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738B1 -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9738B1 KR101579738B1 KR1020100133727A KR20100133727A KR101579738B1 KR 101579738 B1 KR101579738 B1 KR 101579738B1 KR 1020100133727 A KR1020100133727 A KR 1020100133727A KR 20100133727 A KR20100133727 A KR 20100133727A KR 101579738 B1 KR101579738 B1 KR 1015797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toner
- cylindrical portion
- developing roller
- develop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Axial coupling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10—Selectively engageable hub to shaft connec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254—Lockable at fixed position
- Y10T403/32467—Telescoping memb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254—Lockable at fixed position
- Y10T403/32467—Telescoping members
- Y10T403/32475—Telescoping members having det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254—Lockable at fixed position
- Y10T403/32467—Telescoping members
- Y10T403/32475—Telescoping members having detent
- Y10T403/32483—Spring bias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254—Lockable at fixed position
- Y10T403/32467—Telescoping members
- Y10T403/32524—Self-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개시된 현상기는 토너가 수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설치되어 토너를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현상시키는 현상롤러를 포함한다. 현상롤러는 중공 파이프 형상의 원통부와, 원통부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현상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부재가 결합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한다. 원통부의 양단부는 하우징에 지지되며 동력전달부는 하우징에 구속되지 않는다.
Description
감광체에 토너를 공급하여 현상시키는 현상롤러를 구비하는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체에 조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키고, 이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여 정착시킴으로써 기록매체에 화상을 인쇄한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토너가 수용된 현상기를 구비한다.
토너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카트리지를 '현상기'라 한다. 현상기는 내부에 수용된 토너가 모두 소비된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탈거되고, 새로운 현상기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다.
현상롤러의 회전은 교란은 화상품질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은 현상롤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현상기는, 토너가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토너를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현상시키는 것으로서, 중공 파이프 형상의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현상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부재가 결합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하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부의 양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며,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하우징에 구속되지 않는다.
상기 원통부의 일단부에는 연결홈이 마련되며,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원통부의 내경부보다 직경이 작고 상기 내경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결합되는 연장부와, 상기 동력전달부가 상기 원통부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는 연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상기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원통부의 양단부를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원통부의 내경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원통부의 외경부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현상기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한 현상기로서, 감광체; 토너가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토너를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현상시키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롤러는, 내경부와 외경부를 구비하고 그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중공 파이프 형상의 것으로서, 연결홈이 마련된 원통부; 상기 본체와 동력연결되어 상기 현상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연결홈에 자웅 결합되는 연결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원통부의 내경부에 헐거운 끼워맞춤방식으로 결합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상기 현상기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원통부의 양단부를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내경부와 상기 외경부 중 하나를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술한 현상기를 포함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이다.
상술한 현상기 및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첫째, 원통부가 하우징에 지지되므로 동력전달과정에서 발생되는 반경방향의 힘을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하우징의 변형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현상롤러의 위치변동을 줄일 수 있으므로 현상롤러의 위치변동에 기인하는 화상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부의 회전중심과 원통부의 회전중심의 어긋남이 화상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줄여 안정적인 화상품질을 구현할 수 있다.
둘째, 동력전달부가 원통부에 헐거운 끼워맞춤방식으로 결합되므로 동력전달부의 회전중심과 원통부의 회전중심이 다소 어긋나더라도 헐거운끼워맞춤이 유니버설 조인트와 유사한 작용을 하여 현상롤러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3은 현상롤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현상롤러를 하우징에 지지하기 위한 구조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현상롤러를 하우징에 지지하기 위한 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연결홈과 연결돌기의 형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3은 현상롤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현상롤러를 하우징에 지지하기 위한 구조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현상롤러를 하우징에 지지하기 위한 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연결홈과 연결돌기의 형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이하, 도면들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 및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에 채용된 현상기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현상기(100)는 감광드럼(1)과 현상롤러(3)를 구비하는 현상기이다.
먼저 도 2를 보면, 감광드럼(1)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의 일 예로서, 원통형 금속 파이프의 외주에 광도전성을 가지는 감광층이 형성된 것이다. 대전롤러(2)는 감광드럼(1)의 그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2)에는 대전바이어스가 인가된다. 대전롤러(2) 대신에 코로나 대전기(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다. 현상롤러(3)는 토너를 감광드럼(1)의 표면에 형성되는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현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롤러(3)의 표면은 감광드럼(1)의 표면과 수백 미크론 정도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이 간격을 현상갭(D)이라 한다. 현상롤러(3)에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되면 이 현상갭(D)을 통하여 토너가 감광드럼(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되어 부착된다.
현상기(100)에는 토너를 현상롤러(3)에 부착시키기 위한 공급롤러(4)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공급롤러(4)에는 토너를 현상롤러(3)로 부착시키기 위하여 공급바이어스가 인가될 수 있다. 참조부호 5는 현상롤러(3)의 표면에 부착되는 토너의 양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재를 표시한다. 규제부재(5)는 예를 들어 그 선단이 현상롤러(3)에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되는 규제 블레이드일 수 있다. 참조부호 6은 대전 전에 감광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잔류토너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부재를 표시한다. 클리닝 부재(6)는 예를 들어 그 선단이 감광드럼(1)의 표면에 접촉되는 클리닝 블레이드일 수 있다. 이하에서, 감광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을 폐토너로 지칭한다.
현상기(100)는 토너 수용부(10)와 폐토너 수용부(11)를 구비한다. 폐토너 수용부(11)에는 감광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폐토너가 수용된다. 토너 수용부(10)에는 토너가 수용된다. 토너 수용부(10)에는 교반기(7)가 설치된다. 교반기(7)는 토너를 현상롤러(3)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교반기(7)는 토너를 휘저어 토너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도 2에는 하나의 교반기(7)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토너 수용부(10)의 용적이나 형태를 감안하여 효과적으로 토너를 현상롤러(3)로 공급하기 위하여 토너 수용부(10)에는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수의 교반기(7)가 설치될 수 있다. 교반기(7)의 형태는 회전축에 하나 또는 다수의 유연한 필름 형태의 교반날개가 마련된 형태일 수 있다. 또,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교반기(7)는 나선형 교반날개를 구비하는 오거(auger)일 수도 있다. 교반기(7)는 토너를 현상롤러(3)로 이송시키는 한편, 토너를 교반하여 토너를 마찰대전시킨다.
폐토너 수용부(11)에는 폐토너 이송부재(60)가 설치된다. 폐토너 이송부재(60)는 회전부재(7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위치되는 편심부(71)와 연결된다. 회전부재(70)가 회전됨에 따라 폐토너 이송부재(60)는 왕복운동되면서, 감광드럼(1)으로부터 제거된 폐토너를 폐토너 수용부(11) 내부로 이송시킨다.
하우징(90)은 토너 수용부(10)와 폐토너 수용부(11)를 형성하며, 감광체(1), 대전롤러(2), 현상롤러(3), 공급롤러(4), 교반기(7) 등 현상기(100)를 구성하는 부재들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역할을 한다. 감광드럼(1)은 개구(93)를 통하여 그 외주의 일부가 하우징(90) 외부로 노출된다. 하우징(90)의 내부에는 제1, 제2격벽(94)(95)이 마련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91)과 제1격벽(94)은 토너 수용부(10)를 형성하며, 상부 프레임(92)과 제2격벽(95)은 폐토너 수용부(11)를 형성한다. 제1격벽(94)과 제2격벽(95)은 상호 이격되게 위치되어 그 사이로 감광드럼(1)을 노광시키기 위하여 노광기(도 1의 200)로부터 주사되는 광(L)이 입사되는 광로(12)를 형성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현상기(100)는 도어(701)를 통하여 화상형성장치 본체(700)에 장착된다. 현상기(100)가 본체(700)에 장착되면, 본체(700)에 마련된 구동수단(미도시)은 현상기(100)와 연결되어, 감광체(1), 대전롤러(2), 현상롤러(3), 공급롤러(4), 교반기(7) 등 현상기(100)를 구성하는 부재들을 회전시킨다.
노광기(200)는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드럼(1)의 표면에 주사한다. 노광기(200)로서, 예를 들면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폴리곤미러를 이용하여 주주사방향으로 편향시켜 감광드럼(1)에 주사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채용될 수 있다.
전사롤러(300)는 감광드럼(1)의 표면과 대면되게 위치되어 전사닙을 형성하는 전사기의 일 예이다. 전사롤러(300)에는 감광드럼(1)의 표면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전사롤러(300)대신에 코로나 전사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전사롤러(300)에 의하여 기록매체(P)의 표면으로 전사된 토너화상은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기록매체(P)의 표면에 유지된다. 정착기(400)는 토너화상이 열과 압력을 가하여 기록매체(P)에 정착시킴으로써 기록매체(P)에 영구적인 인쇄화상을 형성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화상형성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대전롤러(2)에 대전바이어스가 인가되고, 감광드럼(1)은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노광기(200)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현상기(100)에 마련된 광로(12)을 통하여 감광드럼(1)으로 주사하여, 감광드럼(1)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토너는 교반기(7)에 의하여 공급롤러(4) 쪽으로 이송되며, 공급롤러(4)는 토너를 현상롤러(3)의 표면에 부착시킨다. 규제부재(5)는 현상롤러(3)의 표면에 균일한 두께의 토너층을 형성시킨다. 현상롤러(3)에는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된다. 현상롤러(3)가 회전됨에 따라 현상닙(D)으로 운반된 토너는 현상바이어스에 의하여 감광드럼(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되어 부착되어 감광드럼(1)의 표면에는 가시적인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픽업롤러(502)에 의하여 적재수단(501)으로부터 인출된 기록매체(P)는 이송롤러(503)에 의하여 전사롤러(300)와 감광드럼(1)이 대면된 전사닙으로 이송된다. 전사롤러(300)에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되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토너화상은 기록매체(P)로 전사된다. 기록매체(P)로 전사된 토너화상이 정착기(400)로부터 열과 압력을 받아 기록매체(P)에 정착됨으로써 인쇄가 완료된다. 기록매체(P)는 배출롤러(504)에 의하여 배출된다. 기록매체(P)로 전사되지 않고 감광드럼(1)의 표면에 잔류되는 토너는 클리닝 부재(6)에 의하여 제거되어, 폐토너 수용부(11)에 수용된다.
현상롤러(3)는 하우징(9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회전되어야 한다. 현상롤러(3)의 위치가 변동되면, 현상갭(D)이 변동되며 규제부재(5)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또한 변동되어, 화상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 3은 현상롤러(3)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4는 현상롤러(3)를 하우징(90)에 지지하기 위한 구조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을 보면, 현상롤러(3)는 토너를 부착시켜 감광체(1)로 공급시키기 위한 중공 파이프 형상의 원통부(310)와, 현상롤러(3)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원통부(31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동력전달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320)에는 현상롤러(3)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부재, 예를 들어 기어(330)가 결합된다.
비자성 일성분 토너를 채용하는 경우, 원통부(310)는 비자성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원통부(310)의 외주에 탄성체층이 마련될 수도 있다. 원통부(310)는 내경부(311)와 외경부(312)를 구비한다. 원통부(310)는 하우징(90)에 지지된다. 예를 들어 원통부(310)는 하부 프레임(도 2의 91)의 측벽에 지지될 수 있다. 원통부(310)가 하우징(90)에 대하여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원통부(310)와 하우징(90)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부재(340)가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어링 부재(340)는 원통부(310)의 내경부(311)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부재(340)는 원통부(310)의 외경부(312)를 지지할 수 있다. 베어링 부재(340)는 하우징(90)에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며, 원통부(310)의 내경부(311) 또는 외경부(312)는 베어링 부재(340)에 미끄럼 접촉되어 회전된다. 베어링 부재(340)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예를 들어 POM(polyoxymethylene) 등의 폴리아세탈 수지를 이용한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 부재(340)는 오일이 함유된 소결 세라믹 또는 소결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원통부(310)의 일단부(315)가 하우징(90)에 지지된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도시되지 않은 원통부(310)의 타단부 역시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형태로 하우징(90)에 지지된다.
동력전달부(320)는 원통부(310)에 헐거운 끼워맞춤에 의하여 결합된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동력전달부(320)는 원통부(310)의 내경부(311)에 삽입되는 삽입부(321)를 구비한다. 삽입부(321)의 직경(d1)은 내경부(311)의 직경(d2)보다 작다. 삽입부(321)의 직경(d1)과 내경부(311)의 직경(d2)의 차이는 삽입부(d21)가 내경부(311)에 압입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는 정도로 결정될 수 있다. 삽입부(32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322)에는 기어(3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기어결합부(323)가 마련된다. 기어결합부(323)는 예를 들어 디-컷(D-cut) 형상일 수 있다. 기어(330)에는 기어결합부(323)와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삽입공(331)이 마련된다. 기어(330)는 기어결합부(323)에 압입될 수 있으며,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연장부(322)에는 기어(330)가 기어결합부(323)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이-링(e-ring)(미도시), 와셔 등의 체결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기어(330)가 회전되어 동력전달부(320)가 회전될 때에 원통부(310)도 함께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원통부(310)에는 연결홈(313)이 마련될 수 있다. 삽입부(321)에는 연결홈(313)과 자웅결합되는 연결돌기(324)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돌기(324)는 예를 들어 탄성아암(325)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삽입부(321)가 내경부(311)에 삽입될 때에 탄성아암(325)이 반경방향으로 후퇴되었다가 연결돌기(324)와 연결홈(313)이 정렬되면 탄력적으로 원래 위치로 회복됨으로써 연결돌기(324)가 연결홈(313)에 삽입된다. 그러면, 동력전달부(320)의 축방향의 위치로 고정되어 동력전달부(320)가 원통부(31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동력전달부(320)가 회전되면 연결돌기(324)와 연결홈(313)의 결합에 의하여 원통부(310)도 함께 회전된다.
도 3 내지 도 5에는 하나의 연결홈(313)과 연결돌기(324)가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둘 이상의 연결홈(313)과 연결돌기(324)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는 홀 형상의 연결홈(313)과 이에 정합되는 연결돌기(324)가 도시되어 있으나, 연결홈(313)과 연결돌기(324)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홈(313)은 원통부(310)의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 슬롯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돌기(324)는 탄력아암(325)에 마련될 필요가 없으며, 삽입부(321)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된 형태이면 된다. 이외에도, 연결홈(313)와 연결돌기(324)는 원통부(310)와 동력전달부(320)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현상롤러(3)가 하우징(9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위하여는, 가급적 하우징(90)에 지지되는 현상롤러(3)의 부분의 곡률반경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기어(330)를 통하여 회전력이 현상롤러(3)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반경방향의 힘이 현상롤러(3)를 통하여 하우징(90)에 가해지게 된다. 이때, 하우징(90)의 지지면(도 4 및 도 5의 참조부호 98), 즉 현상롤러(3)를 지지하는 부분의 면적이 넓을수록 반경방향의 힘을 용이하게 분산시켜 하우징(90)의 변형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동력전달부(320)는 일반적으로 그 직경이 원통부(310)보다 작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실시예의 현상롤러(3)는 그 원통부(310)가 하우징(90)에 지지되므로, 현상롤러(3)가 안정적으로 하우징(90)에 지지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320)가 원통부(3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이 경우 원통부는 중공 형상이 아닌 샤프트 형상이다), 원통부(310)와 연장부(322)는 일반적으로 그 직경이 다르므로 제조시에 원통부(310)의 회전중심과 연장부(322)의 회전중심이 서로 어긋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현상롤러(3)의 경우 연장부(322)가 하우징(90)에 지지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경우 회전중심의 어긋남으로 인하여 현상갭(D)이 현상롤러(3)의 회전주기에 따라 변하게 된다. 현상갭(D)의 변동은 현상롤러(3)로부터 감광체(1)로 현상되는 토너의 양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규제부재(5)와 현상롤러(3)와의 조립위치도 현상롤러(3)의 회전주기에 따라 변하게 된다. 규제부재(5)와 현상롤러(3)와의 조립위치가 변동되면 현상롤러(3)의 외주에 형성되는 토너층의 두께가 변동되므로 현상갭(D)으로 공급되는 토너의 양이 변동된다. 이와 같은 감광체(1) 및 규제부재(5)와 대면된 현상롤러(3)의 외주면의 주기적인 위치 변동으로 인하여 감광체(1)로 현상되는 토너의 양이 주기적으로 달라져서 인쇄된 화상이 주기적은 농도 얼룩이 생길 수 있다. 이와 같은 주기적인 화상 품질의 변동은 동력전달부(320)가 원통부(310)에 억지끼워맞춤방식으로 결합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의 현상기(100)에 따르면 원통부(310)가 하우징(90)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원통부(310)의 회전중심은 변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동력전달부(320)의 회전중심과 원통부(310)의 회전중심의 어긋남이 화상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줄여 안정적인 화상품질을 구현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320)가 원통부(310)에 억지끼워맞춤되어 있는 경우 동력전달부(320)의 회전중심과 원통부(310)의 회전중심이 어긋나면, 현상롤러(3)가 회전될 때에 현상롤러(3)에 반경방향의 힘이 가해지고 이 힘에 의하여 하우징(90)이 변형될 수 있다. 하우징(90)의 변형은 현상롤러(3)의 위치 변동을 유발할 수 있다. 또, 기어(330)와 본체(700)의 구동수단 사이의 동력연결과정도 원활하지 않아 구동부하가 커지거나 구동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현상기(100)에 따르면, 동력전달부(320)가 원통부(310)이 헐거운 끼워맞춤되어 있고 원통부(310)가 하우징(90)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동력전달부(320)는 반경방향으로 어느 정도 유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설령 동력전달부(320)의 회전중심과 원통부(310)의 회전중심이 다소 어긋나더라도 헐거운끼워맞춤이 유니버설 조인트와 유사한 작용을 하여 동력전달부(320)의 회전력이 원활하게 원통부(310)로 전달되어 현상롤러(3)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기어(330)와 본체(700)의 구동수단 사이의 동력연결과정도 원활하여 구동부하의 증가나 구동소음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현상기(100)를 구비하는 단색 화상형성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를 수용한 4개의 현상기(100)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감광드럼 2...대전롤러
3...현상롤러 310...원통부
311...내경부 312...외경부
313...연결홈 320...동력전달부
321...삽입부 322...연장부
323...기어결합부 324...연결돌기
340...베어링 부재 4...공급롤러
5...규제부재 6...클리닝 부재
7...교반기 10...토너 수용부
11...폐토너 수용부 12...광로
70...회전부재 90...하우징
91...하부 프레임 92...상부 프레임
94...제1격벽 95...제2격벽
100...현상기 200...노광기
300...전사롤러 400...정착기
700...본체 701...도어
3...현상롤러 310...원통부
311...내경부 312...외경부
313...연결홈 320...동력전달부
321...삽입부 322...연장부
323...기어결합부 324...연결돌기
340...베어링 부재 4...공급롤러
5...규제부재 6...클리닝 부재
7...교반기 10...토너 수용부
11...폐토너 수용부 12...광로
70...회전부재 90...하우징
91...하부 프레임 92...상부 프레임
94...제1격벽 95...제2격벽
100...현상기 200...노광기
300...전사롤러 400...정착기
700...본체 701...도어
Claims (8)
- 토너가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토너를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현상시키는 것으로서, 중공 파이프 형상의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현상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부재가 결합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하는 현상롤러;
상기 하우징과 상기 원통부의 양단부를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부의 양단부는 상기 베어링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며,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하우징에 구속되지 않은 현상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의 일단부에는 연결홈이 마련되며,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원통부의 내경부보다 직경이 작고 상기 내경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결합되는 연장부와, 상기 동력전달부가 상기 원통부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는 연결돌기를 포함하는 현상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원통부의 내경부를 지지하는 현상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원통부의 외경부를 지지하는 현상기. -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한 현상기로서,
감광체;
토너가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토너를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현상시키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롤러는,
내경부와 외경부를 구비하고 그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중공 파이프 형상의 것으로서, 연결홈이 마련된 원통부;
상기 본체와 동력연결되어 상기 현상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연결홈에 자웅 결합되는 연결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원통부의 내경부에 헐거운 끼워맞춤방식으로 결합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현상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원통부의 양단부를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내경부와 상기 외경부 중 하나를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를 더 구비하는 현상기. -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기;를 포함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3727A KR101579738B1 (ko) | 2010-12-23 | 2010-12-23 |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
US13/067,516 US8831474B2 (en) | 2010-12-23 | 2011-06-06 |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3727A KR101579738B1 (ko) | 2010-12-23 | 2010-12-23 |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1977A KR20120071977A (ko) | 2012-07-03 |
KR101579738B1 true KR101579738B1 (ko) | 2016-01-05 |
Family
ID=46316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33727A KR101579738B1 (ko) | 2010-12-23 | 2010-12-23 |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8831474B2 (ko) |
KR (1) | KR10157973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50084340A1 (en) * | 2012-11-20 | 2015-03-26 | Turbogen, Llc | Load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
US20140140857A1 (en) * | 2012-11-20 | 2014-05-22 | Turbogen, Llc | Rotor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same |
JP2014109668A (ja) * | 2012-11-30 | 2014-06-12 | Brother Ind Ltd | 現像装置 |
CN103698993B (zh) * | 2013-12-18 | 2016-07-06 |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 处理盒 |
US11174900B2 (en) | 2015-10-26 | 2021-11-16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Attachment of disk to shaft using a wedge |
US12025177B2 (en) | 2020-10-27 | 2024-07-02 | Robert Varney | Universal coupling for hollow carbon fiber composite structure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81995A (ja) | 2000-03-30 | 2001-10-10 | Sharp Corp | 現像装置 |
JP2007240007A (ja) | 2007-06-11 | 2007-09-20 | Canon Inc | 画像形成装置 |
US20100054822A1 (en) * | 2008-08-26 | 2010-03-04 |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88810A (ja) * | 1992-01-17 | 1993-07-30 | Tokyo Electric Co Ltd | 定着装置 |
KR100608058B1 (ko) * | 2004-06-14 | 2006-08-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현상기 구동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
US20060291906A1 (en) * | 2005-06-23 | 2006-12-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
KR101324184B1 (ko) * | 2006-11-27 | 2013-11-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및 그 동력전달유닛 |
JP4498407B2 (ja) * | 2006-12-22 | 2010-07-07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
-
2010
- 2010-12-23 KR KR1020100133727A patent/KR10157973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
- 2011-06-06 US US13/067,516 patent/US8831474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81995A (ja) | 2000-03-30 | 2001-10-10 | Sharp Corp | 現像装置 |
JP2007240007A (ja) | 2007-06-11 | 2007-09-20 | Canon Inc | 画像形成装置 |
US20100054822A1 (en) * | 2008-08-26 | 2010-03-04 |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1977A (ko) | 2012-07-03 |
US8831474B2 (en) | 2014-09-09 |
US20120163879A1 (en) | 2012-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72342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cartridge including a photoconductive drum with axis shaft having a minimal rotational eccentricity,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 |
US10877434B2 (en) | Cartridge, rotary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US10289062B2 (en) | Developing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 |
KR101579738B1 (ko) |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 |
US9983507B1 (en) | Developer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 |
JP2014145467A (ja) | 回転動力伝達機構、および感光体ドラム装置 | |
US20040190937A1 (en) | Toner cartridg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12229723A (ja) | 伝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US11693333B2 (en) | Toner cartridge having coupler cover movable interconnected with shutter | |
US8712293B2 (en) | Ton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CN113366391A (zh) | 具有自动再填充结构的调色剂再填充盒 | |
JP5311205B2 (ja) | 等速ジョイント、駆動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US11402795B2 (en) | Replaceable cartridge with driven coupler | |
US10048639B2 (en) | Unidirectional clutch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 |
US11703777B2 (en) | Drive and seal assembly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 |
JP4850677B2 (ja) | 現像剤補給容器 | |
US11079713B1 (en) | Cartridge having rotatable coupler | |
CN113574461A (zh) | 具有锁定结构和动力传递结构的驱动联接件 | |
JP2007225059A (ja) | 等速ジョイント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 |
JPH10333408A (ja) | トナー収納装置及び現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