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948B1 -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948B1
KR100930948B1 KR1020080070444A KR20080070444A KR100930948B1 KR 100930948 B1 KR100930948 B1 KR 100930948B1 KR 1020080070444 A KR1020080070444 A KR 1020080070444A KR 20080070444 A KR20080070444 A KR 20080070444A KR 100930948 B1 KR100930948 B1 KR 100930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ember
vehicle
vertical bar
sun viso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0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9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60J3/0234Mounted slida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60J3/0234Mounted slidably
    • B60J3/0243Mounted slidably sliding out from ce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내부의 A필라(1) 측에 장착되는 상단브래킷(100a) 및 하단브래킷(100b)과; 상기 상단브래킷(100a)과 하단브래킷(100b) 사이에 삽입되는 수직바(200)와; 상기 수직바(200) 중단에 삽입 장착되어 상기 수직바(200)를 따라 이동 및 정지가 가능하게 하는 컨트롤부재(300)와; 상기 컨트롤부재(300)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평바(400)와; 상기 수평바(400)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린부재(500)로 구성되어, 선바이저 사용시 발생되는 운전자의 시계성 불량을 해소하고, 사용자의 조작편의를 증대시켜 안전성을 높이는 동시에 차량의 전면에서 들어오는 빛뿐만 아니라 시간이 흐름에 따라 측면에서 들어오는 빛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선바이저, 직사광선, 윈드실드글래스, 차광

Description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Device of sun visi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방시야를 확보하여 운전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차량의 전면 윈드실드글래스에서 들어오는 직사광선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라서는 측면 윈드실드글래스를 통해 유입되는 직사광선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시계 확보를 위하여 윈드실드글래스가 전면, 측면, 후면에 장착되는데 상기 윈드실드글래스를 통한 외부 직사광선의 유입으로 인하여 눈이 부시게 되어 운전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렵게 되기도 한다.
따라서, 윈드실드글래스로부터 유입되는 직사광선을 차단할 목적으로 차량의 실내 전면에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전방을 주시할 때 직사광선에 의한 시야확보 어려움을 차단하기 위하여 차광 수단인 선바이저를 설치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를 도시하는 도이다.
종래의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면 윈드실드글래스에 설치된 가이드(10)와, 상기 가이드(10)의 상부에 연결된 고정바(20)와, 상기 고정바(20)에 설치된 차광막(30)과, 상기 차광막(30)의 상승과 하강을 조절하는 작동레버(4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차량용 선바이저는 운전자가 전면의 윈드실드글래스를 통해 유입되는 직사광선을 차단하기 위해 작동레버(40)를 당겨 차광막(30)을 하방으로 내리게 되면 상기 차광막(30)이 가이드(10)를 따라 내려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유입되는 직사광선을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선바이저는 전면 윈드실드글래스로부터 유입되는 직사광선은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지만 차광막의 측면 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측면 윈드실드글래스로부터 유입되는 직사광선에 대해서는 차단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전면 윈드실드글래스에서 들어오는 직사광선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라서는 측면 윈드실드글래스로부터 조사되는 직사광선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A필라 측에 장착되는 상단브래킷 및 하단브래킷과; 상기 상단브래킷과 하단브래킷 사이에 삽입되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 중단에 삽입 장착되어 상기 수직바를 따라 이동 및 정지가 가능하게 하는 컨트롤부재와; 상기 컨트롤부재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린부재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선바이저 사용시 발생되는 운전자의 시계성 불량을 해소하고, 사용자의 조작편의를 증대시켜 안전성을 높이는 동시에 차량의 전면에서 들어오는 빛뿐만 아니라 시간이 흐름에 따라 측면에서 들어오는 빛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에 대한 스크린부재 및 수평바의 회전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면 윈드실드글래스 또는 측면 윈드실드글래스로부터 조사되는 직사광선을 차단하기 위해 차량 내부에 장착된 스크린부재(500)를 전면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측면으로 회전시켜 운전자의 시야확보를 통해 안전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상품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에 대한 각 구성요소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브래킷(100a)은 차량 내부의 A필라(1) 상측에 장착되며, 하단브래킷(100b)은 A필라(1) 하측에 장착된다.
여기서, 필라(Pillar)는 차체와 루프 사이에 장착된 기둥을 말하는 것으로, A필라(1)는 차량의 전면 윈드실드글래스와 프런트 도어 사이에 설치된다.
한편, 상단브래킷(100a) 및 하단브래킷(100b)에는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이하 기술하게 될 수직바(20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수직바(200)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브래킷(100a)과 하단브래킷(100b) 사이에 삽입된다.
컨트롤부재(300)는 수직바(200) 중단에 삽입 장착되어 상기 수직바(200)를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높이에서 정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수직바(200)가 삽입된 컨트롤부재(300) 일측에는 보조수직바(220)가 추가로 삽입 고정되어 상기 컨트롤부재(300)가 수직바(200)를 따라 이동하게 될 때 발생하는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수직바(200)와 보조수직바(220)는 컨트롤부재(300)로부터 모두 관통 삽입되는데, 상기 컨트롤부재(300)의 삽입부에는 볼베어링(320a, 320b)이 각각 장착되어 상기 컨트롤부재(300)와 수직바(200), 상기 컨트롤부재(300)와 보조수직바(220)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컨트롤부재(300) 내부에는 기어수단(310)이 구비되며 수직바(200)의 일측면에는 기어치(210)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기어수단(310)과 상기 기어치(210)가 대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컨트롤부재(300)가 상기 수직바(20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거나 상기 수직바(200)의 일정부분에서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수직바(200)를 따라 컨트롤부재(300)의 이동 및 정지가 가능하게 하는 기어수단(310)은 기어부(311)와, 탄성체(312)와, 컨트롤레버(313)로 이루어지며, 상기 컨트롤부재(300)의 이동거리는 150mm 정도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어부(311)는 기어형상으로 이루어져 컨트롤부재(30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기어부(311)의 일측은 수직바(200)의 기어치(210)에 결합되어 서로 맞물리게 된다.
탄성체(312)는 컨트롤부재(300) 내측에 장착되며, 기어부(311) 하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컨트롤레버(313)는 탄성체(312) 내측에 삽입되는데, 일측은 기어부(311) 하 단에 결합되고 타측은 컨트롤부재(300)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즉, 탄성체(312)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컨트롤레버(313)를 하방으로 당기게 되면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던 상기 컨트롤레버(313)와 기어부(311)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공간은 탄성체(312)가 기어부(311)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공간으로써, 상기 공간만큼 컨트롤부재(300)가 수직바(200)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하방으로 이동된 컨트롤부재(30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는 컨트롤레버(313)를 하방으로 당겨 기어부(311)와 상기 컨트롤레버(313) 사이의 결합을 해제시킨 다음 상기 컨트롤부재(30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일정 길이만큼 이동 후 상기 컨트롤레버(313)를 놓으면 탄성체(312)에 의해 상기 컨트롤레버(313)가 본래위치로 복원되어 상기 기어부(311)와 재체결된다.
한편, 컨트롤부재(300) 외부로 돌출된 컨트롤레버(313) 끝단에는 손잡이(314)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314)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컨트롤부재(3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수평바(400)는 회전축(410)을 통해 컨트롤부재(300)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여기서, 수평바(400)의 회전은 차량 내부의 전면 윈드실드글래스부터 측면 윈드실드글래스까지 90°의 회전각을 유지하도록 하는데, 컨트롤부재(300)에 삽입된 수평바(400) 상단에는 컨트롤너트(420)가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수평바(400)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동시에 회동 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에서 상기 수평바(400) 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스크린부재(500)는 수평바(4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전면 또는 측면으로부터 조사되는 직사광선을 차단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스크린부재(500) 상단에는 힌지부(510)가 구비되어 상기 스크린부재(500)와 수평바(400)가 힌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크린부재(500)가 상기 수평바(400)를 힌지축으로 설정하여 상하방향으로 180°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의 (a) 및 (b)는 스크린부재(500)의 회전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수평바(400)에 장착된 스크린부재(500)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전시켜 전면으로부터 조사되는 직사광선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4의 (c)는 수평바(400)를 포함하는 컨트롤부재(300)의 이동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수직바(200)에 삽입된 컨트롤부재(300)가 상기 수직바(200)를 따라 소정간격만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스크린부재(500)를 이용해 전면 윈드실드글래스로부터 조사되는 직사광선을 차단하는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부재(500)의 세부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컨트롤부재(300)의 상하 높이 조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레버(313)와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부재(300) 외부에 구비된 손잡이(314)를 하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호 체결된 상태인 기어부(311)와 컨트롤레버(313)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공간만큼 상기 컨트롤부재(300)가 수직바(200)를 따라 하방 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컨트롤부재(30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손잡이(314)를 하방으로 당겨 기어부(311)와 컨트롤레버(313)의 체결을 해제시킨 후 상기 컨트롤부재(300)를 밀어올림으로써 상기 컨트롤부재(300)가 수직바(200)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4의 (d)는 수평바(400)의 회전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컨트롤부재(300)에 삽입된 수평바(400)가 전면 윈드실드글래스로부터 측면 윈드실드글래스까지 회전 가능하게 하여 전면으로부터 조사되는 직사광선뿐만 아니라 측면으로부터 조사되는 직사광선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수평바(400) 상단에 구비된 컨트롤너트(420, 도 3 참조)를 통해 상기 수평바(4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는 차량 내부에 장착된 수직바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컨트롤부재와, 상기 컨트롤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수평바와 스크린부재에 의해 전면 윈드실드글래스로부터 유입되는 직사광선은 상기 수평바를 전면을 향해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스크린부재를 통해 전면의 직사광선을 차단하게 되며, 측면 윈드실드글래스로부터 유입되는 직사광선은 상기 수평바를 측면을 향해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스크린부재를 통해 측면의 직사광선을 차단하는데 탁월한 이점을 가진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를 도시하는 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에 대한 스크린부재의
회전상태를 도시하는 도,
도 4의 (c)는 본 발명의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에 대한 스크린부재의 상하
높이 조절상태를 도시하는 도,
도 4의 (d)는 본 발명의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에 대한 수평바의 회전상태를
도시하는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A필라 100a : 상단브래킷
100b : 하단브래킷 200 : 수직바
300 : 컨트롤부재 310 : 기어수단
400 : 수평바 500 : 스크린부재

Claims (6)

  1. 차량 내부의 A필라 측에 장착되는 상단브래킷 및 하단브래킷과;
    상기 상단브래킷과 하단브래킷 사이에 삽입되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 중단에 삽입 장착되어 상기 수직바를 따라 이동 및 정지가 가능하게 하는 컨트롤부재와;
    상기 컨트롤부재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가 삽입된 컨트롤부재 일측에는 보조수직바가 추가로 삽입되어, 상기 컨트롤부재가 수직바로부터 유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재에 삽입된 수평바 상단에는 컨트롤너트가 구비되어 상기 수평바의 회동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재 내부에는 기어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수직바의 일측면에는 기어치가 형성되어 상기 기어수단과 대응되도록 하여, 상기 컨트롤부재의 상하 이동 및 위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수단은
    상기 수직바의 기어치에 결합되는 기어부와;
    상기 컨트롤부재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기어부 하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게 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에 삽입되어 일측은 상기 기어부 하단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컨트롤부재 외부를 관통하는 컨트롤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수단의 컨트롤레버 끝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상기 컨트롤부재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
KR1020080070444A 2008-07-21 2008-07-21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 KR100930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444A KR100930948B1 (ko) 2008-07-21 2008-07-21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444A KR100930948B1 (ko) 2008-07-21 2008-07-21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0948B1 true KR100930948B1 (ko) 2009-12-10

Family

ID=41684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444A KR100930948B1 (ko) 2008-07-21 2008-07-21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9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1252A (en) 1996-07-30 1999-02-16 Lear Corporation Telescopic sunvisor
JP2001239829A (ja) 2000-02-09 2001-09-04 Bos Gmbh & Co Kg 側面窓ロールブラインド
JP2007307939A (ja) 2006-05-16 2007-11-29 Toyota Boshoku Corp サンバイ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1252A (en) 1996-07-30 1999-02-16 Lear Corporation Telescopic sunvisor
JP2001239829A (ja) 2000-02-09 2001-09-04 Bos Gmbh & Co Kg 側面窓ロールブラインド
JP2007307939A (ja) 2006-05-16 2007-11-29 Toyota Boshoku Corp サンバイ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4176B2 (en) Sun visor for vehicles
JP2006347275A (ja) 車両用サンバイザ装置
JP2007153039A (ja) サンシェードパネル装置
KR101567723B1 (ko) 차량용 캐리어 장치
KR100930948B1 (ko)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
KR100974506B1 (ko)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
JP2006205926A (ja) 窓体
KR200395071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차광판
KR100974415B1 (ko) 햇빛차단용 선바이저
KR101263429B1 (ko) 싱크로 벨트가 구비된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KR20100096321A (ko) 차량의 사이드 윈도우 햇빛 가리개
CN103625247B (zh) 一种汽车遮阳板
CN219312475U (zh) 一种可调式雨挡
KR200417676Y1 (ko) 자동차 사이드윈도우용 선바이저
US1841986A (en) Visor and supporting and operating mechanism therefor
KR100598687B1 (ko) 트럭용 루프바이저의 각도조절장치
KR20180067008A (ko) 광원인식 자동차 전자동 썬바이저
KR200495759Y1 (ko) 차량 햇빛 가리개
JP3233095U (ja) 車両用サンバイザー
CN108237877B (zh) 汽车侧窗窗帘固定架
KR20110102797A (ko) 차량용 선바이저
KR200359894Y1 (ko) 자동차용 햇빛가리개
US20130076058A1 (en) Sun visor for shielding sunlight
WO2015050522A1 (en) A sun visor system
KR200246618Y1 (ko) 루프 장착형 카 텔레비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