 구비하여 광주사장치(30)에서 주사되는 광이 감광체하우징(41)을 관통하여 감광체(40)에 이를 수 있도록 한다.
또 제1폐현상제저장부(111)와 제2폐현상제저장부(112) 사이에는 현상제 이동통로(미도시)가 마련된다. 현상제 이동통로(미도시)는 제1폐현상제저장부(111)에 저장된 현상제가 광창부(115)의 양측으로 우회하여 제2폐현상제저장부(112)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폐현상제 이송부재(113)는 감광체하우징(41)의 내부에 직선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폐현상제 이송부재(113)는 도 2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A, B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며 제1폐현상제저장부(111)와 제2폐현상제저장부(112)의 내부에 저장된 폐현상제를 A방향 쪽으로 이송한다.
폐현상제 이송부재(113)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송리브(113a)들을 포함한다. 폐현상제가 이송되는 방향, 즉 A방향을 향하는 이송리브의 일측면(113b)은 폐현상제를 효과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수직면으로 형성된다. 반면에 상기 일측면(113b)의 반대쪽에 위치되는 이송리브의 타측면(113c)은 이송리브(113a)가 폐현상제 이송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 폐현상제가 역행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장치(70)는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71)와, 가열롤러(71)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가압롤러(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쇄매체가 가열롤러(71)와 가압롤러(72) 사이를 통과할 때, 가열롤러(71)로부터 전달되는 열과 가열롤러(71)와 가압롤러(72)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화상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인쇄매체 배출장치(80)는 배지롤러(81)와 배지백업롤러(82)를 구비하여 정착장치(70)를 통과한 인쇄매체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도 1 및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인쇄 동작이 시작되면, 감광체(40)의 표면은 대전부재(4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40)의 표면에는 광주사장치(30)로부터 어느 한 색상, 예를 들어 옐로우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이 조사되고, 감광체(40)에는 옐로우 색상의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점상이 형성된다.
이어서 옐로우 현상기(50Y)의 현상부재(53)에는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되고, 이에 따라 옐로우 색상의 현상제가 정전잠상에 부착되어 감광체(40)에는 옐로우 색상의 현상제화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현상제화상은 제1전사롤러(62)에 의해 중간전사벨트(61)로 전사된다.
옐로우 색상에 대한 한 페이지 분량의 전사가 완료되면, 광주사장치(30)는 다른 한 색상, 예를 들어 마젠타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감광체(40)에 주사하여 마젠타 색상의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마젠타 현상기(50M)는 정전잠상에 마젠타 색상의 현상제를 공급하여 현상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40)에 형성된 마젠타 색상의 현상제화상은 제1전사롤러(62)에 의해 중간전사벨트(61)로 전사되는데, 이 때 마젠타 색상의 현상제화상은 먼저 전사되어 있던 옐로우 색상의 현상제화상 위에 중첩된다.
시안 및 블랙 색상에 대하여도 위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면, 중간전사벨트(61)에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색상의 화상이 중첩된 칼라화상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칼라화상은 중간전사벨트(61)와 제2전사롤러(63)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매체로 전사되고, 인쇄매체는 정착장치(70)와 인쇄매체 배출장치(80)를 거쳐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위와 같은 인쇄 과정에서 현상제화상이 중간전사벨트(61)나 인쇄매체로 전사될 때, 일부의 현상제는 감광체(40)나 중간전사벨트(61)에 잔류하여 폐현상제가 된다. 이러한 폐현상제는 감광체(40)와 중간전사벨트(61)에 마찰 접촉하는 클리닝 블레이드(91a)(101a)에 의해 제거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쇄매체(예를 들어, A4 용지)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특수한 인쇄매체(예를 들어, 봉투나 라벨)나, 전사효율이 높은 인쇄매체(예를 들어, OHP 필름)를 사용하여 연속적인 인쇄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클리닝 블레이드(91a)(101a)와의 마찰로 인해 감광체(40)나 중간전사벨트(61)가 손상되거나 클리닝 블레이드(91a)(101a)가 뒤집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화상형성 장치(1)는 임의의 페이지의 인쇄를 마치고 다음 페이지를 인쇄하기 전에 윤활용 현상제화상을 상담지체에 형성하는 윤활 동작을 수행한다.
도 3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의 윤활 동작에서 광주사장치(30)는 감광체(40)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40)의 축 방향으로 밴드 형상의 윤활용 정전잠상(LI)을 형성한다.
이어서 현상기들(50K, 50C, 50M, 50Y) 중 감광체(40)의 회전 방향(C방향)에 대해 가장 하류측에 배치된 옐로우 현상기(50Y)는 윤활용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윤활용 현상제화상(TI1)을 형성한다.
감광체(40)의 표면에 형성된 윤활용 현상제화상은 감광체(40)가 회전함에 따라 중간전사벨트(61)에 다다른다. 이 때 윤활용 현상제화상 중 일부는 제1전사롤러(62)에 의해 중간전사벨트(61)로 전사되고, 다른 일부는 감광체(40)에 잔류한다.
감광체(40)에 잔류하는 윤활용 현상제화상(TI2)은 감광체(40)가 회전함에 따라 클리닝 블레이드(91a)에 의해 제거되는데, 이 때 감광체(40)와 클리닝 블레이드(91a) 사이에서 윤활제로서 기능한다.
한편 중간전사벨트(61)로 전사된 윤활용 현상제화상(TI3)은 중간전사벨트(61)가 회전함에 따라 클리닝 블레이드(101a)에 의해 제거되며, 이 때 중간전사벨트(61)와 클리닝 블레이드(101a) 사이에서 윤활제로서 기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복수의 감광체를 구비하는 예에 관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2)는 인쇄매체 공급장치(210), 광주 사장치(220), 현상장치(230), 전사장치(240), 클리닝장치(250), 정착장치(260) 및 인쇄매체 배출장치(2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쇄매체 공급장치(210)는 인쇄매체(S)를 전사장치(240) 쪽으로 공급하고, 광주사장치(220)는 감광체들(231K, 231C, 231M, 231Y)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현상장치(230)는 감광체들(231K, 231C, 231M, 231Y)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현상장치(230)는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 예를 들면 블랙(K),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기(230K, 230C, 230M, 230Y)로 구성될 수 있다.
현상기들(230K, 230C, 230M, 230Y)은 감광체(231K, 231C, 231M, 231Y)와, 감광체로 공급될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제저장부(232K, 232C, 232M, 232Y)와, 공급부재(233) 및 현상부재(234)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전사장치(240)는 중간전사체(241)와 전사롤러(2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중간전사체(241)는 현상장치(230)에 의해 형성되는 현상제화상을 담지하는 상담지체(像擔持體, image carrier)이다.
화상형성장치가 인쇄 동작을 수행할 때 감광체들(231K, 231C, 231M, 231Y)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은 중간전사체(241)에 중첩 전사되고, 중첩된 칼라화상은 전사롤러(242)와 중간전사체(241)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매체로 전사된다.
중간전사체(241)는 감광체들(231K, 231C, 231M, 231Y)에 접하여 회전하는 전사드럼(241a)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중간전사체로서 전사드럼(241a)이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와는 벨트 타입의 중간전사체를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클리닝장치(250)는 중간전사체(241)와 마찰하여 중간전사체(241)에 잔류하는 폐현상제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유닛(251)을 구비한다. 클리닝유닛(251)은 일단부가 중간전사체(241)의 표면에 마찰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클리닝 블레이드(251a)로 구성될 수 있다.
현상기들(230K, 230C, 230M, 230Y)는 중간전사체(241)의 회전 방향(D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된다. 도 4에서는 중간전사체(241)의 회전 방향을 따라 블랙 현상기(230K), 시안 현상기(230C), 마젠타 현상기(230M), 옐로우 현상기(230Y) 순으로 배치된 예를 보였으나, 반드시 이와 같이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현상기들(230K, 230C, 230M, 230Y)의 배치 순서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현상기들(230K, 230C, 230M, 230Y)은 화상형성장치(2)가 인쇄 동작을 수행할 때 중간전사체(241)로 현상제를 공급하여 현상제화상을 형성하지만, 현상기들(230K, 230C, 230M, 230Y) 중 중간전사체(241)의 회전 방향에 대해 가장 하류측에 배치되는 현상기는 화상형성장치(2)가 윤활 동작을 수행할 때에도 중간전사체(241)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윤활용 현상제화상을 형성한다.
화상형성장치(2)가 윤활 동작을 수행할 때, 광주사장치(220)는 최하류측에 배치된 옐로우 현상기(230Y)의 감광체(231Y)에 밴드 형태의 윤활용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옐로우 현상기(230Y)는 윤활용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감광 체(231Y)에 윤활용 현상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231Y)에 형성된 윤활용 현상제화상은 중간전사체(241)로 전사되고, 중간전사체(241)가 회전함에 따라 클리닝 블레이드(251a)에 의해 제거된다. 이 때 윤활용 현상제현상은 중간전사체(241)와 클리닝 블레이드(251a) 간의 마찰을 저감한다.
윤활용 현상제화상을 형성할 때, 위와 같이 중간전사체(241)의 회전 방향에 대해 가장 하류측에 배치되는 현상기를 이용하면, 중간전사체(241)에 윤활용 현상제화상을 형성한 후 바로 현상기들(50K, 50C, 50M, 50Y)을 동작시켜 인쇄 동작을 시작할 수 있으므로 연속 인쇄에서 인쇄 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중간전사체(241)에 형성된 윤활용 현상제화상이 현상기들(230K, 230C, 230M, 230Y)을 지나치면서 감광체들(231K, 231C, 231M, 231Y)을 오염시키는 일이 없게 된다.
블랙 현상기(230K)는 현상기들(230K, 230C, 230M, 230Y) 중에서 현상제 저장용량이 가장 크도록 마련되고, 중간전사체(241)의 회전 방향에 대해 가장 하류측에 배치되는 현상기, 즉 옐로우 현상기(230Y)는 현상제 저장용량이 블랙 현상기(230K)의 다음으로 크게 마련된다.
다시 말해, 블랙 현상기(230K)의 현상제저장부(232K)는 제1체적(V4)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중간전사체(241)의 회전 방향에 대해 가장 하류측에 배치되는 옐로우 현상기(230Y)의 현상제저장부(232Y)는 상기 제1체적(V4)보다 작은 제2체적(V5)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나머지 현상기들(230C, 230M)의 현상제저장부(232C, 232M)는 상기 제2체적(V5)보다 작은 제3체적(V6)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부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블랙 현상기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제저장부(51Y, 51M, 51C, 51K)가 마련된 현상기(50Y, 50M, 50C, 50K)에 감광체(40) 방향으로 돌출마련된 담지부(311Y, 311M, 311C, 311K)를 포함하며, 담지부(311Y, 311M, 311C, 311K)에는 현상제차단막(320Y, 320M, 320C, 320K)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현상기(50Y, 50M, 51C, 51K)와 이에 마련된 담지부(311Y, 311M, 311C, 311K) 및 현상제차단막(320Y, 320M, 320C, 320K)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통된 부분에 대해서는 블랙 현상기(50K)에 마련된 담지부(311K) 및 현상제차단막(320K)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다른 현상기(50Y, 50M, 51C)에 마련된 담지부(311Y, 311M, 311C) 및 현상제차단막(320Y, 320M, 320C)에 대한 설명을 갈음하도록 한다.
담지부(311K)는 현상기하우징(310)과 일체로 마련되며, 현상제를 감광체(40)에 현상시키는 현상부재(53K)의 하측에 형성된다. 현상제저장부(51K)에 저장된 현상제는 현상기하우징(310)의 공급각(e)을 따라 현상부재(53K)로 공급되어 감광체(40)에 현상되나, 일부의 현상제는 감광체(40)에 현상되지 못하고 비산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현상제의 현상이 필요한 부분에는 감광체(40)에 정전잠상이 형성되어 현상제가 현상부재(53K)로부터 현상이 되고, 정전잠상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현상제가 현상이 되지 않는 부분이 된다. 그런데 정전잠상이 형 성된 부분으로 현상이 이루어지는 과정 중에, 현상이 이루어지지 않고 현상부재(53K)나 감광체(40)의 회전 원심력에 의해 비산되는 잔류현상제(w)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현상부재(53K)가 감광체(40)의 회전방향(C방향)과 반대방향(H방향)으로 회전하여 공기의 흐름이 난류화됨에 따라서 비산되는 현상제의 양이 증가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에, 현상부재(53K)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하류측인, 현상부재(53K)의 하측에 담지부(311K)가 마련됨에 따라 현상부재(53K)에서 회전 원심력에 의하여 비산되는 잔류현상제(w)를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잔류현상제(w)가 화상형성장치 내부에 비산되거나 광창부(115)에 적층되어 인쇄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각 현상기(50Y, 50M, 50C, 50K)에는 담지부(311Y, 311M, 311C, 311K)가 각각 마련되나 구체적인 위치와 형상은 상이하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감광체(40)의 회전방향(C)을 기준으로 할 때, 가장 상류측에 마련된 블랙 현상기(50K)에 마련된 담지부(311K)는 감광체(40)의 하단에 마련되므로 감광체(40)와 간섭되지 않아 다른 현상기(50Y, 50M, 50C, 50K)에 마련된 담지부(311Y, 311M, 311C)에 비하여 가장 감광체(40) 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됨이 가능하다. 상대적으로 광창부(115)에 인접한 블랙 현상기(50K)에 마련된 담지부(311K)가 가장 감광체(40) 측으로 돌출되므로, 감광체(40)에 부착되지 못한 잔류현상제(w)가 광창부(115) 측으로 비산되지 못하고 담지부(311K)에 효과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다른 현상기(50Y, 50M, 50C)의 현상부재에서도 아래쪽으로 현상제의 비산이 발생하지만, 하측에 밀폐의 기능을 담당하는 다른 현상기가 위치하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이 크지 못하여 비산되는 현상제의 양은 상대적으로 적다.
즉, 엘로우 현상기(50Y)의 경우, 현상부재(53Y)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아래쪽으로 만들어지나, 하측에 위치한 마젠타 현상기(50M)에 의해 일정부분 차단된 상태이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이 제약된다. 나아가, 현상부재(53Y)에 의해 비산된 현상제는 하측의 마젠타 현상기(50M) 상에 일정부분 적체가 되므로 외부로 비산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적어지게 된다. 하지만, 블랙현상기(50K)의 경우는 현상기 배치상 가장 아래에 위치하여, 그 아래측에는 현상기가 없기 때문에 현상부재(53K)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이 다른 현상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세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공기의 흐름을 타고 비산되는 블랙현상제는 하측에 적체될 만한 장소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특히, 하측에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장치(30)가 위치하므로 블랙현상제가 광주사장치(30) 쪽으로 유입될 경우는 감광체(40)에 정전잠상 형성을 위한 광주사를 차단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블랙 현상기(50K)의 경우는 다른 현상기(50Y, 50M, 50C)에 비해 담지부(311K)의 담지용량 및 그 돌출량이 가장 커지게 된다. 또한, 담지부(311K)의 전면부(314K)가 상측에 위치한 감광체(40)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됨으로 인하여, 담지용량이 증대됨은 물론 공기의 기류가 광주사장치(30)까지 확대되는 것이 차단된다.
옐로우 현상기(50Y), 마젠타 현상기(50M), 시안 현상기(50C)는 감광체(40)와 간섭되지 않는 한도내에서 최대한 감광체(40) 방향으로 접근되도록 담지부(311Y, 311M, 311C)가 마련된다. 이러한 현상기들(50Y, 50M, 50C)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담지부(311Y, 311M, 311C)가 최대한 감광체(40)에 접근되어 형성되므로, 감광체(40)에 부착되지 못한 잔류현상제(w)가 비산될 가능성은 극히 저하된다.
한편, 옐로우 현상기(50Y)에 마련된 담지부(311Y)의 전면부(314Y)는 최대한 감광체(40)와 접근되어 외주면 형상을 따라 상측으로 절곡되어 마련된다. 따라서, 감광체(40)와 전면부(314Y) 간의 이격거리는 최소화되어, 감광체(4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상측방향의 기류에 의해 미현상된 현상제나 잔류현상제(w)가 옐로우 현상기(50Y)의 상측으로 비산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한다.
현상제차단막(320K)은 현상부재(53K)의 길이방향으로 현상부재(53K)와 담지부(311K) 사이에 마련된 박막이다. 현상제차단막(320K)은 우레탄, PET 등의 재질로 마련된 필름이다. 현상제차단막(320K)의 일측은 담지부(311K)에 고정되며 타측은 현상부재(53K)나 공급부재(52K)에 미세하게 근접하거나 접촉되도록 마련된다. 현상제차단막(320K)은 현상제저장부(51K)를 외측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현상제저장부(51K)에 마련된 현상제가 현상제차단막(320K)에 의하여 차단되어 블랙 현상기(50K)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현상제차단막(320K)은 현상부재(53K)의 회전방향(H) 방향인 좌상방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마련된다.
현상기(50Y, 50M, 50C, 50K)는 현상제가 기울어져 공급되도록 마련된다. 현상제의 공급각(e)과 관련된 안식각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현상제(P)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자유낙하(G)시키면 분말형태의 현상제(P)는 원뿔 형상으로 쌓인다. 이때, 원뿔 형상의 꼭 지점이 이루는 각이 안식각(d)이다.
안식각(d)이 큰 현상제(P)는 유동성이 큼을 의미한다. 유동성이 크면 현상제(P)가 잘 흐르기 때문에 공급성이 우수하지만, 현상제(P)의 유출이 잘되며 비화상 부위에 미세하게 현상제가 묻어나는 현상(foggy 현상)이 발생한다. 반면에, 안식각(d)이 작으면 현상제(P)의 유동성이 작음을 의미한다. 유동성이 작으면 안식각(d)의 큰 경우와 반대되는 장단점을 보유한다. 현상제(P)의 유동성은 현상제(P) 내에 포함된 내첨제나 외첨제의 종류나 크기 혹은 포함량에 의해 결정이 되며 특히 외첨제중 실리카의 종류나 크기 혹은 포함량 등에 의해 상당부분 결정이 되기도 한다.
현상제(P)의 유동성이 안식각과 밀접한 관계를 갖으므로, 적절한 안식각을 가지는 현상제(P)를 적용함이 필요하다. 현상제의 안식각(d)은 35도에서 48도 정도이며, 38도에서 42도 정도가 바람직하다. 한편, 바람직한 안식각(d)의 절반인 20도 정도가 실제로 현상제(P)가 현상기(도 6의 50K) 내부에서 공급되는 각도가 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현상기(50Y, 50M, 50C, 50K)가 기울어져 있는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현상기(50Y, 50M, 50C, 50K)가 장착된 각도가 20도 이상인 경우에는 현상제의 공급성은 우수해지는 반면에, 상대적으로 실링이 곤란해지거나 비화상 부위에 미세하게 현상제가 묻어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현상기(50Y, 50M, 50C, 50K)가 장착된 각도 즉, 현상제의 공급각도가 0도 인 경우에는 공급성이 불량해져 화상이 출력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현상제의 적절한 공급각도, 즉 적절한 현상기(50Y, 50M, 50C, 50K)의 장착각도를 설정함은 화상형성장치의 전반적인 성능을 위하여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현상기(50Y, 50M, 50C, 50K)의 장착각도(e)는 0도 보다 크고 현상제의 안식각의 절반인 경우가 가능하다.즉, 바람직한 현상제의 안식각이 38도에서 42도이므로 장착각도(e)는 0도 보다 크고 20도 보다 작은 경우가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공급성과 실링등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20도의 절반인 10도인 경우를 적용하였다.
블랙 현상기(50K)를 제외한 현상기(50Y, 50M, 50C)의 경우에는 장착방향(F1)으로 현상기(50Y, 50M, 50C)가 장착됨과 동시에 현상기(50Y, 50M, 50C)의 후방이 전방보다 10도 들려진 공급각(e)이룰 수 있다.
블랙 현상기(50K)의 경우에는 최하단에 위치하며, 현상제저장부(51K) 공간 및 담지부(50K)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하여 장착방향(F2)이 수평이다. 다만, 블랙 현상기(50K)는 현상기하우징(310) 내부에 공급각(e)과 동일한 각도로 현상제경사부(316)가 마련되어, 현상제가 다른 형상기(50Y, 50M, 50C)와 동일한 공급각(e)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화상형성장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블랙 현상기의 사시도.
도 7은 현상제의 안식각을 설명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2 : 화상형성장치 30 : 광주사장치
40 : 감광체 50 : 현상장치
60 : 전사장치 90, 100 : 클리닝장치
50K, 50C, 50M, 50Y : 현상기 51K, 51C, 51M, 51Y : 현상제저장부
230K, 230C, 230M, 230Y : 현상기 231K, 231C, 231M, 231Y : 감광체
232K, 232C, 232M, 232Y : 현상제저장부
241 : 중간전사체 311Y, 311M, 311C, 311K : 담지부
314K : 전면부 316 : 현상제경사부

Claims (48)

  1.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상담지체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복수의 현상기;와
    상기 상담지체와 마찰하여 상기 상담지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현상기는 현상제 저장용량이 가장 큰 제1현상기;와 현상제 저장용량이 상기 제1현상기의 현상제 저장용량보다는 작고 나머지 현상기들의 현상제 저장용량보다는 큰 제2현상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현상기는 상기 복수의 현상기 중에서 상기 상담지체의 회전 방향에 대해 가장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현상기는 상기 상담지체에 현상제의 형태로 윤활용 화상을 형성하여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클리닝유닛 간의 마찰을 저감하고,
    단지 상기 제2현상기만이, 인쇄매체로는 전사되지 않고 상기 클리닝유닛에 의해 제거되는 상기 윤활용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지체에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광주사장치는 상담지체의 표면에 윤활용 정전잠상을 형성하며,
    상기 제2현상기는 상기 윤활용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들은 서로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지체는 그 표면에 정전잠상과 현상제화상이 형성되는 감광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상기는 그 표면에 정전잠상과 현상제화상이 형성되는 감광체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상담지체는 상기 각각의 감광체로부터 전사되는 현상제화상을 담지하는 중간전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현상기에는 블랙 색상의 현상제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현상기에는 옐로우 색상의 현상제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는 현상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현상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현상제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현상부재에서 상기 상담지체 측으로 돌출마련된 담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상기 담지부가 상기 상담지체 측으로 돌출된 정도와 상이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지체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가장 상류측에 위치한 상기 현상기에 마련된 상기 담지부가 상기 상담지체 측으로 가장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지체와 가장 근접하는 상기 담지부의 전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담지체의 외주면 형상을 따라 상측으로 절곡되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에는 상기 현상부재에 상기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부재가 더 마련되며,
    상기 담지부는,
    상기 현상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되, 일측이 상기 담지부에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현상부재와 공급부재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하도록 마련된 현상제차단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차단막은,
    상기 상기 현상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기울어져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는,
    수평면에 대하여 예각인 공급각을 이루며 상기 상담지체로 공급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현상제가 상기 공급각을 이루며 공급되도록 상기 공급각 만큼 기울어져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각은 상기 현상제의 안식각의 절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각은,
    실질적으로 1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장치;와
    상기 감광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현상기;와
    상기 감광체와 마찰하여 상기 감광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현상기는 제1체적을 가지는 현상제저장부를 포함하는 제1현상기와, 상기 제1체적보다 작은 제2체적을 가지는 현상제저장부를 포함하는 제2현상기와, 상기 제2체적보다 작은 제3체적을 가지는 현상제저장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현상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현상기는 상기 감광체의 회전 방향에 대해 가장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현상기는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의 형태로 윤활용 화상을 형성하여 상기 감광체와 상기 클리닝유닛 간의 마찰을 저감하고,
    단지 상기 제2현상기만이, 인쇄매체로는 전사되지 않고 상기 클리닝유닛에 의해 제거되는 상기 윤활용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현상기, 제2현상기 및 적어도 하나의 제3현상기는 서로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광주사장치는 상기 감광체에 윤활용 정전잠상을 형성하며,
    상기 제2현상기는 윤활용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윤활용 현상제화상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감광체와 상기 클리닝유닛 간의 마찰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로부터 전사되는 화상을 담지하는 중간전사벨트와, 상기 중간전사벨트와 마찰하여 상기 감광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유닛을 더 구 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 현상기 중 적어도 하나의 현상기에는,
    상기 감광체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감광체에 부착되지 못한 잔류현상제가 수용되는 담지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상기 담지부가 상기 감광체 측으로 돌출된 정도와 상이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의 회전 방향에 대해 가장 상류측에 위치한 상기 현상기에 마련된 상기 담지부가 상기 감광체 측으로 가장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에는 상기 현상제를 상기 감광체에 부착하는 현상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담지부에는,
    상기 현상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되, 일측이 상기 담지부에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현상부재와 인접하도록 현상제차단막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현상기중 적어도 하나의 현상기에는,
    수평면에 대하여 예각인 공급각을 이루며 현상제가 상기 감광체로 공급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각은,
    상기 현상제 안식각의 절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각은,
    실질적으로 1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0.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감광체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복수의 현상기;와
    상기 각각의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장치;와
    상기 감광체로부터 전사되는 화상을 담지하는 중간전사체;와
    상기 중간전사체와 마찰하여 상기 중간전사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현상기는 제1체적을 가지는 현상제저장부를 포함하는 제1현상기와, 상기 제1체적보다 작은 제2체적을 가지는 현상제저장부를 포함하는 제2현상기와, 상기 제2체적보다 작은 제3체적을 가지는 현상제저장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현상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현상기는 상기 중간전사체의 회전 방향에 대해 가장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현상기는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의 형태로 윤활용 화상을 형성하여 상기 중간전사체와 상기 클리닝유닛 간의 마찰을 저감하고,
    단지 상기 제2현상기만이, 인쇄매체로는 전사되지 않고 상기 클리닝유닛에 의해 제거되는 상기 윤활용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현상기, 제2현상기 및 적어도 하나의 제3현상기는 상기 중간전사체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광주사장치는 상기 제2현상기의 감광체에 윤활용 정전잠상을 형성하며,
    상기 제2현상기는 윤활용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윤활용 현상제화상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중간전사체와 상기 클리닝유닛 간의 마찰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3.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에 마찰하도록 배치된 클리닝유닛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현상장치로서, 회전하는 상기 상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담지체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현상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현상기는
    현상제 저장용량이 가장 큰 제1현상기;와,
    상담지체의 회전 방향에 대해 가장 하류측에 배치되고, 현상제 저장용량이 상기 제1현상기의 현상제 저장용량보다는 작고 나머지 현상기들의 현상제 저장용량보다는 큰 제2현상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현상기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상담지체에 현상제의 형태로 윤활용 화상을 형성하여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클리닝유닛 간의 마찰을 저감하며,
    단지 상기 제2현상기만이, 인쇄매체로는 전사되지 않고 상기 클리닝유닛에 의해 제거되는 상기 윤활용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34. 상담지체;
    상기 상담지체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되되 적어도 어느 하나는 현상제 저장용량이 상이한 복수개의 현상기;
    상기 복수의 현상기에 마련되어 상기 상담지체에 부착되지 못한 잔류현상제가 수용되는 담지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현상기 중 상기 상담지체의 회전 방향으로 최상류측에 배치된 최상류현상기에 마련된 최상류담지부가 다른 현상기에 마련된 상기 담지부 보다 상기 상담지체 측으로 가장 돌출되며,
    상기 현상기는 현상제를 상기 상담지체에 부착하는 현상부재와, 현상제를 상기 현상부재에 공급하는 공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담지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현상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일측이 상기 담지부에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현상부재와 상기 공급부재 중 하나에 인접하는 현상제차단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5. 상담지체;
    상기 상담지체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되되 적어도 어느 하나는 현상제 저장용량이 상이하며, 상기 현상제를 상기 상담지체에 부착하는 현상부재가 마련된 복수개의 현상기;와,
    상기 현상부재 하측에 상기 현상기와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상담지체에 부착되지 못한 잔류현상제를 수용하는 담지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현상기에 마련된 상기 담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상기 담지부가 상기 상담지체 측으로 돌출된 정도와 상이하며,
    상기 담지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현상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일측이 상기 담지부에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현상부재와 인접하는 현상제차단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6. 삭제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지체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가장 상류측에 위치한 상기 현상기에 마련된 상기 담지부가 상기 상담지체 측으로 가장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차단막은 상기 현상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는,
    상기 현상제가 수평면에 대하여 상기 현상제 안식각의 절반보다 작은 예각의 공급각을 이루며 상기 상담지체로 공급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각은,
    실질적으로 1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회전 방향을 가지는 상담지체;
    현상제 저장용량과, 잔류 현상제를 수용하는 담지부를 가지는 복수의 현상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현상기 중 상기 상담지체의 회전 방향에 대해 가장 상류측에 배치되는 현상기는 나머지 현상기들 중 적어도 하나보다 큰 현상제 저장용량과, 나머지 현상기들의 다른 담지부보다 상기 상담지체 쪽으로 더 돌출되는 담지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현상기는 현상제를 상기 상담지체에 부착하는 현상부재와, 현상제를 상기 현상부재에 공급하는 공급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담지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현상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일측이 상기 담지부에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현상부재와 상기 공급부재 중 하나에 인접하는 현상제차단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80031765A 2008-02-21 2008-04-04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기 KR101099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05,047 US7885580B2 (en) 2008-02-21 2008-09-05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device and developing unit thereof
CN2013100262832A CN103076731A (zh) 2008-02-21 2008-09-24 成像设备使用的用于储存黑色显影剂的显影单元
RU2008138094/28A RU2414733C2 (ru) 2008-02-21 2008-09-24 Аппарат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а также его проя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проявочный узел
CN2008101615224A CN101515130B (zh) 2008-02-21 2008-09-24 成像设备及其显影装置和显影单元
BR122019016107-0A BR122019016107B1 (pt) 2008-02-21 2008-09-25 Unidade de revelação
BRPI0803603-9A BRPI0803603B1 (pt) 2008-02-21 2008-09-25 Aparelho de formação de imagem
EP09150918.2A EP2093622B2 (en) 2008-02-21 2009-01-20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plural developing devices
ES09150918.2T ES2368819T5 (es) 2008-02-21 2009-01-20 Aparato para la formación de imágenes con múltiples dispositivos de revelado
EP10189953.2A EP2275875B1 (en) 2008-02-21 2009-01-20 Developing unit
AT09150918T ATE515721T1 (de) 2008-02-21 2009-01-20 Bilderzeugungsvorrichtung mit mehreren entwicklervorrichtungen
PL09150918.2T PL2093622T5 (pl) 2008-02-21 2009-01-20 Aparat do wytwarzania obrazu, z wieloma zespołami wywołującymi
US12/981,848 US8270878B2 (en) 2008-02-21 2010-12-30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device and developing unit thereof
US13/585,145 US8396396B2 (en) 2008-02-21 2012-08-14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device and developing unit thereof
US13/761,560 US20130156471A1 (en) 2008-02-21 2013-02-07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device and developing unit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802 2008-02-21
KR20080015802 2008-02-2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5862A Division KR101085492B1 (ko) 2011-07-29 2011-07-29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971A KR20090090971A (ko) 2009-08-26
KR101099499B1 true KR101099499B1 (ko) 2011-12-28

Family

ID=4047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765A KR101099499B1 (ko) 2008-02-21 2008-04-04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822366B2 (ko)
EP (2) EP2093621B1 (ko)
KR (1) KR101099499B1 (ko)
CN (3) CN101515141B (ko)
AT (1) ATE515721T1 (ko)
BR (2) BRPI0804125A2 (ko)
ES (1) ES2368819T5 (ko)
PL (1) PL2093622T5 (ko)
RU (2) RU2399943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143B1 (ko) * 2008-02-21 2009-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감광체유닛, 현상제저장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KR101099499B1 (ko) * 2008-02-21 201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기
JP5653283B2 (ja) 2010-06-30 2015-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142680B2 (ja) * 2012-10-31 2017-06-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56297B2 (ja) * 2014-10-29 2018-01-1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廃トナー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
JP6482884B2 (ja) * 2015-01-27 2019-03-13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JP6679255B2 (ja) * 2015-09-16 2020-04-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1322A1 (en) * 1999-12-24 2001-09-13 Satoshi Tsuruya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6192A (en) * 1983-09-30 1987-06-30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Dry process developing apparatus
US4615608A (en) * 1983-10-31 1986-10-07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JPH01131583A (ja) 1987-11-17 1989-05-24 Konica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03269459A (ja) * 1990-03-19 1991-12-02 Mita Ind Co Ltd 現像装置
JP3200150B2 (ja) * 1991-05-20 2001-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285841B1 (en) * 1998-07-21 2001-09-04 Konic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n asymmetric wave pattern of developing bias voltage
US6029018A (en) * 1998-09-10 2000-02-22 Tektronix, Inc. Color capable electrophotographic printer
US6385414B1 (en) * 1999-08-23 2002-05-0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Contaminant preventing structur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JP2005189901A (ja) 1999-11-19 2005-07-14 Sharp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1324871A (ja) * 2000-05-17 2001-11-22 Katsuragawa Electric Co Ltd 現像装置
JP2002049209A (ja) * 2000-08-03 2002-02-15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3228234A (ja) * 2002-02-01 2003-08-1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6871033B2 (en) * 2002-03-12 2005-03-2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ment unit with restricto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latent images with improved density
US20040248025A1 (en) * 2003-02-06 2004-12-09 Seiko Epson Corporation Toner,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US7024138B2 (en) 2003-02-28 2006-04-0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plenishing developer kit
US7085520B2 (en) * 2003-03-25 2006-08-01 Seiko Epson Corporation Develop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JP4689327B2 (ja) * 2004-06-16 2011-05-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6030957A (ja) * 2004-06-16 2006-02-0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6065117A (ja) * 2004-08-27 2006-03-09 Canon Inc 多色画像形成装置
KR100565090B1 (ko) 2004-10-28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싱글패스방식 칼라인쇄기의 단색화상인쇄방법
JP4631641B2 (ja) * 2005-09-27 2011-02-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2007121555A (ja) 2005-10-26 2007-05-17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099499B1 (ko) * 2008-02-21 201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1322A1 (en) * 1999-12-24 2001-09-13 Satoshi Tsuruya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15141A (zh) 2009-08-26
CN103076731A (zh) 2013-05-01
ES2368819T3 (es) 2011-11-22
CN101515130A (zh) 2009-08-26
ATE515721T1 (de) 2011-07-15
EP2275875B1 (en) 2014-05-28
BRPI0804125A2 (pt) 2009-10-06
EP2275875A2 (en) 2011-01-19
US20090214262A1 (en) 2009-08-27
RU2399943C2 (ru) 2010-09-20
RU2008135872A (ru) 2010-03-10
CN101515141B (zh) 2012-07-04
RU2008138094A (ru) 2010-03-27
EP2093621A1 (en) 2009-08-26
RU2414733C2 (ru) 2011-03-20
CN101515130B (zh) 2013-03-13
ES2368819T5 (es) 2016-04-29
PL2093622T3 (pl) 2011-12-30
EP2093621B1 (en) 2011-10-26
KR20090090971A (ko) 2009-08-26
BR122019016107B1 (pt) 2020-02-11
US7822366B2 (en) 2010-10-26
EP2275875A3 (en) 2011-06-01
PL2093622T5 (pl) 2016-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399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778556B2 (en) Toner supply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shortage detecting method
KR100651109B1 (ko) 화상 형성 장치
KR101099499B1 (ko)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기
US7672609B2 (en) Toner container and toner supply device unit using the same
KR19980025160A (ko) 세척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US839639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device and developing unit thereof
US7805096B2 (en) Toner conveying device, ton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se
US6192211B1 (en) Revolver developing apparatus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voiding stress against developer
CN102467061B (zh) 用于显影剂的收容容器和图像形成装置
KR101085492B1 (ko)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JP403923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198765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シャッター部材
US8073361B2 (en) Preset case, development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211256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Frame Unit Thereof
JP2004271864A (ja) 画像形成装置
JP4088548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KR102001904B1 (ko) 현상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JP2007304568A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JPH06258944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