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8374B1 - 자동차용 도어커튼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커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8374B1
KR100368374B1 KR10-2000-0027104A KR20000027104A KR100368374B1 KR 100368374 B1 KR100368374 B1 KR 100368374B1 KR 20000027104 A KR20000027104 A KR 20000027104A KR 100368374 B1 KR100368374 B1 KR 100368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pipe
door
fram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5964A (ko
Inventor
백승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7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8374B1/ko
Publication of KR20010105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3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3Mounting arrangements for roller blind or its storage box, e.g. integration into beltline or window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커튼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동차도어의 도어트림과 인너패널 사이에 파이프형 몸체를 설치하고 블라인드의 상단을 자동차도어 상단부분의 걸고리에 걸어 사용함으로써 윈도우 글래스를 폐쇄시킨 상태는 물론 개방시킨 상태에서도 블라인드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도어(20)의 도어트림(24)과 인너패널(22) 사이에 설치되며 긴 파이프(10)를 관통하여 축(12)이 관통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10)가 원래위치로 복귀되려는 힘을 받도록 축(12)과 파이프(10) 사이에는 한쪽 끝단이 각각 연결된 스프링(14)이 설치되고 상기 축(12)의 양단에 브래킷(16)이 설치된 파이프지지수단; 상기 파이프(10)의 외면에 한쪽 끝단이 고정되어 두루마리형으로 감기며 다른 한쪽 끝단에 걸고리구멍(34)을 갖는 막대형의 프레임(32)이 고정된 블라인드(30); 이 블라인드(30) 상단의 프레임(32)에 형성된 걸고리구멍(34)을 관통하여 걸리도록 도어윈도우프레임(25)에 고정되는 걸고리(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커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윈도우 글래스를 개방시킨 상태에서도 블라인드의 설치 사용이 가능하고 블라인드의 상단부분에 수평으로 와이어로 인해 블라인드의 지지되지 않은 부분이 접히거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커튼{Door Curtain for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커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도어트림과 인너패널 내부에 차광 내지 객실보호가 가능한 블라인드를 설치하여 필요시 수동으로 윈도우 글래스를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커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윈도우 글래스는 자동차를 운전하는 경우의 시계확보와 쾌적한 차실내 거주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나 하절기와 같이 일조량이 많은 경우는 윈도우 글래스를 통해서 직사광선이 다량으로 투광되므로 차실내의 온도상승과 더불어 운전자의 눈부심 등으로 안전운전에도 방해가 된다. 또한 차실내의 상황을 외부로부터 보호받아야 할 경우에도 사생활을 침해받을 수 있어 불편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윈도우 글래스에 썬팅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썬팅은 한번 부착하면 제거가 용이하지 않고 사용필름의 광투과율에 따라 다른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므로 안전운전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특히, 야간운전시 운전자의 양측방 및 후방시계가 방해받게 되므로 사고로 이어지는 일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파이프형 몸체에 2개의 밀착패드가 부착되고 그 내부에는 스프링에 의해 원래위치로 복원되도록 파이프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상기 파이프에는 두루마리형으로 블라인드가 감겨져 있고 상기 블라인드의 끝단에 2개의 밀착패드가 부착된 블라인드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블라인드는 윈도우 글래스의 하단부분에 파이프형 몸체의 밀착패드를 부착하고 블라인드를 꺼내어 그 상단의 밀착패드를 윈도우 글래스의 상단부분에 부착하여 사용한다. 그러므로 자동차 도어의 윈도우 글래스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윈도우 글래스를 열 수 없고 윈도우 글래스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설치할 수 없으며, 윈도우 글래스에 부착시킨 밀착패드가 블라인드를 원래위치로 복원시키려는 힘을 지탱하지 못하고 자주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자동차도어의 도어트림과 인너패널 사이에 파이프형 몸체를 설치하고 블라인드의 상단을 자동차도어 상단부분의 걸고리에 걸어 사용함으로써 윈도우 글래스를 폐쇄시킨 상태에서는 물론 개방시킨 상태에서도 블라인드의 설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커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라인드의 상단부분에 수평으로 와이어를 설치하여 블라인드가 지지되지 않은 부분의 접힘 내지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커튼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커튼을 나타낸 정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도어커튼에서 파이프의 지지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도어커튼이 도어트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커튼의 블라인드를 윈도우 글래스에 사용중인 상태의 정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커튼의 블라인드를 윈도우 글래스에 사용중인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파이프 12: 축 14: 스프링
16: 브래킷 18: 방진 링 20: 자동차도어
21: 아웃타패널 22: 인너패널 23: 윈도우 글래스
24: 도어트림 25: 도어윈도우프레임 30: 블라인드
32: 프레임 34: 걸고리구멍 36: 손잡이
38: 와이어 40: 걸고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도어의 도어트림과 인너패널 사이에 설치되며 긴 파이프를 관통하여 축이 관통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가 원래위치로 복귀되려는 힘을 받도록 축과 파이프 사이에는 한쪽 끝단이 각각 연결된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축의 양단에는 브래킷이 설치된 파이프지지수단; 상기 파이프의 외면에 한쪽 끝단이 고정되어 두루마리형으로 감기며 다른 한쪽 끝단에 걸고리구멍을 갖는 막대형의 프레임이 고정된 블라인드; 이 블라인드 상단의 프레임에 형성된 걸고리구멍을 관통하여 걸리도록 도어윈도우프레임에 고정되는 걸고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커튼이다.
상기 블라인드의 상단부분에는 블라인드의 폭보다 작은 길이의 프레임으로 고정되어 걸리더라도 블라인드의 처짐을 방지하는 와이어가 수평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커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자동차용 도어커튼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커튼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2a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도어커튼에서 파이프의 지지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도어커튼이 도어트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 도어(20)의 아웃터패널(21)과 인너패널 (22) 사이에는 윈도우 글래스(23)가 별도의 조작기구에 승강되게 설치되어 있고 인너패널(22)과 도어트림(24) 사이에는 파이프지지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긴 파이프(10)를 관통하여 축(12)이 관통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파이프(10)가 원래위치로 복귀되려는 힘을 받도록 축(12)과 파이프(10) 사이에는 한쪽 끝단이 각각 연결된 스프링(1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축(12)의 양단에는 이 축(1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래킷(16)이 설치되고 이 브래킷(16)은 복수개의 체결부재(도시되지 않았음)를 이용하여 인너패널(22)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10)를 관통하는 축(12)은 길고 가늘기 때문에 축(12)의 진동과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한 방진 링(18)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10)의 외면에는 한쪽 끝단이 고정되어 두루마리형으로 감긴 블라인드(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블라인드(30)의 다른 한쪽 끝단에는 걸고리구멍(34)을 갖는 막대형의 프레임(32)이 고정되어 있고 그 중앙부분에는 블라인드(30)의 상단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손잡이(3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블라인드(30)의 양측가장자리에는 별도의 부드러운 재료로 감싸되 그 폭을 4㎜정도로 하고 초음파융착 내지 재봉하여 마무리한다.
상기 블라인드(30)의 상단부분에는 블라인드(30)의 폭보다 작은 길이의 프레임(32)으로 고정되어 걸리더라도 블라인드(30)의 처짐을 방지하는 와이어(38)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자동차 도어(20)의 도어윈도우프레임(25)에는 프레임(32)의 걸고리구멍 (34)과 상응하는 위치에 걸고리(40)가 설치되며 이 걸고리(40)는 상기 블라인드 (30) 상단의 프레임(32)에 형성된 걸고리구멍(34)을 관통하여 걸리도록 형성되어야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도어커튼은 자동차도어(20)의 아웃터패널(21)과 인너패널(22) 사이에서 별도의 승강기구에 승강되게 설치되고 상기 인너패널(22)과 그 안쪽의 도어트림(24) 사이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서, 자동차도어(20)의 도어트림(24)과 인너패널(22) 사이에 위치되게 축(12) 양단의 브래킷(16)을 복수개의 체결부재로 인너패널(22)에 장착한다. 이때, 파이프(10)는 스프링(14)이 갖는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블라인드(30)가 감겨지게 되므로 상기 블라인드(30)상단의 프레임(32)에 형성된 손잡이(36)가 도어트림(24)의 상단에 걸린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블라인드(30)상단의 프레임(32)에 형성된 손잡이(36)를 잡고 상부로 올려 인출한 후 도어윈도우프레임(25)에 장착된 걸고리(40)가 프레임(32)의 걸고리구멍(34)으로 끼워지게 걸어놓는다(도 4a참조). 상기 블라인드(30)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한 와이어(38)는 블라인드(30)의 일부분만이 프레임(32)으로 고정되어 있어도 블라인드(30)가 접히거나 처짐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블라인드(30)가 인출되면 될수록 축(12)에 대하여 파이프(10)가 상대적으로 회전되게 되므로 파이프(10)는 스프링(14)의 자체탄성에 의해 원래위치로 복귀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자동차도어(20)의 윈도우 글래스(23)를 열거나 닫음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승객이 원하는 대로 열거나 닫을 수 있다.
이렇게 자동차도어(20)의 윈도우 글래스(23)에 블라인드(30)를 설치 사용하면 외부로부터 차실내로 유입되는 가시광선을 차단하여 실내가 쾌적하고, 특히 여름철의 에어컨 사용에 따른 실내 냉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차실내의 상황을 외부로부터 보호받을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블라인드(30)를 설치하여 사용하다가 블라인드(30)를 걷고자 할 때에는 프레임(32)의 손잡이(36)를 잡고 걸고리(40)로부터 프레임(32)의 걸고리구멍(34)이 해제되게 한 후 서서히 내려놓으면 파이프(10)에 걸려있는 스프링(14)의 복원력으로 인해 파이프(10)가 회전되면서 블라인드(30)가 감기게 된다.
상기 블라인드(30)가 완전히 파이프(10)에 감기면 프레임(32)의 손잡이(36)부분이 도어트림(24)의 상단에 걸린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도 3 및 도 4b참조).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윈도우 글래스를 폐쇄시킨 상태에서만 설치가 가능한 종래 기술과는 달리 본 발명의 자동차용 도어커튼은 자동차의 도어트림과 인너패널 사이에 파이프형 몸체를 설치하고 블라인드의 상단을 자동차도어 상단부분의 걸고리에 걸어 사용함으로써 윈도우 글래스를 폐쇄시킨 상태는 물론 개방시킨 상태에서도 블라인드의 설치 사용이 가능한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블라인드의 상단부분에 수평으로 와이어를 설치하여 지지되지 않은 블라인드부분의 접힘 내지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정정) 자동차도어(20)의 도어트림(24)과 인너패널(22) 사이에 설치되며 긴 파이프(10)를 관통하여 축(12)이 관통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10)가 원래위치로 복귀되려는 힘을 받도록 축(12)과 파이프(10) 사이에는 한쪽 끝단이 각각 연결된 스프링(14)이 설치되고 상기 축(12)의 양단에 브래킷(16)이 설치된 파이프지지수단과; 상기 파이프(10)의 외면에 한쪽 끝단이 고정되어 두루마리형으로 감기며 다른 한쪽 끝단에 걸고리구멍(34)을 갖는 막대형의 프레임(32)이 고정된 블라인드(30)와; 이 블라인드(30) 상단의 프레임(32)에 형성된 걸고리구멍(34)을 관통하여 걸리도록 도어윈도우프레임(25)에 고정되는 걸고리(40)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도어커튼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30)의 상단에서 소정 거리만큼 아래로 이격되어 상기 블라인드(30)의 접힘 내지 처짐을 방지하는 와이어(38)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32)의 중앙부분에는 블라인드(30)의 상단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3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커튼.
  2. (삭제)
  3. (삭제)
KR10-2000-0027104A 2000-05-19 2000-05-19 자동차용 도어커튼 KR100368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104A KR100368374B1 (ko) 2000-05-19 2000-05-19 자동차용 도어커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104A KR100368374B1 (ko) 2000-05-19 2000-05-19 자동차용 도어커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964A KR20010105964A (ko) 2001-11-29
KR100368374B1 true KR100368374B1 (ko) 2003-01-24

Family

ID=19669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104A KR100368374B1 (ko) 2000-05-19 2000-05-19 자동차용 도어커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83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362U (ko) * 2011-03-03 2012-09-12 마카오토 인더스트리얼 코., 엘티디. 차양 어셈블리를 위한 당김 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818Y1 (ko) * 2019-09-18 2022-01-05 주식회사 에스비글로벌 차량용 햇빛가리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8943A (ja) * 1993-05-26 1994-11-2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自動車用日除け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8943A (ja) * 1993-05-26 1994-11-2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自動車用日除け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362U (ko) * 2011-03-03 2012-09-12 마카오토 인더스트리얼 코., 엘티디. 차양 어셈블리를 위한 당김 바 장치
KR200481508Y1 (ko) 2011-03-03 2016-10-24 마카오토 인더스트리얼 코., 엘티디. 차양 어셈블리를 위한 당김 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964A (ko) 200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5370A (en) Window shade and vehicle window combination
US6523880B1 (en) Car window and sunscreen assembly
US5133585A (en) Visor for automobiles
JPS616018A (ja) 放射よけをもつ車両用サンル−フ
US20070068638A1 (en) Anti-wind buffeting device for an automobile
KR100368374B1 (ko) 자동차용 도어커튼
US20120256442A1 (en) Sun protection apparatus for automobile driver or passenger
US7121610B2 (en) Combination shade and handle device
KR101271947B1 (ko) 자동차의 선루프용 롤러블라인드
US20030214147A1 (en) Dual purpose vehicle shade
JP2002528338A (ja) 車両のフロントガラス用光防護装置
KR200280288Y1 (ko) 자동차용 차양막
KR200423339Y1 (ko) 자동차용 차양막
KR100534340B1 (ko) 자동차용 블라인드 장치
KR100997247B1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JP2021154899A (ja) 日除け簡易パネルの取付け構造
KR200427497Y1 (ko) 자동차용 햇빛가리개겸용 방충망
JP3067902U (ja) 自動車フロント窓ガラス用台形巻き取り、巻き戻し式遮光カ―テン。
KR20090132743A (ko) 자동차용 방충망 겸 블라인드
KR200182078Y1 (ko) 자동차용 햇빛가리개
KR20040027157A (ko) 차량용 차양 구조
JP3119898U (ja) 自動車用補助日除け
KR0131760Y1 (ko) 자동차의 선 바이저
KR20040027156A (ko) 차량용 차양 장치
KR20040027159A (ko) 차량용 차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