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759Y1 - 차량 햇빛 가리개 - Google Patents

차량 햇빛 가리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759Y1
KR200495759Y1 KR2020200003844U KR20200003844U KR200495759Y1 KR 200495759 Y1 KR200495759 Y1 KR 200495759Y1 KR 2020200003844 U KR2020200003844 U KR 2020200003844U KR 20200003844 U KR20200003844 U KR 20200003844U KR 200495759 Y1 KR200495759 Y1 KR 2004957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locking
blocking member
driving motor
vehicl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8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966U (ko
Inventor
김진우
Original Assignee
김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우 filed Critical 김진우
Priority to KR20202000038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759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9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9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7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7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75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 B60J1/2077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for wind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햇빛 가리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중 운전자의 전방 주시를 방해하는 프런트 윈도우로의 직사광선을 차단하고 정차시에는 차실 내부로의 직사광선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차량 정차시 차실 내부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며, 조작이 간편하여 운전자의 안전 운전 능력이 향상되도록, 차량의 루프 내측에 배치되어 차광부재(400)를 프런트 윈도우의 내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입출되도록 전방에 입출 개구부(110)가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케이싱(100);과 상기 케이싱(100) 내부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차광부재(400)가 입출되도록 전원에 연결 구비되는 구동모터(200);와 프런트 윈도우의 내면을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상기 차광부재(400);와 상기 차광부재(400)의 전단에서 상기 차광부재(40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전단 마감재(500);와 상기 구동모터(20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단 마감재(50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200)의 구동력으로 상기 차광부재(400)가 입출되도록 상기 차광부재(4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엑스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펼침 샤프트(600);와 상기 차광부재(400)가 프런트 윈도우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유도하는 사이드 가이더(700); 및 상기 사이드 가이더(700)의 길이 진행 방향 도중에 구비되는 전후진 제한 수단(800);을 포함하는 차량 햇빛 가리개를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햇빛 가리개 { ROOF BUILT-IN TYPE SUNVISOR }
본 고안은 차량 햇빛 가리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중 운전자의 전방 주시를 방해하는 프런트 윈도우로의 직사광선을 차단하고 정차시에는 차실 내부로의 직사광선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차량 정차시 차실 내부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며, 조작이 간편하여 운전자의 안전 운전 능력이 향상되고, 루프에 내장되어 공간 활용성이 높아지도록, 케이싱, 구동모터, 차광 부재, 전단 마감재, 펼침 샤프트, 사이드 가이더 및 전후진 제한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 햇빛 가리개를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석 또는 조수석 전면부 유리의 상부에는 차광수단인 햇빛 가리개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햇빛 가리개는 대개 본체와, 햇빛의 시야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운전자 또는 승객이 수동으로 본체를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본체에 체결된 절첩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햇빛 가리개는, 햇빛의 시야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고는 있으나 운전자 또는 조수석에 탑승한 승객이 본체를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함으로 인해 안전운행에 방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체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햇빛이 본체 외부로 유입되어 차광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위해 차광면적을 확대하고자 본체를 광폭의 넓은 면적의 본체로 구성하고는 있으나, 이 경우 차량의 운전석 또는 보조석 전면부의 시야를 넓은 범위로 가림에 따라 오히려 전방에 대한 시야확보가 곤란하여 운전자의 안전운전상에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전동장치인 모터와 기어를 이용하여 스크린 또는 상기 스크린이 결합된 프레임을 절첩하거나 스크린이 와인딩 및 전개되도록 이루어진 전동식 썬바이저가 안출된 바 있으나, 전동장치를 이용하여 스크린 또는 상기 스크린이 결합된 프레임을 절첩할 때 프레임의 절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은 물론 전동장치의 중량에 의해 떨어지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 제20-0331443호인 차량용 썬바이저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일사광을 차단하는 박판형태의 차광판과, 상기 차광판 상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볼과, 상기 볼을 그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파지하는 볼결합부와, 상기 볼결합부 일측에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며 종방향 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한 위치조절암과, 상기 위치조절암 말단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는 피봇연결부재와, 상기 피봇연결부재의 말단에 결합되며 차량에 부착 고정되는 장착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운전자의 시야를 최대로 확보할 수 있으며, 위치조절이 가능하여 주행시 입사하는 일사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복수개 위치조절함을 늘이고 줄이는 과정이 복잡함에 따라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1-0027208호(2001년04월06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자동차용 햇빛 가리개의 회전장치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31443호(2003년10월17일 등록) 고안의 명칭 : 차량용 썬바이저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중 운전자의 전방 주시를 방해하는 프런트 윈도우로의 직사광선을 차단하고 정차시에는 차실 내부로의 직사광선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차량 정차시 차실 내부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며, 조작이 간편하여 운전자의 안전 운전 능력이 향상되고, 루프에 내장되어 공간 활용성이 높아지도록, 케이싱, 구동모터, 차광 부재, 전단 마감재, 펼침 샤프트, 사이드 가이더 및 전후진 제한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 햇빛 가리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루프 내측에 배치되어 차광부재(400)를 프런트 윈도우의 내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입출되도록 전방에 입출 개구부(110)가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케이싱(100)과 상기 케이싱(100) 내부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차광부재(400)가 입출되도록 전원에 연결 구비되는 구동모터(200)와 상기 구동모터(200)의 축에 연결되어 상기 차광부재(400)를 입출하여 공간 활용성과 운전석 및 조수석의 시야를 넓게 활용할 수 있는 차량 햇빛 가리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프런트 윈도우의 내면을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상기 차광부재(400)와 상기 차광부재(400)의 전단에서 상기 차광부재(40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전단 마감재(500)와 상기 구동모터(20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단 마감재(50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200)의 구동력으로 상기 차광부재(400)가 입출되되도록 상기 차광부재(400)에 엑스자 형상으로 연결 구비되는 펼침 샤프트(600)로 저소음으로 차양막을 형성할 수 있는 차량 햇빛 가리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차광 부재(110)가 프런트 윈도우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유도하는 사이드 가이더(700) 및 상기 사이드 가이더(700)의 길이 진행 방향 도중에 구비되는 전후진 제한 수단(800)로 차양시 운전을 방해하지 않는 차량 햇빛 가리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모터(200)가 양단에 한쌍으로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상기 구동 모터(200)가 동작되지 않더라도 상기 차광부재(400)의 동작이 구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전후진 제한 수단(800)이 상기 사이드 가이더(700)의 길이 진행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어 상기 차광부재(400)가 다단계로 펼쳐치는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되어 길이 조절이 편리한 차량 햇빛 가리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사이드 가이더(700)의 종단에는 감지센서(910)가 더 포함되며 상기 감지센서(910)의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200)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제어부(90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차광부재(400)가 상기 감지센서(910)의 감지 영역을 소정 범위 이상 침범하는 경우, 상기 구동 모터(200)의 구동을 제한하여 상기 차광부재(400)의 펼침을 제한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상기 차광부재(400)는 자외선 차단율이 50 내지 100% 효율이 이루어지도록 합성수지, 금속, 플라스틱 또는 코팅용 유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모터(200)은 운전석 주위에 배치되는 버튼식 스위치로 ON/OFF 하도록 구비되어 운전 편의성을 높이고 차양 효과를 높이는 차량 햇빛 가리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차량 햇빛 가리개는 먼저, 차량의 루프 내측에 배치되어 차광부재(400)를 프런트 윈도우의 내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입출되도록 전방에 입출 개구부(110)가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케이싱(1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케이싱(100) 내부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차광부재(400)가 입출되도록 전원에 연결 구비되는 구동모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여기에, 프런트 윈도우의 내면을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상기 차광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광부재(400)의 전단에서 상기 차광부재(40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전단 마감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20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단 마감재(50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200)의 구동력으로 상기 차광부재(400)가 입출되도록 상기 차광부재(4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엑스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펼침 샤프트(6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광부재(400)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차광 부재(110)가 프런트 윈도우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유도하는 사이드 가이더(7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사이드 가이더(700)의 길이 진행 방향 도중에 구비되는 전후진 제한 수단(8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200)는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상기 구동 모터(200)가 동작되지 않더라도 상기 차광부재(400)의 동작이 구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후진 제한 수단(800)은 상기 사이드 가이더(700)의 길이 진행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어 상기 차광부재(400)가 다단계로 펼쳐치는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광부재(400)와 상기 사이드 가이더(700)가 접촉되는 부위에는 상기 차광부재(400)를 상기 차광부재(400)의 이동 진행 방향과 수직하게 상기 차광부재(400)를 상기 사이드 가이더(700)에 탄성 고정하도록 탄성장력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이드 가이더(700)의 종단에는 감지센서(910)가 더 포함되고,
상기 감지센서(910)의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200)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제어부(90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차광부재(400)가 상기 감지센서(910)의 감지 영역을 소정 범위 이상 침범하는 경우, 상기 구동 모터(200)의 구동을 제한하여 상기 차광부재(400)의 펼침을 제한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기 차광부재(400)는 자외선 차단율이 50 내지 100% 효율이 이루어지도록 합성수지, 금속, 플라스틱 또는 코팅용 유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모터(200)은 운전석 주위에 배치되는 버튼식 스위치로 ON/OFF 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차량 햇빛 가리개를 제공하여,
첫째, 운전중 운전자의 전방 주시를 방해하는 프런트 윈도우로의 직사광선을 차단하고 정차시에는 차실 내부로의 직사광선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차량 정차시 차실 내부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며, 조작이 간편하여 운전자의 안전 운전 능력이 향상되고, 루프에 내장되어 공간 활용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둘째, 차량의 루프 내측에 배치되어 차광부재(400)를 프런트 윈도우의 내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입출되도록 전방에 입출 개구부(110)가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케이싱(100)과 상기 케이싱(100) 내부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차광부재(400)가 입출되어 차량 루프 내부에 배치하여 공간 활용성과 운전석 및 조수석의 시야를 넓게 활용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차광부재(400)의 전단에서 상기 차광부재(40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전단 마감재(500)와 상기 구동모터(20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단 마감재(50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200)의 구동력으로 상기 차광부재(400)가 입출되도록 상기 차광부재(4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엑스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펼침 샤프트(600)로 저소음으로 차양막을 형성할 수 있다.
넷째, 상기 차광 부재(110)가 프런트 윈도우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유도하는 사이드 가이더(700) 및 상기 사이드 가이더(700)의 길이 진행 방향 도중에 구비되는 전후진 제한 수단(800)로 차양시 운전을 방해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구동모터(200)가 양측에 각각 한쌍으로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상기 구동 모터(200)가 동작되지 않더라도 상기 차광부재(400)의 동작이 구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전후진 제한 수단(800)이 상기 사이드 가이더(700)의 길이 진행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어 상기 차광부재(400)가 다단계로 펼쳐치는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되어 길이 조절이 편리하다.
다섯째, 상기 사이드 가이더(700)의 종단에는 감지센서(910)가 더 포함되며 상기 감지센서(910)의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200)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제어부(90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차광부재(400)가 상기 감지센서(910)의 감지 영역을 소정 범위 이상 침범하는 경우, 상기 구동 모터(200)의 구동을 제한하여 상기 차광부재(400)의 펼침을 제한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상기 차광부재(400)는 자외선 차단율이 50 내지 100% 효율이 이루어지도록 합성수지, 금속, 플라스틱 또는 코팅용 유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모터(200)은 운전석 주위에 배치되는 버튼식 스위치로 ON/OFF 하도록 구비되어 운전 편의성을 높이고 차양 효과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내지 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햇빛 가리개의 사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4 내지 1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햇빛 가리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햇빛 가리개의 제어부와 감지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햇빛 가리개의 사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고, 도 4 내지 1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햇빛 가리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1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햇빛 가리개의 제어부와 감지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본원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차량 햇빛 가리개는 먼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루프 내측에 배치되어 차광부재(400)를 프런트 윈도우의 내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입출되도록 전방에 입출 개구부(110)가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케이싱(1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케이싱(100)은 차량 루프의 두께를 충분히 고려하여 납작한 사각 현상이 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상기 케이싱(100) 내부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차광부재(400)가 입출되도록 전원에 연결되는 구동모터(200)가 구비되며, 프런트 윈도우의 내면을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상기 차광부재(400)와 상기 차광부재(400)의 전단에서 상기 차광부재(40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전단 마감재(500)가 구성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이때, 상기 전단 마감재(500)는 상기 차광부재(400)에 의해 말려진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여기에, 상기 구동모터(20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단 마감재(50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200)의 구동력으로 상기 차광부재(400)가 입출되도록 상기 차광부재(4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엑스자 형상으로 펼침 샤프트(600)가 구비되며 상기 펼침 샤프트(600)가 교차되는 위치는 서로 회동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차광부재(400)가 프런트 윈도우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유도하는 사이드 가이더(700) 및 상기 사이드 가이더(700)의 길이 진행 방향 도중에는 전후진 제한 수단(800)이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200)는 양단에 각각 한쌍으로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상기 구동 모터(200)가 동작되지 않더라도 상기 차광부재(400)의 동작이 구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후진 제한 수단(800)은 상기 사이드 가이더(700)의 길이 진행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어 상기 차광부재(400)가 다단계로 펼쳐치는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차광부재(400)와 상기 사이드 가이더(700)가 접촉되는 부위에는 상기 차광부재(400)를 상기 차광부재(400)의 이동 진행 방향과 수직하게 상기 차광부재(400)를 상기 사이드 가이더(700)에 탄성 고정하도록 탄성장력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사이드 가이더(700)의 종단에는 감지센서(910)가 더 포함되고, 상기 감지센서(910)의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200)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제어부(90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차광부재(400)가 상기 감지센서(910)의 감지 영역을 소정 범위 이상 침범하는 경우, 상기 구동 모터(200)의 구동을 제한하여 상기 차광부재(400)의 펼침을 제한하도록 구비되어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기 차광부재(400)는 자외선 차단율이 50 내지 100% 효율이 이루어지도록 합성수지, 금속, 플라스틱 또는 코팅용 유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여기서, 상기 구동 모터(200)은 운전석 주위에 배치되는 버튼식 스위치로 ON/OFF 하도록 구비되어 운전 편의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일 실시 예를 들어 설명된 차량 햇빛 가리개를 이용하여, 운전중 운전자의 전방 주시를 방해하는 프런트 윈도우로의 직사광선을 차단하고 정차시에는 차실 내부로의 직사광선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차량 정차시 차실 내부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며, 조작이 간편하여 운전자의 안전 운전 능력이 향상되고, 루프에 내장되어 공간 활용성이 높이며, 차량의 루프 내측에 배치되어 차광부재(400)를 프런트 윈도우의 내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입출되도록 전방에 입출 개구부(110)가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케이싱(100)과 상기 케이싱(100) 내부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차광부재(400)가 입출되도록 전원에 연결 구비되는 구동모터(200)와 프런트 윈도우의 내면을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상기 차광부재(400)와 상기 차광부재(400)의 전단에서 상기 차광부재(40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전단 마감재(500)와 상기 구동모터(20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단 마감재(50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200)의 구동력으로 상기 차광부재(400)가 입출되도록 상기 차광부재(4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엑스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펼침 샤프트(600)로 저소음으로 차양막을 형성하며, 상기 차광부재(400)의 양측에서 전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차광부재(400)가 프런트 윈도우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유도하는 사이드 가이더(700) 및 상기 사이드 가이더(700)의 길이 진행 방향 도중에 구비되는 전후진 제한 수단(800)로 차양시 운전을 방해하지 않으며, 구동모터(200)가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상기 구동 모터(200)가 동작되지 않더라도 상기 차광부재(400)의 동작이 구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전후진 제한 수단(800)이 상기 사이드 가이더(700)의 길이 진행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어 상기 차광부재(400)가 다단계로 펼쳐치는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되어 길이 조절이 편리하며, 상기 사이드 가이더(700)의 종단에는 감지센서(910)가 더 포함되며 상기 감지센서(910)의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200)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제어부(90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차광부재(400)가 상기 감지센서(910)의 감지 영역을 소정 범위 이상 침범하는 경우, 상기 구동 모터(200)의 구동을 제한하여 상기 차광부재(400)의 펼침을 제한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상기 차광부재(400)는 자외선 차단율이 50 내지 100% 효율이 이루어지도록 합성수지, 금속, 플라스틱 또는 코팅용 유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모터(200)은 운전석 주위에 배치되는 버튼식 스위치로 ON/OFF 하도록 구비되어 운전 편의성을 높이고 차양 효과를 높이는 효과가 기대되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
100 ... 케이싱
110 ... 입출 개구부
200 ... 구동모터
400 ... 차광 부재
500 ... 전단 마감재
600 ... 펼침 샤프트
700 ... 사이드 가이더
800 ... 전후진 제한 수단
900 ... 제어부
910 ... 감지센서

Claims (5)

  1. 차량의 루프 내측에 배치되어 차광부재(400)를 프런트 윈도우의 내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입출되도록 전방에 입출 개구부(110)가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케이싱(100);
    상기 케이싱(100) 내부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차광부재(400)가 상기 케이싱(100)에 입출할 수 있도록 전원에 연결 구비되는 구동모터(200);
    프런트 윈도우의 내면을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상기 차광부재(400);
    상기 차광부재(400)의 전단에서 상기 차광부재(40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전단 마감재(500);
    상기 구동모터(20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단 마감재(50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200)의 구동력으로 상기 차광부재(400)가 입출되도록 상기 차광부재(400)에 엑스자 형상으로 연결 구비되는 펼침 샤프트(600);
    상기 차광부재(400)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차광부재(400)이 프런트 윈도우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유도하는 사이드 가이더(700); 및
    상기 사이드 가이더(700)의 길이 진행 방향 도중에 구비되는 전후진 제한 수단(800);을 포함하되,
    상기 구동모터(200)는,
    상기 차광부재(400)의 양단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상기 구동 모터(200)가 미 동작 되더라도 상기 차광부재(400)의 동작이 구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전후진 제한 수단(800)은,
    상기 사이드 가이더(700)의 길이 진행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어 상기 차광부재(400)가 다단계로 펼쳐치는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차광부재(400)와 상기 사이드 가이더(700)가 접촉되는 부위에는 상기 차광부재(400)를 상기 차광부재(400)의 이동 진행 방향과 수직하게 상기 차광부재(400)를 상기 사이드 가이더(700)에 탄성 고정하도록 탄성장력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사이드 가이더(700)의 종단에는 감지센서(910)가 더 포함되고,
    상기 감지센서(910)의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200)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제어부(90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차광부재(400)가 상기 감지센서(910)의 감지 영역을 소정 범위 이상 침범하는 경우, 상기 구동 모터(200)의 구동을 제한하여 상기 차광부재(400)의 펼침이 제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기 차광부재(400)는 자외선 차단율이 50 내지 100% 효율이 이루어지도록 합성수지, 금속, 플라스틱 또는 코팅용 유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모터(200)은 운전석 주위에 배치되는 버튼식 스위치로 ON/OFF 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펼침 샤프트(600)는 상기 차광부재(400)을 가로지르며 중간 에서 회동되는 회동축이 구비되며 상기 회동축의 하부에서 좌우로 소정 간격 회전하는 상기 구동모터(200)에 연결되어 상기 차광부재(400)이 펼침 및 접힘이 이루어 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사이드 가이더(700)는 단면이 디귿자 형상을 이루어 단면 내부에 상기 차광부재(400)의 양 측단을 수용하도록 상기 사이드 가이더(700)의 길이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차광부재(400) 고정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햇빛 가리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200003844U 2020-10-26 2020-10-26 차량 햇빛 가리개 KR2004957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844U KR200495759Y1 (ko) 2020-10-26 2020-10-26 차량 햇빛 가리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844U KR200495759Y1 (ko) 2020-10-26 2020-10-26 차량 햇빛 가리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966U KR20220000966U (ko) 2022-05-03
KR200495759Y1 true KR200495759Y1 (ko) 2022-08-10

Family

ID=81581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844U KR200495759Y1 (ko) 2020-10-26 2020-10-26 차량 햇빛 가리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759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9459A (ja) 2006-03-14 2009-08-20 ベーオーエ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自動車用のヘッドライナ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565U (ko) * 1996-10-28 1998-07-25 양재신 차양막을 갖는 자동차 도어 윈도우
KR20010027208A (ko) 1999-09-11 2001-04-06 소재권 자동차용 햇빛가리개의 회전장치
KR20040106744A (ko) * 2003-06-11 2004-12-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선바이저
KR200331443Y1 (ko) 2003-07-24 2003-10-30 조경록 차량용 썬바이저
KR101223300B1 (ko) * 2010-09-14 2013-01-1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선바이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9459A (ja) 2006-03-14 2009-08-20 ベーオーエ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自動車用のヘッドライナ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966U (ko) 202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89755B (zh) 一种含移动伸缩遮阳板的汽车
KR101725027B1 (ko) 자동차용 차양장치
KR101217873B1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US9669684B2 (en) Clip on car visor extension
KR200495759Y1 (ko) 차량 햇빛 가리개
US20080217951A1 (en) Vehicle visor with auxiliary sunshade and adjustable slat
EP2617590A2 (en) Retractable sun visor and central overhead console system for use with panoramic windscreen
KR101402298B1 (ko) 자동차유리 차광용 롤블라인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실내 환기장치
US7121610B2 (en) Combination shade and handle device
US20030070775A1 (en) Retractable window shades for an automobile
KR100974415B1 (ko) 햇빛차단용 선바이저
US20090242151A1 (en) Whole-covered sunshade assembly
CN108674154B (zh) 一种汽车挡风玻璃遮阳装置
KR0140700Y1 (ko) 윈드실드로의 햇빛 차단장치
KR102286504B1 (ko) 듀얼식 선바이저
KR0138889Y1 (ko) 차량용 차광장치
KR200473158Y1 (ko) 차량용 선바이저
CN212604411U (zh) 车辆遮阳装置
KR100997247B1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KR100997248B1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KR200414708Y1 (ko) 차량용 차광기구
KR19980043490U (ko) 차량의 선 바이저 좌우 길이 조절장치
KR20220020469A (ko) 차량용 태양광 차단막
KR101202423B1 (ko) 차량용 선바이저
KR910007143Y1 (ko) 차량용 차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