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5861B1 -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커튼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커튼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5861B1
KR100435861B1 KR10-2001-0052042A KR20010052042A KR100435861B1 KR 100435861 B1 KR100435861 B1 KR 100435861B1 KR 20010052042 A KR20010052042 A KR 20010052042A KR 100435861 B1 KR100435861 B1 KR 100435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nk
door
curtain
door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8350A (ko
Inventor
권영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2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5861B1/ko
Publication of KR20030018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8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3Mounting arrangements for roller blind or its storage box, e.g. integration into beltline or window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커튼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도어 글라스의 빛을 차광하기 위한 블라인드가 부착된 도어커튼 프레임의 길이가 가변적으로 늘어나도록 하여 도어커튼을 사용 할 때에는 도어 글라스의 전면을 최대한 차광하도록 하고 도어커튼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어 글라스 하단부에서 적은 공간을 차지하며 위치되도록 하는 전동식 도어커튼 작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커튼 작동장치{An Electric-powered Door Curtain Operating Apparatus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커튼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커튼이 승강시에는 도어 글라스의 폭만큼 늘어나서 도어 글라스로 유입되는 빛을 대거 차광하고 하강시에는 줄어들어 도어 글라스 하단부에 안착되도록 한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커튼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도어 글라스는 자동차를 운전하는 경우의 시계확보와 쾌적한 차 실내 거주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나 하절기와 같이 일조량이 많은 경우는 도어 글라스를 통해서 직사광선이 다량으로 투광되므로 차 실내의 온도상승과 더불어 운전자의 눈부심 등을 야기시켜 안전운전에도 방해가 된다. 또한 차 실내의 상황을 외부로부터 보호받아야 할 경우에도 사생활을 침해받을 수 있어 불편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어 글라스에 썬팅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썬팅은 한번 부착하면 제거가 용이하지 않고 사용필름의 광 투과율에 따라 다른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므로 안전운전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특히, 야간운전시 운전자의 양 측방 및 후방시계가 방해받게 되므로 사고로 이어지는 일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은 도어커튼 작동장치가 사용되었는바, 종래의 도어커튼 작동장치는 도어트림과 도어 인너 패널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를 동력원으로 하여 다수개의 링크(3)를 통하여 커튼프레임(2)을 승강시킴으로써 커튼프레임(2)에 부착된 블라인드(2a)가 도어 글라스(1)를 차광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어커튼을 사용할 때는 커튼프레임(2)이 상승되도록 하여 도어 글라스(1)를 차광하고 도어커튼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커튼프레임(2)을 하강시켜 도어 글라스(1) 하단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도어커튼 작동장치는 커튼프레임(2)의 길이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어서 커튼프레임(2)의 길이를 도어 글라스(1)의 폭에 맞게 설정하면 커튼의 비사용시에는 도어 글라스(1) 하단에 큰 공간을 차지하게 됨으로 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도어트림 내에 다른 옵션의 설치가 불가능하다.
또한, 커튼을 사용하지 않을 때를 고려해 커튼프레임(2)의 길이를 짧게 설정하면 커튼프레임(2)을 상승시켰을 때 도어 글라스(1)를 완벽하게 차광하지 못해 차광효과가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도어 글라스의 빛을 차광하기 위한 블라인드가 부착되는 커튼프레임의 길이가 가변적으로 늘어나도록 하여 도어커튼을 사용할 때에는 도어 글라스의 전면을 최대한 차광하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어 글라스 하단부에 적은 공간을 차지하며 위치도록 하는 전동식 도어커튼 작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도어커튼 작동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커튼 작동장치의 작동 전 및 작동 후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글라스 10 : 구동모터
10a : 작동암 20 : 링크부
21 : 제 1링크 22 : 제 2링크
23 : 제 3링크 30 : 프레임
30a: 블라인드 40 : 슬라이더
p : 연결핀 h : 고정힌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 글라스를 통해 차 실내로 유입되는 태양광을 차단하기 위한 자동차의 도어커튼 작동장치에 있어서, 도어에 내장되어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일측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며, 고정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타측이 도어 글라스 상부로 이동되는 링크부;
상기 링크부의 타측 끝단에 연결되며, 블라인드가 설치되는 양분된 프레임;
상기 양분된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도록 그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장되어 도어 글라스의 폭만큼 프레임이 늘어나도록 하는 슬라이더;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커튼 작동장치의 작동 전 및 작동 후 상태도이다.
여기서 살펴보면, 도어 글라스(1)의 하부에 해당되는 도어내부, 즉 도어트림과 도어 인너 패널 사이의 공간부에는 구동모터(10)가 내장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10)는 본 발명의 도어커튼을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으로서 구동모터(10)에는 소정길이의 작동암(10a)이 마련된다. 이 작동암(10a)은 구동모터(10)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그 길이만큼의 회전반경을 가지며 설정된 경로상에서 회동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0)와 링크부(20)의 일측이 연결되는데 이 링크부(20)는 고정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타측이 도어 글라스(1)의 상부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링크부(20)는 서로 다른 세 개의 링크 즉, 제 1링크(21), 제 2링크(22) 및 제 3링크(23)로 구분되는데 제 1링크(21)는 상기 구동모터(10)의 작동암(10a)과 연결핀(p)을 통해 연결되고, 제 2링크(22)는 상기 제 1링크(21)와 연결핀(p)을 통해 링크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링크(22)는 고정힌지(h)를 매개로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 고정힌지(h)를 회전중심축으로 회전되어 제 2링크(22)의 일측 끝단이 도어글라스(1)의 상부 실내측으로 돌출가능하게 되어있다.
한편, 상기 제 2링크(22)와 연결핀(p)을 통해 연결되는 제 3링크(23)는 프레임(30)과 연결되는데 그 프레임(30)에는 본 발명의 도어커튼에서 차광을 위한 블라인드(30a)가 설치된다. 즉, 천 재질의 블라인드(30a)는 도어 글라스(1)의 폭만큼 가공되어 프레임(30)에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30)이 도어 글라스(1) 상단으로 올라가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링크부(20)의 구조 및 고정힌지(h)의 위치에 의하여 프레임(30) 양단에는 밖으로 벌어지려는 힘이 작용되는 바,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장치가 원활하게 작동되기 위해서는 프레임(30)이 도어 글라스(1)의 상단에 있을 때는 프레임(30)의 길이가 늘어나야 하고, 프레임(30)이 도어 글라스(1)의 하단에 있을 때는 늘어났던 길이가 다시 줄어들어야 한다.즉, 상기 프레임(30)의 길이가 프레임(30)의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30)은 내부가 빈 상태로 양분되고, 그 양분된 프레임(3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프레임(30)의 내부에는 소정길이의 슬라이더(40)가 프레임(30)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여기서, 상기 슬라이더(40)는 일종의 막대와 같은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일직선 상에 놓이는 두 개의 프레임(30)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두 프레임(30)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데, 프레임(30)이 도어 글라스(1)의 상단으로 올라가게 되면 프레임(30)의 양끝단이 밖으로 벌어지려는 힘에 의해 슬라이더(40)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두개의 프레임(30)을 연결하여 실질적으로 프레임(30)의 길이 신장을 가능케 하고, 상기 프레임(30)이 도어 글라스(1)의 하단으로 내려가게 되면 벌어졌던 프레임(30)이 슬라이더(40)를 따라 가운데로 모아지게 되고 이때, 슬라이더(40)는 프레임(30)의 내부로 슬라이딩되면서 완전히 삽입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프레임(30)의 양 끝단이 잡아당겨지면 그 내부에 삽입되어 있던 슬라이더(40)가 나오게 되어 결국 상기 프레임(30)이 소정 길이만큼 신장되는 것이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어 글라스(1)로 유입되는 직사광선을 차광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어커튼을 작동시키고자 할 때 일측에 설치된 작동스위치(미도시)를 on시키면 도어에 내장된 구동모터(10)가 동작되고 이 구동모터(10)의 작동암(10a)은 제 1링크(21)를 잡아당겨 고정힌지(h)를 회전중심으로 제 2링크(22)를 회전시키고 이 제2링크(22)와 연결된 제 3링크(23)가 도어글라스(1) 면을 향하여 펼쳐져서 프레임(30)을 도어 글라스(1) 상단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 3링크(23)와 연결된 프레임(30)의 위치는 상기 고정힌지(h)의 위치보다 바깥에 위치하게 됨으로 프레임(30)이 상승됨과 동시에 프레임(30)에 바깥쪽으로 향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되고 이에 의하여 프레임(30)은 분리된 부분의 내부에 삽입되었던 슬라이더(40)가 나오면서 그 길이가 신장되어 보다 광범위하게 직사광선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작동스위치(미도시)를 off 상태로 하면 상기 구동모터(10)가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제 1링크(21), 제 2링크(22) 및 제 3링크(23)를 이동시켜 상기 프레임(30)은 도어 글라스(1)의 하단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 1링크(21)와 제 2링크(22)가 연결된 부위가 고정힌지(h) 축보다 바깥에 위치되므로 상기 프레임(30)은 내려오면서 안쪽으로 당겨지는 외력이 가해지게 되고 이에 의하여 노출되었던 슬라이더(40)가 다시 프레임(30) 내부로 들어가면서 프레임(30)의 길이가 줄어들어 도어 글라스(1) 하단에 위치 될 때는 보다 작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외관상 보기 좋고 또한 도어커튼 작동장치가 설치되는 패키지 트레이(package tray)에 다른 옵션을 설치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이 확보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블라인드가 설치된 커튼프레임이 도어 글라스의 상단으로 상승되어 도어커튼을 사용중일 때는 커튼프레임의 길이가 늘어나서 보다 광범위하게 도어 글라스 전체를 차광하므로 차광효과가 매우 높고, 도어커튼을 사용하지 않을 때와 같이 커튼프레임이 도어 글라스의 하단에 위치될 때는 큰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커튼프레임의 길이가 줄어들어서 외관상 보기 좋을 뿐만 아니라 도어에 설치되는 또 다른 옵션을 설치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확보되어공간 활용도 면에서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도어 글라스(1)를 통해 차 실내로 유입되는 태양광을 차단하기 위한 자동차의 도어커튼 작동장치에 있어서,
    도어에 내장되어서 동력을 제공하며 일측으로 작동암(10a)이 마련된 구동모터(10);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암(10a)과 일측이 연결되며, 고정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타측이 도어 글라스(1) 상부로 이동되는 링크부(20);
    상기 링크부(20)의 타측 끝단에 연결되며, 블라인드(30a)가 설치되는 양분된 프레임(30);
    상기 양분된 프레임(30)이 서로 연결되도록 그 양분된 프레임(3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프레임(30)이 도어 글라스(1)의 상단에 위치할 때 도어 글라스(1)의 폭만큼 프레임(30)이 늘어나도록 하는 슬라이더(40);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커튼 작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20)는 제 1링크(21), 제 2링크(22) 및 제 3링크(23)로 구분되어서 제 1링크(21)는 상기 구동모터(10)와 연결되고, 제 2링크(22)는 고정힌지(h)를 가지며 상기 제 1링크(21)와 연결되고, 제 3링크(23)는 제 2링크(22) 및 프레임(30)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커튼 작동장치.
  3. 삭제
KR10-2001-0052042A 2001-08-28 2001-08-28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커튼 작동장치 KR100435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042A KR100435861B1 (ko) 2001-08-28 2001-08-28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커튼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042A KR100435861B1 (ko) 2001-08-28 2001-08-28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커튼 작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350A KR20030018350A (ko) 2003-03-06
KR100435861B1 true KR100435861B1 (ko) 2004-06-12

Family

ID=27721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042A KR100435861B1 (ko) 2001-08-28 2001-08-28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커튼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58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01457A (zh) * 2019-12-31 2020-06-19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一种高速列车的应急车窗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1078A (ko) * 1996-06-28 1998-03-30 양재신 자동차용 자동커튼
JPH10193968A (ja) * 1997-01-07 1998-07-28 Asmo Co Ltd 車両用ブラインド装置
KR19980044852A (ko) * 1996-12-09 1998-09-15 박병재 자동차용 전면 윈도우의 햇빛 차단장치
KR0169637B1 (ko) * 1995-12-28 1999-01-15 김태구 자동차의 차광장치
KR0125329Y1 (ko) * 1994-11-19 1999-05-15 정몽원 자동차의 차광막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329Y1 (ko) * 1994-11-19 1999-05-15 정몽원 자동차의 차광막 개폐장치
KR0169637B1 (ko) * 1995-12-28 1999-01-15 김태구 자동차의 차광장치
KR980001078A (ko) * 1996-06-28 1998-03-30 양재신 자동차용 자동커튼
KR19980044852A (ko) * 1996-12-09 1998-09-15 박병재 자동차용 전면 윈도우의 햇빛 차단장치
JPH10193968A (ja) * 1997-01-07 1998-07-28 Asmo Co Ltd 車両用ブラインド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01457A (zh) * 2019-12-31 2020-06-19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一种高速列车的应急车窗结构
CN111301457B (zh) * 2019-12-31 2021-02-02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一种高速列车的应急车窗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350A (ko) 200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6020A (en) Retractable vehicle backlight apparatus
WO2004020235A3 (en) Device and method for shading a window
KR100435861B1 (ko)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커튼 작동장치
US6318788B1 (en) Motorized automobile sunshade
KR200477555Y1 (ko) 자동차의 이중창문 장치
KR200414708Y1 (ko) 차량용 차광기구
KR200211117Y1 (ko) 차량용 차광장치
JPH09175185A (ja) 車両用サンルーフ装置
JP3233095U (ja) 車両用サンバイザー
JPH0640254A (ja) 車両用カーテン装置
JP3641097B2 (ja) 調光装置
KR100844420B1 (ko) 중대형차량의 전동식 선바이저 장치
CN104648095A (zh) 遮阳防眩装置
KR100534340B1 (ko) 자동차용 블라인드 장치
CN209921009U (zh) 一种遮阳装置及车辆
KR20090094542A (ko) 자동차의 선루프 디플렉터
KR100368374B1 (ko) 자동차용 도어커튼
KR200203863Y1 (ko) 자동차 도어용 이중창 구조
KR20040106744A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KR20000009963U (ko) 자동차용 윈도우 개폐장치
KR100534270B1 (ko) 파워윈도우 작동모터 보호 장치
KR20020055682A (ko) 자동차 리어윈도우 글래스용 커튼 구동장치
KR100559570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JP2002029254A (ja) 車輌用サンバイザー
KR19980046834U (ko) 차량의 리어 글래스용 커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