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3816B1 -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73816B1 KR0173816B1 KR1019950007714A KR19950007714A KR0173816B1 KR 0173816 B1 KR0173816 B1 KR 0173816B1 KR 1019950007714 A KR1019950007714 A KR 1019950007714A KR 19950007714 A KR19950007714 A KR 19950007714A KR 0173816 B1 KR0173816 B1 KR 01738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tical axis
- drive gear
- tool
- aiming screw
- vehicle lamp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 B60Q1/0683—Adjustable by rotation of a screw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는 반사경이 조인트부재를 통하여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반사경을 회전운동시키는 조준스크류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반사경에 걸쳐서 회전이 자유로이 설치되고, 구동기어가 상기 조준스크류의 끝부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기어에 대향하는 공전기어가 상기 조준스크류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각각의 기어의 대향면에 이간하여 톱니부가 형성되고, 그 각각의 톱니부와 맞물리는 공구를 안내하는 안내부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공구를 회전시키면 구동기어와 일체로 조준스크류가 회전된다. 한편, 공전기어는 구동기어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차량용 등구(嶝具)의 광축조정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하는 조준스크류의 사시도.
제3도a는 본 발명의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의 주요부 확대단면도.
제3도b는 제1도에 도시한 구동기어의 확대배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의 제1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단면도.
제7도는 종래의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의 종단면도.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조명광축을 램프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조정할 수 있는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부터 제7도에 도시하는 구성의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가 알려져 있다. 제7도에 있어서, 1은 차량용 등구의 합성수지제의 램프하우징, 2는 램프하우징(1)의 개구를 폐쇄하는 렌즈이다. 이 램프하우징(1)과 렌즈(2)에 의하여 등실(3)이 구성되어 있다. 이 등실(3)에는 밸브(도시생략)를 유지하는 반사경(4)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반사경(4)은 광축조정기구(5)를 조작함으로서 회전운동되고, 밸브의 광축이 편향된다. 광축조정기구(5)는 이하에 설명하는 구성으로 된다.
하우징(1)의 후벽(1a)의 내벽에는 등실(3)을 향하여 돌출하는 지지돌기(1b)와, 지지부(1c)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의 후벽(1a)의 외벽에는 원통형상의 안내부(1d)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c)는 지지돌기(1b)에 대하여 하우징(1)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1c)는 차체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쌍 존재한다. 도시생략된 지지부는 하우징(1)의 상부에 있어도 좋다. 이 지지돌기(1b), 지지부(1c)의 배치관계는 공지되어 있다. 지지돌기(1b)에는 둥근형상 오목부(1e)가 형성되고, 이 둥근형상 오목부(1e)는 원뿔형상 개구(1f)를 통하여 개방되어 있다. 반사경(4)의 배면에는 원뿔형상 개구(1f)에 대응하여 부착기둥부(4a)가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지지부(1c)에 대응시켜 유지원통(4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잇다. 부착기둥부(4a)와 지지돌기(1b)와의 사이에는 조인트부재(6)가 걸어서 연결되어 있다. 조인트부재(6)는 둥근형상 오목부(1e)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구형부(6a)와 장치기둥부(4a)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맞춤하는 나사부(6b)를 갖는다. 유지원통(4b)에는 조정나사(7)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원통(4b)과 지지부(1c)와의 사이에는 조준스크류(8)가 회전가능하게 걸어서 연결되어 있다. 조준스크류(8)는 선단에 나사부(8a)가 형성되고, 후단부(8b)는 후벽(1a)에서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나사부(8a)는 조정나사(7)에 나사맞춤되어 있다. 후단부(8b)에는 금속제의 구동기어(9)가 고정되어 있다.
안내부(1d)에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D)가 안내되고, 이 공구(D)의 선단을 구동기어(9)의 톱니부(9a)에 걸어맞춤시켜 그 공구(D)를 회전시키면 구동기어(9)가 회전된다. 이 구동기어(9)의 회전에 의하여 조준스크류(8)가 일체로 회전된다. 이로서 조준스크류(8)의 나사부(8a)에 대하여 조정스크류(7)가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반사경(4)이 조인트부재(6)의 구형부(6a)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운동되고, 밸브의 광축조정이 행해진다.
그런데, 이 종래의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에 있어서는 공구(D)를 회전시키면, 구동기어(9)의 회전에 의하여 공구(D)와 톱니부(9a)가 이간하는 방향으로 반력을 받기 때문에, 공구(D)의 선단부가 안정하지 않고 톱니부(9a)와 공구(D)와의 선단의 걸어맞춤 상태를 유지시킨채로 조준스크류(8)를 회전시키는 것이 어렵다. 또, 공구(D)를 회전시킬때에 받는 반력 때문에, 공구(D)가 안내부(1d)의 축선(안내방향)Q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되고 안내부(1d)의 내벽에 공구(D)의 일부가 강하게 눌러진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공구(D)가 회전되기 때문에 안내부(1d)의 내벽이 마멸하는 결함 등의 문제가 있다.
또, 이 종래의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에 있어서는 안내부(1d)에 공구(D)를 삽입하였을 경우, 그 선단이 보기 어려워지므로 공구(D)의 삽입방향 선단위치가 정해지지않고 공구(D)의 압입부족이나 압입초과가 발생한다. 이 공구(D)의 압입이 부족하면, 공구(D)의 선단부와 톱니부(9a)와의 맞물림이 불충분으로 된다. 이 불충분한 맞물림상태에서 공구(D)를 회전시키면 톱니부(9a)가 결손하는 일이 있다. 역으로 공구(D)를 지나치게 압입하면, 구동기어(9)에 과대한 압입력이 가해지고 톱니부(9a)의 파손뿐만 아니라 구동기어(9) 그 자체가 변형을 받을 염려가 있다.
더욱, 경량화, 저코스트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구동기어(9)를 합성수지제로 하였을 경우, 공구(D)의 선단과 톱니부(9a)의 맞물림이 불확실하면 공구(D)를 회전시켰을 때 그 선단에 의하여 톱니부(9a)가 결손할 염려가 있다.
이 발명의 제1의 목적은 광축조정시에 공구의 선단부와 구동기어의 톱니부와의 맞물림의 확실화를 도모하는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의 제2의 목적은 광축조정기구의 합성수지제화를 촉진할 수 있는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의 제3의 목적은 공구의 삽입방향 선단의 위치결정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타의 목적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될 것이다.
[발명의 개요]
이 발명에 관한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는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반사경이 조인트부재를 통하여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반사경을 회전운동시키는 조준스크류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반사경에 걸쳐서 회전이 자유로이 설치되고 구동기어가 상기 조준스크류의 끝부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기어에 대향하는 공전기어가 상기 조준스크류에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각각의 기어의 대향면에 이간하여 톱니부가 형성되고 그 각각의 톱니부가 맞물리는 공구를 안내하는 안내부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공구의 안내방향과 상기 조준스크류의 축선방향과는 직교하고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는 상기 구동기어에는 그 조준스크류의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노브가 형성되고, 상기 조준스크류가 상기 노브에 의하여 상기 조준스크류의 축방향에서 조작된다.
구동기어와 안내기어는 합성수지제인 것이 경량화, 저코스트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구동기어와 조준스크류는 합성수지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보다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공전기어의 한쪽에는 공구선단의 삽입위치를 규정하는 자리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의 후부에 형성된 안내부는 단면원형의 안내통 또는 단면반원호형상의 안내홈의 어느것도 좋지만, 안내홈으로 하는 것이 공구의 선단과 구동기어의 톱니부와의 맞물림상태를 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공구의 몸통부에 공구를 갖고 있지 않는 편의 엄지손가락을 꼭대서 공구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밸브광축의 미소조정의 경우에 유리하다.
[바람직한 실시예]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의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1도에 있어서, 11은 차량용 등구의 합성수지제의 램프하우징, 12는 램프하우징(11)의 개구(11a)를 폐쇄하는 렌즈이다. 이 램프하우징(11)과 렌즈(12)에 의하여 등실(13)이 구성되어 있다. 이 등실(13)에는 밸브(도시생략)를 유지하는 반사경(14)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반사경(14)은 광축조정기구(15)를 조작함으로서 회전운동되고, 밸브의 광축이 편향된다. 광축조정기구(15)는 이하에 설명하는 구성으로 된다.
하우징(11)의 후벽(11b)의 내벽에는 등실(13)을 향하여 돌출하는 지지돌기(11c)와, 지지부(11d)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의 후벽(11b)의 외벽에는 원통형상의 안내부(11e)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1d)는 지지돌기(11c)에 대하여 하우징(11)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11d)는 차체 좌우방향에 간격을 두고 한쌍이 존재한다. 도시생략된 지지부는 하우징(11)의 상부에 있어도 좋다. 이 지지부(11d)는 여기서는 하우징(11)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지지돌기(11c)에는 둥근형상 오목부(11f)가 형성되고, 이 둥근형상 오목부(11f)는 원뿔형상 개구(11g)를 통하여 개방되어 있다. 반사경(14)의 배면에는 원뿔형상 개구(11g)에 대응하여 부착기둥부(14a)가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지지부(11d)에 대응시켜 유지원통(14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부착기둥부(14a)와 지지돌기(11c)와의 사이에는 조인트부재(16)가 걸어서 연결되어 있다. 조인트부재(16)는 둥근형상 오목부(11f)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구형부(16a)와 부착기둥부(14a)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맞춤하는 나사부(16b)를 갖는다. 유지원통(14b)에는 조정나사(17)가 전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유지원통(14b)과 지지부(11d)와의 사이에는 조준스크류(18)가 회전가능하게 걸어서 연결되어 있다. 조준스크류(18)는 선단에 나사부(18a)가 형성되고, 후단부(18b)는 후벽(11b)에서 외부로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나사부(18a)는 조정나사(17)에 나사맞춤되어 있다. 후단부(18b)는 조작부(19)로 되고, 이 조작부(19)에는 그 끝부에 합성수지제의 구동기어(20)가 고정되어 있다. 조작부(19)에는 구동기어(20)에 대향하여 합성수지제의 공전기어(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공전기어(21)는 조준스크류(18)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다. 각각의 기어(20, 21)는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베벨기어형상의 톱니부(20a, 21a)를 갖는다. 조준스크류(18)에는 그 조작부(19)에 위치결정용 플랜지부(22)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공전기어(21)와 구동기어(20)는 후단부(18b) 측에서 조작부(19)에 삽입되고, 조작부(19)에 조립된다. 구동기어(20)에는 제3도a, 제3도b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준스크류(18)의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자리부(20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자리부(20b)는 공전기어(21)를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구동기어(20)의 후단에는 구동기어(20)를 장착할 때의 보강용 돌기(20c)와, 이 보강용 돌기(20c)를 관통하는 수지주입겸 에어빼기용의 구멍부(20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도에 있어서, 부호 23은 시일부재, 24는 웨브와셔, 25는 푸시너트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구동기어(20)와 공전기어(21)를 합성수지제로 하였지만 양쪽 모두 금속제, 또는 한편이 금속제이라도 좋다.
안내부(11e)에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D)가 안내되고, 이 공구(D)의 선단을 구동기어(20)의 톱니부(20a)와 공전기어(21)의 톱니부(21a)와의 사이에 삽입하고, 각각의 톱니부(20a, 21a)에 공구(D)의 선단을 맞물린다. 그 경우, 공구(D)의 선단을 자리부(20b)에 맞닿게 함으로서 공구(D)의 선단의 삽입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이로서 공구(D)의 선단부와 톱니부(20a, 21a)와의 맞물림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공구(D)를 회전시키면 구동기어(20)가 회전된다. 이 구동기어(20)의 회전에 의하여 조준스크류(18)가 일체로 회전된다. 한편, 공전기어(21)는 구동기어(20)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공구(D)의 선단부는 구동기어(20)의 회전에 의하여 맞물림이 해제되는 방향의 반력을 받지만, 공구(D)의 선단부에는 공전기어(21)의 회전에 의하여 이 반력을 상쇄하는 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즉, 공구(D)의 회전중, 공전기어(21)의 톱니부(21a)의 오목벽부(21b)와 볼록벽부(21c)가 공구(D)의 선단부(Dt)에서 서로 맞닿고 공구(D)의 회전중에 공전기어(21)가 구동기어(20)를 향하여 선단부(Dt)를 누르도록 작용하므로 공구(D)의 선단부(Dt)가 안정되고 조정작업자는 구동기어(20)의 톱니부(20a)에 흡착되는 것처럼 하여 공구(D)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공구(D)의 회전시에 공구(D)의 선단부와 구동기어(20)와의 맞물림의 확실화가 도모된다.
구동기어(20)가 회전하면, 조준스크류(18)가 이것과 일체회전하고 이로서 조준스크류(18)의 나사부(18a)에 대하여 조정나사(17)가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반사경(14)이 조인트부재(16)의 구형부(16a)를 지점으로 회전운동되고, 밸브의 광축조정이 행해진다.
또, 보강용 돌기(20c)는 조작용 노브를 겸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차량용 등구(10)의 제조라인에 있어서, 이 보강용 돌기(20c)를 사용하여 광축조정을 행할 수가 있다. 또 차체에 하우징(11)이 조립되어 있는 경우에도 하우징(11)의 후방에 스페이스가 있는 경우, 이를 사용하여 광축조정을 행할 수가 있다. 또,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빼기용의 구멍부(20d)에 톱니부(20e)를 형성하여 공구(D)를 사용하여 축방향에서 조작가능으로 할 수도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제2실시예는 조준스크류(18)와 구동기어(20)를 합성수지에 의하여 일체형성한 것이다. 이 제2실시예에서는 조작부(19)에는 플랜지부(22)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공전기어(21)가 나사부(18a)의 측에서 조작부(19)에 조립되게 된다. 나머지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대략 동일하고 동일구성요소에 동일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2실시예에 의하면 부품수의 삭감화, 경량화, 조립공수의 삭감화를 보다 한층 더 도모할 수가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제3실시예에서는 안내부(11e)를 단면반원형형상의 안내홈으로부터 구성한 것이다.
이 제3실시예에 의하면, 공구(D)를 조작할 때 손에 가까운 쪽을 등구본체에 약간 경사시켜 안내부(11e)를 지점에, 공구의 선단을 구동기어(20)에, 누르도록 함으로서 공구(D)의 선단과 구동기어(20)의 톱니부(20a)와의 맞물림을 확실히 할 수 있다. 따라서, 안내부(11e)를 원통형상으로 한 경우보다도 하우징(11)의 성형이 용이하게 된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공구(D)의 몸통부(T)에 공구(D)를 갖고 있지 않는 편의 엄지손가락을 꼭대고 공구(D)를 가볍게 안내홈에 따르도록 함으로서 조준스크류(18)의 축에 대하여 보다 한층 확실히 공구(D)를 직교시킨 상태에서 공구(D)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밸브광축의 미소조정인 경우에 유리하기도 하다.
이상,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반사경(14)을 하우징(11)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반사경(14)을 조준스크류(18)에 의하여 회전운동 조작하여 광축을 조정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반사경(14)을 갖는 하우징(11)을 차체(도시생략)에 대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하우징(11)을 회전운동시키는 조준스크류(18)를 차체와 하우징(11)과의 사이에 걸쳐서 회전자유롭게 설치하고 구동기어(20)를 상기 조준스크류(18)의 끝부에 고정하고 구동기어(20)에 대향하는 공전기어(21)를 조준스크류(18)에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장치하고, 각각의 기어(20, 21)의 대향면에 톱니부를 형성하고 각각의 톱니부와 맞물리는 공구(D)를 안내하는 안내부(11e)를 차체에 형성하여도 좋다.
Claims (9)
- 반사경이 조인트부재를 통하여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반사경을 회전운동시키는 조준스크류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반사경에 걸쳐서 회전이 자유로이 설치되고, 구동기어가 상기 조준스크류의 끝부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기어에 대향하는 공전기어가 상기 조준스크류에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각각의 대향면에 톱니부가 형성되고, 그 각각의 톱니부와 맞물리는 공구를 안내하는 안내부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의 안내방향과 상기 조준스크류의 축선방향이 직교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에는 그 조준스크류의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노브가 형성되고, 상기 조준스크류가 상기 노브에 의하여 상기 조준스크류의 축방향으로부터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안내기어중 적어도 한쪽이 합성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조준스크류가 합성수지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선단에 맞닿게 되는 위치결정용의 자리부가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공전기어중 한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부에 형성된 단면반원호형상의 안내홈으로부터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부에 형성된 안내원통으로부터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선단에 맞닿게 되는 위치결정용의 자리부가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공전기어중 한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07714A KR0173816B1 (ko) | 1995-04-03 | 1995-04-03 |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07714A KR0173816B1 (ko) | 1995-04-03 | 1995-04-03 |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37386A KR960037386A (ko) | 1996-11-19 |
KR0173816B1 true KR0173816B1 (ko) | 1999-02-18 |
Family
ID=19411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07714A KR0173816B1 (ko) | 1995-04-03 | 1995-04-03 |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7381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0742Y1 (ko) | 2015-03-19 | 2016-06-30 | 최소영 | 조립식 특장차 및 건설 중장비 완구의 부품과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결합부재 |
-
1995
- 1995-04-03 KR KR1019950007714A patent/KR017381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0742Y1 (ko) | 2015-03-19 | 2016-06-30 | 최소영 | 조립식 특장차 및 건설 중장비 완구의 부품과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결합부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37386A (ko) | 1996-1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20008022B1 (ko) | 직교변환 기어장치 | |
JP3888672B2 (ja) |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 |
JP3718124B2 (ja) |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 |
US5251114A (en) | Actuator for controlling the orientation of a motor vehicle headlamp | |
US5079676A (en) | Headlamp adjusting assembly | |
KR100525986B1 (ko) |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 | |
KR950017449A (ko) | 자동차 헤드램프 | |
KR20040071609A (ko) | 전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 및 전동 격납식 도어 미러장치에 있어서의 전동 격납 유닛 | |
US5573326A (en) | Optical axis adjusting device of vehicle lamp | |
US5741059A (en) | Vehicular headlamp having improved aiming screw supporting structure | |
JPH1170832A (ja) | 自動車用前照灯 | |
KR0173816B1 (ko) |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 | |
JP2001351407A (ja) |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 |
US6905236B2 (en) | Vehicular lamp | |
JP2698974B2 (ja) | 自動車の前照灯における反射鏡傾斜角の調節装置 | |
US5580149A (en) | Automotive headlamp | |
JPH0214939A (ja) | 自動車用の前照灯 | |
JP3288877B2 (ja) |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 |
JP2841027B2 (ja) | 車輌用前照灯 | |
JP3428371B2 (ja) | 前照灯の光軸調整装置 | |
JP4390192B2 (ja) | 車輌用前照灯 | |
JPH0635289Y2 (ja) | 自動車用前照灯のエイミング装置 | |
JP3224944B2 (ja) |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におけるエーミングスクリューの支持構造 | |
JPH11151971A (ja) | 車輌用灯具の照射角度調整機構 | |
JP3277737B2 (ja) | 車両用後写鏡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1007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