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0891A - 현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30891A KR20110030891A KR20090088543A KR20090088543A KR20110030891A KR 20110030891 A KR20110030891 A KR 20110030891A KR 20090088543 A KR20090088543 A KR 20090088543A KR 20090088543 A KR20090088543 A KR 20090088543A KR 20110030891 A KR20110030891 A KR 201100308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veloper
- conveying
- unit
- transfer
- conveying ele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89—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agitation or stirr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36—Way of functioning of agitator mea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5—Stirring member in developer contain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다양한 방향 또는 특정 방향으로 현상제를 이송시킬 수 있는 현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현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상장치는 현상제 수용부와, 회전하며 현상제에 이송력을 제공하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며, 현상제 수용부는 이송유닛의 회전시 이송유닛과 간섭을 일으켜 이송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는 돌기부를 포함한다. 이송유닛은 탄성력을 가진 이송부재를 포함하고, 이송부재는 돌기부와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복수개의 이송요소를 포함한다. 이송요소 및 돌기부의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현상제의 이송 방향도 다양해 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현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하는 방향으로 현상제를 이송할 수 있는 현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을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현상제인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화상은 인쇄매체에 바로 전사되거나 중간 전사체를 거쳐 인쇄매체에 전사되고, 인쇄매체로 전사된 화상은 정착과정을 통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이러한 인쇄 과정을 거치려면 현상제의 이송이 필요한데, 통상적으로 현상제의 이송은 교반기(agitator)나 오거(auger)에 의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교반기나 오거에 의한 이송은 그 회전축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송이 이루어져, 현상제가 이송되는 방향이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현상제의 이송이 의도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현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방향 또는 특정 방향으로 현상제를 이송시킬 수 있는 현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현상유닛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와,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제 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롤러를 포함하는 현상유닛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를 수용하며 보급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부에서 회전하며 상기 현상제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유닛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현상제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이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수용부는 상기 이송유닛의 회전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와 간섭하도록 돌출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 일측이 휘어지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 중심을 기준으로 어느 일측에 편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 면이 상기 이송유닛의 회전 접선 방향에서 좌측 방향을 향하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 면의 좌측에 편향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와 접촉이 이 루어질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 면이 상기 이송유닛의 회전 접선 방향에서 우측 방향을 향하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 면의 우측에 편향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와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는 상기 이송부재가 복수개로 분할되어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 면 각각에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는 상기 이송유닛의 회전축 축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는 상기 이송유닛의 회전축 축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재 탄성력을 가진 엷은 막 형태의 필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 면이 상기 이송유닛의 회전 접선 방향과 휘어져서 향하는 방향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제 이송 시스템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이송 시스템은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부에서 회전하며 상기 현상제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유닛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현상제에 이송력을 제공하는 이송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배열되 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수용부는 상기 이송유닛의 회전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가 특정 방향을 향해 휘도록 하여 상기 이송력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방향 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향 변경부는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와 접촉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의 회전 반경 이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 면이 상기 이송유닛의 회전 접선 방향인 제1방향에서 이송력을 가하고자 하는 제2방향을 향해 휘어지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에 변형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현상제 이송 시스템은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부에서 회전하며 상기 현상제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유닛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현상제를 특정 방향으로 밀어서 이송시키는 막 형태의 필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필름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수용부는 상기 이송유닛의 회전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와 간섭을 일으켜 상기 현상제를 미는 방향이 변경되도록,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간섭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폐현상제 회수 유닛은 폐현상제가 유입되는 폐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폐현상제 수용부 내부에서 회전하며 상기 폐현상제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유닛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폐현상제를 특정 방향으로 밀어서 이송시키는 이송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폐현상제 수용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와 접촉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 면이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도록, 상기 폐현상제 수용부 내부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제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재가 현상제 수용부의 돌기부와 접촉하여 형상이 변경됨으로써, 의도하는 방향으로 현상제를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방향 또는 특정 방향으로 현상제를 이송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현상유닛의 외관사시도이며, 도 3은 현상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내부에 용지(P)가 저장되어 용지(P)를 공급하는 공급유닛(20)과, 공급유닛(20)을 통해 공급된 용지(P)에 현상제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30)과, 현상유닛(30)의 감광체(31)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닛(40)과, 용지(P)로 전사된 현상제를 용 지(P)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50)과, 화상형성이 완료된 용지(P)를 본체(10)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유닛(60)과, 일면에 화상형성이 완료된 용지(P)를 다시 현상유닛(30)으로 반송하는 양면인쇄유닛(70)을 포함한다.
공급유닛(20)은 용지(P)를 현상유닛(30)으로 공급하는데, 본체(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지 카세트(21)와, 용지 카세트(21) 내에 설치되어 용지(P)가 적재되는 녹업 플레이트(22)와, 녹업 플레이트 상의 용지(P)를 하나씩 픽업하여 현상유닛에 전달하는 픽업롤러(24)를 포함한다. 본체(10) 내에는 픽업롤러(24)에 의해 픽업된 용지(P)를 현상유닛(30)으로 이송시키는 피드롤러(11)가 설치되어 있다.
노광유닛(LSU, Laser Scanning Unit)(40)은 화상정보가 포함된 광을 감광체(31)에 주사하여 감광체(31)에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한다.
정착유닛(50)은 용지(P)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용지(P)에 형성된 현상제 화상을 용지(P)에 정착시킨다. 정착유닛(50)은 히터(51)가 내장된 가열롤러(52)와, 용지(P)를 가열롤러(52)로 가압하는 가압롤러(53)를 포함하며, 용지(P)가 가열롤러(52)와 가압롤러(53) 사이를 통과하며 열과 압력을 전달받아 용지(P) 상의 현상제 화상이 용지(P)에 정착된다.
배지유닛(60)은 배지롤러(62)를 포함하며, 정착유닛(50)을 통과한 용지(P)를 본체(10) 외부로 배출한다.
양면인쇄유닛(70)은 용지(P)의 양면을 모두 인쇄할 수 있도록 일면에 화상형성이 완료된 용지(P)를 다시 현상유닛(30)으로 반송한다. 양면인쇄유닛(70)은 인 쇄용지(P)의 반송경로를 형성하는 양면인쇄 가이드(71)와, 인쇄용지(P)의 반송경로 상에 설치되어 용지(P)를 이송하는 일련의 반송롤러(72)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현상유닛(30)은 용지 공급유닛(20)으로부터 전달된 용지(P)에 현상제 화상을 형성한다. 현상유닛(3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광유닛(40)에 의해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31)와, 감광체(31)를 대전시키는 대전롤러(32)와, 감광체(31)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감광체(31) 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제 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롤러(33)와, 현상롤러(33)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롤러(34)와, 대전롤러(32)를 클리닝 하기 위한 클리닝롤러(35)와, 현상유닛(3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36)을 포함한다. 본체(10) 내에는 감광체(31)의 현상제 화상이 용지(P)에 전사되도록 용지(P)를 감광체(31)측으로 가압하는 전사롤러(12)가 설치된다.
현상유닛(30)의 내부에는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부(37)가 배치된다. 현상제 수용부(37)는 현상제를 수용하며 보관하다가, 인쇄기능의 동작시 내부적으로 이송하여 공급롤러(34) 측으로 보급하는 역할을 한다.
현상제 수용부(3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이송 시스템(100)이 구비되는 제1현상제 수용부(38)와, 제1현상제 수용부(38)에서 이송된 현상제를 수용하는 제2현상제 수용부(39)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현상제 이송 시스템(1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현상제 수용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현상제 수용부의 내부 상세도이며, 도 6은 현상제 이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상세도이고, 도 7a 및 7b는 이송요소와 돌기부의 상호 작동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a 내지 도 8c는 이송요소 및 돌기부의 위치 관계에 따른 현상제 이송 방향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현상제 수용부(38) 내부에는 현상제 이송 시스템(100)이 구비되는데, 현상제 이송 시스템(100)은 현상제가 수용되는 제1현상제 수용부(38)와, 제1현상제 수용부(38) 내부에서 회전하며 현상제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110)를 포함한다.
이송유닛(110)은 이송유닛(110)의 몸체가 되며 회전하는 회전축(113)과, 회전축(113)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현상제와 간섭하도록 배치되는 이송부재(115)를 포함한다.
회전축(113) 및 이송부재(115)는 현상유닛(3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이송부재(115)는 탄성력을 가진 엷은 막 형태의 필름부재이다.
이송부재(115)는 회전축(113)의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115a)를 포함하고, 이송요소(115a)는 이송부재(115)가 복수개로 분할되어 형성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즉, 회전축(113)과 결합하는 이송부재(115) 부분은 일체로 되어 있지만, 현상제에 직접적으로 이송력을 제공하는 이송부재(115)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115a)로 분할되며, 각 이송요소(115a)는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현상제 수용부(38)는 이송유닛(110)의 회전시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 소(115a)와 접촉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를 포함한다. 돌기부(130)는 이송요소(115a)의 회전 반경 이내에 배치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115a)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는데, 그 접촉으로 인해 현상제의 이송 방향은 변경되게 된다.
이송유닛(110)이 회전하면서 이송요소(115a)가 돌기부(130)와 접촉하기 이전에 현상제를 이송하는 이송력의 방향은 이송유닛(110) 회전축(113)의 회전 접선 방향인 제1방향(A)이다. 이 때 이송요소(115a) 면이 향하는 방향도 이송유닛(110) 회전축(113)의 회전 접선 방향인 제1방향(A)이다.
그리고, 이송부재(110)가 계속 회전하여 이송요소(115a)가 이송요소(115a) 면의 좌측에 편향되어 배치된 돌기부(130)와 접촉하여 간섭을 일으키게 되면, 이송요소(115a)는 그 탄성력으로 인해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이송요소(115a) 면의 좌측 부분이 휘어지면서 이송요소(115a) 면이 향하는 방향이 좌측으로 편향된 제2방향(B)으로 변경된다. 제2방향(B)은 현상제 이송력을 가하고자 의도하는 방향이다. 또한, 제1방향(A)과 제2방향(B)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는 예각이다.
도 7a 및 도 7b에는 돌기부(130)가 이송요소(115a) 면의 좌측에 편향되어 배치되는 경우를 살펴보았으나, 반대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130)는 이송요소(115a) 면의 우측에 편향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이송요소(115a) 면의 우측 부분이 휘어지면서 이송요소(115a) 면이 우측으로 편향된 방향(C)을 향하게 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가 이송유닛(110)의 회전축(113) 축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각 이송요소(115a) 면이 좌측으로 편향된 방향(B)을 향하게 되어 회전축(113) 축방향 전체에 걸쳐 이송력은 일괄적으로 좌측으로 편향된 방향(B)으로 작용하게 된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 130'')가 이송유닛(110)의 회전축(113) 축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이송력의 변경이 시간차를 두고 일어난다. 이송부재(115) 후면의 돌기부(130')가 먼저 이송요소(115a')와 간섭을 일으켜 일시적으로 이송력의 방향이 변경(A'에서 B'로 변경)되고, 그 다음으로 이송부재(115) 전면의 돌기부(130'')가 이송요소(115a'')와 간섭을 일으켜 이송력의 방향이 변경(A''에서 B''로 변경)된다.
도 7a 내지 도 7c를 통하여 설명한 발명의 원리를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의 이송 방향으로 설명하면, 제1현상제 수용부(38)에서 제2현상제 수용부(39)로 현상제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은 현상제 수용부(37)의 전면 공간(37a)과 후면 공간(37b)이다. 그리고, 현상제는 전면 공간(37a)을 통하여 "X"방향으로 이송되고, 후면 공간(37b)을 통하여 "Y"방향으로 이송된다.
도 6을 참조하여, 후면 공간(37b)을 통한 이송에 한정하여 더 자세히 살펴보면, 이송유닛(11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앞에서 설명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와 이송요소(115a)의 상호 간섭에 의해 이송력은 이송유닛(110)의 회전 접선 방향에서 "Y"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제1현상제 수용부(38) 내부의 현상제는 후면 공간(37b)을 통해 제2현상제 수용부(39)로 이송될 수 있고, 제2현상제 수용부(39) 내부에서는 이송오거(39a)에 의한 이송이 일어나서 결국에 공급롤러(34), 현상롤러(33) 및 감광체(31)에 까지 현상제의 보급이 가능해 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이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이송 시스템(200)은 하부에 유출구(255)가 마련된 현상제 수용부(250)와, 현상제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210)을 포함한다.
이송유닛(210)은 회전축(213)과, 회전축(213)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현상제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이송부재(215)를 포함하며, 이송부재(215)는 이송부재(215)가 복수개로 분할되어 축방향으로 배열된 이송요소(215a, 215a', 215a'')를 포함한다.
현상제 수용부(250)는 이송요소(215a, 215a', 215a'') 중 이송유닛(210) 회전축(213)의 축방향 양측에 배치된 이송요소(215a, 215a'')와 간섭을 일으키도록 배치되는 돌기부(230, 230')를 포함한다.
이송유닛(210) 좌측의 이송요소(215a)는 그 이송요소(215a) 면의 우측에 편향되어 배치된 돌기부(230)와 간섭을 일으키게 되고, 이송유닛(210) 우측의 이송요소(215a'')는 이송요소(215a'') 면의 좌측에 편향되어 배치된 돌기부(230')와 간섭을 일으키게 된다. 그리고, 이송유닛(210) 중앙부의 이송요소(215a')는 돌기부(230, 230')와의 간섭없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이송유닛(210) 좌측의 이송요소(215a)는 우측 방향으로 이송력을 작용시키게 되고, 이송유닛(210) 우측의 이송요소(215a'')는 좌측 방향으로 이송력을 작용시키게 되며, 이송유닛(210) 중앙부의 이송요소(215a')는 전면으로 이송력을 작용시키게 된다.
그리하면, 현상제 수용부(250) 내부의 현상제는 유출구(255)를 통하여 이송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이송 시스템(200)은 도 1 내지 도 6의 제2현상제 수용부(39)에 그대로 유추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현상제 이송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폐현상제 이송 시스템(300)은 폐현상제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310)과, 폐현상제를 수용하는 폐현상제 수용부(350)를 포함한다.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폐현상제 수용부(350)는 전체적으로 바(bar)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 폐현상제 주입구(355)를 포함한다. 폐현상제 주입구(355)를 통해 유입된 폐현상제는 길이 방향으로 이송되어 타측의 공간(S)으로 이송되어야 한다.
이송유닛(310)은 회전축(313)과, 회전축(313)의 일부에 결합되는 오거(317)와, 회전축(313)의 나머지 일부에 결합되는 이송부재(318)를 포함한다.
오거(317)는 폐현상제 주입구(355)를 통해 유입된 폐현상제를 타측의 공 간(S)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고, 이송부재(318)는 이송부재(318)가 복수개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이송요소(318a)를 포함한다.
폐현상제 수용부(350)는 각 이송요소(318a) 면의 좌측에 편향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돌기부(330)를 포함한다.
폐현상제 주입구(355)를 통하여 유입된 폐현상제는 오거(317)를 통해 타측의 공간(S) 입구에 까지 이르게 되고, 이송부재(318)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각 이송요소(318a)와 돌기부(330)의 간섭을 이용하여 이송력을 이송유닛(310)의 회전 접선 방향에서 좌측으로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면, 폐현상제는 빈 공간(S) 전역에 골고루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현상제 이송 시스템 및 폐현상제 이송 시스템을 이용하면, 종래에 이송이 어려웠던 특정 공간에 까지도 현상제 및 폐현상제를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현상유닛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3은 현상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현상제 수용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현상제 수용부의 내부 상세도이다.
도 6은 현상제 이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7a 및 7b는 이송요소와 돌기부의 상호 작동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이송요소 및 돌기부의 위치 관계에 따른 현상제 이송 방향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이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현상제 이송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화상형성장치 10 : 본체
20 : 공급유닛 30 : 현상유닛
40 : 노광유닛 50 : 정착유닛
60 : 배지유닛 100 : 현상제 이송 시스템
110 : 이송유닛 115 : 이송요소
130 : 돌기부 300 : 폐현상제 이송 시스템
Claims (16)
- 화상형성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롤러 및 공급롤러를 포함하는 현상유닛에 있어서,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부와,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부에서 회전하며 상기 현상제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며,상기 이송유닛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현상제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이송부재를 포함하고,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를 포함하며,상기 현상제 수용부는 상기 이송유닛의 회전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와 간섭하도록 돌출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닛.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 일측이 휘어지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 중심을 기준으로 어느 일측에 편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닛.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 면이 상기 이송유닛의 회전 접선 방향에서 좌측 방향을 향하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 면의 좌측에 편향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와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닛.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 면이 상기 이송유닛의 회전 접선 방향에서 우측 방향을 향하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 면의 우측에 편향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와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닛.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는 상기 이송부재가 복수개로 분할되어 형성되며,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 면 각각에 대응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닛.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는 상기 이송유닛의 회전축 축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닛.
- 제5항에서 있어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는 상기 이송유닛의 회전축 축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닛.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이송부재 탄성력을 가진 엷은 막 형태의 필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닛.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 면이 상기 이송유닛의 회전 접선 방향과 휘어져서 향하는 방향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는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닛.
- 현상제 이송 시스템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상기 현상제 이송 시스템은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부에서 회전하며 상기 현상제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고,상기 이송유닛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현상제에 이송력을 제공하는 이송부재를 포함하며,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 소를 포함하고,상기 현상제 수용부는 상기 이송유닛의 회전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가 특정 방향을 향해 휘도록 하여 상기 이송력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방향 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방향 변경부는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와 접촉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의 회전 반경 이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 면이 상기 이송유닛의 회전 접선 방향인 제1방향에서 이송력을 가하고자 하는 제2방향을 향해 휘어지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에 변형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부와,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부에서 회전하며 상기 현상제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고,상기 이송유닛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현상제를 특정 방향으로 밀어서 이송시키는 막 형태의 필름부재를 포함하며,상기 필름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를 포함하고,상기 현상제 수용부는 상기 이송유닛의 회전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와 간섭을 일으켜 상기 현상제를 미는 방향이 변경되도록,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간섭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이송 시스템.
- 폐현상제가 유입되는 폐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폐현상제 수용부 내부에서 회전하며 상기 폐현상제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고,상기 이송유닛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폐현상제를 특정 방향으로 밀어서 이송시키는 이송부재를 포함하며,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를 포함하고,상기 폐현상제 수용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와 접촉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 면이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도록, 상기 폐현상제 수용부 내부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현상제 회수 유닛.
- 화상형성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유닛에 있어서,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부;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부에 마련된 구동축;상기 구동축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상기 현상제를 교반 또는 이송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 및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가 회전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가 방향성을 가지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요소와 간섭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닛.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088543A KR20110030891A (ko) | 2009-09-18 | 2009-09-18 | 현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EP10163978.9A EP2299331A3 (en) | 2009-09-18 | 2010-05-26 |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US12/788,599 US8526860B2 (en) | 2009-09-18 | 2010-05-27 |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JP2010203327A JP2011065154A (ja) | 2009-09-18 | 2010-09-10 | 現像ユニット、現像剤移送システム及び廃現像剤回収ユニットを含む画像形成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088543A KR20110030891A (ko) | 2009-09-18 | 2009-09-18 | 현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0891A true KR20110030891A (ko) | 2011-03-24 |
Family
ID=43305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90088543A KR20110030891A (ko) | 2009-09-18 | 2009-09-18 | 현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8526860B2 (ko) |
EP (1) | EP2299331A3 (ko) |
JP (1) | JP2011065154A (ko) |
KR (1) | KR20110030891A (ko)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44368A (ja) * | 1996-03-07 | 1997-09-19 | Tec Corp | 画像形成装置の現像装置 |
JP3499506B2 (ja) * | 2000-05-22 | 2004-02-23 | シャープ株式会社 | トナーカートリッジ |
JP4129123B2 (ja) * | 2001-01-12 | 2008-08-06 | 株式会社リコー | トナー供給口のシール方法及び現像装置 |
DE602006010935D1 (de) * | 2005-04-26 | 2010-01-21 | Ricoh Kk | Entwicklervorrichtung, Bilderzeugungsvorrichtung und Prozesskartusche mit der Entwicklervorrichtung |
KR100864713B1 (ko) * | 2006-07-20 | 2008-10-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토너교반필름, 토너교반부재 및 이를 구비한 토너공급장치 |
JP2008197636A (ja) * | 2007-01-15 | 2008-08-28 | Kyocera Mita Corp | トナーコンテナ |
JP5244376B2 (ja) * | 2007-11-30 | 2013-07-24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現像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KR20090126916A (ko) * | 2008-06-05 | 2009-12-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제카트리지 |
-
2009
- 2009-09-18 KR KR20090088543A patent/KR20110030891A/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
- 2010-05-26 EP EP10163978.9A patent/EP2299331A3/en not_active Withdrawn
- 2010-05-27 US US12/788,599 patent/US8526860B2/en active Active
- 2010-09-10 JP JP2010203327A patent/JP2011065154A/ja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299331A3 (en) | 2015-06-10 |
JP2011065154A (ja) | 2011-03-31 |
US20110069994A1 (en) | 2011-03-24 |
EP2299331A2 (en) | 2011-03-23 |
US8526860B2 (en) | 2013-09-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022246B (zh) | 显影盒 | |
KR100729626B1 (ko) | 롤러 이격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
JP2011099894A (ja) | 現像剤収容器、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5942475B2 (ja) | 現像装置 | |
KR100608069B1 (ko) | 현상기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
US8849164B2 (en) | Developer storage body,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6148628B2 (ja) | 現像剤収容器、画像形成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5645868B2 (ja) | 現像剤収容容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 |
US8538291B2 (en) | Developing cartridge | |
US20070085880A1 (en) | Hybrid image forming apparatus | |
EP2942671B1 (en) | Developing unit,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09073664A (ja) | 画像形成装置 | |
EP3620861B1 (en) |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KR20110030891A (ko) | 현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
US20070086800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improving developing performance thereof | |
US20080240822A1 (en) | Duplex image forming apparatus | |
JP4956280B2 (ja) | 給紙カセ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18092124A (ja) | 現像剤搬送装置、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 |
CN100555118C (zh) | 图像形成装置 | |
JP2008111900A (ja) |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17173425A (ja) | 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 |
KR100656508B1 (ko) | 화상형성장치 | |
KR100941417B1 (ko) | 화상형성장치 | |
JP2023180736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24113805A (ja) |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