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2624A -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2624A
KR20080102624A KR1020070049294A KR20070049294A KR20080102624A KR 20080102624 A KR20080102624 A KR 20080102624A KR 1020070049294 A KR1020070049294 A KR 1020070049294A KR 20070049294 A KR20070049294 A KR 20070049294A KR 20080102624 A KR20080102624 A KR 20080102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developing
supply
uni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1142B1 (ko
Inventor
문지원
이현철
심윤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9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142B1/ko
Priority to US11/874,298 priority patent/US7873305B2/en
Priority to CN2008100820791A priority patent/CN101311841B/zh
Publication of KR20080102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624A/ko
Priority to US12/963,848 priority patent/US8073366B2/en
Priority to US13/274,799 priority patent/US858301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79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for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제 카트리지; 현상수단과 제 1 공급부재가 설치되는 현상 케이스;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에 수납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 케이스로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통로; 및 상기 현상 케이스와 현상제 공급 통로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교반하고, 교반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 케이스 측으로 공급하는 현상제 보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제가 소진된 현상제 카트리지만을 교체하므로, 소모품 교체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공급롤러 상측에 배치된 교반유닛에 의해 충분히 교반된 현상제가 현상케이스로 공급되기 때문에, 현상제 뭉침 및 이에 따라 발생되는 세로 줄무늬 현상 등이 억제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 현상유닛, 현상제 카트리지, 교반유닛, 아지테이터, 오거

Description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현상유닛을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케이스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 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현상제 카트리지 111,112; 1차 교반부재
113; 2차 교반부재 120; 현상 케이스
121; 현상롤러 122; 제 1 공급부재
123; 제 2 공급부재 124,125; 제 1 및 제 2 오거
126; 현상제층 규제부재 130; 현상제 공급 통로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상제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인쇄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는 급지유닛(10), 복수 개의 현상유닛(20), 전사유닛(30), 정착유닛(40) 및 배지유닛(50)을 포함한다.
급지유닛(10)에서 픽업된 용지는 상기 현상유닛(20)과 전사유닛(30)을 통과하면서, 용지 표면에 화상이 인쇄되고, 정착유닛(40)에서 화상이 고착되어 배지유닛(50)을 통해 화상형성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도 1b는 상기 현상유닛(20)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색상별 현상유닛(20)은, 현상롤러(21)와, 감광매체(22) 및 클리닝 유닛(23)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현상유닛(20)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부 스트레스 등에 의해 현상제 뭉침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쇄 중에 세로 줄무늬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현상제가 충분히 교반된 후에 현상롤러(21)에 공급되어야 한다.
소형 화상형성장치는 현상롤러(21)와, 감광매체(22) 및 클리닝 유닛(23)이 일체로 구성되더라도, 각각의 부품의 사용 연한이 비슷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사무용으로 사용되는 대형 화상형성장치의 경우에는 인쇄 매수가 많으며, 현상 제 소모 속도가 감광매체(22)나 클리닝 유닛(23) 등의 교체연한에 비해 빠르기 때문에, 사용자의 관리비용 절감을 위해 소진된 현상제만을 보충할 수 있도록 현상제 카트리지를 마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착탈 방식의 현상제 카트리지를 제공하면, 사용자의 소모품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현상제 카트리지에 수용된 현상제를 현상유닛으로 공급하는데 있어,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현상제 카트리지로부터 배출되는 현상제를 현상유닛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공급유닛을 마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현상제 공급유닛의 구성에 따라 공급된 현상제를 교반할 수 있는 구조 또한 마련되어야 한다. 즉, 현상제 카트리지로부터 배출된 현상제는 잘 뭉치는 경향이 있어, 교반을 충분히 해주지 않으면 뭉치면서 인쇄화상의 농도가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현상제 카트리지를 별도로 구비하여, 소모품 교체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현상제 교반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교반유닛의 구조가 개선된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제 카트리지; 내부에 현상수단와 제 1 공급부재가 설치되는 현상 케이스;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에 수납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 케이스 로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통로; 및 상기 현상 케이스와 현상제 공급 통로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교반하고, 교반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 케이스 측으로 공급하는 현상제 보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현상 케이스는, 상기 제 1 공급부재의 회전축보다 하측에 설치된 제 2 공급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현상제 보충유닛은, 상기 현상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로부터 공급된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공급 트렌치(trench);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에 수용된 현상제를 이송하는 아지테이터(agitator); 및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어, 상기 현상 케이스로 상기 현상제를 배출하는 복수 개의 현상제 공급홀;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복수의 현상제 공급홀은, 상기 아지테이터의 회전축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는 슬릿(slit)으로 마련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현상수단와 마주보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는, 플랙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 케이스의 일측 끝단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는, 복수 개의 1차 교반부재; 및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로 배출되는 현상제를 교반하는 2차 교반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2차 교반부재는,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 입구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상 케이스는, 상기 현상제 보충유닛으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교반하는 복수 개의 오거(auger); 및 상기 현상수단와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현상수단 표면에 부착된 현상제층의 두께를 규제하는 현상제층 규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복수 개의 오거는,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어, 공급된 현상제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송하는 제 1 및 제 2 오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오거는, 상기 현상제 공급홀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공급부재의 회전축은 상기 제 1 및 제 2 오거의 회전축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공급부재의 회전축은 상기 제 1 및 제 2 오거의 회전축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공급부재는 상기 현상수단와 마주보게 설치되고, 상기 제 2 공급부재는 상기 제 1 공급부재와 마주보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현상수단 및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부재는, 모두 롤러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현상수단 및 제 1 공급부재는 롤러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공급부재는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가지는 공급 아지테이터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부재, 현상수단 및 현상제 규제 부재에는 일정 전압이 인가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전압은 AC/DC 전압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상수단, 제 1 및 제 2 공급부재 및 제 1 및 제 2 오거는 서로 대응되 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1 공급부재와, 상기 제 1 및 제 2 오거 중 상기 제 1 공급부재와 가까운 어느 하나의 오거와의 거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오거의 직경의 2배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현상 케이스의 현상제 기준수위는 상기 현상제 공급홀보다 높은 위치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는, 최하단부가 상기 제 1 공급부재의 회전 중심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상제는, 1 성분 비자성 현상제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의한 현상유닛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제 카트리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하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 제 1 공급롤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거(auger)를 구비하는 현상 케이스;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 케이스를 연결하여,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에 수납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 케이스로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통로; 및 상기 현상 케이스와 현상제 공급 통로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교반하고, 교반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 케이스 측으로 공급하는 현상제 보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토너보충유닛은 상기 제 1 공급롤러의 회전축보다 상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현상 케이스는, 상기 제 1 공급롤러의 회전축보다 하측에 설치된 제 2 공급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오거는, 상기 제 2 공급롤러의 회전축보다 높은 위치에 회전축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오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오거는, 각각의 회전축이 서로 동일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현상제 보충유닛은, 상기 현상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로부터 공급된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공급 트렌치(trench);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에 수용된 현상제를 이송하는 아지테이터(agitator);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어, 상기 현상 케이스로 상기 현상제를 배출하는 복수 개의 현상제 공급홀;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현상제 공급홀은, 상기 아지테이터의 회전축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는 슬릿(slit)으로 마련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현상수단과 마주보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픽업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이상에 기재한 바와 같이 구성된 현상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현상유닛은, 컬러 화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4개가 설치되어, 시안, 마젠타, 옐로우 및 블랙 색상별로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현상유닛은 현상제 카트 리지(110), 현상 케이스(120), 현상제 공급 통로(130) 및 현상제 보충유닛(200)을 포함한다.
현상제 카트리지(110)에는 1 성분 비자성 현상제가 수용되며, 복수 개의 1차 교반부재(111)(112) 및 2차 교반부재(113)를 포함한다. 1차 교반부재(111)(112)는 상기 현상제를 교반하여, 현상제 뭉침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2차 교반부재(113)는 상기 1차 교반부재(111)(112)에 의해 교반된 현상제를 현상제 공급 통로(130)로 이송한다.
현상 케이스(120)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도시되지 않음)이나, 제어기판과 같은 화상형성장치 부품이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의 하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현상 케이스(120)는 케이스 몸체(120a), 현상수단(121), 제 1 및 제 2 공급부재(122)(123), 제 1 및 제 2 오거(124)(125) 및 현상제층 규제부재(126)를 포함한다. 상기 현상 케이스(120)의 구조는 뒤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현상제 공급 통로(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와 현상 케이스(120) 각각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와 현상 케이스(120) 사이에 레이저 스캐닝 유닛 등과 같은 다른 부품들이 손쉽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화상형성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130)는 조립성 향상과 현상제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플랙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상제 보충유닛(200)은, 현상제 공급 트렌치(trench)(210), 아지테이 터(220) 및 복수 개의 현상제 공급홀(230)을 포함한다.
현상제 공급 트렌치(210)는 상기 현상 케이스(120)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130)의 주입구(131, 도 7 참조)로부터 공급된 현상제가 수용된다.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2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하단부가 상기 제 1 공급부재(122)의 회전축(122a)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지테이터(220)는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2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급된 현상제를 분쇄 및 이송한다. 상기 아지테이터(220)가 필요한 이유는, 상기 주입구(131)의 위치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210)의 일측 끝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공급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210) 전반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 및 교반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복수 개의 현상제 공급홀(230)은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2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어, 상기 현상 케이스(120)로 상기 현상제를 배출한다. 상기 복수의 현상제 공급홀(230)은 상기 아지테이터(220)의 회전축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는 슬릿(slit)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현상제 공급홀(230)을 슬릿 형상으로 형성하면, 상기 현상제 공급홀(230)을 통해 공급되는 현상제가 인접한 현상제 공급홀(230)에서 공급되는 현상제와 함께 균일하게 보충될 수 있어, 현상수단(121) 측에 현상제 뭉침에 따른 스트레스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제 공급홀(230)들은, 상기 현상수단(121)과 마주보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만일 현상제 공급홀(230)이 현상수단(121)과 마주보게 설치될 경우, 현상제 공급홀(230)을 통해 보충된 현상제가 교반되지 않은 상태에서 바로 현상수단(121)에 부착될 수 있는데, 현상제 공급홀(230)의 배치 구조 등에 따라, 보충이 이루어진 현상제들이 서로 엉기면서, 상기 현상수단(121) 표면에 균일한 농도로 부착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현상 케이스(12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케이스 몸체(120a)에는 상기 현상수단(121), 제 1 및 제 2 공급부재(122)(123), 제 1 및 제 2 오거(124)(12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현상수단(121)는 도 4에 도시된 감광매체(140)와 대면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부재(122)(123)에 의해 부착된 현상제를 상기 감광매체(140) 표면의 정전잠상에 전달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제 1 및 제 2 공급부재(122)(123)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수단(121) 측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부재(122)(123)는 상기 현상수단(121)과 일정 전위차를 가지도록 대전되어, 현상제를 정전기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1 및 제 2 오거(124)(125)는 동일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공급된 현상제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교반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오거(124)(125)는 상기 복수 개의 현상제 공급홀(230)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현상제 공급홀(230)을 통해 보충되는 현상제가 상기 제 1 공급부재(122)를 통해 현상수단(121) 측으로 이송되기 전에 충분히 교반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공급부재(122)의 회전축(122a)은 상기 제 1 및 제 2 오거(124)(125)의 회전축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공급부재(123)의 회전축은 상기 제 1 및 제 2 오거(124)(125)의 회전축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배치하는 이유는, 상기 제 1 공급부재(122)와 제 2 공급부재(123)의 역할이 상이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제 1 공급부재(122)는 상기 현상제 보충유닛(200)으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수단(121)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현상제 보충유닛(200)과 최대한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공급부재(123)는 상기 현상제 규제부재(126)에 의해 깍인 현상제들을 다시 상기 제 1 공급부재(122)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므로, 현상 케이스 몸체(121a) 바닥면에 쌓이는 현상제들을 상기 제 1 공급부재(122) 측으로 퍼 올리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공급부재(122)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공급부재(122)는 상기 현상수단(121)과 마주보게 설치되고, 상기 제 2 공급부재(123)는 상기 제 1 공급부재(122)와 마주보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제 1 공급부재(122)와 제 2 오거(125)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좋은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공급부재(122)와 제 2 오거(125)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오거(124)(125)의 지름의 2배를 넘지 않도록 설치될 필요가 있 다. 상기 제 1 공급부재(122)와 제 2 오거(125)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 1 및 제 2 오거(124)(125)의 지름의 2배를 넘게 되면, 상기 제 1 공급부재(122)에 전달되는 현상제가 균일하게 교반되지 못해, 균일한 화상을 형성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부재(122)(123)는, 모두 롤러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공급부재(122)는 롤러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공급부재(123)는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가지는 공급 아지테이터(123')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현상수단(121)과, 제 1 및 제 2 공급부재(122)(123), 및 현상제 규제 부재(126)에는 일정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는 것이 좋은데, 상기 전압은 AC/DC 전압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현상수단(121), 제 1 및 제 2 공급부재(122)(123) 및 제 1 및 제 2 오거(124)(125)는 서로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현상제 교반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현상 케이스(120)의 현상제 기준수위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현상제 공급홀(230)보다 높은 위치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발광부와 수광부를 가지는 현상제센서를 상기 현상제 공급홀(230)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여, 케이스 몸체(120a) 내부의 현상제 수위가 항상 상기 현상제 공급홀(230)의 높이보다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상제 수위를 유지하면, 보충되는 현상제의 뭉침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부품들의 배치구조는 이해를 돕기 위해,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공급부재(122)를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제 1 공급부재(122)를 중심으로, I 사분면에는 현상수단(121)가 배치된다. Ⅱ 사분면에는 현상제 보충유닛(200)이 배치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홀(230)은 상기 현상수단(121)과 서로 대면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Ⅲ 사분면에는 상기 현상제 공급홀(230)에서 보충된 현상제를 교반 및 이송하는 제 1 및 제 2 오거(124)(125)가 설치되며, Ⅳ 사분면에는 상기 현상제층 규제부재(126)에서 깍여나온 현상제를 다시 제 1 공급부재(122) 측으로 퍼올리는 제 2 공급부재(123)가 설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현상유닛은 모노 타입의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며, 컬러 타입의 화상형성장치에 적용할 경우에는 상기 현상유닛을 각 색상별로 복수 개를 마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제가 소진된 현상제 카트리지만을 교체하므로, 소모품 교체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공급롤러 상측에 배치된 교반유닛에 의해 충분히 교반된 현상제가 현상케이스로 공급되기 때문에, 현상제 뭉침 및 이에 따라 발생되는 세로 줄무늬 현상 등이 억제될 수 있다.

Claims (34)

  1.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제 카트리지;
    현상수단과 제 1 공급부재가 설치되는 현상 케이스;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에 수납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 케이스로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통로; 및
    상기 현상 케이스와 현상제 공급 통로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교반하고, 교반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 케이스 측으로 공급하는 현상제 보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토너보충유닛은 상기 제 1 공급부재의 회전축보다 상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케이스는,
    상기 제 1 공급부재의 회전축보다 하측에 설치된 제 2 공급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보충유닛은,
    상기 현상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로부터 공급된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공급 트렌치(trench);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에 수용된 현상제를 이송하는 아지테이 터(agita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보충유닛은,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어, 상기 현상 케이스로 상기 현상제를 배출하는 복수 개의 현상제 공급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상제 공급홀은,
    상기 아지테이터의 회전축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는 슬릿(sl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홀은,
    상기 현상수단과 마주보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는,
    플랙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 케이스의 일측 끝단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는,
    복수 개의 1차 교반부재; 및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로 배출되는 현상제를 교반하는 2차 교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교반부재는,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 입구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케이스는,
    상기 현상제 보충유닛으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교반하는 복수 개의 오거(auger); 및
    상기 현상수단과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현상수단 표면에 부착된 현상제층의 두께를 규제하는 현상제층 규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오거는,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어, 공급된 현상제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송하는 제 1 및 제 2 오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오거는,
    상기 현상제 공급홀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오거의 회전축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제 1 공급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오거의 회전축보다 낮은 위치에 제 2 공급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급부재는 상기 현상수단과 마주보게 설치되고,
    상기 제 2 공급부재는 상기 제 1 공급부재와 마주보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수단 및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부재는, 롤러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수단 및 상기 제 1 공급부재는 롤러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공급부재는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가지는 공급 아지테이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부재, 현상수단 및 현상제 규제 부재에는 일정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은 AC/DC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수단, 제 1 및 제 2 공급부재 및 제 1 및 제 2 오거는 서로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급부재와, 상기 제 1 및 제 2 오거 중 상기 제 1 공급부재와 가 까운 곳에 설치된 오거와의 거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오거의 직경의 2배를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2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는,
    최하단부가 상기 제 1 공급부재의 회전 중심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2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홀보다 높은 위치에 현상제 기준수위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는,
    1 성분 비자성 현상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25. 화상형성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픽업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은,
    컬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4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7.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제 카트리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하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 제 1 공급롤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거(auger)를 구비하는 현상 케이스;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 케이스를 연결하여,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에 수납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 케이스로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통로; 및
    상기 현상 케이스와 현상제 공급 통로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교반하고, 교반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 케이스 측으로 공급하는 현상제 보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토너보충유닛은 상기 제 1 공급롤러의 회전축보다 상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케이스는,
    상기 제 1 공급롤러의 회전축보다 하측에 설치된 제 2 공급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오거는,
    상기 제 2 공급롤러의 회전축보다 높은 위치에 회전축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오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오거는,
    각각의 회전축이 서로 동일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보충유닛은,
    상기 현상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로부터 공급된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공급 트렌치(trench);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에 수용된 현상제를 이송하는 아지테이터(agita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보충유닛은,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어, 상기 현상 케이스로 상기 현상제를 배출하는 복수 개의 현상제 공급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상제 공급홀은,
    상기 아지테이터의 회전축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는 슬릿(slit)인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홀은,
    상기 현상수단과 마주보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KR1020070049294A 2007-05-21 2007-05-21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1421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294A KR101421142B1 (ko) 2007-05-21 2007-05-21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11/874,298 US7873305B2 (en) 2007-05-21 2007-10-18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08100820791A CN101311841B (zh) 2007-05-21 2008-03-06 显影单元及具有其的成像装置
US12/963,848 US8073366B2 (en) 2007-05-21 2010-12-09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3/274,799 US8583013B2 (en) 2007-05-21 2011-10-17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294A KR101421142B1 (ko) 2007-05-21 2007-05-21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624A true KR20080102624A (ko) 2008-11-26
KR101421142B1 KR101421142B1 (ko) 2014-07-22

Family

ID=40072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294A KR101421142B1 (ko) 2007-05-21 2007-05-21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7873305B2 (ko)
KR (1) KR101421142B1 (ko)
CN (1) CN10131184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008B1 (ko) * 2010-08-25 2012-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KR20150139335A (ko) * 2014-06-03 2015-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1704A (ko) * 2007-06-19 2008-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EP3367176B1 (en) 2007-09-04 2022-07-13 Kabushiki Kaisha Toshiba Cartridge body, ton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oner cartridge
JP2012037557A (ja) * 2010-08-03 2012-02-23 Ricoh Co Ltd 現像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5776263B2 (ja) * 2011-03-28 2015-09-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58939B2 (ja) * 2013-01-28 2016-02-10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剤収容体、現像形成部、及び画像形成装置
JP6500456B2 (ja) * 2015-01-28 2019-04-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36801B2 (ja) * 2015-01-30 2018-12-12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1604A (en) * 1979-04-26 1982-09-28 Ricoh Company, Ltd. Multi-color electrostatic copying apparatus
US4937625A (en) * 1987-08-28 1990-06-26 Sharp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for copier
US5172168A (en) * 1990-09-05 1992-12-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ophotographic system haivng a developing device with a plurality of toner feeders
US5398849A (en) * 1993-06-28 1995-03-21 Nu-Kote International Cartridge with slide mechanism for dispensing toner
US5345298A (en) * 1993-10-20 1994-09-06 Xerox Corporation Magnetic brush development apparatus for toner add/mix dispenser
JP2004093924A (ja) * 2002-08-30 2004-03-25 Oki Data Corp 現像装置
JP2004139046A (ja) * 2002-09-27 2004-05-1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ユニット、記憶媒体
JP4352848B2 (ja) * 2003-02-14 2009-10-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剤カートリッジのリサイクル方法
JP4401699B2 (ja) * 2003-07-16 2010-01-20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装置のキャリア収納容器、画像形成装置
JP2005055531A (ja) * 2003-08-06 2005-03-03 Canon Inc 現像装置
JP3985753B2 (ja) * 2003-08-19 2007-10-0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5156639A (ja) * 2003-11-20 2005-06-16 Ricoh Printing Systems Ltd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静電記録装置
JP2006276615A (ja) * 2005-03-30 2006-10-12 Kyocera Mita Corp トナー供給装置
JP4290157B2 (ja) * 2005-11-21 2009-07-0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749850B2 (ja) * 2005-11-28 2011-08-17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008B1 (ko) * 2010-08-25 2012-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9020404B2 (en) 2010-08-25 2015-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unit containing multiple supply roller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50139335A (ko) * 2014-06-03 2015-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9645525B2 (en) 2014-06-03 2017-05-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9885975B2 (en) 2014-06-03 2018-02-06 S-Printing Solution Co., Lt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92363A1 (en) 2008-11-27
KR101421142B1 (ko) 2014-07-22
CN101311841B (zh) 2013-04-10
US7873305B2 (en) 2011-01-18
US20120039636A1 (en) 2012-02-16
US20110076064A1 (en) 2011-03-31
US8583013B2 (en) 2013-11-12
US8073366B2 (en) 2011-12-06
CN101311841A (zh) 200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2624A (ko)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4817828B2 (ja) 現像装置
US7904001B2 (en) Developing unit,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conveyor members, a supply part, and a discharge part
JP2576130B2 (ja) 現像装置
JP2006251440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423140B2 (ja) トナー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5374939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80111704A (ko)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4963980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037253B2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JP3950735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529490B1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JP5305127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817941B2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eveloping devices with different storage capacities
JP2007093944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622076B2 (ja) 画像形成装置
JP6642785B2 (ja) 現像装置
JP4784187B2 (ja) 現像装置
JP2012177948A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JP2011248169A (ja) 現像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100071498A (ko) 화상형성장치
JP5403413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08631B2 (ja) 現像装置
JP2004341415A (ja) 現像器
KR20040071549A (ko) 현상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