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143B1 - 감광체유닛, 현상제저장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감광체유닛, 현상제저장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143B1
KR100913143B1 KR1020080015803A KR20080015803A KR100913143B1 KR 100913143 B1 KR100913143 B1 KR 100913143B1 KR 1020080015803 A KR1020080015803 A KR 1020080015803A KR 20080015803 A KR20080015803 A KR 20080015803A KR 100913143 B1 KR100913143 B1 KR 100913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unit
storage unit
developer storage
photosensit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인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5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143B1/ko
Priority to US12/190,770 priority patent/US8185033B2/en
Priority to RU2008135215/28A priority patent/RU2388035C1/ru
Priority to CN2008102125063A priority patent/CN101515133B/zh
Priority to EP08168201A priority patent/EP2093632B1/en
Priority to AT08168201T priority patent/ATE539385T1/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4Details of parts of process cartridge, e.g. for charging, transfer, cleaning, developing

Abstract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감광체유닛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 하우징과, 감광체 하우징에 설치되는 감광체를 포함하는 감광체유닛을 구비한다. 감광체 하우징은 감광체로부터 회수되는 현상제가 저장되는 제1현상제저장부와, 제1현상제저장부로터 이송되는 현상제가 저장되는 제2현상제저장부와, 감광체로 광이 주사될 수 있도록 형성된 광창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창부는 상기 제1현상제저장부와 제2현상제저장부 사이에 위치되고, 광창부의 측면 외측에는 제1현상제저장부와 제2현상제저장부를 연결하는 현상제 이동통로가 마련된다.

Description

감광체유닛, 현상제저장유닛 및 화상형성장치{PHOTOSENSITIVE BODY UNIT, DEVELOPER STORAGE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광체유닛의 구조를 개선하여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종류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인쇄매체에 바로 전사되거나 중간전사장치를 거쳐 인쇄매체에 전사되고, 인쇄매체로 전사된 화상은 정착과정을 통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이러한 인쇄과정에서 감광체의 가시화상이 인쇄매체나 중간전사장치로 완전하게 전사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일부는 감광체에 잔류하게 되는데, 잔류하는 폐현상제는 폐현상제 회수장치에 의해 회수되어 폐현상제 저장용기에 저장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05045호에는 폐현상제 회수장치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과, 감광드럼에 잔류하는 폐현상제를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유닛과, 감광드럼으로부터 제거된 폐현상제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파이프와, 이송파이프를 통해 이송되는 폐현상제를 저장하는 회수용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감광드럼과 클리닝유닛은 하나의 유닛로 마련되어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내부에 장착되고, 폐현상제 회수용기는 감광드럼유닛과는 별도로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폐현상제를 저장하는 회수용기가 감광드럼유닛과는 별도로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감광드럼유닛과 폐현상제 회수용기 사이에 이송파이프가 설치됨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구조가 복잡해져 화상형성장치를 소형화하는데 있어 매우 불리하다.
또한 개시된 화상형성장치에서는 감광드럼의 수명이 다한 경우나 폐현상제 회수용기에 폐현상제가 가득 찬 경우에 사용자가 감광드럼을 교체하는 작업과 폐현상제 회수용기를 비우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감광체유닛 또는 현상제저장유닛과 이러한 유닛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광체로부터 회수되는 현상제를 사용자가 별도로 처리할 필요가 없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감광체유닛 또는 현상제저장유닛과 이러한 유닛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감광체유닛은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로부터 회수되는 현상제를 저장하는 제1현상제저장부;와 상기 제1현상제저장부로부터 이송되는 현상제를 저장하는 제2현상제저장부;와 상기 감광체로 광이 주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현상제저장부와 제2현상제저장부 사이에 마련되는 광창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감광체유닛은 상기 제1현상제저장부에 저장된 현상제가 상기 제2현상제저장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광창부의 부근에 마련되는 현상제 이동통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감광체유닛은 상기 제1현상제저장부에 배치되는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2현상제저장부에 배치되는 제2현상제이송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는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는 회전 운동을 하고,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는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감광체유닛은 상기 감광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그 내부에 상기 제1현상제저장부와 제2현상제저장부가 형성된 감광체 하우징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창부는 상기 감광체 하우징의 바닥에 형성된 광투과구와, 상기 광투과구의 테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측벽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광체 하우징은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광체 하우징은 상기 제2현상제저장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광창부를 통과한 광이 상기 커버를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광투과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광창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광체유닛은 감광체 하우징;과 상기 감광체 하우징에 설치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1현상제저장부 및 제2현상제저장부;와 상기 감광체로 광이 주사될 수 있도록 상기 감광체 하우징에 형성되는 광투과구;와 상기 제1현상제저장부에 저장된 현상제가 상기 광투과구를 우회하여 상기 제2현상제저장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 현상제 이동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현상제 이동통로는 상기 광투과구의 양측 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감광체유닛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현상제 이동통로에 배치되는 현상제 이송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저장유닛은 현상제를 저장하는 제1현상제저장부;와 상기 제1현상제저장부로부터 이송되는 현상제를 저장하는 제2현상제저장부;와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현상제저장부와 제2현상제저장부 사이에 마련되는 광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현상제저장유닛은 상기 광창부를 통과한 광이 주사되는 상담지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감광체 하우징을 가지는 감광체유닛;과 상기 감광체로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유닛;과 상기 감광체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복수의 현상기;를 구비하고, 상기 감광체유닛은 상기 감광체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감광체로부터 회수되는 현상제를 저장하는 제1현상제저장부와, 상기 제1현상제저장부로부터 유입되는 현상제를 저장하는 제2현상제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광체 하우징은 상기 광주사유닛으로부터 주사되는 광이 상기 감광체에 이를 수 있도록 개방된 광투과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투과구는 상기 제1현상제저장부와 제2현상제저장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광주사유닛은 상기 감광체유닛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투과구는 상기 감광체 하우징의 바닥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광체 하우징은 상기 광투과구의 테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측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광체유닛은 상기 측벽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현상제저장부와 제2현상제저장부를 연결하는 현상제 이동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현상제 회수장치를 감광체유닛에 일체화하여 부품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면서도 감광체유닛의 내부에 충분한 현상제 저장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발명은 감광체유닛에 광이 통과할 수 있는 광창부를 마련하여 광주사유닛이나 감광체유닛의 배치를 자유롭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감광체로부터 회수된 현상제를 별도로 처리할 필요가 없으며 감광체유닛을 교환할 때 회수된 현상제도 함께 처리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 인쇄매체 공급유닛(20), 광주사유닛(30), 감광체유닛(100), 현상유닛(40), 전사유닛(50), 정착유닛(60) 및 인쇄매체 배출유닛(70)을 구비한다.
본체(10)는 화상형성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본체(10)의 일측에는 본체커버(11)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체커버(11)는 본체(10)의 일부분을 개폐한다. 사용자는 본체커버(11)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접근하여 감광체유닛(100), 현상유닛(40)과 같은 부품들을 착탈할 수 있다.
인쇄매체 공급유닛(20)은 인쇄매체(S)가 보관되는 카세트(21)와, 카세트(21)에 보관된 인쇄매체(S)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2)와, 픽업된 인쇄매체를 전사유닛(5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주사유닛(30)은 감광체유닛(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화상 정보에 상응하는 광을 감광체(200)에 주사한다. 광주사유닛(30)은 광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도록 투 광부재(31)를 가지는 케이스(32)와, 케이스(32)의 내부에 장착되는 주사광학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사광학계는 화상 신호에 따라 광을 출사하는 광원(33)과, 광원(33)에서 출사된 광을 편향시키는 광편향기(34)와, 광편향기(34)에서 편향된 광에 포함된 수차를 보정하는 에프세타(fθ) 렌즈(35)와, 에프세타 렌즈(35)를 통과한 광을 감광체(200)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거울(36)을 구비한다.
광편향기(34)는 구동모터(34a)와, 이 구동모터(34a)에 의해 회전하는 폴리곤미러(34b)를 포함한다. 폴리곤미러(34b)는 그 측면에 복수의 반사면을 구비하여 광원(33)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편향 주사한다.
광원(33)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회전하는 폴리곤미러(34b)에 의해 편향되고, 에프세타 렌즈(35)를 거쳐 반사거울(36)에 의해 투광부재(31) 쪽으로 반사된다. 반사거울(36)에서 반사된 광은 투광부재(31)를 통과해 케이스(32)의 외부로 출사되어 감광체(200)에 조사되고, 감광체(200)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감광체유닛(100)은 감광체 하우징(300)과, 감광체 하우징(3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감광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감광체(200)는 광주사유닛(30)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잠상 및 현상유닛(40)에 의해 형성되는 가시화상을 담지하는 상담지체(像擔持體, image carrier)이다.
감광체유닛(100)은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는 감광체유닛(100)이 고장나거나 그 수명이 다한 경우에 본체커버(11)를 통해 감광체유닛(100)을 수리, 교체할 수 있다.
감광체 하우징(300)의 내부에는 대전롤러(110)가 설치된다. 대전롤러(110)는 광주사유닛(30)으로부터 광이 주사되기에 앞서 감광체(200)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킨다.
또 감광체 하우징(300)의 내부에는 현상제 회수장치(400)가 설치된다. 현상제 회수장치(400)는 한 사이클의 현상 및 전사과정을 마친 후에 감광체(200)의 표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회수하여 보관한다. 본 발명에서는 현상제 회수장치(400)가 감광체유닛(100)에 일체화된다. 따라서 감광체유닛(100)은 현상제를 저장하는 부품이라는 측면에서는 현상제저장유닛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상제 회수장치(400)가 감광체유닛(100)에 일체화되면 별도의 회수용기를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화상형성장치를 소형화하는데 있어 유리하다. 현상제 회수장치(400)와 관련한 감광체유닛(100)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현상유닛(40)은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200)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현상유닛(40)은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 예를 들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기(40Y, 40M, 40C, 40K)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현상기(40Y, 40M, 40C, 40K)는 현상제수용부(41), 공급롤러(42)와 현상롤러(43)를 가진다. 현상제수용부(41)에는 감광체(200)로 공급될 현상제가 저장되고, 공급롤러(42)는 현상제수용부(41)에 저장된 현상제를 현상롤러(43)에 공급한다. 현상롤러(43)는 정전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체(200)의 표면에 현상제를 부 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전사유닛(50)은 중간전사벨트(51), 제1전사롤러(52) 및 제2전사롤러(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간전사벨트(51)는 지지롤러들(54)(55)에 의해 지지되어 감광체(200)의 선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주행한다. 제1전사롤러(52)는 중간전사벨트(51)를 사이에 두고 감광체(200)와 마주하여 감광체(200)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중간전사벨트(51)로 전사되도록 한다.
제2전사롤러(53)는 중간전사벨트(51)를 사이에 두고 지지롤러(55)와 마주한다. 제2전사롤러(53)는 감광체(200)에서 중간전사벨트(51)로 화상이 전사되는 동안에는 중간전사벨트(51)로부터 이격되고, 감광체(200)의 화상이 중간전사벨트(51)로 완전히 전사되면 중간전사벨트(51)에 소정 압력으로 접촉된다. 제2전사롤러(53)가 중간전사벨트(51)와 접촉하면 중간전사벨트(51)의 화상이 인쇄매체로 전사된다.
정착유닛(60)은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61)와, 가열롤러(61)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가압롤러(62)를 구비한다. 인쇄매체가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 사이를 통과할 때, 가열롤러(61)로부터 전달되는 열과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화상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한편 인쇄매체 배출유닛(70)은 배지롤러(71)와 배지백업롤러(72)를 구비하여 정착유닛(60)을 통과한 인쇄매체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한다. 인쇄동작이 시작되면, 감광체(200)의 표면은 대전롤러(110)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균일하 게 대전된 감광체(200)의 표면에는 광주사유닛(30)으로부터 어느 한 색상, 예를 들어 옐로우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이 조사되고, 감광체(200)에는 옐로우 색상의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점상이 형성된다.
이어서 옐로우 현상기(40Y)의 현상롤러(43)에는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되고, 이에 따라 옐로우 색상의 현상제가 정전잠상에 부착되어 감광체(200)에는 옐로우 색상의 가시화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시화상은 제1전사롤러(52)에 의해 중간전사벨트(51)로 전사된다.
옐로우 색상에 대한 한 페이지 분량의 전사가 완료되면, 광주사유닛(30)은 다른 한 색상, 예를 들어 마젠타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감광체(200)에 주사하여 마젠타 색상의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마젠타 현상기(40M)는 정전잠상에 마젠타 색상의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200)에 형성된 마젠타 색상의 가시화상은 제1전사롤러(52)에 의해 중간전사벨트(51)로 전사되는데, 이 때 마젠타 색상의 가시화상은 먼저 전사되어 있던 옐로우 색상의 가시화상 위에 중첩된다.
시안 및 블랙 색상에 대하여도 위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면, 중간전사벨트(51)에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색상의 화상이 중첩된 칼라화상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칼라화상은 중간전사벨트(51)와 제2전사롤러(53)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매체로 전사되고, 인쇄매체는 정착유닛(60)과 인쇄매체 배출유닛(70)을 거쳐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위와 같은 과정에서 감광체(200)의 화상이 중간전사벨트(51)로 전사될 때, 일부의 현상제는 감광체(200)에 잔류하여 폐현상제가 된다. 다음 사이클의 현상 및 전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감광체(200)에 잔류하는 현상제가 깨끗이 제거되어야 하므로 화상형성장치는 이를 위한 현상제 회수장치(400)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감광체유닛(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서 감광체유닛(100)에 구비되는 현상제 회수장치(400)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감광체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감광체 하우징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서는 일부 구성을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체유닛(100)은 감광체(200), 감광체 하우징(300) 및 현상제 회수장치(400)를 구비한다.
감광체 하우징(300)은 감광체유닛(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310)과, 메인프레임(310)의 양측에 결합되는 측면프레임(320)들과, 메인프레임(310)의 상측을 덮는 커버(330)와, 광주사유닛(30)으로부터 주사되는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광창부(340)를 포함한다.
또 현상제 회수장치(400)는 클리닝 블레이드(410), 제1현상제저장부(420), 제2현상제저장부(430), 제1현상제이송부재(440), 회전부재(450), 현상제 이동통로(460)와 현상제 이송장치(470)를 포함한다.
메인프레임(310)은 상측으로 돌출되어 그 내부에 제1현상제저장부(420)를 형성하는 제1프레임부(311)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내부에 제2현상제저장 부(430)를 형성하는 제2프레임부(312)를 가진다.
제1프레임부(311)의 양측면에는 측면프레임(320)들이 각각 결합되고, 이 측면프레임(320)들에는 감광체(200)의 중심축(21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감광체(200)의 일측 단부에는 감광체기어(220)가 설치되며, 이 감광체기어(220)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에 설치된 감광체 구동기어(미도시)에 맞물린다.
제1현상제저장부(420)의 후방은 개방되고, 이 개방부에는 구획벽(421)이 설치된다. 구획벽(421)의 단부에는 클리닝 블레이드(410)가 설치된다. 클리닝 블레이드(410)는 일단부가 감광체(200)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감광체(200)의 표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긁어낸다. 클리닝 블레이드(410)에 의해 제거된 현상제는 제1현상제저장부(420)에 저장된다.
제1현상제저장부(420)에는 제1현상제이송부재(440)와 회전부재(450)가 설치된다. 제1현상제이송부재(440)와 회전부재(450)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측에 배치된 회전부재(450)는 제1현상제저장부(420)의 내부에서 회전하며 제1현상제저장부(420)에 저장된 현상제가 뭉치지 않도록 교반한다.
하측에 배치된 제1현상제이송부재(440)는 후술할 제2현상제이송부재(470a)를 구동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제1현상제저장부(420)에 저장된 현상제를 교반하는 역할을 한다. 제1현상제이송부재(440)는 제1현상제저장부(420)의 내부에서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나, 설계상의 필요에 따라서는 직선 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현상제이송부재(440)는 그 회전중심으로부터 제1방향으로 편심된 제1편심 축부들(441a)(441b)과, 제2방향으로 편심된 제2편심축부(442)를 가진다. 제1편심축부들(441a)(441b)은 제1현상제저장부(420)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되고, 제2편심축부(442)는 제1편심축부들(441a)(441b) 사이에 배치된다.
회전부재(450)는 제1현상제이송부재(440)와 마찬가지로 제1편심축부들(451a)(451b)과, 제2편심축부(452)를 가질 수 있다.
메인프레임(310)에서 제1프레임부(311)의 측면 일측에는 제1현상제이송부재(440)와 회전부재(45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기어(481)와 제2기어(482)가 설치된다. 제1기어(481)는 제1현상제이송부재(440)의 회전축에 동축으로 결합되고, 제2기어(482)는 회전부재(450)의 회전축에 동축으로 결합된다. 제1기어(481)와 제2기어(482) 사이에는 연결기어(483)가 설치된다. 제1기어(481)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에 설치된 회전부재 구동기어(미도시)에 맞물려 회전하고, 제2기어(482)는 연결기어(483)를 통해 제1기어(48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제2현상제저장부(430)는 제1현상제저장부(420)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1현상제저장부(420)로부터 이송되는 현상제를 저장한다.
제2현상제저장부(430)는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제1부분(430a)과, 제1부분(430a)보다 폭이 좁은 제2부분(430b)을 가진다. 제1부분(430a)은 제1현상제저장부(420)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제2부분(430b)은 제1부분(430a)의 후방에 위치된다.
제2부분(430b)이 제1부분(430a)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것은 감광체유닛(100)의 주변에 설치되는 다른 부품들과의 간섭을 피하면서 본체(10)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고려한 것이다. 제2부분(430b)은 제1부분(430a)보다 폭 이 좁은 대신에 제1부분(430a)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제1현상제저장부(420)와 제2현상제저장부(430) 사이에는 광창부(340)가 마련되고, 광창부(340)의 측면 양측에는 현상제 이동통로(461)(462)가 각각 마련된다. 광창부(340)는 광주사유닛(30)에서 주사되는 광이 감광체 하우징(300)을 관통하여 감광체(200)에 이를 수 있도록 하고, 현상제 이동통로(461)(462)는 제1현상제저장부(420)에 저장된 현상제가 광창부(340)를 우회하여 제2현상제저장부(43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광창부(340)는 메인프레임(310)의 바닥에 형성되는 광투과구(341)와, 이 광투과구(341)의 테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측벽(342)을 포함한다. 측벽(342)은 감광체 하우징(300)의 내부에 저장된 현상제가 광투과구(34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현상제 이동통로(461)(462)는 측벽(342)의 양측 가에 마련되고, 측벽(342)의 양측면을 따라 연장된다.
현상제 이송장치(470)는 제1현상제저장부(420)에 저장된 현상제를 제2현상제저장부(430)로 이송한다. 현상제 이송장치(470)는 왕복 운동하며 현상제를 이송하는 현상제 이송부재(470a)와, 제2현상제이송부재(470a)를 일측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470b)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현상제 이송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현상제이송부재(470a)는 판상으로 마련되고, 감광체 하우징(30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현상제이송부재(470a)는 제1현상제저장부(420)의 양측 가에서 현상제 이동통로(461)(462)를 통해 제2현상제저장부(430) 쪽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이송부(471) 및 제2이송부(472)와, 제2현상제저장부(430)에 위치되는 제3이송부(473) 및 제4이송부(474)를 포함한다.
제1이송부(471)는 광창부(340)의 일측 가에 형성된 현상제 이동통로(461)를 통해 현상제를 이송하고, 제2이송부(472)는 광창부(340)의 타측 가에 형성된 현상제 이동통로(462)를 통해 현상제를 이송한다.
제3이송부(473)와 제4이송부(474)는 구획부(475)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제3이송부(473)는 제1이송부(471)에 의해 제2현상제저장부(430)의 제1부분(430a)으로 유입된 현상제를 제2현상제저장부(430)의 제2부분(430b) 쪽으로 이송한다. 또 제4이송부(474)는 제2이송부(472)에 의해 제2현상제저장부(430)의 제1부분(430a)으로 유입된 현상제를 제2현상제저장부(430)의 제2부분(430b) 쪽으로 이송한다.
제2현상제이송부재(470a)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이송리브들(476)을 구비한다. 도 3과 같이, 현상제가 이송되는 방향을 향하는 이송리브의 일측면(476a)은 현상제를 효과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수직면으로 형성된다. 반면에 상기 일측면(476a)의 반대쪽에 위치되는 이송리브의 타측면(476b)은 제2현상제이송부재(470a)가 현상제 이송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 현상제가 역행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제2현상제이송부재(470a)에서 제1이송부(471)와 제2이송부(472)의 단부에는 간섭부(477)가 각각 마련된다. 간섭부(477)는 회전하는 제1현상제이송부재(440)의 제1편심축부들(441a)(441b)과 간섭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간섭부(477)가 회전하는 제1편심축부들(441a)(441b)에 간섭되면, 간섭부(477)는 제1편심축부들(441a)(441b)에 의해 밀려나므로 제2현상제이송부재(470a)는 A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현상제이송부재(440)의 제1편심축부들(441a)(441b)에는 완충부재(443)가 설치될 수 있다. 완충부재(443)는 회전하는 제1편심축부들(441a)(441b)이 간섭부(477)와 충돌할 때 생기는 충격을 완화하여 부품의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제2현상제이송부재(470a)에서 제3이송부(473)와 제4이송부(474)에는 제1탄성부재설치부(478)가 마련되고, 메인프레임(310)에는 상기 제1탄성부재설치부(478)에 대응하여 제2탄성부재설치부(313)가 마련된다.
탄성부재(470b)는 그 일측이 제1탄성부재설치부(478)에 지지되고, 그 타측이 제2탄성부재설치부(313)에 지지되어 제2현상제이송부재(470a)를 A방향의 반대 방향(B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킨다.
제1현상제이송부재(440)가 회전함에 따라 제1편심축부들(441a)(441b)이 제2현상제이송부재(470a)의 간섭부(477)로부터 이격되면, 제2현상제이송부재(470a)는 탄성부재(470b)의 탄성력에 의해 B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제1현상제저장부(420)에 저장된 현상제는 현상제 이동통로(461)(462)를 통해 제2현상제저장부(430)의 제1부분(430a)으로 이송되고, 제2현상제저장부(430)의 제1부분(430a)에 저장된 현상제는 제2부분(430b) 쪽으로 이송된다.
한편, 메인프레임(310)은 가이드돌기(314)를 가지고, 제2현상제이송부 재(470a)는 상기 가이드돌기(314)가 삽입되는 가이드장공(479)을 가진다. 가이드돌기(314)와 가이드장공(479)은 제2현상제이송부재(470a)의 왕복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30)는 메인프레임(310)의 제2프레임부(312)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2현상제저장부(430)와 현상제 이동통로(460)를 덮는다.
커버(330)는 메인프레임(310)의 광창부(340)를 통과한 광이 커버(330)를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광투과구(331)와, 광투과구(331)의 후방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벽(332)을 가진다. 돌출벽(332)은 커버(330)의 상부에 배치된 현상기들(40Y, 40M, 40C, 40K)로부터 비산하는 현상제가 광투과구(33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커버(330)는 그 후방부에 요입 형성되는 손잡이부(333)를 가진다. 손잡이부(333)는 감광체유닛(100)의 착탈 시에 사용자가 감광체유닛(100)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감광체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감광체 하우징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현상제 이송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화상형성장치 30 : 광주사유닛
40Y, 40M, 40C, 40K : 현상기 100 : 감광체유닛
200 : 감광체 300 : 감광체 하우징
330 : 커버 340 : 광창부
341 : 광창부의 광투과구 342 : 측벽
400 : 현상제 회수장치 420 : 제1현상제저장부
430 : 제1현상제저장부 460 : 현상제 이동통로
440 : 제1현상제이송부재 470a : 제2현상제이송부재

Claims (21)

  1.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로부터 회수되는 현상제를 저장하는 제1현상제저장부;와
    상기 제1현상제저장부로부터 이송되는 현상제를 저장하는 제2현상제저장부;와
    상기 감광체로 광이 주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현상제저장부와 제2현상제저장부 사이에 마련되는 광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현상제저장부에 저장된 현상제가 상기 제2현상제저장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광창부의 부근에 마련되는 현상제 이동통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현상제저장부에 배치되는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2현상제저장부에 배치되는 제2현상제이송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는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는 회전 운동을 하고,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는 직선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그 내부에 상기 제1현상제저장부와 제2현상제저장부가 형성된 감광체 하우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창부는 상기 감광체 하우징의 바닥에 형성된 광투과구와, 상기 광투과구의 테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유닛.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 하우징은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유닛.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 하우징은 상기 제2현상제저장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광창부를 통과한 광이 상기 커버를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광투과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유닛.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광창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유닛.
  12. 감광체 하우징;과
    상기 감광체 하우징에 설치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1현상제저장부 및 제2현상제저장부;와
    상기 감광체로 광이 주사될 수 있도록 상기 감광체 하우징에 형성되는 광투과구;와
    상기 제1현상제저장부에 저장된 현상제가 상기 광투과구를 우회하여 상기 제2현상제저장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 현상제 이동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이동통로는 상기 광투과구의 양측 가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유닛.
  14.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현상제 이동통로에 배치되는 현상제 이송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유닛.
  15. 현상제를 저장하는 제1현상제저장부;와
    상기 제1현상제저장부로부터 이송되는 현상제를 저장하는 제2현상제저장부;와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현상제저장부와 제2현상제저장부 사이에 마련되는 광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저장유닛.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창부를 통과한 광이 주사되는 상담지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저장유닛.
  17.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감광체 하우징을 가지는 감광체유닛;과
    상기 감광체로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유닛;과
    상기 감광체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복수의 현상기;를 구비하고,
    상기 감광체유닛은 상기 감광체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감광체로부터 회수되는 현상제를 저장하는 제1현상제저장부와, 상기 제1현상제저장부로부터 유입되는 현상제를 저장하는 제2현상제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광체 하우징은 상기 광주사유닛으로부터 주사되는 광이 상기 감광체에 이를 수 있도록 개방된 광투과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구는 상기 제1현상제저장부와 제2현상제저장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주사유닛은 상기 감광체유닛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투과구는 상기 감광체 하우징의 바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 하우징은 상기 광투과구의 테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측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유닛은 상기 측벽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현상제저장부와 제2현상제저장부를 연결하는 현상제 이동통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80015803A 2008-02-21 2008-02-21 감광체유닛, 현상제저장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KR100913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803A KR100913143B1 (ko) 2008-02-21 2008-02-21 감광체유닛, 현상제저장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US12/190,770 US8185033B2 (en) 2008-02-21 2008-08-13 Photosensitive body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RU2008135215/28A RU2388035C1 (ru) 2008-02-21 2008-08-28 Узел светочувствительного тела и аппарат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имеющий этот узел
CN2008102125063A CN101515133B (zh) 2008-02-21 2008-08-29 感光体单元以及具有该感光体单元的成像设备
EP08168201A EP2093632B1 (en) 2008-02-21 2008-11-03 Photosensitive body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T08168201T ATE539385T1 (de) 2008-02-21 2008-11-03 Lichtempfindliche körpereinheit und damit ausgerüstete bilderzeugungsvorricht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803A KR100913143B1 (ko) 2008-02-21 2008-02-21 감광체유닛, 현상제저장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3143B1 true KR100913143B1 (ko) 2009-08-19

Family

ID=40677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803A KR100913143B1 (ko) 2008-02-21 2008-02-21 감광체유닛, 현상제저장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85033B2 (ko)
EP (1) EP2093632B1 (ko)
KR (1) KR100913143B1 (ko)
CN (1) CN101515133B (ko)
AT (1) ATE539385T1 (ko)
RU (1) RU2388035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22893B2 (en) * 2010-01-21 2013-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8422908B2 (en) * 2010-01-21 2013-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8437680B2 (en) * 2010-01-25 2013-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4097541A4 (en) * 2020-04-08 2024-01-31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SEALS OF A DEVELOPER UNIT WITH END CAPS WITH CHANNEL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092A (ko) * 1997-07-15 1999-02-05 윤종용 화상 형성 장치 및 방법
KR20050003875A (ko) * 2003-07-04 2005-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KR20050073118A (ko) * 2004-01-08 2005-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기기의 현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03469B1 (de) 1988-03-02 1991-09-18 Siemens Nixdorf Informationssystem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dosierten einfüllen von toner aus einem vorratsbehälter in die entwicklerstation eines druck- oder kopiergerätes
JPH07168507A (ja) 1993-12-14 1995-07-04 Ricoh Co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8123297A (ja) 1994-10-24 1996-05-1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6549737B2 (en) 2001-09-13 2003-04-15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Process unit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parable unit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uch process unit
US7228089B2 (en) 2001-12-20 2007-06-05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replenishment portion
JP2004101757A (ja) * 2002-09-06 2004-04-02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リサイクル方法
KR100522937B1 (ko) 2003-07-01 2005-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 프린터의 폐토너 회수장치
JP2005121765A (ja) 2003-10-15 2005-05-1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ならびに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着脱可能な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127190B2 (en) * 2005-01-25 2006-10-24 Kabushiki Kaisha Toshiba Charger cleaning device, charger cleaning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941420B1 (ko) * 2008-02-21 2010-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KR101099499B1 (ko) * 2008-02-21 201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092A (ko) * 1997-07-15 1999-02-05 윤종용 화상 형성 장치 및 방법
KR20050003875A (ko) * 2003-07-04 2005-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KR20050073118A (ko) * 2004-01-08 2005-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기기의 현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15133A (zh) 2009-08-26
RU2008135215A (ru) 2010-03-10
EP2093632A3 (en) 2010-06-02
RU2388035C1 (ru) 2010-04-27
CN101515133B (zh) 2013-02-06
EP2093632B1 (en) 2011-12-28
US20090214254A1 (en) 2009-08-27
EP2093632A2 (en) 2009-08-26
US8185033B2 (en) 2012-05-22
ATE539385T1 (de) 2012-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971B1 (ko) 화상 형성 장치
JP4378221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970274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510924B1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565011B2 (ja) 画像形成装置
JP4919014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20177403A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US8639132B2 (en) Developer recovery container including a conveying unit including a pip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the developer recovery container
KR100913143B1 (ko) 감광체유닛, 현상제저장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JP2009086417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9156993A (ja) 画像形成装置
JP4983130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剤カートリッジ
JP4146128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KR100941421B1 (ko) 현상제 저장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4936702B2 (ja) 画像形成装置
JP4983129B2 (ja) 画像形成装置
JP4954602B2 (ja) 画像形成装置
EP211256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Frame Unit Thereof
JP2021033167A (ja) 画像形成装置
KR20080088367A (ko) 현상제 반송 부재, 현상제 수용기, 화상 형성 장치 및현상제 반송 부재 조립 방법
JP3166412U (ja) 画像形成装置
JPH09274384A (ja)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KR101298266B1 (ko) 화상형성장치와 그 프레임유닛
CN113050399A (zh) 盒单元
KR20050037025A (ko) 감광유닛의 하우징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