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4209B1 - 반사경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램프 - Google Patents
반사경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램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04209B1 KR100504209B1 KR10-2002-0081675A KR20020081675A KR100504209B1 KR 100504209 B1 KR100504209 B1 KR 100504209B1 KR 20020081675 A KR20020081675 A KR 20020081675A KR 100504209 B1 KR100504209 B1 KR 1005042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ming
- nut member
- ball
- screw
- reflecto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7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electrical means including means to transmit the movements, e.g. shafts or joi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 B60Q1/0683—Adjustable by rotation of a screw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5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aesthetic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corative trim, partition walls or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2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headlamps
- B60Q2200/30—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headlamps, e.g.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s for adjusting the lamps
- B60Q2200/32—Ball-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사경의 진동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에이밍 스크류의 스무스한 회동을 확보하고, 또한 반사경의 형상 및 반사경 성형용 금형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지 않는 컴팩트한 반사경 가동형 헤드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등실을 구획하는 램프 본체(10) 및 전방면 렌즈(12)와, 등실에 수용된, 광원(18)을 장착한 반사경(14)과, 램프 본체(10)와 반사경(14) 사이에 개재되어, 반사경(14)을 램프 본체(10)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는 에이밍 기구(E)를 구비하고, 에이밍 기구(E)는 에이밍 지점(P)과, 에이밍 스크류(30, 40)와, 반사경(14)에 장착되어 에이밍 스크류(30, 40)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 부재(130A, 130B)로 구성되며, 램프 본체(10)에 형성한 활주 가이드(230A, 230B)로 너트 부재(130A, 130B)를 안내하며, 너트 부재(130A, 130B)와 브래킷(150a, 150b)의 장착부에 볼 조인트 구조의 응력 해방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반사경 가동형 헤드램프로, 암나사부(132)를 형성한 너트 부재 본체(131) 자체에 볼 조인트의 볼부(131)를 형성하고, 볼부(131)의 측방으로 활주 가이드(230A, 230B)에 의해 지지되는 슬라이더(137)를 일체로 형성하여, 브래킷(150a, 150b)에 장착한 베어링(160A, 160B)의 볼 받침부(162)로 너트 부재의 볼부(131)를 지지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원을 장착한 반사경이 에이밍 기구에 의해서 램프 본체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게 지지된 반사경 가동형의 자동차용 헤드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이밍 기구 구성 부재인 에이밍 스크류에 나사 결합하는 에이밍 점 구성 부재인 너트 부재가 램프 본체에 형성한 너트 활주 가이드에 의해서 지지된 구조의 반사경 가동형의 자동차용 헤드램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반사경 가동형의 자동차용 헤드램프는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을 장착 일체화한 합성 수지제 반사경(2)이 합성 수지제 램프 본체(1)의 전방면측에서, 1개의 틸팅 지점인 볼 조인트와, 2개의 에이밍 스크류에 각각 나사 결합하여 축 방향으로 진퇴 가능한 이동 지점인 2개의 너트 부재로 구성된 에이밍 기구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즉, 에이밍 스크류(4)는 램프 본체(1)에 설치된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램프 본체(1)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에이밍 스크류(4)의 나사부(4a)에는 반사경(2)에 연장 형성된 브래킷(2a)에 장착된 합성 수지제 너트 부재(5)가 나사 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에이밍 스크류(4)를 회동함으로써, 너트 부재(5)가 에이밍 스크류(4)를 따라서 진퇴하여, 볼 조인트와 다른 에이밍 스크류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 부재를 연결하는 틸팅축 주위에 반사경(2)이 틸팅하고, 이에 의해서 램프의 광축을 조정할 수 있다.
에이밍 스크류(4)는 금속제이며, 그 후단부에는 관형 톱니바퀴(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드라이버(D)를 사용하여 에이밍 스크류(4)를 회동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램프 본체(1)의 후방에서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a)에 삽입 관통된 에이밍 스크류(4)는 금속제 푸쉬온 고정구(8)에 의해서 전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정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에이밍 스크류(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a)에는 시일재인 O링(9)이 개재되어, 에이밍 스크류(4)의 회전 지지부에 있어서의 방수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구조의 에이밍 기구를 갖춘 헤드램프에서는,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a)에 의해서 외팔보 지지된 에이밍 스크류(4)의 선단부에 반사경(2)의 중량(W)이 작용하여, 에이밍 스크류(4)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a)에 대해 요동하여 반사경(2)이 진동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금속제 푸쉬온 고정구(8)에 의해서, 에이밍 스크류(4)를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a)의 주연부에 강하게 압접시켜 유지하도록 하여 에이밍 스크류(4)의 요동[반사경(2)의 진동]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푸쉬온 고정구(8)에 의한 에이밍 스크류(4)의 협지력을 높일 경우, 에이밍 스크류(4)의 회동성이 손상되어 에이밍 조작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일본 특허 출원 제2000-165437호(2000년 6월 2일 출원)를 제안하였다. 이것은,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 부재를, 에이밍 스크류(4)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너트 부재 본체(5)의 측방에, 반사경(2) 측의 브래킷(2a)과의 장착부인 결합 돌출부(6)와, 램프 본체(1)에 설치한 활주 가이드(8)와의 슬라이드 결합부인 슬라이더부(7)를 정면에서 보아 직교하도록 일체로 형성한 구조로 하여, 슬라이더부(7)를 활주 가이드(8)로 지지하고 또한 유지함으로써, 에이밍 스크류(4)에 작용하는 반사경(2) 측의 중량 부하를 경감하여, 반사경(2)의 요동(진동)을 억제한다고 하는 것이다. 도면 부호 9는 전방면 렌즈, 도면 부호a는 에이밍 지점, 도면 부호 Lx는 수평 틸팅축, 도면 부호 Ly는 수직 틸팅축을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 기술(일본 특허 출원 2000-165437호)에서는, 반사경(2) 측의 중량 부하가 활주 가이드(8)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에이밍 스크류(4)에 반사경(2) 측의 중량 부하가 굽힘 모멘트로서 작용하지 않지만, 에이밍 스크류(4)에 나사 결합하고 있는 너트 부재 본체(5)의 측방에 오프셋하여 설치된 결합 돌출부(6)에 작용하는 반사경측의 관성 중량에 의해서, 비틀림 모멘트가 너트 부재에 생겨, 반사경의 진동을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도 31에 흰색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비틀림 모멘트가 반복해 너트 부재에 작용하면, 너트 부재가 에이밍 스크류에 대하여 멋대로 회동하여, 적정한 에이밍을 할 수 없을 우려도 있다는 문제도 제기되었다.
또한, 너트 부재는 정면에서 보아 T자형 또는 L자형이기 때문에, 그 만큼 부피가 늘어, 램프 본체가 대형화되다고 하는 문제도 생겼다.
그래서 상기한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원인은 일본 특허 출원 2000-400085호(2000년 12월28일 출원)를 제안하였다. 이것은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이밍 스크류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 부재 본체 자체가 볼부(5a)를 구성하는 동시에, 반사경측의 브래킷(2a)에 볼 받침부를 구성하는 결합 구멍(2b)을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일본 특허 출원 2000-400085호에서는, 상기한 여러 가지 문제는 해결되지만, 반사경측의 브래킷에 볼 받침부(결합 구멍 혹은 2b)를 형성하기 때문에, 브래킷의 구조 및 반사경 성형용 금형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그 만큼 제조 비용이 많아진다고 하는 새로운 문제가 제기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 및 선행 기술의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반사경의 진동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에이밍 스크류의 스무스한 회동을 확보할 수 있고, 더욱이 반사경의 형상 및 반사경 성형용 금형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는 일이 없는 컴팩트한 반사경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램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따른 반사경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램프에 있어서는, 용기형의 램프 본체와, 등실을 구획하도록 상기 램프 본체의 전방면 개구부에 셋팅된 전방면 렌즈와, 상기 등실에 수용된, 광원을 장착한 반사경과, 상기 램프 본체와 반사경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반사경을 램프 본체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는 에이밍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에이밍 기구는 상기 반사경의 틸팅 지점을 구성하는 에이밍 지점과, 상기 램프 본체에 설치한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전방으로 연장하는 에이밍 스크류와, 상기 반사경측의 브래킷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에이밍 스크류에 나사 결합하여, 에이밍 스크류의 회동에 연계하여 전후 진퇴하는 에이밍 점 구성 부재인 합성 수지제 너트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램프 본체에는 상기 에이밍 스크류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너트 부재를 유지하며 또한 전후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트 활주 가이드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에이밍 점을 구성하는 상기 너트 부재와 상기 브래킷의 장착부에는 너트 부재의 진퇴에 따라 상기 장착부에 생기는 응력을 해방시키는 볼 조인트 구조의 응력 해방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반사경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램프로서,
상기 너트 부재는 암나사부를 형성한 너트 부재 본체 자체가 상기 볼 조인트의 볼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너트 부재 본체의 측방으로 오프셋한 위치에 상기 너트 활주 가이드에 의해서 지지되는 슬라이더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상기 브래킷에는 합성 수지제 베어링을 장착하고, 상기 베어링에는 상기 볼부를 지지하는 볼 받침부 및 상기 에이밍 스크류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전후 관통 구멍을 형성하도록 구성하였다.
램프 본체에 일체 형성된 너트 활주 가이드가, 에이밍 스크류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 부재(이것에 작용하는 반사경의 중량)를 유지하기 때문에, 에이밍 스크류에는 반사경의 중량에 의한 굽힘 모멘트가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에이밍 스크류의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대한 요동, 즉 반사경의 진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푸쉬온 고정구 등에 의한 에이밍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에 있어서의 협지력을 종래보다도 약하게 하여 에이밍 스크류의 스무스한 회동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너트 부재에 대한 반사경측의 중량의 작용점이 너트 부재와 에이밍 스크류의 나사 결합부에 일치하기 때문에, 반사경측의 중량에 기인한 비틀림 모멘트가 너트 부재에 작용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반사경이 진동하거나, 너트 부재가 에이밍 스크류에 대하여 멋대로 회동할 우려가 없다.
또한, 반사경이 램프 본체에 대하여 틸팅할 때나, 광원의 발열에 기인하여 반사경이 열팽창할 때 등에, 너트 부재와 브래킷의 장착부(에이밍 스크류와 반사경 사이)에 발생하려고 하는 응력은 너트 부재와 브래킷의 장착부에 마련된 볼 조인트 구조의 응력 해방 수단(너트 부재의 볼부와 브래킷에 장착된 베어링의 볼 받침부로 구성하는 볼 조인트)에 의해서 해방된다.
한편, 반사경의 틸팅(틸팅 중심축 주위의 원 운동)과 너트 부재의 진퇴(에이밍 스크류에 따른 직선 운동)의 이동 궤적이 상이함에 따라 브래킷과 베어링 사이의 장착부에 생기는 응력은 브래킷의 베어링 삽입 부착 구멍과 베어링 사이에, 부하 작용 방향으로 베어링이 활주할 수 있는 간극을 마련해 둠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에이밍 스크류의 회동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진퇴하는 너트 부재는 너트 활주 가이드에 의해서, 에이밍 스크류에 따른 방향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너트 부재와 에이밍 스크류의 나사 결합부의 마찰 토크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너트 활주 가이드를 에이밍 스크류 배치 위치의 측방으로 오프셋한 위치(램프 본체와 반사경 사이가 넓은 스페이스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틸팅하는 반사경과 너트 활주 가이드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너트 부재는 너트 부재 본체의 측방으로 슬라이더부를 일체로 형성한 컴팩트한 구조로, 그 만큼 램프 본체와 반사경 사이의 좁은 스페이스에 너트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반사경측의 브래킷에 볼 받침부(결합 구멍)를 직접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반사경측의 브래킷에 장착하는 컴팩트한 베어링에 볼 받침부를 형성하면 되기 때문에, 볼 받침부를 갖는 베어링을 수지의 성형체로 구성하는 것은 용이하다. 또한 브래킷은 베어링을 장착할 수 있는 심플한 형상으로 형성하면 되기 때문에, 브래킷을 일체로 형성한 반사경의 구조도 복잡하게 하지 않고서, 수지제 반사경 및 알루미늄제 반사경 어느 쪽의 경우라도 성형용 또는 주조용의 금형 구조는 간결하게 된다.
청구항 2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한 반사경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램프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의 볼 받침부를, 측방으로 개구되는 종단면 U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너트 부재 본체의 측방으로 연장하는 막대 형상 연장부를 통해 설치되고, 상기 너트 부재 본체의 암나사부를 사이에 둔 상기 슬라이더 형성측과 반대측에는, 상기 볼 받침부의 바닥(U자 단면 가로 막대 형상부)에 형성한 구멍의 주연부에 결합하여 너트 부재를 베어링에 대하여 빠짐 방지하는 탄성 훅을 연장 형성하여, 상기 너트 부재를 그 탄성 훅측에서 볼 받침부 내로 압입함으로써, 너트 부재 본체인 볼부를 베어링의 볼 받침부에 결합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볼 받침부의 측방 개구부에 너트 부재를 그 탄성 훅측에서 압입하면, 탄성 훅이 볼 받침부의 바닥(U자 단면 가로 막대 형상부)에 형성한 구멍의 주연부에 결합하여, 너트 부재가 베어링에 대하여 빠짐 방지되는 동시에, 볼부가 볼 받침부에 지지된 형태로 유지된다.
슬라이더가 너트 부재 본체의 바로 옆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너트 부재 전체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작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에서는, 청구항 2에 기재한 반사경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램프에 있어서, 상기 볼 받침부의 내측에, 상기 너트 부재 본체인 볼부의 구형 외주면에 정합하는 구형 내주면을 형성하고, 상기 너트 부재 본체 외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탄성 훅 연장 전후 방향과 직교하여 상기 암나사부를 사이에 둔 대향 위치에, 상기 볼 받침부의 내측에 형성한 상기 너트 부재 압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과 홈 폭 방향으로 헐겁게 결합하여 홈 깊이 방향으로 압접하는 도어형 리브를 상기 암나사부를 가로질러 걸치도록 돌출 설치하여, 상기 볼 받침부와 볼부의 상기 암나사부 중심축 주위의 상대 회동을 저지하도록 구성하였다.
도어형 리브의 수평 대들보부의 외측 표면이 볼 받침부 내측에 형성한 홈의 바닥면에 압접되어 볼 받침부와 볼부의 암나사부 중심축 주위의 상대 회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반사경의 슬라이더 폭 방향으로의 요동이 없다. 이 때문에, 너트 부재의 슬라이더가 램프 본체의 상측면 벽 또는 하측면 벽에 형성한 활주 가이드에 지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반사경은 슬라이더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느슨해지는 일없이 지지되며, 너트 부재가 램프 본체의 좌측면 벽 또는 우측면 벽에 형성한 활주 가이드에 지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반사경은 슬라이더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느슨해지는 일없이 지지된다.
한편, 도어형 리브와 홈은 홈 폭 방향으로 헐겁게 결합하여, 볼 받침부와 볼부의 탄성 훅 연장 전후축(Y축) 주위의 회동을 방해하지는 않는다.
특히, 도어형 리브의 수평 대들보부의 외측 표면 및 이 수평 대들보부의 외측 표면이 미끄럼 접촉하는 볼 받침부 내측 홈의 바닥면을 횡단면 원호 형상으로 함으로써, 볼부와 볼 받침부의 탄성 훅 연장 전후축(Y축) 주위의 상대 회동이 원활하게 된다.
청구항 4에서는, 청구항 3에 기재한 반사경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램프에 있어서, L자형 연장부를 통해 볼부인 상기 너트 부재 본체의 후방으로 상기 슬라이더를 설치하여, 상기 베어링을, 상기 볼부를 빠짐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너트 부재의 L자형 연장부에 헐겁게 결합하도록 후방으로 직경이 축소되며 개구하는 볼 받침부를 후단측에 설치한 중공 형상 용기체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중공 형상 용기체를 전후 관통 구멍을 따라 세로로 갈라, 분할면을 서로 맞붙임으로써 베어링으로서 일체화할 수 있는 1쌍의 분할 성형체로 구성하도록 하였다.
볼부를 분할 성형체로 끼워 일체화함으로써, 볼부는 볼 받침부(이것의 직경이 축소되는 후방 개구부)에 빠짐 방지되는 동시에, 볼 받침부에 지지된 형태로 유지된다.
너트 부재와 슬라이더를 접속하는 연장부를 너트 부재 본체의 후방에 설치했기 때문에, 너트 부재 본체 전체를 볼부로 할 수 있어, 그 만큼 볼 조인트(이것의 볼부와 볼 받침부)에 큰 미끄럼 접촉면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가 L자형 연장부를 통해 너트 부재 본체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청구항 2에 나타내는 너트 부재에 비해, 그 전후 방향의 길이는 다소 커지지만, 빠짐 방지용 훅을 측방에 설치하지 않는 만큼 너트 부재 본체에서 슬라이더까지의 길이(너트 부재의 폭 방향의 길이)를 작게 할 수 있다.
청구항 5에서는, 청구항 4에 기재한 반사경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램프에 있어서, 상기 분할 성형체는 각각의 전단부끼리가 두께가 얇은 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1쌍의 분할 성형체가 대응하는 맞붙임면에는 분할 성형체를 베어링으로서 일체화하는 요철 란스 결합부를 형성하도록 구성하였다.
1쌍의 분할 성형체가 두께가 얇은 힌지로 접속되어 베어링으로서 일체화되어 있어 취급에 편리하다. 또한, 힌지 주위로 회동하여 분할 성형체를 맞붙일 경우, 요철 란스 결합부가 자동적으로 결합하여 베어링으로서 일체화된다. 그리고 일단, 분할 성형체의 요철 란스 결합부를 결합시켜 베어링으로서 일체화하면, 분할 성형체끼리를 간단히 분리할 수 없어 볼부가 볼 받침부로부터 일탈할 우려는 없다.
청구항 6에서는,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반사경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램프에 있어서, 상기 에이밍 스크류를, 아래쪽에 설치된 상기 에이밍 지점에 대하여 위쪽으로 이격하고 또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좌우 1쌍의 에이밍 스크류로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에이밍 지점을 오토 레벨링용 액츄에이터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진퇴하도록 구성하였다.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서 에이밍 지점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로써 반사경이 레벨링 축(좌우의 에이밍 점을 통하는 축) 주위로 틸팅하여, 헤드램프(반사경)의 광축이 상하 방향으로 변화된다. 그리고, 차축의 전후 방향으로의 기울기가, 예컨대 자동차의 무게 중심 위치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검출하는 무게 중심 이동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되어, 이 검출치에 기초하여 액츄에이터가 구동된다. 즉, 헤드램프(반사경)의 광축이 차축에 대하여 항상 일정하게 되도록 반사경이 자동적으로 틸팅 조정(오토 레벨링)된다.
또한, 좌우 1쌍의 에이밍 스크류를 회동하면, 각각의 너트 부재가 에이밍 스크류를 따라서 진퇴하여, 반사경이 에이밍 점을 지나는 가상 수평 틸팅축 주위로 틸팅한다. 또한, 에이밍 지점을 좌우 1쌍의 에이밍 점(에이밍 스크류)의 한쪽의 바로 아래에 배치한 경우에는 에이밍 지점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에이밍 스크류를 회동하면, 너트 부재가 에이밍 스크류를 따라서 진퇴하여, 에이밍 지점과 그 위쪽에 위치하는 다른 에이밍 스크류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 부재와 브래킷 사이의 장착부를 통하는 수직 틸팅축 주위에 반사경이 틸팅한다.
상기한 오토 레벨링이나 에이밍시에 반사경이 램프 본체에 대하여 틸팅할 때나, 광원의 발열에 기인하여 반사경이 열팽창할 때 등에, 너트 부재와 브래킷의 장착부(에이밍 스크류와 반사경 사이)에 발생하려고 하는 응력은 너트 부재와 브래킷의 장착부에 설치된 볼 조인트 구조의 응력 해방 수단(너트 부재의 볼부와 브래킷에 장착된 베어링의 볼 받침부로 구성하는 볼 조인트)에 의해서 해방된다.
또한, 청구항 6에서는, 오토 레벨링 기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너트 부재의 볼부와 베어링의 볼 받침부 사이에서의 회동은 빈번하며, 특히 차량의 정차 및 주행에 상관없이 항상 오토 레벨링하는, 소위 다이내믹 오토레벨링에서는, 볼부와 볼 받침부 사이의 회동은 더욱 빈번하여, 그 만큼 미끄럼 접촉면은 마멸되기 쉽다. 특히, 너트 부재로서는 활주성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제가 일반적이며, 반사경으로서는 강성이 우수한 BMC 등의 수지로 구성하는 것도 일반적이지만, 이러한 경우는, 제2 선행 기술(일본 특허 출원 2000-400085호)에서는, 너트 부재(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볼부와 브래킷(BMC 등의 섬유 혼입 수지)에 형성한 결합 구멍과의 미끄럼 접촉면에 있어서, 볼부 측의 외표면이 결합 구멍 측의 내표면에 나타나는 혼입 섬유에 의해서 깎겨, 볼부와 볼 받침부(결합 구멍) 사이의 매끄러운 움직임이 방해를 받을 우려가 있다. 그러나, 청구항 6에서는, 브래킷에 장착되어 너트 부재의 볼부를 지지하는 베어링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조함으로써, 빈번히 회동하는 볼부와 볼 받침부에서의 마멸이 적고, 장기간에 걸쳐 매끄러운 회동이 보증된다.
청구항 7에서는,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반사경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램프에 있어서, 상기 에이밍 스크류를, 상기 에이밍 지점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된 상하 에이밍 스크류와, 상기 에이밍 지점과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된 좌우 에이밍 스크류로 구성하도록 하였다.
상하 에이밍 스크류의 회동에 의해 너트 부재가 상하 에이밍 스크류를 따라서 진퇴하여, 반사경이 에이밍 지점과 좌우 에이밍 점(좌우 에이밍 스크류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 부재와 브래킷 사이의 장착부)을 지나는 수평 틸팅축 주위로 틸팅한다. 좌우 에이밍 스크류의 회동에 의해 너트 부재가 좌우 에이밍 스크류를 따라서 진퇴하여, 반사경이 에이밍 지점과 상하 에이밍 점(상하 에이밍 스크류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 부재와 브래킷 사이의 장착부)을 지나는 수직 틸팅축 주위로 틸팅한다.
그리고, 에이밍시에 반사경이 램프 본체에 대하여 틸팅할 때나, 광원의 발열에 기인하여 반사경이 열팽창할 때 등에, 너트 부재와 브래킷의 장착부(에이밍 스크류와 반사경 사이)에 발생하려고 하는 응력은 너트 부재와 브래킷의 장착부에 마련된 볼 조인트 구조의 응력 해방 수단(너트 부재의 볼부와 브래킷에 장착된 베어링의 볼 받침부로 구성하는 볼 조인트)에 의해서 해방된다.
또한, 주로, 좌우 에이밍 점에 대응하는 너트 활주 가이드가 반사경의 중량을 유지하는 동시에, 반사경의 상하 방향의 진동을 억제한다. 또한, 상하 에이밍 점에 대응하는 너트 활주 가이드가, 반사경의 좌우 방향의 진동을 억제한다.
또한,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반사경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램프에 있어서, 상기 에이밍 스크류를 합성 수지에 의해서 구성하고, 상기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을, 램프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램프 본체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는 통형부에 의해서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에이밍 스크류의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의해서 지지되는 피지지부의 전단측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하여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을 통과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의 전단측의 주연부에 결합하여 에이밍 스크류를 후방으로 빠짐 방지하는 탄성 걸림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한편, 상기 피지지부의 후단측에는, 상기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의 후단측의 주연부에 압접하여, 에이밍 스크류를 전후 방향으로 정렬 고정하는 스커트형의 탄성 리브를 일체로 형성한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램프 본체의 후방에서 에이밍 스크류를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압입하면, 에이밍 스크류에 있어서의 피지지부의 탄성 걸림부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의 후단측의 주연부에 눌리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직경이 축소되도록 탄성 변형하여 통형부를 통과하여, 탄성 걸림부가 전단측의 주연부에 결합하고, 또한 스커트형 탄성 리브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의 후단측의 주연부에 압접함으로써,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대하여 에이밍 스크류가 축 방향으로 정렬 고정된다.
또한, 에이밍 스크류의 피지지부 후단측에 형성된 스커트형의 탄성 리브는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의 주연부에 압접 및 미끄럼 접촉하여, 에이밍 스크류 피지지부 내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다소라도 저지하는 동시에, 에이밍 스크류를 전후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또한, 탄성 리브 및 램프 본체는 모두 합성 수지제로, 탄성 리브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 주연부 사이의 미끄럼 접촉부에서는 양자의 활동이 확보되어, 에이밍 스크류의 회동을 방해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합성 수지제 탄성 리브는 고무제 O링에 비하여, 물에 의해서 쉽게 열화되지 않는다.
그 결과, 에이밍 스크류에 일체로 형성되어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의 주연부에 압접 또 미끄럼 접촉하는 스커트형의 탄성 리브에 의해서, 에이밍 스크류는 회전 지지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요동 없이 탄성 지지되는 동시에, 에이밍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에 있어서의 방수가 어느 정도 확보되기 때문에, 에이밍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에 푸쉬온 고정구 등의 탄성 부재나 O링 등의 시일 부재를 개재할 필요가 없어져, 그 만큼 에이밍 기구를 구성하는 부품 개수가 감소하여, 에이밍 기구의 구성이 간결하게 되는 동시에, 에이밍 기구의 조립 작업도 간단하게 된다.
또한, 합성 수지제 탄성 리브는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물에 의한 열화는 없고, 에이밍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에 있어서의 장기간에 걸친 탄성 지지와 어느 정도의 방수가 보증된다.
또한, 에이밍 스크류의 피지지부에,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는 원환형의 탄성 방수 리브를 일체로 형성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에이밍 스크류의 피지지부에 형성되어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하는 원환형의 탄성 방수 리브는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 내주면에 압접 상태로 유지되어, 에이밍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에 있어서의 방수를 확보한다.
또한, 이 합성 수지제 방수 리브는 탄성(가요성)을 지니므로, 에이밍 스크류의 피지지부를 통형부(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할 때는, 탄성 방수 리브가 탄성 변형하여, 에이밍 스크류의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으로의 셋팅을 방해하지 않으며, 또한 탄성 방수 리브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 내주면 사이의 미끄럼 접촉부가 에이밍 스크류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합성 수지제 탄성 방수 리브는 고무제 O링에 비하여 물에 의해서 열화되기 어렵다.
그 결과, 에이밍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는 램프 본체 외측의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 주연부에 있어서의 탄성 리브에 의한 방수 수단과,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내부에 있어서의 탄성 방수 리브에 의한 방수 수단의 2곳에 의해서 방수가 이루져 있기 때문에, 그 만큼 에이밍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에 있어서의 방수를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반사경 가동형의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정면도, 도 2는 동 헤드램프의 수평 단면도(도 1에 도시하는 선 II-II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동 헤드램프의 종단면도(도 1에 도시하는 선 III-III에 따르는 단면도), 도 4는 램프 본체, 반사경 및 에이밍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에이밍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를 구성하는 통형부를 나타내며, (a)는 동 통형부의 확대 사시도, (b)는 동 통형부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에이밍 스크류를 나타내고, (a)는 에이밍 스크류의 확대 사시도, (b)는 에이밍 스크류의 확대 측면도, (c)는 에이밍 스크류의 횡단면도(도 6b에 도시하는 선 VI-V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에이밍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 8은 에이밍 스크류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모습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9는 에이밍 지점인 볼 조인트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너트 부재와 베어링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베어링과 브래킷 사이의 장착부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너트 부재를 나타내며, (a)는 너트 부재의 정면도, (b)는 너트 부재의 종단면도(도 12(a)에 도시하는 선 XIIb-XIIb에 따른 단면도), (c)는 너트 부재의 수평 단면도(도 12(a)에 도시하는 선 XIIc-XIIc에 따른 단면도), 도 13은 베어링을 나타내며, (a)는 베어링의 종단면도, (b)는 베어링의 수평 단면도(도 13(a)에 도시하는 선 XIII-XIII에 따른 단면도), 도 14는 에이밍 점을 구성하는 너트 부재와 베어링 사이의 결합부의 단면도, 도 15는 동 너트 부재와 베어링 사이의 결합부의 단면도(도 14에 도시하는 선 XV-XV에 따른 단면도), 도 16은 동 너트 부재와 베어링 사이의 결합부의 단면도(도 14에 도시하는 선 XVI-XVI에 따른 단면도)로, 너트 부재와 브래킷 사이의 장착부에 있어서의 응력 해방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도면 부호 10은 폴리프로필렌 수지제의 용기형 램프 본체로, 램프 본체(10)의 전방면 개구부에는 전방면 렌즈(12)가 셋팅되어 등실(S)이 구획되어 있다. 등실(S) 내에는, 포물면 형상의 합성 수지제 반사경(14)에 광원인 할로겐 벌브(18)를 삽입 부착하여 일체화한 광원 유닛(U)이 에이밍 기구(E)에 의해서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면 부호 13은 반사경(14)과 전방면 렌즈(12) 사이에 배치되어, 반사경(14)과 램프 본체(10) 사이의 간극을 숨기는 동시에, 등실(S) 내 전체를 거울면 색으로 보이게 하는 익스텐션 리플렉터이다.
에이밍 기구(E)는 램프 본체(10)와 반사경(14) 사이에 개재된 에이밍 지점(P)을 구성하는 볼 조인트(20)와, 램프 본체(10)에 설치된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10b)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1쌍의 에이밍 스크류(30, 40)와, 반사경(14)의 배면측으로 돌출되는 브래킷(150a, 150b)에 각각 장착된 베어링(160A, 160B)과, 에이밍 스크류(30, 40)의 나사부(32, 42)에 각각 나사 결합하는 동시에, 상기 베어링(160A, 160B)에 지지되어 에이밍 점(P1, P2)을 구성하는 1쌍의 합성 수지제 너트 부재(130A, 130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이밍 점(P1, P2)을 구성하는 좌우 1쌍의 에이밍 스크류(30, 40)[1쌍의 너트 부재(130A, 130B)]는 벌브(18)보다 위쪽에서 벌브(18)를 사이에 두고 좌우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에이밍 지점(P)은 램프를 정면에서 본 좌측 코너에서, 에이밍 점(P2)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의 도면 부호 22는 반사경(14)의 배면에 돌출 설치된 브래킷(150c)에 장착된 합성 수지(엔지니어링 플라스틱)제의 베어링으로, 램프 본체(10)에 장착된 오토레벨링용 액츄에이터(60)의 진퇴 로드(62)의 전단 볼부(64)가 이 베어링(22)에 지지되어 있다. 즉, 진퇴 로드의 전단 볼부(64)와 베어링(22)에 의해서 볼 조인트(20)가 구성되어 있다.
도면 부호 230A(혹은 230B)는 램프 본체(10)에 일체로 형성된 개미홈 구조의 너트 활주 가이드로, 에이밍 스크류(30 혹은 40)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 부재(130A 혹은 130B)는 이 활주 가이드(230A 혹은 230B)에 유지되고 또 안내되어 전후 방향으로 진퇴 동작 가능하다.
그리고, 에이밍 스크류(30)를 회동하면, 너트 부재(130A)[이것과 베어링 (160A) 사이의 결합부인 상하·좌우 에이밍 점(P1)]가 에이밍 스크류(30)의 나사부(32)를 따라서 진퇴하여, 에이밍 지점(P)[볼 조인트(20)]과 너트 부재(130B)와 베어링(160B) 사이의 결합부인 상하 에이밍 점(P2)을 연결하는 수직 틸팅축(Ly) 주위로 반사경(14)이 틸팅된다. 또한, 에이밍 스크류(40)도 에이밍 스크류(30)와 같은 방향으로 회동하면, 너트 부재(130B)[이것과 베어링(160B) 사이의 결합부인 상하 에이밍 점(P2)]도 에이밍 스크류(40)의 나사부(42)를 따라서 진퇴하여, 에이밍 지점(P)[볼 조인트(20)]을 지나는 가상 수평 틸팅축[상하 에이밍 점(P2)과 상하·좌우 에이밍 점(P1)을 연결하는 축에 평행한 축 혹은 Lx] 주위로 반사경(14)이 틸팅한다. 즉, 에이밍 스크류(30)는 램프의 광축을 틸팅축(Lx, Ly) 주위로 틸팅 조정하는 상하·좌우 에이밍 스크류를 구성하며, 에이밍 스크류(40)는 램프의 광축을 틸팅축(Lx) 주위로 틸팅 조정하는 상하 에이밍 스크류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반사경(14)은 오토레벨링용 액츄에이터(60)의 구동에 의해, 상하 에이밍 점(P2)과 상하·좌우 에이밍 점(P1)을 연결하는 레벨링 축(Lx1) 주위로 틸팅하여 램프(반사경)의 광축(L)이 차량의 주행 상태에 맞춰 자동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틸팅 조정된다.
즉, 액츄에이터(60)는 예컨대 자동차의 무게 중심 위치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검출하는 무게 중심 이동 검출 센서(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진퇴 로드(62)를 진퇴시켜 에이밍 지점인 볼 조인트(20)[볼부(64)와 볼 받침부(24) 사이 결합부]의 위치를 전후로 이동시켜, 레벨링 축(Lx1) 주위로 반사경(14)을 틸팅시켜 항상 램프의 광축(L)을 차축에 대하여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오토레벨링용 액츄에이터(60)는 스테핑 모터 및 기어 기구를 내장한 액츄에이터 유닛 케이스(61)로부터 전방으로 진퇴 로드(62)가 돌출된 유닛 구조로, 램프 본체(10)의 배면 벽에 형성된 액츄에이터 장착 구멍(10c)에 액츄에이터 유닛 케이스(61)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램프 본체(10) 내 전방으로 연장되는 진퇴 로드(62)의 전단부에는 볼부(64)가 형성되는 반면, 반사경(14)의 배면측으로 돌출 설치된 브래킷(150c)에는, 볼부(64)를 지지하는 볼 받침부(24)가 형성된 합성 수지제의 베어링(22)이 장착되어 있다. 베어링(22)의 전단측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150c)에 형성한 직사각형 형상의 베어링 삽입 부착 구멍(150c1)에 정합하는 플러그(26)가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26)의 대향 측벽에는, 삽입 부착 구멍(150c1)의 주연부에 결합하여 삽입 부착된 플러그(26)를 빠짐 방지하는 탄성 훅(27, 27)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베어링(22)의 후단측에 설치된 볼 받침부(24)에는 볼부(64)를 협지하는 좌우 1쌍의 훅(25, 25)이 형성되어, 볼부(64)와 볼 받침부(24)[훅(27, 27)]는 상대 회동에 더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활주할 수 있다. 따라서, 액츄에이터(60)의 구동에 의한 볼부(64)의 전후 방향의 직선적 진퇴 동작(이동 궤적)과, 이것에 연계하는 베어링(22)[이것의 볼 받침부(24)]의 레벨링 축(Lx1) 주위의 회전 동작(이동 궤적)의 차이에 의해서, 볼부(64)와 베어링(22)[이것의 볼 받침부(24)] 사이에 발생하려고 하는 응력은 상대 회동 및 상하 방향 상대 활주 가능한 볼부(64)와 볼 받침부(24)의 볼 조인트 구조에 의해서 흡수(해방)된다.
다음에, 에이밍 기구(E)를 구성하는 각 부재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10b)은 도 5a 및 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 본체(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통형부(50)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통형부(50)의 전후 길이는 에이밍 스크류(30 혹은 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덜컹거리지 않도록 유지하는 데에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방 연장부(50B)의 연장량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 본체(10)를 따라서 배치한 에이밍 스크류 회동 조작용의 드라이버(D)의 선단부를 유지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방 연장부(50B)의 상측면에는, 드라이버(D)의 선단부가 접촉했을 때에, 드라이버(D)의 이가 관형 톱니바퀴의 이에 맞물린 상태가 되는 위치 결정용의 평탄면(51)이 형성되어 있고, 드라이버(D)를 회동할 때에, 드라이버(D)의 선단부가 통형부(50) 외주면을 따라서 미끄러져 움직이지 않게 되어 있다.
통형부(50)는 램프 본체(10)와 일체로 성형되지만, 그 형상이 간결하기 때문에 성형용 금형의 구조도 금형 성형면도 심플하며, 성형도 간단하다.
한편, 에이밍 스크류(30 혹은 4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나사부(32 혹은 42)가 형성된 전단측의 스크류 본체(31 혹은 41)는 물론, 후단의 관형 톱니바퀴부(35 혹은 45)를 포함하는 전체가, 예컨대 폴리아세탈 수지 등의 합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 부호 34(혹은 44)는 에이밍 스크류(30 혹은 40) 중 통형부(50)에 의해서 지지되는 부위, 즉 피지지부로, 이 피지지부(34 혹은 44)의 후단측에는, 통형부(50)의 후방 연장부의 단부면(50b)에 접촉하는 관형 톱니바퀴부(35 혹은 4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피지지부(34 혹은 44)의 전단측에는, 통형부(50)의 전방 연장부(50A) 내 플랜지형 전단부의 단부면(통형부의 전단면)(50a)에 결합하는 탄성 걸림 부재(38 혹은 48)가 설치되어 있다.
탄성 걸림 부재(38 혹은 48)는 도 6,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지지부(34 혹은 44) 전단측 좌우의 측면(36a 혹은 46a)이 대향하도록 모따기된 횡단면 직사각형 형상의 기초부(36 혹은 46)의 양측에, L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가 반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탄성 걸림 부재(38 혹은 48)의 수평 연장부는 선단측일수록 두껍게 형성되어, 판스프링으로서의 강성 강도가 높아지는 동시에, 통형부(50)의 단부면(50a)과의 결합이 벗겨지기 어렵게 되고 있다.
그리고, 이 에이밍 스크류(30 혹은 40)에 있어서의 피지지부 후단측의 관형 톱니바퀴(35 혹은 45)의 부착 지점측에는, 통형부(50)의 후단면(50b)에 미끄럼 접촉하는 스커트형의 탄성 리브(35b 혹은 45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탄성 리브(35b 혹은 45b)가 통형부(50)의 후단면(50b)에 접촉하고, 또 피지지부(34 혹은 44)의 전단측의 탄성 걸림 부재(38 혹은 48)가 통형부(50)의 전단면(50a)에 결합함으로써, 에이밍 스크류(30 혹은 40)는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혹은 10b)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정렬 고정된다. 이 탄성 리브(35b 혹은 45b)는 통형부(50)의 후단면(50b)에 압접 상태로 유지되어, 에이밍 스크류(30 혹은 40)를 축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에이밍 스크류(30 혹은 40)가 회전 지지부에 있어서 덜컹거리지 않도록 유지한다. 또한, 이 탄성 리브(35b 혹은 45b)는 에이밍 스크류(30 혹은 40)의 회전 지지부에 있어서의 방수를 다소 확보하는 작용도 있다.
관형 톱니바퀴부(35 혹은 45)의 이(35a 혹은 45a)는 전방[램프 본체(10)로 향하는 측]에 형성되어 있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 본체(10)를 따라서 배치된 에이밍 스크류 회동 조작용의 드라이버(D)의 선단부를 통형부(50)의 평탄면(51)에 접촉시키면, 드라이버(D)의 이가 관형 톱니바퀴부(35 혹은 45)의 이(35a 혹은 45a)에 딱 맞물려, 드라이버(D)측의 회전력이 관형 톱니바퀴부(35 혹은 45)측으로 전달되도록 되고 있다.
또한, 에이밍 스크류(30 혹은 40)의 후단부[관형 톱니바퀴부(35 혹은 45)의 후방]에는 외형이 단면 정육각형이고, 단부면에 코너홈(37a 혹은 47a)이 마련된 회동 조작부(37 혹은 4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드라이버(D) 대신에, 스패너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에이밍 스크류(30 혹은 40)를 회동 조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 합성 수지제 탄성 리브(35b 혹은 45b)는 알맞은 탄성(가요성)을 지니는 동시에, 합성 수지제 통형부(50)의 후단면(50b)이 평활면이므로, 탄성 리브(35b 혹은 45b)와 통형상 후단면(50b) 사이의 미끄럼 접촉부가 에이밍 스크류(30 혹은 40)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에이밍 스크류의 피지지부(34 혹은 44)에는 통형부(50)[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혹은 10b)]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는 원환형의 탄성 방수 리브(34a 혹은 44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방수 리브(34a 혹은 44a)의 외경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혹은 10b)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방수 리브(34a 혹은 44a)의 선단부가 항상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혹은 10b)의 내주면에 눌려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피지지부(34 혹은 44)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탄성 방수 리브(34a 혹은 44a)의 양측에는, 방수 리브(34a 혹은 44a)를 따라서 연장되는 환상 홈(34b 혹은 44b)이 형성되어, 에이밍 스크류의 피지지부(34 혹은 44)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혹은 10b) 사이에 있어서의 틈을 넓히지 않고서, 탄성 방수 리브(34a 혹은 44a)의 반경 방향의 돌출량을 크게 함으로써, 탄성 방수 리브(34a 혹은 44a)의 탄성(가요성)이 높아지고, 이로써 탄성 방수 리브(34a 혹은 44a)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혹은 10b) 내주면 사이에 알맞은 압접력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에이밍 스크류(30 혹은 40)의 피지지부(34 혹은 44)보다 전방 부분은 도 6(c)에 흰색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반경 방향으로 분할된 1쌍의 분할 금형(60A, 60B)을 이용하고, 또 에이밍 스크류(30 혹은 40)의 관형 톱니바퀴부(35 혹은 45)는 도 6b의 흰색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축 방향으로 분할된 1쌍의 분할 금형(61A, 61B)을 이용하여 각각 사출 성형할 수 있다. 도 6b, 도 6c에 있어서의 도면 부호 61C, 60C는 분할 금형의 파팅 라인을 나타낸다.
또한, 에이밍 스크류(30, 40)를 램프 본체(10)의 통형부(50)[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10b)]에 셋팅하려면, 램프 본체(10)의 후방측에서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혹은 10b)으로 눌러 넣으면 된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걸림 부재(38 혹은 48)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하여 통형부(50) 내를 통과할 수 있고, 통과한 탄성 걸림 부재(38 혹은 48)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복원되어 통형부 전단면(50a)에 결합하여, 에이밍 스크류(30 혹은 40)가 후방으로 빠짐 방지된다. 동시에, 피지지부(34 혹은 44) 후단측의 스커트형 탄성 리브(35b 혹은 45b)가 통형부 후단면(50b)에 압접 상태가 되어,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혹은 10b)에 대하여 에이밍 스크류(30 혹은 40)가 축 방향으로 정렬 고정된다.
다음에, 에이밍 스크류(30 혹은 40)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 부재(130A 혹은 130B)와, 브래킷(150a 혹은 150b)에 장착되어 너트 부재(130A 혹은 130B)를 지지하는 베어링(160A 혹은 160B)과, 너트 부재(130A 혹은 130B)를 회전 방지하는 동시에, 너트 부재(130A 혹은 130B)를 유지하고, 또한 활주 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트 활주 가이드(230A 혹은 230B)의 각각의 구조에 관해서 설명한다.
너트 활주 가이드(230A 혹은 230B)는 도 1, 도 3, 도 4, 도 14,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이밍 스크류(30 혹은 40) 위쪽의 램프 본체 벽면 근방 위치에 있어서 전후로 연장되어, 에이밍 스크류(30 혹은 40)로 향하는 측면이 개구되는 폭이 넓은 개미홈(232 혹은 242)을 구비한 직사각 프레임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 부호 231은 개미홈(232)의 개구부를 도시한다. 또한, 너트 활주 가이드(230A 혹은 230B)는 램프 본체(10)의 벽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너트 활주 가이드로서의 강도가 확보되고 있다. 그리고, 너트 활주 가이드(230A 혹은 230B)는 도 1,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 본체(10)를 정면에서 본 오른쪽 상측 코너(왼쪽 상측 코너)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너트 부재(130A 혹은 130B)는 강성 강도 및 활주성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성형체로, 도 1 내지 도 4, 도 10 내지 도 12,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이밍 스크류(30 혹은 40)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132)가 중앙에 형성된 거의 구형의 너트 부재 본체(131)의 측방에, 연장축부(136)를 통해 슬라이더(13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편평한 슬라이더(137)의 이면의 거의 중앙부에 구형의 너트 부재 본체(131)가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160A 혹은 160B)은 너트 부재(130A 혹은 130B)와 마찬가지로 강성 강도 및 활주성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성형체로, 에이밍 스크류(30 혹은 40)를 삽입 관통할 수 있는, 전후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161)이 형성되어 있고, 베어링(160A 혹은 160B)의 전단측에는 브래킷(150a 혹은 150b)에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 삽입 부착 구멍(150a1 혹은 150b1)에 정합하는 직사각형의 플러그(168)가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168)의 대향 측면에는 베어링 삽입 부착 구멍(150a1 혹은 150b1)에 결합하여 빠지지 않고 유지되는 탄성 훅(169, 169)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베어링(160A 혹은 160B)의 후단측에는 볼부인 너트 부재 본체(131)를 지지하는 볼 받침부(162)가 형성되어 있다. 볼 받침부(162)는 볼부인 너트 부재 본체(131)를 측방에서 도입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측방으로 개구되는 종단면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볼 받침부(162)의 내주면은 볼부인 너트 부재 본체(131)의 구형 외주면(131a)에 정합하는 구형 내주면(16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너트 부재 본체(131)의 암나사부(132)를 사이에 둔 슬라이더(137) 형성측과 반대측에는, 볼 받침부(162)의 바닥(U자 단면 가로 막대 형상부)에 형성한 구멍(163)의 주연부에 결합하여 너트 부재(130A 혹은 130B)를 베어링(160A 혹은 160B)에 대해 빠짐 방지하는 탄성 훅(133)이 연장 형성되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 부재(130A 혹은 130B)를 탄성 훅(133)측으로부터 볼 받침부(162) 내로 압입함으로써, 너트 부재 본체(131)인 볼부를 베어링(160A 혹은 160B)의 볼 받침부(162)에 결합 유지할 수 있다.
구멍(163)은 직사각형이며,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훅(133)이 구멍(163)의 주연부에 결합하여 탄성 훅 연장 전후축(Y축) 방향으로는 빠짐 방지되지만,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163)에 삽입 부착된 훅(133)과 구멍(163)의 주연부 사이에는 전후 방향(도 15 좌우 방향, 도 16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어, 즉, 탄성 훅(133)이 탄성 훅 연장 전후축(Y축) 주위에는 구멍(163)과 헐겁게 결합하여, 상대 회동할 수 있다(도 16 화살표 참조).
또한, 너트 부재 본체(131) 외측면에 있어서의 탄성 훅 연장 전후축(Y축) 방향과 직교하여 암나사부(132)를 사이에 둔 대향 위치에는,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형 리브(134)가 암나사부(132)를 가로질러 걸치도록 돌출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볼 받침부(162)의 내측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형 리브(134)가 결합할 수 있다. 너트 부재 압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16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 훅(133)이 구멍(163)의 주연부에 결합하면, 도어형 리브(134)의 수평 대들보부의 외측 표면(134a)이 홈의 바닥면(164a)에 눌려 접촉한 형태(도 14, 16 참조)로 되어, 볼 받침부(162)와 볼부인 너트 부재 본체(131)의 암나사부 중심축(Z축) 주위의 상대 회동이 저지된다. 이 때문에, 너트 부재(130A 혹은 130B)가 베어링(160A 혹은 160B)에 대하여 좌우로 흔들리는 일이 없어, 반사경(14)은 슬라이더(137)와 활주 가이드(230A 혹은 230B)에 의해서, 좌우 방향으로 느슨해지는 일없이 지지된다.
또한, 도어형 리브(134)의 수평 대들보부의 외측 표면(134a) 및 이 수평 대들보부의 외측 표면(134a)이 미끄럼 접촉하는 볼 받침부 내측의 홈의 바닥면(164a)은 횡단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볼부인 너트 부재 본체(131)와 볼 받침부(164)의 탄성 훅 연장 전후축(Y축) 주위의 상대 회동이 원활하게 되고 있다.
슬라이더(137)는 직사각형의 슬라이드 플레이트(137a)와, 그 저면측에 형성된 좌우 1쌍의 판 스프링형 탄성 연장 부재(138)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 연장 부재(138)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37a)의 폭 방향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단면 원호형으로 만곡하여 연장되는 동시에, 슬라이드 플레이트(137a)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전후로 연장되는 세로 리브(137b)가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더(137)가 너트 활주 가이드(230A 혹은 230B)에 셋팅되면, 도 12a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변형된 좌우 1쌍의 탄성 연장 부재(138)의 선단부가 세로 리브(137b)에 접촉하는 식으로 되고 있다. 즉, 슬라이더부(137)가 너트 활주 가이드(230A 혹은 230B)의 개미홈(232)에 결합한 형태에서는, 내벽면(234)에 압접하는 탄성 연장 부재(138)의 선단부가 세로 리브(137b)의 양측에 접촉하여 탄성 연장 부재(138)가 아치를 형성하고, 슬라이더부(137)가 너트 활주 가이드(230A 혹은 230B)에 있어서 상하 좌우 방향으로 덜컹거리지 않게 지지되는 동시에, 너트 활주 가이드(230A 혹은 230B)의 연장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유지된다.
또한, 슬라이더(137)의 배면측에 있어서의 탄성 연장 부재(138)의 측연부는 도면 부호 138a로 도시한 바와 같이, 비스듬히 컷트된 형상으로, 슬라이더(137)의 너트 활주 가이드(230A 혹은 230B) 속으로의 삽입이 용이하게 되고 있다.
활주 가이드(230A 혹은 230B)는 너트 부재(130A 혹은 130B)를 통해 반사경(14)의 중량을 늘어트려 지지하는 동시에, 반사경(14)을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여, 에이밍 스크류(30 혹은 40)의 상하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요동[반사경(14)의 상하 좌우 방향의 진동]을 억제한다. 따라서, 반사경(14)은 상하 좌우 방향으로 덜컹거리는 일없이 지지되어 에이밍 지점(P)의 진퇴 동작에 연계하여 레벨링 축(Lx1) 주위로 원활하게 틸팅한다.
또한, 예컨대, 일본 특허 출원 2000-165437호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너트 부재 본체의 측방으로 볼부인 결합 돌출부가 설치되고, 브래킷에 형성된 볼 받침부인 결합 구멍에 볼부인 결합 돌출부가 결합되는 브래킷 및 너트 부재 사이의 장착 구조에서는, 반사경측의 중량 부하가 비틀림 모멘트로서 너트 부재에 작용하여 반사경의 진동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너트 부재 본체(131) 자체가 볼 조인트의 볼부를 구성하여 브래킷에 장착된 베어링(160A 혹은 160B)의 볼 받침부(162)에 지지된 구조이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이 없다. 즉, 반사경(14)측의 관성 중량 부하는 너트 부재 본체(131)의 암나사부(132)에 나사 결합하는 에이밍 스크류(30 혹은 40)의 축심 위치에 작용하기 때문에, 반사경(14) 측의 중량 부하가 비틀림 모멘트로서 너트 부재에 작용하는 일이 없고, 그 만큼 반사경(14)이 상하 좌우 방향으로 진동하는 일도 없게 된다.
또한, 너트 부재 본체(131)의 배면측에는, 에이밍 스크류(30 혹은 40)를 암나사부(132)에 나사 결합시키기 쉽도록 암나사부(132)에 수렴하는 테이퍼형의 개구부(132a)[도 12b, 12c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150a 혹은 150b)의 연장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베어링 삽입 부착 구멍(150a1 혹은 150b1)은 베어링(160A 혹은 160B)의 직사각형 플러그(168)에 정합하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베어링(160B)이 브래킷(150b)측의 베어링 삽입 부착 구멍(15b1)에 삽입 부착 고정되어 부동인 데 반해, 브래킷(150a)에 삽입 부착된 베어링(160A)은 베어링 삽입 부착 구멍(15a1)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삽입 부착 구멍(150a1)의 좌우 폭(d1)이 베어링(160A)의 직사각형 플러그(168)의 좌우 폭(d2)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되고, 베어링 삽입 부착 구멍(150a1)과 플러그(168) 사이에 간극(s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에이밍 스크류(30)를 회동시킬 경우에, 반사경(14)의 수직 틸팅축(Ly) 주위의 원운동[베어링(160A)의 수직 틸팅축(Ly) 주위의 원운동]과 너트 부재(130A)의 진퇴 동작[에이밍 스크류(30)에 따른 직선 운동]의 이동 궤적의 상이함으로 인해, 브래킷(150a)과 베어링(160A) 사이의 장착부에는, 레벨링 축(Lx1)을 따른 인장 응력 또는 압축 응력이 발생하려고 하지만, 베어링(160A)[플러그(168)]과 베어링 삽입 부착 구멍(150a1)이 부하 작용 방향인 도 16의 좌우 방향으로 상대 슬라이드함으로써, 좌우 에이밍시의 브래킷(150a)과 베어링(160A) 사이의 장착부에는 예측할 수 없는 응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볼 받침부(162)와 볼부인 너트 부재 본체(131)는 탄성 훅 연장 전후축(Y축) 주위(도 16 화살표 참조), 탄성 훅 연장 전후축(Y축)과 암나사부 중심축(Z축)에 각각 직교하는 축(X축) 주위(도 15 화살표 참조)에 각각 상대 회동할 수 있기 때문에, 반사경(14)의 틸팅[레벨링 축(Lx1), 가상 수평 틸팅축(Lx), 수직 틸팅축(Ly) 주위의 틸팅]에 의해서 볼 받침부(162)와 볼부인 너트 부재 본체(131) 사이에 예측할 수 없는 응력이 생기는 일은 없다.
또한, 광원의 발열이 원인이 되어 반사경(14)이 열팽창하는 등의 경우에도, 너트 부재(130A 혹은 130B)와 베어링(160A 혹은 160B)의 결합부에는, 반사경(14)의 열변형에 따른 응력이 생기려고 하지만, 볼부인 너트 부재 본체(131)와 볼 받침부(162)로 구성된 볼 조인트 구조에 의해 흡수된다.
다음에, 에이밍 기구를 통해 반사경(14)을 램프 본체(10)에 셋팅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에이밍 스크류(30, 40)를 셋팅한 램프 본체(10)를 상향으로 해 둔다. 다음에, 베어링(160A, 160B)의 볼 받침부(162)에 너트 부재(130A, 130B)의 볼부[너트 부재 본체(131)]를 각각 결합하고, 브래킷(150c)에는 베어링(22)을 부착하고, 브래킷(150a, 150b)의 삽입 부착 구멍(150a1, 150b1)에는 각각 너트 부재(130A, 130B)를 일체화한 베어링(160A, 160B)을 장착한다. 그리고, 브래킷(150a, 150b, 150c)을 하향으로 하여, 램프 본체(10)의 상측으로부터 반사경(14)을 하강시켜, 너트 부재(130A, 130B)의 암나사부(132)를 에이밍 스크류(30, 40)의 선단에 정렬시킨다. 그리고, 에이밍 스크류(30, 40)를 회동함으로써, 너트 부재(130A, 130B)의 암나사부(132)를 에이밍 스크류(30, 40)에 각각 나사 결합시키는 동시에, 슬라이더(137)를 너트 활주 가이드(230A, 230B) 내에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레벨링용 액츄에이터(60)의 볼부(64)를 램프 본체(10)의 액츄에이터 부착 구멍(10c)을 관통하도록 하여, 브래킷(150c)에 장착되어 있는 베어링(22)[이것의 볼 받침부(24)]에 압입하여, 액츄에이터(60)를 램프 본체(10)[이것의 부착 구멍(10c)]에 고정함으로써, 반사경(14)을 오토레벨링 기구를 구비한 에이밍 기구(E)를 통해 램프 본체(10)에 일체화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헤드램프를 나타내며, 도 17은 동 헤드램프의 정면도, 도 18은 동 헤드램프의 종단면도(도 17에 도시하는 선 XVIII-XVIII을 따른 단면도), 도 19는 동 헤드램프의 종단면도(도 17에 도시하는 선 XIX-XIX을 따른 단면도), 도 20은 에이밍 점을 구성하는 너트 부재와 베어링의 분해 사시도, 도 21은 베어링의 사시도, 도 22는 베어링과 브래킷 사이의 장착부의 분해 사시도, 도 23은 너트 부재를 나타나며, 도 23a는 너트 부재의 측면도, 도 23b는 너트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베어링을 나타내며, 도 24a는 전개한 베어링의 측면도, 도 24b는 동 베어링의 평면도, 도 24c는 동 베어링의 종단면도이다. 도 25는 에이밍 점을 구성하는 너트 부재와 베어링 사이의 결합부의 단면도, 도 26은 동 너트 부재와 베어링 사이의 결합부의 종단면도(도 25에 도시하는 선 XXVI-XXVI을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는, 포물면 형상의 합성 수지제 반사경(14)에 할로겐 벌브(18)가 삽입 부착 일체화되어 반사식 광원 유닛(U)이 구성되고 있지만, 이 제2 실시예에서는, 방전 벌브(18A)를 삽입 부착한 타원체 형상의 알루미늄제 반사경(14A)에 통형상의 알루미늄제 렌즈 홀더(15)를 통해 투사 렌즈(16)를 일체화함으로써 투사식 광원 유닛(U1)이 구성되고 있다. 도면 부호 17은 타원체 형상 반사경(14A)의 제2 초점 근방에 배치된 클리어 컷트 라인 형성용의 셰이드이다.
반사경(14A)의 전방면 개구부의 주연부에는, 베어링 삽입 부착 구멍(152a1, 152b1, 152c1)을 마련한 플랜지형의 브래킷(152a, 152b, 152c)이 일체로 형성되어 광원 유닛(U1)의 좌우 방향 및 아래쪽으로 이들 브래킷이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베어링 삽입 부착 구멍(152a1, 152b1, 152c1)에는 베어링(170A, 170B, 22)이 삽입 부착되어, 램프 본체(10)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에이밍 스크류(30, 40)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 부재(140A, 140B)의 볼부(141, 141) 및 오토레벨링용 액츄에이터(60)의 진퇴 로드 선단의 볼부(64)가 베어링(170A, 170B, 22)으로 지지되며, 광원 유닛(U1)이 오토레벨링 기구를 겸하는 에이밍 기구(E1)에 의해서 틸팅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광원 유닛(U1)은 오토레벨링용 액츄에이터(60)의 구동에 의해, 상하 에이밍 점(P2)과 상하 좌우 에이밍 점(P1)을 연결하는 레벨링 축(Lx1) 주위로 틸팅하여, 램프의 광축(L)이 차량의 주행 상태에 맞춰 자동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틸팅 조정된다. 또한, 에이밍 스크류(30)의 회동 조작에 의해서, 광원 유닛(U1)이 에이밍 지점(P)[볼 조인트(20)]과 너트 부재(140B)[이것과 베어링(170B) 사이의 결합부인 상하 에이밍 점(P2)]를 연결하는 수직 틸팅축(Ly) 주위로 틸팅하여, 광축(L)을 좌우 방향으로 틸팅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에이밍 스크류(30, 40)의 같은 방향의 회동 조작에 의해서, 광원 유닛(U1)이, 에이밍 지점(P)[볼 조인트(20)]을 지나는 가상 수평 틸팅축(Lx)[상하 에이밍 점(P2)과 상하·좌우 에이밍 점(P1)을 연결하는 수평 틸팅축(Lx1)에 평행한 축] 주위로 틸팅하고, 그 광축을 상하 방향으로 틸팅 조정할 수 있다.
이상의 기본적 구조는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너트 부재(140A 혹은 140B)와 베어링(170A 혹은 170B)의 형상이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즉, 너트 부재(140A 혹은 140B)는 중앙부에 암나사부(142)가 형성된 너트 부재 본체(141)의 외주면이 구형으로 형성되어 볼부가 구성되고, 너트 부재 본체(141)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L자형 연장부(146)를 통해, 볼부인 너트 부재 본체(141)에 대하여 오프셋을 하는 슬라이더(147)가 설치된다. 슬라이더(147)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너트 부재(130A 혹은 130 B)에 있어서의 슬라이더(137)와 동일 구조이며,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여 그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베어링(170A 혹은 170B)은 전후로 관통하는 중공 형상 성형 용기체로 구성되고, 그 후단측에는 볼부(141)의 구형 외주면(141a)에 정합하는 구형 내주면(172a)이 형성된 볼 받침부(17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170A 혹은 170B)은 중공 형상 용기체의 전후 관통 구멍(171)을 따라 세로로 갈라져 분할면을 서로 맞붙임으로써 베어링으로서 일체화할 수 있는 1쌍의 분할 성형체(170A1, 170A2 혹은 170B1, 170B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분할 성형체의 후단측은, 도 24a에 도면 부호 17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절결되어 베어링(170A 혹은 170B)의 후단부에 너트 부재 본체(141)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L자형 연장부(146)가 헐겁게 결합할 수 있는 개구부(171A 혹은 171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분할 성형체(170A1, 170A2 혹은 170B1, 170B2)의 전단측은 서로 1쌍의 두께가 얇은 힌지(174)를 통해 연결 형성되며, 분할 성형체(170A1, 170A2 혹은 170B1, 170B2)가 대응하는 맞붙임면에는, 훅(175a, 176a)과 훅 걸림부(175b, 176b) 및 핀(177a)과 핀 결합 구멍(177b)이 각각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너트 부재 본체인 볼부(141)를 끼우도록 하여 힌지(174) 주위로 분할 성형체(170A1, 170A2 혹은 170B1, 170B2)를 회동하여 훅과 훅 걸림부를 요철 란스 결합시키면, 베어링(170A 혹은 170B)으로서 일체화되어 볼부(141)가 볼 받침부(172)에 지지된 형태로 유지된다.
또한, 베어링(170A 혹은 170B)의 전단측에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베어링(160A 혹은 160B)의 플러그(168)와 동일 구조의 플러그(178)가 설치되어 있고, 플러그(178)의 훅(179)이 브래킷(152a)의 베어링 삽입 부착 구멍(152a1, 152b1)에 결합하여 빠짐 방지된다.
또한, 에이밍 점(P1)에 있어서의 베어링 삽입 부착 구멍(152a1)의 폭(d3)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의 에이밍 점(P1)에 있어서의 브래킷 삽입 부착 구멍(150a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베어링(170A 혹은 170B)의 플러그(178)의 폭(d4)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도 22의 좌우 방향으로 작용하는 부하에 대하여 베어링(170A)이 베어링 삽입 부착 구멍(152a1)의 주연부를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응력을 흡수(해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밖에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여 그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27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27은 제3 실시예인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정면도, 도 28은 좌우 에이밍 점을 구성하는 베어링과 브래킷 사이의 장착부의 분해 사시도, 도 29는 상하 에이밍 점을 구성하는 베어링과 브래킷 사이의 장착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한 제1, 제2 실시예에서는, 에이밍 지점(P)이 반사경(14)의 좌측 코너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하 좌우 에이밍 점(P1)이 오른쪽 상측 코너에, 상하 에이밍 점(P2)이 왼쪽 상측 코너에 각각 배치된, 오토레벨링 기구를 겸하는 에이밍 기구(E)를 갖춘 헤드램프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 제3 실시예에서는 에이밍 지점(P)이 반사경(14)의 왼쪽 상측 코너에 배치되고, 좌우 에이밍 점(P3)이 오른쪽 상측 코너에, 상하 에이밍 점(P4)이 왼쪽 하측 코너에 각각 배치된 에이밍 기구(E1)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에이밍 지점(P)은 램프 본체(10)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원통 형상의 볼 받침부(124)와, 포물면 형상의 반사경(14)측의 브래킷(150c)(도시하지 않음)에 돌출 형성된 볼부(122)로 이루어지는 볼 조인트(120)로 구성되어 있다.
좌우 에이밍 점(P3)에 있어서, 단면 U자형의 볼 받침부(162)가 측방으로 개구되도록, 베어링(160A)이 브래킷(150a)의 삽입 부착 구멍(150a1)에 삽입 부착되어 있다. 볼부인 너트 부재 본체(131)가 볼 받침부(162)에 지지된 너트 부재(130A)의 슬라이더(137)는 램프 본체(10)의 우측 벽에 형성된 전후로 연장되는 활주 가이드(230A)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하 에이밍 점(P4)에 있어서, 단면 U자형의 볼 받침부(162)가 아래쪽으로 개구되도록, 베어링(160B)이 브래킷(150b)의 삽입 부착 구멍(150b1)에 삽입 부착되어 있다. 볼부인 너트 부재 본체(131)가 볼 받침부(162)에 지지된 너트 부재(130B)의 슬라이더(137)는 램프 본체(10)의 하측 벽에 형성된 전후로 연장되는 활주 가이드(230B)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좌우 에이밍 점(P3)에 있어서의 베어링 삽입 부착 구멍(150a1)의 좌우 폭(d1)은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에이밍 점(P1)에 있어서의 브래킷 삽입 부착 구멍(150a1)과 마찬가지로, 브래킷(160A)의 플러그(168)의 좌우 폭(d2)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작용하는 부하에 대하여 베어링(160A)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좌우 에이밍 점(P3)에 있어서의 베어링 장착부에 예측할 수 없는 응력이 생기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하 에이밍 점(P4)에 있어서의 베어링 삽입 부착 구멍(150b)의 상하 폭(d3)은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168)의 상하 폭(d2)[브래킷(160A)의 플러그(168)의 좌우 폭과 같음]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작용하는 부하에 대하여 베어링(160B)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상하 에이밍 점(P4)에 있어서의 베어링 장착부에 예측할 수 없는 응력이 생기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2개의 실시예에서는, 램프 본체(10)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구성되어 에이밍 스크류(30, 40)는 적절한 탄력이 있고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더욱이 폴리프로필렌 수지와의 활주성이 좋은 폴리아세탈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폴리아세탈 수지 대신에 나일론 수지로 구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에이밍 스크류(30, 40) 전체가 합성 수지제로서 설명되어 있지만, 적어도 피지지부(34 혹은 44)를 합성 수지제로, 그 밖의 부분을 금속제로 하여도 좋다. 또한, 에이밍 스크류(30, 40)를 종래 공지의 금속제로 하고, 푸쉬온 고정구에 의한 에이밍 스크류(30, 40)의 협지력을 약하게 하여, 에이밍 스크류(30, 40)의 회동 조작성을 높인 구조라도 좋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따른 반사경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램프에 따르면, 반사경측의 중량 부하가 굽힘 모멘트로서 에이밍 스크류에 작용하는 일도, 반사경측의 중량 부하가 비틀림 모멘트로서 너트 부재에 작용하는 일도 없기 때문에, 반사경의 진동이 확실하게 억제되어 적정한 에이밍이 보증된다. 또한, 에이밍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에 있어서의 협지력을 적절하게 함으로써, 에이밍 스크류의 원활하고 경쾌한 회동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너트 부재가 컴팩트하기 때문에, 그 만큼 램프 본체를 반사경에 접근시킴으로써 헤드램프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반사경의 구조가 간결하기 때문에, 반사경의 제조가 용이하고, 그 만큼 반사경의 비용이 저렴하게 되며, 나아가서는 헤드램프 전체의 비용도 저렴하게 된다.
청구항 2에 따르면, 너트 부재의 볼부를 간단히 베어링의 볼 받침부에 결합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에이밍 기구를 통한 반사경의 부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너트 부재의 전후 방향 길이가 짧고, 그 만큼 너트 부재의 배치 스페이스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에이밍 기구의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청구항 3에 따르면, 베어링과 너트 부재가 에이밍 스크류의 주위 방향으로 고정되어, 에이밍 점이 덜컹거림 없이 적확하게 활주할 수 있기 때문에, 스무스한 에이밍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4에 따르면, 너트 부재의 폭 방향 길이가 짧고, 그 만큼 너트 부재의 배치 스페이스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에이밍 기구의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청구항 5에 따르면, 너트 부재의 볼부를 간단히 베어링의 볼 받침부에 결합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에이밍 기구를 통한 반사경의 부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베어링을 구성하는 1쌍의 분할 성형체가 두께가 얇은 힌지로 접속 일체화되어 있어, 관리나 보관에 문제점은 없다.
청구항 6에 따르면, 좌우 1쌍의 에이밍 점에 대응하는 너트 활주 가이드가 반사경의 중량을 유지하는 동시에, 반사경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진동을 억제하기 때문에, 반사경의 레벨링 축 주위의 스무스한 틸팅에 의한 적정한 오토레벨링이 확보된다.
청구항 7에 따르면, 좌우 에이밍 점에 대응하는 너트 활주 가이드가 반사경의 중량을 유지하는 동시에, 반사경의 상하 방향의 진동을 억제하여, 상하 에이밍 점에 대응하는 너트 활주 가이드가 반사경의 좌우 방향의 진동을 억제하기 때문에, 반사경의 진동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적정한 배광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에이밍 스크류의 경쾌한 회동에 의해 스무스한 에이밍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동 헤드램프의 수평 단면도(도 1에 도시하는 선 II-II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동 헤드램프의 종단면도(도 1에 도시하는 선 III-III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램프 본체, 반사경 및 에이밍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에이밍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를 구성하는 통형부의 확대 사시도, (b)는 동 통형부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에이밍 스크류의 확대 사시도, (b)는 에이밍 스크류의 확대 측면도, (c)는 에이밍 스크류의 횡단면도[도 6b에 도시하는 선 VI-VI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에이밍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에이밍 스크류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모습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에이밍 지점인 볼 조인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너트 부재와 베어링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베어링과 브래킷 사이의 장착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의 (a)는 너트 부재의 정면도, (b)는 너트 부재의 종단면도(도 12a에 도시하는 선 XIIb-XIIb을 따른 단면도), (c)는 너트 부재의 수평 단면도(도 12a에 도시하는 선 XIIc-XIIc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의 (a)는 베어링의 종단면도, (b)는 베어링의 수평 단면도(도 13a에 도시하는 선 XIII-XIII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에이밍 점을 구성하는 너트 부재와 베어링 사이의 결합부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동 너트 부재와 베어링 사이의 결합부의 단면도(도 14에 도시하는 선 XV-XV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동 너트 부재와 베어링 사이의 결합부의 단면도(도 14에 도시하는 선 XVI-XVI을 따른 단면도)로, 너트 부재와 브래킷 사이의 장착부에 있어서의 응력 해방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동 헤드램프의 종단면도(도 17에 도시하는 선 XVIII-XVIII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는 동 헤드램프의 종단면도(도 17에 도시하는 선 XIX-XIX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0은 에이밍 점을 구성하는 너트 부재와 베어링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베어링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베어링과 브래킷 사이의 장착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의 (a)는 너트 부재의 측면도, (b)는 너트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4의 (a)는 전개한 베어링의 측면도, (b)는 동 베어링의 평면도, (c)는 동 베어링의 종단면도이다.
도 25는 에이밍 점을 구성하는 너트 부재와 베어링 사이의 결합부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동 너트 부재와 베어링 사이의 결합부의 종단면도(도 25에 도시하는 선 XXVI-XXVI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정면도이다.
도 28은 좌우 에이밍 점을 구성하는 베어링과 브래킷 사이의 장착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9는 상하 에이밍 점을 구성하는 베어링과 브래킷 사이의 장착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0은 종래의 에이밍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31은 선출원의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정면도이다.
도 32는 다른 선출원의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램프 본체
10a, 10b :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
12 : 전방면 렌즈
U, U1 : 광원 유닛
14, 14A : 반사경
18, 18A : 광원인 벌브
20, 120 : 에이밍 지점을 구성하는 볼 조인트
22 : 베어링
24 : 에이밍 지점을 구성하는 베어링의 볼 받침부
30 : 에이밍 스크류
32, 42 : 수나사부
40 : 에이밍 스크류
50 : 에이밍 스크류 회전 지지부를 구성하는 통형부
60 : 오토 레벨링용 액츄에이터
62 : 진퇴 로드
64 : 진퇴 로드 선단의 볼부
130A, 130B, 140A, 140B : 너트 부재
131, 141 : 볼부인 너트 부재 본체
132, 142 : 암나사부
134 : 도어형 리브
137, 147 : 슬라이더
138 : 판 스프링형 탄성 연장 부재
150a, 150b, 150c, 152a, 152b, 152c : 브래킷
150a1, 150b1, 150c1, 152a1, 152b1, 152c1 : 브래킷 삽입 부착 구멍
160A, 160B, 170A, 170B : 베어링
161, 171 : 베어링의 전후 관통 구멍
170A1, 170A2, 170B1, 170B2 : 분할 성형체
230A, 230B : 너트 활주 가이드
232 : 개미홈
E, E1 : 에이밍 기구
P : 에이밍 지점
P1 : 상하·좌우 에이밍 점
P2 : 상하 에이밍 점
P3 : 좌우 에이밍 점
P4 : 상하 에이밍 점
S : 등실
Lx1 : 레벨링 축
Lx : 가상 수평 틸팅축
Ly : 수직 틸팅축
Claims (7)
- 용기형의 램프 본체와, 등실을 구획하도록 상기 램프 본체의 전방면 개구부에 셋팅된 전방면 렌즈와, 상기 등실에 수용되어 광원을 장착한 반사경과, 상기 램프 본체와 반사경 사이에 끼어 장착되어 상기 반사경을 램프 본체에 대해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는 에이밍 기구를 구비하고,상기 에이밍 기구는 상기 반사경의 틸팅 지지점을 구성하는 에이밍 지점과, 상기 램프 본체에 마련된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에이밍 스크류와, 상기 반사경측의 브래킷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에이밍 스크류에 나사 결합하여 에이밍 스크류의 회동에 연계하여 전후 진퇴하는 에이밍점 구성 부재인 합성 수지제 너트 부재로 구성되며,상기 램프 본체에는 상기 에이밍 스크류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너트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유지하는 너트 활주 가이드가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고,상기 너트 부재와 상기 브래킷의 장착부에는 너트 부재의 진퇴에 따라 상기 장착부에 생기는 응력을 해방시키는 볼 조인트 구조의 응력 해방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반사경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램프로서,상기 너트 부재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너트 부재 본체 자체가 상기 볼 조인트의 볼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너트 부재 본체의 측방으로 오프셋된 위치에 상기 너트 활주 가이드에 의해서 지지되는 슬라이더가 일체로 형성되고,상기 브래킷에는 합성 수지제 베어링이 장착되고, 상기 베어링에는 상기 볼부를 지지하는 볼 받침부 및 상기 에이밍 스크류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전후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의 볼 받침부는 측방으로 개구되는 종단면 U 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너트 부재 본체의 옆쪽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 연장부를 통해 설치되고, 상기 너트 부재 본체의 암나사부를 사이에 둔 상기 슬라이더 형성측과 반대측에는 상기 볼 받침부의 바닥(U자 단면의 가로 막대 형상부)에 형성한 구멍의 주연부에 결합하여 너트 부재를 베어링에 대하여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 훅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너트 부재를 그 탄성 훅측에서 볼 받침부 내에 압입함으로써 너트 부재 본체인 볼부는 베어링의 볼 받침부에 결합되어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램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 받침부의 내측에는 상기 너트 부재 본체인 볼부의 구형 외주면에 정합하는 구형 내주면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 부재 본체 외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탄성 훅이 연장하는 전후 방향과 직교하며 상기 암나사부를 사이에 둔 대향 위치에는, 상기 볼 받침부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너트 부재의 압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과 홈의 폭 방향으로 헐겁게 결합하고 홈 깊이 방향으로 눌려 접촉하는 도어형 리브가 상기 암나사부를 가로질러 걸치도록 돌출 설치되어, 상기 볼 받침부와 볼부의 상기 암나사부 중심 축 주위의 상대 회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L자형 연장부를 통해 볼부인 상기 너트 부재 본체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은 상기 볼부를 빠짐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너트 부재의 L자형 연장부에 헐겁게 결합하도록 후방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개구되는, 볼 받침부를 후단측에 설치한 중공 형상 용기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중공 형상 용기체의 전후 관통 구멍을 따라 세로로 나뉘어, 분할면을 서로 맞붙임으로써 베어링으로서 일체화할 수 있는 1쌍의 분할 성형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램프.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성형체는 각각의 전단부끼리가 두께가 얇은 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1쌍의 분할 성형체의 대응하는 맞붙임면에는 분할 성형체를 베어링으로서 일체화하는 요철 란스 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램프.
-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밍 스크류는 아래쪽에 설치된 상기 에이밍 지지점에 대하여 위쪽으로 이격되며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좌우 1쌍의 에이밍 스크류로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에이밍 지지점이 오토레벨링용 액츄에이터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진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램프.
-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밍 스크류는 상기 에이밍 지지점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된 상하 에이밍 스크류와, 상기 에이밍 지지점과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된 좌우 에이밍 스크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1392242A JP3888672B2 (ja) | 2001-12-25 | 2001-12-25 |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
JPJP-P-2001-00392242 | 2001-12-2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55117A KR20030055117A (ko) | 2003-07-02 |
KR100504209B1 true KR100504209B1 (ko) | 2005-07-27 |
Family
ID=19188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81675A KR100504209B1 (ko) | 2001-12-25 | 2002-12-20 | 반사경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램프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6871989B2 (ko) |
JP (1) | JP3888672B2 (ko) |
KR (1) | KR100504209B1 (ko) |
CN (1) | CN100441938C (ko) |
DE (1) | DE10261312A1 (ko) |
FR (1) | FR2833902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52049A (ko) * | 2015-11-03 | 2017-05-12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자동차의 조명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14712A (ja) * | 2002-09-24 | 2004-04-15 | Mitsubishi Motors Corp | ランプ取付装置 |
FR2845444B1 (fr) * | 2002-10-04 | 2004-12-10 | Valeo Vision | Capsule d'articulation pour un projecteur d'eclairage de vehicule automobile |
JP3977303B2 (ja) * | 2003-08-21 | 2007-09-19 | シャープ株式会社 | 位置検出システム、位置検出システムにおける発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
JP4530722B2 (ja) * | 2004-06-01 | 2010-08-25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
JP2006131022A (ja) * | 2004-11-04 | 2006-05-25 | Koito Mfg Co Ltd | 車輌用灯具 |
JP4538390B2 (ja) * | 2005-07-29 | 2010-09-08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クリップ、および、車両用灯具 |
KR100675428B1 (ko) * | 2005-09-30 | 2007-01-30 | 김연수 | 풋옥수수 알의 가공방법 |
DE102007010210A1 (de) * | 2007-03-02 | 2008-09-04 | Hella Kgaa Hueck & Co. | Scheinwerfer für Fahrzeuge |
JP4609950B2 (ja) * | 2007-06-19 | 2011-01-12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ヘッドライト装置 |
DE102007050043A1 (de) * | 2007-10-17 | 2009-04-23 |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 Kinnbügelhörer |
CN101469839B (zh) * | 2007-12-24 | 2012-09-05 | 上海小糸车灯有限公司 | 一种用于汽车前照灯的调光执行器 |
JP2009269474A (ja) * | 2008-05-07 | 2009-11-19 | Toyota Motor Corp | ヘッドランプレベリング装置 |
JP5350023B2 (ja) * | 2009-03-04 | 2013-11-27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車両用前照灯 |
AT508605B1 (de) * | 2009-07-15 | 2012-07-15 | Zizala Lichtsysteme Gmbh | Verstellvorrichtung zum verstellen eines optisch relevanten bauteiles eines fahrzeugscheinwerfers |
DE102009035563A1 (de) * | 2009-07-31 | 2011-02-03 | Hella Kgaa Hueck & Co. | Temperaturkompensierte Aufnahme eines Lichtmoduls in einem Gehäuse eines Scheinwerfers |
EP2287644B1 (en) * | 2009-08-18 | 2014-04-09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Light source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DE102009049237B4 (de) * | 2009-10-15 | 2018-09-13 | HELLA GmbH & Co. KGaA |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Tragrahmens |
JP5438539B2 (ja) * | 2010-02-09 | 2014-03-12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光軸調整用スクリュー |
CN102566003B (zh) * | 2010-12-30 | 2014-10-15 |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反射镜安装结构 |
CN202091834U (zh) | 2011-05-11 | 2011-12-28 | 昆山市诚泰电气股份有限公司 | Led平面灯 |
DE102011051681B4 (de) * | 2011-07-08 | 2023-09-28 | HELLA GmbH & Co. KGaA | Einstellvorrichtung für Scheinwerfer |
DE102011119392A1 (de) | 2011-11-24 | 2013-05-29 |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 Justierbare Halterungsvorrichtung für Sensoren |
KR101369976B1 (ko) * | 2012-07-19 | 2014-03-06 |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 차량용 램프의 진동 방지 장치 |
JP6097548B2 (ja) * | 2012-12-17 | 2017-03-15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車両用灯具 |
US9970624B2 (en) * | 2013-08-23 | 2018-05-15 | Koito Manufacturing Co., Ltd. | Lamp device for vehicle and lighting device for vehicle |
US9534759B2 (en) * | 2014-03-14 | 2017-01-03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Lamp adjuster to control margins |
US9446706B2 (en) * | 2014-03-25 | 2016-09-20 | Valeo North America, Inc. | Headlight dampening system and method |
FR3020121A1 (fr) | 2014-04-18 | 2015-10-23 | Valeo Vision | Piece de dispositif lumineux de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element d'appui et un amortisseur |
JP2015205494A (ja) * | 2014-04-23 | 2015-11-19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二色成形法と二色成形用金型および二色成形品 |
DE102014007865A1 (de) * | 2014-06-03 | 2015-12-03 | Dr. Ing. H.C. F. Porsche Ag | Fahrzeugscheinwerfer |
AT516100B1 (de) * | 2014-09-12 | 2016-05-15 | Zizala Lichtsysteme Gmbh | Einstellsystem für einen Fahrzeugscheinwerfer sowie Fahrzeugscheinwerfer |
KR20160056175A (ko) * | 2014-11-11 | 2016-05-19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자동차의 조명 장치 |
KR102317238B1 (ko) * | 2014-11-11 | 2021-10-26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자동차의 조명 장치 |
KR200483426Y1 (ko) * | 2015-02-16 | 2017-05-15 | 에스엘 주식회사 | 차량용 램프 |
JP6425134B2 (ja) * | 2015-03-11 | 2018-11-21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照明装置、移動体及び支持体 |
JP6798254B2 (ja) * | 2016-11-02 | 2020-12-09 | 市光工業株式会社 | 軸受機構及び自動車用のヘッドランプ |
US10457198B2 (en) * | 2017-03-27 | 2019-10-29 | Whelen Engineering Company, Inc. | Accessory mounting system |
FR3070926B1 (fr) * | 2017-09-11 | 2020-08-28 | Psa Automobiles Sa | Bloc optique de vehicule a glissiere logeant une piece d’interface de translation a pattes de guidage. |
JP6920152B2 (ja) * | 2017-09-25 | 2021-08-18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車両用灯具 |
CN108571705B (zh) * | 2017-10-24 | 2024-06-21 | 常州星宇车灯股份有限公司 | 一种汽车前照灯调光机构 |
WO2019194276A1 (ja) | 2018-04-06 | 2019-10-10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車両用灯具、空間光変調ユニットおよび灯具ユニット |
JP7211739B2 (ja) * | 2018-09-07 | 2023-01-24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空間光変調ユニット |
EP3587906A1 (en) * | 2018-06-29 | 2020-01-01 | Valeo Iluminacion | Ball socket connection, optical assembly and automotive luminous device |
EP3587183A1 (en) * | 2018-06-29 | 2020-01-01 | Valeo Iluminacion | Lighting module adjuster and automotive lighting device |
US11161449B2 (en) * | 2018-10-11 | 2021-11-02 | Asyst Technologies L.L.C. | Adjuster gear screw |
CN110281836B (zh) * | 2019-06-20 | 2021-06-22 |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 一种车头灯保护装置及汽车 |
CN110723061A (zh) * | 2019-11-22 | 2020-01-24 | 芜湖安瑞光电有限公司 | 一种适用于前灯飞翼式螺母防脱的防护结构 |
JP7442684B2 (ja) * | 2020-05-26 | 2024-03-04 | ▲華▼域▲視▼▲覺▼科技(上▲海▼)有限公司 | 調光機構、車両ランプモジュール、車両ランプ、及び車両 |
CN112706689A (zh) * | 2020-12-31 | 2021-04-27 | 江苏壹贰叁肆汽车科技有限公司 | 一种汽车大灯总成 |
EP4145043B1 (en) * | 2021-02-26 | 2024-08-21 | Hasco Vision Technology Co., Ltd. | Vehicle light module with light-regulating mechanism, vehicle light and vehicle |
JP2022149077A (ja) * | 2021-03-25 | 2022-10-06 |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 車両用灯具 |
FR3121888A1 (fr) * | 2021-04-20 | 2022-10-21 | Psa Automobiles Sa | Bloc optique orientable à encombrement vertical réduit, pour un véhicule |
US11788700B1 (en) * | 2022-09-23 | 2023-10-17 | Eagle Eyes Traffic Industrial Co., Ltd. | Adjustable light fixture capable of preventing light holder from falling off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46232B2 (ja) * | 1994-11-08 | 2002-01-15 | 市光工業株式会社 | 車両用灯具 |
JP3128616B2 (ja) * | 1996-07-02 | 2001-01-29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車輌用灯具の光軸調整装置 |
JP3128617B2 (ja) * | 1997-04-04 | 2001-01-29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車輌用灯具のレベリング調整装置 |
JP3907827B2 (ja) * | 1998-05-25 | 2007-04-18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
JP2000149624A (ja) * | 1998-08-31 | 2000-05-30 | Koito Mfg Co Ltd | リフレクタ―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
JP3943260B2 (ja) * | 1998-09-17 | 2007-07-11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車両用前照灯 |
JP2000355245A (ja) * | 1999-06-14 | 2000-12-26 | Koito Mfg Co Ltd | 車両用灯具 |
JP3822007B2 (ja) * | 1999-10-21 | 2006-09-13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
JP3883356B2 (ja) * | 2000-03-14 | 2007-02-21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
JP2001351407A (ja) | 2000-06-02 | 2001-12-21 | Koito Mfg Co Ltd |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
JP3718124B2 (ja) * | 2000-12-28 | 2005-11-16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
-
2001
- 2001-12-25 JP JP2001392242A patent/JP388867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
- 2002-12-20 US US10/324,033 patent/US6871989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2-12-20 KR KR10-2002-0081675A patent/KR10050420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12-24 FR FR0216639A patent/FR2833902A1/fr active Pending
- 2002-12-24 CN CNB021598908A patent/CN100441938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12-27 DE DE10261312A patent/DE10261312A1/de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52049A (ko) * | 2015-11-03 | 2017-05-12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자동차의 조명장치 |
KR102418631B1 (ko) | 2015-11-03 | 2022-07-07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자동차의 조명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430012A (zh) | 2003-07-16 |
DE10261312A1 (de) | 2003-07-10 |
KR20030055117A (ko) | 2003-07-02 |
CN100441938C (zh) | 2008-12-10 |
JP3888672B2 (ja) | 2007-03-07 |
JP2003197009A (ja) | 2003-07-11 |
US20030117810A1 (en) | 2003-06-26 |
US6871989B2 (en) | 2005-03-29 |
FR2833902A1 (fr) | 2003-06-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04209B1 (ko) | 반사경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램프 | |
JP3718124B2 (ja) |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 |
US6543916B2 (en) | Vehicular headlamp with movable reflector | |
JP2002193023A (ja) |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 |
KR100389784B1 (ko) | 차량용 등기구 | |
US6481879B1 (en) | Head lamp for automotive vehicle with movable reflector | |
JPH07192505A (ja) |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のエイミング機構 | |
JP4530722B2 (ja) |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 |
JP4382078B2 (ja) |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 |
JP3217213B2 (ja) | エーミングスクリューの支持構造 | |
JPH10283805A (ja) | 車輌用灯具のレベリング調整装置 | |
US5758943A (en) | Headlamp for use in a vehicle | |
US5580149A (en) | Automotive headlamp | |
US6769781B2 (en) | Remote control mirror apparatus for automobile | |
US4626086A (en) | Rear view mirror assembly | |
JP3193638B2 (ja) | 車両用灯具 | |
JP2000037736A (ja) | ランプボディの成形方法および自動車用前照灯 | |
KR20070040038A (ko) | 에이밍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전조등 장치 | |
JP7520315B1 (ja) | 自動車のヘッドライトレベリング装置 | |
JP3128605B2 (ja) | 前照灯の照射軸調整装置 | |
KR0173816B1 (ko) |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 | |
JPH10326509A (ja) | 自動車用前照灯 | |
JPS6320006Y2 (ko) | ||
JP2613476B2 (ja) | 車輌用前照灯装置 | |
JPS5930765Y2 (ja) | 車輛用前照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708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