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631B1 - 자동차의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631B1
KR102418631B1 KR1020150153967A KR20150153967A KR102418631B1 KR 102418631 B1 KR102418631 B1 KR 102418631B1 KR 1020150153967 A KR1020150153967 A KR 1020150153967A KR 20150153967 A KR20150153967 A KR 20150153967A KR 102418631 B1 KR102418631 B1 KR 102418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module
aiming
coupling
couple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2049A (ko
Inventor
유자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3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631B1/ko
Publication of KR20170052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5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mov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9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로 광축조절을 할 수 있는 자동차의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광원이 내부에 배치되는 조명모듈과, 상기 조명모듈을 내부에 수용하는 조명모듈 하우징과, 상기 조명모듈 하우징에 결합되는 에이밍볼트와, 상기 조명모듈 하우징 내에 전후로 슬라이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조명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에이밍볼트의 회전조작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어 상기 조명모듈의 광축을 조절하는 에이밍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모듈에는 구형의 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에이밍브래킷에는 상기 결합구와 결합되는 원형의 결합홀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전방에 설치되는 헤드램프의 광축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방에는 야간 또는 터널 통과시와 같이 시계가 확보되지 않을 시에, 전방을 환하게 비추어 자기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헤드램프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헤드램프의 배광패턴은 자기차량의 운전자에게는 시계를 확보함과 아울러, 선행차 및 대향차의 운전자에게는 눈부심을 유발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 헤드램프의 배광패턴은 법규화되어 있으며, 광축의 상하 위치 및 좌우 위치가 자기차량의 운전자에게는 시계를 확보함과 아울러 선행차 및 대향차의 운전자에게는 눈부심을 유발하지 않는 특정한 곳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자동차에 상기 헤드램프를 초기장착한 후, 상기 광축이 상기 법규를 만족할 수 있는 특정한 곳에 위치하도록 상기 광축을 조절하여야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간단한 구조로 광축조절을 할 수 있는 자동차의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광원이 내부에 배치되는 조명모듈, 상기 조명모듈을 내부에 수용하는 조명모듈 하우징, 상기 조명모듈 하우징에 결합되는 에이밍볼트 및 상기 조명모듈 하우징 내에 전후로 슬라이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조명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에이밍볼트의 회전조작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어 상기 조명모듈의 광축을 조절하는 에이밍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모듈에는 구형의 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에이밍브래킷에는 상기 결합구와 결합되는 원형의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에이밍브래킷에는 한 쌍의 결합플레이트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은 상기 한 쌍의 결합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광축조절을 위한 부품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축조절을 위한 부품수가 감소되고, 이로 인한 품질관리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로우빔 모드일 때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하이빔 모드일 때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조명모듈 하우징 및 렌즈홀더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에 점선으로 구획한 C부분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3에 점선으로 구획한 A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렌즈홀더 및 에이밍브래킷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로우빔 모드일 때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하이빔 모드일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광원(11)이 내부에 배치되는 조명모듈(10)과, 조명모듈(10)을 내부에 수용하는 조명모듈 하우징(20)과, 조명모듈 하우징(20)의 전방에 결합되는 아우터 렌즈(30)를 포함한다. 조명모듈 하우징(20)은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이 개구된다. 조명모듈(10)이 조명모듈 하우징(20)의 개구된 전방을 통해 조명모듈 하우징(20)의 빈 내부로 삽입된 후, 아우터 렌즈(30)가 조명모듈 하우징(20)의 개구된 전방을 차폐하며 조명모듈 하우징(20)의 전방에 결합된다.
조명모듈 하우징(20)은 자동차의 전방으로 삽입되어 차체에 장착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상기 자동차의 전조등(Head lamp)으로 사용된다.
조명모듈(10)은 빛을 생성하는 광원(11)과, 광원(11)을 수용하는 리플렉터(13)와, 리플렉터(13)로부터 전방에 배치되는 렌즈(15)와, 리플렉터(13) 및 렌즈(15) 사이에 배치되어 렌즈(15)를 리플렉터(13)에 결합하는 렌즈홀더(16)를 포함한다.
광원(11)은 벌브(bulb)로 형성되어 조명모듈(10)의 내부에 배치된다. 광원(11)은 후단부가 소켓(19)으로 삽입되어 소켓(19)에 장착된 후, 리플렉터(13)의 후방에 형성된 광원삽입홀(13a)을 통해 리플렉터(13) 내로 삽입되어 리플렉터(13) 내에 배치된다. 소켓(19)은 리플렉터(13)의 후방에 결합되어 광원(11)을 지지해준다.
리플렉터(13)는 전방이 개구되며, 내부는 빈 구조로 형성되어 그 빈 내부공간에 광원(11)이 수용된다. 리플렉터(13)의 내측면은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 오목하게 형성된 리플렉터(13)의 내측면에는 알루미늄 재질의 반사물질이 증착된다. 따라서, 리플렉터(13)의 내측면에는 상기 반사물질이 증착되어 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반사부는 광원(11)이 생성하는 빛을 전방에 배치된 렌즈(15)로 반사한다. 리플렉터(13)의 외측 둘레면에는 리플렉터 지지브래킷(14)이 감싸질 수 있다.
렌즈(15)는 후방이 개구되고, 내부는 빈 구조로 형성된다. 렌즈(15)는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렌즈(15)는 리플렉터(13)가 반사하는 빛을 외부로 배광한다. 렌즈(15)가 외부로 배광하는 빛은 아우터 렌즈(30)를 통해 자동차의 외부로 배광된다. 렌즈(15)는 개구된 후방의 테두리가 렌즈홀더(16)의 전방에 결합된다.
렌즈홀더(16)는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된다. 렌즈홀더(16)의 전방에는 렌즈(15)가 결합된다. 렌즈홀더(16)는 리플렉터(13)로부터 전방에 배치된다. 렌즈홀더(16)의 내부공간은 리플렉터(13)가 반사하는 빛이 지나가는 통로가 된다. 즉, 리플렉터(13)가 반사하는 빛은 렌즈홀더(16)의 내부공간을 지나면서 둘레방향으로 퍼지지 않고 렌즈(15)로 반사된다.
또한, 조명모듈(10)은 리플렉터(13)의 개구된 전방에 결합되는 쉴드 브래킷(17)을 더 포함한다. 쉴드 브래킷(17)은 리플렉터(13) 및 렌즈홀더(16) 사이에 결합된다.
쉴드 브래킷(17)에는 리플렉터(13)가 반사하는 빛이 통과하는 광통과홀(17a)이 형성된다. 리플렉터(13)로부터 반사되는 빛은 쉴드 브래킷(17)에 의해 일부가 차단되며, 나머지의 빛은 광통과홀(17a)을 통과한다.
쉴드 브래킷(17)에는 광통과홀(17a)의 하부를 개폐하는 쉴드(18)가 설치된다. 쉴드(18)는 광통과홀(17a)의 하측에 배치된 쉴드 브래킷(1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18a)에 결합된다. 쉴드(18)는 회전축(18a)이 모터(미도시)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회전축(18a)과 함께 회전되면서 광통과홀(17a)의 하부를 개폐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18)가 광통과홀(17a)의 하부를 가리는 경우, 광원(11)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리플렉터(13)가 반사하는 빛은 광통과홀(17a)의 상부를 통과하여 렌즈(15)의 하부로 비추어지고, 광원(11)을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되는 리플렉터(13)가 반사하는 빛은 광통과홀(17a)의 하부를 통과한 후 쉴드(18)에 의해 차단되어 렌즈(15)의 상부로 비추어지지 않기 때문에, 자동차의 외부로 배광되는 빛은 로우빔 모드가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18)가 광통과홀(17a)을 모두 개방하는 경우, 광원(11)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리플렉터(13)가 반사하는 빛은 광통과홀(17a)의 상부를 통과하여 렌즈(15)의 하부로 비추어지고, 광원(11)을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되는 리플렉터(13)가 반사하는 빛은 광통과홀(17a)의 하부를 통과하여 렌즈(15)의 상부로 비추어지기 때문에, 자동차의 외부로 배광되는 빛은 하이빔 모드가 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조명모듈 하우징 및 렌즈홀더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렌즈홀더(16)는 도 3에 점선으로 구획한 A, B, C 지점이 조명모듈 하우징(20)에 결합된다. 상기 A 지점 및 C 지점은 좌우로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C 지점 및 상기 B 지점은 상하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렌즈홀더(16)의 상기 A 지점 및 상기 B지점은 조명모듈 하우징(20)에 전후로 이동 가능토록 결합되는 지점이고, 렌즈홀더(16)의 상기 C 지점은 조명모듈 하우징(20)에 피봇(pivot)결합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피봇결합은 상하좌우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상기 A 지점이 전후로 이동되는 경우 렌즈홀더(16)는 상기 C 지점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되기 때문에, 조명모듈(10)이 상기 C 지점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되어 조명모듈(10)의 좌우방향의 광축이 조절된다. 만약, 상기 B 지점이 전후로 이동되는 경우 렌즈홀더(16)는 상기 C 지점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되기 때문에, 조명모듈(10)이 상기 C 지점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되어 조명모듈(10)의 상하방향 광축이 조절된다.
도 4는 도 3에 점선으로 구획한 C부분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렌즈홀더(16)는 상기 C 지점이 피봇볼트(40)를 통해 피봇결합된다. 피봇볼트(40)의 전단에는 구형의 결합구(45)가 형성된다. 구형의 결합구(45)가 렌즈홀더(16)에 형성된 구형의 결함홈(16a)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에 의해, 렌즈홀더(16)는 피봇볼트(40)의 전단에 피봇결합된다. 그리고, 피봇볼트(40)의 후단은 조명모듈 하우징(20)을 관통하여 조명모듈 하우징(20)의 후방으로 돌출된다. 조명모듈 하우징(20)의 후방으로 돌출된 피봇볼트(40)의 후단은 너트(42)에 체결됨으로써, 피봇볼트(40)는 렌즈홀더(16)를 조명모듈 하우징(20)에 피봇결합한다.
렌즈홀더(16)는 상기 A 지점 및 상기 B 지점이 동일한 결합구조물을 통해 조명모듈 하우징(20)에 결합된다. 도 3에서는, 렌즈홀더(16)의 상기 A 지점을 조명모듈 하우징(20)에 결합하는 상기 결합구조물만을 도시하였으나, 렌즈홀더(16)의 상기 B 지점도 상기 A 지점을 조명모듈 하우징(20)에 결합하는 상기 결합구조물과 동일한 결합구조물을 통해 조명모듈 하우징(20)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구조물은 에이밍브래킷(50)과 에이밍볼트(60)를 포함한다. 상기 A 지점에 배치되는 에이밍브래킷(50)은 좌우광축조절 에이밍브래킷(50)을 의미하고, 상기 B 지점에 배치되는 에이밍브래킷(50)은 상하광축조절 에이밍브래킷(50)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A 지점에 배치되는 에이밍볼트(60)는 좌우광축조절 에이밍볼트(60)를 의미하고, 상기 B 지점에 배치되는 에이밍볼트(60)는 상하광축조절 에이밍볼트(60)를 의미한다.
에이밍브래킷(50)은 조명모듈 하우징(20) 내에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토록 결합된다. 조명모듈 하우징(20) 내에는 에이밍브래킷(50)이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토록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에이밍브래킷(50)은 일부가 슬라이딩 결합부(25)로 삽입되어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에이밍브래킷(50)은 일단이 에이밍볼트(60)를 통해 조명모듈 하우징(20)에 결합된다. 에이밍볼트(60)는 조명모듈 하우징(20)의 후방에서 조명모듈 하우징(20) 내로 삽입되어 에이밍브래킷(50)의 일단을 관통한다. 작업자가 에이밍볼트(60)를 회전조작하면 에이밍브래킷(50)은 에이밍볼트(60)의 회전조작과 연동되어 전후로 이동된다.
도 5는 도 3에 점선으로 구획한 A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렌즈홀더 및 에이밍브래킷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에이밍브래킷(50)의 전단은 조명모듈(10)의 렌즈홀더(16)와 결합된다. 에이밍브래킷(50)에는 렌즈홀더(16)와 결합되기 위한 원형의 결합홀(55)이 형성되고, 렌즈홀더(16)에는 원형의 결합홀(55)에 삽입되는 구형의 결합구(16b)가 형성된다. 구형의 결합구(16b)가 원형의 결합홀(55)에 삽입되어 피봇결합되는 것에 의해, 에이밍브래킷(50)은 렌즈홀더(16)와 피봇결합된다.
이와 같이, 에이밍브래킷(50)이 렌즈홀더(16)와 피봇결합되기 때문에, 에이밍브래킷(50)이 에이밍볼트(60)의 회전조작에 의해 전후로 이동될 때, 구형의 결합구(16b) 및 원형의 결합홀(55)의 결합부분의 파손이 방지된다.
상기 좌우광축조절 에이밍브래킷(50)에 형성되는 원형의 결합홀(55)은 피봇볼트(40)와 수평하게 배치되어, 조명모듈(10)의 좌우광축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하광축조절 에이밍브래킷(50)에 형성되는 원형의 결합홀(55)은 피봇볼트(40)와 수직하게 배치되어, 조명모듈(10)의 상하광축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에이밍브래킷(50)에는 한 쌍의 결합플레이트(52)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한 쌍의 결합플레이트(52)는 상기 에이밍브래킷(50)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원형의 결합홀(55)은 한 쌍의 결합플레이트(52)에 각각 형성된다.
구형의 결합구(16b)가 한 쌍의 결합플레이트(52)에 각각 형성된 원형의 결합홀(55)에 삽입된 상태이면, 구형의 결합구(16b)의 일측은 한 쌍의 결합플레이트(52)에 선접촉되고, 구형의 결합구(16b)의 타측은 구형의 결합구(16b)의 일측보다 넓게 상기 에이밍브래킷(50)에 면접촉된다. 즉, 한 쌍의 결합플레이트(52)는 구형의 결합구(16b)가 에이밍브래킷(50)에 면접촉되는 지점인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렌즈홀더(16)에는 파손방지리브(16c)가 돌출 형성되고, 구형의 결합구(16b)는 파손방지리브(16c)의 끝단에 형성된다. 파손방지리브(16c)는 렌즈홀더(16)의 본체에서 연장되어 탄성력을 가질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어서, 에이밍브래킷(60)이 전후로 이동될 때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조명모듈(10)에 구형의 결합구(16b)가 형성되고, 에이밍브래킷(50)에는 구형의 결합구(16b)와 결합되는 원형의 결합홀(55)이 형성되기 때문에, 조명모듈(10)의 광축조절을 위한 부품의 파손이 방지되고, 조명모듈(10)의 광축조절을 위한 부품수가 감소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조명모듈 11: 광원
13: 리플렉터 15: 렌즈
16: 렌즈홀더 16b: 결합구
16c: 파손방지리브 20: 조명모듈 하우징
40: 피봇볼트 50: 에이밍브래킷
52: 결합플레이트 55: 결합홀
60: 에이밍볼트

Claims (6)

  1. 광원이 내부에 배치되는 조명모듈;
    상기 조명모듈을 내부에 수용하는 조명모듈 하우징;
    상기 조명모듈 하우징에 결합되는 에이밍볼트; 및
    상기 조명모듈 하우징 내에 전후로 슬라이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조명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에이밍볼트의 회전조작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어 상기 조명모듈의 광축을 조절하는 에이밍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모듈에는 구형의 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에이밍브래킷에는 상기 결합구와 결합되는 원형의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에이밍브래킷에는 한 쌍의 결합플레이트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은 상기 한 쌍의 결합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듈은 상기 조명모듈 하우징에 피봇볼트를 통해 피봇결합되고,
    상기 에이밍브래킷은, 상기 결합홀이 상기 피봇볼트와 수평하게 배치되는 좌우광축조절 에이밍브래킷과, 상기 결합홀이 상기 피봇볼트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상하광축조절 에이밍브래킷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가 상기 한 쌍의 결합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된 결합홀에 삽입된 상태이면, 상기 결합구의 일측은 상기 한 쌍의 결합플레이트에 선접촉되고, 상기 결합구의 타측은 상기 결합구의 일측보다 넓게 상기 에이밍브래킷에 면접촉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듈은,
    상기 광원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광원이 생성한 빛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리플렉터와,
    상기 리플렉터의 전방에 배치되는 렌즈와,
    상기 리플렉터 및 상기 렌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리플렉터 및 상기 렌즈에 결합되는 렌즈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구는 상기 렌즈홀더에 형성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에는 파손방지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는 상기 파손방지리브의 끝단에 형성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KR1020150153967A 2015-11-03 2015-11-03 자동차의 조명장치 KR102418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967A KR102418631B1 (ko) 2015-11-03 2015-11-03 자동차의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967A KR102418631B1 (ko) 2015-11-03 2015-11-03 자동차의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049A KR20170052049A (ko) 2017-05-12
KR102418631B1 true KR102418631B1 (ko) 2022-07-07

Family

ID=58740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967A KR102418631B1 (ko) 2015-11-03 2015-11-03 자동차의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6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7664B (zh) * 2021-03-31 2022-02-15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灯具调光机构、以及汽车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5105A (ja) 1999-10-29 2001-05-18 Stanley Electric Co Ltd 照準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該照準装置を具備する前照灯
JP2001351407A (ja) 2000-06-02 2001-12-21 Koito Mfg Co Ltd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US20020085386A1 (en) 2000-12-28 2002-07-04 Koito Manufacturing Co., Ltd. Reflector movable type headlamp for automobile
KR100504209B1 (ko) 2001-12-25 2005-07-27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반사경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램프
KR100776745B1 (ko) * 2006-06-16 2007-11-19 에스엘 주식회사 주광 조사 방향 및 추가광 측면 조사 방향을 자동 조절하는램프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85307B (en) * 1993-12-21 1997-11-12 Koito Mfg Co Ltd Vehicular headlamp
JP4335421B2 (ja) * 2000-07-28 2009-09-30 株式会社青山製作所 照準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114309A (ko) * 2014-04-01 2015-10-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헤드 램프용 피봇 리테이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5105A (ja) 1999-10-29 2001-05-18 Stanley Electric Co Ltd 照準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該照準装置を具備する前照灯
JP2001351407A (ja) 2000-06-02 2001-12-21 Koito Mfg Co Ltd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US20020085386A1 (en) 2000-12-28 2002-07-04 Koito Manufacturing Co., Ltd. Reflector movable type headlamp for automobile
KR100504209B1 (ko) 2001-12-25 2005-07-27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반사경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램프
KR100776745B1 (ko) * 2006-06-16 2007-11-19 에스엘 주식회사 주광 조사 방향 및 추가광 측면 조사 방향을 자동 조절하는램프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049A (ko) 2017-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15340B2 (ja) 車両用前照灯
JP5442222B2 (ja) 車両用前照灯
US7922376B2 (en) Headlamp for vehicle
KR20160022997A (ko) 차량용 램프의 쉴딩 장치
JP2012043656A (ja) 車両用前照灯
KR102418631B1 (ko) 자동차의 조명장치
JP2012162105A (ja) 車両用前照灯装置
KR20110084786A (ko) 차량용 헤드램프
JP2014121895A (ja) 車室搭載型の配光可変灯具
JP5358118B2 (ja) 車両用前照灯
KR101704131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KR102317238B1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KR200483426Y1 (ko) 차량용 램프
KR20140133315A (ko) 헤드램프
US2084245A (en) Antiglare illumination apparatus
KR101380254B1 (ko) 차량용 안개등의 방향 조절장치
US1647149A (en) Headlight
US20160076723A1 (en) Rotatory color-temperature-changing device for vehicle lamp
KR101250394B1 (ko)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안개등
KR101827729B1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KR102326053B1 (ko) 자동차의 조명장치
KR101405384B1 (ko) 자동차의 램프 장치
KR100501572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장치
US11067244B2 (en) Vehicle headlamp having a high beam light source and an inclined laser diode
KR20170119920A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