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206B1 -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206B1
KR101818206B1 KR1020110069776A KR20110069776A KR101818206B1 KR 101818206 B1 KR101818206 B1 KR 101818206B1 KR 1020110069776 A KR1020110069776 A KR 1020110069776A KR 20110069776 A KR20110069776 A KR 20110069776A KR 101818206 B1 KR101818206 B1 KR 101818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torque limiter
developer conveying
rotating member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9010A (ko
Inventor
신재현
이승권
유기현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9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206B1/ko
Priority to US13/548,386 priority patent/US8948664B2/en
Publication of KR20130009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91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5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fulfilling a continuous function within the electrographic apparatus during the use of the supplied developer material, e.g. toner discharge on demand, storing residual toner, not acting as a passive closure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현상제 이송 구조를 개선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를 개시한다.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는 내부에 현상제수용실이 마련된 하우징과, 현상제수용실 내부에 배치되는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와,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의 주위를 회전하고, 제1회전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와, 제1회전부재와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의 사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크리미터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토크리미터는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에 걸리는 부하의 크기가 다른 경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제1회전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DEVELOPING DEVICE USABLE WITH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TRANSFERRING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현상제수용실에 저장된 현상제를 이송하는 구조를 가진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종류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 광주사장치와 현상기를 구비한다. 광주사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현상기는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인쇄매체에 바로 전사되거나 중간전사장치를 거쳐 인쇄매체에 전사되고, 인쇄매체로 전사된 화상은 정착과정을 통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현상기는 현상제수용실, 현상제 이송장치와, 현상부재를 구비한다. 현상제수용실은 현상제를 저장하고, 현상제 이송장치는 현상제를 현상제수용실로부터 현상부재로 공급한다. 현상부재는 현상제를 감광체로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의 현상제 이송 구조를 개선하여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는 내부에 현상제수용실이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현상제수용실 내부에 배치되는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와, 상기 제1회전부재와 상기 제2회전부재의 주위를 회전하고, 상기 제1회전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1회전부재와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의 사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크리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크리미터는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에 걸리는 부하의 크기가 다른 경우,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회전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크리미터와 상기 제1회전부재 사이의 미끄럼(slip)을 허용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크리미터와 상기 제1회전부재를 연결하는 제1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동력전달기구는, 상기 제1회전부재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돌기;와, 상기 토크리미터의 내주면으로부터 그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돌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돌기는 그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돌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돌기 사이의 미끄럼을 안내하는 미끄럼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크리미터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크리미터를 연결하는 제2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동력전달기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크리미터의 외주면으로부터 그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돌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돌기를 수용하도록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크리미터는 상기 제3돌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토크리미터의 측면을 원주방향으로 절개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돌기가 상기 토크리미터의 반경방향으로 탄성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의 제1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크리미터는 상기 토크리미터와 상기 제1회전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현상제가 상기 제1회전부재에 가하는 저항력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토크리미터의 측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크리미터는 상기 제1회전부재의 축방향으로 그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부재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제1회전부재의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현상제수용실에 수용된 현상제를 교반하는 복수의 교반리브들과, 상기 회전축과 상기 복수의 교반리브들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토크리미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토크리미터를 상기 제1회전부재의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지지면과, 상기 토크리미터를 상기 제1회전부재의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크리미터는 그 일단의 내주면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토크리미터가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축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크리미터는 상기 이탈방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토크리미터의 측면을 축방향으로 절개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토크리미터의 반경방향으로 탄성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의 제2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는, 상기 제1회전부재의 축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현상제이송부재 및 제3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3현상제이송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2현상제이송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3현상제이송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에 대해 상대 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가 상기 제1회전부재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1회전부재를 연결하는 제3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동력전달기구는, 상기 제1회전부재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4돌기와,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돌기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제3현상제부재 중 어느 하나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상기 과부하가 걸리는 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1회전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상기 토크리미터와 상기 제1회전부재는 서로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는 벨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는 현상제수용실;과, 상기 현상제수용실에 배치되는 제1회전부재;와, 상기 제1회전부재의 주위를 회전하면서 상기 현상제수용실 내의 현상제를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1회전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상제이송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회전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상제이송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현상제수용실에 수용된 현상제의 저항력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상제이송부재에 발생하는 과부하가 상기 제1회전부재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크리미터(Torque Limi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기;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기는, 현상제수용실;과, 상기 현상제수용실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주위를 회전하면서 상기 현상제수용실 내의 현상제를 이송하는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나머지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와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 및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와 결합하는 복수의 토크리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돌기와, 상기 복수의 토크리미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에 걸리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돌기와 맞물리거나, 상기 제1돌기와 분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수용홀과, 상기 복수의 토크리미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의 상기 적어도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복수의 수용홀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크리미터는 그 측면이 원주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탄성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제1탄성편으로부터 상기 토크리미터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3돌기는 상기 제1탄성편으로부터 상기 제2돌기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토크리미터는 상기 회전부재의 양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토크리미터는 그 측면이 축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탄성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크리미터는 상기 제2탄성편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토크리미터가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의 축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현상제이송부재 및 제3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3현상제이송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2현상제이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3현상제이송부재는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에 대해 상대 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현상제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작용하는 부하로 인해 부품이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현상제이송부재가 현상제를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어 현상제 공급 불량으로 인해 화상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제1회전부재와 토크리미터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제1회전부재와 토크리미터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에서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4에서 제2동력전달기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4에서 제3동력전달기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 인쇄매체 공급유닛(20), 광주사유닛(30), 현상유닛(40), 전사유닛(50), 정착유닛(60) 및 인쇄매체 배출유닛(7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화상형성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인쇄매체 공급유닛(20)은 인쇄매체(S)가 보관되는 카세트(21)와, 카세트(21)에 보관된 인쇄매체(S)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2)와, 픽업된 인쇄매체를 전사유닛(5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주사유닛(30)은 옐로우(Yellow,Y), 마젠타(Magenta,M), 시안(Cyan,C), 블랙(Black,K)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인쇄 신호에 따라 후술되는 현상기(40Y, 40M, 40C, 40K)들의 각 감광체(44Y, 44M, 44C, 44K)에 주사하는 4개의 광주사기(30Y, 30M, 30C, 30K)를 포함한다. 4개의 광주사기(30Y, 30M, 30C, 30K)에 의해 주사된 광에 따라 각 감광체(44Y, 44M, 44C, 44K)들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유닛(40)은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 예를 들면, 옐로우(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 블랙(Blac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기(40Y, 40M, 40C, 40K)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 옐로우(Y) 색상의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기(40Y)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내용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는 다른 3개의 현상기(40M, 40C, 40K)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현상기(40Y)는 하우징(41Y), 현상제수용실(100), 현상제 공급부재(42Y), 현상부재(43Y), 감광체(44Y)를 구비한다.
현상제수용실(100)은 하우징(41Y)의 내부에 형성되며, 감광체(44Y)로 공급될 현상제가 저장된다. 현상제 공급부재(42Y)는 하우징(41Y)에 설치되며, 현상제수용실(100)에 저장된 현상제를 현상부재(43Y)에 공급한다. 현상부재(43Y)는 광주사기(30Y)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체(44Y)의 표면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킨다. 감광체(44Y)는 하우징(41Y)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현상부재(43Y)로부터 현상제를 공급받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체(44Y)가 현상기(40Y)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감광체(44Y)는 현상기(40Y)와 별도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미설명부호 45Y는 광주사유닛(30Y)으로부터 광이 주사되기에 앞서 각 감광체(44Y)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를 나타낸다.
전사유닛(50)은 감광체(44Y)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인쇄매체로 전사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인쇄매체 이송벨트(51), 구동롤러(52), 피동롤러(53), 및 복수 개의 전사롤러(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쇄매체 이송벨트(51)는 인쇄매체 공급유닛(20)에서 공급된 인쇄매체를 복수 개의 감광체(44Y, 44M, 44C, 44K)로 이송한다.
구동롤러(52)와 피동롤러(53)는 인쇄매체 이송벨트(53)의 내측으로 그 양단에 설치되며, 인쇄매체 이송벨트(51)가 무한궤도로 회전하도록 한다.
복수 개의 전사롤러(54)는 인쇄매체 이송벨트(51)를 사이에 두고 감광체(44Y, 44M, 44C, 44K)들과 마주하며, 감광체(44Y, 44M, 44C, 44K)들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인쇄매체 이송벨트(51)에 의해 이송되는 인쇄매체로 전사되도록 한다.
정착유닛(60)은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61)와, 가열롤러(61)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가압롤러(62)를 구비한다. 인쇄매체가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 사이를 통과할 때, 가열롤러(61)로부터 전달되는 열과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전사된 화상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인쇄매체 배출유닛(70)은 배지롤러(71)와 배지백업롤러(72)를 구비하여 정착유닛(60)을 통과한 인쇄매체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1Y)은 베이스프레임(110), 커버(120), 상부프레임(130), 상부커버(140)를 구비한다.
베이스프레임(110)은 그 내부에 수용되는 각종 부품을 지지한다. 커버(120)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를 덮어 베이스프레임(110)과 함께 현상제 저장을 위한 현상제수용실(100)을 형성한다.
상부프레임(130)과 상부커버(140)는 커버(120)의 상부에 배치되고, 감광체(44Y)로부터 회수되는 폐현상제를 저장하기 위한 폐현상제수용실(132)을 형성한다.
상부프레임(130)에는 클리닝부재(134)가 설치된다. 클리닝부재(134)는 감광체(44Y)의 표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긁어낸다. 클리닝부재(134)에 의해 제거된 폐현상제는 폐현상제 이송부재(136)에 의해 이송되어 폐현상제수용실(132)에 저장된다.
폐현상제 이송부재(136)는 클리닝부재(134)의 상측에 설치된다. 폐현상제 이송부재(136)는 플레이트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몰드물이나 탄성복원력이 우수한 필름(film)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폐현상제 이송부재(136)를 플레이트타입으로 마련하면 현상기(40Y)의 높이를 낮춤에 따라 폐현상제수용실(132)의 높이가 낮아지더라도 폐현상제를 효과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현상제수용실(100)은 격벽(112)에 의해 제1현상제수용실(102)과 제2현상제수용실(104)로 구획되며, 제1현상제수용실(102)과 제2현상제수용실(104)은 격벽(112)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114)를 통해 상, 하로 서로 연통된다.
제1현상제수용실(102)의 내부에는 현상제 이송장치(200)가 배치된다. 현상제 이송장치(200)는 제1현상제수용실(102)에 저장된 현상제 중 일부를 제2현상제수용실(104) 쪽으로 이송한다. 현상제 이송장치(200)는 현상제를 이송하는 역할과 함께 제1현상제수용실(102)의 현상제를 교반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제1현상제수용실(102)에 저장된 현상제는 현상제 이송장치(200)에 의해 제1현상제수용실(102)의 상측으로 이송되어 격벽(112)에 마련된 현상제안착부(116)에 공급된다. 현상제안착부(116)에 공급된 현상제는 공급오거(118)에 의해 격벽(112)의 일측으로 이송된 후, 유입구(114)를 통해 제2현상제수용실(104)로 자유낙하 된다.
제2현상제수용실(104)의 내부에는 제1순환오거(122), 제2순환오거(124), 현상제 공급부재(42Y), 현상부재(43Y)가 배치된다.
격벽(112)의 유입구(114)를 통해 자유낙하 된 현상제는 제1순환오거(122) 및 제2순환오거(124)에 의해 순환벽(126)을 사이에 두고 순환되며, 이러한 순환과정에서 현상제는 현상제 공급부재(42Y)를 거쳐 현상부재(43Y)로 공급된다. 현상부재(43Y)로 공급된 현상제는 규제장치(128)에 의해 그 층이 규제되고, 광주사기(30Y)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체(44Y)의 표면에 부착되어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도 2의 공급오거(118), 제1순환오거(122), 제2순환오거(124), 공급부재(42Y) 및 현상부재(43Y)는 현상제를 감광체(44Y)를 향해 공급하는 수단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반드시 이러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2성분 현상방식에서는 현상제 공급부재(42Y)가 생략될 수 있다. 또 도 2에서 현상제 공급부재(42Y)나 현상부재(43Y)는 실린더 형상의 롤러를 적용하였으나, 롤러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벨트타입이나 브러쉬타입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예시된 오거 형태의 이송부재들은(118, 122, 124) 다른 형태의 이송부재들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제2현상제수용실(104)에 충분한 양의 현상제가 공급되면, 유입구(114)를 통한 현상제의 유입은 중단되고, 유입구(114)로 유입되지 않은 현상제는 유입구(114)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공급오거(118)의 단부에 마련되는 반송날개(118a)에 의해 현상제 이송장치(200) 쪽으로 반송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이송장치(200)는 제1회전부재(210)와, 제2회전부재(220)와,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230, 240, 250)와, 제1회전부재(210)와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230, 250)의 사이에서 제1회전부재(210)와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230, 250)와 결합하는 토크리미터(290)를 포함한다. 제1회전부재(210), 제2회전부재(220)와 토크리미터(290)는 현상제이송부재들(230, 240, 25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현상제이송부재들(230, 240, 250)은 제1회전부재(210)와 제2회전부재(220)의 주위를 회전하고, 제1현상제수용실(102)에 저장된 현상제를 격벽(112)의 상부로 이송한다.
제1회전부재(210)는 격벽(112)의 인접하여 제1현상제수용실(102)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2회전부재(220)는 제1회전부재(210)와 소정 간격을 두고 제1회전부재(210)의 맞은 편에 배치된다.
제1회전부재(21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제2현상제이송부재(240)의 일측 내면을 지지하여 회전력을 전달한다. 제2회전부재(220)는 현상제이송부재들(230, 240, 250)의 타측 내면을 지지하고, 현상제이송부재들(230, 240, 250)과 함께 회전한다.
제1회전부재(210)와 제2회전부재(220)는 제1현상제수용실(102)에 저장된 현상제를 교반할 수 있도록 나선형 날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부재(210)의 회전중심(210C)은 제2회전부재(220)의 회전중심(220C)보다 상측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회전부재(210)의 회전중심(210C)이 제2회전부재(220)의 회전중심(220C)보다 베이스프레임(110)의 바닥으로부터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중력에 의해 제1현상제수용실(102)의 현상제가 제2현상제수용실(104)로 이동되는 것은 차단되고, 현상제이송부재들(230, 240, 250)의 이송력에 의해서만 현상제가 공급되게 되므로 현상제 공급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현상제이송부재들(230, 240, 250)은 벨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벨트 타입의 현상제이송부재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기존에는 복수의 교반기(Agitator)를 현상제 이송방향을 따라 배열하여 현상제를 공급부재 쪽으로 공급하였다. 또한 도 1과 같이 복수의 현상기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칼라화상형성장치에 있어, 화상형성장치의 높이를 낮추기 위해 각 현상기의 높이를 낮추어야 하고, 이는 현상기 내측의 교반기 회전반경이 줄어들어야 하는 필수적인 관계가 있다. 그러나, 교반기의 회전반경이 줄어들수록 이송하는 현상제의 회전반경이 줄어들어 이송하는 영역 또한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현상제의 원할한 이송을 위해서는 충분한 개수의 교반기가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러나 많은 수의 교반기를 거치면서 현상제가 공급되면 현상제가 받는 스트레스가 심해지며, 교반기의 개수가 많아지면서 구성이 복잡해지고 교반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구조 역시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벨트 형태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경우, 현상기의 높이를 낮추더라도 복수개의 교반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구동력 전달구조가 간소해진다. 또한 현상제가 받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현상제이송벨트들(231, 241, 251)은 보통 2mm 이하의 두께를 가진 필름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현상제이송벨트들(231, 241, 251)은 제1회전부재(210)의 축방향(X)으로 제1회전부재(2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현상제이송벨트(231) 및 제3현상제이송벨트(251)와, 제1현상제이송벨트(231)와 제3현상제이송벨트(251) 사이에 배치되는 제2현상제이송벨트(241)로 구성될 수 있다.
토크리미터(290)는 제1회전부재(210)에 결합하여 제1회전부재(2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현상제이송부재들(230, 250)의 일측 내면을 지지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며, 제1현상제이송벨트(231) 및 제3현상제이송벨트(251)중 적어도 하나가 제1회전부재(210)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1현상제수용실(102)에 수용된 현상제의 저항력에 의해 제1현상제이송벨트(231) 또는 제3현상제이송벨트에 발생하는 과부하가 제1회전부재(210)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도 4에서 제1회전부재와 토크리미터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제1회전부재와 토크리미터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크리미터(290)는 제1회전부재(210)의 축방향(X)으로 그 양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1회전부재(210)는 모터(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212)과, 회전축(212)으로부터 그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교반리브들(214)과, 회전축(212)과 교반리브들(214)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토크리미터(290)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216)와, 토크리미터(290)의 타단을 지지하는 지지리브(2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축(212)은 모터(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교반리브들(214)은 회전축(212)과 함께 회전하면서 제1현상제수용실(102)에 수용된 현상제를 교반한다.
지지부(216)는 토크리미터(290) 일단의 단면과 접촉하여 토크리미터(290)를 제1회전부재(210)의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지지면(216a)과, 토크리미터(290) 일단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토크리미터(290)를 제1회전부재(210)의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지지면(216b)으로 구성된다. 지지부(216)는 토크리미터(290) 일단을 지지하여 토크리미터(290)가 제1회전부재(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회전부재(210)의 축방향(X)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리브(218)는 지지부(216)로부터 토크리미터(290)의 길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고, 토크리미터(290)의 타단을 지지하여 토크리미터(290)가 제1회전부재(2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리브(218)에 형성되는 걸림방지홈(218a)은 토크리미터(290)를 제1회전부재(210)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이탈방지부(296)가 지지리브(218)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지지리브(218)에 의해 지지되는 토크리미터(290)의 타단에는 토크리미터(290)의 반경방향으로 탄성이동이 가능한 제2탄성편(294)이 형성된다. 제2탄성편(294)은 토크리미터(290)의 타단의 단부로부터 상기 단부와 연결되는 토크리미터(290)의 측면이 축방향(X)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2절개부(292) 사이에 마련된다. 제2탄성편(294)은 토크리미터(290)를 제1회전부재(210)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토크리미터(290)의 반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탄성이동 하여 이탈방지부(296)가 지지리브(218)에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2탄성편(294)은 토크리미터(290)가 제1회전부재(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토크리미터(290)가 제1회전부재(2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2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296)는 제2탄성편(294)의 내주면으로부터 토크리미터(290)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며, 토크리미터(290)가 제1회전부재(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회전부재(210)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지지리브(218)의 일면에 접촉함으로써 토크리미터(290)의 이동을 제한한다.
토크리미터(290)는 그 내측으로 제1동력전달기구(260)를 통해 제1회전부재(210)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1회전부재(210)에 결합된다. 제1동력전달기구(260)는 토크리미터(290)와 제1회전부재(210) 사이에 미끄럼(slip)을 허용하도록 토크리미터(290)와 제1회전부재(210)를 결합한다.
도 7은 도 5에서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동력전달기구(260)는 제1회전부재(2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돌기(261)와, 토크리미터(29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돌기(26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돌기(261)는 제1회전부재(210)의 외주면으로부터 제1회전부재(210)의 반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돌기(262)는 제1돌기(261)와 접촉하여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토크리미터(290)의 내주면으로부터 토크리미터(290)의 반경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1돌기(261)는 제1회전부재(2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제2돌기(262)는 토크리미터(29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제1돌기(261)는 제1회전부재(210)의 회전 중에 제2돌기(262)와 접촉하여 토크리미터(290)를 통해 제1현상제이송벨트(231) 또는 제3현상제이송벨트(251)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제1현상제이송벨트(231) 또는 제3현상제이송벨트(251)에 큰 부하가 작용하는 경우에 제2돌기(262)로부터 미끄러져(slip) 이탈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제1돌기(261)는 제2돌기(262)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어 제1돌기(261)와 제2돌기(262) 사이의 미끄럼(slip)을 안내하는 미끄럼가이드부(261a)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기(261)의 미끄럼가이드부(261a)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1돌기(261)가 제2돌기(262)와 접촉한 상태에서 너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1돌기(261)와 제2돌기(262) 사이에 큰 부하가 걸리는 경우에 제2돌기(262)가 미끄럼가이드부(261a)를 따라 원활하게 미끄러지도록 하는데 있어 효과적이다.
제1돌기(261)의 높이, 제2돌기(262)의 높이, 제1돌기(261) 또는 제2돌기(262)의 형상을 통해 제1회전부재(210)와 토크리미터(290) 사이에서 미끄럼이 발생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돌기(261)의 높이 또는 제2돌기(262)의 높이를 높이거나 제1돌기(261) 또는 제2돌기의 곡률반경을 감소시켜 사각 형상에 가깝게 하면, 제1돌기(261)와 제2돌기(262) 간의 미끄럼이 억제되므로, 뭉쳐진 현상제에 의해 제1현상제이송벨트(231)에 작용하는 부하가 상당히 큰 경우에만 미끄럼이 발생한다. 반면에 제1돌기(261)의 높이 또는 제2돌기(262)의 높이를 낮추거나 제1돌기(261) 또는 제2돌기의 곡률반경을 증가시켜 원호 형상에 가깝게 하면, 제1현상제이송벨트(231)에 작용하는 부하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도 제1돌기(261)와 제2돌기(262) 간의 미끄럼이 발생한다.
현상제의 뭉침이 심하여 제1현상제이송벨트(231) 또는 제3현상제이송벨트(251)에 큰 부하가 작용하는 경우, 제1돌기(261)와 제2돌기(262) 간의 미끄럼이 발생하고, 제1회전부재(210)는 토크리미터(290)에 회전력을 전달하지 못하고 공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초기 현상제의 이송과정에서 제1회전부재(210)를 무리하게 구동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부품의 손상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제1회전부재(210)가 공회전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교반리브들(214)은 회전축(212)과 함께 회전하면서 뭉쳐진 현상제를 서서히 풀게 된다. 현상제가 풀림에 따라 제1현상제이송벨트(231) 또는 제3현상제이송벨트(251)에 가해지는 부하가 줄어들면, 특정 시점에서 제1돌기(261)와 제2돌기(262)가 맞물려 제1회전부재(210)의 회전력이 토크리미터(290)를 거쳐 제1현상제이송벨트(231) 또는 제3현상제이송벨트(251)에 전달되고, 그에 따라 제1현상제이송벨트(231) 또는 제3현상제이송벨트(251)가 회전을 시작하여 현상제를 이송한다.
도 6 및 도 7에서는 미끄럼가이드부(261a)가 제1돌기(261)에 마련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끄럼가이드부(261a)는 제2돌기(262)에 마련될 수도 있고, 제1돌기(261) 및 제2돌기(262)에 모두 마련될 수도 있다.
토크리미터(290)는 그 외측으로 제2동력전달기구(270)를 통해 제1현상제이송벨트(231) 또는 제3현상제이송벨트(251)에 결합된다. 제2동력전달기구(270)는 토크리미터(290)가 제1현상제이송벨트(231) 또는 제3현상제이송벨트(251)에 대해 상대 운동하지 않고 제1현상제이송벨트(231) 또는 제3현상제이송벨트(251)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8은 도 4에서 제2동력전달기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동력전달기구(270)는 토크리미터(29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돌기(271)와, 적어도 하나의 제3돌기(27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현상제이송벨트(231) 또는 제3현상제이송벨트(251) 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홀(275)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3돌기(271)는 토크리미터(29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수용홀(275)은 제1현상제이송벨트(231) 또는 제3현상제이송벨트(251)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제3돌기(271)는 토크리미터(290)의 회전 중에 수용홀(275)과 결합하여 제1현상제이송벨트(231) 또는 제3현상제이송벨트(251)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제3돌기(271)는 수용홀(275)에 삽입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수용홀(275)의 이탈을 허용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제3돌기(271)는 수용홀(275)의 일면과 접촉하는 접촉면(272)을 가진다. 제3돌기(271)의 접촉면(272)은 토크리미터(290)의 반경방향으로 충분한 높이로 형성되어 동력 전달 과정에서 수용홀(275)이 제3돌기(27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9는 도 4에서 제3동력전달기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동력전달기구(280)는 제1회전부재(2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4돌기(281)와, 적어도 하나의 제4돌기(28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2현상제이송벨트(241)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285)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4돌기(281)는 제1회전부재(21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285)은 제2현상제이송벨트(241)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제4돌기(281)는 제1회전부재(210)의 회전 중에 결합홀(285)과 결합하여 제2현상제이송벨트(241)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제4돌기(281)는 결합홀(285)에 삽입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결합홀(285)의 이탈을 허용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제4돌기(281)는 결합홀(285)의 일면과 접촉하는 접촉면(282)을 가진다. 제4돌기(281)의 접촉면(282)은 제1회전부재(210)의 반경방향으로 충분한 높이로 형성되어 동력 전달 과정에서 결합홀(285)이 제4돌기(28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이송벨트들(231, 241, 251)은 복수의 이송돌기(233, 243, 253)와 개구부(235, 245, 255)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이송돌기들(233, 243, 253)은 현상제이송벨트들(231, 241, 251)의 외부로 돌출되어 현상제 공급 및 회수를 돕는다. 개구부들(235, 245, 255)은 현상제 공급 및 회수를 돕고 현상제이송벨트들(231, 241, 251)에 의해 현상제가 과다한 스트레스 받는 것을 개선하며, 현상제이송벨트들(231, 241, 251)의 구동 토크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현상제 이송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한다.
현상기(40Y)의 유통 과정이나 사용자가 현상기(40Y)를 취급하는 과정에서 제1현상제수용실(102) 내의 현상제가 제1현상제이송벨트(231) 쪽으로 편중되어 뭉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상기(40Y)를 본체(10)에 장착하여 동작시키면, 뭉쳐진 현상제로 인해 제1현상제이송벨트(231)에 큰 부하가 작용하여 제1회전부재(210)의 제1돌기(261)가 토크리미터(290)의 제2돌기(262)와 맞물려 회전하지 못하고, 미끄럼가이드부(261a)에 의해 제2돌기(262)와 미끄러져 이탈하게 된다. 그러면 제1회전부재(210)만 공회전 하게 되고 토크리미터(290)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큰 부하가 작용하는 상황에서 제1현상제이송벨트(231)를 무리하게 구동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부품의 손상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에, 중간에 배치된 제2현상제이송벨트(241)는 제3동력전달기구(280)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회전부재(210)와 함께 회전하며 현상제를 이송한다. 또한 제1현상제이송벨트(231)의 반대쪽에는 현상제로 인한 하중이 크게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3현상제이송벨트(251)는 제1동력전달기구(260) 및 제2동력전달기구(270)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회전부재(210) 및 토크리미터(290)와 함께 회전한다.
이와 같이 제2현상제이송벨트(241)와 제3현상제이송벨트(251)가 회전하며 현상제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제1현상제이송벨트(231) 쪽에 뭉쳐 있던 현상제가 점점 유동성을 확보하여 제2현상제이송벨트(241)와 제3현상제이송벨트(251) 쪽으로 퍼지게 된다.
그러면 제1현상제이송벨트(231)에 작용하는 하중이 줄어들면서 특정 시점에서 제1회전부재(210)의 제1돌기(261)가 토크리미터(290)의 제2돌기(262)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게 되고, 토크리미터(290)가 회전하면서 토크리미터(290)의 제3돌기(271)가 제1현상제이송벨트(231)의 수용홀(275)에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게 되며, 그에 따라 제1현상제이송벨트(231)가 회전을 시작하여 현상제를 이송한다.
현상제가 제3현상제이송벨트(251) 쪽으로 편중된 경우에도 위와 유사한 동작을 통해 부품의 파손이 방지된다.
위의 실시예들에서는 3개의 현상제이송부재가 마련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현상제이송부재들의 수는 변경될 수 있다. 즉, 2개의 현상제이송부재를 적용하거나 4개 이상의 현상제이송부재들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화상형성장치 40Y, 40M, 40C, 40K : 현상기
100 : 현상제수용실 200 : 현상제 이송장치
210 : 제1회전부재 220 : 제2회전부재
230, 240, 250 : 현상제이송부재 231 : 제1현상제이송벨트
241 : 제2현상제이송벨트 251 : 제3현상제이송벨트
260 : 제1동력전달기구 261 : 제1돌기
261a : 미끄럼가이드부 262 : 제2돌기
270 : 제2동력전달기구 280 : 제3동력전달기구

Claims (26)

  1. 내부에 현상제수용실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현상제수용실 내부에 배치되는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
    상기 제1회전부재와 상기 제2회전부재의 주위를 회전하고, 상기 제1회전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
    상기 제 1 회전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 1 회전부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적어도 하나의 토크리미터로서,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맞물려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크리미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크리미터와 상기 제1회전부재 사이의 미끄럼(slip)을 허용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크리미터와 상기 제1회전부재를 연결하는 제1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크리미터는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에 걸리는 부하의 크기가 다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크리미터와 맞물린 적어도 하나의 현상제이송부재와 함께, 상기 제1회전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제1동력전달기구는,
    상기 제1회전부재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돌기;와,
    상기 토크리미터의 내주면으로부터 그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돌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돌기는 그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돌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돌기 사이의 미끄럼을 안내하는 미끄럼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크리미터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크리미터를 연결하는 제2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력전달기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크리미터의 외주면으로부터 그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돌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돌기를 수용하도록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리미터는 상기 제3돌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토크리미터의 측면을 원주방향으로 절개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돌기가 상기 토크리미터의 반경방향으로 탄성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의 제1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리미터는 상기 토크리미터와 상기 제1회전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현상제가 상기 제1회전부재에 가하는 저항력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토크리미터의 측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크리미터는 상기 제1회전부재의 축방향으로 그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재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제1회전부재의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현상제수용실에 수용된 현상제를 교반하는 복수의 교반리브들과, 상기 회전축과 상기 복수의 교반리브들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토크리미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토크리미터를 상기 제1회전부재의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지지면과, 상기 토크리미터를 상기 제1회전부재의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리미터는 그 일단의 내주면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토크리미터가 상기 제1회전부재로부터 축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리미터는 상기 이탈방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토크리미터의 측면을 축방향으로 절개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토크리미터의 반경방향으로 탄성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의 제2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는,
    상기 제1회전부재의 축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현상제이송부재 및 제3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3현상제이송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2현상제이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3현상제이송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에 대해 상대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가 상기 제1회전부재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1회전부재를 연결하는 제3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동력전달기구는,
    상기 제1회전부재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4돌기와,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돌기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제3현상제이송부재 중 어느 하나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상기 과부하가 걸리는 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1회전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상기 토크리미터와 상기 제1회전부재는 서로 상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는 벨트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18.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기;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기는,
    현상제수용실;
    상기 현상제수용실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주위를 회전하면서 상기 현상제수용실 내의 현상제를 이송하는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나머지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토크리미터로서, 상기 상대회전하는 현상제이송부재와 맞물려서 상기 상대회전하는 현상제이송부재와 함께 상대 회전하는 복수의 토크리미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돌기와,
    상기 복수의 토크리미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에 걸리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돌기와 맞물리거나, 상기 제1돌기와 분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돌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삭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수용홀과,
    상기 복수의 토크리미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의 상기 적어도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복수의 수용홀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리미터는 그 측면이 원주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탄성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제1탄성편으로부터 상기 토크리미터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돌기는 상기 제1탄성편으로부터 상기 제2돌기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토크리미터는 상기 회전부재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리미터는 그 측면이 축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탄성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리미터는 상기 제2탄성편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토크리미터가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상제이송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의 축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현상제이송부재 및 제3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3현상제이송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2현상제이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현상제이송부재와 상기 제3현상제이송부재는 상기 제2현상제이송부재에 대해 상대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10069776A 2011-07-14 2011-07-14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818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776A KR101818206B1 (ko) 2011-07-14 2011-07-14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13/548,386 US8948664B2 (en) 2011-07-14 2012-07-13 Developing device conveying assembly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776A KR101818206B1 (ko) 2011-07-14 2011-07-14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010A KR20130009010A (ko) 2013-01-23
KR101818206B1 true KR101818206B1 (ko) 2018-02-22

Family

ID=47555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776A KR101818206B1 (ko) 2011-07-14 2011-07-14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48664B2 (ko)
KR (1) KR1018182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84197B2 (ja) * 2015-07-31 2019-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7176240B2 (ja) * 2018-06-15 2022-11-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0154A (ja) 2005-04-19 2006-11-02 Bando Chem Ind Ltd ベルト伝動装置
US20080159789A1 (en) 2006-12-28 2008-07-03 Tsutomu Sugimoto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0175984A (ja) 2009-01-30 2010-08-12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0154A (ja) 2005-04-19 2006-11-02 Bando Chem Ind Ltd ベルト伝動装置
US20080159789A1 (en) 2006-12-28 2008-07-03 Tsutomu Sugimoto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0175984A (ja) 2009-01-30 2010-08-12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48664B2 (en) 2015-02-03
KR20130009010A (ko) 2013-01-23
US20130022375A1 (en) 201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857B1 (ko) 현상제 용기, 현상 장치, 처리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US20200272093A1 (en) Development cartridge having a switch member to rotate developing unit to a development position
CN103823343B (zh) 动力传递装置、成像设备及将驱动力施加到传输辊的方法
US7983589B2 (en)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795673B2 (en) Develop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915209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EP3282321B1 (en) Development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EP3321743B1 (en) Developer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20040033094A1 (en) Toner collection apparatus
KR101545841B1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KR101818206B1 (ko)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20120070186A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9042774B2 (en)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30121721A1 (en) Developer conveyance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KR101041083B1 (ko)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와 그 현상제 이송장치
EP1775646A1 (en) Toner conveying uni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conveying unit
CN107209470B (zh) 显影剂容器以及具有该显影剂容器的图像形成装置
JP3774582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70024215A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10656556B2 (en) Developing device having conveying member for stably conveying developer, developer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50019275A (ko)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JP4850677B2 (ja) 現像剤補給容器
JP2017083538A (ja) 現像剤収容装置
JP6800605B2 (ja) 画像形成装置
CN115268239A (zh) 调色剂输送装置和成像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