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8792A -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8792A
KR20010078792A KR1020010006106A KR20010006106A KR20010078792A KR 20010078792 A KR20010078792 A KR 20010078792A KR 1020010006106 A KR1020010006106 A KR 1020010006106A KR 20010006106 A KR20010006106 A KR 20010006106A KR 20010078792 A KR20010078792 A KR 20010078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side window
roll
window rol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6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4958B1 (ko
Inventor
슐레흐트베르너
젤홀거
발터헤르베르트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63050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7879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078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9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60J1/2022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with screw rods or extensible rods acting on the draw bar for pushing or push-pu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60J1/2027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with a buckle-proof guided flexible actuating element acting on the draw bar for pushing or push-pulling, e.g. a Bowden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4Draw bars, including elements attached to it, e.g. sliding shoes, gripping elements or pull 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52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72Blinds with inclined or vertical orientation of the winding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8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openable windows, e.g. side window

Abstract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는 유리하게는 도어(7) 또는 B 컬럼(3)의 측면 라이닝(14)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는 권취축을 가진다. 도어(7) 내의 슬롯(3)을 통해서 창(21)을 덮게 되는 블라인드재(31)를 당겨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블라인드재(31)의 에지에 구동 부재가 결합되어진다. 구동 부재는 선형 부재로, 실시예에 따라서, 당김 저항 또는 압력 저항식 중의 하나이다. 블라인드재(31) 자체는 최소한 하나의 가이드 레일 또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압력 저항식 또는 굽힘 저항식 구동 부재에 의해서 창의 측면에 개방 고정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Side window roll-up blind}
본 발명은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승용차의 후방 유리창에 대해서, 창의 롤업 블라인드를 전기적으로 원격 제어하여 감거나 풀어내기 위해서 다수의 해결책이 공지되어 있다.
그 중의 하나인 해결책은, 고정하기 위해서 굽힘 저항 레버만 사용한, 예를 들어, EP-C-0 240 747에 개시되어 있다. 공지된 후방창 롤업 블라인드는 권취축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는 베이스를 가진다. 권취축은 (블라인드재가) 한쪽 에지에 의해서 권취축 상에 장착되는 스프링 모터의 도움으로 블라인드재의 권취 방향으로 예비 압축되어 있다. 다른 에지는, 베이스 상에서 유지되는 두 개의 외팔 레버가 표면에 결합되는 풀 로드에 연결되어 있다. 레버의 베어링 축선은 권취축에 대해서 직각으로 연장된다. 레버가 상승 이동하는 중에, 블라인드재는 권취축으로부터 풀리게 된다.
그러나, 승용차에 있어서, 햇빛은 후방창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측면창을 통해서도 들어오게 되며, 후방의 승객은 대부분 측면창을 거쳐저 들어오는 햇빛에 더욱 자주 노출되어지는데, 이는 측면창의 창틀 에지가 후방 승객에 바로 인접하여 있으므로 인해서 창틀 에지가 충분한 그림자를 만들어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측면창, 특히 후방 측면창에 적합한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는 롤업 블라인드가 필요하였다.
확실히,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는, 블라인드의 진행이 대략적으로 좌우 대칭적이거나, 사다리꼴 또는 직사각형의 차단부를 가지는 후방창 롤업 블라인드에 비해서 실질적으로 그 기계적인 형성에 있어서 더욱 복잡하다. 측면창에 대해서는, 그와 같은 간단한 차단부를 사용할 수 없었는데, 측면창의 외형이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특히 전체 창 표면이 경사져 있기 때문이다.
이들로부터 시작하여, 본 발명의 문제점은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를 생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에 있어서, 경계부와 함께 블라인드재의 차단부가 고정되는,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는 권취축이 제공된다.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위치하는 블라인드재의 다른 부분 상에는, 권취축으로부터 블라인드재를 풀어내고, 이를 개방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구동 부재가 결합되어 있다. 블라인드재의 권취와 풀기에 대해서는, 동력으로 작동되는 작동 수단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예를 들자면, 문제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는 운전자측에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후방 승객도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를 올리고 내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신규한 구조는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가 대부분 도어의 내부에 또는 도어 라이닝의 후방으로 사라지게 할 수 있다. 권취된 상태에서, 창의 외형 뒤쪽으로 사실상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다른 방법으로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를 수동으로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그립 래치 등과 같은 부품이 돌출하지 않게 된다.
공간 관계 및 특정한 차체의 형태에 따라서, 권취축은, 예를 들어 B 컬럼에 있어서, 승용차의 B 컬럼 근처 또는 측면창의 하부 에지와 평행하게 도어 프레임 프로파일 내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들 두 개의 에지는 차체의 형태와는 무관하며, 일반적으로는 직선이며, 한편으로 창의 다른 에지는 차체의 형태에 따라서, 더 많이 또는 더 적게 휘어져 있으며, 이는 권취축의 수용에 있어서 어려움을 부가하게 된다.
하부 창틀 에지의 하부에서의 권취축의 장착은, 추가적으로, 도어 영역 내에 권취축을 수용할 수 있게 하며, 이는 현재의 차량에 있어서, 도어의 내부로 더 많은 빈 스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개방 고정된 상태에서의 블라인드재의 펄럭거림이나 진동을 차단하기 위해서 및 풀기 동작 중에 안내하기 위해서, 이 문제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두 가지의 해결책이 있다.
하나의 해결책은 창의 한쪽 경계부에 대해서 평행하게 연장되는 최소한 하나의 가이드 레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가이드 레일의 도움으로, 권취축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위치하는 블라인드재의 일부는 포획된 상태로 안내된다.
다른 가능성으로는 구동 수단으로서, 블라인드재를 권취축으로부터 배출하기 위해서 굽힘에 상당히 저항하는 추력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다. 추력 부재는 권취하고 풀기에 있어서 가장 먼 거리를 덮는 블라인드재의 에지 상에 결합된다. 이곳에서, 최소한 풀기 과정 중에, 블라인드재의 전방 에지는 추력 부재에 의해서만 안내되고,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추력 부재는 최소한 개방 고정되는 블라인드에 의해서 한정되는 평면 내에서는 충분한 강성이 있어야 한다. 이에 대해서 평행한 방향으로, 예비 압축과 함께 블라인드재 자체에 의해서 대부분 안내가 제공되며, 이와 같은 이유로 해서 이 방향으로는 굽힙에 대한 특별한 저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는 않다.
완전하게 개방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블라인드재의 차단부의 상부 에지는 훅 모양의 포켓 내로 수용될 수 있다. 이들은 고정된 블라인드재의 상부 에지가 차량의 심한 진동에 의해서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진동은 또한 대부분, 블라인드재의 상부 에지가 디스크 상에 가압되기 때문에 블라인드재의 상부 에지가 유리창의 내부측을 따라서 활주하게 되는 방식으로 추력 부재가 지향되는 경우에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블라인드재를 매우 안정하게 안내하는 것은, 권취축으로부터 시작하여,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 사이로 블라인드재가 안내되는 경우에 가능해진다. 측면창의 기하학적 형상 때문에, 이들 가이드 레일은 서로에 대해서 평행하게 연장되지 않으며, 블라인드재는 길이 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최소한 하나의 경사 프레임을 포함하게 된다. 블라인드재는 자체적으로 가이드 레일 사이에서의 거리 변화에 자동적으로 적응하게 된다.
블라인드재의 상부 또는 측면 에지 또한 가이드 레일 내로 연장되는 활주 부재에 고정되는 암 상에 권취된다. 암은 관계된 창에 대해서 평행하게 연장되고, 실제로 블라인드재의 해당 에지를 전체 길이에 걸쳐서 안내하게 된다.
블라인드재의 굽힘은, 각각의 블라인드재가 활주 가능하게 수용되는 레일로서 암이 구축되는 경우에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블라인드재의 구동 및 제어를 가능한 한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측면 롤업 블라인드의 구동 수단은 최소한 하나의 전기 모터 뿐만 아니라 스프링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전기 모터와 스프링 수단 사이에서, 블라인드재는 운동학적으로 위치하고, 구동 모터가 블라인드의 상부 에지와 측면 에지의 위치를 한정하는 한편, 스프링 수단은 블라인드 내에서의 예비 압축을 제공하기 위한 "슬레이브 드라이브"를 한정한다.
설치 관계에 따라서, 전기 모터는 권취축과 또는 권취를 푸는 중에 가장 먼 거리를 덮는 블라인드의 일부와 협동하며, 한편으로 스프링 수단은 각각의 경우에 블라인드재의 다른 단부 상에 결합한다. 전기 모터가 권취축에 직접 작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경우에, 가장 먼 거리를 덮는 블라인드의 일부는 케이블의 형태로 구동 수단을 거쳐서 견인 스프링과 결합하게 된다. 이는, 특히, 또한, 예를 들어서, 하나의 구동 수단이 직선 가이드 레일에서 연장되고, 다른 구동 수단이 휘어진 가이드 레일에서 연장되는 경우에, 서로 다른 구동 수단의 연장 거리에 대해서 간단한 방식으로 보상할 수 있게 된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은 권취축 내에서 스프링 모터로서 배치되고, 한편으로 전기 모터는 구동 부재에 걸쳐서 블라인드재, 즉 권취 및 풀어내기에서 가장 먼 거리를 덮는 블라인드재의 일부와 함께 결합된다.
설치 관계에 따라서, 구동 부재는 추력 부재 또는 풀 부재(pull member)로서 기능한다. 양자의 경우에, 보우덴 컨트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압력 부재의 경우에, 보우덴 컨트롤의 코어는 이에 대응하여 압력에 강성적으로 안내되거나 안내되어야 한다.
최소한 한쪽 단부에서, 선형 구동 부재는 폐쇄된 형태로 구동 모터의 출력 기어 휠에 결합되는 톱니 모양의 형태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동 부재는 "쭈-플렉스벨레(Su-flexwelle)"라는 상표명으로 상업적으로 입수가 가능하며, 이들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코어로 구성되고, 그 외부 원주면 상에는 마찬가지로 와이어로부터 형성된 스크류가 적용된다. 스크류의 인접한 선회 사이의 거리는 구동 기어 휠의 두께에 대응한다. 클랩퍼 잡음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브러쉬를 스크류의 선회 사이에 위치시킬 수도 있으며, 이는 구조에 병 닦는 솔의 외양을 부여하게 된다.
다른 점에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전개는 하위 청구항의 목적이 된다.
도 1은 오른쪽 후방 도어의 내측면을 도시하면서 리무진의 후방 영역을 도시하는 파단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오른쪽 후방 도어의 부분 파단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측면 롤업 블라인드의 본질적인 기능 부분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4는 가이드 레일이 없는 측면 롤업 블라인드의의 실시예로, 이너 라이닝을 파단한 측면 도어의 개념도.
도 5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롤업 블라인드의 실시예의 개념도.
도 6은 경사 홀더와 가이드 레일 내에서의 수용을 도시하는 절단 개방된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개념도.
도 7은 도 5에 따른 것과 유사한 실시예이지만, 수직으로 배치된 권취축을 구비한 개념도.
도 8은 도 7에 따른 실시예의 하부 가이드 레일을 도시하는, 파단 개념도.
도 9는 블라인드재 에지의 가요성 보강부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롤업 블라인드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10은 도 3에 따른 것과 유사한 실시예로, 개념적인 사시도.
이하의 도면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와 같은 용어 뿐만 아니라 "오른쪽" 및 "왼쪽"이라는 용어를 포함하여 유사한 의미를 가진 용어는, 자동차에서의 방향을 지시하는데 보통 사용되는 방식대로 사용된다.
도 1은, 승용차의 파단되고, 절단된 후방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본 도면은 도시하지 않은 왼쪽 내부에 대해서 거울상인 오른쪽 측면을 도시한다. 본 도면은간략하며, 따라서, 예를 들어서 차체의 내부 구조, 보강 수단 및 고정 수단은 도시하지 않았는데, 이들을 도시하는 것은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요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도시된 차체부(1)는 루프(2)를 구비하고 있으며, 루프로부터 플로어 그룹(도시하지 않음)의 하부로 B 컬럼(3)이 연장된다. 대응하는 B 컬럼은 차량의 파단된 측면 상에서 상상이 가능할 것이다. 루프(2)는 후방 에지 상에서 후방창 개구(4) 내로 덮게 되며, 후방창 개구 내에는 후방 유리창(5)이 설치되어 있다. 측면 방향으로 후방 유리창(4)은 C 컬럼(6) 상에서 종료하며, 이는 B 컬럼(3)으로부터의 거리는 나타낸다. B 컬럼(3)과 C 컬럼(6) 사이에서, 오른쪽 측면 도어가 공지된 방식으로 힌지 결합되어 있다.
오른쪽 후방측 도어(7)의 높이에는 후방 시트 벤치(8)가 있으며, 여기에는 시팅면(9) 뿐만 아니라 후방 시트 백(11)이 포함된다. 후방 시트면(9)은 베이스면(12)에 위치해 있으며, 이 베이스면은 플로어 그룹에 속하며, 후방 시트면(9)의 전방면에는 푸트 스페이스(13)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 스페이스와 면하는 측면 도어(7)의 내측면은 이너 라이닝(14)을 구비하며, 이 라이닝에는 도어 그립(15)이 고정되어 있고, 측면 도어(7)의 락을 개방하기 위한 작동 핸들(17)이 수용되어 있다.
측면 도어(7)는 이너 라이닝(14)의 위쪽에서, 격벽(19)에 의해서 두 개의 부분(21, 22)으로 분할되는 창 개구(18)를 포함하고 있다. 부분(2)은 대략 삼각형 형상이고, 전방에서는 격벽(19)에 의해서, 후방으로는 도어의 후방 프레임부(23) 뿐만 아니라 하부 창틀부(24)에 의해서 한정된다. 측면창 차단부(22)에 있어서, 유리창은 견고하게 움직이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창 차단부(21)는 광범위한 의미로 직사각형의 형태이다. 이 차단부는 전방에서는 전방 프레임부(25)에 의해서, 상부에서는 상부 프레임부(26)에 의해서, 후방에 대해서는 격벽(19)에 의해서 및 하부에서는 상술한 하부 창틀부(24)에 의해서 한정된다. 전방 프레임부(25) 뿐만 아니라 격벽(19)은 공지된 방식으로 측면 유리창이 내부에서 활주 가능하게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부 프레임부(26)로부터 하부 창틀부(24)까지 연장되는 격벽(19)은, 전방 프레임부(25)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최소한 그곳의 가이드 레일에 대해서 평행하게 연장된다.
측면 유리창은 도 1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 유리창은 측면 도어의 외부 시트 금속 스킨과 이너 도어 쉘 사이에서 공지된 방식으로 내릴 수 있다. 또한 유리창을 올리고 내리기 위해서 구동 수단이 배치되어 있다.
측면 도어(7)는 도 2 및 도 3에 상세하게 도시된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30)를 구비하고 있으며, 블라인드재(31)는 도 1 및 도 2의 도시에서 부분적으로 풀려 있으며, 이런 방식으로 측면 방향으로의 햇빛으로부터 승객실의 후방 영역을 보호하게 된다. 블라인드재(31)는 하부 창틀부(24)의 측면에 또는 아래에 도시된 슬롯(29)을 통해서 연장되며, 슬롯은 이너 라이닝(14) 내부에 또는 이너 라이닝(14)과 도어의 이너 쉘 사이에 위치해 있다.
도 2에 있어서, 측면 도어(7)는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힌지 결합된 도어 프레임(32), 금속 박판으로 구성되는 도어 스킨(33)의 일부, 뿐만 아니라 도어(7)의 이너 쉘 상에 위치하는 이너 라이닝(14)이 파단되어 있다.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30)에 대해서, 이너 라이닝(14)의 후방에서 창 하부 에지(32)의 아래쪽에서 도어(7) 상에 유지되는 권취축(34)이 포함된다. 이를 위해서 도어(7)는,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튜브형 권취축(34)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베어링 핀(37, 38)을 수용하는 두 개의 베어링 블록(35, 36)을 구비하고 있다. 권취축(34) 내에는, 도면 부호 40에서, 권취축(34)과 견고하게 결합하고, 그 다른쪽 단부는 베어링 핀(38)과 비틀리지 않도록 결합되어 있는 개략적인 스프링 모터(39)가 도시되어 있다. 베어링 핀(38)은, 다시, 베어링 블록(35) 내에 비틀리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모터(39)는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30)의 구동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며, 블라인드재(31)의 권취 방향으로 권취축(34) 상에 예비 압축력을 생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블라인드재(31)는, 예를 들어서, 파이핑(piping)에 의한 공지된 방식으로 권취축(34)에 고정된다.
블라인드재(31)는 햇빛을 충분히 차단할 수 있는 플라스틱 포일로부터의 차단부로 구성된다. 외형은 창 개구(18)의 외형에 대응, 즉 두 개의 창 개구(21, 22)의 합에 대응한다.
블라인드재(31)는 이동 방향에 위치하는 전방 직선 에지(41)와, 후방 외형 에지(42) 뿐만 아니라 상부 에지(43) 및 권취축(34)에 고정되는 에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한정된다.
상부 에지(43)의 표면에는, 후방 에지(42)로부터 전방 에지(41)로 연장되는경계부 보강 스트립(44)이 장착되어 있다.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30)에 대해서, 전방 창 프레임부(25)의 영역 내의 도어(7)에 고정되고, 상부 창틀(26)로부터 도어(7)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45)이 추가적으로 포함된다.
도 3에서는 단면만이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45)은 후면 파지 가이드 그루브(46)와 몰드 형성된 스트립 형태의 고정 플랜지(47)를 구비하는 C 형상 프로파일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그루브(46)는 플랜지(47)에 대향해서 위치하고, 이 플랜지(47)로부터 멀어져서 면하는 슬롯(48) 상에서 개방된다.
가이드 레일(45)의 내부에는, 가이드 그루브(46)의 내부 상에 장착되는 베이스 몸체(51)로 구성되는 슬라이드(49)가 연장되며, 베이스 몸체(51)로부터 슬롯(48)을 통해서 외부로 연장되는 스트립 형태의 플랜지(52)가 진행된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있어서, 베이스 몸체(51)는 본질적으로 실린더형이며, 가이드 레일(45)의 가이드 그루브(49)의 내부도 마찬가지로 실린더형이다.
플랜지(52)에 대해서, 베이스 몸체(51)로부터 본질적으로 직각으로 분리되어 있는 연장부(53)가 고정되어 있으며, 그 일부분 상에서는, 경계부 보강 스트립(4)이 길이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수용되는 가이드 레일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연장부(53)는, 경계부 보강 스트립(44)이 단 하나의 자유도를 가지도록, 즉 연장부(43)의 길이 방향으로의 연장에 대해서 평행한 방향으로 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트립은 상기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부(53) 내에 한정된다.
마음대로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를 권취하고 풀기 위해서, 스프링 모터(39)에 추가하여 구동 장치에는, 작동 부재(56)를 거쳐서 슬라이드(49)에 결합되는 기어 모터(55)가 포함된다. 작동 부재(56)는, 예를 들어 가요성 금속 또는 플라스틱 와이어(57), 보우덴 컨트롤의 코어 또는 추력 저항식의 케이블로 형성된 와이어 스트랜드와 같은 압력 저항식의 선형 부재에 의해서 형성된다. 최소한 하나의 모터측 단부 상에는 작동 부재(56)가 그 외주면에 스크류 또는 웜(58)을 형성하는, 작동 부재(56)와 함께 변화되지 않도록 한정되는 와이어 코일(61)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구동 부재는 "쭈-플렉스벨레(Su-flexwelle)"라는 상표명으로 입수 가능하며, 특히, 새시 리프터에서 사용된다.
구동 모터(55)는 영구적으로 여자된 직류 모터이며, 그 출구측 상에는 감속 기어(62)가 배치되어 있다. 기어(62)의 출력축(63) 상에는, 정면 기어 휠(64)이 비틀리지 않게 위치하며, 기어 휠의 분할부는 웜 또는 스크류(58)의 분할부와 일치한다.
정면 기어 휠(64)에 추가하여, 기어(62)의 하우징 내에는, 작동 부재(56)의 스크류(58)를 출력 기어 휠(64)에 대해서 접선 방향으로 유도하여 정면 기어 휠(64)의 톱니가 스크류(58)의 선회 사이에서 폐쇄된 형태로 결합하게 되도록 설계된 가이드(65)가 있다.
작동 부재(56)는 정면 기어 휠(64)을 슬라이드(51)에 작동하게 결합, 즉, 기어(62)로부터 또는 가이드(65)로부터 진행하여, 가이드 레일(45)의 하부 단부에 대해서 슬리브(57a)에 압력 강성을 초래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 작동 부재(56)는 가이드 그루브(46)의 내부로 도입된다. 작동 부재(56)의 자유 단부(66)는 가이드 슬라이드(51)의 하부 단부와 자유 접촉하여 위치된다.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30)가 개방되면, 사실상 어떠한 부품도 보이지 않게 된다. 가이드 레일(45)은 창 가이드의 옆으로 연장되며, 이로 인해서 대부분 도어(7)의 창틀 라이닝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이후에, 한편으로는 이너 라이닝(14)에 의해서, 다른 한편으로는 하부 창틀부(24)에 의해서 한정되는 슬롯(29) 내의 연장부(53)만 볼 수 있으며, 연장부를 통해서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30)가 도어의 내부로부터 풀려지게 된다.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의 취급법과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휴지 상태에서, 스프링 모터(38)의 작용 하에 있는 블라인드재(31)는 권취축(34) 상에 권취되어 있다. 슬라이드(51)는, 연장부(43)의 길이에 대응하는 상술한 블라인드 슬롯(29)을 연장부(53)가 충전하기 전까지 가이드 레일(45) 내에서 하향으로 이동한다.
이 작동 위치로부터 진행하여, 사용자가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30)를 풀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은 전기 스위치를 통해서, 사용자는 구동 모터(55)를 작동으로 설정, 즉 정면 기어 휠(64)이 압력 저항 또는 압력 저항식으로 안내되는 작동 부재(56)를 가이드 레일(45)을 향한 방향으로 밀게 되는 회전 방향으로 설정하게 된다. 이 전방으로의 이송 이동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45)의 내부에서 안내되는 작동 부재(56)는 가이드 레일(45)의 내부에서 안내되는 가이드 슬라이드(49)를 상향으로 밀게 되며, 상부 창틀부(26) 방향으로 연장부(53)와 함께고정된다. 그곳에서 대응하여, 블라인드재(31)는 권취축(34)으로부터 풀리게 되며, 도어(7) 내의 블라인드 슬롯(29)을 통해서 상향으로 권취된다.
슬라이드가 가이드 레일(45)의 상부 단부에 도달하고, 대응하는 경계부 정지부와 접촉하는 것과 동시에, 모터의 전류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 과정은 사용자의 스위치 제어와는 별도로, 구동 모터로의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서, 그 자체가 공지된 감시 회로에 의해서 공지된 방식으로 평가된다. 이 구조는 공지된 방식으로, 추가적으로 역회전 방향에 대해서만 모터 전류의 재통전을 허용할 수 있다.
블라인드재(31)는 이제 완전히 풀렸으며, 연장부(53)는 상부 창틀 에지(26) 상에서 접촉하게 된다. 블라인드재(31)는 전체 창 표면의 전방에서 개방 고정된다.
가이드 레일(45)과 권취축(34)의 축선 사이의 각도가 90°가 되지 않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블라인드재(31)에는 장력이 발생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경계부 보강 스트립(44)이 연장부(53)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기 때문이다.
연장부(53)의 진동은, 하향으로 개구된 그루브(69)를 가지는 혹 형상의 포켓(69)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도어(7) 내측의 상부 단부 위치에 대응하여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를 풀어서 회피할 수 있다. 그루브(69)는 슬라이드(51)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점에서 상부 단부 위치 내의 연장부(43)를 팽팽하게 한다. 슬라이드(49)의 길이 방향 축선에 대한 연장부(53)의 흔들림 운동은 이에 의해서 확실하게 배제된다.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30)을 권취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전기 모터(55)를 대응하는 스위치를 대향하는 회전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설정한다. 스크류(58)와 결합하는 정면 기어 휠(54)은 가이드 레일(45)로부터 작동 부재(56)를 하향으로 되돌리며, 이에 의해서 슬라이드(49)에 대해서 작용하는 전진력이 감소된다. 이후에 스프링 모터(38)는 작동 부재(56)의 진행에 대응하여, 블라인드재(31)를 권취축(34) 상에 권취할 수 있게 된다.
구동 부재의 하부 단부 위치는 그 상부 단부 위치와 마찬가지로 작동되며, 대응하는 방식으로 정지된다.
명백한 바와 같이, 블라인드재(31)는 스프링 모터(38)의 작용에 의해서 팽팽하게 유지되며, 그 위치는 자동 정지 작동식 구동 모터(55)에 의해서 부여된다.
설명으로부터 도출되는 바와 같이, 스프링 드라이브(39) 또한 구동 모터(55)를 구동하여 권취축(34)과 확실하게 결합하게 하는 방식으로 구동 모터(55)와 함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한편으로 압력 스프링 또는 그와 같은 스프링에 의해서 작용을 받는 작동 부재(56)가 변위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드(51)는 권취가 풀리는 방향으로 예비 압축되어 있으며, 한편으로 블라인드재(31)는 권취축(38) 상의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서 권취된다.
최종적으로, 작동 부재(56)로서 한쪽 단부가 슬라이드(49)에 고정되고, 다른쪽 단부가 풀 스프링에 고정되는 케이블을 사용할 수도 있다. 풀 스트링은 유사하게 케이블을 거쳐서, 슬라이드(49)를 상향으로 당기게 되며, 이 경우에 이동은 권취축(35)과 구동 모터(55)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불가능해지거나 가능해진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30)는 단일 가이드 레일(45)을 구비하였다. 도 4에서는, 개념적으로,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30)에 가이드 레일이 없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권취축(34)은 이너 라이닝(14)의 후방에서, 하부 창틀 에지(24)의 아래에서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이 축에 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한쪽 에지에 의해서 블라인드재(31)가 고정되며, 도 3에서처럼 그 차단부가 도시되어 있다.
권취축(34)의 하부에는, 두 개의 슬라이드 가이드 블록(71)이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슬라이드 가이드 블록(71)으로부터, 압력 저항식 및 상대적인 굽힘 저항식의 실린더형 작동 부재(56a, 56b)가 상승하게 된다. 두 개의 작동 부재(56a, 56b)의 하부 단부는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설계되며, 이들은 가이드 블록(71)을 통해서 진행하여, 가이드 튜브(72)를 통해서 구동 모터(55)로 및 그 기어(62) 내로 연장하게 된다. 작동 부재(56)의 양자가 동일한 정면 기어 휠(64)에 의해서 구동되기 때문에, 이들은 반드시 동일한 속도 및 동일한 스트로크로 작동, 즉 서로에 대해서 정확하게 동기되어 작동하게 된다.
작동 부재(56b)는 격벽(19)의 전방에 위치한다.
작동 부재(56a, 56b)의 자유 단부는 보강 스트립(44)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동이 진행되면서, 구동 부재는 보강 스트립(44)을 상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는 권취축(34)에서의 스프링 모터의 작용에 반해서 권취축(34)으로부터 블라인드재를 풀어내게 된다.
슬라이드 가이드 블록(71)으로부터 돌출하는 작동 부재(56a, 56b) 부분은,한편으로는 가이드 튜브(72)의 궁형 경로를 따를 수 있지만, 블라인드재(31)의 보강 에지 스트립(44)을 유지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강성이 있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와이어이다.
작동 부재(56a, 56b)의 자유 단부는 에지 보강 스트립(44)에 분리가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에지 보강 부재(44)가 상대적으로 큰 곡률로 연장되어 있고 권취축(34) 상에 권취되지 않기 때문에, 권취축(34)은 하부 창 에지(24)에 대해서 수축된다. 부정합은 권취축(34)에 대해서 직각으로 위치하고, 블라인드재(31)의 평면 내에 위치하는 직선 상으로 에지 보강 스트립(44) 단부의 돌출 길이이다.
도 4에 따른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30)의 기능은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상술한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30)에서의 것과 유사하다. 단 하나의 차이점은, 에지 보강 스트립(44)이 작동 부재(56a, 56b)에 의해서 배타적으로 유지되고 안내된다는 점이다. 이들 작동 부재(56a, 56b)가 풀려진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은 명백하다.
이와 같으므로, 풀려진 상태에 있어서, 블라인드재의 상부 에지는, 도 3에서 도시된 것과 같고,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두 개의 수용 포켓(68)이 제공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심한 진동으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진동이 시작되지 않게 된다.
권취축(34) 상의 블라인드재(31)의 권취는, 예를 들어서, 권취축(34) 내에 수용되는 스프링 모터의 도움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발생한다.
블라인드재(31)의 상부 에지가 차창의 형태에 대응하여 심하게 휘어져 있는 경우에, 권취축(34)은 이에 대응하여 도어(7) 내의 상당히 아래쪽에 수용되어진다. 창의 하부 에지(24)로부터 권취축(34)까지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측정된다.
보강 스트립(44)의 단부를 블라인드재(31)의 평면 내에 위치하고 권취축(34) 상에 수직으로 위치하는 직선 상에 투사한다. 이때, 상기 직선 상에 표시된 간격이 측정값이 되고, 이에 의해서 권취축(34)은 창 에지(24)의 하부로 하강하게 된다.
이 거리가 너무 큰 경우에는, 권취축(34) 상의 블라인드재(31)의 권취가 사절두 원추형으로 될 가능성이 있는데, 즉, 각각의 보강 스트립(44)의 단부가 권취축(34)으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 있게 되는 블라인드재 에지는, 대향하여 위치하는 에지와 비교하여, 권취축(34)에서 더 큰 직경으로 권취되고, 여기에서, 보강 스트립(44)과 권취축(34) 사이의 거리가 더 짧아지게 된다. 두 개의 작동 부재(56a, 56b)는 서로 다른 거리를 포괄할 수 있어야 한다. 시작 위치로부터 진행하여, 동일한 시간 이후에는 상부 단부 위치에 도달해야 하는데, 이는 이들이 서로 다른 속도로 이동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속도는 서로에 대해서 고정된 일정한 관계를 나타낸다. 이는 기어 모터(55)가, 서로 다른 상대 속도에 적합하게 된 직경을 가진, 도 3에 따른 기어 휠(64)과 유사하게, 두 개의 작동 부재(56a, 56b)에 대해서 독립된 기어 휠을 수용하는 것으로 실현된다.
권취된 상태에 있어서, 최적으로 형성되면, 보강 스트립(44)의 단부는 제 때 동일한 지점에서 블라인드재(31)로부터 권취축(34) 상에 생성된 권취의 외주에 도달하게 되며, 이는 도 4에서 파선으로 도시한 보강 부재(44a)에 의해서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과 같다.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두 개의 가이드 레일(45a, 45b)을 구비한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30)에 대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45a, 45b)은 단면이 동일한 형태이며, 이는 도 3과 관련하여 완전하게 설명되었다. 가이드 레일(45a)은 전방 창틀 에지(25)의 경로에 대응하여 본질적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며, 한편으로 후면 가이드 레일(45b)은 가이드 레일(45a)을 향한 방향으로 큰 곡률로 정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외형은, 예를 들어서, 쿠페형 자동차에서 발생한다.
이들 두 개의 가이드 레일(45a, 45b) 사이에서 블라인드재(31)를 완전 무결하게 안내하기 위해서, 블라인드재(31)는 그 상부 에지(43)의 부근에 권취축(34)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가요성 튜브형 포켓(75)을 포함하고 있다. 이 포켓(45)을 통해서, 도 5에서 상세하게 도시한 경사 홀더(76)가 유도되며, 이 또한 가이드 레일(45)과의 상호 작용을 명백하게 한다.
경사 홀더(76)는 서로에 대해서 신축적으로 이동 가능한 두 개의 경사 홀더 부재(77, 78)를 포함하고 있다. 경사 홀더 부품(77)은 내부에서 경사 홀더 부재(78)가 길이 방향으로 안내되는 실린더형 튜브이다. 자유 단부에서 경사 홀더 부재(78)는, 자유 단부에 볼(81)을 유지하고 있는 실린더형 넥크(79)를 지나서 연장된다. 볼(81)은 그 직경이 가이드 레일(45b)의 가이드 그루브(46)의 완전한 내부 스페이스의 직경에 대응한다. 볼은 슬롯(48)을 통해서 돌출하지 못한다.
경사 홀더 부재(77)의 왼쪽 단부는 직선인 실린더형 가이드 슬라이드(83)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실린더형 핀(82) 상에 플러그 고정된다. 가이드 슬라이드(83)는 가이드 레일(45a)의 가이드 그루브(46)의 완전한 내부 스페이스에서 자유롭게 위치 변경이 가능하며, 핀(82)은 슬롯(48)을 통해서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두 개의 가이드 레일(45a, 45b)의 각각에 있어서, 각각 작동 부재(56a 또는 56b)가 연장되며, 그 직경은 각각의 슬롯(48)의 폭 보다 약간 더 크고, 이로써, 작동 부재(56b)는 가이드 레일(45b)의 경로를 뒤따르도록 강제되고, 슬롯(48)으로붙 돌출하는 것에 의해서 단축 경로를 취할 수 없게 된다.
권취축(34)와 그 지지부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다시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45b)의 경로가 궁형으로 휘어져 있기 때문에, 작동 부재(56b)의 이동 속도는 작동 부재(56a)의 이동 속도에 대해서 더 이상 일정한 관계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두 개의 작동 부재(56a, 56b)는 독립적인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며, 이 구조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45b)을 곡선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작동 부재(56b)를 구동하는 모터는 의도적인 방식으로 제어된다. 여기에서의 문제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제어되는 스텝 모터에 의한 것이다.
블라인드재(31)의 풀기에 대해서, 두 개의 모터가 작동 상태로 설정되며, 이에 따라서 각각의 가이드 레일(45a, 45b)에서 배치된 작동 부재(56a, 5b)를 향해 밀게 되며, 여기에서 이들은 한편으로는 슬라이드(83)와 결합하고, 또한 바로 인접한 볼(81)과도 결합하게 된다. 경사 홀더(76)는 권취축(34)에 대해서 평행하게 확실히 정렬되며, 권취축(34)으로부터 멀리 밀려나게 된다.
권취축(34)의 근방에 있어서, 두 개의 가이드 레일(45a, 45b)은 서로로부터 최대의 거리를 가지며, 이와 같은 이유로 해서, 경사 홀더(76)는 대응하여 길이로 연장되며, 튜브형 포켓(75)으로붙 돌출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블라인드재(31)는 배출된 단부 위치에 접근하게 되고, 더 가까워짐에 따라서 후방 에지(42)는 가이드 레일(45b)에 접근하게 된다. 경사 홀더(76)는 이에 대응하여 단축된다. 단부 위치에 있어서, 블라인드재(31)는 가이드 레일(45a, 45b) 사이의 공간을 완전하게 충전하게 되며, 따라서 완전하게 문제의 창에 그늘을 지우게 된다.
경사 홀더(76)가 여전히 기술적으로 유용한 길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블라인드재(31)가 완전하게 연장되었다고 할지라도, 도시한 바와 같이, 포켓(75)은 상부 에지(43)에 대해서 짧은 거리에 걸쳐서 신축되어진다. 튜브형 포켓(75) 위쪽의 스페이스는 대응하는 블라인드재(31)의 강성 몰드부에 의해서 충전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술한 바와 같이, 권취축은 하부 창 에지(24)에 대해서 신축, 즉, 상부 에지(43)로부터 튜브형 포켓(75)이 분리되는 거리만큼 신축될 수 있으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경사 홀더(56)의 단부를 가이드 레일(45a, 45b)로부터 하향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 5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축(34)은 하부 창 에지에 대해서 평행하게 연장되며, 도 7은 권취축(34)이 수직으로 정렬되어, 결과적으로 권취축(34)이 B 컬럼(3)에 대해서 평행하게 위치하게 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마찬가지로, 두 개의 가이드 레일(45a, 45b)이 사용된다. 가이드 레일(45a)은 하부 창 에지(24)에 대해서 평행하게 연장되며, 한편으로 상부 가이드레일(45b)은 상부 창 에지(26)의 경로를 따르거나, 각각, 후방 창 에지(23)의 일부를 따른다. 상부 가이드 레일(45b)의 단면 형상은 도 3에 따른 가이드 레일(45)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며, 한편으로 하부 가이드 레일(45a)은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인 후면 파지 그루브(85, 86)를 가지고 있다. 그루브(85, 86)는, 각각, 연속적인 그루브 슬롯(87 또는 88)의 위쪽에서 상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그렇지 않다면, 가이드 그루브(45a)와는 아무런 차이가 없게 된다.
경사 홀더(76)는, 볼(81)과 유사한 실린더형 가이드 슬라이드(83) 대신에 볼(89)이 사용되었다는 측면에서 도 5에 따른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30)에 대한 도 6에 따른 경사 홀더(76)와 다르다. 경사 홀더(76) 용의 수용 포켓(75)은 다시 권취축(34)에 대해서 평행하게 위치하며, 따라서 블라인드재(31)의 후방 에지(42)로부터 멀어져서 위치하여 있다. 블라인드재(31)의 후방 에지(42) 상에는, 가이드 슬라이드(93)의 방사 방향으로 지지하는 암으로서 구축된 경사 홀더(92)가 내부에 삽입되는 추가적인 튜브형 포켓(91)이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 슬라이드(93)는 그루브(85) 내로 연장되며, 한편으로 볼(89)은 그루브(86)를 통해서 활주하게 된다.
블라인드재(31)의 이동에 대해서는, 그루브(85) 내에서 연장되고, 슬라이드(43)와 협동하는 단지 하나의 작동 부재(56) 만이 도시되어 있다. 블라인드재(31)의 이동에 대해서, 구동 모터는 작동으로 설정되고, 구동 부재는 차량의 후방으로 향핸 방향으로 그루브(85) 내에서 진행하게 된다. 이곳에서 슬라이드(83)는 블라인드재(31)의 후방 에지를 따라서 및 걸쳐서 유지된다.
휴지 상태에 있어서, 블라인드재(31)는 권취축(34) 상에 거의 완전하게 권취된다. 또한, 경사 홀더(76)를 구비한 포켓(75)은 권취된 볼 내에 도시되어 있으며, 슬라이드(93) 만이 가이드 그루브(85) 내에 유지된다.
슬라이드(93)가 상응하여 멀리 전진하게 되고, 경사 홀더가 권취축(34)으로부터 이탈하게 됨에 따라서, 나사 구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경사 홀더(76)의 두 개의 단부 상에 위치한 볼(81, 89)은 각각 가이드 그루브(86, 46) 내로 나사 결합된다.
두 가지의 경우에 있어서, 경사 홀더(76)는, 경사 홀더(76)에 대해서 직각으로 또는 경사지게 연장되는 블라인드재(31)의 두 개의 에지의 적절한 안정화에 기여하게 된다.
블라인드재 에지의 다른 형태의 보강은 도 9에 도시된다. 이 실시예는, 단지 가이드 레일(45a)이 있다는 것만 제한하면 도 5에 따른 실시예와 유사하다. 권취축(34)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블라인드재(41 또는 42)는 외형을 따르는 튜브형 포켓(95)과 함께 대응하는 구간을 덮게 된다. 왼쪽 상부 단부에는, 튜브형 포켓(95)과 정렬되어 있는 내부 스페이스(97)를 포함하는 강성 형태의 외형부(96) 내로 튜브형 포켓(95)이 연장된다. 블라인드재(31)의 안내되지 않은 에지의 안정화를 위해서, 탄성적으로 가요성이 있는 플라스틱 와이어(98)가 제공되며, 플라스틱 와이어는 창의 상부 단부에 대해서 가이드 레일(45)의 측면에 고정되며, 즉, 이와 같은 방식으로의 고정에 의해서 가이드 레일(45)에 대해서 평행하게 연장되어진다. 개구(99)를 통해서, 플라스틱 와이어(98)는 몰드 부품(97) 내로 유도되고, 이곳으로부터 튜브형 포켓(95) 내로 유도된다.
블라인드재(31)의 권취와 풀기에 대해서, 플라스틱 와이어는 선도 부재로 기능하는 몰드 부품(97)을 거쳐서 포켓(95) 내로 활주하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응하는 영역에서의 경계부를 안정화한다. 배출된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30)를 사용하게 되면, 대응하는 영역의 탄성 와이어는 가이드 레일(45)에 대해서 평행하게 위치하고, 한편으로 짧은쪽 단부는 이전과 마찬가지로 유지되어, 형태부(96) 내 뿐만 아니라 튜브형 포켓 내에 위치한다.
도 10에 있어서, 도 3에 따른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30)와 매우 유사한 구조를 가진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30)가 도시되어 있다. 본질적인 차이점은, 하향으로 개구된 U 자형 스트립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경계부 보강 스트립(44)에 있다. 스트립(44) 내에는, 연장부(53)가 자유 단부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는 롤러(101)가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단지, 도 2 및 도 3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연장부(53)에 대해서 평행한 경계부 보강 스트립(44)의 변위가 보상될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각 변화도 보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 변화는, 문제의 창틀 에지의 경로 때문에 가이드 레일(46)이 직선으로 연장되지 않고 휘어져 있을 때 상승하게 되며, 또한 이와 같은 이유로 해서, 가이드 레일(45) 내의 슬라이드(49)는, 위치에 따라서, 영(0)과는 다르고, 상대적인 블라인드재(31)의 이동에서 점진적으로 변경되는 권취축(34)과의 각도를 포함하는 방향으로 연장부(53) 상에 위치하게 된다.
롤러(101)가 경계부 보강 스트립(44) 상에 장착되어 있고, 한편으로연장부(53)가 상향으로 개구된 U 자형 프로파일을 가지는 한은 운동학적인 역전 또한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개시된 특징을 어떻게 조합하느냐에 따라서, 설계자는 자신의 선택에 따라서 및 창의 크기, 창의 비례 및 창의 형상과 같은 가능한 경계부 조건에 따라서 측면 라이닝 또는 도어 내측에서의 스페이스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는 포 도어 승용차 내의 후방측 도어의 내부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어서는 안된다는 것도 명백하다. 본 발명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는, 차체의 후방 내측 라이닝의 뒤쪽에 또는 B 컬럼의 라이닝의 뒤쪽에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투 도어 차체에도 직접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운전자쪽 도어 또는 동승자의 도어측에도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를 일체화할 수 있다. 단순히, 실시예의 숫자를 합리적인 수준으로 제한하기 위해서, 후방 승객에 대한 차량 후방 도어와 관련한 변형예만 배타적으로 설명하였다.
자동차용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는, 유리하게는 도어 또는 B 컬럼의 측면 라이닝의 뒤쪽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는 권취축을 가진다. 도어 내의 슬롯을 통해서, 창을 덮는 블라인드재를 배출할 수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 가장 큰 거리를 덮은 블라인드재의 에지 상에 구동 부재가 결합된다. 구동 부재는, 실시예에 따라서, 당김에 저항이 있거나 압력에 저항이 있는 선형 부재이다. 블라인드재 자체는 최소한 하나의 가이드 레일, 또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압력 저항, 또는 굽힘 저항 구동 부재의 도움으로 창 측면에서 장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0)

  1.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부 창틀 에지(24) 및 대략 수직으로 연장하는 최소한 하나의 측면 방향 창틀 에지(25)에 의해서 한정되는 최소한 하나의 측면창(18)을 가지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30)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는 권취축(34)과,
    최소한 하나의 길이 방향 연장부가 측면창(18)의 형상과 최소한 대략 일치하고, 권취축(34)에 고정되는 일부 뿐만 아니라 권취축(34)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위치하는 부분(43)을 형성하는 순환 블라인드 경계부를 가지는 블라인드재(31)와,
    권취축(34)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위치하는 블라인드재 경계부의 일부(43)에 연결되는 최소한 하나의 작동 수단(56), 및
    블라인드재를 동력 작동식으로 권취하고 풀기 위한 구동 수단(34, 55)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2. 제 1 항에 있어서, 대략 수직으로 연장하는 권취축(34)은 상기 창(18)의 측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3. 제 1 항에 있어서,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권취축(34)은 상기 창(18)의 하부에 배치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4. 제 1 항에 있어서, 블라인드재(31)가 권취축(34) 상에서 사절두 원추형 권취를 형성하는 수단이 권취축(34)에 대해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가이드 레일(45)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6. 제 1 항에 있어서, 두 개의 가이드 레일(45a, 45b)은 그 길이의 최소한 일부가 서로에 대해서 최소한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7. 제 4 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가이드 레일(45)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8. 제 4 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가이드 레일(45)은 하부 창틀 에지(24)에 대해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9. 제 1 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가이드 레일(45)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10. 제 1 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가이드 레일(45)은 측면 방향 창틀 에지(25)에 대해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11.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로부터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12. 제 1 항에 있어서, 블라인드재는 최소한 권취축(34)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위치하는 일부(43) 내에서 경계부 보강 부재(44, 98)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13. 제 12 항에 있어서, 경계부 보강 부재(98)는 가요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14. 제 1 항에 있어서, 경계부 보강 부재(98)는 최소한 개방 고정된 블라인드재(31)에 의해서 형성되는 평면 내에서 굽힘에 대한 저항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15. 제 12 항에 있어서, 경계부 보강 부재(44)의 최소한 일부는 풀 로드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16. 제 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권취축(34)은 권취 방향으로 블라인드재(34)의 일부의 연장에 대응하는 양만큼 하부 창틀 에지(24)에 대해서, 유리하게는 권취 방향에 대해서 평행한 직선 상으로 경계부 보강 부재(44)의 일부의 돌출부에 대해서, 물러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17. 제 4 항에 있어서, 블라인드재(34)는 최소한 하나의 가이드 레일(45) 내의 단부측 상에서 안내되는 최소한 하나의 경사 홀더(76)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경사 홀더(76)는 가이드 레일(45a, 45b) 내의 양쪽 단부 상에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19. 제 17 항에 있어서, 경사 홀더(76)는 길이에 있어서 신축적으로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20. 제 4 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가이드 레일(45) 내에는, 연결 수단의 위에서 블라인드재의 경계부의 일부(43)가 연결되는, 연장부(53)에 고정되는 슬라이드(49)가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21.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 수단은 서로의 내부로 활주 가능한 두 개의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22.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 수단은 그곳에서 안내되고 연장되는 레일(44)과 롤러(1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23. 제 20 항에 있어서, 블라인드의 경계부의 일부(43)는 연장부(53)와 함께 길이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24. 제 1 항에 있어서, 작동 수단(56)에 대해서, 유리하게는 슬리브(57a) 내의 압력에 대해서 저항하면서 안내되는 최소한 하나의 선형 압력 부재(47)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25. 제 1 항에 있어서, 작동 수단(56)에 대해서, 자유 단부가 블라인드의 경계부에 연결되고 고정 가이드 부재(71)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안내되는 최소한 하나의 굽힘 저항 로드(57)를 포함하며, 이 구조에 있어서 이동 방향은 권취축(34)의 축선에 대해서 본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로드(57)는 선형 압력 부재(57)에 결합되어 있거나 이들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27. 제 22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선형 압력 부재(57)는 슬라이드(49)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28. 제 17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선형 압력 부재(57)는 경사 홀더(76)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29. 제 24 항에 있어서, 선형 압력 부재(57)는 최소한 한쪽 단부에 전동 장치(58)를 구비하며, 이 장치에 의해서 선형 압력 부재(57)가 구동 모터(55)의 기어 휠(64)과 확실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30. 제 1 항에 있어서, 작동 수단(56)에 대해서, 최소한 하나의 케이블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31. 제 1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케이블 또는 압력 부재는 서로 다른 속도로 구동되고, 속도 관계는 진행에 따라서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32.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 수단(39, 55)에 대해서, 스프링(39)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33. 제 32 항에 있어서, 스프링 모터 형태의 스프링(39)은 권취축(34)에 결합되고, 권취축(34)을 블라인드재(31)의 권취 방향으로 예비 응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34. 제 32 항에 있어서, 스프링(39)은 작동 수단(56)을 거쳐서 블라인드재(31)에 결합되고, 권취축(34)으로부터 풀리는 방향으로 블라인드재(31)를 예비 응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35.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 수단(39, 55)에 대해서, 최소한 하나의 기어 모터(55)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36. 제 35 항에 있어서, 기어 모터(55)는 권취축(34)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37. 제 35 항에 있어서, 기어 모터(55)는 작동 수단(56)을 거쳐서 블라인드재(3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38. 제 1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작동 수단이 있는 경우에, 기어 모터는 서로 다른 속도로 각각의 작동 수단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39. 제 35 항에 있어서, 구동 수단(39, 55)에 대해서, 서로 다른 속도로 상기 수단(56)을 구동하는 두 개의 제어된 모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40. 제 38 항에 있어서, 모터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제어식 스텝 모터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KR1020010006106A 2000-02-09 2001-02-08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KR1007449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05970.8 2000-02-09
DE10005970A DE10005970A1 (de) 2000-02-09 2000-02-09 Seitenfensterroll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792A true KR20010078792A (ko) 2001-08-21
KR100744958B1 KR100744958B1 (ko) 2007-08-02

Family

ID=7630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6106A KR100744958B1 (ko) 2000-02-09 2001-02-08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10022218A1 (ko)
EP (5) EP1468853B1 (ko)
JP (1) JP2001239829A (ko)
KR (1) KR100744958B1 (ko)
DE (5) DE1000597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510B1 (ko) * 2005-10-24 2007-04-27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래치의 스위치
KR100876847B1 (ko) * 2001-10-24 2008-12-31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차량용 분할 차창 차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20212B4 (de) * 2000-04-25 2004-02-19 Bos Gmbh & Co. Kg Seitenfensterrollo mit Schlitzabdeckung
DE10057760B4 (de) * 2000-11-22 2004-08-12 Bos Gmbh & Co. Kg Fensterrollo mit Zentriereinrichtung für den Zugstab
JP2003063244A (ja) * 2001-08-23 2003-03-05 Araco Corp 窓ガラス及びサンシェードの開閉装置
ES2296867T3 (es) 2001-11-30 2008-05-01 Adam Opel Ag Persiana enrollable de ventana, en especial para utilizarse en un vehiculo de motor.
DE10220947B4 (de) * 2002-04-29 2013-04-1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Sonnenschutzrollo für Fenster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10245901A1 (de) * 2002-09-30 2004-04-08 Schwab Technik Gmbh Rolloanordnung für Fahrzeugscheiben
FR2851198B1 (fr) * 2003-02-13 2005-05-27 Wagon Automotive Snc Joint de finition pour rail de store de vehicule automobile, ensemble de store et vehicule correspondants
DE10318439A1 (de) * 2003-04-15 2004-11-0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Sonnenschutzrollo für Fenster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10319294C5 (de) * 2003-04-29 2012-11-22 Lisa Dräxlmaier GmbH Sonnenblende für ein vorderes Seitenfenster in einem Kraftfahrzeug
US20040219790A1 (en) * 2003-04-30 2004-11-04 Wilson Aaron R Etching methods, RIE methods, and methods of increasing the stability of photoresist during RIE
DE10353778A1 (de) * 2003-11-18 2005-06-23 Bos Gmbh & Co. Kg Fahrzeugrollo mit vereinfachter Ankoppelung der Führungsschienen
DE10354233A1 (de) * 2003-11-19 2005-06-30 Bos Gmbh & Co. Kg Seitenfensterrollo mit Konturteil
DE202004000336U1 (de) * 2004-01-12 2004-03-18 Hs Products Engineering Gmbh Vorrichtung zur Übertragung einer rotatorischen Antriebskraft auf ein im wesentlichen geradlinig bewegtes Bauteil
WO2005080196A1 (en) * 2004-02-20 2005-09-01 Leadearn Investments Limited An aircraft cabin
DE102004009874A1 (de) 2004-02-26 2005-09-1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Vorrichtung zum Verstellen verstellbarer Bauteile einer Kraftfahrzeugtür
DE102004009482B4 (de) * 2004-02-27 2008-04-03 Bos Gmbh & Co. Kg Führungsloses Fensterrollo mit verbesserten Gleitern
DE102004013451A1 (de) * 2004-03-11 2005-09-2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ensterrollo für eine Kraftfahrzeugtür
JP2005319958A (ja) * 2004-05-11 2005-11-17 Toyota Boshoku Corp 車両窓用ロールブラインド
DE202004014652U1 (de) * 2004-09-14 2006-03-0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ahrzeugtür mit einem Fensterheber
DE102004060208A1 (de) 2004-12-14 2006-06-22 Hs Products Engineering Gmbh Seitenfensterrollo für Kraftfahrzeuge
DE202004019844U1 (de) 2004-12-17 2006-04-2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ensterrollo für ein Fahrzeugfenster
DE102005006102B4 (de) * 2005-02-10 2011-02-17 Audi Ag System aus einem Auszugsschacht und einem Rollo
DE102005023967B4 (de) * 2005-05-20 2007-04-19 Bos Gmbh & Co. Kg Fensterrollo mit längsverstellbarer Wickelwelle
JP4560442B2 (ja) * 2005-05-23 2010-10-1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開閉装置
FR2888168B1 (fr) * 2005-07-08 2010-12-1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are-soleil motorise
US20070068638A1 (en) * 2005-09-28 2007-03-29 Puskarz Mitchell M Anti-wind buffeting device for an automobile
US7401840B2 (en) * 2006-05-09 2008-07-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Window shade
DE102006023370A1 (de) * 2006-05-16 2007-11-2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Rollo für Fenster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202006011248U1 (de) * 2006-07-19 2006-09-2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ensterrolloanordnung für Kraftfahrzeuge sowie Fahrzeugtür
DE102006037594A1 (de) 2006-08-10 2008-02-14 Bos Gmbh & Co. Kg Fensterrollo mit Antrieb über den Fensterheber
DE102006047348A1 (de) * 2006-09-29 2008-04-0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Antriebsvorrichtung zum Bewegen eines Abdeckelementes, Türbaugruppe und Verfahren zur Montage der Antriebsvorrichtung
JP5412285B2 (ja) 2006-09-29 2014-02-12 ブローズ ファールツォイクタイレ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シーオー. カーゲー, コブルク 車両用ブラインド
DE102007004665B4 (de) * 2007-01-25 2011-06-30 BOS GmbH & Co. KG, 73760 Fensterrollo mit Antrieb über den Fensterhebermotor
DE202007002959U1 (de) * 2007-02-28 2007-04-19 Hs Products Engineering Gmbh Fahrzeugfensterrollo
DE102007012281A1 (de) 2007-03-09 2008-09-11 Bos Gmbh & Co. Kg Automatisch betätigbares Seitenfensterrollo
DE102007012259A1 (de) * 2007-03-12 2008-09-18 Bos Gmbh & Co. Kg Sonnenschutzrollo für Kraftfahrzeuge
DE102007012978A1 (de) 2007-03-14 2008-09-18 Bos Gmbh & Co. Kg Seitenfensterrollo mit Seilantrieb
DE202007004175U1 (de) 2007-03-19 2008-07-3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Fahrzeugrollo
DE202007015434U1 (de) * 2007-03-21 2008-02-07 Bos Gmbh & Co. Kg Seitenfensterrollo mit anscharniertem Zugstab und rechteckigem Tragstab
DE102007016154A1 (de) * 2007-03-21 2008-09-25 Bos Gmbh & Co. Kg Seitenfensterrollo mit anscharniertem Zugstab und rechteckigem Tragstab
DE102007015575A1 (de) 2007-03-28 2008-10-2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Fahrzeugrollo
DE202007005160U1 (de) 2007-04-03 2008-08-1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Fahrzeugrollo
FR2915430B1 (fr) * 2007-04-25 2010-08-27 Wagon Sas Store pour vehicule automobile, notamment pour vitre de portiere, et vehicule automobile correspondant
DE102007027158B4 (de) 2007-06-13 2010-06-24 Lisa Dräxlmaier GmbH Seitenfensterrollo für Kraftfahrzeuge
DE102007035072B4 (de) 2007-07-26 2010-04-22 Lisa Dräxlmaier GmbH Rollo für ein Kraftfahrzeugseitenfenster mit Fensterteilungssteg
DE202007013762U1 (de) 2007-07-31 2008-12-1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Fensterrollo für ein Fahrzeugfenster
DE202007010867U1 (de) 2007-08-03 2008-12-1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Vorrichtung zum Abdecken eines Öffnungsbereichs eines Kraftfahrzeugs
DE202007012954U1 (de) 2007-09-14 2009-02-0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Sonnenrollomechanismus
DE102008022721A1 (de) 2008-05-06 2009-11-1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Sonnenschutzeinrichtung für die Frontscheibe eines Kraftfahrzeugs
DE102008025741A1 (de) * 2008-05-29 2009-12-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Sonnenbeschattungseinrichtung für Seiten- oder Heckfenster
KR100930948B1 (ko) 2008-07-21 2009-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
DE202008016001U1 (de) 2008-11-28 2010-04-0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Vorrichtung zum Verstellen der Rollobahn eines Fensterrollos für Kraftfahrzeuge
KR101189411B1 (ko) * 2010-08-25 2012-10-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동 커튼 장치
JP2012240500A (ja) * 2011-05-17 2012-12-10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ロールシェード装置
DE102012024332A1 (de) * 2012-12-13 2014-06-1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triebselement zum Betreiben eines Verschiebeteils und Fahrzeug mit zumindest einem derartigen Antriebselement
EP2857241B8 (de) 2013-10-07 2020-09-09 Magna Car Top Systems GmbH Sonnenschutzrollo aus flexiblem Material für Fahrzeugdach
DE102014001991A1 (de) 2014-02-17 2015-08-20 Macauto Industrial Co., Ltd. Verschattungseinrichtung für Luft-, Wasser- und Landfahrzeuge
TWI634999B (zh) * 2014-09-24 2018-09-11 陳英文 Sunshade device for sunshade
JP6629049B2 (ja) * 2015-11-18 2020-01-15 芦森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ェード装置
US10661638B2 (en) * 2016-06-24 2020-05-26 Macauto Industrial Co., Ltd Shade arrangement for vehicle
DE102016111658B4 (de) * 2016-06-24 2022-07-21 Macauto Industrial Co., Ltd. Ver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JP6486873B2 (ja) * 2016-09-05 2019-03-20 日立建機株式会社 ロールスクリーン
US9909363B1 (en) * 2017-02-28 2018-03-06 David R. Hall Window blind with pressure sensor which activates light and sound in sequence
CN107650636A (zh) * 2017-09-26 2018-02-02 安徽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轿车用窗口遮阳器
DE102017218324B4 (de) * 2017-10-13 2021-10-07 Bos Gmbh & Co. Kg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s
KR102055635B1 (ko) * 2018-04-25 2020-01-22 안충길 차량용 도어 보호장치
CN109649426B (zh) * 2018-11-21 2020-06-02 中车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动车组可拆卸式挂帘机构
DE102019131534A1 (de) * 2019-11-21 2021-05-27 Lisa Dräxlmaier GmbH Sonnenschutzrollo mit Längenausgleich gegen Verzug
KR20220006886A (ko) * 2020-07-09 2022-0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동커튼 장치
DE102020124342A1 (de) 2020-09-18 2022-03-2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onnenschutzvorrichtung für eine Scheibe eines Kraft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0747C (ko)
DE3226400A1 (de) * 1982-07-15 1984-01-19 Baumeister & Ostler, 7307 Aichwald Fensterrollo,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DE3532013A1 (de) * 1985-09-07 1987-03-19 Hueppe Gmbh Rollanordnung zum abschirmen eines fensters, insbesondere der heckscheibe eines kraftfahrzeuges
DE3608927A1 (de) * 1986-03-18 1987-09-24 Ieper Ind Nv Blendschutzeinrichtung fuer ein fahrzeug
DE3612165A1 (de) * 1986-04-11 1987-10-22 Baumeister & Ostler Fuehrungsloses fensterrollo,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JPH0478628A (ja) * 1990-05-23 1992-03-12 Nhk Spring Co Ltd シート状物巻取装置
JP3289223B2 (ja) 1991-05-23 2002-06-04 日本発条株式会社 遮蔽装置
DE4241138C2 (de) 1992-12-07 1995-07-20 Baumeister & Ostler Gmbh Co Sonnenschutzrollo für Kraftfahrzeuge
US5379822A (en) * 1993-06-09 1995-01-10 Lenetz; Arlene Adjustable automotive side window shade
DE4320467C1 (de) * 1993-06-21 1994-12-15 Daimler Benz Ag Befestigungsanordnung eines Rollos zum Abschirmen von Fahrzeugfenstern
FR2723140B1 (fr) * 1994-07-29 1996-12-06 Farnier Et Penin Snc Store a enrouleur
DE9416744U1 (de) * 1994-10-18 1995-05-04 Neumann Alfred Front/Heckscheiben Sonnenschutz-Rolle für PKW innen (mit elektrischer Ein- und Ausschalt-Funktion)
GB2297529A (en) * 1995-02-01 1996-08-07 Philip Rooney Roller blind sun visor for vehicle side window
KR0157788B1 (ko) * 1995-12-29 1998-10-15 김태구 차량의 선 블라인드 장치
US5810065A (en) * 1997-04-02 1998-09-22 Flexso S.R.L. Roller curtain for windows of moving vehicles
JPH1113365A (ja) * 1997-04-30 1999-01-19 Kuwano Kogyo Kk ブラインド装置
FR2774947B1 (fr) * 1998-02-17 2000-04-14 Wagon Automotive Portiere de vehicule a store integre, et store correspondant
DE19728908A1 (de) * 1997-07-07 1999-01-14 Volkswagen Ag Sonnenschutzeinrichtung für ein Fahrzeugfenster
KR19990019143A (ko) * 1997-08-29 1999-03-15 양재신 도어 내장용 블라인드
DE29720381U1 (de) * 1997-11-18 1999-03-18 Hueppe Form Sonnenschutzsystem Rollo, insbesondere für Seitenfenster von Kraftfahrzeugen
DE19803129B4 (de) * 1998-01-28 2005-07-07 Bos Gmbh & Co. Kg Sonnenrollo für Kraftfahrzeug-Heckfenster
US6047762A (en) * 1998-03-20 2000-04-11 Prince Corporation Shade control for a vehicle window
DE19826537B4 (de) * 1998-06-15 2007-06-2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Durch einen mechanischen Antrieb verlagerbares Rollo
DE29900548U1 (de) * 1999-01-15 1999-04-01 Lin Paul Sonnenschutzvorrichtung
DE29900648U1 (de) 1999-01-19 1999-04-29 Witten Dieter Selbstreinigendes Handtuch, besonders zum Reinigen von Golfschlägern
DE10005951A1 (de) * 2000-02-09 2001-08-16 Bos Gmbh Heckfensterroll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847B1 (ko) * 2001-10-24 2008-12-31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차량용 분할 차창 차양장치
KR100711510B1 (ko) * 2005-10-24 2007-04-27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래치의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93940B1 (de) 2006-08-09
DE50115816D1 (de) 2011-04-21
EP1123824B1 (de) 2004-09-29
KR100744958B1 (ko) 2007-08-02
DE50103816D1 (de) 2004-11-04
EP1800923B1 (de) 2013-06-19
JP2001239829A (ja) 2001-09-04
EP1468853A2 (de) 2004-10-20
US20010022218A1 (en) 2001-09-20
EP1393940A1 (de) 2004-03-03
EP1468854A3 (de) 2006-04-19
EP1800923A2 (de) 2007-06-27
EP1468853B1 (de) 2011-03-09
EP1123824A2 (de) 2001-08-16
DE50115775D1 (de) 2011-02-24
EP1468854B1 (de) 2011-01-12
EP1468854A2 (de) 2004-10-20
DE50110727D1 (de) 2006-09-21
EP1468853A3 (de) 2006-04-05
EP1123824A3 (de) 2002-12-04
DE10005970A1 (de) 2001-08-23
EP1800923A3 (de) 200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78792A (ko)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US20010017194A1 (en) Rear window roll-up blind
KR100797380B1 (ko) 슬롯 덮개를 구비한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JP4503978B2 (ja) 自動車用ウィンドウシェード
US7537039B2 (en) Window blind driven by a window lifter
JP4259935B2 (ja) 持ち上げカセットを有する後部ウィンドウシェード
JP4639072B2 (ja) 自動車用側部ウィンドウシェード
US6848493B1 (en) Window shade with bi-directionally operating actuating elements
KR100876847B1 (ko) 차량용 분할 차창 차양장치
KR20080028781A (ko) 스프링 모터와 저감된 구동력을 갖는 롤업 차양 구동부
US20080034667A1 (en) Manual window blind with automatic retraction
KR20090049991A (ko) 구동 포크에서 마찰력이 감소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JP3840350B2 (ja) 車輌用開口部の遮蔽装置
US20080315615A1 (en) Electric side-window roll-up shade
JP4694170B2 (ja) 自動車用ウィンドウシェード
CN218780190U (zh) 用于升高和降低车辆窗口的窗口调节器
KR100465964B1 (ko) 자동차 도어와 루프 및 윈도우의 자동개폐장치
KR100472233B1 (ko)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
JPH05280245A (ja) ウインドレギュレ−タ装置
JPH08268055A (ja) 車両用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1129

Effective date: 2013020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7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379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703

Effective date: 2016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