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3511B1 - 자동차용 전면 윈도우의 햇빛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전면 윈도우의 햇빛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3511B1
KR100253511B1 KR1019960062998A KR19960062998A KR100253511B1 KR 100253511 B1 KR100253511 B1 KR 100253511B1 KR 1019960062998 A KR1019960062998 A KR 1019960062998A KR 19960062998 A KR19960062998 A KR 19960062998A KR 100253511 B1 KR100253511 B1 KR 100253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window
sunlight
sunscreen
block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2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4852A (ko
Inventor
곽재근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62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3511B1/ko
Publication of KR19980044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4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5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08Sun visors combined with auxiliary vis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0/00Flexible or portable closure, partition, or panel
    • Y10S160/03Auto visors and glare sh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면윈도우를 통해 차실내로 햇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햇빛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용 전방패널(100)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회전바(20)의 공간부에는 비틀림스프링(31)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는 회전기구(30)가 내장설치되며, 회전기구(30)의 외주면에는 입사되는 햇빛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부지지대(60)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는 햇빛차단장치(40)가 연결설치되고, 햇빛차단장치(40)의 하부면에는 힌지축(P1)과 하부지지대(65)에 의해 골격을 이루는 보조햇빛차단장치(50)가 연결설치되는 한편, 상부지지대(60)의 내측단부와 하부지지대(65)의 외측단부에는 각각의 힌지점(P2,P3)을 중심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된 제1,2연결부재(70,80)가 힌지결합되며, 제1,2연결부재(70,80)의 사이에는 힌지점(P2,P3)의 접힘/펼침동작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절첩수단(90)이 연결설치되고, 햇빛차단장치(40)의 양측부에는 전면윈도우의 비차광영역을 차광하기 위한 비차광햇빛차단장치(95)가 연결설치되어, 햇빛차단장치의 하부면에 접고펼칠 수 있도록 된 보조햇빛차단장치가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므로써, 일사각도나 주행 방향 등에 따라 필요시 햇빛의 차단 영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햇빛차단장치의 양측부에 비차광햇빛차단장치가 설치되므로써 비차광 영역이 없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전면윈도우의 햇빛차단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면윈도우를 통해 차실내로 햇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햇빛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햇빛차단장치의 작동소음을 최소화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전면윈도우로 유입되는 햇빛의 차단영역을 조절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전면윈도우의 햇빛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방과 양측방 및 후방에는 외부를 관찰하거나 또는 차실내의 환기를 위한 다수개의 윈도우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윈도우 중 전면 윈도우는 운전중에 주위를 살피는 데에는 편리함이 있지만 햇빛이 차실내로 들어오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자동차에는 전면윈도우를 통해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대략 두 가지의 햇빛차단장치가 구비되는데, 예를 들면 전면윈도우에 부착시킨 후 필요에 따라 뗄 수 있도록 된 접착식 햇빛차단장치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높이조절식 햇빛차단장치로 구별된다.
여기서, 높이조절식 햇빛차단장치는 전면윈도우의 일측방에 구비된 당김줄을 손으로 잡아 당기거나 올려가면서 차실내로 유입되는 햇빛의 유입면적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즉, 종래의 높이조절식 햇빛차단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윈도우장착용 전방패널(100)의 상부측에 소정크기의 공간부를 갖는 지지대(110)가 고정설치되며, 지지대(110)의 공간부에는 비틀림스프링을 매개로 회전기구(120)가 축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기구(120)의 외주면에는 실내로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여주는 햇빛차단장치(130)가 감겨져 있다.
그리고, 회전기구(120)는, 지지대(10)의 공간부내에 설치되어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일방향으로반 회전하는 몸체부(124)와, 몸체부(124)의 일측면에 연결설치되면서 그 외주면에 래칫이 구비된 스톱퍼(123)와, 지지대(110)의 몸체에 관통삽입되면서 그 선단부가 스톱퍼(123)의 래칫에 걸리도록 된 조작레버(121)와, 조작레버(121)에 연결된 당김줄(122)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기구(120)의 당김줄(122)을 당기게 되면, 조작레버(121)의 선단부가 스톱퍼(123)의 래칫으로부터 해제되므로, 햇빛차단장치(130)가 안내레일(140)을 따라 미끄럼이동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때, 햇빛차단장치(130)를 손으로 잡고 원하는 위치로까지 잡아당긴 다음 당김줄(122)을 놓게 되면, 조작레버(121)가 리턴되면서 그 선단부가 스톱퍼(123)의 래칫에 걸리게 되므로, 햇빛차단장치(130)가 안내레일(140)의 소정위치에서 유지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물론, 회전기구(120)는, 지지대(110)에 내장된 비틀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감기는 힘만 작용되므로, 조작레버(121)가 스톱퍼(123)의 래칫으로부터 해제되는 경우, 몸체부(124)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그 외주면으로 햇빛차단장치(130)가 감겨지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햇빛차단장치(130)를 작동하는 과정에서 조작레버(121)와 스톱퍼(123)가 마찰되면서 작동소음을 발생시키게 되고, 차량주행 중 당김줄(122)이 요동하면서 차실내의 미관을 해치게 되며, 전면윈도우 사이의 빈공간 즉, 비차광면적이 커서 햇빛차단장치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에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회전기구(120)의 비틀림스프링은 감김저항력이 크므로 햇빛차단장치(130)가 펼쳐지거나 접히는 도중 주름이 발생되어, 햇빛의 입사량 또는 차량의 운행 방향에 따라 차실내로 유입되는 햇빛량을 적절하게 조절해야 하는 요구를 효율적으로 충족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면윈도우로 입사되는 햇빛의 차단영역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기구로 인한 작동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전면윈도우의 햇빛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햇빛차단장치는, 전방 패널의 상부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지지대가 고정설치되며, 지지대의 공간부에는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감겨지는 회전기구가 내장설치되고, 회전기구의 외주면에는 전면윈도우로 입사되는 햇빛을 차단하기 위한 햇빛차단장치가 롤링된 자동차용 전면윈도우의 햇빛차단장치에 있어서, 햇빛차단장치의 하부면에는 상부지지대와 하부지지대에 의해 골격을 이루는 유연한 재질의 보조햇빛차단장치가 연결설치되되, 상/하부지지대의 각모서리부에는 힌지점을 중심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된 제1,2연결부재가 힌지결합되며, 힌지축의 사이에는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면서 보조햇빛차단장치를 접거나 펼치도록 된 절첩수단이 연결설치되는 한편, 보조햇빛차단장치의 양측부에는 비차광영역을 차광하기 위한 비차광햇빛차단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햇빛차단장치의 하부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접고 펼칠 수 있도록 연결된 보조햇빛차단장치가 절첩가능하게 설치하므로써, 일사량이나 주행 방향등에 따라 필요시 햇빛의 차단영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전면윈도우와 햇빛차단장치 사이의 빈공간 즉, 비차광 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여름철과 같이 일사량이 많은 계절에 별도의 보조햇빛차단장치가 없이도 효율적으로 햇빛차단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전면윈도우의 햇빛차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제2a도, 제2b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햇빛차단장치의 작동전후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수단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방패널 20 : 회전바
30 : 회전기구 31 : 비틀림스프링
40 : 햇빛차단장치 50 : 보조햇빛차단장치
60 : 상부지지대 65 : 하부지지대
70 : 제1연결부재 80 : 제2연결부재
90 : 절첩수단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례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a도, 제2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윈도우의 보조햇빛차단장치의 작동전/후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며,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수단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전면윈도우설치용 전방패널(100)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회전바(20)의 공간부에는 비틀림스프링(31)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는 회전기구(30)가 내장설치되며, 회전기구(30)의 외주면에는 입사되는 햇빛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부지지대(60)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는 햇빛차단장치(40)가 연결설치되고, 햇빛차단장치(40)의 하부면에는 힌지축(P1)과 하부지지대(65)에 의해 골격을 이루는 보조햇빛차단장치(50)가 연결설치되는 한편, 상부지지대(60)의 내측단부와 하부지지대(65)의 외측단부에는 각각의 힌지점(P2,P3)을 중심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된 제1,2연결부재(70,80)가 힌지결합되며, 제1,2연결부재(70,80)의 사이에는 힌지점(P2,P3)의 접힘/펼침동작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절첩수단(90)이 연결설치되고, 햇빛차단장치(40)의 양측부에는 전면윈도우의 비차광영역을 차광하기 위한 비차광햇빛차단장치(95)가 연결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바(20)의 공간부에는 회전기구(30)가 축회동가능하게 삽입설치되되, 회전기구(30)는, 회전바(20)의 공간부내에 삽입설치되어 축회전하는 몸체부(32)와, 회전바(20)의 공간부내에 장착되어 몸체부(32)를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비틀림스프링(31)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회전기구(30)의 외주면에는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유연한 재질의 햇빛차단장치(40)가 감겨져 있다.
따라서, 몸체부(32)는 그 외주면에 햇빛차단장치(40)가 감겨진 상태에서 비틀림스프링(31)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므로, 항상 햇빛차단장치(40)의 탄력성을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햇빛차단장치(40)의 하부면에는 소정길이의 힌지축(P1)과 하부지지대(65)를 매개로 하여 상부방향과 하부방향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된 유연한 재질의 보조햇빛차단장치(50)가 연결설치되어 있다. 물론, 보조햇빛차단장치(50)는 힌지축(P1)의 양측부에 구비되어 있는 상부지지대(60)에 의해 그 위치의 고정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즉, 보조햇빛차단장치(50)는 힌지축(P1)과 하부지지대(65)에 의해 골격을 이루면서, 힌지축(P1)을 양방향에서 지지하는 상부지지대(60)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햇빛차단장치(40)는 그 상부면이 비틀림스프링(31)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몸체부(32)에 감겨진 상태에서 그 하부면에 상부지지대(60)에 의해 지지되는 힌지축(P1)에 연결되며, 보조햇빛차단장치(50)는 그 상부면이 힌지축(P1)에 연결되면서 그 하부면이 하부지지대(65)에 연결되어 골격을 이룬다.
또한, 상부지지대(60)의 내측선단부와 하부지지대(65)의 외측선단부에는 제1,2힌지점(P2,P3)을 중심점으로 관절운동하는 각각의 제1,2연결부재(70,80)가 힌지결합되며, 제1,2연결부재(70,80) 즉, 제1,2힌지점(P2,P3)의 사이에는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절첩수단(90)이 힌지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햇빛차단장치(40)의 양측부에는 햇빛차단장치(40)와 보조햇빛차단장치(50)에 의해 미처 차광되지 않는 비차광영역을 차광하기 위한 비차광햇빛차단장치(95)가 연결설치되어 있다.
물론, 본원 발명은 전면윈도우에 한 개의 햇빛차단장치(40) 및 보조햇빛차단장치(50)가 장착된 경우만을 도시하였지만, 본원 햇빛차단장치(40)의 측부에 또 다른 보조햇빛차단장치를 장착하여, 전면윈도우 양측에서 접고 펼칠 수 있도록 설치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햇빛차단장치(40)는 비틀림스프링(31)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몸체부(32)와, 상부지지대(60)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힌지축(P1)의 사이에서 탄력성이 유지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후, 전면윈도우로 입사되는 햇빛이 햇빛차단장치(40)의 하부를 통해 차실내로 유입되는 경우, 보조햇빛차단장치(50)의 골격을 이루는 하부지지대(65)를 손으로 잡고 외곽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보조햇빛차단장치(50)가 절첩수단(90)을 중심으로하여 펼쳐지게 된다.
이 경우, 보조햇빛차단장치(50)가 외곽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각도에 해당하는 만큼 힌지점(P2,P3)을 중심으로 제1,2연결부재(70,80)가 외측방향으로 펼쳐지게 되고, 동시에 제1,2연결부재(70,80)의 펼침량에 상당하는 길이만큼 절첩수단(90)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2연결부재(70,80)가 완전히 펼쳐져 거의 일직선상태로 되면, 절첩수단(90)의 길이는 최대로 길어진 상태로서, 이때 보조햇빛차단장치(50)는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햇빛차단장치(40)의 하부를 통해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햇빛차단장치(40)의 양측부를 통해 유입되던 햇빛은 비차광햇빛차단장치(95)에 의해 차단되는 것이다.
한편, 보조햇빛차단장치(50)를 접고자 하는 경우, 보조햇빛차단장치(50)의 하부지지대(65)를 손으로 잡고 상측방향으로 서서히 회전시키게 되면, 보조햇빛차단장치(50)가 절첩수단(90)을 중심으로하여 상측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어서, 보조햇빛차단장치(50)가 상측방향으로 회동하는 각도에 해당하는 만큼 제1,2연결부재(70,80)가 힌지점(P2,P3)을 중심으로하여 내측방향으로 접혀지게 되고, 동시에 제1,2연결부재(70,80)의 접힘량에 해당하는 만큼 절첩수단(90)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햇빛차단장치(40)의 하부면에 힌지축(P1)을 매개로하여 연결된 보조햇빛차단장치(50)가 접고 펼칠 수 있도록 설치되므로써, 여름철과 같이 일사량이 많은 계절에 정차하면서 차실내에 머물 경우나 또는 주행 중에 차량 측면 유리를 완전히 차폐하고자 하는 경우에 별도의 햇빛차단장치를 장착하지 않고서도 효율적으로 햇빛차단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면윈도우의 햇빛차단장치에 의하며, 햇빛차단장치의 하부면에 접고 펼칠 수 있도록 된 보조햇빛차단장치가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므로써, 일사각도나 주행 방향 등에 따라 필요시 햇빛의 차단 영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햇빛차단장치의 양측부에 비차광햇빛차단장치가 설치되므로써 비차광 영역이 없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햇빛차단장치가 비틀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기구와 상부지지대에 의해 지지된 힌지축의 사이공간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므로써, 햇빛차단장치의 주름발생이 방지되어 여름과 같이 일사량이 많은 계절에 별도의 햇빛차단장치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효율적으로 햇빛을 차단하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면윈도우설치용 전방패널(100)의 상부측에 길이방향으로 공간부를 갖는 회전바(20)가 고정설치되며, 회전바(20)의 공간부에는 비틀림스프링(31)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회전기구(30)가 내장설치되고, 회전기구(30)의 외주면에는 입사되는 햇빛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부지지대(60)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는 햇빛차단장치(40)가 연결설치되며, 햇빛차단장치(40)의 하부면에는 힌지축(P1)과 하부지지대(65)에 의해 골격을 이루는 보조햇빛차단장치(50)가 연결설치되는 한편, 상부지지대(60)의 내측단부와 하부지지대(65)의 외측단부에는 각각의 힌지점(P2,P3)을 중심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제1,2연결부재(70,80)가 힌지결합되며, 제1,2연결부재(70,80)의 사이에는 힌지점(P2,P3)의 접힘/펼침동작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절첩수단(90)이 연결설치되고, 햇빛차단장치(40)의 양측부에는 전면윈도우의 비차광영역을 차광하기 위한 비차광햇빛차단장치(95)가 연결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면윈도우의 햇빛차단장치.
KR1019960062998A 1996-12-09 1996-12-09 자동차용 전면 윈도우의 햇빛 차단장치 KR100253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2998A KR100253511B1 (ko) 1996-12-09 1996-12-09 자동차용 전면 윈도우의 햇빛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2998A KR100253511B1 (ko) 1996-12-09 1996-12-09 자동차용 전면 윈도우의 햇빛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852A KR19980044852A (ko) 1998-09-15
KR100253511B1 true KR100253511B1 (ko) 2000-04-15

Family

ID=19486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2998A KR100253511B1 (ko) 1996-12-09 1996-12-09 자동차용 전면 윈도우의 햇빛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35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861B1 (ko) * 2001-08-28 200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커튼 작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852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3511B1 (ko) 자동차용 전면 윈도우의 햇빛 차단장치
KR100327654B1 (ko) 실내용 전동 차양판
KR101511570B1 (ko) 상단가림 구조를 가진 리어 선쉐이드
KR0140700Y1 (ko) 윈드실드로의 햇빛 차단장치
AU2002301996B8 (en) Collapsible automobile shade
KR20220000966U (ko) 차량 햇빛 가리개
CN219406108U (zh) 一种可伸缩且角度可调的汽车遮阳装置
CN221067735U (zh) 一种易于展开的汽车遮阳罩
KR100239040B1 (ko) 자동차의 차양장치
CN220705591U (zh) 一种遮阳板卷帘双向阻尼结构
KR0119669Y1 (ko) 차창의 차양기구
KR920000328Y1 (ko) 자동차의 차양장치
KR200169786Y1 (ko) 자동차 후면유리용 차광장치
KR200402688Y1 (ko) 접철식 연장 햇빛가리개
KR980007205U (ko) 선 바이저
KR200221100Y1 (ko) 자동차용 부채형 차광장치
KR100736739B1 (ko) 버스 차량용 선 바이저
AU732512B2 (en) Motor vehicle sunshade
KR20210000254U (ko) 차량용 차광장치
CN116901678A (zh) 用于车辆的遮阳装置及车辆
JPH10119569A (ja) 太陽光線の遮蔽具
KR19980032679U (ko) 롤러형 차양 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용 선 바이저
KR19990019609U (ko) 자동차의 도어 윈도우 차양막장치
KR19980013398U (ko) 자동차의 리어 글라스 차단용 차양막
KR19980016169U (ko) 자동차의 뒷좌석용 차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